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754B1 - liquid crystal display - Google Patents

liquid crystal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754B1
KR102532754B1 KR1020227028333A KR20227028333A KR102532754B1 KR 102532754 B1 KR102532754 B1 KR 102532754B1 KR 1020227028333 A KR1020227028333 A KR 1020227028333A KR 20227028333 A KR20227028333 A KR 20227028333A KR 102532754 B1 KR102532754 B1 KR 10253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polarizer protective
liquid crystal
polariz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3722A (en
Inventor
다카히사 아베
야스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7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75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무지개 얼룩의 발생, 액정 패널의 휨을 방지하면서 보다 박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백라이트 광원, 광원측 편광판, 액정 셀 및 시인측 편광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원측 편광판 및 시인측 편광판은 각각 적어도 1장의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를 갖고,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의 면에 위치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 1,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의 면에 위치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 4라고 한 경우,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5000∼10000nm이고,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비율이 0.55∼0.95인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inn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le preventing occurrence of rainbow spots and warping of a liquid crystal pane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acklight light source, a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a liquid crystal cell, and a viewer-side polarizing plate in this order, wherein the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and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each have at least on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polarizer, and are polarizers of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As a protective film,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locat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polarizer is used as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locat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polarizer is used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to protect the polarizer. In the case of the film 4,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5000 to 10000 nm, and the ratio of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55 to 0.95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solve the problem.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액정 패널의 휨, 무지개 얼룩에 의한 시인성(視認性)의 저하를 억제하면서도 보다 박형화(薄型化)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ypically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can be further reduced in thickness while suppressing deterioration in visibility due to warpage and iridescence of a liquid crystal panel.

근래, 화상 표시 장치는 보다 대형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사용 중에 액정 셀이 시인측에서 보면 장변 방향으로 오목상(狀)으로 휘어 모퉁이부가 광 누설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표면화되고 있다. 또,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편광판에서는, 고(高)리타데이션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제안되어, 보급되고 있지만, 폴리에스테르를 대표로 하는 고리타데이션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높은 리타데이션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필름의 두께를 낮추는 데에는 제약이 있었다. 특히, 무지개 얼룩은 정면에서 경사 방향으로 기울어질수록 보이기 쉬워지는데, 리타데이션이 낮아지면,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는 각도가 급격히 좁아지고 있었다.In recent years, image display devices have been required to be larger in size and thinner. In connection with this, also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problem that the liquid crystal cell is bent concavely in the long sid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viewing side during use, causing light leakage at the corner has surfaced. In addition, in polarizing plates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high retardation polarizer protective films have been proposed and spread, but high retardation polarizer protective films made of polyester are use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rainbow spots. It is necessary to secure high retardation for this purpose,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In particular, rainbow spots become easier to see when tilted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front, but as retardation decreases, the angle at which rainbow spots are not conspicuous rapidly narrows.

또, 액정 패널의 휨을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폭 방향(TD)의 수축력을 조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In addition, as a method of reducing warpage of a liquid crystal panel, a method of adjusting the shrinkage force in the width direction (TD) of a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a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한편,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판을 첩합(貼合)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품으로서 유통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광원측 편광판과 시인측 편광판에서는 시인측 편광판의 시인측 편광자 보호 필름에 반사 방지층이나 방현층 등을 설치하는 것 이외에는, 두께나 광학 특성 등 동일한 편광판이 이용되어 왔다.On the other h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polarizing plates are bonded to both sides of a liquid crystal cell, but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istributed as a product, a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and a viewer-side polarizing plate have a viewer side polarizing plate. Except for providing an antireflection layer, an antiglare layer, or the like on the side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ers having the same thickness and optical properties have been used.

WO2019/054406 공보Publication WO2019/05440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대하여,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보다 박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과제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inn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le preventing occurrence of rainbow spots.

본 발명자들은, 액정 패널의 휨이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의 수축의 영향이 크고,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를 낮추면, 편광자 보호 필름이 편광자의 수축에 대항하는 힘도 약해져, 액정 패널이 휘기 쉬워지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휨을 방지하면서 보다 박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추가의 과제로 한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the warpag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greatly affected by the shrinkage of the polarizer of the viewing-side polarizing plate,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lowered, the forc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gainst the shrinkage of the polarizer is also weakened, making the liquid crystal panel easy to bend. found.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n additional subject to provide a thinn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le preventing warping of the liquid crystal panel.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aspects.

항 1. 백라이트 광원, 광원측 편광판, 액정 셀 및 시인측 편광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원측 편광판 및 시인측 편광판은 각각 적어도 1장의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를 갖고,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 1,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 4라고 한 경우,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5000∼10000nm이고,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비율이 0.55∼0.97인 액정 표시 장치.Item 1.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acklight light source, a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a liquid crystal cell, and a viewing-side polarizing plate in this order, wherein the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and the viewing-side polarizing plate each have at least on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polarizer, and the viewing side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olarizing plat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polarizer is referred to as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polarizer is used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light source side polarizing plate. In the case of 4, in-plane retardation of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5000-10000 nm, and the ratio of in-plane retardation of polarizer protective film 1/in-plane retardation of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55-0.97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항 2.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4500∼9500nm인 항 1에 기재한 액정 표시 장치.Claim|item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described in claim|item 1 whose in-plane retardation of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4500-9500 nm.

항 3.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비율이 0.55∼0.95인 항 1 또는 2에 기재한 액정 표시 장치.Item 3.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item 1 or 2, wherein the ratio of in-plane retardation of polarizer protective film 1/in-plane retardation of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55 to 0.95.

항 4.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두께가 50∼95㎛이고,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두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두께의 비율이 0.5∼0.97인 항 1∼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액정 표시 장치.Item 4.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50 to 95 μm, and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5 to 0.97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items 1 to 3.

항 5.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두께가 40∼80㎛인 항 1∼4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액정 표시 장치.Claim|item 5.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items 1-4 whose thickness of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40-80 micrometers.

항 6.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두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두께의 비율이 0.5∼0.95인 항 1∼5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액정 표시 장치.Item 6.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1 to 5, wherein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5 to 0.95.

상기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보다 박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 액정 패널의 휨을 방지하면서 보다 박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With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inn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le preventing occurrence of rainbow spots and a thinn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le preventing warpag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for example.

본 발명자들은, 액정 패널의 무지개 얼룩 및 휨에 관하여 그들의 발생 및 억제 방법을 예의 검토한바, 이하의 사항을 밝혀내어, 박형화를 실현하면서도, 무지개 얼룩 및 휨을 억제하는 방법을 발견하고,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nsively studied rainbow mottling and warping of liquid crystal panels and how to suppress them, found the following, found a method of suppressing rainbow mottling and warping while realizing thinning, and conducted further studies. This led to the present invention.

·고리타데이션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의 경우, 이 편광판을 시인측에 이용한 경우에 비해 광원측에 이용한 경우 쪽이 무지개 얼룩은 보이기 쉬운 것.· In the case of a polarizing plate using a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high retarda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is polarizing plate is used for the viewing side, when it is used for the light source side, rainbow spots are easier to see.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동일한 리타데이션으로 한 경우,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리타데이션에 과잉분이 있는 것.- Whe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light source side polarizing plate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visual side polarizing plate are set to the same retardation, there is an excess in th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visual side polarizing plate.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리타데이션의 과잉분을 없앰으로써 보다 표시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해지는 것.- Thinning of a display device becomes possible more by eliminating excessiv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visual side polarizing plate.

·액정 패널의 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광원측 편광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강도가 중요한 것.· In order to suppress the curvatur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streng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polarizing plate on the light source side is important.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광원, 광원측 편광판, 액정 셀 및 시인측 편광판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액정 패널이란, 액정 화합물을 2장의 기판 사이에 봉입한 액정 셀, 그리고 액정 셀의 광원측 및 시인측의 각각 배치(또는 첩합)된 편광판을 갖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광원 및 액정 패널을 갖는다. 편광판은 편광자 및 적어도 1장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갖고,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에 배치(또는 첩합)되어 있다. 또한, 편광자의 액정 셀측에는 다른 필름 또는 층(편광자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경화 수지층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편광자가 직접 액정 셀에 첩합되어 있어도 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light source, a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a liquid crystal cell, and a viewer-side polarizing plate in this order. In this specification, a liquid crystal panel refers to a liquid crystal cell in which a liquid crystal compound is sealed between two substrates, and a polarizing plate disposed (or bonded) on the light source side and the viewer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erefor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cklight source and a liquid crystal panel. A polarizing plate has a polarizer and at least 1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arrange|positioned (or bond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liquid crystal cell of a polarizer. In addition, another film or layer (polarizer protective film, retardation film, cured resin layer, etc.) may be provided on the liquid crystal cell side of the polarizer, or the polarizer may be directly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액정 패널을 단지 패널, 액정 셀을 단지 셀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시인측 편광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 1, 시인측 편광판의 액정 셀측의 편광자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 2, 광원측 편광판의 액정 셀측의 편광자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 3, 광원측 편광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 4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re are cases where a liquid crystal panel is simply called a panel and a liquid crystal cell is simply called a cell. In addition, polarizer protective film 1 fo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polarizer protective film or retardation film on the liquid crystal cell side of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as polarizer protective film 2,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on the liquid crystal cell side of the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Alternatively, the retardation film may be referred to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3,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n the opposite side to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polarizing plate on the light source side may be referred to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이하,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특성을 설명한다.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편광자 보호 필름 1, 편광자 보호 필름 4라고 칭하는 경우는, 후술하는 기능층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재(基材) 필름을 의미한다. 또한, 기재 필름은, 후술하는 이접착층(易接着層)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are explain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when call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t means the base film to which the functional layer etc. mentioned later are not provided. Moreover, the base film may contain the easily bonding layer mentioned later.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이하, Re 또는 리타데이션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50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nm이다. 상기 이상으로 함으로써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는 각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Re or retardation) is preferably 5000 nm, more preferably 5500 nm, still more preferably 6000 nm. By setting it above,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angle at which rainbow spots are not conspicuous.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Re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0n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700nm이다. 상기 이하로 함으로써 잉여의 두께를 줄여,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하기 쉬워진다.The upper limit of R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preferably 10000 nm, more preferably 9500 nm, still more preferably 9000 n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8700 nm. By setting below the above, the excess thickness is reduced, making it easi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Re는,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이며, 필름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 nx와 ny의 차에 필름의 두께 d를 곱하여 얻어진다. 또한, 상기 굴절률은,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 측정 파장 589nm)에 의해 구할 수 있다.Re is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film and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hickness d of the film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of two orthogonal axes when viewed from the film plane direction. In addition, the said refractive index can be calculated|required with the Abbe refractometer (NAR-4T manufactured by Atago Co., Ltd., measuring wavelength 589 nm).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Re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45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0nm이다. 상기 이상으로 함으로써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는 각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The lower limit of R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preferably 4500 nm, more preferably 5000 nm, still more preferably 5500 nm. By setting it above,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angle at which rainbow spots are not conspicuous.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Re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95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00n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0nm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500nm이다. 상기 이하로 함으로써 잉여의 두께를 줄여,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하기 쉬워진다.The upper limit of R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preferably 9500 nm, more preferably 9000 nm, still more preferably 8500 nm, particularly preferably 8000 nm, and most preferably 7500 nm. By setting below the above, the excess thickness is reduced, making it easi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비율(단지 Re 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5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6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7이다.The lower limit of the ratio of in-plane retardation of polarizer protective film 1/in-plane retardation of polarizer protective film 4 (sometimes referred to simply as Re ratio) is preferably 0.55, more preferably 0.6, still more preferably 0.65 , and is particularly preferably 0.7.

Re 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97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6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5이다. 이것에 더하여,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0.9, 0.85 또는 0.8이다. 상기 이하로 함으로써 잉여의 두께를 줄여,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하기 쉬워진다.The upper limit of Re ratio is preferably 0.97, more preferably 0.96, still more preferably 0.95. In addition to this, a particularly preferable upper limit is 0.9, 0.85 or 0.8. By setting below the above, the excess thickness is reduced, making it easi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가 유사한 광학 특성을 가지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구하기 위해, Re 비는 0.95 초과, 0.97 이하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have similar optical properties,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Re ratio is more than 0.95 and 0.97 or less.

Re 비의 범위는, 편광자 보호 필름 1보다도 편광자 보호 필름 4에 고리타데이션의 필름을 이용한 경우 쪽이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기 쉽고, 동일한 리타데이션의 필름이어도,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 4에 이용한 경우 쪽이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는 범위가 좁다는 지견에 의거한다. 즉,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는 범위로 한다면,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 1 쪽은 리타데이션이 낮아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편광자 보호 필름 4에서 동일한 리타데이션의 필름이었을 경우, 무지개 얼룩은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영향이 강하고, 편광자 보호 필름 1에는 잉여의 리타데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는다란,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지 않는 것도 포함한다.Regarding the range of the Re ratio, when a film of high retardation is used fo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rather tha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rainbow spots are more likely to be conspicuous, and even if the film of the same retardation is used fo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of the polarizing plate on the light source side In this case, it is based on the knowledge that the range in which rainbow stains are not conspicuous is narrow. That is, as long as it is set to a range in which rainbow spots are not conspicuous, retardation may be low for on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viewing-side polarizing plate. In other words, when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4 are films of the same retardation, the influence of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strong on rainbow spots, and excessive retardation may occur in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n addition, the fact that rainbow spots are not conspicuous as used herein includes cases in which rainbow spots are not observed.

또, TV 등을 대표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특히 VA 타입이나 IPS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편광 선글라스를 쓰고 본 경우의 블랙아웃을 방지하기 위해,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되어 있는 일이 많다. 또한, 일반적인 편광자는 필름 제막(製膜)의 흐름 방향(MD 방향)으로 연신되어 MD 방향이 흡수축이 되지만, 고리타데이션 필름은 텐터로 TD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TD 방향이 주배향축인 경우가 많고, 그 결과, 편광판에서는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고리타데이션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주배향축 방향은 직교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주배향축은 액정 표시 장치의 수직 방향이며,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주배향축은 액정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인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의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장변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ypified by a TV or the like, especially a VA type or IPS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polarizing plate on the viewing side is horizontal in order to prevent blackout when viewed while wearing polarized sunglasses.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made of. In addition, general polarizers are stretched in the flow direction (MD direction) of film formation, and the MD direction becomes the absorption axis, but since goridation films are often stretched in the TD direction with a tenter, the TD direction is the main It is an orientation axis in many cases, and as a result, in a polarizing plate,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a polarizer and the direction of the main orientation axis of a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cyclic retardation are often orthogonal. Therefore, the main orientation axi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main orientation axi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many cases. In addition, in the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the long side direction is ofte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고리타데이션 필름에 의해 생기는 무지개 얼룩은, 필름의 법선 방향에서, 필름의 주배향축 방향 또는 직교 방향으로 기울여 관찰한 경우에는 생기기 어렵고, 필름의 주배향축 방향에서 직교 방향으로 20∼50도 정도 어긋난 방향, 즉 약간 주배향축 방향 쪽으로 기울여 관찰한 경우 쪽이 무지개 얼룩이 생기기 쉽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화면을 보는 경우에는, 수직 방향(상하)으로 각도를 갖고 보는 경우보다, 수평 방향(좌우)으로 각도를 갖고 보는 경우가 많다. 이점에서, 박형화를 위해서는,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 4에서 생기는 무지개 얼룩의 저감을 우선하는 쪽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rainbow spots caused by the goridation film are less likely to occur when observed tilt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orientation axis of the film or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main orientation axis of the film from the normal direction of the film. In the case of observation in a direction shifted by about a degree, i.e., slightly tilted toward the direction of the main orientation axis, rainbow spots tend to occur. In general, when viewing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it is often viewed with an angle in a horizontal direction (left and right) rather than viewing with an angle in a vertical direction (up and down). From this point, for thinning, it is preferable to prioritize the reduction of rainbow spots generated 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of the light source side polarizing plate.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 4 쪽이 무지개 얼룩이 강하게 나오는 이유는, 광원과 편광자 보호 필름 4와의 사이에는 휘도 향상을 위해 반사형 편광판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고, 편광자 보호 필름 4에는 직선 편광이 입사되는 것, 또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표면 계면의 반사에 의해 편광 성분이 생기고, 리타데이션을 갖는 편광자 보호 필름 4를 이 편광 성분이 통과할 때에 흐트러지고, 이 흐트러짐이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에서 명확하게 되는 것,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표면에는 반사 방지층이나 방현층이 설치되는 일이 많아, 무지개 얼룩이 보다 억제되기 쉬운 것 등이 생각되지만, 본 발명은 이유 여하에 따라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eason why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of the light source-side polarizer has strong rainbow stains is that a reflective polarizer is often us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to improve luminance, and linearly polarized light is incident o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n addition, a polarization component is generated by reflection of the surface interfac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and when this polarization component passes through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having retardation, it is disturbed, and this disorder becomes clear in the polarizer of the polarizing plate on the light source side It is thought that an anti-reflection layer or an anti-glare layer is often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of the viewing-side polarizing plate, so that rainbow spots are more easily suppres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any reason.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52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700nm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6000nm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200nm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Rth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20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n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500nm이다.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preferably 5200 nm, more preferably 5500 nm, still more preferably 5700 nm, even more preferably 6000 n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6200 nm. The upper limit of R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preferably 12000 nm, more preferably 11000 nm, still more preferably 10000 n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9500 nm.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Rth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47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0nm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500nm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700nm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Rth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0nm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8500nm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0nm이다.The lower limit of R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preferably 4700 nm, more preferably 5000 nm, still more preferably 5200 nm, even more preferably 5500 n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700 nm. The upper limit of R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preferably 10000 nm, more preferably 9500 nm, still more preferably 9000 nm, even more preferably 8500 n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8000 nm.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이란, 필름 두께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2개의 복굴절 △Nxz(=|nx-nz|), △Nyz(=|ny-nz|)에 각각 필름 두께 d를 곱하여 얻어지는 리타데이션의 평균치이다.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the average value of the retardation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wo birefringences, ΔNxz (=|nx-nz|) and ΔNyz (=|ny-nz|), respectively, by the film thickness d when viewed from the cross section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am.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는 각각 독립하여 Re/Rth의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는 각각 독립하여 Re/Rth의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이다. Re/Rth가 클수록,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는 각도의 범위가 넓어진다. 완전한 1축성(1축 대칭) 필름에서는 Re/Rth는 2가 되지만, 수치가 2에서 멀어짐에 따라, 배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필름이 파단하기 어려워져 생산성이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each independently have a lower limit of Re/Rth of preferably 0.8, more preferably 0.85, still more preferably 0.9.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independently have an upper limit of Re/Rth of preferably 1.2, more preferably 1.1, still more preferably 1.05,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 The larger the Re/Rth, the wider the range of angles at which rainbow stains are less conspicuous. In a perfectly uniaxial (uniaxially symmetric) film, Re/Rth is 2, but as the value moves away from 2, the mechanical strength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rientation direction improves, the film becomes difficult to break, and productivity tends to improve there is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는 각각 독립하여 NZ 계수의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4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7이다. 상기 이상으로 함으로써 안정되게 생산하기 쉬워진다.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는 각각 독립하여 NZ 계수의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1.7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6이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each independently have a lower limit of the NZ coefficient of preferably 1.4, more preferably 1.45, still more preferably 1.47. It becomes easy to produce stably by setting it abov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each independently have an upper limit of the NZ coefficient of preferably 1.7, more preferably 1.68, still more preferably 1.66.

NZ 계수가 작을수록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는 각도의 범위가 넓어진다. 완전한 1축성(1축 대칭) 필름에서는 NZ 계수는 1.0이 되지만, 수치가 1.0에서 멀어짐에 따라, 배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필름이 파단하기 어려워져 생산성이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The smaller the NZ coefficient, the wider the range of angles at which rainbow smudges are less conspicuous. In a perfectly uniaxial (uniaxially symmetric) film, the NZ coefficient is 1.0, but as the value moves away from 1.0, the mechanical strength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rientation direction improves, the film becomes difficult to break, and productivity tends to improve. there is.

NZ 계수는, NZ=|nx-nz|/|nx-ny|이며, 필름의 nx, ny, nz를, 식에 대입하여 구한다.The NZ coefficient is NZ = |nx-nz|/|nx-ny|, and it is obtained by substituting nx, ny, and nz of the film into the formula.

상술한 Re, Rth, Re/Rth 및 NZ 계수의 적정한 범위, 특히 시야의 넓이에 관계하는 Re, Rth 및 NZ 계수의 하한 그리고 Re/Rth의 상한은, 액정 표시 장치의 용도에 따라 적정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V나 디지털 사이니지 용도에서는 넓은 시야각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카 내비게이션, 미러리스 자동차 등의 백이나 사이드의 모니터,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ATM의 화면, 스마트폰 등에서는 시야각이 좁아도 큰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반드시 모든 것에 있어서 넓은 시야각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며, 그 용도에 있어서 필요한 시야각을 확보하면서 보다 박형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The appropriate ranges of the aforementioned Re, Rth, Re/Rth and NZ coefficients, particularly the lower limit of the Re, Rth and NZ coefficients related to the field of view and the upper limit of Re/Rth, can be selected in an appropriate rang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For example, a wide viewing angle is desirable for TV and digital signage applications, but the viewing angle is narrow, for example, for car navigation systems, back and side monitors such as mirrorless cars, personal computer monitors, ATM screens, and smartphones. Sometimes there are no big problems. Therefor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wider viewing angle is not always desirable in everything, and a thinner shape can be achieved while securing a viewing angle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편광자 보호 필름 4(광원측 편광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이다. 상기 이상으로 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휨을 억제하기 쉬워지고, 또,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리타데이션을 확보하기 쉬워진다.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polarizing plate on the light source side) is preferably 50 µm, more preferably 55 µm, still more preferably 60 µm. By making it above, it becomes easy to suppress the curvature of a liquid crystal panel, and it becomes easy to ensure the retardation for suppressing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a rainbow spot.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두께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9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이다. 상기 이하로 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하기 쉬워진다.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preferably 95 μm, more preferably 90 μm, still more preferably 85 μm. By carrying out below the above, it becomes easy to achieve thickness reduction of a display device.

편광자 보호 필름 1(시인측 편광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4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이다. 상기 이상으로 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휨을 억제하기 쉬워지고, 또,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리타데이션을 확보하기 쉬워진다.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polarizing plate on the viewing side) is preferably 40 µm, more preferably 45 µm, still more preferably 50 µm. By making it above, it becomes easy to suppress the curvature of a liquid crystal panel, and it becomes easy to ensure the retardation for suppressing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a rainbow spot.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두께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8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5㎛이다. 상기 이하로 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하기 쉬워진다.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preferably 80 μm, more preferably 75 μm, still more preferably 70 μ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65 μm. By carrying out below the above, it becomes easy to achieve thickness reduction of a display device.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두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두께의 비율(단지 두께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6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7이다. 두께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97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6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5이다. 이것에 더하여,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0.9, 0.85 또는 0.8이다. 상기 이하로 함으로써 잉여의 두께를 줄여,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하기 쉬워진다.The lower limit of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sometimes referred to simply as a thickness ratio) is preferably 0.5, more preferably 0.6, still more preferably 0.65, particularly preferably. is 0.7.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ratio is preferably 0.97, more preferably 0.96, still more preferably 0.95. In addition to this, a particularly preferable upper limit is 0.9, 0.85 or 0.8. By setting below the above, the excess thickness is reduced, making it easi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가 유사한 광학 특성을 가지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구하기 위해, 두께비는 0.95 초과, 0.97 이하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have similar optical properties,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ratio is more than 0.95 and less than 0.97.

두께비의 범위는, 액정 패널의 휨이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의 수축(화면의 장변 방향; 통상 MD 방향)의 영향이 크고, 이 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셀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강도가 중요하다는 지견에 의거한다.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의 수축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 1이 편광자의 MD 방향으로 수축하는 것에 대항하는 강도와,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 4가 TD 방향으로 신장하는 것에 대항하는 강도가 필요한데, 일반적인 고리타데이션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경우는 텐터로 TD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박형화를 위해서는, TD 방향의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편광자 보호 필름 1보다도 편광자 보호 필름 4를 두껍게 하는 것이 액정 패널의 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유리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편광자 보호 필름 4를 같은 두께로 하는 것은, 편광자 보호 필름 1에 잉여의 두께가 있어, 보다 박형화하기에는 불리할 수 있다.In the range of the thickness ratio, the warpag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greatly affected by the shrinkage of the polarizer of the polarizer on the viewer side (long side direction of the screen; usually in the MD direction), and in order to suppress this warpage, the light source side polariz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with the cell in between It is based on the knowledge that the streng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of is important. In order to counter shrinkage of the polarizer of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for example, the strength against the shrinkag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of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in the MD direction of the polarizer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of the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in the TD direction Strength against elongation is required, but in the case of a general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retardation, it is often stretched in the TD direction with a tenter, and for thinning, since the strength in the TD direction is stronger, the polarizer protection tha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Thickening the film 4 may be advantageous for suppressing warpag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n other words, mak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the same thickness may be disadvantageous in tha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has an excessive thickness and makes it thinner.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합계의 필름 두께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9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이다. 상기 이상으로 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휨을 억제하기 쉬워지고, Re를 확보하여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하기 쉬워진다.The lower limit of the total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preferably 90 µm, more preferably 95 µm, still more preferably 100 µm. By making it above, it becomes easy to suppress the curvature of a liquid crystal panel, and it becomes easy to suppress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a rainbow spot by ensuring Re.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합계의 필름 두께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5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5㎛이다. 상기 이하로 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하기 쉬워진다.The upper limit of the total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preferably 155 µm, more preferably 150 µm, still more preferably 145 µm. By carrying out below the above, it becomes easy to achieve thickness reduction of a display device.

또한, 액정 패널의 휨은, 편광자의 수축력, 액정 표시 장치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반드시 모든 것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가 특정치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아니며, 편광판의 편광자의 수축력이나 크기에 있어서 필요한 두께를 확보하면서 보다 박형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urvatur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varies depending on the shrinkage force of the polarizer,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like. Therefor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not necessarily desi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be less than a specific value in all cases,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a thinner shape while securing the required thickness for the shrinkage force and size of the polarizer of the polarizing plate. .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 리타데이션은 기재 필름의 상태에서 측정하고 있지만, 편광판으로서 가공 후이면, 편광판을 잘라내어 단면을 광학 현미경이나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두께를 측정해도 된다. 리타데이션을 구하기 위한 굴절률의 측정은, 편광자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 표면에 접착층이나 기능층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연마하거나, 깎아낸 후의 기재 필름의 굴절률을 측정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examples, the thickness and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re measured in the state of the base film, but after processing as a polarizing plate, the polarizing plate may be cut out and the cross section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or an electron microscope to measure the thickness. The measurement of the refractive index for obtaining retardation may measu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se film after peel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polishing or scraping them off, when there is an adhesive layer or a functional layer on the surface.

또한, 이들 값은, 장변 방향, 단변 방향 모두 양단에서부터 약 5cm의 위치에서 균등하게 각각 5점, 합계 5×5=25점에서 측정한 평균치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se values can be made into the average value measured at 5 points equally at positions of about 5 cm from both ends in both the long side direction and the short side direction, and a total of 5 × 5 = 25 points.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에 이용되는 수지는, 배향에 의해 복굴절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리타데이션을 크게 할 수 있는 점에서, 각각 독립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등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PET, PEN이 바람직하다.The resin used fo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birefringence is generated by orientation, but since retardation can be increased, respectively independently, polyester, polycarbonate, polystyrene, etc. are preferable And, in particular, polyester is preferable. Preferred polyesters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polytetramethylene terephthalate (PB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mong which PET and PEN are preferred.

PET의 경우,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극한 점도(IV)는 0.5∼1.5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극한 점도(IV)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dL/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8L/g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6dL/g이다. 극한 점도(IV)의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dL/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dL/g이다. 0.5dL/g 이상이면, 내충격성 등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 필름의 제조가 용이하다. 1.5dL/g 이하이면, 필름의 제조가 용이하다. 극한 점도(IV)는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3/2; 질량비)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고, 온도 30℃에서 측정된다.In the case of PET,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film is preferably 0.5 to 1.5 dL/g. The lower limit of the intrinsic viscosity (IV) is more preferably 0.55 dL/g, still more preferably 0.58 L/g,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6 dL/g. The upper limit of the intrinsic viscosity (IV) is more preferably 1.2 dL/g, still more preferably 1 dL/g. If it is 0.5 dL/g or more, mechanical strength, such as impact resistance, is excellent, and manufacture of a film is easy. If it is 1.5 dL/g or less, manufacture of a film is easy. Intrinsic viscosity (IV) is measured by dissolving in a mixed solvent of phenol/1,1,2,2-tetrachloroethane (=3/2; mass ratio), and at a temperature of 30°C.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는, 각각 독립하여,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선 투과율은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광선 투과율이 20% 이하이면, 편광층 중의 요오드나 이색성 색소의 자외선에 의한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은, 필름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것이며, 분광 광도계(예를 들면, 히타치 U-3500형)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independently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20%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nm. The light transmittance is more preferably 15%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0%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 or less. When the light transmittance is 20% or less, deterioration of iodine or dichroic dye in the polarizing layer by ultraviolet rays can be suppressed. The ligh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80 nm is measur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film, and can b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for example, Hitachi U-3500 model).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에 포함되는 기재 필름의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을 20% 이하로 하는 것은, 기재 필름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도포액을 기재 필름 표면에 도포하는 것,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 농도 및 기재 필름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 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공지의 물질이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지만, 투명성의 관점에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Mak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base film included 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at a wavelength of 380 nm to 20% or less is adding an ultraviolet absorber to the base film and apply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the ultraviolet absorber to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 It can be achiev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he ultraviolet absorber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The ultraviolet absorber is a known substance. 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organic ultraviolet absorbers and inorganic ultraviolet absorbers, but organic ultraviolet absorbers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ransparency.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및 그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의 광선 투과율이 얻어지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Examples of the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benzotriazole-based, benzophenone-based, cyclic iminoester-based,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light transmittance described above is obtained.

또, 기재 필름에는 미끄러짐성 향상을 위해, 평균 입경 0.05∼2㎛의 입자를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입자로는, 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황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탈크, 카올린, 클레이, 인산칼슘, 운모, 헥토라이트, 지르코니아, 산화텅스텐, 불화리튬, 불화칼슘 등의 무기 입자나, 스티렌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벤조구아나민계, 실리콘계 등의 유기 폴리머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add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5 to 2 µm to the base film to improve slipperiness. As the particles, inorganic particles such as titanium oxide, barium sulfate, calcium carbonate, calcium sulfate, silica, alumina, talc, kaolin, clay, calcium phosphate, mica, hectorite, zirconia, tungsten oxide, lithium fluoride, calcium fluoride, Organic polymer type particles, such as styrene type, acrylic type, melamine type, benzoguanamine type, and silicone type, etc. are mentioned.

이들 입자는 기재 필름 전체에 첨가해도 되지만, 스킨-코어의 공압출(共押出) 다층 구조로 하여, 스킨층에만 첨가해도 된다.These particles may be added to the entire base film, but may be added only to the skin layer as a multilayer structure by co-extrusion of the skin core.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는 일반적인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가 PET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조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를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하고, 시트상으로 압출하여 성형된 무배향 폴리에스테르를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세로 방향 및/또는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고,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a gener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 case wher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are polyester films, such as a PET film,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Hereinafter, in description of a manufacturing metho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may be called a polyester film. For example, a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 polyester resin is melted, extruded into a sheet form, and molded non-oriented polyester is stretched at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the machine direction and/or transverse direction, A method of performing heat treatment is exemplified.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축 연신이어도, 2축 연신이어도 되지만, 2축성이 강해지면 필요한 리타데이션을 확보하기 위해 두께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1축 연신이 바람직하다.The polyester film may be uniaxially stretched or biaxially stretched, but when the biaxiality becomes strong, since thickness is required in order to ensure required retardation, uniaxial stretching is preferable.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주배향축은, 필름의 주행 방향(길이 방향, MD 방향)이어도,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 TD 방향)이어도 된다. MD 연신의 경우는 롤 연신이 바람직하고, TD 연신의 경우는 텐터 연신이 바람직하다.The main orientation axis of the polyester film may be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film (longitudinal direction, MD direction) or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crosswise direction, TD direction). In the case of MD stretching, roll stretching is preferable, and in the case of TD stretching, tenter stretching is preferable.

연신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예열하고, 바람직하게는 80∼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20℃에서 연신한다. 연신 배율은 3∼7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6.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3.8배에서 6.2배이다.In the stretching, the polyester film is preheated and stretched preferably at 80 to 130°C, more preferably at 90 to 120°C. The draw ratio is preferably 3 to 7 times, more preferably 3.5 to 6.5 times, still more preferably 3.8 to 6.2 times.

또, 보다 1축성을 높이기 위해, 연신 시에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텐터로의 TD 연신의 경우, 수축은, 예를 들면 텐터 클립 간격을 좁힘으로써 행할 수 있다. 수축 처리는, 1∼2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이다.Moreover, in order to further improve uniaxiality, it is also preferable to contract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at the time of extending|stretching. In the case of TD stretching with a tenter, shrinkage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narrowing the tenter clip interval. The shrinkage treatment is preferably 1 to 20%, more preferably 2 to 15%.

2축 연신을 행하는 경우는, 상기를 주연신으로 하고, 주연신 전에 주연신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1.1∼2배, 바람직하게는 1.2∼1.8배의 연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b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the above is used as the main stretching, an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tretching 1.1 to 2 times, preferably 1.2 to 1.8 tim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stretching before the main stretching.

연신에 이어 열 고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고정 온도는 150∼2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230℃이다. 열 고정에 있어서, 주연신 방향 또는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완화 처리를 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완화 처리는, 0.5∼1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이다.It is preferable to perform heat setting following drawing. The heat set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50 to 250°C, more preferably 170 to 230°C. In the heat setting, it is also preferable to perform the relaxation treatment in the principal stretching direction or in a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The relaxation treatment is preferably 0.5 to 10%, more preferably 1 to 5%.

열 고정 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냉각 후 롤상으로 권취(卷取)된다. 냉각 과정 도중에, 주연신 방향으로 추가 미세연신(微延伸)을 행하는 것도, 액정 패널의 휨을 저감시키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추가 미세연신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온도가 80∼150℃ 사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율은 1∼5%가 바람직하며, 1.5∼3%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polyester film after heat setting is wound up in roll shape after cooling. During the cooling process, performing additional fine stretching in the principal stretching direction is also preferable for reducing warpag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additional fine stretching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polyester film temperature of 80 to 150°C, and the magnification is preferably 1 to 5%, more preferably 1.5 to 3%.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에는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스마 처리 등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may be treated to improve adhesive properties such as corona treatment, flame treatment, and plasma treatment.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에는 편광자(또는 편광막) 자체와의 밀착성, 또는 편광자(또는 편광막)의 접착제층 또는 배향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접착층(이접착층 P1)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Even i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are provided with an easily bonding layer (easily bonding layer P1)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polarizer (or polarizing film) itself or with the adhesive layer or orientation layer of the polarizer (or polarizing film) do.

이접착층에 이용되는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이 이용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에 이용되는 수지는 가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에폭시 수지, 옥사졸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수용성 수지를 첨가하는 것도 편광자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용한 수단이다.As the resin used for the easily bonding layer, polyester resins, polyurethane resins, polycarbonate resins, acrylic resins, etc. are used, and polyester resins, polyester polyurethane resins, polycarbonate polyurethane resins, and acrylic resins are prefer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used for the easily bonding layer is crosslinked. As a crosslinking agent, an isocyanate compound, a melamine compound, an epoxy resin, an oxazoline compound, etc. are mentioned. Moreover, adding water-soluble resin, such as polyvinyl alcohol, is also a useful means in order to improve adhesiveness with a polarizer.

이접착층은 이들 수지와 필요에 따라 가교제, 입자 등을 첨가한 수계 도료로서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에 도포 및 건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입자로는 상술의 기재 필름에 첨가되는 것이 예시된다.The easily adhesive layer is a water-based paint to which these resins and, if necessary, a crosslinking agent, particles, etc. are added, and can be applied and dried to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and then installed. As the particles, those added to the above-described base film are exemplified.

이접착층은, 연신 완료의 필름에 오프라인으로 설치해도 되지만, 제막 공정 중에 인라인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라인으로 설치하는 경우는, 세로 연신 전 및 가로 연신 전 중 어느 쪽이어도 되지만, 가로 연신 전(특히 가로 연신 직전)에 도공(塗工)되어, 텐터에 의한 예열, 가열, 열처리 공정으로 건조, 가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에 의한 세로 연신 전(특히 세로 연신 직전)에 인라인 코팅하는 경우에는 도공 후, 세로형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에 연신 롤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an easily bonding layer may be installed offline on the stretched film,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in-line during a film forming process. In the case of in-line installation, either before longitudinal stretching or before transverse stretching may be used, but coating is applied before transverse stretching (especially immediately before transverse stretching), followed by preheating by a tenter, heating, and drying and crosslinking in heat treatment steps. it is desirable to be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line coating before longitudinal stretching with a roll (especially immediately before longitudinal stretching), it is preferable to guide the film to a stretching roll after coating and drying in a vertical dryer.

이접착층의 도공량(건조 후의 도공량)은 0.01∼1.0g/m2가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0.03∼0.5g/m2가 바람직하다.The coating amount (coating amount after drying) of the easily bonding layer is preferably 0.01 to 1.0 g/m 2 , and more preferably 0.03 to 0.5 g/m 2 .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의 편광자(또는 편광막)가 적층되는 면과는 반대측에는, 각각 독립하여,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저반사층, 방현층, 대전 방지층 등의 기능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특히, 편광자 보호 필름 1은 액정 표시 장치의 시인측 최표면(最表面)(시인측 표면 근방)이 되는 경우도 많아, 반사 방지층, 저반사층 및 방현층 중 어느 것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 저반사층 및 방현층 등을 총칭하여 반사 저감층이라고 한다. 반사 저감층은, 액정 표시 화면에 외광이 비쳐 보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계면의 반사를 억제하여 무지개 얼룩을 저감시키거나, 눈에 띄기 어렵게 하거나 하는 작용도 있다. 또, 기능층이 설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에 있어서, 기능층이 설치되기 전의 상태의 필름을 기재 필름이라고 한다. 또한, 기재 필름은 상기 이접착층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On th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polarizers (or polarizing film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are laminated, functional layers such as a hard coat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 low reflection layer, an antiglare layer, and an antistatic layer are also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is a preferred form. In particula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often serves as the outermost surface (near the visual sid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of an antireflection layer, a low reflection layer and an antiglare layer is provided. An antireflection layer, a low reflection layer, an antiglare layer, and the lik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reflection reduction layer. The reflection reducing layer not only prevents external light from being reflect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but also suppresses reflection at the interface to reduce iridescence or make it less conspicuous. In addition, 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provided with the functional layer, the film in a state before the functional layer is provided is referred to as a base film. In addition, the base film may contain the said easily bonding layer.

반사 저감층측에서 측정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반사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이다. 상기 이하이면 무지개 얼룩 및 색재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The upper limit of the reflectanc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measured from the reflection reducing layer side is preferably 5%, more preferably 4%, still more preferably 3%, particularly preferably 2%, and most preferably 1.5. %am. If it is less than the above, rainbow coloration and color reproducibility are not affected.

상기 반사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현실적인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이다.The lower limit of the reflectan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a realistic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y 0.01%, more preferably 0.1%.

(저반사층)(low reflection layer)

저반사층은, 기재 필름의 표면에 저굴절률층을 설치함으로써 공기와의 굴절률차를 작게 하여,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The low reflection layer is a layer having a function of reducing the reflectance by reduc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with air by providing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반사 방지층)(antireflection layer)

반사 방지층은, 저굴절률층의 두께를 컨트롤하여, 저굴절률층의 상측 계면(예를 들면, 저굴절률층-공기의 계면)과 저굴절률층의 하측 계면(예를 들면, 기재 필름-저굴절률층의 계면)과의 반사광을 간섭시켜 반사를 제어하는 층이다. 이 경우,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가시광의 파장(400∼700nm)/(저굴절률층의 굴절률×4)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tireflection layer controls the thicknes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so that the upper interface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for example,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air interface) and the lower interface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for example, the base film-low refractive index layer) It is a layer that controls reflection by interfering the reflected light with the interface).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about the wavelength of visible light (400 to 700 nm)/(refractive index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x 4).

반사 방지층과 기재 필름과의 사이에는 고굴절률층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며, 저굴절률층이나 고굴절률층을 2층 이상 설치하여, 다중 간섭에 의해 반사 방지 효과를 더욱 높여도 된다.It is also preferable to provide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between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base film, and two or more layers of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or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may be provided to further enhance the antireflection effect by multiple interference.

반사 방지층의 경우, 반사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이다.In the case of the antireflection layer, the upper limit of the reflectance is preferably 2%, more preferably 1.5%, even more preferably 1.2%,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

(저굴절률층)(low refractive index layer)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은, 1.45 이하가 바람직하고, 1.4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은,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1.2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1.45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42 or less. Moreov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1.2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25 or more.

또한,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은, 파장 589nm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값이다.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a value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a wavelength of 589 nm.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30nm∼1㎛ 정도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 저굴절률층 표면의 반사와, 저굴절률층과 그 내측의 층(기재 필름, 하드 코트층 등)과의 계면 반사를 상쇄시켜, 보다 반사율을 낮추는 목적이면,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70∼120nm가 바람직하고, 75∼110nm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not limited, but may be appropriately set usually within a range of about 30 nm to 1 μm.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further lowering the reflectance by offsetting the reflection on the surface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d the reflect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d the inner layer (base film, hard coat layer, etc.), the thicknes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70 to 70 μm. 120 nm is preferable, and 75-110 nm is more preferable.

저굴절률층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 바인더 수지 및 저굴절률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2) 저굴절률 수지인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3) 실리카 또는 불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4) 실리카, 불화마그네슘 등의 저굴절률 물질의 박막 등을 들 수 있다.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1) a layer made of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binder resin and low refractive index particles, (2) a layer made of a fluorine-based resin that is a low refractive index resin, and (3) a layer containing silica or magnesium fluoride. a layer made of a fluorine-based resin composition; (4) a thin film of a low refractive index substance such as silica or magnesium fluoride; and the like.

(1)의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등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아크릴이 바람직하고, 광조사에 의해 광중합성 화합물을 중합(가교)시켜 얻어진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resin composition of (1), polyester, polyurethane, polyamide, polycarbonate, acrylic, etc.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mong them, acrylic is preferable, and one obtained by polymerizing (crosslinking) a photopolymerizable compound by light irradiation is preferable.

광중합성 화합물로는, 광중합성 모노머, 광중합성 올리고머, 광중합성 폴리머를 들 수 있고, 이들을 적절히 조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광중합성 화합물로는, 광중합성 모노머와, 광중합성 올리고머 또는 광중합성 폴리머와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이들 광중합성 모노머, 광중합성 올리고머, 광중합성 폴리머는 다관능의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include photopolymerizable monomers, photopolymerizable oligomers, and photopolymerizable polymers, and these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nd used. As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a combination of a photopolymerizable monomer and a photopolymerizable oligomer or photopolymerizable polymer is preferable. These photopolymerizable monomers, photopolymerizable oligomers, and photopolymerizable polymers are preferably polyfunctional.

다관능 모노머로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TA),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DPPA)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공 점도나 경도의 조정을 위해, 단관능 모노머를 병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clud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PETTA), and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DPPA). Moreover, you may use together a monofunctional monomer for adjustment of coating viscosity and hardness.

다관능 올리고머로는,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올 (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ultifunctional oligomer include polyester (meth)acrylate, urethane (meth)acrylate, polyester-urethane (meth)acrylate, polyether (meth)acrylate, polyol (meth)acrylate, and melamine (meth)acrylate. Acrylate, isocyanurate (meth)acrylate, epoxy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다관능 폴리머로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polymer include urethane (meth)acrylate, isocyanurate (meth)acrylate, polyester-urethane (meth)acrylate, and epoxy (meth)acrylate.

(1)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중합 개시제, 가교제의 촉매,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The resin composition of (1)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catalyst for a crosslinking agent, a polymerization inhibitor, an antioxidant, a ultraviolet absorber, a leveling agent, a surfactant, and the like.

(1)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저굴절률 입자로는, 실리카 입자(예를 들면, 중공 실리카 입자), 불화마그네슘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중공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공 실리카 입자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5-099778호 공보의 실시예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particles included in the resin composition of (1) include silica particles (for example, hollow silica particles), magnesium fluoride particles, and the like, and among these, hollow silica particles are preferable. Such hollow silica particles can be produced by, for example,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in Example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099778.

저굴절률 입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5∼200nm가 바람직하고, 5∼100nm가 보다 바람직하며, 10∼80nm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rimary particle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particles is preferably 5 to 200 nm, more preferably 5 to 100 nm, still more preferably 10 to 80 nm.

저굴절률 입자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 refractive index particles are more preferably surface treated with a silane coupling agent, and among them, thos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with a silane coupling agent having a (meth)acryloyl group are preferable.

저굴절률층에 있어서의 저굴절률 입자의 함유량은,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0∼25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50∼20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100∼18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low refractive index particles in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10 to 25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50 to 200 parts by ma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00 to 18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binder resin.

(2)의 불소계 수지로는, 적어도 분자 중에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또는 그 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광중합성 관능기, 열경화 극성기 등의 경화 반응성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복수의 경화 반응성기를 동시에 겸비하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이 중합성 화합물에 대해, 중합체는, 상기의 경화 반응성기 등을 갖지 않는 것이다.As the fluorine-based resin of (2), a polymerizable compound containing a fluorine atom in the molecule at least or a polymer thereof can be used.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polymeric compound, For example, what has hardening reactive groups, such as a photo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and a thermosetting polar group, is preferable. Moreover, the compound which has these some hardening reactive groups simultaneously may be sufficient. Regarding this polymerizable compound, the polymer does not have the curing reactive group or the like described above.

광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불소 함유 모노머를 널리 이용할 수 있다.As a compound having a photo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for example, a fluorine-containing mono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can be widely used.

저굴절률층에는 내지문성(耐指紋性)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공지의 폴리실록산계 또는 불소계의 방오제를 적절히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o appropriately add a well-known polysiloxane-based or fluorine-based antifouling agent to the low-refractive-index layer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fingerprint resistance.

저굴절률층의 표면은, 방현성을 나타내기 위해 요철면이어도 되지만, 평활면인 것도 바람직하다.The surface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y be a concavo-convex surface to exhibit anti-glare properties, but is also preferably a smooth surface.

저굴절률층의 표면이 평활면인 경우, 저굴절률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JIS B0601: 1994)는, 바람직하게는 20n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nm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nm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nm 이하이며, 통상, 1nm 이상이다. 또, 저굴절률층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 Rz(JIS B0601: 1994)는, 바람직하게는 160n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nm 이하이며, 통상, 50nm 이상이다.When the surface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a smooth surface, the arithmetic average roughness Ra (JIS B0601: 1994) of the surface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20 nm or less, more preferably 15 n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0 nm or less. , particularly preferably 8 nm or less, and usually 1 nm or more. Further, the ten-point average roughness Rz (JIS B0601: 1994) of the surface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160 nm or less, more preferably 155 nm or less, and usually 50 nm or more.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1.55 이상이 바람직하고, 1.56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1.85 이하가 바람직하고, 1.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7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7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1.5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56 or more. Furth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1.85 or less, more preferably 1.8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75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7 or less.

또한,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파장 589nm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값이다.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a value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a wavelength of 589 nm.

고굴절률층의 두께는, 30∼2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50∼18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굴절률층은 복수의 층이어도 되지만, 2층 이하가 바람직하고, 단층이 보다 바람직하다. 복수의 층인 경우는, 복수의 층의 두께의 합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30 to 200 nm, and more preferably 50 to 180 nm. Although a plurality of layers may be sufficient as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two layers or less are preferable and a single layer is more preferable.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layers, it is preferable that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plurality of layers is within the above range.

고굴절률층을 2층으로 하는 경우는, 저굴절률층측의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을 보다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저굴절률층측의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1.6∼1.85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쪽의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1.55∼1.7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made of two layer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on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side is preferably higher, specificall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on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side is preferably 1.6 to 1.85,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ther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1.55 to 1.7.

고굴절률층은 고굴절률 입자 및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made of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high refractive index particles and a resin.

그중에서도, 고굴절률 입자로는, 오산화안티몬 입자, 산화아연 입자, 산화티탄 입자, 산화세륨 입자,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입자, 산화이트륨 입자 및 산화지르코늄 입자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산화티탄 입자 및 산화지르코늄 입자가 적합하다.Among them, as the high refractive index particles, antimony pentoxide particles, zinc oxide particles, titanium oxide particles, cerium oxide particles, tin-doped indium oxide particles, antimony-doped tin oxide particles, yttrium oxide particles, zirconium oxide particles, and the like are preferable. Among these, titanium oxide particles and zirconium oxide particles are suitable.

고굴절률 입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특히, 제 1 고굴절률 입자와 그것보다 표면 전하량이 적은 제 2 고굴절률 입자를 첨가하는 것도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또, 고굴절률 입자는 표면 처리되어 있는 것도 분산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High refractive index particle|grains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prevent aggregation by adding the first high refractive index particles and the second high refractive index particles having a smaller surface charge than the first high refractive index particle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dispersibility that the high refractive index particles are surface treated.

고굴절률 입자의 1차 입자의 바람직한 평균 입자 지름은, 저굴절률 입자와 마찬가지이다.The preferred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rimary particles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particles is the same as that of the low refractive index particles.

고굴절률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30∼4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0∼20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150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particles is preferably 30 to 40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50 to 200 parts by mass, still more preferably 80 to 15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resin.

고굴절률층에 이용되는 수지로는, 불소계 수지를 제외하고 저굴절률층에서 예로 든 수지와 동일하다.The resin used for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the same as the resin exemplified for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except for the fluorine-based resin.

고굴절률층 위에 설치되는 저굴절률층을 평탄하게 하기 위해서는, 고굴절률층의 표면도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latten the low-refractive-index layer provided on the high-refractive-index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high-refractive-index layer is also flat.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은, 예를 들면, 상기의 광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료를, 기재 필름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도막상(狀)의 도료에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여, 광중합성 화합물을 중합(가교)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are, for example, coated with a coating material containing the abov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on a base film, dried, and then irradiated with light such as ultraviolet light to the coating material in the form of a coating film, It can be formed by polymerizing (crosslinking) a photopolymerizable compound.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도료에는, 필요에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용제, 중합 개시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한, 분산제, 계면활성제, 대전 방지제, 실란 커플링제, 증점제, 착색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소포제, 레벨링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접착 부여제,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표면 개질제, 이활제(易滑劑) 등을 첨가하고 있어도 된다.A thermoplastic resin, a thermosetting resin, a solvent,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dded to the coating material for forming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as needed. In addition, dispersants, surfactants, antistatic agents, silane coupling agents, thickeners, anti-coloring agents, colorants (pigments, dyes), antifoaming agents, leveling agents, flame retardants, ultraviolet absorbers, adhesion imparting agents, polymerization inhibitors, antioxidants, surface modifiers, A lubricant or the like may be added.

(방현층)(Anti-glare layer)

방현층은 표면에 요철을 설치하여 난반사시킴으로써, 외광이 표면에서 반사하는 경우의 광원의 형태의 비침을 방지하거나, 눈부심을 저감시키거나 하는 층이다.The anti-glare layer is a layer that provides uneven reflection on the surface to prevent reflection of the shape of a light source when external light is reflected on the surface or to reduce glare.

방현층 표면의 요철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12㎛ 이하이며, 통상, 0.02㎛ 이상이다.The arithmetic average roughness (Ra) of th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layer is preferably 0.25 μm or less, more preferably 0.2 μm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0.15 μm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0.12 μm or less, and usually , 0.02 μm or more.

방현층 표면의 요철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는,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다. 또, Rzjis는,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다.The ten-point average roughness (Rzjis) of th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layer is preferably 0.15 μm or more, more preferably 0.2 μm or more, even more preferably 0.25 μm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0.3 μm or more. Further, Rzjis is preferably 2 μm or less, more preferably 1.5 μ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2 μ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 μm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8 μm or less.

Ra 및 Rzjis는, JIS B0601-1994 또는 JIS B0601-2001에 준거하여, 접촉형 조도계를 이용해 측정되는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산출된다.Ra and Rzjis are calculated from a roughness curve measured using a contact roughness meter in accordance with JIS B0601-1994 or JIS B0601-2001.

기재 필름에 방현층을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of providing an anti-glare layer to a base film, the following method is mentioned, for example.

·입자(필러) 등을 포함하는 방현층용 도료를 도공한다.· Apply a paint for an anti-glare layer containing particles (filler) or the like.

·방현층용 수지를 요철 구조를 갖는 금형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경화시킨다.- The resin for the anti-glare layer is cured in a state in which i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mold having a concavo-convex structure.

·방현층용 수지를 요철 구조를 갖는 금형에 도포하고, 기재 필름에 전사한다.- The resin for the anti-glare layer is applied to a mold having a concavo-convex structure and transferred to a base film.

·건조, 제막 시에 스피노달 분해가 생기는 도료를 도공한다.・Coating a paint that causes spinodal decomposition during drying and film formation.

방현층의 두께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다. 방현층의 두께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이다.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anti-glare layer is preferably 0.1 μm, more preferably 0.5 μm.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anti-glare layer is preferably 100 μm, more preferably 50 μm, still more preferably 20 μm.

방현층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상이다. 또, 방현층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이하이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anti-glare layer is preferably 1.2 or higher, more preferably 1.3 or higher, still more preferably 1.4 or high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nti-glare layer is preferably 1.8 or less, more preferably 1.7 or less.

방현층 자체의 굴절률을 낮추어 저반사 효과를 구하는 경우, 방현층의 굴절률은, 1.2∼1.45가 바람직하고, 1.25∼1.4가 보다 바람직하다.When the low reflection effect is obtained by lower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ntiglare layer itsel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ntiglare layer is preferably 1.2 to 1.45, and more preferably 1.25 to 1.4.

방현층 위에 후술의 저굴절률층을 설치하는 경우, 방현층의 굴절률은, 1.5∼1.8이 바람직하고, 1.55∼1.7이 보다 바람직하다.When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antiglare lay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ntiglare layer is preferably 1.5 to 1.8, and more preferably 1.55 to 1.7.

또한, 방현층의 굴절률은, 파장 589nm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값이다.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nti-glare layer is a value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a wavelength of 589 nm.

저굴절률층에 요철을 설치하여 방현성 저반사층으로 해도 되고, 방현층의 요철 상에 저굴절률층을 설치하여 반사 방지 기능을 갖게 하여, 방현성 반사 방지층으로 해도 된다.An anti-glare anti-reflection layer may be formed by providing irregularities on the low-refractive-index layer, or an anti-glare anti-reflection layer by providing an anti-reflection function by providing a low-refractive index layer on the irregularities of the anti-glare layer.

(하드 코트층)(hard coat layer)

상기의 반사 저감층의 하층으로서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It is also a preferable mode to provide a hard coat layer as a lower layer of the above reflection reducing layer.

하드 코트층은 연필 경도로 H 이상이 바람직하고, 2H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 또는 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료를 도포, 경화시켜 설치할 수 있다.The hard coat layer preferably has a pencil hardness of H or higher, and more preferably 2H or higher. The hard coat layer is made of, for example,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a thermosetting resin or a radiation curable resin, and can be provided by applying and curing a paint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열경화성 수지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요소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수지,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료에는, 이들 열경화성 수지에, 필요에 따라서 경화제, 촉매, 상기의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도료에 포함되는 첨가물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resin include acrylic resins, urethane resins, phenol resins, urea melamine resins, epoxy resins,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silicone resi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 the paint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of the thermosetting resin, a curing agent, a catalyst, and additives included in the paint for forming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y be added to the thermosetting resin as necessary.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방사선 경화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방사선 경화성 관능기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기, 에폭시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전리방사선 경화성 화합물로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중에서도,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는, 모노머여도 올리고머여도 폴리머여도 된다.The radiation curable resin is preferably a compound having a radiation curable functional group, and examples of the radiation curable functional group include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group such as a (meth)acryloyl group, a vinyl group, and an allyl group, an epoxy group, and an oxetanyl group. there is. Among these, as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compound, a compound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group is preferable, and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groups is more preferable. A (meth)acrylate-based compound is more preferred. As a polyfunctional (meth)acrylate type compound, a monomer, an oligomer, or a polymer may be sufficient as it.

이들의 구체예로는, 상기의 바인더 수지로서 예로 든 것이 이용된다.As these specific examples, what was cited as the above binder resin is used.

하드 코트로서의 경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경화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중, 2관능 이상의 모노머가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서는, 방사선 경화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중, 3관능 이상의 모노머가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hardness as a hard coat, among the compounds having a radiation curable functional group, the content of the b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 monomer is preferably 50% by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70% by mass or more. Furthermore, among the compounds having a radiation curable functional group, the content of the tr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 monomer is preferably 50% by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70% by mass or more.

상기 방사선 경화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료에는, 필요에 따라서, 촉매, 상기의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도료에 포함되는 첨가물 등이 첨가된다.The compound having the radiation curable functional group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o the paint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of the radiation-curable resin, a catalyst, additives included in the paint for forming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d the like are added as needed.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0.1∼1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5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0.8∼2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100 μ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50 μm,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8 to 20 μm.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은, 1.45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은, 1.7 이하가 바람직하고, 1.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1.45 or more are preferable and, as for the refractive index of a hard-coat layer, 1.5 or more are more preferable. Moreover, 1.7 or less are preferable and, as for the refractive index of a hard-coat layer, 1.6 or less are more preferable.

또한,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은, 파장 589nm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값이다.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a hard-coat layer is a value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wavelength 589nm.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수지의 굴절률을 조정하는 방법, 입자를 첨가하는 경우는 입자의 굴절률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In order to adjust the refractive index of a hard-coat layer, the method of adjusting the refractive index of resin, and the method of adjusting the refractive index of particle|grains when adding particle|grains are mentioned.

입자로는, 방현층의 입자로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As the particles, those exemplified as the particles of the anti-glare layer are exemplifi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도 포함하여, 반사 저감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it may call a reflection reduction layer including a hard-coat layer.

기능층을 설치하는 경우, 기능층과 기재 필름과의 사이에 이접착층(이접착층 P2)을 설치해도 된다. 이접착층 P2는 상술의 이접착층 P1에서 예로 든 수지, 가교제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이접착층 P1과 이접착층 P2는 같은 조성이어도 다른 조성이어도 된다.When providing a functional layer, you may provide an easily bonding layer (easy bonding layer P2) between a functional layer and a base film. As the easily bonding layer P2, resins, crosslinking agents, and the like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asily bonding layer P1 are suitably used. In addition, the easily bonding layer P1 and the easily bonding layer P2 may have the same composition or different compositions.

이접착층 P2도 또한 인라인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접착층 P1과 이접착층 P2는 순차 도공, 건조시켜도 되지만, 양면 동시 도공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easily bonding layer P2 also in line. Although the easily bonding layer P1 and the easily bonding layer P2 may be sequentially coated and dried, simultaneous coating on both sides is also preferable.

편광판에 이용하는 편광자로는, 예를 들면, 1축 연신한 폴리비닐 알코올(PVA)에 요오드 또는 유기계의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것, 액정 화합물과 유기계의 이색성 색소를 배향시킨 것, 또는 액정성의 이색성 색소로 이루어지는 액정성의 편광자, 와이어 그리드 방식의 것 등을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As a polarizer used for the polarizing plate, for example, a polarizer obtained by adsorbing iodine or an organic dichroic dye to polyvinyl alcohol (PVA) uniaxially stretched, a polarizer in which a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n organic dichroic dye are oriented, or a liquid crystal polarizer. A liquid crystalline polarizer made of a dichroic dye, a wire grid type polarizer, and the like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1축 연신한 폴리비닐 알코올(PVA)에 요오드 또는 유기계의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필름상의 편광자와 롤상으로 권취된 기재 필름을, PVA계, 자외선 경화형 등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첩합하고, 롤상으로 권취할 수 있다. 이 타입의 편광자의 두께로는, 5∼50㎛가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10∼30㎛가 바람직하며, 특히 12∼25㎛가 바람직하다.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두께는, 1∼1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이다.A film-like polarizer in which iodine or an organic dichroic dye is adsorbed to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 (PVA) and a base film wound in a roll shape are bonded together using an adhesive such as PVA-based or ultraviolet curing typ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It can be wound up in roll shape. The thickness of this type of polarizer is preferably 5 to 50 μm, more preferably 10 to 30 μ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2 to 25 μm.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y 1 to 10 μm, more preferably 2 to 5 μm.

또, PET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미연신(未延伸)의 이형 필름(기재)에 PVA를 도공하고, 이형 필름과 함께 1축 연신하여 요오드 또는 유기계의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편광자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 편광자의 경우는, 이형 필름에 적층된 편광자의 편광자면(이형 필름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면)과 기재 필름을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첩합하고, 그 후 편광자를 제작할 때에 이용한 이형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기재 필름과 편광자를 첩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롤상으로 첩합하고, 권취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타입의 편광자의 두께로는, 1∼10㎛가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2∼8㎛가 바람직하며, 특히 3∼6㎛가 바람직하다.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두께는, 1∼1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이다.Moreover, a polarizer in which iodine or an organic dichroic dye is adsorbed by coating PVA on an unstretched release film (substrate) such as a PET film or a polypropylene film, and uniaxially stretching it together with the release film is also preferable. used In the case of this polarizer, the polarizer surface (the surface on which the release film is not laminated) of the polarizer laminated on the release film and the base film are bonded together with an adhesive or an adhesive, and then the release film used when producing the polarizer is peeled off, A film and a polarizer can be bonded together. Als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bond together in a roll shape and wind up. The thickness of this type of polarizer is preferably 1 to 10 μm, more preferably 2 to 8 μ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 to 6 μm.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y 1 to 10 μm, more preferably 2 to 5 μm.

액정성의 편광자의 경우는, 기재 필름에 액정 화합물과 유기계의 이색성 색소로 이루어지는 편광자를 배향시킨 것을 적층하거나, 또는 기재 필름에 액정성의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코팅액을 도공한 후, 건조시키고, 광 또는 열경화시켜 편광자를 적층함으로써,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액정성의 편광자를 배향시키는 방법으로는, 도공 대상물의 표면을 러빙 처리하는 방법, 편광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액정성의 편광자를 배향시키면서 경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의 표면을 직접 러빙 처리하고, 코팅액을 도공해도 되며, 기재 필름에 직접 코팅액을 도공하고 이것에 편광 자외선을 조사해도 된다. 또, 액정성의 편광자를 설치하기 전에, 기재 필름에 배향층을 설치하는(즉, 기재 필름에 배향층을 개재하여 액정성의 편광자를 적층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다. 배향층을 설치하는 방법으로는,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line polarizer, after laminating a base film in which a polarizer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n organic dichroic dye is oriented, or coat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 liquid crystalline dichroic dye on a base film, it is dried, and light Or it can be set as a polarizing plate by making it thermoset and laminating|stacking a polarizer. As a method of orienting the liquid crystalline polarizer, a method of rubbing the surface of the coated object, a method of irradiating polarized ultraviolet rays to orientate the liquid crystalline polarizer, and curing the curing method may be mentioned.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may be rubbed directly and the coating liquid may be applied, or the coating liquid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base film and polarized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thereto. Moreover, it is also a preferable method to provide an orientation layer to a base film (namely, to laminate|stack a liquid crystal polarizer on a base film through an orientation layer) before providing a liquid crystalline polarizer. As a method of installing the alignment layer,

·폴리비닐 알코올 및 그 유도체, 폴리이미드 및 그 유도체, 아크릴 수지, 폴리실록산 유도체 등을 도공하고, 그 표면을 러빙 처리하여 배향층(러빙 배향층)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of applying polyvinyl alcohol and derivatives thereof, polyimide and derivatives thereof, acrylic resins, polysiloxane derivatives, etc., and rubbing the surface to form an alignment layer (rubbing alignment layer);

·신나모일기 및 칼콘기 등의 광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와 용제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도포하고, 편광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배향 경화시켜 배향층(광배향층)으로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A method of applying a coating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or monomer having a photoreactive group such as a cinnamoyl group and a chalcone group and a solvent, followed by irradiation of polarized ultraviolet rays to orientation-harden the alignment layer (photo-alignment layer), and the like. .

이형 필름에 상기의 방법에 준하여 액정성의 편광자를 설치하여, 액정성의 편광자면과 기재 필름을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첩합하고, 그 후 이형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기재 필름과 편광자를 첩합할 수도 있다.The base film and the polarizer can be bonded together by attaching a liquid crystalline polarizer to the release film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bonding the liquid crystalline polarizer surface and the base film together with an adhesive or an adhesive, and then peeling the release film.

액정성의 편광자의 두께로는, 0.1∼7㎛가 바람직하고, 또 0.3∼5㎛가 바람직하며, 특히 0.5∼3㎛가 바람직하다.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두께는, 1∼1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이다.The thickness of the liquid crystal polarizer is preferably 0.1 to 7 μm, more preferably 0.3 to 5 μ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5 to 3 μm.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y 1 to 10 μm, more preferably 2 to 5 μm.

편광자의 흡수축과 편광자 보호 필름 1 또는 4의 지상축(遲相軸)이 이루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평행 또는 직교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행 또는 직교」란, 0도 또는 90도에서 바람직하게는 ±10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7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5도까지의 어긋남이 허용된다. 평행 또는 직교로 함으로써, 롤상인 채로 첩합하여 권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1축 연신한 폴리비닐 알코올(PVA)에 요오드 또는 유기계의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편광자의 경우는, MD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편광자 보호 필름 1 및 4는 TD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양자를 롤상으로 첩합하는 경우는, 편광자의 흡수축과 편광자 보호 필름의 지상축은 직교가 되는 경우가 많다.The angle formed by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or 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parallel or orthogonal. With "parallel or orthogonal", deviations from 0 degrees or 90 degrees are preferably ±10 degrees, more preferably ±7 degree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 degrees. By setting it as parallel or orthogonal, it can make it easy to bond together and wind up in roll shap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olarizer in which iodine or an organic dichroic dye is adsorbed on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 (PVA), it is common to be stretched in the MD direction,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s 1 and 4 are stretched in the TD direction.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has been Therefore, when bonding both together in roll shape, the absorption axis of a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a polarizer protective film become orthogonal in many cases.

편광자의 액정 셀측의 면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직접 액정 셀에 첩합되어 있어도 되고, 편광자의 액정 셀측의 면에 경화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되며, 편광자 보호 필름 2 또는 3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경화층으로는 전술의 하드 코트층을 들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cell-side surface of the polarizer may be bonded directly to the liquid crystal cell with an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hardened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liquid-crystal cell-side surface of the polarizer, o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2 or 3 may be provided. As a hardening layer, the hard-coat layer mentioned above is mentioned.

편광자 보호 필름 2 및 3은, 각각 독립하여, 셀룰로오스계(TAC) 필름, 아크릴 필름, 폴리환상 올레핀(COP) 필름 등이어도 된다. 편광자 보호 필름 2 및 3의 적어도 한쪽은, 리타데이션이 거의 제로인 것이어도 되고, 표시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의 색조의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위상차 필름(광학 보상 필름)이어도 된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2 and 3 may each independently be a cellulose-based (TAC) film, an acrylic film, a polycyclic olefin (COP) film, or the like. At least on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2 and 3 may have substantially zero retardation, or may be a retardation film (optical compensation film) for controlling a change in color tone when viewing the display screen from an oblique direction.

광학 보상 필름에서 필요한 위상차를 내기 위해서는, 필름을 연신하거나, 필름 상에 액정 화합물 등의 위상차층을 도공하는, 별도 이형 필름 상에 액정 화합물 등의 위상차층을 설치하고, 이것을 전사하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위상차층을 형성하기 위한 액정 화합물은 봉상(棒狀) 액정 화합물,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 등, 요구되는 위상차 특성에 맞추어 이용된다. 액정 화합물은 배향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이중 결합 등의 광경화성의 반응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켜, 위상차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위상차층의 하층으로서 배향층을 설치하고, 배향층을 러빙 처리하거나, 편광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배향층 위에 도공하는 액정 화합물이 특정 방향으로 배향하는 것과 같은 배향 제어성을 부여할 수 있다.In order to obtain the required retardation in the optical compensation film, a method such as stretching the film, coating a retardation layer such as a liquid crystal compound on the film, providing a retardation layer such as a liquid crystal compound on a separate release film, and transferring it, etc. can be heard A liquid crystal compound for forming the retardation layer is used according to the required retard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a rod-shaped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scotic liquid crystal compound. The liquid crystal compound preferably has a photocurable reactive group such as a double bond in order to fix the alignment state. In order to align the liquid crystal compound to have a phase difference, an alignment layer is provided as a lower layer of the retardation layer, the alignment layer is rubbed, or polarized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align the liquid crystal compound coated on the alignment layer in a specific direction. Orientation controllability can be imparted.

광학 보상 필름의 위상차는, 사용하는 액정 셀의 타입, 어느 정도의 시야각을 확보할 것인지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The retardation of the optical compensation film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liquid crystal cell to be used, how much viewing angle to secure, and the like.

위상차층은 위상차층용 조성물 도료를 도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위상차층용 조성물 도료는, 용제, 중합 개시제, 증감제, 중합 금지제, 레벨링제, 중합성 비액정 화합물, 가교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이들은, 배향층이나 액정 편광자의 부분에서 설명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The retardation layer may be installed by coating a paint composition for the retardation layer. The paint composition for phase difference layer may also contain a solvent,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sensitizer, a polymerization inhibitor, a leveling agent, a polymerizable non-liquid crystalline compound, a crosslinking agent, and the like. As these, those described in the part of the alignment layer and the liquid crystal polarizer can be used.

위상차층용 조성물 도료를 이형 필름의 이형면 또는 배향층(배향 제어층) 상에 도공 후, 건조, 가열, 경화함으로써, 위상차층을 설치할 수 있다.A phase difference layer can be provided by coating the composition paint for retardation layer onto the release surface of a release film or an orientation layer (orientation control layer), followed by drying, heating, and curing.

이들 조건도 배향층이나 액정 편광자의 부분에서 설명한 조건이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이용된다.Also for these conditions, the conditions described in the part of the alignment layer or the liquid crystal polarizer are used as preferable conditions.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을 첩합하는 경우,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이용된다. 접착제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등의 수계의 접착제나 광경화성의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점착제는 아크릴계의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When bonding a polarizer and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ogether, an adhesive or an adhesive is used. As the adhesive, a water-based adhesive such as a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or a photocurable adhesive is preferably used. As the adhesive, an acrylic adhesive is preferably used.

액정 셀은, 회로가 형성된 유리 등의 얇은 기판 사이에 액정 화합물이 봉입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이 유리의 경우, 박형화의 관점에서 두께는 0.7mm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mm 이하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iquid crystal cell is one in which a liquid crystal compound is sealed between thin substrates such as glass on which a circuit is formed. When the substrate is glass, the thickness is preferably 0.7 mm or less, more preferably 0.5 m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0.4 m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액정 셀의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VA 방식이나 IPS 방식에서는 시인측의 편광판의 흡수축은 액정 셀의 장변 방향과 평행 또는 직교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방식이다.The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cel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the VA method or the IPS metho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on the viewing side is installed so as to be parallel or orthogonal to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cell, which is a preferable method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액정 셀의 시인측 및 광원측에 각각 편광판을 첩합함으로써, 액정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첩합은 아크릴계의 점착제로 첩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liquid crystal panel can be formed by bonding a polarizing plate to the visual recognition side of a liquid crystal cell and the light source side,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bond together with an acrylic adhesive.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으로는, RGB의 3색 발광 LED, 청색 발광 LED와 황색 형광체의 조합, 청색 발광 LED과 녹색 형광체·적색 형광체의 조합, 자외선 발광 LED와 청색 형광체·녹색 형광체·적색 형광체의 조합, 유기 EL 발광체 등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청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양자점 입자에 의해 초록이나 빨강으로 파장 변환하는 일반적으로 QD 광원이라고 칭해지는 광원, 적색 형광체로서 K2SiF6:Mn4 + 등의 불화물 형광체를 이용하는 일반적으로 KSF 광원이라고 칭해지는 광원이, 색재현 영역도 넓어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광원이다.As the backlight light sour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 are three color light emitting LEDs of RGB, a combination of a blue light emitting LED and a yellow phosphor, a combination of a blue light emitting LED and a green phosphor and a red phosphor, and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LED and a blue phosphor, green phosphor and red phosphor. Combinations, organic EL light emitting materials, etc.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particular, a light source commonly referred to as a QD light source that converts wavelengths into green or red by quantum dot particles using a blue LED light source, K 2 SiF 6 : Mn 4 + As a red phosphor, it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KSF light source using a fluoride phosphor such as The so-called light source has a wide color reproduction range and is a light source that is preferably used.

백라이트 광원은, 필요에 따라서, 반사판, 도광판, 확산판, 렌즈 시트, 프리즘 시트를 적층한 광원 유닛으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원 유닛의 시인측에는, 휘도 향상 필름이라고 불리는 반사형의 편광판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The backlight source is preferably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a light source unit in which a reflector, a light guide plate, a diffusion plate, a lens sheet, and a prism sheet are stacked as needed. In addition, a reflective polarizing plate called a brightness enhancing film may be provid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light source unit.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더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can be carried out by adding appropriate changes within the rang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are all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 있어서의 물성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The evaluation method of the physical property in an Example is as follows.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1) Refractive index of polyester film

분자 배향계(오지 게이소쿠 기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MOA-6004형 분자 배향계)를 이용하여,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구하고, 지상축 방향이 장변과 평행이 되도록, 4cm×2cm의 장방형을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로 했다. 이 샘플에 대해서,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y, 진상축(進相軸)(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x)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 측정 파장 589nm)에 의해 구했다.Using a molecular orientation meter (MOA-6004 type molecular orientation meter manufactured by Oji Keisoku Instruments Co., Ltd.),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film was determined, and a 4 cm × 2 cm rectangle was cut out so that the slow axis direction was parallel to the long side, , which was used as a sample for measurement. For this s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wo orthogonal axes (refractive index in the slow axis direction: ny, refractive index in the fast 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direction): nx) and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nz) were expressed as Abbe It was determined with a refractometer (manufactured by Atago Co., Ltd., NAR-4T, measurement wavelength 589 nm).

(2) 면내 리타데이션(Re)(2) In-plane retardation (Re)

면내 리타데이션이란, 필름 상의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의 이방성(△Nxy=|nx-ny|)과 필름 두께 d(nm)와의 곱(△Nxy×d)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이며, 광학적 등방성, 이방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2축의 굴절률의 이방성(△Nxy)을, 상기 (1)의 방법에 의해 구하고, 상기 2축의 굴절률차의 절대치(|nx-ny|)를 굴절률의 이방성(△Nxy)으로서 산출했다. 필름의 두께 d(nm)는 전기 마이크로미터(파인류프사 제조, 밀리트론 1245D)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단위를 nm로 환산했다. 굴절률의 이방성(△Nxy)과 필름의 두께 d(nm)와의 곱(△Nxy×d)으로부터, 리타데이션(Re)을 구했다.In-plane retardation is a parameter defined by the product (ΔNxy×d) of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ΔNxy=|nx-ny|) of two orthogonal axes on a film and the film thickness d (nm) (ΔNxy×d), and optical isotropy and anisotropy are It is a measure that represents The biaxial refractive index anisotropy (ΔNxy) was obtained by the method (1) above, and the absolute value (|nx-ny|) of the biaxial refractive index difference was calculated as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ΔNxy). The thickness d (nm) of the film was measured using an electric micrometer (Militron 1245D, manufactured by Fine Lupe Co., Ltd.), and the unit was converted into nm. The retardation (Re) was determined from the product (ΔNxy×d) of the anisotropy of the refractive index (ΔNxy) and the thickness d (nm) of the film.

(3)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3)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이란, 필름 두께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2개의 복굴절 △Nxz(=|nx-nz|) 및 △Nyz(=|ny-nz|)에 각각 필름 두께 d를 곱하여 얻어지는 리타데이션의 평균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리타데이션의 측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nx, ny, nz와 필름 두께 d(nm)를 구하고, (△Nxz×d)와 (△Nyz×d)와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을 구했다.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the average of the retardation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wo birefringences ΔNxz (=|nx-nz|) and ΔNyz (=|ny-nz|) by the film thickness d when viewed from the cross section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is a parameter representing nx, ny, nz and film thickness d (nm) are obtained in the same way as in the measurement of retard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ΔNxz × d) and (ΔNyz × d) is calculated to obtain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Saved.

(4) NZ 계수(4) NZ coefficient

리타데이션의 측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nx, ny, nz를 구하고, nx, ny, nz를, |ny-nz|/|ny-nx|로 표시되는 식에 대입하여, Nz 계수를 구했다.nx, ny, and nz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easurement of retardation, and nx, ny, and nz were substituted into the equation expressed by |ny-nz|/|ny-nx| to obtain the Nz coefficient.

굴절률의 측정 및 두께의 측정은 필름 제막 후, 편광자와 첩합하기 위해 슬릿한 각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하여, TD 방향 양단부에서 약 5cm 내측의 2점과 그 사이를 등간격으로 3점, 또 MD 방향으로 약 20cm씩 간격을 두고 5개소에서 마찬가지로 행하여, 합계 25점(5×5=25)의 평균으로 했다. 또한, 표의 표기는 소수점 1 이하 첫번째 자리를 반올림한 값이다.The measurement of the refractive index and the measurement of the thickness are, after film formation, for each polarizer protective film slit for bonding with the polarizer, two points inside about 5 cm from both ends in the TD direction and three points at equal intervals therebetween, and further in the MD direction It was similarly performed at 5 locations at intervals of about 20 cm each, and it was set as the average of a total of 25 points (5 × 5 = 25). In addition, the notation in the table is a value obtained by rounding off the first digit below 1 decimal point.

(5) 패널의 휨(5) Warp of panel

두께 0.5mm, 43인치 상당의 유리판의 양면에, 실시예도 비교예도 마찬가지로, 편광판을 크로스 니콜이 되도록 첩합하여, 모의 셀로 했다. 첩합은 광학용의 기재레스 점착제 시트를 이용했다.A polarizing plate was bonded to both surfaces of a glass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5 mm and a size of 43 inche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so as to form cross nicol, and it was set as a mock cell. For bonding, a substrate-less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optics was used.

제작한 모의 셀을 70℃, 5%RH로 설정한 기어 오븐 내에서, 240시간의 열처리를 행하고, 그 후, 실온 25℃, 50%RH로 설정된 환경에서 30분간 냉각한 후에, 볼록측을 아래로 하여 수평면에 두고, 4모퉁이의 높이를 메저로 계측하여, 최대치를 휨량으로 했다. 휨량을 이하와 같이 하여 평가했다. 또한, 모의 셀은, 4모퉁이를 각기둥으로 받쳐주고, 각기둥 위에 패널이 수평이 되도록 정치(靜置)시킨 상태(즉, 4모퉁이 이외에는 모의 셀이 뜬 상태)에서 상기의 열처리 및 냉각 처리를 행하였다.The fabricated mock cell wa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for 240 hours in a gear oven set at 70°C and 5% RH, then cooled for 30 minutes in an environment set at room temperature of 25°C and 50% RH, and then the convex side was placed below.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the heights of the four corners were measured with a measure, and the maximum value was taken as the amount of warpage. The amount of warpage was evaluated as follows. In addition, the mock cell was supported by prisms at four corners, and the above heat treatment and cooling treatment wer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panel was left horizontally on the prism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mock cell was floating except for the four corners) .

○: 0mm 이상 2mm 미만○: 0 mm or more and less than 2 mm

△: 2mm 이상 4mm 미만△: 2 mm or more and less than 4 mm

×: 4mm 이상×: 4 mm or more

(6) 무지개 얼룩의 허용각(6) Acceptance angle of rainbow blobs

시판의 TV(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로부터,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패널을 취출(取出)하여, 액정 패널의 편광판을 박리했다. 편광판을 박리한 액정 패널면에 작성한 편광자 보호 필름 A∼K를 이용한 편광판을, 편광자 보호 필름 A∼K가 편광자를 사이에 두고 액정 셀과는 반대측이 되도록, 또,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은 원래의 편광판과 같은 방향이 되도록 배치한 후, 백라이트 유닛을 부착하여, 평가용 디스플레이로 했다. 액정 셀과 편광판의 사이는 이온 교환수로 채워 반사가 일어나기 어렵도록 했다. 평가용 디스플레이를 탁상에 수평으로 두고 전면 백색으로 표시하고, 법선 방향으로부터 결정한 방위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중앙부의 무지개 얼룩의 상태를 관찰했다. 무지개 얼룩이 보이기 시작했다고 느낀 위치의 디스플레이의 중앙과 관찰자의 양눈의 중앙부를 이은 직선과, 디스플레이의 법선 방향과의 각도(극각)를 측정했다. 5명의 관찰자가 같은 일을 행하여, 평균치를 무지개 얼룩의 허용각으로 했다.From a commercially available TV (REGZA 43J10X manufactured by Toshiba Corporation), the backlight unit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were taken out, and the polarizing plat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was peeled off. The polarizing plate us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A to K prepar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surface from which the polarizing plate was peeled off was placed so tha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A to K faced the opposite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with the polariz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was original. After arrange|positioning so that it might become the same direction as a polarizing plate, the backlight unit was attached and it was set as the display for evaluation. The space between the liquid crystal cell and the polarizing plate was filled with ion-exchanged water to prevent reflection. The display for evaluation was placed horizontally on a tabletop and displayed in full white color, and the state of rainbow spots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was observed while moving from the normal direction to the determined azimuth direction. The angle (polar angle) betwee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display at the position where it was felt that the rainbow stain began to appear and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observer and the normal direction of the display was measured. Five observers did the same, and the average value was taken as the acceptance angle of the rainbow blob.

(6-1) 광원측의 무지개 얼룩의 허용각(도)(6-1) Allowable angle (degrees) of rainbow spots on the light source side

광원측 편광판만을 교환하고, 방위각은 광원측 편광판에 이용한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편광자 보호 필름의 주배향축 방향)과 30도가 되는 방향에서 행하였다.Only the light source side polarizing plate was replaced, and the azimuthal angle was 30 degrees from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used for the light source side polarizing plate (the direction of the main orientation axi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6-2) 시인측의 무지개 얼룩의 허용각(도)(6-2) Allowable angle (degrees) of rainbow spots on the viewer side

시인측 편광판만을 교환하고, 방위각은 시인측 편광판에 이용한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편광자 보호 필름의 주배향축 방향)과 30도가 되는 방향에서 행하였다.Only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was replaced, and the azimuth angle was made in a direction at 30 degrees from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main orienta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olarizer used for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6-3) 양측의 편광판을 교환한 디스플레이의 무지개 얼룩의 허용각(도)(6-3) Allowable angle of rainbow stains (degrees) of the display in which the polarizers on both sides are exchanged

양측의 편광판을 교환하고, 방위각은 시인측 편광판에 이용한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편광자 보호 필름의 주배향축 방향)과 30도, 45도 또는 60도로 하여 가장 허용각이 좁은 방위각에서의 허용각을 채용했다.The polarizers on both sides are exchanged, and the azimuth angle is 30 degrees, 45 degrees, or 60 degrees from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used in the polarizer on the viewing side (the direction of the main orientation axi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accepted angle at the narrowest azimuth angle Hired.

폴리에스테르 A(PET (A))Polyester A (PET (A))

고유 점도 0.62dl/g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dl/g

폴리에스테르 B(PET (B))Polyester B (PET (B))

자외선 흡수제(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 10 질량부 및 PET (A) 90 질량부의 용융 혼합물. A melt mixture of 10 parts by mass of an ultraviolet absorber (2,2'-(1,4-phenylene)bis(4H-3,1-benzoxazin-4-one) and 90 parts by mass of PET (A).

(접착성 개질 도포액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on modifying coating liquid)

상법(常法)에 의해 에스테르 교환 반응 및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디카르복시산 성분 전체에 대해) 테레프탈산 46 몰%, 이소프탈산 46 몰% 및 5-술포나토이소프탈산 나트륨 8 몰%, 글리콜 성분으로서(글리콜 성분 전체에 대해) 에틸렌 글리콜 50 몰% 및 네오펜틸 글리콜 50 몰% 조성의 수분산성 술폰산 금속염기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조제했다. 이어서, 물 51.4 질량부, 이소프로필 알코올 38 질량부, n-부틸셀로솔브 5 질량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06 질량부를 혼합한 후, 가열 교반하고, 77℃에 도달하면, 상기 수분산성 술폰산 금속염기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5 질량부를 첨가하여, 수지의 덩어리가 없어질 때까지 계속 교반한 후, 수지 수분산액을 상온까지 냉각하여, 고형분 농도 5.0 질량%의 균일한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액을 얻었다. 또한, 응집체 실리카 입자(후지 실리시아(주)사 제조, 사일리시아 310) 3 질량부를 물 50 질량부에 분산시킨 후, 상기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액 99.46 질량부에 사일리시아 310의 수분산액 0.54 질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물 20 질량부를 첨가하여, 접착성 개질 도포액을 얻었다.A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and a polycondensation reaction were performed by the usual method, and 46 mol% of terephthalic acid, 46 mol% of isophthalic acid, and 8 mol% of sodium 5-sulfonatoisophthalate were obtained as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 co-polyester resin containing a water-dispersible sulfonic acid metal base having a composition of 50 mol% of ethylene glycol and 50 mol% of neopentyl glycol as the glycol component (relative to the total glycol component) was prepared. Next, after mixing 51.4 parts by mass of water, 38 parts by mass of isopropyl alcohol, 5 parts by mass of n-butyl Cellosolve, and 0.06 part by mass of a nonionic surfactant, heat-stirring and when reaching 77°C, the above water-dispersible sulfonic acid After adding 5 parts by mass of a co-polyester resin containing a metal base and continuing stirring until lumps of the resin disappear, the aqueous resin dispersion i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a uniform water-dispersible co-polyester resin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5.0 mass% is obtained. got Further, after dispersing 3 parts by mass of aggregated silica particles (Sylysia 310 manufactured by Fuji Silysia Co., Ltd.) in 50 parts by mass of water, 0.54 parts by mass of the aqueous dispersion of Silysia 310 in 99.46 parts by mass of the water-dispersible co-polyester resin solution. Part by mass was added, and 20 parts by mass of water was added while stirring to obtain an adhesion modifying coating liquid.

(편광자)(polarizer)

요오드 수용액 중에서 연속해서 염색한 두께 80㎛의 롤상의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을 반송 방향으로 5배 연신하고, 건조하여 장척(長尺)의 편광자를 얻었다.An 80-micrometer-thick roll-shaped polyvinyl alcohol film continuously dyed in an iodine aqueous solution was stretched 5 times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dried to obtain a long polarizer.

(편광자 보호 필름 A)(Polarizer protective film A)

기재 필름 중간층용 원료로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PET (A) 수지 펠릿 90 질량부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PET (B) 수지 펠릿 10 질량부를 135℃에서 6시간 감압 건조(1Torr)한 후, 압출기 2(중간층 Ⅱ층용)에 공급하고, 또, PET (A)를 상법에 의해 건조하여 압출기 1(외층 I층 및 외층 Ⅲ층용)에 각각 공급하고, 285℃에서 용해했다. 이 2종의 폴리머를, 각각 스테인리스 소결체의 여재(濾材)(공칭 여과 정밀도(精度) 10㎛ 입자 95% 컷)로 여과하고, 2종 3층 합류 블록으로 적층하여, 구금(口金)으로부터 시트상으로 하여 압출한 후, 정전 인가(印加) 캐스트법을 이용해 표면 온도 30℃의 캐스팅 드럼에 휘감아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만들었다. 이때, I층, Ⅱ층, Ⅲ층의 두께의 비는 10:80:10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을 조정했다.As a raw material for the base film intermediate layer, 90 parts by mass of particle-free PET (A) resin pellets and 10 parts by mass of PET (B) resin pellets containing an ultraviolet absorber were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1 Torr) at 135° C. for 6 hours, and then extruder 2 (for the middle layer II layer), and PET (A) was dri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pplied to the extruder 1 (for the outer layer I layer and the outer layer III layer), respectively, and melted at 285°C. These two types of polymers are each filtered with a stainless steel sintered filter medium (nominal filtration accuracy of 10 μm particles, 95% cut), and laminated in a two-type, three-layer merged block, and formed into a sheet from a die. After extrusion, it was wound around a casting drum with a surface temperature of 30°C using an electrostatic application casting method, and cooled and solidified to make an unstretched film. At this time, the discharge amount of each extruder was adjusted so that the ratio of the thicknesses of the I layer, II layer, and III layer was 10:80:10.

이어서, 이 미연신 PET 필름의 양면에 건조 후의 도포량이 0.08g/m2가 되도록, 상기 접착성 개질 도포액을 도포한 후, 80℃에서 20초간 건조했다.Subsequently, the adhesion-modifying coating liquid wa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unstretched PET film so that the coating amount after drying was 0.08 g/m 2 , and then dried at 80° C. for 20 seconds.

이 도포층을 형성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100℃의 텐터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배로 연신했다. 다음으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로, 온도 190℃의 열 고정 존에서 10초간 처리하고, 추가로 폭 방향으로 2%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80㎛의 1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The unstretched film on which this coating layer was formed was guided to a tenter stretching machine, and while holding the ends of the film with clips, it was guided to a tenter at 100°C and stretched four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Next, while maintaining the width stretched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treated in a heat setting zone at a temperature of 190° C. for 10 seconds, and further, a 2% relaxation treatment is per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uniaxially stretched PET film has a film thickness of 80 μm. got

(편광자 보호 필름 B)(Polarizer protective film B)

두께를 바꾼 것 이외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 A와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B를 얻었다.Except having changed the thickness, it carried out similarly to polarizer protective film A, and obtaine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B.

(편광자 보호 필름 C)(Polarizer protective film C)

연신 배율을 5배, 텐터의 온도를 120℃, 필름의 두께를 바꾼 것 이외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 A와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C를 얻었다.A polarizer protective film C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 except that the stretch ratio was 5 tim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tenter was changed to 120°C and the thickness of the film.

(편광자 보호 필름 D, E, F)(Polarizer protective film D, E, F)

연신 배율을 5배, 텐터의 온도를 110℃로 하고, 필름의 두께를 각각 바꾼 것 이외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 A와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D, E 및 F를 얻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D, E and F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 except that the draw ratio was 5 times and the tenter temperature was 110 ° C., and the thickness of the film was changed, respectively.

(편광자 보호 필름 G, H, I, J)(Polarizer protective film G, H, I, J)

연신 배율을 5.6배, 텐터의 온도를 110℃로 하고, 필름의 두께를 각각 바꾼 것 이외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 A와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G, H, I 및 J를 얻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G, H, I and J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 except that the draw ratio was 5.6 times and the tenter temperature was 110 ° C., and the thickness of the film was changed, respectively.

각 편광자 보호 필름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olarizer protective film.

Figure 112022085671577-pct00001
Figure 112022085671577-pct00001

(편광판의 제작)(Manufacture of polarizer)

편광자의 편면에 상기에서 제작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반대면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두께 40㎛)을 롤투롤로 첩합했다. 첩합에는,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이용했다. 액정 패널과 첩합하기 전에 편광판을 필요한 크기로 커트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prepared above was bond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 triacetyl cellulose film (thickness: 40 μm) was bonded to the opposite side in a roll-to-roll manner. For bonding,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was used. The polarizing plate was cut into a required size before bonding with the liquid crystal panel.

실시예 1∼9, 비교예 1∼3Examples 1 to 9, Comparative Examples 1 to 3

표 2의 조합과 같이, 패널을 제작하여 무지개 얼룩의 허용각을 측정했다. 또, 마찬가지의 조합으로 패널의 휨을 관찰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As in the combination of Table 2, the panel was fabricated and the acceptance angle of the rainbow stain was measured. Moreover, the warp of the panel was observed with the same combin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Figure 112022085671577-pct00002
Figure 112022085671577-pct00002

실시예 1∼9는 모두 패널의 휨은 허용 범위이고, 무지개 얼룩의 허용각은 광원측, 시인측에 단독으로 이용한 경우와 동등의 허용각으로, 보다 박형화가 달성되어 있다.In Examples 1 to 9, the warp of the panel was within the permissible range, and the permissible angle of the iridescence was the same as that when used alone for the light source side and the viewing side, and further thinning was achieved.

한편, 비교예 1에서는 광원측, 시인측 모두 동일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편광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광원측 편광판에서의 무지개 얼룩의 허용각이 54도이지만 시인측 편광판에서의 무지개 얼룩의 허용각이 59도이고, 시인측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가 잉여가 되어, 더욱 박형화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박형화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 polarizers of the same polarizer protective film were used for both the light source side and the viewer side, and the accepted angle of iridescence in the polarizing plate on the light source side was 54 degrees, but the acceptable angle of iridescence in the polarizing plate on the viewer side was 59 degrees. And it turned out tha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n the visual recognition side became excessive and it was not thinned although further thinning was possible.

비교예 2에서는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나 리타데이션에 잉여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In Comparative Example 2, it was found that the thickness and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had an excess.

비교예 3에서는,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너무 얇게 했기 때문에,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의 수축에 다 대항하지 못하여, 패널의 휨이 눈에 띄는 결과가 되었다. 또,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에도 잉여가 발생하고 있다.In Comparative Example 3, sinc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was made too thin, the shrinkage of the polarizer of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could not be completely resisted, resulting in conspicuous warping of the panel. In addition, an excess occurs i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viewing-side polarizing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무지개 얼룩의 발생이나 액정 패널의 휨을 방지하면서, 보다 박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a thinn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provided, preventing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rainbow spots and curvature of a liquid crystal panel, for example.

Claims (27)

백라이트 광원, 광원측 편광판, 액정 셀 및 시인측 편광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원측 편광판 및 시인측 편광판은 각각 적어도 1장의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를 갖고,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의 면에 위치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 1,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자의 액정 셀과는 반대측의 면에 위치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 4라고 한 경우,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5500∼10000nm이고,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4500nm 이상이며,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비율이 0.55∼0.97인 액정 표시 장치.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acklight light source, a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a liquid crystal cell, and a viewer-side polarizing plate in this order, wherein the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and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each have at least on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polarizer, and are polarizers of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As a protective film,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locat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polarizer is used as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locat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polarizer is used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to protect the polarizer. In the case of film 4,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5500 to 10000 nm,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4500 nm or more, and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ratio of 0.55 to 0.97. 제 1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9500nm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9500 nm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비율이 0.55∼0.95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ratio of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55-0.9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두께가 50∼95㎛이고,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두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두께의 비율이 0.5∼0.97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50 to 95 μm, and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5 to 0.9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두께가 40∼80㎛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40-80 micrometer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두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두께의 비율이 0.5∼0.95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5 to 0.9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6000nm 이상 8700nm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6000 nm or more and 8700 nm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5500nm 이상 8000nm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5500 nm or more and 8000 nm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비율이 0.7 이상 0.97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ratio of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7 or more and 0.97 or less.
제 9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비율이 0.82 이상 0.97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ratio of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82 or more and 0.97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비율이 0.95를 초과하고 0.97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ratio of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in-plane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exceeds 0.95 and is 0.97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두께/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두께의 비율이 0.95를 초과하고 0.97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exceeds 0.95 and is 0.97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이 6200nm 이상 9500nm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6200 nm or more and 9500 nm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e/Rth)이 0.8 이상 2 미만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in-plane retardation/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e/R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8 or more and less than 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e/Rth)이 0.8 이상 1.2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in-plane retardation/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e/R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8 or more and 1.2 or less.
제 14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면내 리타데이션/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e/Rth)이 0.85 이상 1.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in-plane retardation/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e/R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0.85 or more and 1.0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이 5700nm 이상 8000nm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5700 nm or more and 8000 nm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e/Rth)이 0.8 이상 2 미만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in-plane retardation/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e/R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0.8 or more and less than 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e/Rth)이 0.8 이상 1.2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in-plane retardation/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e/R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0.8 or more and 1.2 or less.
제 18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면내 리타데이션/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e/Rth)이 0.85 이상 1.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8,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in-plane retardation/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e/Rth)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0.85 or more and 1.0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NZ 계수가 1을 초과하고 1.7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the NZ coefficient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exceeds 1 and is 1.7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NZ 계수가 1.4 이상 1.7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NZ coefficient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1.4 or more and 1.7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NZ 계수가 1을 초과하고 1.7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the NZ coefficient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exceeds 1 and is 1.7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NZ 계수가 1.4 이상 1.7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NZ coefficient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1.4 or more and 1.7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합계의 필름 두께가 100㎛ 이상 145㎛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ose film thickness of the sum of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100 micrometers or more and 145 micrometers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과 편광자 보호 필름 4의 지상축(遲相軸)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단, ±10도까지의 어긋남이 허용된다)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ngle formed by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light source-side polarizing plate and the slow axi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 is 90 degrees (however, a deviation of up to ±10 degrees is permitt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시인측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과 편광자 보호 필름 1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단, ±10도까지의 어긋남이 허용된다)인 액정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an angle formed by an absorption axis of a polarizer of a polarizing plate on the viewer side and a slow axi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90 degrees (however, a deviation of up to ±10 degrees is permitted).
KR1020227028333A 2020-07-07 2021-06-29 liquid crystal display KR1025327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17094 2020-07-07
JP2020117094 2020-07-07
PCT/JP2021/024458 WO2022009725A1 (en) 2020-07-07 2021-06-2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722A KR20220123722A (en) 2022-09-08
KR102532754B1 true KR102532754B1 (en) 2023-05-16

Family

ID=7955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333A KR102532754B1 (en) 2020-07-07 2021-06-29 liquid crystal display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7088420B2 (en)
KR (1) KR102532754B1 (en)
CN (1) CN115427875B (en)
TW (1) TW202212868A (en)
WO (1) WO2022009725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9732A1 (en) 2009-11-12 2012-09-13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WO2013137058A1 (en) 2012-03-12 2013-09-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Λ/4 phase-shifted film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650B1 (en) * 2011-05-30 2018-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WO2014171386A1 (en) * 2013-04-19 2014-10-23 東洋紡株式会社 Liquid-crystal display,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protecting film
JP2017009733A (en) * 2015-06-19 2017-01-12 東洋紡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N108885368A (en) * 2016-03-31 2018-11-23 东洋纺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7187764B2 (en) 2017-06-21 2022-12-13 東洋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KR102097802B1 (en) * 2017-08-10 2020-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19045633A (en) 2017-08-31 2019-03-22 東洋紡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panel,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468284B1 (en) 2017-09-15 2022-11-17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9732A1 (en) 2009-11-12 2012-09-13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WO2013137058A1 (en) 2012-03-12 2013-09-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Λ/4 phase-shifted film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09725A1 (en) 2022-01-13
JP2022117511A (en) 2022-08-10
JPWO2022009725A1 (en) 2022-01-13
CN115427875A (en) 2022-12-02
TW202212868A (en) 2022-04-01
JP7088420B2 (en) 2022-06-21
KR20220123722A (en) 2022-09-08
CN115427875B (en) 202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895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CN113614592B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for anti-reflection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9105842A (en)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bright-place contrast in image display device
KR101665263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665239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688054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94138B1 (en)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US20170205549A1 (en) Un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laminate film,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JP2014046608A (en) Laminate,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touch panel sensor, touch panel device, and picture display device
JP2020134678A (en) Retardation layer-laminate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53275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16200716A (en) Liquid crystal display
JP621290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TWI833932B (en) Anti-reflective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579334B1 (en) How to select a combination of backlight light source and polarizer in image display device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TW202243861A (en) Polyester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WO2022202637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combination of backlight light source and polarizing plate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7999596A (en) Micro LED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