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326B1 -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326B1
KR102532326B1 KR1020210004298A KR20210004298A KR102532326B1 KR 102532326 B1 KR102532326 B1 KR 102532326B1 KR 1020210004298 A KR1020210004298 A KR 1020210004298A KR 20210004298 A KR20210004298 A KR 20210004298A KR 102532326 B1 KR102532326 B1 KR 10253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vitamin
aqueous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072A (ko
Inventor
장동일
장일선
장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콧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콧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콧데
Priority to KR102021000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32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2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질층이 얇은 입술피부와 각질층이 두터운 일반피부를 포함하는 인체 피부보호막에 도포하는 비타민 C 비수계 조성물로서 비타민 C를 안정성과 효용성이 높은 상태로 배합하여 입술피부 및 일반피부의 노화와 건조함, 쓰라림 및 갈라짐으로부터 보호하고 동시에 피부의 진피층에 있는 콜라겐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입술 및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키는 비타민 C의 효능을 최대한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비타민 C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비타민 C와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혼합 분체가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매에 분산된 분산물을 오일 및 왁스로 비수계 조성물에 혼합하고 이를 또 한번 더 오일 및 왁스로 이루어진 비수계 조성물로 이중으로 보호하는 층을 갖는 산화방지 다중층 비수계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가알코올과 실리콘 오일 및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조성물을 특징으로 가진다.

Description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apable of stably preserving vitamin C (L-ascorbic acid)}
본 발명은 각질층이 얇은 입술피부와 각질층이 두터운 일반피부를 포함하는 인체 피부보호막에 도포하는 비타민 C 비수계 조성물로서 비타민 C를 안정성과 효용성이 높은 상태로 배합하여 입술 피부 및 일반 피부의 노화와 건조함, 쓰라림 및 갈라짐으로부터 보호하고 동시에 피부의 진피층에 있는 콜라겐의 생성을 증가시켜 입술 및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키는 비타민 C의 효능을 최대한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비타민 C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C는 피부 생체 내에서 강력한 항산화제로 작용하여 자외선이나 염증 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및 과산화물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피부세포 내 DNA, 단백질, 지질의 손상과 파괴를 막는다.
또한. 피부 속 진피 조직 내 섬유 상 단백질 망상조직을 형성하여 피부의 구조적 모양과 탄력을 결정하는 구성 성분인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시켜 주어 피부 탄력과 주름개선의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자외선에 노출과 여드름 등의 피부 질환에 의한 염증발생과정에서 생겨나는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서 증가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서 멜라닌에 의한 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키는 피부 미백 효과 등 피부에서 안전하게 노화, 미백, 항주름 등의 효과가 있음이 이미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알려져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비타민 C는 비수용액에서는 극소량이 용해되고, 수용액에서는 다량이 용해되나 수용액에서는 용존 산소 등에 의해서 쉽게 산화되며, 또한 빛이나 열의 의해서 더 가속적으로 산화되어 분해되기 쉬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하나의 이중결합에 두 개의 수산기가 붙은 구조(엔디올 기)를 갖는 불안정한 구조를 하고 있어 수용액 상태에서는 쉽게 산화되어 두 개의 전자를 잃어 탈수소-엘-아스코르빈산(Dehydro-L-ascorbic acid)의 형태로 변하는 화학 구조에서 기인한다.
이처럼 매우 유익한 생체 유효성을 갖지만 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서는 구조적으로 불안정하여 산화되는 문제가 있어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잃게 되는 치명적 약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물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순수 비타민 C를 안정화하려는 조성물에 관한 기술, 또한 물을 사용하더라도 산화되지 않도록 비타민 C의 구조를 변화시킨 안정한 유도체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비타민 C의 2번 위치 혹은 3번 위치에 에틸기, 아미노프로판인산기, 인산기, 글루코오스 등을 결합한 유도체들은 결합한 형태로는 비타민 C의 본질적 기능인 항산화 기능을 하지 않는 특징으로 인하여,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58102호와 제10-1147947에서는 글루코실 엘-아스코르빈산 유도체 합성관련,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30653호에서는 엘-아스코르빈산과 3-아미노프로판인산 유도체 합성 관련 등의 특허는 비타민 C의 가치를 상실시켜 화장품 관련 발명으로서 의미가 없는 것으로서 순수 비타민 C의 안정화에 관련된 기존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순수 비타민 C의 안정화에 관련된 기존 기술은 물에는 항상 산소가 녹아 있어서 극복에 한계가 있어 물을 사용하지 않는 비수계 조성물을 통한 접근이 많이 이루어졌다.
그 예로는 비타민 C가 용해되거나 분산될 수 있는 프로판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혹은 메칠피롤리돈을 용매로 이용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5260호에서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 프로판다이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톡시디글라이콜, 2,3-부탄다이올 및 다이메틸아이소소바이드의 혼합용매에 비타민 C를 30중량%까지 용해시킨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19668호에서는 비타민 C를 물이 아닌 다가 알코올형 폴리올 극성용매에 용해하여 실리콘 분체 내에 흡수한 후 이를 실리콘오일에 유화시켜 제형으로 만든 비타민 C를 함유하는 비수계 유화 화장품 조성물, 등록번호 제10-0417874에서는 다가 알코올에 비타민 C를 1~8중량% 용해하여 이를 오일에 유화시킨 유중다가 알코올형(Polyol in Oil(P/O))비수계 에멀젼 조성물, 미국 등록 특허 제8,211,472호에서는 글리세린 혹은 글리세린과 디글리세린에 비타민 C를 분산하는 방법, 미국 등록 특허 제6,645,508에서는 N-메칠피롤리돈을 용매로 이용한 안정한 비수계 비타민 C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다가 알코올이나 메칠피롤리돈 등의 용매를 이용한 비수계 비타민 C 용해 및 분산 조성물에서도 완벽하게 비타민 C가 산화되지 않는 것은 아님을 본 발명자들의 아래와 같은 실험예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다가 알코올과 N-메칠피롤리돈을 혼합한 비수계 용매(표 1 무수타입 비타민 C 조성물 참고)와 수계용매(표 2 유수타입 비타민 C 조성물 참고)에 비타민 C를 용해하여, 비타민 C를 용기에 공기층이 없게 (void volume 0%), 용기 내 공기층공간을 용기 전체 볼륨의 10%(void volume 10%), 20%(void volume 20%)의 3가지 종류로 나누어서 45℃에서 12주간 보관하면서 HPLC를 이용한 활성을 유지하는 비타민 C의 정량분석과 유관분석을 통한 색의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1, 도 2에 나타냈다.
비수계 비타민 C 20% 조성물
Nonaqueous Vitamin C 20% composition
NO.
원 료 명
중량%
1
1,3-propanediol
42.50
2
Diethoxyethyl succinate
5.00
3
N-Methyl-2-pyrrolidone
30.00
4
Dimethyl Isosorbide
2.50
5
Ascorbic acid
20.00
수계 비타민 C 20% 조성물
Aqueous Vitamin C 20% composition
NO.
원 료 명
중량%
1
Water
73.17
2
Sodium Hyaluronate(powder)
0.30
3
Xanthan Gum
0.05
4
D-Panthenol
0.01
5
Sodium Lactate (60%)
2.20
6
Sodium Metabisulfite (95.0%)
0.02
7
1,2-hexanediol
0.50
8
POE60 Hydrogenated Castor oil
0.50
9
Orange Oil
0.05
10
Ethyl Alcohol
3.00
11
Caprylyl Glycol
0.20
12
Ascorbic Acid
20.00
HPLC실험방법:
정량분석실험방법은 고성능액체크로마토크래피(HPLC)를 이용하여 각 시험샘플용액 20ul를 아래와 같은 조작조건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작 조건
칼럼(Column): Zorbax Eclipse, XDB-C18, 150mmㅧ4.6mm ID,5μm
이동상(mobile phase): 0.1%초산액·아세토니트릴 혼합액 (95: 5)
유 량(Flow rate): 1.0 ml/분
검 출 기(Detector): UV 245 nm
표준액으로는 L-Ascorbic Acid (99.0% 이상, Crystalline, SIGMA) 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도 1 및 도 2를 보면, 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수계 조성물이 수계조성물보다 안정한 것은 분명하지만, 비수계 조성물의 경우도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면서 산화 정도가 증가하고 색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가 알코올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와 비타민 C가 산화반응을 통하여 물 분자를 형성하는 비타민 C의 화학적 특징과 함께 다가 알코올의 비수계 용매에도 산소가 확산 용해되는 특성에 따른 것으로 비타민 C의 산화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에서 기인한다.
그리고 또 다른 시도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0827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470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3040호는 모두 비타민 C를 수용액에 최대한 용해 후 공기 중의 산소로부터 수용액 상으로 산소의 확산 용해를 억제하기 위한 상부의 오일층, 하부의 비타민 C 수상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와 같은 방법은 수용액에서의 비타민 C의 산화를 기본적으로 전제하고 산화의 속도를 최대한 늦추기 위해 공기 중으로부터 수상으로 확산하는 산소를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한계가 명백한 기술이다.
또 다른 형태로, 실리콘에 비타민 C를 분산한 방법으로서, 미국 등록 특허 제865,228호 및 제6,146,664호에는 실리콘에 안정하게 분산한 비타민 C의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화장품 산업계에서는 실리콘 성분들이 내분비계 교란과 환경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적되는 점 때문에 EWG의 금지성분으로 지정되면서(www.ewg.org) 실리콘 등을 사용하는 것에 거부감 더 나아가 사용 금지 운동 등의 확산으로 Non-실리콘 화장품 조성물의 필요성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의 비타민 C 조성물들의 단점들을 모두 개선하여, 다가 알코올, 실리콘 오일 및 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비타민 C 안정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 C 분말을 일정한 경도와 점도를 가지고 있는 오일과 왁스로 이루어진 조성물(분산매)에 분산시켜 고체 내지 반 고체화하여 비타민 C가 제형에서 분리되어 나오지 않게 하며 외부와 차단을 통한 외부적 요인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며 또한 전제 조성물에서 다가 알코올, 실리콘 오일 및 물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른 비타민 C의 제형 내 산화를 차단하며, 더더욱 비타민 C가 분산된 조성물을 코어부로 하고 이를 오일과 왁스로 다시 둘러싸 쉘부를 만들어 비타민 C의 산화 요인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조성물을 연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으며, 다만, 비타민 C를 분말을 오일과 왁스로 이루어진 조성물(분산매)에 분산시킬 때 비타민 C 분말을 바로 사용하는 경우 고 함량으로 비타민 C를 분산시키기 어려워 사전에 비타민 C와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혼합 분체가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매에 분산된 분산물을 제조한 다음에 오일과 왁스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다시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 C가 분산된 코어부에 글루타마이드 복합 겔화제를 부가하여 친수성인 비타민C 파우더와 혼합되어 겔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비타민C의 안정도를 높인 본 발명의 완성도를 더욱 향상시켰다.
따라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타민 C와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혼합 분체가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매에 분산된 분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강된 실시예로서,
상기 혼합 분체가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매에 분산된 분산물을 오일(실리콘 오일 제외), 왁스 및 글라타마이드 복합겔화제와 혼합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강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혼합 분체가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매에 분산된 분산물을 오일(실리콘 오일 제외), 왁스 및 글라타마이드 복합겔화제와 혼합하여 코어부로 하고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는 오일(실리콘 오일 제외) 및 왁스로 이루어진 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비타민 C가 분산되는 분산매의 경우에는 극성 오일을 사용하나, 코어부와 쉘부를 이루는 오일은 실리콘 오일을 제외하고 극성 오일 내지 비극성 오일 모두가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서 코어부와 쉘부 모두 오일과 왁스를 포함하는데 이들의 함량 비율은 필요한 제형 및 제품에 따라 함량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는 명확한 사항으로 예를 들어 립스틱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코어부에는 왁스보다는 극성 오일의 함량이 많게, 쉘부에는 왁스의 함량이 많게 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글루타마이드 복합 겔화제는 성형 안정화제로 통상 사용되며,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디부틸로릴글루타마이드 및 혼합물을 사용하여,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1:1 비율로 하여 사용한다.
글루타마이드 복합 겔화제는 알코올 성분 및 글루타마이드 성분이 혼합 것으로, 일반적으로 헥실데카놀,옥틸도데카놀 같은 극성오일에 80℃ 정도에서 용해되며, 친수성인 비타민C 파우더와 혼합되어 겔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비타민C의 안정도를 높이며, 이와 같은 글루타마이드 복합 겔화제는 전체 조성물에 있어서 3 내지 20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체를 이루어진 비타민 C: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의 중량비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자 시험 결과 90:10 내지 99.9:0.1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그 예를 들면 로린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의 소르비탄 모노에스테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비타민 C에 부가하여 분체로 하는 것은 분체가 극성 오일 분산매에 분산이 장기간 균질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하여 비타민 C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잇으며, 분체는 비타민 C와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를 혼합하여 제트밀을 사용하여 비타민 C 분체의 입자 사이즈는 중앙값이 10마이크로미터 미만 값을 가지는 2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를 갖는 미립자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비타민 C에 부가하여 분체로 한 다음에 이를 극성 오일 분산매에 분산시킨 다음에 코어부에 혼합하는 것은 비타민 C 고 함량을 안정적으로 코어부에 넣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비타민 C가 30 내지 70중량% 포함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매는 에스테르계 오일 및 천연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에틸헥실팔미테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이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헥사노에이트, 세틸이소 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 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 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 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 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트리에틸헥사노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상기 천연 오일은 카놀라유, 사과씨오일, 아보카도 오일, 밀배아 오일, 로즈힙 오일, 쉐어버터,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아르간 오 일, 메도우폼 오일, 썬플라워 오일, 피마자유, 동백 오일, 옥수수오일, 잇꽃 오일, 대두 오일, 유채꽃 오일, 마카나디아넛츠 오일, 호호바 오일, 팜 오일, 팜핵 오일 및 코코넛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와 쉘부를 이루는 오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실리콘 오일을 제외하고는 극성 오일 내지 비극성 오일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코어부 및 셀부를 이루는 왁스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예를 들면 천연 유래 왁스, 직쇄 및 측쇄 알킬 지방산 왁스 및 탄화수소계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싱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와 쉘부의 중량비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10:1 내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체가 비수계 오일 분산매에 분산된 분산물이 오일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오일 점증제를 더 포함시킴으로서 적절하게 점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제형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오일 점증제하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그 예로는 직쇄 및 분지형알킬그룹을 갖는 N-아실 글루타믹애씨드디아마이드, 전분, 덱스트린, 이눌린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혹은 디카르복실산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타민 C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통상의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어떠한 성분도 더 부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산화 성분으로 코엔자임큐텐, 베라트롤, 토코트리에놀, 비타민E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따른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 물 및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매에 고 함량의 비타민 C를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제조한 분산물 베이스를 이용하여 오일겔화층을 만들어 코어부로 하여 이를 비수계 쉘부로 감싸는 다중구조로 하여 비타민 C가 함유된 코어부로의 산소와 수분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효과를 강화시켜 비타민 C의 안정도 현저하게 향상시켰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외곽의 셀부에 비타민 C를 함유하지 않아 비타민 C 산화로 인한 제형의 변색, 변취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비타민 C 안정도 시험 결과 그래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성물의 비타민 C 안정도 시험 결과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비타민 C 안정도 시험 결과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비타민 C 안정도 시험 결과 그래프,
도 5는 종래의 유수제형에서의 비타민 C 안정도 시험 결과 그래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비타민 C 안정도 시험 결과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시 변화를 시험하기 위한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코어부 사진.
도 9는 대조군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코어부 사진.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실시예와 시험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타민 C와 오일 분산제인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를 99:1로 혼합하여 제트밀을 사용하여 미립자화하였다. 이때 비타민 C 분체의 입자 사이즈는 중앙값이 10마이크로미터 미만 값을 가지는 2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하였다.
이 비타민 C 파우더 분체를 비타민 C 함량이 50% 이상의 농도로 극성 오일,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계 오일, 천연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에 고르게 분산하여 비수계 유중 비타민 C 분체 분산물을 제조하였다.
기존에 공개된 기술인 다가 알코올에 비타민 C를 용해 분산한 비수계 조성이나 다가 알코올에 용해 분산 후 이를 오일 상에 유화시킨 유중 다가 알콜형 에멀젼형 비수계 조성물의 경우, 비타민 C를 50중량% 이상 함유할 수 없는 한계점과 안정도에서도 비타민 C가 산화되는 약점이 있으며, 또한 실리콘에 분산한 비타민 C 비수계 조성물의 경우도 다가 알코올에 용해한 비타민 C 조성물보다는 많은 비타민 C를 함유할 수는 있지만 50중량% 이상을 함유한 비타민 C 실리콘 비수계 조성물이 현실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EWG 금지성분으로 지정되어 있어 사용이 금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경우는 1차적으로 물과 비수계 용매인 다가 알코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비타민 C를 미립자화 하여 50중량% 이상을 극성 오일에 분산매를 이용하여 분산한 유중 비타민 C분체 분산물 베이스 조성물을 완성하고 이를 공기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여 비타민 C의 산화를 원천적으로 차단한 다중의 무수계 조성물에 순서적으로 적용하여 이중으로 희석하여도 피부에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비타민 C 제품 조성물 제작을 산업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비타민 C를 50중량% 이상의 고 함량을 갖는 오일분산형 유중 비타민 C 분체 분산물 함유 무수계 조성물인 고농도 비타민 C 함유 비수계 비다가알코올계 비실리콘오일계 베이스는 아래와 같은 조성과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타민 C (L-아스코르빈산) 분체 65.7중량%를 극성오일에 분산한 비수계 유중 비타민 C 분체 분산물 베이스를 표 3의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구 성 중량 %
1.엘-아스코르빈산 L-Ascorbic acid: sorbitan olivate (99:1) 혼합분체
65.7
2.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Cethyl Ethyl hexanoate
20
3.에칠헥실팔미테이트 Ethyl Hexyl palmitate
5
4.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 Ethyl Hexyl stearate
5
5.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TO 100
합 계 100.0
상기 구성 원료 2~5를 50~60℃로 가온한 후 1을 서서히 투입하여 분산시켜 비타민 C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엘-아스코르빈산:소르비탄올리베이트 혼합(99:1)분체 파우더를 2~5로 구성된 오일에 서서히 투입하여 반죽 믹서(스테인리스 수평믹서 반죽혼합기 (300L), 굿프라이스) 로 혼합하여 고농도 비타민 C 함유 비수계 유중 비타민 C 분체분산물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비타민 C 정량분석 시험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비타민 C를 극성오일에 분산한 베이스를 제조하여 6개월간 45℃ 인큐베이터에서 보관하면서 비타민 C의 함량의 변화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분석 시험을 위해서 실시예 1의 시료 1g을 10ml volumetric flask에 넣고 5% Metaphosphoric acid를 넣어 10ml를 채운다. 이어서 1시간 동안 sonication한 후 원심분리(3500rpm, 10min) 0.45㎛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분석시험용액을 만들었다.
정량 분석 실험 방법은 HPLC를 이용하여 각 시험 샘플 용액 20㎕를 아래와 같은 조작조건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작 조건
칼럼(Column): Zorbax Eclipse, XDB-C18, 150mmㅧ4.6mm ID, 5μm
이동상(mobile phase): 0.1%초산액·아세토니트릴 혼합액 (95: 5)
유 량(Flow rate): 1.0 ml/분
검 출 기(Detector): UV 245 nm
표준액으로는 L-Ascorbic Acid (99.0% 이상, Crystalline, SIGMA) 를 사용
시험 결과인 도 3을 보면, 비타민 C 정량분석 결과 고 함량의 비타민 C 유중 분체 분산 베이스가 45℃에서 6개월 동안 안정도 98% 이상을 안정하게 유지됨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비수계 오일에 분산한 비타민 유중 비타민 C 분체 분산 베이스 및 기존의 비타민 C 비수계 조성물과의 안정도 비교 시험
기존의 안정한 비타민 C 비수계 조성물 발명에서 언급된 비수계 조성물과 본 발명의 비수계 조성물을 제조하여 비타민 C의 안정도를 비교하였다. 본 발명의 비수계 비타민 C 안정화형 조성물의 베이스와 비교 대상의 비수계 비타민 C 조성물들을 비교 대상의 조성물들이 모두가 제작 가능한 범위의 농도인 비타민 C가 10중량%가 되도록 만들었다.
즉,
① 다가 알코올에 비타민 C를 용해 분산한 비수계 조성물과
② 다가 알코올에 용해 분산 후 이를 오일 상에 분산한 유중 다가 알코올형 에멀젼을 함유한 비수계 조성물과
③ 실리콘 오일 및 폴리머에 분산한 실리콘 분산 비수계 조성물
④ 본 발명의 조성물 즉, 다가 알코올에 용해하지 않고 실리콘 오일에 분산하지 않고 극성 오일에 분산한 조성물의 유중 비타민 C 분체 분산물 베이스를 만들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 비타민 C (L-아스코르빈산) 10중량%가 되도록 에스테르 오일과 글리세라이드오일에 분산한 비수계 유중 비타민 C 분체 분산물 베이스
비교예 1 비타민 C (L-아스코르빈산) 10중량%를 실리콘에 분산한 비수계 베이스
비교예 2 비타민 C (L-아스코르빈산) 10중량%를 다가 알코올에 용해 분산 후 유화한 유중 다가 알코올형 에멀젼 비수계 조성물
비교예 3 비타민 C (L-아스코르빈산) 10중량%를 다가 알코올에 용해 분산한 비수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의 비타민 C (L-아스코르빈산)파우더는 에어제트밀(HKJ-100, 한국분체기계)을 사용하여 분쇄함으로써 중앙값 입자 사이즈 10μm 미만의 크기를 갖는 미립자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비타민 C (L-아스코르빈산) 10중량%를 오일에 분산한 비수계 베이스는 하기 표 4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 성 중량 %
1.엘-아스코르빈산 L-Ascorbic acid: sorbitan olivate (99:1) 혼합분체
10.1
2.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Cethyl Ethyl hexanoate
20
3.에칠헥실팔미테이트 Ethyl Hexyl palmitate
20
4.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 Ethyl Hexyl stearate
5
5.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오일 Hydrogenated Olive oil
5
6.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TO 100
합 계 100.0
원료 2~6을 80~90℃로 가온한 후 1을 서서히 투입하여 분산시켜 비타민 C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엘-아스코르빈산 파우더를 2~6으로 구성된 에스테르계 오일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에 서서히 투입하여 반죽믹서(스테인리스 수평믹서 반죽혼합기 (300L), 굿프라이스)로 혼합하여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타민 C (L-아스코르빈산) 10중량%를 실리콘 오일에 분산한 비수계 베이스를 아래 표 5와 같이 제조하였다.
No.
성 분 명
중량%
1
사이클로메치콘 Cyclomethicone
TO.100.0
2
폴리실리콘-11 polysilicone-11
20.0
3
디메치콘 Dimethicone
30.0
4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2.5
5
엘-아스코르빈산(비타민 C)
10.0
합계
100.0
원료 1~4 를 60~70℃ 가온 혼합한 후 비타민 C을 천천히 투입하여 교반한다. 비타민 C 입자가 손에 만져질 때 덩어리가 만져지지 않고 균질하게 발릴 수 있을 때까지 충분히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타민 C (L-아스코르빈산) 10중량%를 다가 알코올에 용해 분 산후 유화한 유중 다가 알코올형 에멀젼 비수계 조성물을 아래 표 6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part 성분명
중량%
A1
A
프로판디올 15.0
A2
1,3 부틸렌글리콜
30.0
A3
L-아스코르빈산(비타민 C)
10.0
B4
B BHT
0.02
B5
BHA
0.01
B6
비즈왁스
3.0
B7
캐스터왁스
2.0
B8
세틸디메티콘코폴리올
3.0
B9
라우릴메치콘코폴리올
1.0
B10
초산토코페롤
0.3
B11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3.0
B12
칼슘스테아레이트Ca-stearate
1.0
B13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B14
헥실라우레이트
To 100.0
B15
덱스트린팔미테이트
3.0
B16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5
B17
싸이클로메치콘
2.0
상기의 Part A 원료 1~2를 평량하여 50℃까지 가온하여 원료 3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용해를 확인하여 준비하고, 상기 Part B 원료 4 ~ 17을 평량하여 75~80℃로 가열 용해시킨 후 상기 Part A원료 혼합물을 Part B에 첨가하면서 유화형 혼합기 (호모게나이저 homogenizer)를 이용하여 혼합 유화시킨다. 10분간 유화한 후 유화상태를 확인하고 유화물을 30℃까지 패들 믹서로 서서히 저어주면서 냉각한 후 실온에 보관한다.
비교예 3 비타민 C (L-아스코르빈산) 10중량%를 다가 알코올에 용해분산 한 비수계 조성물을 하기 표 7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성분명 중량%
1 엘-아스코르빈산(비타민 C) 10.0
2 1,3-부틸렌글리콜 30.0
3 1,3-프로판디올 41.5
4 디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2.5
5 글리세린 16.0
합계 100.0
원료 2~5를 50℃까지 가온한 후 원료 1의 순수 비타민 C를 천천히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용해한 후 용해가 확인되면 30℃까지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의 조성물을 10ml PE(폴리에틸렌)재질의 투명 샘플 병에 5g씩을 담은 샘플을 각각 18개씩[6ⅹ3] 준비하여 45℃ 인큐베이터에서 보관하면서 1개월에 3개의 샘플을 꺼내서 비타민 C의 함량의 변화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6개월간 분석 실험하였다.
분석시험은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의 각 시료 1그람을 10ml volumetric flask에 넣고 5% Metaphosphoric acid를 넣어 10ml를 채운 다음 1시간 동안 sonication한 후 원심분리(3500rpm, 10min) 0.45um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분석시험용액을 만들었다.
정량 분석 실험 방법은 실험예 1과와 같은 방법으로 HPLC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도 4에 나타냈으며, 유수제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시험하여 도 5에 나타냈다.
도 4 및 도 5를 보면 수용액 형태의 유수제형의 비타민 C 조성물은 50℃ 정도에서는 3개월이 안되어 절반 정도가 산화되어 50% 미만의 잔존율을 보이는 것에 비하여 무수제형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안정도를 보여서 6개월이 지나도 80% 이상의 안정도를 보여 기존 발명의 비타민 C 안정도에 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2와 비교예 3의 경우는 폴리올(다가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는 물을 사용하는 것보다 우수하지만, 한계를 갖고 있었다. 이는 폴리올이 수분과 잘 섞일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어서 공기와 접촉하는 경계면을 통해서 꾸준히 수분이 폴리올(다가 알코올)에 들어올 수 가능성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어 폴리올을 사용하는 조성물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별도의 기술이 더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그에 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실시예 2와 비교예 1의 조성물은 6개월간의 고온(45℃)에서도 아주 높은 안정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은 실리콘 오일을 이용하고 있어 화장품으로 사용이 제한될 수 밖에 없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비교를 통해서 비타민 C의 함량이 더 많을수록 장기간의 고온안정도는 더 좋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에 4: 비수계 오일 분산 비타민 C 베이스를 포함하는 다중구조의 비타민 C 안정화 제형과 안정도 비교 시험
상기 시험을 통해서 확인된 실시예 2 오일 분산한 비타민 C 비수계 조성물 베이스 및 비교 대상의 비수계 조성물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을 본 발명에 따른 오일왁스형 비수계다중구조의 조성물에 포함시켜 6개월간 45℃의 인큐베이터에서 보관하면서 비타민 C 역가의 변화를 통해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2 비타민 C 오일 분산형 비수계 베이스, 비교예 1 실리콘분산형 비수계 베이스, 비교예 2 유중 다가 알코올형 에멀젼을 함유한 비타민 C 비수계 조성물 베이스의 3가지를 본 발명의 코어부를 형성하는 1차 오일겔형 비수계 조성물에 분산하여 다중구조중 내부의 1차 구조물 조성물을 만들었다(실시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다중구조의 외부를 형성하는 쉘부 2차 오일왁스형 비수계 조성물을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비교예 3의 조성물은 오일왁스형 비수계 조성물에 포함시켜 비교가 가능한 제형으로 만드는 것이 어려워 제외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실시예 3의 코어부 조성물을 실시예 4의 쉘부조성물로 감싸는 제형의 제품을 스틱제형 몰드성형기를 이용하여 그림과 같이 만들었다. 이때 쉘부 조성물은 육안으로 확실하게 구분을 위하여 색소를 포함시켰다.
이렇게 완성된 다중구조의 조성물 제품을 45℃ 고온에서 6개월간 보관하면서 비타민 C의 함량을 실험예의 방법으로 정량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실시예2 및 비교예 1, 2를 아래의 실시예 3 및 비교예 4, 5와 같이 다음의 성분과 함량으로 코어부의 비수계 오일 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No.
구성
실시예3
비교예4
비교예5
함량(중량%)
1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TO 100
TO 100
TO 100
2
헥실라우레이트
13
13
13
3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12
12
12
4
트리에칠헥사노인
11
11
11
5
오조케라이트
10
10
10
6
세레신
5
5
5
7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4
4
4
8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 레이트 / 헥사스테아레이트 / 헥사로지네이트
3
3
3
9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3
3
3
10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3
3
3
11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2
2
2
1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1
1
1
13
폴리에칠렌
0.8
0.8
0.8
14
칸데릴라
0.8
0.8
0.8

15
실시예2(비타민 C 극성오일분산형 10%베이스)
20
-
-
비교예1(비타민 C 실리콘분산형10%베이스)
-
20
-
비교예2(비타민 C 유중다가 알코올형 유화10%베이스)
-
-
20
16
에칠헥실글리세린
0.2
0.2
0.2
17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1
0.1
0.1
18
BHT
0.02
0.02
0.02
실시예 3 및 비교예 4, 5의 비타민 C베이스를 함유한 오일 및 왁스, 글루타마이드복합 복합 겔화제로 이루어진 비수계 코어부 조성물 제조는 원료 1~14를 혼합하여 80~90℃ 가온 용해 후 원료 15를 천천히 투입하여 5분간 분산하고 이어서 원료 16~18을 넣고 2분간 분산한 다음 탈포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4, 5에 사용된 글루타마이드 복합 겔화제는 오일 성형 안정화제로 통상 사용되며,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로릴글루타마이드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글루타마이드 복합 겔화제는 알코올 성분 및 글루타마이드 성분이 혼합 것으로, 일반적으로 헥실데카놀, 옥틸도데카놀 같은 극성오일에 80℃ 정도에서 용해되며, 유중 비타민 C 파우더 분체를 겔 네트워크에 잘 보존케하여 비타민 C의 안정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 2로 만들어진 조성물을 실시예 3 및 비교예 4, 5 형태로 코어부의 조성물에 포함시킨 다음 아래의 쉘부 조성물로 동일하게 감싸게 하였다. 즉 실시예 3 및 비교예 4, 5의 외부 바깥 쉘부 조성물을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이때 쉘부의 2차 왁스형 조성물은 1차 오일겔형 조성물과의 확실한 육안 구분을 위하여 색을 넣어서 제조하였다.
NO
성분명
함량(중량%)
1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To 100.0
2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25.0
3
오조케라이트
10.0
4
세레신
10.0
5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6.0
6
폴리에칠렌
6.0
7
에칠헥실글리세린
0.2
8
비타민E 아세테이트
0.5
9
적색201호
q.s
10
황색5호
q.s
11
향료
q.s
구체적으로 제조는 원료 1~7을 넣고 80~90℃ 가온 용해 후 원료 8을 넣고 혼합한 후 원료 9~10 를 적당량 넣어 코어부와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한 후 탈포 후 향을 첨가하여 완료하였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4, 5의 조성물과 쉘부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어 주형을 갖는 성형몰드를 이용하여 충전하여 시제품을 완성하였다.
먼저, 코어 주형이 포함된 성형몰드에 쉘부 조성물을 충전하여 쉘부를 성형하고 난 후 코어주형을 제거하고 빈 코어부에 실시예 3 및 비교예3, 4의 코어부 조성물을 충전하여 성형하여 다중구조층을 갖는 고체형 왁스 제형을 제조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한 몰드는 코어부가 차지하는 중량이 전체의 30%를 차지하는 것이다. 즉 코어부는 1.0g 쉘부는 2.3g 짜리 몰드로 시험하였다.
상술한 실시예 3, 비교예 4 및 비교예 5로하여 고온보관조건에서 비타민 C의 함량 변화를 통한 안정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샘플들을 6개월간 45℃에서 보관하면서 시험시점에서 꺼내서 HPLC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순수 비타민 C 함량을 측정하였다.
45℃ 인큐베이터에 보관중인 시험품 샘플들을 시험 시작 시점과 6개월동안 4주,8주, 12주, 16주, 20주, 24주차 경과한 시점에서, 시험품의 쉘부를 칼 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코어부의 0.1g을 샘플링하여 이를 파쇄하고 정제수 9.9g과 혼합하여 7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비타민 C가 충분히 용해되게 한 다음 이를 HPLC 분석 시험에 적용하였다. 시험 값은 3개의 샘플 측정값을 평균하였다.
정량실험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냈으며, 도 6을 보면 실시예 3으로 실현된 조성물이 실시예 2의 조성물보다 비타민 C안정도가 거의 완벽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5의 경우 기존에 산화보호막 조성물을 입히기 전 비교예 2의 경우보다 같은 기간동안 더 안정하게 비타민 C를 보존하는 것으로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통해서 공기와의 접촉을 완벽하게 차단하여서 더 안정적으로 비타민 C의 조성물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다중구조의 왁스형 비수계 조성물은 초기의 비타민 C의 안정도를 오랫동안 잘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 조성물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의 발명품을 45℃에서 보관하면서 외관구조의 변화, 색상의 변화, 경도의 변화 등의 화장품적 품질관리기준들을 동시에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10 및 도 7에 나타냈다.
보관조건
테스트항목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45℃
외관
변화없슴
변화없슴
변화없슴
변화없슴
변화없슴
변화없슴
향취
0
0
0
+
+
+
색상
0
0
0
0
0
0
경도(gf)
105
103
104
106
102
103
변화정도: 0(변화없음) +(약한 변화) ++(변화 있음) +++(변화 많음)
경도측정: 레오미터(선사이언티픽 SD 700 일본)
상기 표 10 및 도 6을 보면, 본 발명의 비타민 C 베이스 함유 다중구조 립스틱의 45℃ 4개월간의 가혹 테스트 결과는 시료샘플의 향취가 다소 약해진 것 외에는 매우 안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에 5: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 비타민 C 베이스의 유용성 시험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비타민 C를 함유하는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 비타민 C 베이스를 아래와 같이 표 11과 같은 조성으로 코어부를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조군으로 순수 비타민 C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그 결과를 도 8과 도 9에 나타냈다.
No.
구성
실시예5
대조군
함량(중량%)
1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TO 100
TO 100
2
헥실라우레이트
13
13
3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12
12
4
트리에칠헥사노인
11
11
5
오조케라이트
10
10
6
세레신
5
5
7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4
4
8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 레이트 / 헥사스테아레이트 / 헥사로지네이트
3
3
9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3
3
10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3
3
11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2
2
1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1
1
13
폴리에칠렌
0.8
0.8
14
칸데릴라
0.8
0.8

15
실시예1(비타민 C 극성오일분산형 65%베이스)
20
-
대조군(실시예1과 동일 중량의 순수 비타민 C)
-
13
16
에칠헥실글리세린
0.2
0.2
17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1
0.1
18
BHT
0.02
0.02
도 8에서 보는 같이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매에 분산시켜 즉 비타민C를 극성 오일로 코팅을 한 다음에 코어부를 제조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제조가 가능하나 대조군인 도 9를 보면 제형이 불안정하여 일부가 변색이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으 도 8 내지 도 9의 결과를 통하여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 비타민 C 베이스의 유용성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따른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 물 및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비수계 극성 오일 분산매에 고 함량의 비타민 C를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제조한 분산물 베이스를 이용하여 오일겔화층을 만들어 코어부로 하여 이를 비수계 쉘부로 감싸는 다중구조로 하여 비타민 C가 함유된 코어부로의 산소와 수분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효과를 강화시켜 비타민 C의 안정도 현저하게 향상시켰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외곽의 셀부에 비타민 C를 함유하지 않아 비타민 C 산화로 인한 제형의 변색, 변취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11)

  1. 비타민 C와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혼합 분체가 비수계 오일 분산매에 분산된 분산물을 오일(실리콘 오일 제외), 왁스 및 글라타마이드 복합겔화제을 혼합하여 코어부로 하고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는 오일(실리콘 오일 제외) 및 왁스로 이루어진 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체를 이루어진 비타민 C: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의 중량비는 90:10 내지 99.9: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계 오일 분산매는 에스테르계 오일 및 천연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에틸헥실팔미테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이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헥사노에이트, 세틸이소 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 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 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 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 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트리에틸헥사노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오일은 카놀라유, 사과씨오일, 아보카도 오일, 밀배아 오일, 로즈힙 오일, 쉐어버터,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아르간 오 일, 메도우폼 오일, 썬플라워 오일, 피마자유, 동백 오일, 옥수수오일, 잇꽃 오일, 대두 오일, 유채꽃 오일, 마카나디아넛츠 오일, 호호바 오일, 팜 오일, 팜핵 오일 및 코코넛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천연 유래 왁스, 직쇄 및 측쇄 알킬 지방산 왁스 및 탄화수소계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와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혼합 분체가 비수계 오일 분산매에 분산된 분산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비타민 C가 30 내지 7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와 쉘부의 중량비는 10:1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9. 제 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체가 비수계 오일 분산매에 분산된 분산물이 오일 점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KR1020210004298A 2021-01-12 2021-01-12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KR10253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98A KR102532326B1 (ko) 2021-01-12 2021-01-12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98A KR102532326B1 (ko) 2021-01-12 2021-01-12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72A KR20220102072A (ko) 2022-07-19
KR102532326B1 true KR102532326B1 (ko) 2023-05-15

Family

ID=8260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298A KR102532326B1 (ko) 2021-01-12 2021-01-12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3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2404B2 (ja) * 1991-06-20 2001-12-25 カラマズー ホ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ミクロンオーダーのアスコルビン酸粒子の懸濁液および抗酸化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KR101727027B1 (ko) * 2016-08-09 2017-04-17 주식회사 코스온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2404B2 (ja) * 1991-06-20 2001-12-25 カラマズー ホ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ミクロンオーダーのアスコルビン酸粒子の懸濁液および抗酸化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KR101727027B1 (ko) * 2016-08-09 2017-04-17 주식회사 코스온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72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853B2 (ja) 安定化された油中グリセリン型エマルション
US20160158134A1 (en) Stable Vitamin C System
EP3185845B1 (en) Non-greasy personal care compositions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2328540B1 (en) Emulsion-type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volatile linear alkane
CN115867252A (zh) 基于视黄醇的组合物
KR20180120774A (ko)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20200056210A (ko)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2063524B1 (ko) 칸나비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687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폴리다틴을 함유한 베이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8724A (ko) 수용성 결정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1269B1 (ko) 고온 안정성과 사용감이 향상된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32326B1 (ko)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JP2011026231A (ja) 棒状組成物及び棒状製品
KR102233930B1 (ko) 안정화된 아스코빅애씨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4547B1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2345404A1 (en) Pencil-shaped cosmetic and cosmetic product
EP3636244A1 (en) Oil-in-water type emulsion cosmetic
EP3626229A1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S61109708A (ja) 化粧料
CN115768400A (zh) 基于视黄醇的组合物
KR20150126897A (ko) 유화 친수성 겔화제를 포함하는 유액 형태의 색상 변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