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946B1 - 쇼벨 - Google Patents

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946B1
KR102550946B1 KR1020207003324A KR20207003324A KR102550946B1 KR 102550946 B1 KR102550946 B1 KR 102550946B1 KR 1020207003324 A KR1020207003324 A KR 1020207003324A KR 20207003324 A KR20207003324 A KR 20207003324A KR 102550946 B1 KR102550946 B1 KR 102550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rollover valve
shovel
upper swing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448A (ko
Inventor
요시토 코야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3Tank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75Arrangement of valve arrangements on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23Arrangements of the venting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4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 B60K2015/0355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the venting means are integrated into the fuel filler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4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 B60K2015/03557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comprising elements of the venting device integrated in the fuel tank, e.g. vapor recover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B60K2015/03576Venting during filling the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6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being part of the chassis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쇼벨은, 하부주행체와,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선회체와, 상부선회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붐과, 붐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암과,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엔진과,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유압펌프와,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연료탱크와, 연료탱크의 상면에 마련되는, 작업원이 이동하기 위한 작업용 통로와, 연료탱크의 상부에 마련되며, 또한 작업용 통로와는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롤오버밸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쇼벨
본 개시는, 쇼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쇼벨의 연료탱크에서는, 급유구의 캡에 외부와의 통기기능이 마련되어, 연료탱크 내의 연료가 엔진에 공급됨에 따라 통기기능을 통하여 탱크 내부에 공기가 도입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0-192507호
급유구의 캡에 통기기능이 있으면, 쇼벨의 전도(轉倒)시에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통기기능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전도시의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쇼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1 관점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붐과, 상기 붐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암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엔진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유압펌프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상면에 마련되는, 작업원이 이동하기 위한 작업용 통로와, 상기 연료탱크 상부에 마련되며, 또한 상기 작업용 통로와는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롤오버밸브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전도시의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쇼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부선회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부선회체의 연료탱크 부근을 확대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롤오버밸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b는 롤오버밸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c는 롤오버밸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롤오버밸브의 배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연료탱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롤오버밸브의 배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연료탱크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롤오버밸브의 보호커버를 구비하는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롤오버밸브의 보호커버를 구비하는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X방향, Y방향, Z방향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며, X방향 및 Y방향은 수평방향, Z방향은 연직방향이다. X방향은, 쇼벨(100)의 전후방향이고, 전방측이 X정방향이며, 후방측이 X부방향이다. Y방향은, 쇼벨(100)의 좌우폭방향이고, 좌측이 Y정방향, 우측이 Y부방향이다. Z방향은, 쇼벨(100)의 높이방향이고, 상측이 Z정방향, 하측이 Z부방향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100)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벨(100)은 하부주행체(1), 상부선회체(2), 캐빈(3), 붐(4), 암(5), 및 버킷(6)을 갖는다. 상부선회체(2)는, 선회기구(도시생략)를 개재하여 하부주행체(1)에 탑재된다. 상부선회체(2)의 좌측 전(前)부에, 내부에 운전석이 마련된 캐빈(3)이 배치된다. 상부선회체(2)의 전부 중앙에 붐(4)의 일단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암(5)은 붐(4)의 선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엔드어태치먼트인 버킷(6)은, 암(5)의 선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버킷(6) 대신에, 브레이커나 파쇄기와 같은 엔드어태치먼트가 암(5)의 선단부에 장착되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쇼벨(100)의 상부선회체(2)에 탑재된 부품의 점검·수리 등을 행할 때에 작업자는 상부선회체(2) 위에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부선회체(2)에는 작업자가 상부선회체(2) 위에 올라갈 때에 잡기 위한 혹은 상부선회체(2)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가드레일이 장착된다.
도 2는, 상부선회체(2)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부선회체(2)의 연료탱크(19F) 부근을 확대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도 2에서는, 도시 편의상, 붐(4)이 분리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3)의 후방에는 에어클리너실(8)이 형성된다. 에어클리너실(8) 내에는 에어클리너 등이 수용된다. 또, 에어클리너실(8)의 상부는 천판(8a)으로 덮인다.
에어클리너실(8)의 후방에는 라디에이터실(9)이 형성된다. 라디에이터실(9) 내에는 배터리, 라디에이터 등이 수용된다. 라디에이터실(9)의 후방에는 카운터웨이트가 배치된다.
캣워크(20L)는, 상부선회체(2)의 좌단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캣워크(20L)는, 상부선회체(2)의 좌단에서 선회프레임(2a)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고, 또한 선회프레임(2a)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드레일(G1)은, 상부선회체(2)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드레일(G1)은 에어클리너실(8) 위에 있는 천판(8a)에 볼트체결로 고정된다. 가드레일(G1)은 천판(8a)에 용접되어도 된다.
스테이(CS1, CS2)는, 캣워크(20L)에 대응하여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또한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된다. 또, 캣워크(20L)에 대한 스테이(CS1, CS2)의 높이는 소정 범위 내가 되도록 배치된다. 소정 범위는 예를 들면 1000~1300mm이다.
스테이(CS1)는 가드레일(G1)의 외프레임부재(G10)에 용접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CS1)는 가드레일(G1)의 외프레임부재(G10)에 대하여 좌외측(캣워크(20L)측)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또, 스테이(CS2)는 볼트체결로 고정된다.
상부선회체(2)의 후방에는 펌프실(7)이 형성된다. 펌프실(7) 내에는 엔진(11) 및 유압펌프(14) 등이 수용된다.
펌프실(7) 및 라디에이터실(9)의 상부는 엔진후드(7a)로 덮인다. 작업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8a)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면커버(2b) 위에 서서, 엔진후드(7a)의 전방에 있는 손잡이(7a3)를 당겨올려 엔진후드(7a)를 열 수 있다. 엔진후드(7a)는, 손잡이(7a3)가 당겨올려지면, 힌지(7a1, 7a2)를 회동축으로 하여 열린다.
펌프실(7)의 전방에는, 유압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탱크(19S), 및 엔진(11)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19F)가 배치된다. 작동유탱크(19S) 및 연료탱크(19F)의 위에는 천판(7b, 7c)이 설치된다. 천판(7b, 7c)의 위에서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캣워크(20R)는, 상부선회체(2)의 우단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캣워크(20R)는, 상부선회체(2)의 우단에서 선회프레임(2a)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고, 또한 선회프레임(2a)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드레일(G2, G3)은, 상부선회체(2)의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드레일(G2)은 연료탱크(19F)의 위에 있는 천판(7c)에 볼트체결로 고정된다. 또, 가드레일(G3)은 작동유탱크(19S)의 위에 있는 천판(7b)에 볼트체결로 고정된다. 다만, 가드레일(G2, G3)은 천판(7b, 7c)에 용접되어도 된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레일(G2)은 외프레임부재(G20) 및 횡부재(G22)를 포함하며, 외프레임부재(G20)의 양단이 천판(7c)에 고정된다. 그리고, 횡부재(G22)에 의하여 외프레임부재(G20)의 내측이 구획된다. 마찬가지로, 가드레일(G3)은 외프레임부재(G30) 및 횡부재(G32)를 포함하며, 외프레임부재(G30)의 양단이 천판(7b)에 고정된다. 그리고, 횡부재(G32)에 의하여 외프레임부재(G30)의 내측이 구획된다.
스테이(CS3~CS6)는, 캣워크(20R)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또한 수평으로 뻗도록 배치된다. 또, 캣워크(20R)에 대한 스테이(CS3~CS6)의 높이는 소정 범위 내가 되도록 배치된다. 소정 범위는 예를 들면 1000~1300mm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CS3)는 가드레일(G2)의 외프레임부재(G20)에 용접된다. 그리고, 스테이(CS3)는, 가드레일(G2)의 외프레임부재(G20) 및 급유구(19Fa)에 대하여 우외측(캣워크(20R)측)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스테이(CS4)는 가드레일(G3)의 외프레임부재(G30)에 용접된다. 그리고, 스테이(CS4)는, 가드레일(G3)의 외프레임부재(G30)에 대하여 우외측(캣워크(20R)측)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스테이(CS5)는 펌프실(7) 내에서 하우스프레임(도시생략)에 볼트체결로 고정된다.
연료탱크(19F)의 전방에는, 엔진(11)의 배기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제(예를 들면, 환원제로서의 요소수)가 저장되는 처리제탱크(19R)가 배치된다. 또, 처리제탱크(19R)는 처리제탱크커버(40)가 닫히면 그 상면이 처리제탱크커버(40)로 덮이고, 처리제탱크커버(40)가 열리면 그 상면이 노출된다. 또, 처리제탱크커버(40)의 상면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낮게 되어 있으며, 단차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차는 작업자가 상부선회체(2)에 올라갈 때 사용하는 계단을 형성한다.
처리제탱크커버(40)의 전방에는, 작업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갖는 공구상자(22)가 설치된다. 공구상자(22)의 상면도 작업자가 상부선회체(2) 위에 올라갈 때 사용하는 계단의 일부로서 이용된다.
공구상자(22)가 설치된 부분의 전방에는, 작업자가 상부선회체(2)에 올라갈 때 사용하는 계단의 일부로서 이용되는 발받침대로서 스텝(23)이 마련된다. 스텝(23)은 공구상자(22)가 설치된 부분의 전방에 있어서 선회프레임(2a)에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스텝(23)의 상면, 공구상자(22)의 상면, 처리제탱크커버(40)의 상면, 및 연료탱크(19F) 위의 천판(7c)의 상면에 의하여, 작업자가 상부선회체(2)에 올라갈 때 사용하는 계단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계단의 근방에, 가드레일(G4)로서의 난간유닛(50)이 장착된다. 난간유닛(50)은, 상부선회체(2)에 있어서, 전부 좌측에 배치된 캐빈(3)과는 반대측인 전부 우측에 배치된다. 또, 상부선회체(2)의 전부 중앙에는, 붐(4)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붐지지브래킷(4a)이 고정된다. 따라서, 붐지지브래킷(4a)과 난간유닛(50) 사이에 상술한 계단이 형성된다.
난간유닛(50)은, 작업자가 잡고 몸을 지탱하기 위한 제1 난간으로서 핸드레일(52)을 갖는다. 또, 난간유닛(50)은, 핸드레일(52)의 하방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난간으로서 핸드레일(54)을 갖는다. 핸드레일(54)은, 작업자가 캣워크(20R) 위를 이동할 때의 난간인 스테이(CS6)로서 기능하는 것 외에, 난간유닛(50)(핸드레일(52))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로서도 기능한다. 난간유닛(50)의 전단(낮은 쪽)은 선회프레임(2a)의 전단면에 고정되고, 후단(높은 쪽)은 연료탱크(19F) 위의 천판(7c)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 상기의 계단에서 이어지는 연료탱크(19F) 위의 천판(7c)의 가드레일(G2)보다 기체 내측(Y정방향측)의 부분과, 작동유탱크(19S)의 위에 있는 천판(7b)의 가드레일(G3)보다 내측의 부분과, 상면커버(2b)와, 에어클리너실(8) 상부의 천판(8a)의 가드레일(G1)보다 기체 내측(Y부방향측)의 부분에 의하여, 작업원이 상부선회체(2) 위에서 점검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용 통로(70)(도 5 참조)가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탱크(19F)의 천판(7c)에 설치되는 가드레일(G2) 중 외프레임부재(G20)를, 작업용 통로(70)를 지나가는 작업원이 이동시에 파지하기 위한 "난간부"라고도 표현한다.
연료탱크(19F)의 급유구(19Fa)(급액구)는, 이 난간부(외프레임부재(G20))의 Y방향의 위치에 외측 단부가 있도록, 천판(7c)(탱크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작업용 통로를 통행하는 작업원의 방해가 되지 않으며, 또한 작업용 통로(70)측과 캣워크(20R)측의 양방으로부터 급유하기 쉬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탱크(19F)의 급유구(19Fa)는 작업용 통로(70) 이외의 위치에 마련된다. 즉, 연료탱크(19F)의 천판(7c) 중, 급유구(19Fa)보다 기체 내측의 부분이 작업용 통로(70)가 된다. 다만, 연료탱크(19F)의 천판(7c)에 작업원의 안전을 위하여 미끄럼방지시트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미끄럼방지시트의 부분을 작업용 통로(70)로 할 수도 있다.
연료탱크(19F)는, 내부의 연료가 엔진(11)에 공급됨에 따라 탱크 내부에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탱크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같이 종래는 급유구의 캡에 통기기능이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유구(19Fa)의 캡은 통기기능을 갖지 않고 급유구(19Fa)를 밀봉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탱크(19F)의 통기기능으로서, 급유구(19Fa)와는 별도로 롤오버밸브(60)가 마련된다. 롤오버밸브(60)는, 통상시에는 개방되어 있어 탱크 내부와 외부를 도통(導通)하는 한편, 연료가 용적 가득히 찰 때까지 탱크 내에 들어가 유면이 높을 때나, 쇼벨 횡전에 의하여 연료탱크가 경사졌을 때에 폐쇄된다. 본 실시형태의 쇼벨(100)은, 연료탱크(19F)의 급유구(19Fa)를 캡으로 밀폐하고, 또한 롤오버밸브(60)를 마련함으로써, 연료탱크(19F)가 바로 서 있을 때에는, 롤오버밸브(60)를 통하여 연료탱크(19F)와 외부와의 공기의 도통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연료탱크(19F)가 횡전(橫轉)이나 전복되었을 때에는, 급유구(19Fa) 및 롤오버밸브(60)로부터의 연료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롤오버밸브(60)는, 연료탱크(19F)의 상부에 마련되며, 또한 작업용 통로(70)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오버밸브(60)는, 연료탱크(19F)의 천판(7c) 중 난간부(외프레임부재(G20))보다 기체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롤오버밸브(60)를 작업용 통로(70)로부터 확실하게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작업용 통로(70)를 통행하는 작업원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 롤오버밸브(60)를 작업용 통로(70)로부터 떨어뜨려 배치함으로써, 작업원의 신발에 부착된 토사 등의 이물이 롤오버밸브(60)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이물에 의한 롤오버밸브(60)의 기능부전(탱크가 바로 서 있을 때 개방상태가 되지 않는 상황 등)이 발생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연료탱크(19F)는, 롤오버밸브(60)와, 급유구(19Fa)와, 호스(66)와, 액면설정상한(UL)(도 6 참조)을 갖는다.
액면설정상한(UL)은, 연료탱크(19F)에 연료를 넣을 수 있는 최대량이 들어갔을 때의 액면높이이다. 연료탱크(19F)에는, 연료탱크(19F)의 측면 상방에 연료잔량계로서의 레벨게이지(67)(도 6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벨게이지(67)에 나타나는 눈금의 최댓값이 액면설정상한(UL)이 된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이 레벨게이지(67)를 이용하여 연료의 액면이 액면설정상한(UL)이 될 때까지 급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롤오버밸브(60)는, 액면설정상한(UL)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이것은, 롤오버밸브(60)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기능을 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벨게이지(67)에 나타나는 눈금의 최댓값을 액면설정상한(UL)으로 했지만, 오차 등을 고려하여, 눈금의 최댓값을 밑도는 위치를 액면설정상한(UL)으로 해도 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벨게이지(67)를 이용하여 액면설정상한(UL)을 시인(視認)하고 있었지만, 플로트식의 연료잔량계나 센서식의 연료잔량계를 이용해도 된다.
플로트식의 경우에는, 연료탱크(19F) 내의 연료가 가득 찼을 때에 플로트의 선단을 급유구(19Fa)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연료를 급유구(19Fa)로 부으면서, 연료잔량계인 플로트의 선단의 위치를 시인함으로써, 연료탱크(19F) 내의 연료의 급유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도 4c는, 롤오버밸브(60)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a~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오버밸브(60)는, 예를 들면 밸브체(61)와, 플로트(62)와, 스프링(63)과, 가이드(64)를 갖는다.
밸브체(61)와 플로트(62)는 스프링(63)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가이드(64)에 수용되어 있다. 가이드(64)는, 연료탱크(19F)의 표면에 관통하여 마련되는 배출통로(65)의 연통방향을 따라, 밸브체(61) 등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통형상부재이다. 가이드(64)에는, 배출통로(65)와 반대측의 바닥면에 개구부(64a)가 마련된다. 또, 가이드(64)의 둘레면에는 연통구멍(64b)이 마련된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탱크(19F)가 바로 서 있을 때, 또한 탱크 내부의 연료의 액면이 가이드(64)의 개구부(64a)보다 하방에 있을 때, 배출통로(65)의 직하에 가이드(64)가 배치되며, 가이드(64)의 개구부(64a)가 가장 하방으로 된다. 가이드(64)의 내부에서는 밸브체(61)에 대하여 플로트(62)가 하방에 배치된다. 도 4a에서는, 탱크 내부의 연료의 액면이 가이드(64)의 개구부(64a)보다 하방에 있으므로, 플로트(62)는 액면으로부터의 부력을 받을 수 없다. 이 때문에, 플로트(62)는 가이드(64)의 바닥면에 접지하고, 밸브체(61)의 중량에 의하여 스프링(63)이 수축되어, 밸브체(61)가 배출통로(65)로부터 하방으로 이간하여 개방상태가 된다. 이 때, 연통구멍(64b)은, 배출통로(65)와 밸브체(61) 사이에 있으므로, 배출통로(65)와 탱크 내부를 연통시키고, 이로써 탱크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과 외부로의 공기유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탱크(19F)가 바로 서 있을 때, 또한 탱크 내부의 연료의 액면이 가이드(64)의 개구부(64a)보다 상방에 있을 때, 개구부(64a)로부터 가이드(64)의 내부로 연료가 유입되고 부력에 의하여 플로트(62)가 밀려올라간다. 이로써, 밸브체(61)도 스프링(63)을 통하여 부력을 받아 상승하고, 밸브체(61)가 배출통로(65)와 접촉하여 폐쇄상태가 된다.
또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탱크(19F)가 횡전·전복되었을 때에는, 밸브체(61)의 중량이 스프링(63)에 가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밸브체(61)가 스프링(63)에 의하여 배출통로(65)측으로 밀려, 밸브체(61)가 배출통로(65)와 접촉하여 폐쇄상태가 된다. 이로써, 탱크가 밀폐상태가 되어, 외부로의 연료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으로 돌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오버밸브(60)에는 대기도통용 호스(66)가 연결되어 있다. 롤오버밸브(60)의 개구부가 호스(66)에 의하여 막히기 때문에, 토사 등의 이물이 롤오버밸브(60)에 부착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어, 이물에 의한 롤오버밸브(60)의 기능부전이 될 우려를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롤오버밸브(60)에 연결된 호스(66)는, 연료탱크(19F)의 측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66)는, 연료탱크(19F)의 측면과 상부선회체(2)의 외벽(탱크횡커버)(21)과의 간극에 하방을 향하여 늘어져 있다. 이로써, 토사 등의 이물이 호스(66)를 통하여 롤오버밸브(60)까지 들어오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호스(66)가, 연료탱크(19F)의 측면과 상부선회체(2)의 외벽(탱크횡커버)(21)과의 간극에 하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호스(66)는, 연료탱크(19F)와 작동유탱크(19S)의 사이에 늘어지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연료탱크(19F)의 처리제탱크(19R)측의 측면(X정방향의 측면)을 따라 늘어지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도 5, 도 6을 참조하여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롤오버밸브(60)의 배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연료탱크(19F)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롤오버밸브(60)의 배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연료탱크(19F)의 측면도이다.
롤오버밸브(60)는, 연료탱크(19F)의 표면 중 작업용 통로(70) 이외의 위치에 마련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롤오버밸브(60a)와 같이, 급유구(19Fa)와 Y방향 위치가 동일한 위치이거나, 급유구(19Fa)보다 기체 외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롤오버밸브(60b)와 같이, 천판(7c)의 기체 내측의 단부에 배치되어도 되고, 롤오버밸브(60c)와 같이, 작동유탱크(19S)측(X부방향측)의 단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5에 점무늬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탱크(19F) 위의 천판(7c) 중, 롤오버밸브(60, 60a, 60b, 60c)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작업용 통로(70)가 된다.
여기에서, 롤오버밸브(60a, 60b, 60c)가 설치된 경우, 호스(66)는, 연료탱크(19F)의 측면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롤오버밸브(60a)가 설치된 경우, 호스(66)는, 연료탱크(19F)의 측면과 상부선회체(2)의 외벽(21)(도 3 참조)과의 간극에 하방을 향하여 배치된다. 롤오버밸브(60b)가 설치된 경우, 호스(66)가, 연료탱크(19F)의 에어클리너실(8)측(도 2 참조)의 측면을 따라 늘어지도록 배치된다. 롤오버밸브(60c)가 설치된 경우, 호스(66)가, 연료탱크(19F)와 작동유탱크(19S)의 사이에 늘어지도록 배치된다.
또, 도 6에는, 레벨게이지(67)가 나타나 있다. 이 레벨게이지(67)에 나타나는 눈금의 최댓값이 액면설정상한(UL)이 된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이 레벨게이지(67)를 이용하여 연료의 액면이 액면설정상한(UL)이 될 때까지 급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오버밸브(60d)는, 액면설정상한(UL)보다 상방, 또한 연료탱크(19F)의 측면에 마련해도 된다.
여기에서, 롤오버밸브(60d)가, 액면설정상한(UL)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것은, 롤오버밸브(60d)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기능을 하기 위해서이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벨게이지(67)를 이용하여 액면설정상한(UL)을 시인하고 있었지만, 플로트식의 연료잔량계나 센서식의 연료잔량계를 이용해도 된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여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7a는, 롤오버밸브(60)의 보호커버(71)를 구비하는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롤오버밸브(60)의 보호커버(71)를 구비하는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쇼벨(100)은, 롤오버밸브(60)의 상방에 마련되는 보호커버(71)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보호커버(71)는, 롤오버밸브(60)에 상방이나 측방으로부터 다른 물체가 닿는 것을 방지하여 롤오버밸브(60)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커버(71)는,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육면체형상 등의 박스체이며, 그 상벽(71a)이나 측벽(71b, 71c, 71d)에 의하여 롤오버밸브(60)의 상방과 측방을 덮도록, 연료탱크(19F)의 표면에 마련된다. 보호커버(71)는, 예를 들면 볼트고정 또는 용접을 이용하여 연료탱크(19F)에 직접 고정된다.
다만, 보호커버(71)는, 적어도 롤오버밸브(60)의 상방을 덮어 보호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롤오버밸브(60)의 X방향 양측의 측벽(71b, 71c)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보호커버(71)는, 도 7a에 예시하는 직육면체형상 외에도, 예를 들면 소정의 곡률을 갖는 돔형상이나, 원기둥형상 등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커버(71)의 상벽(71a)은, 연료탱크(19F)의 상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지만, 보호커버(71)의 상벽(71a)은, 연료탱크(19F)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져도 된다. 또, 보호커버(71)는 바닥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보호커버(71)는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육면체형상의 측면 중 하나가 개구되어 있으며, 롤오버밸브(60)의 측방에 연결되는 호스(66)가 그 개구(72)로부터 돌출한다. 보호커버(71)는, 호스(66)의 돌출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호스(66)의 상방에 마련되는 가림부(73)를 갖는다. 가림부(73)는, 예를 들면 보호커버(71)로부터 호스(66)가 돌출하는 부분의 측면(도 7a에서는 개구(72))의 윗변으로부터 Y부방향측으로 진출하면서, Z부방향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이로써, 호스(66)에 상방이나 측방으로부터 다른 물체가 닿는 것을 가림부(73)가 방지하여 호스(66)를 보호할 수 있다. 또, 가림부(73)를 마련함으로써, 보호커버(71)의 개구(72)로의 이물의 진입을 억제할 수 있다.
가림부(73)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커버(71)로부터 Y부방향측으로, 호스(66)의 전체를 상방으로부터 덮을 수 있는 위치까지 돌출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림부(73)는, 호스(66)의 선단이 배치되는 연료탱크(19F)의 측면과 외벽(탱크횡커버)(21)과의 간극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위치까지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림부(73)는, 외벽(21)의 상단과 겹치는 위치, 또는 상단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위치까지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림부(73)를 마련함으로써, 호스(66)를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오버밸브(60)는 급유구(19Fa)와는 별도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급유구(19Fa)에 롤오버밸브(60)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급유구(19Fa)에 도 4a~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이 구비되며, 급유구(19Fa)의 측면에 대기도통용 호스(66)가 배치된다. 이 때, 호스(66)는, 쇼벨 기체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이와 같이 롤오버밸브(60)와 급유구(19Fa)를 일체화한 구성에서도, 롤오버밸브(60) 및 급유구(19Fa)는 연료탱크(19F)의 상면 중 작업용 통로(70) 이외의 위치에 설치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5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롤오버밸브(60, 60a, 60b, 60c)의 위치 등에, 롤오버밸브(60)와 급유구(19Fa)를 일체화한 것을 설치할 수 있다.
롤오버밸브(60) 및 급유구(19Fa)를 일체형으로 한 경우, 급유시에 액면이 상승하여 밸브가 닫힌 상태가 발생하면, 그 후도 계속 급유하면 흘러넘치는 경우가 생각된다. 그래서 롤오버밸브(60) 및 급유구(19Fa)를 일체형으로 한 경우에는, 롤오버밸브(60)가, 임의로 대기와의 도통을 강제시키는 구성 등, 대기와의 도통을 임의로 전환 가능한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급유시에 액면이 상승해도 대기와 차단되지 않게 할 수 있어, 급유시의 흘러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들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체예에,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을 더한 것도, 본 개시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전술한 각 구체예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조건, 형상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각 구체예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인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적절히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롤오버밸브(60)에 대기도통용 호스(66)가 연결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호스(66)는 생략되어도 된다. 이 경우, 롤오버밸브(60)는 그 측면에 대기도통용 개구를 갖는다.
본 국제출원은 2017년 12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239019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17-239019호의 모든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0 쇼벨
1 하부주행체
2 상부선회체
4 붐
5 암
11 엔진
14 유압펌프
19F 연료탱크
19Fa 급유구(급액구)
60, 60a, 60b, 60c, 60d 롤오버밸브
66 호스
70 작업용 통로
71 보호커버
73 가림부
G20 외프레임부재(난간부)
UL 액면설정상한

Claims (10)

  1.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붐과,
    상기 붐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암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엔진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유압펌프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상면에 마련되는, 작업원이 이동하기 위한 작업용 통로와,
    상기 연료탱크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용 통로를 지나가는 작업원이 이동시에 파지하기 위한 난간부와,
    상기 연료탱크의 상부에 마련되며, 또한 상기 난간부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통로와는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롤오버밸브를 구비하는 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액면설정상한을 갖고,
    상기 롤오버밸브는, 상기 액면설정상한보다 상방에 마련되는, 쇼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밸브는, 상기 연료탱크에 마련되는 급액구보다 기체 외측에 배치되는, 쇼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밸브는, 상기 난간부보다 기체 외측에 배치되는, 쇼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밸브에 연결되는 대기도통용 호스를 구비하는, 쇼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상기 연료탱크의 측면에 배치되는, 쇼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밸브의 상방에 마련되는 보호커버를 구비하는, 쇼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롤오버밸브에 연결되는 대기도통용 호스의 돌출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호스의 상방에 마련되는 가림부를 갖는, 쇼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밸브는, 상기 연료탱크의 급액구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쇼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밸브는, 대기와의 도통을 임의로 전환 가능한, 쇼벨.
KR1020207003324A 2017-12-13 2018-12-12 쇼벨 KR102550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9019 2017-12-13
JPJP-P-2017-239019 2017-12-13
PCT/JP2018/045670 WO2019117195A1 (ja) 2017-12-13 2018-12-12 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448A KR20200095448A (ko) 2020-08-10
KR102550946B1 true KR102550946B1 (ko) 2023-07-03

Family

ID=6681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324A KR102550946B1 (ko) 2017-12-13 2018-12-12 쇼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07949B2 (ko)
EP (1) EP3725956A4 (ko)
JP (1) JP7227921B2 (ko)
KR (1) KR102550946B1 (ko)
CN (1) CN111032964B (ko)
WO (1) WO2019117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2364B2 (ja) * 2017-08-24 2021-12-17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油圧ショベル
JP7396826B2 (ja) * 2019-07-17 2023-12-12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US11891774B2 (en) 2021-03-26 2024-02-06 Caterpillar Inc. Structurally integrated fuel tank
JP2024025941A (ja) * 2022-08-15 2024-02-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507A (ja) 1998-12-25 2000-07-11 Kato Works Co Ltd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
US20020017281A1 (en) * 1999-04-28 2002-02-14 Crary Lynwood F. Vent and rollover valve and fuel pump module
JP2008068779A (ja) 2006-09-15 2008-03-2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燃料タンクの誤給油防止構造
JP2013079106A (ja) 2011-09-25 2013-05-02 Tadashi Iwami 燃料タンクの給油口キャップ
EP3056613A1 (en) 2013-10-08 2016-08-1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018A (en) * 1985-06-11 1988-08-30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Air breather device for a tank
JPH0630521Y2 (ja) * 1987-10-23 1994-08-17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キャップ
KR101088751B1 (ko) * 2004-09-03 2011-12-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연료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건설기계의 연료탱크 환기장치
US20070017918A1 (en) * 2005-07-20 2007-01-25 Kirk J D Fuel tank venting arrangement
KR20120010870A (ko) * 2010-07-27 2012-02-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연료탱크부품 보호구조
JP2016055652A (ja) * 2013-01-24 2016-04-2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
JP5867485B2 (ja) * 2013-11-20 2016-02-2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507A (ja) 1998-12-25 2000-07-11 Kato Works Co Ltd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
US20020017281A1 (en) * 1999-04-28 2002-02-14 Crary Lynwood F. Vent and rollover valve and fuel pump module
JP2008068779A (ja) 2006-09-15 2008-03-2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燃料タンクの誤給油防止構造
JP2013079106A (ja) 2011-09-25 2013-05-02 Tadashi Iwami 燃料タンクの給油口キャップ
EP3056613A1 (en) 2013-10-08 2016-08-1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17195A1 (ja) 2020-12-03
US20200299927A1 (en) 2020-09-24
WO2019117195A1 (ja) 2019-06-20
US11607949B2 (en) 2023-03-21
CN111032964B (zh) 2022-04-08
EP3725956A4 (en) 2020-12-30
KR20200095448A (ko) 2020-08-10
CN111032964A (zh) 2020-04-17
EP3725956A1 (en) 2020-10-21
JP7227921B2 (ja) 202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946B1 (ko) 쇼벨
JP5309976B2 (ja) 作業機械
US9010809B2 (en) Oil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vehicle
JP5949793B2 (ja) 建設機械
US20200040551A1 (en) Construction Machine
JP6392707B2 (ja) 作業機械
JP2008195348A (ja) 車両および作業機械
JP6840557B2 (ja) ショベル
JP7396826B2 (ja) ショベル
CA2960020C (en) Working vehicle
US10024212B2 (en) Work vehicle
CN112639215B (zh) 工程机械
JP2009227213A (ja) 車両および作業機械
JP2007083825A (ja) 給油口の設置構造
JP4953928B2 (ja) 作業用走行車
JP6873630B2 (ja) 小旋回型ショベル
KR102658624B1 (ko)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탱크로리 레일식 안전장치
JP2009137454A (ja) 作業車両の燃料タンク装置
TR2023013308A2 (tr) Paletli̇ ekskavatörler i̇çi̇n eri̇şi̇m düzeneği̇
JP5181230B2 (ja) 乗用型防除機
JP2002088817A (ja) 建設機械の手摺
CN117897534A (zh) 工程机械
JP2021046687A (ja) 建設機械
KR20150030852A (ko)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JPH0960040A (ja) 作業車両の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