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684B1 -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 Google Patents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684B1
KR102538684B1 KR1020220136217A KR20220136217A KR102538684B1 KR 102538684 B1 KR102538684 B1 KR 102538684B1 KR 1020220136217 A KR1020220136217 A KR 1020220136217A KR 20220136217 A KR20220136217 A KR 20220136217A KR 102538684 B1 KR102538684 B1 KR 102538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ic
space
living room
floor
bed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13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은, 출입문과 연결되는 통로를 갖는 거실과, 상기 통로의 한쪽에 마련되는 주방과, 상기 통로의 다른쪽에 마련되는 화장실과, 상기 거실을 기준으로 상기 출입문과 반대 방향에 마련되는 침실을 포함하는 1층 주거공간; 상기 침실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다락과, 상기 거실의 상부를 제외한 상기 통로 및 상기 화장실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다락을 포함하는 2층 다락공간; 및 상기 거실의 벽에 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다락과 연결되는 제1 계단과, 상기 제1 계단과 대칭구조로 상기 벽에 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다락과 연결되는 제2 계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거실과 상기 2층 다락공간을 연결하는 연결계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building with housing spaces of double 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피스텔이나 원룸과 같은 1-2인 가구가 사용하는 한정된 주거공간에서, 1층은 거실을 기준으로 한 쪽에는 안방이 마련되고 반대쪽에는 화장실과 샤워실 및 주방이 구비되며, 2층은 거실의 상부 공간을 기준으로 한쪽에 제1 다락방이 그리고 반대쪽에 제2 다락방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2 다락방은 상기 거실에서 시작하여 양쪽으로 분기되는 제1,2 계단에 의해 1층과 각각 연결됨으로써 한정된 크기의 주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주거공간의 개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은, 건물의 벽·복도·계단 기타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각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주택의 일종으로서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이 상기의 공동주택에 해당한다.
그리고 근래에 들어 신축되는 공동주택은, 소득수준의 향상 및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각종 편의시설과 자연친화적 휴식공간 및 첨단기술이 적용된 집합체로서 다른 단독주택에 비교하여 수요자의 선호가 뚜렷할 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교육, 치안, 의료, 교통, 상권 등이 집중되어 주거공간의 이상의 투자가치를 갖는 바, 단위세대의 면적이 넓고 신축된 공동주택일수록 그 선호가 더욱 뚜렷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기 수요자가 선호하는 공동주택일수록 분양가 및 매매가가 높고, 이러한 고가의 공동주택을 일반 수요자가 자력으로 소유하기는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으며, 최근에는 무리한 대출을 통하여 공동주택을 보유함에 따른 사회적 문제로서 일명 '하우스푸어(house poor)'의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공동주택의 수요와 별개로 원룸의 수요 또한 증가하였는데, 1인 가구가 증가함과 아울러 출퇴근 및 통학을 위하여 직장과 학교 인근에 임시로 주거를 마련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바, 통상적인 원룸의 경우 단위세대 내 생활환경이 아파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악하고, 그 외에도 편의시설 및 휴식공간이 없거나 부족하여 결과적으로 원룸 임차인의 삶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01882호(공고일 : 2013.08.29)에는 복층 고시텔 원룸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복층 고시텔 원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도어(1)가 구비된 고시텔 원룸 천정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고시텔 원룸 내부 공간의 상부를 완전히 덮음으로써 고시텔 원룸 내부 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구획체(10)와, 상기 구획체(10)에 의해 구획되어 책상과 같은 생활가구와 제1실내등(21)과 에어컨(22)이 구비되는 활동공간(20)과, 상기 구획체(10)에 의해 구획되어 침대와 같은 휴식가구가 구비되고 제2실내등(31)이 구비되는 휴식공간(30)과, 상기 구획체(10)에 구비되어 거주자가 상기 활동공간(20)과 휴식공간(30)을 왕래할 수 있도록 한 이동사다리(40)가 포함된 것이다.
이러한 복층 고시텔 원룸은 좁은 공간을 갖을 수 밖에 없는 고시텔 원룸 공간을 구획체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여 상부에는 거주자가 취침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공간을 구성하고 하부에는 거주자가 일을 보거나 공부 또는 기타의 생활을 할 수 있는 생활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의 큰 공간 활용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식공간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를 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주방이나 화장실 공간이 확보될 수 없었고, 1층의 천장이 낮음으로써 개방감을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01882호(공고일 : 2013.08.29)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피스텔이나 원룸과 같은 1-2인 가구가 사용하는 한정된 주거공간을 1층과 2층으로 분할하되, 1층에는 안방과 거실 및 화장실과 샤워실, 주방을 형성하고, 2층은 거실의 상부공간을 기준으로 양쪽에 다락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한정된 크기의 주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출입문과 연결되는 통로를 갖는 거실과, 상기 통로의 한쪽에 마련되는 주방과, 상기 통로의 다른쪽에 마련되는 화장실과, 상기 거실의 상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1 다락과 제2 다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다락은 상기 침실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다락은 상기 거실의 상부를 제외한 상기 통로 및 상기 화장실의 상부에 형성되는 2층 다락공간; 및 상기 거실의 벽에 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다락과 연결되는 제1 계단과, 상기 거실의 벽에 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다락과 연결되는 제1 계단과, 상기 제1 계단과 대칭구조로 상기 벽에 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다락과 연결되는 제2 계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거실과 상기 2층 다락공간의 상기 제1,2 다락을 독립적으로 각각 연결하는 연결계단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2 계단의 하부에는, 상기 제1 계단의 폭과 같은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단위 테이블 부재가 겹쳐진 구조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거실 방향으로 인출되는 다단 인출식 테이블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장실은, 샤워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실의 공간에 접하는 상기 제1 다락, 상기 제2 다락 및 상기 제1,2 계단의 가장자리에는 난간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침실의 상기 제1 계단의 저부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개폐도어를 구비한 침실 수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침실과 거실 또는 상기 침실에 접한 벽에는, 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거실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다락 및 제2 다락을 연결하여 확장하기 위한 확장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확장수단은, 상기 거실의 상부 공간에 접하는 상기 제1 다락 및 상기 제2 다락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단차 안착부; 일단이 상기 거실의 벽체에 접한 상기 제1 다락 및 상기 제2 다락의 가장자리에 축설되는 제1 확장판; 및 일단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확장판에 축 결합되는 제2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장판을 당김에 따라 상기 제1,2 확장판이 펼쳐져 상기 단차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다락 및 제2 다락을 연결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피스텔이나 원룸과 같은 1-2인 가구가 사용하는 한정된 주거공간이 1층과 2층으로 분할됨으로써 한정된 크기의 주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거공간이 1층과 2층으로 분할되되, 2층에 거실의 상부를 제외한 양쪽에 각각 제1,2 다락을 형성함으로써 2층 다락공간이 서로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실의 상부에는 다락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좁은 공간의 개방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실 상부에 확장수단이 구비됨으로써 확장수단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1,2 다락이 연결되어 2층 다락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원룸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의 1층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의 2층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확장수단에 의해 2층 다락에 확장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의 1층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의 2층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은, 주거공간을 더블 복층구조로 구성하여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개방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거실(210)과 침실(220) 및 주방(230)과 화장실(240)이 각각 배치된 1층 주거공간(200)과, 거실(210)의 상부를 제외하고 거실(210)의 상부공간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제1,2 다락(310,320)을 구비하는 2층 다락공간(300)과, 1층 주거공간(200)과 2층 다락공간(300)을 연결하는 연결계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층 주거공간(2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250)과 전실(현관 - 252)을 구비한다. 전실(252)의 한쪽에는 신발장(254)이 마련된다. 물론, 신발장(254)의 도어 외측면에는 거울이 구비될 수 있다.
1층 주거공간(200)의 중앙에는 거실(210)이 마련된다. 연결계단(400) 중에서 제2 다락(320)과 거실(210)을 연결하는 제2 계단(420)의 하부에 해당하는 거실(210)의 일부 공간에는 다단 인출식 테이블(212)이 마련된다. 다단 일출식 테이블(212)은 제1 계단(420)의 폭과 같은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단위 테이블 부재(212A)가 겹쳐진 구조로 구성되어 테이블 수납공간(212B)에 수납되며, 테이블 수납공간(212B)에서 선택적으로 거실(210) 방향으로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단 일출식 테이블(212)은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별도의 테이블과 같은 가구가 불필요하게 되어 입주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블 수납공간(212B)을 다단 일출식 테이블(212)을 수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거실용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거실(210)은 1층 주거공간(200)의 침실(220)과 화장실(240) 및 주방(26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완충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한단. 즉, 침실(220)이 화장실(240) 및 주방(260)이 충분한 거리를 둠으로써 화장실(240)이나 주방(260)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나 소음 등이 감소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거실(210)의 상부에는 2층 다락공간(300)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거실(210) 공간의 개방감 및 환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1 - 3인 가구를 위한 좁은 주거공간의 개방감을 극대화시키고 환기성을 확보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거실(210)의 천장에는 환기를 위한 실링팬이 설치될 수 있다.
거실(210)과 전실(252) 사이에는 통로(256)가 형성되어 거실(210)과 전실(252)을 연결한다. 통로(256)의 한쪽 벽에는 주방(260)이 마련된다. 주방(260)은 주방 수납공간(262)과 가스렌지(264) 및 수전을 구비한 싱크대(266)으로 이루어지며, 주방 수납공간(262)과 가스렌지(264) 및 수전을 구비한 싱크대(266)는 나란하게 각각 배치된다.
통로(256)를 기준으로 주방(260)의 맞은 편에는 화장실(240)이 마련된다. 화장실(240)에는 변기와 세면대가 구비되며, 화장실(240)의 내부에는 샤워실(242)도 마련된다.
전술한 거실(210)의 한쪽, 즉 전실(252)의 맞은편에는 침실(220)이 형성된다. 침실(220)은 미닫이 도어(22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침실(220)의 한쪽 벽에는 환기를 위한 창(222)이 마련 된다.
그리고, 제1 다락(310)의 저부에 해당하는 침실(220)의 한 공간에는 개폐도어를 구비한 침실 수납공간(228)이 형성된다. 이 침실 수납공간(228)의 일부는 연결계단(400)의 제1 계단(410)의 저부와 접한다. 즉, 제1 다락(310)과 제1 계단(410)에 의해 제1 계단(410)의 저부에 형성된 침실(220)의 일부 공간에 도어를 설치하여 침실 수납공간(228)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침실(220)의 침실 수납공간(228) 맞은편 공간에도 별도의 수납공간, 예를 들면 붙박이장 등을 설치할 수 있다.
2층 다락공간(300)은, 주거공간의 2층을 구성하는 것으로, 거실(210)을 기준으로 양쪽에 제1,2 다락(310,320)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2층 다락공간(300)은 침실(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다락(310)과, 거실(210)의 상부를 제외한 통로(256) 및 화장실(24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다락(320)을 포함한다.
침실(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다락(310)은 침실(220) 측 창(222)의 상부가 위치하므로 환기 및 채광이 가능하다.
2층 다락공간(300)의 제1 다락(310)과 제2 다락(320)은 거실(210)의 상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분리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므로, 취침과 휴식을 위한 취침공간으로 활용할 경우에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제2 다락(320)의 벽에 접한 영역에는 개폐도어를 구비한 다락 수납공간(322)이 마련된다. 물론, 제1 다락(310)의 벽에 접한 영역에도 개폐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계단(400)은, 1층 주거공간(200)과 2층 다락공간(30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1층의 거실(210)과 2층의 서로 독립된 제1 다락(310) 및 제2 다락(320)을 연결한다. 즉, 거실(210)의 벽에 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제1 다락(310)과 연결되는 제1 계단(410)과, 제1 계단(410)과 대칭구조로 거실(210)의 벽에 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거실(210)과 제2 다락(320)을 연결하는 제2 계단(3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계단(420)의 하부 공간에 해당하는 거실(210)의 일부 공간에는 도어를 구비한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거실(210)의 공간에 접하는 제1 다락(310), 제2 다락(320) 및 제1,2 계단(410,420)의 가장자리에는 난간(500)이 각각 설치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확장수단에 의해 2층 다락에 확장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은, 거실(210)의 상부에, 제1 다락(310) 및 제2 다락(320)을 연결하여 제1 다락(310)과 제2 다락(320) 사이에 확장공간(330)이 형성되도록 2층 다락(300)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수단(800)이 마련된다.
확장수단(800)은, 거실(210)의 상부 공간에 접하는 제1 다락(310) 및 제2 다락(320)의 바닥을 이루는 구조물(310A,320A)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각각의 단차 안착부(830)와, 일단이 거실(210)의 벽체(210A) 또는 벽체(210A)에 접한 제1 다락(310) 및 제2 다락(320)의 가장자리에 축(840)으로 결합되는 제1 확장판(810)과, 일단에 손잡이(820A)가 구비되고 타단은 제1 확장판(810)에 경첩(860)에 의해 결합되는 제2 확장판(8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확장수단(800)을 펼쳐 2층 다락공간(300)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2 확장판(820)에 구비된 손잡이(820A)를 연결계단(400) 또는 난간(500) 방향으로 당긴다.
손잡이(820A)를 당김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확장판(810,820)이 축들을 중심으로 평편하게 펼쳐진 후 양쪽 가장자리가 단차 안착부(830)에 안착되어 제1 다락(310) 및 제2 다락(320)을 연결 확장한다. 이때, 단차 안착부(830)에는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돌기(830A)가 형성될 수 있고 제1,2 확장판(810,82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방지돌기(830A)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812,8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수단(800)을 이용하여 양쪽의 제1 다락(310) 및 제2 다락(320)을 연결함으로써 2층 다락공간(300)을 거실(210)의 면적만큼 확장시켜 확장공간(3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주거공간을 1층과 2층의 복층구조로 구성하되, 1층에는 거실(210)과 침실(220), 그리고 주방(260)과 화장실(240)을 구비한 1층 주거공간(200)을 구성하고, 2층은 거실(210)의 상부공간을 기준으로 양쪽에 서로 독립적인 제1 다락(310)과 제2 다락(320)으로 이루어진 2층 다락공간(300)을 구성하여 주거공간을 더블 복층구조 구성함으로써 공간의 활용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중앙에 위치하는 거실(210)의 상부에는 제1,2 다락(310,320)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한정적으로 좁은 거실(210)의 개방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2층 다락공간(300)의 제1,2 다락(310,320)을 거실(210)의 상부 공간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구성함으로써 양쪽 제1,2 다락(310,320)이 서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확장수단(800)을 적용할 경우에 2층 다락공간(300)을 거실(210)의 면적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0 : 1층 주거공간 210 : 거실
220 : 안방 240 : 화장실
242 : 샤워실 250 : 출입문
252 : 전실 256 : 통로
260 : 주방 300 : 2층 다락공간
310 : 제1 다락 320 : 제2 다락
322 : 다락 수납공간 400 : 연결계단
410 : 제1 계단 420 : 제2 계단
800 : 확장수단 810 : 제1 확장판
820 : 제2 확장판 830 : 단차 안착부

Claims (6)

  1. 출입문과 연결되는 통로를 갖는 거실과, 상기 통로의 한쪽에 마련되는 주방과, 상기 통로의 다른쪽에 마련되는 화장실과, 상기 거실을 기준으로 상기 출입문과 반대 방향에 마련되는 침실을 포함하는 1층 주거공간;
    상기 거실의 상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1 다락과 제2 다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다락은 상기 침실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다락은 상기 거실의 상부를 제외한 상기 통로 및 상기 화장실의 상부에 형성되는 2층 다락공간; 및
    상기 거실의 벽에 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다락과 연결되는 제1 계단과, 상기 제1 계단과 대칭구조로 상기 벽에 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다락과 연결되는 제2 계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거실과 상기 2층 다락공간의 상기 제1,2 다락을 독립적으로 각각 연결하는 연결계단을 포함하고,
    상기 거실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다락 및 제2 다락을 연결하여 확장하기 위한 확장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확장수단은, 상기 거실의 상부 공간에 접하는 상기 제1 다락 및 상기 제2 다락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단차 안착부;
    일단이 상기 거실의 벽체에 접한 상기 제1 다락 및 상기 제2 다락의 가장자리에 축설되는 제1 확장판; 및 일단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확장판에 축 결합되는 제2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장판을 당김에 따라 상기 제1,2 확장판이 펼쳐져 상기 단차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다락 및 제2 다락을 연결 확장한 것으로,
    상기 확장수단을 펼쳐 2층 다락공간을 확장하기 위해서, 제2 확장판에 구비된 손잡이를 당김에 따라 제1,2 확장판이 축들을 중심으로 평편하게 펼쳐진 후 양쪽 가장자리가 단차 안착부에 안착되어 제1 다락 및 제2 다락을 연결 확장하고,
    상기 단차 안착부에는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제1,2 확장판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방지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확장수단을 이용하여 양쪽의 제1 다락 및 제2 다락을 연결함으로써 2층 다락공간을 거실의 면적만큼 확장시켜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단의 하부에는,
    상기 제1 계단의 폭과 같은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단위 테이블 부재가 겹쳐진 구조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거실 방향으로 인출되는 다단 인출식 테이블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실의 상기 제1 계단의 저부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개폐도어를 구비한 침실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다락에는, 개폐도어를 구비한 다락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실과 거실 또는 상기 침실에 접한 벽에는, 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6. 삭제
KR1020220136217A 2022-10-21 2022-10-21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KR102538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17A KR102538684B1 (ko) 2022-10-21 2022-10-21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17A KR102538684B1 (ko) 2022-10-21 2022-10-21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684B1 true KR102538684B1 (ko) 2023-06-01

Family

ID=8677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217A KR102538684B1 (ko) 2022-10-21 2022-10-21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6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870Y1 (ko) * 2003-05-19 2003-08-14 김광산 주방의 복층구조
KR100738261B1 (ko) * 2006-11-28 2007-07-11 (주)홍주산업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1301882B1 (ko) 2012-02-17 2013-08-29 강용언 복층 고시텔 원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870Y1 (ko) * 2003-05-19 2003-08-14 김광산 주방의 복층구조
KR100738261B1 (ko) * 2006-11-28 2007-07-11 (주)홍주산업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1301882B1 (ko) 2012-02-17 2013-08-29 강용언 복층 고시텔 원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2099B2 (ja) 住宅
Krebs Basics Design and Living
JP2023051007A (ja) 住宅構造
KR102538684B1 (ko)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JP4279742B2 (ja) 建物
JP7401959B1 (ja) 住宅
JP2002317564A (ja) スキップフロアのある住宅
JP7381704B1 (ja) 住宅
JP2015083753A (ja) 建物
JP2014084585A (ja) 住宅
JP3776414B2 (ja) 中間階を有する建物
JP3230398U (ja) 住宅
JP3085919U (ja) 住 宅
JPH09195495A (ja) 小屋裏収納庫付き住宅
JP2024099053A (ja) 住宅
JP2007092429A (ja) 吹抜け付き建物
JP2023034357A (ja) 床下収納型建築構造物
JP6723699B2 (ja) 二世帯住宅
JPH1181712A (ja) 住 宅
JP2007063866A (ja) 作業空間付き収納室とそれを有する建物
Sandsten Can Less Room Make Room for the Elephant in the Room?
KR20210116107A (ko)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JP2023012125A (ja) 住宅
KR20210116114A (ko) 분리형 욕실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JP3048946U (ja) 住 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