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041B1 -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041B1
KR102518041B1 KR1020220073405A KR20220073405A KR102518041B1 KR 102518041 B1 KR102518041 B1 KR 102518041B1 KR 1020220073405 A KR1020220073405 A KR 1020220073405A KR 20220073405 A KR20220073405 A KR 20220073405A KR 102518041 B1 KR102518041 B1 KR 102518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mixing
mask pack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형
안미경
이경식
박수은
박가을
Original Assignee
(주)유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알지 filed Critical (주)유알지
Priority to KR102022007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림 타입의 반죽을 얼굴에 도포하면 공기와 접촉하는 외측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화장료의 기화를 방지하고 피부에서 방출되는 미온의 피부열을 가두어 상기한 피부열로 모공을 확장시켜 피부속으로 유효성분이 빠르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한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액체 상태의 메밀추출물과 불가사리 부화효소를 혼합한 혼합물에 수분 흡수시에도 부피가 팽창되지 않는 고체 상태의 무기흡수재를 혼합하여 기능성여제를 제조하는 기능성여제제조공정과; 상기 기능성여제를 유화제에 혼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캡슐화공정과; 상기 캡슐화공정에 의하여 코팅층이 형성된 기능성여제와 전분, 폴리비닐알콜을 혼합하여 베이스를 제조하는 베이스제조공정과; 상기 베이스제조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베이스혼합물에 정제수, 에버라스팅꽃수 추출물, 향료, 폴리글리세릴, 아이소프필로미리스테이트, 벤질글리콜, 카프릴릭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화장료를 혼합하는 혼합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for the mask pack and the composition for the 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림 타입의 반죽을 얼굴에 도포하면 공기와 접촉하는 외측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화장료의 기화를 방지하고 피부에서 방출되는 미온의 피부열을 가두어 상기한 피부열로 모공을 확공시켜 피부속으로 유효성분이 빠르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한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규칙적인 생활과 밤낮이 바뀌는 생활 패턴의 변화,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에 의한 외인적 요인과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원인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며 표면이 거칠어져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거칠어진 피부를 진정시키면서 사용되는 마스크팩은 피부 표면을 감싸 수분 및 미용 성분을 피부에 공급함으로써 피부 생리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제품이다.
상기 마스크 팩은 스킨, 로션 및 크림과 같은 일반적인 기초 화장료 제품 유형의 하나로서, 피부에 단시간 적용하여 흡수시키는 다른 제품 유형들과 달리 장시간의 적용을 통해 수분 및 영양분의 공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화장료 유형이다.
상기한 팩의 종류로는 부직포에 에센스 액을 충진하거나 고형의 겔 타입으로 제조하여 피부에 부착 후 떼어낼 수 있는 마스크 타입, 또는 피부에 고르게 도포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물 등으로 씻어내거나 고형화된 화장료를 떼어낼 수 있는 크림 타입 등이 시판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림 타입의 팩 제형은 일시적으로 피부 위에 얇은 피막을 씌워 외부로의 수분 증발을 차단시켜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침투시키는 특성을 가진 제형으로서 최근 팩 제형의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크림 타입의 팩 제형은 얼굴에 도포시 수분(화장료)이 빠르게 공기중으로 기화되어 소멸되므로 피부로 흡수되는 양이 극감소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얼굴에 도포되는 베이스의 건조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로 각종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마스크 팩의 피부 미용 성분의 단순 흡수로는 만족할 만한 피부 흡수량과 효능,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크림 타입의 반죽을 얼굴에 도포하면 공기와 접촉하는 외측면에 코층이 형성되어 화장료의 기화를 방지하고 피부에서 방출되는 미온의 피부열을 가두어 상기한 피부열로 모공을 확공시켜 피부속으로 유효성분이 빠르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한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죽은 피부세포 탈락기능으로 피부 정돈, 콜라겐의 분해를 촉진, 피부 보습, 피부 노화방지 등의 효과와 건조되면서 수축현상이 발생되어 피부를 일방향으로 당기는 리프팅 효과에 의하여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가 용이하도록 한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액체 상태의 메밀추출물과 불가사리 부화효소를 혼합한 혼합물에 수분 흡수시에도 부피가 팽창되지 않는 고체 상태의 무기흡수재를 혼합하여 기능성여제를 제조하는 기능성여제제조공정과; 상기 기능성여제를 유화제에 혼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캡슐화공정과; 상기 캡슐화공정에 의하여 코팅층이 형성된 기능성여제와 전분, 폴리비닐알콜을 혼합하여 베이스를 제조하는 베이스제조공정과; 상기 베이스제조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베이스혼합물에 정제수, 에버라스팅꽃수 추출물, 향료, 폴리글리세릴, 아이소프필로미리스테이트, 벤질글리콜, 카프릴릭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화장료를 혼합하는 혼합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무기흡수재는 피로필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기능성여제제조공정에 있어서, 기능성여제 100중량%에 대하여 메밀추출물 66.5~83중량%, 불가사리 부화효소 0.5~2.0중량%, 무기흡수재 16.5~33.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기능성여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는 2.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층을 갖도록 하는 것을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베이스제조공정에 있어서 베이스 100중량%에 대하여 코팅층 구비된 기능성여제 40~52중량%, 물 25~29중량%, 전분 21~25중량%, 폴리비닐알콜 2.0~6.0중량%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구현하는 방법은 마스크팩용 조성물에 있어서, 메밀추출물과 불가사리 부화효소를 혼합한 혼합물에 수분 흡수시에도 부피가 팽창되지 않는 무기흡수재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기능성여제를 유화제에 혼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후 전분, 폴리비닐알콜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베이스혼합물에 정제수, 에버라스팅꽃수 추출물, 향료, 폴리글리세릴, 아이소프필로미리스테이트, 벤질글리콜, 카프릴릭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화장료를 혼합하는 혼합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무기흡수재는 피로필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기능성여제제조공정에 있어서, 기능성여제 100중량%에 대하여 메밀추출물 66.5~83중량%, 불가사리 부화효소 0.5~2.0중량%, 무기흡수재 16.5~33.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기능성여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재는 2.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층을 갖도록 하는 것을 마스크팩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베이스제조공정에 있어서 베이스 100중량%에 대하여 코팅층 구비된 기능성여제 40~52중량%, 물 25~29중량%, 전분 21~25중량%, 폴리비닐알콜 2.0~6.0중량%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유화제는 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솔베이트60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크림 타입의 반죽을 얼굴에 도포하면 공기와 접촉하는 외측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화장료의 기화를 방지하고 피부에서 방출되는 미온의 피부열을 가두어 상기한 피부열로 모공을 확장시켜 피부속으로 유효성분이 빠르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한 효과와, 죽은 피부세포 탈락기능으로 피부 정돈, 콜라겐의 분해를 촉진, 피부 보습, 피부 노화방지 등의 효과와 건조되면서 수축현상이 발생되어 피부를 일방향으로 당기는 리프팅 효과에 의하여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가 용이하도록 한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
도 2a는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조성물을 이용한 마스크팩을 사용하였을 때의 피부리프팅의 실험 데이터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2b는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조성물을 이용한 마스크팩을 사용하였을 때의 피부 수분의 실험 데이터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2c는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조성물을 이용한 마스크팩을 사용하였을 때의 피부탄력의 실험 데이터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2d는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조성물을 이용한 마스크팩을 사용하였을 때의 피부수분 함유량의 실험 데이터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액체 상태의 메밀추출물과 불가사리 부화효소를 혼합한 혼합물에 수분 흡수시에도 부피가 팽창되지 않는 고체 상태의 무기흡수재를 혼합하여 기능성여제를 제조하는 기능성여제제조공정(S100)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성여제제조공정(S100) 중 부피가 팽창되지 않는 무기흡수재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분 흡착시 부피 팽창이 일어나면 피부속으로 침투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며 반대로 팽창이 일어나지 않으면 피부에 흡수한 유효성분을 배출 공급하고 피부속으로 침투하여 피부속에 잔류하는 유해 수분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후술하는 전분과 혼합시 백색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기능성여제제조공정(S100) 수행에 있어서, 기능성여제 100중량%에 대하여 메밀추출물 66.5~83중량%, 불가사리 부화효소 0.5~2.0중량%, 무기흡수재 16.5~33.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무기흡수재를 16.5중량% 이하로 사용하면 함량이 너무 적어 미용 팩으로서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33.0중량% 이상으로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추가된 상승효과를 얻지 못할 뿐 아니라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메밀추출물은 유해산소에 대한 항산화능이 뛰어나고, 피부 노화방지 및 보습효과와, 중금속 제거능력 우수, 산화적 스트레스에 우수한 방어력을 갖는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불가사리 부화효소는 죽은 세포 탈락가능으로 피부 정돈의 효과가 있으며, 피부 경피와 진피를 구성하는 단백질 중 세포간의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라겐의 분해를 촉진하며, 정제한 부화효소는 죽은 세포들의 집합체인 각질제거 기능이 매우 우수한 효과등이 있다. 상기 무기흡수재 바람직하게는 피로필라이트는 사용감 백색도, 부착력, 퍼짐성 등이 우수하고 피부 리프팅 효과가 탁월한 이점이 있다.
한편 기능성여제를 제조시 액체 상태의 메밀추출물과 불가사리 부화효소가 무기흡수재에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건조 시킨 후 혼합하고 나서 리포좀화하여 10~50nm 크기로 만든다. 상기에서와 같이 기능성여제제조공정(S100)이 완료되면 상기 기능성여제를 유화제에 혼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캡슐화공정(S20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여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는 2.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층을 갖도록 하며, 상기 기능성여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는 2.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층을 갖도록 한다. 상기 유화제는 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솔베이트6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캡슐화공정(S200)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콩, 달걀 등에서 추출한 레시틴(Lecithi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캡슐화공정(S200)의 수행 방법은 pH 조절제 및 레시틴 혼합하여 pH 7.5~8.5 범위의 약알카리성을 갖도록 한 후 40~50℃ 온도가 갖는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시켜 기능성여제제조공정(S100)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혼합물과 혼합한다.
상기 유화제의 산도가 pH 7.5 이하일 경우 점도가 낮아져 마스크 팩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상기 유화제의 산도가 pH 8.5 이상일 경우 마스크 팩의 산도가 높아져 피부 트러블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캡슐화공정(S200)이 완료되면 상기 캡슐화공정(S200)에 의하여 코팅층이 형성된 기능성여제와 전분, 폴리비닐알콜을 혼합하여 베이스를 제조하는 베이스제조공정(S30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100중량%에 대하여 코팅층 구비된 기능성여재 40~52중량%, 물 25~29중량%, 전분 21~25중량%, 폴리비닐알콜 2.0~6.0중량%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분은 수용성인 것을 사용하며 마스크 팩의 점도를 유지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전분의 사용량이 21중량% 이하로 사용되면 수분함유량이 증가하고 점도가 감소하여 얼굴에서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고, 상기 전분의 사용량이 25중량% 이상으로 사용되면 수분함유량이 감소하고 점도가 증가하여 퍽퍽한 느낌이 있어 얼굴에 도포시 잘 펴지지 않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전분으로는 옥수수, 쌀, 감자, 고구마, 밀가루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공기와 접촉되는 외표면에 필름층을 형성시켜 화장료의 기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폴리비닐알콜의 사용량이 2.0중량% 이하로 사용되면 팩의 피막형성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화장료가 공기중으로 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상기 폴리비닐알콜의 사용량이 6.0중량% 이상으로 사용되면 점도가 증가해 피부에 도포되기 어렵고 피부와 밀착력이 높아져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베이스제조공정(S300)에 의해 만들어진 베이스혼합물에 정제수, 에버라스팅꽃수 추출물, 향료, 폴리글리세릴, 아이소프필로미리스테이트, 벤질글리콜, 카프릴릭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화장료를 혼합하는 혼합공정(S400)에 의해 제조한다.
상기 베이스혼합물과 화장료의 혼합 비율은 3:1이고 상기와 같이 혼합하면 점도가 40,000~55,000cps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점도가 40,000cps 이하일 경우 얼굴에 도포가 용이하나 흘러내림 현상과 경화되는 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점도가 55,000cps 이상일 경우 경화 속도는 빠르나 얼굴에 펴서 바르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조성물을 이용한 마스크팩의 피부리프팅, 피부수분, 피부탄력을 아래 표1, 표2, 표3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코팅층 구비된 기능성여제 48중량%, 물 27중량%, 전분 23중량%, 폴리비닐알콜 2.0중량%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베이스에 정제수, 에버라스팅꽃수 추출물, 향료, 폴리글리세릴, 아이소프필로미리스테이트, 벤질글리콜, 카프릴릭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화장료를 3:1로 혼합하는 제조한 마스크팩용 조성물을 이용한 마스크팩을 30대 와 40대 각 10명 씩을 대상으로 매일 마스크팩을 사용하여 4주간 피부미용을 실시함.
상기한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조성물을 이용한 마스크팩을 30대 와 40대 각 10명 씩을 대상으로 매일 마스크팩을 사용하여 4주간 피부미용을 실시하였고, 도 2a 내지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의 피부피프팅, 피부 수분, 피부탄력, 피부수분 함유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보았으며, 그 측적 결과는 도 2a 내지 2d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삭제
삭제
<피부리프팅>
실시예 1
사용전 0.6071±0.0483
사용 2주 후 0.6243±0.0534
사용 4주 후 0.6360±0.0479
피부리프팅 측정방법 : 피부의 모습을 등고선으로 표현해주는 기기인 F-ray를 사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Image-pro plus로 눈꼬리, 볼, 입가 부위를 분석함.
<피부 수분>
실시예 1
사용전 55.40±11.86
사용 2주 후 58.65±11.25
사용 4주 후 62.60±10.87
피부수분 측정방법 : One-war ANOVA analysis
<피부탄력>
실시예 1
사용전 0.6071±0.0483
사용 2주 후 0.6243±0.0534
사용 4주 후 0.6360±0.0479
피부탄력 측정방법 : One-war ANOVA analysis
상기한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조성물을 이용한 마스크팩과 무도포 상태 30대 와 40대 각 10명 씩을 대상으로 피부의 사용전, 사용 직후, 사용 24시간 후 수분함유량을 아래 표4과 같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d에 나타내었다.
<피부수분 함유량>
무도포 실시예 1
사용전 32.83±5.77 30.14±5.96
사용 직후 32.74±5.81 55.58±9.83
사용 24시간 후 33.97±4.73 41.30±6.44
피부수분 함유량 측정방법 :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Corneometer probe를 피부에 접촉시켜 Sensor를 통해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피부 수분함유량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Corneometer는 탐침이 접촉하는 곳의 정전용량(capacitance)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을 측정 할 수 있고, 단위는 단위상수인 A.U이며, 피부 보습량과 측정값은 비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크림 타입의 반죽을 얼굴에 도포하면 공기와 접촉하는 외측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화장료의 기화를 방지하고 피부에서 방출되는 미온의 피부열을 가두어 상기한 피부열로 모공을 확장시켜 피부속으로 유효성분이 빠르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한 효과와, 죽은 피부세포 탈락기능으로 피부 정돈, 콜라겐의 분해를 촉진, 피부 보습, 피부 노화방지 등의 효과와 건조되면서 수축현상이 발생되어 피부를 일방향으로 당기는 리프팅 효과에 의하여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가 용이하도록 한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0)

  1.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액체 상태의 메밀추출물과 불가사리 부화효소를 혼합한 혼합물에 수분 흡수시에도 부피가 팽창되지 않는 고체 상태의 무기흡수재를 혼합하여 기능성여제를 제조하는 기능성여제제조공정과;
    상기 기능성여제를 유화제에 혼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캡슐화공정과;
    상기 캡슐화공정에 의하여 코팅층이 형성된 기능성여제와 전분, 폴리비닐알콜을 혼합하여 베이스를 제조하는 베이스제조공정과;
    상기 베이스제조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베이스혼합물에 정제수, 에버라스팅꽃수 추출물, 향료, 폴리글리세릴, 아이소프필로미리스테이트, 벤질글리콜, 카프릴릭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화장료를 혼합하는 혼합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성여제 100중량%에 대하여 메밀추출물 66.5~83중량%, 불가사리 부화효소 0.5~2.0중량%, 무기흡수재 16.5~33.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제조공정에 있어서 베이스 100중량%에 대하여 코팅층이 구비된 기능성여제 40~52중량%, 물 25~29중량%, 전분 21~25중량%, 폴리비닐알콜 2.0~6.0중량%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마스크팩용 조성물에 있어서,
    메밀추출물과 불가사리 부화효소를 혼합한 혼합물에 수분 흡수시에도 부피가 팽창되지 않는 무기흡수재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기능성여제를 유화제에 혼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후 전분, 폴리비닐알콜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베이스혼합물에 정제수, 에버라스팅꽃수 추출물, 향료, 폴리글리세릴, 아이소프필로미리스테이트, 벤질글리콜, 카프릴릭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화장료를 혼합하는 혼합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흡수재는 피로필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여제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기능성여제 100중량%에 대하여 메밀추출물 66.5~83중량%, 불가사리 부화효소 0.5~2.0중량%, 무기흡수재 16.5~33.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베이스 100중량%에 대하여 코팅층이 구비된 기능성여제 40~52중량%, 물 25~29중량%, 전분 21~25중량%, 폴리비닐알콜 2.0~6.0중량%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솔베이트60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여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는 2.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층을 갖도록 하는 것을 마스크팩용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흡수재는 피로필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073405A 2022-06-16 2022-06-16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18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05A KR102518041B1 (ko) 2022-06-16 2022-06-16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05A KR102518041B1 (ko) 2022-06-16 2022-06-16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041B1 true KR102518041B1 (ko) 2023-04-05

Family

ID=8588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405A KR102518041B1 (ko) 2022-06-16 2022-06-16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0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375A (ko) * 2013-06-19 2014-12-3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켈로이드 또는 흉터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KR20160127551A (ko) *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코스온 마스크팩 시트용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KR20170043058A (ko) * 2015-10-12 2017-04-20 주식회사 삼광켐 이중층을 갖는 사이즈-가변성 비쥬얼 캡슐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비쥬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0731A (ko) * 2015-05-18 2018-01-03 비아멧 파마슈티컬즈, 인코포레이티드 항진균성 화합물
KR102259407B1 (ko) * 2020-05-19 2021-06-03 주식회사 스타스테크 불가사리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는 방법, 불가사리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탄성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3669A (ko) * 2020-01-20 2021-07-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375A (ko) * 2013-06-19 2014-12-3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켈로이드 또는 흉터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KR20160127551A (ko) *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코스온 마스크팩 시트용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KR20180000731A (ko) * 2015-05-18 2018-01-03 비아멧 파마슈티컬즈, 인코포레이티드 항진균성 화합물
KR20170043058A (ko) * 2015-10-12 2017-04-20 주식회사 삼광켐 이중층을 갖는 사이즈-가변성 비쥬얼 캡슐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비쥬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3669A (ko) * 2020-01-20 2021-07-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59407B1 (ko) * 2020-05-19 2021-06-03 주식회사 스타스테크 불가사리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를 얻는 방법, 불가사리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탄성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000B1 (ko)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제약 조성물
KR100837558B1 (ko) 이중으로 안정된 세라마이드 나노 캡슐 포함 에멀젼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EP2744519B1 (en) Dermal rejuvenation compositions
EP1420758B1 (fr) Composition cosmetique a effet tenseur de la peau
CN111773122A (zh) 一种具有滋润功效的发热面膜及其制备方法
KR20090017336A (ko)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2905B1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JP2011079820A (ja) オキサゾリジン−2−オン化合物をカプセル化するリポソーム
KR101404970B1 (ko) 한지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N110652658A (zh) 使用光和葡糖胺盐酸盐处理皮肤病症的组合物和方法
KR100904200B1 (ko)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8041B1 (ko)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마스크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10047374A (ko) 남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38710A (ko) 미녹시딜과 트레티노인을 함유한 외용 에멀젼 발모용조성물
KR100795877B1 (ko)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056300A (ko)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JP5164438B2 (ja)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KR101384397B1 (ko) 입술용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03167B1 (ko)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7814B1 (ko) 마스크팩 조성물, 모델링 마스크팩 및 피부미용 마스킹 방법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JPH0672841A (ja) ゲル状マッサージ料及びパック料
KR100507915B1 (ko) 목백일홍 꽃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3177460A (ja)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KR101983701B1 (ko) 피부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한 얼굴 윤곽개선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