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872B1 - Pyrolysis system for waste - Google Patents

Pyrolysis system for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872B1
KR102554872B1 KR1020220103376A KR20220103376A KR102554872B1 KR 102554872 B1 KR102554872 B1 KR 102554872B1 KR 1020220103376 A KR1020220103376 A KR 1020220103376A KR 20220103376 A KR20220103376 A KR 20220103376A KR 102554872 B1 KR102554872 B1 KR 102554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pyrolysis
waste
path
referenc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3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형석
정주호
유장호
강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2010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8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872B1/en
Priority to PCT/KR2023/011540 priority patent/WO202403912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02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in combination with oil conversion- or refin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81Recycling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풍을 공급받아 폐기물을 열분해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은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열분해장치, 열분해장치와 연결되며 열분해장치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 중 응축성 가스를 냉각하여 열분해유를 생성하고 비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유화장치, 유화장치와 연결되며 유화장치에서 배출되는 비응축 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연소로를 포함하며, 열분해장치는 상기 연소로로부터 제공되는 열풍으로 상기 폐기물을 가열하여 열분해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pyrolysis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 pyrolysis system for pyrolyzing waste by receiving hot air.
The pyrolysis system for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yrolysis device that generates combustible gas by pyrolyzing waste and pyrolyzes the waste, and is connected to a pyrolysis device and cools condensable gas among combustible gases generated in the pyrolysis device to produce pyrolysis oil. It includes an emulsification device for generating and discharging non-condensable gas, and a combustion furnace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device and receiving and burning the non-condensable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device, and the pyrolysis device converts the waste into hot air provided from the furnace. Heat to pyrolyze.

Description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Pyrolysis system for waste}Pyrolysis system for waste}

본 발명은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풍을 공급받아 폐기물을 열분해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pyrolysis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 pyrolysis system for pyrolyzing waste by receiving hot air.

최근 산업의 발달에 따라 플라스틱 등을 원료로 하는 상품의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따라 폐플라스틱 등의 폐기물이 많이 발생되며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각종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dustry, the production of products made of plastics and the like as raw materials is rapidly increasing. As a result of this phenomenon, a lot of waste such as waste plastic is generated, and various methods for efficiently treating it have been proposed.

이러한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안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안으로는 폐기물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매립 또는 소각하거나 해양에 투기하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지상에 매립하거나 해양에 투기하는 방안은 침출수로 인한 2차 오염 피해, 매립지의 한정, 해양오염 및 해양 투기 행위 금지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Among the methods for treating such waste,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s landfill, incineration, or dumping into the sea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waste. However, the method of landfilling on the ground or dumping in the sea has many problems, such as secondary pollution damage due to leachate, limitation of landfill, and prohibition of marine pollution and marine dumping.

그리고,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처리하는 방안이 있다. 폐기물을 열분해하는 경우에는 연료가 필요하고, 유화장치에서 배출되는 비응축 가스는 연소 후 보일러를 통과하여 배기가스로 배출됨에 따라 비응축 가스의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자원을 낭비하고, 열분해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treating waste by thermal decomposition. In the case of pyrolysis of waste, fuel is required, and non-condensable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unit passes through the boiler after combustion and is discharged as exhaust gas.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deterior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열분해장치가 열풍을 공급받아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효율이 향상된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 pyrolysis system with improved efficiency by thermally decomposing waste by receiving hot air in a pyrolysis device.

또한, 연소로는 유화 장치에서 배출되는 비응축 가스를 통해 열풍을 생성하여 열분해장치에 공급함에 따라 효율이 향상된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o provide a waste pyrolysis system with improved efficiency by generating hot air through a non-condensable gas discharged from a combustion furnace and supplying it to a pyrolysis devi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은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열분해장치, 상기 열분해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열분해장치에서 발생되는 상기 가연성 가스 중 응축성 가스를 냉각하여 열분해유를 생성하고 비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유화장치, 상기 유화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유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상기 비응축 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연소로를 포함하며, 상기 열분해장치는 상기 연소로로부터 제공되는 열풍으로 상기 폐기물을 가열하여 열분해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yrolysis system for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yrolysis device for generating combustible gas by thermally decomposing the waste into which waste is introduced, and the pyrolysis device and the above generated in the pyrolysis device An emulsification device that cools condensable gas among combustible gases to generate pyrolysis oil and discharges non-condensable gas, and a combustion furnace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device and receiving and combusting the non-condensable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device, The pyrolysis device may pyrolyze the waste by heating it with hot air suppli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이때, 상기 연소로는 상기 비응축 가스를 연소하며 상기 열풍을 생성하고, 상기 열풍을 상기 열분해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bustion furnace may burn the non-condensable gas to generate the hot air, and supply the hot air to the pyrolysis device.

그리고, 상기 연소로는, 초기 구동시에 연료가 투입되고 투입되는 상기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열풍을 생성하되, 상기 유화장치에서 상기 비응축 가스가 배출되면 상기 비응축 가스를 연소하여 상기 열풍을 생성할 수 있다.Further, in the combustion furnace, fuel is injected during initial driving and the hot air is generated using the injected fuel, and when the non-condensed gas i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device, the non-condensed gas is burned to generate the hot air. can

또한,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은 상기 열분해장치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회수하여 스팀을 생성하거나 대기오염 방지시설로 배출하는 메인 보일러,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 또는 상기 열분해장치를 가열한 후 배출되는 열풍을 회수하여 냉각하며 상기 열풍을 상기 열분해장치에 공급하는 보조 보일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te pyrolysis system collects hot air discharged from the pyrolysis device to generate steam or discharges it to an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the main boiler,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or the hot air discharged after heating the pyrolysis device. An auxiliary boiler for recovering and cooling and supplying the hot air to the pyrolysis device may be further included.

이에 따라, 초기 구동시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상기 열분해장치에 공급되고,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상기 보조 보일러에 공급되어 상기 제1 기준온도로 냉각된 후 상기 열분해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during initial opera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is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When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may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boiler, cooled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n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여기서, 상기 보조 보일러는, 상기 열분해장치를 가열한 후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열분해장치를 가열한 후 배출되는 열풍을 회수하여 상기 제1 기준온도로 냉각한 후 상기 열분해장치에 재공급할 수 있다.Here, the auxiliary boil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after heating the pyrolysis device is high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recovers the hot air discharged after heating the pyrolysis device to raise the temperature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fter cooling, it may be re-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이때, 상기 열풍은, 상기 연소로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며 상기 열분해장치로 공급되는 제1 열풍, 상기 연소로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며 상기 보조 보일러에서 냉각된 후 상기 열분해장치로 공급되는 제2 열풍, 상기 열분해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보조 보일러에서 냉각된 후 상기 열분해장치로 공급되는 제3 열풍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t air is gene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and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the first hot air gene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furnace and cooled in the auxiliary boiler and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the second hot air After passing through the pyrolysis device and being cooled in the auxiliary boiler, it may include a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또한, 상기 열분해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온도를 갖는 상기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이 통과하여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기 위한 열을 공급하는 제1 경로, 상기 제1 열풍 중에서 상기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온도 이상의 온도를 갖는 상기 제1 열풍이 통과하며, 상기 폐기물이 투입되는 내부공간에 열을 공급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제1 기준온도 보다 낮은 제3 기준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2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yrolysis device, the first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to third hot air having a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passes through to supply heat for pyrolyzing the waste,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mong the first hot air A method for maintaining the internal space at a third reference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by supplying heat to an inner space through which the first hot air having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is passed and the waste is introduced. It can contain 2 routes.

이에 따라 상기 열분해장치는, 상기 제1 경로를 개폐하며, 상기 제1 경로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경로에 공급되는 상기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이더라도 상기 제1 경로를 폐쇄하는 제1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yrolysis device opens and closes the first path,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ath exceed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o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first path is increased. Even at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 first damper may be provided to close the first path.

그리고, 상기 열분해장치는, 상기 제2 경로를 개폐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가 상기 제3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경로에 공급되는 상기 제1 열풍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이더라도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는 제2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The pyrolysis device opens and closes the second path,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exceeds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ot air supplied to the second pa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Even if it is, i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damper that closes the second path.

또한, 상기 열분해장치는, 상기 제1 기준온도를 갖는 상기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이 통과하며, 상기 제1 경로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경로를 상기 제1 기준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경로에 열을 제공하는 제3 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yrolysis device passes through the first to third hot air having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path to maintain the first path at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ath providing heat to the first path.

그리고, 상기 열분해장치는, 상기 제1 경로 또는 상기 제3 경로의 출구 측과 상기 내부공간을 연결하며, 상기 제1 경로 또는 제3 경로를 통과한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을 상기 내부공간에 공급하는 제4 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pyrolysis device connects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path or the third path and the inner space, and the first to thir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th or the third path are directed to the inner space. A fourth path for supplying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제1 경로 또는 상기 제3 경로를 통과한 상기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은 상기 메인 보일러 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2 경로를 통과한 상기 제1 열풍은 상기 메인 보일러 또는 상기 보조 보일러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th or the third path are discharged to the main boiler or the inner space, and the first hot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th is discharged to the main boiler or It may be discharged to the auxiliary boiler.

한편, 상기 유화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열분해유는 상기 보조 보일러를 통과하며 열교환하고, 상기 메인 보일러를 통과하며 열교환하여 정제시설로 배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pyrolysis oil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may be discharged to a refinery facility by exchanging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boiler and exchanging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main boiler.

이에 따라 상기 보조 보일러를 통과하는 열풍은 상기 보조 보일러를 순환하는 물과 열교환하거나, 상기 열분해유와 열교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boiler may exchange heat with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auxiliary boiler or may exchange heat with the pyrolysis oil.

그리고, 상기 열분해장치는, 상기 연소로와 유화장치 사이에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And, the pyrolysis device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between the combustion furnace and the emulsification devic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에 따르면 열분해장치가 열풍을 공급받아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열분해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aste pyro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yrolysis device receives hot air to pyrolyze the wast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pyrolysis system.

또한, 연소로는 유화 장치에서 배출되는 비응축 가스를 통해 열풍을 생성하여 열분해장치에 공급함에 따라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furnace has an effect of improving efficiency as hot air is generated through non-condensable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device and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또한,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에 따라 열분해장치의 제1 내지 제4 경로에 공급하거나 보조 보일러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to fourth paths of the pyrolysis device or to the auxiliary boil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또한, 유화장치에서 배출된 열분해유가 보조 보일러와 메인 보일러를 통과하면서 보조 보일러와 메인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waste heat generated in the auxiliary boiler and the main boiler can be utilized while the pyrolysis oil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device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boiler and the main boil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에서 열분해장치에 열풍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wast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st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st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upplying hot air to a pyrolysis device in a wast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yro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에서 열분해장치에 열풍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pyrolysis system of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yrolysis system of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diagram of a wast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upplying hot air to a pyrolysis device in a wast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yro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pyrolysis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1)은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의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1)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새로운 장치가 추가되거나 도시된 장치들이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waste pyrolysis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devices. At this time, FIG. 1 illustratively shows the waste pyrolysis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ew devices may be added or shown devices may be omitted.

열분해 시스템(1)은, 열분해유닛(10), 유화장치(20), 연소로(30) 및 폐열 회수 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열분해유닛(10)에는 폐기물이 투입되어 가연성 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 열분해유닛(10)은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화장치(20)에는 열분해유닛(10)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투입될 수 있다. 유화장치(20)는 투입된 가연성 가스 중 응축성 가스로부터 열분해유를 생성하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소로(30)는 유화장치(20)에서 배출되는 비응축 가스를 가열하여 열분해유닛(10)에 열풍을 제공하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폐열 회수 유닛(70)은 열분해유닛(10)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 또는 유화장치(20)에서 발생된 비응축 가스가 완전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유닛은 설명의 편의상 대략적으로 구분 및 명칭된 것으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The pyrolysis system 1 may include a pyrolysis unit 10, an emulsifier 20, a furnace 30 and a waste heat recovery unit 70.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unit 10 and combustible gas may be generated. The pyrolysis unit 10 may include devices for completely burning the generated combustible gas.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unit 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may include devices for generating pyrolysis oil from condensable gas among injected combustible gases. The combustion furnace 30 may include devices for heating non-condensed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ying device 20 and providing hot air to the pyrolysis unit 10 .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70 may include devices for recovering waste heat generated when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unit 10 or the non-condensable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is completely burned. At this time, each unit is roughly classified and nam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merely exempla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시스템(1)에 의해 열분해되는 폐기물(W)은 폐플라스틱, 고형연료(SRF), 해양폐기물, 폐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시스템(1)은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폐기물(W)은 이동수단 등에 의해 야적장에 반입될 수 있다. 폐기물(W)은 열분해 시스템(1)에 투입되기 적합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waste (W) thermally decomposed by the pyrolysis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waste plastic, solid fuel (SRF), marine waste, waste tire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pyrolysis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as a waste plastic recycling system. The waste W may be brought into the yard by means of transportation or the like. The waste (W) may be configured in a size and shape suitable for input into the pyrolysis system (1).

폐기물(W)은 투입 수단(2)을 통해 열분해유닛(10)에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기물(W)은 자동투입장치, 카고크레인, 지브크레인, 천정크레인 등의 투입 수단(2)을 통해 열분해장치(100, 100a)에 투입될 수 있다.Waste (W) may be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unit 10 through the input means (2). For example, the waste W may be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devices 100 and 100a through an input unit 2 such as an automatic input device, a cargo crane, a jib crane, or an overhead crane.

열분해유닛(10)은 폐기물(W)의 열분해가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분해장치(100, 100a) 및 버너로(18)를 포함할 수 있다. 열분해장치(100, 100a)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 열분해장치(100, 100a)는 병렬로 연결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교차 운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열분해장치(100) 및 제2 열분해장치(100a)에 해당하는 2개의 열분해장치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설계에 따라 열분해장치는 3개 또는 다양한 개수 및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ermal decomposition unit 10 may include at least one thermal decomposition device 100 or 100a in which thermal decomposition of waste W is performed and a burner furnace 18 . When a plurality of pyrolysis devices 100 and 100a are provided, each pyrolysis device 100 and 100a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and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as to be operated crosswise. In FIG. 1, two pyrolysis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yrolysis device 100 and the second pyrolysis device 100a are shown, but this is illustrative, and depending on the design, three or various pyrolysis devices may be provided. there is.

열분해장치(100, 100a)에서 폐기물(W)이 열분해되는 과정에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된다. 가연성 가스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을 통해 이동하고, 열분해후 남는 잔여물은 잔여물 배출 수단(4)을 통해 배출된다. 잔여물 배출 수단(4)은 폐기물 이송 장치(17)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폐기물 이송 장치(17)는 에이프런 컨베이어(apron conveyor) 등을 포함한다.Combustible gas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waste W in the thermal decomposition devices 100 and 100a. The combustible gas moves through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and the residue remaining after pyrolysis is discharged through the residue discharge means 4. The residue discharge means 4 is connected to the waste conveying device 17 . For example, the waste conveying device 17 includes an apron conveyor or the like.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은 일 예로 가스 덕트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연성 가스의 이송 경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가스 댐퍼(15, 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은 제1 열분해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가스 댐퍼(15) 및 제2 열분해장치(100a)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가스 댐퍼(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스 댐퍼(15) 및 제2 가스 댐퍼(16)의 개폐가 제어됨에 따라 제1 열분해장치(100) 또는 제2 열분해장치(100a)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으로 유동된다.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may be provided as a gas duct, for example, and may include gas dampers 15 and 16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transfer path of the combustible gas. For example,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includes a first gas damper 15 that selectively blocks the flow of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first pyrolysis unit 100 and a gas generated in the second pyrolysis unit 100a. It may include a second gas damper 16 that selectively blocks the flow of. A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gas damper 15 and the second gas damper 16 is controlled,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first pyrolysis device 100 or the second pyrolysis device 100a is transferred to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 to flow.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은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으로 유동하여 유화장치(20)에 연결될 수 있다.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은 유화장치(20)로 연결되어, 유화장치(20)에 가연성 가스를 공급한다.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flows into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and can be connected to the emulsifier 20 .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is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and supplies combustible gas to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에는 가연성 가스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가스 덕트(21)가 구비된다. 제1 가스 덕트(21)를 개폐 제어하여,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으로 유동되는 가연성 가스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으로 선택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gas duct 21 that selectively blocks the flow of combustible gas.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gas duct 21,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to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can selectively flow into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을 통해 유화장치(20)에 투입된 가연성 가스는 유화장치(20)에서 냉각되면서 적어도 일부가 열분해유로서 응축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유화장치(20)에서 가연성 가스는 열분해유와 열분해유로 응축되지 못한 비응축 가스로 분리된다. 열분해유는 열분해유 이송 라인(7)을 통해 이송될 수 있고, 비응축 가스는 비응축 가스 이송 라인(8)을 통해 연소로(30)로 유동된다.At least a part of the combustible gas introduced into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through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may be condensed as pyrolysis oil while being cooled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 In other words,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the combustible gas is separated into pyrolysis oil and non-condensable gas that is not condensed into pyrolysis oil. The pyrolysis oil can be transferred through the pyrolysis oil transfer line 7, and the non-condensed gas flows into the combustion furnace 30 through the non-condensable gas transfer line 8.

열분해유 이송 라인(7)은 오일 저장 탱크(40)에 연결된다. 열분해유 이송 라인(7)을 통해 이송되는 열분해유는 다양한 과정을 통해 정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장치 및 과정은 예시적인 것으로 유화장치(20)에서 생성되는 열분해유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yrolysis oil transfer line 7 is connected to the oil storage tank 40. The pyrolysis oil transferred through the pyrolysis oil transfer line 7 may be purified and used through various processes. The device and proces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 and the pyrolysis oil produced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can be used in various ways.

열분해유 이송 라인(7)으로 이송되는 열분해유는 오일 저장 탱크(40)에 저장될 수 있다. 오일 저장 탱크(40)에 저장된 열분해유는 정제 가열로(41)로 이송되어 가열된다. 정제 가열로(41)에는 유류, 가스 등 소정의 연료가 투입되거나 전기 등이 인가되어 가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정제탑(43)에서 배출되는 가스 중 일부는 팬(48)을 통해 다시 정제 가열로(41)로 투입될 수 있다. 정제 가열로(41)에서 정제된 열분해유는 정제탑(43)으로 이송되고, 가열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배출가스 정제 장치(42)로 이송된다. 배출가스 정제 장치(42)에서 정제된 가스는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The pyrolysis oil transferred to the pyrolysis oil transfer line 7 may be stored in the oil storage tank 40 . The pyrolysis oil stored in the oil storage tank 40 is transported to the refining heating furnace 41 and heated. A predetermined fuel such as oil or gas may be injected into the refining heating furnace 41 or electricity may be applied to be used for heating. Some of the gas discharged from the purification tower 43 may be introduced back into the purification heating furnace 41 through the fan 48 . The pyrolysis oil purified in the refining heating furnace 41 is transferred to the purification tower 43, and the gas generated in the heating process is transferred to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42. The gas purified in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4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정제탑(43)으로 이송된 열분해유는 다시 정제 가열로(41)로 피드백되어 재가열될 수 있다. 정제탑(43)에서 분별 증류되어 배출되는 가스상의 정제유는 응축기(44, 45)를 통과하여 정제유 저장탱크(46, 47)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응축기(44, 45)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정제유를 응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응축기(44)는 경질유를 생성하도록 운전되고 제2응축기(45)는 중질유를 생성하도록 운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응축기(44)와 연결된 제1정제유 저장탱크(46)는 경질유를 저장하고, 제2응축기(45)와 연결된 제2정제유 저장탱크(47)는 중질유를 저장할 수 있다. 정제유 저장탱크(46, 47)에 저장된 정제유는 필요에 따라 외부의 사용처로 반출될 수 있다.The pyrolysis oil transferred to the refinery tower 43 may be fed back to the refining heating furnace 41 to be reheated. Gaseous refined oil discharged after fractionation in the purification tower 43 may pass through condensers 44 and 45 and be transferred to refined oil storage tanks 46 and 47 . At this time, the condensers 44 and 45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condense different types of refined oil. For example, the first condenser 44 can be operated to produce light oil and the second condenser 45 can be operated to produce heavy oil. Accordingly, the first refined oil storage tank 46 connected to the first condenser 44 stores light oil, and the second refined oil storage tank 47 connected to the second condenser 45 stores heavy oil. Refined oil stored in the refined oil storage tanks 46 and 47 may be taken out to an external place of use as needed.

이때, 각 유로에는 유동을 제어하는 각종 팬(48) 또는 펌프(49)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팬(48) 및 펌프(49)의 위치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설계에 따라 다르게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various fans 48 or pumps 49 for controlling the flow may be installed in each flow path. The positions and numbers of the fans 48 and pumps 49 shown in the drawings are exemplary and may be insta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sign.

비응축 가스 이송 라인(8)에는 유화장치(20)에서 열분해유로 응축되지 못한 비응축 가스가 연소로(30)로 이송된다. 비응축 가스 이송 라인(8)에는 이송로 개폐 제어를 위한 제2 가스 덕트(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비응축 가스의 이송을 위한 팬(29)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스 덕트(22) 및 팬(29)은 가스의 유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위치 및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no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non-condensed gas that has not been condensed into the pyrolysis oil in the emulsifier 20 is transferred to the combustion furnace 30. The no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may include a second gas duct 22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transfer path, and a fan 29 for transferring the non-condensed gas. The second gas duct 22 and the fan 29 are for assisting the flow of gas and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and their location and number are not limited.

폐열 회수 유닛(70)은 버너로(18)와 연결된 연소로(30) 및 버너로(18)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공정수로 회수하여 스팀을 생산하는 메인 보일러(35)를 포함한다. 메인 보일러(35)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분배기(36)로 이송되어 사용될 수 있다. 메인 보일러(35)에서 폐열 회수 후 배출되는 연소 가스는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배출된다.The waste heat recovery unit 70 includes a combustion furnace 30 connected to the burner furnace 18 and a main boiler 35 for producing steam by recovering waste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burner furnace 18 as process water. . Steam generated in the main boiler 35 may be transferred to the steam distributor 36 and used.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after waste heat recovery in the main boiler 35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이송되는 연소 가스는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방지 시설들을 거친 후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은 반건식 반응탑(50)과 연결될 수 있다. 연소 가스는 반건식 반응탑(50)으로 유입되어 소석회 슬러리와 반응한 후, 탱크(51)에 저장된 분말소석회 및 활성탄이 투입되는 백필터(52)로 투입되어 톤백을 형성한다. 반건식 반응탑(50) 및/또는 백필터(52)에서 형성된 톤백은 이동되어 별도로 처리될 수 있다. 이렇게 처리된 연소 가스는 스택(55)을 통해 배기 가스로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택(55)의 전단에는 팬(53) 및 덕트(56) 등의 부재가 적절히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지 시설로서 반건식 반응탑, 백필터 및 스택이 예시적으로 제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지 시설로서 스크러버(scrubber),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SCR), 선택적 무촉매 환원 장치(SNCR), 사이클론(cyclone) 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mbustion gas transport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may be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prevention facilities for removing contaminants. For example,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may be connected to the semi-dry reactor 50 . The combustion gas flows into the semi-dry reaction tower 50, reacts with the slaked lime slurry, and then is introduced into the bag filter 52 into which the powdered slaked lime and activated carbon stored in the tank 51 are introduced to form a tone bag. The tonbag formed in the semi-dry reactor 50 and/or the bag filter 52 may be transferred and treated separately. Combustion gas treated in this way can be discharged as exhaust gas through the stack 55 . To this end, members such as a fan 53 and a duct 56 may be appropriatel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tack 55 . In this embodiment, a semi-dry reactor, a bag filter, and a stack are exemplarily presented as prevention facilities,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scrubber, a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device (SCR), a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device (SNCR), a cyclone, and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s prevention facilities.

연소로(30)는 비응축 가스 이송 라인(8)을 통해 유화장치(20)에서 열분해유로 응축되지 못한 비응축 가스가 연소되며 연소열에 의해 열풍이 생성되고, 연소 반응이 지속될수록 열풍의 온도는 점차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열풍은 열풍 공급 라인(6)을 통해 열분해장치(100, 100a)로 이동할 수 있다.In the combustion furnace 30, the non-condensable gas that is not condensed into the pyrolysis oil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is burned through the non-condensable gas transfer line 8, and hot air is generated by combustion heat, and as the combustion reaction continues,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increases. may increase gradually. Such hot air may move to the pyrolysis devices 100 and 100a through the hot air supply line 6 .

이처럼 연소로(30)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열분해장치(100, 100a)에 열풍을 공급하여 폐기물(W)의 열분해에 필요한 열을 제공할 수 있고, 연소로(30)에서 생성되는 연소열을 열분해장치(100, 100a)에서 재활용함에 따라 열분해장치(100, 100a)에 폐기물(W)의 열분해를 위해 별도로 공급했던 열원을 절약할 수 있다.As such, hot air may be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s 100 and 100a using the combustion heat of the furnace 30 to provide heat necessary for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waste W, and the combustion heat generated in the furnace 30 may be converted into a pyrolysis device. By recycling in (100, 100a), it is possible to save a heat source separately supplied to the thermal decomposition device (100, 100a) for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waste (W).

아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연소로(30)의 연소열을 이용한 열분해장치(100)가 포함된 폐기물(W)의 열분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 a waste pyrolysis system including the pyrolysis device 100 using combustion heat of the combustion furnace 30 will be described.

열분해장치(100)는 연소로(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공급받으며, 열풍으로 폐기물(W)을 가열하여 열분해하고 열분해 과정에서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열분해장치(100)를 순환한 열풍은 메인 보일러(35)로 배출될 수 있다.The pyrolysis device 100 receives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30, heats and pyrolyzes the waste W with the hot air, and generates combustible gas during the pyrolysis process. Also, the hot air circulating through the pyrolysis device 100 may be discharged to the main boiler 35 .

이때, 열분해장치(100)는 열풍이 공급되면 온도가 상승하며 달궈지는 열분해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고, 달궈진 열분해부재(120)에 폐기물(W)이 접촉되며 녹으면서 열분해될 수 있다. 이러한 열분해부재(12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후술한다.At this time, the pyrolysis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pyrolysis member 120 that is heated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when hot air is supplied, and the waste W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heated pyrolysis member 120 and thermally decompose while melting.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below.

메인 보일러(35)는 열분해장치(100)를 순환한 후 배출되는 열풍을 회수하여 스팀분배기(36)로 배출하여 스팀을 생성하거나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반건식 반응탑(50), 백필터(52) 등을 포함하는 대기오염 방지시설로 배출할 수 있다.The main boiler 35 collects the hot air discharged after circulating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discharges it to the steam distributor 36 to generate steam or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to the semi-dry reactor 50, bag It can be discharged to an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including a filter 52 and the like.

유화장치(20)는 열분해장치(100)와 연결되어 열분해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을 통해 가연성 가스가 공급되고, 공급된 가연성 가스 중 응축성 가스를 냉각하여 열분해유를 생성하며 열분해유로 응축되지 못한 비응축 가스는 비응축 가스 이송 라인(8)으로 배출된다.The emulsification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thermal decomposition device 100,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thermal decomposition device 100 is supplied through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and the condensable gas among the supplied combustible gases is cooled The pyrolysis oil is generated, and the non-condensed gas that is not condensed into the pyrolysis oil is discharged to the non-condensable gas transfer line (8).

연소로(30)는 공급되는 비응축 가스를 연소시켜 열풍을 생성하고 열풍을 열분해장치(100)에 공급함에 따라 연소열을 활용할 수 있다. 단, 연소로(30)와 유화장치(20) 사이에 열분해장치(100)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열분해장치(100)와 연결되는 열풍 공급 라인(6)에 댐퍼가 설치되며 각각의 댐퍼를 제어하여 열풍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The furnace 30 burns the supplied non-condensable gas to generate hot air and supplies the hot air to the pyrolysis device 100 to utilize combustion heat. However, when a plurality of pyrolysis devices 100 are provided between the combustion furnace 30 and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a damper is installed on the hot air supply line 6 connected to each pyrolysis device 100, and each damp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hot air by controlling.

이러한 연소로(30)는 초기 구동시 열분해장치(100)에서 가연성 가스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연료 공급이 필요하며, 투입되는 연료를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다가 열분해장치(100)의 구동이 진행되면서 비응축 가스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비응축 가스를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할 수 있다. Since the combustible gas is not discharged from the pyrolysis device 100 during initial operation of the combustion furnace 30, a separate fuel supply is required, and hot air is generated using the input fuel, and then the pyrolysis device 100 is driven When the non-condensable gas is supplied, hot air may be generated using the supplied non-condensable gas.

이때, 열분해장치(100)는 열분해가 잘 이루어지는 최적의 온도환경이 중요한 반면, 연소로(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최적의 열분해온도 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특히, 연소로(30)는 비응축 가스가 공급되면서 열풍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소로(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최적의 열분해온도 보다 클 경우 열풍은 추가로 설치되는 보조 보일러(60)를 통해 최적의 열분해온도로 냉각된 후 열분해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ermal decomposition device 100, while the optimum temperature environment in which the thermal decomposition is well performed is important,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30 may be higher or lower than the optimal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In particular,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may rapidly rise while non-condensing gas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furnace 30,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urnace 30 is greater than the optimal pyrolysis temperature, the hot air is additionally installed as an auxiliary. After being cooled to an optimal pyrolysis temperature through the boiler 60, it may be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보일러(60)는 연소로(30)와 열분해장치(100) 사이에 설치되며 연소로(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일부가 공급되며 열풍을 냉각하여 열분해장치(100)에 공급한다.Referring to FIG. 3, the auxiliary boiler 60 is installed between the combustion furnace 30 and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a part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urnace 30 is supplied and cools the hot air to form the pyrolysis device 100. supply to

이에 따른 열풍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초기 구동시 연소로(30)는 연료를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고 연소로(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에 연소로(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열분해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hot ai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is, when the combustion furnace 30 generates hot air using fuel during initial opera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30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combustion furnace ( The hot air discharged from 30) may be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그리고, 열분해장치(100)에서 열분해가 이루어지며 가연성 가스가 유화장치(20)에서 냉각되어 비응축 가스가 배출되면, 연소로(30)는 비응축 가스가 공급되며 생성되는 열풍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며, 연소로(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경우에 연소로(30)는 열풍을 보조 보일러(60)에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mal decomposition is performed in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the combustible gas is cooled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20 and the non-condensable gas is discharged, the non-condensable gas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furnace 30 and the temperature of the generated hot air rises rapidly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urnace 30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furnace 30 may discharge the hot air to the auxiliary boiler 60.

보조 보일러(60)는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열풍을 제1 기준온도로 냉각한 후 열분해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다.The auxiliary boiler 60 may supply hot air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o the pyrolysis device 100 after cooling it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이때,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온도는 일예로, 400℃ 이상 500℃ 이하일 수 있으며 최적의 열분해온도를 의미한다. 제1 기준온도의 열풍을 공급하는 이유는 후술할 열분해부재(120)를 제1 기준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열분해부재(120)가 제1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 폐기물(W)의 열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열분해부재(120)가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경우 불필요한 연소가 발생하며 최적의 열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열분해부재(120)를 제1 기준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제1 기준온도의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400° C. or more and 500° C. or less, and means an optimal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The reason for supplying the hot air at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s to heat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unnecessary combustion occurs and optimal thermal decomposition is not achieved. Therefore, hot air of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s supplied to heat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t is desirable to do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보일러(60)는 열분해장치(100)를 가열한 후 배출되는 열풍을 회수하여 냉각한 후 열풍을 열분해장치(100)에 재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 the auxiliary boiler 60 may recover hot air discharged after heating the pyrolysis device 100 , cool it, and re-supply the hot air to the pyrolysis device 100 .

즉, 연소로(30)에서 발생되는 제1 기준온도의 열풍과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열풍이 열분해장치(100)로 공급되는데,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열풍은 열분해장치(100)를 가열한 후 보조 보일러(60)로 회수되어 제1 기준온도로 냉각되며 열분해장치(100)로 재공급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열풍은 열분해장치(100)의 열분해가 이루어지는 부분을 통과하지 않고 열분해장치(100)에서 폐기물(W)이 적재된 내부공간(111)의 주변부를 통과하면서 내부공간(111)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That is, hot air having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furnace 30 and hot air having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re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the hot air having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heats the pyrolysis device 100. After that, it is recovered to the auxiliary boiler 60, cooled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may be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again. More precisely, the hot air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does not pass through the part of the pyrolysis device 100 where thermal decomposition takes place, but passes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inner space 111 in which the waste W is loaded in the pyrolysis device 100, while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The temperature of (111)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이에 따라, 열분해장치(100)로 공급되는 열풍은 연소로(30)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며 열분해장치(100)로 공급되는 제1 열풍과, 연소로(30)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며 보조 보일러(60)에서 냉각된 후 열분해장치(100)로 공급되는 제2 열풍과, 열분해장치(100)를 통과하여 보조 보일러(60)에서 냉각된 후 열분해장치(100)로 공급되는 제3 열풍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ot air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is gene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30, and the first hot air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the hot air gene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furnace 30 are gene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boiler 60 ) After cooling in, the second hot air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the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after passing through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cooling in the auxiliary boiler 60 may be included. there is.

그리고, 열분해장치(100)에 공급되는 제1 내지 제3 열풍은 온도에 따라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각각의 용도에 맞게 사용되도록 열분해장치(100)는 복수의 경로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ar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according to temperatures, and the pyrolysis device 100 may have a plurality of paths to be used for each purpose.

도 5를 참조하면, 열분해장치(100)는 제1 내지 제4 경로(L4)를 구비하고, 제1 내지 제4 경로(L4)의 입구에는 각각의 경로를 개폐하는 제1 내지 제4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yrolysis device 100 includes first to fourth paths L4, and first to fourth dampers opening and closing the respective paths are provided at the inlets of the first to fourth paths L4. can be installed

제1 경로(L1)는 열분해장치(100) 내에 마련되고,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 중에서 제1 기준온도를 갖는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이 통과하여, 폐기물(W)을 열분해하기 위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경로(L1)를 통과하는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은 제1 경로(L1)를 형성하는 열분해부재(120)가 제1 기준온도에 이르도록 열분해부재(120)에 열을 공급하며, 열분해부재(120)는 가열되어 열분해부재(120)와 접촉되는 폐기물(W)을 녹이면서 열분해시킬 수 있다. The first path (L1) is provided in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the first to third hot air having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mong the first to third hot air pass therethrough, thereby generating heat for pyrolyzing the waste (W). can supply That is, the first to thir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th L1 supplies heat to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so that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forming the first path L1 reache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can be heated and thermally decomposed while melting the waste (W) in contact with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이처럼 제1 경로(L1)를 통과하는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은 폐기물(W)에 간접적으로 열을 공급한다.As such, the first to thir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th (L1) indirectly supplies heat to the waste (W).

이러한 제1 경로(L1)는 입구 측이 연소로(30) 또는 보조 보일러(60)와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 열풍이 공급되고, 제1 경로(L1)를 통과한 제1 내지 제3 열풍의 온도는 제1 기준온도 미만으로 낮아지므로 제1 경로(L1)의 출구 측은 메인 보일러(35)와 연결되거나 후술할 제4 경로(L4)와 연결되어 내부공간(111)에 배출될 수 있다.The inlet side of the first path L1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furnace 30 or the auxiliary boiler 60 to supply the first to third hot air, and the first to thir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th L1. Since the temperature of is lowered to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path (L1) is connected to the main boiler 35 or connected to the fourth path (L4) to be described later to be discharged to the inner space 111.

제2 경로(L2)는 열분해장치(100) 내에 마련되고, 제1 열풍 중에서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온도 이상의 온도를 갖는 제1 열풍이 통과하여, 폐기물(W)이 투입되는 열분해장치(100)의 내부공간(111)을 데우기 위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2 경로(L2)를 통과하는 제1 열풍은 제2 경로(L2)를 형성하는 후술할 자켓부(140)에 열을 공급하고, 자켓부(140)는 가열되어 내부공간(111)이 제1 기준온도 보다 낮은 제3 기준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111)에 열을 제공한다.The second path L2 is provided in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the first hot air having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mong the first hot air passes through the pyrolysis device into which the waste W is introduced. Heat for warming the inner space 111 of (100) can be supplied. That is, the first hot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th (L2) supplies heat to the jacket portion 140 to be described later forming the second path (L2), and the jacket portion 140 is heated to form an inner space (111). Heat is provided to the inner space 111 so as to maintain a third reference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이처럼 제2 경로(L2)를 통과하는 제1 열풍은 내부공간(111)에 간접적으로 열을 공급한다.As such, the first hot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th L2 indirectly supplies heat to the inner space 111 .

여기서, 제2 기준온도는 900℃ 이상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일예로, 900℃ 이상의 열풍이 제2 경로(L2)를 통과하면 대략 750℃의 열풍으로 배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 기준온도는 대략 350℃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경로(L2)가 열분해장치(100)의 내부공간(111)을 제3 기준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열을 제공하는 것은 열분해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열분해장치(1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내부공간(111)에 투입된 폐기물(W)이 열분해되기 전에 미리 예열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Here,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may mean a temperature of 900 ° C or higher, and for example, when hot air of 900 ° C or higher passes through the second path (L2), it may be discharged as approximately 750 ° C hot a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In addition,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may mean approximately 35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path L2 heats the internal space 111 of the pyrolysis device 100 to maintain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he provision of is to prevent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device 100 from being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to preheat the waste (W)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11 before it is pyrolyzed. also provide

그리고, 제2 열풍과 제3 열풍은 보조 보일러(60)에서 제1 기준온도로 냉각된 후 배출되므로 제1 경로(L1)를 통과하며, 제2 열풍과 제3 열풍이 제2 기준온도 이상의 온도를 갖는 경우 제2 경로(L2)를 통과할 수도 있다.And, since the second hot air and the third hot air are discharged after cooling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n the auxiliary boiler 60, they pass through the first path (L1), and the second hot air and the third hot air have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When it has, it may pass through the second path (L2).

이러한 제2 경로(L2)는 입구 측이 연소로(30) 또는 보조 보일러(60)와 연결되어 제1 열풍이 공급되고, 제2 경로(L2)를 통과한 제1 열풍은 제1 기준온도 보다 높고 제2 기준온도 보다 낮아지므로 제2 경로(L2)의 출구 측은 제1 열풍의 열을 재사용 하기 위해 보조 보일러(60)와 연결되거나 메인 보일러(35)와 연결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경로(L2)의 출구 측이 보조 보일러(60)와 연결되어 냉각된 후 열분해장치(100)의 제1경로 또는 제3 경로(L3)로 재공급되는 열풍은 제3 열풍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let side of the second path L2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furnace 30 or the auxiliary boiler 60 to supply the first hot air, and the first hot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th L2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Since it is high and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he outlet side of the second path L2 may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boiler 60 or connected to the main boiler 35 to reuse the heat of the first hot air and discharged. At this time, after the outlet side of the second path (L2)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boiler 60 and cooled, the hot air re-supplied to the first path or the third path (L3) of the pyrolysis device 100 is classified as a third hot air. it is desirable to be

또한, 제1 경로(L1)와 제2 경로(L2)는 각각을 개폐하는 제1 댐퍼와 제2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th L1 and the second path L2 may include a first damper and a second damper that open and close, respectively.

제1 댐퍼는 열분해장치(100)에 공급되는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일 경우 제1 경로(L1)를 개방하고 제1 기준온도가 아닐 경우 제1 경로(L1)를 폐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The first damper opens the first path (L1)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o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i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opens the first path (L1) when the temperature is not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can act to close the

단, 제1 댐퍼는 제1 경로(L1)의 온도, 즉, 열분해부재(120)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 경로(L1)에 공급되는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이더라도 제1 경로(L1)를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댐퍼는 열분해부재(120)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에 도달하도록 제어되며, 이를 위해 제1 기준온도인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이 공급될 경우에 제1 경로(L1)를 개방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ath (L1),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exceed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first damper controls the first to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first path (L1).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o close the first path L1 even if the temperature i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at is, the first damper is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reache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for this purpose, when the first to third hot air at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re supplied, the first path (L1) can be opened

제2 댐퍼는 열분해장치(100)에 공급되는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의 온도를 갖는 경우 제2 경로(L2)를 개방하고 제2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 제2 경로(L2)를 폐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The second damper opens the second path (L2)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o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has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and opens the second path (L2)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L2) can act to close.

단, 제2 댐퍼는 내부공간(111)의 온도가 제3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2 경로(L2)에 공급되는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 이상의 온도를 갖더라도 제2 경로(L2)를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111 exceeds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he second damper has a temperature of the first to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second path L2 even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o close the second path (L2).

제3 경로(L3)는 열분해장치(100) 내에서 제1 경로(L1)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 중에서 제1 기준온도를 갖는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이 통과하여, 제1 경로(L1)를 제1 기준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3 경로(L3)를 통과하는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은 제3 경로(L3)를 형성하는 후술할 호퍼(150)를 가열하고 가열된 호퍼(150)가 열분해부재(120)에 열을 전달함에 따라 열분해부재(120)가 제1 기준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간접적으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The third path (L3)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path (L1) in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the first to third hot air having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mong the first to third hot air passes through , it is possible to provide heat for maintaining the first path (L1) at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at is, the first to thir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path (L3) heats the hopper 150 to be described later forming the third path (L3), and the heated hopper 150 is attached to the pyrolysis member 120. As heat is transferred, heat may be provided indirectly so that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may maintai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이러한 제3 경로(L3)는 제3 댐퍼를 구비하여 개폐되며, 제3 댐퍼는 제3 경로(L3)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제3 경로(L3)에 공급되는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일 경우 제3 경로(L3)를 개방하고,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미만이거나 제1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3 경로(L3)를 폐쇄할 수 있다.This third path (L3) is opened and closed with a third damper, and the third damper is provided at the inlet side of the third path (L3) to control the first to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third path (L3). When the temperature i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third path (L3) is opened,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o third hot air is less than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third path (L3) is closed. can do.

또한, 제3 경로(L3)는 입구 측이 연소로(30) 또는 보조 보일러(60)와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 열풍이 공급되고, 출구 측이 제1 경로(L1)의 출구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경로(L3)를 통과한 제1 내지 제3 열풍은 제1 경로(L1)를 통과한 제1 내지 제3 열풍과 함께 메인 보일러(35)로 배출되거나 제4 경로(L4)를 통해 내부공간(111)으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path L3 has an inlet side connected to the furnace 30 or the auxiliary boiler 60 to supply first to third hot air, and an outlet side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path L1. can 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path (L3) is discharged to the main boiler 35 together with the first to thir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th (L1) or through the fourth path (L4). It can be discharged to the inner space 111 through.

제4 경로(L4)는 열분해장치(100) 내에서 제1 경로(L1) 또는 제3 경로(L3)의 출구 측과 내부공간(111)을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제1 경로(L1) 또는 제3 경로(L3)를 통과한 제1 내지 제3 열풍을 내부공간(111)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4 경로(L4)는 제1 내지 제3 열풍을 내부공간(111)에 배출함에 따라 폐기물(W)에 제1 내지 제3 열풍의 열을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fourth path L4 is provided to connect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path L1 or the third path L3 and the inner space 111 in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the first path L1 or the third path L3 is provided. The first to thir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three paths L3 may be supplied to the inner space 111 . At this time, the fourth path (L4) may directly provide the heat of the first to third hot air to the waste (W) as the first to third hot air is discharged to the inner space (111).

이러한 제4 경로(L4)는 제4 댐퍼를 구비하여 개폐되며, 제4 댐퍼는 제4 경로(L4)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제4 경로(L4)에 공급되는 제1 내지 제3 열풍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에 제4 경로(L4)를 개방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열풍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이거나 내부공간(111)의 온도가 제3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4 경로(L4)를 폐쇄할 수 있다.The fourth path (L4) is opened and closed with a fourth damper, and the fourth damper is provided on the inlet side of the fourth path (L4)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o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fourth path (L4) When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fourth path (L4) can be open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o third hot air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or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111 exceeds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In this case, the fourth path L4 may be closed.

또한, 초기 구동시에는 연소로(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제1 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제1 경로(L1)에 배출되었으나, 열분해부재(120)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에 도달한 이후부터는 연소로(30)에서 배출되는 열풍 중에서 제1 기준온도 미만인 열풍은 제2 경로(L2)를 통해 열분해장치(100)를 바이패스하며, 즉, 열분해부재(120)를 통과하지 않으며 메인 보일러(35)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소로(30)에서 메인 보일러(35)를 연결하는 덕트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으며 열분해 시스템의 덕트 연결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30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during the initial driving, it is discharged to the first path L1, but after the temperature of the pyrolysis member 120 reache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combustion begins. Amo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urnace 30, the hot air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bypasses the pyrolysis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path L2, that is, does not pass through the pyrolysis member 120 and the main boiler 35 can be emitted as Accordingly, a duct connecting the main boiler 35 from the combustion furnace 30 is not additionally installed, and the duc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yrolysis system can be simplified.

그리고, 연소로(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열분해장치(100)로 공급되지만, 연소로(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제1 기준온도를 초과하며 제2 기준온도 미만의 온도를 갖는 경우 이 열풍은 열분해장치(100)를 통과하지 않고 보조 보일러(60)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조 보일러(60)에서 제1 기준온도로 냉각된 후 제1 경로(L1) 또는 제3 경로(L3)에 공급될 수 있으며 제2 열풍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30 is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100, but when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30 exceed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has a temperature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he hot air It is preferable to supply the silver to the auxiliary boiler 6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yrolysis device 100, and after being cooled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in the auxiliary boiler 60, in the first path L1 or the third path L3 It can be supplied and can be classified as a second hot air.

한편, 보조 보일러(60)와 메인 보일러(35)는 통과하는 열풍을 냉각하며 열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열을 활용하기 위해 열분해유가 공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boiler 60 and the main boiler 35 can obtain heat by cooling the passing hot air, and pyrolysis oil can be supplied to utilize this heat.

유화장치(20)에서 생성된 열분해유는 보조 보일러(60)를 통과하며 열교환하고, 메인 보일러(35)를 통과하며 열교환하여 정제 가열로(41) 또는 정제탑(43) 등의 정제시설로 배출될 수 있으며 보조 보일러(60)와 메인 보일러(35)를 통과하면서 가열됨에 따라 열분해유 가열을 위해 제공하던 열원을 절약할 수 있다.The pyrolysis oil generated in the emulsifier 20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boiler 60 for heat exchange, passes through the main boiler 35 for heat exchange, and is discharged to a refinery facility such as a refinery heating furnace 41 or a refinery tower 43. It can be, and as it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boiler 60 and the main boiler 35, it is possible to save the heat source provided for heating the pyrolysis oil.

그리고, 보조 보일러(60)를 통과하는 열풍은 보조 보일러(60)를 순환하는 물과 열교환하거나, 열분해유와 열교환하여 열풍을 냉각하며 얻은 열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boiler 60 may utilize heat obtained by cooling the hot air by exchanging heat with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auxiliary boiler 60 or by exchanging heat with pyrolysis oil.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각의 경로와 열분해장치(100), 유화장치(20), 연소로(30), 메인 보일러(35), 보조 보일러(60) 사이에는 열풍의 흐름을 제어하는 추가 댐퍼와 각종 팬 또는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dditional damper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hot air and various A fan or pump may be installed.

아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장치(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yrolysis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열분해장치(100)는 폐기물(W)이 투입되며 폐기물(W)의 열분해시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는 내부공간(111)을 형성하는 열분해실(1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al decomposi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forming an internal space 111 in which waste W is input and which provides an airtight space during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waste W.

열분해실(110)은 밀폐된 상태의 내부공간(111)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열분해실(110)의 상측에 가연성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열분해실(110)은 상측에 내부공간(111)에 폐기물(W)을 투입하기 위한 상부도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상측에 내부공간(111)의 압력상승시 폭발방지를 위한 방폭구(11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열분해실(110)의 하측에는 열분해시 생성되는 잔여물을 배출하기 위해 잔여물 배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n internal space 111 in a sealed state is formed, and an exhaust pipe (not shown) for discharging combustible ga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In addition,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door (not shown) for injecting the waste W into the inner space 111 on the upper side, and to prevent explosion when the pressure of the inner space 111 rises on the upper side. An explosion-proof opening 112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a residue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to discharge residues generated during thermal decomposition.

배기관은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부도어는 열분해실(110)에 폐기물(W)을 투입하기 위해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하며 일예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절첩식 도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 상부도어는 투입구와의 사이에 밀봉부재가 구비되어 열분해실(110)의 내부공간(111)을 밀폐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The exhaust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and the upper door opens and closes an inlet formed to input the waste W into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For example, it may be a folding door using a hydraulic cylinder, and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However, the upper door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between the inlet and the inner space 111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in a sealed state.

또한, 열분해실(110)은 하측에 배치되어 폐기물(W)이 적층되며 폐기물(W)의 하단이 접촉되고, 열풍이 공급되어 온도가 상승하면 접촉된 폐기물(W)의 하단을 녹여 열분해시키는 열분해부재(12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waste (W) is stacked, the lower end of the waste (W) is in contact, 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s hot air is supplied, the lower end of the contacted waste (W) is melted and thermally decomposed. A member 120 may be provided.

열분해부재(120)는 열분해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폐기물(W)이 접촉되며 열분해부재(120)가 열풍으로 인해 달궈지면 접촉된 폐기물(W)이 녹으면서 열분해되어 가연성 가스가 발생되며 내부공간(111)을 통과하여 배기관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열분해 후 남는 잔여물은 하측으로 떨어질 수 있다.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is installed inside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to contact the waste W, and when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is heated by hot air, the contact waste W is melted and thermally decomposed to generate flammable gas. It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111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And the residue remaining after pyrolysis may fall to the lower side.

이처럼 열분해부재(120)가 접촉된 폐기물(W)을 녹이면서 열분해시키기 위해서는 최적의 열분해온도인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온도에 도달해야 하며, 열분해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열분해장치(1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공간(111)은 제3 기준온도를 유지해야 한다.In order to pyrolyze while melting the contacted waste (W) with the pyrolysis member 120, it is necessary to reach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which is the optimal pyrolysis temperature, and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during pyrolysis passes through the pyrolysis device 100. In order to prevent cooling, the internal space 111 must maintain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이에 따라 열분해장치(100)는 열풍이 공급되면 열분해부재(120)를 제1 기준온도로 유지시키는 제1 가열수단과 열분해실(110)을 감싸도로 구비되며 열풍이 공급되면 내부공간(111)을 제3 기준온도로 유지시키는 제2 가열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hermal decomposition device 10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and a first heat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at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when hot air is supplied, and when hot air is supplied, the internal space 111 A second heat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provided.

제1 가열수단은 열분해부재(120)일 수 있으며, 열분해부재(120)에 포함되는 프레임부(121)일 수 있고, 내부에 제1 경로(L1)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heating unit may be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may be the frame portion 121 included in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and may have a first path L1 therein.

제2 가열수단은 내부에 구비된 제2 경로(L2)로 열풍이 공급되면 온도가 상승하는 자켓부(140)이거나, 제4 경로(L4)를 형성하여 내부공간(111)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관(160)일 수 있다.The second heating means is a jacket unit 140 whose temperature rises when hot air is supplied to the second path L2 provided therein, or a fourth path L4 to supply hot air to the inner space 111. It may be a hot air supply pipe 160 .

그리고, 열분해부재(120)가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분해부재(120)에 열을 제공하는 호퍼(150)가 제3 가열수단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Also, a hopper 150 providing heat to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so that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can maintain a uniform temperature may be provided as a third heating means.

열분해부재(120)는 내부공간(111)의 상하방향을 가로막도록 배치되며, 즉, 수평하게 배치되어 적층된 폐기물(W)을 받치도록 구비되되 배출공(130)이 형성되어 폐기물(W)은 열분해부재(120)의 상측에 안착되고 열분해시 발생되는 잔여물은 배출공(130)을 통과하여 열분해부재(120)의 하측으로 떨어지도록 구비된다.The pyrolysis member 120 is disposed to intercept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111, that is, is disposed horizontally and is provided to support the stacked waste (W), but the discharge hole 130 is formed so that the waste (W) Residue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and generated during thermal decomposition pass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0 and are provided to fall to the lower sid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

이러한 열분해부재(120)는 폐기물(W)이 적층되어 적층된 폐기물(W)을 받치는 프레임부(121)와, 폐기물(W)의 열분해시 발생되는 잔여물이 프레임부(121)를 통과하여 열분해부재(120)의 하측에 퇴적하도록 프레임부(121)에 형성된 배출공(130)을 구비할 수 있다.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includes a frame portion 121 in which wastes W are stacked to support the stacked wastes W, and residues generated during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waste W pass through the frame portion 121 for thermal decomposition. A discharge hole 130 formed in the frame portion 121 may be provided so as to be deposi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ember 120 .

이러한 프레임부(121)는 내부에 열풍이 유입되어 순환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관(124)을 통해 열풍이 유입되고 배출관(125)을 통해 열풍이 배출되며 일예로, 유입관(124)과 배출관(125) 사이에 한쌍의 분배관(122)과 복수 개의 연결관(123)이 구비될 수 있다. The frame unit 121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so that hot air is introduced and circulated therein, hot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124 and hot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5, and for example, the inlet pipe ( 124) and the discharge pipe 125, a pair of distribution pipes 122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123 may be provided.

단, 도면에는 프레임부(121)가 유입관(124)과 배출관(125) 사이에 구비되는 한쌍의 분배관(122)과 복수 개의 연결관(123)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유입관(124)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프레임부(121)를 효과적으로 가열하고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 것이며, 유입관(124)과 배출관(125) 사이에 복수 개의 연결관(123)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프레임부(121)는 유입관(124)과 배출관(125)이 연결되며 내부공간(111)을 가로막으면서 배출공(130)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However,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e frame unit 121 has a pair of distribution pipes 122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123 provided between the inlet pipe 124 and the discharge pipe 125, this is an inlet pipe ( 124)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hot air supplied through the frame unit 121 can be effectively heated and discharged, and only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12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let pipe 124 and the outlet pipe 125.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frame part 121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inlet pipe 124 and the outlet pipe 125 are connected and the outlet hole 130 can be provided while blocking the inner space 111 .

유입관(124)은 열분해실(110)을 관통하여 열풍 공급 라인(6)과 연결될 수 있으며 배출관(125)은 열분해실(110)을 관통하여 메인 보일러(35)와 연결될 수 있다.The inlet pipe 124 may pass through the pyrolysis chamber 110 and be connected to the hot air supply line 6 , and the discharge pipe 125 may pass through the pyrolysis chamber 110 and be connected to the main boiler 35 .

또한, 프레임부(121)의 내부와 내부공간(111)은 독립적인 공간으로 서로 연통되지 않으며, 후술할 열풍 공급관(160)을 통해 프레임부(121)를 순환한 열풍이 내부공간(111)에 제공될 수는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frame part 121 and the inner space 111 are independent spaces and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hot air circulating through the frame part 121 through the hot air supply pipe 160 to be described later enters the inner space 111. may be provided.

한쌍의 분배관(122)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각각에 유입관(124)과 배출관(125)이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연결관(123)은 한쌍의 분배관(122)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이격되며 이격된 공간에 배출공(130)을 형성할 수 있다.A pair of distribution pipes 122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and an inlet pipe 124 and an outlet pipe 125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123 connect between the pair of distribution pipes 122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t is possible to form a discharge hole 130 in the spaced apart.

이처럼 분배관(122)은 유입관(124)에서 복수 개의 연결관(123)으로 열풍을 분배하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연결관(123)을 통과한 열풍을 배출관(125)으로 유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uch, the distribution pipe 122 is formed to distribute hot air from the inlet pipe 124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123 and may be formed to guide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123 to the discharge pipe 125. .

특히, 한쌍의 분배관(122)은 각각 열분해실(110)의 내측에 밀착되는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분해실(110)의 내측에 밀착되는 부분에 유입관(124)과 배출관(125)이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반대측에 복수 개의 연결관(123)이 연결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air of distribution pipes 122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hat closely adheres to the insid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and the inlet pipe 124 and the discharge pipe 125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 can be connected and a plurality of connectors 123 can be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복수 개의 연결관(123)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의 봉형상으로 마련되어 양단이 한쌍의 분배관(122)과 연결되며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123 are provided in the shape of hollow rod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distribution pipes 122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복수 개의 연결관(123)은 열풍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두께와 직경으로 형성되며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출공(130)은 열분해후 남는 잔여물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폐기물(W)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123 are preferably formed so that hot air can be uniformly supplied, and may be formed with the same thickness and diameter and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t this time, the discharge hole 130 is formed to pass the residue remaining after pyrolysis, and is preferably formed to prevent the passage of the waste (W).

이에 따라 유입관(124)의 내부, 한쌍의 분배관(122)의 내부, 복수 개의 연결관(123)의 내부, 배출관(125)의 내부가 연결되어 제1 경로(L1)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side of the inlet pipe 124, the inside of the pair of distribution pipes 122,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123, and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125 are connected to form the first path L1. .

또한, 열분해부재(120)는 열분해실(110)의 하단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열분해후 남는 잔여물이 하단에 퇴적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외측 하부에 설치되는 호퍼(150)의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yrolysis member 12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pyrolysis chamber 110 to secure a space in which residues left after pyrolysis can be deposited at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50 installed on the outer lower part. It is installed so that heat can be transferred.

그리고 열분해부재(120)의 하측에 마련되는 잔여물 배출부는 호퍼(150), 하부도어(170), 및 스크래퍼(180)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residue discharge unit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yrolysis member 120 may include a hopper 150, a lower door 170, and a scraper 180.

호퍼(150)는 일예로 열분해실(110)의 하단의 둘레와 대응되는 둘레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열분해실(1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열분해실(110)에서 배출되는 잔여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The hopper 15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pyrolysis chamber 110, for example, and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pyrolysis chamber 110 to accommodate the residue discharged from the pyrolysis chamber 110. A space may be provided.

이러한 호퍼(150)는 호퍼 유입관(151)이 연결되어 내측으로 열풍이 공급될 수 있으며, 호퍼(150)와 프레임부(121)의 배출관(125)을 연결하는 호퍼 배출관(152)이 구비되어 호퍼(150)를 통과한 열풍이 메인 보일러(35)로 배출되거나 내부공간(111)으로 배출될 수 있다.In the hopper 150, the hopper inlet pipe 151 is connected so that hot air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and the hopper discharge pipe 152 connecting the hopper 150 and the discharge pipe 125 of the frame unit 121 is provided. Hot air passing through the hopper 150 may be discharged to the main boiler 35 or discharged to the inner space 111 .

또한, 호퍼 배출관(152)이 프레임부(121)의 배출관(125)에 연결되어 내부공간(111)으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pper discharge pipe 152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25 of the frame unit 121 to be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111 .

그리고, 호퍼 유입관(151)의 내부, 호퍼(150)의 내부, 호퍼 배출관(152)의 내부가 연결되어 제3 경로(L3)를 형성할 수 있다.Also, the inside of the hopper inlet pipe 151, the inside of the hopper 150, and the inside of the hopper discharge pipe 152 may be connected to form a third path L3.

하부도어(170)는 열분해실(110)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내부공간(111)을 개방하거나 밀봉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lower door 170 may be installed in an opening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to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inner space 111 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이러한 하부도어(170)와 개구부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열분해실(110)에서 열분해가 완료된 후 열분해장치(100)가 구동하지 않을 때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door 170 and the opening, and is preferably opened when the thermal decomposition device 100 is not operated after thermal decomposition is completed in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

스크래퍼(180)는 열분해실(110)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석식 스크래퍼(180)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래퍼(180)는 열분해실(110)의 하단을 사이에 두고 외측에 구비된 자석(미도시)과 자력으로 밀착되고, 하부도어(170)의 개방시 자석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열분해실(110)의 하단에 퇴적된 잔여물을 스크래핑하여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The scraper 180 may be provided as a magnetic scraper 180 to improve the airtight performanc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 The scraper 180 is magnetically attached to a magnet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side with the lower end of the pyrolysis chamber 11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when the lower door 170 is opened, the scraper 180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according to the magnet and pyrolyzes The residue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seal 110 can be scraped off and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예로, 스크래퍼(18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이 열분해실(110)의 내측면과 접촉되거나 내측면과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열분해실(110)의 내경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가운데에 열분해실(110)의 가운데와 일치하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하단을 사이에 두고 열분해실(110)의 외측에 구비된 자석을 따라서 이동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단에 퇴적된 잔여물을 스크래핑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an example, the scraper 180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yrolysis chamber 110 so that both ends are in contact with or disposed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yrolysis chamber 110. It may be formed, and a rotation axis coincident with the center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is provided in the center to move along the magne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with the lower end in between, but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and deposits on the lower end. The leftovers can be scraped off.

그리고, 열분해실(110)과 열분해부재(120)는 1200℃ 이상의 고온을 버틸 수 있도록 내열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and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are preferably formed of heat-resistant steel so as to withstand a high temperature of 1200° C. or hig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열분해실(110)은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가스순환공간(141)을 형성하는 자켓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may include a jacket portion 140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to form a gas circulation space 141 .

자켓부(140)는 열분해실(110)의 외측과의 사이에 가스순환공간(141)을 두고 열분해실(11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가스순환공간(141)으로 열풍이 공급되는 자켓 유입관(142)과 가스순환공간(141)을 순환한 열풍을 배출하는 자켓 배출관(143)을 구비할 수 있다.The jacket part 140 is formed to surround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with a gas circulation space 141 between the outsid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and a jacket to which hot air is supplied to the gas circulation space 141 on one side. A jacket discharge pipe 143 for discharging hot air circulated through the inlet pipe 142 and the gas circulation space 141 may be provided.

가스순환공간(141)은 밀폐된 상태로 제공되며 열분해실(1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내측으로 열풍이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하면 내부공간(111)에 열을 가할 수 있다.The gas circulation space 141 is provided in a sealed state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so that heat can be applied to the internal space 111 when the temperature rises while hot air passes inward.

자켓 유입관(142)은 열풍 공급 라인(6)과 연결되고 열분해실(110)의 하측에 설치되되 유입관(124)이 설치된 위치에서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자켓 배출관(143)은 메인 보일러(35)와 연결되거나 보조 보일러(60)와 연결되고 자켓 유입관(142)이 설치된 위치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분해실(1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The jacket inlet pipe 142 is connected to the hot air supply line 6 and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but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upper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location where the inlet pipe 124 is installed, and the jacket discharge pipe 143 is connected to the main boiler 35 or connected to the auxiliary boiler 60,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jacket inlet pipe 142 is installed, and may be installed above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그리고, 자켓 유입관(142)의 내부, 가스순환공간(141), 자켓 배출관(143)의 내부가 연결되어 제2 경로(L2)를 형성할 수 있다.Also, the inside of the jacket inlet pipe 142, the gas circulation space 141, and the inside of the jacket discharge pipe 143 may be connected to form a second path L2.

이러한 자켓부(140)는 캐스터블 등의 내화재료로 구성되거나, 내측면에 캐스터블 등의 내화재료로 구성된 내화부재를 구비하여 가스순환공간(141)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jacket portion 140 is made of a fireproof material such as a castable or the like, or has a fireproof member made of a fireproof material such as a castable on the inner surface to prevent heat in the gas circulation space 141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ere is.

또한, 열분해실(110)은 배출관(125)에서 분기되어 형성되어 내부공간(111)과 연결되어, 배출관(125)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내부공간(111)으로 배출시키며 폐기물(W)에 열풍을 직접 공급하는 열풍 공급관(160)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is formed by branching from the discharge pipe 125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111 to discharge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ipe 125 to the inner space 111 and to supply hot air to the waste W. A hot air supply pipe 160 for directly supplying may be provided.

열풍 공급관(160)은 배출관(125)과 자켓 배출관(143)의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111)의 상하방향의 가운데 측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고, 입구 측이 배출관(125)과 연결되며 입구 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후 벤딩되어 출구 측이 열분해실(110)을 관통하여 내부공간(111)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 열풍 공급관(160)은 입구 측과 출구 측 사이에서 분기되어 내부공간(111)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분기관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hot air supply pipe 160 is installed between the discharge pipe 125 and the jacket discharge pipe 143 to supply hot air to the center side of the inner space 1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let sid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25 and the inlet side It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bent so that the outlet side penetrates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mber 110 and protrudes into the internal space 111. However, the hot air supply pipe 160 may have at least one branch pipe formed to branch betwee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and protrude into the internal space 111 .

또한, 도면상 배출관(125)의 분기지점에서는 좌우측으로 배출관(125)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중간에 있는 분기지점에서 하측으로 호퍼 배출관(152)이 분기되며 상측으로 열풍 공급관(160)이 분기될 수 있으며 분기지점에는 4방향 밸브 또는 각각의 경로에 댐퍼가 마련되어 열풍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branch point of the discharge pipe 125 in the drawing, the discharge pipe 125 extends to the left and right, the hopper discharge pipe 152 branches downward at the branch point in the middle, and the hot air supply pipe 160 branches upward. 4-way valves or dampers are provided at each path to control the flow of hot air.

즉, 분기지점으로 유입되는 열풍은 열분해부재(120)를 통과한 열풍과 호퍼(150)를 통과한 열풍이고 분기지점에서는 열풍 공급관(160) 또는 메인 보일러(35)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hot air introduced into the branching point is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pyrolysis member 120 and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hopper 150, and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hot air supply pipe 160 or the main boiler 35 at the branching point.

또한, 열분해부재(120)를 이용하여 폐기물(W)을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열분해부재(120)에 블랙카본 등의 잔여물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렇게 열분해부재(120) 상에 배치된 잔여물은 잔여물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지 않아서 별도의 제거장치가 필요하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yrolyzing the waste W using the pyrolysis member 120, residues such as black carbon may be attached to the pyrolysis member 120, and the residue disposed on the pyrolysis member 120 in this way. Silver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residue discharge unit, so a separate removal device is required.

열분해부재(120)에 배치된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열분해실(110)에서 열분해가 완료된 후 열분해장치(100)가 구동하지 않을 때 작동하여 열분해부재(120)에 배치된 잔여물을 연소시키는 버너(190)가 구비될 수 있다.After the pyrolysis is completed in the pyrolysis chamber 110 to remove the residues disposed on the pyrolysis member 120, the burner operates when the pyrolysis device 100 is not operated to burn the residues disposed on the pyrolysis member 120. (190) may be provided.

이러한 버너(190)는 열분해부재(12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연료를 주입하여 작동할 수 있다.The burner 19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0, and may operate by injecting a separate fuel.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열분해장치가 열풍을 공급받아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열분해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hape and structure, the pyrolysis device receives hot air to pyrolyze the wast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pyrolysis system.

또한, 연소로는 유화 장치에서 배출되는 비응축 가스를 통해 열풍을 생성하여 열분해장치에 공급함에 따라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furnace has an effect of improving efficiency as hot air is generated through non-condensable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device and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또한,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에 따라 열분해장치의 제1 내지 제4 경로에 공급하거나 보조 보일러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to fourth paths of the pyrolysis device or to the auxiliary boil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또한, 유화장치에서 배출된 열분해유가 보조 보일러와 메인 보일러를 통과하면서 보조 보일러와 메인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waste heat generated in the auxiliary boiler and the main boiler can be utilized while the pyrolysis oil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device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boiler and the main boiler.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 열분해유닛
30: 연소로
35: 메인 보일러
60: 보조 보일러
100, 100a: 열분해장치
101: 제1 댐퍼
102: 제2 댐퍼
103: 제3 댐퍼
104: 제4 댐퍼
110: 열분해실
111: 내부공간
120: 열분해부재
121: 프레임부
122: 분배관
123: 연결간
124: 유입관
125: 배출관
130: 배출공
140: 자켓부
141: 가스순환공간
142: 자켓 유입관
143: 자켓 배출관
150: 호퍼
151: 호퍼 유입관
152: 호퍼 배출관
160: 열풍 공급관
170: 하부도어
180: 스크래퍼
190: 버너
L1: 제1 경로
L2: 제2 경로
L3: 제3 경로
L4: 제4 경로
10: pyrolysis unit
30: furnace
35: main boiler
60: auxiliary boiler
100, 100a: pyrolysis device
101: first damper
102: second damper
103: third damper
104: fourth damper
110: thermal decomposition room
111: inner space
120: thermal decomposition member
121: frame part
122: distribution pipe
123: between connections
124: inlet pipe
125: discharge pipe
130: discharge hole
140: jacket part
141: gas circulation space
142: jacket inlet pipe
143: jacket discharge pipe
150: Hopper
151: hopper inlet pipe
152: hopper discharge pipe
160: hot air supply pipe
170: lower door
180: scraper
190: burner
L1: first path
L2: second path
L3: third path
L4: fourth path

Claims (12)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열분해장치;
상기 열분해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열분해장치에서 발생되는 상기 가연성 가스 중 응축성 가스를 냉각하여 열분해유를 생성하고, 비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유화장치; 및
상기 유화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유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상기 비응축 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연소로;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로는 상기 비응축 가스를 연소하여 생성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고, 상기 열풍을 상기 열분해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열분해장치는,
상기 연소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열풍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폐기물과 접촉 시 상기 폐기물이 녹으면서 열분해되도록 하는 열분해부재와,
상기 열분해장치로부터 상기 열풍이 배출되는 배출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폐기물이 투입된 내부공간에 상기 열풍을 직접 공급하는 열풍 공급관을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 pyrolysis device for generating combustible gas by thermally decomposing waste into which waste is introduced;
an emulsif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pyrolysis device and cooling the condensable gas among the combustible gases generated in the pyrolysis device to generate pyrolysis oil and discharging non-condensable gas; and
A combustion furnace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device and receiving and combusting the non-condensable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device;
The combustion furnace generates hot air using combustion heat generated by burning the non-condensable gas, and supplies the hot air to the pyrolysis device,
The pyrolysis device,
A pyrolysis member whose temperature is raised by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and which melts and thermally decomposes the waste when in contact with the waste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is elevated;
A waste pyrolysis system comprising a hot air supply pipe branched from a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hot air is discharged from the pyrolysis device and directly supplying the hot air to an inner space into which the waste is introduc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는, 초기 구동시에 연료가 투입되고 투입되는 상기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열풍을 생성하되, 상기 유화장치에서 상기 비응축 가스가 배출되면 상기 비응축 가스를 연소하여 상기 열풍을 생성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mbustion furnace, fuel is input during initial driving and the hot air is generated using the fuel, and when the non-condensed gas i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device, the non-condensed gas is burned to generate the hot air, waste. of pyrolysis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장치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회수하여 스팀을 생성하거나 대기오염 방지시설로 배출하는 메인 보일러; 및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 또는 상기 열분해장치를 가열한 후 배출되는 열풍을 회수하여 냉각하며 상기 열풍을 상기 열분해장치에 공급하는 보조 보일러;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main boiler for generating steam by recoveri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pyrolysis device or discharging it to an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and
The waste pyrolysis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boiler for recovering and cooling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urnace or the hot air discharged after heating the pyrolysis device and supplying the hot air to the pyrolysis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초기 구동시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상기 열분해장치에 공급되고,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상기 보조 보일러에 공급되어 상기 제1 기준온도로 냉각된 후 상기 열분해장치에 공급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urnace during initial opera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furnace is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boiler, cooled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n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Waste pyrolysis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보일러는,
상기 열분해장치를 가열한 후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열분해장치를 가열한 후 배출되는 열풍을 회수하여 상기 제1 기준온도로 냉각한 후 상기 열분해장치에 재공급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auxiliary boil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after heating the pyrolysis device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set in advance, the hot air discharged after heating the pyrolysis device is recovered, cooled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n transferred to the pyrolysis device. Refeeding, waste pyrolysis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은,
상기 연소로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며 상기 열분해장치로 공급되는 제1 열풍;
상기 연소로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며 상기 보조 보일러에서 냉각된 후 상기 열분해장치로 공급되는 제2 열풍; 및
상기 열분해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보조 보일러에서 냉각된 후 상기 열분해장치로 공급되는 제3 열풍;을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craze,
first hot air gene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and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Second hot air gene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cooled in the auxiliary boiler, and then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and
, Waste pyrolysis system comprising a;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pyrolysis device after passing through the pyrolysis device and cooled in the auxiliary boil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온도를 갖는 상기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이 통과하여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기 위한 열을 공급하는 제1 경로; 및
상기 제1 열풍 중에서 상기 제1 기준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온도 이상의 온도를 갖는 상기 제1 열풍이 통과하며, 상기 폐기물이 투입되는 내부공간에 열을 공급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제1 기준온도 보다 낮은 제3 기준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2 경로;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pyrolysis device,
a first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to third hot air having a preset first reference temperature passes through to supply heat for pyrolyzing the waste; and
Among the first hot air, the first hot air having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passes through, and heat is supplied to an inner space into which the waste is injected so that the inner space is warm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 second path for maintaining a low third reference temperature; containing, waste pyrolysis syste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장치는,
상기 제1 경로를 개폐하며, 상기 제1 경로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경로에 공급되는 상기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온도이더라도 상기 제1 경로를 폐쇄하는 제1 댐퍼를 구비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pyrolysis device,
Opens and closes the first path,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ath exceed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even if the temperatures of the first to third hot air supplied to the first path are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 system for pyrolysis of waste, comprising a first damper that closes 1 path.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장치는,
상기 제2 경로를 개폐하며,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가 상기 제3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경로에 공급되는 상기 제1 열풍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온도 이상이더라도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는 제2 댐퍼를 구비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pyrolysis device,
The second path is opened and closed,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exceeds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he second path is closed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ot air supplied to the second path is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Equipped with a second damper to, the pyrolysis system of the was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장치는,
상기 제1 기준온도를 갖는 상기 제1 열풍 내지 제3 열풍이 통과하며, 상기 제1 경로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경로를 상기 제1 기준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경로에 열을 제공하는 제3 경로;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pyrolysis device,
The first to third hot air having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pass through and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path to provide heat to the first path to maintain the first path at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 third path to; further comprising, the waste pyrolysis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열분해유는 상기 보조 보일러를 통과하며 열교환하고, 상기 메인 보일러를 통과하며 열교환하여 정제시설로 배출되고,
상기 보조 보일러를 통과하는 열풍은 상기 보조 보일러를 순환하는 물과 열교환하거나, 상기 열분해유와 열교환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pyrolysis oil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boiler for heat exchange, passes through the main boiler for heat exchange, and is discharged to a refinery,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boiler exchanges heat with water circulating in the auxiliary boiler or exchanges heat with the pyrolysis oil, waste pyrolysis system.
KR1020220103376A 2022-08-18 2022-08-18 Pyrolysis system for waste KR1025548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376A KR102554872B1 (en) 2022-08-18 2022-08-18 Pyrolysis system for waste
PCT/KR2023/011540 WO2024039123A1 (en) 2022-08-18 2023-08-07 Device and system for pyrolysis of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376A KR102554872B1 (en) 2022-08-18 2022-08-18 Pyrolysis system for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872B1 true KR102554872B1 (en) 2023-07-11

Family

ID=8716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376A KR102554872B1 (en) 2022-08-18 2022-08-18 Pyrolysis system for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8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123A1 (en) * 2022-08-18 2024-02-22 주식회사 한화 Device and system for pyrolysis of waste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822A (en) * 1994-08-04 1996-02-2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KR20040045650A (en) * 2002-11-25 2004-06-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y of non-condensing pyrolysis gas
JP2007246685A (en) * 2006-03-16 2007-09-27 Aasu Recycle Kk Method for oiling waste
KR20110138316A (en) * 2010-06-19 2011-12-27 주식회사 신화에너지 Apparatus for extracting oil from used waste tire and method thereof
KR101197399B1 (en) * 2012-04-10 2012-11-05 정호성 Pyrolysis furnace for waste tire
KR20140118417A (en) * 2013-03-29 2014-10-08 신광섭 The carbon capture and storage apparatus from waste using plasma pyrolysis device
KR101736156B1 (en) * 2016-11-14 2017-05-18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o-oil including fine grinding of biomass system for manufacturing fast pyrolysis and the method thereof
KR20170091305A (en) * 2016-02-01 2017-08-09 자연과학산업(주) Waste treatment system
KR102095746B1 (en) * 2019-04-26 2020-04-02 주식회사 브이엘홀딩스 Oil recovery device for waste pyrolysis and recovery method
KR20200063611A (en)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에코인에너지 Oil extraction device for pyrolysis of combustible waste movable
KR102262779B1 (en) * 2020-12-08 2021-06-11 성안이엔티주식회사 Methods and devices for pyrolysis emulsifying the continuous injection of waste synthetic resins and flammable wastes, as well as continuous discharge of pyrolysis by-products and producing high-quality without the discharge of fine dust and wastewater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822A (en) * 1994-08-04 1996-02-2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KR20040045650A (en) * 2002-11-25 2004-06-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y of non-condensing pyrolysis gas
JP2007246685A (en) * 2006-03-16 2007-09-27 Aasu Recycle Kk Method for oiling waste
KR20110138316A (en) * 2010-06-19 2011-12-27 주식회사 신화에너지 Apparatus for extracting oil from used waste tire and method thereof
KR101197399B1 (en) * 2012-04-10 2012-11-05 정호성 Pyrolysis furnace for waste tire
KR20140118417A (en) * 2013-03-29 2014-10-08 신광섭 The carbon capture and storage apparatus from waste using plasma pyrolysis device
KR20170091305A (en) * 2016-02-01 2017-08-09 자연과학산업(주) Waste treatment system
KR101736156B1 (en) * 2016-11-14 2017-05-18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o-oil including fine grinding of biomass system for manufacturing fast pyrolysis and the method thereof
KR20200063611A (en)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에코인에너지 Oil extraction device for pyrolysis of combustible waste movable
KR102095746B1 (en) * 2019-04-26 2020-04-02 주식회사 브이엘홀딩스 Oil recovery device for waste pyrolysis and recovery method
KR102262779B1 (en) * 2020-12-08 2021-06-11 성안이엔티주식회사 Methods and devices for pyrolysis emulsifying the continuous injection of waste synthetic resins and flammable wastes, as well as continuous discharge of pyrolysis by-products and producing high-quality without the discharge of fine dust and wastew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123A1 (en) * 2022-08-18 2024-02-22 주식회사 한화 Device and system for pyrolysis of was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733B1 (en) Waste pyrolysis system for combustible waste in vacuum without oxygen
KR101421478B1 (en) Waste pyrolysis apparatus for combustible waste in vacuum without oxygen
US37224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 incineration
KR102554872B1 (en) Pyrolysis system for waste
KR20080091079A (en) A boiler producing steam from flue gases under optimised conditions
KR100861800B1 (en) Trash burner
KR20200092064A (en) Regenerating device of waste plastics pyrolyzing oil
KR101415450B1 (en) Incineration device for solid wastes
KR102656341B1 (en) Pyrolysis apparatus for waste
KR100639643B1 (en) Multi recycling equipment of waste using exhaust heat and method thereof
KR100757781B1 (en) Carbonization apparatus for organic waste
KR102441715B1 (en) Pyrolysis petrolizing method
KR100421172B1 (en) Waste water disposal plant
KR100487063B1 (en) Regenerating device of waste plastics pyrolyzing oil
KR102046329B1 (en) Incineration apparatus for hot water/wind
JPH11159718A (en) Device and method for combustion
KR100638564B1 (en) Oil revival device of dust resin
KR101937192B1 (en) Energy production system using waste gas generated from waste plastic emulsification process and method thereof
KR102622121B1 (en) A feeder for waste
KR102441714B1 (en) Pyrolysis petrolizing apparatus
JP2008175505A (en)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KR102511333B1 (en) Pyrolysis system for waste and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
WO2024039123A1 (en) Device and system for pyrolysis of waste
KR102441713B1 (en) Pyrolysis petrolizing apparatus
CN216203396U (en) Novel RTO bur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