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131B1 -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131B1
KR102533131B1 KR1020180052495A KR20180052495A KR102533131B1 KR 102533131 B1 KR102533131 B1 KR 102533131B1 KR 1020180052495 A KR1020180052495 A KR 1020180052495A KR 20180052495 A KR20180052495 A KR 20180052495A KR 102533131 B1 KR102533131 B1 KR 102533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s
pattern
connection
notch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759A (ko
Inventor
김종화
김일주
김덕중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131B1/ko
Priority to US16/387,466 priority patent/US10996777B2/en
Priority to CN201910380393.6A priority patent/CN110456936A/zh
Publication of KR20190128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759A/ko
Priority to US17/227,485 priority patent/US1157365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유닛은, 상기 터치 영역에 배치된 노말 패턴들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노치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들, 및 상기 제1 패턴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노말 패턴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1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노치 패턴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노치 패턴들과 연결된 연결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TOUCH SENS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터치 감도가 향상된 입력 감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액티브 영역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는 액티브 영역을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액티브 영역을 가진다. 최근 다양한 형상의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면서, 다양한 형상을 가진 액티브 영역이 구현되고 있다.
본 발명은 터치 감도가 향상된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평면상에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과 이격되며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감지 영역 및 상기 감지 영역에 인접한 비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및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유닛은, 상기 터치 영역에 배치된 노말 패턴들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노치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들, 및 상기 제1 패턴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패턴들과 평면상에서 이격된 센서 패턴들, 및 상기 센서 패턴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2 전극, 상기 비 감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노말 패턴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1 트레이스 배선, 상기 비 감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패턴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2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노치 패턴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노치 패턴들과 연결된 연결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비 감지 영역을 향해 돌출되어 평면상에서 상기 비 감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노치 패턴들과 연결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연결부와 평면상에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과 상기 노치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노치 패턴들과 상이한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들 및 상기 센서 패턴들은 동일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 패턴들은 상기 제1 패턴들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1 패턴들 중 노치 패턴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과 동일한 노치 패턴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패턴들은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패턴들 각각은, 상기 제1 패턴들 중 두 개의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된 아일랜드 패턴, 상기 두 개의 패턴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아일랜드 패턴을 연결하는 제1 가지 패턴, 및 상기 두 개의 패턴들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아일랜드 패턴을 연결하는 제2 가지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입력 감지 유닛은 상기 센서 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센서 패턴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비 감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패턴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센서 패턴과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센서 패턴을 연결하는 보조 배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보조 배선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선은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과 동일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노치 패턴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추가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패턴은, 상기 노치 패턴들과 연결되고, 상기 보조 배선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치 패턴들은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중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 변들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노치 패턴들의 면적은 상기 노말 패턴들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단일의 가지부를 포함하는 노치 연결 패턴,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노치 연결 패턴에 의해 연결된 노치 패턴들, 상기 노치 연결 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복수의 가지부들을 포함하는 노말 연결 패턴,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노말 연결 패턴에 의해 연결된 노말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센서 패턴들 및 상기 센서 패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중 상기 노말 패턴들에 연결된 제1 트레이스 배선, 상기 제1 전극 중 상기 노치 패턴들에 연결된 연결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노치 패턴들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노치 패턴들 각각은 상기 노말 패턴들 중 최대 면적을 가진 노말 패턴의 일부가 제거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노치 연결 패턴과 상기 제2 방향에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은, 제1 연결 패턴, 상기 연결 패턴의 일 측에 연결된 제1 패턴, 상기 연결 패턴의 타 측에 연결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노드, 상기 제1 연결 패턴과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제2 연결 패턴, 상기 제2 연결 패턴의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 패턴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과 이격된 제3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노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연결 패턴의 연장 방향과 교차된 방향으로 이격된 연결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면적은 상기 제3 패턴의 크기보다 작다.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 각각은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방향으로 돌출되며, 평면상에서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과 중첩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의 일부와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으로부터 상기 제1 노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추가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패턴은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과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 패턴들을 연결하는 연결 패턴들의 일부가 절단된 감지 영역에 있어서, 터치 감도를 중심 영역에서의 터치 감도와 대응 가능한 정도로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감지 유닛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전 영역에서 균일한 터치 감도를 가진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AA'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BB'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CC'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Ⅲ-Ⅲ'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들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Ⅳ-Ⅳ'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의 스케일을 과장하거나 축소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장치(EA)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 받아 활성화된다. 전자 장치(EA)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상에서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영역(AA)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하는 센싱 영역(sesing area)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EA)는 액티브 영역(AA)에 인가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전자 장치(EA)는 입력 장치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외부 입력(TC)은 사용자의 손 모양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은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에 의한 접촉은 물론 전자 장치(EA)와 근접하거나, 소정의 거리로 인접하여 인가되는 외부 입력(TC: 예를 들어,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힘, 압력, 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액티브 영역(AA)은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display area)일 수 있다. 전자 장치(EA)는 액티브 영역(AA)에 영상(image)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영상을 통해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전자 장치(EA)는 출력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IM)는 액티브 영역(AA)내에 배치된 시간 및 날짜를 표시하는 프레임 형상의 이미지(IM)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영역(AA)은 함몰부(P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부(PC)는 평면상에서 액티브 영역(AA)을 정의하는 변들 중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일 변이 제1 방향(DR1)으로 함몰된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티브 영역(AA)은 다각형 형상 및/또는 곡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부(PC)는 전자 모듈(MD)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전자 모듈(MD)은 전자 장치(EA)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모듈, 무선통신 모듈, 영상입력 모듈, 음향입력 모듈, 메모리, 및 외부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 발광 모듈, 수광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NAA)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더라도 외부에 영상을 표시하거나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주변 영역(NAA)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액티브 영역(AA)에 제공하기 위한 신호 라인들이나, 액티브 영역(AA)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소자들이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의 일 측에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을 에워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에 있어서 주변 영역(NAA)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EA)는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 유닛(SU)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 층(BF), 회로층(ML), 발광소자층(EL), 및 봉지 기판(ECL)을 포함한다.
베이스 층(BF)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회로층(ML)은 베이스 층(BF) 상에 배치된다. 회로층(ML)은 발광소자층(EL)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ML)은 발광소자층(EL)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층(EL)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발광소자층(EL)은 회로층(ML)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통해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광을 표시하여 영상을 구현한다. 발광소자층(EL)은 회로층(ML) 상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층(EL)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층(EL)은 전기 영동 소자, 액정 커패시터, 전기 습윤 소자, 또는 유기발광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소자층(EL)은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봉지 기판(ECL)은 발광소자층(EL)을 밀봉한다. 봉지 기판(ECL)은 수분, 산소, 및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소자층(EL)을 보호한다. 봉지 기판(ECL)은 실링부(LP)를 통해 베이스 층(BF)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기판(ECL)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링부(LP)는 프릿(frit)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링부(LP)를 구성하는 물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SU)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a는 봉지 기판(ECL) 상에 입력 감지 유닛(SU)이 직접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감지 유닛(SU)이 별도로 제공되어 봉지 기판(E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봉지 기판(ECL) 및 입력 감지 유닛(SU) 사이는 배치되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접착 부재에 의해 봉지 기판(ECL) 및 입력 감지 유닛(SU)은 결합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EA-A)는 표시 패널(DP-A) 및 입력 감지 유닛(SU-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A)은 베이스 층(BF-A), 회로층(ML-A), 발광소자층(EL-A), 및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회로층(ML-A), 발광소자층(EL-A)은 도 2a의 회로층(ML), 발광소자층(EL)과 대응될 수 있다.
도 2a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층(EL-A)은 박막 봉지층(TFE)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및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수분/산소로부터 발광소자층(EL)을 보호하고, 유기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소자층(EL)을 보호한다. 무기막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봉지 유기막은 아크릴 계열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SU-A)은 박막 봉지층(TFE)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박막 봉지층(TFE) 상에 연속 공정에 의해 입력 감지 유닛(SU-A)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박막 봉지층(TFE) 및 입력 감지 유닛(SU-A) 사이는 배치되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박막 봉지층(TFE) 및 입력 감지 유닛(SU-A)은 접착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과 같은 유기 접착층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SU)은 액티브 영역(AA)에 제공된 함몰부(PC)와 대응되는 노치(N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치(NC)는 평면상에서 제1 변(NC-L), 제2 변(NC-M), 및 제3 변(NC-R)을 포함한다.
제1 변(NC-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다. 제3 변(NC-R)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1 변(NC-L)과 제2 방향(DR2)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변(NC-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제1 변(NC-L) 및 제3 변(NC-R)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변(NC-L) 및 제3 변(NC-R)을 연결한다.
제2 변(NC-M)과 연결된 제1 변(NC-L) 및 제3 변(NC-R) 각각의 일단은 곡선 형상을 가지며, 제1 변(NC-L) 및 제3 변(NC-R) 각각의 타 단(일 단과 마주하는)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노치(NC) 형상은 평면상에서 곡선을 포함하며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감지 유닛(SU)의 형상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로 정의된 평면을 포함하는 정형 형상(regular shape)을 가지거나, 다각형 형상 및/또는 곡선 형상을 포함하는 비 정형 형상(irregular shape)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SU)은 감지 영역(TA) 및 비 감지 영역(NTA)을 포함한다. 감지 영역(TA) 및 비 감지 영역(NTA)은 액티브 영역(AA)에 중첩할 수 있다. 감지 영역(TA)은 외부 입력(TC)을 감지하는 영역일 수 있다. 비 감지 영역(NTA)은 감지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비 감지 영역(NTA)은 감지 영역(TA)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감지 영역(TA)은 제1 감지 영역(SA1), 제2 감지 영역(SA2) 및 제3 감지 영역(S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영역(SA1)은 평면 상에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감지 영역(SA2) 및 제3 감지 영역(SA3)은 제1 감지 영역(SA1)으로부터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감지 영역(SA2)의 가장자리를 정의하는 변들 중 제3 감지 영역(SA3)과 일 변의 형상은 제1 변(NC-L)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3 감지 영역(SA3)의 가장자리를 정의하는 변들 중 제2 감지 영역(SA2)과 마주하는 일 변의 형상은 제3 변(NC-R)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감지 영역(SA1) 이외에 제2 및 제3 감지 영역들(TA2, TA3)이 제공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감지 영역(SA1)으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는 감지 영역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영역(SA1)으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는 감지 영역은 단수 일 수도 있고,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제2 감지 영역(SA2) 및 제3 감지 영역(SA3) 사이의 영역, 즉 노치(NC)에는 전자 모듈(MD)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감지 영역(TA) 및 비 감지 영역(NTA) 각각의 평면상에서의 형상은 액티브 영역(AA)의 평면상에서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지 영역(TA) 및 비 감지 영역(NTA) 각각의 평면상에서의 형상은 액티브 영역(AA)의 형상과 상이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감지 유닛(SU)은 제1 전극(SE1), 제2 전극(SE2), 제1 트레이스 배선들(SL1, SL2), 제2 트레이스 배선들(SL3, SL4),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 보조 배선(CL) 및 패드들(PD)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SU)은 베이스 부재(BS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BSL)는 도 2a의 봉지 기판(ECL) 또는 도 2b의 박막 봉지층(TFE)과 대응될 수 있으며, 봉지 기판(ECL) 및 박막 봉지층(TFE) 상이한 구성으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전극(SE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된다. 제1 전극(SE1)은 제1 패턴들(SP1) 및 제1 연결 패턴들(BSP1)을 포함한다.
제1 패턴들(SN1) 및 제1 연결 패턴들(BSP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된다. 제1 연결 패턴들(BSP1)은 제1 패턴들(SP1)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제1 패턴들(SP1)은 제1 연결 패턴들(BSP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패턴들(SP1)은 노말 패턴들(SNP) 및 노치 패턴들(NSP)을 포함한다. 노치 패턴들(NSP)은 제2 감지 영역(SA2) 및 제3 감지 영역(SA3)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치 패턴들(NSP)은 제2 감지 영역(SA2) 중 제1 변(NC-L)과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노치 패턴들(NSP)은 제3 감지 영역(SA3) 중 제3 변(NC-R)과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노치 패턴들(NSP)은 평면상에서 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면적이 상이한 제1 노치 패턴(NSP1) 및 제2 노치 패턴(NSP2)를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제1 노치 패턴(NSP1)의 면적은 제2 노치 패턴(NSP2)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노치 패턴(NSP1) 및 제2 노치 패턴(NSP2)은 제1 연결 패턴(BPS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상에서의 노치 패턴들(NSP)의 면적은 노말 패턴들(SNP)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노치 패턴들(NSP)은 입력 감지 유닛(SU)의 노치(NC)를 형성하는 공정과정 중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치 패턴들(NSP)은 평면상에서 노말 패턴들(SNP)의 형상의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노말 패턴들(SNP)은 감지 영역(TA)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노말 패턴들(SNP)은 제1 감지 영역(SA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내지 제3 감지 영역들(SA2, SA3)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노말 패턴들(SNP)은 중 서로 이격된 노말 패턴들은 제1 연결 패턴(BSP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노말 패턴들(SNP)은 노치 패턴들(NSP)과 제1 연결 패턴(BSP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는 제2 감지 영역(SA2)과 제1 감지 영역(SA1)의 경계에 중첩하는 일 노말 패턴이 제2 노치 패턴(NSP2)과 연결된 형상을 도시 하였다. 노말 패턴들(SNP) 중 감지 영역(TA)과 비 감지 영역(NTA)의 경계에 인접한 노말 패턴들(SNP)은 평면상에서 일부가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말 패턴들(SNP) 및 노치 패턴들(NSP)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듐아연 산화물(IZO),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갈륨 산화물(IGO), 인듐아연갈륨 산화물(IGZO), 및 이들의 혼합물/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말 패턴들(SNP) 및 노치 패턴들(NSP) 금속 물질은 예컨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들이 외부에서 시인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메탈 메쉬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제1 전극(SE1) 중 제1 열 전극(T1) 및 제2 열 전극(T2)은 각각 서로 다른 음영 처리를 하여 표시하였다.
제1 열 전극(T1)은 노말 패턴들(SNP), 노치 패턴들(NSP), 및 제1 연결 패턴들(BS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 전극(T1)은 노말 패턴들(SNP), 노치 패턴들(NSP), 및 제1 연결 패턴들(BSP1)이 2 방향(DR2)로 연장된 하나의 열(row)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열 전극(T2)은 노치(NC)의 제1 변(NC-L) 및 제3 변(NC-R)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열 전극(T2)은 노말 패턴들(NSP) 및 제1 연결 패턴들(BS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 전극(T2)은 노말 패턴들(NSP) 및 제1 연결 패턴들(BSP1)이 제2 방향(DR2)로 연장된 하나의 열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트레이스 배선들(SL1, SL2)은 대응되는 제1 열 전극(T1)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트레이스 배선들(SL1, SL2) 중 제1 상부 트레이스 배선(SL1)은 제1 열 전극(T1)의 일 단에 배치된 노말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트레이스 배선(SL2)은 제1 열 전극(T1)의 타 단에 배치된 노말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및 하부 트레이스 배선들(SL1, SL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제2 전극(SE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며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된다. 제2 전극(SE2)은 제2 패턴들(SP2: 이하 센서 패턴들) 및 제2 연결 패턴들(BSP1)을 포함한다. 센서 패턴들(SP2)은 제1 패턴들(SP1)과 평면상에서 이격된다.
센서 패턴들(SP2) 및 제2 연결 패턴들(BSP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된다. 제2 연결 패턴들(BSP2)은 센서 패턴들(SP2)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센서 패턴들(SP2)은 제2 연결 패턴들(BSP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 패턴들(SP2)은 제1 패턴들(SP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스 배선들(SL1, SL2)은 비 감지 영역(NTA)에 배치된다. 제1 트레이스 배선들(SL1, SL2) 각각은 패드들(PD) 중 대응되는 일 패드에 연결된다.
제1 트레이스 배선들(SL1, SL2)은 제1 열 전극(T1)과 대응되는 일 패드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트레이스 배선들(SL1, SL2) 각각은 패드들(PD) 중 대응되는 패드들을 통해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1 열 전극(T1)에 전달하거나, 제1 열 전극(T1)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대응되는 패드들을 통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상부 트레이스 배선(SL1)은 복수의 제1 열 전극들의 일 단에 배치된 각각의 노말 패턴과 연결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하부 트레이스 배선(SL2)은 복수의 제1 열 전극들의 타 단에 배치된 각각의 노말 패턴과 연결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레이스 배선들(SL3)은 비 감지 영역(NTA)에 배치된다. 제2 트레이스 배선들(SL3)은 제2 전극(SE2)과 대응되는 일 패드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트레이스 배선들(SL3) 각각은 패드들(PD) 중 대응되는 패드들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제2 전극(SE2)에 전달하거나, 제2 전극(SE2)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대응되는 패드들을 통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제1 트레이스 배선들(SL1, SL2)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제1 열 전극(T1)에 연결된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노치 패턴들(NSP) 중 적어도 두 개의 노치 패턴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제1 열 전극(T1)의 제1 노치 패턴(NSP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제1 노치 패턴(NSP1)과 인접한 제2 노치 패턴(NSP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패드들(PD) 중 대응되는 일 패드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제1 열 전극(T1)과 대응되는 일 패드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패드들(PD)을 중 대응되는 패드를 통해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1 열 전극(T1)에 전달하거나, 제1 열 전극(T1)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대응되는 패드를 통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에는 단일의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 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열 전극(T1)의 개수에 따라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영역이 제거된 노치 패턴들(NSP)을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면적을 가진 전자 장치의 터치 감도를 균일하게 제공 할 수 있다.
보조 배선(CL)은 센서 패턴들(SP2)을 연결 한다. 예를 들어, 보조 배선(CL)은 동일 신호를 인가 받는 센서 패턴들(SP2) 중 노치(NC)로 인해 분리된 센서 패턴들을 연결할 수 있다. 도3 에는 제2 감지 영역(SA2) 일 센서 패턴 및 제3 감지 영역(SA3) 일 센서 패턴을 연결하는 보조 배선(CL)을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신호를 인가 받는 센서 패턴들 중 단절된 센서 패턴들 쌍의 개수에 따라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AA'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BB'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1 내지 3과 동일한 구성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에는 제1 전극(SE1: 도 3 참조)의 일부로서 두 개의 노말 패턴들(SNP) 및 두 개의 노말 패턴들(SNP)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BSP1)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고, 제2 전극(SE2: 도 3 참조)의 일부로서 두 개의 센서 패턴들(SP2) 및 두 개의 센서 패턴들(SP2)를 연결하는 제2 연결 패턴(BSP2)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4c에는 제1 연결 패턴(BSP1) 중 일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에 도시된 영역은 입력 감지 유닛(SU)의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노드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노드는 AA' 영역에서 노말 패턴들(SNP) 및 제1 연결 패턴(BSP1)들은 제1 노드, 센서 패턴들(SP2) 및 제2 연결 패턴(BSP2)은 제2 노드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 패턴(BSP1)은 제1 가지부(BSL) 및 제2 가지부(BSR)를 포함한다. 제1 가지부(BSL) 및 제2 가지부(BLR)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가지부(BSL) 및 제2 가지부(BLR) 각각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제1 연결 패턴(BSP1)은 평면상에서 제2 연결 패턴(BSP2)과 중첩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 연결 패턴(BSP1)은 베이스 부재(ECL) 상에 배치된다. 제1 연결 패턴(BSP1)은 복수의 컨택홀들(CH)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IL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L1) 상에는 노말 패턴들(SNP) 및 제2 연결 패턴(BSP2)이 배치된다. 컨택홀들(CH)은 제1 연결 패턴(BSP1)의 일부를 노출 시킨다. 컨택홀들(CH)에 의해 노출된 제1 연결 패턴(BSP1)의 일 부분은 이격된 노말 패턴들(SNP)과 연결될 수 있다.
이격된 노말 패턴들(SNP) 사이에는 제2 연결 패턴(BSP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턴(BSP2)은 노말 패턴들(SNP)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턴(BSP2) 및 노말 패턴들(SNP)은 제2 절연층(IL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말 패턴들(SNP) 및 센서 패턴들(SP2)은 동일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패턴(BSP1)은 제1 패턴들(SP1) 및 센서 패턴들(SP2)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c에는 제1 연결 패턴(BSP1)이 노말 패턴들(SNP) 하부에 배치된 것을 도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노말 패턴들(SNP)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상에서 센서 패턴들(SP2)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패턴(DI)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패턴(DI)은 센서 패턴들(SP2) 및 노말 패턴들(SNP)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패턴(DI)은 센서 패턴들(SP2) 및 노말 패턴들(SNP) 각각의 경계에서 이격 공간(OD)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패턴(DI)은 센서 패턴들(SP2) 및 노말 패턴들로(NSP)부터 이격되어 플로팅(floating)된 패턴일 수 있다.
더미 패턴(DI)은 센서 패턴들(SP2) 및 노말 패턴들(SNP)과 동일층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센서 패턴들(SP2) 및 노말 패턴들(SNP)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계단 형상을 가진 더미 패턴(DI)의 형상을 도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으로 이루어 지거나 그루브(groov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DI)은 센서 패턴들(SP2) 및 노말 패턴들(SNP) 사이마다 배치된 단일의 더미 패턴(DI)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격된 복수의 더미 패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DI)은 이격된 전극들(SE1, SE2)사이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들(SE1, SE2)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패턴(DI)을 포함 함으로써, 전극들(SE1, SE2) 각각의 패턴들(SP1, SP2)이 외부로 시인되는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더미 패턴(DI)은 그루브 형상을 가짐으로써 동일 면적 대비 외부 입력(TC: 도 1 참조)에 대한 감지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감도가 향상된 입력 감지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b에는 제1 전극(SE1)의 일부로서 제1 노치 패턴(NSP1), 제2 노치 패턴(NSP2), 제1 노치 패턴(NSP1) 및 제2 노치 패턴(NSP2)을 연결하는 제1 가지부(BSL)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고, 제2 전극(SE2)의 일부로서 하나의 센서 패턴(SP2) 및 제2 연결 패턴(BSP2)을 도시되었다.
제1 노치 패턴(NSP1) 및 제2 노치 패턴(NSP2)은 제1 변(NC-L)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노치 패턴(NSP1) 및 제2 노치 패턴(NSP2)은 제1 가지부(BSL)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노치 패턴(NSP1) 및 제2 노치 패턴(NSP2)을 연결하는 연결 패턴은 노말 패턴들(SNP)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BSP1)과 달리, 단일의 패턴일 수 있다. 이는, 노치(NC)를 형성하는 제조 공정 중, 복수의 연결 패턴들 중 일부가 제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치 패턴들(NSP) 각각은 노말 패턴들(SNP) 중 최대 면적을 가진 일 노말 패턴의 일부가 제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1 노치 패턴(NSP1) 및 제2 노치 패턴(NSP2)은 하나의 제1 가지부(BSL)에 의해서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치(NC)에 발생하는 정전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에 의해 제1 가지부(BSL)가 손상될 수 있다. 제1 가지부(BSL)의 손상에 따라 제1 노치 패턴(NSP1) 및 제2 노치 패턴(NSP2)은 단절되어 노치(NC) 영역의 터치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제1 노치 패턴(NSP1) 및 제2 노치 패턴(NSP2)을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하나의 제1 가지부(BSL)에 연결된 노치 패턴들(NSP1, NSP2)과 동일한 노치 패턴들(NSP1, NSP2)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의 일부는 보조 배선(CL)과 평면상에서 중첩할 수 있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하나의 제1 가지부(BSL)에 의해 연결된 노치 패턴들(NSP1, NSP2)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노치(NC) 영역 에서의 터치 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감도가 향상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CC'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과 노치 패턴들(NSP)의 연결 관계를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치 패턴(NSP)은 연결부(CM)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CM)는 제1 연결부(CNE1), 제2 연결부(CNE2), 및 접촉부(CTE)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CNE1) 및 제2 연결부(CNE2)는 비 감지 영역(NTA: 도 3 참조)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NE1) 및 제2 연결부(CNE2)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NE1) 및 제2 연결부(CNE2)는 접촉부(CTE)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은 배선부(SLL) 및 패드부(SLP)를 포함한다. 배선부(SLL)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패드부(SLP)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배선부(SLL)와 연결 될 수 있다.
패드부(SLP)는 평면상에서 접촉부(CTE)와 중첩될 수 있다. 패드부(SLP) 및 접촉부(CTE)는 컨택부(CNT)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 및 보조 배선(CL)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며, 제2 방향(DR2)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 및 보조 배선(CL) 사이에 배치되는 가드 배선(DM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드 배선(DML)은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배선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 및 보조 배선(CL)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가드 배선(DML)은 컨택부(CNT)가 형성된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며 플로팅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가드 배선(DML)은 다른 신호가 송/수신되는 배선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배선들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드 배선(DML)은 전기적 신호가 제공되어 인접한 배선들의 전압을 보강해 줄 수 있다.
도 5a에는 비 감지 영역(NTA)으로 돌출된 제1 연결부(CNE1) 및 제2 연결부(CNE2)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수의 연결부만 제공되거나, 3개 이상의 연결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택부(CNT)는 2 행 X 3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제공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컨택부(CNT)의 배열 형태는 접촉부(CTE)와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을 연결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과 노치 패턴(NSP)의 연결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트레이스 배선들(SL: 도 3 참조)과 노말 패턴들(SNP: 도 3 참조)이 연결되는 영역이면, 도 5a에 설명한 실시예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단면상에서 패드부(SLP), 가드 배선(DML), 및 보조 배선(CL)은 베이스 부재(ECL)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패드부(SLP), 가드 배선(DML), 및 보조 배선(CL)은 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CEL) 상에는 컨택부(CNT)를 포함하는 제1 절연층(IL1)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CTE)는 컨택부(CNT)를 통해 노치 패턴(NSP)과 연결된다. 연결부(CM) 및 노치 패턴(NSP)은 제1 절연층(IL1) 상에 배치되며, 제2 절연층(IL2)로 커버된다.
컨택부(CNT)는 접촉부(CTE)와 평면상에서 중첩되며, 제1 연결부(CNE1) 및 제2 연결부(CNE2)와 평면상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컨택부(CNT)와 인접한 제1 절연층(IL1) 영역이 손상되더라도 제1 연결부(CNE1) 및 제2 연결부(CNE2)의 하부에 배치된 배선, 예를 들어, 보조 배선(CL)과의 불필요한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와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A)과 노치 패턴(NSP)의 연결은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A)에 포함된 추가 패턴(SLP-A)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A)은 추가 패턴(SLP-A)을 더 포함한다. 추가 패턴(SLP-A)은 제1 추가 패턴(ST1) 및 제2 추가 패턴(ST2)을 포함한다. 추가 패턴(SLP-A)은 노치 패턴(NSP-A)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2 방향(DR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추가 패턴(ST1) 및 제2 추가 패턴(ST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추가 패턴(ST1) 및 제2 추가 패턴(ST2)은 컨택부(CNT-A)를 통해 노치 패턴(NSP)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패턴(SLP-A)의 일부는 보조 배선(CL-A)과 평면상에서 중첩될 수 있다. 추가 패턴(SLP-A)의 연장 방향은 보조 배선(CL-A)의 연장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단면상에서 배선부(SLL-A), 제1 추가 패턴(ST1)은 베이스 부재(ECL-A) 상에 배치된다. 베이스 부재(CEL) 상에는 컨택부(CNT-A)를 포함하는 제1 절연층(IL1-A)이 배치된다. 보조 배선(CL-A)은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A)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치 패턴(NSP-A)은 컨택부(CNT-A)를 통해 제1 추가 패턴(ST1)과 연결된다. 보조 배선(CL-A) 및 노치 패턴(NSP-A)은 제1 절연층(IL1-A) 상에 배치되며, 제2 절연층(IL2-A)으로 커버된다. 따라서, 보조 배선(CL-A)과 노치 패턴(NSP)은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들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IV-IV'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b와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연결 패턴(BSP1-1)은 아일랜드 패턴(IS), 제1 가지부(BSL), 제2 가지부(BSR)를 포함한다. 아일랜드 패턴(IS)은 이격된 노말 패턴들(SNP1-1, SNP2-1) 사이에 배치된다. 아일랜드 패턴(IS)는 제2 연결 패턴(BSP2-1)에 포함된 개구부(OP)에 배치될 수 있다. 아일랜드 패턴(IS)은 개구부(OP)와 아일랜드 패턴(IS)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OD)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일랜드 패턴(IS)은 플로팅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아일랜드 패턴(IS)은 제2 연결 패턴(BSP2-1)으로부터 전기적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1 가지부(BSL)는 제1 가지 패턴(BL1) 및 제2 가지 패턴(BL3)을 포함한다. 제2 가지부(BSR)는 제3 가지 패턴(BL3) 및 제4 가지 패턴(BL4)을 포함한다. 제1 가지부(BSL) 및 제2 가지부(BSR)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가지 패턴(BL1) 및 제3 가지 패턴(BL3) 각각은 상부 노말 패턴(SNP1-1)에 연결된다. 제2 가지 패턴(BL2) 및 제4 가지 패턴(BL4) 각각은 하부 노말 패턴(SNP2-1)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격된 노말 패턴들(SNP1-1, SNP2-1)은 제1 가지부(BSL) 및 제2 가지부(BSR)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가지 패턴들(BL1, BL2)은 베이스 부재(ECL) 상에 배치된다. 베이스 부재(CEL) 상에는 컨택홀들(CH1, CH2)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IL1)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IL1) 상에는 상부 노말 패턴(SNP1-1), 제2 연결 패턴(BSP2-1), 아일랜드 패턴(IS), 및 하부 노말 패턴(SNP2-1)이 배치된다.
상부 노말 패턴(SNP1-1)은 제1 컨택홀(CH1)을 통해 제1 가지 패턴(BL1)과 연결된다. 하부 노말 패턴(SNP2-1)은 제2 컨택홀(CH2)을 통해 제2 가지 패턴(BL2)와 연결된다. 가지 패턴들(BL1, BL2)은 제3 컨택홀(CH3)을 통해 연결된 아일랜드 패턴(IS)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노말 패턴들(SNP1-1, SNP2-1)은 제1 연결 패턴(BSP1-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c에는 서로 이격된 가지 패턴들(BL1, BL2)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지 패턴(BL1) 및 제2 가지 패턴(BL2)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패턴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 패턴들(BSP1-1)은 복수의 가지 패턴들(BL1, BL2, BL3, BL4)을 가짐으로써, 채널 저항 및 이로 인한 신호 지연을 감소시켜 입력 감지 유닛의 동작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신뢰성이 향상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변(NC-L2)과 인접하게 배치된 상부 노치 패턴(NSP1-2) 및 하부 노치 패턴(NSP2-2)은 제1 가지부(BSL-2)에 의해서만 연결될 수 있다. 도7a에 도시된 제2 가지부(BSR2)는 노치(NC: 도 3 참조)를 형성하는 제조 공정 중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제1 가지부(BSL-2)에만 연결된 노치 패턴들(NSP1-2, NSP2-2)의 감지 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2)이 상부 노치 패턴(NSP1-2)과 하부 노치 패턴(NSP2-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의 일부가 제거되더라도 균일한 터치 감도를 유지 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2a 내지 도 7c에 서술한 실시예들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7c과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EA-B)는 입력 감지 유닛(SU-B) 및 부가 유닛(AC)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 유닛(SU-B)은 감지 영역(TA) 및 비 감지 영역(NTA)을 포함한다.
감지 영역(TA)은 실질적으로 원 형상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영역(TA)은 타원형, 반원형 등 다양한 곡선을 가진 형상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에로 한정되지 않는다.
비 감지 영역(NTA)은 감지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영역(TA)이 원 형상을 가짐에 따라, 비 감지 영역(NTA)은 환 형상(ring shape)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 감지 영역(NTA)은 감지 영역(TA)의 적어도 일 측에 인접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부가 유닛(AC)은 입력 감지 유닛(SU-B)과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부가 유닛(AC)을 통해 입력 감지 유닛(SU-B)은 입력 감지 유닛(SU-B) 이외의 다른 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가 유닛(AC)은 사용자의 신체에 밴드 형태로 부착되어 입력 감지 유닛(SU-B)을 고정시킬 수 있다. 부가 유닛(AC)은 입력 감지 유닛(SU-B)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 또는 전원 등의 부가 구성들이 수납된 구성일 수도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B)에 있어서, 부가 유닛(AC)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SU-B)은 제1 전극(SE1-B), 제2 전극(SE2-B), 제1 트레이스 배선들(SL1-B), 제2 트레이스 배선들(SL2-B), 제2 트레이스 배선들(SL3-B),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 및 패드들(PD-B)을 포함한다.
제1 전극(SE1-B)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 된다. 제1 전극(SE1-B)은 제1 패턴들(SP1-B) 및 제1 연결 패턴들(BSP1-B)을 포함한다. 제1 패턴들(SP1-B)은 노말 패턴들(SNP-B) 및 노치 패턴들(NSP-B)을 포함한다. 노치 패턴들(NSP-B)은 제1 노치 패턴(NSP1), 제2 노치 패턴(NSP2), 및 제3 노치 패턴(NSP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극(SE2-B), 제1 트레이스 배선들(SL1-B), 제2 트레이스 배선들(SL2-B), 및 패드들(PD-B)은 도 3에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보조 배선(CL: 도 3 참조)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치 패턴들(NSP-B)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연결 패턴(BSP1)을 이루는 가지부들(BSL, BSR)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거되어 단일 가지부에 의해 연결된 패턴들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치 패턴들(NSP-B)은 입력 감지 유닛(SU-B)을 원 형상으로 제작 하는 공정 중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은 도 3에 도시된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과 달리, 3개의 노치 패턴들(NSP-B)과 연결된 형상을 도시하였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은 제1 트레이스 배선(SL1-B)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은 감지 영역(TA)의 원 형상에 맞추어 곡선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은 노치 패턴들(NSP-B)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은 제1 노치 패턴(NSP1), 제2 노치 패턴(NSP2), 및 제3 노치 패턴(NSP3)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은 제1 연결 패턴(BSP1-B)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은 3개의 노치 패턴들(NSP-B)에 연결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감지 유닛(SU-B)의 형상에 따라 4개 이상의 노치 패턴들을 갖는 입력 감지 유닛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8b에 도시된 DD'영역을 확대한 각각의 실시예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5a 내지 도 6b에 서술한 실시예들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고, 도 1 내지 도 7c과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1)은 배선부(SLL-B1) 및 패드부(SLP-B1)를 포함한다.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1)은 감지 영역(TA)의 경계와 이격되며, 노치 패턴들(NSP-B)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패드부(SLP-B1)는 배선부(SLL-B1)로부터 연장된다. 패드부(SLP-B1)의 폭은 배선부(SLL-B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드부(SLP-B1)와 배선부(SLL-B1)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A-B)는 노치 패턴들(NSP-B1) 각각에 연결된 연결부(CM-B)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CM-B)는 비 감지 영역(NT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부(CM-B)는 평면상에서 패드부(SLP-B1)와 중첩할 수 있다. 연결부(CM-B)는 컨택부(CNT-B1)를 통해 패드부(SLP-B1)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CM-B)는 노치 패턴들(NSP-B1)로부터 독립된 별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CM-B)의 적어도 일부는 노치 패턴들(NSP-B1)에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연결부(CM-B)는 노치 패턴들(NSP-B1)과 일체의 형상을 가진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š, 노치 패턴들(NSP-B1)과 연결부(CM-B)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공정 내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a에는 사각 형상의 연결부(CM-B)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 감지 영역(NT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평면상에서 패드부(SLP-B1)와 중첩되는 형상이면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b는, 도 9a와 달리,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2)의 일부가 돌출되어 감지 영역(T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2)은 배선부(SLL-B2) 및 추가 패턴(ST-B2)을 포함한다. 추가 패턴(ST-B2)은 배선부(SLL-B2)로부터 감지 영역(T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패턴(ST-B2)은 평면상에서 노치 패턴들(NSP-B2)과 중첩할 수 있다. 추가 패턴(ST-B2)은 컨택부(CNT-B2)를 통해 노치 패턴들(NSP-B2)과 연결될 수 있다. 도 9b에는 추가 패턴(ST-B2)을 점선으로 도시하여 노치 패턴들(NSP-B2)과 다른 층에 배치된 형상을 도시하였다.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트레이스 배선(ESL-B3)은 배선부(SLL-B3), 및 연결부(SLP-D3)를 포함한다.
패드부(SLP-B3)는 배선부(SLL-B3)로부터 연장된다. 패드부(SLP-B3)는 비 감지 영역(NTA)에 배치되며, 비 감지 영역(NTA)과 감지 영역(TA)의 경계에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부(SLP-B3)는 감지 영역(TA)의 경계를 따라 배치된 노치 패턴들(NSP-B3)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드부(SLP-B3) 및 노치 패턴들(NSP-B3)는 동일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9b와 달리, 일 실시예 에서는 동일 층 상에 배치되어 연결된 패드부(SLP-B3) 및 노치 패턴들(NSP-B3)을 포함함으로써, 컨택부(CNT-B1, CNT-B2)의 형성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9d는, 도 9c와 달리, 배선부(SLL-B4) 에서 연장된 패드부(SLP-B4)는 감지 영역(TA) 내부네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부(SLP-B4)와 노치 패턴들(NSP-B4)은 평면상에서 중첩하며, 패드부(SLP-B4)는 컨택부(CNT-B4)를 통해 노치 패턴들(NSP-B4)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드부(SLP-B4)와 노치 패턴들(NSP-B4)이 동일 공정에 의해 동일층에 형성되는 경우, 패드부(SLP-B4)와 노치 패턴들(NSP-B4)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A: 전자 장치 SE1: 제1 전극
SE2: 제2 전극 NSP: 노치 패턴들
SNP: 노말 패턴들 BSP: 연결 패턴들

Claims (20)

  1. 평면상에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과 이격되며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감지 영역 및 상기 감지 영역에 인접한 비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및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유닛은,
    상기 감지 영역에 배치된 노말 패턴들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노치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들, 및 상기 제1 패턴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패턴들과 평면상에서 이격된 센서 패턴들, 및 상기 센서 패턴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2 전극;
    상기 비 감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노말 패턴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1 트레이스 배선;
    상기 비 감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패턴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2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비 감지 영역에 배치된 연결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 패턴들 각각은 상기 비 감지 영역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과 중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들과 상기 트레이스 배선은 연결된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과 상기 노치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노치 패턴들과 상이한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들 및 상기 센서 패턴들은 동일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 패턴들은 상기 제1 패턴들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1 패턴들 중 노치 패턴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과 동일한 노치 패턴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패턴들은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패턴들 각각은,
    상기 제1 패턴들 중 두 개의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된 아일랜드 패턴;
    상기 두 개의 패턴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아일랜드 패턴을 연결하는 제1 가지 패턴; 및
    상기 두 개의 패턴들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아일랜드 패턴을 연결하는 제2 가지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유닛은 상기 센서 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센서 패턴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 감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패턴들 중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센서 패턴과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센서 패턴을 연결하는 보조 배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보조 배선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선은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과 동일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노치 패턴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추가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패턴은,
    상기 노치 패턴들과 연결되고, 상기 보조 배선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패턴들은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중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 변들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노치 패턴들의 면적은 상기 노말 패턴들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단일의 가지부를 포함하는 노치 연결 패턴, 각각이 일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노치 패턴들, 상기 노치 연결 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복수의 가지부들을 포함하는 노말 연결 패턴,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노말 연결 패턴에 의해 연결된 노말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센서 패턴들 및 상기 센서 패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중 상기 노말 패턴들에 연결된 제1 트레이스 배선;
    상기 제1 전극 중 상기 노치 패턴들에 연결된 연결 트레이스 배선; 및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연결부들과 중첩하는 전자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패턴들 각각은 상기 노말 패턴들 중 최대 면적을 가진 노말 패턴의 일부가 제거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노치 연결 패턴과 상기 제2 방향에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 연결 패턴, 상기 연결 패턴의 일 측에 연결된 제1 패턴, 상기 연결 패턴의 타 측에 연결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노드;
    상기 제1 연결 패턴과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제2 연결 패턴, 상기 제2 연결 패턴의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 패턴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과 이격된 제3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노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연결 패턴의 연장 방향과 교차된 방향으로 이격된 연결 트레이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면적은 상기 제3 패턴의 크기보다 작은 입력 감지 유닛.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감지 유닛.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 각각은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방향으로 돌출되며, 평면상에서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과 중첩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의 일부와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감지 유닛.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으로부터 상기 제1 노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추가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패턴은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감지 유닛.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트레이스 배선은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과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감지 유닛.
KR1020180052495A 2018-05-08 2018-05-08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102533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95A KR102533131B1 (ko) 2018-05-08 2018-05-08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US16/387,466 US10996777B2 (en) 2018-05-08 2019-04-17 Input sens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910380393.6A CN110456936A (zh) 2018-05-08 2019-05-08 电子装置
US17/227,485 US11573651B2 (en) 2018-05-08 2021-04-12 Input sens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495A KR102533131B1 (ko) 2018-05-08 2018-05-08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759A KR20190128759A (ko) 2019-11-19
KR102533131B1 true KR102533131B1 (ko) 2023-05-18

Family

ID=6846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495A KR102533131B1 (ko) 2018-05-08 2018-05-08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996777B2 (ko)
KR (1) KR102533131B1 (ko)
CN (1) CN1104569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131B1 (ko) * 2018-05-08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102607494B1 (ko) * 2018-07-06 2023-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782832B2 (en) * 2018-07-09 2020-09-22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Mobile terminal and touch screen with a notch area
KR20210070457A (ko) * 2019-12-04 2021-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CN114077328B (zh) 2020-08-18 2024-0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触控显示面板
KR20220117386A (ko) * 2021-02-15 2022-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2925447B (zh) * 2021-03-16 2024-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屏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3319A1 (en) * 2008-09-25 2010-03-25 Apple Inc. Capacitive sensor having electrod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nd the flex circuit
US20160216838A1 (en) * 2015-01-23 2016-07-28 Apple Inc. Touch panel with non-uniform touch node layout
US20170153730A1 (en) * 2012-06-12 2017-06-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67437B (en) * 2007-09-29 2012-07-01 Au Optronics Corp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720857B2 (ja) * 2008-06-18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US8493349B2 (en) * 2009-12-10 2013-07-23 L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KR101156866B1 (ko) * 2010-06-09 2012-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101793677B1 (ko) * 2011-01-18 2017-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JP6014055B2 (ja) * 2012-01-18 2016-10-25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3425303B (zh) * 2012-05-16 2016-10-0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应用的触控显示设备
KR102232774B1 (ko) * 2013-12-27 2021-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GB2521830A (en) * 2014-01-02 2015-07-08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or method
US20170185224A1 (en) * 2014-05-28 2017-06-29 Sharp Kabushiki Kaisha Touchscreen device
KR102060798B1 (ko) 2014-11-13 2019-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267357B1 (ko) * 2014-12-15 2021-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KR102312260B1 (ko) * 2015-01-09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44696B1 (ko) 2015-02-16 2023-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원형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5117067B (zh) * 2015-09-16 2018-09-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电极、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069224B1 (ko) * 2015-12-11 2020-01-22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식 센서
KR20170119270A (ko) * 2016-04-15 2017-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54578B2 (en) * 2016-04-15 2019-07-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80029178A (ko) * 2016-09-09 2018-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598155B1 (ko) * 2016-10-27 2023-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6887450B (zh) * 2017-03-14 2019-09-2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内嵌式触控结构及其制作方法
KR102333396B1 (ko) * 2017-06-01 2021-1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CN113281930B (zh) * 2017-06-30 2022-08-1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KR102422074B1 (ko) * 2017-08-14 2022-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99607B1 (ko) 2017-08-17 2022-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09426389B (zh) * 2017-09-05 2021-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
US10360862B2 (en) * 2017-09-07 2019-07-23 Apple Inc. Displays with supplemental loading structures
US20190206894A1 (en) * 2017-12-28 2019-07-04 a.u. Vista Inc. Display systems with non-display areas
CN110007808B (zh) * 2017-12-29 2022-10-18 乐金显示有限公司 包括触摸传感器的电致发光显示器
KR102572136B1 (ko) * 2018-01-08 2023-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US20190227646A1 (en) * 2018-01-25 2019-07-25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Touch panel
KR102393796B1 (ko) 2018-02-12 2022-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979378B2 (ja) * 2018-02-28 2021-12-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付き表示装置
KR102547366B1 (ko) * 2018-03-23 2023-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71154B1 (ko) * 2018-03-27 2022-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646477A (zh) * 2018-03-27 2018-10-12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19191410A (ja) * 2018-04-26 2019-10-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33131B1 (ko) * 2018-05-08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102639450B1 (ko) * 2018-07-02 2024-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지 유닛
KR102607494B1 (ko) * 2018-07-06 2023-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990229B2 (en) * 2018-08-03 2021-04-27 Apple Inc. Rectangular touch node design for metal mesh on-cell technology
KR102598230B1 (ko) * 2018-08-13 2023-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05625B1 (ko) * 2018-08-14 2023-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243624B2 (en) * 2018-09-12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981291B1 (ko) * 2018-09-17 2019-05-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650309B1 (ko) * 2018-09-19 2024-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611671B1 (ko) * 2018-09-19 2023-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588760B1 (ko) * 2018-09-20 2023-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3319A1 (en) * 2008-09-25 2010-03-25 Apple Inc. Capacitive sensor having electrod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nd the flex circuit
US20170153730A1 (en) * 2012-06-12 2017-06-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s
US20160216838A1 (en) * 2015-01-23 2016-07-28 Apple Inc. Touch panel with non-uniform touch node lay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56936A (zh) 2019-11-15
US20210232242A1 (en) 2021-07-29
US10996777B2 (en) 2021-05-04
KR20190128759A (ko) 2019-11-19
US20190346943A1 (en) 2019-11-14
US11573651B2 (en)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131B1 (ko)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EP3547093B1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68356B1 (ko)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00521A (ko) 표시모듈,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3485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6925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80046B1 (ko) 전자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62470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TW201512914A (zh) 觸控面板與觸控顯示裝置
CN111090353A (zh) 显示装置
US11294528B2 (en) Sensing unit
TW201403432A (zh) 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與觸控顯示面板
KR20210116784A (ko) 표시장치
CN107678217B (zh) 一种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TWI694364B (zh) 觸控裝置
KR20210094194A (ko) 전자패널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102521876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27295A (ko) 표시 장치
CN111475041A (zh) 一种触控屏与触控显示屏
KR20210076299A (ko) 표시 장치 및 입력 센서
TWM472249U (zh) 觸控面板與觸控顯示裝置
KR20220086755A (ko) 전자 장치
CN111367426A (zh) 一种触控屏与触控显示屏
KR20200100894A (ko) 터치 센서
TW201606582A (zh) 觸控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