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969B1 - 와치타입 단말기 - Google Patents

와치타입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969B1
KR102502969B1 KR1020160058237A KR20160058237A KR102502969B1 KR 102502969 B1 KR102502969 B1 KR 102502969B1 KR 1020160058237 A KR1020160058237 A KR 1020160058237A KR 20160058237 A KR20160058237 A KR 20160058237A KR 102502969 B1 KR102502969 B1 KR 102502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data
unit
biosignal
information
typ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744A (ko
Inventor
심홍조
박미현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969B1/ko
Priority to US15/389,004 priority patent/US10103765B2/en
Priority to EP17000809.8A priority patent/EP3246768B1/en
Publication of KR2017012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04G21/025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data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 H04M2203/256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comprising a service specific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일 영역에 장착가능 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수집할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 하고,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생체센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와치타입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치타입 단말기 {WATCH TYPE TERMINAL}
본 발명은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싱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 이다.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는 동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등을 포함하며, 노트북, 휴대폰,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안경 및 시계, 게임기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센서 등에 의하여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이 연구되고 있다. 센서의 모듈화 및 소형화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나, 사용자는 원하는 생체신호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센서를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개별적인 조작없이 원하는 종류의 생체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와치타입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신체의 일 영역에 장착가능 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수집할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 하고,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생체센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생체센서모듈은 상기 본체가 상기 신체의 일 영역에 장착된 상태에서 신체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센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 센싱모듈을 제어하므로, 사용자의 추가적인 제어명령없이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는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손가락에 의하여 생체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바, 보다 정확한 생체신호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하는 바 사용자가 별도의 제어명령을 인가하지 아니하고도 사용자의 신체변화에 따른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목표 생체데이터는 감지된 생체신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추가적인 센서가 불필요하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타입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타입 단말기의 일 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d는 다양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는 센서모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데이터를 형성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수집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서로 다른 주기로 목표 생체데이터를 수집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수집된 목표 생체데이터에 근거하여 가이드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에 근거하여 생체데이터를 형성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을 이용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2차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용두에 장착된 제3 센싱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형성되는 제4 센싱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타입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타입 단말기의 일 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입력부(220), 감지부(240), 출력부(250), 인터페이스부(260), 메모리(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210)는, 와치타입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와치타입 단말기(200)와 다른 와치타입 단말기(200) 사이, 또는 와치타입 단말기(2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210)는, 와치타입 단말기(2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위치정보 모듈(2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2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2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2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40)는 근접센서(2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2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2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햅팁 모듈(253), 광 출력부(2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와치타입 단말기(2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2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와치타입 단말기(2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60)는 와치타입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치타입 단말기(2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70)는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70)는 와치타입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와치타입 단말기(2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70)에 저장되고, 와치타입 단말기(2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2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메모리(2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와치타입 단말기(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와치타입 단말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2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Watch Start]]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2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와치타입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구비하는 본체(201) 및 본체(2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2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201a) 및 제2케이스(2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타입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2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의 윈도우(251a)는 제1 케이스(2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2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201)에는 음향 출력부(252), 카메라(221), 마이크로폰(222), 사용자 입력부(2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2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2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2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2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202)는 본체(2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2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202)에는 파스너(fastener; 3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2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2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Watch 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200)는 제1 및 제2 센서모듈(310, 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서모듈(210)은 상기 밴드(202) 중 착용시 신체와 접촉하는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센서모듈(220)은 상기 밴드(202)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모듈(210)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280)는 사용자가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를 착용하는 동안 별도의 제어명령 없이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모듈(210, 320)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센서모듈(310, 320)은 수광부 및 발광부로 이루어지는 PPG센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모듈(310, 320)은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다른 구성요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c에 도시된 제2 센서모듈(220)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223)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센서모듈(320)은 발광부(321a)와 수광부(321b)를 구비하는 PPG센서(321) 및 상기 PPG센서(2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223)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PPG센서(221)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223)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PPG센서(221)는 윈도우(201)에 의하여 커버된다. 상기 PPG센서의 하부에는 누름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신호입력부()에 의하여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동안 상기 PPG센서(221)에 의하여 방출되는 빛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반사되어 생체신호를 수집하거나, 상기 전극부(221)에 손가락의 일 영역이 접촉되어 생체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생체데이터를 형성한다.
도 1d는 다양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는 센서모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모듈(200)은 PPG센서(201), 피부전극(202a)과 피부온도전극(202b)를 포함하는 전극부(202), 가속도 센서(203), BLE(204) 및 제어유닛(2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205)은 상기 제어부(28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205)은 상기 PPG센서(201) 및 전극부(202)를 통하여 수집되는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복수의 생체데이터를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센서모듈(200)은 기압센서, 산소측정센서, 가압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유닛(205)은 심박수, 스트레스 지수, 걸음수, 수면상태, 체지방(신체의 임피던스), 체온, 혈압 등에 관한 데이터를 산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유닛(205)은 가압센서 및 PPG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가압정보와 수광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혈압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205)은 상기 ppg센서(201)에 의하여 수집되는 반사광의 정보에 근거하여 심박데이터 뿐만 아니라 혈압데이터, 스트레스 데이터, 호흡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하여 활동량이나 수면상태를 판단하거나, 심박, 피부온도, 피부전도도를 통하여 운동량, 수면패턴과 관련된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심박수를 통하여 호흡의 균형, 스트레스지수, 감기증상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부전도도를 통하여 땀분비 정도, 신체의 이완정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심전도 정보나 심박수에 근거하여 혈압의 패턴과 부정맥의 증상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변화를 나타내는 생체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특정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원하는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상기 생체센싱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205)은 복수의 알고리즘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감지된 생체정보의 조합으로 적어도 하나의 생체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으며, 특정 생체데이터의 출력명령에 근거하여 알고리즘의 적용을 위해 필요한 생체신호의 측정 요청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데이터를 형성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생체센서모듈은 생체신호를 감지한다(S10).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상기 생체모듈(30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센서모듈(300)은 특정 시간간격으로 하나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활성화되거나,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특정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C1)에 근거하여 수집할 목표생체데이터를 결정한다(S11). 예를 들어, 상기 생체신호(C1)가 체온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이 기준범위 내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경우 또는 급격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체온(C1))에 관련하여 목표생체데이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감지된 체온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생체데이터는 호흡데이터 및 심박데이터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가 결정되면,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생체센서모듈(300)을 제어한다(S12).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C1) 및 상기 목표생체데이터 지수를 포함하는 측정화면(511)을 출력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측정화면(511) 상에 측정을 시작할지 여부에 관한 제어명령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C1)에 근거하여 목표생체데이터가 결정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알림정보의 출력 없이 상기 목표생체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상기 생체센서모듈(3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센서모듈(300)에 의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특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형성된 목표 생체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화면(521)를 출력한다. 상기 결과화면(521)는 감지된 생체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하는 바 사용자가 별도의 제어명령을 인가하지 아니하고도 사용자의 신체변화에 따른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목표 생체데이터는 감지된 생체신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추가적인 센서가 불필요하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200)는 외부 기기(100)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100)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외부기기(100)의 표시부(151)는 제1 설정화면(611)을 출력한다. 상기 제1 설정화면(611)은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의 결정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으로, 수동설정, 자동설정 및 빅데이터(big data)설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화면(611)은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의 결정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는 상기 외부기기(100)와 연동하지 아니하고, 자체적으로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의 결정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설정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여, 수동설정 방식이 선택된 경우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외부기기(100)에 의하여 수동설정 방식이 설정되면, 상기 표시부(151)는 수동설정화면(621)을 출력한다.
상기 수동설정화면(621)은 신체의 특이시항 리스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 특이사항 리스트에는 감기, 오한, 운동강도, 스트레스, 고혈압, 체지방, 맥박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현재 신체사항에 적용되는 특이사항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특이사항에 대응하는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70)는 각 특이사항과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생체데이터를 저정할 수 있다. 상기 특이사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생체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저장된 데이터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생체센싱모듈에 의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는 상기 외부기기(100)를 통하여 상기 특이사항에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설정화면(621)에 의하여 신체 특이사항이 선택된 경우, 형성하고자 하는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생체센싱모듈(300)을 구동시킨다. 상기 생체센싱모듈(300)은 복수의 생체신호들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필요한 생체신호를 수집하도록 상기 생체센싱모듈(300)을 제어하고,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 수집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가 형성되면, 상기 출력부(250)에 의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화면(521)을 출력하거나, 상기 음향 출력부(252)는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100)에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151)는 결과화면(630)을 출력한다. 상기 결과화면(630)은 생체데이터(631a)와 상기 생체데이터(631a)에 근거하여 분석된 건강 가이드정보(6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100)에 송신하면서 상기 출력부(250)를 통하여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현재 상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주의가 필요한 건강정보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센서를 이용하지 아니하고도, 계산된 목표 생체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목표 생체데이터의 결정이 자동설정 방식으로 선택된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외부기기(100)의 표시부(151)에 출력된 설정화면(611)을 통하여 자동설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100)로부터 선택된 자동설정에 관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생체신호를 수집하도록 상기 생체센싱모듈(30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감지되는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생체데이터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생체데이터를 형성하는 동안 상기 외부기기(100)의 표시부(151)는 자동설정화면(622)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형성된 생체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정보(521)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과정보(521)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형성된 생체데이터를 기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정상범위에 해당되는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과정보(521)는 상기 생체데이터가 정상범위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항목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결과정보(521)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인가되는 터치에 근거하여 목표 생체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과정보(521)에 포함되는 생체데이터를 모두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가 결정되면, 상기 생체센싱모듈(300)에 의하여 감지되는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고, 정상범위에서 비정상범위로 변경되는 생체데이터를 목표 생체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의 종류는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 생체데이터는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 생체신호의 변경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사용자는 신체상태에 필요한 생체데이터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설정된 생체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하여 와치타입 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필요 없이 설정된 생체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수집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0)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거나,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상태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상태정보는 현재 날짜, 시간, 위치, 기상정보, 수신된 특정 뉴스정보, 사용자가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사용자의 검색정보,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로그 정보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설정화면(611)을 출력한다. 상기 설정화면(611)에 의하여 빅데이터 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현재 상태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메모리(270)에 저장되어 있는 있는 상태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상태정보가 감지 또는 추출되는 동안 이와 관련된 상태정보(623a)를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태정보(632a)는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가 위치하는 영역의 날씨정보 및 날씨와 관련된 경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씨정보 및 상기 경고정보는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정보(623a)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정보(623a)에 감기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가 감기에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생체지표(예를 들어, 체온, 혈압, 호흡 등)을 목표 생체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가 결정되면 측정 대기화면(623b)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측정 대기화면(623b)에 적어도 하나의 목표 생체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삭제 및 추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정보뿐만 아니라 현재의 상태정보와 사용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생체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환경의 변화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변화를 계속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없다.
다만, 상기 수동설정, 자동설정 및 빅데이터 설정과 관련된 제어방법을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생체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생체데이터 중 정상범주를 넘어가는 지표만을 선택적으로 목표 생체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생체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서로 다른 주기로 목표 생체데이터를 수집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주기로 복수의 생체정보를 수집한다(S31).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기상시각에 생체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생체센싱모듈(300)을 제어한다. 상기 생체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상기 생체센싱모듈(300)에 의하여 측정 가능한 복수의 생체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온, 피부상태, 호흡, 스트레스 지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생체신호에 의하여 형성된 생체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정보(54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결과정보(541)는 상기 생체데이터에 근거한 분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데이터가 형성되면 기 저장된 기준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체데이터가 정상범주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과정보(541)에 근거하여 목표 생체데이터를 설정한다(S32).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는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 및 외부 환경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결과정보(541)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생체데이터의 형성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설정화면(551)을 출력한다. 상기 설정화면(551)은 감지된 상기 복수의 생체데이터를 정상상태정보(551a) 및 비정상상태(551b)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상태(551b)와 관련된 생체데이터를 목표 생체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과정보(541)가 출력되는 동안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생체데이터와 관련된 생체신호를 제2 주기로 측정하고, 나머지 생체신호를 제1 주기로 측정하도록 상기 생체센싱모듈(300)을 제어한다(S33).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빠르게 설정되는바, 상기 생체센싱모듈(300)은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생체신호를 자주 감지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2 주기로 감지된 생체신호에 의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수집된 목표 생체데이터에 근거하여 가이드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생체센싱모듈(300)은 상기 생체신호를 수집한다(S4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한다(S4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또는 정상으로 구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생체데이터가 정상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생체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270)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생체데이터가 비정상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가이드정보를 제공하거나(S44), 상기 생체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송신한다(S45).
도 6b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생체데이터가 형성되면 제1 분석화면(541)을 출력한다. 상기 제1 분석화면(541)은 상기 생체데이터에 대응되는 건강 가이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데이터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신체상태가 정상범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예를 들어, 복수의 생체데이터 중 과반수 이상의 생체데이터가 정상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1 분석화면(541)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1 분석화면(541)은 알림창(541a) 및 분석상세정보(54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림창(541a)은 상기 생체데이터와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창(541a)는 상기 기준데이터가 형성되는 때, 팝업창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석화면(541)은 복수의 생체데이터의 정상범위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생체데이터를 통하여 신체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6b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위험'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제2 분석화면(542)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2 분석화면(542)는 상기 '위험' 상태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는 팝업창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분석화면(542)에 인가되는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생체데이터의 구체적인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b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긴급'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제3 분석화면(543)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3 분석화면(543)은 상기 '긴급'상태에 해당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형성된 생체데이터가 '긴급'기준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긴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가 신체상태를 위한 행동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분석화면(543)에 인가되는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행동 가이드 정보와 관련된 제1 가이드 정보(543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정보는 일반적인 신체상태 이상인 경우와 대응되는 병원 및 약국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생체데이터에 대응되는 치료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형성된 생체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단계별로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추가적인 측정을 하거나 신체 상태에 따라 의도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신체상태에 따른 추가적인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므로 보다 빠르게 신체상태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6c 및 도 6d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제3 분석화면(543)은 상기 생체데이터에 근거하여 '위험' 상태로 판단된 경우 출력되며, 상기 제3 분석화면(543)은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그래픽 이미지(54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543')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제2 가이드정보(543b)를 출력한다. 상기 제2 가이드정보(543b)는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복수의 그래픽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이미지 또는 텍스트는 구체적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분석화면(543)이 출력된 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분석화면(543)이 출력된 이후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에 인가되는 터치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501)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화면(501)과 관련된 가이드창(244)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창(244)는 상기 실행화면(501)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경고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경로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가이드창(244)은 상기 생체데이터에 근거하여 다른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의 종료를 제안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짧은 사용을 권장하는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데이터가 형성되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구동을 제안한다.
도 7a 및 도 7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에 근거하여 생체데이터를 형성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제1 이벤트(C2)의 알림이 발생되면, 상기 제1 이벤트(c2)와 관련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생체센싱모듈(30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벤트(C2)는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된 일정정보의 알림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C2)에 근거한 제1 알림화면(513a)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C2)에 대응되는 생체데이터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벤트(C2)에 포함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체데이터의 종류가 결정되거나, 상기 일정정보를 저장하는 때 사용자에 의하여 형성할 생체데이터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잇다. 예를 들어, 상기 일정정보가 목적지(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목적지에서 활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파악하기 위한(등산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생체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알림화면(513a)이 출력된 후, 상기 생체센싱모듈(300)을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제어하며 측정알림화면(513b)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C2)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데이터가 측정되면, 결과화면(523)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결과화면 (523)은 상기 기 저장된 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신체상태인지 여부에 관한 분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2 이벤트(C3)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이벤트(C3)에 대응되는 생체데이터를 형성한다. 상기 제2 이벤트(C3)는 상기 무선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신호(예를 들어, 메시지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벤트(C3)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알림화면(512a)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2 이벤트(C3)는 메시지의 수신인 경우 상기 알림화면(512a)은 상기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알림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벤트(C3)가 발생하면, 측정알림화면(512b)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벤트(C3)에 포함되는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목표 생체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가 형성되면 이를 포함하는 결과화면(522)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결과화면(522)은 상기 제2 이벤트(C2)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명령을 형성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이미지(522')에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결과화면(522)에 포함된 측정 결과정보를 외부기기로 회신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필요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제어명령 없이 생체데이터를 측정 및 이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을 이용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1차 생체신호를 감지한다(S5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차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재측정의 필요여부를 판단한다(S52).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1차 생체신호가 감지되면 1차 결과정보(561)를 출력한다. 상기 1차 생체신호는 상기 제1 센싱모듈(310)에 의하여 측정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특정 제어명령을 인가하거나 특정한 영역에 접촉하지 아니하고 상기 1차 생체신호를 획득 할 수 있다. 즉, 상기 1차 생체신호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제어명령 없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감지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재측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손가락을 이용한 2차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가이드화면(56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S53). 예를 들어, 상기 1차 생체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1차 생체신호가 특정 기준에 의하여 불안정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 생체신호의 감지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센서모듈(320)을 알리는 가이드화면(562)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센서모듈(320)이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화면(562)은 상기 제2 센서모듈(320)의 위치를 알리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화면(562)는 상기 제2 센서모듈(320)에 손가락을 접촉하라는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모듈(320)에 손가락이 접촉하면 2차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2 센서모듈(320)을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2차 생체신호가 측정 중임을 알리는 측정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c(a)는 제1 생체모듈에 손목영역이 접촉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PPG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8c의 (b)는 제2 센서모듈(320)에 손가락 영역이 접촉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PPG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손가락 영역은 신체의 말단 영역에 해당되어 혈액의 이동에 따른 신호 변화가 민감하게 측정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최소피크점(p2')과 최대피크점(p1') 사이의 차이가, 손목영역에서 측정된 PPG신호의 최소/최대피크점(p2, p1) 사이의 차이보다 크게 형성된다(약 20배). 이에 따라 피크점 사이의 차이값에 의하여 보다 정확한 생체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치타입 단말기(200)가 신체에 착용 중인 상태에서 손목에 접촉된 제1 센서모듈(310)에 의하여 사용자의 추가적인 제어명령 없이 1차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2차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 생체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확한 생체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2차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모듈(310)에 의하여 1차 생체신호가 감지되면, 외부기기(100)에 상기 1차 생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100)의 표시부(151)는 상기 1차 생체신호 결과(544)를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51)는 상기 1차 생체신호 결과(544)와 함께 2차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544a)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544a)에 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가이드화면(562)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싱모듈(320)에 손가락에 접촉되면 상기 2차 생체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 생체신호를 상기 외부기기(100)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100)는 수신된 상기 2차 생체신호를 근거로 2차 생체신호 결과(545)를 상기 표시부(151)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1차 생체신호 결과를 인식하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2차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보다 정확한 생체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1차 및 2차 생체신호 결과(545a, 545b)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1차 생체신호 결과(545a)는 호흡과 관련하여 들숨 및 날숨의 횟수를 표시한다. 상기 2차 생체신호 결과(545b)는 호흡과 관련하여 호흡의 횟수 및 호흡의 속도에 근거하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손목 및 손가락에 근거하여 서로 구별되는 결과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손가락이 센싱모듈에 접촉된 경우, 감지된 생체신호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고,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정상/비정상 상태를 판단하며, 이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다른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화면(546, 547)을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 화면(546)은 형성된 생체데이터 및 이에 대한 분석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 화면(547)은 상기 분석정보에 근거하여 신체 변화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화면(546, 547)을 특정 시간 동안 출력하거나, 상기 제2 센싱모듈(320)에 의하여 감지되는 생체신호가 정상범위에 해당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출력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용두에 장착된 제3 센싱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는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눌림 또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용두부(2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용두부(224)는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200)의 제1 케이스(201a)의 내부에 배치되는 일 영역에 연성회로기판(281')이 연결된다.
도 10b는 상기 용두부(224)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케이스(201a)의 일 영역에 상기 용두부(224)가 눌림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3 케이스(201c)가 배치된다. 상기 제3 케이스(201c)의 수용공간에 상기 용두부(224)의 바디가 안착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281')은 메인 회로기판(2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용두부(224)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 면에 제3 센싱모듈(330)이 형성된다. 상기 제3 센싱모듈(330)은 PPG센서(331) 및 복수의 전극부(3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PPG센서(331)는 상기 용두부(224)의 단면의 중앙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부(332)는 서로 절연되도록 상기 PPG센서(331)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 10d를 참조하여, 상기 제3 센싱모듈(330)에 접촉되는 시간에 따라 감지되는 생체신호의 종류를 가이드 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두부(224)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동안, 신체의 일부가 상기 제3 센싱모듈(330)에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3 센싱모듈(33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측정화면(511')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측정화면(511')은 감지되는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형성된 생체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인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계속적인 접촉을 가이드 하는 제3 가이드 정보(543c)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3 센서모듈(330)은 접촉되는 시간에 따라 더 많은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더 많은 생체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온은 약 2초 정도, 체지방은 약 3초 내지 5초, 심박은 약 6초 내지 10초, 혈압은 약 15초 및 스트레스 지수는 약 30초 정도 소요될 수 있다.
상기 제3 가이드 정보(543c)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가이드 정보(543c)는 생체데이터의 종류 및 생체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걸리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두부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동안 접촉된 손가락에 의하여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동안 의도하지 않더라도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가이드정보에 근거하여 추가적인 측정을 원하는 경우 계속적으로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생체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형성되는 제4 센싱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b는 제2 조작유닛이 형성되는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c는 제2 조작유닛에 형성된 제4 센싱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조작유닛(123b)는 제어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누름 가능하게 형성되는 버튼부(123b)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센서모듈(340)은 상기 버튼부(123b)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 센서모듈(340)은 체온을 감지하는 한 쌍의 제1 전극부(341)와 체지방을 측정하는 한 쌍의 제2 전극부(342) 및 PPG센서(3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341, 342)는 상기 PPG센서(343)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341, 342)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튼부(123b)는 지문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지문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부(123b)에 접촉되는 손가락에 근거하여 제어신호를 형성하고, 지문을 감지하며, 특정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신호를 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의도적인 제어 없이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신체의 일 영역에 장착가능 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수집할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생체센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센서모듈은,
    상기 본체가 상기 신체의 일 영역에 장착된 상태에서 신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센싱모듈; 및
    상기 본체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센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 센싱모듈을 제어하고, 기 저장된 기준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에서 비정상 범위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센싱모듈을 활성화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수집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형성된 생체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과정보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주기로 복수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상기 생체센서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과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생체신호를 제1 주기보다 빠른 제2 주기마다 측정하도록 상기 생체센서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싱모듈에 의하여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손가락의 접촉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발생되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생체데이터를 목표생체데이터로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에 근거하여 상기 생체센서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제어신호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용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센서모듈은 상기 용두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움직임 및 상기 본체의 주변환경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목표 생체데이터가 비정상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알림창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KR1020160058237A 2016-05-12 2016-05-12 와치타입 단말기 KR102502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237A KR102502969B1 (ko) 2016-05-12 2016-05-12 와치타입 단말기
US15/389,004 US10103765B2 (en) 2016-05-12 2016-12-22 Watch type terminal
EP17000809.8A EP3246768B1 (en) 2016-05-12 2017-05-11 Watch typ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237A KR102502969B1 (ko) 2016-05-12 2016-05-12 와치타입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744A KR20170127744A (ko) 2017-11-22
KR102502969B1 true KR102502969B1 (ko) 2023-02-23

Family

ID=5870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237A KR102502969B1 (ko) 2016-05-12 2016-05-12 와치타입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03765B2 (ko)
EP (1) EP3246768B1 (ko)
KR (1) KR102502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722A1 (ko) * 2015-10-07 2017-04-13 엘지전자(주)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375119B2 (en) * 2016-07-28 2019-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multi-factor authentication challenge generation
JP6801370B2 (ja) * 2016-10-28 2020-12-16 富士通株式会社 センサ装置
US10691072B1 (en) * 2017-09-11 2020-06-23 Apple Inc. Identification of band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KR20190002035U (ko) 2018-02-01 2019-08-09 김윤상 심박센서 어셈블리의 고정용 테이핑 키트
KR102600897B1 (ko) * 2018-04-17 2023-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JP6981375B2 (ja) * 2018-07-20 2021-1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位置情報取得方法
KR102605899B1 (ko) 2018-09-11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9480798A (zh) * 2018-12-28 2019-03-19 广州市巨硅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活体检测的智能手表
CN115052221A (zh) * 2020-08-19 2022-09-13 芯海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耳机控制方法及耳机
WO2023163505A1 (ko) * 2022-02-24 202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운동 능력에 기반하여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4751A1 (en) 2007-08-22 2009-02-26 Bruce Babashan Touchless Sensor for Physiological Monitor Device
WO2016007548A1 (en) * 2014-07-07 2016-01-14 Goodix Technology Inc. Smart watc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136A (ko) 2014-06-05 201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US9734315B2 (en) * 2014-09-01 2017-08-15 Lg Electronics Inc. Wear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4751A1 (en) 2007-08-22 2009-02-26 Bruce Babashan Touchless Sensor for Physiological Monitor Device
WO2016007548A1 (en) * 2014-07-07 2016-01-14 Goodix Technology Inc. Smart w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31505A1 (en) 2017-11-16
EP3246768A1 (en) 2017-11-22
US10103765B2 (en) 2018-10-16
KR20170127744A (ko) 2017-11-22
EP3246768B1 (en)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2969B1 (ko) 와치타입 단말기
US110451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xial orientation and location of a user's wrist
US8781791B2 (en) Touchscreen with dynamically-defined areas having different scanning modes
US8768648B2 (en) Selection of display power mode based on sensor data
KR101861608B1 (ko) 의류 및 위치 정보 시스템
US8751194B2 (en)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of display in portable device based on prediction of user input
US10609992B2 (en) Mobility devices having smart features and charging mounts for same
KR10213558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78948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ree-lead ECG in a wristwatch
KR2015011262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3581428A (zh) 终端及其控制方法
CN105303793A (zh) 使用移动终端处理车辆的事故
JP2009160373A (ja) 生理学的状態の測定装置
KR20160142128A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742380B2 (ja) 電子装置
US10327715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f peripheral device
KR20160084702A (ko) 운동 보조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79664A (ko)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070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78164A (ko) 착용형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EP3075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io signal
CN109101106B (zh) 电子设备
KR20190094049A (ko) 복수의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건강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57522B1 (ko) 저혈압의 발생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5942621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