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937B1 - 차단기의 트립 기구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트립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937B1
KR102521937B1 KR1020180082488A KR20180082488A KR102521937B1 KR 102521937 B1 KR102521937 B1 KR 102521937B1 KR 1020180082488 A KR1020180082488 A KR 1020180082488A KR 20180082488 A KR20180082488 A KR 20180082488A KR 102521937 B1 KR102521937 B1 KR 102521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spring
core
fixed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407A (ko
Inventor
김경중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8008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937B1/ko
Priority to CN201921099882.6U priority patent/CN209859890U/zh
Publication of KR2020000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의 트립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트립 기구는 고정접촉자;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 상기 고정접촉자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선회되는 코일; 상기 보빈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코어; 상기 보빈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에 자기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고정 코어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 코어; 상기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격판; 상기 가동 코어와 격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스프링; 상기 격판과 고정 코어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스프링; 및 상기 격판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코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촉자를 트립시키는 가동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단기의 트립 기구{Trip Unit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의 트립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간단히 차단기)는 송,변전 선로나 전기회로의 일부에 설치되어 부하를 개폐하거나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회로를 차단시켜 전기 시설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이 중에서, 소형 차단기(소형 배선용 차단기)는 교류 110/220V의 저압회로(15∼30A)를 이루는 소형 분전반 내에 설치되어 과전류 보호, 단락 보호를 위하여 사용된다. 차단기는 가정, 상가, 사무실, 백화점 등의 스위치로 분전반 내에 내장되어 한 곳에서 다수의 부하를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는 장치로 사용된다. 또한, 공작기계, 공장 설비 등에 기기의 전원을 개폐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차단기는 산업용으로 쓰이는 일반적인 회로 차단기와 마찬가지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으로 구성되는 접점부, 접점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개폐 기구부, 이상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부, 과전류나 단락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시 개폐 기구부를 개리시킴으로써 선로나 부하를 보호하도록 하는 트립부, 차단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 및 냉각시기는 기능을 하는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차단기는 외부와 절연을 유지하고 각 부품의 위치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케이스(1), 기구부 조작을 위한 핸들(2), 핸들(2)의 회전력을 가동접촉자(4)에 전달하는 동시에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3), 래치(3)에 고정되어 전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가동접촉자(4),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되는 단자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과전류 및 단락전류 발생시 가동접촉자(4)를 트립시키기 위하여 트립 기구(코일 어셈블리)(10)가 마련된다.
차단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핸들(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치(3)에 연결된 가동접촉자(4)가 회전하여 고정접촉자(5)에 접촉되어 회로는 통전 상태가 된다.
도 2에 트립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트립 기구는 트립 어셈블리 또는 코일 어셈블리라고도 한다.
코일 어셈블리(10)는 케이스(1)에 고정되는 요크(11)와 원통형의 보빈(12), 보빈(12)의 외주면에 선회되는 코일(13), 보빈(12)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코어(14), 보빈(12)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코어(15), 가동 코어(15)에 결합되어 가동접촉자(4)를 트립시키는 액추에이팅 레버(16), 고정 코어(14)와 가동 코어(15)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만일, 통전 중인 회로에 과전류나 사고 전류가 발생하면 코일 어셈블리(10)에 전류가 안가되어 코일 어셈블리(10) 내부에 있는 가동 코어(15)가 코일 어셈블리(10)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해 고정 코어(14) 쪽으로 흡입된다.
가동 코어(15)가 이동함에 따라 보빈(12) 내부의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고정 코어(14)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액추에이팅 레버(16)는 가동접촉자(4)를 밀어내어 회로를 차단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의 트립 기구에 있어서, 위와 같이 단순한 고정 코어, 가동 코어, 스프링의 구성에 의해 차단 동작시 시간 지연 설정이 불가능하다. 즉, 차단 동작은 고정된 설정값을 갖는다. 이에 따라, 다수 개의 차단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차단 순서 조절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단 동작시 지연 특성을 갖는 차단기의 트립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트립 기구는 고정접촉자;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 상기 고정접촉자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선회되는 코일; 상기 보빈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코어; 상기 보빈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에 자기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고정 코어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 코어; 상기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격판; 상기 가동 코어와 격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스프링; 상기 격판과 고정 코어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스프링; 및 상기 격판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코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촉자를 트립시키는 가동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코어에는 상기 가동 레버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 코어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스프링의 일단이 설치될 수 있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판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스프링의 타단이 설치될 수 있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판의 타면에는 상기 가동 레버가 설치될 수 있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코어의 일면에는 상기 제2 스프링의 타단이 설치될 수 있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 레버는 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 레버의 머리부는 상기 격판의 제2 삽입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동 레버의 다리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접촉자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제1 스프링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제1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트립 기구에 의하면, 제1 전류값에서 가동 코어는 제1 스프링을 이기고(압축시키고) 고정 코어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전류값보다 큰 제2 전류값에서 제2 스프링마저 이기고(압축시키고) 이동하여 회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스프링에 의한 시간 지연(또는 제1 전류값 부근에서의 가동코어의 동작으로 인한 시간 지연)이 발생하므로 사용자는 순시 트립 작용시 작용 시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차단기가 차단 동작이 일어나지 않고 시간을 지연하는 제1 전류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1 전류값과 제2 전류값의 상호 설정을 통해 시간 지연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간 지연 특성을 활용하여 복수의 차단기가 설치된 곳에서 차단기들의 동작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단기의 내부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트립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내부도이다. 각각 도 3은 통전 상태, 도 4는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트립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격판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트립 어셈블리의 작용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개폐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내부도이다. 각각 도 3은 통전 상태, 도 4는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트립 기구는 고정접촉자(29); 상기 고정접촉자(29)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28); 상기 고정접촉자(29)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빈(42); 상기 보빈(42)의 외주면에 선회되는 코일(45); 상기 보빈(4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코어(50); 상기 보빈(42)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45)에 자기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고정 코어(5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 코어(55); 상기 고정 코어(50)와 가동 코어(55)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격판(65); 상기 가동 코어(55)와 격판(65)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스프링(70); 상기 격판(65)과 고정 코어(50)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스프링(75); 및 상기 격판(65)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코어(5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촉자(28)를 트립시키는 가동 레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20)는 차단기의 외형을 이루며, 단자부(21), 개폐기구부(25), 접점부(28,29), 검출기구부(30), 트립기구부(40), 아크소호부(35) 등을 내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케이스(20)는 2개 이상의 성형물로 분리 구성되어 내부에 구성요소들을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외부와의 절연을 위하여 합성수지 등의 절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21)는 케이스(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일측의 단자부(21)는 전원에 연결되고, 타측의 단자부(21)는 부하에 연결된다.
개폐기구부(2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로의 접점부(28,29)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개폐기구부(25)는 케이스(20)의 외부에 돌출되는 핸들(26), 핸들(26)에 연결되는 래치(24), 래치(24)와 가동접촉자(28)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27)을 포함한다.
개폐기구부(25)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은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26)을 시계 방향으로 동작시키면, 개폐기구부(25)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동접촉자(28)는 고정접촉자(29)에 접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회로는 통전된다.
이와 반대로, 도 3과 같은 통전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26)을 반시계 방향으로 동작시키면, 개폐기구부(25)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동접촉자(28)는 고정접촉자(29)로부터 분리된다(도 4 참조). 이에 따라 회로는 개방된다.
검출기구부(30)는 바이메탈(31)을 포함한다. 검출기구부(30)에서 과전류를 검출하여 바이메탈(31)이 만곡하면 개폐기구부(25)를 동작시켜 가동접촉자(28)는 고정접촉자(29)로부터 분리되어 회로가 개방된다. 검출기구부(30)는 과전류 트립 장치 또는 한시 트립 기구라고도 한다.
아크소호부(35)는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한다. 아크소호부(35)는 측판(36)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그리드(37)를 포함한다. 차단 시 접점부(28,29)에서 발생하는 아크는 그리드(37)로 유인, 분할되면서 냉각되고 전류가 감소하여 소멸된다. 접점부(28,29)로부터 아크소호부(35)로 아크를 유도하기 위해 아크 런너(38)가 구비될 수 있다.
트립기구부(40)는 순시 트립 기구 또는 트립 어셈블리 또는 코일 어셈블리라고도 한다. 검출기구부(30)가 과전류 트립에 적용되는 것에 비하여, 트립기구부(40)는 과전류 및 단락 전류 트립에 적용된다.
도 5를 더 참조하기로 한다. 트립기구부(40)는 요크(41), 보빈(42), 코일(45), 고정 코어(50), 가동 코어(55), 가동 레버(60), 격판(65), 제1 스프링(70), 제2 스프링(75)을 포함한다.
요크(41)는 케이스(20)에 고정 설치된다. 요크(41)는 보빈(42)을 지지한다. 요크(41)는 회로의 일부로 기능하고, 또한 자로(magnetic path)의 일부로 기능한다. 요크(41)의 일측은 단자(22)에 연결되고, 요크(41)의 타측은 고정접촉자(29)에 연결된다. 가동접촉자(28)가 고정접촉자(29)에 접촉하는 경우, 전원(미도시), 단자(22), 요크(41), 고정접촉자(29), 가동접촉자(28), 부하(미도시)에 이르는 폐회로가 구성된다.
보빈(42)은 케이스(20)에 설치된다. 보빈(42)은 요크(41)에 의해 지지된다. 보빈(42)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42)의 양단은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보빈(42)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중공부(관통홀)가 형성됨은 전술하였다. 가동 코어(55)와 격판(65)은 보빈(42)의 중공부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보빈(42) 내부에는 격판(6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격판(65)은 보빈(42) 내에서 움직인다.
고정 코어(50)는 보빈(42)의 일측(가동접촉자가 설치된 방향, 부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 코어(50)는 자기장이 형성되기 유리하도록 금속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코어(50)는 가동 레버(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51)을 갖는다.
고정 코어(50)의 일면에는 제2 스프링(75)의 타단이 설치될 수 있는 제2 삽입홈(52)이 형성된다.
가동 코어(55)는 보빈(42)의 타측(전원측)에 슬라이딩(또는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 코어(55)는 자기장이 형성되기 유리하도록 금속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코어(55)에는 일면에 제1 삽입홈(56)이 형성된다. 제1 스프링(70)의 일단이 가동 코어(55)의 제1 삽입홈(56)에 고정된다.
격판(65)은 보빈(42)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격판(65)은 디스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격판(65)은 가동 코어(55)와 고정 코어(50) 사이에서 움직인다. 격판(65)의 일면(가동 코어측)에는 제1 삽입부(67)가 형성되고, 격판(65)의 타면(고정 코어측)에는 제2 삽입부(66)가 형성된다. 격판(65)의 제2 삽입부(66)에는 가동 레버(60)가 고정 설치된다. 격판(65)의 제1 삽입부(67)에는 제1 스프링(70)이 설치된다. 격판(65)은 제1 스프링(70)과 제2 스프링(75)의 힘을 받는다.
가동 레버(60)가 격판(65)에 고정 설치된다. 가동 레버(60)는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레버(60)의 머리부는 격판(65)의 제2 삽입부(66)에 고정 설치된다. 가동 레버(60)의 다리부는 고정 코어(50)의 관통홀(51)에 삽입되어 가동접촉자(28)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가동 레버(60)는 격판(65)과 함께 움직인다. 가동 레버(60)는 가동접촉자(28)를 밀어내어 회로를 차단한다. 가동 레버(60)는 격판(6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70)은 가동 코어(55)와 격판(65)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스프링(70)의 일단은 가동 코어(55)의 제2 삽입홈(56)에 고정되고, 제1 스프링(70)의 타단은 격판(65)의 제1 삽입부(67)에 고정된다. 제1 스프링(70)은 코일(45)의 자기장에 의해 가동 코어(55)가 고정 코어(50)의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압축된다. 제1 스프링(70)에 의해 격판(65)은 고정 코어(50)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제2 스프링(75)은 고정 코어(50)와 격판(65) 사이에 설치된다. 제2 스프링(75)의 일단은 가동 레버(60)의 머리부에 고정되고, 제2 스프링(75)의 타단은 고정 코어(50)의 제1 삽입홈(52)에 고정된다. 제2 스프링(75)은 격판(65)에 의해 압축된다. 제2 스프링(75)은 제1 스프링(7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70)과 제2 스프링(75)은 탄성 계수(또는 스프링 상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스프링(70)은 제2 스프링(75)보다 스프링 상수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즉, 제1 스프링(70)의 탄성력은 제2 스프링(75)의 탄성력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트립 기구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통전 상태이다. 전류는 전원측 단자(22)로부터 요크(41), 고정접촉자(29), 가동접촉자(28)를 거쳐 부하측으로 흐른다. 가동 레버(60)는 격판(65)과 함께 가동접촉자(28)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다. 격판(65)은 제2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코어(5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고, 가동 코어(55)는 제1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격판(65)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다. 이때, 가동 코어(55)는 제1 스프링(70) 및 제2 스프링(75)에 의해 고정 코어(50)로부터 최대한 이격된 상태에 있다.
회로에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코일(45)에는 자기장이 발생하여 고정 코어(50)는 자화된다. 따라서, 고정 코어(50)에는 가동 코어(55)를 흡인하는 흡인력이 발생한다.
회로에 제1 전류값(설정값이다. 예를 들면, 정격 전류의 8배값)을 넘는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가동 코어(55)가 제1 스프링(70)의 탄성력을 이기고 고정 코어(50)가 있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1 전류값은 제2 스프링(75)의 탄성력을 이길 힘은 되지 못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가동 코어(55)는 고정 코어(50)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격판(65)에 접하지만, 격판(65)과 가동 레버(60)는 제자리에 그대로 있거나 움직이더라도 가동접촉자(28)에 닿지는 못한다. 회로는 통전 상태를 유지한다.
회로에 제2 전류값(설정값이다. 예를 들면, 정격 전류의 12배값)을 넘는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가동 코어(55)가 제1 스프링(70)의 탄성력 및 제2 스프링(75)의 탄성력을 이기고 고정 코어(50)가 있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제2 전류값은 제1 전류값보다 크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가동 코어(55)와 격판(65) 및 가동 레버(60)는 모두 고정 코어(50)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가동 레버(60)는 가동접촉자(28)를 밀어서 회로는 차단된다. 이때, 격판(65)은 고정 코어(50)에 근접하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트립 기구에 의하면, 제1 전류값에서 가동 코어는 제1 스프링을 이기고(압축시키고) 고정 코어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전류값보다 큰 제2 전류값에서 제2 스프링마저 이기고(압축시키고) 이동하여 회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스프링에 의한 시간 지연(또는 제1 전류값 부근에서의 가동코어의 동작으로 인한 시간 지연)이 발생하므로 사용자는 순시 트립 작용시 작용 시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차단기가 차단 동작이 일어나지 않고 시간을 지연하는 제1 전류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1 전류값과 제2 전류값의 상호 설정을 통해 시간 지연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간 지연 특성을 활용하여 복수의 차단기가 설치된 곳에서 차단기들의 동작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0 케이스 21 단자부
22 단자 24 래치
25 개폐기구부 26 핸들
27 회전축 28 가동접촉자
29 고정접촉자 30 검출기구부
31 바이메탈 35 아크소호부
36 측판 37 그리드
38 아크 런너 40 트립기구부
41 요크 42 보빈
45 코일 50 고정 코어
51 관통홀 52 제2 삽입홈
55 가동 코어 56 제1 삽입홈
60 가동 레버 65 격판
66 제2 삽입부 67 제1 삽입부
70 제1 스프링 75 제2 스프링

Claims (9)

  1. 고정접촉자;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
    상기 고정접촉자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선회되는 코일;
    상기 보빈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코어;
    상기 보빈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일에 자기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고정 코어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 코어;
    상기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격판;
    상기 가동 코어와 격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스프링;
    상기 격판과 고정 코어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스프링; 및
    상기 격판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코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촉자를 트립시키는 가동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격판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스프링을 지지하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판의 타면에는 상기 가동 레버가 고정 설치되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되는 차단기의 트립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코어에는 상기 가동 레버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트립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코어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스프링의 일단이 설치될 수 있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트립 기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코어의 일면에는 상기 제2 스프링의 타단이 설치될 수 있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트립 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레버는 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 레버의 머리부는 상기 격판의 제2 삽입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동 레버의 다리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접촉자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트립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제1 스프링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트립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제2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트립 기구.
KR1020180082488A 2018-07-16 2018-07-16 차단기의 트립 기구 KR102521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88A KR102521937B1 (ko) 2018-07-16 2018-07-16 차단기의 트립 기구
CN201921099882.6U CN209859890U (zh) 2018-07-16 2019-07-12 断路器的跳闸机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88A KR102521937B1 (ko) 2018-07-16 2018-07-16 차단기의 트립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407A KR20200008407A (ko) 2020-01-28
KR102521937B1 true KR102521937B1 (ko) 2023-04-14

Family

ID=6894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488A KR102521937B1 (ko) 2018-07-16 2018-07-16 차단기의 트립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1937B1 (ko)
CN (1) CN20985989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5907B (zh) * 2020-12-30 2024-01-23 安徽徽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自驱动原理的断路器
CN114388313B (zh) * 2021-12-24 2024-03-12 上海京硅智能技术有限公司 直动式断路器
KR20230143834A (ko) * 2022-04-06 2023-10-13 엘에스일렉트릭(주)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701A (ja) * 1995-11-22 1997-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開閉装置
KR19980049287U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누름 스위치 장치
KR20130001368U (ko) * 2011-08-19 2013-02-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소형 회로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20150108247A (ko) * 2014-03-17 2015-09-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소형 회로차단기 순시 트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859890U (zh) 2019-12-27
KR20200008407A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6516B2 (ja) 瞬時トリップメカニズムを有する配線用遮断器
KR102521937B1 (ko) 차단기의 트립 기구
JP2011151023A (ja) 限流型配線用遮断器の可動接触子アセンブリ
EP3489983B1 (en) Single pole dc circuit breaker with bi-directional arc chamber
US9312081B2 (en) Arcless fusible switch disconnect device for DC circuits
CN110473751B (zh) 配线用断路器
JP2020013791A (ja) 配線用遮断器のアーク消弧装置
KR100191480B1 (ko) 회로 차단기
KR100479434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EP1218899B1 (en) Electric pole for low-voltage power circuit breaker
KR10252235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KR20200009589A (ko) 소형 차단기의 트립 기구
KR10268585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RU2795228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низ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KR20240054029A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US11804345B2 (en) Low-voltage circuit breaker
WO201803884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ducing arcing between a circuit breaker line terminal and a panel board terminal
US10825632B2 (en) Circuit breaker
KR102017804B1 (ko) 차단기
KR101608743B1 (ko) 소형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KR20240000375U (ko)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20240115454A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20130003874U (ko) 소형 회로차단기의 순시 트립 기구
KR20220063586A (ko) 배선용 차단기
WO2023038556A1 (en) Improved and simplified multi-function 2 -lever mechanism and improve miniature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