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380B1 - 대차 운반차 - Google Patents

대차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380B1
KR102536380B1 KR1020220144076A KR20220144076A KR102536380B1 KR 102536380 B1 KR102536380 B1 KR 102536380B1 KR 1020220144076 A KR1020220144076 A KR 1020220144076A KR 20220144076 A KR20220144076 A KR 20220144076A KR 102536380 B1 KR102536380 B1 KR 102536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op plate
link
fastening
fasten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철
Original Assignee
김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철 filed Critical 김광철
Priority to KR1020220144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79Towing by connecting to another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2001/001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vehicles other than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정면측에 구비되어 전동 또는 수동 차(車)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지지부의 배면측에 구비되는 발판; 상기 지지부로부터 발판이 회동되도록 하는 링크부; 상기 지지부 상측에 구비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상판; 및 상기 지지부의 정면측, 배면측, 좌측면측 또는 우측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상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판에 적재된 화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차 운반차{TRANSPORT CART}
본 발명은 화물의 적재가 용이한 대차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또는 수동 차(車)의 후미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대차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차 운반차는 상업용, 농업용, 공업용 등 농지나 공사 현장에서 다양한 화물을 쉽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상판 및 이동이 원활하도록 구름운동을 하는 캐스퍼(바퀴)로 구성된다.
이중에서도 농지에서 사용되는 농업용 대차 운반차는 전동 또는 수동 차(車)의 후미에 연결하여 공구, 농산물, 토사 등 다양한 화물을 적재하고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판에 적재된 다양한 화물이 전동 또는 수동 차(車)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이탈되거나 낙하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동 또는 수동 차(車)의 후미에 연결된 대차 운반차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판에 탑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판의 적재 공간을 감소시켜 화물의 적재량이 감소하는 등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1918호(2010.03.2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동 또는 수동 차(車)의 후미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대차 운반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탑승하기 위한 발판이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화물 적재시 상판 상측으로 돌출되는 턱이 형성되어 상판으로부터 화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 탑승시 상판 하측에 발판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대차 운반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판의 정면측, 배면측 또는 좌,우측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상판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설치됨으로써, 상판에 적재된 화물이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어 상판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차 운반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정면측에 구비되어 전동 또는 수동 차(車)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지지부의 배면측에 구비되는 발판; 상기 지지부로부터 발판이 회동되도록 하는 링크부; 상기 지지부 상측에 구비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상판; 및 상기 지지부의 정면측, 배면측, 좌측면측 또는 우측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상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판에 적재된 화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운반차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동 또는 수동 차(車)의 후미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탑승하기 위한 발판이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화물 적재시 상판 상측으로 돌출되는 턱이 형성되어 상판으로부터 화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 탑승시 상판 하측에 발판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정면측, 배면측 또는 좌,우측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상판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설치됨으로써, 상판에 적재된 화물이 상기 걸림부에 걸림되어 상판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링크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링크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발판이 펼쳐진 상태를, 도 5b는 발판이 직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상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걸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걸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암체결부와 수체결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상판에 저장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는 전동 또는 수동 차(車)의 후미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대차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는 발판(300)이 회동되어 직립된 상태에서는 걸림부(600)와 더불어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되는 턱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판(500)에 적재된 화물의 이탈 및 낙하를 방지하고, 발판(300)이 회동되어 평평하게 펼쳐지면 사용자가 발판(300)을 지지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록 하는 것으로, 지지부(100), 연결부(200), 발판(300), 링크부(400), 상판(500) 및 걸림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지지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의 기초 구조물로, 정면측에는 후술되는 연결부(200)가 구비되고, 배면측에는 발판(300)이 링크부(40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측에는 상판(500)이 결합되어 다양한 화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지지부(100)는 연결부(200)에 의해 전동 또는 수동 차(車)의 후미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적재된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100)는 이동을 위한 바퀴(110)가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부된 도면에는 한 쌍의 바퀴(110)를 설치하기 위한 하나의 축이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복수의 축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지지부(100) 정면측과 배면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의 축이 구비됨에 따라, 총 4개의 바퀴(1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각관이나 파이프의 조합으로 구성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지지부(100)는 목재, 금속, 비철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대차 운반차의 기초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로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부가 비어있는 각관이나 파이프의 조합으로 구성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지부(1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연결부(200)는 지지부(100)의 정면측에 구비되어 전동 또는 수동 차(車)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가이드판(210), 연결볼트(220) 및 고정너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판(210)은 지지부(100)의 정면측에 구비되며, 전,후측으로 관통된 관통공(211)이 형성된다.
연결볼트(2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전동 또는 수동 차(車)와 연결되고, 타측은 가이드판(210)에 형성된 관통공(211)을 관통하여 후술되는 고정너트(230)에 체결된다.
이러한 연결볼트(220)는 전동 또는 수동 차(車)의 후미에 배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관통공(211)의 내경은 연결볼트(220)의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관통공(211)을 관통한 연결볼트(220)는 전동 또는 수동 차(車)의 후미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볼트(220)와 연결된 가이드판(210), 즉 지지부(100)는 롤링현상에 의해 좌우로 흔들림이 가능하여 전동 또는 수동 차(車)가 후미에 연결된 대차 운반차를 끌고 가는 과정에서 경사나 불규칙한 지면에 의해 흔들리는 대차 운반차가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연결부(200)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너트(230)는 가이드판(210)의 관통공(211)을 관통한 연결볼트(220)에 체결된다.
이때, 고정너트(230)는 중간에 와셔가 구비되되, 상기 와셔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연결볼트(220)에 체결된 고정너트(230)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 3에는 연결볼트(220)가 가이드판(210)의 배면측에 체결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가이드판(210)의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200)는 도 3에는, 전동 또는 수동 차(車)와 그 후미에 대차 운반차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전동 또는 수동 차(車)와 지지부(10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기차나 트레일러, 카라반, 화물 운반차 등과 같이 다수의 차(車)를 연결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채택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조건에 따라, 연결부(200)의 구성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링크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링크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발판이 펼쳐진 상태를, 도 5b는 발판이 직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판(300)은 지지부(100)의 배면측에 링크부(40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발판(300)이 회동되는 방향에 따라, 상판(500)에 적재된 화물의 이탈 및 낙하를 방지하는 턱을 형성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발로 지지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여 대차 운반차에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링크부(400)는 지지부(100)로부터 발판(300)이 회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둥부(410), 제1링크(420) 및 제2링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링크부(400)는 지지부(100) 하측으로 연장된 기둥부(410)의 양측면과 발판(300)의 양측면 각각을 연결하도록 좌,우측 각각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기둥부(410)는 지지부(100)의 배면측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제1링크(420)와 제2링크(430)에 의해 기둥부(410)로부터 발판(300)이 회동되도록 한다.
제1링크(42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둥부(4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1고정점(421)과 발판(3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고정점(422)을 갖도록 연결되며, 제2링크(430)는 상기 제1링크(420)와 평행하게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되, 기둥부(4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1고정점(431)과 발판(3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2고정점(432)을 갖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제1링크(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4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1고정점(421), 제1-2고정점(422), 제2-1고정점(431) 및 제2-2고정점(432)에 의해 제1링크(420)와 제2링크(430)가 유기적으로 회동됨으로써, 기둥부(410)로부터 발판(300)이 직립된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제1링크(420)는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이 관통된 슬라이드홈(4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둥부(4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1고정점(421)이 상기 슬라이드홈(42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발판(300)이 기둥부(410)로부터 회동되는 과정에서 제1-1고정점(421)은 슬라이드홈(423)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발판(300)이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제1-1고정점(421)이 슬라이드홈(423)의 일단 또는 타단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발판(300)이 회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 도 5a 에서와 같이, 발판(30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1-2고정점(422)은 발판(300)으로부터 제1링크(420)가 회동되도록 하고, 제1-1고정점(421)은 슬라이드홈(42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일단에 걸림됨으로써, 발판(300)이 더이상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이에, 발판(30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평평하게 펼쳐진 발판(300)을 지지삼아 대차 운반차에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도 5b 에서와 같이, 발판(300)이 직립된 상태에서는, 제1-2고정점(422)은 발판(300)으로부터 제1링크(420)가 회동되도록 하고, 제1-1고정점(421)은 슬라이드홈(42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타단에 걸림됨으로써, 발판(300)이 더이상 지지부(100)와 상판(500) 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이때, 발판(300)이 직립된 상태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유지되어 턱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판(500)에 적재된 화물은 직립된 상태의 발판(300)에 걸림되어 상판(500)으로부터 이탈 및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제1링크(42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면측 상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걸림홈(424)이 형성되고, 지지부(100)의 배면측 하단에 걸림돌기(424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걸림돌기(424a)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가티, 지지부(100)의 하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00)의 가로축 프레임에 걸림홈(424)이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홈(424)은 발판(300)이 회동되어 직립한 상태에서 걸림돌기(424a)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발판(300)의 직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걸림홈(424)에 걸림돌기(424a)가 걸림되는 예를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발판(300)이 직립되도록 회동되는 과정에서 제1-1고정점(421)은 제1링크(420)의 슬라이드홈(423)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되며, 발판(300)의 회동이 완료되면, 상기 발판(300)의 하중에 의해 발판(300)은 기둥부(410)에 밀착되는 동시에 제1링크(420)와 제2링크(430)는 도 5b에서와 같이, 일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가 된다.
이때, 제1링크(42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424)은 상측으로 이동되어 지지부(100)에 구비된 걸림돌기(424a)에 걸림됨으로써, 발판(300)이 배면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반대로, 발판(300)을 회동시켜 펼치고자 하는 경우, 직립된 상태의 발판(300)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제1링크(420)와 제2링크(430)의 타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회동되며, 이때, 걸림돌기(424a)로부터 걸림홈(424)이 이탈되어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다음으로, 발판(300)을 배면측으로 회동시키면, 제1-1고정점(421)은 제1링크(420)의 슬라이드홈(423)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되어 걸림됨으로써, 도 5a에서와 같이, 발판(300)은 더이상 회동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링크부(400)는 발판(300)이 회동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직립된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고 또한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되는 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판(500)에 적재된 하물이 이탈 및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판(500)은 지지부(100) 상측에 구비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판(50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져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판(500)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며, 무게가 가벼운 폴리머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상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판(5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 일부분이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와 같이, 상판(500)의 외주연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510)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이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판(500) 상측에 적재된 화물이 걸림턱(510)에 의해 이탈 및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6에는 걸림턱(510)이 상판(500)의 외주연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발판(300)이 위치하는 배면측 일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걸림턱(510)이 형성되지 않은 공간을 통해 상판(500)으로 화물을 적재함으로써, 화물을 걸림턱(510) 상측으로 높이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적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걸림턱(510)이 형성되지 않은 공간은 발판(300)에 의해 차단되거나 또는 발판(300)을 지지하는 사용자에 의해 차단되어 상판(500)에 적재된 화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걸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걸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암체결부와 수체결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걸림부(600)는 지지부(100)의 정면측, 배면측, 좌측면측 또는 우측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판(500)에 적재된 화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암체결부(610), 수체결부(620) 및 낙하방지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부(600)를 통해 밭을 갈기 위한 칼날이나 삽 또는 곡괭이 등 다양한 공구 등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암체결부(610)는 지지부(100)의 정면측, 배면측, 좌측면측 또는 우측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암체결부(610)는 내측 공간이 비어있는 각관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수체결부(620)는 상기 암체결부(610)의 내측 공간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수체결부(620)의 내측 공간이 비어있는 각관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체결부(620)의 내측 공간에 암체결부(61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체결부(620)는 암체결부(610)에 끼워지며, 후술되는 낙하방지부(63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암체결부(610)와 수체결부(620)의 결합은 암체결부(610)에 내측 공간과 외부를 관통하는 체결홈(611)이 형성되고, 수체결부(620)에 상기 체결홈(611)에 대응되는 체결통공(621)이 형성됨에 따라, 암체결부(610)로 수체결부(620)가 끼워지면, 상기 체결홈(611)과 체결통공(621)에 체결되는 볼트 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체결부(620)에 형성된 체결통공(62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암체결부(610)에 형성된 체결홈(611)과 수체결부(6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체결통공(621) 중 선택된 하나의 체결통공(621)이 볼트 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암체결부(610)로부터 수체결부(620)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암체결부(610)로부터 수체결부(620)가 결합되는 위치를 가까워지도록 조절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체결부(620)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낙하방지부(630)가 상판(500)으로부터 인접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다수 개의 걸림부(600)에 의해 상판(500) 상측에 형성되는 적재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수체결부(620)가 암체결부(610) 측으로 인접하게 결합되면, 다수 개의 낙하방지부(630) 사이의 간격은 좁아져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반대로, 암체결부(610)로부터 수체결부(620)가 멀어지도록 이동된 후 결합되면, 다수 개의 낙하방지부(630)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도록 한다.
이에, 상판(500)에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 무게, 모양(형태) 등에 따라 상판(500)과 낙하방지부(6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적재 공간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화물을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낙하방지부(630)는 수체결부(620)에 경사진 형태로 연장된다.
이러한 낙하방지부(630)는 수체결부(62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체결부(620)와 낙하방지부(630)가 연결되는 부분이 꺾여진 'ㄱ'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암체결부(610)에 수체결부(620)가 끼워지면, 상기 수체결부(620)로부터 경사진 형태의 낙하방지부(630)는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걸림부(600)는 암체결부(610)에 수체결부(620)가 끼워지면, 낙하방지부(630)는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유지되어 상판(500)에 적재된 화물이 상기 낙하방지부(630)에 걸림됨으로써, 상판(500)으로부터 이탈 및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암체결부(610)와 수체결부(620)는 삼각, 사각, 오각 또는 육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체결부(610)와 수체결부(620)의 단면 각각은 육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암체결부(610)와 상기 암체결부(610)에 끼워지는 수체결부(620)의 단면은 육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낙하방지부(630)가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암체결부(610)에 수체결부(620)가 끼워지면, 각진 단면에 의해 낙하방지부(630)가 설치된 방향이 유지되도록 한다.
즉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낙하방지부(630)는 상판(500)의 상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판(500)에 적재된 화물이 낙하방지부(630)에 걸림되어 상판(500)으로부터 이탈 및 낙하가 방지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에서 상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판(500) 상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저장홈(52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저장홈(520)이 형성되되, 일부분이 꺾여진 'ㄱ'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저장홈(520)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수체결부(620)와 낙하방지부(630)가 암체결부(610)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저장홈(520)에 수용되도록 하여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저장홈(520)이 형성되는 깊이는 수체결부(620)와 낙하방지부(630)의 폭과 같거나 깊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저장홈(520)에 일체형의 수체결부(620)와 낙하방지부(630)가 수용되면 상판(500)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상판(500)에 적재되는 화물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운반차는 전동 또는 수동 차(車)의 후미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탑승하기 위한 발판(300)이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화물 적재시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되는 턱이 형성되어 상판(500)으로부터 화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 탑승시 상판(500) 하측에 발판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판(500)의 정면측, 배면측 또는 좌,우측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600)가 설치됨으로써, 상판(500)에 적재된 화물이 상기 걸림부(600)에 걸림되어 상판(500)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적재된 화물이 낙하로 인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지지부 110 : 바퀴
200 : 연결부 210 : 가이드판
211 : 관통공 220 : 연결볼트
230 : 고정너트
300 : 발판
400 : 링크부 410 : 기둥부
420 : 제1링크 421 : 제1-1고정점
422 : 제1-2고정점 423 : 슬라이드홈
424 : 걸림홈 424a : 걸림돌기
430 : 제2링크 431 : 제2-1고정점
432 : 제2-2고정점
500 : 상판 510 : 걸림턱
520 : 저장홈
600 : 걸림부 610 : 암체결부
611 : 체결홈 620 : 수체결부
621 : 체결통공 630 : 낙하방지부

Claims (10)

  1. 이동을 위한 바퀴(110)가 구비된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의 정면측에 구비되어 전동 또는 수동 차(車)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200);
    상기 지지부(100)의 배면측에 구비되는 발판(300);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발판(300)이 회동되도록 하는 링크부(400);
    상기 지지부(100) 상측에 구비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상판(500); 및
    상기 지지부(100)의 정면측, 배면측, 좌측면측 또는 우측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판(500)에 적재된 화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걸림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링크부(400)는
    상기 지지부(100)의 배면측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기둥부(410);
    상기 기둥부(4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1고정점(421)과 발판(3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고정점(422)을 갖는 제1링크(420); 및
    상기 기둥부(4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1고정점(431)과 발판(3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2고정점(432)을 갖는 제2링크(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링크(420)는
    상기 제2링크(4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1고정점(421)은
    상기 제1링크(420)의 슬라이드홈(42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운반차.
  2. 이동을 위한 바퀴(110)가 구비된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의 정면측에 구비되어 전동 또는 수동 차(車)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200);
    상기 지지부(100)의 배면측에 구비되는 발판(300);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발판(300)이 회동되도록 하는 링크부(400);
    상기 지지부(100) 상측에 구비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상판(500); 및
    상기 지지부(100)의 정면측, 배면측, 좌측면측 또는 우측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판(500)에 적재된 화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걸림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6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정면측, 배면측, 좌측면측 또는 우측면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암체결부(610);
    상기 암체결부(610)에 끼워지는 수체결부(620); 및
    상기 수체결부(620)에 경사진 형태로 연장된 낙하방지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암체결부(610)에 수체결부(620)가 끼워지면, 상기 낙하방지부(630)는 상판(500)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운반차.
  3. 청구항 1 또는 2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정면측에 구비되며, 전,후측으로 관통된 관통공(211)이 형성된 가이드판(210);
    상기 가이드판(210)에 끼워지는 연결볼트(220); 및
    상기 연결볼트(220)에 체결되는 고정너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운반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420)는
    정면측 상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걸림홈(424); 및
    상기 지지부(100)의 배면측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424a);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걸림홈(424)은
    상기 발판(300)이 회동되어 직립한 상태에서 걸림돌기(424a)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운반차.
  5. 청구항 1 또는 2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500)은
    폴리머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운반차.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부(610)와 수체결부(620)는
    삼각, 사각, 오각 또는 육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운반차.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부(610)는
    상기 수체결부(620)가 끼워지는 내측 공간과 외부를 관통하는 체결홈(61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체결부(620)는
    상기 체결홈(611)에 대응되는 체결통공(62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체결홈(611)과 체결통공(621)에 체결되는 볼트 결합에 의해 암체결부(610)로부터 수체결부(62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운반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결통공(621)은
    상기 수체결부(620)의 장축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운반차.
  10. 청구항 1 또는 2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각관이나 파이프의 조합으로 구성된 프레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운반차.
KR1020220144076A 2022-11-01 2022-11-01 대차 운반차 KR102536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076A KR102536380B1 (ko) 2022-11-01 2022-11-01 대차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076A KR102536380B1 (ko) 2022-11-01 2022-11-01 대차 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380B1 true KR102536380B1 (ko) 2023-05-26

Family

ID=8653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076A KR102536380B1 (ko) 2022-11-01 2022-11-01 대차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3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5425A (ja) * 1999-05-26 2000-12-05 Asahi Riirakku Kk 組立て式台車
KR20100031918A (ko) 2008-09-16 2010-03-25 주식회사 케이보배 작업용 대차
JP2012245862A (ja) * 2011-05-27 2012-12-13 Hitachi Ltd 牽引台車
KR101485300B1 (ko) * 2014-09-12 2015-01-28 (주) 유진오토라이프 전동 카트
KR101640136B1 (ko) * 2014-11-27 2016-07-18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음료의 냉장운반용 전동카트
KR20190053311A (ko) * 2017-11-09 2019-05-20 박영일 견인식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5425A (ja) * 1999-05-26 2000-12-05 Asahi Riirakku Kk 組立て式台車
KR20100031918A (ko) 2008-09-16 2010-03-25 주식회사 케이보배 작업용 대차
JP2012245862A (ja) * 2011-05-27 2012-12-13 Hitachi Ltd 牽引台車
KR101485300B1 (ko) * 2014-09-12 2015-01-28 (주) 유진오토라이프 전동 카트
KR101640136B1 (ko) * 2014-11-27 2016-07-18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음료의 냉장운반용 전동카트
KR20190053311A (ko) * 2017-11-09 2019-05-20 박영일 견인식 트레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919B2 (en) Extendable and collapsible apparatus that supports attachable components
US5105908A (en) Ladder treestand and trailer rit
US6276698B1 (en) Collapsible game tote
US3137250A (en) Material handling devices
US7252295B2 (en) Household and shopping laundry cart
US7537234B2 (en) Motorcycle towing device
US9623924B2 (en) Cart
US5374082A (en) Combine header transport oscillation frame
US8882436B2 (en) ATV ramp
US20100201091A1 (en) Single-wheeled and double-wheeled wheelbarrow
US20170267268A1 (en) Livestock Stall and Tack Cart
KR102536380B1 (ko) 대차 운반차
US6926293B1 (en) Load transport assembly
WO2014091217A1 (en) Storage and transport apparatus for scaffolding
US6203033B1 (en) Bucket-transport wheelbarrow
US20180215430A1 (en) Bicycle Attachment for Carrying a Folding Chair
DE19922791C2 (de) Rollbrett zur Anbringung an einen Kinderwagen
US6860364B1 (en) Cart and ladder combination
US10035528B2 (en) Cart system for holding and retaining portable ball hoppers
FR2905967A1 (fr) Systeme d'echafaudage
US1452003A (en) Implement support and carriage
US10549701B2 (en) Cargo carrier with chassis attachment system
US20050206102A1 (en) Folding carrier and shelter for use in ice fishing and hunting
KR200422286Y1 (ko) 계단 승강이 용이한 카트
CN212605541U (zh) 长度可调节的拖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