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311B1 - 분리기 - Google Patents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311B1
KR102516311B1 KR1020180113764A KR20180113764A KR102516311B1 KR 102516311 B1 KR102516311 B1 KR 102516311B1 KR 1020180113764 A KR1020180113764 A KR 1020180113764A KR 20180113764 A KR20180113764 A KR 20180113764A KR 102516311 B1 KR102516311 B1 KR 10251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ir
washing water
flui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241A (ko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31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분리기를 제공한다. 분리기는 유입된 원유를 수용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 하측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된 원유의 오일이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격벽, 및 상기 제1 공간의 바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원유가 수용된 상기 제1 공간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기{Separator}
본 발명은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채굴된 원유는 분리기(separator)에 의하여 오일, 가스 및 물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기는 중력을 이용하여 밀도가 서로 다른 오일, 가스 및 물을 분리할 수 있다.
분리기는 FPSO(Floating and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선박과 같은 부유식 해상 설비에 구비되어, 채굴된 원유에 대한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9413호 (2012.10.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분리기의 일 면(aspect)은 유입된 원유를 수용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 하측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된 원유의 오일이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격벽, 및 상기 제1 공간의 바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원유가 수용된 상기 제1 공간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기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분사기는, 세척수 또는 에어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유체 이송관과, 상기 유체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간의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 분포된 헤더, 및 상기 헤더를 따라 배치되어 세척수 또는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 이송관, 상기 헤더 및 상기 분사 노즐은 이중관의 구조를 갖고, 서로 분리된 경로를 따라 세척수 및 에어를 이동시킨다.
상기 유체 이송관 및 상기 헤더는 이중관의 구조를 갖고, 서로 분리된 경로를 따라 세척수 및 에어를 이동시키고, 상기 분사 노즐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노즐, 및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기는 상기 유체 분사기에 연결되고, 상기 유체 분사기로 유입되는 에어를 가압하는 가압 탱크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탱크가 유체 분사기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구조의 유체 이송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구조의 분사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기에 의하여 이멀전 패드가 분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10)는 챔버(100), 원유 유입구(200), 가스 배출구(300), 비오일 배출구(400), 오일 배출구(500), 격벽(600) 및 유체 분사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챔버(100)는 유입된 원유(CR)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저에서 채굴된 원유(CR)는 원유 유입구(200)를 통하여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챔버(100)의 내부에서 원유 유입구(200)의 정면에는 차단벽(110)이 구비될 수 있다. 원유 유입구(200)를 통하여 유입된 원유(CR)는 차단벽(110)에 부딪힌 이후에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챔버(100)로 유입된 원유(CR)가 흩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가스 배출구(300)는 원유(CR)에 포함된 가스(GS)의 배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원유(CR)에는 물(WT), 오일(OL) 및 각종 가스(GS)가 포함될 수 있다. 기체 형태의 가스(GS)는 가스 배출구(30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비오일 배출구(400)는 원유(CR)에 포함된 물(WT)의 배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오일 배출구(400)는 원유(CR)에 포함된 물(WT)뿐만 아니라 각종 오물의 배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오일 배출구(400)를 통하여 물(WT)과 함께 모래 및 자갈 등의 오물이 배출될 수 있다.
오일 배출구(500)는 원유(CR)에 포함된 오일(OL)의 배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챔버(100)는 원유(CR)가 수용되는 공간과 원유(CR)에서 추출된 오일(OL)이 수용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오일 배출구(500)는 오일(OL)이 수용된 공간에 구비되어 순수한 오일(OL)만을 배출할 수 있다.
격벽(600)은 챔버(100)의 내부 하측 공간을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판의 형태를 갖는 격벽(600)은 챔버(100)의 내부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격벽(600)의 높이에 대응하는 챔버(100)의 내부 하측 공간이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으로 분할 될 수 있다.
제1 공간(S1)에는 원유(CR)가 수용되고, 제2 공간(S2)에는 오일(OL)이 수용될 수 있다. 격벽(600)은 제1 공간(S1)에 수용된 원유(CR)의 오일(OL)이 제2 공간(S2)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공간(S1)에 원유(CR)가 수용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물(WT) 및 오물은 가라앉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오일(OL)은 뜰 수 있다. 유입된 원유(CR)의 제1 공간(S1)에서의 수위가 격벽(600)의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오일(OL)이 제2 공간(S2)으로 넘어올 수 있다. 이에, 제2 공간(S2)에는 순수한 오일(OL)이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유체 분사기(700)는 제1 공간(S1)의 바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원유(CR)가 수용된 제1 공간(S1)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에어는 질소 가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유(CR)에는 물(WT)뿐만 아니라 각종 오물이 포함될 수 있다. 원유(CR)에 포함된 모든 오일(OL)이 오일 배출구(500)를 통해 배출되면 제1 공간(S1)에는 물(WT)과 오물이 잔류하게 된다. 물(WT)은 자연스럽게 비오일 배출구(4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지만, 모래와 자갈 등의 오물은 별도의 작업을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다.
유체 분사기(700)는 챔버(100)의 바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오물이 비오일 배출구(40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유체 분사기(700)는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갖는 세척수를 오물에 분사하여 오물이 비오일 배출구(400)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공간(S1)에 존재하는 원유(CR)는 크게 비오일층 및 오일층을 형성할 수 있다. 비오일층에는 물(WT) 및 각종 오물이 포함되고, 오일층에는 오일(OL)이 포함될 수 있다.
원유(CR)에는 다양한 화학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화학 물질 중 일부는 비오일층과 오일층의 경계에 존재하여 이멀전 패드(emulsion pad)(EP)를 형성할 수 있다. 이멀전 패드(EP)가 형성됨에 따라 물(WT)과 오일(OL)의 분리가 제한될 수 있다. 오일층에 잔류하는 물(WT)이 이멀전 패드(EP)에 의하여 비오일층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기(700)는 에어를 분사하여 이멀전 패드(EP)를 분쇄할 수 있다. 유체 분사기(700)에서 분사된 에어가 상승하면서 이멀전 패드(EP)가 분쇄되고, 오일층의 물(WT)이 비오일층으로 이동하여 물(WT)과 오일(OL)의 분리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기(700)는 유체 이송관(710), 헤더(720) 및 분사 노즐(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체 이송관(710)은 세척수 또는 에어의 이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유체 이송관(710)을 통하여 세척수 또는 에어가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헤더(720)는 유체 이송관(710)에 연결되고, 제1 공간(S1)의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 분포되어 분사 노즐(730)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분사 노즐(730)의 복수 개가 구비되어 헤더(720)에 연결될 수 있는데, 복수의 분사 노즐(730)은 제1 공간(S1)의 가장자리로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제1 공간(S1)의 가장자리의 위치에서 에어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비오일 배출구(400)는 제1 공간(S1)의 하측면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는데, 제1 공간(S1)의 가장자리에서 비오일 배출구(400)를 향해 세척수가 분사됨에 따라 오물이 자연스럽게 비오일 배출구(400)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유체 분사기(700)의 유체 이송관(710), 헤더(720) 및 분사 노즐(730)은 이중관의 구조를 갖고, 서로 분리된 경로를 따라 세척수 및 에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중관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세척수 및 에어의 선택적인 분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세척수 및 에어의 동시 분사도 가능하게 된다. 이중관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8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탱크가 유체 분사기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체 분사기(700)에는 가압 탱크(800)가 연결될 수 있다. 가압 탱크(800)는 유체 분사기(700)로 유입되는 에어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압 탱크(800)에는 에어 유입관(810) 및 에어 이송관(712)이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유입관(810) 및 에어 이송관(712)에는 각각 유입 차단 밸브(V1) 및 배출 차단 밸브(V2)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 차단 밸브(V1)가 열림에 따라 에어 유입관(810)을 통해 가압 탱크(800)로 에어가 유입될 수 있다. 이어서, 유입 차단 밸브(V1)가 폐쇄됨에 따라 가압 탱크(800)의 에어는 가압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배출 차단 밸브(V2)가 열림에 따라 에어 이송관(712)을 통해 가압된 에어가 유체 분사기(700)로 이송되고, 유체 분사기(700)는 가압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유체 분사기(700)의 유체 이송관(710)은 세척수 이송관(711) 및 에어 이송관(71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이송관(711)은 세척수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고, 에어 이송관(712)은 에어의 이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세척수 이송관(711) 및 에어 이송관(712)은 이중관의 구조로 유체 이송관(7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통하여 이중관 구조의 유체 이송관(71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구조의 유체 이송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체 이송관(710)은 이중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유체 이송관(710)은 세척수 이송관(711) 및 에어 이송관(71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세척수 이송관(711)의 일부는 에어 이송관(712)에 포함된 상태로 유체 분사부로 연결되고, 나머지 일부는 에어 이송관(712)에서 분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이송관(711)을 통하여 세척수(CW)가 유체 분사기(700)로 이송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이송관(712)을 통하여 에어(AR)가 유체 분사기(700)로 이송될 수 있다.
세척수(CW) 및 에어(AR)는 선택적으로 하나가 대응하는 이송관을 통해 이송될 수 있으며, 동시에 대응하는 이송관을 통해 이송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세척수 이송관(711)의 일부가 에어 이송관(712)에 포함되고 나머지 일부가 에어 이송관(712)에서 분기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에어 이송관(712)의 일부가 세척수 이송관(711)에 포함되고 나머지 일부가 세척수 이송관(711)에서 분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구조의 분사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분사 노즐(730)은 이중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분사 노즐(730)은 세척수 노즐관(731) 및 에어 노즐관(73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세척수 노즐관(731)은 에어 노즐관(732)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노즐관(731)을 통하여 세척수(CW)가 분사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노즐관(732)을 통하여 에어(AR)가 분사될 수 있다.
세척수(CW) 및 에어(AR)는 선택적으로 하나가 대응하는 노즐관을 통해 분사될 수 있으며, 동시에 대응하는 노즐관을 통해 분사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세척수 노즐관(731)이 에어 노즐관(732)에 포함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에어 노즐관(732)이 세척수 노즐관(731)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기에 의하여 이멀전 패드가 분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유체 분사기(700)에서 분사된 에어(AR)에 의하여 이멀전 패드(EP)가 분쇄될 수 있다.
유체 분사기(700)에서 분사된 에어(AR)는 제1 공간(S1)에 수용된 원유(CR)를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상승하는 에어(AR)는 이멀전 패드(EP)에 도달하게 되고, 상승하는 에어(AR)의 힘에 의하여 이멀전 패드(EP)가 분쇄될 수 있게 된다.
이멀전 패드(EP)가 분쇄됨에 따라 오일층에 존재하는 물(WT)이 비오일층으로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물(WT)과 오일(OL)의 분리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기(900)는 유체 이송관(910), 헤더(920) 및 분사 노즐(930, 94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이송관(910)은 이중관 구조를 갖고 세척수(CW) 또는 에어(AR)의 이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헤더(920)는 이중관 구조를 갖고 유체 이송관(910)에 연결되어 제1 공간(S1)의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유체 이송관(910) 및 헤더(920)의 구조 및 기능은 전술한 유체 이송관(710) 및 헤더(720)의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분사 노즐(930, 940)은 세척수 노즐(930) 및 에어 노즐(94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노즐(930)은 세척수(CW)를 분사하고, 에어 노즐(940)은 에어(AR)를 분사할 수 있다.
세척수 노즐(930)은 하측으로 세척수(CW)를 분사하도록 헤더(920)에 결합되고, 에어 노즐(940)은 상측으로 에어(AR)를 분사하도록 헤더(920)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으로 분사된 세척수(CW)에 의하여 오물이 비오일 배출구(400)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분사된 에어(AR)에 의하여 이멀전 패드(EP)가 분쇄되어 물(WT)과 오일(OL) 간의 원활한 분리가 수행될 수 있다.
세척수 노즐(930)에 비하여 많은 수의 에어 노즐(940)이 헤더(9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헤더(920)가 제1 공간(S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됨에 따라 세척수 노즐(930)도 제1 공간(S1)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나, 에어 노즐(9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S1)의 전체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에어 노즐(940) 중 일부는 헤더(920)에서 연장된 연장관(9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간(S1)의 전체 영역을 통해 에어(AR)가 분사됨에 따라 이멀전 패드(EP)의 효과적인 분쇄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분리기 100: 챔버
200: 원유 유입구 300: 가스 배출구
400: 비오일 배출구 500: 오일 배출구
600: 격벽 700, 900: 유체 분사기
710, 910: 유체 이송관 711: 세척수 이송관
712: 에어 이송관 720, 920: 헤더
730, 930, 940: 분사 노즐 731: 세척수 노즐관
732: 에어 노즐관 800: 가압 탱크
810: 에어 유입관 950: 연장관
AR: 에어 CR: 원유
CW: 세척수 EP: 이멀전 패드
GS: 가스 OL: 오일
S1: 제1 공간 S2: 제2 공간
WT: 물

Claims (5)

  1. 유입된 원유를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 하측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된 원유의 오일이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격벽; 및
    상기 제1 공간의 바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원유가 수용된 상기 제1 공간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분사기는,
    세척수 또는 에어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유체 이송관;
    상기 유체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간의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 분포된 헤더; 및
    상기 헤더를 따라 배치되어 세척수 또는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이송관, 상기 헤더 및 상기 분사 노즐은 이중관의 구조를 갖고, 서로 분리된 경로를 따라 세척수 및 에어를 이동시키는 분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노즐; 및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을 포함하는 분리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기에 연결되고, 상기 유체 분사기로 유입되는 에어를 가압하는 가압 탱크를 더 포함하는 분리기.
KR1020180113764A 2018-09-21 2018-09-21 분리기 KR102516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64A KR102516311B1 (ko) 2018-09-21 2018-09-21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64A KR102516311B1 (ko) 2018-09-21 2018-09-21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41A KR20200034241A (ko) 2020-03-31
KR102516311B1 true KR102516311B1 (ko) 2023-03-30

Family

ID=7000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764A KR102516311B1 (ko) 2018-09-21 2018-09-21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3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794A (ja) * 2003-04-02 2004-11-04 Hitachi Industries Co Ltd 油水分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413B1 (ko) 2010-01-16 2012-10-10 민경준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증기방식 연료유화장치
KR101670876B1 (ko) * 2014-11-28 2016-10-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진동 방식이 적용된 세퍼레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794A (ja) * 2003-04-02 2004-11-04 Hitachi Industries Co Ltd 油水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41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0358B1 (en) Multi-purpose water tank
CN106335277B (zh) 油墨喷射装置及油墨喷射方法
KR101166484B1 (ko) 싸이클론식 세정탑
JP2013190084A (ja) 空気弁
JP5027865B2 (ja) 気液分離装置
KR102516311B1 (ko) 분리기
CN106120992B (zh) 一种快速冲水的智能马桶
CN106013361B (zh) 一种带有补水功能的快速排水装置
KR20090071657A (ko) 축압 주수 탱크 및 플로우 댐퍼의 제조 방법
WO2011142186A1 (ja) バラストタンクの排砂装置及び排砂方法
JP6288600B2 (ja) 水洗大便器装置
KR101873981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분리 장치
JP4808491B2 (ja) 正倒立両用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5887555B2 (ja) 気体溶解タンク
KR101711491B1 (ko) 샌드팬 일체형 슬러싱 저감판
KR100901380B1 (ko) 유체분사장치
JP2015232271A (ja) 水洗大便器装置
KR101750956B1 (ko) 액적 분리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분리기
KR102039669B1 (ko) 머드 분배 장치
KR101774778B1 (ko) 다상 혼합물 분리장치
KR102666399B1 (ko) 액체 트랩 탱크 및 액체 트랩 탱크용 액체 공급 유닛
KR101742288B1 (ko) 분리기
JP2013151171A (ja) バラストタンクの排砂装置及び排砂方法
JP2010125424A (ja) 廃液の回収装置
JP5870262B2 (ja) 気体溶解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