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328B1 - 탄성 부재 - Google Patents

탄성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328B1
KR102491328B1 KR1020210033320A KR20210033320A KR102491328B1 KR 102491328 B1 KR102491328 B1 KR 102491328B1 KR 1020210033320 A KR1020210033320 A KR 1020210033320A KR 20210033320 A KR20210033320 A KR 20210033320A KR 102491328 B1 KR102491328 B1 KR 102491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thickness
curved portion
bent portion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771A (ko
Inventor
변재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to KR1020210033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32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009Special features
    • F04B43/0054Special features particularities of the flexible members
    • F04B43/0072Special features particularities of the flexible members of tubular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tubular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탄성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 부재는, 탄성 압축 시에 외측 방향으로 굴곡하는 외측 굴곡부 및 내측 방향으로 굴곡하는 내측 굴곡부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고, 상기 외측 굴곡부 및 상기 내측 굴곡부 각각은 두께가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여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 부재{ELASTIC MEMBER}
본 발명은 탄성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 용기는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펌프 조립체의 펌핑 동작을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용기본체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펌핑 동작에 의해 내용물을 끌어 올리는 펌프 조립체와, 펌프 조립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 가압에 따라 승강되며 펌프 조립체로 압력을 전달하는 버튼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펌프 조립체는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은 통상적으로 금속을 재질로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펌프 조립체가 플라스틱과 금속의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기 대문에 재활용을 위해 이를 분리하여 폐기해야 하므로,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벨로우즈 타입의 탄성 부재가 제안된 바 있다. 벨로우즈 타입의 탄성 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마루와 골이 반복 형성되어, 마루와 골을 중심으로 탄성 변형이 일어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탄성 부재를 가압하여, 탄성 압축할 때에, 불규칙한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의 마루에 동일하게 굴곡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 마루에 먼저 변형이 이루어지고, 이후에 다른 마루가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탄성 부재가 자연스럽고 연속적으로 압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탄성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 부재는, 탄성 압축 시에 외측 방향으로 굴곡하는 외측 굴곡부 및 내측 방향으로 굴곡하는 내측 굴곡부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고, 상기 외측 굴곡부 및 상기 내측 굴곡부 각각은 두께가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굴곡부는 내면이 외측으로 함몰되면서 상기 두께가 상기 인접 영역보다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굴곡부는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되면서 상기 두께가 상기 인접 영역보다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의 감소는 상기 인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측 굴곡부 및 상기 내측 굴곡부 각각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굴곡부는 내면이 외측을 향하여 제 1 비율로 함몰되고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제 2 비율로 함몰되면서 상기 두께가 상기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며, 상기 제 1 비율을 상기 제 2 비율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굴곡부는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제 3 비율로 함몰되고 내면이 외측을 향하여 제 4 비율로 함몰되면서, 상기 두께가 상기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며, 상기 제 3 비율은 상기 제 4 비율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굴곡부의 최소 두께가 상기 외측 굴곡부의 최소 두께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외측 굴곡부보다 상기 내측 굴곡부에서 굴곡이 먼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굴곡부에서 외측 굴곡부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벨로우즈 타입으로서, 상기 외측 굴곡부와 상기 내측 굴곡부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측면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체; 및 하부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굴곡부 및 상기 내측 굴곡부는 상기 상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를 연결하며 반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부재의 재질을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함으로써, 비용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외측 굴곡부와 내측 굴곡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되, 외측 굴곡부와 내측 굴곡부의 두께 변화를 통해 자연스럽고 연속적으로 탄성 압축이 되도록 하여 사용감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압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압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100)는 길이 방향으로 압축 및 압축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탄성력을 이용하여 탄성 부재(100)는 펌프 조립체 내에서 펌프 조립체의 펌핑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펌프 조립체는 펌핑 동작을 통해 내용물을 흡입하고 토출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적용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00)에는 외측 굴곡부(110) 및 외측 굴곡부(110)로부터 내측 굴곡부(1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00)에 대한 가압 시에, 외측 굴곡부(110)는 외측으로 굴곡 변형되고, 내측 굴곡부(120)는 내측으로 굴곡 변형되면서, 탄성 압축되고, 가압 해제되면, 외측 굴곡부(110)와 내측 굴곡부(120)가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탄성력을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측 굴곡부(110) 및/또는 내측 굴곡부(120) 각각은 두께가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께는 외측 굴곡부(110) 및/또는 내측 굴곡부(120)에서 내면과 외면 사이의 거리 또는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외측 굴곡부(110) 및/또는 내측 굴곡부(120)에서 인접 영역 보다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외측 굴곡부(110) 및/또는 내측 굴곡부(120)가 탄성 부재(100)에 대한 가압의 취약영역(weak region) 또는 취약점(weak point)이 되어, 가압 시에 굴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께의 감소는 인접 영역으로부터 외측 굴곡부(110) 및/또는 내측 굴곡부(120) 각각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외측 굴곡부(110)는 내면이 외측으로 함몰되면서 두께가 인접 영역보다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측 굴곡부(110)의 외면 측보다 내면 측이 취약영역 또는 취약점이 되도록 하되, 굴곡이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외측 굴곡부(110)는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두께가 인접 영역보다 감소할 수 있다. 이때, 내면 측의 두께 감소가 외면 측의 두께 감소보다 크도록 하여, 내면 측이 외면 측보다 취약영역 또는 취약점이 되도록 하여 굴곡이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굴곡부(110)는 내면이 외측을 향하여 제 1 비율로 함몰되고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제 2 비율로 함몰되면서 두께가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며, 제 1 비율을 제 2 비율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제 1 비율 및 제 2 비율은, 탄성 부재(100)의 단위 길이 당 두께가 감소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단위 길이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기준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측 굴곡부(120)는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되면서 두께가 인접 영역보다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측 굴곡부(120)의 내면 측보다 외면 측이 취약영역 또는 취약점이 되도록 하되, 굴곡이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내측 굴곡부(120)는 내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두께가 인접 영역보다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외면 측의 두께 감소가 내면 측의 두께 감소보다 크도록 하여, 외면 측이 내면 측보다 취약영역 또는 취약점이 되도록 하여 굴곡이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굴곡부(120)는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제 3 비율로 함몰되고 내면이 외측을 향하여 제 4 비율로 함몰되면서, 두께가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며, 제 3 비율은 제 4 비율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제 3 비율 및 제 4 비율은, 탄성 부재(100)의 단위 길이 당 두께가 감소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단위 길이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기준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임의의 내측 굴곡부(120)에서 인접한 외측 굴곡부(110)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외측 굴곡부(110)에서 인접한 내측 굴곡부(120)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측 굴곡부(120) 및/또는 외측 굴곡부(110) 각각의 두께 및 인접 영역으로부터의 두께 변화에 의해 탄성 부재(100)의 탄성력, 압축 거리 및 굴곡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 영역의 최대 두께는 내측 굴곡부(120) 및/또는 외측 굴곡부(110)의 최소 두께 보다 크도록 하여, 탄성 부재(100)에 대한 가압 시에, 내측 굴곡부(120) 및/또는 외측 굴곡부(110)의 굴곡을 야기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내측 굴곡부(120)의 최소 두께가 외측 굴곡부(110)의 최소 두께보다 작도록 하여, 탄성 부재(100)에 대한 가압 시에, 외측 굴곡부(110)보다 내측 굴곡부(120)에서 굴곡이 먼저 야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측 굴곡부(110)의 강성을 내측 굴곡부(120)의 강성보다 크게 하여, 외측 굴곡부(110)가 상대적으로 더 큰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고, 내측 굴곡부(120)가 상대적으로 더 긴 스트로크(즉, 압축 거리)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00)는, 벨로우즈(bellows)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외측 굴곡부(110)와 내측 굴곡부(120)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측면이 밀폐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00)는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 부재(100)에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외측 굴곡부(110) 및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내측 굴곡부(120)가 길이 방향으로 따라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격한 내측 굴곡부(120)는 분리 형성되거나, 브릿지(bridge)와 같은 구성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격하는 외측 굴곡부(110) 및/또는 내측 굴곡부(12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00)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옥시메틸렌(POM), 포리케톤(POK),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옥시프로필렌(POP),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로우(blow) 성형 등에 의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00)가 벨로우즈 타입인 경우, 통상적으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데, 이때 탄성 부재(100)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사출 성형에 의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불균일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불량률이 감소되고, 비대칭 탄성 문제 또한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블로우 성형 등 다른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00)는, 상부 지지체(130); 및 상부 지지체(13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지지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측 굴곡부(110)와 내측 굴곡부(120)는 길이 방향으로 반복하면서 상부 지지체(130)와 하부 지지체(14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지지체(130) 및 하부 지지체(140)에는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탄성 부재(100)의 중공은 펌프 조립체의 스템 등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부 지지체(130) 및 하부 지지체(140)는, 예를 들어,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되는 탄성 부재(1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탄성 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되는 탄성 부재(100)와 마찬가지로 설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측 굴곡부(110') 및 내측 굴곡부(120') 각각은 인접 영역보다 두께가 감소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 굴곡부(110')는 내면 및 외면 모두가 함몰되어 두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때, 내면의 두께 감소 정도가 외면의 두께 감소 정도 보다 크게 하여, 탄성 부재(100')에 대한 가압 시에 외측으로 굴곡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외측 굴곡부(110')의 내면이 함몰되어, 보다 유연하고 자연스럽게 외측 굴곡부(110')에서 외측 굴곡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측 굴곡부(120')는 외면이 함몰되어 두께가 감소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내면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외면이 취약영역 또는 취약점이 되어 탄성 부재(100')에 대한 가압 시에 내측 굴곡부(120')가 내측으로 굴곡할 수 있으며, 또한 평탄하게 형성되는 내면에 의해 굴곡에 대한 강성 및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탄성 부재(100')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굴곡부(120') 대신에 외측 굴곡부(110')의 외면이 상대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내측 굴곡부(120')의 내면 및 외측 굴곡부(110')의 외면 모두가 상대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
100, 100': 탄성 부재 110, 110': 외측 굴곡부
120, 120': 내측 굴곡부 130, 130': 상부 지지체
140, 140': 하부 지지체

Claims (10)

  1. 탄성 부재로서,
    탄성 압축 시에 외측 방향으로 굴곡하는 외측 굴곡부 및 내측 방향으로 굴곡하는 내측 굴곡부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고,
    상기 외측 굴곡부 및 상기 내측 굴곡부 각각은 두께가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여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에 대한 가압 시에 굴곡되는, 탄성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굴곡부는 내면이 외측으로 함몰되면서 상기 두께가 상기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는, 탄성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굴곡부는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되면서 상기 두께가 상기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는, 탄성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의 감소는 상기 인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측 굴곡부 및 상기 내측 굴곡부 각각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굴곡부는 내면이 외측을 향하여 제 1 비율로 함몰되고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제 2 비율로 함몰되면서 상기 두께가 상기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며,
    상기 제 1 비율을 상기 제 2 비율보다 큰, 탄성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굴곡부는 외면이 내측을 향하여 제 3 비율로 함몰되고 내면이 외측을 향하여 제 4 비율로 함몰되면서, 상기 두께가 상기 인접 영역보다 감소하며,
    상기 제 3 비율은 상기 제 4 비율보다 큰, 탄성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굴곡부의 최소 두께가 상기 외측 굴곡부의 최소 두께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외측 굴곡부보다 상기 내측 굴곡부에서 굴곡이 먼저 야기되는, 탄성 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굴곡부에서 외측 굴곡부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탄성 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벨로우즈 타입으로서, 상기 외측 굴곡부와 상기 내측 굴곡부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측면이 밀폐되는, 탄성 부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지지체; 및 하부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굴곡부 및 상기 내측 굴곡부는 상기 상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를 연결하며 반복 형성되는, 탄성 부재.
KR1020210033320A 2021-03-15 2021-03-15 탄성 부재 KR10249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320A KR102491328B1 (ko) 2021-03-15 2021-03-15 탄성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320A KR102491328B1 (ko) 2021-03-15 2021-03-15 탄성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771A KR20220128771A (ko) 2022-09-22
KR102491328B1 true KR102491328B1 (ko) 2023-01-26

Family

ID=8344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320A KR102491328B1 (ko) 2021-03-15 2021-03-15 탄성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3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472Y1 (ko) 2004-10-06 2005-04-14 조용현 가변용적형 탄산음료용기
KR102186042B1 (ko) 2020-04-29 2020-12-03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182A (ko) * 1993-06-01 1995-01-03 박현식 모형을 이용한 미니골프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472Y1 (ko) 2004-10-06 2005-04-14 조용현 가변용적형 탄산음료용기
KR102186042B1 (ko) 2020-04-29 2020-12-03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771A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562324B (zh) 弹性部件及包括其的泵组件
US6877419B2 (en) Composite diaphragm for diaphragm pumps
KR101260574B1 (ko) 실재
JP4975637B2 (ja) 押釦スイッチ用弾性部材
CN104184447A (zh) 操作元件
KR101266704B1 (ko) 방수 키 구조체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US6695706B2 (en) Constant velocity joint boot
US20200079296A1 (en) Stacked composite interior component
KR102491328B1 (ko) 탄성 부재
KR102271374B1 (ko) 펌프 조립체
KR102233011B1 (ko) 스위치 장치
KR20240056012A (ko) 탄성 부재
KR200465975Y1 (ko) 부항기
US6923108B2 (en) Composite diaphragm for diaphragm pumps
JP4612965B2 (ja) パッキングリング
KR101135704B1 (ko) 진공청소기의 신축 흡입파이프
CN209212518U (zh) 一种隔膜组件及具有该组件的微型电动隔膜泵
US20230204085A1 (en) Elastic member and pump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2001323871A (ja) 簡易型ピストンポンプ
JP2018067401A (ja) コンタクトラバー
KR102445893B1 (ko) 의료용 스포이드
WO2016019827A1 (en) Encapsulation assembly and vehicle window
JP2000074222A (ja) 密封装置
KR20240114086A (ko)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진공 그리퍼용 스폰지형 흡착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