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333B1 - Pyrolysis system for waste and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yrolysis system for waste and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333B1
KR102511333B1 KR1020210047214A KR20210047214A KR102511333B1 KR 102511333 B1 KR102511333 B1 KR 102511333B1 KR 1020210047214 A KR1020210047214 A KR 1020210047214A KR 20210047214 A KR20210047214 A KR 20210047214A KR 102511333 B1 KR102511333 B1 KR 10251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yrolysis
emulsification
unit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1092A (en
Inventor
임덕준
이형석
정주호
유장호
권태전
탄잉셴
서영호
박동기
강호중
김도형
Original Assignee
보국에너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국에너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보국에너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7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333B1/en
Publication of KR2022014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0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3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7/00Arrangements for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10B27/06Conduit details, e.g.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02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in combination with oil conversion- or refin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46Waste, e.g. MSW, tires, glass, tar sand, peat, paper, lignite, oil shal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2Heating the gasifier
    • C10J2300/1207Heating the gasifier using pyrolysis gas as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2Heating the gasifier
    • C10J2300/1223Heating the gasifier by bur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폐기물이 투입되어 가연성 가스가 발생되는 열분해유닛; 상기 열분해유닛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투입되어 오일이 생성되는 유화유닛; 및 상기 열분해유닛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 또는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투입되어 폐열 및 연소 가스가 발생되는 버너로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yrolysis unit in which waste is introduced and combustible gas is generated; an emulsification unit into which combustible gas generated from the pyrolysis unit is injected to produce oil; and a burner into which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from the pyrolysis unit or the non-condensed gas generated from the emulsification unit is input to generate waste heat and combustion gas.

Figure R1020210047214
Figure R1020210047214

Description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방법{Pyrolysis system for waste and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Pyrolysis system for waste and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pyrolysis system and a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

최근 산업의 발달에 따라 플라스틱 등을 원료로 하는 상품의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따라 폐플라스틱 등이 많이 발생되며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각종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dustry, the production of products made of plastics and the like as raw materials is rapidly increasing. As a result of this phenomenon, a lot of waste plastics are generated, and various methods for efficiently processing them have been proposed.

이러한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안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안으로는 폐기물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매립 또는 소각하거나 해양에 투기하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지상에 매립하거나 해양에 투기하는 방안은 침출수로 인한 2차 오염피해, 매립지의 한정, 해양오염 및 해양 투기 행위 금지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Among the methods for treating such waste,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s landfill, incineration, or dumping into the sea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waste. However, the method of landfilling on the ground or dumping into the sea has many problems, such as secondary pollution damage due to leachate, limitation of landfills, and prohibition of marine pollution and marine dumping.

그리고,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처리하는 방안이 있다. 폐기물을 열분해하는 경우에는 가연성 가스가 배출되는데, 이러한 가연성 가스는 연료로서 재사용 가능하지만, 통상적인 방식으로는 유용한 가연성 가스를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treating waste by thermal decomposition. When waste is pyrolyzed, combustible gas is discharged. This combustible gas can be reused as a fuel, but it is impossible to recover and reuse useful combustible gas in a conventional manner, resulting in a waste of resourc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및 열분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 pyrolysis system and pyrolysis method that efficiently reuses combustible gas generated from was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열분해로 및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하는 버너로를 포함하는 열분해유닛,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냉각하여 오일을 생성하고, 미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유화유닛 및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와 상기 유화유닛에서 배출되는 미응축 가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버너로로 투입되어 완전 연소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yrolysis unit including one or more pyrolysis furnaces into which waste is introduced and pyrolyzed the wastes to generate combustible gas, and a burner furnace that completely burns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the It includes an emulsification unit that cools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to produce oil and discharges uncondensed gas, and a waste heat recovery unit that recovers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Either or both of the combustible gas and the uncondensed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unit are introduced into the burner furnace and completely burned.

또한,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유동되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 및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유동되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은 상기 유화유닛으로 연결되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및 상기 버너로로 연결되는 버너로 공급 라인으로 분기되고,In addition, 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flows and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flows, wherein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is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unit It is branched into a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and a supply line to a burner connected to the burner,

상기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및 상기 버너로 공급 라인에는 가스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가스 덕트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Gas ducts for opening and closing gas passages may be provided in the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and the supply line to the burner, respectively.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유동되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유화유닛은, 하나 이상의 유화장치, 상기 유화장치에서 발생되는 오일이 이동되어 저장되는 오일저장소 및 상기 유화장치에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라인 및 냉각수 토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유화장치로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응축되어 생성된 오일은 상기 오일저장소로 이동되며, 나머지 응축되지 않은 가스는 상기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버너로로 이송될 수 있다.and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flows, wherein the emulsific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emulsification device, an oil reservoir in which the oil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is moved and stored, and the emulsification device A cooling water inlet line and a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are connected, and the oil generated by condensing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by the emulsifier is moved to the oil storage, and the remaining uncondensed gas is transferred to the uncondensed gas It may be transferred to the burner furnace through a line.

상기 유화장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냉각수 유입 라인은 상기 복수의 유화장치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냉각수 토출 라인은 상기 복수의 유화장치의 나머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유화유닛은, 상기 복수의 유화장치를 차례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화연결라인 및 상기 복수의 유화장치를 차례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수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응축되지 않은 가스는 상기 유화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의 유화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유동될 수 있다.The emulsification device is provided in plurality, the cooling water inlet line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mulsification devices, the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emulsification devices, and the emulsification unit, At least one emulsification connection line sequenti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emulsification devices and at least one cooling water connection line sequenti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emulsification devices, and the uncondensed gas passes through the emulsification connection line to the plurality of emulsification devices. It can flow from one of the devices to the other.

상기 유화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유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장치는, 오일이 생성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에 이격배치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가스가 유입되어 오일이 생성될 수 있다.The emulsific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emulsification device, and the emulsification device passes through an inner case formed with an inner space in which oil is generated, an outer cas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a guide member installed therein, and gas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through the guide member to generate oil.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결통로 및 상기 연결통로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연결통로로 유동된 가스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며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includes an inlet portion disposed through the outer case, a connection passage extending from the inlet portion and extending through the inner case, and a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assage along an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 The guide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spiral shape so that the gas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assage rotat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and moves downward.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art may include a first guide part spirally extending along an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and a second guide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an inner end of the first guide part.

상기 내부 케이스는 내부 상측부 및 내부 상측부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내부 하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상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 상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상측부; 및 상기 내부 하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 상측부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하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하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 상측부 및 상기 내부 상측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 inner case includes an inner upper portion and an inner low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inner upper portion, and the outer case has an outer upper portion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upper portion and disposed outside the inner upper portion. ; and an outer lower par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lower part,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outer upper part to a lower part, and disposed outside the inner lower part, wherein the guide member includes the outer upper part and the inner upper part. Can be installed through.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상측부 및 상기 외부 상측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 및 상기 내부 하측부 및 상기 외부 하측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유화장치에서 오일로 응축되지 못한 가스 및/또는 미응축 가스가 유동되는 상측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판에는 상기 유화장치에서 생성된 오일이 유동되는 하측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case may include: a top plate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inner upper part and the outer upper part; and a lower plate coupled to lower ends of the inner lower part and the outer lower part, wherein the upper plate has an upper connection part through which gas not condensed into oil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and/or uncondensed gas flows, and the lower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connec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oil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flows.

상기 외부 상측부 및 상기 내부 상측부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 상측부는 상기 내부 상측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외부 상측부 및 상기 내부 상측부는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외부 상측부 및 상기 내부 상측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외부 상측부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 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외부 하측부 및 상기 내부 하측부는 및 서로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 하측부는 상기 내부 하측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외부 하측부 및 상기 내부 상측부는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외부 하측부 및 상기 내부 하측부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외부 하측부의 하단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upper part and the inner upper part ar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heigh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outer upper part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upper part, and the outer upper part and the inner upper part are spaced at the same distance in a radial direction The top plate is provided as a circular plat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upper portion to cover upper portions of the outer upper portion and the inner upper portion, and the outer lower portion and the inner lower portion have heigh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is provided in a conical shape with a diameter decreasing toward the bottom, the outer lower part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lower part, and the outer lower part and the inner upper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lower plate It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lower end of the outer lower part to cover the lower part of the lower out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part.

상기 유화장치는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라인 및 상기 하판에 연결되는 냉각수 토출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유입라인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동되어 상기 냉각수 토출라인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The emulsific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cooling water inlet lin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and a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and the cool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cooling water inlet line flows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The coolan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lin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열분해로 및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하는 버너로를 포함하는 열분해유닛,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유닛; 및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 내에 포함된 수소를 추출하는 수소개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yrolysis including one or more pyrolysis furnaces into which waste is introduced and pyrolyzed the wastes to generate combustible gas, and a burner furnace that completely burns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unit, a waste heat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waste heat of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and a hydrogen reforming unit extracting hydrogen included in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스가 상기 수소개질유닛으로 유동되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 및 상기 수소개질유닛을 통과한 가스가 상기 버너로로 유동되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flows to the hydrogen reforming unit; and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gas passing through the hydrogen reforming unit flows into the burner furnace.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냉각하여 오일을 생성하고, 미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유화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와 상기 유화유닛 및 상기 수소개질유닛에서 배출되는 개질 가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버너로로 투입되어 완전 연소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n emulsification unit cooling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to produce oil and discharging uncondensed gas, and reforming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the emulsifying unit, and the hydrogen reforming unit discharged from the Either one or both of the gases may be introduced into the burner furnace and completely burned.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유동되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 및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유동되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은 상기 유화유닛으로 연결되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및 상기 버너로로 연결되는 버너로 공급 라인으로 분기되고, 상기 미응축 가스 이송라인은 상기 유화유닛과 상기 수소개질유닛을 연결하는 제1 리포밍라인과 상기 수소개질유닛과 상기 버너로를 연결하는 제2 리포밍라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flows; and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flows, wherein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includes a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unit and a burn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burner furnace. , and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forming line connecting the emulsification unit and the hydrogen reforming unit and a second reforming line connecting the hydrogen reforming unit and the burner furn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열분해로 및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하는 버너로를 포함하는 열분해유닛;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yrolysis unit including one or more pyrolysis furnaces into which wastes are input and pyrolyzing the wastes to generate combustible gases, and a burner furnace that completely burns the combustible gase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s ;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냉각하여 오일을 생성하고, 미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유화유닛; 상기 유화유닛에서 배출되는 미응축 가스 내에 포함된 수소를 추출하고, 개질가스를 배출하는 수소개질유닛; 및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와 상기 수소개질유닛에서 배출되는 개질가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버너로로 투입되어 완전 연소된다.an emulsification unit cooling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to produce oil and discharging uncondensed gas; a hydrogen reforming unit extracting hydrogen contained in the uncondensed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unit and discharging reformed gas; and a waste heat recovery unit recovering waste heat from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wherein either or both of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and the reformed gas discharged from the hydrogen reforming unit are transferred to the burner furnace. injected and completely burn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응축시켜서 오일을 생성하는 유화장치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화장치는, 오일이 생성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에 이격배치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가스가 유입되어 오일이 생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yrolysis system of waste including an emulsifying device for condensing combustible gas generated from waste to produce oil, the emulsifying device includes an inner case formed with an inner space in which oil is generated ; an outer cas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ase; and a guide member installed through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gas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through the guide member to generate oil.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결통로; 및 상기 연결통로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연결통로로 유동된 가스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며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n inlet portion disposed through the outer case; a connection passage extending from the inlet and penetrating the inner case; and a guide part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assage along an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wherein the guide part has a spiral shape so that the gas flowing through the inlet and the connection passage rotat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and moves downward. may be provided.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part may include a first guide part spirally extending along an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and a second guide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an inner end of the first guide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폐기물이 열분해유닛에 투입되는 단계, 상기 열분해유닛의 열분해로에서 폐기물이 열분해됨에 따라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유화유닛 또는 버너로로 유동되는 단계,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버너로로 유동되는 단계, 상기 유화유닛에서 생성된 오일이 오일 이송 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단계 및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가 연소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troducing the waste into the pyrolysis unit,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as the waste is pyrolyzed in the pyrolysis furnace of the pyrolysis unit flows to the emulsification unit or burner furnace through 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Step, the step of flowing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to the burner furnace through the non-condensed gas transfer line, the step of flowing the oil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through the oil transfer line and the combustion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and flowing gas through the combustion gas delivery line.

상기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은 상기 유화유닛으로 연결되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및 상기 버너로로 연결되는 버너로 공급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열분해유닛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는 상기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으로 유동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고 상기 버너로 공급 라인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includes a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unit and a supply line to the burner connected to the burner furnace, and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unit flows into the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 can flow to the supply line to the burner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유동되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 및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유동되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은 상기 유화유닛으로 연결되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및 상기 버너로로 연결되는 버너로 공급 라인으로 분기되고, 상기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또는 상기 버너로 공급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가연성 가스가 유동되도록 가스 덕트를 통해 가스 유로를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flows; and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flows, wherein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includes a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unit and a burn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burner furnac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gas flow path through a gas duct so that the combustible gas flow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and the supply line to the burner.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버너로로 유동되는 단계는,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상기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 상에 설치된 수소개질유닛을 통과하며 미응축 가스 내에 포함된 수소가 추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flowing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to the burner furnace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passes through the hydrogen reforming unit installed on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A step of extracting hydrogen contained in the uncondensed gas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폐기물이 열분해유닛에 투입되는 단계;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unit;

상기 열분해유닛의 열분해로에서 폐기물이 열분해됨에 따라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수소개질유닛 또는 버너로로 유동되는 단계, 상기 수소개질유닛에서 수소가 추출된 개질가스가 개질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버너로로 유동되는 단계 및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가 연소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Flowing combustible gas generated as waste is pyrolyzed in the pyrolysis furnace of the pyrolysis unit to a hydrogen reforming unit or a burner furnace through 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the reformed gas from which hydrogen is extracted from the hydrogen reforming unit is transferred to the reformed gas transfer line and flowing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및 열분해 방법은 폐기물 열분해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yrolysis system and method of pyrolysis of wast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waste of resources by efficiently reusing combustible gas generated during pyrolysis of was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및 열분해 방법은 가연성 가스를 통해 효율적으로 오일을 생성하여 자원의 재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aste pyrolysis system and pyrolysis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ecycling of resources by efficiently generating oil through combustible g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의 유화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의 유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유화장치를 다양하게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유화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wast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mulsification unit of a wast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mulsification device of a wast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ly disassembled emulsification devices shown in FIG.
7 is a view showing a guide member installed inside the emulsification device shown in FIG. 3;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9 is a diagram showing a wast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 wast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thermal decomposition of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t is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supported', or 'conta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supported, or conta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such as upper, lower, side, etc. ar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and it is made clear in advance that they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열분해 시스템(1)은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의 열분해 시스템(1)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새로운 장치가 추가되거나 도시된 장치들이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yrolysis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devices. At this time, FIG. 1 illustratively shows the pyrolysis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ew devices may be added or devices shown may be omitted.

열분해 시스템(1)은, 열분해유닛(10), 유화유닛(20) 및 폐열 회수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열분해유닛(10)에는 폐기물이 투입되어 가연성 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 열분해유닛(10)은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화유닛(20)에는 열분해유닛(10)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투입될 수 있다. 유화유닛(2)은 투입된 가연성 가스로부터 오일을 생성하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폐열 회수 유닛(30)은 열분해유닛(10)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 또는 유화유닛(20)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완전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이때, 각 유닛은 설명의 편의상 대략적으로 구분 및 명칭된 것으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The pyrolysis system 1 may include a pyrolysis unit 10, an emulsification unit 20 and a waste heat recovery unit 30.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unit 10 and combustible gas may be generated. The pyrolysis unit 10 may include devices for completely burning the generated combustible gas.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unit 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emulsification unit 20 . The emulsification unit 2 may include devices that generate oil from injected combustible gas.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includes devices for recovering waste heat generated when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unit 10 or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is completely burned. At this time, each unit is roughly classified and nam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merely exempla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시스템(1)에 의해 열분해되는 폐기물(W)은 폐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시스템(1)은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폐기물(W)은 이동수단 등에 의해 야적장에 반입될 수 있다. 폐기물(W)은 열분해 시스템(1)에 투입되기 적합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waste (W) thermally decomposed by the pyrolysis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waste plastic. That is, the pyrolysis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as a waste plastic recycling system. The waste W may be brought into the yard by means of transportation or the like. The waste (W) may be configured in a size and shape suitable for input into the pyrolysis system (1).

폐기물(W)은 천정 크레인 등의 투입 수단(2)을 통해 열분해유닛(10)에 투입될 수 있다. The waste W may be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unit 10 through an input unit 2 such as an overhead crane.

열분해유닛(10)은 폐기물(W)의 열분해가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분해로(11, 12) 및 버너로(18)를 포함할 수 있다. 열분해로(11, 12)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 열분해로(11, 12)는 병렬로 연결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열분해로(11) 및 제2 열분해로(12)에 해당하는 2개의 열분해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설계에 따라 열분해로는 3개 또는 다양한 개수 및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ermal decomposition unit 10 may include at least one thermal decomposition furnace 11 and 12 and a burner furnace 18 in which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waste W is performed. When a plurality of thermal decomposition furnaces 11 and 12 are provided, each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furnaces 11 and 12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and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1 shows two pyrolysis furnac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yrolysis furnace 11 and the second pyrolysis furnace 12, but this is exemplary and may be provided with three or various numbers and shapes of pyrolysis furnaces depending on the design. there is.

각 열분해로(11, 12)에는 연소에 필요한 기체의 투입을 위한 기체 공급부(13, 14)가 구비된다. 기체 공급부(13, 14)를 통해 각 열분해로(11, 12)에는 외기가 공급되거나, 혼합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혼합가스는 예를 들어, 순산소와 후술할 스택(55)으로 배출되기 직전의 배기가스가 혼합된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Each of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is provided with gas supply units 13 and 14 for inputting gas required for combustion. Outside air or mixed gas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through the gas supply units 13 and 14 . The mixed gas may be supplied in a mixed form, for example, with pure oxygen and exhaust gas immediately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stack 55 to be described later.

각 열분해로(11, 12)에는 경유 등 연소에 필요한 연료가 투입되는 라인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라인(미도시)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Each of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may additionally include a line through which fuel necessary for combustion such as diesel is injected and a lin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not shown).

열분해로(11, 12)에서 폐기물(W)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된다. 가연성 가스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을 통해 이동하고, 열분해 후 남는 재는 재 배출 수단(4)을 통해 배출된다. 재 배출 수단(4)은 폐기물 이송 장치(17)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폐기물 이송 장치(17)는 에이프런 컨베이어(apron conveyor) 등을 포함한다.Combustible gas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the waste W in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 The combustible gas moves through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and the ash remaining after pyrolysis is discharged through the ash discharge means 4. The ash discharge means 4 is connected to the waste conveying device 17 . For example, the waste conveying device 17 includes an apron conveyor or the like.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은 일 예로 가스 덕트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연성 가스의 이송 경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가스 댐퍼(15, 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은 제1 열분해로(11)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가스 댐퍼(15) 및 제2 열분해로(12)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가스 댐퍼(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스 댐퍼(15) 및 제2 가스 댐퍼(16)의 개폐가 제어됨에 따라 제1 열분해로(11) 또는 제2 열분해로(12)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으로 유동된다.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may be provided as a gas duct, for example, and may include gas dampers 15 and 16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transfer path of the combustible gas. For example,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includes a first gas damper 15 that selectively blocks the flow of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first pyrolysis furnace 11 and a gas generated in the second pyrolysis furnace 12. It may include a second gas damper 16 that selectively blocks the flow of. A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gas damper 15 and the second gas damper 16 is controlled,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first pyrolysis furnace 11 or the second pyrolysis furnace 12 is transferred to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 to flow.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은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 및 버너로 공급 라인(6)으로 분기될 수 있다.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은 유화유닛(20)으로 연결되어, 유화유닛(20)에 가연성 가스를 공급한다. 버너로 공급 라인(6)은 버너로(18)로 연결되어, 버너로(18)에 가연성 가스를 공급한다. 버너로 공급라인(6)을 통해 버너로(18)로 투입되는 가스는 완전 연소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may branch into a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and a supply line 6 to a burner.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is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unit 20 and supplies combustible gas to the emulsification unit 20 . The burner furnace supply line 6 is connected to the burner furnace 18 and supplies combustible gas to the burner furnace 18 . The gas introduced into the burner furnace 18 through the burner furnace supply line 6 can be completely burn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 및 버너로 공급 라인(6)에는 가연성 가스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3 가스 덕트(21) 및 제4 가스 덕트(31)가 각각 구비된다. 제3 가스 덕트(21) 및 제4 가스 덕트(31)를 개폐 제어하여,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으로 유동되는 가연성 가스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 또는 버너로 공급 라인(6)으로 선택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and the supply line 6 to the burner are provided with a third gas duct 21 and a fourth gas duct 31 that selectively block the flow of combustible gas, respectively.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ird gas duct 21 and the fourth gas duct 31, the combustible gas flowing to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is transferred to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or to the supply line 6 to the burner. It can be selectively flowed.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을 통해 유화유닛(20)에 투입된 가연성 가스는 유화유닛(20)에서 냉각되면서 적어도 일부가 오일로서 응축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유화유닛(20)에서 가연성 가스는 오일과 오일로 응축되지 못한 미응축 가스로 분리된다. 오일은 오일 이송 라인(7)을 통해 이송되고, 미응축 가스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을 통해 유동된다.At least a part of the combustible gas introduced into the emulsification unit 20 through the emulsification gas supply line 5 may be condensed as oil while being cool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 In other words,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the combustible gas is separated into oil and uncondensed gas that is not condensed into oil. Oil is conveyed through an oil transfer line (7), and uncondensed gas flows through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오일 이송 라인(7)은 오일 저장 탱크(40)에 연결된다. 오일 이송 라인(7)을 통해 이송되는 오일은 다양한 과정을 통해 정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장치 및 과정은 예시적인 것으로 유화유닛(20)에서 생성되는 오일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oil transfer line 7 is connected to the oil storage tank 40. The oil transported through the oil transfer line 7 may be purified and used through various processes. The apparatus and proces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 and the oil produc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may be used in various ways.

오일 이송 라인(7)으로 이송되는 오일은 오일 저장 탱크(40)에 저장될 수 있다. 오일 저장 탱크(40)에 저장된 오일은 정제 가열로(41)로 이송되어 가열된다. 정제 가열로(41)에는 경유 등 소정의 연료가 투입되어 가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정제탑(43)에서 배출되는 가스 중 일부는 팬(48)을 통해 다시 정제 가열로(41)로 투입될 수 있다. 정제가열로(41)에서 정제된 오일은 정제탑(43)으로 이송되고, 가열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배출가스 정제 장치(42)로 이송된다. 배출가스 정제 장치(42)에서 정제된 가스는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Oil transferred through the oil transfer line 7 may be stored in the oil storage tank 40 . The oil stored in the oil storage tank 40 is transported to the refining heating furnace 41 and heated. A predetermined fuel such as light oil may be injected into the refining heating furnace 41 and used for heating. Some of the gas discharged from the purification tower 43 may be introduced back into the purification heating furnace 41 through the fan 48 . The oil refined in the refining heating furnace 41 is transferred to the purification tower 43, and the gas generated in the heating process is transferred to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42. The gas purified in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4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정제탑(43)으로 이송된 오일은 다시 정제가열로(41)로 피드백되어 재가열될 수 있다. 정제탑(43)에서 분별 증류되어 배출되는 가스상의 정제유는 응축기(44, 45)를 통과하여 정제유 저장탱크(46, 47)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응축기(44, 45)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정제유를 응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응축기(44)는 경질유를 생성하도록 운전되고 제2응축기(45)는 중질유를 생성하도록 운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응축기(44)와 연결된 제1정제유 저장탱크(46)는 경질유를 저장하고, 제2응축기(45)와 연결된 제2정제유 저장탱크(48)는 중질유를 저장할 수 있다. 정제유 저장탱크(46, 47)에 저장된 정제유는 필요에 따라 외부의 사용처로 반출될 수 있다.The oil transferred to the refinery tower 43 may be fed back to the refining heating furnace 41 and reheated. Gaseous refined oil discharged after fractionation in the purification tower 43 may pass through condensers 44 and 45 and be transferred to refined oil storage tanks 46 and 47 . At this time, the condensers 44 and 45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condense different types of refined oil. For example, the first condenser 44 can be operated to produce light oil and the second condenser 45 can be operated to produce heavy oil. Accordingly, the first refined oil storage tank 46 connected to the first condenser 44 stores light oil, and the second refined oil storage tank 48 connected to the second condenser 45 stores heavy oil. Refined oil stored in the refined oil storage tanks 46 and 47 may be taken out to an external place of use as needed.

이때, 각 유로에는 유동을 제어하는 각종 팬(48) 또는 펌프(49)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팬(48) 및 펌프(49)의 위치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설계에 따라 다르게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various fans 48 or pumps 49 for controlling the flow may be installed in each flow path. The positions and numbers of the fans 48 and pumps 49 shown in the drawings are exemplary and may be insta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sign.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에는 유화유닛(20)에서 오일로 응축되지 못한 미응축 가스가 이송된다.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에는 이송로 개폐 제어를 위한 제5 가스 덕트(22)가 구비되며, 미응축 가스의 이송을 위한 팬(29)이 구비될 수 있다. 제5 가스 덕트(22) 및 팬(29)은 가스의 유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위치 및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Uncondensed gas that is not condensed into oil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is transferred to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may include a fifth gas duct 22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transfer path, and a fan 29 for transferring the uncondensed gas. The fifth gas duct 22 and the fan 29 are for assisting the flow of gas, and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and their positions and numbers are not limited.

버너로 공급 라인(6) 및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은 버너로(18)와 연결된다. 버너로 공급 라인(6) 및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을 통해 이송되는 가스는 버너로(18)로 공급되어 완전 연소되고, 이때 발생되는 열이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공급되어 회수될 수 있다. 버너로(32)에는 연소에 필요한 기체의 투입을 위한 팬(19)이 구비된다. 팬(19)을 통해 완전 연소에 필요한 외기 또는 순산소와 배기가스의 혼합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The burner furnace supply line 6 and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are connected to the burner furnace 18 . The gas transported through the burner supply line 6 and the no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is supplied to the burner furnace 18 and completely burned, and the heat generated at this time is supplied to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to be recovered. can The burner furnace 32 is provided with a fan 19 for introducing gas required for combustion. The fan 19 may supply outside air or a mixed gas of pure oxygen and exhaust gas required for complete combustion.

폐열 회수 유닛(30)은 버너로(18)와 연결된 연소로(33) 및 버너로(18)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공정수로 회수하여 스팀을 생산하는 보일러(35)를 포함한다. 보일러(35)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분배기(36)로 이송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보일러(35)에서 폐열 회수 후 배출되는 연소 가스는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배출된다.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includes a combustion furnace 33 connected to the burner furnace 18 and a boiler 35 for producing steam by recovering waste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burner furnace 18 as process water. Steam generated in the boiler 35 may be transferred to the steam distributor 36 and used.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after recovering waste heat from the boiler 35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이송되는 연소 가스는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방지 시설들을 거친 후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은 반건식 반응탑(50)과 연결될 수 있다. 연소 가스는 반건식 반응탑(50)으로 유입되어 소석회 슬러리와 반응한 후, 탱크(51)에 저장된 분말소석회 및 활성탄이 투입되는 백필터(52)로 투입되어 톤백을 형성한다. 반건식 반응탑(50) 및/또는 백필터(52)에서 형성된 톤백은 이동되어 별도로 처리될 수 있다. 이렇게 처리된 연소 가스는 스택(55)을 통해 배기 가스로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택(55)의 전단에는 팬(53) 및 덕트(56) 등의 부재가 적절히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지 시설로서 반건식 반응탑, 백필터 및 스택이 예시적으로 제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지 시설로서 스크러버(scrubber),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SCR), 선택적 무촉매 환원 장치(SNCR), 사이클론(cyclone) 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mbustion gas transport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may be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prevention facilities for removing contaminants. For example,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may be connected to the semi-dry reactor 50 . The combustion gas flows into the semi-dry reaction tower 50, reacts with the slaked lime slurry, and then is introduced into the bag filter 52 into which the powdered slaked lime and activated carbon stored in the tank 51 are introduced to form a tone bag. The tonbag formed in the semi-dry reactor 50 and/or the bag filter 52 may be transferred and treated separately. Combustion gas treated in this way can be discharged as exhaust gas through the stack 55 . To this end, members such as a fan 53 and a duct 56 may be appropriatel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tack 55 . In this embodiment, a semi-dry reactor, a bag filter, and a stack are exemplarily presented as prevention facilities,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scrubber, a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device (SCR), a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device (SNCR), a cyclone, and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s prevention facilities.

이하, 유화유닛(2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mulsification unit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유화유닛(20)은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과 연결되어 가연성 가스(A)가 투입될 수 있다. 유화유닛(20)에서는 가연성 가스(A)가 오일(C)과 오일(C)로 응축되지 못한 미응축 가스(D)로 분리되는 냉각 공정이 수행된다. 오일(C)은 오일 이송 라인(7)을 통해 이동하고, 미응축 가스(D)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을 통해 이동한다. 또한, 유화유닛(20)에는 냉각수(B)가 유동된다.The emulsification unit 20 is connected to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and combustible gas A may be introduc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a cooling process in which combustible gas (A) is separated into oil (C) and uncondensed gas (D) that is not condensed into oil (C) is performed. Oil (C) travels through an oil transfer line (7) and uncondensed gas (D) travels through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In addition, cooling water (B) flows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유화유닛(20)은 적어도 하나의 유화장치(100)를 포함한다. 유화장치(100)의 내부에서는 가연성 가스(A)를 응축시켜서 오일(C)을 생성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 유화장치(100) 내부로 가연성 가스(A)가 유입되고, 오일(C) 및 미응축 가스(D)가 생성된다. 그리고 냉각수(B)가 유화장치(100) 내에 형성된 냉각수 쟈켓(240, 도 8)을 통해 유동된다. The emulsification unit 20 includes at least one emulsification device 100 . Inside the emulsification device 100, a process of condensing the combustible gas (A) to produce oil (C) is performed. In other words, combustible gas (A) is introduced into the emulsifier 100, and oil (C) and uncondensed gas (D) are produced. And the cooling water (B) flows through the cooling water jacket (240, FIG. 8) formed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1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화유닛(20)은 3개의 유화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유화장치(100)는 서로 연결되고, 각 유화장치(100)에서는 가연성 가스(A)를 통해 오일(C)을 생성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면상 가장 좌측의 유화장치(100)에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과 연결되어 가연성 가스(A)가 투입된 후 응축되어 오일(C)이 생성된다. 생성된 오일(C)은 연결된 오일저장소(25)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나머지는 유화연결라인(26)을 통해 중간에 위치한 유화장치(100)로 이동된다. 중간에 위치한 유화장치(100)에 투입된 가연성 가스(A)의 일부는 응축되어 다시 오일(C)이 생성된다. 생성된 오일(C)은 연결된 오일저장소(25)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유화연결라인(26)을 통해 우측에 위치한 유화장치(100)로 이동되어 다시 오일(C)이 생성된다. 생성된 오일(C)은 연결된 오일저장소(25)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미응축 가스(D)로 분류된다. 그리고, 오일저장소(25)로 유동된 오일(C)은 오일 이송 라인(7)을 통해 이송되고, 미응축 가스(D)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을 통해 이송된다.As shown in FIG. 2 , the emulsification unit 20 may include three emulsification devices 100 .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e number is not limited. A plurality of emulsification device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 each of the emulsification devices 100, a process of generating oil C through combustible gas A is performed. For example, the leftmost emulsification device 100 in the drawing is connected to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and combustible gas A is introduced and then condensed to produce oil C. The produced oil (C) flows into the connected oil reservoir 25 and is stored, and the rest is moved to the emulsification device 100 located in the middle through the emulsification connection line 26. A part of the combustible gas (A) injected into the middle positioned emulsifier 100 is condensed to produce oil (C) again. The produced oil (C) flows into the connected oil storage 25, and the rest is moved to the emulsification device 100 located on the right side through the emulsification connection line 26, and oil (C) is produced again. The generated oil (C) flows into the connected oil reservoir (25), and the rest is classified as uncondensed gas (D). Also, the oil C flowing into the oil reservoir 25 is transferred through the oil transfer line 7, and the uncondensed gas D is transferred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냉각수(B)는 냉각수 유입라인(22)을 통해 도면상 가장 좌측의 유화장치(100)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각수 연결라인(24)을 통해 중간에 위치한 유화장치(100) 및 우측에 위치한 유화장치(100)를 통과하여 냉각수 토출라인(23)으로 유동된다. 즉, 냉각수(B)는 복수의 유화장치(100)를 차례로 관통하여 유동될 수 있다.Cooling water (B) is introduced into the leftmost emulsification device 100 in the draw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inlet line 22. Then, the coolant flows through the cooling water connection line 24 to the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23 through the emulsification device 100 located in the middle and the emulsification device 100 located on the right side. That is, the cooling water (B) may flow through the plurality of emulsification devices 100 in sequence.

정리하면, 하나의 유화장치(100)에 가연성 가스(A) 또는 다른 유화장치(100)에서 토출된 가스가 투입되어 오일(C)이 생성되고, 나머지는 이동하여 다음 유화장치(100)로 공급되거나 미응축 가스(D)로 분류되어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하나의 유화장치(100)에 냉각수(B)가 관통하여 유동된다.In summary, a combustible gas (A) or a gas discharged from another emulsification device (100) is introduced into one emulsification device (100) to produce oil (C), and the rest is moved and supplied to the next emulsification device (100) or it is classified as non-condensed gas (D) and moves to the no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And, the cooling water (B) flows through one emulsification device (100).

이하, 유화장치(1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mulsification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화장치(100)는 내부 케이스(110), 외부 케이스(120) 및 가이드 부재(130)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상 구분되는 것으로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 또는 접합을 통해 하나의 구성으로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8 , the emulsification device 100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n inner case 110 , an outer case 120 and a guide member 130 . At this time, each component is distinguish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or assembled into one component through coupling or bonding.

내부 케이스(110)는 대략 원통형상의 내부 상측부(112) 및 내부 상측부(112)의 하단에서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부로 연장되는 원뿔모양의 내부 하측부(114)로 구분된다. 이때, 가이드 부재(130)는 내부 상측부(11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상측부(112)에는 가이드 부재(130)가 관통되는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ase 110 is divided into a substantially cylindrical inner upper part 112 and a conical inner lower part 114 extending downward to gradually decrease in diameter from the lower end of the inner upper part 112 . At this time, the guide member 130 may be disposed passing through the inner upper portion 112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 through-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guide member 130 passes may be formed in the inner upper portion 112 .

내부 케이스(110)는 내부 상측부(11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111) 및 내부 하측부(114)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판(115)을 포함한다. 상판(111) 및 하판(115)은 원형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하판(115)은 상판(11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내부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내부 상측부(112) 및 내부 하측부(114)를 측벽으로 하고, 상판(111) 및 하판(115)이 상하로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한다.The inner case 110 includes an upper plate 111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nner upper part 112 and a lower plate 115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lower inner part 114 . The upper plate 111 and the lower plate 115 are provid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the lower plate 115 is form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upper plate 111 . Accordingly, the inner case 110 has the inner upper part 112 and the inner lower part 114 as side walls, and the upper plate 111 and the lower plate 115 are vertically coupled to form an inner space.

상판(111)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 연결부(140)가 구비된다. 상측 연결부(140)는 유화연결라인(26) 또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과 연결될 수 있다. 상측 연결부(140)를 통해 오일로 응축되지 못한 가스 또는 미응축 가스가 유동된다. 하판(115)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 연결부(150)가 구비된다. 하측 연결부(150)는 오일저장소(25)로 연결될 수 있다. 하측 연결부(150)를 통해 오일이 유동되고, 오일저장소(25)를 통하여 오일 이송 라인(7)으로 유동된다.The top plate 111 is provided with an upper connection portion 140 protruding upward. The upper connection par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connection line 26 or the no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 Gas that is not condensed into oil or uncondensed gas flows through the upper connection part 140 . The lower plate 115 is provided with a lower connecting portion 150 protruding downward. The lower connection par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oil reservoir 25 . Oil flows through the lower connection part 150 and flows into the oil transfer line 7 through the oil reservoir 25 .

상판(111) 및 하판(115)에 냉각수가 유동되는 파이프가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판(111)에는 냉각수 유입라인(22)이 연결되고, 하판(115)에는 냉각수 토출라인(23)이 연결된다. 냉각수 유입라인(22) 또는 냉각수 토출라인(23)은 냉각수 연결라인(24)일 수 있다. 상판(111)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하판(115)으로 토출될 수 있다. 냉각수 유입라인(22) 및 냉각수 토출라인(23)에는, 냉각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냉각수 유입밸브(220) 및 냉각수 토출밸브(230)가 각각 구비된다.Pipes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are attached to the upper plate 111 and the lower plate 115. For example, the coolant inlet line 22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111 and the coolant discharge line 23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115 . The cooling water inlet line 22 or the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23 may be a cooling water connection line 24 .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upper plate 111 may be discharged to the lower plate 115 . A cooling water inlet valve 220 and a cooling water discharge valve 23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oling water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cooling water inlet line 22 and the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23 .

외부 케이스(120)는 대략 원통형상의 외부 상측부(122) 및 외부 상측부(122)의 하단에서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부로 연장되는 원뿔모양의 외부 하측부(124)로 구분된다. 가이드 부재(130)는 외부 상측부(12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상측부(122)에는 가이드 부재(130)가 관통되는 관통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ase 120 is divided into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uter upper part 122 and a conical outer lower part 12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upper part 122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he guide member 130 may be disposed passing through the outer upper portion 122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 through-hole 126 through which the guide member 130 passes may be formed in the outer upper portion 122 .

유화장치(100)가 조립된 경우, 외부 상측부(122)의 내측에 내부 상측부(112)가 배치되고, 외부 하측부(124)의 내부측에 내부 하측부(114)가 배치된다. When the emulsification device 100 is assembled, the inner upper part 112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upper part 122, and the inner lower part 114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lower part 124.

예를 들어, 외부 상측부(122) 및 내부 상측부(112)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외부 상측부(122)는 내부 상측부(112)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외부 상측부(122) 및 내부 상측부(112)는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판(111)은 외부 상측부(122) 및 내부 상측부(112)의 상단에 결합되고, 외부 상측부(122)와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판(111)을 통해 외부 상측부(122) 및 내부 상측부(112)의 상부가 커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er upper part 122 and the inner upper part 112 ar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heigh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outer upper part 122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upper part 112 . The outer upper part 122 and the inner upper part 1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top plate 111 is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outer upper part 122 and the inner upper part 112 and may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upper part 122 . Upper portions of the outer upper portion 122 and the inner upper portion 112 may be covered through the top plate 111 .

외부 하측부(124) 및 내부 하측부(114)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의 원뿔형상으로 구비되며, 외부 하측부(124)는 내부 하측부(114)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외부 하측부(124) 및 내부 상측부(114)는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판(115)은 외부 하측부(124) 및 내부 하측부(114)의 하단에 결합되고, 외부 하측부(124)의 하단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판(115)을 통해 외부 하측부(124) 및 내부 하측부(114)의 하부가 커버될 수 있다.The outer lower part 124 and the inner lower part 114 are provided in a conical shape having heigh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outer lower part 124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lower part 114 . The outer lower portion 124 and the inner upper portion 11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lower plate 115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outer portion 124 and the lower inner portion 114, and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lower end of the lower outer portion 124. Lower portions of the outer lower portion 124 and the inner lower portion 114 may be covered through the lower plate 115 .

유화장치(100)는 전체적으로 내부 케이스(11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 및 외부 케이스(120)와 내부 케이스(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내부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오일이 생성되고, 외부 케이스(120)와 내부 케이스(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는 냉각수가 유동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20)와 내부 케이스(120)의 사이에는 냉각수 쟈켓(240)이 형성된다.The emulsification device 100 may have a space formed inside the inner case 110 as a whole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20 . At this time, oil is generated inside the inner case 110 , and cooling water may flow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20 . As shown in FIG. 8 , a cooling water jacket 240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20 .

가이드 부재(130)는 내부 케이스(120)의 내측에서 외부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 또는 유화연결라인(26)과 연결된다. 가이드 부재(130)를 통해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 또는 유화연결라인(26)에서 유동된 가연성 가스가 유동된다.The guide member 130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120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20 and is connected to a gas supply line 5 or a connection line 26 for emulsification. The combustible gas flowing from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or the emulsification connection line 26 flows through the guide member 130 .

가이드 부재(130)는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6)를 형성하는 입구부(132), 입구부(132)에서 연장되는 연결통로(134) 및 연결통로(134)에서 연장되는 가이드부(136, 138)를 포함한다. 입구부(132)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 또는 유화연결라인(26)과 연결되도록 외부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통로(134)는 유입되는 가스가 내부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유동되도록 측방이 폐쇄된 유로를 형성한다. 연결통로(134)는 입구부(132)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가 냉각수 쟈켓(240)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연결통로(134)는 전후방이 개방되고 직선으로 연장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130 includes an inlet 132 forming an inlet 116 through which gas flows, a connection passage 134 extending from the inlet 132 and a guide part 136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assage 134, 138). The inlet 132 may be formed to partially protrude outside the outer case 12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or the emulsification connection line 26 . The connection passage 134 forms a side-closed passage so that the introduced gas flows into the inner case 110 . The connection passage 134 may be provided to prevent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32 from flowing out to the cooling water jacket 240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 the connection passage 134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with front and rear openings.

입구부(132)는 외부 케이스(120)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연결통로(134)는 내부 케이스(110)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가이드부(136, 138)는 내부 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는 외부 상측부(122) 및 내부 상측부(11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가이드부(136, 138)는 내부 상측부(112)의 내측 공간에 위치한다.The inlet 132 extends through the outer case 120 and the connection passage 134 extends through the inner case 110 . The guide parts 136 and 138 may be located inside the inner case 110 . The guide member 130 is installed through the outer upper part 122 and the inner upper part 112, and the guide parts 136 and 138 ar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upper part 112.

가이드부(136, 138)는 내부 상측부(112)의 내벽을 따라 호(arc)를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136, 138)는 연결통로(134)와 달리 개방된 유로를 형성한다. 즉, 연결통로(134)는 연장된 일 방향으로만 가스가 유동되고, 가이드부(136, 138)는 연장된 일 방향으로 보다 많은 양의 가스가 유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한다.The guide parts 136 and 138 may exten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upper part 112 while forming an arc. Unlike the connecting passage 134, the guide parts 136 and 138 form an open passage. That is, the connection passage 134 allows gas to flow only in one extended direction, and the guide parts 136 and 138 serve to guide a larger amount of gas to flow in one extended direction.

예를 들어, 가이드부(136, 138)는 내부 상측부(112)의 내벽을 따라 띠를 형성하며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136) 및 제1 가이드부(136)의 내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가이드부(138)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parts 136 and 138 form a ban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upper part 112 and spirally extend from the first guide part 136 and the inner end of the first guide part 136 downward. It may include a second guide portion 138 extending to. For example, the second guide portion 138 may extend vertically downward.

정리하면, 입구부(132)로 유입된 가스가 연결통로(134)를 통과하여 내부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후, 가이드부(136, 138)를 따라 내부 케이스(110)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며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36)로 인해 상부로 바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가이드부(138)를 통해 내벽과 인접하게 유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136, 138)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가스의 유로를 연장하여 유속을 줄이고 내측 벽면과의 접촉면적을 늘려 보다 효율적으로 유입된 가스를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유화장치(100) 내에서의 오일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summary, the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132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case 110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34 . Thereafter, it may move downward while rotat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110 along the guide parts 136 and 138 . Due to the first guide part 136, it is prevented from directly flowing upward, and it can flow adjacent to the inner wall through the second guide part 138.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uide parts 136 and 138, it is possible to cool the introduced gas more efficiently by extending the flow path of the gas, reducing the flow rate, and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inner wall surface. Accordingly, the oil yield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100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시스템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열분해 시스템(1a)은 도 1에 도시된 열분해 시스템(1)에서 유화유닛(20) 및 그 이후 공정이 생략되고, 수소개질유닛(60)이 추가된 시스템에 해당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The pyrolysis system 1a shown in FIG. 9 corresponds to a system in which the emulsification unit 20 and subsequent processes are omitted from the pyrolysis system 1 shown in FIG. 1 and a hydrogen reforming unit 60 is add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열분해 시스템(1a)은 열분해유닛(10), 폐열 회수 유닛(30) 및 수소개질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열분해유닛(10)에서는 폐기물이 투입되어 가연성 가스가 발생된다. 열분해유닛(10)은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폐열 회수 유닛(30)은 열분해유닛(10)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 또는 수소개질유닛(60)에서 발생된 개질 가스가 완전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이때, 각 유닛은 설명의 편의상 대략적으로 구분 및 명칭된 것으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The pyrolysis system 1a may include a pyrolysis unit 10, a waste heat recovery unit 30, and a hydrogen reforming unit 60. In the pyrolysis unit 10, waste is introduced and combustible gas is generated. The pyrolysis unit 10 may include devices for completely burning the generated combustible gas.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includes devices for recovering waste heat generated when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unit 10 or reformed gas generated in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is completely burned. At this time, each unit is roughly classified and nam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merely exemplary.

열분해로(11, 12)에서 폐기물(W)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a)을 통해 이송되며,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a)은 수소개질유닛(60)으로 연결된다. 수소개질유닛(60)은 가연성 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해내는 구성으로, 수소 개질기 또는 수소 리포머(reformer)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소개질유닛(60)은 가연성 가스에 포함된 수소와 반응하는 촉매를 통하여 수소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수소는 전력 생산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수소개질유닛(60)은 수소 리포머 외에 가연성 가스를 합성가스로서 개질하기 위한 적절한 개질 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소개질유닛(60)을 통과하면서 수소가 추출된 개질가스(reforming gas)는 개질 가스 이송 라인(8a)을 통해 버너로(18)로 이송되어 완전 연소된다.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waste W in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is transferred through 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a, and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a is connected to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do.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extracts hydrogen from combustible gas and includes a hydrogen reformer or a hydrogen reformer. For example,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may extract hydrogen through a catalyst that reacts with hydrogen contained in combustible gas. The hydrogen extracted in this way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power generation.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n appropriate reforming facility for reforming combustible gas into syngas in addition to the hydrogen reformer. The reforming gas from which hydrogen is ext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is transported to the burner furnace 18 through the reforming gas transfer line 8a and completely burned.

개질 가스 이송 라인(8a)을 통해 이송되는 가스는 버너로(18)로 공급되어 완전 연소되고, 이때 발생되는 열이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공급되어 회수될 수 있다. 버너로(32)에는 연소에 필요한 기체의 투입을 위한 팬(19)이 구비된다. 팬(19)을 통해 완전 연소에 필요한 외기 또는 순산소와 배기가스의 혼합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The gas transported through the reformed gas transfer line 8a is supplied to the burner furnace 18 to be completely burned, and the heat generated at this time can be supplied to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and recovered. The burner furnace 32 is provided with a fan 19 for introducing gas required for combustion. The fan 19 may supply outside air or a mixed gas of pure oxygen and exhaust gas required for complete combustion.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시스템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열분해 시스템(1b)은 도 1에 도시된 열분해 시스템(1)에서 수소개질유닛(60)이 추가된 시스템에 해당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a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pyrolysis system 1b shown in FIG. 10 corresponds to a system in which a hydrogen reforming unit 60 is added to the pyrolysis system 1 shown in FI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열분해 시스템(1b)은, 크게 열분해유닛(10), 유화유닛(20), 폐열 회수 유닛(30) 및 수소개질유닛(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열분해유닛(10)은 폐기물이 투입되어 가연성 가스가 발생되고,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하고, 유화유닛(20)은 열분해유닛(10)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투입되어 오일이 생성되는 장치들을 포함하며, 폐열 회수 유닛(30)은 열분해유닛(10)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 또는 유화유닛(20) 및 수소개질유닛(60)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완전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이때, 각 유닛은 설명의 편의상 대략적으로 구분 및 명칭된 것으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The pyrolysis system 1b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 pyrolysis unit 10, an emulsification unit 20, a waste heat recovery unit 30, and a hydrogen reforming unit 60. The pyrolysis unit 10 includes devices for generating combustible gas by inputting waste and completely burning the generated combustible gas, and the emulsification unit 20 generates oil by inputting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unit 10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is generated when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unit 10 or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and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is completely burned. Includes devices for recovering waste heat. At this time, each unit is roughly classified and nam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merely exemplary.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을 통해 유화유닛(20)에 투입된 가연성 가스는 유화유닛(20)에서 냉각되면서 적어도 일부가 오일로서 응축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유화유닛(20)에서 가연성 가스는 오일과 오일로 응축되지 못한 미응축 가스로 분리된다. 오일은 오일 이송 라인(7)을 통해 이송되고, 미응축 가스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을 통해 유동된다.At least a part of the combustible gas introduced into the emulsification unit 20 through the emulsification gas supply line 5 may be condensed as oil while being cool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 In other words,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the combustible gas is separated into oil and uncondensed gas that is not condensed into oil. Oil is transferred through the oil transfer line 7, and uncondensed gas flows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s 8b and 8c.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에는 유화유닛(20)에서 오일로 응축되지 못한 미응축 가스가 이송된다.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은 유화유닛(20)과 수소개질유닛(60)을 연결하는 제1 리포밍라인(8b)과 수소개질유닛(60)과 버너로(18)를 연결하는 제2 리포밍라인(8c)으로 구분될 수 있다.Uncondensed gas that is not condensed into oil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is transferred to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s 8b and 8c. The non-condensed gas transfer lines 8b and 8c connect the first reforming line 8b connecting the emulsification unit 20 and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and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and the burner furnace 18. It can be divided into the second reforming line 8c.

제1 리포밍라인(8b)을 통해 미응축 가스가 수소개질유닛(60)으로 이송된다. The uncondensed gas is transferred to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through the first reforming line 8b.

수소개질유닛(60)은 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해내는 구성으로, 수소 개질기 또는 수소 리포머(reformer)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소개질유닛(60)은 가연성 가스에 포함된 수소와 반응하는 촉매를 통하여 수소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수소는 전력 생산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수소개질유닛(60)은 수소 리포머 외에 가연성 가스를 합성가스로서 개질하기 위한 적절한 개질 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소개질유닛(60)을 통과하면서 수소가 추출된 개질가스(reforming gas)는 제2 리포밍라인(8c)을 통해 버너로(18)로 이송되어 완전 연소된다.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extracts hydrogen from gas and includes a hydrogen reformer or a hydrogen reformer. For example,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may extract hydrogen through a catalyst that reacts with hydrogen contained in combustible gas. The hydrogen extracted in this way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power generation.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n appropriate reforming facility for reforming combustible gas into syngas in addition to the hydrogen reformer. The reforming gas from which hydrogen is ext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is transferred to the burner furnace 18 through the second reforming line 8c and completely burned.

버너로 공급 라인(6) 및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은 버너로(18)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버너로 공급 라인(6) 및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을 통해 이송되는 가스는 버너로(18)로 공급되어 완전 연소되고, 이때 발생되는 열이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공급되어 회수될 수 있다. 버너로(32)에는 연소에 필요한 기체의 투입을 위한 팬(19)이 구비된다. 이러한 팬(19)을 통해 완전 연소에 필요한 외기 또는 순산소와 배기가스의 혼합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The burner furnace supply line 6 and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s 8b and 8c are connected to the burner furnace 18 . Accordingly, the gas transferred to the burner through the supply line 6 and the non-condensed gas transfer lines 8b and 8c is supplied to the burner furnace 18 and completely burned, and the heat generated at this time is transferred to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can be supplied and recovered. The burner furnace 32 is provided with a fan 19 for introducing gas required for combustion. Through the fan 19, external air or a mixed gas of pure oxygen and exhaust gas required for complete combustion may be suppli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분해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ctions and effects of the pyrolysis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천정 크레인 등의 투입 수단(2)을 통해 폐기물(W)이 열분해로(11, 12)에 투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 the waste pyro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introducing waste W into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through an input means 2 such as an overhead cran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방법에 의해 열분해되는 폐기물(W)은 폐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W)은 이동수단 등에 의해 야적장에 반입될 수 있다.The waste (W) thermally decomposed by the pyro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waste plastic. The waste W may be brought into the yard by means of transportation or the like.

열분해로(11, 12)에는 연소에 필요한 기체 및 연료가 투입된다. 예를 들어, 각 열분해로(11, 12)에는 외기가 공급되거나, 혼합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혼합가스는 예를 들어, 순산소와 스택(55)으로 배출되기 직전의 배기가스가 혼합된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열분해로(11, 12)에서 폐기물(W)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된다.Gas and fuel required for combustion are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 For example, outside air or mixed gas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 At this time, the mixed gas may be supplied in the form of a mixture of pure oxygen and exhaust gas immediately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stack 55, for example. At this time, combustible gas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the waste W in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열분해로(11, 12)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을 통해 유화유닛(20) 또는 버너로(18)로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waste pyrolysis method includes a step in which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flows through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to an emulsification unit 20 or a burner furnace 18.

가연성 가스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을 통해 이동하고, 열분해 후 남는 재(4)는 에이프런 컨베이어(apron conveyor) 등의 폐기물 이송 장치를 통해 별도로 처리될 수 있다.The combustible gas moves through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and the ash 4 remaining after pyrolysis can be separately processed through a waste transfer device such as an apron conveyor.

이때,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은 유화유닛(20)으로 연결되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 및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연결되는 버너로 공급 라인(6)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열분해유닛(10)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는 열분해 초기에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으로 유동되고, 열분해 중기 이후부터 버너로 공급 라인(6)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기에는 제3 가스 덕트(21)가 개방되고, 제4 가스 덕트(31)는 폐쇄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중기 이후에는 제3 가스 덕트(21)가 폐쇄되고, 제4 가스 덕트(31)가 개방되도록 제어된다.At this time,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is branched into a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unit 20 and a supply line 6 to a burner connected to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 In addition,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unit 10 may flow into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at the beginning of pyrolysis, and flow into the supply line 6 to the burner from the middle of pyrolysis. To this end, the third gas duct 21 is initially opened, and the fourth gas duct 31 is controlled to be closed. Also, after the middle period, the third gas duct 21 is closed and the fourth gas duct 31 is controlled to be opened.

예를 들어, 열분해유닛(10)에서는 24 시간동안 열분해가 진행되면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제1 열분해로(11)와 제2 열분해로(12)는 12 시간씩 교호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12 시간의 열분해 과정 중 초기 5 시간 정도까지 발생된 가연성 가스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으로 유동되어 유화 공정에 이용되고, 5 시간 이후부터 나머지 시간 동안 발생된 가연성 가스는 버너로 공급 라인(6)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thermal decomposition unit 10, a combustible gas may be generated while thermal decomposition proceeds for 24 hours. At this time, the first pyrolysis furnace 11 and the second pyrolysis furnace 12 may be alternately operated for 12 hours each, and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up to the initial 5 hours during the 12-hour pyrolysis process is a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 5) and used in the emulsification process, and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during the rest of the time from 5 hours onwards can flow into the supply line 6 to the burner.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유화유닛(20)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을 통해 버너로(18)로 유동되는 단계 및 유화유닛(20)에서 생성된 오일이 오일 이송 라인(7)을 통해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thermal decomposition method of waste includes the step of flowing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to the burner furnace 18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and the oil produc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is transferred to oil. Flow through line (7).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을 통해 유화유닛(20)에 투입된 가연성 가스는 유화유닛(20)에서 냉각되면서 적어도 일부가 오일로서 응축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유화유닛(20)에서 가연성 가스는 오일과 오일로 응축되지 못한 미응축 가스로 분리된다. 그리고, 오일은 오일 이송 라인(7)을 통해 이송되고, 미응축 가스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을 통해 유동된다.At least a part of the combustible gas introduced into the emulsification unit 20 through the emulsification gas supply line 5 may be condensed as oil while being cool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 In other words,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the combustible gas is separated into oil and uncondensed gas that is not condensed into oil. Then, the oil is transferred through the oil transfer line 7, and the uncondensed gas flows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오일 이송 라인(7)을 통해 이송되는 오일은 다양한 과정을 통해 정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 이송 라인(7)으로 이송되는 오일은 필요에 따라 저장되거나 정제되어 경질유 또는 중질류 등 정제유를 생성할 수 있다. 정제유는 필요에 따라 외부의 사용처로 반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oil transported through the oil transfer line 7 may be purified and used through various processes. For example, the oil transferred to the oil transfer line 7 may be stored or refined as needed to produce refined oil such as light oil or heavy oil. Refined oil can be carried out and used outside the place of use as needed.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버너로 공급 라인(6) 또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를 통해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가연성 가스 또는 미응축 가스가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pyrolyzing waste includes flowing combustible gas or uncondensed gas to a waste heat recovery unit (30) through a supply line (6) or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 to a burner.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유동된 가연성 가스 또는 미응축 가스는 완전 연소되고, 이때 발생되는 열이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공급되어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은 공정수로 회수하여 스팀을 생산하고 사용될 수 있다. 폐열 회수 후 배출되는 연소 가스는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배출된다.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이송되는 연소 가스는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방지 시설들을 거친 후 배출될 수 있다. The combustible gas or non-condensed gas flowing into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is completely burned, and the heat generated at this time can be supplied to and recovered from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 In addition, waste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can be recovered as process water to produce and use steam.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after waste heat recovery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 The combustion gas transport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may be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prevention facilities for removing contaminants.

폐열 회수 유닛(30)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가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연소 가스의 폐열은 폐열 회수 유닛(30)의 보일러(35)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and flowing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 In this process,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may be recovered by the boiler 35 of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유화유닛(20)이 생략되고 수소개질유닛(60)이 추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천정 크레인 등의 투입 수단(2)을 통해 폐기물(W)이 열분해로(11, 12)에 투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pyrolysis method of was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ulsification unit 20 may be omitted and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may be added. Referring to FIG. 9 , in detail, in a waste pyrolysis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W is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through an input means 2 such as an overhead crane. includes

열분해로(11, 12)에는 연소에 필요한 기체 및 연료가 투입된다. 예를 들어, 각 열분해로(11, 12)에는 외기가 공급되거나, 혼합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혼합가스는 예를 들어, 순산소와 스택(55)으로 배출되기 직전의 배기가스가 혼합된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열분해로(11, 12)에서 폐기물(W)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된다.Gas and fuel required for combustion are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 For example, outside air or mixed gas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 At this time, the mixed gas may be supplied in the form of a mixture of pure oxygen and exhaust gas immediately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stack 55, for example. At this time, combustible gas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the waste W in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열분해로(11, 12)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a)을 통해 수소개질유닛(60)으로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연성 가스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a)을 통해 이동하고, 열분해 후 남는 재(4)는 에이프런 컨베이어(apron conveyor) 등의 폐기물 이송 장치를 통해 별도로 처리될 수 있다.The waste pyrolysis method includes a step of flowing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to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through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a. The combustible gas moves through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a, and the ash 4 remaining after pyrolysis can be separately processed through a waste transfer device such as an apron conveyor.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수소개질유닛(60)에서 수소가 추출된 가연성 가스, 즉, 개질가스가 개질 가스 이송 라인(8a)을 통해 버너로(18)로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수소개질유닛(60)을 통과한 가연성 가스 또는 개질가스가 개질 가스 이송 라인(8a)을 통해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개질 가스가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waste pyrolysis method includes flowing combustible gas from which hydrogen is extracted in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that is, reformed gas, to the burner furnace 18 through the reformed gas transfer line 8a. That is, the reformed gas flowing through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to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through the reformed gas transfer line 8a is included.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유동된 가연성 가스 또는 미응축 가스는 완전 연소되고, 이때 발생되는 열이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공급되어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은 공정수로 회수하여 스팀을 생산하고 사용될 수 있다. 폐열 회수 후 배출되는 연소 가스는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배출된다.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이송되는 연소 가스는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방지 시설들을 거친 후 배출될 수 있다. The combustible gas or non-condensed gas flowing into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is completely burned, and the heat generated at this time can be supplied to and recovered from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 In addition, waste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can be recovered as process water to produce and use steam.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after waste heat recovery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 The combustion gas transport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may be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prevention facilities for removing contaminants.

폐열 회수 유닛(30)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가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연소 가스의 폐열은 폐열 회수 유닛(30)의 보일러(35)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and flowing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 In this process,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may be recovered by the boiler 35 of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

또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유화유닛(20)의 후단에 수소개질유닛(60)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천정 크레인 등의 투입 수단(2)을 통해 폐기물(W)이 열분해로(11, 12)에 투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ermal decomposition method of was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may be added to the rear end of the emulsification unit 20. Referring to FIG. 10, in detail, in the pyrolysis method of was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te W is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through an input means 2 such as an overhead crane. Include steps.

열분해로(11, 12)에는 연소에 필요한 기체 및 연료가 투입된다. 예를 들어, 각 열분해로(11, 12)에는 외기가 공급되거나, 혼합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혼합가스는 예를 들어, 순산소와 스택(55)으로 배출되기 직전의 배기가스가 혼합된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열분해로(11, 12)에서 폐기물(W)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된다.Gas and fuel required for combustion are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 For example, outside air or mixed gas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 At this time, the mixed gas may be supplied in the form of a mixture of pure oxygen and exhaust gas immediately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stack 55, for example. At this time, combustible gas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the waste W in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열분해로(11, 12)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을 통해 유화유닛(20) 또는 버너로(18)로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waste pyrolysis method includes a step in which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s 11 and 12 flows through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to an emulsification unit 20 or a burner furnace 18.

가연성 가스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을 통해 이동하고, 열분해 후 남는 재(4)는 에이프런 컨베이어(apron conveyor) 등의 폐기물 이송 장치를 통해 별도로 처리될 수 있다.The combustible gas moves through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and the ash 4 remaining after pyrolysis can be separately processed through a waste transfer device such as an apron conveyor.

이때,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3)은 유화유닛(20)으로 연결되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 및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연결되는 버너로 공급 라인(6)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열분해유닛(10)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는 열분해 초기에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으로 유동되고, 열분해 중기 이후부터 버너로 공급 라인(6)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기에는 제3 가스 덕트(21)가 개방되고, 제4 가스 덕트(31)는 폐쇄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중기 이후에는 제3 가스 덕트(21)가 폐쇄되고, 제4 가스 덕트(31)가 개방되도록 제어된다.At this time,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3 is branched into a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unit 20 and a supply line 6 to a burner connected to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 In addition,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unit 10 may flow into the gas supply line 5 for emulsification at the beginning of pyrolysis, and flow into the supply line 6 to the burner from the middle of pyrolysis. To this end, the third gas duct 21 is initially opened, and the fourth gas duct 31 is controlled to be closed. Also, after the middle period, the third gas duct 21 is closed and the fourth gas duct 31 is controlled to be opened.

예를 들어, 열분해유닛(10)에서는 24 시간동안 열분해가 진행되면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제1 열분해로(11)와 제2 열분해로(12)는 12 시간씩 교호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12 시간의 열분해 과정 중 초기 5 시간 정도까지 발생된 가연성 가스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으로 유동되어 유화 공정에 이용되고, 5 시간 이후부터 나머지 시간 동안 발생된 가연성 가스는 버너로 공급 라인(6)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yrolysis unit 10, a combustible gas may be generated while pyrolysis proceeds for 24 hours. At this time, the first pyrolysis furnace 11 and the second pyrolysis furnace 12 may be alternately operated for 12 hours each, and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up to the initial 5 hours during the 12-hour pyrolysis process is a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 5) and used in the emulsification process, and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during the rest of the time from 5 hours onwards can flow into the supply line 6 to the burner.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유화유닛(20)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을 통해 버너로(18)로 유동되는 단계 및 유화유닛(20)에서 생성된 오일이 오일 이송 라인(7)을 통해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thermal decomposition method of waste is a step in which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flows to the burner furnace 18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s 8b and 8c, and the oil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and flowing through the oil transfer line (7).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5)을 통해 유화유닛(20)에 투입된 가연성 가스는 유화유닛(20)에서 냉각되면서 적어도 일부가 오일로서 응축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유화유닛(20)에서 가연성 가스는 오일과 오일로 응축되지 못한 미응축 가스로 분리된다. 그리고, 오일은 오일 이송 라인(7)을 통해 이송되고, 미응축 가스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을 통해 유동된다.At least a part of the combustible gas introduced into the emulsification unit 20 through the emulsification gas supply line 5 may be condensed as oil while being cool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 In other words,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the combustible gas is separated into oil and uncondensed gas that is not condensed into oil. Then, the oil is transferred through the oil transfer line 7, and the uncondensed gas flows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s 8b and 8c.

오일 이송 라인(7)을 통해 이송되는 오일은 다양한 과정을 통해 정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 이송 라인(7)으로 이송되는 오일은 필요에 따라 저장되거나 정제되어 경질유 또는 중질류 등 정제유를 생성할 수 있다. 정제유는 필요에 따라 외부의 사용처로 반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oil transported through the oil transfer line 7 may be purified and used through various processes. For example, the oil transferred to the oil transfer line 7 may be stored or refined as needed to produce refined oil such as light oil or heavy oil. Refined oil can be carried out and used outside the place of use as needed.

이때,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상에 수소개질유닛(60)이 설치된다. 그에 따라,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을 통해 유동되는 미응축 가스는 수소개질유닛(60)을 통과하며 수소가 추출될 수 있다. 즉, 유화유닛(20)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을 통해 버너로(18)로 유동되는 단계는, 유화유닛(20)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 상에 설치된 수소개질유닛(60)을 통과하며 미응축 가스 내에 포함된 수소가 추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is installed on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s 8b and 8c. Accordingly, the uncondensed gas flowing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s 8b and 8c passes through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and hydrogen can be extracted. That is, in the step of flowing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to the burner furnace 18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s 8b and 8c,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20 is and extracting hydrogen contained in the uncondensed gas while passing through the hydrogen reforming unit 60 installed on the condensed gas transfer lines 8b and 8c.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은, 버너로 공급 라인(6) 또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8b, 8c)를 통해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가연성 가스 또는 미응축 가스 또는 개질가스가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waste pyrolysis method includes flowing combustible gas or uncondensed gas or reformed gas to a waste heat recovery unit 30 through a supply line 6 to a burner or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8b, 8c.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유동된 가연성 가스 또는 미응축 가스가스 또는 개질가스는 완전 연소되고, 이때 발생되는 열이 폐열 회수 유닛(30)으로 공급되어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은 공정수로 회수하여 스팀을 생산하고 사용될 수 있다. 폐열 회수 후 배출되는 연소 가스는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배출된다.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이송되는 연소 가스는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방지 시설들을 거친 후 배출될 수 있다. The combustible gas, uncondensed gas, or reformed gas flowing into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is completely burned, and the heat generated at this time can be supplied to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and recovered. In addition, waste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can be recovered as process water to produce and use steam.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after waste heat recovery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 The combustion gas transport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may be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prevention facilities for removing contaminants.

폐열 회수 유닛(30)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가 연소 가스 이송 라인(9)을 통해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연소 가스의 폐열은 폐열 회수 유닛(30)의 보일러(35)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and flowing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through the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9 . In this process,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may be recovered by the boiler 35 of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30 .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폐기물 열분해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연성 가스를 통해 효율적으로 오일을 생성하여 자원의 재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waste of resources by efficiently reusing combustible gas generated during pyrolysis of waste.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ecycling of resources by efficiently generating oil through combustible ga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basic ideas disclosed herei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indicated by combining/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also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is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열분해시스템 2: 투입 수단
3: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 5: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6: 버너로 공급 라인 8: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
10: 분해유닛 20: 유화유닛
30: 폐열 회수 유닛 60: 수소개질유닛
100: 유화장치 110: 내부 케이스
120: 외부케이스 130: 가이드 부재
W: 폐기물
1: pyrolysis system 2: input means
3: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5: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6: supply line to burner 8: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10: decomposition unit 20: emulsification unit
30: waste heat recovery unit 60: hydrogen reforming unit
100: emulsifier 110: inner case
120: outer case 130: guide member
W: waste

Claims (24)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열분해로 및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하는 버너로를 포함하는 열분해유닛;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냉각하여 오일을 생성하고, 미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유화유닛;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유닛;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유동되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 및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유동되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은 상기 유화유닛으로 연결되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및 상기 버너로로 연결되는 버너로 공급 라인으로 분기되고,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와 상기 유화유닛에서 배출되는 미응축 가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버너로로 투입되어 완전 연소되고,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열분해 초기에는 상기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으로 공급되고, 열분해 중기 이후부터 상기 버너로 공급 라인으로 공급되고,
상기 폐열 회수 유닛은,
상기 버너로의 후단에 연결되는 보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는,
상기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버너로로 공급되는 미응축 가스 및 열분해 중기 이후부터 상기 버너로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버너로로 공급되는 가연성 가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버너로에서 완전 연소될 때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 pyrolysis unit including one or more pyrolysis furnaces into which wastes are input, thermally decomposing the inputted wastes to generate combustible gases, and a burner furnace that completely burns the combustible gase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s;
an emulsification unit cooling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to produce oil and discharging uncondensed gas;
a waste heat recovery unit that recovers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flows; and
And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flows,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is branched into a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unit and a supply line to the burner connected to the burner furnace,
Any one or both of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from the pyrolysis furnace and the uncondensed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unit are introduced into the burner furnace and completely burned,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is supplied to the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at the beginning of pyrolysis, and supplied to the supply line to the burner from the middle of pyrolysis,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Including a boil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urner,
The boiler,
Occurs when at least one of the uncondensed gas supplied to the burner furnace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and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to the burner furnace through the burner supply line from the middle of pyrolysis are completely burned in the burner furnace to recover the waste heat that
Waste pyrolysis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및 상기 버너로 공급 라인에는 가스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가스 덕트가 각각 구비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and the supply line to the burner are each provided with a gas duc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s flow path.
Waste pyrolysis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유닛은,
하나 이상의 유화장치;
상기 유화장치에서 발생되는 오일이 이동되어 저장되는 오일저장소; 및
상기 유화장치에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라인 및 냉각수 토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유화장치로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응축되어 생성된 오일은 상기 오일저장소로 이동되며, 나머지 응축되지 않은 가스는 상기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버너로로 이송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mulsification unit,
one or more emulsifiers;
an oil reservoir in which the oil generated from the emulsification device is moved and stored; and
Including a cooling water inlet line and a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device,
The oil generated by condensing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by the emulsification device is moved to the oil storage, and the remaining uncondensed gas is transferred to the burner furnace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Waste pyrolysis system.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장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냉각수 유입 라인은 상기 복수의 유화장치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냉각수 토출 라인은 상기 복수의 유화장치의 나머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유화유닛은,
상기 복수의 유화장치를 차례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화연결라인; 및
상기 복수의 유화장치를 차례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수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응축되지 않은 가스는 상기 유화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복수의 유화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유동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emulsifying device is provided in plurality, the cooling water inlet line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mulsifying devices, and the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emulsifying devices,
The emulsification unit,
at least one emulsification connecting line sequenti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emulsification devices; and
At least one cooling water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emulsification devices in turn,
The uncondensed gas flows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emulsification devices to the other through the emulsification connection line.
Waste pyrolysis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유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장치는,
오일이 생성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에 이격배치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가스가 유입되어 오일이 생성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mulsific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emulsification device,
The emulsification device,
An inner case formed with an inner space in which oil is generated;
an outer cas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ase; and
Including a guide member installed through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Gas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through the guide member to generate oil.
Waste pyrolysis system.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결통로; 및
상기 연결통로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연결통로로 유동된 가스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며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guide member,
an inlet portion disposed through the outer case;
a connection passage extending from the inlet and penetrating the inner case; and
And a guid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in the connection passage,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in a spiral shape so that the gas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assage rotat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and moves downward.
Waste pyrolysis system.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extending spirally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and a second guid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n inner end of the first guide portion,
Waste pyrolysis system.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내부 상측부 및 내부 상측부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내부 하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상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 상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상측부; 및
상기 내부 하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 상측부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하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하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 상측부 및 상기 내부 상측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inner case includes an inner upper portion and an inner lower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inner upp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The outer case,
an outer upper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upper portion and disposed outside the inner upper portion; and
An outer lower part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lower part,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nd disposed outside the inner lower part,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through the outer upper part and the inner upper part,
Waste pyrolysis system.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상측부 및 상기 외부 상측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 및
상기 내부 하측부 및 상기 외부 하측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유화장치에서 오일로 응축되지 못한 가스 및/또는 미응축 가스가 유동되는 상측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판에는 상기 유화장치에서 생성된 오일이 유동되는 하측 연결부가 구비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inner case,
a top plate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inner upper part and the outer upper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 lower plate coupled to lower ends of the inner lower part and the outer lower part,
The upper plate is provided with an upper connection portion through which gas and/or uncondensed gas that has not been condensed into oil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flows,
The lower plate is provided with a lower connec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oil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flows,
Waste pyrolysis system.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상측부 및 상기 내부 상측부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 상측부는 상기 내부 상측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외부 상측부 및 상기 내부 상측부는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외부 상측부 및 상기 내부 상측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외부 상측부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 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외부 하측부 및 상기 내부 하측부는 및 서로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 하측부는 상기 내부 하측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외부 하측부 및 상기 내부 상측부는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외부 하측부 및 상기 내부 하측부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외부 하측부의 하단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outer upper part and the inner upper part ar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heigh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outer upper part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upper part, and the outer upper part and the inner upper part are spaced at the same distance in a radial direction being placed,
The top plate is provided as a circular plat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upper portion to cover upper portions of the outer upper portion and the inner upper portion,
The outer lower part and the inner lower part have heigh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in a conical shape with a diameter decreasing toward the bottom, and the outer lower part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lower part and the outer lower part and the inner upper part The parts are spaced apart at the same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lower plate is provided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lower end of the outer lower part to cover the lower part of the outer lower part and the inner lower part,
Waste pyrolysis system.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장치는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라인 및 상기 하판에 연결되는 냉각수 토출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유입라인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동되어 상기 냉각수 토출라인을 통해 토출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emulsific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cooling water inlet lin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and a cooling water discharge line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The coolant introduced into the coolant inlet line flows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coolant discharge line.
Waste pyrolysis system.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열분해로 및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하는 버너로를 포함하는 열분해유닛;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유닛;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 내에 포함된 수소를 추출하는 수소개질유닛;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스가 상기 수소개질유닛으로 유동되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 및
상기 수소개질유닛을 통과한 가스가 상기 버너로로 유동되는 개질 가스 이송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수소개질유닛을 통과하면서 수소가 추출된 개질 가스는 상기 버너로로 투입되어 완전 연소되고,
상기 폐열 회수 유닛은,
상기 버너로의 후단에 연결되는 보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는,
상기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가연성 가스 및 상기 개질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개질 가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버너로에서 완전 연소될 때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 pyrolysis unit including one or more pyrolysis furnaces into which wastes are input, thermally decomposing the inputted wastes to generate combustible gases, and a burner furnace that completely burns the combustible gase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s;
a waste heat recovery unit that recovers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a hydrogen reforming unit extracting hydrogen contained in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flows to the hydrogen reforming unit; and
A reformed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gas passing through the hydrogen reforming unit flows into the burner furnace;
The reformed gas from which hydrogen is ext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ydrogen reforming unit is introduced into the burner and completely burned,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Including a boil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urner,
The boiler,
Recovering waste heat generated when at least one of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through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and the reformed gas supplied through the reformed gas transfer line are completely burned in the burner furnace,
Waste pyrolysis system.
삭제delet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냉각하여 오일을 생성하고, 미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유화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와 상기 유화유닛 및 상기 수소개질유닛에서 배출되는 개질 가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버너로로 투입되어 완전 연소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n emulsification unit cooling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to generate oil and discharging uncondensed gas,
Any one or both of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from the pyrolysis furnace and the reformed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unit and the hydrogen reforming unit are introduced into the burner furnace and completely burned,
Waste pyrolysis system.
삭제delete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열분해로 및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하는 버너로를 포함하는 열분해유닛;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냉각하여 오일을 생성하고, 미응축 가스를 배출하는 유화유닛;
상기 유화유닛에서 배출되는 미응축 가스 내에 포함된 수소를 추출하고, 개질 가스를 배출하는 수소개질유닛;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유닛;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유동되는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 및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유동되는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은 상기 유화유닛으로 연결되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및 상기 버너로로 연결되는 버너로 공급 라인으로 분기되고,
상기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와 상기 수소개질유닛에서 배출되는 개질 가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버너로로 투입되어 완전 연소되고,
상기 수소개질유닛은 상기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미응축 가스가 상기 수소개질유닛을 통과하면서 미응축 가스로부터 수소가 추출되고,
상기 미응축 가스 이송라인은 상기 유화유닛과 상기 수소개질유닛을 연결하는 제1 리포밍라인과 상기 수소개질유닛과 상기 버너로를 연결하는 제2 리포밍라인으로 구분되고,
상기 폐열 회수 유닛은,
상기 버너로의 후단에 연결되는 보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는,
상기 제2리포밍라인을 통해 상기 버너로로 공급되는 개질 가스 및 열분해 중기 이후부터 상기 버너로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버너로로 공급되는 가연성 가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버너로에서 완전 연소될 때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 pyrolysis unit including one or more pyrolysis furnaces into which wastes are input, thermally decomposing the inputted wastes to generate combustible gases, and a burner furnace that completely burns the combustible gase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s;
an emulsification unit cooling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to produce oil and discharging uncondensed gas;
a hydrogen reforming unit extracting hydrogen contained in the uncondensed gas discharged from the emulsification unit and discharging reformed gas;
a waste heat recovery unit that recovers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flows; and
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through which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furnace flows,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is branched into a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unit and a supply line to the burner connected to the burner furnace,
Either or both of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from the pyrolysis furnace and the reformed gas discharged from the hydrogen reforming unit are introduced into the burner furnace and completely burned;
The hydrogen reforming unit is installed on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While the uncondensed gas flowing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passes through the hydrogen reforming unit, hydrogen is extracted from the uncondensed gas,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is divided into a first reforming line connecting the emulsification unit and the hydrogen reforming unit and a second reforming line connecting the hydrogen reforming unit and the burner,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Including a boil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urner,
The boiler,
Occurs when at least one of the reformed gas supplied to the burner furnace through the second reforming line and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to the burner furnace through the burner supply line from the middle of the pyrolysis stage are completely burned in the burner furnace recover waste heat,
Waste pyrolysis system.
폐기물이 열분해되면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응축시켜서 오일을 생성하는 유화장치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화장치는,
오일이 생성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에 이격배치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폐기물의 열분해 초기에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어 오일이 생성되고, 열분해 중기 이후부터 버너로로 공급되고,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되는 연소 가스의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폐열 회수 유닛은,
상기 버너로의 후단에 연결되는 보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는,
상기 유화장치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 및 열분해 중기 이후부터 상기 버너로로 공급되는 가연성 가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버너로에서 완전 연소될 때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In the waste pyrolysis system including an emulsifier for condensing combustible gas generated as waste is pyrolyzed to produce oil,
The emulsification device,
An inner case formed with an inner space in which oil is generated;
an outer cas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ase; and
Including a guide member installed through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Combustible gas generated at the beginning of pyrolysis of waste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through the guide member to produce oil, and is supplied to the burner from the middle of pyrolysis,
And a waste heat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The waste heat recovery unit,
Including a boil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urner,
The boiler,
Recovering waste heat generated when at least one of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device and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to the burner furnace after the middle of pyrolysis is completely burned in the burner furnace,
Waste pyrolysis system.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결통로; 및
상기 연결통로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연결통로로 유동된 가스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며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7,
The guide member,
an inlet portion disposed through the outer case;
a connection passage extending from the inlet and penetrating the inner case; and
And a guid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in the connection passage,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in a spiral shape so that the gas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assage rotat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and moves downward.
Waste pyrolysis system.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8,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extending spirally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case and a second guid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n inner end of the first guide portion,
Waste pyrolysis system.
폐기물이 열분해유닛에 투입되는 단계;
상기 열분해유닛의 열분해로에서 폐기물이 열분해됨에 따라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유화유닛 또는 버너로로 유동되는 단계;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버너로로 유동되는 단계;
상기 유화유닛에서 생성된 오일이 오일 이송 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단계; 및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가 연소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은 상기 유화유닛으로 연결되는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및 상기 버너로로 연결되는 버너로 공급 라인으로 분기되고,
상기 열분해유닛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열분해 초기에는 상기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으로 유동되고, 열분해 중기 이후부터 상기 버너로 공급 라인으로 유동되고,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의 폐열을 회수하고, 상기 버너로의 후단에 연결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폐열 회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는,
상기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버너로로 공급되는 미응축 가스 및 열분해 중기 이후부터 상기 버너로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버너로로 공급되는 가연성 가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버너로에서 완전 연소될 때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
Putting waste into a pyrolysis unit;
Flowing combustible gas generated as waste is thermally decomposed in the thermal decomposition furnace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unit to an emulsification unit or a burner furnace through 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flowing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to a burner furnace through an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flowing the oil produc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through an oil transfer line; and
Including the step of flowing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through a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is branched into a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connected to the emulsification unit and a supply line to the burner connected to the burner furnace,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unit flows into the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at the beginning of pyrolysis, and flows into the supply line to the burner from the middle of pyrolysis,
A waste heat recovery unit including a boiler that recovers waste heat of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and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burner furnace;
The boiler,
Occurs when at least one of the uncondensed gas supplied to the burner furnace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and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to the burner furnace through the burner supply line from the middle of pyrolysis are completely burned in the burner furnace to recover the waste heat that
Method of pyrolysis of waste.
삭제delete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용 가스 공급 라인 또는 상기 버너로 공급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가연성 가스가 유동되도록 가스 덕트를 통해 가스 유로를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
According to claim 20,
Including the step of opening and closing the gas flow path through a gas duct so that the combustible gas flows to at least one of the gas supply line for emulsification or the supply line to the burner,
Method of pyrolysis of waste.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버너로로 유동되는 단계는,
상기 유화유닛에서 발생된 미응축 가스가 상기 미응축 가스 이송 라인 상에 설치된 수소개질유닛을 통과하며 미응축 가스 내에 포함된 수소가 추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
According to claim 20,
The step of flowing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to the burner furnace through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The uncondensed gas generated in the emulsification unit passes through a hydrogen reforming unit installed on the uncondensed gas transfer line and hydrogen contained in the uncondensed gas is extracted.
Method of pyrolysis of waste.
폐기물이 열분해유닛에 투입되는 단계;
상기 열분해유닛의 열분해로에서 폐기물이 열분해됨에 따라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수소개질유닛 또는 버너로로 유동되는 단계;
상기 수소개질유닛에서 수소가 추출된 개질 가스가 개질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버너로로 유동되는 단계; 및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가 연소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소개질유닛을 통과하면서 수소가 추출된 개질 가스는 상기 버너로로 투입되어 완전 연소되고,
상기 버너로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의 폐열을 회수하고, 상기 버너로의 후단에 연결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폐열 회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는,
상기 가연성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가연성 가스 및 상기 개질 가스 이송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개질 가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버너로에서 완전 연소될 때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

Putting waste into a pyrolysis unit;
flowing combustible gas generated as waste is thermally decomposed in the thermal cracking furnace of the thermal cracking unit to a hydrogen reforming unit or a burner furnace through a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flowing reformed gas from which hydrogen is extracted from the hydrogen reforming unit to a burner furnace through a reformed gas transfer line; and
Including the step of flowing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through a combustion gas transfer line,
The reformed gas from which hydrogen is ext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ydrogen reforming unit is introduced into the burner and completely burned,
A waste heat recovery unit including a boiler that recovers waste heat of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burner furnace and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burner furnace;
The boiler,
Recovering waste heat generated when at least one of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through the combustible gas transfer line and the reformed gas supplied through the reformed gas transfer line are completely burned in the burner furnace,
Method of pyrolysis of waste.

KR1020210047214A 2021-04-12 2021-04-12 Pyrolysis system for waste and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 KR1025113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214A KR102511333B1 (en) 2021-04-12 2021-04-12 Pyrolysis system for waste and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214A KR102511333B1 (en) 2021-04-12 2021-04-12 Pyrolysis system for waste and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092A KR20220141092A (en) 2022-10-19
KR102511333B1 true KR102511333B1 (en) 2023-03-17

Family

ID=8380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214A KR102511333B1 (en) 2021-04-12 2021-04-12 Pyrolysis system for waste and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333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693B2 (en) 1996-07-04 2000-09-2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Oil trapp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1062437A (en) 1999-08-27 2001-03-13 Kunio Yoshikawa Waste incineration system and waste incineration process
JP2002141074A (en) 2000-11-02 2002-05-17 Toshiba Corp Integrated system for waste plastic disposal and fuel cell power generation
KR100844531B1 (en) 2007-05-28 2008-07-08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Device for purifying exhausted gas
JP2009096966A (en) 2007-10-18 2009-05-07 Ramusa Abe:Kk Condenser
JP2012011299A (en) 2010-06-30 2012-01-19 Altis:Kk Pyrolyzer, dechlorination treatment apparatus, pyrolysis method and dechlorination method
KR101599358B1 (en) 2015-01-09 2016-03-03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o-oil being able to recycle undecomposed biomas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817728B1 (en) 2016-09-28 2018-01-11 최준호 Continuous Operation Type Liquefaction Facility Using Waste of Synthetic Resi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1657A (en) * 1997-03-17 1998-09-22 Kubota Corp Waste-plastic conversion system into oil
FR2832398B1 (en) * 2001-11-22 2004-10-01 Air Liquide HYDROGEN PRODUCTION PLANT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693B2 (en) 1996-07-04 2000-09-2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Oil trapp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1062437A (en) 1999-08-27 2001-03-13 Kunio Yoshikawa Waste incineration system and waste incineration process
JP2002141074A (en) 2000-11-02 2002-05-17 Toshiba Corp Integrated system for waste plastic disposal and fuel cell power generation
KR100844531B1 (en) 2007-05-28 2008-07-08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Device for purifying exhausted gas
JP2009096966A (en) 2007-10-18 2009-05-07 Ramusa Abe:Kk Condenser
JP2012011299A (en) 2010-06-30 2012-01-19 Altis:Kk Pyrolyzer, dechlorination treatment apparatus, pyrolysis method and dechlorination method
KR101599358B1 (en) 2015-01-09 2016-03-03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o-oil being able to recycle undecomposed biomas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817728B1 (en) 2016-09-28 2018-01-11 최준호 Continuous Operation Type Liquefaction Facility Using Waste of Synthetic Res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092A (en)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34903A (en) How to create clean energy from coal
RU2595747C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incinerator ash
KR20030085599A (en)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807200B1 (en) Incinerator built-in type waste heat recovery device
KR102511333B1 (en) Pyrolysis system for waste and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
JP3038185B2 (en) Waste incineration equipment
KR102554872B1 (en) Pyrolysis system for waste
KR100215628B1 (en) Process and device for treating gaseous effluents issued from a catalytic cracker
JPH11159718A (en) Device and method for combustion
US201702538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synthesis gas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1649331A (en) High-efficient rubbish pyrolytic processing system
CN110107907B (en) Organic chemical industry smart distillation residue burns processing system
KR102622121B1 (en) A feeder for waste
US9005332B2 (en) Process for producing pig iron or liquid primary steel products
KR102656341B1 (en) Pyrolysis apparatus for waste
CN212408671U (en) High-efficient rubbish pyrolytic processing system
CN113166661A (en) Reactor and process for gasifying and/or melting raw materials
JP3270457B1 (en) Waste treatment method and gasification and melting equipment
RU2305032C1 (en) Aggregate for the waste reprocessing
KR102560428B1 (en) Devices for pyrolysis emulsifying the continuous injection of waste synthetic resins and flammable wastes
KR20240000674A (en) Pyrolysis system for waste and pyrolysis method using the same
RU2229060C2 (en) Oil-slime heat treatment installation
KR102499082B1 (en) Pyrolysis and gasification system and facilities for syngas generation
JP3270447B2 (en) Waste treatment method and gasification and melting equipment
JPH11197627A (en) Waste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