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046B1 -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046B1
KR102509046B1 KR1020180013477A KR20180013477A KR102509046B1 KR 102509046 B1 KR102509046 B1 KR 102509046B1 KR 1020180013477 A KR1020180013477 A KR 1020180013477A KR 20180013477 A KR20180013477 A KR 20180013477A KR 102509046 B1 KR102509046 B1 KR 102509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able device
area
state
uni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264A (ko
Inventor
이정헌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046B1/ko
Priority to US16/263,332 priority patent/US10645205B2/en
Publication of KR2019009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폴더블 디바이스는 제1 지지판, 제2 지지판,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사이를 연결하는 다관절 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지지부, 그리고 제1 지지판, 제2 지지판, 및 다관절 부재 상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다관절 부재는,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고정단과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자유단을 포함하는 관절부를 복수로 포함하고,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1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은 표시 패널의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에서 일정하다.

Description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FOLD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개시는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렉서블(flexible) 표시 패널을 이용한 여러 유형의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기판 상에 복수의 화소를 배치한 표시 패널로서 쉽게 휘어지는 성질을 가진다. 폴더블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일 유형으로서, 쉽게 휘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의 전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의 전환이 빈번할수록, 폴더블 디바이스의 접힘 상태에서 휘어져 있는 일 부분에는 스트레스가 집중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가 집중되면, 폴더블 디바이스의 일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에는 다양한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디바이스가 사용화됨에 따라, 다양한 적용 분야들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잡지, 교과서, 서적, 만화와 같은 출판물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책 분야와, 디스플레이를 접어서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 PC, 실시간 정보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등 새로운 휴대용 IT 제품 분야에 폴더블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폴더블 디바이스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이들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실시예들은 폴더블 디바이스에 탑재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들은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연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폴더블 디바이스를 통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는 제1 지지판, 제2 지지판,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사이를 연결하는 다관절 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지지부, 그리고 제1 지지판, 제2 지지판, 및 다관절 부재 상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다관절 부재는,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고정단과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자유단을 포함하는 관절부를 복수로 포함하고,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1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은 표시 패널의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에서 일정하다.
표시 패널이 접힘 상태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1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작아질 수 있다.
표시 패널이 접힘 상태에서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2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커지며, 제1 관절부는 제1 지지판에 인접하고, 제2 관절부는 제2 지지판에 인접할 수 있다.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를 검출하고, 접힘 상태에서 접힌 위치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센서, 그리고 접힌 위치를 사용하여 접힘 상태에서 구분된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면적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들에 대응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에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케이스, 그리고 케이스의 후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 촬상부와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고, 촬상부는 제1 영역의 면적이 제2 영역보다 크면 외부로 노출되고, 스피커부는 제2 영역의 면적이 제1 영역보다 크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영역의 면적이 제2 영역보다 크면 촬상부를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영역의 면적이 제1 영역보다 크면 스피커부를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영역의 면적과 제2 영역의 면적이 동일하면 잠금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상태 검출 센서는 표시 패널이 펼침 상태 또는 접힘 상태인지를 더 검출하고, 제어부는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되면, 접힌 위치를 사용하여 접힘 상태에서 구분된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면적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들에 대응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되고, 제1 영역의 면적과 제2 영역의 면적이 동일하면, 접힘 상태에서 구분된 표시 패널의 두 영역에 서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는 두 개의 평탄 부분 및 평탄 부분들 사이의 벤딩 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후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 촬상부와 스피커부, 디스플레이부의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를 검출하고, 펼침 상태에서 벤딩 가능 부분이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접힐 때, 기준선의 위치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센서, 그리고 기준선의 위치에 따라 촬상부 또는 스피커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는, 두 개의 평탄 부분에 대응하는 두 개의 평탄 영역, 및 벤딩 가능 부분에 대응하는 벤딩 가능 영역을 포함하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평탄 영역들을 각각 지지하는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벤딩 가능 영역을 지지하는 다관절 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관절 부재는,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고정단과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자유단을 포함하는 관절부를 복수로 포함하고,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1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은 디스플레이부의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에서 일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접힘 상태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1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작아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접힘 상태에서 제1 방향과 반대인 제3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2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커지며, 제1 관절부는 제1 지지판에 인접하고, 제2 관절부는 제2 지지판에 인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케이스의 전면에 위치하고 두 개의 평탄 부분 및 평탄 부분들 사이의 벤딩 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케이스의 후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 촬상부와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벤딩 가능 부분이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접힐 때의 기준선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기준선의 위치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의 마주보게 되는 두 영역의 면적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두 영역의 면적에 따라 촬상부 또는 스피커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촬상부를 구동한 후에, 촬상부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기준선에 의해 구분된 디스플레이부의 두 개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두 개의 평탄 부분에 대응하는 두 개의 평탄 영역, 및 벤딩 가능 부분에 대응하는 벤딩 가능 영역을 포함하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평탄 영역들을 각각 지지하는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벤딩 가능 영역을 지지하는 다관절 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고, 다관절 부재는,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고정단과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자유단을 포함하는 관절부를 복수로 포함하고,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1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은 디스플레이부의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에서 일정할 수 있다.
촬상부는 두 영역 중 제1 영역의 면적이 제2 영역보다 크면 외부로 노출되고, 스피커부는 제2 영역의 면적이 제1 영역보다 크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 디바이스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연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인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접힘 상태인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접을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접힌다’는 것은, 평면 형태의 전자 장치가 임의의 선을 기준으로 변형됨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양 면이 서로 맞닿을 정도로 근접하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도 1(c) 참조). 이 경우, 평면 형태의 전자 장치는 구부러짐으로써 변형되거나, 힌지를 통하여 꺽임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폴더블 디바이스(100)에 힌지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힌지를 축으로 하여 접히는 양 면이 서로 접촉 하여 평행이 되거나 평행에 근접한 상태가 됨으로써,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접힐 수 있다. 또한,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플렉서블 소재로 구현된 경우, 임의의 선을 기준으로 하여 구부려짐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양 면이 평행에 가깝게 근접한 상태가 됨으로써, 폴더블 디바이스는 접힐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접을 수 있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도 1(a) 및 (b)와 같이 펼침 상태로 이용되거나, 도 1(c)와 같이 접힘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에 따라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장치의 접힘 형태(folding shape)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와 펼침 상태(open state)의 두 가지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의 정의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접힘 동작은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펼침 동작은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장치, 전자책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장치, 디지털 TV,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70), 메모리(120), GPS 칩(125), 통신부(130), 비디오 프로세서(135), 오디오 프로세서(140), 사용자 입력부(145), 마이크부(150), 촬상부(155), 스피커부(160), 움직임 감지부(165), 센서부(1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표시패널(111) 및 표시 패널(111)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1)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111)은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5)의 터치 패널(147)과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은 표시 패널(111)과 터치 패널(147)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일체형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내장 메모리(Internal Memory)(미도시) 및 외장 메모리(External Memory)(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는 잠금 화면에 표시될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어부(17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서 사용자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RAM(171), ROM(172), CPU(173), GPU(Graphic Processing Unit)(174) 및 버스(1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AM(171), ROM(172), CPU(173) 및 GPU(174) 등은 버스(17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73)는 메모리(12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예로,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73)가 ROM(1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20)에 저장된 OS를 RAM(1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73)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71)에 복사하고, RAM(17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174)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174)는 컨텐츠, 아이콘, 메뉴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가 표시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174)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GPU(174)는 연산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174)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각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GPS 칩(125)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125)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와이파이칩(131), 블루투스 칩(132), 무선 통신 칩(133), NFC 칩(1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31), 블루투스 칩(1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31)이나 블루투스 칩(1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35)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3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4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135) 및 오디오 프로세서(14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스피커부(160)는 오디오 프로세서(14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5)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5)는 키(146), 터치 패널(147) 및 펜 인식 패널(1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146)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7)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7)이 표시 패널(111)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구성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48)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펜의 근접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펜 근접 이벤트 또는 펜 터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48)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마이크부(15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마이크 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 동작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상부(155)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155)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움직임 감지부(165)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본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움직임 감지부(165)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및 각도, 기울기 등과 같은 움직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80)는, 상태 검출 센서(181), 근접 센서(182), 조도 센서(183),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홀 센서(Hall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 온/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기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밖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는, 폴더블 디바이스(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개시된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태의 디바이스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평탄 영역들(FA1, FA2)과 벤딩 가능(bendable) 영역(B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벤딩 가능 영역(BA)은 평탄 영역(FA1) 및 평탄 영역(FA2) 사이에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벤딩 가능 영역(BA)이 구부러짐에 따라 접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전체가 벤딩 가능한 영역일 수도 있고, 평탄 영역으로 구분된 2 이상의 벤딩 가능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폴더블 디바이스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폴더블 디바이스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디바이스 바디는 폴더블 디바이스(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프론트 케이스(101a, 101b)와 리어 케이스(102a, 102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a, 101b)와 리어 케이스(102a, 102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벤딩 가능 영역(BA)에 대응하는 리어 케이스(102a, 102b)의 일 부분은 벤딩 가능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평탄 영역(FA1, FA2)에 대응하는 리어 케이스(102a, 102b)의 다른 부분은 리지드(rigid)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리지드한 특성을 갖는 리어 케이스(102a, 102b)는 벤딩 가능 영역(BA)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노출된 적어도 일부에는 별도의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a, 101b, 102a, 102b)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들의 조합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10) 및 제1 스피커부(160a)가 배치되고, 디바이스(100) 바디의 측면에 제1 키(146a)가 배치되며, 디바이스(100) 바디의 후면에 제2 스피커부(160b) 및 촬상부(155)가 배치된 폴더블 디바이스(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스피커부(160a)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촬상부(155)는 디바이스(100) 바디의 후면 외에도 디바이스(100) 바디의 정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1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 키(146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스피커부(160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스피커부(160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키(146a, 146b)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45)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키(146a, 146b)가 푸시 키(mechanical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키(146a)는 터치 키(touch key)가 되거나, 터치 키와 푸시 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키(146a, 146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146a)는 제1 또는 제2 스피커부(160a, 160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10)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제2 키(146b)는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폴더블 디바이스(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사용자 입력부(145)에 내장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 바디의 후면에는 촬상부(155)가 배치될 수 있다. 촬상부(155)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어레이(array) 카메라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 바디의 후면에는 제2 스피커부(16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피커부(160b)는 통화 시에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힘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두 영역의 면적이 동일하도록, 대칭적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힘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양 면의 면적이 상이하도록, 비대칭적으로 접힐 수도 있다.
이렇게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대칭적으로 접히거나 또는 비대칭적으로 접히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0)의 구조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침 상태일 때의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인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110)를 자른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표시 패널(111)과 표시 패널(111)에 결합되어 표시 패널(111)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2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11)은 플렉서블 기판(11)과 플렉서블 기판(11) 상에 위치하는 표시부(12)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기판(11)은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12)는 복수의 화소와 복수의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1)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11)은 평탄 부분들(FP1, FP2)과 벤딩 가능 부분(BP)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1)은 중앙에 위치하는 벤딩 가능 부분(BP)과, 벤딩 가능 부분(BP)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평탄 부분(FP1, FP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벤딩 가능 부분(BP)은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벤딩 가능 영역(BA)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평탄 부분들(FP1, FP2)은 각각 평탄 영역들(FA1, FA2)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제1 방향(X축 방향)에 따라 벤딩 가능 부분(BP)과 평탄 부분들(FP1, FP2) 각각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패널 지지부(20)는 두 개의 평탄 부분(FP1, FP2)에 대응하는 두 개의 지지판(30)과, 벤딩 가능 부분(BP)에 대응하는 다관절 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관절 부재(40)는 두 개의 평탄 부분(FP1, FP2)에 인접한 제2 관절부(42)와 제2 관절부(42) 사이의 제1 관절부(41)를 포함한다.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침 상태일 때, 제1 관절부(41)와 제2 관절부(42)는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1 관절부(41)와 제2 관절부(42) 각각은 제1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Y 방향)을 따라 뻗은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 관절부(41)와 제2 관절부(42) 각각은 삼각형, 사다리꼴과 같은 다각형, 일부가 곡선인 도형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단면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지지판(30)과 제2 관절부(42) 사이, 제2 관절부(42)들 사이, 제1 관절부(41)와 제2 관절부(42) 사이, 제1 관절부(41)들 사이에 각각 힌지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힌지부(50)는 힌지축(51)을 가지며, 지지판(30), 제1 관절부(41), 및 제2 관절부(42)는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관절부(41)와 제2 관절부(42)는 표시 패널(111)을 지지하는 고정단(401)과 고정단(401)으로부터 연장되어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자유단(402)을 포함할 수 있다. 펼침 상태에서 인접한 관절부(40)들의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두 개의 제1 관절부(41)의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고, 인접한 두 개의 제2 관절부(42)의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며, 인접한 제1 관절부(41)와 제2 관절부(42)의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다.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접힘 상태에서 표시 패널(111)이 패널 지지부(20)의 바깥에 위치하는 아웃-폴딩(out-folding) 방식과, 접힘 상태에서 표시 패널(111)이 패널 지지부(20)의 안쪽에 위치하는 인-폴딩(in-folding)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접힐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웃-폴딩 방식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접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접힘 상태인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표시 패널(111)의 벤딩 가능 부분(BP)이 대칭적으로 접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벤딩 가능 부분(BP)이 대칭적으로 접힐 때, 제1 관절부(41)들이 각자의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벤딩 가능 부분(BP)의 일 영역(500)이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다.
XZ 평면 상에서의 벤딩 가능 부분(BP)의 길이는 XZ 평면 상에서의 상기 곡면의 길이보다 더 크다. 벤딩 가능 부분(BP)이 대칭적으로 접힐 때, 제2 관절부(42)들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벤딩 가능 부분(BP)의 나머지 영역들(510, 520)은 평면을 이룬다. 벤딩 가능 부분(BP)의 나머지 영역들(510, 520)에 제2 관절부(41)들이 위치하고 있다.
접힘 상태에서 인접한 관절부(40)들의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은 펼침 상태보다 더 작아진다. 예를 들어, 펼침 상태로부터 벤딩 가능 부분(BP)이 대칭적으로 접힐 때, 인접한 두 개의 제1 관절부(41)의 자유단(402)들이 서로 접근되어 두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이 작아진다.
또한, 나머지 영역들(510, 520)에 위치한, 인접한 두 개의 제2 관절부(42)들의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은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에서 일정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1)의 벤딩 가능 부분(BP)이 대칭적으로 접힐 때, 폴더블 디바이스(100)도 접힘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양면의 면적이 동일하도록 대칭적으로 접힐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표시 패널(111)의 벤딩 가능 부분(BP)이 비대칭적으로 접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벤딩 가능 부분(BP)이 비대칭적으로 접힐 때, 일부의 제1 관절부(41a)들과 일부의 제2 관절부(42a)들이 각자의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벤딩 가능 부분(BP)의 일 영역(도 6의 600, 도 7의 700)이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다. 벤딩 가능 부분(BP)이 비대칭적으로 접힐 때, 다른 일부의 제1 관절부(41b)들과 다른 일부의 제2 관절부(42b)들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벤딩 가능 부분(BP)의 나머지 영역(도 6의 610, 도 7의 710)은 평면을 이룬다. 벤딩 가능 부분(BP)의 나머지 영역(도 6의 610, 도 7의 710)에는 제1 관절부(41b)들과 제2 관절부(42b)들이 위치하고 있다.
나머지 영역(도 6의 610, 도 7의 710)에 위치한, 인접한 두 개의 제2 관절부(42b)들의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 인접한 두 개의 제1 관절부(41b)와 제2 관절부(42b)의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 인접한 두 개의 제1 관절부(41b)들의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은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에서 일정할 수 있다.
X축 방향으로 표시 패널(111)을 밀거나 또는 당김으로써, 표시 패널(111)의 슬라이딩(sliding)이 가능하다. X축 방향으로 표시 패널(111)을 밀거나 또는 당기면, 곡면을 이루고 있던 관절부들 중 일부는 각자의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평면을 이루고, 평면을 이루고 있던 관절부들 중 일부는 각자의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슬라이딩 중에, 인접한 두 개의 관절부(40)들의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접힘 상태로부터 도 6의 접힘 상태로 변경되는 때, 인접한 두 개의 제1 관절부(41b)의 자유단(402)들이 서로 이격되어 두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이 커지고, 인접한 두 개의 제1 관절부(41a)와 제2 관절부(42a)의 자유단(402)들이 서로 근접되어 두 자유단(402)들 사이의 간격이 작아진다.
이에 벤딩 가능 부분(BP) 중 곡면을 이루며 휘어지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을 통해, 표시 패널(111)은 도 5와 같이 벤딩 가능 부분(BP)이 대칭적으로 접힌 상태, 도 6과 같이 비대칭적으로 접힌 상태, 및 도 7과 같이 비대칭적으로 접힌 상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표시 패널(111)이 탑재된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펼침 상태인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힘 상태로 전환할 때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제어 방법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제1 동작과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펼침 상태에 있다(S100). 도 9(a)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 상태의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면적의 표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펼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잠금 화면, 제어부(170)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등을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중인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펼침 상태에서, 전체 표시 영역에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표시 영역을 분할하여, 분할된 각 표시 영역에 상이한 화면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태 검출 센서(181)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접힘 동작을 검출(S102)한다. 상태 검출 센서(181)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접힘 동작 및 펼침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검출 센서(181)는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상태가 변화되는 동작, 또는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변화되는 동작 자체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검출 센서(181)는 접힘 영역에 구비된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 자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태 검출 센서(181)는 디바이스(100)의 현재 상태가 펼침 상태인지 접힘 상태인지를 검출하고, 현재 상태가 변화되면,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검출 센서(181)는 디바이스(100)의 구부러짐 또는 접힘에 의해 서로 근접하는 지점에 상태 검출 센서를 배치하여, 접힘 상태를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상태 검출 센서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자기 센서, 홀 센서, 터치 센서, 벤딩 센서,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검출 센서(181)는 디바이스(100)의 구부러짐 또는 접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태 검출 센서(181)는 벤딩 가능 부분(BP) 중 곡면을 이루며 휘어지는 영역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태 검출 센서(181)는 벤딩 가능 부분(BP) 내의 접힌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상태 검출 센서(181)에서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제어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70)는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를 따로 판단할 필요 없이, 상태 검출 센서(181)의 출력에 따라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인지를 알 수 있다.
상태 검출 센서(181)에서 구부러짐 또는 접힘 각도에 대한 정보와 상태 검출 센서의 센싱 정보를 제어부(170)에 제공하면, 제어부(170)는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태 검출 센서(181)에서 벤딩 가능 부분(BP) 중 곡면을 이루며 휘어지는 영역의 위치(즉, 접힌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70)에 제공하면, 제어부(17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힘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두 영역 및 두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접힘 동작이 검출되면, 제어부(170)는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힘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두 영역의 면적을 비교(S104)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힘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두 영역의 면적이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도 9(b)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힘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두 영역의 면적이 상이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선(L)에 의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며,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상측 영역의 면적이 하측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다. 기준선(L)을 기준으로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히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상측 영역의 면적이 하측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게 접힐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 9(b)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상측 영역의 면적이 하측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면(①), 제1 동작을 수행(S106)한다.
도 10(a)와 같이, 기준선(L)에 의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며,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하측 영역의 면적이 상측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다. 도 10(b)와 같이, 기준선(L)을 기준으로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히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하측 영역의 면적이 상측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게 접힐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 10(b)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상측 영역의 면적이 하측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면(②), 제2 동작을 수행(S108)한다.
또는, 제어부(17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마주보게 되는 두 영역(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의 면적이 동일하면(③), 제3 동작을 수행(S110)한다.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상측 영역의 면적이 하측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게 되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부(155)가 외부로 노출되면, 제어부(170)는 제1 동작으로서 촬상부(155)를 구동한다. 제어부(170)는 촬상부(155)를 구동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제1 표시 영역(110a) 및 제2 표시 영역(110b)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 영역(110a) 및 제2 표시 영역(110b) 중 적어도 하나에는 획득된 영상의 저장, 편집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하측 영역의 면적이 상측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게 되어 스피커부(160b)가 외부로 노출되면, 제어부(170)는 제2 동작으로서 스피커부(160b)를 구동하여 음향을 출력한다. 통화 중에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힘 상태로 변경되어 스피커부(160b)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스피커폰 모드로 진입하여 스피커부(160b)로 통화 음성을 출력한다. 또는 잠금 상태의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접힘 상태로 변경되어 스피커부(160b)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멀티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 다른 예로,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마주보는 두 영역의 면적이 동일하면, 제어부(170)는 제3 동작으로서 잠금 상태로 진입한다. 또는, 제어부(170)는 잠금 상태의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대칭적으로 접히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또 다른 예로,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펼친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되는 때, 제어부(170)는 접힘 상태에서 구분된 표시 패널(111)의 두 영역에 서로 상이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영역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동작,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웨이크-업(wake-up) 동작, 상태 바(bar) 표시 동작,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잠금 상태 등을 유지하는 동작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접힘 상태인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슬라이딩될 때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제어 방법에 따라 폴더블 디바이스(100)가 제1 동작과 제2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접힘 상태에 있다(S200).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두 영역의 면적이 동일한 접힘 상태에 있거나, 또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두 영역의 면적이 상이한 접힘 상태에 있다. 접힘 상태의 폴더블 디바이스(100)는 휴대성이 좋으며, 사용자가 폴더블 디바이스(100)를 파지하기에도 용이하다.
상태 검출 센서(181)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슬라이딩 동작을 검출(S202)하고, 슬라이딩 동작이 검출되면, 제어부(170)는 슬라이딩에 따라 변화된, 상측 영역의 면적과 하측 영역의 면적을 비교(S204)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두 영역의 면적이 동일한 접힘 상태인 폴더블 디바이스(100)를 X축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밀면, 상태 검출 센서(181)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슬라이딩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동작이 검출된 후에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상측 영역의 면적과 하측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측 영역의 면적이 하측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면(①), 제1 동작을 수행(S206)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두 영역의 면적이 동일한 접힘 상태인 폴더블 디바이스(100)를 X축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밀면, 상태 검출 센서(181)는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슬라이딩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동작이 검출된 후에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상측 영역의 면적과 하측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측 영역의 면적이 하측 영역의 면적보다 더 작으면(②), 제2 동작을 수행(S208)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70)는 슬라이딩 동작이 검출된 후에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상측 영역의 면적과 하측 영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측 영역의 면적이 하측 영역의 면적과 동일하면(③), 제3 동작을 수행(S210)한다.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폴더블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해, 폴더블 디바이스(100)의 벤딩 가능 영역(BA)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111)의 벤딩 가능 부분(BP)의 특정 부분만 반복적으로 접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표시 패널(111)의 벤딩 가능 부분(BP)에서의 탈막, 박리, 크랙(crack) 등 다양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제1 지지판,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 사이를 연결하는 다관절 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지지판, 상기 제2 지지판, 및 상기 다관절 부재 상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다관절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자유단을 포함하는 관절부를 복수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에서 폴더블하고, 상기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1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 사이에서 변함 없는,
    폴더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접힘 상태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1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폴더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2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커지며,
    상기 제1 관절부는 상기 제1 지지판에 인접하고, 상기 제2 관절부는 상기 제2 지지판에 인접한,
    폴더블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상태와 상기 접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접힘 상태에서 접힌 위치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센서, 그리고
    상기 접힌 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접힘 상태에서 구분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면적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들에 대응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전면에 상기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케이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 촬상부와 스피커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제2 영역보다 크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제1 영역보다 크면 외부로 노출되는,
    폴더블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제2 영역보다 크면 상기 촬상부를 구동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제1 영역보다 크면 상기 스피커부를 구동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면적과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이 동일하면 잠금 상태로 진입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펼침 상태 또는 상기 접힘 상태인지를 더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접힘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접힌 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접힘 상태에서 구분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면적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들에 대응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접힘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영역의 면적과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이 동일하면, 상기 접힘 상태에서 구분된 상기 표시 패널의 두 영역에 서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11. 두 개의 평탄 부분 및 상기 평탄 부분들 사이의 벤딩 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 촬상부와 스피커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접힘 상태 및 펼침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벤딩 가능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접힐 때, 상기 기준선의 위치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센서, 그리고
    상기 기준선의 위치에 따라 상기 촬상부 또는 상기 스피커부를 구동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두 개의 평탄 부분에 대응하는 두 개의 평탄 영역, 및 상기 벤딩 가능 부분에 대응하는 벤딩 가능 영역을 포함하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평탄 영역들을 각각 지지하는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상기 벤딩 가능 영역을 지지하는 다관절 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자유단을 포함하는 관절부를 복수로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1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에서 일정한,
    폴더블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1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폴더블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3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2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커지며,
    상기 제1 관절부는 상기 제1 지지판에 인접하고, 상기 제2 관절부는 상기 제2 지지판에 인접한,
    폴더블 디바이스.
  16.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위치하고 두 개의 평탄 부분 및 상기 평탄 부분들 사이의 벤딩 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 촬상부와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벤딩 가능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접힐 때의 상기 기준선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선의 위치에 따라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의 마주보게 되는 두 영역의 면적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두 영역의 면적에 따라 상기 촬상부 또는 상기 스피커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를 구동한 후에,
    상기 촬상부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상기 기준선에 의해 구분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두 개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두 개의 평탄 부분에 대응하는 두 개의 평탄 영역, 및 상기 벤딩 가능 부분에 대응하는 벤딩 가능 영역을 포함하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평탄 영역들을 각각 지지하는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상기 벤딩 가능 영역을 지지하는 다관절 부재를 포함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관절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자유단을 포함하는 관절부를 복수로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제1 관절부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에서 일정한,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두 영역 중 제1 영역의 면적이 제2 영역보다 크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제1 영역보다 크면 외부로 노출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80013477A 2018-02-02 2018-02-02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9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77A KR102509046B1 (ko) 2018-02-02 2018-02-02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6/263,332 US10645205B2 (en) 2018-02-02 2019-01-31 Fold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77A KR102509046B1 (ko) 2018-02-02 2018-02-02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264A KR20190094264A (ko) 2019-08-13
KR102509046B1 true KR102509046B1 (ko) 2023-03-10

Family

ID=6747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477A KR102509046B1 (ko) 2018-02-02 2018-02-02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45205B2 (ko)
KR (1) KR102509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353539S (en) * 1990-07-20 1994-12-20 Norden Pac Development Ab Combined tube and cap
USD885381S1 (en) * 2017-10-11 2020-05-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93475S1 (en) * 2017-10-11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207975120U (zh) * 2018-01-16 2018-10-16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外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和铰链装置
USD961586S1 (en) 2018-05-11 2022-08-23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display
CN108712538B (zh) * 2018-07-27 2021-06-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折叠设备及安装方法
USD920304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4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5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1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2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0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71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68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2900S1 (en) * 2018-08-01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5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7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1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5670S1 (en) 2018-08-01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8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3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9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2S1 (en)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6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72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74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5030S1 (en) * 2018-08-01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70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69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13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20306S1 (en) * 2018-08-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5029S1 (en) 2018-08-01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4373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KR102626169B1 (ko) * 2019-03-19 2024-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N111831063B (zh) * 2019-04-22 2022-03-04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具有发光图案的电子装置
CN111866225A (zh) * 2019-04-26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606318B1 (en) * 2019-05-23 2020-03-31 Google Llc Hinge mechanism and mode detector for foldable display device
KR20200138931A (ko) * 2019-06-03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40126A (ko) * 2019-06-05 202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US11024224B2 (en) 2019-08-02 2021-06-0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operating condi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US11586243B2 (en) 2019-08-02 2023-02-2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rotational orient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US11243578B2 (en) 2019-08-02 2022-02-08 Dell Products L.P. Gear synchronized dual axis pivot hinge
US11294431B2 (en) 2019-08-02 2022-04-05 Dell Products L.P. Synchronized dual axis pivot hinge
CN114600439B (zh) * 2019-10-22 2023-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以受控方式折叠电子设备的铰链组件
WO2021078364A1 (en) * 2019-10-22 2021-04-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Bidirectionally foldable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CN114586329B (zh) * 2019-10-22 2023-06-06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可折叠电子设备的锁定装置
CN112987957A (zh) * 2019-12-17 2021-06-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3010027A (zh) * 2019-12-19 2021-06-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显示屏组件和电子装置
CN111536143B (zh) * 2020-04-29 2021-05-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折叠屏及移动终端
KR20220003863A (ko) * 2020-07-02 2022-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자기 데이터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006671A (ko) * 2020-07-08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1882986B (zh) * 2020-07-10 2022-03-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KR20220060623A (ko) * 2020-11-04 2022-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213183388U (zh) * 2020-11-06 2021-05-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EP4231129A4 (en) * 2020-11-20 2024-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PERATING A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KR20220082957A (ko) 2020-12-10 2022-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99182A (ko) 2021-01-05 2022-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00137A (ko) 2021-01-07 2022-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108846A (ko) * 2021-01-27 2022-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68612A (ko) * 2021-06-16 2022-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4336980A1 (en) * 2021-07-20 202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CN114697435B (zh) * 2022-06-02 2022-10-1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折叠组件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2106B2 (en) * 2013-06-05 2016-05-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components in a folded device
KR101663728B1 (ko) 2013-08-26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271485B1 (ko) 2014-01-13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EP3872599A1 (en) 2014-05-23 2021-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17525B1 (ko) * 2014-09-05 202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385101B1 (ko) 2015-04-24 2022-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366516B1 (ko) * 2015-08-31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264A (ko) 2019-08-13
US20190245955A1 (en) 2019-08-08
US10645205B2 (en)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9046B1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886252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1727423B (zh)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074516B1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7496B1 (ko)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712938B2 (en)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of portable device
KR102063952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US9746883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ES2748044T3 (es) Aparato de pantalla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l mismo
KR102120930B1 (ko)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US95782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KR102137543B1 (ko) 벤딩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WO2013150998A1 (ja) 携帯型電子機器
CN112969986A (zh) 用于多外形规格信息处理***的检测于屏幕上的键盘
KR10231861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31373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30326208A1 (en) Headset Computer (HSC) with Docking Station and Dual Personality
US104817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sing on-screen keyboard
KR2022000027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120059A1 (zh) 图像显示方法和移动终端
KR20170066916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23510620A (ja) 画像クロップ方法及び電子機器
KR10224766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0134903A1 (zh) 显示屏操控方法和移动终端
KR2021004589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캡쳐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