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741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741B1
KR102538741B1 KR1020180094766A KR20180094766A KR102538741B1 KR 102538741 B1 KR102538741 B1 KR 102538741B1 KR 1020180094766 A KR1020180094766 A KR 1020180094766A KR 20180094766 A KR20180094766 A KR 20180094766A KR 102538741 B1 KR102538741 B1 KR 102538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support part
folding
suppor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800A (ko
Inventor
남현석
김민구
류한선
명만식
박동진
윤효열
이경아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741B1/ko
Priority to US16/423,283 priority patent/US10754382B2/en
Priority to CN201910738582.6A priority patent/CN110827679B/zh
Publication of KR20200019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비폴딩부들 및 상기 비폴딩부들 사이에 배치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하부에 배치된 지지부, 상기 비폴딩부들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상기 폴딩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서브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서브 지지부의 제1 폭은 상기 표시 모듈의 제2 폭보다 작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모듈의 폴딩부의 변형량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폴딩 표시 장치의 경우,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표시 장치의 폴딩부가 변형될 수 있다.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이 반복될수록 폴딩부의 변형량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모듈의 폴딩부의 변형량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비폴딩부들 및 상기 비폴딩부들 사이에 배치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하부에 배치된 지지부, 상기 비폴딩부들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상기 폴딩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서브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서브 지지부의 제1 폭은 상기 표시 모듈의 제2 폭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비폴딩부들 및 상기 비폴딩부들 사이에 배치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하부에 배치된 지지부, 상기 비폴딩부들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상기 폴딩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서브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서브 지지부에 의해 상기 폴딩부의 일측과 상기 지지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폴딩부의 타측과 상기 지지부의 타측 사이에 홈들이 각각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의 폴딩부의 양측들 하부에 소정의 홈들을 정의함으로써, 폴딩부의 변형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층에 배치되는 어느 한 화소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폴딩부 하부에 배치된 서브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폴딩된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폴딩부의 확대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서브 지지부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표시 모듈(DM) 하부에 배치된 지지부(SP), 및 표시 모듈(DM)과 지지부(SP)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A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방향(DR1)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모듈(DM)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표시 모듈(DM)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상면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은 표시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비폴딩부들(NFP1,NFP2) 및 비폴딩부들(NFP1,NFP2) 사이에 배치된 폴딩부(FP)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두 개의 비폴딩부들(NFP1,NFP2) 및 하나의 폴딩부(FP)가 도시되었으나, 비폴딩부들(NFP1,NFP2) 및 폴딩부(FP)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DM)은 2개 보다 많은 비폴딩부들 및 비폴딩부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폴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폴딩부들(NFP1,NFP2)은 제1 비폴딩부(NFP1) 및 제2 비폴딩부(NFP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표시 모듈(DM) 때문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비폴딩부(NFP1) 및 제2 비폴딩부(NFP2) 사이 및 폴딩부(FP) 하부에 서브 지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지지부는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폴딩부(FP)는 폴딩부(FP)에 중첩하고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회전축(RX)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폴딩부(FP)가 폴딩되는 구성은 이하, 도 6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지지부(SP)는 표시 모듈(DM)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SP)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제1 지지부(SP1) 및 제2 지지부(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SP1)는 제1 비폴딩부(NFP1) 및 제1 비폴딩부(NFP1)에 인접한 폴딩부(FP)의 소정의 부분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지지부(SP2)는 제2 비폴딩부(NFP2) 및 제2 비폴딩부(NFP2)에 인접한 폴딩부(FP)의 소정의 부분에 중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지지부(SP1) 및 제2 지지부(SP2)는 폴딩부(FP)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지지부(SP1) 및 제2 지지부(SP2)는 폴딩부(FP)의 다른 소정의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M)는 비폴딩부들(NFP1,NFP2)과 지지부(S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M)는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을 제1 및 제2 지지부들(SP1,SP2)에 각각 부착시킬 수 있다.
접착 부재(AM)는 제1 비폴딩부(NFP1)와 제1 지지부(SP1)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AM1) 및 제2 비폴딩부(NFP2)와 제2 지지부(SP2)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A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M1)는 제1 비폴딩부(NFP1)를 제1 지지부(SP1)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M2)는 제2 비폴딩부(NFP2)를 제2 지지부(SP2)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윈도우(WIN), 및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IN)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OC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표시 패널들이 표시 패널(DP)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화소층(PXL), 화소층(PXL)을 덮도록 기판(SUB)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투명한 기판으로서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가요성을 갖기 위해 가요성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SUB)은 리지드(Rigid) 타입으로 제조되기 위해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층(PXL)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층(PXL)은 복수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들과 무기층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수분/산소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화소층(PXL)을 보호하기 위한 박막 봉지층(TFE)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층(PXL)을 보호하기 위해 봉지 기판(예를 들어, Encap Glass)이 사용될 수도 있다. 봉지 기판은 기판(SUB) 상에 배치되고, 화소층(PXL)은 봉지 기판과 기판(SU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NDA) 상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를 통해 기판(SUB)에 합착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합성 수지 기판 또는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플릿과 같은 무기물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부재는 유기물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층(PXL)은 봉지 기판 및 실링 부재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봉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에 의한 발광 소자의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레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접착제(OCA)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OCA)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IN)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윈도우(WIN) 및 표시 패널(DP) 사이에 복수 개의 터치 감지 유닛들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들은 외부의 터치(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이나 터치 펜 등)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층에 배치되는 어느 한 화소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PX)는 발광 소자(OLED) 및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 및 발광 소자(OLED)는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 및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된 층은 화소층(PXL)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판(SUB) 상에 버퍼층(BFL)이 배치되며, 버퍼층(BFL)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은 생략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 층(SM)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층(SM)은 비정질(Amorphous) 실리콘 또는 결정질(Poly) 실리콘과 같은 무기 재료의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층(SM)은 산화물 반도체(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반도체 층(SM)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층(SM)을 덮도록 버퍼층(BFL) 상에 제1 절연층(INS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상에 반도체층(SM)과 오버랩하는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반도체 층(SM)의 채널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을 덮도록 제1 절연층(INS1) 상에 제2 절연층(IN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층간 절연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 상에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1 컨택 홀(CH1)을 통해 반도체층(SM)의 소스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2 컨택 홀(CH2)을 통해 반도체층(SM)의 드레인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덮도록 제2 절연층(INS2) 상에 제3 절연층(INS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은 평평한 상면을 제공하는 평탄화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 상에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3 절연층(INS3)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3 컨택홀(CH3)을 통해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화소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극(E1) 및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오픈부(OP)가 정의되며, 오픈부(OP)가 배치된 영역은 화소 영역(PA)으로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영역(PA) 주변은 비화소 영역(NP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오픈부(OP) 내에서 제1 전극(E1) 상에 유기 발광층(OEL)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생성하는 유기 물질들의 조합에 의해 백색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 발광층(OEL) 상에 제2 전극(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공통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전면 발광형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1 전극(E1)은 반사형 전극을 포함하고, 제2 전극(E2)은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화소 영역(PA)에 형성되고, 화소 영역(PA)에서 제1 전극(E1), 유기 발광층(OEL),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이며, 제2 전극(E2)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일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화소(PX)를 덮도록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막 봉지층(TFE)은 제2 전극(E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에 의해 유기 발광층(OEL)을 발광시키기 위한 제1 전압이 제1 전극(E1)에 인가되고, 제1 전압과 반대 극성의 제2 전압이 제2 전극(E2)에 인가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고,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하면서 발광 소자(OLED)가 발광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폴딩부 하부에 배치된 서브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서브 지지부(SSP)를 도시하기 위해, 도 4에서 표시 모듈(DM)은 생략되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는 폴딩부(FP), 제1 비폴딩부(NFP1), 및 제2 비폴딩부(NFP2)의 영역들이 추가로 도시되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브 지지부(SSP)는 표시 모듈(DM)의 폴딩부(FP) 및 지지부(S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지지부(SSP)는 제1 접착 부재(AM1)와 제2 접착 부재(AM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는 제1 방향(DR1)으로 단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장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SP)와 마주보는 서브 지지부(SSP)의 하면은 지지부(SP)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과 마주보는 서브 지지부(SSP)의 상면은 표시 모듈(DM)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의 상면이 표시 모듈(DM)에 부착되지 않는 이유는 이하, 도 6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폴딩부(FP) 하부가 빈공간으로 형성되면, 제1 및 제2 접착 부재들(AM1,AM2)이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 하부에만 배치되므로, 폴딩부(FP)와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 경계 하부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는 이러한 단차를 보상하기 위해 폴딩부(FP)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서브 지지부(SSP)의 양측들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는 서브 지지부(SSP)의 폭은 제1 폭(W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표시 모듈(DM)의 양측들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는 표시 모듈(DM)의 폭은 제2 폭(W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지부(SP)는 표시 모듈(DM)과 동일하게 제2 방향(DR2)으로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제1 폭(W1)은 제2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서브 지지부(SSP)의 양측들은 폴딩부(FP)의 양측들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서브 지지부(SSP)의 양측들은 지지부(SP)의 양측들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의 제1 폭(W1)이 폴딩부(FP)의 제2 폭(W2) 및 지지부(SP)의 제2 폭(W2)보다 작고, 서브 지지부(SSP)의 양측들이 폴딩부(FP)의 양측들 및 지지부(SP)의 양측들과 중첩하지 않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FP)의 양측들 하부에 홈들(G)이 각각 정의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서브 지지부(SSP)에 의해 폴딩부(FP)의 일측과 폴딩부(FP)에 오버랩하는 지지부(SP)의 일측 사이 및 폴딩부(FP)의 타측과 폴딩부(FP)에 오버랩하는 지지부(SP)의 타측 사이에 홈들(G)이 각각 정의될 수 있다. 폴딩부(FP)의 타측은 폴딩부(FP)의 일측의 반대측으로 정의되고, 지지부(SP)의 타측은 지지부(SP)의 일측의 반대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서브 지지부(SSP)의 일측과 폴딩부(FP)의 일측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D1)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서브 지지부(SSP)의 일측의 반대측인 서브 지지부(SSP)의 타측과 폴딩부(FP)의 타측 사이의 거리는 제2 거리(D2)로 정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와 같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와 다를 수 있다. 제2 폭(W2)과 제1 폭(W1)의 비율은 1 대 0.9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대 0.936 내지 0.97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폭(W2)과 제1 거리(D1)(또는 제2 거리(D2))의 비율은 1 대 0.01 내지 0.03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대 0.013 내지 0.03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제2 폭(W2)은 110 mm 일 수 있고, 제1 및 제2 거리들(D1,D2) 각각은 1.5 mm 내지 3.5 mm 일 수 있으며, 제1 폭(W1)은 103 mm 내지 107 mm일 수 있다.
제3 방향(DR3)으로 서브 지지부(SSP)의 두께는 표시 모듈(DM)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두께는,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해당 구성의 상면 및 하면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브 지지부(SSP)의 두께는 25μm일 수 있고, 표시 모듈(DM)의 두께는 서브 지지부(SSP)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서브 지지부(SSP)는 제1 접착 부재(AM1)와 제2 접착 부재(AM2) 사이에 배치된 제1 서브 지지부(SSP1) 및 제1 서브 지지부(SSP1)와 제2 접착 부재(AM2) 사이에 배치된 제2 서브 지지부(S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지지부(SSP1) 및 제2 서브 지지부(SSP2) 사이의 경계는 폴딩부(FP)의 중심부에 중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서브 지지부(SSP1) 및 제2 서브 지지부(SSP2) 사이의 경계는 폴딩부(FP)의 다른 소정의 부분에 중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SSP1,SSP2)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단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장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단면은 제2 방향(DR2)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3 방향(DR3)으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단면이 도시되었으나, 제2 서브 지지부(SSP2) 역시 제1 서브 지지부(SSP1)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SP1)는 제1 접착 부재(AM1) 및 제1 서브 지지부(SSP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SP2)는 제2 접착 부재(AM2) 및 제2 서브 지지부(SSP2)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딩부(FP)의 중심부(CP)에 중첩하고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회전축(RX)을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모듈(DM)의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folding) 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DM)이 폴딩될 때, 제1 비폴딩부(NFP1)와 제2 비폴딩부(NFP2)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이 폴딩될 때, 제1 지지부(SP1) 및 제2 지지부(SP2)가 분리될 수있다. 또한, 표시 모듈(DM)이 폴딩될 때, 제1 서브 지지부(SSP1) 및 제2 서브 지지부(SSP2)가 분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SSP1,SSP2)은 제1 및 제2 지지부들(SP1,SP2)에 부착되고, 표시 모듈(DM)의 폴딩부(FP)에는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DM)이 폴딩될 때,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SSP1,SSP2)은 폴딩부(FP)와 분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SSP1,SSP2)이 폴딩부(FP)에 부착된다면, 표시 모듈(DM)이 정상적으로 폴딩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SSP1,SSP2)을 제1 및 제2 지지부들(SP1,SP2)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제1 및 제2 지지부들(SP1,SP2)과 마주보는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SSP1,SSP2)의 일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폴딩된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폴딩부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이 반복적으로 접히고 펼쳐질 때, 폴딩부(FP)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의 폴딩부(FP)가 늘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폴딩부(FP)의 양측들에서 보다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폴딩부(FP)의 측면은 폴딩부(FP)의 양측면들 중 어느 한 측면일 수 있으며, 폴딩부(FP)의 반대 측면 역시 폴딩부(FP)의 일측면과 동일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도 8에 도시된 폴딩부(FP)의 일측면의 변형이 설명될 것이다. 폴딩부(FP)의 일측면은 폴딩부(FP)의 일측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하 폴딩부(FP)의 일측은 폴딩부(FP)의 일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달리, 도 5에서 서브 지지부(SSP)가 폴딩부(FP)의 양측들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 지지부(SSP)의 양측들은 폴딩부(FP)의 양측들에 오버랩하고, 도 5에 도시된 홈들(G)은 형성되지 않는다.
폴딩 동작에 따라서 폴딩부(FP)의 일측이 늘어나고, 도 5에 도시된 홈들(G)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늘어난 폴딩부(FP)의 일측은 상부로 들떠 오를 수 있다. 상부로 들떠 오른 폴딩부(FP)의 일측은 도 8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이러한 상태는 제1 변형 상태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폴딩부(FP)의 양측들 하부에 홈들(G)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늘어난 폴딩부(FP)의 일측 중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에 인접한 폴딩부(FP)의 부분들은 홈들(G)을 향해 하부로 꺼질 수 있고, 폴딩부(FP)의 일측의 중심부는 상부로 들떠 오를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상태는 제2 변형 상태로 정의된다.
제1 변형 상태는 제1 변형량(△C1)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변형 상태는 제2 변형량(△C2)을 가질 수 있다. 변형량은 폴딩부(FP)의 변형에서 최저점과 최고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변형량(△C2)은 제1 변형량(△C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변형 상태가 제1 변형량(△C1)을 갖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폴딩부(FP)의 양측들 하부에 홈들(G)이 정의되지 않고 서브 지지부(SSP)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늘어난 폴딩부(FP)의 일측이 서브 지지부(SSP) 때문에 하부로 꺼지지 못하고 모두 상부로 들떠 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늘어난 폴딩부(FP)의 일측의 일부가 홈(G)을 향해 아래로 꺼질 수 있으므로, 제2 변형 상태는 제1 변형량(△C1)보다 작은 제2 변형량(△C2)을 가질 수 있다. 폴딩부(FP)의 변형량이 클수록, 폴딩부(FP)의 변형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제2 변형량(△C2)이 제1 변형량(△C1)보다 작으므로, 폴딩부(FP)의 변형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의 폴딩부(FP)의 양측들 하부에 홈들(G)을 정의함으로써, 폴딩부(FP)의 변형량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폴딩부(FP)의 변형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서브 지지부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서브 지지부(SSP)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서브 지지부들(SSP_1~SSP_4)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 내지 도 12는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들로 도시되었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들이므로,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단면이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서브 지지부들(SSP_1~SSP_3)은 제2 서브 지지부(SSP2)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브 지지부(SSP_1)는 제1 서브 지지부(SSP1) 및 복수 개의 더미 지지부들(DS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지지부(SSP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 서브 지지부(SSP1)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더미 지지부들(DSP1)은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양측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더미 지지부들(DSP1) 각각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더미 지지부들(DSP1) 각각의 두께는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더미 지지부들(DSP1)은 제2 서브 지지부(SSP2)의 양측들에도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서브 지지부(SSP2)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브 지지부(SSP_2)는 제1 서브 지지부(SSP1) 및 복수 개의 더미 지지부들(DSP2)을 포함하고, 더미 지지부들(DSP2)은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양측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더미 지지부들(DSP2) 각각은 직각을 이루는 제1 및 제2 변들(S1,S2) 및 제1 및 제2 변들(S1,S2)의 끝단들을 연결하고 직각과 마주보는 빗변(S3)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 지지부들(DSP2)의 제1 및 제2 변들(S1,S2)은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양측들 및 제1 지지부(SP1)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빗변(S3)은 빗변(S3)의 소정의 부분에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더미 지지부들(DSP2)은 제2 서브 지지부(SSP2)의 양측들에도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더미 지지부들(DSP2)의 제1 및 제2 변들(S1,S2)은 제2 서브 지지부(SSP2)의 양측들 및 제2 지지부(SP2)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브 지지부(SSP_3)는 제1 서브 지지부(SSP1) 및 복수 개의 더미 지지부들(DSP3)을 포함하고, 더미 지지부들(DSP3)은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양측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더미 지지부들(DSP3) 각각은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미 지지부들(DSP3)의 직각을 이루는 제1 및 제2 변들(S1,S2)은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양측들 및 제1 지지부(SP1)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더미 지지부들(DSP3)은 제2 서브 지지부(SSP2)의 양측들에도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더미 지지부들(DSP3)의 제1 및 제2 변들(S1,S2)은 제2 서브 지지부(SSP2)의 양측들 및 제2 지지부(SP2)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직각과 마주보는 빗변(S3')은 도 10에 도시된 빗변(S3)과 달리 절곡되지 않고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서브 지지부(SSP_4)는 제1 서브 지지부(SSP1')를 포함하고, 제2 방향(DR2)으로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폭은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서브 지지부(SSP1')의 양측들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브 지지부(SSP_4)는 제1 서브 지지부(SSP1')와 같은 형상을 갖고, 제1 서브 지지부(SSP1')와 제2 접착 부재(AM2) 사이에 배치된 제2 서브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AM: 접착 부재 SP: 지지부
SSP: 서브 지지부 FP: 폴딩부
NFP1,NFP2: 제1 및 제2 비폴딩부 AM1,AM2: 제1 및 제2 접착 부재
SP1,SP2: 제1 및 제2 지지부 SSP1,SSP2: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
DP: 표시 패널 PXL: 화소층
TFE: 박막 봉지층 WIN: 윈도우
RX: 회전축

Claims (20)

  1.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비폴딩부들 및 상기 비폴딩부들 사이에 배치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하부에 배치된 지지부;
    상기 비폴딩부들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상기 폴딩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서브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서브 지지부의 제1 폭은 상기 표시 모듈의 제2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서브 지지부의 양측들은 상기 폴딩부의 양측들에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서브 지지부의 일측과 상기 폴딩부의 일측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서브 지지부의 타측과 상기 폴딩부의 타측 사이의 제2 거리와 같은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폭과 상기 제1 폭의 비율은 1 대 0.9이며, 상기 제2 폭과 상기 제1 거리의 비율은 1 대 0.01 내지 0.03인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서브 지지부의 일측과 상기 폴딩부의 일측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서브 지지부의 타측과 상기 폴딩부의 타측 사이의 제2 거리와 다른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부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비폴딩부 및 제2 비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비폴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지지부는,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접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 서브 지지부; 및
    상기 제1 서브 지지부와 상기 제2 접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서브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지지부 및 상기 제2 서브 지지부 사이 경계는 상기 폴딩부의 중심부에 중첩하는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서브 지지부 하부에 배치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지지부 하부에 배치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부를 상기 제1 지지부에 부착시키고,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제2 비폴딩부를 상기 제2 지지부에 부착시키는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서브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폴딩부의 중심부에 중첩하고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폴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이 폴딩될 때,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가 분리되고, 상기 제1 서브 지지부 및 상기 제2 서브 지지부가 분리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은 상기 폴딩부와 분리되는 표시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은 상기 폴딩부에 부착되지 않는 표시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단변들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장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의 양측들에 배치된 복수 개의 더미 지지부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수직한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더미 지지부들 각각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 각각의 두께보다 작은 표시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더미 지지부들 각각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제1 변 및 제2 변; 및
    상기 제1 및 제2 변들의 끝단들을 연결하고 상기 직각과 마주보는 빗변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지지부들의 상기 제1 및 제2 변들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의 상기 양측들 및 상기 지지부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빗변은 상기 빗변의 소정의 부분에서 절곡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더미 지지부들은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직각 삼각형의 직각을 이루는 상기 더미 지지부들의 제1 및 제2 변들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의 상기 양측들 및 상기 지지부에 각각 접촉하는 표시 장치.
  1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 각각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 각각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부들 각각의 양측들은 곡면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20.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비폴딩부들 및 상기 비폴딩부들 사이에 배치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하부에 배치된 지지부;
    상기 비폴딩부들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상기 폴딩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서브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서브 지지부에 의해 상기 폴딩부의 일측과 상기 지지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폴딩부의 타측과 상기 지지부의 타측 사이에 홈들이 각각 정의되는 표시 장치.
KR1020180094766A 2018-08-14 2018-08-14 표시 장치 KR10253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66A KR102538741B1 (ko) 2018-08-14 2018-08-14 표시 장치
US16/423,283 US10754382B2 (en) 2018-08-14 2019-05-28 Display device
CN201910738582.6A CN110827679B (zh) 2018-08-14 2019-08-12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66A KR102538741B1 (ko) 2018-08-14 2018-08-14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800A KR20200019800A (ko) 2020-02-25
KR102538741B1 true KR102538741B1 (ko) 2023-06-02

Family

ID=6952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766A KR102538741B1 (ko) 2018-08-14 2018-08-1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54382B2 (ko)
KR (1) KR102538741B1 (ko)
CN (1) CN1108276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9987S1 (en) * 2018-06-01 2021-09-07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with multiple displays
JP2020046541A (ja) * 2018-09-19 2020-03-2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KR102643282B1 (ko) * 2019-01-16 2024-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41330B1 (ko) 2019-03-27 2022-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US11132087B2 (en) * 2019-06-14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664582B1 (ko) * 2019-09-09 2024-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10055843A (ko) * 2019-11-07 2021-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59090A (ko) * 2019-11-13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D207078S (zh) * 2020-02-06 2020-09-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帶雙顯示螢幕的可折疊電子裝置
KR20210102562A (ko) * 2020-02-11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04193A (ko) * 2020-02-14 2021-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09086A (ko) * 2020-02-26 2021-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16381A (ko) 2020-07-31 2022-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907031B2 (en) * 2021-05-21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62234A (ko) * 2021-05-31 2022-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조 방법
WO2023018068A1 (ko)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1820B2 (ja) * 1997-12-24 2003-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液晶表示板の設置構造
US6577496B1 (en) * 2001-01-18 2003-06-10 Palm, Inc. Non-rigid mounting of a foldable display
JP2006072115A (ja) * 2004-09-03 2006-03-1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装置
US7714801B2 (en) * 2005-01-05 2010-05-11 Nokia Corporatio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TWI441116B (zh) * 2008-04-22 2014-06-11 Creator Technology Bv 附加具有能有進一步功能之本體的可撓性顯示器之電子裝置
TWM395340U (en) * 2010-08-04 2010-12-21 Micro Star Int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KR102020659B1 (ko) 2013-06-03 2019-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US9588549B2 (en) * 2014-02-28 2017-03-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272355B1 (ko) * 2015-01-19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34240B1 (ko) * 2015-07-31 2021-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유기발광표시장치
WO2017051788A1 (ja) * 2015-09-24 2017-03-30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KR102421579B1 (ko) * 2015-11-16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82688B1 (ko) * 2016-08-09 202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578589B1 (ko) 2016-09-3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01500B1 (ko) * 2016-11-11 2023-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609510B1 (ko) * 2016-11-30 2023-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1834793B1 (ko) 2017-07-28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54382B2 (en) 2020-08-25
US20200057471A1 (en) 2020-02-20
CN110827679B (zh) 2022-10-11
KR20200019800A (ko) 2020-02-25
CN110827679A (zh)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741B1 (ko) 표시 장치
TWI810758B (zh) 顯示設備
TWI759319B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TWI723975B (zh) 顯示模組
KR20200128319A (ko) 표시장치
KR102545020B1 (ko) 표시 장치
KR20200124794A (ko) 표시 장치
CN106354296B (zh) 显示设备
KR102668484B1 (ko) 표시 장치
KR102669274B1 (ko) 표시 장치
KR20200133871A (ko) 표시 장치
US11569478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reliability
CN109860231A (zh) 显示设备
KR20210090766A (ko) 표시 장치
KR20220022926A (ko) 표시 장치
KR102488120B1 (ko) 표시 장치
KR102111448B1 (ko) 표시 장치
CN113206134A (zh) 显示装置
KR20210102562A (ko) 표시 장치
US1155774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dhesive layer having multiple adhesive layers
KR10200850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3169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135910A (ko) 표시 장치
KR20210109086A (ko) 표시 장치
KR102649331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