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57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575B1
KR102520575B1 KR1020160088891A KR20160088891A KR102520575B1 KR 102520575 B1 KR102520575 B1 KR 102520575B1 KR 1020160088891 A KR1020160088891 A KR 1020160088891A KR 20160088891 A KR20160088891 A KR 20160088891A KR 102520575 B1 KR102520575 B1 KR 102520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us
angle limiting
limiting member
members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739A (ko
Inventor
서정은
김경태
박혜령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8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575B1/ko
Priority to US15/649,134 priority patent/US10244641B2/en
Priority to CN201710569708.2A priority patent/CN107622734B/zh
Priority to EP17181134.2A priority patent/EP3270259B1/en
Priority to JP2017137214A priority patent/JP6857565B2/ja
Priority to TW106123542A priority patent/TWI732902B/zh
Publication of KR2018000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뻗은 축을 중심으로 벤딩 가능한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며 잇달아 배열되고, 각각 두 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관절 부재들, 상기 복수의 관절 부재들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관절 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복수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 및 상기 복수의 관절 부재들 중 인접한 한 쌍의 관절 부재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과 결합하여, 서로 접촉하는 상기 한 쌍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을 내부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연결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 전계 효과 표시 장치(field effect display: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self-luminance)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표시 장치가 휘거나 접힐 수 있는 가요성(flexible) 표시 장치로 개발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벤딩 영역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뻗은 축을 중심으로 벤딩 가능한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며 잇달아 배열되고, 각각 두 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관절 부재들, 상기 복수의 관절 부재들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관절 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복수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 및 상기 복수의 관절 부재들 중 인접한 한 쌍의 관절 부재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과 결합하여, 서로 접촉하는 상기 한 쌍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을 내부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연결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접한 한 쌍의 관절 부재는 각각 제1 관절 부재 및 제2 관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절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제2 면 및 제3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이루는 제1 각도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이 이루는 제2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절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제4 면, 상기 제4 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제5 면 및 제6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5 면은 상기 제1 관절 부재의 상기 제3 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4 면과 상기 제5 면이 이루는 제3 각도와 상기 제4 면과 상기 제6 면이 이루는 제4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상기 제3 각도와 상기 제4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은, 상기 제1 관절 부재 및 상기 제2 관절 부재의 각각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 및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선과 나란한 제1 회전축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는, 상기 제4 면과 상기 제5 면이 만나는 선과 나란한 제2 회전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은 제1 반지름, 제2 반지름 및 제1 호(ar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반지름은 상기 제1 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2 반지름은 상기 제3 면과 나란하며, 상기 제1 호는 상기 제2 면을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은 제3 반지름, 제4 반지름 및 제2 호(ar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반지름은 상기 제1 반지름과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4 반지름은 상기 제2 반지름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3 반지름은 상기 제4 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4 반지름은 상기 제5 면과 나란하며, 상기 제2 호는 상기 제6 면을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들 각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부채꼴 형상의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제1 호와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제2 호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은 제1 반지름, 제2 반지름 및 제1 호(ar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반지름은 상기 제1 면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2 반지름은 상기 제1 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1 호는 상기 제2 면을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은 제3 반지름, 제4 반지름 및 제2 호(ar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반지름은 상기 제1 반지름과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4 반지름은 상기 제2 반지름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3 반지름은 상기 제4 면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4 반지름은 상기 제4 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2 호는 상기 제6 면을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절 부재의 상기 제3 면에는, 상기 제5 면에 미는 힘을 가하는 간격 유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제3 면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돌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벤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평탄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평탄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벤딩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평탄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평탄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2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의 벤딩 영역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패널 지지부와 표시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패널 지지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관절 부재와 제2 관절 부재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패널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패널 지지부가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관절 부재와 제2 관절 부재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의 패널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패널 지지부가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PNL), 제1 지지판(200), 제2 지지판(400) 및 패널 지지부(PNL-S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 지지부(PNL-SU)가 표시 패널(PNL)의 벤딩 영역(BA)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패널 지지부(PNL-SU)가 동일한 형태의 복수의 관절 부재들(110, 130)로 이루어져, 표시 장치가 펼쳐지거나 접힐 때에 벤딩 영역(BA)의 표시 패널(PNL)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PNL)은 빛을 발광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PNL)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의 표시 패널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장치(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전계 방출 표시 장치(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PNL)은 제1 평탄 영역(DA1), 제2 평탄 영역(DA2) 및 벤딩 영역(B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평탄 영역(DA1), 제2 평탄 영역(DA2) 및 벤딩 영역(BA)은 모두 화상을 표시 영역으로, 복수의 화소(Pixel)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평탄 영역(DA1) 및 제2 평탄 영역(DA2)은 벤딩 영역(BA)과 달리 표시 패널(PNL)이 편평하게 유지되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반면에, 벤딩 영역(BA)은 표시 패널(PNL)이 반복적으로 구부려지거나 펼쳐지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벤딩 영역(BA)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 평탄 영역(DA1) 및 제2 평탄 영역(DA2)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평탄 영역(DA1), 벤딩 영역(BA) 및 제2 평탄 영역(DA2)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 지지부(PNL-SU)의 일측에는 제1 지지판(2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판(200)은 표시 패널(PNL)의 제1 평탄 영역(DA1)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판(200)은 제1 평탄 영역(DA1)에서 표시 패널(PNL)을 편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판(200)은 판상 형상일 수 있다. 표시 패널(PNL)과 마주보는 제1 지지판(200)의 상면은 편평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P)의 표면이 울퉁불퉁해지거나, 표시 패널(P)의 표면에 굴곡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판(200)은 표시 패널(PNL)의 제1 평탄 영역(DA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판(200)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판(200)의 면적은 제1 평탄 영역(DA1)의 표시 패널(PNL)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 지지부(PNL-SU)의 타측에는 제2 지지판(4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판(400)은 표시 패널(PNL)의 제2 평탄 영역(DA2)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판(400)은 제2 평탄 영역(DA2)에서 표시 패널(PNL)을 편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판(400)은 판상 형상일 수 있다. 제1 지지판(200)과 마찬가지로, 표시 패널(PNL)과 마주보는 제2 지지판(400)의 상면도 편평할 수 있다.
제2 지지판(400)은 표시 패널(PNL)의 제2 평탄 영역(DA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판(400)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판(400)의 면적은 제2 평탄 영역(DA2)의 표시 패널(PNL)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패널 지지부(PNL-SU)가 벤딩되면, 패널 지지부(PNL-SU)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지지판(200) 및 제2 지지판(400)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지지판(200) 및 제2 지지판(400)이 서로 마주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접힌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표시 패널(PNL)에서 구현되는 화상은 외측을 향하여 표시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패널 지지부(PNL-SU)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패널 지지부와 표시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패널 지지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 관절 부재와 제2 관절 부재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패널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패널 지지부가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패널 지지부(PNL-SU)는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PNL)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패널 지지부(PNL-SU)는 복수의 관절 부재들(110, 130), 복수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10b, 310c, 310d, 330a, 330b, 330c, 330d) 및 복수의 연결 부재들(7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절 부재들(110, 130)은 표시 패널(PNL)과 접촉하여 표시 패널(PNL)을 지지하는 부재들로서, 복수의 관절 부재들(110, 130)은 제2 방향을 따라 잇달아 배열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 좌표를 나타내는 x 축은 제1 방향을, y 축은 제2 방향을, z 축은 제3 방향을 나타낸다.
복수의 관절 부재들(110, 130)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의 부재로서, 제2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복수의 관절 부재들(110, 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관절 부재들(110, 130) 중 제1 관절 부재(110)는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바형 부재이다. 이때, 제1 방향은 표시 패널(PNL)이 벤딩할 때 중심이 되는 축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관절 부재(110)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관절 부재(110)의 단면은 제1 관절 부재(110)를 y-z 평면으로 절단한 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제1 관절 부재(110)는 제1 면(110a), 제2 면(110b) 및 제3 면(11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10a)은 표시 패널(PNL)과 마주보는 면으로, 상기 사다리꼴의 윗변이 포함되는 면일 수 있다.
제2 면(110b) 및 제3 면(110c)은 제1 면(110a)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하는 면에 해당될 수 있다. 제2 면(110b)과 제3 면(110c)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110a)과 제2 면(110b)이 이루는 제1 각도(θ1)과 제1 면(110a)과 제3 면(110c)이 이루는 제2 각도(θ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는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절 부재들(110, 130) 중 제2 관절 부재(130)는, 제1 관절 부재(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바형 부재이다.
제1 관절 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제2 관절 부재(130)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관절 부재(130)의 단면은 제2 관절 부재(130)를 제3 방향으로 절단한 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제2 관절 부재(130)는 제4 면(130a), 제5 면(130b) 및 제6 면(13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면(130a)은 표시 패널(PNL)과 마주보는 면으로, 상기 사다리꼴의 윗변이 포함되는 면일 수 있다.
제5 면(130b) 및 제6 면(130c)은 제4 면(130a)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하는 면에 해당될 수 있다. 제5 면(130b)과 제6 면(130c)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면(130a)과 제5 면(130b)이 이루는 제3 각도(θ3)과 제4 면(130a)과 제6 면(130c)이 이루는 제4 각도(θ4)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각도(θ3)와 제4 각도(θ4)는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각도(θ3)와 제4 각도(θ4)는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와도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나 제2 관절 부재(130)의 제3 각도(θ3)와 제4 각도(θ4)를 조절하면, 패널 지지부(PNL-SU)를 구성하는 복수의 관절 부재(110, 13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각도를 조절하면, 패널 지지부(PNL-SU)가 벤딩될 때, 패널 지지부(PNL-SU)의 곡률 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지지판(200)과 제2 지지판(400)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패널 지지부(PNL-SU)를 벤딩시킬 때, 상기 각도가 작아지면 패널 지지부(PNL-SU)의 곡률 반경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 지지부(PNL-SU)의 곡률 반경이 감소하면, 패널 지지부(PNL-SU)를 구성하는 복수의 관절 부재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각도가 증가하면, 패널 지지부(PNL-SU)의 곡률 반경이 증가하고, 또한 패널 지지부(PNL-SU)를 구성하는 복수의 관절 부재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절 부재(110)는 제1 회전축(AX_1) 또는 제3 회전축(AX_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관절 부재(110)는 제1 회전축(AX_1)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제1 관절 부재(110)는 제3 회전축(AX_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회전축(AX_1)은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면(110a)과 제3 면(110c)이 만나는 선과 나란하고, 제3 회전축(AX_3)은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면(110a)과 제2 면(110b)이 만나는 선과 나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관절 부재(130)는 제2 회전축(AX_2) 또는 제4 회전축(AX_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 관절 부재(130)는 제2 회전축(AX_2)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제2 관절 부재(130)는 제4 회전축(AX_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회전축(AX_2)은 제2 관절 부재(130)의 제4 면(130a)과 제5 면(130b)이 만나는 선과 나란하고, 제4 회전축(AX_4)은 제2 관절 부재(130)의 제4 면(130a)과 제6 면(130c)이 만나는 선과 나란할 수 있다.
이때,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회전축(AX_1)과 제2 관절 부재(130)의 제2 회전축(AX_2)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축(AX_1)과 제2 회전축(AX_2)은 동일한 회전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관절 부재들(110, 130) 각각에는 복수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30b)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30b)은 복수의 관절 부재들(110, 130) 각각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30b)은 각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30b)이 결합된 각 관절 부재들(110, 130)이 특정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관절 부재(110)에는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10b, 310c, 310d)이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10b, 310c, 310d)은 제1 방향을 따라 제1 관절 부재(110)의 양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10b, 310c, 310d) 중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10c)은 제1 면(110a)과 제3 면(110c)이 만나는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10c)은 제1 회전축(AX_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10b, 310c, 310d) 중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b, 310d)은 제1 면(110a)과 제2 면(110b)이 만나는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b, 310d)은 제3 회전축(AX_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관절 부재(130)에는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30a, 330b, 330c, 330d)이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30a, 330b, 330c, 330d)은 제1 방향을 따라 제2 관절 부재(130)의 양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30a, 330b, 330c, 330d) 중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30a, 330c)은 제4 면(130a)과 제6 면(130c)이 만나는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30a, 330c)은 제4 회전축(AX_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30a, 330b, 330c, 330d) 중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30b, 330d)은 제4 면(130a)과 제5 면(130b)이 만나는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30b, 330d)은 제2 회전축(AX_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절 부재(110)에 결합되는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310a, 310b, 310c, 310d)은, 제3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이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회전축(AX_1) 상에는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는 제1 반지름(R1), 제2 반지름(R2) 및 제1 호(AR1)로 이루어지는 부채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호(AR1)는 부채꼴의 호(arc)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반지름(R1)은 제1 면(110a)에 수직하고, 제2 반지름(R2)은 제3 면(110c)과 나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호(AR1)는 제2 면(110b)을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즉,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호(AR1)는 마주보는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를 향해 볼록하지 않고, 제1 관절 부재(110)의 제2 면(110b)을 향해 볼록하다. 그리고, 제1 회전축(AX_1)은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관절 부재(130)의 제2 회전축(AX_2) 상에는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는 제3 반지름(R3), 제4 반지름(R4) 및 제2 호(AR2)로 이루어지는 부채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호(AR2)는 부채꼴의 호(arc)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반지름(R3)은 제4 면(130a)에 수직하고, 제4 반지름(R4)은 제5 면(130b)과 나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호(AR2)는 제6 면(130c)을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즉,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2 호(AR2)는 마주보는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를 향해 볼록하지 않고, 제2 관절 부재(130)의 제6 면(130c)을 향해 볼록하다. 그리고, 제2 회전축(AX_2)은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3 반지름(R3)은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반지름(R1)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4 반지름(R4)은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2 반지름(R2)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부재(700)는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및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와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70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채꼴 형상의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호(AR1, 도 5 참조) 및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2 호(AR2, 도 5 참조)는 링 형상의 연결 부재(700)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다.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호(AR1)는 연결 부재(700)의 내주면 일부와 접하면서 제1 회전축(AX_1, 도 5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2 호(AR2)는 연결 부재(700)의 내주면의 나머지 일부와 접하면서 제2 회전축(AX_2, 도 5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축(AX_1)와 제2 회전축(AX_2)은 서로 중첩되므로,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호(AR1)와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2 호(AR2)는 링 형상의 연결 부재(700)의 내주면을 따라 동일한 회전축(AX_1, AX_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반지름(R1, 도 5 참조)과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3 반지름(R3, 도 5 참조)은 서로 마주보고, 제1 반지름(R1)과 제3 반지름(R3)은 각각 제1 면(110a, 도 5 참조)과 제4 면(130a, 도 5 참조)에 수직하기 때문에,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 및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회전 방향, 즉 회전 각도는 제한된다.
도 5에서는,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3 반지름(R3) 때문에,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반지름(R1)은 x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즉, 도 5에서,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반지름(R1)은 x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으나, 시계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반지름(R1) 때문에,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3 반지름(R3)은 x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즉, 도 5에서,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3 반지름(R3)은 x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으나, 반시계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와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에 의해, 제1 관절 부재(110)는 제1 회전축(AX_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관절 부재(130)는 제1 회전축(AX_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면(110a)과 제2 관절 부재(130)의 제4 면(130a)은, z 축을 따라 상측으로 볼록하게 벤딩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면(110a)과 제2 관절 부재(130)의 제4 면(130a)은, z 축을 따라 하측으로 볼록하게 벤딩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는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와 제2 관절 부재(130)의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형상에, 패널 지지부(PNL-SU) 상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PNL)은 z 축을 따라 상측으로만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관절 부재(110)의 제3 면(110c) 및 제2 관절 부재(130)의 제6 면(130c)에는 각각 간격 유지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절 부재(110)의 간격 유지부(500)는, 제1 관절 부재(110)의 제3 면(110c)과 제2 관절 부재(130)의 제5 면(130b)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이때, 간격 유지부(50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부(500)는 탄성 부재(530) 및 돌기 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530)는 제1 면(110a)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530)는 스프링일 수 있다. 돌기 부재(510)는 탄성 부재(53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제2 관절 부재(130)의 제5 면(130b)과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간격 유지부(500)는 탄성 부재(530)만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탄성 부재(530)가 제2 관절 부재(130)의 제5 면(130b)에 직접 접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격 유지부(500)의 탄성 부재(530)에 의해 돌기 부재(510)는 제2 관절 부재(130)의 제5 면(130b)에 미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관절 부재(110) 및 제2 관절 부재(130)에 외력이 가하지 않은 경우에,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면(110a)과 제2 관절 부재(130)의 제4 면(130a)은 x 축 및 y 축이 형성한 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면(110a)과 제2 관절 부재(130)의 제4 면(130a)은 임의의 평면을 형성하고, 제1 면(110a) 및 제4 면(130a) 위에 놓이는 표시 패널(PNL)이 편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관절 부재(110) 및 제2 관절 부재(130)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2 관절 부재(130)의 제5 면(130b)이 간격 유지부(500)의 돌기 부재(510)를 누르게 된다. 이에 의해, 돌기 부재(510)는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면(110a)에 형성된 홈으로 들어가게 된다.
하기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PNL)은 제1 평탄 영역(DA1) 및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에서는 벤딩 영역(BA)에 하나의 제1 평탄 영역(DA1)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지지부(PNL-SU)의 일측에는 제1 지지판(2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판(200)은 표시 패널(PNL)의 제1 평탄 영역(DA1)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 지지부(PNL-SU)가 벤딩되는 경우,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PNL)의 제1 평탄 영역(DA1)은 편평하고, 벤딩 영역(BA)은 만곡된 형태의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관절 부재와 제2 관절 부재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제3 실시예의 패널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패널 지지부가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회전축(AX_1) 상에는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는 제1 반지름(R1), 제2 반지름(R2) 및 제1 호(AR1)로 이루어지는 부채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호(AR1)는 부채꼴의 호(arc)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반지름(R1)은 제1 면(110a)과 예각을 이루고, 제2 반지름(R2)은 제1 면(110a)과 수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호(AR1)는 제2 면(110b)을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즉,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호(AR1)는 마주보는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를 향해 볼록하지 않고, 제1 관절 부재(110)의 제2 면(110b)을 향해 볼록하다. 그리고, 제1 회전축(AX_1)은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관절 부재(130)의 제2 회전축(AX_2) 상에는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는 제3 반지름(R3), 제4 반지름(R4) 및 제2 호(AR2)로 이루어지는 부채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호(AR2)는 부채꼴의 호(arc)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반지름(R3)은 제4 면(130a)과 예각을 이루고, 제4 반지름(R4)은 제4 면(130a)과 수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호(AR2)는 제6 면(130c)을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즉,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2 호(AR2)는 마주보는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를 향해 볼록하지 않고, 제2 관절 부재(130)의 제6 면(130c)을 향해 볼록하다. 그리고, 제2 회전축(AX_2)은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3 반지름(R3)은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반지름(R1)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4 반지름(R4)은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2 반지름(R2)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 부재(700)는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 및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와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70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채꼴 형상의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호(AR1, 도 10 참조) 및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2 호(AR2, 도 10 참조)는 링 형상의 연결 부재(700)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다.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호(AR1)는 연결 부재(700)의 내주면 일부와 접하면서 제1 회전축(AX_1, 도 10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2 호(AR2)는 연결 부재(700)의 내주면의 나머지 일부와 접하면서 제2 회전축(AX_2, 도 10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축(AX_1)와 제2 회전축(AX_2)은 서로 중첩되므로,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1 호(AR1)와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2 호(AR2)는 링 형상의 연결 부재(700)의 내주면을 따라 동일한 회전축(AX_1, AX_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2 반지름(R2, 도 10 참조)과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4 반지름(R4, 도 10 참조)은 서로 마주보고, 제2 반지름(R2)과 제4 반지름(R4)은 각각 제1 면(110a, 도 10 참조)과 제4 면(130a, 도 10 참조)에 수직하기 때문에,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 및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회전 방향, 즉 회전 각도는 제한된다.
도 11에서는,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4 반지름(R4) 때문에,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2 반지름(R2)은 x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즉, 도 10에서,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2 반지름(R2)은 x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으나, 반시계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의 제2 반지름(R2) 때문에,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4 반지름(R4)은 x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즉, 도 10에서,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제4 반지름(R4)은 x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으나, 시계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와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에 의해, 제1 관절 부재(110)는 제1 회전축(AX_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관절 부재(130)는 제1 회전축(AX_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면(110a)과 제2 관절 부재(130)의 제4 면(130a)은, z 축을 따라 하측으로 볼록하게 벤딩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면(110a)과 제2 관절 부재(130)의 제4 면(130a)은, z 축을 따라 상측으로 볼록하게 벤딩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는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관절 부재(110)의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310a)와 제2 관절 부재(130)의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330b)의 형상에, 패널 지지부(PNL-SU) 상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PNL)은 z 축을 따라 하측으로만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패널 지지부(PNL-SU)가 동일한 형태의 복수의 관절 부재들(110, 130)로 이루어져, 표시 패널(PNL)을 일측 방향으로만 볼록하게 벤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PNL 표시 패널
DA1 제1 평탄 영역
DA2 제2 평탄 영역
BA 벤딩 영역
PNL-SU 패널 지지부
AX_1 제1 회전축
AX_2 제2 회전축
AX_3 제3 회전축
AX_4 제4 회전축
R1 제1 반지름
R2 제2 반지름
AR1 제1 호
R3 제3 반지름
R4 제4 반지름
AR2 제2 호
110 제1 관절 부재
110a 제1 면
110b 제2 면
110c 제3 면
130 제2 관절 부재
130a 제4 면
130b 제5 면
130c 제6 면
310a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
330b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

Claims (26)

  1. 제1 방향으로 뻗은 축을 중심으로 벤딩 가능한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며 잇달아 배열되고, 각각 두 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관절 부재들;
    상기 복수의 관절 부재들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관절 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복수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 및
    상기 복수의 관절 부재들 중 인접한 한 쌍의 관절 부재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과 결합하여, 서로 접촉하는 상기 한 쌍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을 내부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연결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 각각은 링 형상을 갖고, 상기 회전 각도 제한 부재는 상기 링 내부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한 쌍의 관절 부재는 각각 제1 관절 부재 및 제2 관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절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제2 면 및 제3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이루는 제1 각도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이 이루는 제2 각도는 예각인,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절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제4 면;
    상기 제4 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제5 면 및 제6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5 면은 상기 제1 관절 부재의 상기 제3 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4 면과 상기 제5 면이 이루는 제3 각도와 상기 제4 면과 상기 제6 면이 이루는 제4 각도는 예각인,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와 상기 제4 각도는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 각도 제한 부재들은, 상기 제1 관절 부재 및 상기 제2 관절 부재의 각각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 및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선과 나란한 제1 회전축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는, 상기 제4 면과 상기 제5 면이 만나는 선과 나란한 제2 회전축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부채꼴 형상인,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은 제1 반지름, 제2 반지름 및 제1 호(ar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반지름은 상기 제1 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2 반지름은 상기 제3 면과 나란하며,
    상기 제1 호는 상기 제2 면을 향해 볼록한,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은 제3 반지름, 제4 반지름 및 제2 호(ar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반지름은 상기 제1 반지름과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4 반지름은 상기 제2 반지름과 서로 마주보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지름은 상기 제4 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4 반지름은 상기 제5 면과 나란하며,
    상기 제2 호는 상기 제6 면을 향해 볼록한,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하는,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은 서로 중첩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들 각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부채꼴 형상의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제1 호와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제2 호와 접하는, 표시 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은 제1 반지름, 제2 반지름 및 제1 호(ar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반지름은 상기 제1 면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2 반지름은 상기 제1 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1 호는 상기 제2 면을 향해 볼록한,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은 제3 반지름, 제4 반지름 및 제2 호(ar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반지름은 상기 제1 반지름과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4 반지름은 상기 제2 반지름과 서로 마주보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지름은 상기 제4 면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4 반지름은 상기 제4 면과 수직하고,
    상기 제2 호는 상기 제6 면을 향해 볼록한,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 각도 제한 부재의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관통하는, 표시 장치.
  2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절 부재의 상기 제3 면에는,
    상기 제5 면에 미는 힘을 가하는 간격 유지부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제3 면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돌기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복수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벤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평탄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평탄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벤딩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평탄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평탄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2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60088891A 2016-07-13 2016-07-13 표시 장치 KR102520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891A KR102520575B1 (ko) 2016-07-13 2016-07-13 표시 장치
US15/649,134 US10244641B2 (en) 2016-07-13 2017-07-13 Display device
CN201710569708.2A CN107622734B (zh) 2016-07-13 2017-07-13 显示装置
EP17181134.2A EP3270259B1 (en) 2016-07-13 2017-07-13 Display device
JP2017137214A JP6857565B2 (ja) 2016-07-13 2017-07-13 表示装置
TW106123542A TWI732902B (zh) 2016-07-13 2017-07-13 顯示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891A KR102520575B1 (ko) 2016-07-13 2016-07-13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39A KR20180007739A (ko) 2018-01-24
KR102520575B1 true KR102520575B1 (ko) 2023-04-11

Family

ID=5965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891A KR102520575B1 (ko) 2016-07-13 2016-07-1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44641B2 (ko)
EP (1) EP3270259B1 (ko)
JP (1) JP6857565B2 (ko)
KR (1) KR102520575B1 (ko)
CN (1) CN107622734B (ko)
TW (1) TWI7329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8784B2 (en) * 2017-06-15 2021-11-1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EP3655942A1 (en) * 2017-07-17 2020-05-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vature limiting film
US11079807B1 (en) * 2017-08-03 2021-08-03 Apple Inc. Friction roller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roller and spacer elements
KR102421304B1 (ko) * 2017-09-18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68752B1 (ko) * 2018-01-03 2022-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626241B (zh) * 2018-05-18 2020-03-31 栾北瓯 用于柔性显示屏的液压转轴机构
CN109495610A (zh) * 2018-05-31 2019-03-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及其组装方法
CN109523919A (zh) * 2018-10-30 2019-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设备及其控制方法
JP6686115B1 (ja) * 2018-12-06 2020-04-2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US10928863B2 (en) * 2019-01-14 2021-02-23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idframe to sliding frame assembly
US10817030B2 (en) * 2019-01-14 2020-10-27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with alternating slide support frame
US10754395B2 (en) * 2019-01-17 2020-08-25 Dell Products L.P. Multi-axis hinge translation to adjust housing position relative to flexible display position
CN110301728B (zh) * 2019-06-28 2021-05-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组件和可穿戴设备
TWI724807B (zh) * 2019-07-24 2021-04-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裝置
US11169580B2 (en) 2019-07-29 2021-1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0415609B (zh) * 2019-09-16 2021-05-11 嘉视(山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内外双向保险的柔性显示器
CN110928365B (zh) * 2019-11-07 2021-09-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4945966A (zh) * 2020-01-10 2022-08-2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角度调整装置、支撑工具及显示装置
CN111536144B (zh) * 2020-05-19 2021-1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转轴支撑结构、显示装置及其装配方法
CN115244602B (zh) * 2020-12-15 2023-10-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764860A (zh) * 2021-01-22 2021-05-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其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20230021209A (ko) * 2021-08-04 2023-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870711B (zh) * 2021-09-29 2023-08-22 惠州华星光电显示有限公司 弯折限位装置以及柔性显示器
CN114546044B (zh) * 2022-02-15 2023-06-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6155A1 (en) * 2007-11-16 2009-05-21 Motorola, Inc. Coupling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JP5598401B2 (ja) * 2011-03-30 2014-10-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操作装置
US9176535B2 (en) *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JP2013254021A (ja) * 2012-06-05 2013-12-19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971031B2 (en) *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US8971032B2 (en) * 2012-11-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101452871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2872B1 (ko) * 2013-01-11 2014-11-03 (주) 프렉코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장치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KR101469927B1 (ko) * 2013-03-04 2014-12-05 주식회사 세네카 힌지 장치
KR20140139950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643056B (zh) * 2013-07-22 2018-12-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KR101663728B1 (ko) * 2013-08-26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1547640B1 (ko) * 2013-09-16 2015-08-27 (주) 프렉코 가이드부재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KR102171118B1 (ko) 2013-09-30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GB2520271A (en) * 2013-11-13 2015-05-20 Nokia Corp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KR102215597B1 (ko) * 2013-12-23 202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TWI653522B (zh) 2013-12-24 2019-03-11 美商飛利斯有限公司 動態可撓物品
US9798359B2 (en) * 2014-02-21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1727971B1 (ko) * 2014-02-21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102244807B1 (ko) * 2014-03-07 2021-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6233362B (zh) * 2014-04-24 2019-04-0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261641B1 (ko) * 2014-05-13 2021-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975603B2 (en) * 2014-06-12 2021-04-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computing device
DE202014103159U1 (de) * 2014-07-09 2014-09-29 Christian Stroetmann Gerätegehäuse, das eine Befestigungsmöglichkeit für eine flexible beziehungsweise biegbare Anzeige und mindestens zwei Gehäuseteile hat, die durch ein Gelenk/Scharnier verbunden sind
KR102015398B1 (ko) * 2014-07-16 2019-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TWI525421B (zh) * 2014-07-17 2016-03-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折疊之電子裝置及其限位結構
KR102319835B1 (ko) * 2014-09-22 2021-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4175B1 (ko) * 2014-10-17 2016-07-11 주식회사 세네카 힌지 장치
KR102309411B1 (ko) * 2014-10-27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KR102281845B1 (ko) * 2014-11-11 2021-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지지 장치
KR101487189B1 (ko) 2014-11-19 2015-01-29 주식회사 에스코넥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힌지
KR102370015B1 (ko) * 2014-11-25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M502867U (zh) * 2014-12-24 2015-06-11 Au Optronics Corp 摺疊式顯示裝置
US9851759B2 (en) * 2014-12-31 2017-1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ivot hinge cover
TWI557333B (zh) * 2015-02-02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樞轉機構以及可攜式電子裝置
CN104851365B (zh) * 2015-05-28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KR101765121B1 (ko) * 2015-06-10 2017-08-04 (주) 프렉코 연동구조를 가지는 플렉시블 힌지 장치
KR102366516B1 (ko) * 2015-08-31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0162389B2 (en) * 2015-09-25 2018-1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vered multi-axis hinge
CN106557118A (zh) * 2015-09-30 2017-04-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柔性装置
CN205153300U (zh) * 2015-11-25 2016-04-13 灵通展览***股份有限公司 柔性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10297A (ja) 2018-01-18
EP3270259A1 (en) 2018-01-17
CN107622734A (zh) 2018-01-23
KR20180007739A (ko) 2018-01-24
TW201805696A (zh) 2018-02-16
JP6857565B2 (ja) 2021-04-14
US20180020556A1 (en) 2018-01-18
US10244641B2 (en) 2019-03-26
CN107622734B (zh) 2021-12-21
TWI732902B (zh) 2021-07-11
EP3270259B1 (en)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575B1 (ko) 표시 장치
KR102493385B1 (ko) 표시 장치
KR102281845B1 (ko) 표시 패널의 지지 장치
KR102318656B1 (ko) 표시 패널의 지지 장치
KR102527213B1 (ko) 표시 장치
US10674617B2 (en) Carrier apparatus and display
KR102552528B1 (ko) 표시 장치
US20240093348A1 (en) Mask device and evaporation device
TWI746635B (zh) 折疊式顯示裝置
US10193095B2 (en) Display device
US9580949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display panel
KR10207651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37637A (ko) 표시 장치
US20220293870A1 (en) Substrate for display
US20190174640A1 (en) Display device
US20220206537A1 (en) Substrate for display
KR20210019839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10028830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740345B2 (en) Touch panel
KR102100296B1 (ko) 분할 마스크 조립체
US20140347638A1 (en) Miniature projection device
WO2021035949A1 (zh) 柔性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可弯折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