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429B1 - 소방안전 맵 제작방법 및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안전 맵 제작방법 및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429B1
KR102521429B1 KR1020200180035A KR20200180035A KR102521429B1 KR 102521429 B1 KR102521429 B1 KR 102521429B1 KR 1020200180035 A KR1020200180035 A KR 1020200180035A KR 20200180035 A KR20200180035 A KR 20200180035A KR 102521429 B1 KR102521429 B1 KR 10252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er
information
extinguishers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424A (ko
Inventor
최병환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소방안전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방안전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방안전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4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방안전 맵을 제작하는 제작방법 및 그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기와 관련한 공공데이터를 수집하여, 소화기를 보유한 개인이 자신의 소화기를 등록하면 공공데이터와 개인이 등록한 데이터를 매칭시켜 소화기의 추적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소방 안전 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안전에 관한 맵을 제작하는 제작방법 및 그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화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방안전 맵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 단위로 소화기가 적시 적소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 지역단위로 소화기가 적정 개수로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소방안전 맵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안전 맵 제작방법 및 제작 시스템{Method of Making Firefighting Safety Map and System there of}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방안전 맵을 제작하는 제작방법 및 그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기와 관련한 공공데이터를 수집하여, 소화기를 보유한 개인이 자신의 소화기를 등록하면 공공데이터와 개인이 등록한 데이터를 매칭시켜 소화기의 추적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소방 안전 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안전에 관한 맵을 제작하는 제작방법 및 그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 가장 기본이 되며 최단시간에 누구든지 간편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재도구가 소화기이며, 의무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소방시설 중 하나이다.
소화기는 한번 구매하여 비치하면 영구히 사용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관리하지 않으면 소화기 내부 분말이 굳거나 압력이 떨어지는 등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내구연한이 지났거나 소화기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은 경우, 정작 소화기가 필요한 위급한 상황에 서 사용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소화기를 관리 점검하게 되며, 특히 규정된 소화기 관리 원칙에 따라 소화기가 관리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그런데 소화기의 관리와 관련하여 관리할 소화기는 많지만 이를 관리할 관리자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효과적인 관리가 어렵다. 또한, 소화기의 점검과 관련하여 점검 담당자들의 미숙, 무지, 안전불감증 등으로 인해 점검 결과에 신뢰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한편, 지자체, 기관 등은 해당 관할 지역에서 소화기가 잘 관리, 점검되고 있는지, 적시 적소에 적정 개수가 잘 배치되어 있는지 관리 점검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소방 관리 시스템에서는 화재시 사용할 수 있는 소화기가 적소에 적정 개수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방안전 맵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역 단위로 소화기가 적시 적소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 지역단위로 소화기가 적정 개수로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소방안전 맵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소화기의 이력을 추적 관리하고, 지역단위 별로 상기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에 있어서,
소화기에 관한 공공데이터를 수집하는 공공데이터 수집단계;
화재시 상기 소화기의 사용자가 될 개인의 거주지를 포함하는 주거시설정보를 수집하는 주거시설정보 수집단계;
상기 소화기를 보유한 개인으로부터 개별데이터를 수집하는 개별데이터 수집단계; 및
상기 공공데이터와, 상기 주거시설정보와, 상기 개별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지역단위 별로 상기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상황정보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공공데이터는 상기 소화기의 제조회사가 제공하는 상기 소화기의 제조일자정보, 형식승인정보, 판매정보, 설치정보, 점검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개별데이터는 상기 개인이 제공하는 상기 개인의 주소정보, 상기 소화기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황정보 생성단계 이전에, 상기 공공데이터와, 상기 개별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소화기의 폐기 여부를 판단하는 폐기여부 판단단계; 및
상기 소화기가 폐기 대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소화기의 수거 폐기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소확기가 폐기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소화기의 유지관리 명령을 수행하는 소화기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황정보 생성단계 이후에, 상기 소화기의 상기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지역단위 별로 소방안전 등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소방안전맵을 제작하는 소방안전맵 제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화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방안전 맵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 단위로 소화기가 적시 적소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 지역단위로 소화기가 적정 개수로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소방안전 맵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안전맵이 제작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안전맵이 제작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에서 소방안전맵은 복수의 소화기의 이력을 추적 관리하고, 지역단위 별로 상기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은 소화기에 관한 공공데이터를 수집하는 공공데이터 수집단계(S100); 화재시 상기 소화기의 사용자가 될 개인의 거주지를 포함하는 주거시설정보를 수집하는 주거시설정보 수집단계(S110); 상기 소화기를 보유한 개인으로부터 개별데이터를 수집하는 개별데이터 수집단계(S120); 및
상기 공공데이터와, 상기 주거시설정보와, 상기 개별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지역단위 별로 상기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상황정보 생성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공공데이터는 상기 소화기의 제조회사가 제공하는 상기 소화기의 제조일자정보, 형식승인정보, 판매정보, 설치정보, 점검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개별데이터는 상기 개인이 제공하는 상기 개인의 주소정보, 상기 소화기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안전맵은 소화기와 관련한 공공 데이터를 수집해서, 개인이 소화기가 비치된 자신의 주소를 입력하면 공공데이터와 매칭시켜 관리하는 시스템(1)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개인이 주거하는 주거지에는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다. 개인은 소화기가 비치된 집에 이사를 올 수도 있고, 소방안전에 관심이 있는 개인은 소화기를 새로 구입하여 자신의 주거지에 비치할 수 있다.
공공데이터 수집단계(S100)를 설명한다. 공공데이터는 소화기에 대한 공공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소화기에는 합격 표시번호(소화기 이력)가 표시되어 있다. 매년 소방산업기술원 등 기관에서 소화기 제품의 품질 등에 대하여 심사하여 심사요건에 부합하면 합격 표시를 하게 되며, 소화기 품질에 대한 데이터는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다.
한편, 소화기의 제조사는 소화기를 생산하면서 해당 소화기에 대한 제조년도, 형식번호 등을 표시하여 출시하게 된다. 소화기는 연간 400만대 내지 600만대 소화기가 생산되고 있는데, 제조사는 소화기의 생산대수를 신고해야 KC인증을 받을 수 있고, 판매를 할 수 있으므로, 소화기관리자는 이러한 정보를 제공받아서 소화기의 연간 생산대수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소화기관리자는 기관일 수도 있고, 업체일 수도 있다.
이렇게 기관이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소화기 정보는 수십년 동안 수집되고 있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소화기에 관한 공공데이터라고 한다. 이 공공데이터들은 소화기의 제조회사가 제공하는 소화기의 제조일자정보, 형식승인정보, 판매정보, 설치정보, 점검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화기의 제조사, 형식번호, 검사시기, 검사일 등을 기준으로 해당 소화기의 폐기 루트를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데이터 수집단계(S100)는 이러한 공공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거시설정보 수집단계(S110)는 소화기를 사용하는 개인의 거주지를 포함하는 주거시설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거시설정보는 주거지가 단독주택인 경우 해당 단독주택의 면적에 대한 정보, 몇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층수정보, 방의 개수나 공동시설 등 구획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의 구획정보 등 과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주거시설정보에 기초해서 소방당국은 해당 단독주택에 비치되어야 할 소화기를 포함한 소방안전시설의 설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소방안전시설 설치정보는 소방안전과 관련한 법규에 부합하기 위하여 해당 건물의 층마다 또는 구획마다 소화기를 몇개를 비치해야 하는지, 어떻게 비치해야 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주거시설정보는 주거지가 단독주택인 경우 뿐만 아니라 건물, 공공주택 등 구거지에 대한 모든 형태의 건축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데이터 수집단계(S120)는 소화기를 보유한 개인으로부터 개별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별데이터는 소화기를 비치한 주거지에 거주하는 개인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개별데이터는 사용자인 개인이 제공하는 개인의 주소정보, 소화기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정보 생성단계(S150)는 공공데이터와, 주거시설정보와, 개별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지역단위 별로 상기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은 소화기관리자가 배포하는 소방안전앱을 자신의 단말기(200)에 설치하고 자신이 거주하는 거주지의 주소와 해당 주소에 비치된 소화기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합격표시 번호 등을 입력하면 소화기를 추적관리하는 소화기관리자의 서버로 해당 주소와 소화기 정보가 전송된다.
소화기관리자는 이렇게 수집된 개별데이터를 이미 수집한 공공데이터와 주거시설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지역단위 별로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기초로 소방안전맵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개인의 단말기(200)와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과 공공데이터 송신부는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개인이 소유하는 단말기(200)는 스마트폰(201), 스마트 패드(202), 노트북(203),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데이터 수집단계(S120)에서 개인은 소화기관리자가 배포한 소방안전앱을 자신의 단말기(200)에 설치하고, 회원가입하면서 자신이 거주하는 거주지의 주소를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에 등록하고, 자신의 주거지에 비치하고 있는 소화기의 고유식별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상황정보 생성단계(S150)에서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개인이 거주하는 거주지의 해당 주소에 소화기가 1개가 비치되어 있는지 또는 2개가 비치되어 있는지 등의 소화기 갯수정보가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은, 상황정보 생성단계(S150) 이전에,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이 공공데이터와, 개별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소화기의 폐기 여부를 판단하는 폐기여부 판단단계(S130); 및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에 의하여 소화기가 폐기 대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소화기의 수거 폐기 명령을 수행하고, 소확기가 폐기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소화기의 유지관리 명령을 수행하는 소화기 관리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해당 소화기에 대한 공공데이터를 이미 수집하고 있다. 즉 해당 소화기의 제조사가 제공한 소화기 정보와 해당 소화기를 관리 점검 의무가 있는 기관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미 수집하고 있다. 그러다가 개인이 자신의 소화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소방안전앱에 등록하게 되면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공공데이터와 개별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소화기가 폐기되어야 할 소화기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소화기가 유통기간이 이미 도과되어 폐기일이 경과된 소화기 이거나, 기관의 점검심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이력이 확인되어 이미 폐기처분되어야 할 소화기라고 인정되면,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폐소화기 수거업체에 폐기시스템(100) 상으로 신청하고, 폐기시스템(100) 상으로 신청받은 수거업체가 폐소화기가 비치된 주소로 방문에서 폐소화기를 수거해서 폐기할 수 있다.
이 경우, 폐소화기 수거업체가 해당 폐소화기를 수거해서 폐기 처분한 경우 해당 소화기는 폐기처분되었다는 정보가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에 등록될 수 있다.
예컨대, 개인이 갑(甲)인 경우, 갑이 갖고 있는 특정 주소에 비치되어 있는 소화기는 이미 폐소화기 수거업체에 수거 신청되어 특정일에 폐기업체에 의하여 폐기 처분되었다 라는 정보가 수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갑의 거주지에는 소화기가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갑에게 소화기를 신속히 구매하도록 등록된 갑의 단말기(200)로 안내 메시지를 보내어 갑에게 신속한 구매를 촉구할 수 있다.
갑의 거주지에 비치된 소화기가 아직 폐기될 필요가 없는 것이라면 갑이 주기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에서 갑의 단말기(200)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안내 메시지의 전송방식은 예컨대 푸시알람 등의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개인이 소화기를 비치하고 있는 거주지가 가정주택과 같은 곳이라면 예컨대 분기별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거주지가 건물이라면 월별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건물 등과 같이 법률에 의하여 집중 관리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시간 간격을 좁혀서 전송할 수 있다.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계속적인 소화기 관리를 통하여 소화기가 해당 거주지에 제대로 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시켜 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 처리가 안된 소화기들을 특정 시간 간격으로 예컨대 가정주택의 경우 3개월에 한번씩 소방안전관리자에게 확인이 되므로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에 의하여 소방안전관리자는 해당 주소에 소화기가 제대로 비치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소방안전관리자는 갑이 거주하는 특정 주소지(거주지를 의미함)에, (1) 폐기된 후에 재구입되어 비치가 아직 안된 상태의 소화기가 1대 있고, (2) 이미 폐기되어야 하지만 아직 폐소화기 수거업체에서 수거하지 않아서 폐기되지 않은 소화기가 1대 있으며, (3) 유효하게 관리되는 소화기가 1대가 있다라는 정보(이를 본 명세서에서 소화기의 '이력정보'라고 한다)를 알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소화기의 상황정보라 함은 해당 주소지에, 법령에 의하여 이미 정해져 있는, 비치되여야 할 소화기의 비치댓수, 설치위치 등과 관련한 정보와 실제 해당 주소지에 비치된 소화기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건물에 사무실이 20개가 있고, 해당 건물이 5층이고 건물의 면적이 1000 m2인 경우, 각 층의 사무실마다 소화기가 1개씩은 비치되어야 한다는 법령 기준이 있다. 이 기준에 의하여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소방안전앱에 등록해 보면 알 수 있는 것이다. 즉, 개인이 소방안전앱을 자신의 단말기(200)에 설치하고 자신의 거주지 주소와 소화기의 고유식별번호를 입력하면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해당 주거지와 관련한 법령을 기초로 소화기의 비치가 적법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황정보는 행정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는 지역단위 별로 생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일정 규모 기준 이상되는 건물은 기관의 관리감독을 받으므로 소방시스템에 잘 갖추어 질 수 있지만, 개인이 거주하는 단독주택은 소방시스템에 취약하며,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소방안전상태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러한 개인이 거주하는 단독주택과 같이 소방시스템이 잘 갖춰지지 않은 지역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에 의하여 개인에 의하여 개별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즉, 개인이 자신의 단말기(200)를 통하여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으로 직접 개별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방안전관리 시스템이 해당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면, 소방안전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며, 이렇게 수집된 개별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소방시스템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은, 실시예에 따라서 상황정보 생성단계(S150) 이후에, 소화기의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지역단위 별로 소방안전 등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소방안전맵을 제작하는 소방안전맵 제작단계(S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황정보 생성단계(S150)에서 지역단위 별로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한다는 것은 단독주택이 난립하는 단독주택지구 별로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소방당국의 관리가 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 별로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도시를 전체적으로 볼 때 어느 곳이 소방안전에 취약한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소방안전맵이 제작되는 것이다.
예컨대,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개인이 입력한 개별데이터와 기 수집된 주거시설정보를 비교 매칭하여 특정 단독주택 지구 A의 단독주택 a에는 해당 면적에 기초하여 2 대의 소화기가 비치되어야 한다고 법규에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독주택 a에 소화기가 2대가 비치되어 있으면, 전자지도에서 단독주택 a를 표시한 지점은 녹색 인디케이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독주택 a에 소화기가 1대만 비치되어 있으면 주황색 인디케이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한 대도 비치되어 있지 않으면 빨간색 인디케이터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녹색은 예컨대 소방안전 우수지역임을 의미할 수 있고, 주황색은 소방안전 취약지역임을 의미할 수 있고, 빨간색은 소방안전 위험지역임을 의미할 수 있다. 소방안전시스템은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단독주택 지구 A의 소방안전과 관련한 위험도 분포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가 수집되면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해당 단독주택 지구 A에는 소화기가 총 100대가 비치되어야 하는데 70대 밖에 비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해당 단독주택 지구 A는 소방시설이 위험 수준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예컨대 단독주택 지구 A, 단독주택 지구 B, 빌딩 지구 C, 빌딩 지구 D 등의 지역단위 별로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단독주택 지구 A에 2층으로 구성된 단독주택 a에 갑이 거주하고, 3층으로 구성된 단독주택 b에 을이 거주하며, 4층으로 구성된 단독주택 c에 병이 거주하고, 단층으로 구성된 단독주택 d에 정이 거주하는 경우, 갑, 을, 병, 정이 모두 소방안젼앱을 설치하고 자신의 거주지 주소와 소화기의 고유식별번호를 등록하는 경우,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은 각 단독주택 a, b, c, d가 보유해야 할 소화기가 각각 주거시설정보를 기초로 볼때 법규상 층수 별로 하나씩 보유해야 하는 경우, 단독주낵 a에 거주하는 갑은 2개의 소화기를 등록해야 하고, 단독주택 b에 거주하는 을은 3개의 소화기를 등록해야 하며, 단독주택 c에 거주하는 병은 4개의 소화기를 등록해야 하고, 단독주택 d에 거주하는 정은 1개의 소화기를 등록해야 한다.
그런데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에서 갑, 을, 병, 정이 각각 등록한 개별데이터와 주거시설정보와 공공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갑이 등록한 2개의 소화기 중에서 1개는 유효기간이 도과되어 이미 폐기되어야 하는 소화기임이 확인되고, 을이 등록한 소화기 중에서 2개가 폐기되어야 하는 소화기이며, 병이 등록한 소화기 중에서 2개는 이미 폐기 대상이 되어 폐소화기 수거업체에서 소화기를 수거하여 폐기하였지만 병은 아직 폐기된 2개의 소화기를 대체하는 소화기를 구입하여 소방안전앱에 등록하지 않은 상태이고, 정은 1개의 유효기간이 남아 있는 소화기를 소방안전앱에 등록한 경우,
이 상황을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이 분석하여 갑이 거주하는 단독주택 a는 소방안전 취약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고, 을 및 병이 거주하는 단독주택 b, c는 소방안전 위험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정이 거주하는 단독주택 d는 소방안전 우수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이다.
소방안전관리시스템(300)이 해당지역을 소방안전 취약지역으로 분류한 경우, 해당 지역을 주황색 인디케이터로 표시할 수 있고, 위험지역으로 분류한 경우 해당 지역을 빨간색 인디케이터로 표시할 수 있으며, 우수지역으로 분류한 경우 해당 지역을 녹색 인디케이터로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전자지도 상에서 소방안전도의 분포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화재가 나면 우수지역으로 분류된 단독주택 d도 단독주택 b,c 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소방안전으로부터 위험하다. 따라서 단독주택 지구 A 전체적으로 보게 되면 소방시설은 주의 또는 위험으로 판정될 수 있으며, 해당 단독주택 지구 A에 대해서는 소방안전에 대한 경고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단독주택 지구 A에 단독주택 d와 같은 녹색 인디케이터가 70% 이상 분포하는 경우는 단독주택 지구 A는 소방안전에 대하여 안전 수준으로 인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분석은 단독주택인 경우 뿐만 아니라 빌딩 등 건축물이 있는 지역도 해당 주거시설정보에 기초하여 소방안전도가 판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지역단위 별로 전자지도에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하여 소방안전맵을 제작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소화기의 태그에 QR코드를 넣어서 관리자가 직접 개인의 거주지에 방문해서 소화기 스캐너로 스캔해서 소화기 정보를 수집하는 하는 방식은 관리자의 무성의 무관심으로 인하여 정확도가 매우 떨어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은 개인이 능동적으로 개별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정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행정안전부 등 기관에서 보았을 때 이것을 모두 녹색 인디케이터로 변경할 수 있는 정책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난립된 단독주택의 경우는 종래의 소화기 관리자의 방문 수집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본 발명에 의한 소방안전맵으로서 전체적으로 지역단위 별로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지역관점에서 보면 녹색은 소방 우수지역, 주황색은 소방 취약지역, 빨간색은 소방 위험지역으로 분류 파악될 수 있으므로, 지자체의 관리자가 난립한 단독주택 지구에 대하여 소방안전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소방안전맵이 길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폐기시스템
200: 개인의 단말기
300: 소방안전관리시스템
400: 네트워크

Claims (5)

  1. 복수의 소화기의 이력을 추적 관리하고, 지역단위 별로 상기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소방안전맵 제작방법에 있어서,
    소화기에 관한 공공데이터를 수집하는 공공데이터 수집단계;
    화재시 상기 소화기의 사용자가 될 개인의 거주지를 포함하는 주거시설정보를 수집하는 주거시설정보 수집단계;
    상기 소화기를 보유한 개인으로부터 개별데이터를 수집하는 개별데이터 수집단계; 및
    상기 공공데이터와, 상기 주거시설정보와, 상기 개별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지역단위 별로 상기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상황정보 생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정보 생성단계 이후에, 상기 소화기의 상기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지역단위 별로 소방안전 등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소방안전맵을 제작하는 소방안전맵 제작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황정보 생성단계에서 지역단위 별로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한다는 것은 도시를 전체적으로 볼 때 어느 곳이 소방안전에 취약한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상기 소방안전맵이 제작하기 위하여, 단독주택이 난립하는 단독주택지구 별로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소방당국의 관리가 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 별로 소화기의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소방안전맵 생성단계는 상기 지역단위 별로 소방안전과 관련한 위험도 분포를 색깔별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공공데이터는 상기 소화기의 제조회사가 제공하는 상기 소화기의 제조일자정보, 형식승인정보, 판매정보, 설치정보, 점검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데이터는 상기 개인이 제공하는 상기 개인의 주소정보, 상기 소화기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상황정보 생성단계 이전에,
    상기 공공데이터와, 상기 개별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소화기의 폐기 여부를 판단하는 폐기여부 판단단계; 및
    상기 소화기가 폐기 대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소화기의 수거 폐기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소화기가 폐기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소화기의 유지관리 명령을 수행하는 소화기 관리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공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상기 공공데이터는 소방산업기술원에서 상기 소화기 품질에 대하여 심사하여 합격 표시를 한 경우의 상기 합격 표시의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거시설정보는 주거지가 단독주택인 경우 상기 단독주택의 면적에 대한 정보, 몇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층수정보, 방의 개수와 공동시설의 구획이 구성되는 구획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기 관리단계에서 상기 폐기 대상으로 판단된 경우는 상기 소화기의 유통기간이 도과하여 폐기일이 경과된 소화기 이거나 기관의 점검심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이력이 확인되는 경우이고 이 경우 폐소화기 수거업체에 폐기시스템 상으로 신청을 하면 상기 폐기시스템 상으로 신청받은 상기 폐소화기 수거업체가 폐소화기가 비치된 주소로 방문해서 폐소화기를 폐기하도록 하고,
    상기 폐소화기 수거업체가 상기 폐소화기를 수거해서 폐기 처분한 경우 상기 폐소화기는 폐기 처분되었다는 정보가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안전맵 제작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80035A 2020-12-21 2020-12-21 소방안전 맵 제작방법 및 제작 시스템 KR10252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35A KR102521429B1 (ko) 2020-12-21 2020-12-21 소방안전 맵 제작방법 및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35A KR102521429B1 (ko) 2020-12-21 2020-12-21 소방안전 맵 제작방법 및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24A KR20220089424A (ko) 2022-06-28
KR102521429B1 true KR102521429B1 (ko) 2023-04-14

Family

ID=8226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035A KR102521429B1 (ko) 2020-12-21 2020-12-21 소방안전 맵 제작방법 및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093B1 (ko) 2022-08-11 2023-04-06 임형태 소화기 및 폐소화기를 통합적으로 운영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382B1 (ko) 2018-01-11 2019-01-07 주식회사 플럭시티 3차원 안전 지도를 이용한 재래 시장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848A (ko) * 2009-06-23 2010-12-3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 원격관리 시스템
KR102234346B1 (ko) * 2018-12-13 2021-03-31 (주) 파이디언 소방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90128128A (ko) * 2019-11-07 2019-11-15 진영배 소화기 정보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382B1 (ko) 2018-01-11 2019-01-07 주식회사 플럭시티 3차원 안전 지도를 이용한 재래 시장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24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6998B1 (en) Safety device inspection
US75870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entralized emergency management
US7429921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a fire alarm or security system
CN105160514A (zh) 治安综合管理***和治安综合管理的方法
KR101608386B1 (ko) 실시간 교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CN106276469A (zh) 一种电梯应急处理***及应急处理方法
KR102521429B1 (ko) 소방안전 맵 제작방법 및 제작 시스템
CN103971188A (zh) 消防管理服务平台及其实现方法
US107555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service of installed devices using RFID
KR102492849B1 (ko) 스마트 건축물 유지 관리 시스템
KR100821280B1 (ko) 관급공사관리시스템, 관급공사관리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기록한 저장매체
KR102010924B1 (ko)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관리방법
KR20220003431A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사용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17277B1 (ko) 블록체인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시스템
Siebold et al. Table-top urban risk and resilience management for football events
CN113743781A (zh) 数据监测方法及装置
EP3467797A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verification using access control system
Oswald et al. Machine learning predictive algorithms and the policing of future crimes: governance and oversight
Wong et al. Screening for indoor air quality of air-conditioned offices
KR20150029513A (ko) 개인정보보호 측정 시스템 및 방법
Garis et al. A Dynamic Risk-‐Based Framework for Redesigning the Scheduling of Fire Safety Inspections
MacKay et al. Action indicators for injury prevention
Lee et al. Assessing Probability of Fire in an Administrative District
Alliance CASA
Safety False Alarm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