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949B1 - 영상 보정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보정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949B1
KR102521949B1 KR1020180103992A KR20180103992A KR102521949B1 KR 102521949 B1 KR102521949 B1 KR 102521949B1 KR 1020180103992 A KR1020180103992 A KR 1020180103992A KR 20180103992 A KR20180103992 A KR 20180103992A KR 102521949 B1 KR102521949 B1 KR 10252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hift direction
preliminary
imag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424A (ko
Inventor
이준규
전병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949B1/ko
Priority to JP2019059797A priority patent/JP7286367B2/ja
Priority to US16/523,775 priority patent/US10923009B2/en
Priority to EP19194765.4A priority patent/EP3618042A1/en
Priority to CN201910813821.XA priority patent/CN110875006B/zh
Publication of KR2020002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영상 보정부는 제1 시프트 시나리오(scenario)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주기로 영상에 포함되는 고정 영상의 제1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고, 제2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주기로 고정 영상의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는 시프트 경로 업데이트부,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각각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보정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제1 시프트 제어부,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2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제2 시프트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보정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IMAGE COMPENSATOR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장치,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 플라즈마(plasma)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표시 장치는 구동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픽셀이 열화되어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휘도로 표시되는 로고나 자막 등의 고정 영상은 표시 화면의 특정 영역에서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되므로 특정 픽셀의 열화가 가속되어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 상에 일정 주기로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1 영상 시프트 및 제2 영상 시프트를 영상에 동시에 적용하면서 영상 시프트 방향 및 영상 시프트량을 제어하는 영상 보정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영상 시프트 및 제2 영상 시프트를 영상에 동시에 적용하면서 영상 시프트 방향 및 영상 시프트량을 제어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보정부는 제1 시프트 시나리오(scenario)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주기로 영상에 포함되는 고정 영상의 제1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고, 제2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주기로 상기 고정 영상의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는 시프트 경로 업데이트부;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각각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보정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제1 시프트 제어부; 및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2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제2 시프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시프트 방향 결정부는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반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아닌 경우, 상기 시프트 방향 결정부는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각각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이 동일한 경우, 상기 고정 영상의 시프트량이 상기 영상의 다른 부분의 시프트량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시프트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메인 영역을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시프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시프트 제어부는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에 대응하여 업스케일링(upscaling) 영역과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시프트 제어부는 상기 고정 영상을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시프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시프트 제어부는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 영상을 둘러싸는 기 설정된 주변 영역에 업스케일링 영역과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이 동일한 경우, 상기 고정 영상의 시프트량이 상기 메인 영역의 시프트량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이 동일한 경우, 상기 고정 영상의 시프트량이 상기 메인 영역의 시프트량의 2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시프트 제어부는 영상 전체를 표시 패널의 화면보다 작게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하여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시프트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전체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시프트하면서,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다운스케일링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블랙 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프트 방향 결정부는 각각의 시프트 방향들에 대해 설정된 원본 영상으로부터의 한계 시프트량과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의 벡터 합에 의해 결정되는 예비 시프트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 및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반전시키는 시프트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예비 시프트량이 상기 한계 시프트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프트량 제어부는 상기 한계 시프트량의 시프트 방향과 동일한 예비 시프트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프트 방향 결정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에 포함되는 윤곽선들(contour line)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들의 가로 합과 세로 합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가로 합과 상기 세로 합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조정하는 제1 조정부; 및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시프트 방향을 비교하고,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에 상기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반전시키는 제2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로 합이 상기 세로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로 합이 상기 가로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프트 방향 결정부는 각각의 시프트 방향에 대해 설정된 한계 시프트량과 상기 제2 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예비 시프트 방향들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예비 시프트량을 비교하여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 및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반전시키는 시프트량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보정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 영상을 검출하는 고정 영상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 영상 검출부는 상기 고정 영상 검출을 위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시프트 시나리오(scenario)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주기로 영상에 포함되는 고정 영상의 제1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고, 제2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주기로 상기 고정 영상의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반전시켜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2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각각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윤곽선들의 가로 합과 세로 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가로 합과 상기 세로 합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로 합이 상기 세로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을 세로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세로 합이 상기 가로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을 가로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재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동일한 경우,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각각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반대인 경우,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반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재조정된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의 벡터 합으로부터 결정되는 예비 시프트량과 기 설정된 한계 시프트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예비 시프트량이 상기 한계 시프트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조정된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 중 하나를 반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예비 시프트량이 상기 한계 시프트량 이하인 경우, 상기 재조정된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을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및 제2 영상 시프트 방식들이 적용되는 영상의 적어도 일부분의 시프트 방향이 상충되는 경우에, 하나의 예비 시프트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영상의 시프트량이 보강 및/또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소의 열화 분산량이 증가되며, 특히, 고정 영상의 열화 분산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상 저감을 위한 영상 시프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한계 시프트량의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 시프트 시나리오들에 의한 상대적인 시프트 방향 관계와 윤곽선의 분포를 모두 고려하여 시프트 방향의 업데이트 시점마다 적응적으로 시프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시프트의 효과 및 이로 인한 열화 및 잔상 개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보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제1 시프트 제어부 및 제2 시프트 제어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제1 시프트 제어부 및 제2 시프트 제어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동작의 일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동작의 일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a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 및 도 7c는 도 7a의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 및 도 8d는 도 8b의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동작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영상 보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타이밍 제어부(10), 표시패널(20), 스캔 구동부(30), 데이터 구동부(40), 발광 구동부(50), 및 영상 보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부(1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은 타이밍 제어부(10)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40)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영상 보정부(100)는 별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표시 장치(1)는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퀀텀닷 표시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은 복수의 픽셀들(P)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을 통해 스캔 구동부(30)에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발광 제어 라인들(EL1 내지 ELn)을 통해 발광 구동부(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을 통해 데이터 구동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표시 패널(20)은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에 각각에 연결된 m개(m은 양의 정수) 픽셀 열들 및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과 발광 제어 라인들(EL1 내지 ELn) 각각에 연결된 n개(n은 양의 정수)의 픽셀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입력 영상 데이터(IDATA) 또는 영상 보정부(100) 의해 보상 영상 데이터(CDATA)에 기초하여 시프트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실질적인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메인 영상과 고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고정 영상은 고휘도(고계조)로 일정 시간 이상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영상은 방송사 로고 등의 로고 영상, 자막, 날짜,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이 내비게이션 영상 또는 GPS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고정 영상은 표시 패널(20)의 중앙 쪽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영상일 수 있다.
스캔 구동부(30)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을 통해 표시부(20)에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 각각은 표시 패널(20)의 각각의 픽셀 행에 위치하는 픽셀들(P)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40)는 스캔 신호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을 통해 표시 패널(20)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40)는 보상 영상 데이터(CDATA)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표시 패널(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들 각각은 표시 패널(20)의 각각의 픽셀 열에 위치하는 픽셀들(P)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구동부(50)는 복수의 발광 제어 라인들(EL1 내지 ELn)을 통해 표시 패널(20)에 발광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제어 라인들(EL1 내지 ELn) 각각은 표시 패널(20)의 각각의 화소 행에 위치하는 화소들(P)에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0)는 복수의 제어 신호들(SCS, DCS, ECS)을 생성하여 스캔 구동부(30) 및 데이터 구동부(40)에 제공하고, 스캔 구동부(30), 데이터 구동부(40), 및 발광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0)는 외부의 그래픽 기기와 같은 화상 소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 및 입력 영상 데이터(IDATA)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는 메인 클럭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0)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0)의 동작 조건에 맞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0)는 스캔 구동부(3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SCS), 데이터 구동부(4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DCS), 및 발광 구동부(5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ECS)를 생성하여 각각 스캔 구동부(30), 데이터 구동부(40), 및 발광 구동부(5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부(100)는 타이밍 제어부(1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부(100)는 타이밍 제어부(10)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오랜 시간 동안 동일한 픽셀(P)을 통해 표시되는 로고 등의 고정 영상에 의한 잔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 패널(20) 상에서 영상이 시프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0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입력 영상 데이터(IDATA) 및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00)는 고정 영상의 시프트 효과를 극대화하고, 고정 영상의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영상 시프트 방식들(제1 영상 시프트 및 제2 영상 시프트)을 조합하여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부(100)는 제1 시프트 시나리오(scenario)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주기로 영상에 포함되는 고정 영상의 제1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고, 제2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주기로 고정 영상의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는 시프트 경로 업데이트부,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각각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보정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제1 시프트 제어부,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2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제2 시프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보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보정부(100)는 시프트 경로 업데이트부(120),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 제1 시프트 제어부(160), 및 제2 시프트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와 프레임 카운트(FRC)를 이용하여 보정 영상 데이터(C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 영상 데이터(CDATA)는 제1 시프트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시프트 데이터와 제2 시프트 제어부(18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시프트 데이터의 조합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시프트 제어부(160)에 의한 영상 시프트 데이터와 제2 시프트 제어부(180)에 의한 영상 시프트 데이터의 벡터 합으로 보정 영상 데이터(CDATA)가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정 영상 데이터(CDATA)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의한 원본 영상을 소정의 방향으로 시프트(이동)시키는 시프트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시프트 경로 업데이트부(120)는 제1 시프트 시나리오(SS1)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주기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은 표시 패널(20)에 표시되는 전체 영상에 적용될 수도 있고, 일부 영상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프트 시나리오(SS1)는 제1 시프트 제어부(160)의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시프트 방향은 표시 패널(20)에서 X축 방향(가로 방향) 또는 Y축 방향(세로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비 시프트 방향에 의한 영상의 이동은 X축과 Y축에 대한 대각선 방향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은 고정 영상의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고정 영상은 방송사, 브랜드 등의 로고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정 영상은 표시 화면의 특정 영역에 고휘도로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모든 영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프트 경로 업데이트부(120)는 제2 시프트 시나리오(SS2)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주기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은 표시 패널(20)에 표시되는 전체 영상에 적용될 수도 있고, 일부 영상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은 고정 영상의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시프트 시나리오(SS2)는 제2 시프트 제어부(180)의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시프트 시나리오들(SS1, SS2)은 소정의 메모리 등에 저장되거나, 저장된 룩업 테이블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시프트 시나리오들(SS1, SS2)은 프레임 카운드(FRC)에 응답하여 시프트 방향을 결정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프레임 카운트(FRC)는 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포함하며, 이는 영상 표시 시간에 대응할 수 있다. 초기의 시프트 방향 및 시프트량은 제1 및 제2 시프트 시나리오들(SS1, SS2)에 의한 시프트량 및 시프트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주기와 제2 주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시프트 시나리오들(SS1, SS2)은 동일한 주기로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PSD1, PSD2)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PSD1, PSD2)은 약 4초 간격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주기와 제2 주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주기가 제2 주기보다 길수도 있고, 제2 주기가 제1 주기보다 길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기가 제1 주기의 1/2, 1/3, 또는 1/4일 수 있다. 또는 제1 주기와 제2 주기는 서로소 관계일 수도 있다.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각각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 중 하나를 반전시킬 수 있다. 즉,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 중 하나가 정반대 방향으로 보정될 수 있다.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이 반전되는 경우, 반전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이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으로 결정되고,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각각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이 동일한 경우, 고정 영상의 시프트량이 다른 부분의 영상의 시프트량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영상의 시프트량이 다른 부분의 영상의 시프트량의 2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시프트 효과 및 고정 영상에 의한 열화 및 잔상 개선 효과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영상 시프트 및 잔상 개선의 극대화를 위해 두 가지 방식의 시프트 알고리즘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대한 제1 영상 시프트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제1 영상 시프트 동작을 이용하여 제1 보상 영상 데이터(CDATA1)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보상 영상 데이터(CDATA1)는 전체 영상 또는 영상의 소정 영역의 시프트량 정보 및 시프트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대한 제2 영상 시프트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제2 영상 시프트 동작을 이용하여 제2 보상 영상 데이터(CDATA2)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보상 영상 데이터(CDATA2)는 전체 영상 또는 영상의 소정 영역의 시프트량 정보 및 시프트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상 영상 데이터(CDATA1)와 제2 보상 영상 데이터(CDATA2)의 조합에 의해 해당 프레임의 보상 영상 데이터(CDATA)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영상 전체를 표시 패널의 화면보다 작게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할 수 있다.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축소된 영상을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으로 시프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상 영상 데이터(CDATA1)는 타겟 시프트 방향(TSD1)에 의한 시프트된 영상 데이터 및 다운스케일링된 일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바운더리 시프트(boundary shift)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영상 전체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으로 시프트하면서, 표시 패널(20)의 화면을 벗어나는 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다운스케일링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블랙 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인터널 시프트(internal shift)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영상의 메인 영역 또는 영상 전체를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으로 시프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에 대응하여 업스케일링 영역과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글로벌 시프트(global shift)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고정 영상을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으로 시프트할 수 있다. 즉,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고정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의 일부 영역만의 시프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로컬 시프트(local shift)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시프트 제어부(160)와 제2 시프트 제어부(180)의 구동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 각각에서 산출된 보상 영상 데이터들(CDATA1, CDATA2)이 조합됨으로써 표시 패널(20)에 최종적으로 시프트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화소들에 대한 보상 영상 데이터들(CDATA1, CDATA2)의 벡터 합에 의해 영상이 시프트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제1 시프트 제어부 및 제2 시프트 제어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시프트 제어부(160) 및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각각 제1 시프트 시나리오(SS1) 및 제2 시프트 시나리오(SS2)에 따라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IM)은 로고 등을 포함하는 고정 영상(FI)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고정 영상(FI)이 영상(IM)의 우측 상단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 영상(FI)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화면의 경우, 사용자의 현위치 영상이 고정 영상(FI)으로 분석될 수 있고, 고정 영상(FI)은 영상(IM)의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고정 영상(FI)을 포함하는 메인 영상(MI)을 제1 시프트 시나리오(SS1)에 따라 시프트할 수 있다. 메인 영상(MI)은 제1 주기마다 X축 방향(X) 또는 Y축 방향(Y)으로 1픽셀씩 이동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상(MI)은 나선형 경로로 시프트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다만,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에 의해 제1 시프트 시나리오(SS1)가 보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에 따라 메인 영상(MI)을 시프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에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영상(IM)의 가장자리 영역들에 상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를 업스케일링 또는 다운스케일링하여 영상 시프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업스케일링 영역에는 영상이 확대되고, 다운스케일링 영역에서는 영상이 축소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메인 영상(MI)은 영상 데이터가 업스케일링되는 업스케일링 영역으로부터 다운스케일링 영역의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영상(MI)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좌측 스케일링 영역(HSA1)에서 업스케일링이 수행되고 우측 스케일링 영역(HSA2)에서 다운스케일링이 수행될 수 있다. 메인 영상(MI)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측 스케일링 영역(VSA1)에서 업스케일링이 수행되고 하측 스케일링 영역(VSA2)에서 다운스케일링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제1 시프트 제어부(1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영상 시프트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고정 영상(FI)을 포함하는 국소적인 부분에 대하여 영상 스케일링 및 시프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고정 영상(FI) 주변의 기 설정된 주변 영역(FBA)에 대하여 업스케일링 영역과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함으로써 고정 영상(FI)을 시프트할 수 있다. 즉, 주변 영역(FBA)의 스케일링 영역들(HLSA1, HLSA2, VLSA1, VLSA2)에 포함되는 영상 데이터의 스케일링을 통해 고정 영상(FI)이 시프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은 각각 영상 데이터 스케일링을 이용한 글로벌 시프트 제어 방식 및 로컬 시프트 제어 방식으로 영상 시프트를 수행할 수 있다.
고정 영상(FI)에는 제1 시프트 제어부(160)와 제2 시프트 제어부(180)에 의한 시프트 효과가 중복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제1 시프트 제어부 및 제2 시프트 제어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시프트 제어부(160) 및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각각 제1 시프트 시나리오(SS1) 및 제2 시프트 시나리오(SS2)에 따라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영상(MI) 전체를 표시 패널(20)의 화면보다 작게 다운스케일링(DS)하여 다운스케일링된 영상(DIM)을 시프트할 수 있다. 다운스케일링된 영상(DIM)은 제1 시프트 시나리오(SS1)에 따라 시프트될 수 있다. 다만,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에 의해 제1 시프트 시나리오(SS1)가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으로 수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운스케일링된 영상(DIM)은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에 따라 시프트될 수 있다.
다운스케일링된 영상(DIM)에 의해 영상(IM)의 외곽에 블랙 영상이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시인성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제2 시프트 제어부(180)가 영상 보정 및 시프트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영상(IM) 전체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1)으로 시프트하면서, 화면을 벗어나는 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다운스케일링(DS)하고, 블랙 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업스케일링(US)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일링 및 시프팅에 의해 영상이 잘려나가는 부분과 영상이 소실되어 블랙 영상이 표시되는 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영상(IM)은 영상 데이터가 업스케일링되는 업스케일링 영역으로부터 다운스케일링 영역의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의한 시프트 방식으로는 영상(IM)의 중앙 부분에서 제1 시프트 제어부(160)와 제2 시프트 제어부(180)에 의한 시프트 효과가 중복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의 시프트 방식은 내비게이션 화면 등과 같이 영상(IM)의 중앙에 고정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영상(FI)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의 동작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 영상(FI)이 영상(IM)의 외곽 쪽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은 도 3a 및 도 3b의 시프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반면에, 고정 영상(FI)이 영상(IM)의 중앙 쪽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은 도 4a 및 도 4b의 시프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부(1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를 분석하여 고정 영상(FI)을 검출하는 고정 영상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영상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의 동작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내용은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이 각각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에 대응하여 영상을 시프트하는 방식의 일 예들을 설명하는 것일 뿐,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 또는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동작의 일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도 2,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각각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으로 보정할 수 있다.
시프트 경로 업데이트부(120)는 제1 주기에 대응하여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을 출력하고, 제2 주기에 대응하여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 시점에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반대인 경우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점(T1)에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의 반대 방향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5b는 제1 시프트 시나리오(SS1)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 제2 시프트 시나리오(SS2)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 및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의 동작 없이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1, PSD2)에 따라 메인 영상(MI) 및 고정 영상(FI)이 각각 시프트되는 일 예를 보여준다.
도 5b 이하에서, (1, 0)은 원본 영상이 x축 방향(X)으로 1픽셀만큼 이동(즉, 오른쪽으로 1픽셀 이동)된 위치를 의미하고, (-1, 0)은 원본 영상이 x축 방향(X)으로 -1픽셀만큼 이동(즉, 왼쪽으로 1픽셀 이동)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0, 1)은 원본 영상이 y축 방향(Y)으로 1픽셀만큼 이동(즉, 위쪽으로 1픽셀 이동)된 위치를 의미하고, (0, -1)은 원본 영상이 y축 방향(Y)으로 -1픽셀만큼 이동(즉, 아래쪽으로 1픽셀 이동)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영상(MI)은 제1 시프트 제어부(160)(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 또는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의 영향만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도 5b에서, 메인 영상(MI)은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에 따라 시프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영상(FI)은 제1 시프트 제어부(160)(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 또는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와 제2 시프트 제어부(180)(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 또는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 모두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영상(FI)은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의 결합에 의해 시프트될 수 있다.
이하,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글로벌 시프트 방식으로 동작하고,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로컬 시프트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은 공지된 어떤 방식으로 동작해도 무방하다.
제1 시점(T1)에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은 (1, 0)이고,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은 (-1, 0)이다. 이에 따라, 고정 영상(FI)의 시프트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 즉, 제1 시점(T1)에서는 고정 영상(FI)이 시프트되지 않는다. 이 후 시간에도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의 결합에 의해 고정 영상(FI)의 시프트량이 메인 영상(MI)의 시프트량보다 적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가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이 업데이트되는 시점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업데이트되는 시점에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비교할 수 있다.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서로 반대인 경우,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 중 하나를 반전시킬 수 있다.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서로 반대 방향이 아닌 경우,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각각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c 및 도 5d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에 의해 출력된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을 보여준다.
제1 시점(T1)에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서로 반대이므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반전될 수 있다. 반전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에 의해 제1 시점(T1)에서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이 (1,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아닌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이 반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시점(T1)에서 고정 영상(FI)은 x축 방향(X)으로 2픽셀 시프트될 수 있다. 고정 영상(FI)의 시프트량이 메인 영상(MI)의 시프트량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영상 시프트 방식들이 적용되는 영상의 적어도 일부분의 시프트 방향이 상충되는 경우에,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가 하나의 예비 시프트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영상의 시프트량이 보강 및/또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소의 열화 분산량이 증가되며, 특히, 고정 영상(FI)의 열화 분산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상 저감을 위한 영상 시프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의 구동 및 시프트 방향을 변화시키는 구동은 시프트 방향이 상충될 때뿐만이 아니라,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시프트 방식이 영상에 복합적으로 적용될 때 시프트량이 극대화되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동작의 일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에서는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하며, 이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 또는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이 업데이트되는 제1 주기와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업데이트되는 제2 주기가 동일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프트 시나리오(SS1)와 제2 시프트 시나리오가 정반대일 수 있다.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가 없다면, 소정의 영역(예를 들어, 고정 영상(FI))에서는 시프트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 도 6a에는 시프트 효과가 상쇄되는 영역이 고정 영상(FI)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프트 효과가 상쇄되는 영역은 전체 영상(MI) 중 제1 시프트 제어부(160)의 영상 시프트 및 제2 시프트 제어부(180)의 영상 시프트의 영향을 모두 받는 영역을 포함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서로 반대인 경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반전되어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은 변화없이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이 모두 적용되는 고정 영상(FI)의 시프트량이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만이 적용되는 메인 영상(MI)의 시프트량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영상(FI)의 시프트량이 메인 영상(MI)의 시프트량의 2배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이 모두 적용되는 영상이 고정 영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영상(IM) 전체에서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이 모두 적용되는 부분이 제1 영상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만이 적용되는 부분이 제2 영상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서로 반대인 경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이 반전되어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영상(MI) 및 고정 영상(FI)은 도 6c에 의한 시프트 방향과 반대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시프트 시나리오(SS1)와 제2 시프트 시나리오(SS2)에 의해 시프트 효과가 상쇄 또는 저감되는 경우에,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가 하나의 예비 시프트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영상의 시프트량이 보강 및/또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소의 열화 분산량이 증가되며, 특히, 고정 영상(FI)의 열화 분산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상 저감을 위한 영상 시프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7a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 및 도 7c는 도 7a의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A)는 시프트량 제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시프트량 제어부(145)는 원본 영상으로부터의 한계 시프트량(LSA)과 예비 시프트량을 비교하여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 중 적어도 하나를 반전시킬 수 있다.
한계 시프트량(LSA)은 각각의 시프트 방향들에 대해 설정된 원본 영상으로부터의 최대 시프트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계 시프트량(LSA)은 x축 방향(X)으로 +/- 10 픽셀, y축 방향(Y)으로 +/- 15 픽셀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원본 영상은 좌우로 10 픽셀, 상하로 15픽셀까지만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계 시프트량(LSA)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x축 방향(X)으로의 한계 시프트량과 y축 방향(Y)으로의 한계 시프트량이 동일할 수 있다.
예비 시프트량은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x축 방향(X)으로의 순 시프트량 및 y축 방향(Y)으로의 순 시프트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의 벡터 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예비 시프트량은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x축 방향(X)으로의 순 시프트량 및 y축 방향(Y)으로의 순 시프트량일 수 있다. 즉,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을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예비 시프트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은 최종 출력 전에 시프트량 제어부(145)에 의해 한번 더 검증 및 보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비 시프트량이 한계 시프트량(LSA)을 초과하는 경우, 시프트량 제어부(145)는 한계 시프트량(LSA)의 시프트 방향과 동일한 예비 시프트 방향을 반전(즉, PSD1', PSD2'로 표시됨)시킬 수 있다. 예비 시프트량이 한계 시프트량(LSA) 이하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PSD1, PSD2)이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로 결정되거나, 기 산출된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이 그대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PSD1, PSD2)의 업데이트에 의해 제1 영상(IM1) 및 제2 영상(IM2)은 지속적으로 우측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IM1)과 제2 영상(IM2)은 각각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IM2)은 제1 영상(IM1)의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 영상(IM1)과 제2 영상(IM2)은 서로 이격하여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제1 영상(IM1)은 제1 시프트 제어부(160)의 동작에 의해 시프트되는 영상이고, 제2 영상(IM2)은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180)의 동작에 의해 시프트되는 영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상(IM1)은 제1 주기 간격으로 우측으로 1 픽셀씩 이동하고, 제2 영상(IM2)은 제1 주기 및 제2 주기 마다 우측으로 1 픽셀씩 이동할 수 있다.
제1 시점(T1)에서, 제1 시프트 제어부(160)는 제1 영상(IM1) 및 제2 영상(IM2)을 우측으로 4픽셀 이동시키고, 제2 시프트 제어부(180)는 제2 영상(IM2)을 우측으로 3픽셀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시점(T1)에서 제2 영상(IM2)은 원본 영상으로부터 우측으로 7 픽셀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의 동시 적용에 따른 시프트 보강에 의해 제2 영상(IM2)이 과도하게 시프트될 우려가 있다. 일 방향으로의 시프트량이 과도할 경우, 영상 시프트가 사용자에게 인지되거나 영상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시프트량 제어부(145)는 한계 시프트량(LSA)을 설정하여 시프트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계 시프트량(LSA)은 상하좌우 각각 6픽셀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PSD1, PSD2)에 의하면, 제1 시점(T1)에서 제2 영상(IM2)의 시프트량이 7픽셀이 되므로, 시프트량 제어부(145)는 제1 시점(T1)에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 또는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을 반전시킬 수 있다. 즉, 제1 시점(T1)부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은 이전 시프트 방향의 좌측으로 1픽셀 이동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점(T1)에서 제2 영상(IM2)은 우측은 5픽셀 시프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프트량 제어부(145)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들(IM1, IM2)은 한계 시프트량(LSA) 내에서 주기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의 동작에 의한 과도한 시프트 및 영상 왜곡이 억제될 수 있다.
도 8a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도 2의 영상 보정부에 포함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c 및 도 8d는 도 8b의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동작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2,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B)는 영상 분석부(142), 제1 조정부(144), 및 제2 조정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42)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를 분석하여 표시 영상에 포함되는 윤곽선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곽선은 영상의 계조가 급격히 바뀌는 경계 부분들일 수 있다.
윤곽선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윤곽선 검출 필터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윤곽선은 소벨 마스크(sobel mask)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42)는 가로 방향(즉, x축 방향(X))의 윤곽선 성분들을 산출하여 윤곽선의 가로 합(HCL)을 생성하고, 세로 방향(y축 방향(Y))의 윤곽선 성분들을 산출하여 윤곽선의 세로 합(VCL)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분석부(142)는 제1 및 제2 시프트 시나리오들(SS1, SS2)에 따른 제1 주기 및 제2 주기로 해당 시점에 공급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를 분석할 수 있다.
윤곽선의 가로 합(HCL)이 세로 합(VCL)보다 큰 경우, 즉, 영상에 가로 윤곽선이 많은 경우, 가로 방향으로의 영상 시프트는 시프트 효과가 미비하다. 마찬가지로, 영상에 세로 윤곽선이 많은 경우, 세로 방향으로의 영상 시프트는 시프트 효과가 미비하다.
영상 분석부(142) 및 제1 조정부(144)는 윤곽선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PSD1, PSD2)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제1 조정부(144)는 가로 합(HCL)과 세로 합(VCL)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로 합(VCL)이 가로 합(HCL)보다 큰 경우, 제1 조정부(144)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가로 방향(즉, x축 방향(X))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1 조정부(144)는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 및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제2 조정부(144)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점(T1)에서 세로 합(VCL)이 가로 합(HCL)보다 큰 경우, 세로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을 가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에 의하면 제1 시점(T1)에 y축 방향(Y)으로 1픽셀 이동되어야 하지만, 제1 조정부(144)에 의해 제1 시점(T1)에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이 x축 방향(X)으로 1픽셀 이동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상 (IM1) 및 제2 영상(IM2)이 제1 시점(T1)에서 이전 프레임보다 모두 x축 방향(X)으로 1 픽셀 더 이동될 수 있다. 즉, 세로 합(VCL)이 가로 합(HCL)보다 큰 경우,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은 모두 x축 방향(X)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로 합(HCL)이 세로 합(VCL)보다 큰 경우, 제1 조정부(144)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세로 방향(즉, y축 방향(Y))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시점(T2)에서 가로 합(HCL)이 세로 합(VCL)보다 큰 경우, 가로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세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에 의하면 제2 시점(T2)에 x축 방향(X)으로 1픽셀 이동되어야 하지만, 제1 조정부(144)에 의해 제2 시점(T2)에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y축 방향(Y)으로 1픽셀 이동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상 (IM1) 및 제2 영상(IM2)이 제2 시점(T2)에서 모두 이전 프레임보다 y축 방향(Y)으로 1 픽셀 더 이동될 수 있다. 즉, 세로 합(VCL)이 가로 합(HCL)보다 큰 경우, 타겟 시프트 방향들(TSD1, TSD2)은 모두 y축 방향(Y)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조정부(146)는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 및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비교할 수 있다.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 및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서로 반대인 경우, 제2 조정부(146)는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 및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 중 하나를 반전시킬 수 있다. 즉, 제2 조정부(146)는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프트량이 상쇄되지 않는다.
제2 조정부(146)에 의해 조정된 예비 시프트 방향들은 각각 제1 타겟 시프트 방향(TSD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TSD2)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윤곽선의 가로 합(HCL) 및 세로 합(VCL)에 따라 시프트 방향이 추가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영상 시프트의 효과 및 이로 인한 열화 및 잔상 개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시프트 방향 결정부에 포함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서는 도 7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하며, 이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9의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C)는 시프트량 제어부(145)를 제외하면, 도 8b의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B)는 영상 분석부(142), 제1 조정부(144), 제2 조정부(146), 및 시프트량 제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42)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를 분석하여 표시 영상에 포함되는 윤곽선의 가로 합(HCL)과 세로 합(VCL)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조정부(144)는 가로 합(HCL)과 세로 합(VCL)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조정부(146)는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PSD1') 및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PSD2')을 동일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시프트량 제어부(145)는 제2 조정부(146)로부터 출력되는 조정된 시프트 방향들(PSD1", PSD2")에 의한 원본 영상의 순 시프트량과 한계 시프트량(LSA)을 비교하여 원본 영상의 시프트량이 한계 시프트량(LSA)을 초과하지 않도록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프트량 제어부(145)는 조정된 시프트 방향들(PSD1", PSD2") 중 적어도 하나를 반전시킬 수 있다.
시프트 량 제어부(145)의 동작은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보정부(100)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C)를 포함함으로써 한계 시프트량(LSA)의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 시프트 시나리오들(SS1, SS2)에 의한 상대적인 시프트 방향 관계와 윤곽선의 분포를 모두 고려하여 시프트 방향의 업데이트 시점마다 적응적으로 시프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시프트의 효과 및 이로 인한 열화 및 잔상 개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영상 보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하며, 이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0의 영상 보정부(100A)는 고정 영상 검출부(110)를 제외하면, 도 2의 영상 보정부(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 보정부(100)는 고정 영상 검출부(110), 시프트 경로 업데이트부(120),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 제1 시프트 제어부(160), 및 제2 시프트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영상 검출부(110)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20)에 표시되는 고정 영상(FI)을 검출할 수 있다.
고정 영상(FI)은 방송사, 브랜드 등의 로고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정 영상은 표시 화면의 특정 영역에 고휘도로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모든 영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영상 검출부(110)는 고정 영상(FI) 검출을 위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컨벌루션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 등에 기반한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고정 영상(FI)이 검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영상(FI)의 위치 및 형태의 검출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영상 검출부(110)는 프레임 카운트(FRC)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고정 영상(FI)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고정 영상 검출부(110)는 특정 시점에 연속하는 소정의 프레임들을 분석하여 고정 영상(FI)을 검출할 수도 있다. 고정 영상(FI)의 검출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된 고정 영상(FI)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180)의 시프트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상과 같이, 고정 영상(FI)이 영상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은 각각 글로벌 시프트 방식 및 로컬 시프트 방식으로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또는, 내비게이션과 같이, 고정 영상(FI)이 영상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및 제2 시프트 제어부들(160, 180)은 각각 바운더리 시프트 방식 및 인터널 시프트 방식으로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시프트 방향 결정부(140)는 도 5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주기로 영상에 포함되는 고정 영상의 제1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고, 제2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주기로 상기 고정 영상의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S100)하고,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시나리오들을 보정할 수 있다.
제1 예비 시프트 방향이 업데이트되는 시점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업데이트되는 시점에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비교(S300)될 수 있다.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반전시켜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이 결정(S350)될 수 있다.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아닌 경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각각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결정(S500)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동일한 경우, 또는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수직인 경우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은 그대로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로 각각 결정될 수 있다.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상 시프트가 수행되고,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2 영상 시프트가 수행(S700)됨으로써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시프트 시나리오와 제2 시프트 시나리오에 의한 제1 및 제2 영상 시프트들의 시프트 방향이 상충되는 경우에, 하나의 예비 시프트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영상의 시프트량이 보강 및/또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소의 열화 분산량이 증가되며, 특히, 고정 영상의 열화 분산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상 저감을 위한 영상 시프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내에 시프트 효과가 상쇄되는 부분이 제거되도록 시프트 방향들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을 결정(S500)하는 것은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윤곽선들의 가로 합과 세로 합을 산출(S220)하고, 가로 합과 세로 합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조정(S240, S260, S280)하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재조정(S320, S340)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윤곽선들의 가로 합과 세로 합이 산출(S220)된 후에 가로 합과 세로 합이 비교(S240)될 수 있다.
가로 합이 상기 세로 합보다 큰 경우,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이 세로 방향으로 조정(S260)될 수 있다. 세로 합이 가로 합보다 큰 경우,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이 가로 방향으로 조정(S280)될 수 있다.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비교(S320)될 수 있다.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동일한 경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각각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반대인 경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가 반전(S34)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조정된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의 벡터 합에 기초하여 최대 시프트량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조정된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의 벡터 합으로부터 결정되는 예비 시프트량과 기 설정된 한계 시프트량이 비교(S420)될 수 있다.
예비 시프트량이 한계 시프트량을 초과하는 경우, 재조정된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 중 하나가 반전(S440)될 수 있다. 예비 시프트량이 상기 한계 시프트량 이하인 경우, 재조정된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이 각각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로 결정(S500)될 수 있다.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상 시프트가 수행되고,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2 영상 시프트가 수행(S700)됨으로써 시프트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한계 시프트량의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 시프트 시나리오들에 의한 상대적인 시프트 방향 관계와 윤곽선의 분포를 모두 고려하여 시프트 방향의 업데이트 시점마다 적응적으로 시프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시프트의 효과 및 이로 인한 열화 및 잔상 개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HMD 장치, TV, 디지털 TV, 3D TV, PC, 가정용 전자기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 PDA, PMP, 디지털 카메라, 음악 재생기, 휴대용 게임 콘솔, 내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watch) 등의 웨어러블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표시 장치 10: 타이밍 제어부
20: 표시 패널 30: 스캔 구동부
40: 데이터 구동부 100: 영상 보정부
110: 고정 영상 출부 120: 시프트 경로 업데이트부
140, 140A, 140B, 140C: 시프트 방향 결정부
142: 영상 분석부 144: 제1 조정부
145: 시프트량 제어부 146: 제2 조정부
160: 제1 시프트 제어부 180: 제2 시프트 제어부

Claims (26)

  1. 제1 시프트 시나리오(scenario)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주기로 영상에 포함되는 고정 영상의 제1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고, 제2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주기로 상기 고정 영상의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는 시프트 경로 업데이트부;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각각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보정하는 시프트 방향 결정부;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제1 시프트 제어부; 및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2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제2 시프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방향 결정부는,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반전시키거나,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각각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결정하는 영상 보정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시프트 방향 결정부는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아닌 경우, 상기 시프트 방향 결정부는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각각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이 동일한 경우, 상기 고정 영상의 시프트량이 상기 영상의 다른 부분의 시프트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프트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메인 영역을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시프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프트 제어부는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에 대응하여 업스케일링(upscaling) 영역과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프트 제어부는 상기 고정 영상을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시프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프트 제어부는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 영상을 둘러싸는 기 설정된 주변 영역에 업스케일링 영역과 다운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이 동일한 경우, 상기 고정 영상의 시프트량이 상기 메인 영역의 시프트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이 동일한 경우, 상기 고정 영상의 시프트량이 상기 메인 영역의 시프트량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프트 제어부는 영상 전체를 표시 패널의 화면보다 작게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하여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영상을 시프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프트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전체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시프트하면서, 상기 화면을 벗어나는 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다운스케일링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블랙 부분의 영상 데이터를 업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방향 결정부는
    각각의 시프트 방향들에 대해 설정된 원본 영상으로부터의 한계 시프트량과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의 벡터 합에 의해 결정되는 예비 시프트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 및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반전시키는 시프트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시프트량이 상기 한계 시프트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프트량 제어부는 상기 한계 시프트량의 시프트 방향과 동일한 예비 시프트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방향 결정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에 포함되는 윤곽선들(contour line)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들의 가로 합과 세로 합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가로 합과 상기 세로 합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조정하는 제1 조정부; 및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시프트 방향을 비교하고,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에 상기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반전시키는 제2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합이 상기 세로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합이 상기 가로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방향 결정부는
    각각의 시프트 방향에 대해 설정된 한계 시프트량과 상기 제2 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예비 시프트 방향들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예비 시프트량을 비교하여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 및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반전시키는 시프트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19.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 영상을 검출하는 고정 영상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영상 검출부는 상기 고정 영상 검출을 위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정부.
  21. 제1 시프트 시나리오(scenario)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주기로 영상에 포함되는 고정 영상의 제1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고, 제2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주기로 상기 고정 영상의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반전시켜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2 영상 시프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각각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윤곽선들의 가로 합과 세로 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가로 합과 상기 세로 합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로 합이 상기 세로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을 세로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세로 합이 상기 가로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을 가로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재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동일한 경우,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을 각각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이 반대인 경우, 상기 조정된 제1 예비 시프트 방향과 상기 조정된 제2 예비 시프트 방향 중 하나를 반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겟 시프트 방향과 상기 제2 타겟 시프트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재조정된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의 벡터 합으로부터 결정되는 예비 시프트량과 기 설정된 한계 시프트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예비 시프트량이 상기 한계 시프트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조정된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 중 하나를 반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예비 시프트량이 상기 한계 시프트량 이하인 경우, 상기 재조정된 제1 및 제2 예비 시프트 방향들을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타겟 시프트 방향들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80103992A 2018-08-31 2018-08-31 영상 보정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2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92A KR102521949B1 (ko) 2018-08-31 2018-08-31 영상 보정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2019059797A JP7286367B2 (ja) 2018-08-31 2019-03-27 映像補正部
US16/523,775 US10923009B2 (en) 2018-08-31 2019-07-26 Image compensator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EP19194765.4A EP3618042A1 (en) 2018-08-31 2019-08-30 Image compensator
CN201910813821.XA CN110875006B (zh) 2018-08-31 2019-08-30 图像补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92A KR102521949B1 (ko) 2018-08-31 2018-08-31 영상 보정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424A KR20200026424A (ko) 2020-03-11
KR102521949B1 true KR102521949B1 (ko) 2023-04-18

Family

ID=6781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992A KR102521949B1 (ko) 2018-08-31 2018-08-31 영상 보정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23009B2 (ko)
EP (1) EP3618042A1 (ko)
JP (1) JP7286367B2 (ko)
KR (1) KR102521949B1 (ko)
CN (1) CN1108750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299B1 (ko) 2018-08-31 2023-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보상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20210277458A1 (en) * 2019-04-02 2021-09-09 Mission Bio, Inc. Methods, systems, and aparatus for nucleic acid detection
KR20210054093A (ko) 2019-11-04 2021-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1564139A (zh) * 2020-06-12 2020-08-21 芯颖科技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驱动电路、芯片和电子设备
KR20220085065A (ko) 2020-12-14 2022-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20220028359A1 (en) * 2021-06-22 2022-01-27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controller and semiconductor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7725A (ja) 2004-03-09 2005-09-22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画面の焼付防止方法
JP4772815B2 (ja) * 2008-03-19 2011-09-14 株式会社東芝 補正パターン画像生成装置、パターン検査装置および補正パターン画像生成方法
TWI422228B (zh) * 2009-01-15 2014-01-01 Silicon Integrated Sys Corp 去方塊濾波方法及影像處理裝置
KR101890135B1 (ko) 2011-03-18 2018-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 및 표시 장치
KR20140014694A (ko) * 2012-07-25 201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기기의 영상 보상 장치 및 방법
KR20140122605A (ko) 2013-04-10 2014-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영상의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2097637B1 (ko) 2013-10-21 2020-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194775B1 (ko) 2014-02-27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KR102286635B1 (ko) * 2014-12-29 2021-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489913B2 (ja) 2015-04-15 2019-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KR102349493B1 (ko) 2015-04-30 2022-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시프트 제어부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102320207B1 (ko) 2015-05-06 2021-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JP6779641B2 (ja) 2016-03-18 2020-11-04 株式会社Spectee 画像分類装置、画像分類システム及び画像分類方法
KR102549919B1 (ko) * 2016-07-08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529270B1 (ko) * 2016-07-08 2023-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552299B1 (ko) 2018-08-31 2023-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보상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38340A (ja) 2020-03-12
EP3618042A1 (en) 2020-03-04
CN110875006B (zh) 2024-03-29
CN110875006A (zh) 2020-03-10
US20200074906A1 (en) 2020-03-05
US10923009B2 (en) 2021-02-16
JP7286367B2 (ja) 2023-06-05
KR20200026424A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949B1 (ko) 영상 보정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52299B1 (ko) 잔상 보상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269893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28833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로고 영역 휘도 조절 방법
KR102350097B1 (ko)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20180006584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510458B1 (ko) 잔상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674156B1 (ko) 잔상 보상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4036855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60132170A (ko)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WO2011027593A1 (ja) 表示駆動回路、液晶表示装置、表示駆動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220049645A (ko) 잔상 보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5540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20160137867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US20100214488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JP5538849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
KR20220085082A (ko) 잔상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30577B1 (ko)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604729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TW201820307A (zh) 顯示器的控制方法
KR102465557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CN115494640A (zh) 产生虚拟实境影像的光场近眼显示器及其方法
KR20170015678A (ko) 영상 처리 방법,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09128201A1 (ja)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180060434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