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584B1 -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적층체, 터치패널용 부재 및 경화막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적층체, 터치패널용 부재 및 경화막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584B1
KR102507584B1 KR1020187015123A KR20187015123A KR102507584B1 KR 102507584 B1 KR102507584 B1 KR 102507584B1 KR 1020187015123 A KR1020187015123 A KR 1020187015123A KR 20187015123 A KR20187015123 A KR 20187015123A KR 102507584 B1 KR102507584 B1 KR 10250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resin
group
meth
cure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525A (ko
Inventor
미카 코시노
미키 나카미치
미츠히토 수와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03F7/038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with ethylenic or acetylenic bands in the side chains of the phot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32Epoxy compounds containing three or more ep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32Epoxy compounds containing three or more epoxy groups
    • C08G59/36Epoxy compounds containing three or more epoxy groups together with mono-epoxy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85Photosensitive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adhesion-promoting non-macromolecular addi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패턴 가공성이 우수하고, 150℃ 이하의 저온 경화에서도 충분한 내약품성 및 기판 밀착성을 부여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 함유 광반응성 수지, (B) 에폭시 화합물, (C)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D)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다.

Description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적층체, 터치패널용 부재 및 경화막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터치패널용 부재 및 경화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단말의 대부분은 정전 용량식 터치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패널의 센서 기판은 유리 상에 ITO(Indium Tin Oxide)나 금속(은, 몰리브덴, 알루미늄 등)이 패터닝된 배선을 갖고, 그 외, 배선의 교차부에 절연막, ITO 및 금속을 보호하는 보호막을 갖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보호막은 고경도한 무기계의 SiO2, SiNx나 감광성 투명재료 등으로 형성되고, 절연막은 감광성 투명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터치패널의 방식은 커버 유리와 액정패널 사이에 터치패널층을 형성하는 Out-sell 타입, 커버 유리에 터치패널층을 직접 형성하는 OGS(One Glass Solution) 타입, 액정패널 상에 터치패널층을 형성하는 On-sell 타입 및 액정패널의 내부에 터치패널층을 형성하는 In-sell 타입으로 대별되지만, 최근, 종래보다 제조 프로세스를 간략화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On-sell 타입의 개발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On-sell 타입은 액정패널 상에 직접 터치패널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배선 재료나 보호막, 절연막 재료는 액정의 내열 온도 이하의 저온에서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무기계 재료는 SiO2나 SiNx를 CVD(Chemi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고온 제막해서 형성할 필요가 있고, On-sell 타입으로의 적용은 어렵다. 또한, 종래의 감광성 투명재료는 200℃ 이상의 온도에서 경화할 필요가 있고, 저온에서의 경화에서는 내약품성이 부족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래서, 저온 경화가 가능하고, 내약품성, 기판 밀착성이 우수하고, 패턴 가공 가능한 감광성 투명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감광성 투명재료로서, 알칼리 가용성 폴리머,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및 기타 첨가제를 함유하는 UV 경화형 코팅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예를 들면, 컬러필터용 오버코트재 및 스페이서재에 사용되는 것 외, 또한 착색제를 사용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에도 사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기타, 층간 절연막, 솔더 레지스트, 표시장치용 격벽 등 그 적용 범위는 넓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4 참조).
이들 조성물의 특성 향상의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서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특허문헌 2에서는 카르도계 수지, 특허문헌 3에서는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특허문헌 4에서는 에폭시기 또는 옥세타닐기를 갖는 화합물이 검토되고 있고, 기판 밀착성이나 내약품성의 향상이 시사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13-76821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2/176694호 팜플렛 일본특허공개 2015-110765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5/133162호 팜플렛
On-sell 타입의 터치패널에서는 액정의 내열성이 낮기 때문에, 150℃ 이하의 저온에서의 프로세스가 필수가 된다. 특허문헌 1이나 2와 같이, 230℃ 이상의 경화가 필요한 재료는 150℃의 저온 경화에서는 충분한 내약품성이나 기판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특허문헌 3, 4의 재료에서는 패턴 가공성과 경화막 특성의 양립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저온 경화가 가능하고, 내약품성, 기판 밀착성이 우수하고, 패턴 가공 가능한 감광성 투명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목적은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광반응성 수지, 특정한 에폭시 화합물, 특정한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및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광반응성 수지, (B)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 (C)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및 (D)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8052531852-pct00001
(식 중, X는 탄소수 4∼10개의 알킬렌옥사이드를 갖는 기 또는 비스페놀류에서 유래하는 기를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52531852-pct00002
(식 중, 연결기 Y는 탄소수 1∼15개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n은 3 또는 4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이루어지는 경화막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경화막을 기재 상에 구비하는 적층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용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공정 및 80∼150℃에서 가열하는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경화막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패턴 가공성이 우수하고, 150℃ 이하의 저온 경화가 가능하고, 양호한 내약품성, 기판 밀착성을 구비한 경화막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터치패널 부재의 제조에 있어서의 각 공정 후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2는 터치패널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광반응성 수지, (B)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 (C) 상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D) 광중합 개시제 및 (E)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한다.
[(A) 광반응성 수지]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광반응성 수지(이하, (A) 광반응성 수지라고도 한다)를 함유한다.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짐으로써 네거티브형의 감광성을 나타내고, 카르복실기를 가짐으로써 알칼리 수용액에서의 현상이 가능해진다.
(A) 광반응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A-1)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카르도계 수지(이하, (A-1) 카르도계 수지라고도 한다)나 (A-2)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 수지(이하, (A-2) 아크릴 수지라고도 한다)를 사용할 수 있다. 광반응성 수지의 바람직한 예를 이하에 열거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A-1) 카르도계 수지로서는 하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반복단위로서 2개 이상 갖고,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카르도계 수지가 열거된다. (A) 광반응성 수지 중에서도, (A-1) 카르도계 수지는 광경화성이 높고, 내약품성이 우수한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Figure 112018052531852-pct00003
Figure 112018052531852-pct00004
또는
Figure 112018052531852-pct00005
(A-1) 카르도계 수지는 예를 들면, 에폭시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염기산 화합물과의 반응물을, 산이무수물과 더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중부가 반응 및 부가 반응에 사용하는 촉매에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등의 암모늄계 촉매,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또는 디메틸벤질아민 등의 아민계 촉매,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인계 촉매 및 아세틸아세테이트크롬 또는 염화크롬 등의 크롬계 촉매가 열거된다.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이하의 화합물이 열거된다.
Figure 112018052531852-pct00006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염기 산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숙신산 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프탈산 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또는 p-히드록시스티렌 등이 열거된다.
산 이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3',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2',3,3'-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3' 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2',3,3'-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이산무수물, 2,2-비스(2,3-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이산무수물, 1,1-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에탄 이산무수물, 1,1-비스(2,3-디카르복시페닐)에탄 이산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메탄 이산무수물, 비스(2,3-디카르복시페닐)메탄 이산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술폰 이산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에테르 이산무수물, 1,2,5,6-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6,7-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5,6-피리딘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또는 3,4,9,10-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등의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2,3,4-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비시클로[2.2.1.]헵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비시클로[3.3.1.]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비시클로[3.1.1.]헵토-2-엔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비시클로[2.2.2.]옥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또는 아다만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등의 지방족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이 열거된다. 경화막의 내약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3,3' 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3',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또는 2,2',3,3'-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이 바람직하다.
산 이무수물은 분자량을 조정할 목적으로 산 이무수물의 일부를 산무수물로 치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산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숙신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일무수물, 2,3-비페닐디카르복실산 무수물, 3,4-비페닐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헥사히드로 프탈산무수물, 글루타르산 무수물, 3-메틸프탈산무수물, 노르보르넨디카르복실산 무수물, 시클로헥센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숙신산 무수물이 열거된다.
또한, (A-1) 카르도계 수지로서는 시판품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WR-301(상품명)」ADEKA Corporation 제품), 「V-259ME(상품명)」(NIPPON STEEL & SUMIKIN CHEMICAL CO., LTD. 제품), 「OGSOL CR-TR1(상품명)」, 「OGSOL CR-TR2(상품명)」, 「OGSOL CR-TR3(상품명)」, 「OGSOL CR-TR4(상품명)」, 「OGSOL CR-TR5(상품명)」, 「OGSOL CR-TR6(상품명)」(이상, Osaka Gas Chemicals Co., Ltd. 제품) 등이 열거된다.
(A-2) 아크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에틸렌성 불포화화합물을 라디칼 중합해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지를 얻은 후, 카르복실기의 일부에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을 부가 반응시켜서 에스테르화한,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아크릴 수지가 열거된다.
라디칼 중합의 촉매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이나 과산화 벤조일 등의 유기 과산화물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의 부가 반응에 사용하는 촉매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메틸아닐린,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디메틸벤질아민 등의 아미노계 촉매, 2-에틸헥산산 주석(II), 라우린산 디부틸주석 등의 주석계 촉매, 2-에틸헥산산 티탄(IV) 등의 티탄계 촉매,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인계 촉매 및 아세틸아세토네이트크롬, 염화 크롬 등의 크롬계 촉매 등이 사용된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말산 또는 비닐아세트산이 열거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n-프로필, (메타)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 n-부틸, (메타)아크릴산 sec-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tert-부틸, (메타)아크릴산 n-펜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알킬에스테르, 스티렌, p-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아미노알킬에스테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글리시딜에스테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카르복실산 비닐에스테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또는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 화합물, 1,3-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등의 지방족 공역 디엔 또는 각각 말단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산 α-에틸글리시딜, (메타)아크릴산 α-n-프로필 글리시딜, (메타)아크릴산 α-n-부틸글리시딜, (메타)아크릴산 3,4-에폭시부틸, (메타)아크릴산 3,4-에폭시헵틸, (메타)아크릴산 α-에틸-6,7-에폭시헵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비닐글리시딜에테르, o-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m-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p-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α-메틸-o-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α-메틸-m-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α-메틸-p-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2,3-디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4-디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5-디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6-디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3,4-트리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3,5-트리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3,6-트리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3,4,5-트리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4,6-트리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된다.
(A) 광반응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1,000 이상, 1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Mw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도포 특성이 얻어지고, 패턴 형성할 때의 현상액으로의 용해성도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A) 광반응성 수지의 함유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소망의 막두께나 용도에 의해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20∼6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현상성과 얻어지는 경화막의 특성이 양호한 밸런스로 유지된다.
[(B) 에폭시 화합물]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B)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이하, (B) 에폭시 화합물이라고도 한다)을 함유한다.
Figure 112018052531852-pct00007
상기 식 중, X는 탄소수 4∼10개의 알킬렌옥사이드를 갖는 기 또는 비스페놀류에서 유래하는 기를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B) 에폭시 화합물은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고, 광조사에 의해 그 (메타) 아크릴로일기와 (A) 광반응성 수지의 부가 반응이 진행한다. 또한, 열경화에 의해, 에폭시기와 후술하는 (C)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가교가 진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경화막의 가교 밀도가 높아지고, 우수한 내약품성 및 기판 밀착성이 얻어지게 된다.
광반응성의 관점에서, 일반식(1) 중의 X는 탄소수 4개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지는 경화막의 내약품성 및 기판 밀착성의 관점에서, 일반식(1) 중의 X는 탄소수 10개 이하의 알킬렌옥사이드기 또는 비스페놀류에 유래하는 기가 바람직하다. X가 장쇄의 기인 것에 의해, 반응의 자유도가 높고, 광반응 또는 에폭시기의 가교 반응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메타)아크릴로일기 또는 에폭시기 중 어느 한쪽이 반응하고 다른 성분 중에 조립된 경우에도, X가 장쇄의 기인 것에 의해 다른 한쪽의 반응성기가 노출되기 쉬워지고, 가교 밀도가 높아지기 쉽다.
(B)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모노글리시딜에테르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 모노글리시딜에테르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된다. (B) 에폭시 화합물은 1종류 또는 복수 종류를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B)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소망의 막두께나 용도에 의해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5중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20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C)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C)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이하, (C)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이라고도 한다)을 함유한다.
Figure 112018052531852-pct00008
상기 식 중, 연결기 Y는 탄소수 1∼15개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n은 3 또는 4의 정수를 나타낸다. 복수의 R2 및 R3은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연결기 Y의 예를 아래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52531852-pct00009
상기 식 중, *은 연결 부위를 나타내고, R7∼R20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연결기 Y의 예와 그 연결기 Y의 예에 대응하는 (C)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를, 하기 식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52531852-pct00010
이들 중에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알칼리 용해성 및 얻어지는 경화막의 내약품성의 밸런스로부터, 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연결기 Y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일반식(2) 중, n이 3 또는 4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경화막의 내약품성이 향상한다. 2 이하에서는 얻어지는 경화막의 가교 밀도가 낮기 때문에 충분한 내약품성이 얻어지지 않고, 5 이상에서는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하고, 패턴 가공성이 악화한다. 즉, (C)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은 3관능 또는 4관능이다. (C)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은 1종류 또는 복수 종류를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C)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은 단독이어도 내약품성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만, (B) 에폭시 화합물과 조합시켜서 사용함으로써 가교 밀도가 높아져 비약적으로 내약품성을 향상시킨다.
(C)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소망의 막두께나 용도에 의해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5∼2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2중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15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D)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D)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D) 광중합 개시제는 광(자외선, 전자선을 포함한다)에 의해 분해 및/또는 반응하고,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구체예로서는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디메틸아미노-2-(4-메틸벤질)-1-(4-모르폴린-4-일-페닐)-부탄-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1,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 (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1-페닐-1,2-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1,2-옥탄디온, 1-[4-(페닐티오)-2-(O-벤조일옥심)], 1-페닐-1,2-부타디온-2-(o-메톡시카르보닐)옥심, 1,3-디페닐프로판트리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에탄온,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 1-(0-아세틸옥심),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에틸, 2-에틸헥실-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p-디에틸아미노벤조산 에틸,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 메틸, 4-페닐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알킬화 벤조페논,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4-벤조일-N,N-디메틸-N-[2-(1-옥소-2-프로페닐옥시)에틸]벤젠메탄아미늄브로마이드, (4-벤조일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히드록시-3- (4-벤조일페녹시)-N,N,N-트리메틸-1-프로펜아미늄 클로라이드 일수염,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2-히드록시-3-(3,4-디메틸-9-옥소-9H-티오크산텐-2-일옥시)-N,N,N-트리메틸-1-프로판아미늄클로라이드, 2,2'-비스(o-클로로페닐)-4,5,4', 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에틸안트라퀴논, 벤질, 9,10-페난트렌퀴논, 캠퍼퀴논, 메틸페닐글리옥시에스테르, η5-시클로펜타디에닐-η6-쿠메닐-아이언(1+)-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 디페닐술피드 유도체,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4-벤조일-4-메틸페닐케톤, 디벤질케톤, 플루오레논, 2,3-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p-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벤질메톡시에틸아세탈, 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β-클로로안트라퀴논, 안트론, 벤즈안트론, 디벤즈스베론, 메틸렌안트론, 4-아지드벤잘아세토페논, 2,6-비스(p-아지드벤질리덴)시클로헥산, 2,6-비스(p-아지드벤질리덴)-4-메틸시클로헥산온, 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퀴놀린술포닐클로라이드, N-페닐티오아크리돈, 벤즈티아졸디술피드, 트리페닐포스핀, 4브롬화 탄소, 트리브로모페닐술폰, 과산화 벤조일 및 에오신, 메틸렌블루 등의 광환원성의 색소와 아스코르브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환원제의 조합 등이 열거된다. 이들을 1종류 또는 복수 종류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D)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2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2중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E) 인 함유 화합물]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E)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해도 좋다.
(E) 인 함유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금속 기재, 특히 몰리브덴을 함유한 금속 기재와의 밀착성이 향상한다. (E) 인 함유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4)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8052531852-pct00011
상기 식 중, R4∼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E) 인 함유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인산 메틸, 인산 에틸, 인산 프로필, 인산 부틸, 인산 페닐, 인산 디메틸, 인산 디에틸, 인산 디프로필, 인산 디부틸, 인산 디페닐, 인산 트리메틸, 인산 트리에틸, 인산 트리프로필, 인산 트리부틸, 인산 트리페닐 등이 열거된다.
(E) 인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05중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5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의 감도를 조정할 목적으로 다관능 모노머를 함유해도 좋다. 다관능 모노머란 분자 중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 라디칼 중합성의 하기 쉬움을 고려하면,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다관능 모노머의 구체예를 이하에 열거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자 내에 2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2,4-디메틸-1,5-펜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에틸프로판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시클로헥산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부틸-프로판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부틸-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F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9,9-비스[4-(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폭시)-3-메틸페닐]플루오렌 또는 9,9-비스[4-(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이 열거된다.
분자 내에 3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테르, 글리세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히드록시피발알데히드 변성 디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소르비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톡시화 글리세린트리아크릴레이트가 열거된다.
분자 내에 4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소르비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가 열거된다.
분자 내에 5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가 열거된다.
분자 내에 6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소르비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열거된다.
분자 내에 7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헵타아크릴레이트가 열거된다.
분자 내에 8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펜타에리스리톨옥타아크릴레이트가 열거된다. 이들을 1종류 또는 복수 종류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시키거나 또는 경화를 용이하게 하는 각종 경화제를 함유해도 된다. 경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없이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구체예로서는 질소 함유 유기물, 실리콘 수지 경화제, 각종 금속 알콜레이트, 각종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그 중합체, 메틸올화 멜라민 유도체, 메틸올화 요소 유도체 등이 열거된다. 이들을 복수 종류 함유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경화제의 안정성, 얻어진 도포막의 가공성 등으로부터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메틸올화 멜라민 유도체, 메틸올화 요소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해도 좋다.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경화막의 내광성이 향상하고, 패턴 가공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서는 현상 후의 해상도가 향상한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이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투명성, 비착색성의 면으로부터,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6-tert-펜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6-도데실-4-메틸페놀,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등이 열거된다.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이 열거된다. 트리아진계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 [(헥실)옥시]-페놀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중합 금지제를 함유해도 좋다. 중합 금지제를 적량 함유함으로써 현상 후의 해상도가 향상한다. 중합 금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이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디-t-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졸, 하이드로퀴논, 4-메톡시페놀, 1,4-벤조퀴논, t-부틸카테콜이 열거된다. 또한, 시판의 중합 금지제로서는 「IRGANOX 1010(상품명)」, 「IRGANOX 1035(상품명)」, 「IRGANOX 1076(상품명)」, 「IRGANOX 1098(상품명)」, 「IRGANOX 1135(상품명)」, 「IRGANOX 1330(상품명)」, 「IRGANOX 1726(상품명)」, 「IRGANOX 1425(상품명)」, 「IRGANOX 1520(상품명)」, 「IRGANOX 245(상품명)」, 「IRGANOX 259(상품명)」, 「IRGANOX 3114(상품명)」, 「IRGANOX 565(상품명)」, 「IRGANOX 295(상품명)」(이상, BASF Japan Ltd. 제품)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용제를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대기압 하의 비점이 250℃ 이하인 용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복수종류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가열 경화시킨 경화막 중에 용제가 잔존하면, 내약품성이나 기판과의 밀착성이 경시적으로 손상되는 점으로부터, 대기압 하의 비점이 150℃ 이하인 용제가 감광성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용제 전체의 50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압 하의 비점이 150℃ 이하인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1-프로필알콜, 1-부탄올, 2-부탄올, 이소펜틸알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아세트산 메톡시메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메톡시프로필-2-아세테이트, 아세톨, 아세틸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락트산 메틸, 톨루엔, 시클로펜탄온, 시클로헥산, 노르말 헵탄, 벤젠,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아세트산 이소부틸, 아세트산 부틸, 아세트산 이소펜틸, 아세트산 펜틸, 3-히드록시-3-메틸-2-부탄온, 4-히드록시-3-메틸-2-부탄온, 5-히드록시-2-펜탄온이 열거된다.
대기압 하의 비점이 150∼250℃인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tert-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t-부틸에테르, 아세트산 2-에톡시에틸, 3-메톡시-1-부탄올, 3-메톡시-3-메틸부탄올, 3-메톡시-3-메틸부틸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이소부틸케톤, 디아세톤알콜, 락트산 에틸, 락트산 부틸,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δ-발레로락톤, 탄산 프로필렌, N-메틸피롤리돈, 시클로헥산온, 시클로헵탄온,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가 열거된다.
용제의 함유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도포 방법 등에 따라서 임의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핀 코팅에 의해 막형성을 행하는 경우에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전체의 50중량부 이상, 95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도포 시의 플로우성 향상을 위해, 각종 불소계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등의 각종 계면활성제를 함유해도 된다.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Megafac(등록 상표)" 「F142D(상품명)」, 「F172(상품명)」, 「F173(상품명)」, 「F183(상품명)」, 「F445(상품명)」, 「F470(상품명)」, 「F475(상품명)」, 「F477(상품명)」 (이상,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orporated 제품), 「NBX-15(상품명)」, 「FTX-218(상품명)」(NEOS COMPANY LIMITED 제품) 등의 불소계 계면활성제, 「BYK-333(상품명)」, 「BYK-301(상품명)」, 「BYK-331(상품명)」, 「BYK-345(상품명)」, 「BYK-307(상품명)」(BYK Japan KK 제품) 등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계 계면활성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을 2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용해 억지제, 안정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도포방법 등에 따라서 임의의 양의 용매나 용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과 같이 스핀 코팅에 의해 막형성을 행하는 경우에는 고형분 농도를 5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대표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예를 들면, (C)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D) 광중합 개시제와 그 밖의 첨가제를 임의의 용매에 더해고, 교반해서 용해시킨 후, (A)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광반응성 수지 및 (B) 에폭시 화합물을 더하고, 20분∼3시간 더 교반한다.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고,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경화막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 스핀 코팅, 딥 코팅, 커텐 플로우 코팅, 롤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슬릿 코팅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하지판 상에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오븐 등의 가열 장치로 프리베이킹한다. 프리베이킹은 50∼130℃의 범위에서 30초∼30분간 행하고, 프리베이킹 후의 막두께는 0.1∼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베이킹 후, 스텝퍼, 미러 프로젝션 마스크 얼라이너(MPA), 패러럴 라이트 마스크 얼라이너(PLA) 등의 노광기를 사용해서 노광한다. 노광 강도는 10∼4000J/m2 정도(파장 365nm 노광량 환산)이고, 이 광을 소망의 마스크를 개재하거나 또는 개재하지 않고 조사한다. 노광 광원에 제한은 없고, i선, g선, h선 등의 자외선이나, KrF(파장 248nm) 레이저, ArF(파장 193nm) 레이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현상에 의해 노광부를 용해시키고, 네거티브형의 패턴을 얻을 수 있다. 현상 방법으로서는 샤워, 디핑, 퍼들 등의 방법으로 현상액에 5초∼10분간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액으로서는 공지의 알칼리 현상액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탄산염, 인산염, 규산염, 붕산염 등의 무기 알칼리,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사이드, 콜린 등의 4급 암모늄염을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수용액 등이 열거된다. 현상 후, 물로 린스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계속해서 50∼130℃의 범위에서 건조 베이킹을 행할 수도 있다.
그 후, 이 막을 핫플레이트, 오븐 등의 가열 장치로 80∼150℃의 범위에서 15분∼1시간 정도 가열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막은 그 막두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0.1∼15㎛가 바람직하다. 또한, 막두께 1.5㎛에 있어서, 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과율은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나타낸다. 투과율은 노광량, 열경화 온도의 선택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해서 얻어지는 경화막을 기재 상에 구비하는 적층체는 터치패널용 보호막, 각종 하드 코트재, TFT용 평탄화막, 컬러필터용 오버코트, 반사 방지 필름, 패시베이션막 등의 각종 보호막 및 광학 필터, 터치패널용 절연막, TFT용 절연막, 컬러필터용 포토 스페이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높은 내약품성, 기판 밀착성을 갖는 점으로부터, 터치패널용 절연막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해서 얻어지는 경화막은 금속 기재에 대하여 높은 밀착성을 갖는 점으로부터, 금속 배선 보호막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호하는 금속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구리, 은, 알루미늄, 크롬, 몰리브덴, 티탄, ITO, IZO(산화 인듐 아연), AZO(알루미늄 첨가 산화 아연), ZnO2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150℃ 이하의 저온에서 경화가 가능한 점으로부터, 예를 들면, 표시 패널이나 필름 등의 내열 온도가 낮은 기재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및 실시예에 사용한 화합물 중 약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낸다.
PGMEA: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PGME: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MAM: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 적층막.
합성예 1 (A-1) 카르도계 수지 용액(a-1)의 합성
500ml의 플라스크에 9,9-비스(4-글리시딜옥시페닐)플루오렌(Osaka Gas Chemicals Co., Ltd. 제품 「PG-100(상품명)」) 92.2g, 아크릴산 14.4g,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세테이트 0.32g, 2,6-디-tert-부틸카테콜 0.26g 및 PGMEA 110g을 투입하고, 120℃에서 9시간 교반했다. 다음에, 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4.8g 및 PGMEA 50g을 더하고, 또한 120℃에서 5시간 교반했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얻어진 (A-1) 카르도계 수지 용액의 고형분 농도가 40wt%가 되도록 PGMEA를 더하고, PGMEA 용액으로서 (A-1) 카르도계 수지 용액(a-1)을 얻었다. GPC법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700이었다.
합성예 2 (A-2) 아크릴 수지 용액(a-2)의 합성
500ml의 플라스크에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를 3g, PGMEA를 50g 투입했다. 그 후, 메타크릴산을 30g, 스티렌을 22.48g,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를 25.13g 더했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잠시동안 교반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치환한 후, 70℃에서 5시간 가열 교반했다. 다음에, 얻어진 용액에 메타크릴산 글리시딜을 15g, 디메틸벤질아민을 1g, p-메톡시페놀을 0.2g, PGMEA를 100g 더하고, 90℃에서 4시간 가열 교반했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얻어진 (A-2) 아크릴 수지 용액의 고형분 농도가 40wt%가 되도록 PGMEA를 더하고, PGMEA 용액으로서 (A-2) 아크릴 수지 용액(a-2)을 얻었다. GPC법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으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3500이었다.
합성예 3 (A-1) 카르도계 수지 용액(a-3)의 조합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A-1) 카르도계 수지 PGMEA 용액인 「WR-301(상품명)」(ADEKA Corporation 제품)은 고형분 농도 45wt%, 고형분 산가 100, GPC법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으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500의 제품이다. 「WR-301」을 100g 계량하고, PGMEA를 12.5g 첨가 교반했다. 이렇게 하여 고형분 농도가 40wt%의 (A-1) 카르도계 수지 용액(a-3)을 얻었다.
비교 합성예 1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 수지 용액(a-4)
500ml의 플라스크에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3g, PGMEA를 50g 투입했다. 그 후, 메타크릴산을 20g, 스티렌을 32.67g,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를 39.93g 더했다. 혼합액을 실온에서 잠시동안 교반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치환한 후, 70℃에서 5시간 가열 교반했다. 다음에, p-메톡시페놀을 0.2g, PGMEA를 100g 더했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얻어진 아크릴 수지 용액의 고형분 농도가 40wt%가 되도록 PGMEA를 더하고, PGMEA 용액으로서 아크릴 수지 용액(a-4)을 얻었다. GPC법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으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6500이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B) 에폭시 화합물 및 (C)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52531852-pct00012
4HBAGE(상품명)(Nippon Kasei Chemical Company Limited 제품)
EA-1010N(상품명)(Shin Nakamura Chemical Co., Ltd. 제품)
VG-3101L(상품명)(Printec Corporation 제품)
NC-3000(상품명)(Nippon Kayaku Co., Ltd. 제품).
(1) 패턴 가공성의 평가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실리콘 웨이퍼 상에 스핀코터(Mikasa Co., Ltd. 제품 「1H-360S (상품명)」)를 사용해서 임의의 회전수로 스핀코팅하고, 기판을 핫플레이트(Dainippon Screen Mfg. Co., Ltd. 제품 「SCW-636(상품명)」)를 사용해서 100℃에서 2분간 프리베이킹하여 막두께 2㎛의 막을 제작했다.
그 후, 제작한 막을 패러럴 라이트 마스크 얼라이너(Canon Inc. 제품 「PLA-501F(상품명)」)를 사용해서 초고압 수은등을 광원으로 하고, 감도 측정용의 그레이 스케일 마스크를 개재해서 100㎛의 갭으로 노광했다. 그 후, 자동 현상 장치(TAKIZAWA SANGYO K.K. 제품 「AD-2000(상품명)」)를 사용하고, 0.045wt% 수산화 칼륨 수용액으로 60초간 샤워 현상하고, 이어서 물로 30초간 린스했다.
노광, 현상 후, 30㎛의 라인 앤드 스페이스 패턴을 1대 1의 폭으로 형성하는 노광량(이하, 이것을 최적 노광량이라고 한다)을 감도로 하고, 최적 노광량에 있어서의 현상 후의 최소 패턴 치수를 해상도로 했다.
(2) 접착성의 평가
제작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표면에 ITO 또는 MAM을 스퍼터링한 유리 기판(이하, 「ITO 기판」 또는 「MAM 기판」) 상에 스핀코터(Mikasa Co., Ltd. 제품 「1H-360S(상품명)」)를 사용해서 임의의 회전수로 스핀코팅하고, 핫플레이트(Dainippon Screen Mfg. Co., Ltd. 제품 「SCW-636(상품명)」)를 사용해서 100℃에서 2분간 프리베이킹하여 막두께 2㎛의 막을 제작했다. 제작한 막을 패러럴 라이트 마스크 얼라이너(Canon Inc. 제품 「PLA-501F (상품명)」)를 사용해서 초고압 수은등을 광원으로서 노광하고, 오븐(ESPEC CORP. 제품 「IHPS-222(상품명)」)을 사용해서 공기 중 150℃에서 1시간 큐어해서 막두께 1.5㎛의 경화막을 제작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경화막을 JIS 「K5600-5-6(제정 년월일=1999/04/20)」에 준해서 ITO 또는 MAM과 경화막의 접착성을 평가했다.
유리 기판 상의 경화막 표면에, 커터 나이프로 유리판의 베이스에 도달하도록 직교하는 종횡 11개씩의 평행한 직선을 1mm 간격으로 그려 1mm×1mm의 바둑판 눈금을 100개 제작했다. 잘라낸 경화막 표면에 셀로판 점착 테이프(폭=18mm, 점착력=3.7N/10mm)를 붙이고, 지우개(JIS S6050 합격품)로 문질러서 밀착시키고, 테이프의 일단을 쥐고, 판에 직각을 유지해서 순간적으로 박리했을 때의 바둑판 눈금의 잔존수를 목시에 의해 평가했다. 바둑판 눈금의 박리 면적에 의해 이하와 같이 판정하고, 4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5 : 박리 면적=0%
4 : 박리 면적=<5%
3 : 박리 면적=5∼14%
2 : 박리 면적=15∼34%
1 : 박리 면적=35%∼64%
0 : 박리 면적=65%∼100%
(3) 내약품성(N300 내성)의 평가
ITO 기판 또는 MAM 기판 상에, 상기 (2) 접착성의 평가에 기재의 방법과 같이 해서 막두께 1.5㎛의 경화막을 형성했다. 레지스트 박리액인 「N300(상품명)」(Nagase ChemteX Corporation 제품)에 소정의 온도로 5분간 침지시킨 후, JIS 「K5600-5-6(제정 년월일=1999/04/20)」에 준해서 ITO 또는 MAM과 경화막의 접착성을 평가했다. 바둑판 눈금의 박리 면적이 5% 이하인 경우에, 그 조건에 있어서의 내약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조건 1 : 40℃, 5분
조건 2 : 60℃, 5분
조건 3 : 80℃, 5분
내약성에 문제가 없었던 조건 하에, 내약성을 이하와 같이 4단계로 평가하고, 2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3 : 조건 1, 2, 3 모두에 내약성 있음
2 : 조건 1, 2에 있어서 내약성 있음
1 : 조건 1에만 있어서 내약성 있음
0 : 어느 쪽의 조건에 있어서도 내약성 없음
실시예 1
황색등 하에서 (D) 광중합 개시제 1,2-옥탄디온, 1-[4-(페닐티오)-2-(O-벤조일옥심)](「일가큐어 OXE-01(상품명)」BASF Japan Ltd. 제품) 0.188g, 4-t-부틸카테콜(이하, TBC라고 한다)의 PGMEA 1wt% 용액 1.200g, (C)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테크모어 VG-3101L(상품명)」(Printec Corporation 제품, 화학식(5)의 화합물에 상당) 0.320g을 PGME 9.600g, PGMEA 2.116g에 용해시키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인 「BYK-333(상품명)」(BYK Japan KK 제품)의 PGMEA 1wt%용액 0.4000g(농도 200ppm에 상당)을 더해, 교반했다. 여기에,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카야라드 (등록상표)" DPHA(상품명)」Nippon Kayaku Co., Ltd. 제품) 1.200g, (B)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4HBAGE(상품명)」Nippon Kasei Chemical Company Limited 제품) 0.480g, (A-1) 카르도계 수지 용액(a-1) 4.500g을 더하고, 교반했다. 다음에 0.45㎛의 필터로 여과를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1)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1)에 대해서, 상기의 (1) 패턴 가공성의 평가, (2) 접착성의 평가, (3) 내약품성의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표 2에 기재했다.
실시예 2
(A-1) 카르도계 수지 용액(a-1) 대신에 (A-2) 아크릴 수지 용액(a-2) 4.000g을 사용하고, (B)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 「4HBAGE(상품명)」을 0.400g, (C)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테크모어 VG-3101L(상품명)」을 0.600g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2)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2)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해서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3
(A-1) 카르도계 수지 용액(a-1) 대신에 (A-1) 카르도계 수지 용액(a-3) 4.000g을 사용하고, (B)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4HBAGE(상품명)」을 0.800g, (C) 일반식(2)으로 나타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테크모어 VG-3101L(상품명)」을 0.200g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3)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3)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4
(B)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 「4HBAGE(상품명)」 대신에 비스페놀 A 모노글리시딜에테르모노아크릴레이트(「EA-1010N (상품명)」 Shin Nakamura Chemical Co., Ltd. 제품) 0.200g을 사용하고, (C)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테크모어 VG-3101L (상품명)」을 0.600g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4)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4)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5
(B)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 「4HBAGE(상품명)」 대신에 상술의 「EA-1010N(상품명)」을 사용하고, (A-2) 아크릴 수지 용액(a-2)을 4.500g, (C)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테크모어 VG-3101L(상품명)」을 0.400g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같이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5)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5)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6
(C)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테크모어 VG-3101L (상품명)」 대신에 「NC-3000(상품명)」(Nippon Kayaku Co., Ltd. 제작, 화학식(6)의 화합물에 상당)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6)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6)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7
(E) 인 함유 화합물 인산 트리메틸 0.016g을 더욱 더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7)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7)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8
(E) 인 함유 화합물 인산 트리메틸 대신에 인산 디페닐 0.040g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8)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8)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9
(E) 인 함유 화합물 인산 트리메틸 0.080g을 더욱 더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9)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9)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10
이하의 순서에 따라서 터치패널용 부재를 제작했다.
(1) 투명 전극(ITO막)의 제작
두께 약 1mm의 유리 기판에 스퍼터링 장치 HSR-521A(Shimadzu Corporation 제품)를 사용하고, RF 파워 1.4kW, 진공도 6.65×10-1Pa로 12.5분간 스퍼터링함으로써, 막두께가 150nm이고, 표면 저항이 15Ω/□의 ITO막을 막형성하고,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OFPR-800」TOKYO OHKA KOGYO CO., LTD. 제품)를 도포하고, 80℃에서 20분간 프리베이킹해서 막두께 1.1㎛의 레지스트 막을 얻었다. PLA를 사용하고, 얻어진 막에 초고압 수은등을 마스크를 통해서 패턴 노광한 후, 자동 현상 장치를 사용해서 2.38wt% TMAH 수용액으로 90초간 샤워 현상하고, 이어서 물로 30초간 린스했다. 그 후, 25℃의 HCl/HNO3/H2O=18/4.5/77.5(중량비) 혼합 용액에 80초 침지함으로써 ITO막을 에칭하고, 40℃의 박리액「N-300(상품명)」으로 120초 처리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고, 막두께 150nm의 패턴 가공된 ITO막(도 1 및 도 2의 부호 2)을 갖는 유리 기판(도 1의 a에 상당)을 제작했다.
(2) 절연막의 제작
(1)에서 얻어진 유리 기판(도 1의 a에 상당) 상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P-7)을 사용하고, 상술의 평가 방법의 순서를 따라 절연막(도 1 및 도 2의 부호 3)을 제작했다.
(3) 배선 전극(MAM 배선)의 제작
(2)에서 얻어진 유리 기판(도 1의 b에 상당) 상에, 타겟으로서 몰리브덴 및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에칭액으로서 H3PO4/HNO3/CH3COOH/H2O=65/3/5/27(중량비) 혼합 용액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1) ITO막의 제작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MAM 배선(도 1 및 도 2의 부호 4)을 제작했다.
(4) 보호막의 제작
(3)에서 얻어진 유리 기판(도 1의 c에 상당) 상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P-7)을 사용하고, 상술의 평가의 방법의 순서를 따라 보호막을 제작했다. 테스터를 사용해서 접속부의 도통 테스트 실시한 바, 전류의 도통이 확인되었다(도 2에 상당).
비교예 1
(A-1) 카르도계 수지 용액(a-1) 대신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 수지 용액(a-4)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10)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10)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비교예 2
(B)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4HBAGE(상품명)」을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11)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1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비교예 3
(C)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테크모어 VG-3101L (상품명)」을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12)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12)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비교예 4
(B)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4HBAGE(상품명)」 대신에 메타크릴산 글리시딜(이하, GMA라고 한다)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13)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13)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비교예 5
(C)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테크모어 VG-3101L(상품명)」대신에 2관능 에폭시 화합물 「jER834(상품명)」(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제품,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14)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14)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비교예 6
(B)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4HBAGE(상품명)」 대신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403(상품명)」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P-15)을 얻었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P-15)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했다.
Figure 112018052531852-pct00013
Figure 112018052531852-pct00014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해서 얻어지는 경화막은 터치패널의 보호막 등의 각종 하드 코트 막 이외에, 터치 센서용 절연막, 액정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TFT용 평탄화 막, 금속 배선 보호막, 절연막, 반사 방지막, 반사 방지 필름, 광학 필터, 그리고 컬러필터용 오버코트, 기둥재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a: 투명 전극 형성 후의 상면도
b: 절연막 형성 후의 상면도
c: 배선 전극 형성 후의 상면도
1: 유리 기판
2: 투명 전극
3: 절연막
4: 배선 전극
5: 보호막

Claims (12)

  1. 하기 (A)∼(D)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A)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광반응성 수지,
    (B)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에폭시 화합물,
    Figure 112018052531852-pct00015

    (식 중, X는 탄소수 4∼10개의 알킬렌옥사이드를 갖는 기 또는 비스페놀류에서 유래하는 기를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C)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Figure 112018052531852-pct00016

    (식 중, 연결기 Y는 탄소수 1∼15개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n은 3 또는 4의 정수를 나타낸다)
    (D) 광중합 개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A)가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반복단위로서 2개 이상 갖고,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카르도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Figure 112018052531852-pct00017

    Figure 112018052531852-pct00018
    또는
    Figure 112018052531852-pct00019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반식(2) 중, 연결기 Y가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Figure 112018052531852-pct00020

    (식 중, *표시는 연결 부위를 나타낸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E) 인 함유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E) 인 함유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Figure 112018052531852-pct00021

    (식 중, R4∼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개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이루어지는 경화막.
  7. 제 6 항에 기재된 경화막을 기재 상에 구비하는 적층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몰리브덴, 티탄, 크롬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배선을 갖는 기재인 적층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표시 패널인 적층체.
  10. 제 7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용 부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중의 경화막이 층간 절연막인 터치패널용 부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공정 및 80∼150℃에서 가열하는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경화막의 제조 방법.
KR1020187015123A 2015-12-25 2016-12-16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적층체, 터치패널용 부재 및 경화막의 제조 방법 KR102507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3479 2015-12-25
JP2015253479 2015-12-25
PCT/JP2016/087622 WO2017110689A1 (ja) 2015-12-25 2016-12-16 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積層体、タッチパネル用部材および硬化膜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525A KR20180097525A (ko) 2018-08-31
KR102507584B1 true KR102507584B1 (ko) 2023-03-08

Family

ID=5909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123A KR102507584B1 (ko) 2015-12-25 2016-12-16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적층체, 터치패널용 부재 및 경화막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98416A1 (ko)
JP (1) JP6213689B1 (ko)
KR (1) KR102507584B1 (ko)
CN (1) CN108369376B (ko)
TW (1) TWI712857B (ko)
WO (1) WO2017110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7146B2 (ja) * 2016-12-08 2020-06-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電極保護膜、積層体、静電容量型入力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7147217B2 (ja) * 2018-03-28 2022-10-05 東レ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硬化膜
WO2019207677A1 (ja) * 2018-04-25 2019-10-31 日立化成株式会社 感光性フィルム及び感光性屈折率調整フィルム
KR20210135217A (ko) 2019-03-05 2021-11-1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네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 경화막의 제조 방법 및 터치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3992A (ja) 2009-03-19 2010-10-07 Hitachi Chem Co Ltd 感光性接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状接着剤、接着シート、接着剤パターン、接着剤層付半導体ウェハ及び半導体装置
JP2013076821A (ja) 2011-09-30 2013-04-25 Toray Ind Inc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保護膜およびタッチパネル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4993B2 (ja) * 2002-02-07 2008-11-0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感光性平版印刷版材料及び感光性平版印刷版材料の製造方法
CN102112505A (zh) * 2008-08-08 2011-06-29 昭和电工株式会社 含环氧基的共聚物、和使用它制造的环氧(甲基)丙烯酸酯共聚物以及它们的制造方法
EP2366751A3 (en) * 2008-08-27 2012-01-18 Hitachi Chemical Co., Ltd. Photo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film adhesive, adhesive sheet, adhesive pattern, semiconductor wafer with adhesive layer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photo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8507569B2 (en) * 2009-03-23 2013-08-13 Basf Se Photoresist compositions
CN103797418B (zh) 2011-06-24 2017-06-13 东京应化工业株式会社 一种负型感光性树脂组合物、图案形成方法、固化膜、绝缘膜、滤色器及显示装置
KR101349622B1 (ko) * 2011-08-26 2014-01-10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광중합성 불포화 수지,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차광성 스페이서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6126855B2 (ja) * 2013-02-05 2017-05-10 株式会社Dnpファインケミカル 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WO2014193165A1 (ko) * 2013-05-28 2014-12-04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스페이서 형성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스페이서
TWI501032B (zh) * 2013-08-30 2015-09-21 Hitachi Chemical Co Ltd 光波導形成用樹脂組成物、光波導形成用樹脂膜及使用它們的光波導
US20160280829A1 (en) * 2013-08-30 2016-09-29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optical waveguide, resin film for forming optical waveguide, and optical waveguide using the same
CN105705529A (zh) * 2013-11-05 2016-06-22 太阳油墨制造株式会社 固化型组合物、使用其的固化涂膜和印刷电路板
JP6538328B2 (ja) 2013-11-05 2019-07-03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硬化型組成物、これを用いた硬化塗膜及びプリント配線板
US9784965B2 (en) 2014-03-04 2017-10-10 Jsr Corporation Display element,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electrowetting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3992A (ja) 2009-03-19 2010-10-07 Hitachi Chem Co Ltd 感光性接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状接着剤、接着シート、接着剤パターン、接着剤層付半導体ウェハ及び半導体装置
JP2013076821A (ja) 2011-09-30 2013-04-25 Toray Ind Inc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保護膜およびタッチパネル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525A (ko) 2018-08-31
CN108369376B (zh) 2022-05-03
CN108369376A (zh) 2018-08-03
JP6213689B1 (ja) 2017-10-18
TWI712857B (zh) 2020-12-11
TW201734638A (zh) 2017-10-01
WO2017110689A1 (ja) 2017-06-29
JPWO2017110689A1 (ja) 2017-12-21
US20210198416A1 (en)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641B1 (ko) 네거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보호막 및 터치 패널 부재
JP6826325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積層体、タッチパネル用部材及び硬化膜の製造方法
US9377686B2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nductive wire protection film, and touch panel member
JP5821481B2 (ja)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保護膜およびタッチパネル部材
KR102507584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적층체, 터치패널용 부재 및 경화막의 제조 방법
WO2013146130A1 (ja) シランカップリング剤、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及びタッチパネル部材
JP6385853B2 (ja) 感光性組成物、硬化膜の製造方法、硬化膜、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
JP2016151753A (ja) 感光性組成物、硬化膜の製造方法、硬化膜、液晶表示装置、有機el表示装置、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
JP7147217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硬化膜
JP2023008789A (ja) 接着剤層形成用組成物、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の処理方法
KR102330078B1 (ko) 네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2671237B1 (ko) 네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7472665B2 (ja) 感放射線性組成物、表示装置用絶縁膜、表示装置、表示装置用絶縁膜の形成方法、及び重合体
JP2022156546A (ja) マイクロレンズ形成用組成物、当該組成物を用いたマイクロレンズの製造方法、硬化膜、固体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JP2016153836A (ja) 感光性組成物、硬化膜の製造方法、硬化膜、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
KR20200112529A (ko) 네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90052727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