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676B1 -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676B1
KR102538676B1 KR1020230001598A KR20230001598A KR102538676B1 KR 102538676 B1 KR102538676 B1 KR 102538676B1 KR 1020230001598 A KR1020230001598 A KR 1020230001598A KR 20230001598 A KR20230001598 A KR 20230001598A KR 102538676 B1 KR102538676 B1 KR 10253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ating
unit
fixing
drying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엽
김승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스틸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스틸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스틸웨어
Priority to KR102023000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objects or work being present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90Spray booths compris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objects or other work to be sprayed in and out of the booth, e.g. through the b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9/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 B05C19/008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elsewhere in B05C1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1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 F26B25/003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f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체도료에 대한 경화가 저온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금속재질은 물론, 나무나 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발화온도가 낮은 재질의 피도물로도 분체 도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가스나 기름 등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분체도료를 경화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DRY SYSTEM OF POWDER COATING}
본 발명은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체도료에 대한 경화가 저온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금속재질은 물론, 나무나 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발화온도가 낮은 재질의 피도물로도 분체 도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가스나 기름 등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분체도료를 경화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산업제품의 생산 라인에서 도장 공정은 제품의 형태가 완성된 후, 부식을 방지하고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최근에 들어서는 액상 도료를 적용하는 일반적인 도장 시스템과 달리 액상 도료에 대한 환경 문제가 범세계적인 규제로 법규화 됨에 따라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포함하지 않는 분체도료를 적용하여 도장을 실시할 수 있는 도장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정전 분체도장은 피도물로 분체가 정전으로 부착되도록 하고 200도의 온도에서 최소 30분 가량 가열되도록 하여 도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통상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 도료분사부(2), 이송부(3) 및 가열부(4)를 포함하며 피도물의 공급, 도장 공정 및 가열 공정을 포함하여 200m 이상의 컨베이어 설비가 요구되며, 가열부(4)를 통한 가열 구간만 80m 이상을 차지한다.
분체도료는 고온의 온도가 일정시간 유지됨으로써 경화될 수 있기 때문에 가열부(4)로의 열원 공급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분체 도장 시스템은 가스나 기름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피도물을 가열하기 때문에 연료 소비에 따른 비용 부담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연소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 등에 의해 대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2348721호(2022.01.07.) '분체도장용 건조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도료에 대한 경화가 저온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금속재질은 물론, 나무나 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발화온도가 낮은 재질의 피도물로도 분체 도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가스나 기름 등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분체도료를 경화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도물의 표면으로 분체도료를 도포하는 분체도료분사부; 분체도료가 도포된 피도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피도물이 상기 분체도료분사부와 상기 가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으로서, 상기 분체도료는 자외선에 경화되는 UV경화제가 포함되고,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피도물이 통과하는 UV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가열로를 포함하면서 80도 내지 100도의 온도로 피도물을 가열하여 분체도료가 겔(Gel)화 되도록 하고, 상기 UV건조부는 피도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상기 가열부에서 경화되지 않은 피도물의 표면이 자외선에 반응되면서 완전 경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체도료분사부에서 피도물로 분체도료를 도포하기 전에 피도물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는 저온 가열을 통해 피도물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사전건조부: 및 피도물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표면클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로에 설치되는 열선; 및 상기 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태양전지판; 및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집전하여 상기 열선로 공급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UV건조부는 상기 가열부를 통과하는 피도물이 통과하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의 내부에 배치되는 UV램프; 및 상기 건조로의 내부로부터 상기 UV램프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UV램프가 고정되는 UV고정체; 상기 UV고정체를 상기 건조로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수단; 및 상기 UV고정체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UV램프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UV고정체는 상기 UV램프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이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바와, 상기 한 쌍의 세로바를 연결하는 가로바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건조로의 내부에 고정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하판을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이 고정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하부가 상기 상,하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바;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회전바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상판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회전바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UV고정체는 상기 케이스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세로바(150a)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홀 및 상기 가이드홀의 상부에 위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바의 상부에 위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보조가이드홀을 통과하는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UV램프는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스와 함께 상기 건조로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재의 조임 회전에 따라 정지되면서 피도물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체도료에 대한 경화가 저온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금속재질은 물론, 나무나 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발화온도가 낮은 재질의 피도물로도 분체 도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나 기름 등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음으로써 분체도료를 경화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에서 분체도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에서 전원공급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UV건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UV건조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UV램프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서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6에서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은 피도물의 표면으로 분체도료를 도포하는 분체도료분사부(110), 분체도료가 도포된 피도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20) 및 피도물이 분체도료분사부(110) 및 가열부(120)를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이송하는 이송부(130)를 포함한다.
분체도료분사부(110)는 피도물의 표면으로 분체도료를 도포하며, 정전에 의해 분체도료가 피도물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가열부(120)는 가열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 분체도료가 도포된 피도물을 가열하여 분체도료가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송부(130)는 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피도물이 분체도료분사부(110)와 가열부(120)를 순차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여 피도물의 반복 이송을 통해 다수의 피도물에 대한 분체도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이송부(130)는 기 결정된 방향으로 피도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분체도료분사부(110)와 가열부(120)는 피도물의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되면서 피도물에 대한 분체도장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분체도료분사부, 가열부 및 이송부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정전 분체도장은 피도물에 분체도료를 정전으로 부착하고 200도 이상의 가열로에서 30분 가량 가열해야 도막이 형성된다. 또한, 가열로는 버너 등이 구비되면서 가스 혹은 기름 등의 연소를 통해 일정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가열로의 길이가 80m 이상을 차지해야 하는 등 이송부를 통한 피도물의 이송구간이 전체적으로 길어지는 것은 물론, 가열부의 구간을 200도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가스 또는 기름 등의 연료 소비가 증가되면서 비용 증가와 함께 연소시 발생되는 온실가스 등에 의해 대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은 분체도료에 대한 경화가 저온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나무나 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발화온도가 낮은 재질의 피도물로의 분체 도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분체도료를 경화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분체도료는 자외선에 경화되는 UV경화제가 혼합된 형태를 이룬다.
다시 말하면, 분체도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료(B)와 자외선(UV)에 경화되는 제2도료(B)가 혼합된 형태를 이룬다.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은 가열부(120)를 통과한 피도물이 통과하는 UV건조부(140)를 더 포함한다.
제1,2도료(A,B)는 분말 형태로 혼합되며, 제1도료(A)는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고 제2도료(B)는 자외선에 반응하여 경화되는 UV경화제로 이해될 수 있다.
제2도료(B)는 가열 대신 자외선에 반응하여 경화되는 특성에 따라 분체도료에 대한 가열 온도를 낮출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막이 동등한 강도를 갖도록 한다.
가열부(120)는 가열로(121)가 11m 내지 12m의 길이를 가지면서 피도물이 1분 내지 2분 동안 가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80도 내지 100도의 온도로 분체도료가 도포된 피도물을 가열하여 분체도료가 겔(Gel)화 되도록 한다.
즉, 피도물에 도포된 분체도료는 가열부(120)를 통과하면서 완전히 건조되지 않고 겔(gel)화 된다.
가열부(120)는 가열로(121)에 열선(122)이 설치되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가열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가열부(120)는 고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가스나 기름 등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분체도료를 경화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열선(122)은 지그재그 형태나 코일 형태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가열로(121)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가열되며 가열로(121)가 일정온도가 되도록 한다.
가열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122)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123)은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태양전지판(124), 태양전지판(124)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집전하여 열선(122)로 공급하는 발전기(125)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판(124)은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며 실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전기(125)는 태양전지판(124) 및 열선(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열선(122)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한편, UV건조부(140)는 가열부(120)에서 완전 경화되지 않은 피도물의 표면이 자외선에 노출되도록 하여 제2도료(B)가 자외선에 반응되면서 완전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UV건조부(14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도물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가열부(120)를 통과하는 피도물이 통과하는 건조로(141) 및 건조로(141)의 내부에 배치되는 UV램프(142)를 포함한다.
건조로(141)는 기초틀을 이루는 지지프레임(141a) 및 지지프레임(141a)의 외측에 설치되는 커버(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41a)은 가로,세로바 등이 교차되면서 하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나 '∩'와 같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건조로(141)는 전,후면에 개방구(미도시)가 형성되면서 피도물이 길이방향으로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UV램프(142)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점등되며 자외선광 다시 말하면, 자외선의 파장을 방출한다. 이와 같은 UV램프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UV램프(142)는 복수로 이루어져 건조로(141)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면서 이송부(130)의 구동에 따라 건조로(141)의 내부를 통과하는 피도물로 자외선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건조로(141)는 7m 내지 8m의 길이를 가지며, UV램프(142)는 자외선광을 1분 내지 3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이송부(130)의 구동에 따른 피도물의 이송 속도 등이 조절될 수도 있다.
분체도료는 피도물로 도포된 상태에서 가열부(120)에서 1차 젤(Gel)화 되는 한편, UV건조부(140)에서 2차 경화되면서 빠른 시간 내에 완전히 경화될 수 있다.
UV램프(14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건조로(141)의 내부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며 UV라인(C)을 형성하는 한편, UV라인(C)이 상하 방향으로 복층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건조로(141)는 내부 양측에 UV램프(142)가 전후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면서 형성되는 UV라인(C)이 상하 방향으로 복층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UV건조부(140)는 건조로(141)의 내부를 통과하는 피도물로 자외선광이 고르게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방법은 1차, 분체도료분사부(110)를 통해 피도물의 표면으로 UV경화제가 포함된 분체도료를 도포하고 2차, 분체도료가 도포된 피도물을 가열부(120)에서 일정온도 이하로 가열하여 분체도료가 겔(Gel)화 되도록 하며 3차, UV건조부(140)에서 피도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피도물의 표면이 완전 경화되도록 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UV건조부(140)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램프(142)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143)는 UV램프(142)가 고정되는 UV고정체(144), UV고정체(144)를 건조로(141)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수단(145) 및 UV고정체(144)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여 UV램프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승강수단(146)을 포함한다.
UV고정체(144)는 내부에 UV램프(142)가 수용되는 케이스(148)를 포함하는 UV모듈(147), UV모듈(147)의 양측이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바(150a) 및 한 쌍의 세로바(150a)를 연결하는 가로바(150b)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케이스(148)는 건조로(141)의 중앙부를 향하는 일면이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UV램프(142)가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48)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면에 환기통(148a)이 연결될 수 있다.
환기통(148a)은 케이스(148)의 양면으로 공기가 통과되면서 UV램프(142)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방열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한 쌍의 세로바(150a)는 타단부가 가로바(150b)에 의해 연결되고 일단부에 케이스(148)의 양측이 고정된다.
고정프레임(150)은 한 쌍의 세로바(150a)와 가로바(150b)가 일체로 연결되면서 건조로(141)의 중앙부를 향하는 일단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룬다.
지지수단(145)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로(141)의 내부에 고정되는 하판(151), 하판(15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152), 상,하판(152,151)을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153) 및 한 쌍의 가이드바(15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프레임(150)이 고정되는 몸체(154)를 포함한다.
하판(151)은 지지프레임(141a)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판(152)은 하판(151)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한 쌍의 가이드바(153)에 의해 하판(151)으로부터 지지된다.
몸체(154)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가로바(150b)가 고정되고 타면에 가이드바(153)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154a)가 설치되면서 가이드바(150b)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승강수단(146)은 상,하부가 상,하판(152,1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바(155), 몸체(154)에 고정되는 한편, 회전바(155)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이동부재(156) 및 상판(152)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회전바(155)로 결합되는 회전레버(157)를 포함한다.
회전바(155)는 베어링 등에 의해 상,하판(152,1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가 상판(152)을 통과하여 회전레버(157)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동부재(156)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회전바(155)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회전레버(157)는 손 등으로의 파지를 통해 외력을 가함으로써 회전바(155)가 함께 회전되면서 이동부재(156)가 상하 이동되도록 한다.
즉, 회전레버(157)는 회전바(155)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이동부재(156)와 함께 몸체(154)가 상하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UV램프(142)는 이동부재(156)의 상하 이동에 따른 몸체(154)의 상하 이동에 따라 UV고정체(144)와 함께 상하 이동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UV고정체(14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48)를 고정프레임(15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바(150a)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홀(150c)이 형성된다.
고정수단(158)은 일단부가 케이스(148)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이드홀(150c)을 통과하는 고정바(158a) 및 고정바(158a)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158b)를 포함한다.
고정바(158a)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158b)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고정바(158a)로 나사결합된다.
UV모듈(147)은 고정부재(158b)의 풀림 회전에 따라 건조로(141)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고정부재(158b)의 조임 회전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바(150a)는 가이드홀(150c)의 상부에 위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가이드홀(150d)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158)은 고정바(158a)의 상부에 위치되며 일단부가 케이스(148)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보조가이드홀(150d)을 통과하는 회전방지돌기(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159)는 UV모듈(147)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UV모듈(147)이 고정바(158a)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UV램프(142)는 고정부재(158b)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면서 피도물과의 이격거리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도료분사부(110)에서 피도물로 분체도료를 도포하기 전에 피도물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하는 전처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부(160)는 이송부(130)의 구동에 따른 피도물의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되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피도물에 분체도장을 위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처리부(160)는 사전건조부(170) 및 표면클린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건조부(170)는 분체도료분사부(110)에서 분사되는 분체도료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피도물 표면을 건조한다.
사전건조부(170)는 저온 가열을 통해 피도물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표면클린부(180)는 복수의 배기유로 및 부압펌프를 구비할 수 있고, 부압펌프는 복수의 배기유로 상에 부압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면클린부(180)의 배기유로 일단은 이송부(130) 상에 이송되는 피도물을 향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부압펌프가 작동됨에 따라 복수의 배기유로에는 부압이 작용될 수 있고, 피도물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의 파티클이 배기유로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 분체도료분사부 120 : 가열부
130 : 이송부 140 : UV건조부
141 : 건조로 142 : UV램프
143 : 지지장치 144 : UV고정체
145 : 지지수단 146 : 승강수단
147 : UV모듈 148 : 케이스
150 : 고정프레임
151 : 하판 152 : 상판
153 : 가이드바 154 : 몸체
155 : 회전바 156 : 이동부재
157 : 회전레버 158 : 고정수단
158a : 고정바 158b : 고정부재
159 : 회전방지돌기 160 : 전처리부
170 : 사전건조부 180 : 표면클린부

Claims (6)

  1. 피도물의 표면으로 분체도료를 도포하는 분체도료분사부; 분체도료가 도포된 피도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피도물이 상기 분체도료분사부와 상기 가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으로서,
    상기 분체도료는 자외선에 경화되는 UV경화제가 포함되고,
    상기 가열부를 통과하는 피도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상기 가열부에서 경화되지 않은 피도물의 표면이 자외선에 반응되면서 완전 경화되도록 하는 UV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가열로를 포함하면서 80도 내지 100도의 온도로 피도물을 가열하여 분체도료가 겔(Gel)화 되도록 하고,
    UV건조부는 상기 가열부를 통과하는 피도물이 통과하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의 내부에 배치되는 UV램프; 및 상기 건조로의 내부로부터 상기 UV램프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UV램프가 고정되는 UV고정체; 상기 UV고정체를 상기 건조로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수단; 및 상기 UV고정체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UV램프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UV고정체는 상기 UV램프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이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바와, 상기 한 쌍의 세로바를 연결하는 가로바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건조로의 내부에 고정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하판을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이 고정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하부가 상기 상,하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바;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회전바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상판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회전바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의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방법으로서,
    상기 분체도료분사부를 통해 피도물의 표면으로 UV경화제가 포함된 분체도료를 도포하고;
    분체도료가 도포된 피도물을 상기 가열부에서 일정온도 이하로 가열하여 분체도료가 겔(Gel)화 되도록 하며;
    상기 UV건조부에서 피도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피도물의 표면이 완전 경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V고정체는 상기 케이스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세로바(150a)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홀 및 상기 가이드홀의 상부에 위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바의 상부에 위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보조가이드홀을 통과하는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UV램프는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스와 함께 상기 건조로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재의 조임 회전에 따라 정지되면서 피도물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
  6. 삭제
KR1020230001598A 2023-01-05 2023-01-05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 KR10253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598A KR102538676B1 (ko) 2023-01-05 2023-01-05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598A KR102538676B1 (ko) 2023-01-05 2023-01-05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676B1 true KR102538676B1 (ko) 2023-05-31

Family

ID=8654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598A KR102538676B1 (ko) 2023-01-05 2023-01-05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127B1 (ko) * 2023-07-26 2023-11-17 주식회사 한국스틸웨어 탄소배출 저감형 도장 공정의 레이저블라스트를 포함하는분체도장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73B1 (ko) * 2008-09-19 2010-01-15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근적외선 분체도장 경화장치 및 그 방법
CN108745754A (zh) * 2018-08-28 2018-11-06 天津七所高科技有限公司 汽车铝轮毂的uv固化设备及工艺
KR20200081741A (ko) * 2018-12-28 2020-07-08 아인텍(주) 롤 포밍 코팅 시스템
KR102348721B1 (ko) 2020-01-21 2022-01-07 김형곤 분체도장용 건조 시스템
KR20220088543A (ko) * 2020-12-18 2022-06-28 주식회사 솔라라이트 태양전지를 이용한 투명히터,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73B1 (ko) * 2008-09-19 2010-01-15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근적외선 분체도장 경화장치 및 그 방법
CN108745754A (zh) * 2018-08-28 2018-11-06 天津七所高科技有限公司 汽车铝轮毂的uv固化设备及工艺
KR20200081741A (ko) * 2018-12-28 2020-07-08 아인텍(주) 롤 포밍 코팅 시스템
KR102348721B1 (ko) 2020-01-21 2022-01-07 김형곤 분체도장용 건조 시스템
KR20220088543A (ko) * 2020-12-18 2022-06-28 주식회사 솔라라이트 태양전지를 이용한 투명히터,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127B1 (ko) * 2023-07-26 2023-11-17 주식회사 한국스틸웨어 탄소배출 저감형 도장 공정의 레이저블라스트를 포함하는분체도장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676B1 (ko)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건조시스템
AU660529B2 (en) An enclosure for painting, and a method of enforcing evaporation from a coating on a panel surface
US9364839B2 (en) Applicator for spraying elastomeric materials
KR102068044B1 (ko) 분체 도장 시스템
US65926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der coating
US9095865B2 (en) Mobile coating system for elastomeric materials
JP7243992B2 (ja) ヒートスプレッダとウェーブガイドユニット、及びそれを含むコンベア型塗装乾燥炉
CN202137106U (zh) 一种uv光固化炉
CN107344156B (zh) 一种木门自动上漆装置
CN108745754A (zh) 汽车铝轮毂的uv固化设备及工艺
KR102243713B1 (ko) 목재 및 합판의 방염처리장치
EP0834351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ating elongate objects
US11543154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workpieces
CN205904005U (zh) Mdf板材表面粉末静电喷涂自动化生产线
KR102239571B1 (ko) 코팅필름 건조장치
CN107670860A (zh) Mdf板材表面粉末静电喷涂自动化生产线
KR102556862B1 (ko) 분체도료의 탄소저감형 문양 형성시스템 및 문양 형성방법
JP3794908B2 (ja) ガラス容器の塗装・印刷用乾燥装置
US6929696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pray coating an article
JPH0568916A (ja) 塗装設備
CN209549902U (zh) 水性uv漆干燥成膜线
JP4916618B2 (ja) 溶射金属層表面の塗装方法
JP2003251250A (ja) 水性塗料の塗装方法及び塗装装置
KR20090029364A (ko) 유리표면 도포기
JP2022130780A (ja) 水性塗料の塗膜形成方法と水性塗料の塗膜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