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857B1 - 스프링 오거를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스프링 오거를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857B1
KR102541857B1 KR1020190005537A KR20190005537A KR102541857B1 KR 102541857 B1 KR102541857 B1 KR 102541857B1 KR 1020190005537 A KR1020190005537 A KR 1020190005537A KR 20190005537 A KR20190005537 A KR 20190005537A KR 102541857 B1 KR102541857 B1 KR 102541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pring auger
housing
support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996A (ko
Inventor
신영광
박승찬
김동욱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0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857B1/ko
Priority to BR112021014092-1A priority patent/BR112021014092A2/pt
Priority to PCT/US2019/043020 priority patent/WO2020149881A1/en
Priority to US17/265,915 priority patent/US11294302B2/en
Priority to EP19910245.0A priority patent/EP3814848A4/en
Priority to CN201980056186.3A priority patent/CN112639626B/zh
Publication of KR20200088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현상제 카트리지는, 현상제가 수용되며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위치에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로 운반하는 스프링 오거와, 하우징의 제1단부에 위치되며 스프링 오거와 연결되어 스프링 오거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평탄한 제1부분과, 제1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볼록한 제2부분이 길이방향으로 반복 배열된다.

Description

스프링 오거를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Developer cartridge with spring auger}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프린터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토너는 현상제로서,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용된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면 교체되는 소모품이다. 현상제 카트리지 내부의 현상제의 잔량을 검지하여 현상제 카트리지의 교체 시기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현상제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X1-X1'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X2-X2' 단면도이다.
도 5는 스프링 오거의 회전 위상에 따라 스프링 오거의 나선부와 하우징의 바닥면과의 접촉 상태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현상제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회전 부재와 스프링 오거의 일단부와의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스프링 오거의 일단부가 제1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은 회전 부재와 스프링 오거의 일단부와의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스프링 오거의 일단부가 제2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는 회전 부재의 일 실시예로서, 회전 부재의 0도, 90도, 180도, 270도 회전 위상을 보여준다.
도 1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터는 프린터 본체(1)와, 본체(1)에 착탈되는 현상제 카트리지(20)를 구비한다. 프린터 본체(1)는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인쇄부(2)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메체(P)에 칼라화상을 인쇄한다. 인쇄부(2)는 복수의 현상기(10), 노광기(50), 전사기, 정착기(80)를 구비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는 인쇄부(2)로 공급될 현상제를 수용한다. 프린터는 현상제가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와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는 복수의 현상기(10)로 각각 공급된다. 현상제 공급유닛(30)은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제를 받아서 현상기(10)로 공급한다. 현상제 공급유닛(30)은 공급 관로(40)에 의하여 현상기(10)와 연결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제 공급유닛(30)이 생략되고, 공급 관로(40)가 현상제 카트리지(20)와 현상기(10)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복수의 현상기(10)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린터는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카트리지(20) 및 현상기(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와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를 구비하는 프린터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를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현상기(10)는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4)과,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14)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15)는 감광드럼(14)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5)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대전롤러(15)에 부착된 현상제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전롤러클리너, 후술하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14)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17), 감광드럼(14)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17)는 예를 들어 감광드럼(14)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리닝 부재(17)는 회전되면서 감광드럼(14)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 브러쉬일 수도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와 캐리어는 현상기(10)로 공급된다.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4)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현상롤러(13)의 외주면과 감광드럼(14)의 외주면과의 간격은 예를 들어,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일 수 있다. 현상롤러(13)는 자기롤러일 수 있다. 또한, 현상롤러(13)는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 내에 마그넷이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현상기(10) 내에서 토너가 캐리어와 혼합되며, 토너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14)과 현상롤러(13)가 서로 대향된 현상 영역으로 운반된다. 규제부재(미도시)는 현상영역으로 운반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한다. 현상롤러(13)와 감광드럼(14)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토너만이 감광드럼(14)로 공급되어 감광드럼(1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노광기(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14)에 조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50)의 예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있다.
전사기는 감광드럼(14)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전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전사방식 전사기가 채용된다. 일 예로서, 전사기는 중간전사벨트(60), 중간전사롤러(61)와, 전사롤러(7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전사벨트(6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중간전사벨트(6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과 대면되는 위치에 복수의 중간전사롤러(61)가 배치된다. 복수의 중간전사롤러(61)에는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중간전사벨트(6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중간전사롤러(61)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70)는 중간전사벨트(6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롤러(70)에는 중간전사벨트(60)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 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정착기(80)는 인쇄 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8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50)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변조된 복수의 광을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에 주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로부터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된 C, M, Y, K 현상제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전사벨트(60)로 순차로 중간전사된다. 급지수단(90)에 적재된 인쇄 매체(P)는 급지경로(91)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롤러(70)와 중간전사벨트(60) 사이로 이송된다. 전사롤러(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전사벨트(60) 위에 중간전사된 토너화상은 인쇄 매체(P)로 전사된다. 인쇄 매체(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인쇄 매체(P)는 배출롤러(92)에 의하여 배출된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본체(1)에 착탈가능하며,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면, 현상제 카트리지(20)는 새로운 현상제 카트리지(20)로 교체될 수 있다. 일성분 현상 방식이 채용되는 경우,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일 수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이 채용되는 경우,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일 수 있으며, 토너와 캐리어일 수도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는 '토너 카트리지'로 지칭되기도 한다.
도 2는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X1-X1'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X2-X2'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0)는, 하우징(100), 스프링 오거(200), 및 회전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현상제가 수용된다. 하우징(100)은 길이방향(B)으로 이격된 제1단부(110)와 제2단부(120)를 구비한다. 제1단부(110)와 제2단부(12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위치에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10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배출구(101)는 제2단부(1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현상제 배출구(101)의 외측에는 현상제 배출구(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102)가 마련될 수 있다. 현상제 배출구(101)를 통하여 현상제가 현상기(10)로 공급될 수 있다. 현상제 배출구(101)에는 공급 관로(도 1: 40)가 연결될 수 있다. 현상제 배출구(101)는, 공급유닛(도 1: 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에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
스프링 오거(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101)로 운반하는 스프링 오거(200)이다. 스프링 오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 코일 형상이다. 회전 부재(300)는 하우징(100)의 제1단부(110)에 위치되며, 스프링 오거(200)와 연결되어 스프링 오거(200)를 회전시킨다.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는 회전 부재(300)에 연결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서, 회전 부재(300)와 스프링 오거(200)의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스프링 오거(200)는 회전 부재(300)에 연결된 연결부(211)와, 연결부(2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12)와, 연장부(212)로부터 길이 방향(B)으로 하우징(100)의 제2단부(120)를 향하여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 나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는 전술한 연결부(211)와 연장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스프링 오거(200)의 타단부(220)는 나선부(230)를 사이에 두고 일단부(210)의 반대쪽 단부이다.
연결부(211)는 예를 들어 스프링 오거(200)의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211)는 예를 들어 회전 부재(300)에 마련된 삽입공(301)에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212)는 회전 부재(300)에 반경 방향으로 절개된 슬릿(302)에 삽입된다. 회전 부재(300)가 회전되면 슬릿(302)의 측벽이 연장부(212)를 밀며, 스프링 오거(200)가 회전된다. 회전 부재(300)는 예를 들어, 기어, 커플러 등일 수 있다. 회전 부재(300)는,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에 마련된 현상제 공급 모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부재(300)는 현상제 카트리지(20)에 마련된 현상제 공급 모터(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
스프링 오거(200)의 타단부(220)는 하우징(100)에 구속되지 않은 자유단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오거(200)의 타단부(220)는 하우징(100)의 제2단부(120)에 연결되지 않고 하우징(100)의 제2단부(1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프링 오거(200)의 타단부(220)는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오거(200)의 타단부(220)는 하우징(100)의 제2단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 오거(200)이 회전되면, 스프링 오거(200)의 나선부(230)가 하우징(100)의 바닥면(103)과 접촉되면서 하우징(100) 내부의 토너를 길이방향(B)으로 운반하여 현상제 배출구(101) 쪽으로 이송시킨다. 스프링 오거(200)가 회전될 때에 스프링 오거(200)의 회전 위상에 따라서 스프링 오거(200)의 나선부(230)가 하우징(100)의 바닥면(10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5는 스프링 오거(200)의 회전 위상에 따라 스프링 오거(200)의 나선부(230)와 하우징(100)의 바닥면(103)과의 접촉 상태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보면, 스프링 오거(200)의 연장부(212)가 바닥면(103)을 향하는 위치를 스프링 오거(200)의 기준 회전 위치라 한다. 이때, 나선부(230)는 바닥면(103)에 접촉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 오거(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하면, 나선부(230)가 길이방향(B)으로 이동된다. 이때, 스프링 오거(200)의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스프링 오거(200)가 비틀리면서 나선부(230)가 바닥면(103)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한다. 스프링 오거(200)가 기준 회전 위치로부터 90도 회전된 위치(도 5의 (b))를 넘어서 180도 회전된 위치(도 5의 (c))에 도달될 때까지, 나선부(230)와 바닥면(103)과의 이격 거리는 점차 증가될 수 있다. 스프링 오거(200)가 기준 회전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된 위치(도 5의 (c))에 도달된 때에 나선부(230)와 바닥면(103)과의 이격 거리는 최대가 될 수 있다. 스프링 오거(200)의 회전 위치가 기준 회전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된 도 5의 (c)에 도시된 위치를 넘어서면, 나선부(230)는 바닥면(103)을 향하여 하강하기 시작한다. 스프링 오거(200)는 기준 회전 위치로부터 270도 회전된 위치(도 5의 (d))를 넘어서 다시 도 5의 (a)에 도시된 기준 회전 위치에 도달된다.
바닥면(103)이 길이방향(B)으로 평탄하다면, 스프링 오거(200)가 회전되는 동안에 스프링 오거(200)의 회전 위상에 따라서 나선부(230)가 바닥면(103)으로부터 이격되었다가 다시 접촉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따라서, 길이방향(B)으로 이격 구간(SP)과 접촉 구간(CP)이 반복되며, 이격 구간(SP)과 접촉 구간(CP)의 반복 주기는 나선부(230)의 피치(PT)와 동일하다.
이격 구간(SP)에서는 현상제가 운반되지 못하므로, 하우징(100) 내부의 현상제가 거의 소진되는 시점이 되면 바닥면(103)의 이격 구간(SP)에 대응되는 영역에 현상제가 남게 된다. 이 현상제를 잔류 현상제라 한다. 잔류 현상제는 바닥면(103)에 길이방향(B)으로 일정한 간격, 즉 나선부(230)의 피치(PT) 간격으로 다수의 위치에 존재한다. 스프링 오거(200)가 회전되더라도 잔류 현상제는 현상제 배출구(101)로 운반되지 않으므로, 인쇄에 사용될 수 없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잔류 현상제의 양을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카트리지(20)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바닥면(103)에 평탄한 제1부분(105)과 제1부분(105)으로부터 내측으로 볼록한 제2부분(104)을 형성한다. 제1부분(105)과 제2부분(104)은 길이방향(B)으로 반복 배열된다. 제1부분(105)과 제2부분(104)의 반복 배열 주기는 스프링 오거(200)의 피치, 즉 나선부(230)의 피치(PT)와 동일하다.
제1부분(105)는 접촉 구간(CP)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부분(104)는 이격 구간(SP)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이격 구간(SP)에서 나선부(230)가 내측으로 볼록한 제2부분(104)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격 구간(SP)에서도 현상제가 지속적으로 현상제 배출구(101)를 향하여 운반될 수 있어, 잔류 현상제의 발생이 감소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제1부분(105)과 제2부분(104)은 스프링 오거(200)의 연장부(212)의 회전 위상과 동기화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연장부(212)가 기준 회전 위치, 기준 회전 위치로부터 90도, 180도, 270도 회전된 위치에 위치된 때에 나선부(230)가 바닥면(103)과 대향되는 위치를 각각 제1위치(CP-1), 제2위치(CP-2), 제3위치(CP-3), 제4위치(CP-4)라 하면, 제2부분(104)은 연장부(212)의 기준 회전 위치에 대응되는 제1위치(CP-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제2부분(104)의 길이는 제1부분(105)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바닥면(103)과 나선부(230)와의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하여, 잔류 현상제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감소 또는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장부(212)의 회전 위상을 기준으로 하여, 기준 회전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 위치까지는 나선부(230)가 바닥면(103)으로부터 이격되는 구간이므로, 제2부분(104)은 제1위치(CP-1)으로부터 시작하여 적어도 제3위치(CP-3)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부분(104)의 돌출량은 제1위치(CP-1)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증가되다가 제3위치(CP-3)에 도달될 때까지 다시 점차 감소되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일 있다.
연장부(212)의 회전 위상이 180도 회전 위치를 넘어서면 나선부(230)가 바닥면(103)을 향하여 하강하며 어느 회전 위치에서 바닥면(103)에 접촉될 수 있다. 잔류 현상제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2부분(104)은 제4위치(CP-4)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부분(104)의 돌출량은 제1위치(CP-1)으로부터 점차 증가되다가 제4위치(CP-4)에 도달될 때까지 다시 점차 감소되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상부 벽(106)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스프링 오거(200)의 상방으로의 유동을 규제하는 규제 돌기(107)가 마련된다. 규제 돌기(107)는 스프링 오거(200)의 나선부(230)와 간격(d)을 두고 이격된다. 간격(d)은 예를 들어, 1.5mm 이하일 수 있다. 제2부분(104)의 돌출량은 간격(d) 이하일 수 있다.
연장부(212)가 이격 구간(SP)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격 구간(SP)은 제1단부(110)에 가까울수록 발생되기 쉽다. 스프링 오거(200)의 타단부(220)가 자유단인 경우 타단부(220)는 중력에 의하여 바닥면(103) 쪽으로 처질 수 있므로, 이격 구간(SP)은 제2단부(120)에 가까울수록 덜 발생될 수 있다. 스프링 오거(200)의 타단부(220)가 하우징(10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 경우에도 이격 구간(SP)은 제2단부(120)에 가까울수록 덜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면, 적어도 하우징(100)의 제1단부(110)로부터 제1단부(110)와 제2단부(120) 사이의 거리의 1/2 이상의 구간까지 제1부분(105)과 제2부분(104)이 반복 배열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제1단부(110)와 제2단부(120) 사이의 전체 구간에 제1부분(105)와 제2부분(104)이 반복 배열될 수도 있다.
이격 구간(SP)에 잔류되는 현상제의 양을 줄이거나 없애는 방안으로서, 이격 구간(SP) 자체를 이동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격 구간(SP)은 스프링 오거(200)의 나선부(230)의 피치(PT)를 주기로 하여 하우징(100)의 길이방향(B)으로 다수가 발생된다. 따라서, 스프링 오거(200)의 나선부(230)의 피치(PT)를 변경시키면, 이격 구간(SP)의 위치가 변동되어 변동 전의 이격 구간(SP)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101)로 운반할 수 있다.
도 6은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0)는, 하우징(100), 스프링 오거(200), 및 회전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현상제가 수용된다. 하우징(100)은 길이방향(B)으로 제1단부(110)와 제2단부(120)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의 바닥면(103)은 평탄하다. 제1단부(110)와 제2단부(12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위치에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10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배출구(101)는 제2단부(1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현상제 배출구(101)의 외측에는 현상제 배출구(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102)가 마련될 수 있다. 현상제 배출구(101)를 통하여 현상제가 현상기(10)로 공급될 수 있다. 현상제 배출구(101)에는 공급 관로(도 1: 40)가 연결될 수 있다. 현상제 배출구(101)는, 공급유닛(도 1: 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에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
스프링 오거(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되어 정방향(A1)으로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101)로 운반한다. 스프링 오거(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 코일 형상이다.
회전 부재(300)는 하우징(100)의 제1단부(110)에 위치되며, 스프링 오거(200)와 연결되어 스프링 오거(200)를 정방향(A1)으로 회전시킨다.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는 회전 부재(300)에 연결된다. 회전 부재(300)는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310)와, 제1지지부(310)의 정방향(A1) 측에 위치되며 제1지지부(310)와 다른 축방향(C)의 위치를 갖는 제2지지부(320)를 구비한다. 제2지지부(320)는 축방향(C)으로 제1지지부(310)보다 제1단부(110)에 가까울 수 있다. 회전 부재(300)가 정방향(A1)의 반대 방향인 역방향(A2)으로 회전되면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제1지지부(310)로부터 이탈되어 제2지지부(320)에 지지되도록, 스프링 오거(200)는 회전 부재(300)와 하우징(100)의 제2단부(120) 사이에 압축 상태로 지지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는, 하우징(100)의 제2단부(120)에 위치되어 스프링 오거(200)의 타단부(220)를 지지하며 스프링 오거(200)의 정방향(A1)의 회전을 허용하는 일방향 베어링(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방향 베어링(400)은 스프링 오거(200)의 역방향(A2)의 회전은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부재(300)가 역방향(A2)으로 회전될 때에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용이하게 제1지지부(310)로부터 이탈되어 제2지지부(320)에 지지될 수 있다.
회전 부재(300)는 예를 들어, 기어, 커플러 등일 수 있다. 회전 부재(300)는,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에 마련된 현상제 공급 모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부재(300)는 현상제 카트리지(20)에 마련된 현상제 공급 모터(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7은 회전 부재(300)와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와의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제1지지부(310)에 지지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은 회전 부재(300)와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와의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제2지지부(320)에 지지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제1지지부(310)에 지지된 상태(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스프링 오거(200)의 피치는 PT이다. 이 상태에서 회전 부재(300)가 정방향(A1)으로 회전되면, 제1지지부(310)의 역방향(A2) 쪽의 벽(311)이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를 정방향(A1) 쪽으로 민다. 스프링 오거(200)는 정방향(A1)으로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101)로 운반한다. 바닥면(103)이 평탄하므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격 구간(SP)과 접촉 구간(CP)이 나선부(230)의 피치(PT) 간격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바닥면(103)의 이격 구간(SP)에 대응되는 영역에 현상제가 잔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 부재(300)가 역방향(A2)으로 회전된다. 스프링 오거(200)는 회전 부재(300)와 하우징(100)의 제2단부(120) 사이에 압축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오거(200)는 회전되지 않는다. 회전 부재(300)가 역방향(A2)으로 회전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제1지지부(310)로부터 이탈되어 제2지지부(320)에 지지된다. 제2지지부(320)는 축방향(C)으로 제1지지부(310)보다 제1단부(110)에 가까우므로, 도 6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오거(200)가 길이방향(B)으로 인장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 부재(300)가 다시 정방향(A1)으로 회전되면, 제2지지부(320)의 역방향(A2) 쪽의 벽(321)이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를 정방향(A1) 쪽으로 민다. 스프링 오거(200)는 정방향(A1)으로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101)로 운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제2지지부(3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스프링 오거(200)의 피치는 PT1이며, PT<PT1이 된다.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제2지지부(320)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이격 구간(SP1)과 접촉 구간(CP2)은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제1지지부(310)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이격 구간(SP)과 접촉 구간(CP)과 다르다. 이격 구간(SP)의 일부는 접촉 구간(CP1)과 겹친다. 따라서, 바닥면(103)의 이격 구간(SP)에 대응되는 영역에 잔류된 현상제의 적어도 일부를 현상제 배출구(101)로 운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현상제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회전 부재(300)에는 다수의 제1지지부(310)와 다수의 제2지지부(320)가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회전 부재(300)의 일 실시예로서, 회전 부재(300)의 0도, 90도, 180도, 270도 회전 위상을 보여준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는 서로 90도 이격되며, 두 쌍의 제1지지부(310)와 제2지지부(320)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2지지부(320)의 정방향(A1) 쪽의 벽(322)은 회전 부재(300)가 역방향(A2)으로 회전될 때에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제2지지부(320)로부터 이탈되어 정방향(A1) 쪽에 위치되는 제1지지부(310)에 지지되도록, 축방향(C)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회전 부재(300)를 역방향(A2)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제1지지부(310)-제2지지부(320)-제1지지부(310)-제2지지부(320)에 순차로 지지되도록 하여, 바닥면(103)에서 현상제가 잔류하는 구간을 이격 구간(SP)-이격 구간(SP1)-이격 구간(SP)으로 순차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격 구간(SP) 및 이격 구간(SP1)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을 줄여서 현상제의 사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지지부(310)의 형태는, 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A2) 쪽의 벽(311)과 정방향(A1) 쪽의 벽(312)을 구비하는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부재(300)가 역방향(A2)으로 회전되면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는 벽(312)을 넘어서 제1지지부(310)로부터 이탈되어 제2지지부(320)에 지지된다. 제1지지부(310)의 형태는, 도 9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A2) 쪽의 벽(311)을 구비하며, 정방향(A1) 쪽의 벽(312)은 없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20)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아 인쇄매체(P)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2), 현상제 카트리지(20)의 현상제 잔량을 검출하는 현상제 잔량 검출부(3), 회전 부재(30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 및 검출된 현상제 잔량이 기준 잔량 이하이면, 회전 부재(300)를 역방향(A2)으로 회전시킨 후에 다시 정방향(A1)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 모터(4)를 제어하는 제어부(5)를 포함한다.
인쇄부(2)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매체(P)에 화상을 인쇄하며, 도 1에 도시되고 설명된 구조일 수 있다.
구동 모터(4)는 인쇄부(2)의 구성 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일 수 있다. 이 경우, 현상제 카트리지(20)가 인쇄부(2)에 장착되면, 회전 부재(300)는 구동 모터(4)와 동력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구동 모터(4)는 현상제 카트리지(20)에 마련되어 회전 부재(300)를 회전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이 경우, 현상제 카트리지(20)가 인쇄부(2)에 장착되면 구동 모터(4)는 제어부(5)와 연결될 수 있다.
현상제 잔량 검출부(3)는 다양한 방법으로 현상제 카트리지(20)의 현상제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화소수를 기반으로 한 현상제 소모량으로부터 현상제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 현상제를 인쇄부(2)로 공급하기 위한 구동 모터(4)의 구동 시간을 기반으로 한 현상제 소모량으로부터 현상제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전술한 방법들은 현상제의 소모량을 실제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쇄 화소수, 구동 모터(4)의 구동시간으로부터 현상제 소모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현상제 소모량에 기반하여 현상제 잔량을 검출한다.
현상제 잔량 검출부(3)는 현상제 카트리지(20) 내부의 현상제 잔량을 직접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상제 잔량 검출부(3)는 하우징(100)의 현상제 배출구(101) 근처에 배치되어 현상제 잔량에 따른 전기적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현상제 잔량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제 잔량 센서는 스프링 오거(200)에 의한 현상제의 운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현상제 배출구(101)의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현상제 잔량 센서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현상제 잔량 센서는 현상제의 잔량에 따른 인덕턴스의 변화를 검출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 잔량 센서는 L-C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L-C회로의 코일에 도체가 접근되면 L-C회로의 인덕턴스가 변한다. 현상제에 포함된 캐리어는 철 성분을 포함하므로, 현상제 잔량 센서 근처의 현상제의 양에 따라서 L-C회로의 인덕턴스가 변한다. 따라서, 인덕턴스의 변화를 이용하여 현상제 잔량을 검지할 수 있다.
현상제 잔량 검출부(3)는 예측된 현상제 소모량에 기반하여 현상제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과 현상제 잔량 센서를 이용하여 현상제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을 병행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의 현상제 잔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
현상제 잔량 검출부(3)의 현상제 잔량에 대응되는 검출 신호를 제어부(5)로 보낸다. 제어부(5)는 검출된 현상제 잔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 잔량과 비교한다. 기준 잔량은 예를 들어,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되는 초기 현상제 양의 약 10% 정도일 수 있다. 제어부(5)는 검출된 현상제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잔량 이하이면, 회전 부재(300)를 역방향(A2)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 모터(4)를 제어한다. 그러면, 스프링 오거(200)의 일단부(210)가 제1지지부(310)로부터 이탈되어 제2지지부(320)에 지지되며, 스프링 오거(200)의 피치가 변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는 회전 부재(300)를 다시 정방향(A1)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 모터(4)를 제어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바닥면(103)의 이격 구간(SP)에 대응되는 영역에 잔류된 현상제의 적어도 일부를 현상제 배출구(101)로 운반할 수 있어, 현상제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형태의 회전 부재(300)가 채용되는 경우, 검출된 현상제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잔량 이하이면, 회전 부재(300)의 정방향(A1) 회전과 역방향(A2) 회전을 반복하여 하우징(100)의 바닥면(103)의 이격 구간(SP) 및 이격 구간(SP1)에 대응되는 영역에잔류된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101)로 운반할 수 있어, 현상제 이용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현상제가 수용되며,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위치에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배출구로 운반하는 스프링 오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프링 오거와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오거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평탄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볼록한 제2부분이 상기 길이방향으로 반복 배열된 현상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오거의 타단부는 자유단인 현상제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오거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현상제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의 반복 배열 주기는 상기 스프링 오거의 피치와 동일한 현상제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1부분의 길이보다 긴 현상제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오거는,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나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연장부의 회전 위상과 동기화되어 형성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위치를 기준 회전 위치라 할 때,
    상기 스프링 오거가 상기 기준 회전 위치, 상기 기준 회전 위치로부터 90도, 180도, 270도 회전된 때에 상기 나선부가 상기 바닥면과 대향되는 위치를 각각 제1위치, 제2위치, 제3위치, 제4위치라 할 때,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3위치까지 형성된 현상제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4위치까지 형성된 현상제 카트리지.
  9. 현상제가 수용되며, 길이방향으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위치에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배출구로 운반하는 스프링 오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스프링 오거와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오거를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 오거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상기 정방향 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다른 축방향의 위치를 갖는 제2지지부를 구비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정방향의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프링 오거의 일단부가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스프링 오거는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제2단부 사이에 압축 상태로 지지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상기 역방향 쪽의 벽은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스프링 오거의 일단부를 밀어 상기 스프링 오거를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현상제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보다 상기 제1단부에 가까운 현상제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1지지부와 다수의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회전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현상제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의 상기 정방향 쪽의 벽은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스프링 오거의 일단부가 상기 제2지지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1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현상제 카트리지.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 오거의 타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 오거의 상기 정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일방향 베어링;을 포함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5. 상기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아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 잔량을 검출하는 현상제 잔량 검출부;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검출된 현상제 잔량이 기준 잔량 이하이면, 상기 회전 부재를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90005537A 2019-01-16 2019-01-16 스프링 오거를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KR102541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37A KR102541857B1 (ko) 2019-01-16 2019-01-16 스프링 오거를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BR112021014092-1A BR112021014092A2 (pt) 2019-01-16 2019-07-23 Cartucho de revelador com mola sem fim
PCT/US2019/043020 WO2020149881A1 (en) 2019-01-16 2019-07-23 Developer cartridge with spring auger
US17/265,915 US11294302B2 (en) 2019-01-16 2019-07-23 Developer cartridge with spring auger
EP19910245.0A EP3814848A4 (en) 2019-01-16 2019-07-23 DEVELOPER CARTRIDGE WITH SPRING SCREW
CN201980056186.3A CN112639626B (zh) 2019-01-16 2019-07-23 具有弹簧螺旋体的显影剂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37A KR102541857B1 (ko) 2019-01-16 2019-01-16 스프링 오거를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996A KR20200088996A (ko) 2020-07-24
KR102541857B1 true KR102541857B1 (ko) 2023-06-09

Family

ID=7161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537A KR102541857B1 (ko) 2019-01-16 2019-01-16 스프링 오거를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94302B2 (ko)
EP (1) EP3814848A4 (ko)
KR (1) KR102541857B1 (ko)
CN (1) CN112639626B (ko)
BR (1) BR112021014092A2 (ko)
WO (1) WO202014988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7142A (ja) 2008-03-26 2009-10-15 Fuji Xerox Co Ltd 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13074A (ja) 2008-11-05 2010-05-20 Fuji Xerox Co Ltd 現像剤補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WO2014147846A1 (ja) 2013-03-22 2014-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US20150248102A1 (en) 2014-02-28 2015-09-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9907A (en) * 1987-04-27 1988-04-26 Xerox Corporation Developer storage and dispenser apparatus
DE3865022D1 (de) 1988-03-02 1991-10-24 Siemens Nixdorf Inf Syst Vorrichtung zum dosierten einfuellen von toner aus einem vorratsbehaelter in die entwicklerstation eines druck- oder kopiergeraetes.
US4943830A (en) 1989-03-07 1990-07-24 Xerox Corporation Developer dispensing apparatus with a spring element hold down shoe mechanism
JP3001116B2 (ja) * 1991-01-28 2000-01-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トナー供給装置
JPH0750352B2 (ja) 1991-03-18 1995-05-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供給装置におけ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5289955A (en) * 1992-09-09 1994-03-01 Xerox Corporation Tri-level highlight color replenisher
JPH07114301A (ja) 1993-10-14 1995-05-02 Ricoh Co Ltd トナー搬送装置
JPH10247009A (ja) * 1997-03-04 1998-09-14 Fuji Xerox Co Ltd 現像剤供給装置
JPH11160987A (ja) * 1997-11-28 1999-06-18 Fuji Xerox Co Ltd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2004198703A (ja) * 2002-12-18 2004-07-15 Ricoh Co Ltd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55590A (ja) 2003-08-01 2005-03-03 Canon Inc 現像装置
JP4228023B2 (ja) * 2007-11-05 2009-02-2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トナーサプライ、画像形成装置
JP5335540B2 (ja) * 2009-04-28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CA3086128C (en) * 2010-03-10 2023-08-15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JP5156846B2 (ja) 2011-03-22 2013-03-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トナー収納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搬送装置の制御方法
JP6083954B2 (ja) 2011-06-06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6308712B2 (ja) * 2012-01-31 2018-04-1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122201B2 (en) * 2013-03-12 2015-09-01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esidual toner in a rotating container
JP6659102B2 (ja) * 2015-08-25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
JP6911325B2 (ja) * 2016-10-21 2021-07-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の製造方法
JP7019434B2 (ja) * 2018-01-29 2022-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及び像担持体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7142A (ja) 2008-03-26 2009-10-15 Fuji Xerox Co Ltd 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13074A (ja) 2008-11-05 2010-05-20 Fuji Xerox Co Ltd 現像剤補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WO2014147846A1 (ja) 2013-03-22 2014-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US20150248102A1 (en) 2014-02-28 2015-09-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81655A1 (en) 2021-06-17
CN112639626B (zh) 2024-01-09
BR112021014092A2 (pt) 2021-09-21
EP3814848A1 (en) 2021-05-05
KR20200088996A (ko) 2020-07-24
EP3814848A4 (en) 2022-05-18
WO2020149881A1 (en) 2020-07-23
CN112639626A (zh) 2021-04-09
US11294302B2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1446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9000386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perform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9746801B2 (en) Cartridge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11803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25834A (ja) 画像形成装置
JP5152657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10026067A (ko) 현상 카트리지의 회전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피벗 가능한 토너 공급 덕트
KR100677576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6227325A (ja) 画像形成装置
JP5847647B2 (ja) 画像形成装置
KR102541857B1 (ko) 스프링 오거를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KR101580841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401303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34234A (ja) 粉体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098839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0286668A (ja) 現像剤補給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90036322A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05517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program
JP2009134214A (ja) 転写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0117730A (ja) 画像形成装置
JP7183661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80016891A (ko) 일방향 클러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736995B2 (ja) 現像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099377A (ja) 画像形成装置、現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方法
JP6687882B2 (ja) 現像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