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964B1 -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964B1
KR102489964B1 KR1020170113580A KR20170113580A KR102489964B1 KR 102489964 B1 KR102489964 B1 KR 102489964B1 KR 1020170113580 A KR1020170113580 A KR 1020170113580A KR 20170113580 A KR20170113580 A KR 20170113580A KR 102489964 B1 KR102489964 B1 KR 10248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ignal
sensor
signal line
touch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531A (ko
Inventor
최용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964B1/ko
Priority to CN201810959370.6A priority patent/CN109426391B/zh
Priority to US16/121,413 priority patent/US10969921B2/en
Publication of KR2019002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 각각은 제1구동신호에 따라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 및 구동신호라인 및 제2센싱신호라인을 포함하고, 구동신호라인에 제2구동신호가 인가되고, 제2센싱신호라인을 통해 제2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제1구동신호는 제2센서의 상기 구동신호라인을 통해 인가된 신호인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TOUCH SENSER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평판표시장치가 나타났다.
또한, 표시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는데, 화면을 터치하여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있도록 하는 터치센서가 표시장치의 입력장치로 개발되고 있다. 터치센서는 표시장치의 화면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표시장치의 화면의 특정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게 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은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터치객체에 수분이 뭍어 있게 되면 터치를 센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모바일 장치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수중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하지만, 방수 성능이 향상되더라도 수중에서는 터치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면 무용지물이 되게 된다. 따라서,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환경에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에 터치되는 힘을 감지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방안이 도출되고 있다.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는 터치지점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플렉서블(flexible) 한 성질에 대응하여 터치지점을 센싱하는 방안이 도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습기가 많은 환경아니 수중환경에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한 표시패널에서 터치 힘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위치와 터치 힘을 효과적으로 센싱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터치센서와,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 각각은 제1구동신호에 따라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 및 구동신호라인 및 제2센싱신호라인을 포함하고, 구동신호라인에 제2구동신호가 인가되고, 제2센싱신호라인을 통해 제2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제1구동신호는 제2센서의 구동신호라인을 통해 인가된 신호인 터치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 각각은 제1구동신호에 따라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와, 구동신호라인 및 제2센싱신호라인을 포함하고, 구동신호라인에 제2구동신호가 인가되고, 제2센싱신호라인을 통해 제2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구동신호라인을 통해 상기 제1센서에 제1구동신호를 전달하고 제2센서에 상기 제2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제1센싱신호라인과 제2센싱신호라인으로부터 제1센싱신호와 제2센싱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드라이브 회로, 터치 드라이브 회로를 제어하고, 제1센싱신호와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힘정보를 생성하는 터치제어부, 및 터치센서부 상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판, 중공이 형성되고 기판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기판 상에 형성되며 패터닝되어 있는 제1도전배선과 패터닝되고 제1도전배선과 분리되어 있는 제2도전배선을 포함하는 제1도전막, 스페이서 상부에 배치되어 제1도전막과 소정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있고 적어도 3개의 제2센싱신호라인과 연결되는 제2도전막, 및 제2도전막 상에 배치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지점에 가해진 힘에 대응하여 제2센서로부터 제1센서로 제1구동신호가 전달되고, 제1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제1센서로부터 제1센싱신호를 전달받는 단계, 제1센싱신호에 대응하여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제2구동신호를 제2센서에 전달하고, 제2구동신호에 대응하는 터치지점에 대응한 제2센싱신호를 제2센서로부터 전달받는 단계, 및, 제2센싱신호에 대응하여 터치지점에 가해진 힘에 대응하는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센서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렉서블한 표시패널에서 터치 힘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터치 위치와 터치 힘을 효과적으로 센싱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터치센서와,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채용된 센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서부에서 채용한 도전막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센서부에서 채용한 기판과 그 상부에 배치되는 도전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장치에서 센서부에 입력되는 구동신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장치에 채용된 센서부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의 구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센서부(120), 터치드라이버(121), 터치드라이버(120)를 제어하는 터치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게이트라인(G1,…,Gn)과 복수의 데이터라인(D1,…,Dm)이 교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게이트 라인(G1,…,Gn)과 복수의 데이터라인(D1,…,Dm)이 교차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1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10)의 복수의 게이트라인(G1,…,Gn)에 게이트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드라이버(112)와 표시패널(110)의 복수의 데이터라인(D1,…,Dm)에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드라이버(113)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12)와 데이터드라이버(113)를 제어하고 데이터드라이버에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114)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패널(110)은 게이트드라이버(112), 데이터드라이버(113), 및 제어부(114)와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12), 데이터드라이버(113)는 집적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드라이버(113)와 게이트드라이버(112)의 수가 각각 한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크기 및/또는 해상도에 따라 각각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10)에 신호를 인가하는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표시패널(110)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은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하여 플렉서블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된 기판에 복수의 화소를 증착하고 그 상부를 실링기판으로 밀봉한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120)는 구동신호라인을 통해 제1구동신호를 전달받고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을 통해 터치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120a)와, 구동신호라인을 통해 제2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제2센싱신호라인(R2x)을 통해 터치지점에 대한 힘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를 출력하되, 터치지점에서 제1센서(120a)와 접촉하는 제2센서(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으로 표시패널(110)을 터치하면, 표시패널(110) 상의 터치한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와 터치시에 표시패널(110)에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는 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20)는 저항막 방식으로 위치정보와 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은 저항의 크기변화를 이용하여 센싱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20)는 표시장치(100)를 수중에서 사용하거나 수분이 뭍어 있는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터치하더라도 저항값을 측정하여 위치정보와 입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습기가 많은 환경 또는 수중환경에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플렉서블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한 표시패널(110)을 터치하게 되면, 표시패널(110)은 터치에 의해 발생한 힘에 의해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부분이 휘어지게 되고 센서부(120)가 이를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부(120)는 플렉서블한 기판에서 저항막 방식을 이용하여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와 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터치드라이버(121)는 구동신호라인(Tx)을 통해 구동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동신호 중 터치지점을 센싱하기 위해 터치드라이버(121)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제1구동신호라고 칭하고 터치시에 터치지점에 발생한 힘을 센싱하기 위해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제2구동신호라고 칭할 수 있다. 터치드라이버(121)는 제1구동신호를 먼저 출력하고 난 후에 제2구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제어부(122)는 터치드라이버(121)를 제어하여 제1센싱신호와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제어부(122)가 터치드라이버로부터 전달받는 제1센싱신호는 4개의 센싱신호라인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전달되는 4개의 센싱신호일 수 있고, 4개의 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지점의 위치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힘정보는 제2센싱신호에서 전달되는 신호의 세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2센싱신호의 세기는 제2센싱신호의 전압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터치제어부(122)는 터치드라이버(121)를 제어하여 터치드라이버(121)에서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구동신호는 제1구동신호와 제2구동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신호는 터치제어부(122)의 제어에 의해 터치드라이버(121)에서 제1구동신호가 발생된 후 제2구동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패널(110)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고 있고 동일한 힘을 인가하더라도 표시패널(110) 상의 힘이 인가된 위치에 따라 눌리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1구동신호에 의해 표시패널(110)의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를 먼저 산출한 후 산출된 위치와 제2센싱신호에 의한 힘정보를 이용하여 터치지점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즉,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터치시에 인가되는 힘을 센싱한 센싱신호를 보정할 수 있어 정확한 힘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과, 표시패널(110)을 터치한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센싱하는 제1센서(120a)와, 표시패널(110)을 터치하면서 터치지점에 가하는 힘을 센싱하는 제2센서(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센서(120a)와 제2센서(120b)에 구동신호를 전달하고 구동신호에 대응되는 센싱신호를 전달받는 터치드라이버(121)와, 터치드라이버(121)를 제어하고 전달받은 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힘정보를 생성하는 터치제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120a)와 제2센서(120b)는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센서(120a)와 제2센서(120b)는 표시패널(110)의 하부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중첩은 제1센서(120a)와 제2센서(120b)가 동일한 투명면에서 서로 겹쳐져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표시패널(110)을 터치하면 표시패널(110)을 터치한 터치지점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1센서(120a)가 제2센서(120b)와 터치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은 제1센서(120a)가 제2센서(120b)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과 일정한 도체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120a)는 제1센서(120a)와 제2센서(120b)가 접촉한 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제2센서(120b)는 제1센서(120a)와 제2센서(120b)가 접촉할 때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센싱신호는 제1센서(120a)와 제2센서(120b)가 접촉한 것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어 제2센싱신호가 출력되면 기설정된 힘 이상이 표시패널(110)에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센싱신호는 터치지점에 가해진 힘에 대응하여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제1센서(120a)는 제1센싱신호라인(RXs)을 통해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센서(120b)는 구동신호라인(Tx)를 통해 구동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먼저, 구동신호라인(Tx)를 통해 구동신호가 전달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패널(110)을 터치할 수 있다. 구동신호는 제1구동신호가 전달된 후 제2구동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구동신호라인(Tx)를 통해 제1구동신호가 전달되고 제1센서(120a)와 제2센서(120b)가 접촉하게 되면 제2센서(120b)로 전달되는 제1구동신호는 제1센서(120a)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센서(120a)는 제2센서(120b)를 통해 전달받은 제1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제1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할 때 가해지는 힘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구동신호라인(Tx)를 통해 제2구동신호가 전달되면, 제1센서(120a)와 제2센서(120b)는 접촉을 유지하고 있고 제2센서(120b)는 제2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접촉에 대응하여 힘정보를 포함하는 제2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센싱신호가 출력될 때 제2센서(120b)는 제2센싱신호를 출력하지 못하고 제2센싱신호가 출력될 때, 제1센서(120a)는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제1센싱신호는 제1센서(120a)에 연결되어 있는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을 통해 출력되고 제2센싱신호는 제2센서(120b)에 연결되어 있는 제2센싱신호라인(R2x)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동신호가 전달될 때는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은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된 상태이고 제2센싱신호라인(R2x)은 오픈되어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구동신호는 제1센서(120a)로 전달되고 제1센서(120a)는 제1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제1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신호가 전달될 때는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은 오픈되어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고 제2센싱신호라인(R2x)은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2구동신호는 제2센서(120b)에서 제2센싱신호라인(R2x)으로 전달되어 제2센서(120b)는 제2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택적으로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과 제2센싱신호라인(R2x)이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과 제2센싱신호라인(R2x)은 먹스(120c)를 통해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제어부(122)가 먹스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먹스(120c)는 출력된 먹스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 또는 제2센싱신호라인(R2x)이 선택적으로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 또는 제2센싱신호라인(R2x)의 선택적인 연결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채용된 센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122) 상에 제1도전막(1121a,1121b)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122)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전막(1121a,1121b)은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은 각각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기판(112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전배선(1121a)은 구동신호라인(Tx)일 수 있고 제2도전배선(1121b)은 제2센싱신호라인(R2x)일 수 있다. 또한, 제1도전배선(1121a)은 구동신호라인(Tx)에 연결될 수 있고 제2도전배선(1121b)은 제2도전배선(1121b)은 제2센싱신호라인(R2x)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도전막(1121a,1121b)이 형성된 기판(1122) 상에 제2도전막(1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막(1121)과 기판(1122)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2도전막(1121)과 기판(1122) 사이에 스페이서(1123)가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123)는 중공을 포함하며, 제2도전막(1121)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123)가 기판(1122)에 부착되면 기판(1122)의 중심부에는 스페이서(1123)의 중공이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판(1122)의 중심부를 컨택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컨텍영역에서 제1도전막(1121a,1121b)은 스페이서(1123)의 중공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1123)에 의해 제1도전막(1121a,1121b)과 제2도전막(1121)간의 간격이 유지되어 힘이 인가될 때만 제1도전막(1121a,1121b)과 제2도전막(1121)이 연결될 수 있다. 제2도전막(1121)은 도전성을 갖는 얇은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전막(1121)은 플렉서블한 기판(1122)에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도전막(1121)이 형성된 면과 기판(1122) 상의 제1도전막(1121a,1121b)이 형성되어 있는 면은 서로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도전막(1121)에는 패드부(P1,P2,P3,P4)가 형성될 수 있고, 패드부(P1,P2,P3,P4)에 각각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이 연결될 수 있다.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은 패드부(P1,P2,P3,P4)의 패드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패드는 제2도전막(1121)에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이 각각 연결되는 지점일 수 있다. 제2도전막(1121)에는 4개의 패드(P1,P2,P3,P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막(1121)의 형태가 사각형이면 4개의 패드(P1,P2,P3,P4)는 사각형의 꼭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드의 수는 적어도 3개일 수 있다. 또한, 4개의 패드(P1,P2,P3,P4)는 제2도전막(1121)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2도전막(1121)의 상부에 표시패널(1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표시장치(100)는 스페이서(1123)에 의해 제2도전막(1121)이 기판(1122)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1도전막(1121a,1121b)과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표시패널(110)에 힘이 가해지면, 표시패널(110)에 가해진 힘에 의해 제2도전막(1121)이 휘어지게 되고 휘어진 제2도전막(1121)은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과 접촉된 제2도전막(1121)에 의해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센싱신호라인과 제2센싱신호라인의 턴온/턴오프를 이용하여 제2도전막(1121)이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구동신호는 제2도전막(1121)으로 전달되게 하고 제2구동신호(TD2)는 제1도전배선(1121a)을 통해 제2도전배선(1121b)으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서부에서 채용한 제2도전막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도전막(1121)은 일정한 면적을 갖는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도전막(1121)은 전도성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전막(1121)의 사각형의 꼭지점에 각각 4개의 패드(P1,P2,P3,P4)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4개의 패드(P1,P2,P3,P4)는 예시적인 것이며 패드의 수는 적어도 3개일 수 있다. 또한, 4개의 패드(P1,P2,P3,P4)와 각각 연결되는 4개의 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은 제1센싱신호라인일 수 있다. 제2도전막(1121)이 플렉서블한 기판에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패드(P1,P2,P3,P4)는 제2도전막(1121)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배면에 형성되고 기판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관통홀을 통해 각각의 패드(P1,P2,P3,P4)가 도전막과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패드(P1,P2,P3,P4)와 제2도전막(1121)의 연결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표시패널(110)의 일지점(T)을 터치하게 되면 제2도전막(1121)은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1도전막(1121a,1121b)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1도전막(1121a,1121b) 중 제2도전배선(1121b)은 제2센싱신호라인(R2x)과 연결되지 않아 제1도전배선(1121a)으로 전달되는 제1구동신호는 제2도전배선(1121b)으로 전달되지 않고 터치에 의해 접촉된 제2도전막(1121)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전류는 특성 상 저항이 가장 작은 곳으로 흐르려고 하기 때문에 제2도전막(1121)으로 전달된 제1구동신호는 터치지점에서 4개의 패드에 대응하는 4개의 경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제2도전막(1121)에 의해 형성된 4개의 경로에는 각각 저항이 형성되어 터치저점(T)에서 제1패드(P1) 간에 제1저항(R1)이 형성되고, 터치지점(T)에서 제2패드(P2) 간에 제2저항(R2)이 형성되고, 터치지점(T)에서 제3패드(P3) 간에 제3저항(P3)이 형성되고 터치지점(T)에서 제4패드(P3) 간에 제4저항(R4)이 형성될 수 있다. 저항의 크기는 길이에 비례하기 때문에 각 경로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저항(R1) 내지 제4저항(R4)에 의해 4개의 센싱신호가 4개의 센싱신호선들을 통해 출력되며 터치제어부(122)는 각 센싱신호들의 전압을 비교하여 터치지점(T)에서 각 패드간에 형성된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저항의 크기를 이용하여 터치지점과 각 패드들(P1,P2,P3,P4)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고 네개의 터치지점과 패드들(P1,P2,P3,P4)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터치지점의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센싱할 때 저항을 이용하는 저항막 방식이여서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센서부에서 채용한 기판과 그 상부에 배치되는 도전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122)은 플렉서블한 기판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도전막(1121a,1121b)은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은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도전배선(1121a)와 제2도전배선(1121b)는 각각 빗살 무늬 모양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은 전도성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이 이격되어 있어 제1도전막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즉 터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도전배선(1121a)에서 제2도전배선(1121b)으로 신호가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터치시에만 제2도전배선(1121b)는 센싱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도전배선(1121a)와 제2도전배선(1121b)는 각각 빗살 무늬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있어 터치 발생의 검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10)을 터치하면 터치하면서 터치지점에 가해진 힘에 의해 제2도전막(1121)이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을 포함하는 제1도전막(1121a,1121b)에 접촉될 수 있다. 제1도전배선(1121a)은 구동신호라인일 수 있다. 또한, 제1도전배선(1121a)은 구동신호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도전배선(1121b)은 제2센싱신호라인일 수 있다. 또한, 제2도전배선(1121b)은 제2센싱신호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도전배선(1121a)에 제2구동신호가 전달될 때 제2도전배선(1121b) 또는 제2센싱신호라인(R2x)은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도전막(112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은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제2도전막(1121)이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에 접촉하게 되더라도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은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지 않아 오픈 상태가 되어 제2도전막(1121)으로는 제2구동신호가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2센싱신호라인(R2x)이 연결되어 있어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이 연결되면 제1도전배선(1121a)으로 전달되는 제2구동신호는 제2도전막(1121)을 통해 제2도전배선(1121b)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터치지점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제2도전막(1121)과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이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달라져 터치지점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가 제2센싱신호라인(R2x)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잉크는 가해지는 힘에 따라 저항의 크기가 변화되어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제2센싱신호는 저항에 대응하여 세기가 변화될 수 있어 정전용량방식과 달리 센서부(120)는 습기가 많은 환경 또는 수중환경에서도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가해지는 힘을 센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장치에서 센서부에 입력되는 구동신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신호(TD)는 제1구동신호(TD1)와 제2구동신호(TD2)가 번갈아가며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1구동신호(TD1)가 전달될 때 먹스제어신호에 의해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이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도록 하고 제2구동신호(TD2)가 전달될 때 제2센싱신호라인(R2x)이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먹스제어신호에 의해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이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면 제1센싱신호(R1x)가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을 통해 출력되고 제2센싱신호라인(R2x)이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면 제2센싱신호(R2x)가 제2센싱신호라인(R2x)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신호(TD1)와 제2구동신호(TD2)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반복할 수 있어 한번 터치되는 시간 동안 여러 번 반복하여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신호(TD`)가 반복적으로 발생되고 먹스제어신호에 의해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과 제2센싱신호라인(R2x)이 선택적으로 터치드라이버(121)에 연결될 때, 제1도전배선(1121a)에서 제2도전막(1121)으로 전달되는 구동신호를 제1구동신호(TD1)라고 칭하고 제1도전배선(1121a)에서 제2도전배선(1121b)으로 전달되는 구동신호를 제2구동신호(TD2)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신호(TD1)와 제2구동신호(TD2)는 동일한 전압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장치에 채용된 센서부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의 구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센서의 구동방법은 터치지점에 가해진 힘에 대응하여 제2센서(120b)로부터 제1센서로 제1구동신호(TD1)가 전달되고, 제1구동신호(TD1)에 대응하여 제1센서(120a)로부터 제1센싱신호(R1x)를 전달받을 수 있다(S800). 제1센서(120a)로부터 전달되는 제1센싱신호(R1x)는 적어도 3개의 센싱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신호(TD1)가 전달될 때, 제1센싱신호라인(R1x1,R1x2,R1x3,R1x4)이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고 제1센서(120a)는 제1구동신호(TD1)에 대응하는 제1센싱신호(R1x)를 터치드라이버(121)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센싱신호에 대응하여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810). 제1센싱신호는 상기 제1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저항의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센싱신호는 적어도 3개의 센싱신호를 포함하며, 각 센싱신호는 터치지점에서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패드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에 대응하는 정보는 터치지점에서 각 패트 간에 형성된 저항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신호에 의해 제1센싱신호의 전압이 결정되고 센싱신호의 전압을 통해 터치지점에서 각각의 패드까지의 저항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저항의 크기는 거리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산출된 저항의 크기를 통해 터치지점과 패드들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거리들을 이용하여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지점과 패드들 간의 거리는 삼각 측량 등의 방법을 통해 위치정보의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위치정보의 산출은 터치드라이버(121)로 전달된 제1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제어부(122)에서 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구동신호(TD2)를 제2센서(120b)에 전달하고, 제2구동신호(TD2)에 대응하는 터치지점에 대응한 제2센싱신호(R2x)를 제2센서(120b)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S820) 제2구동신호(TD2)가 터치드라이버(121)로부터 구동신호라인으로 전달될 때, 제2센싱신호라인(R2x)이 터치드라이버(121)와 연결되고 제2센서(120b)는 제2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R2x)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센싱신호(R2x)에 대응하여 터치지점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830) 제2센싱신호는 상기 제2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저항의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될 수 있다. 제2센서(120b)는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이 배치되고 터치가 발생하면 제1센서(120a)에 포함되어 있는 제2도전막(1121)이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에 접촉하게 되는데, 터치시에 터치지점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2도전막(1121)과 제1도전배선(1121a) 및 제2도전배선(1121b)이 접촉하는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달라진 면적에 대응하여 제2센서(120b)에서 출력되는 제2센싱신호(R2x)의 전압은 변화되어 접촉되는 면적을 파악할 수 있다. 접촉되는 면적은 터치시에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기 때문에 제2센싱신호(R2x)를 이용하여 표시패널(110)의 터치 시에 터치지점에 가해지는 힘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전배선(1121a)과 제2도전배선(1121b)은 전도성 잉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전도성 잉크는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저항의 크기가 달라져 터치지점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제2센싱신호(R2x)의 전압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센싱신호(R2x)의 세기는 터치 시에 터치지점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제어부(122)는 위치정보를 산출한 후 제2구동신호(TD2)를 전달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구동신호(TD1)와 제2구동신호(TD2)를 순차적으로 전달받은 후 제1구동신호(TD1)에 대응하는 제1센싱신호(R1x)와 제2구동신호(TD2)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R2x)에 따라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가해지는 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위치정보를 먼저 파악하게 되면 보다 정확한 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힘정보를 먼저 파악한 후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구동신호(TD1)와 제2구동신호(TD2)의 전압레벨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항막 방식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와 터치시에 인가되는 힘을 센싱하기 때문에 습기가 많은 환경 또는 수중환경에서 터치를 인식할 수 있어 수중에서도 터치입력을 할 수 있다.
표시장치가 플렉서블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터치지점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터치지점을 결정할 수 있어 플렉서블한 표시패널에서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터치 시에 인가되는 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11: 화소
112: 게이트드라이버
113: 데이터드라이버
114: 제어부
120: 센서부
121: 터치드라이버
122: 터치제어부

Claims (18)

  1.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 각각은 제1구동신호에 따라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
    구동신호라인 및 제2센싱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라인에 제2구동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을 통해 제2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 사이에 중공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신호는 상기 제2센서의 상기 구동신호라인을 통해 인가된 신호이며,
    상기 제1센서는 상기 제2센서에 접촉하는 도전막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막은, 터치에 의해 힘이 터치 지점에 인가되면 상기 중공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제2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제1센서는 상기 도전막에서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지점에 배치되는 적어도 3개의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은 상기 적어도 3개의 패드부에 대응되어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센싱신호는 상기 터치 지점에서 상기 적어도 3개의 패드부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신호라인 및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은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터치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터치에 대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구동기간동안, 상기 구동신호라인 및 상기 제1센싱신호라인은 연결되고,
    상기 구동신호라인에 인가된 상기 제2구동신호는 상기 제1센싱신호라인으로 상기 제1구동신호로서 인가되고,
    터치에 대한 힘을 감지하기 위한 제2구동기간 동안, 상기 구동신호라인 및 상기 제1센싱신호라인은 미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기간은 상기 제1센서가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으로 상기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는 기간이고,
    상기 제2구동기간은 상기 제2센서가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으로 상기 제2센싱신호를 출력하는 기간인 터치센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라인 및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은 기판 상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구동신호라인 및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 각각은 빗살 무늬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터치센서.
  6.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 각각은 제1구동신호에 따라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와, 구동신호라인 및 제2센싱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라인에 제2구동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을 통해 제2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구동신호라인을 통해 상기 제1센서에 상기 제1구동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2센서에 상기 제2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센싱신호라인과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으로부터 제1센싱신호와 제2센싱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드라이브 회로;
    상기 터치 드라이브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제1센싱신호와 상기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와 힘정보를 생성하는 터치제어부; 및
    상기 센서부 상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 사이에는 중공이 형성된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제1센서는 터치에 의해 힘이 상기 터치지점에 인가되면 상기 중공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제2센서에 연결되는 도전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는 상기 도전막에서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지점에 배치되는 적어도 3개의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은 상기 적어도 3개의 패드부에 대응되어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센싱신호는 상기 터치지점에서 상기 적어도 3개의 패드부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신호라인 및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은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터치에 대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구동기간동안, 상기 구동신호라인 및 상기 제1센싱신호라인은 연결되고,
    상기 구동신호라인에 인가된 상기 제2구동신호는 상기 제1센싱신호라인으로 상기 제1구동신호로서 인가되고,
    터치에 대한 힘을 감지하기 위한 제2구동기간 동안, 상기 구동신호라인 및 상기 제1센싱신호라인은 미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기간은 상기 제1센서가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으로 상기 제1센싱신호를 출력하는 기간이고,
    상기 제2구동기간은 상기 제2센서가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으로 상기 제2센싱신호를 출력하는 기간인 표시장치.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라인 및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은 기판 상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구동신호라인 및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 각각은 빗살 무늬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표시장치.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어부는,
    상기 도전막에서 상기 제2센서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적어도 3개의 패드부 사이의 저항의 크기들을 토대로 상기 터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표시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신호라인과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과 연결되는 먹스; 및
    상기 제1구동신호와 상기 제2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터치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먹스는 먹스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센싱신호라인 또는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이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드라이버와 연결되도록 하는 표시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플렉서블한 표시장치.
  14. 기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패터닝되어 있는 제1도전배선과 패터닝되고 상기 제1도전배선과 분리되어 있는 제2도전배선을 포함하는 제1도전막;
    상기 스페이서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도전막과 소정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있고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과 연결되는 제2도전막; 및
    상기 제2도전막 상에 배치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도전막은 터치에 의해 힘이 터치 지점에 인가되면 상기 중공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제1도전막에 연결되며,
    상기 제2도전막은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지점에 배치되는 적어도 3개의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은 상기 적어도 3개의 패드부에 대응되어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센싱신호는 상기 터치 지점에서 상기 적어도 3개의 패드부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전배선 및 상기 제2도전배선은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표시장치.
  15. 삭제
  16. 터치지점에 가해진 힘에 대응하여 제2센서로부터 제1센서로 제1구동신호가 전달되고, 터치드라이버가 상기 제1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센서에 포함된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 각각으로부터 제1센싱신호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터치드라이버가 상기 제1센싱신호에 대응하여 터치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드라이버가 제2구동신호를 제2센서에 포함되는 구동신호라인에 전달하고, 상기 제2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지점에 대응한 제2센싱신호를 상기 제2센서에 포함되는 제2센싱신호라인으로부터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터치드라이버가 상기 제2센싱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지점에 가해진 힘에 대응하는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 사이에는 중공이 형성된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터치지점에 가해진 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센서의 도전막은 상기 중공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제2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제1센서는 상기 도전막에서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지점에 배치되는 적어도 3개의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은 상기 적어도 3개의 패드부에 대응되어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제1센싱신호라인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센싱신호는 상기 터치지점에서 상기 적어도 3개의 패드부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신호라인 및 상기 제2센싱신호라인은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터치센서 구동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신호와 상기 제2구동신호는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터치센서 구동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센싱신호는 상기 제1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저항의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되고, 상기 제2센싱신호는 상기 제2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저항의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터치센서 구동방법.
KR1020170113580A 2017-09-05 2017-09-05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 KR10248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80A KR102489964B1 (ko) 2017-09-05 2017-09-05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
CN201810959370.6A CN109426391B (zh) 2017-09-05 2018-08-22 触摸传感器、显示装置及驱动触摸传感器的方法
US16/121,413 US10969921B2 (en) 2017-09-05 2018-09-04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ethod for driving touch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80A KR102489964B1 (ko) 2017-09-05 2017-09-05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531A KR20190026531A (ko) 2019-03-13
KR102489964B1 true KR102489964B1 (ko) 2023-01-18

Family

ID=6551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580A KR102489964B1 (ko) 2017-09-05 2017-09-05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69921B2 (ko)
KR (1) KR102489964B1 (ko)
CN (1) CN1094263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290B1 (ko) * 2018-04-05 2023-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58389B (zh) * 2005-09-05 2010-05-12 Ew***有限公司 触觉传感器和触觉传感器应用装置
EP1942323A4 (en) * 2005-09-05 2011-01-26 Ewsystem Co Ltd TOUCH SENSOR AND DEVICE FOR APPLYING THE TOUCH SENSOR
CN101261552A (zh) * 2007-03-09 2008-09-10 洋华光电股份有限公司 复合式触控感应装置
JP4388966B2 (ja) * 2007-03-16 2009-12-24 富士通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CN102004573B (zh) * 2010-07-28 2014-01-0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检测***及其检测方法
EP2657812A4 (en) * 2010-12-24 2015-06-17 Graphene Square Inc TOUCH SENSOR USING GRAPHENE TO SIMULTANEOUSLY DETECT PRESSURE AND POSITION
JP2015185173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 ハイヂィープ タッチ圧力及びタッチ面積による動作対象の臨時操作方法及び端末機
EP3177978A4 (en) * 2014-08-04 2018-03-21 Nextinput, Inc. Force sensitive touch panel devices
KR102240828B1 (ko) * 2014-08-28 2021-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구동 장치
CN107111411B (zh) * 2014-09-30 2022-01-07 苹果公司 织物感测设备
JP2017021462A (ja) * 2015-07-08 2017-01-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付き表示装置
CN105183208A (zh) * 2015-07-23 2015-12-23 厦门变格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金属网格能够感应触摸位置和压力的触摸屏
CN106486039B (zh) * 2015-08-26 2020-02-07 乐金显示有限公司 具有弯曲感测装置的柔性显示装置
KR102381652B1 (ko) * 2015-09-30 2022-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80270B1 (ko) * 2015-12-11 2022-12-23 주식회사 지2터치 터치스크린 내장형 표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KR101809917B1 (ko) * 2016-01-29 2017-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205721724U (zh) * 2016-06-03 2016-11-2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
KR20170069904A (ko) * 2016-08-16 2017-06-21 주식회사 지2터치 터치스크린 내장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209804B2 (en) * 2017-01-10 2019-02-19 Rockwell Collins, Inc. Emissive Display over resistive touch sensor with force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73080A1 (en) 2019-03-07
CN109426391B (zh) 2022-03-11
CN109426391A (zh) 2019-03-05
KR20190026531A (ko) 2019-03-13
US10969921B2 (en)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9005B2 (en) 5-wire resistive touch screen pressure measurement circuit and method
US10452215B2 (en) Mutual capacitive force sensor and touch display device with force sensing function and force sensing method thereof
KR102043370B1 (ko) 압력 센서부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JP5679235B2 (ja) 感圧層を伴う入力装置及び方
KR101101581B1 (ko) 멀티 포인트 터치 감지 장치
US20090256825A1 (en) Pen stylus enabled capacitive touch system and method
KR101742052B1 (ko) 터치 입력 장치
US20110278078A1 (en) Input device with force sensing
JP2012529126A5 (ko)
KR10205756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US94053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region presses on a capacitive sensing device
US11169643B2 (en) Touch panel and touch panel device
JP2019511757A (ja) 一体化された表示装置と検出装置内の導体の引き回し
US20220004268A1 (en) System for detecting a clicked state and an unclicked state of a button for capacitive touch device
KR101609796B1 (ko) 터치 입력 장치
KR20160040504A (ko) 터치 입력 장치
KR102489964B1 (ko)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구동방법
US9720553B2 (en) Input device including fold over sensor substrate
US11537246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550034B1 (ko) 터치패널, 폴더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폴더블 표시장치
KR102369348B1 (ko) 터치센서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645674B2 (en) Self-capacitive touch sensing devices, touch point positioning method, and display devices
US9652057B2 (en) Top mount clickpad module for bi-level basin
KR102308514B1 (ko) 인 셀 타입의 터치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482574B1 (ko) 원칩 터치 패널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