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864B1 -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864B1
KR102488864B1 KR1020160158707A KR20160158707A KR102488864B1 KR 102488864 B1 KR102488864 B1 KR 102488864B1 KR 1020160158707 A KR1020160158707 A KR 1020160158707A KR 20160158707 A KR20160158707 A KR 20160158707A KR 102488864 B1 KR102488864 B1 KR 10248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growth
bacteria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296A (ko
Inventor
왕다혜
이지언
주일우
Original Assignee
(주)모아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아캠 filed Critical (주)모아캠
Priority to KR102016015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8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세균총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으로 피부 유익균의 생장은 증가시키고, 피부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시키는 효능을 가지면서, 피부 세포의 β-디펜신의 발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면역을 강화하는 효능을 가지는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선택적 항균 활성에 따른 피부에 유익한 유산균의 생장은 증가시키고, 피부에 유해한 포도상구균, 여드름간균 및 칸디다 알비칸스의 생장은 저해함으로써 피부세균총의 생장 균형을 맞추면서, 피부 면역 물질인 β-디펜신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면역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Terminalia Chebula Extract and Artemisia Extract for Controlling Skin Bacterial Flora Growth, or Enhancing Skin Immunity}
본 발명은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세균총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으로 피부 유익균의 생장은 증가시키고, 피부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시키는 효능을 가지면서, 피부 세포의 β-디펜신의 발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면역을 강화하는 효능을 가지는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고, 사람의 점막 및 피부 조직에는 수많은 미생물이 서식하며 이 미생물의 집단을 피부 세균총이라 한다.
피부세균총은 피부 상재균(resident)과 피부 비상재균(transient)으로 나뉘는데, 상재균은 주로 표피 및/또는 모낭 주위에 상재하는 형태로 발견되는 반면, 비상재균은 감염체 또는 오염된 환경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피부에 부착하여 일정 기간 동안 생착 가능하나, 정상적 피부 면역을 가지는 개체에서는 피부의 자가 정정 작용으로 사멸된다.
피부 상재균 중 유익균은 피부 비상재균 중 유해균과 균형(예컨대, 피부 세균 분포도, 세균 간 성장 균형 등)을 이루며 피부 면역을 유지한다. 그러나 외부자극,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등으로 면역이 저하되면 유익균과 유해균 간의 균형이 깨지고 유해균의 증식 및 피부 침투가 증가할 경우 1차 염증 반응을 발생시키고, 유해균의 초항원 등의 독성 대사물에 의해 피부의 가려움증, 염증 심화 반응 및 피부 면역 저하 반응 등 2차 염증반응이 유발된다. 이러한 염증 반응 및 이를 동반하는 피부 질환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으로 생성되는 물질들이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의 탄력 섬유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피부세균총 전체에 영향을 미쳐 유해균뿐만 아니라 유익균까지 사멸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내성균의 출현으로 피부 상재균의 균형이 무너지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유해균은 억제하고 유익균은 보호하는 선택적 항균활성을 가진 조성물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피부 유익균으로는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속 균종(Lactobacillus spp.), 스타필로코코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마이크로코코스 레테우스(Micrococcus leteus) 등이 있다.
유산균은 그람 양성 구균이며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락트산을 생성하는 세균을 말한다. 유상균은 피부에 서식하며 피부 면역 물질의 발현을 촉진하여 피부 면역의 강화를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환경에서는 여성의 질 내부에서 많은 유산균이 서식하여 질 내부를 약 산성으로 만들어 병원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지만, 면역 저하, 호르몬 변화 등의 이유로 질 내부의 균형이 깨지는 경우 유산균의 서식이 감소하여 병원균이나 곰팡이 등 유해 미생물의 증식이 증가하게 되므로 유산균의 보호가 특히 중요하다.
피부 유해균으로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여드름 간균(Propionibacterium acnes),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슈도모나스 에피더미스(Pseudomonas epidermis) 등이 있다.
포도상구균은 지름 1μm 미만의 구균으로 그람 양성균이며, 피부에 화농성 염증을 유발하고 세라미다아제를 분비하여 피부 방어벽 지질인 세라마이드를 분해하여 피부 방어벽을 약하게 하며, 각질층의 투과성 증가로 인하여 피부를 건조하고 오염원의 침투가 용이하게 하여 피부의 염증 작용을 촉진한다. 또한, 포도상구균은 비만 세포의 탈과립을 유도하여 피부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피부 면역을 감소시킨다.
여드름 간균은 혐기성 세균으로 각질세포와 반응하여 여드름을 발생시키고 피지의 주성분인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을 생성하고, 상기 유리 지방산은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고 여드름을 악화시킨다.
칸디다 알비칸스는 그람 양성 진균으로 일종의 피부 곰팡이 균이다. 건강한 사람의 구강, 질, 장 및 소화관에 존재하고 있으나 면역력이 감소하였을 때 증식이 증가하여 수포성 염증을 발생시키며, 소화관 및 구강에서 염증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대표적으로는 여성의 음부에 염증을 일으켜서 칸디다성 질염을 발생시킨다. 칸디다성 질염은 약 75%의 여성이 한 번 이상의 질과 외음부에 칸디다성 질염을 겪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 여성 인구 중 45%가 1년에 2회 이상 재발을 겪는 흔한 질환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한약재 '가자'는 사군자과의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ins) 또는 융모가자(Terminalia chebula Retzins var. tomentella Kurt.)의 잘 익은 열매이다. 가자에 포함된 성분으로는 케불라직산(Chebulagic acid), 케불린산(Chebulinic acid) 등 페놀화합물이 있으며, 수집종과 재배방법에 따라 가자에 포함된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차이가 나타난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한편, 가자의 추출물은 미백, 항산화 등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및 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애엽'은 국화과의 황해쑥(Artemisia argyi Lev . et Vant.), 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또는 산쑥(Artemisia montana Pampani)의 잎 및 어린줄기이다. 애엽에 포함된 성분으로는 알테미시닌(Artemisinin), 알테미시닌산(Artemisinic acid) 등 테르펜 화합물이 있으며, 수집종과 재배방법에 따라 애엽에 포함된 성분의 차이가 나타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애엽 추출물과 애엽 성분의 항염효능은 이미 많이 보고되었고, 개똥쑥(Artemisia annua, 국화과)으로부터 분리한 활성성분인 알테미시닌(Artemisinin)을 이용하여 제조한 말라리아 치료제를 개발한 중국의 투유유 교수는 201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다. 한편, 애엽의 추출물은 혈액응고 억제작용, 골다공증 유발 억제작용 등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및 4).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및/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피부 유익균의 생장은 증가시키고 피부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시키면서, 피부 면역은 강화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35364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51784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083873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7278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익균의 생장 촉진 및 유해균의 생장 억제를 통한 피부세균총의 균형을 조절하면서, 피부 면역을 강화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선택적 항균 활성에 따른 피부에 유익한 유산균의 생장은 증가시키고, 피부에 유해한 포도상구균, 여드름간균 및 칸디다 알비칸스의 생장은 저해함으로써 피부세균총의 생장 균형을 맞추면서, 피부 면역 물질인 β-디펜신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면역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이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β-디펜신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배양물로부터 수집한 상등액의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유익균의 생장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및 락토코쿠스 락티스에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및 락토코쿠스 락티스의 생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시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유해균의 생장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해균인 포도상구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 및 칸디다 알비칸스에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결과, 포도상구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 및 칸디다 알비칸스의 생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시험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의 피부 면역 강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각질형성세포에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결과, 각질형성세포의 β-디펜신 분비가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로 처리한 인간 각질형성세포 배양물의 상등액을 포도상구균에 처리한 결과, 포도상구균의 생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시험예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세균총이란 사람의 피부에 상존하는 모든 균주를 의미하며 피부 면역에 유익하거나 유해한 세균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되는 혼합물은 피부 유익균과 피부 유해균의 생장(증식)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피부 면역을 증강 또는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유익균은 피부 면역 증강, 피부 염증 완화, 피부 유해균의 증식 저해(억제) 등의 특성을 갖는 균을 의미하고, 피부 유해균은 피부 면역 저하, 피부 염증 유발, 피부 색소 침착, 피부 탄력 감소, 피부 독성, 피부 유익균의 증식 저해(억제) 등의 특성을 갖는 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되는 혼합물은 피부 유익균의 생장을 증가시키고,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유익균은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속 균종(Lactobacillus spp.), 스타필로코코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마이크로코코스 레테우스(Micrococcus luteus)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유해균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여드름 간균(Propionibacterium acnes),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슈도모나스 에피더미스(Pseudomonas epidermidis)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되는 추출물은 피부 세포의 β-디펜신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β-디펜신의 발현량 증가로 피부 면역을 강화하는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은 중량 기준으로 1~10:1~10, 바람직하게는 1~5: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2의 비율로 혼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피부 미생물 생장에 거의 영향이 없고, 10.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자 추출물 또는 애엽 추출물은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천연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가자 추출물 또는 애엽 추출물은 가자 및 애엽의 2가지 식물(생약재)을 혼합한 다음, 추출한 것, 또는 각각의 식물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혼합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자 및 애엽의 2가지 식물을 혼합하고 추출한 것이다.
상기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은 적절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1,3-부틸렌글라이콜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100% 에탄올 또는 80% 메탄올(부피비로, 80% 메탄올 + 20% 정제수)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다.
상기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극성용매/비극성용매 가용추출),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및 압착법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부 미생물에 대한 항생 효능 및 피부 면역 강화 효능이 유지되는 추출물로 제조되는 이상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추출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 및/또는 정제방법에 의해 정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바디용 화장료 등이 있을 수 있고,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바디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젤, 패치, 수중유(O/W)형, 유중수(W/O)형 등의 기초 화장료,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료, 샴푸, 린스, 바디클렌저, 치약, 여성용 세정제 또는 구강 청정제 등의 세정료, 헤어토닉, 젤 또는 무스 등의 정발제,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외에도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이 선택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때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도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용어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용어 "부형제(excipient)"는 정제나 환약 등의 제제 과정에서 주약(主藥)의 양이 적은 경우에 약을 먹기 쉽게 하거나 어떤 빛깔과 형태를 갖추게 하려고 더 넣는 물질로, 락토오스나 녹말을 주로 사용한다.
용어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체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여기에 사용된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인간 환자에게 그 자체로서, 또는 결합 요법에서와 같이 다른 활성 성분들과 함께 또는 적당한 담체나 부형제와 함께 혼합된 의약 조성물로서, 투여(도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제(도포제)는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 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국소, 경피, 피하 등으로 투여(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두피에 국소 투여(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량, 즉 투여량(도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도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도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투여량은, 예컨대, 하루에 체중 1㎏당 0.01~5000㎎, 바람직하게는 0.1~2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0㎎의 양으로 투여(도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도포)할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은 천연물질이므로 독성이 전혀 없어서 의약품으로 지속적으로 다량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에는,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활성 성분들이 그것의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이 포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될 객체의 생존을 연장하거나, 질환의 증상을 방지, 경감 또는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의 결정은, 특히, 여기에 제공된 상세한 개시 내용 측면에서, 당업자의 능력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방법들에서 사용되는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화합물들)에 대한 치료적 유효량은 세포 배양 분석으로부터 초기에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량(dose)은 세포 배양에서 결정된 IC50(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또는 EC50(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를 포함하는 순환 농도 범위를 얻기 위하여 동물 모델에서 계산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인간에서의 유용한 용량을 더욱 정확히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화합물들)의 독성과 치료 효율성은, 예를 들어, LD50(군집의 50%에 대한 치사량), ED50(군집의 50%에 대해 치료 효과를 갖는 용량), IC50(군집의 50%에 대해 치료 억제 효과를 갖는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세포 배양 또는 실험동물에서의 표분 제약 과정들에 의해 산정될 수 있다. 독성과 치료 효과 간의 용량 비가 치료 지수이고 이것은 LD50과 ED50(또는, IC50) 간의 비율로서 표현될 수 있다. 높은 치료 지수를 보이는 화합물들이 바람직하다. 이들 세포 배양 분석에서 얻어진 데이터는 인간에 사용하는 용량의 범위를 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화합물들의 투여량(dosage) 또는 도포량은 바람직하게는 독성이 없거나 거의 없는 상태에서 ED50(또는, IC50)을 포함하는 순환 농도의 범위 내에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 실시예 1] 가자 및 애엽의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의 제조
200g의 가자 및 400g의 애엽이 혼합된 혼합물에 혼합물 질량의 10~20배로 정제수를 첨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80~110℃에서 10~15시간 동안 끓여 수득한 열수 추출물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동결건조된 추출물 81g을 수득하였다.
하기 시험예 1~3에서 이용하는 추출물은 상기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동결건조된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상기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 실시예 2] 가자 및 애엽의 혼합물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200g의 가자 및 200g의 애엽이 혼합된 혼합물에 혼합물 질량의 10~20배로 100% 에탄올을 첨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80~110℃에서 10~15시간 동안 끓여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동결건조된 추출물 75g을 수득하였다.
하기 시험예 1~3에서 이용하는 추출물은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동결건조된 추출물에 정제수 및 DMSO(디메틸설폭사이드)가 부피비로 99:1로 혼합된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여기서, 에탄올 추출물은 용해가 쉽지 않아 정제수 대신 정제수 및 DMSO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을 용해시켰다.
[ 실시예 3] 가자 및 애엽의 혼합물의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200g의 가자 및 200g의 애엽이 혼합된 혼합물에 혼합물 질량의 10~20배로 80%(v/v) 메탄올 혼합용매를 첨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80~110℃에서 10~15시간 동안 끓여 수득한 메탄올 추출물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동결건조된 추출물 68g을 수득하였다.
하기 시험예 1~3에서 이용하는 추출물은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동결건조된 추출물에 정제수 및 DMSO가 부피비로 99:1로 혼합된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여기서, 메탄올 추출물은 용해가 쉽지 않아 정제수 대신 정제수 및 DMSO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을 용해시켰다.
[ 비교예 1] 가자의 열수 추출물의 제조
400g의 가자에 그 질량의 10~20배로 정제수를 첨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80~110℃에서 10~15시간 동안 끓여 수득한 열수 추출물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동결건조된 추출물 105g을 수득하였다.
하기 시험예 1~3에서 이용하는 추출물은 상기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동결건조된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상기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 비교예 2] 가자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400g의 가자에 그 질량의 10~20배로 100% 에탄올을 첨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80~110℃에서 10~15시간 동안 끓여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동결건조된 추출물 118g을 수득하였다..
하기 시험예 1~3에서 이용하는 추출물은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동결건조된 추출물에 정제수 및 DMSO가 부피비로 99:1로 혼합된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 비교예 3] 가자의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400g의 가자에 그 질량의 10~20배로 80%(v/v) 메탄올 혼합용매를 첨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80~110℃에서 10~15시간 동안 끓여 수득한 메탄올 추출물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동결건조된 추출물 98g을 수득하였다.
하기 시험예 1~3에서 이용하는 추출물은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동격건조된 추출물에 정제수 및 DMSO가 부피비로 99:1로 혼합된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 비교예 4] 애엽의 열수 추출물의 제조
400g의 애엽에 그 질량의 10~20배로 정제수를 첨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80~110℃에서 10~15시간 동안 끓여 수득한 열수 추출물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동결건조된 추출물 29g을 수득하였다.
하기 시험예 1~3에서 이용하는 추출물은 상기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동결건조된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상기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 비교예 5] 애엽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400g의 애엽에 그 질량의 10~20배로 100% 에탄올을 첨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80~110℃에서 10~15시간 동안 끓여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동결건조된 추출물 21g을 수득하였다..
하기 시험예 1~3에서 이용하는 추출물은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동결건조된 추출물에 정제수 및 DMSO가 부피비로 99:1로 혼합된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 비교예 6] 애엽의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400g의 애엽에 그 질량의 10~20배로 80%(v/v) 메탄올 혼합용매를 첨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80~110℃에서 10~15시간 동안 끓여 수득한 메탄올 추출물을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동결건조된 추출물 25g을 수득하였다.
하기 시험예 1~3에서 이용하는 추출물은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동격건조된 추출물에 정제수 및 DMSO가 부피비로 99:1로 혼합된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도록 제조한 것이다.
[ 시험예 1]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의 피부 유익균의 생장 촉진 효능 평가
(1)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락토바실러스 랜타룸의 생장 증가
유익균의 한 예로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의 생장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원판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을 사용하였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ATCC 8014)을 106CFU/mL 농도로 배양한 MRS agar를 페트리 디쉬(petri dish)에 분주한 후 25℃로 식혀 굳힌 후, 멸균된 8mm 여과지 디스크(filter paper disk)를 디쉬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실시예 1~3을 각각 상기 디스크에 40μL씩 주입하여 흡수시킨 후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기(incubator)에서 배양하여 상기 디스크 주위의 클리어존의 생성 여부 및 클리어존의 지름(단위: mm)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양성 대조군인 메틸파라벤(methylparaben)은 디스크 당 5.0mg/40μL의 함량으로 주입하여 이용하였다.
5.0mg/40μl/disc 2.5mg/40μl/disc 1.25mg/40μl/disc
Methyl paraben
(5.0mg/40μl/디스크)
14.6(도면 1 A)
실시예 1 - - -
실시예 2 -(도면 1 C) -(도면 1 D) -(도면 1 E)
실시예 3 - - -
그 결과, 실시예 1, 2 및 3 추출물 모두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의 생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1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틸파라벤을 주입한 디스크 주위에는 클리어존이 형성되었으나, 실시예 2의 추출물을 주입한 디스크 주위에는 클리어존이 형성되지 않았고, 도 1의 C 부위(디스크 당 5.0mg/40μL 추출물) > D 부위(디스크 당 5.0mg/40μL 추출물) > E 부위(디스크 당 5.0mg/40μL 추출물)의 순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의 생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락토코쿠스 락티 스의 생장 증가
유익균의 또 다른 예로서, 유산균인 락토코쿠스 락티스의 생장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원판확산법을 사용하였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KTCT 3769)를 106CFU/mL 농도로 배양한 MRS agar를 페트리 디쉬에 분주한 후 25℃로 식혀 굳힌 후, 멸균된 8mm 여과지 디스크를 디쉬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실시예 1~3을 각각 상기 디스크에 40μL씩 주입하여 흡수시킨 후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상기 디스크 주위의 클리어존의 생성 여부 및 클리어존의 지름(단위: mm)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양성 대조군인 메틸파라벤은 디스크 당 5.0mg/40μL의 함량으로 주입하여 이용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2 및 3 추출물 모두에서 락토코쿠스 락티스의 생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데이터 미도시).
[ 시험예 2]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의 피부 유해균의 생장 억제 효능 평가
(1)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의 생장 억제
유해균의 한 예로서, 포도상구균의 생장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원판확산법을 사용하였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835)를 107CFU/mL 농도로 배양한 TSA(Trypticase Soy agar)를 페트리 디쉬에 분주한 후 25℃로 식혀 굳힌 후, 멸균된 8mm 여과지 디스크를 디쉬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실시예 1~3 또는 비교예 1~6을 각각 상기 디스크에 40μL씩 주입하여 흡수시킨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상기 디스크 주위의 클리어존의 생성 여부 및 클리어존의 지름(단위: mm)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양성 대조군인 메틸파라벤은 디스크 당 5.0mg/40μL의 함량으로 주입하여 이용하였다.
5.0mg/40μl/disc 2.5mg/40μl/disc 1.25mg/40μl/disc
Methyl paraben
(5.0mg/40μl/disc)
12.4
실시예 1 11.7 10.1 9.6
실시예 2 20.1 18.8 18.1
실시예 3 19.0 17.6 13.2
5.0mg/40μl/disc 2.5mg/40μl/disc 1.25mg/40μl/disc
Methyl paraben
(5.0mg/40μl/disc)
12.9
비교예 1 - - -
비교예 2 17.2 11.6 7.9
비교예 3 15.5 10.3 8.6
비교예 4 - - -
비교예 5 11.7 - -
비교예 6 9.2 - -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2 및 3 추출물 모두에서 디스크 주위에 클리어존이 형성되어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의 생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동일 농도에서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2의 추출물의 생장 억제 효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예 3의 추출물은 그 다음으로 효능이 높았고, 실시예 1의 추출물은 가장 낮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한편,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2, 3, 5 및 6의 경우,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의 생장을 억제하긴 하나 실시예와 비교시 낮은 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가자와 애엽의 각 추출물을 각각 적용한 조성물보다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적용한 조성물의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2)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프로피오니박테 리움 애크니스의 생장 억제
유해균의 또 다른 예로서, 여드름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의 생장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원판확산법을 사용하였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ATCC 6919)를 107CFU/mL 농도로 배양한 BHI(Brain heart infusion) agar를 페트리 디쉬에 분주한 후 25℃로 식혀 굳힌 후, 멸균된 8mm 여과지 디스크를 디쉬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실시예 1~3 또는 비교예 1~6을 각각 상기 디스크에 40μL씩 주입하여 흡수시킨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혐기성 채임버(anaerobic chamber)에서 배양하여 상기 디스크 주위의 클리어존의 생성 여부 및 클리어존의 지름(단위: mm)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양성 대조군인 메틸파라벤은 디스크 당 5.0mg/40μL의 함량으로 주입하여 이용하였다.
5.0mg/40μl/disc 2.5mg/40μl/disc 1.25mg/40μl/disc
Methyl paraben
(5.0mg/40μl/disc)
23.4
실시예 1 19.4 18.7 13.2
실시예 2 22.1 20.7 19.9
실시예 3 22.0 19.4 17.0
5.0mg/40μl/disc 2.5mg/40μl/disc 1.25mg/40μl/disc
Methyl paraben
(5.0mg/40μl/disc)
19.7
비교예 1 - - -
비교예 2 13.2 10.6 7.9
비교예 3 10.5 9.3 7.6
비교예 4 - - -
비교예 5 10.7 - -
비교예 6 9.2 - -
그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2 및 3 추출물 모두에서 디스크 주위에 클리어존이 형성되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의 생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동일 농도에서 실시예 2의 생장 억제 효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예 3의 추출물은 그 다음으로 효능이 높았고, 실시예 1의 추출물은 가장 낮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한편,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2, 3, 5 및 6의 경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스의 생장을 억제하긴 하나 실시예와 비교시 낮은 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가자와 애엽의 각 추출물을 각각 적용한 조성물보다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적용한 조성물의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3)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칸디다 알비칸스 의 생장 억제
유해 미생물의 한 예로서, 칸디다 알비칸스의 생장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원판확산법을 사용하였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ATCC 10231)를 107 CFU/mL 농도로 배양한 YM(Yeast Malt) agar를 페트리 디쉬에 분주한 후 25℃로 식혀 굳힌 후, 멸균된 8mm 여과지 디스크를 디쉬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실시예 1~3을 각각 상기 디스크에 40μL씩 주입하여 흡수시킨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상기 디스크 주위의 클리어존의 생성 여부 및 클리어존의 지름(단위: mm)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양성 대조군인 메틸파라벤은 디스크 당 1.25~5.0mg/40μL의 함량으로 주입하여 이용하였다.
5.0mg/40μl/disc 2.5mg/40μl/disc 1.25mg/40μl/disc
Methyl paraben
(5.0mg/40μl/disc)
23.6
실시예 1 12.5 11.0 9.3
실시예 2 19.8 18.3 16.8
실시예 3 18.9 16.2 15.0
그 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2 및 3 추출물 모두에서 디스크 주위에 클리어존이 형성되어 칸디다 알비칸스의 생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동일 농도에서 실시예 2의 생장 억제 효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예 3의 추출물은 그 다음으로 효능이 높았고, 실시예 1의 추출물은 가장 낮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 시험예 3]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의 피부 면역 강화 효능 평가
(1)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피부 세포의 촉진된 β-디펜신 분비
인간 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를 키우기 위해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한 배지를 이용하였다. 각질형성세포는 37℃, 5%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6-웰 플레이트에 세포의 농도가 2x105cells/well이 되도록 각 웰에 접종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1.7mM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와 상기 실시예 1~3 또는 비교예 1~6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세포반응).
24시간 경과 후 세포 배양물 중 상등액은 수집하여 하기 (2)의 피부 면역 물질의 항균활성 시험에 이용하고, 상기 세포 배양물 중 세포는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 후 트립신-EDTA 용액으로 세포를 탈부착시켜 회수하고, 튜브에 모은 후 High Capacity RNA-to-cDNA Kit(Applied Biosystems, Thermo Fisher Scientific Inc.)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그 다음, 상기 cDNA를 표 7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RT-PCR하여 인간 β-디펜신(human β-defensin, HBD)인 HBD-2 및 HBD-3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를 사용하였다.
이름 프라이머 서열(5'-> 3') 서열번호
HBD-2_forward CCTGTTACCTGCCTTAAGAG 서열번호 1
HBD-2_reverse GAATCCGCATCAGCCACAG 서열번호 2
HBD-3_forward CTTCTGTTTGCTTTGCTCTT 서열번호 3
HBD-3_reverse CACTTGCCGATCTGTTCCTC 서열번호 4
GAPDH_forward ATTGTCATACCAGGAAATGAGCTT 서열번호 5
GAPDH_reverse GTGTTCCTACCCCCAATGTGT 서열번호 6
시료명 β-디펜신 발현량
대조군 1.00
실시예 1 2.020
실시예 2 4.836
실시예 3 2.806
비교예 1 -
비교예 2 1.856
비교예 3 1.993
비교예 4 1.250
비교예 5 1.706
비교예 6 1.533
그 결과, 도 2 및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면역물질인 β-디펜신 발현량은 실시예 2의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예 3의 추출물은 그 다음으로 높았고, 실시예 1의 추출물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β-디펜신 발현량을 정량하였을 때 가자와 애엽의 각 추출물을 각각 적용한 조성물보다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적용한 조성물의 효능이 뛰어남 확인하였다.
(2)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피부 세포로부터 분비된 피부 면역 물질의 항균활성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처리한 피부 세포 배양물로부터 수집한 상등액에 포함된 면역 물질의 포도상구균 생장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1) 실험(β-디펜신 분비 촉진 여부 확인 시험)의 세포반응 종결 후 수집한 상등액의 항균력을 원판확산법으로 측정하였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ATCC 6835)를 107CFU/mL 농도로 배양한 TSA(Trypticase Soy agar)를 페트리 디쉬에 분주한 후 25℃로 식혀 굳힌 후, 멸균된 8mm 여과지 디스크를 디쉬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다음, 실시예 1~3의 추출물 처리 후 수집한 상등액(β-디펜신 함유 상등액) 400μL를 40μL씩 상기 디스크에 10회 주입하여 흡수시킨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상기 디스크 주위의 클리어존의 생성 여부 및 지름(단위: mm)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양성 대조군인 메틸파라벤은 디스크 당 5.0mg/40μL의 함량으로 주입하여 이용하였다. 항균활성 측정은 2회 반복하였다.
1회 2회
Methyl paraben
(5.0mg/40μl/disc)
12.5(도면 3 A)
실시예 1 18.1(도면 3 D) 17.4(도면 3 E)
실시예 2 21.0(도면 3 F) 19.8(도면 3 G)
실시예 3 15.0(도면 3 H) 16.75(도면 3 I)
그 결과, 도 3 및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β-디펜신 발현량이 가장 높았던 실시예 2의 추출물에서 항균효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예 1의 추출물은 그 다음으로 효능이 높았고, 실시예 3의 추출물은 가장 낮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예 1∼7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품화(의약품, 화장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구현하고자 하는 제품의 기능성, 비용 및 기타 조건을 고려하여 적정 함량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제제 및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다.
[ 제제예 1] 연고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0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연고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
(실시예 1, 2 또는 3)
10.0
카프린/카프릴트리글릭세리드 10.0
액상파라핀 10.0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6.0
옥틸도데세스-25 9.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10.0
스쿠알란 1.0
살리실산 1.0
글리세린 15.0
솔비톨 10.0
[ 제형예 2]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1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
(실시예 1, 2 또는 3)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Montana 202 (제조사:Seppic)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3] 마사지크림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2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
(실시예 1, 2 또는 3)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Montana 202 (제조사: Seppic)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4] 팩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3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 함유하는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
(실시예 1, 2 또는 3)
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핑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5] 헤어토닉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4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
(실시예 1, 2 또는 3)
5.0
피마자유 5.0
레조시놀 0.1
멘톨 0.05
판테놀 0.2
살리실산 0.1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염산피리독신 0.1
에탄올 적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6] 헤어샴푸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5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헤어샴푸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
(실시예 1, 2 또는 3)
5.0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LS) 20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ALES) 20
코카마이드미파 적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카보머 적량
에탄올 적량
코카마이드프로필베타인 6.0
디메치콘(50%) 2.0
디메치콘(70%) 2.0
DL-판테놀 적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멘톨 적량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액 (MC/IMI)
0.03
메칠파라벤 적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7]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6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헤어컨디셔너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
(실시예 1, 2 또는 3)
5.0
에탄올 3.5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프로필렌 글라이콜 2.5
염화스테아릴메틸벤질 암모늄(25%) 7.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MORECHEM Co.,Ltd <120> Composition Containing Terminalia Chebula Extract and Artemisia Extract for Controlling Skin Bacterial Flora Growth, or Enhancing Skin Immunity <130> YPD201611-0036 <160> 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BD-2_forward <400> 1 cctgttacct gccttaagag 20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BD-2_reverse <400> 2 gaatccgcat cagccacag 19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BD-3_forward <400> 3 cttctgtttg ctttgctctt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BD-3_reverse <400> 4 cacttgccga tctgttcctc 20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forward <400> 5 attgtcatac caggaaatga gctt 24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reverse <400> 6 gtgttcctac ccccaatgtg t 21

Claims (15)

  1.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세균총 중 피부 유익균의 생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중의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1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혼합물은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1,3-부틸렌글라이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유익균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종(Lactobacillus spp.), 락토코쿠스 속 균종(Lactococcus spp.), 스타필로코코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마이크로코코스 레테우스(Micrococcus luteus)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58707A 2016-11-25 2016-11-25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248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707A KR102488864B1 (ko) 2016-11-25 2016-11-25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707A KR102488864B1 (ko) 2016-11-25 2016-11-25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96A KR20180059296A (ko) 2018-06-04
KR102488864B1 true KR102488864B1 (ko) 2023-01-17

Family

ID=6262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707A KR102488864B1 (ko) 2016-11-25 2016-11-25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8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5050A (zh) * 2019-10-18 2022-05-27 东亚制药株式会社 用于减轻皮肤损伤的包含魁蒿叶提取物的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64A (ko)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웰스킨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20040051784A (ko) 2002-12-13 2004-06-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가자, 호두, 조협 추출물의 항산화제로서의 용도
EP1671629A4 (en) * 2003-09-19 2008-11-26 Otsuka Pharma Co Ltd BETA-DEFENSINE SECRETION PROMOTER
KR100727887B1 (ko) 2006-11-22 2007-06-14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애엽 추출물
KR101083873B1 (ko) 2009-07-24 2011-11-15 광동제약 주식회사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KR20110108825A (ko) * 2010-03-30 2011-10-06 주식회사 씨에이팜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가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산 식품소재의 장내미생물에 대한 영향분석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 한국식품개발연구원, 1992년06월23일 공개*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제40권, 제3호, 250-260쪽, 2012년03월14일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96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72865A (ko) 황백, 어성초, 선학초,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6623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부제
KR102207995B1 (ko) 여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90133561A (ko)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0926047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20240004199A (ko)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KR20160121636A (ko) 포공영, 어성초, 감초 및 유근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07130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작두콩 추출물의 정제방법
KR10180314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79678B1 (ko) 검정무 발효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89681B1 (ko) 소포로리피드, 윈터체리뿌리, 고수 및 프로폴리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여드름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40960B1 (ko) 무화과 효소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20148709A (ko) 대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0538142B1 (ko)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조성물
KR20220148702A (ko) 누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08A (ko) 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05A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8703A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170114740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