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757B1 - A guardrail end for absorbing shock sequentially and preventing dislocation of a post - Google Patents

A guardrail end for absorbing shock sequentially and preventing dislocation of a po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757B1
KR102546757B1 KR1020220176217A KR20220176217A KR102546757B1 KR 102546757 B1 KR102546757 B1 KR 102546757B1 KR 1020220176217 A KR1020220176217 A KR 1020220176217A KR 20220176217 A KR20220176217 A KR 20220176217A KR 102546757 B1 KR102546757 B1 KR 102546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st
hole
vehicl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6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Priority to KR102022017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3Protecting devices located at the ends of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 unit of a guardrail, in which upper posts can be successively separated when posts are separated because of an impac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unit of a guardrail comprises: a large number of post units including lower posts embedded i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nd upper posts detachably mounted on the lower posts in a direction; and a large number of guardrail beams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upper posts, and overlapped and connected to be mov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so included is a successive separation control unit including: contact plates installed by surrounding a front collision side of the vehicle on each upper post; and a pair of extension plates extended from the contact plates toward a rear side. On an end of the extension plates, there is a guide plate extended toward an outer edge so that the upper post located on the rear side can enter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installed on the upper post located on the front side when the upper post located on the front side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ost and slides and moves toward the rear side in accordance with a front-end collision of the vehicle.

Description

순차적 충격흡수 및 지주이탈방지 가드레일 단부{A GUARDRAIL END FOR ABSORBING SHOCK SEQUENTIALLY AND PREVENTING DISLOCATION OF A POST}Sequential shock absorption and support separation prevention guardrail end {A GUARDRAIL END FOR ABSORBING SHOCK SEQUENTIALLY AND PREVENTING DISLOCATION OF A POST}

본 발명은 순차적 충격흡수 및 지주이탈방지 가드레일 단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지주가 분리될 때 상부지주가 순차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가드레일 단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 of a guardrail for sequentially absorbing shock and preventing separation of a post,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nd of a guardrail from which an upper post can be sequentially separated when a post is separated due to a collision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사고 발생 시 차량이 도로에서 이탈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의 상행과 하행을 경계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측면에 충돌되는 차량을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충격흡수를 위해 가드레일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가드레일이 끝나는 단부 구간에서 차량의 충돌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차량을 관통하여 탑승자에게 직접적인 상해를 입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In general, guardrails are installed to prevent a vehicle from deviating or falling from a roa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nd to guard up and down the road. These guardrails are installed to protect vehicles colliding with the side, and development is being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guardrail members to absorb shock. There is a problem that absorption is not performed, and direct injury to occupants is caused by penetrating the vehicle.

또한 국내 가드레일과 관련된 차량사고 자료를 살펴보면, 측면충돌사고 75%, 단부충돌사고 25%의 비율로 적지 않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없는 실정이다. In addition, looking at vehicle accident data related to domestic guardrails, there are not a few accidents with a side collision accident rate of 75% and an end collision accident rate of 25%, so it is not possible to protect occupants.

이러한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국내에서는 가드레일의 단부에 차량의 관통을 방지하며,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를 가드레일에 설치하고 있으나, 단부에 충돌하는 차량의 속도 및 중량에 의해 원활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As such accidents occur frequently, in Korea, a shock absorb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guardrail to prevent penetration of the vehicle at the end of the guardrail and to buffer the impact, but the speed and weight of the vehicle colliding with the end prevent the vehicle from penetrating smooth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ock cannot be absorb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가드레일 단부에서 차량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의 가드레일 충격완충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즉, 가드레일 충격완충장치는, 이동을 억제하는 힘을 가해두고 차량의 충돌시 그 힘에 의해 미끌리면서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마찰력 방식과, 구부러지거나 절단될 수 있는 구조로 배치되어 차량의 충돌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절단되면서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절곡(절삭) 방식과, 하나가 둘 또는 셋으로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충돌시에 분리되면서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분리 방식(예: 지주 분리)과, 차량의 충돌시 탄성 변형되면서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탄성 방식(예: 스프링)과, 일방향으로 이동시 요철 등에 의해 걸림이 발생하고 그 걸림을 한번 또는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구조적 걸림 방식(예: 톱니 구조)과, 하나 또는 다단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차량의 충돌에 의해 구조물이 밀려날 때 구조물에 인장력을 가하여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인장 방식(예: 와이어 구조)과, 차량의 충돌시 압축되면서 변형되어 그에 의해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 방식(예: 고무, 공기, 실린더 구조)으로 개발되어 오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configurations of guardrail shock absorber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absorb the impact when a vehicle collides at the end of the guardrail. That is, the guardrail shock absorber is arrang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or cut, and a frictional force type that absorbs the impact energy of the vehicle while sliding by the force upon collision with a force applied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 bending (cutting) method that absorbs the impact energy of the vehicle while being bent or cut by a collision, and a separation method that absorbs the impact energy of the vehicle while being separat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eg : Support separation), an elastic method (e.g., spring) that absorbs the impact energy of the vehicl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upon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a jamming occurs due to irregularities when moving in one direction, and passing through the jamming once or sequentially, the vehicle's A structural hooking method that absorbs impact energy (e.g. sawtooth structure) and a tensile method that is connected to a single or multi-stage structure and absorbs the impact energy of a vehicle by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structure when the structure is pushed by a vehicle collision (e.g. wire structure) and a buffering method (eg, rubber, air, cylinder structure) that is deformed while being compressed during a vehicle collision and thereby absorbs the impact energy of the vehicle.

이중에서 본 발명자는 분리 방식에 대해 2017년 12월 19일자로 특허출원 제10-2017-0175508호로 출원하여 2020년 6월 29일자로 특허등록 제10-2130154호로 등록받은 '가드레일 단부의 충격흡수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를 개발한 바 있다. Among them, the present inventor applied for the separation method as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175508 on December 19, 2017 and registered as Patent Registration No. 10-2130154 on June 29, 2020 'Shock Absorption at the End of the Guardrail'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has been developed.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의 충돌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지주가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어 차량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가드레일 단부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분리 방식의 충격흡수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면에 매설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에 일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지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중첩되어 연결되는 다수개이 가드레일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ior art relates to a shock absorber at the end of a guardrail capable of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force applied during a vehicle collision and mitigating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vehicle by separating the support supporting the guard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ll be. More specifically, the shock absorber of th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composed of lower supports buried i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upper supports detachably mounted in one direction to the lower supports, and a plurality of guardrail beam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holding part and overlapping and connect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와 같이 차량의 충돌에 의해 받는 충격에너지에 의해 상부지주가 하부지주로부터 분리되고 가드레일빔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후단의 상부지주가 하부지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되는 충격흡수방식은 타당하고 합리적인 구조로 보여지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구비하고 있었다.In this way, the shock absorption method in which the upper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upport by the impact energy receiv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e upper support at the rear is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lower support while the guardrail beam slides is seen as a reasonable and reasonable structure. , had the following problems.

즉, 종래기술에서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연결하고 있는 볼트가 차량의 충돌에 의해 비교적 쉽게 분리되어 충격흡수성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였다.That is, in the prior art, the bolt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truts are relatively easily separat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is not sufficiently exhibited.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차량의 충돌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분리되지 않고 후방의 지주도 거의 동시에 분리되어 충격흡수성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And in the prior art, the upper and lower struts are not sequentially separat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e rear struts are also separated almost simultaneously, so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is not exhibited.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상부지주가 쓰러지지 않아야 자신의 차례가 되었을 때 충격력을 충분히 받고 흡수할 수 있지만, 상부지주의 하부가 하부지주와 결속된 힘보다 상부가 가드레일과 결속된 힘이 더 크기 때문에 상부지주가 하부지주로부터 쓰러지면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 upper support should not fall down so that it can sufficiently receive and absorb the impact force when it is its turn, bu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is stronger than the lower support and the upper portion is bound to the guardrail. There was a phenomenon in which the props collapsed from the lower props and were separated.

한국 등록특허 제10-2130154호(2020.06.29.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30154 (registered on June 29, 20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지주가 분리될 때 상부지주가 순차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순차적 충격흡수 및 지주이탈방지 가드레일 단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quentially absorb shock and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upper support rail, in which the upper support can be sequentially separated when the support is separated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will b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순차적 충격흡수 및 지주이탈방지 가드레일 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면에 매설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에 일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지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지주부; 및 상기 상부지주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중첩되어 연결되는 다수개의 가드레일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상부지주에서 차량의 전방충돌 측을 둘러 설치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판으로 구성되는 순차분리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판의 끝단에는, 차량의 전방충돌에 따라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가 하부지주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가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에 설치된 한 쌍의 연장판 사이로 진입하도록 외곽으로 확장 형성되는 가이드판이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feat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nd of the guardrail for sequentially absorbing shock and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support is a lower support buried i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upper portion that is detachably mounted in one direction to the lower support A plurality of holding parts made of holding posts; and a plurality of guardrail beams installed on the upper posts and overlapping and connect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tact plate installed around the front impact side of the vehicle at each upper post; It includes a sequential separation control unit composed of a pair of extension plates extending rearward from the plate, an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the upper support located in the front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upport and slides backward in response to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When the guide plate is formed extending to the outside so that the upper support located at the rear enters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located at the front.

그리고 상기 연장판의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삽입판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판의 중단에는,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에 설치된 한 쌍의 연장판 사이로 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에 설치된 연장판이 진입하면서 상기 삽입판이 삽입되도록 슬릿 형태의 삽입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An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a portion of the guide plate is cut to form an insertion plate extending inwardly, and at the middle of the extension plate, an upper post located at the rear between a pair of extension plates installed on the upper post located at the front. An insertion hole in the form of a slit may be further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plate is inserted while the extension plate installed therein enters.

또한 상기 삽입판은, 상기 가이드판과의 사이각이 둔각이 되도록 상기 한 쌍의 연장판 사이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late may be formed by bending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so that an angle between the guide plate and the guide plate becomes an obtuse angle.

그리고 상기 하부지주 상단에는 고정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지주 하단에는 상기 고정판에 대면하는 이동판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에는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이동판의 측면으로는 차량 충돌시 상부지주의 이탈을 가이드하는 지주이탈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이탈홀은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에 체결된 볼트가 이동하면서 차량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진 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xing plate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post, a moving plate facing the fixing plate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st, and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xing plate,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moving plate.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an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to the side of the moving plat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separation hole for guiding separation of the upper support in case of a vehicle collision, and the support separation hol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t is preferable to have an inwardly inclined protrusion so that the bolt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can absorb the impact force of the vehicle while moving.

이때 상기 돌기는 톱니형태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볼트의 이탈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in plurality in the form of sawtooth and has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departure direction of the bolt.

또한 상기 고정판에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에는 상기 제1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는,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의 손쉬운 결합을 위하여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지주에 가해지는 비교적 적은 충격에 의해 절단되도록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의 사이와 대응되는 부분에 노치가 형성되는 지주맞춤핀이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fixed plate, a second coupling hole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in the moving plate, and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are formed in the easy connection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moving plate. A holding dowel pin having a notch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gap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moving plate may be inserted so as to be cut by a relatively small impact applied to the holding while being fitted for coupling.

본 발명에 따른 순차적 충격흡수 및 지주이탈방지 가드레일 단부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지주가 분리될 때 상부지주가 순차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각 지주의 순서에 따른 분리로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순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equential shock absorption and support separation prevention guardrail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ort is separated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since the upper support can be sequentially separated, the collision energy of the vehicle is sequentially separated by the order of each suppor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지주를 지지하면서 상부지주의 이탈 방향을 최후방 상부지주까지 가이드함으로써 상부지주의 분리에 따른 충격흡수성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of the upper support by guiding the departure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 to the rearmost upper support while supporting the upper suppo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순차분리제어부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순차분리제어부가 상호 겹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d of a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of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of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upper and lower stru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quential sepa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sequential separation control units overlap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 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 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r shown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is capable of implementation in other embodiments and of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n addition,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in the embodiments with respect to terms such as the orientation of devices or elements are merely used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indicate or imply that related devices or elements should simply have a specific orientation. don't For example, although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e embodiments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claims, these terms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relative significance or meaning.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not us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the terms and concepts of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written based on the corresponding meaning and concept.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within the technical equivalent range describ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of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of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of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순차적 충격흡수 및 지주이탈방지 가드레일 단부는 일반적인 가드레일과 같이 측면에서의 차량충돌뿐 아니라 전방에서의 차량충돌시에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운전자의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드레일의 시작과 끝 부분, 즉 가드레일 단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충돌에 의해 상부지주(13)와 하부지주(11)가 분리될 수 있는 가드레일 단부에 설치된다. As shown, the sequential shock absorption and support separation prevention guardrail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driver's injury while preventing vehicle departure in case of vehicle collision from the side as well as vehicle collision from the front like a general guardrail It relates to a shock absorber install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guardrail, that is, at the end of the guardrail. Such a shock absorber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guardrail from which the upper support 13 and the lower support 11 can be separated by a vehicle collision.

이러한 가드레일 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면에 매설되는 하부지주(11)와, 상기 하부지주(11)에 일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지주(13)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지주부(10); 및 상기 상부지주(13)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중첩되어 연결되는 다수개의 가드레일빔(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ends of these guardrails are composed of lower supports 11 buried i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upper supports 13 detachably mounted in one direction to the lower supports 11.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0 ; and a plurality of guardrail beams 20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st 13 and overlapped and connect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가드레일 단부에서 차량의 전방 충돌시에 상부지주(13)가 순차적으로 분리되면서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는 구성과, 하부지주(11)에 대한 상부지주(13)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차량의 충돌시에는 비교적 쉽게 절단되어 충돌 후 차량의 진행방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pillars 13 are sequentially separated in case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at the end of the guardrail to absorb the collision energy of the vehicle, and the upper pillars for the lower pillars 11 It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of (13) and is relatively easily cu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so as not to affec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fter the collision.

차량의 전방 충돌시 상부지주(13)의 순차 분리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각 상부지주(13)에 순차분리제어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순차분리제어부(30)는 상기 각 상부지주(13)에서 차량의 전방충돌 측을 둘러 설치되는 밀착판(31)과, 상기 밀착판(3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판(32)으로 구성된다. In order to sequentially separate the upper pillars 13 in case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quential separation control unit 30 is installed on each upper pillar 13. The sequential separation control unit 30 includes a contact plate 31 installed around the front collision side of the vehicle on each upper post 13, and a pair of extension plates 3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contact plate 31. ) is composed of

이때 상기 밀착판(31)은 볼트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상부지주(13)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act plate 31 may be penetrated by a bolt and fixed to the upper support 13 .

그리고 상기 연장판(32)의 끝단에는, 차량의 전방충돌에 따라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가 하부지주(11)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가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에 설치된 한 쌍의 연장판(32) 사이로 진입하도록 외곽으로 확장 형성되는 가이드판(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판(32)의 끝단은 후방의 상부지주(13)와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접촉되게 배치되어 차량 충돌시 가드레일빔(20)에 의한 충격이 전달될 때 상부지주(13)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An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32, when the upper post 13 located in the front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ost 11 and slides backward according to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upper post 13 located in the rear is moved forward. A guide plate 33 extending outwardly is formed so as to enter between a pair of extension plates 32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13 located at . At this time,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32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st 13 at the rear, but i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ost when the impact by the guardrail beam 20 is transmitt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13) may play a supporting role.

또한 상기 연장판(32)의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판(33)의 일부가 절개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삽입판(34)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판(32)의 중단에는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에 설치된 한 쌍의 연장판(32) 사이로 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에 설치된 연장판(32)이 진입하면서 상기 삽입판(34)이 삽입되도록 슬릿 형태의 삽입공(35)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32, a portion of the guide plate 33 is cut to form an insertion plate 34 extending inwardly, and at the middle of the extension plate 32, an upper post 13 located in the front An insertion hole 35 in the form of a slit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plate 34 is inserted while the extension plate 32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13 located at the rear enters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32 installed on the It can be.

이때 상기 삽입판(34)은 상기 가이드판(33)과의 사이각이 둔각이 되도록 상기 한 쌍의 연장판(32) 사이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판(34)은 상기 가이드판(33)과 유사한 방향을 가지면서 상기 삽입공(35)에 삽입되었을 때 이탈이 제한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는 상기 삽입판(34)과 가이드판(33)이 협력하여 연장판(32) 사이로 후방의 상부지주(13)가 진입하도록 가이드함과 아울러, 전방의 상부지주(13)와 후방의 상부지주(13)가 근접될 때 근접된 상부지주(13)들이 상호 결속되어 일체로 거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plate 34 is formed by bending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32 such that an angle between the guide plate 33 and the guide plate 33 becomes an obtuse angle. That is, the insertion plate 34 has a direction similar to that of the guide plate 33 and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separation is restricted whe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5 . This guides the insertion plate 34 and the guide plate 33 to cooperate so that the rear upper pillar 13 enters between the extension plates 32, and the front upper pillar 13 and the rear upper pillar ( 13) is to ensure that the adjacent upper pillars 13 are mutually bound and behave integrally when approaching.

또한 차량의 전방 충돌시 상부지주(13)의 순차 분리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하부지주(11) 상단에 설치된 고정판(12)과, 상부지주(13) 하단에 설치되는 이동판(14)이 상호 방향성을 갖고 분리되되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요구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지주(11) 상단에는 고정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지주(13) 하단에는 상기 고정판(12)에 대면하는 이동판(14)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12)에는 제1관통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14)에는 상기 제1관통공(12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14a)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14a)으로부터 상기 이동판(14)의 측면으로는 차량 충돌시 상부지주(13)의 이탈을 가이드하는 지주이탈홀(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이탈홀(15)은 상기 제1관통공(12a)과 제2관통공(14a)에 체결된 볼트(B)가 이동하면서 차량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진 돌기(15a)를 갖게 구성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sequentially separate the upper pillar 13 in case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plate 12 installed on the top of the lower pillar 11 and the moving plate 14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illar 13 are mutually It has a structure that is separated with a directionality but requires a certain level of external force. In more detail, a fixing plate 12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post 11, a moving plate 14 facing the fixing plate 12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st 13, and the fixing plate 12 A first through hole 12a is formed in ), a second through hole 14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2a in the moving plate 1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 From 14a), a side surface of the moving plate 14 further includes a post separation hole 15 for guiding separation of the upper post 13 in case of a vehicle collision, and the post separation hole 15 is the first through hole. (12a) and the bolt (B) fasten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14a) is configured to have a protrusion (15a) inclined inward to absorb the impact force of the vehicle while moving.

이때 상기 돌기(15a)는 톱니형태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볼트(B)의 이탈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면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볼트(B)는 톱니의 경사면을 따라 점차 좁아지는 지주이탈홀(15)을 한번 또는 복수회 통과하면서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상부지주(13)가 하부지주(11)로부터 분리되게 한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s 15a are formed in plurality in the shape of sawtooth and have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direction of departure of the bolt B. Therefore, the bolt (B)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of the vehicle while passing through the post separation hole 15 gradually narrow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eeth once or multiple times so that the upper post 13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ost 11. .

그리고 상기 지주이탈홀(15)은 상부지주(13)가 후방에 배치될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방으로 갈수록 지주이탈홀(15)에 대한 볼트(B)의 이탈강도를 강하게 하여 순차적으로 강한 충격흡수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Further, the post separation hole 15 may be formed to gradually become narrower as the upper post 13 is disposed at the rear. This is to induce strong shock absorption sequentially by strengthening the separation strength of the bolt (B)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eparation hole 15 toward the rear.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지주(11)에 대한 상부지주(13)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차량의 충돌시에는 비교적 쉽게 절단되어 충돌 후 차량의 진행방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고정판(12)과 이동판(14)에 삽입된 지주맞춤핀(40)이 구비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upper pillar 13 to the lower pillar 11, it is relatively easily cu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so as not to affec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fter the collision, the fixing plate 12 ) and a post dowel 40 inserted into the moving plate 14 is provid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판(12)에는 제1결합공(12b)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14)에는 상기 제1결합공(12b)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공(14b)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12b)과 제2결합공(14b)에는, 상기 고정판(12)과 이동판(14)의 사이와 대응되는 부분에 노치(41)가 형성되는 지주맞춤핀(40)이 삽입된다. 이러한 지주맞춤핀(40)은 상부지주(13)와 하부지주(11)를 결합하는 볼트(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first coupling hole 12b is formed in the fixed plate 12, and a second coupling hole 14b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12b in the moving plate 14.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hole 12b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b, a post dowel pin having a notch 41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fixing plate 12 and the moving plate 14 ( 40) is inserted. The post dowel 4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bolt B connecting the upper post 13 and the lower post 11 .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지주맞춤핀(40)을 고정판(12)의 제1결합공(12b)과 이동판(14)의 제2결합공(14b)에 끼움결합하여 고정판(12)과 이동판(14)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주에 가해지는 비교적 작은 충격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여 상부지주(13)와 하부지주(11)가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노치(41)가 형성되는 중단은 상기 지주맞춤핀(40)이 제1결합공(12b)과 제2결합공(14b)에 완전히 끼움결합되었을 때 제1결합공(12b)과 제2결합공(14b)의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owel pin 40 having this structure is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hole 12b of the fixing plate 12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b of the moving plate 14, thereby forming the fixing plate 12 and the moving plate 14. ) Not only can be easily coupled, but also can be cut by a relatively small impact applied to the support so that the upper support 13 and the lower support 11 can be separated. At this time, the stop where the notch 41 is formed is when the holding dowel 40 is completely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hole 12b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b, the first coupling hole 12b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2b. It is preferable that it is between the coupling holes 14b.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순차적 충격흡수 및 지주이탈방지 가드레일 단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action of the end of the guardrail for sequential shock absorption and separation pre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가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어 차량이 전면으로 충돌하는 경우에 하나의 가드레일 지주 내에서는, 하부지주(11)의 고정판(12)과 상부지주(13)의 이동판(14)에 끼움결합되어 있던 지주맞춤핀(40)의 절단과, 하부지주(11)의 고정판(12)과 상부지주(13)의 이동판(14)에 결합되어 있던 볼트(B)가 지주이탈홀(15)을 따라 이동되면서 하부지주(11)로부터 상부지주(13)의 분리가 발생하고, 지주와 지주 간에서는, 먼저 분리된 전방의 상부지주(13)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후방의 상부지주(13)를 지지하면서 결합하는 작용이 발생하여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한다.It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guardrail and within one guardrail suppor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front, the fixed plate 12 of the lower support 11 and the moving plate 14 of the upper support 13 are fitted. The post dowel 40 is cut, and the bolt B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2 of the lower post 11 and the moving plate 14 of the upper post 13 moves along the post separation hole 15 As the upper pillar 13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illar 11, the upper pillar 13 of the front separated first moves backward while supporting the upper pillar 13 of the rear between the pillars and the pillars. This action occurs to absorb the collision energy of the vehicle.

상술한 3가지의 작용에 대해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ach of the above three action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지주맞춤핀의 절단><Cutting of dowel pins>

지주맞춤핀(40)은 고정판(12)의 제1결합공(12b)과 이동판(14)의 제2결합공(14b)에 끼움결합하여 고정판(12)과 이동판(14)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지주맞춤핀(40)을 끼움결합한 상태로 고정판(12)과 이동판(14)에 볼트(B)를 체결하여 하부지주(11)에 상부지주(13)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지주맞춤핀(40)에는 그 중단에 노치(41)가 형성되어 있어 노치(41) 부분은 비교적 작은 충격에도 쉽게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고정판(12)에 3개의 제1결합공(12b)이 형성되고, 이동판(14)에 이에 대응되게 3개의 제2결합공(14b)이 형성되어 각 결합공에 지주맞춤핀(40)이 삽입되어 있더라도 차량의 충격력에 의해 지주맞춤핀(40)은 노치(41)부분에서 절단될 수 있다. The post dowel 40 is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hole 12b of the fixing plate 12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b of the moving plate 14 to easily couple the fixing plate 12 and the moving plate 14. 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one, the upper post 13 is fixed to the lower post 11 by fastening the bolts B to the fixing plate 12 and the moving plate 14 in a state where the post dowel 40 is fitted. . A notch 41 is formed at the middle of the holding dowel 40, so that the notch 41 can be easily cut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impact. Therefor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ree first coupling holes 12b are formed in the fixing plate 12, and three second coupling holes 14b are formed in the moving plate 14 to correspond thereto, so that each coupling hole Even if the holding dowel 40 is inserted, the holding dowel 40 may be cut at the notch 41 by the impact force of the vehicle.

<하부지주로부터 상부지주의 분리><Separation of upper struts from lower struts>

하부지주(11)의 고정판(12)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12a)과 대응되도록 상부지주(13)의 이동판(14)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14a)은 이동판(14)의 일측을 향하여 관통된 홀 형태로 이루어진 지주이탈홀(15)과 연결된다. 상기에서 이동판(14)의 일측은 가드레일 단부의 전방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관통공(12a)과 제2관통공(14a)에는 볼트(B)가 체결되어 있다. The second through hole 14a formed in the moving plate 14 of the upper pillar 13 to correspond to the first through hole 12a formed in the fixed plate 12 of the lower pillar 11 is the moving plate 14 It is connected to the holding separation hole 15 made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toward one side of the. In the above, one side of the moving plate 14 is directe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guardrail, and bolts B are fastened to the first through hole 12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a.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가드레일 단부에 차량이 전방 충돌하면 상기 볼트(B)는 고정판(12)의 제1관통공(12a)에 체결된 고정상태를 유지하지만, 상부지주(13)의 이동판(14)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볼트(B)가 제2관통공(14a)으로부터 지주이탈홀(15)로 진입한다.As shown in (a) to (c) of FIG. 4 , when the vehicle front collides with the end of the guardrail, the bolt (B) maintains a fixed state fastened to the first through hole 12a of the fixing plate 12. However, as the moving plate 14 of the upper post 13 moves, the bolt B enters the post separation hole 15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14a.

상기 지주이탈홀(15)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돌기(15a)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돌기(15a)가 톱니형태로 형성되고 그 각 톱니형태의 경사면이 볼트(B)의 이탈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볼트(B)는 점차 좁아지는 톱니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An inwardly inclined protrusion 15a is formed in the post separation hole 15, and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a are formed in a sawtooth shape, and the inclined surface of each sawtooth shape is in the direction of separation of the bolt B Since it is facing, the bolt (B)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of the vehicle while moving along the slope of the gradually narrowing tooth.

그리고 후방에 배치되는 상부지주(13)일수록 지주이탈홀(15)의 간격이 점차 더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후방으로 갈수록 지주이탈홀(15)에 대한 볼트(B)의 이탈강도가 강해져 보다 강한 충격흡수성능을 발휘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ost separation holes 15 can be gradually narrowed as the upper post 13 is disposed at the rear, the separation strength of the bolt B from the post separation hole 15 becomes stronger toward the rear. It exhibits strong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상부지주 간의 지지 및 결합><Support and coupling between upper struts>

차량이 전방 충돌하면 상부지주가 하부지주로부터 분리되면서 가드레일빔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과정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게 설계되어 있지만,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충돌로 전방에 위치된 상부지주가 하부지주로부터 분리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될 때 후방의 상부지주는 하부지주로부터 미리 분리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순차적인 가드레일 단부의 후퇴도 가이드하지 못하게 된다. When a vehicle collides in front, the upper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upport and moves backward along the guardrail beam, and while this process is repeated sequentially, it is designed to absorb the collision energy of the vehicle, but as mentioned in the prior art, the vehicle's When the upper struts located in the front are separated from the lower struts and moved rearward due to a frontal collision, the rear upper struts are separated from the lower struts in advance and do not perform the role of absorbing the impact force, and the sequential retreat of the end of the guardrail can't guid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2가지의 작용과 더불어 상부지주(13)가 순차적으로 분리되게 하면서 가드레일 단부의 후퇴를 가이드하도록 상부지주(13)에 순차분리제어부(30)가 설치되어 작동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two actions, the upper post 13 is sequentially separated and the upper post 13 is sequentially separated to guide the retreat of the end of the guardrail. The separation control unit 30 is installed it works

상기 순차분리제어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판(31)에 의해 각 상부지주(13)에 고정되고 각 상부지주(13)의 후방으로 한 쌍의 연장판(32)이 연장 형성되어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가 하부지주(11)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가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에 설치된 한 쌍의 연장판(32) 사이로 진입되게 한다. 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가 연장판(32) 사이로 진입하기 직전에, 연장판(32)의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판(33)과 삽입판(34)이 후방의 상부지주(13)에 밀착하면서 가압하여 후방의 상부지주(13)가 하부지주(11)로부터 조기에 분리되지 않도록 돕게 된다. 그리고 후방으로 갈수록 전방의 상부지주(13)가 밀착되면서 연장판(32)도 겹쳐지게 되므로 한 쌍의 연장판(32) 사이로 진입하기 위하여 가이드판(33)과 삽입판(34)을 벌려기 위한 힘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후방의 상부지주(13)는 가이드판(33)과 삽입판(34)에 의해 더 많은 지지를 받으면서 하부지주(11)로부터의 분리가 제한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에 의해 후방의 상부지주(13)가 차량의 충격력을 직접적으로 받기 이전에 임의로 하부지주(11)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저하되어 상부지주(13)의 순차적인 분리에 의한 충격흡수가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sequential separation control unit 30 is fixed to each upper post 13 by a contact plate 31 and a pair of extension plates 32 rearward of each upper post 13 When the upper post 13 located at the front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ost 11 and slides backward, the upper post 13 located at the rear is installed on the upper post 13 located at the front. It enters between the plates 32. Right before the upper post 13 located at the rear enters between the extension plates 32, the guide plate 33 and the insertion plate 34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32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st 13 at the rear. While pressurizing, it helps prevent the upper post 13 of the rea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post 11 early. In addition, as the front upper support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the extension plate 32 overlaps, so that the guide plate 33 and the insertion plate 34 are opened to enter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32. Since more force is required, the rear upper post 13 is supported more by the guide plate 33 and the insertion plate 34, and separation from the lower post 11 is limited. Therefore, due to this action, the phenomenon in which the rear upper pillar 13 is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lower pillar 11 before directly receiving the impact force of the vehicle is reduced, and shock absorption by sequential separation of the upper pillar 13 is easy. can be realized

또한 상부지주(13)가 밀착되면서 연장판(32)이 겹쳐질 때 연장판(32) 끝단에 형성된 삽입판(34)은 연장판(32)의 중단에 형성된 슬릿 형태의 삽입공(35)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판(34)은 연장판(32) 사이로 상부지주(13)가 진입되기 용이한 각도로 형성되는데, 이 각도는 삽입판(34)이 측방이나 전방측으로 삽입공(3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지 않게 한다. 도6을 참조하면, 전방으로부터 차량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최전방에 위치된 상부지주(13)가 뒤로 밀려 해당 상부지주(13)에 결합된 연장판(32)의 삽입판(34)은 두 번째 상부지주(13)에 결합된 연장판(32)의 삽입공(35)에 삽입되어 있고, 두 번째 상부지주(13)역시 뒤로 밀려 해당 상부지주(13)에 결합된 연장판(32)의 삽입판(34)은 세 번째 상부지주(13)에 결합된 연장판(32)의 삽입공(35)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세 번째 상부지주(13)가 밀리면서 해당 상부지주(13)에 결합된 연장판(32)의 사이로 네 번째 상부지주(13) 및 이에 결합된 연장판(32)이 진입하는 순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세 번째 상부지주(13)에 결합된 연장판(32)은 삽입판(34)이 네 번째 상부지주(13)에 결합된 연장판(32)의 외측으로 올라타야 하기 때문에, 본래의 형성 각도 그대로 네 번째 연장판(32)의 외측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삽입판(34)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측방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장판(32)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벌어지지 않고 밀착판(31)을 중심으로 삽입판(34)이 형성된 지점부터 휘어지므로, 결과적으로 삽입판(34)이 진행 방향, 즉, 후단의 연장판(3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형성하는 각도가 점차 세워지게 된다. 이렇게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세워진 삽입판(34)은 삽입공(35)에 진입하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방의 상부지주(13)가 후방의 상부지주(13)에 결합된 순차분리제어부(30)의 밀착판(31)에 밀착되었을 때, 즉, 전방의 상부지주(13)가 후방의 상부지주(13)에 최대한 근접하였을 때 삽입판(34)이 삽입공(35)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삽입판(34)이 삽입공(35)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다. 이는 도6을 참조하면, 전방으로부터 첫 번째 및 두 번째 상부지주(13)가 그보다 후방의 두 번째 및 세 번째 상부지주(13)에 최대한 근접한 상태에서 삽입판(34)이 삽입공(35)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tension plate 32 is overlapped while the upper post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nsion plate 32, the insertion plate 34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32 is inserted into the slit-shaped insertion hole 35 formed at the middle of the extension plate 32. inserted The insertion plate 34 is formed at an angle that facilitates the entry of the upper post 13 between the extension plates 32, and this angle prevents the insertion plate 3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35 toward the side or the front. make it not easy Referring to FIG. 6, in a situation where a vehicle collides from the front, the upper support 13 located at the front is pushed back, and the insertion plate 34 of the extension plate 32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13 is the second upper support.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5 of the extension plate 32 coupled to the post 13, and the second upper post 13 is also pushed back to the insertion plate of the extension plate 32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upper post 13. (3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5) of the extension plate (32) coupled to the third upper support (13). And as the third upper pillar 13 is pushed, the fourth upper pillar 13 and the extension plate 32 coupled thereto enter between the extension plates 32 coupled to the upper pillar 13. is shown At this time, since the extension plate 32 coupled to the third upper pillar 13 has to ride on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late 32 coupled to the fourth upper pillar 13, the insertion plate 34 is formed originally. It does not enter the outside of the fourth extension plate 32 as it is at an angle, and widens laterally as much as the space occupied by the insertion plate 34. In this process, the extension plate 32 is bent from the point at which the insertion plate 34 is formed around the close contact plate 31 without being sprea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angle form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late 32 at the rear end is gradually erected. The insertion plate 34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way is in a state where it is easy to enter the insertion hole 35 .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upper pillar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plate 31 of the sequential separation control unit 30 coupled to the rear upper pillar 13, that is, the front upper pillar 13 Since the insertion plate 34 is designed to com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35 when it is closest to the rear upper post 13, the insertion plate 34 can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5. there is. Referring to FIG. 6, the insertion plate 3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5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upper pillars 13 from the front ar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econd and third upper pillars 13 rearward. It can be seen that each is inserted.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시에 상부지주(13)가 밀리면서 연장판(32)이 순차적으로 겹쳐질 때 상부지주(13)의 후방으로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여 차량의 충격력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충격흡수장치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when the upper pillar 13 is pushed and the extension plate 32 is sequentially overlapp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upper pillar 13 is guided to reduce the impact force of the vehicle and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shock absorber to protect the driv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by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hat you can do

10 : 지주부 11 : 하부지주 12 : 고정판
12a : 제1관통공 12b : 제1결합공
13 : 상부지주 14 : 이동판
14a : 제2관통공 14b : 제2결합공
15 : 지주이탈홀 15a : 돌기
20 : 가드레일빔
30 : 순차분리제어부 31 : 밀착판 32 : 연장판
33 : 가이드판 34 : 삽입판
35 : 삽입공
40 : 지주맞춤핀 41 : 노치
B : 볼트
10: support part 11: lower support 12: fixing plate
12a: first through hole 12b: first coupling hole
13: upper support 14: moving plate
14a: second through hole 14b: second coupling hole
15: holding separation hole 15a: protrusion
20: guardrail beam
30: sequential separation control unit 31: close plate 32: extension plate
33: guide plate 34: insertion plate
35: insertion hole
40: holding dowel 41: notch
B: Bolt

Claims (6)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면에 매설되는 하부지주(11)와, 상기 하부지주(11)에 일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지주(13)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지주부(10); 및
상기 상부지주(13)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중첩되어 연결되는 다수개의 가드레일빔(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상부지주(13)에서 차량의 전방충돌 측을 둘러 설치되는 밀착판(31)과, 상기 밀착판(3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판(32)으로 구성되는 순차분리제어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판(32)의 끝단에는, 차량의 전방충돌에 따라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가 하부지주(11)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가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에 설치된 한 쌍의 연장판(32) 사이로 진입하도록 외곽으로 확장 형성되는 가이드판(33)이 형성되되,
상기 연장판(32)의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판(33)의 일부가 절개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삽입판(3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판(34)은 상기 가이드판(33)과의 사이각이 둔각이 되도록 상기 한 쌍의 연장판(32) 사이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장판(32)의 중단에는, 슬릿 형태의 삽입공(35)이 더 형성되어서,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에 설치된 한 쌍의 연장판(32) 사이로 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에 설치된 연장판(32)이 삽입될 때, 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가 후방에 위치한 상부지주(13)에 최대한 근접하는 순간 전방의 연장판(32)에 형성된 삽입판(34)이 후방의 연장판(32)에 형성된 삽입공(35)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충격흡수 및 지주이탈방지 가드레일 단부.
A plurality of holding parts 10 composed of lower supports 11 buried i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upper supports 13 detachably mounted in one direction to the lower supports 11; and
It is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upper post 13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uardrail beams 20 overlapping and connect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quential separation control unit composed of a contact plate 31 installed around the front collision side of the vehicle in each upper post 13 and a pair of extension plates 3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contact plate 31 ( 30),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32, when the upper post 13 located in the front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ost 11 and slides backward in response to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upper post 13 located in the rear moves forward. A guide plate 33 extending outwardly is formed so as to enter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32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13 locat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late 32, a portion of the guide plate 33 is cut to form an insertion plate 34 extending inwardly, and the insertion plate 34 is between the guide plate 33 and the insertion plate 34. It is formed by bending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32 so that the angle becomes an obtuse angle,
At the middle of the extension plate 32, an insertion hole 35 in the form of a slit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upper post 13 located at the rear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32 installed on the upper post 13 located at the front. When the extension plate 32 installed in is inserted, the insertion plate 34 formed on the extension plate 32 in the front is inserted at the moment when the upper post 13 located in the front is closest to the upper post 13 located in the rear as much as possible. Sequential shock absorption and support separation prevention guardrail end,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5 formed in the extension plate 32 of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11) 상단에는 고정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지주(13) 하단에는 상기 고정판(12)에 대면하는 이동판(14)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12)에는 제1관통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14)에는 상기 제1관통공(12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14a)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14a)으로부터 상기 이동판(14)의 측면으로는 차량 충돌시 상부지주(13)의 이탈을 가이드하는 지주이탈홀(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이탈홀(15)은 상기 제1관통공(12a)과 제2관통공(14a)에 체결된 볼트(B)가 이동하면서 차량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진 돌기(15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충격흡수 및 지주이탈방지 가드레일 단부.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plate 12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post 11, and a moving plate 14 facing the fixing plate 12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st 13,
A first through hole 12a is formed in the fixed plate 12, and a second through hole 14a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2a in the moving plate 14, The side of the moving plate 14 from the two through holes 14a further includes a post separation hole 15 for guiding the separation of the upper post 13 in case of a vehicle collision,
The post separation hole 15 is a protrusion 15a inclined inward so that the bolt B fastened to the first through hole 12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a can absorb the impact force of the vehicle while moving. Sequential shock absorption and holding separation prevention guardrail end,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5a)는 톱니형태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볼트(B)의 이탈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충격흡수 및 지주이탈방지 가드레일 단부.
According to claim 4,
The protrusions (15a) are formed in plurality in the form of sawtooth and have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direction of departure of the bolt (B).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2)에는 제1결합공(12b)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14)에는 상기 제1결합공(12b)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공(14b)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12b)과 제2결합공(14b)에는, 상기 고정판(12)과 이동판(14)의 손쉬운 결합을 위하여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지주에 가해지는 비교적 적은 충격에 의해 절단되도록 상기 고정판(12)과 이동판(14)의 사이와 대응되는 부분에 노치(41)가 형성되는 지주맞춤핀(4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충격흡수 및 지주이탈방지 가드레일 단부.
According to claim 4,
A first coupling hole 12b is formed in the fixed plate 12, and a second coupling hole 14b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12b in the moving plate 14,
In the first coupling hole 12b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b, while being fitted for easy coupling of the fixed plate 12 and the moving plate 14, it is cut by a relatively small impact applied to the support. Sequential shock absorption and support separation prevention guardrail end,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dowel 40 in which the notch 41 is formed is inserted between the fixed plate 12 and the moving plate 14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KR1020220176217A 2022-12-15 2022-12-15 A guardrail end for absorbing shock sequentially and preventing dislocation of a post KR1025467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6217A KR102546757B1 (en) 2022-12-15 2022-12-15 A guardrail end for absorbing shock sequentially and preventing dislocation of a po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6217A KR102546757B1 (en) 2022-12-15 2022-12-15 A guardrail end for absorbing shock sequentially and preventing dislocation of a po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757B1 true KR102546757B1 (en) 2023-06-22

Family

ID=8698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6217A KR102546757B1 (en) 2022-12-15 2022-12-15 A guardrail end for absorbing shock sequentially and preventing dislocation of a po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75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276B1 (en) * 1994-03-16 1998-04-18 박규열 Shock absorber device
KR101642926B1 (en) * 2015-09-18 2016-07-27 주식회사 거원 auxiliary apparatus of impact absorber for road
KR101964396B1 (en) * 2016-12-09 2019-04-01 주식회사 온길 Crash cushion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terminal
KR102130154B1 (en) 2017-12-19 2020-07-03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276B1 (en) * 1994-03-16 1998-04-18 박규열 Shock absorber device
KR101642926B1 (en) * 2015-09-18 2016-07-27 주식회사 거원 auxiliary apparatus of impact absorber for road
KR101964396B1 (en) * 2016-12-09 2019-04-01 주식회사 온길 Crash cushion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terminal
KR102130154B1 (en) 2017-12-19 2020-07-03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566B1 (en)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US4838523A (en) Energy absorbing guard rail terminal
KR100869344B1 (en) Shock absorption apparatus at road
KR101683330B1 (en) Vehicle crash attenuator apparatus
KR101964396B1 (en) Crash cushion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terminal
WO2015068985A1 (en) Collision shock-absorbing device
MX2012004799A (en) Vehicle crash attenuator apparatus.
KR20080109207A (en) Guide rail device having a impact absorbing function
CA2955819A1 (en) Twist box guardrail terminal
KR101670836B1 (en) Crash cushion apparatus
KR102546757B1 (en) A guardrail end for absorbing shock sequentially and preventing dislocation of a post
KR101022863B1 (en)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KR102130154B1 (en)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KR101638290B1 (en) Impact buffer structure of car collision
KR101273410B1 (en) Apparatus for absorbing an impact for vehicles
KR102057125B1 (en) Crash-Cushion
KR101644909B1 (en)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for crash barrier
EP3660219B1 (en) End terminal for a safety guardrail
KR102087262B1 (en) Shock-absorber for transition section of guardrail
KR101411424B1 (en)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equipped with brake pad for crash barrier
KR101645223B1 (en) Vehicle&#39;s barrier
KR101777941B1 (en) Vehicle&#39;s barrier
KR100515988B1 (en) Buffer pillar for safety guard fence
JP2906013B2 (en) Guard fence
KR101420213B1 (en)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