KR102559620B1 - 건축용 퍼티 조성물 - Google Patents

건축용 퍼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620B1
KR102559620B1 KR1020230003293A KR20230003293A KR102559620B1 KR 102559620 B1 KR102559620 B1 KR 102559620B1 KR 1020230003293 A KR1020230003293 A KR 1020230003293A KR 20230003293 A KR20230003293 A KR 20230003293A KR 102559620 B1 KR102559620 B1 KR 102559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y composition
rubber
weight
construction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주
장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페이스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페이스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페이스인코
Priority to KR102023000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4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축용 퍼티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불소계 수지; 아크릴 에멀젼; 및 고무 에멀젼을 포함하고,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탄소나노튜브 15 내지 2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퍼티 조성물{CONSTRUCTION PUTTY COMPOSITION}
본 발명은 건축용 퍼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퍼티는 도장재 마감 공정 시 도장재의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감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건축용 퍼티는 일반적으로 도장재 시공 전에 건축, 토목 구조물 등의 외벽 또는 내벽의 크랙, 덴트 등을 보수하거나, 도장재의 색상이 선명하고 고르게 도포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벽 또는 내벽에 전처리된다.
그런데 기존의 건축용 퍼티는 부착력 또는 내수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건축물의 도장층에 발생하는 수분 침투, 결로 현상에 의하여 퍼티가 도장층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건축용 퍼티는 탄성력 또는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성 또는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단점 역시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건축용 퍼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축용 퍼티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불소계 수지; 아크릴 에멀젼; 및 고무 에멀젼을 포함하고,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탄소나노튜브 15 내지 2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불소계 수지 1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Poly(vinyliden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트라이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co-trifluoroethylene); PVDF-TrFE)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co-chlorotrifluoroethylene); PVDF-CT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아크릴 에멀젼 15 내지 35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thylhex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에폭시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고무 에멀젼 10 내지 3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에멀젼은, 클로로프렌고무(Chloroprene Rubber; CR),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Copolymer; SBS), 스타이렌-부타디엔 공중합체(Styrene-Butadiene Copolymer, SB), 스타이렌-아이스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Copolymer; SIS), 부타디엔고무(Butadiene Rubber; B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itrile-Butadiene Rubber; NBR) 및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EV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5 내지 18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포제, 분산제, 충진제 및 증점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 및 불소계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탄성력, 강도, 인장력 및 부착력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도장면으로부터의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성 또는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릴 에멀젼 및 고무 에멀젼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내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 방수, 천정 방수 또는 실내 방수 등 다양한 시공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유기 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환경에 친화적일 수 있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축용 퍼티 조성물이 제공된다.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불소계 수지; 아크릴 에멀젼; 및 고무 에멀젼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조성물의 부착력, 기계적 강도, 내구성 또는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소량으로 포함되더라도 조성물의 강도를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으며, 나노 입자로서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는 5 내지 20 nm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nm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탄소나노튜브는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5 내지 28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됨에 따라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소계 수지는, 불소계 고분자 화합물로서, 조성물의 내수성, 내충격성, 내열성, 내약품성 또는 전기 절연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Poly(vinyliden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트라이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co-trifluoroethylene); PVDF-TrFE)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co-chlorotrifluoroethylene); PVDF-CT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불소계 수지는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불소계 수지가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됨에 따라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 에멀젼은, 수용성으로서 조성물의 부착력, 신장률, 인열 성능 또는 내약품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 에멀젼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thylhex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에폭시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아크릴 에멀젼은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이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됨에 따라, 조성물의 부착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무 에멀젼은, 내후성, 내오존성, 내열성, 내약품성 또는 내노화성 등이 우수하다는 성질이 있어, 조성물의 인장력, 신장률, 접착성, 응집성 또는 혼화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에멀젼은 클로로프렌고무(Chloroprene Rubber; CR),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Copolymer; SBS), 스타이렌-부타디엔 공중합체(Styrene-Butadiene Copolymer, SB), 스타이렌-아이스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Copolymer; SIS), 부타디엔고무(Butadiene Rubber; B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itrile-Butadiene Rubber; NBR) 및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프렌고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고무 에멀젼은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고무 에멀젼이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됨에 따라, 조성물의 내후성, 접착성, 신장률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EV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에틸렌(Ethylene)과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의 공중합체로서, 조성물의 부착력, 작업성, 유연성, 탄성력 또는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5 내지 18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됨에 따라, 조성물의 작업성, 탄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소포제, 분산제, 충진제 및 증점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소포제 0.01 내지 5 중량%, 분산제 0.01 내지 5 중량%, 충진제 1 내지 30 중량% 및 증점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포제는, 조성물 내에 형성되는 거품을 제거하거나, 거품, 기포, 핀홀 등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포제는 폴리실록산계 소포제, 실리콘계 소포제, 지방산 에스테르계 소포제, 알코올계 소포제 및 인산 에스테르계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실록산계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산제는, 조성물의 각종 구성을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균일한 물성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제는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Polycarboxylic acid polymer)계 분산제, 아크릴계 분산제, 우레탄계 분산제, 폴리카보네이트계 분산제,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및 폴리올레핀계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계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의 알킬 암모늄염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진제는, 내구성, 내열성, 경도 등과 같이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 가공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제는 탄산칼슘, 고로 슬래그, 플라이애쉬, 탈크, 고무칩(폐타이어가루 등)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탄산칼슘은 분말 제형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분말 제형의 탄산칼슘은 30 내지 60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증점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조성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점제는 알칼리 증점제, 우레탄계 증점제 및 CMC(Carboxymethyl Cellulose)계 증점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동결방지제, 미세균열 방지제 및 안료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동결방지제 0.01 내지 5 중량%, 미세균열 방지제 0.1 내지 5 중량% 및 안료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결방지제는, 저온에서도 조성물이 얼지 않고 우수한 단열성, 방수성 등을 제공하거나, 조성물이 적절한 물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결방지제는 에틸렌글라이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다이에틸렌글라이콜(Diethylene Glycol) 및 글리세린(Glyce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세균열 방지제는, 외부 자극에 의하여 발생되는 균열, 미세균열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균열 방지제는 폴리부텐(Polybutene)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부텐은 미세균열 방지력 뿐만 아니라, 결합력 또는 접착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료는, 조성물의 색채, 명암을 조절하고 커버력 또는 착색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료는 화이트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이트 안료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황산바륨 및 산화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또는 유기 용제를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일 수 있다. 이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또는 유기 용제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것뿐만 아니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정도의 유효한 양, 즉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되지 않은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또는 유기 용제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 0.5 중량%, 0.1 중량%, 0.05 중량%, 0.01 중량% 또는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또는 유기 용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전처리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용 퍼티 조성물이 외벽에 발생한 크랙, 덴트 등에 도포되어 외벽을 하자 보수하거나, 건축용 퍼티 조성물이 외벽에 도포된 후 유성 또는 수성 페인트 등의 도장재가 퍼티 조성물의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건축, 토목 구조물의 외부 방수, 지하구조물의 옹벽 내지 천정 방수와 화장실, 욕실, 베란다 등의 실내 방수를 위해서 사용되거나, 타일 시공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표 1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역할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탄소나노튜브 20 27 20 - 20 13 30 20 20 20 20 20
불소계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20 20 20 20 - 20 20 13 27 20 20 20
아크릴 에멀젼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고무 에멀젼 클로로프렌고무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 10 17 10 10 10 10 10 10 - 3 20
소포제 폴리실록산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분산제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의 암모늄염 용액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동결방지제 프로필렌글라이콜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미세균열 방지제 폴리부텐 2 2 2 2 2 2 2 2 2 2 2 2
충진제 탄산칼슘 10 3 3 30 30 17 - 17 3 20 17 -
안료 이산화티탄 1 1 1 1 1 1 1 1 1 1 1 1
증점제 셀룰로오스검 1 1 1 1 1 1 1 1 1 1 1 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아크릴 에멀젼, 고무 에멀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불소계 수지를 혼합한 뒤, 23 ℃의 온도에서 600 rpm의 속도로 20분 동안 균일하게 교반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소포제, 분산제, 동결방지제 및 미세균열 방지제를 순차적으로 첨가한 뒤 10분 동안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후, 충진제 및 탄소나노튜브를 순차적으로 첨가한 뒤, 23 ℃의 온도에서 950 rpm의 저속에서의 교반, 1700 rpm의 고속에서의 교반 및 950 rpm의 저속에서의 교반을 15분 동안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이후, 안료를 첨가한 뒤 23 ℃의 온도에서 1700 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균일하게 교반하고, 증점제를 첨가한 뒤 2250 rpm의 속도로 15분 동안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실험예: 부착 강도, 인장 강도, 파단 시 신장률, 인열 성능 및 투수압 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KS F 3211 표준의 실험 방법에 따라 부착 강도, 인장 강도, 파단 시 신장률, 인열 성능 및 투수압 실험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부착 강도 실험의 경우, 시험용 밑판의 표면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을 각각 도포하고 표준 상태에서 168시간 동안 양생한 후, 상기 샘플에 대하여 2 mm/min의 인장 속도로 인장하여 최대 하중을 구한 뒤, 샘플의 단면적에 대한 최대 하중의 값을 부착 강도로 산출하였다. 부착 강도 실험은 총 3번 진행하여 이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인장 강도 및 파단 시 신장률 실험의 경우, 시험용 밑판의 표면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을 각각 도포하고 표준 상태에서 168시간 동안 양생한 후, 인장 시험기에 물림 간격이 60 mm가 되도록 샘플을 부착시키고, 500 mm/min의 인장 속도로 샘플이 파단될 때까지 인장하였다. 샘플의 단면적에 대한 최대 하중의 값을 인장 강도로 산출하고, 최초 눈금 사이 거리에 대한 파단 시의 눈금 사이 거리의 백분율을 파단 시 신장률로 산출하였다. 각 실험은 총 3번 진행하여 이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인열 성능 실험의 경우, 시험용 밑판의 표면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을 각각 도포하고 표준 상태에서 168시간 동안 양생한 후, 상기 샘플에 대하여 500 mm/min의 인장 속도로 샘플이 파단될 때까지 인장하여 최대 하중을 구한 뒤, 샘플의 두께에 대한 최대 하중의 값을 인열 성능으로 산출하였다. 인열 성능 실험은 총 3번 진행하여 이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투수압 실험의 경우, 시험용 밑판의 표면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을 각각 도포하고 168시간 동안 양생한 후, 0.3 N/mm2의 투수압을 가하여 시험용 밑판의 하측에 압력수가 투수되는지 여부를 관측하였다.
구분 부착 강도(N/mm2) 인장 강도(N/mm2) 파단 시 신장률(%) 인열 성능(N/mm) 투수 여부
실시예 1 1 2.3 500 15 투수 안됨
실시예 2 1.3 2 450 14 투수 안됨
실시예 3 1 2.2 495 14 투수 안됨
비교예 1 0.7 2.3 490 13 투수 됨
비교예 2 1.2 1.7 400 10 투수 됨
비교예 3 0.7 2.1 470 13 투수 안됨
비교예 4 1.2 1.9 435 13 투수 안됨
비교예 5 1 1.5 410 11 투수 됨
비교예 6 0.7 2.3 490 15 투수 안됨
비교예 7 0.9 2.1 450 12 투수 됨
비교예 8 0.9 2 430 13 투수 됨
비교예 9 0.8 1.8 485 13 투수 안됨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은 모두 부착 강도, 인장 강도, 파단 시 신장률 및 인열 성능이 모두 높은 값으로 측정되고, 투수압 인가 시 압력수가 투수되지 않았는 바, 부착 성능, 인장 성능, 탄성 및 방수 성능이 모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탄소나노튜브 또는 불소계 수지가 제외된 비교예 1 및 2는 투수압 인가 시 압력수가 투수되었는 바, 방수 성능이 매우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은 부착 강도가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부착 성능 또한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비교예 2는 인장 강도, 파단 시 신장률 및 인열 성능이 매우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인장 성능 및 탄성 또한 매우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탄소나노튜브가 소량으로 포함된 비교예 3은 부착 강도가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부착 성능이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탄소나노튜브가 과량으로 포함된 비교예 4는 인장 강도 및 파단 시 신장률이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인장 성능 및 탄성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불소계 수지가 소량으로 포함된 비교예 5는 투수압 인가 시 압력수가 투수되어 방수 성능이 매우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불소계 수지가 과량으로 포함되는 비교예 6은 부착 강도가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부착 성능이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제외된 비교예 7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소량으로 포함된 비교예 8은 투수압 인가 시 압력수가 투수되어 방수 성능이 매우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8은 파단 시 신장률이 매우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인장 성능 또한 매우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과량으로 포함된 비교예 9는 부착 강도 및 인장 강도가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부착 성능 및 인장 성능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건축용 퍼티 조성물로서,
    탄소나노튜브; 불소계 수지; 아크릴 에멀젼; 및 고무 에멀젼;을 포함하고,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탄소나노튜브 15 내지 28 중량%, 불소계 수지 15 내지 25 중량%, 아크릴 에멀젼 15 내지 35 중량% 및 고무 에멀젼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불소계 수지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thylhexyl Acrylate)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 에멀젼은 클로로프렌고무(Chloroprene Rubber; CR)를 포함하는, 건축용 퍼티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Poly(vinyliden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트라이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co-trifluoroethylene); PVDF-TrFE)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co-chlorotrifluoroethylene); PVDF-CT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퍼티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에폭시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퍼티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에멀젼은 스타이렌-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Copolymer; SBS), 스타이렌-부타디엔 공중합체(Styrene-Butadiene Copolymer, SB), 스타이렌-아이스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Copolymer; SIS), 부타디엔고무(Butadiene Rubber; B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itrile-Butadiene Rubber; NBR) 및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퍼티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EVA)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퍼티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은, 상기 건축용 퍼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5 내지 18 중량%을 포함하는, 건축용 퍼티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소포제, 분산제, 충진제 및 증점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퍼티 조성물.
KR1020230003293A 2023-01-10 2023-01-10 건축용 퍼티 조성물 KR102559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293A KR102559620B1 (ko) 2023-01-10 2023-01-10 건축용 퍼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293A KR102559620B1 (ko) 2023-01-10 2023-01-10 건축용 퍼티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620B1 true KR102559620B1 (ko) 2023-07-26

Family

ID=8742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293A KR102559620B1 (ko) 2023-01-10 2023-01-10 건축용 퍼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6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891B1 (ko) * 2006-12-29 2008-03-26 주식회사 이노넥스트 콘크리트 공극구조 개선을 위한 무기계 마이크로 퍼티와수용성 세라믹 도장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도장시공방법
KR101963828B1 (ko) * 2018-09-19 2019-03-29 조성록 복합 코팅막 콘크리트구조물 균열보수용 퍼티조성물
CN112430406A (zh) * 2020-12-22 2021-03-02 谢绪林 一种耐水腻子粉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891B1 (ko) * 2006-12-29 2008-03-26 주식회사 이노넥스트 콘크리트 공극구조 개선을 위한 무기계 마이크로 퍼티와수용성 세라믹 도장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도장시공방법
KR101963828B1 (ko) * 2018-09-19 2019-03-29 조성록 복합 코팅막 콘크리트구조물 균열보수용 퍼티조성물
CN112430406A (zh) * 2020-12-22 2021-03-02 谢绪林 一种耐水腻子粉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569B1 (ko) 수용성 아크릴계 방수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964680B1 (ko) 아스팔트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시공방법
KR101736146B1 (ko) 친환경 보호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9564B1 (ko) 무용제형 냉공법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04556B1 (ko) 도막방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44940B1 (ko) 미가류 상태인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사용한 시공방법
KR101487772B1 (ko) 자착식 방수시트
KR101047447B1 (ko) 드라이비트 외부 벽체 방수 또는 보수 방법
KR101291114B1 (ko) 탄성고분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방수방식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91653B1 (ko) 핀홀 방지용 에폭시 프라이머
KR102559620B1 (ko) 건축용 퍼티 조성물
KR102230767B1 (ko) 장기간 균열 현상이 없이 방수표면을 갖도록 하는 도막방수제용 조성물
CN1226364C (zh) 一种高分子乳胶防水涂料
KR102290324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547660B1 (ko) 해조류를 이용한 구조체용 친환경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12388B1 (ko) 발수성이 우수한 도료의 제조방법
KR100984072B1 (ko)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재
KR102490399B1 (ko)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아스파틱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방수경화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방수 방법
KR102544161B1 (ko) 친환경 tpe 단열복합방수 시공법
KR100911974B1 (ko) 건축 토목 구조물의 균열 보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균열 보수 공법
AU2017218870B2 (en) Removable, aqueous-based compositions
KR20170025574A (ko) 복합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KR101788849B1 (ko) 핀홀 방지용 방수재, 그 제조방법 및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541308B1 (ko) 친환경 tpe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047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