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065B1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065B1
KR102512065B1 KR1020160003277A KR20160003277A KR102512065B1 KR 102512065 B1 KR102512065 B1 KR 102512065B1 KR 1020160003277 A KR1020160003277 A KR 1020160003277A KR 20160003277 A KR20160003277 A KR 20160003277A KR 102512065 B1 KR102512065 B1 KR 102512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attern
area
decor
display panel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404A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065B1/ko
Priority to US15/251,963 priority patent/US10136523B2/en
Publication of KR20170084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표시장치에서, 윈도우 부재와 표시패널은 레진(resin)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된다. 윈도우 부재의 일면에는 데코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데코부재 상에 차단패턴을 인쇄하는 경우,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패턴이 인쇄되는 위치는 상기 데코부재 상에서 상기 접착부재와 인접하는 부분이며, 상기 차단패턴은 상기 표시패널의 패드부와 중첩하게 인쇄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DI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윈도우 부재에 포함되는 데코부재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들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갖는 영상을 제공한다. 표시장치들은 정면상에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표시영역)과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비표시영역)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은 사용자에게 특정한 색을 갖는 베젤(또는 테두리)로 인지된다.
표시장치의 베젤은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의 일면에 배치되는 데코부재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데코부재는 직접 잉크층을 인쇄(이하, 인쇄 방식)하거나,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의 일면에 인쇄층이 배치된 필름을 부착(이하, 합지 방식)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 베젤부를 정의하는 데코부재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부재, 표시패널, 접착부재, 인쇄회로기판, 및 차단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정의되는 투명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 하부에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데코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윈도우 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비표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비표시영역 중 일부영역에 배치된 패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표시패널을 결합시킨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패드부에 연결된다. 상기 차단패턴은 상기 데코부재의 하부면 중 상기 접착부재와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패드부와 중첩하도록 인쇄된다.
상기 차단패턴은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패턴은 상기 데코부재와 상기 접착부재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보조 차단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차단패턴은 상기 차단패턴에서 연장되며,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의 하부면에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의 경계선을 따라 인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차단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의 하부면 중 상기 차단패턴과 인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에 직접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기 데코부재는 데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데코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인쇄되는 데코 잉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기 표시영역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차단패턴의 폭은 상기 접착부재와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레진(resi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기 제1 영역은 제1 모서리, 제2 모서리, 제3 모서리, 및 제4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서리는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의 경계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상기 제2 모서리는 상기 제1 모서리로의 일단에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모서리와 수직하다. 상기 제3 모서리는 상기 제1 모서리의 타단에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모서리와 수직하다. 상기 제4 모서리는 상기 제2 모서리의 일단에서부터 상기 제3 모서리의 일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모서리와 수평하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패드부와 중첩하는 제1 베젤 영역, 상기 제2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베젤 영역, 상기 제3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베젤 영역과 마주하는 제3 베젤 영역, 및 상기 제4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베젤 영역과 마주하는 제4 베젤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부재, 표시패널,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투명 베이스 부재, 상기 투명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하는 데코부재, 및 상기 데코부재 하부에 상기 데코부재의 내측 경계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쇄되는 차단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윈도우 부재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에 상기 차단패턴과 중첩하도록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차단패턴은 상기 차단패턴은 상기 데코부재와 상기 접착부재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윈도우 부재 준비단계,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 정렬단계, 액상의 접착부재 배치단계, 표시패널 및 윈도우부재 결합 단계, 및 액상의 접착부재 경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 준비단계에서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에워싸는 제2 영역이 정의되는 투명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 하부에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데코부재, 및 상기 데코부재의 하부면에 인쇄되는 차단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가 준비된다.
상기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 정렬단계에서는,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비표시영역이 정의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된다.
상기 액상의 접착부재 배치단계에서는,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액상의 접착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표시패널 및 윈도우부재 결합 단계에서는 상기 차단패턴이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의 경계선에 인접하도록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가 결합된다.
상기 액상의 접착부재 경화 단계에서는, 상기 액상의 접착부재가 외부의 광에 의해 경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코부재의 변질에 따른 베젤의 컬러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코부재의 변질에 따른 베젤의 컬러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외관의 품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과 윈도우 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도 4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도 4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도 6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순서도 중 윈도우 부재 준비 단계에 대응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도 11의 순서도 중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 정렬단계, 액상의 접착부재 배치 단계,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 결합단계, 및 액상의 접착부재 경화 단계에 대응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휴대폰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텔레비전,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게임기 등 다양한 정보 제공장치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정면 상에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표시장치(DD)의 정면은 영상(IM)이 표시되는 면으로, 직교하는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영역(DA), 표시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는 이들의 경계선(BDL)에 의해 구분된다. 도 1은 영상(IM)의 일 예로 인터넷 검색창을 도시하였다.
일 예로써, 표시영역(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에워싼다. 다시 말해, 비표시영역(NDA)은 정면의 테두리를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비표시영역(NDA)의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테두리를 이루지 않을 수 있고, 도 1에서 제1 방향(DR1)에서 마주하는 비표시영역(NDA)의 일부분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윈도우 부재(WM), 표시패널(DP), 인쇄회로기판(PCB), 접착부재(AD), 전원부(PSM), 회로부(CM), 및 보호부재(PM)를 포함한다. 윈도우 부재(WM) 및 표시패널(DP)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수직한 제3 방향(DR3)으로 적층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투명 베이스 부재(WG), 데코부재(DC), 및 차단패턴(WB)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베이스 부재(WG)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투명 베이스 부재(WG)는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베이스 부재(WG)는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R1)은, 제3 방향(DR3) 상에서, 표시영역(DA)과 중첩한다. 제2 영역(AR2)은, 제3 방향(DR3) 상에서, 비표시영역(NDA)과 중첩한다. 윈도우 부재(WM)는 표시패널(DP)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IM)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부분을 포함하며, 이 부분은 제1 영역(AR1)에 대응한다.
데코부재(DC)는 투명 베이스 부재(WG)의 하부에 배치된다. 데코부재(DC)는, 제3 방향(DR3) 상에서, 제2 영역(AR2)에 중첩한다. 이에 따라, 데코부재(DC)에는, 제3 방향(DR3) 상에서, 투명 베이스 부재(WG)의 제1 영역(AR1)과 중첩하는 개구부(OP-DC)가 정의될 수 있다. 데코부재(DC)에 의해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이 각각 정의될 수 있다.
데코부재(DC)는, 표시장치(DD)의 정면상에서, 비표시영역(NDA)에 데코무늬를 제공한다. 데코무늬는 단색으로 이루어진 무늬 또는 복수의 컬러가 혼합된 무늬일 수 있다.
데코부재(DC)는 상면(SF-U)와 하면(SF-D)을 포함할 수 있다. 데코부재(DC)의 상면(SF-U)은 투명 베이스 부재(WG)와 인접하고, 하면(SF-D)은 표시패널(DP)와 인접하다.
차단패턴(WB)은 데코부재(DC)의 하면(SF-D)에 인쇄된다. 차단패턴(WB)을 인쇄하는 과정에서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 사이에 터치 감지 부재(TS, 또는 터치 스크린)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재(TS)는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외부입력은 스타일러스펜,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입력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외부입력은 윈도우 부재(WM) 상에서 발생한다. 터치 감지부재(TS)는 저항식 터치패널 또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또는 전자기 유도방식 터치패널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재(TS)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절연층, 및 복수 개의 도전층을 포함한다. 별도의 공정에서 제조된 터치 감지부재(TS)와 표시패널(DP)은 광투명 접착층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감지부재(TS)는 표시패널(DP)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도전층 중 어느 하나는 표시패널(DP)의 일면(도 2에서 표시패널(DP)의 상면)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감지부재(TS)는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패널(DP)은 영상(IM)을 생성한다. 표시패널(DP)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제1 영역(DAR1)과 제2 영역(DAR2)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의 제1 영역(DAR1)은 영상(IM)을 생성하는 영역으로, 투명 베이스 부재(WG)의 제1 영역(AR1)과 중첩한다. 표시패널의 제2 영역(DAR2)은 제1 영역(DAR1)이 영상(IM)을 생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영역으로, 투명 베이스 부재(WG)의 제2 영역(AR2)과 중첩한다. 실질적으로, 표시패널(DP)의 제1 영역(DAR1)은 표시영역(DA)에 대응하고, 표시패널(DP)의 제2 영역(DAR2)은 비표시영역(NDA)에 대응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패드부(PD)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PD)는 표시패널(DP)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PD)는 표시패널(DP)의 짧은 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패드부(PD)는 복수 개의 전극들을 포함한다. 패드부(PD)에는 인쇄회로기판(PCB)이 연결된다. 패드부(PD)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통해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들을 수신하여, 표시패널(DP)이 영상(IM)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인쇄회로기판(PCB)은 패드부(PD)에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PCB)는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 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에는 구동회로(DIC)가 실장된다. 인쇄회로기판(PCB)은 구동회로(DIC)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패드부(PD)로 전달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윈도우 부재(WM)와 표시패널(D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윈도우 부재(WM)와 표시패널(DP)을 결합시킨다. 접착부재(AD)는 표시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IM)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접착부재(AD)는 레진(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진(Resin)은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또는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부재(AD)는 광학적 투명 접착제(OCA, 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PM)는 표시패널(DP), 터치 감지부재(TS), 전원부(PSM), 및 회로부(CM)를 수납한다. 보호부재(PM)는 윈도우 부재(WM)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한개의 부재로 구성된 보호부재(PM)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보호부재(PM)는 서로 결합되는 2개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PSM)는 표시장치(DD)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부(PSM)는 표시패널(DP) 및 터치 감지부재(TS)에 구동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회로부(CM)는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에 연결된 전자모듈들을 포함한다. 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절연층들 및 복수 개의 배선층들을 포함한다. 전자모듈들 중 일부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다른 일부는 플렉서블 회로기판에 의해 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모듈들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모듈들은 제어 모듈(10), 무선통신 모듈(20), 영상입력 모듈(30), 음향입력 모듈(40), 음향출력 모듈(50), 메모리(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0)은 표시장치(D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은 표시패널(DP) 및 터치 감지부재(TS)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킨다. 제어 모듈(10)은 터치 감지부재(TS)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표시패널(DP), 영상입력 모듈(30), 음향입력 모듈(40), 음향출력 모듈(5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2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24)를 포함한다.
영상입력 모듈(30)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패널(DP)에 입력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입력 모듈(40)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출력 모듈(50)은 무선통신 모듈(2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6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WM)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윈도우 부재(WM)를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명 베이스 부재(WG), 데코부재(DC), 및 차단패턴(WB)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데코부재(DC)는 내측 경계 모서리들(ED1, ED2, ED3, ED4)을 포함한다. 데코부재(DC)의 내측 경계 모서리들(ED1, ED2, ED3, ED4)은 투명 베이스 부재(WG)의 제1 영역(AR1)을 이루는 모서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모서리(ED1)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상에서, 차단패턴(WB)과 인접한다. 제1 모서리(ED1)는 차단패턴(WB)을 이루는 모서리들 중 가장 긴 모서리와 나란하거나, 접할 수 있다. 제2 모서리(ED2)는 제1 모서리(ED1)의 일단에서부터 연장되고, 제1 모서리(ED1)와 수직하다. 제3 모서리(ED3)는 제1 모서리의 타단에서부터 연장되고, 제1 모서리(ED1)와 수직하다. 즉, 제3 모서리(ED3)는 제2 모서리(ED2)와 나란하다. 제4 모서리(ED4)는 제2 모서리(ED2)의 일단에서부터 제3 모서리(ED3)의 일단으로 연장된다. 제4 모서리(ED4)는 제2 모서리(ED2) 및 제3 모서리(ED3)와 수직하고, 제1 모서리(ED1)와 나란하다.
투명 베이스 부재(WG)의 제2 영역(AR2)은 제1 베젤 영역(BZ1), 제2 베젤 영역(BZ2), 제3 베젤 영역(BZ3), 및 제4 베젤 영역(BZ4)을 포함한다.
제1 베젤 영역(BZ1)은 제1 모서리(ED1)로부터 연장되고, 패드부(PD, 도 2 참조)와 중첩한다. 제2 베젤 영역(BZ2)은 제2 모서리(ED2)로부터 연장된다. 제3 베젤 영역(BZ3)은 제3 모서리(ED3)로부터 연장된다. 제4 베젤 영역(BZ4)은 제4 모서리(ED4)로부터 연장된다.
데코부재(DC)는 투명 베이스 부재(WG)의 제2 영역(AR2)에 중첩한다. 즉, 데코부재(DC)는 베젤 영역(BZ1, BZ2, BZ3, BZ4)과 중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코부재(DC)는 투명 베이스 부재(WG)에 직접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차단패턴(WB)는 제1 베젤 영역(BZ1) 중 제1 모서리(ED1)와 인접한 부분과 중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단패턴(WB)는 데코부재(DC)의 하면(SF-D)에 직접적으로 인쇄된다.
차단패턴(WB)를 제1 방향(DR1)으로 측정한 길이는 제1 모서리(ED1)로부터 멀어질수록 짧아진다. 이는, 차단패턴(WB) 주변의 구성 요소들과의 배치관계를 고려한 형상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생산정보부(LT)는 제4 베젤 영역(BZ3)과 중첩한다. 생산정보부(LT)는 윈도우 부재(WM)가 생산된 날짜 및 생상된 장소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생산정보부(LT)는 데코부재(DC)의 하면(SF-D)에 직접적으로 인쇄된다.
차단패턴(WB)와 생산정보부(LT)를 같은 공정상에서 데코부재(DC)의 하면(SF-D)에 직접적으로 인쇄함에 따라,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합지 공정에 따른 공정의 오차보다 인쇄 공정에 따른 공정의 오차가 더 작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정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은 접착부재(AD)에 의해 결합된다. 접착부재(AD)는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 사이에 액체 상태로 도포되며, 액체 상태의 접착부재(AD)는 외부의 광원(LS, 이하 경화용 광원)로부터 방출되는 광(LUV, 이하 경화용 광)에 의해 경화된다. 경화용 광(LUV)에 의해 접착부재(AD)가 경화되면서,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가 결합된다.
경화용 광(LUV)은 표시패널(DP)의 모서리들 각각 및 표시패널(DP)의 전면에 입사될 수 있다. 경화용 광(LUV)이 다양한 방향에서 표시패널(DP), 접착부재(AD), 및 윈도우 부재(WM)에 입사되어야, 접착부재(AD)가 효율적으로 경화될 수 있다.
경화용 광(LUV)은 레진(resin) 등을 효과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는 자외선일 수 있다. 단,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화용 광(LUV)은 액상의 접착부재(AD)를 효과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는 파장대의 광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액상의 접착부재(AD)는 경화용 광(LUV)이 도달하지 못하는 부분(AA, 이하 미경화 부분)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PCB)은 경화용 광(LUV)이 접착부재(AD)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미경화 부분(AA)이 발생한다.
미경화 부분(AA)에 포함되는 액상의 접착부재(AD)가 데코부재(DC)와 접촉하면, 액상의 접착부재(AD)와 데코부재(DC)는 화학 반응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데코부재(DC)는 성질이 변하여, 자신의 색깔 및 무늬 등이 변하게 된다.
차단패턴(WB)는 액상의 접착부재(AD)가 데코부재(DC)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데코부재(DC)의 성질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도 4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WM-1)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윈도우 부재(WM-1)는 투명 베이스 부재(WG), 데코부재(DC-1), 및 차단패턴(WB)를 포함한다. 투명 베이스 부재(WG) 및 차단패턴(WB)에 대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데코부재(DC-1)는 데코 베이스 필름(BS)과 데코 잉크층(IDC)를 포함한다.
데코 베이스 필름(BS)은 투명한 재질의 필름으로, 염화비닐리덴수지(PVDC, 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일론(nylon),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데코 베이스 필름(BS)의 두께는 약 25μm 내지 100μm 일 수 있다. 데코 베이스 필름(BS)의 두께가 약 25μm보다 작을 경우, 너무 얇아서 합지(lamination) 과정에서 다루기 어려울 수 있다. 데코 베이스 필름(BS)의 두께가 약 100μm보다 클 경우, 너무 두꺼워서 데코 베이스 필름(BS)의 투명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데코 베이스 필름(BS)은 인플레이션(inflation)법, T 다이(T-die)법, 또는 캐스트(cast)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데코 베이스 필름(BS)은 투명 베이스 부재(WG)에 전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데코 잉크층(IDC)은 데코 베이스 필름(BS)의 일면에 인쇄된다. 데코 잉크층(IDC)이 데코 베이스 필름(BS)에 인쇄되는 경우, 투명 베이스 부재(WG)에 인쇄되는 경우보다 더 다양하고 섬세한 컬러 표현이 가능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데코 잉크층(IDC)은 렌티큘러 패턴 등에 의한 다양한 컬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도 4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WM-2)의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윈도우 부재(WM-2)의 차단패턴(WB-1)은 제1 차단패턴(WB1) 및 제2 차단패턴(W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패턴(WB1)은 데코부재(DC) 상에 직접 인쇄되며,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차단패턴(WB)에 비해 작은 너비로 인쇄된다. 그 외에, 제1 차단패턴(WB1)에 대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차단패턴(WB)에 대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제2 차단패턴(WB2)은,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차단패턴(WB1)과 달리, 테이프의 형태이다. 즉, 제2 차단패턴(WB2)은 차단 테이프의 형태로 데코부재(DC)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방법이 다른 제1 차단패턴(WB1)과 제2 차단패턴(WB2)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통해, 차단패턴(WB-1)은 접착부재(AD)와 데코부재(DC)의 접촉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차단패턴(WB-1)외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도 6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따른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3)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윈도우 부재(WM-3)는 투명 베이스 부재(WG), 데코부재(DC), 차단패턴(WB), 및 보조 차단패턴(WB-S)을 포함한다. 투명 베이스 부재(WG), 데코부재(DC), 및 차단패턴(WB)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보조 차단패턴(WB-S)은 차단패턴(WB)로부터 연장된다. 보조 차단패턴(WB-S)은 투명 베이스 부재(WG)의 하부면에 접착부재(AD)와 데코부재(DC)의 경계선을 따라 인쇄된다.
보조 차단패턴(WB-S)은 접착부재(AD)와 데코부재(DC)의 경계선에 인쇄되어, 접착부재(AD)와 데코부재(DC)가 접촉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보조 차단패턴(WB-S)은 차단패턴(WB)을 형성하는 공정과 같은 공정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차단패턴(WB-S)과 차단패턴(WB)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보조 차단패턴(WB-S)은 차단패턴(WB)은 일체의 형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순서도 중 윈도우 부재 준비 단계(S1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1의 순서도 중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 정렬단계(S200), 액상의 접착부재 배치 단계(S300),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 결합단계(S400), 및 액상의 접착부재 경화 단계(S500)에 대응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윈도우 부재 준비 단계(S100),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 정렬단계(S200), 액상의 접착부재 배치 단계(S300),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 결합단계(S400), 및 액상의 접착부재 경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2a를 참조하면, 윈도우 부재 준비 단계(S100)에서, 투명 베이스 부재(WG)의 일면에 데코부재(DC)가 배치된다. 투명 베이스 부재(WG)는 제1 영역(AR1, 도 2 참조) 및 제2 영역(AR2, 도 2 참조)를 포함하고, 데코부재(DC)는 제2 영역(AR2)에 중첩하게 배치된다.
데코부재(DC)는 투명 베이스 부재(WG)에 직접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데코부재(DC)는 투명 베이스 부재(WG)에 합지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윈도우 부재 준비 단계(S100)에서, 데코부재(DC)의 일면에 차단패턴(WB)이 인쇄될 수 있다. 차단패턴(WB)을 인쇄하기 위해, 잉크를 분사하는 프린터(PRT)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a를 참조하면,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 정렬단계(S200)에서, 표시패널(미도시)과 윈도우 부재(WM)가 마주하도록 정렬된다.
액상의 접착부재 배치 단계(S300)에서, 표시패널과 윈도우 부재(WM) 사이에 액상의 접착부재(AD)가 배치된다. 액상의 접착부재(AD)가 도포되기 위해, 액상의 접착부재(AD)를 배출하는 접착 머신(BMC)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3a에서는 액상의 접착부재(AD)가 윈도우 부재(WM) 상에 도포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의 접착부재(AD)는 표시패널(DP)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 결합단계(S400)에서, 차단패턴(WB)이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의 경계선(BDL)에 인접하도록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가 결합된다.
액상의 접착부재(AD)는 차단패턴(WB)과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차단패턴(WB)은, 표시패널(DP)와 윈도우 부재(WM)가 압착될 때, 액상의 접착부재(AD)가 데코부재(DC)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c를 참조하면, 액상의 접착부재 경화 단계(S500)에서, 액상의 접착부재(AD)가 외부의 광(LUV)에 의해 경화된다. 접착부재(AD)가 경화됨에 따라,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경화용 광원(LS)과 경화용 광(LUV)에 대한 설명은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P: 표시패널
PM: 보호부재 WM: 윈도우 부재
AD: 접착부재 PCB: 인쇄회로기판
DC: 데코부재 WB: 차단패턴

Claims (19)

  1.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정의되는 투명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 하부에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데코부재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상기 윈도우 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비표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비표시영역 중 일부영역에 배치된 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표시패널을 결합시키는 접착부재;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패드부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데코부재의 하부면 중 상기 접착부재와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패드부와 중첩하도록 인쇄되는 차단패턴; 및
    상기 차단패턴으로부터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차단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패턴 및 상기 보조 차단패턴은 상기 표시영역에 비중첩하고,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의 접촉을 방지하며,
    상기 표시영역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차단패턴의 폭은 상기 접착부재와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패턴은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쇄되는 표시장치.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차단패턴은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의 하부면에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의 경계선을 따라 인쇄되는 표시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에 직접적으로 인쇄되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데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데코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인쇄되는 데코 잉크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레진(resin)인 표시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의 경계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모서리;
    상기 제1 모서리로의 일단에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모서리와 수직한 제2 모서리;
    상기 제1 모서리의 타단에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모서리와 수직한 제3 모서리; 및
    상기 제2 모서리의 일단에서부터 상기 제3 모서리의 일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모서리와 수평한 제4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패드부와 중첩하는 제1 베젤 영역;
    상기 제2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베젤 영역;
    상기 제3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베젤 영역과 마주하는 제3 베젤 영역; 및
    상기 제4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베젤 영역과 마주하는 제4 베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패턴은 상기 제1 베젤 영역과 중첩하게 배치되는 표시장치.
  11. 투명 베이스 부재,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하는 데코부재, 및 상기 데코부재 하부에 상기 데코부재의 내측 경계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쇄되는 차단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윈도우 부재 하부에 결합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에 상기 차단패턴과 중첩하도록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패턴은 상기 데코부재와 상기 접착부재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차단패턴의 폭은 상기 접착부재와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패턴에서 연장되며,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의 하부면에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의 경계선을 따라 인쇄되는 보조 차단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의 하부면 중 상기 차단패턴과 인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에 직접적으로 인쇄되는 표시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데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데코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인쇄되는 데코 잉크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삭제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레진(resin)인 표시장치.
  18.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에워싸는 제2 영역이 정의되는 투명 베이스 부재,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 하부에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데코부재, 상기 데코부재의 하부면에 인쇄되는 차단패턴, 및 상기 차단패턴으로부터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차단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가 준비되는 단계;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비표시영역이 정의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되는 단계;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액상의 접착부재가 배치되는 단계;
    상기 차단패턴이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의 경계선에 인접하도록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가 결합되는 단계; 및
    상기 액상의 접착부재가 외부의 광에 의해 경화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패턴 및 상기 보조 차단패턴은 상기 표시영역에 비중첩하며, 상기 접착부재와 상기 데코부재의 접촉을 방지하고,
    상기 표시영역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차단패턴의 폭은 상기 접착부재와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패턴은 상기 데코부재의 내측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인쇄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160003277A 2016-01-11 2016-01-11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512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77A KR102512065B1 (ko) 2016-01-11 2016-01-11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US15/251,963 US10136523B2 (en) 2016-01-11 2016-08-3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277A KR102512065B1 (ko) 2016-01-11 2016-01-11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404A KR20170084404A (ko) 2017-07-20
KR102512065B1 true KR102512065B1 (ko) 2023-03-21

Family

ID=5927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277A KR102512065B1 (ko) 2016-01-11 2016-01-11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36523B2 (ko)
KR (1) KR102512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716B1 (ko) * 2018-07-16 2023-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37071B1 (ko) 2018-11-16 2024-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578A (ko) 2004-04-07 2005-10-12 에코라이트 주식회사 오목표시를 위한 전자기기의 로고 인쇄구조 및 인쇄방법
KR100946282B1 (ko) 2007-11-09 2010-03-08 김영수 입체 로고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7698B1 (ko) 2008-05-28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화면 보호용 윈도우
KR20120004862A (ko) 2010-07-07 2012-01-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936839B2 (en) * 2011-01-18 2015-01-2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with flat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with flat plate, and resin composition
JP5611864B2 (ja) * 2011-03-09 2014-10-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製造方法
KR20130049014A (ko) 2011-11-03 2013-05-13 주식회사 갤럭시아디스플레이 정전 용량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71863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30127173A (ko) 2012-05-14 2013-11-22 주식회사 코리아파인글라스 개인휴대단말 및 터치스크린용 윈도우글라스의 제조 방법
US9120187B2 (en) * 2012-06-08 2015-09-01 Nokia Technologies Oy Multilayer 3D glass window with embedded functions
KR101940186B1 (ko) 2012-10-29 2019-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04220B1 (ko) * 2012-12-03 2019-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052059B1 (ko) * 2013-01-24 2019-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40095851A (ko) 2013-01-25 2014-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0131B1 (ko) 2013-06-17 2020-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19251A (ko) * 2013-08-13 2015-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7886A (ko) * 2014-01-22 2015-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404A (ko) 2017-07-20
US20170202095A1 (en) 2017-07-13
US10136523B2 (en)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133B1 (ko) 융합된 유리 장치 하우징
JP5513657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07693B1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888742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20709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US1112793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KR20150087886A (ko) 표시장치
KR102333206B1 (ko) 전자 장치
US9857506B2 (en) Window memb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1048511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ndow member
KR20210111394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885333A (zh)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
US1137460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waterproof structure
KR102512065B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US20130308290A1 (en) Touch panel with singl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035166A (ko) 표시 장치
WO2012066972A1 (ja) 電子機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
EP4283436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display
EP4391500A1 (en) Display module comprising cushion laye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module
US2023026291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support structure
KR2021012369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314030A (zh) 电子设备
JP5960587B2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240061472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2022041355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