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900B1 -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900B1
KR102544900B1 KR1020180029550A KR20180029550A KR102544900B1 KR 102544900 B1 KR102544900 B1 KR 102544900B1 KR 1020180029550 A KR1020180029550 A KR 1020180029550A KR 20180029550 A KR20180029550 A KR 20180029550A KR 102544900 B1 KR102544900 B1 KR 102544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ower cable
bolt
fastened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258A (ko
Inventor
이덕규
정근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90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 도체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Connecting Structure of Power Cable Conductor And Withdrawing Rod And Connecting Device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conductor)를 이용하여 지중, 지상 또는 해저를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은 상기 도체를 절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은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가교 폴리에틸렌) 등을 원료로 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절연지 등을 감아 절연층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은 수백 미터 또는 수십 킬로미터 간격으로 중간접속함(Joint box)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은 종단접속함(Termination connection box)에 의해 가공선과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중간 접속함은 테이프형 접속함 (TJ), 프리화브형 접속함 (PJ), 프리몰드형 접속함 (PMJ), 이종접속함 등이 있고, 상기 종단접속함에는 케이블의 도출된 도체 단부가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기중 종단접속함(EB-A), 가스중(Gas) 종단접속함(EB-G) 및 유중(Oil) 종단접속함(EB-O) 등이 있다.
상기 기중 종단접속함(EB-A)는 옥외용은 옥외변전소에서 가공선과 지중선을 상호연결 접속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가스중 종단접속함(EB-G)는 주로 옥내변전소에 설치되며 장소가 협소하거나 타 건축물과 이격 거리가 제약을 받을 때 사용되며, 상기 유중 종단접속함(EB-O)는 가스중 종단 접속함과 유사하며 케이블과 변압기를 유중케이스 내에서 접속할 때 사용된다.
상기 종단접속함은 절연유(Oil)이 저장된 애관, 상기 애관에 삽입되는 전력케이블, 일단은 상기 전력케이블 내부에 도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애관의 외부에 노출된 도체 인출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을 접속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를 맞닿게 한 후 압착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의 절연층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집합하여 압착의 방법으로 전력 케이블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을 접속하는 방법은 작업시간이 길고, 절연층의 탈피과정에서 도전성 물질의 비산으로 잠재적 품질리스크를 가지며, 상당한 작업 숙련도를 요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과 접속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전력케이블의 도체부;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홈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체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도체 인출봉;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단부를 통해 상기 도체부의 상부에 투입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헤드부가 파단되어 분리되는 파단 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를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부에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 의해 상기 도체 입자를 압축하여 공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에 도체 입자가 투입되고 상기 연장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는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들에 함께 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 입자는 커팅된 구리 재질의 와이어 또는 커팅된 구리재질의 와이어를 은도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인출봉은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고정용 체결홀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도체부를 도체 인출봉에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형성된 고정용 체결홀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도체 인출봉; 상기 통전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부를 상기 연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상기 고정용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수용홈에 수용된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 및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기 수용홈의 내벽 및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 사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연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를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부에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 의해 상기 도체 입자를 압축하여 공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파단되어 분리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파단 볼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 인출봉은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 및 상기 통전용 볼트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상기 도체 입자가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도체부와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사이의 접촉면에 도체입자를 주입함으로써, 접촉면의 전기적 저항이 최소화되고 작업성이 향상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면에 도체입자를 용이하게 주입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면에 주입된 도체입자들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접촉면의 전기저항을 최소화 가능한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단접속함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인출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전력케이블과 도체 접속장치가 구비된 종단접속함(10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기중 종단접속함의 구조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는 가스중 종단접속함(EB-G)을 비롯한 다양한 접속함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종단접속함(1000)은 절연유(13)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애관(1), 상기 애관에 고정되는 전력케이블(100) 및 일단은 전력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애관(1)의 외부에 노출된 도체 인출봉(70)을 포함한다.
상기 애관(1)은 절연유(13)를 저장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애관(1)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애관 바디, 상기 애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애관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금구(14), 상기 애관 바디에 결합하여 상기 애관 바디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금구(1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유(13)는 전력케이블(100)과 상기 애관(1) 내주면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하부금구(15)를 관통하여 상기 애관(1)에 고정된다. 즉, 상기 애관(1)은 상기 전력케이블(100)을 절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애관(1)은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絶緣耐力)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애관(1)의 원주면에는 다수개의 주름 또는 돌기부(11)가 구비된다. 상기 주름 또는 돌기부(11)에 의해 절연거리를 증가시키면 절연내력이 향상된다. 상기 애관(1)은 절연내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적당한 수준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경질자기 또는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하부금구(1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애관(1)에 고정되며, 상기 애관(1) 내부에 위치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상단부는 상기 애관(1) 상부에서 도체로 구비된 도체 인출봉(70)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도체부(10), 상기 도체부(10)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20), 상기 내부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절연층(30),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40),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을 감싸고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져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한 차폐층(50), 상기 차폐층(50)을 감싸는 외피(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는 구리, 알루미늄, 바람직하게는 구리로 이루어진 단선 또는 복수의 도선이 연합된 연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도체부(10)의 직경, 연선을 구성하는 소선(11)의 직경 등을 포함하는 규격은 이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100)의 송전압,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설계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가 다수의 소선(11)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소선(11)들이 절연된 상태로 구비되면 표피효과로 인한 도체 저항을 줄임으로써 전력 전송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100)을 구성하는 내부 반도전층(20)은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절연층(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절연층(30)의 층간 들뜸을 유발하는 공기층을 없애주며, 국부적인 전계 집중을 완화시켜 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은 상기 절연층(30)에 균등한 전계가 걸리도록 하는 기능, 국부적인 전계집중 완화 및 외부로부터 절연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내부 반도전층(20) 및 외부 반도전층(40)은 베이스 수지에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고,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이 추가로 첨가된 반도전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상기 내부 반도전층(20) 및 외부 반도전층(40)과 상기 절연층(30)의 층간 접착력을 위해 상기 절연층(30)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와 유사한 계열의 올레핀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30)은 예를 들어 베이스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절연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고압 케이블의 경우에는 기존의 OF케이블이 가교 폴리에틸렌(XLPE) 절연 케이블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의 최외부에 구비되는 외피(60)는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전술한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하부금구(15)를 관통하여 말단부가 상기 애관(1)의 내부에 위치하는데, 상기 애관(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력케이블(100)의 말단부에는 도체부(10)가 노출된다.
즉, 상기 애관(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력케이블(100)의 끝단은 상기 도체부(10)를 감싸는 상기 외피(60), 차폐층(50), 외부 반도전층(40), 절연층(30) 및 내부 반도전층(20)이 제거되어 상기 도체부(10)의 말단부를 노출시킨다.
한편,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끝단을 제외하면,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절연층(30) 및 외부 반도전층(40)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애관(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케이블(100)은 상기 도체부(10), 절연층(30), 및 외부 반도전층(40)이 상기 애관(1) 내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애관(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30)이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의 일부가 제거된 상기 전력케이블(100)이 상기 애관(1) 내부에 삽입된 상태라면, 내부 반도전층과의 사이에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외부 반도전층(40)의 단부에 전계가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외부 반도전층(40) 및 절연층(30)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애관(1)의 내부에는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전계완화콘(17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계완화콘(170)은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외부 반도전층(40)과 연결되는 반도전부(173), 상기 반도전부(173)를 감싸는 절연부(1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계완화콘(170)의 외곽에 구비된 상기 절연부(171)는 일 예로서 액상 실리콘 고무(LSR)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전계완화콘(170)의 외곽에 구비되어 절연성능을 담보하게 된다.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상기 상부금구(1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하단부는 상기 도체부(10)의 말단부에 결합하고, 상단부는 상기 애관(1)의 외부에 노출되는 도전성 부재에 해당한다.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소선 절연 전력 케이블(100)을 접속하는 경우, 소선의 절연을 제거하고 도체 인출봉에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삽입하고 상기 도체 인출봉을 압착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체 인출봉(70) 내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삽입하고 그 중심부에 도체 입자(mp)를 주입한 후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구조에서 사용되는 도체 인출봉(70)을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전용 체결홀(710)에 체결되는 통전용 볼트(310)와 고정용 체결홀(730)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330)를 생략하였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접속구조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부(10), 상기 도체부(10)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20), 상기 내부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절연층(30),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40), 상기 외부 반도전층(40)을 감싸고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져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한 차폐층(50), 상기 차폐층(50)을 감싸는 외피(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10)를 종단접속함에 접속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 장치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구되어 수용홈(71a)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통전용 체결홀(710)과 고정용 체결홀(730)이 구비되고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가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수용홈(71a)에 삽입되는 몸체부(71)와, 상기 몸체부(71)의 개구된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부(73)를 구비하는 도체 인출봉(70)과,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310)와,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에 체결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수용홈(71a)에 수용된 도체부(10)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볼트(330) 및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연장부(73)의 하단부 사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m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수용홈(71a) 중 도체부가 삽입되어 차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공간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구조는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도체 인출봉(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가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삽입되는 수용홈(71a)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체결홀(710, 73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상기 수용홈(71a)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체결홀(710, 730)이 구비되고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도체부(10)가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수용홈(71a)에 삽입되는 몸체부(71)와,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부(7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체부(10)가 삽입되는 몸체부(71)와 상기 몸체부(7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부(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71)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홈(71a)이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10)가 개방된 하단부(711)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712)에는 상기 연장부(73)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73)는 전술한 종단접속함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가공선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73)는 그 하단부에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712)에 결합되는 결합부(7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731)는 상기 연장부(73)의 하단부에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그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712)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부(731)의 나사산에 치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73)의 결합부(731)를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712)의 내측으로 삽입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결??부(731)의 나사산이 상기 몸체부(71)의 상단부(7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나산에 치합하여 결합된다. 상기 연장부(73)를 상기 몸체부(71)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7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73)와 상기 몸체부(71)의 착탈 가능한 연결구조는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71)에 비해 상기 연장부(73)가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몸체부(71)와 상기 연장부(73) 사이에 경사연결부(7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73)에서 상기 경사연결부(74)를 통해 상기 몸체부(71)와 연결되며, 상기 경사연결부(74)를 통해 상기 연장부(73)에서 상기 몸체부(71)를 향해 외경이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통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은 주석도금 구리 또는 주석도금 구리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는 복수 개의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310)(도 4 참조)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7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홀 중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수용홈(71a)의 천장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투입된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기 위한 통전용 체결홀(710)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71)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330)(도 6 참조)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730)이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7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홀 중 상기 몸체부(71)의 하부, 즉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접속되는 케이블의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용 볼트(330)를 체결하여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체결홀(730)이다.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에 상기 고정용 볼트(330)가 체결되면, 상기 도체부(10)는 체결부위가 소성 변형 또는 관통되어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길이방향, 또는 도 3에서 수직방향으로 도체부(10)의 움직임이 차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체결되는 통전용 체결홀(710)은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의 도체 입자(mp)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은 상기 몸체부(71) 상부의 원주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용 체결홀(730) 역시 상기 몸체부(71)의 하부 영역, 즉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의 하부에 영역에 상기 몸체부(7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위치에서 각각의 위치의 원주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체결홀들은 상기 몸체부(71)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몸체부(71)의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용 볼트(330)의 고정 효과를 도체부(10) 전체에 분산되도록 하고, 통전용 볼트(310)에 의한 도체 입자(mp)의 압축 효과가 특정 영역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공구로 토크가 인가되는 헤드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체결 완료 시 파단되는 영역이고 상기 몸체부는 체결 완료시 상기 몸체부 내부로 진입하여 체결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파단되어 분리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며, 나사산을 포함하여 상기 헤드부 아래에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아래에 형성되는 상기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부의 직경이 하단부의 최대 직경 이상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부에서 상기 도체부(10)의 삽입 높이를 제한하여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연장부(73)의 하단부 사이에 상기 도체 입자(mp)가 수용될 수 있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볼트 체결홀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전용 볼트(310)와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 깊이에 따른 체결력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고정용 볼트(330)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힘이 인가되는 경우 헤드부가 파단되는 파단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전용 볼트(310) 및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파단 볼트로 구성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100)의 접속구조는 종단접속함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고, 접속구조 외측에 절연유 등이 충전되며, 전계집중 방지 등의 이유로 볼트 헤드 등이 전력케이블(100)의 단부에 연결되는 도체 인출봉(7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구조여서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고정용 볼트(330) 및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황동 또는 황동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도체 접속구조의 도체 접속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방법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상기 수용홈(71a)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체결홀이 구비된 상기 몸체부(71)의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전력케이블(100)의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와,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71a)의 내벽 사이의 수용공간으로 다수의 도체 입자를 투입하는 도체 입자 투입단계와, 상기 몸체부(71)에 상기 고정용 볼트(73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와,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712)에 상기 연장부(73)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서 투입된 도체 입자(mp)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는 연장부 연결단계 및 상기 몸체부(71)에 상기 통전용 볼트(71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서 투입된 도체 입자(mp)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mp)를 통해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연장부(7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구조는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삽입된 접속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와 상기 연장부(73)의 하단부 사이의 수용공간에 별도의 도체 입자(mp)를 삽입한 후 통전용 볼트(310)를 내측 방향으로 체결하여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을 줄여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케이블의 도체부를 도체 인출봉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10)를 상기 도체 인출봉에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은 도체부(10) 단부의 균일한 면접촉이 쉽지 않아 저항이 증가될 수밖에 없고, 절연 피막을 탈피한 후 압착하는 방법은 훨씬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도체 접속구조는 상기 도체 인출봉(70)에 삽입된 접속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와 상기 연장부(73)의 하단부 사이의 수용공간에 별도의 도체 입자(mp)를 삽입한 후 통전용 볼트(310)를 내측 방향으로 체결하여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을 줄여 밀착시켜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이 최소화되고 도체 입자(mp)들이 접속 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와 도체 인출봉(70)의 전기적 연결을 완료하여 전력케이블(100)의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100)의 접속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 인출봉(70)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71)와 상기 연장부(73)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하단부(711)을 통해 상기 도체부(1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71)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710)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임시적으로 체결하고, 접속 대상 케이블의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하단부의 개구부(711)를 통해 상기 몸체부(71) 내부의 수용홈(71a)로 삽입하는 도체부 삽입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임시 체결이라 함은 볼트 헤드가 파단되지 않은 약한 체결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임시 체결된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은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의해 막힌 상태에 해당하여, 전술한 도체 입자(mp)가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을 통해 누설되지 않는 상태로 볼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용 볼트(330)를 고정용 체결홀(730)에 임시 체결할 수 있다. 이는 고정용 볼트(330)의 헤드부가 파단되는 본 체결이 수행되면 고정용 볼트(330)에 의한 도체부(10)의 소성 변형이 발생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도체 소선 들이 유입되어 도체 입자(mp)의 투입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임시 체결된 통전용 체결홀(710) 중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은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통전용 볼트(310)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통전용 볼트(310) 역시 후술하는 도체 입자(mp)의 주입 과정에서 도체 입자(mp)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머지 통전용 체결홀에 임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하단부를 통해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0)의 삽입높이는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에 임시 체결된 통전용 볼트(310) 중에 스토퍼 기능을 하는 볼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의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승하는 중에 스토퍼 기능을 하는 상기 통전용 볼트(710)의 하단부에 의해 상기 도체부(10)의 상승이 제한되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0)의 삽입높이가 결정된다.
상기 도체부(10)를 상기 몸체부(71)의 하단부를 통해 삽입한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게 된다.
상기 도체 입자(mp)는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712)를 통해 상기 몸체부(71)의 내측으로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71)의 내부에는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와 상기 수용홈(71a)의 내측벽에 의해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71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712)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도체 입자(mp)를 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임시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통전용 체결홀(710)을 통한 상기 도체 입자(mp)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712)를 통해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하게 되므로, 상기 도체 입자(mp)의 투입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도체 입자(mp)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면서 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입자(mp)는 통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도체 입자(mp)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체 입자(mp)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금속 와이어를 잘게 절단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체 입자(mp)는 구리, 은, 구리합금, 은합금, 은도금구리, 은합금도금구리, 은도금구리합금, 은합금도금구리합금, 구리도금은, 구리합금도금은, 구리도금은합금, 구리합금도금은합금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도체 입자(mp)들의 재질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이라면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체 입자(mp)를 투입한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볼트(330)가 본 체결과정에서 도체부(10)의 도체를 소성 변형 또는 관통하는 방법으로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와 도체부(10)를 고정하는 도체부 고정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체 입자(mp)를 상기 수용공간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73)의 연결 및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기 전에 상기 고정용 볼트(330)를 상기 고정용 체결홀(730)에 본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장부(73)를 상기 몸체부(71)에 연결하는 과정 및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본 체결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체부(10)의 단부 측면과 도체 입자(mp)의 접촉상태를 강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체 입자(mp)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작은 금속 입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순 주입된 상태에서는 입자들 사이에 공극이 상당 부분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73)의 연결 및 통전용 볼트(310)의 체결도 완료되면, 상기 도체 입자(mp) 사이의 공극이 감소 또는 제거되며 상기 도체 입자간 접촉면적 및 상기 도체입자와 상기 도체부(10)의 단부 측면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인출봉(70)과 도체부(10)는 고정용 볼트(33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므로, 통전용 볼트(310)를 본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몸체부(7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본체결이 되어 상기 도체부(10)의 단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는 하단부와 헤드부 사이에 형성된 몸체부(나사산이 형성된 부분)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이 상기 통전용 볼트(310) 하단부의 최대 직경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상기 통전용 볼트(310) 하단부의 형상을 반구 형태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330)를 본 체결하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에 상기 도체 입자(mp)가 충진된 상태로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고정된다.
상기 도체부(10)가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712)에 상기 연장부(73)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장부(73)의 상기 결합부(731)를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712)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연장부(73)의 하단부, 즉 상기 결합부(731)의 하단부에 의해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상기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을 줄일 수 있다.
즉, 전술한 도체 입자 투입 단계에서 상기 도체 입자(mp)를 상기 몸체부(71)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면으로 투입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 입자(mp)의 투입 높이는 상기 연장부(73)가 상기 몸체부(71)에 연결된 경우에 상기 연장부(73)의 하단부의 높이, 즉 상기 결합부(731)의 하단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연장부(73)가 상기 몸체부(71)에 연결된 경우에 상기 연장부(73)의 하단부의 높이는 상기 도체 입자 투입 단계에서 투입된 도체 입자(mp)의 투입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731)가 상기 몸체부(71)에 결합된 경우에 상기 결합부(731)의 하단부의 높이가 상기 도체 입자(mp)의 투입 높이보다 낮게 되면 상기 연장부(73)를 상기 몸체부(71)에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연장부(73)의 결합부(731)의 하단면에 의해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입자(mp)들 사이의 공극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연장부(73)를 상기 몸체부(71)에 연결한 후, 상기 도체 인출봉(70)의 몸체부(71)에 통전용 볼트(310)를 체결하여 상기 도체 입자 투입단계에서 투입된 도체 입자들의 공극을 줄여 압축하고, 압축된 도체 입자를 통해 상기 도체 인출봉(70)과 상기 도체부(10)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 통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 통전단계는 체결되는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도체부(10)의 상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310)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mp)들에 함께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용 볼트(310)를 본체결하게 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310)가 상기 몸체부(71)의 수용홈(71a)의 내측으로 진입하며 상기 도체 입자(mp)를 가압하여 압착하는 동시에 상기 통전용 볼트(310)의 몸체부가 상기 도체부(10)와 상기 연장부(73)의 하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전용 볼트와 상기 도체부 및 상기 도체 인출봉이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압축된 도체 입자와 함께 도체 단부(면)이 통전용 볼트(31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여 통전 경로를 다각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도체부
70 : 도체 인출봉
100 : 전력케이블
1000 : 접속함

Claims (17)

  1. 전력케이블의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도체부를 종단접속함의 도체 인출봉과 접속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홈을 제공하며 복수개의 체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부가 하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도체 인출봉;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단부를 통해 상기 도체부의 상부에 투입되어,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도체 입자;
    상기 도체 입자를 가압하여 상기 도체부와 상기 도체 인출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용 볼트;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도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는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헤드부가 파단되어 분리되는 파단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를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부에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 의해 상기 도체 입자를 압축하여 공극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도체 입자가 투입되고 상기 연장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면, 상기 통전용 볼트는 상기 도체부의 상단부,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 및 상기 통전용 볼트에 의하여 압축되어 공극이 감소된 도체 입자들에 함께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입자는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은, 구리 또는 그 합금 재질로 도금된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입자는 커팅된 구리 재질의 와이어 또는 커팅된 구리재질의 와이어를 은도금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통전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통전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체결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용 체결홀과 상기 고정용 체결홀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려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80029550A 2018-03-14 2018-03-14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KR102544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550A KR102544900B1 (ko) 2018-03-14 2018-03-14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550A KR102544900B1 (ko) 2018-03-14 2018-03-14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258A KR20190108258A (ko) 2019-09-24
KR102544900B1 true KR102544900B1 (ko) 2023-06-16

Family

ID=6806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550A KR102544900B1 (ko) 2018-03-14 2018-03-14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9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8136A (ja) 2012-12-27 2014-07-07 Viscas Corp 電力ケーブルの接続構造
CN205081245U (zh) 2015-09-06 2016-03-09 科耐特电缆附件股份有限公司 一种全新的石墨烯电缆附件用导体
WO2018041321A1 (en) 2016-09-05 2018-03-08 Relibond Aps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interface-forming device and use of a cold spraying apparatus for forming a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422B1 (ko) * 2015-10-08 2022-11-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도체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8136A (ja) 2012-12-27 2014-07-07 Viscas Corp 電力ケーブルの接続構造
CN205081245U (zh) 2015-09-06 2016-03-09 科耐特电缆附件股份有限公司 一种全新的石墨烯电缆附件用导体
WO2018041321A1 (en) 2016-09-05 2018-03-08 Relibond Aps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interface-forming device and use of a cold spraying apparatus for forming a power transmission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258A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9065A (en) Electrical cable
KR102350622B1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KR102416896B1 (ko) 중간접속함
KR102386729B1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상기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US20210119356A1 (en) Joint structure for high-voltage cable
KR102547375B1 (ko)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방법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US5113039A (en) Flexible cord with high modulus organic fiber strength member
KR102614999B1 (ko)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KR102419395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2544900B1 (ko)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EP3451351B1 (en) Low voltage electric power cable
US2876190A (en) Duct anode
KR102565605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2500202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KR102471823B1 (ko) 다단 파단볼트, 전력 케이블의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US3335215A (en) Stress relief apparatus
US6617512B2 (en) Wall feedthrough
JP6628245B2 (ja) アルミニウム導体ケーブルの端末接続部
US3244800A (en) Corona-free high voltage cable
KR102547374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2545397B1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방법
KR20190106532A (ko)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CN214313739U (zh) 一种矿物质绝缘防火电缆
GB2060281A (en) Electric cable barrier
JP7006828B1 (ja) 電力ケーブル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