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239B1 -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239B1
KR102503239B1 KR1020200188664A KR20200188664A KR102503239B1 KR 102503239 B1 KR102503239 B1 KR 102503239B1 KR 1020200188664 A KR1020200188664 A KR 1020200188664A KR 20200188664 A KR20200188664 A KR 20200188664A KR 102503239 B1 KR102503239 B1 KR 10250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unit
insulator
assembly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935A (ko
Inventor
김종은
Original Assignee
삼일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일테크(주) filed Critical 삼일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18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2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데이터 전송용 커넥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를 제조할 때, 상대적으로 가는 PCB핀이나 굵은 솔더핀 등의 다양한 치수의 핀을 범용적으로 인슐레이터에 자동으로 삽입 및 검수하여 커넥터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고안된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AUTO ASSEMBLING DEVICE OF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데이터 전송용 커넥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를 제조할 때, 상대적으로 가는 PCB핀이나 굵은 솔더핀 등의 다양한 치수의 핀을 범용적으로 인슐레이터에 자동으로 삽입 및 검수하여 커넥터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고안된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용 핀 등의 다양한 삽입장치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0-2002-0006069호(2002년01월19일) [반도체 웨이퍼 테스터의 포고핀 삽입장치]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반도체 웨이퍼의 EDS 테스트 시 사용되는 포고핀을 삽입하는 포고핀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웨이퍼 테스터에서 포고핀을 삽입하는 장치는 다수의 포고핀을 적재하는 포고핀 적재부와, 상기 포고핀 적재부의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고핀 적재부로부터 공급되는 포고핀을 이송하는 포고핀 이송관과, 상기 포고핀 이송관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테스트 헤드 등에 포고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포고핀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포고핀을 안착시키는 포고핀 안착부와, 상기 포고핀 이송관의 하단면에 부착되어 상기 포고핀 적재부가 아래쪽으로 눌러질 때 상기 포고핀 안착부에 안착된 포고핀에 접촉되어 상기 포고핀이 테스트헤드 등에 끼워지도록 압착하는 포고핀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포고핀을 삽입하므로 포고핀을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포고핀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 특허등록 제10-0543846호(2006년01월10일) [자동 인서트 삽입기]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모니터 케이스 등에 인서트 너트를 삽입하는 과정을 완전 자동화시켜 간단한 작동으로 삽입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면서 인서트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제품의 불량율을 저하시키고,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자동 인서트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특허등록 제10-1279349호(2013년06월21일) [이중기판의 고정핀 삽입장치]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스페이서에 의해 이격 구비된 이중기판에 고정핀을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이중기판의 고정핀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중기판의 고정핀 삽입장치는 고정핀의 단속을 이중으로 함으로써 고정핀이 클램프에 하나씩 공급되어 배출될 수 있는 유리한 구성을 가지는 이점이 갖고, 또한 이로 인해 고정핀을 하부측에서 이동되는 이중기판에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2052008호(2019년11월28일) [커넥터 핀 삽입 장치]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핀 분리 유닛에 의하여 분리된 핀이 핀 삽입 유닛에 의하여 클램핑되어 하우징에 삽입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핀의 분리, 클램핑 및 삽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핀을 하우징에 삽입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핀의 분리, 클램핑 및 삽입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을 위하여 다절 링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링크의 동작 신뢰성의 확보 및 소음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각종 신호나 데이터 전송용 커넥터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핀을 범용적으로 자동 삽입하는 기술과는 무관한 기술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에 본 발명은 각종 신호나 데이터 전송용 커넥터와 같은 다양한 커넥터의 제조시 상대적으로 가는 PCB핀이나 상대적으로 굵은 솔더핀 등의 각종 치수의 핀을 범용적으로 인슐레이터에 자동 삽입하고 검수할 수 있는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핀공급부와 연계되어 바디와 인슐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제1조립체를 공급하는 제1조립체공급부에서, 바디에 인슐레이터를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장치 내에서 커넥터의 전반적인 조립이 가능한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의 삽입공에 핀을 결합하는 핀삽입부에서 인슐레이터는 지그에 장착되어 작업이 진행되어 다양한 핀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삽입공 중 일부에 핀을 삽입한 후, 이를 회전시켜 나머지 삽입공에 핀을 삽입하도록 이루어지는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에 결합된 핀을 완전 결합하는 핀고정부가 펀치타입으로 구성된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는
핀공급부;
바디와 인슐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제1조립체를 공급하는 제1조립체공급부;
상기 제1조립체의 인슐레이터에 상기 핀공급부에서 공급된 핀을 삽입하는 핀삽입부;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핀을 고정하여 제2조립체를 형성하는 핀고정부;
상기 제2조립체를 배출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는
바디와 인슐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제1조립체에 핀을 삽입함에 있어, 핀의 두께에 상관없이 핀을 인슐레이터의 삽입공에 정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립체를 조립함에 있어, 바디와 인슐레이터를 결합시킬 때 특정 방향성을 갖도록 정렬하면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핀 결합 시 항시 동일한 위치에서 핀을 삽입하도록 하여 공정의 신속성 및 편의성 그리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핀을 삽입하는 핀삽입부에서는 인슐레이터의 삽입공 중 일부에 핀을 삽입한 후, 상기 인슐레이터를 회전시켜 나머지 삽입공에 핀을 삽입하도록 구성하여, 지그의 움직임 반경을 줄일 수 있으며,
삽입된 핀을 고정하는 핀고정부에서는 펀칭 타입으로 핀을 인슐레이터에 결속시키도록 하여 각각의 핀에 동일한 압력이 전해지면서 인슐레이터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품 배출 전, 검사부를 통하여 제품의 불량 여부를 체크하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비젼검사하여 보다 정확하게 불량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제1조립체공급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제1조립체공급부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제1조립체공급부의 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가압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핀삽입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핀삽입부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핀삽입부의 내측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핀삽입부의 실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핀고정부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의 검사부 및 배출부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D)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를 자동으로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의 구성요소인 바디(B), 인슐레이터(S) 및 핀(P)을 각각 공급하여 상호 조립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이를 위하여 핀공급부(10), 제1조립체공급부(20), 핀삽입부(30), 핀고정부(40), 배출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명세서에서의 제1조립체(D1)는 핀(P)이 삽입되지 않은 커넥터의 상태, 즉 바디(B)와 인슐레이터(S)가 결합된 조립체를 의미하고, 제2조립체는 핀(P)까지 모두 삽입된 조립 완료된 커넥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1 내지 도3의 전체적인 도면과, 도4 및 도5의 제1조립체공급부(20)의 부분 도면을 통하여 제1조립체공급부(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조립체공급부(20)는 바디(B)를 공급하는 바디공급부(21)와, 상기 바디(B)에 인슐레이터(S)를 삽입 및 결합하는 인슐레이터 결합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디공급부(21)와 인슐레이터 결합부(23)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먼저 상기 바디공급부(21)는 제1피더(211)와 안착유닛(213) 및 회전체(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바디공급부(21)는 복수의 바디(B)를 회전시켜 일렬로 배열하여 공급하는 제1피더(211)와, 상기 제1피더(211)로부터 공급되는 바디(B)를 이송 및 안착시키는 안착유닛(213), 상기 바디(B)가 안착되는 회전체(215)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제1피더(211)는 공급되는 복수의 부품을 원심력과 진동을 이용하여 정렬하면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기 공지된 기술로 당업자가 충분히 유추 가능함에 따라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바디공급부(21)에는 바디(B)를 안착시키는 회전체(215)가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회전체(215)에는 바디(B)가 끼워질 수 있는 제1고정지그(215a)가 구비되어 바디(B)를 상기 제1고정지그(215a)에 삽입하여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피더(211)로부터 공급되는 바디(B)는 상기 안착유닛(213)을 이용하여 회전체(215) 상부, 보다 정확하게는 제1고정지그(215a)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안착유닛(213)은 상기 제1피더(211)로부터 회전체(215) 상부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상하 승하강 구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안착유닛(213)에는 상기 제1피더(211)로부터 공급되는 바디(B)의 측면을 잡아 들어 올리는 홀더(213a)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홀더(213a)는 복수개가 세 방향에서 서로 멀어졌다 좁아졌다를 반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홀더(213a)가 바디(B)의 외면을 세 방향에서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공급되는 바디(B)의 종류에 따라 다른 직경을 갖는 바디(B) 또한 고정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 조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바디(B)에는 추후 커넥터끼리의 결합을 위하여 방향성을 특정하기 위한 정위치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정위치표시부는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정위치표시부에 의해 상기 제1고정지그(215a)에는 상기 정위치표시부에 대응하는 정위치안내부(215b)가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바디(B)는 상기 제1고정지그(215a)에 끼워져 상기 회전체(215)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B)가 상기 제1고정지그(215a)에 끼워지기 위해서는 상기 정위치표시부와 정위치안내부(215b)가 대응되게 위치하여야만 하나, 상기 제1피더(211)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안착유닛(213)을 통하여 이송되는 바디(B)의 방향성은 매번 다를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체(215)가 공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유닛(213)이 상기 바디(B)를 잡고 하강하는 동작으로 바디(B)를 정렬하여 제1고정지그(215a)에 삽입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다.
즉, 상기 바디(B)를 상기 제1고정지그(215a) 상부에 놓는 경우, 상기 정위치표시부와 정위치안내부(215b)가 대응되지 않으면 상기 바디(B)가 제1고정지그(215a)에 끼워지지 않게 되고, 하강하는 가압력을 유지한 채 상기 회전체(215)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 도중 상기 정위치표시부와 정위치안내부(215b)가 대응하게 될 때, 상기 바디(B)가 자연스럽게 상기 제1고정지그(215a)에 끼워지게 되며, 상호 체결이 완료된 후, 다시 상기 회전체(215)가 원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바디(B)의 정렬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6 참조)
상기 인슐레이터 결합부(23)는 상기 바디공급부(2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피더(211)와 동일하게 복수의 인슐레이터(S)를 원심력 및 진동을 이용하여 정렬하는 제2피더(231)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유닛(213)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삽입유닛(233)을 통하여 제2피더(231)를 통해 공급된 인슐레이터(S)를 잡고 이송시킨다.
상기 인슐레이터 결합부(2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공급부(2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바디공급부(21)에 구비된 회전체(215)와 동일한 구성의 회전지그(23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그(235) 상부에 제1고정지그(215a)와 동일한 제2고정지그(235a)가 구비되게 된다.
먼저, 상기 회전체(215)에 구비된 바디(B)는 회전지그(235) 상부로 이송되게 되는데, 상기 바디(B)의 이송을 위해 별도의 이송유닛(M)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송유닛(M)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공정을 따라 바디(B), 제1조립체(D1) 및 제2조립체를 각각의 동작부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홀딩부재(M1)와 레일부재(M2)로 이루어져 상기 홀딩부재(M1)가 각각의 공정을 위한 동작부에 위치한 바디(B) 또는 제1조립체(D1) 또는 제2조립체를 잡고 방향성을 유지한 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하 후술하는 내용에서는 상기 이송유닛(M)의 동작과 관련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회전지그(235), 보다 정확하게는 제2고정지그(235a)에 끼워진 바디(B)는 상기 인슐레이터 결합부(23)에 구비되는 삽입유닛(233)을 통하여 인슐레이터(S)가 삽입되게 되는데,
상기 인슐레이터(S)의 삽입 동작은 앞서 언급한 바디공급부(21)의 동작과 동일한 것으로, 간략하게 바디(B)에 형성된 정위치표시부에 인슐레이터(S)에 형성된 대응표시부를 일치시켜 끼워 넣게 되며, 이는 상기 삽입유닛(233)의 가압력과 상기 회전지그(235)의 회전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디공급부(21)와 동일함에 따라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바디(B)에 인슐레이터(S)가 삽입하는 동작은 삽입유닛(233)에 의해 이루어지나, 상기 삽입유닛(233)은 인슐레이터(S)를 끼워 넣을 정도의 가압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인슐레이터(S)를 상기 바디(B)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슐레이터(S)가 끼워진 바디(B)는 가압부(20-1)에 이송되게 되며, 상기 가압부(20-1)에 구비된 압입유닛(20-1A)에 상기 인슐레이터(S)를 가압하여 바디(B)에 견고하게 완전 결합시킨다.
상기 가압부(20-1)에서 견고하게 결합된 제1조립체(D1)는 스웨이징공정부(20-2)로 한번 더 이송하게 되는데, 스웨이징이란 외형을 변형시켜 편심을 만드는 공정으로, 상기 스웨이징공정부(20-2)에 구비된 스웨이징유닛(20-2A)에 의해 상기 제1조립체(D1)의 바디(B) 외면이 변형되어 인슐레이터(S)가 임의로 바디(B)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스웨이징공정부(20-2)는 조립하는 커넥터에 따라 생략되는 공정이 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조립체(D1)가 조립되면, 상기 제1조립체(D1)에 커넥터용 핀(P)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1조립체(D1)는 상기 제1조립체공급부(20)에서 핀삽입부(30)로 이송된다.
상기 핀삽입부(30)는 핀공급부(10)에서 공급된 핀(P)을 상기 인슐레이터(S)에 형성된 삽입공에 결합시키기 위한 동작부로 도8 내지 도11을 통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핀(P)은 복수의 핀(P)이 서로 이격되어 밴딩(PB)에 고정된 상태로 선 제작되며, 이러한 핀(P)은 핀공급부(10)에서 핀공급유닛(11)에 의해 상기 핀삽입부(30)로 일렬로 배열되어 이송되게 된다.
상기 핀(P)은 오퍼레이터가 보빈을 셋팅하여 이 핀(P)이 구비되는 밴딩(PB)을 걸면 자동으로 투입되며, 핀공급유닛(11)에서는 투입된 핀(P)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1차검수부(111)와, 1차검수부(111)에서 판정된 결과를 통해 핀(P)을 교정하는 교정부(112), 상기 교정된 핀(P)의 불량여부를 한 번 더 검사하는 2차검수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1차검수부(111)는 핀(P)의 휨, 밴딩(PB)의 불량여부를 검수하고, 상기 교정부(112)에서 이를 교정한 후, 2차검수부(113)에서 다시 한번 검사하여 정상적인 핀(P)만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정부(112)에서는 핀(P)을 감싸서 X,Y축으로 흔들면서 핀(P)의 휨 등을 교정한다.
상기 핀공급유닛(11)에 공급된 핀(P)은 핀삽입부(30)로 이송되고, 상기 핀삽입부(30)에 구비되는 글리퍼(33)에 의해 상기 제1조립체(D1)에 핀(P)이 결속되게 된다.
다시, 상기 핀삽입부(30)에는 제1조립체(D1)가 안착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그(31)와, 상기 핀(P)을 지그(31)에 안착된 제1조립체(D1)에 삽입하는 글리퍼(33)가 구비된다.
상기 글리퍼(33)는 상기 밴딩(PB)에 고정된 핀(P)을 낱개로 홀딩하여 상기 제1조립체(D1)로 하강시키는 동작을 하는 유닛으로서, 상기 글리퍼(33)가 밴딩(PB)에 고정된 핀(P)을 낱개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핀공급유닛(11)에는 별도의 커터(114)를 더 구비하여 밴딩(PB)에 연결된 핀(P)을 잘라낸다.
즉, 글리퍼(33)가 밴딩(PB)에 고정된 핀(P)을 홀딩하면, 상기 커터(114)가 동작하여 밴딩(PB)과 핀(P)을 분리한 다음, 상기 글리퍼(33)가 동작하여 상기 핀(P)을 지그(31) 상부에 안착된 인슐레이터(S)의 삽입공에 끼워넣게 된다.
이 때 상기 지그(31)는 회전 뿐만 아니라 Y축 및 Z축으로 미세하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3축 회전형 지그(31)로서, 상기 글리퍼(33)는 동일한 위치로 핀(P)을 하강시키고, 상기 지그(31)가 미세하게 움직여 복수의 삽입공 각각에 상기 핀(P)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글리퍼(33)가 로봇암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는 개발비용의 증가를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인슐레이터(S)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공은 인슐레이터(S)의 중심을 기준으로 거울상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됨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지그(31)를 회전, 보다 정확하게는 180도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복수의 삽입공 중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절반에 핀(P)을 삽입한 후, 상기 지그(31)가 180도 회전하여 나머지 삽입공, 보다 정확하게는 나머지 절반의 삽입공에 동일한 동작으로 핀(P)을 삽입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그(31)의 움직임 범위를 절반으로 줄여 동작 알고리즘을 간소화함에 따라 오차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글리퍼(33)는 집게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핀(P)의 두께에 상관없이 핀(P)을 견고하게 잡고 움직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핀삽입부(30)에서 상기 글리퍼(33)가 핀(P)을 인슐레이터(S)에 삽입할 때, 공정이 딜레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핀(P)이 인슐레이터(S)에 끼워지는 시간동안은 핀삽입부(30)의 전후 공정이 STOP 되어 조립 시간이 딜레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핀삽입부(30)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공정이 딜레이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공급부 및 인슐레이터 결합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복수로 구비하여 조립하고자 하는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조립체(D1)에 핀(P)이 끼워지면, 끼워진 핀(P)을 고정하는 핀고정부(40)로 이를 이송하게 되고, 상기 핀고정부(40)에서는 상기 핀(P)을 가압하여 인슐레이터(S)에 견고하게 결속시켜 제2조립체인 커넥터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핀고정부(40)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슐레이터(S)에 삽입된 핀(P)을 가압하는 압입부재(411)가 구비된 가압유닛(41)이 구비되어, 상기 핀(P)을 펀칭방식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압입부재(411)는 상기 가압유닛(41)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제조하고자 하는 커넥터의 종류 및 핀(P)의 종류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서로 다른 압입부재(411)가 구비된 가압유닛(41)을 병렬로 배열한 후, 이 중 조립하는 커넥터의 종류에 맞는 압입부재(411)가 결합된 가압유닛(41)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빠르게 조립하고자 하는 커넥터의 종류를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핀고정부(40)에 의해 조립 완료된 커넥터, 즉 제2조립체는 배출부(60)로 이송되게 되는데, 이 전에 검사부(50)를 더 구비하여 제2조립체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60) 전, 검사부(50)로 이송된 제2조립체는 비젼검사 방식을 통하여 제2조립체의 불량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이 때 비젼검사는 스웨이징 검사를 하는 제1비젼검사부(51)와 핀(P)의 높이, 정렬상태, 휨 등을 검사하는 제2비젼검사부(52)로 이루어져 보다 정밀하게 제2조립체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검사부(50)에서 양품으로 판정된 제2조립체는 상기 배출부(60)에 구비되는 배출유닛(61)에 의해 트레이(611)로 이송되게 되며, 불량으로 판정된 제2조립체는 상기 배출유닛(61)이 회수부로 이송시켜 수거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조립장치 D1 : 제1조립체
B : 바디 S : 인슐레이터
P : 핀 PB : 밴딩
M : 이송유닛 M1 : 홀딩부재
M2 : 레일부재
10 : 핀공급부 11 : 핀공급유닛
111 : 1차검수부 112 : 교정부
113 : 2차검수부 114 : 커터
20 : 제1조립체공급부 21 : 바디공급부
211 : 제1피더 213 : 안착유닛
213a : 홀더 215 : 회전체
215a : 제1고정지그 215b : 정위치안내부
23 : 인슐레이터 결합부 231 : 제2피더
233 : 삽입유닛 235 : 회전지그
235a : 제2고정지그 20-1 : 가압부
20-1A : 압입유닛 20-2 : 스웨이징공정부
20-2A : 스웨이징유닛 30 : 핀삽입부
31 : 지그 33 : 글리퍼
40 : 핀고정부 41 : 가압유닛
411 : 압입봉 50 : 검사부
51 : 제1비젼검사부 52 : 제2비젼검사부
60 : 배출부 61 : 배출유닛
611 : 트레이

Claims (4)

  1. 핀공급부;
    바디와 인슐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제1조립체를 공급하는 제1조립체공급부;
    상기 제1조립체의 인슐레이터에 상기 핀공급부에서 공급된 핀을 삽입하는 핀삽입부;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핀을 고정하여 제2조립체를 형성하는 핀고정부;
    상기 제2조립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조립체공급부는
    바디를 공급하는 바디공급부와, 상기 바디에 인슐레이터를 삽입 및 결합하는 인슐레이터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슐레이터 결합부는
    공급된 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지그와, 상기 회전지그에 의해 회전되는 바디에 인슐레이터를 가압하여 결합하는 삽입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바디에 형성된 정위치표시부에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대응표시부가 일치할 때 인슐레이터가 바디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삽입부에는
    상기 제1조립체가 안착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그와, 상기 핀을 지그에 안착된 제1조립체에 삽입하는 글리퍼가 구비되어,
    상기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삽입공 중 일부에 핀을 삽입한 후, 상기 지그가 회전하여 나머지 삽입공에 핀을 삽입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고정부에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핀을 가압하는 압입부재가 구비된 가압유닛이 더 구비되어,
    상기 핀을 펀칭방식으로 가압하여 인슐레이터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4. 삭제
KR1020200188664A 2020-12-31 2020-12-31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KR102503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664A KR102503239B1 (ko) 2020-12-31 2020-12-31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664A KR102503239B1 (ko) 2020-12-31 2020-12-31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935A KR20210007935A (ko) 2021-01-20
KR102503239B1 true KR102503239B1 (ko) 2023-02-24

Family

ID=7430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664A KR102503239B1 (ko) 2020-12-31 2020-12-31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32621B (zh) * 2023-07-25 2023-09-29 四川和恩泰半导体有限公司 一种usb接头自动组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471Y1 (ko) * 2004-06-15 2004-09-21 김진철 커넥터 조립장치
KR101060252B1 (ko) * 2011-05-31 2011-08-29 김근환 커넥터 밴도리어 핀 삽입 장치
KR101928071B1 (ko) * 2017-08-24 2018-12-1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막음핀용 프레스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471Y1 (ko) * 2004-06-15 2004-09-21 김진철 커넥터 조립장치
KR101060252B1 (ko) * 2011-05-31 2011-08-29 김근환 커넥터 밴도리어 핀 삽입 장치
KR101928071B1 (ko) * 2017-08-24 2018-12-1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막음핀용 프레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935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180B1 (ko) 프로브 핀 자동조립장치
CN106981444B (zh) 热压键合装置
TW201430356A (zh) 電子元件作業單元、作業方法及其應用之作業設備
KR102503239B1 (ko)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KR20180049512A (ko) 전지셀 제조시스템
KR20240026168A (ko)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KR102308418B1 (ko)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TW201812968A (zh) 半導體導帶排列裝置及半導體導帶排列方法
KR101175770B1 (ko) 렌즈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검사 방법
KR101690622B1 (ko) 엘이디검사용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콘텍장치
KR20200013729A (ko) 검사 장치, 검사 시스템, 및 위치 맞춤 방법
KR100297283B1 (ko) 반도체디바이스의검사장치및검사방법
JP2019120564A (ja) 電子部品搬送装置および電子部品検査装置
KR20230090690A (ko) 연성회로기판 기능 테스트 및 포장 자동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 기능 테스트 및 포장 방법
CN107102177B (zh) 测试治具
CN113394632A (zh) 线缆***装置以及线缆***方法
JP4450081B2 (ja) 部品試験装置
KR100776814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KR101771905B1 (ko) 인쇄회로기판의 교체를 위한 정합 시스템
TW201940398A (zh) 電子零件搬送裝置及電子零件檢查裝置
KR101035066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본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b 이송방법
KR101771544B1 (ko) 전자부품용 핀 자동 삽입장치
KR20180015983A (ko) 인쇄 회로 기판의 검사 및 불량 교정 장치와 그 방법
KR102198301B1 (ko) 소켓 보드 조립체
JP2001033520A (ja) Icハンドラ装置のicコンタクト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