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716B1 -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 - Google Patents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716B1
KR102488716B1 KR1020177017236A KR20177017236A KR102488716B1 KR 102488716 B1 KR102488716 B1 KR 102488716B1 KR 1020177017236 A KR1020177017236 A KR 1020177017236A KR 20177017236 A KR20177017236 A KR 20177017236A KR 102488716 B1 KR102488716 B1 KR 102488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ayer
film
reflective
refl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455A (ko
Inventor
마사히로 구라가키
마사토 아사이
신이치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반사층 A 와, 수지를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고 입자를 함유하는 표면층 B 를 갖는 반사 필름으로서, 표면층 B 의 표면에 있어서, 입사각 85 도의 광택도가 3 이상, 16 미만이며, 또한 입사각 60 도의 광택도가 17 이상, 50 미만인, 렌즈 캡을 구비하는 광원을 갖는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이 필름은, 광원으로서 렌즈 캡 (특히 반사형 렌즈 캡) 을 구비한 광원을 갖는 직하형 면광원용으로서 사용할 때에, 바람직하게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WHITE REFLECTIVE FILM FOR DIRECT SURFACE LIGHT SOURCE AND DIRECT SURFACE LIGHT SOURCE USING SAME}
본 발명은 직하형 면광원의 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의 직하형 면광원의 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백색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LCD) 의 백라이트 유닛에는,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광원 및 반사 필름을 구비하는 직하형과,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면에 반사판을 구비한 도광판을 배치하고, 이러한 도광판의 측면에 광원을 구비하는 에지 라이트형이 있다. 종래 대형의 LCD 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는, 화면의 밝기 및 화면 내의 밝기의 균일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광원으로서 CCFL 을 사용한 직하형 CCFL 백라이트 유닛이 주로 이용되고, 에지 라이트형은, 노트형 PC 등 비교적 소형의 LCD 에 자주 이용되었으나, 최근 광원이나 도광판의 발전에 의해,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에서도 밝기 및 화면 내의 밝기의 균일성이 향상되어, 비교적 소형인 것뿐만 아니라 대형의 LCD 에 있어서도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이 사용되게 되었다. 이로써, LCD 를 얇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으로는,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LED) 를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LED 백라이트 유닛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또한 최근에는 소비 전력의 삭감이나 도광판의 생략에 의한 비용 다운 등의 이유에서, 광원으로서 LED 를 사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직하형 LED 백라이트 유닛) 이 사용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2). 이와 같은 직하형 LED 백라이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반사판과 거의 동일 평면 상에 LED 광원이 배치되는 양태가 된다.
직하형 LED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는, 소비 전력, 제조 비용을 억제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LED 간의 거리를 넓게 취하여, 사용하는 LED 의 개수를 줄이는 배치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LED 간의 거리를 넓게 하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LED 상에 대응하는 지점이 밝아지고, LED 간에 대응하는 지점이 어두워지는 등의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LED 의 개수를 줄이면, LED 의 광이 백라이트 유닛의 주변 부분까지 잘 도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화면의 주변부가 어두워지기 쉬워, 휘도 불균일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휘도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서, 렌즈 시트나 확산 시트를 복수장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4), LED 광원으로부터 확산 보드까지의 거리를 넓게 취하는 구조로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전자에서는 광의 손실이 커지는 경향이 있어 휘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고, 또 후자에서는 백라이트 유닛이 두꺼워지기 때문에, 표시 장치로서의 의장성이 열등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CCFL 광원을 사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 억제의 기술로는, 요철상의 표면을 구비하는 반사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5, 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43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1089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427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9426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668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18724호
한편, 직하형 LED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LED 광원은 반사 필름과 거의 동일 평면 상의 반사 필름 상에 있기 때문에, 종래의 직하형 CCFL 백라이트 유닛과는 광원과 반사 필름의 상대적 위치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직하형 LED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는 광원과 반사 필름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그 때문에, 직하형 LED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 억제에 대해서는, 종래 직하형 CCFL 백라이트 유닛에서 제안되어 온 휘도 불균일 억제의 기술로는 불충분한 경우가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내고, 그에 주목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휘도 불균일에 관련된 과제에 대해서는, 광원 (LED 광원) 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렌즈 캡의 개량에 의해서도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반사형 (광각 확산형이라고도 한다) 렌즈 캡은, 광원 (LED 광원) 으로부터 LCD 전면 방향을 향하여 조사된 광이, 부수적인 소량의 일부의 광은 그대로 LCD 전면 방향으로 취출됨과 동시에, 주된 광을, 렌즈 캡을 통과할 때에 배면측으로 반사시켜, 광원보다 배면측에 구비된 반사 필름으로 안내하고, 거기서 재차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켜 전면 방향으로 광을 취출함으로써, 광원이 있는 곳과 없는 곳의 휘도차를 저감시켜, 휘도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다.
또, 상방 확산형 렌즈 캡은, 광원으로부터 LCD 전면 방향을 향하여 조사된 광이, 일부는 그대로 LCD 전면 방향으로 취출됨과 동시에, 나머지 일부의 광을, 렌즈 캡에 닿았을 때에 반사시켜 렌즈 캡 내로 되돌려, 렌즈 캡 내의 저면에 구비된 프리즘 형상 등을 갖는 확산 반사판 등으로 광을 확산시키면서 재차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그로 인해 반사광의 확산 성분을 증가시켜, 휘도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반사형 렌즈 캡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렌즈 캡 통과시에 배면측에 반사된 광은, 반사 필름에는 얕은 각도 (큰 입사각) 로 입사되게 되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반사 필름으로의 입사광의 상황은 광원으로서 CCFL 을 사용한 경우와는 크게 상이한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CCFL 광원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 억제 기술로는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휘도 불균일 억제 효과가 열등한 경우가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내고, 이에 주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배경 기술을 감안하여, 광원으로서 렌즈 캡 (특히 반사형 렌즈 캡) 을 구비한 광원을 갖는 직하형 면광원용으로서 사용할 때에, 바람직하게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백색 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광원으로서 렌즈 캡 (특히 반사형 렌즈 캡) 을 구비한 광원을 사용한, 광원과 반사 필름의 거리가 가까운 직하형 면광원에 있어서는, 반사 필름에 대하여 얕은 각도로 광이 입사되게 되어, 종래의 반사 필름에서는 입사각이 얕은 경우의 반사광의 확산성이 작고, 이 때문에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아내고, 주목하였다. 즉, 최근의 직하형 LED 백라이트 유닛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렌즈 캡을 사용한 것도 포함한다) 은, 반사 필름에 대한 광의 입사각은, 약 60°의 성분이 주가 되지만, 종래의 반사 필름에서는 이와 같은 얕은 각도로 입사되는 광의 반사광의 확산성은 낮아 경면 반사적이 되기 때문에, 그러한 반사광이 선택적으로 일부분을 조사하게 되고, 구체적으로는 광원 (LED 광원) 주변부가 밝아지는 휘도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는 메커니즘을 생각하였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의 주변부는,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길어 광이 잘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휘도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는 메커니즘도 생각된다. 이 주변부의 휘도 불균일을 억제하려면, 반사 필름에 대하여 보다 얕은 각도 (큰 입사각) 로 입사되는 광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확산시키지 않고 먼 곳까지 반사시키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반사층의 표면에 입자를 함유하는 표면층을 구비하고, 이러한 표면층의 광택도의 양태를 특정 양태로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렌즈 캡을 사용한 경우의, 광원과 광원 사이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 (광원간 휘도 불균일) 및 백라이트 유닛 주변부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1. 반사층 A 와, 수지를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고 입자를 함유하는 표면층 B 를 갖는 반사 필름으로서, 표면층 B 의 표면에 있어서, 입사각 85 도의 광택도가 3 이상, 16 미만이며, 또한 입사각 60 도의 광택도가 17 이상, 50 미만인, 렌즈 캡을 구비하는 광원을 갖는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2. 상기 렌즈 캡이 반사형 렌즈 캡인, 상기 1 에 기재된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3. 반사층 A 가 보이드를 함유하고, 그 보이드 체적률이 15 체적% 이상, 70 체적% 이하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4. 직하형 면광원이, 광원이 LED 광원이고, 그 LED 광원을 반사 필름 상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또, 본 발명은, 이하도 포함한다.
5.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백색 반사 필름을 사용한, 렌즈 캡을 구비하는 광원을 갖는 직하형 면광원.
6. 상기 렌즈 캡이 반사형 렌즈 캡인, 상기 5 에 기재된 직하형 면광원.
7. 상기 광원이 LED 광원인, 상기 5 또는 6 에 기재된 직하형 면광원.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으로서 렌즈 캡 (특히 반사형 렌즈 캡) 을 구비한 광원을 갖는 직하형 면광원용으로서 사용할 때에, 반사 필름과 광원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라도, 바람직하게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백색 반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광원과 반사판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광원과 반사판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반사층 A 와 표면층 B 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사층 A]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사층 A 는, 적합한 반사 특성을 발휘하면 한정되지 않지만, 특별히는 열가소성 수지와 보이드 형성제로 이루어지고,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층 중에 보이드를 함유하고, 백색을 나타내도록 한 층이다. 이러한 보이드 형성제로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예를 들어 무기 입자, 그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는 비상용의 수지 (이하, 비상용 수지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반사층 A 의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6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7 % 이상이다. 이로써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율을 바람직한 범위로 하기 쉬워진다.
반사층 A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층 중에 보이드를 갖는 것인데, 이러한 보이드의 체적이 반사층 A 의 체적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 (보이드 체적률) 은 15 체적% 이상, 7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반사율을 얻기 쉬워진다. 또, 제막 연신성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보이드 체적률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바람직한 반사율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체적%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체적% 이상이다. 한편,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제막 연신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체적% 이하이다.
보이드 체적률은,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형성제의 종류나 크기, 양을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등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디올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6-헥산디올 등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지만, 필름을 1 축 혹은 2 축으로 연신할 때에 결정화가 억제되어 제막 연신성의 향상 효과가 높아지는 점에서, 공중합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으로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지만, 내열성이 높고, 제막 연신성의 향상 효과가 높다는 관점에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하는 성분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1 ∼ 20 몰%, 바람직하게는 2 ∼ 18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5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7 ∼ 11 몰% 이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막 연신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또, 열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보이드 형성제)
반사층 A 에 있어서, 보이드 형성제로서 무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무기 입자로는, 백색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다. 이 백색 무기 입자로는,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이산화규소, 탄산칼슘의 입자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무기 입자는, 백색 반사 필름이 적절한 반사율을 갖도록 평균 입자경이나 함유량을 선택하면 되고, 이들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나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율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또,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들의 점을 감안하여,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어 0.2 ∼ 3.0 ㎛, 바람직하게는 0.3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2.0 ㎛ 이다. 또 그 함유량은, 반사층 A 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 60 질량% 가 바람직하고, 25 ∼ 5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1 ∼ 53 질량% 이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입자의 양태를 채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중에서 적당히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입자의 응집이 잘 일어나지 않고, 조대 돌기가 없는 필름을 얻을 수 있고, 또 동시에 조대 입자가 기점이 되는 연신시의 파단도 억제된다. 무기 입자는, 어떠한 입자 형상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판상, 구상이어도 된다. 무기 입자는,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보이드 형성제로서 비상용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비상용 수지로는, 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비상용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시클로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메틸펜텐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입자의 양태여도 된다. 또, 그 함유량은, 무기 입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백색 반사 필름이 적절한 반사율을 갖도록, 평균 입자경이나 함유량을 선택하면 되고, 이들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나 백색 반사 필름의 반사율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또,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들의 점을 감안하여, 함유량은, 반사층 A 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 50 질량% 가 바람직하고, 12 ∼ 4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3 ∼ 35 질량% 이다.
(그 밖의 성분)
반사층 A 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밖의 성분,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유기 또는 무기의 형광체, 형광증 증백제, 왁스, 보이드 형성제와는 상이한 입자나 수지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표면층 B]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 B 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 B 는, 수지를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여 입자를 함유하는 층이다. 그리고, 그 표면층 B 의 표면 (반사층 A 와는 반대측 표면) 에는, 그 입자에 의해 돌기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기에 의해 특정 각도에 있어서의 광택도 (이는 특정 각도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확산성을 나타낸다) 가 특정 범위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주된 구성 성분」이란, 표면층 B 에 있어서 수지 이외의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을 함유하고 그 나머지의 양인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표면층 B 의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이다.
(광택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층 B 의 표면에 있어서, 광택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반사광 해석을 실시하여, 입사각 60°일 때의 광택도가 17 이상, 50 미만이다. 이와 같은 양태로 함으로써, 입사된 광의 반사광에 적절한 확산성을 부여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광원 근방부의 휘도 불균일 (광원 근방이 명부가 되고, 광원과 광원 사이가 암부가 되는 휘도 불균일) 을 억제할 수 있다. 입사각 60°일 때의 광택도가 큰 경우에는, 얕은 각도로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그 반사광의 확산성이 부족하여, 광원 (LED 광원) 으로부터의 광이 정반사에 가까운 상태로 반사되어 버리고, 그로 인해 광원 근방부가 밝아져 휘도 불균일이 생겨 버린다. 상기 관점에서, 입사각 60°일 때의 광택도는,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22 이하이다. 또, 이러한 광원 근방부의 휘도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입사각 60°일 때의 광택도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작으면, 백라이트 유닛 주변부까지 광이 잘 도달하지 않게 되어 어두워지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 주변부의 휘도 불균일 (그 주변부가 암부가 되는 휘도 불균일) 이 커진다. 그 때문에, 입사각 60°일 때의 광택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8 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 주변부의 휘도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 입사각 85°일 때의 광택도를 3 이상, 16 미만으로 한다. 이와 같은 양태로 함으로써, 보다 얕은 각도로 입사된 광의 반사광의 확산성을 적당히 억제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한 백라이트 유닛 주변부의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입사각 85°일 때의 광택도가 작은 경우에는, 보다 얕은 각도로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그 반사광의 확산성이 지나치게 커 광원 (LED 광원) 으로부터의 광이 거의 확산되어, 백라이트 유닛의 주변부까지 잘 도달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백라이트 유닛 주변부가 암부가 되는 휘도 불균일이 생겨 버린다. 상기 관점에서, 입사각 85°일 때의 광택도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 이상이다. 또,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 주변부의 휘도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입사각 85°의 광택도는 큰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지나치게 크면 다량의 광이 주변까지 도달하여, 반대로 지나치게 밝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광원 근방부에서의 휘도 불균일 (광원 근방이 명부가 되는 휘도 불균일) 이 커지는 경향이 되기 때문에, 입사각 85°의 광택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5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이다.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표면 광택도의 양태를 상기 양태로 하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입자의 양태나 제법을 채용하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표면층 B 의 형성은, 공압출법이나 라미네이트법으로 적층하거나, 코팅에 의해 적층하거나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에 적합한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양태를 만족시키는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 B 를 구성하는 수지로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표면층 B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 표면층 B 를 도포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는,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와 동일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백색 반사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지만, 필름을 1 축 혹은 2 축으로 연신할 때에 결정화가 억제되어 제막 연신성의 향상 효과가 높아지는 점에서 공중합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으로는, 반사층 A 의 항에서 상기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지만, 내열성이 높고, 제막 연신성의 향상 효과가 높다는 관점에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하는 성분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1 ∼ 20 몰%, 바람직하게는 2 ∼ 18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7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 16 몰% 이다. 공중합 성분의 비율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막 연신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또, 열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 B 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함께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는, 가교제의 반응성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가교제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가교 구조를 형성해도 되고, 가교제의 반응성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수지의 매트릭스와 가교제가 가교된 가교 구조의 매트릭스를 갖는 양태여도 된다. 가교 구조를 가지면, 표면층 B 의 강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가교 구조를 지나치게 많이 가지면, 필름의 회수성에 열등한 경향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 있어서는 가교 구조를 지나치게 많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 B 는, 필름의 제조 중 혹은 제조 후에 도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공압출법 등을 채용하여, 반사층 A 와 동시에 형성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표면층 B 가 가교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도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유량으로는,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도액을 구성하는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다.
필름의 제조 후에 도액의 도포에 의해 표면층 B 를 형성하는 경우의 양태의 일례로서, 입자, 수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임의 성분으로서의 가교제나 그 밖의 성분을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 얻어진, 표면층 B 를 형성하기 위한 도액을, 코팅 장치를 사용하여 필름에 소정량 도공하고, 온도 70 ∼ 120 ℃, 바람직하게는 단계적으로 승온 설정한 오븐에 의해 건조시켜 표면층 B 를 형성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코팅 장치로는, 예를 들어 다이 코팅 장치나 그라비아 롤 코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용매로는, 메틸에틸케톤 (MEK),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액의 고형분 농도로는, 20 ∼ 50 질량% 가 바람직하고, 이로써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기 쉬워져, 입자 탈락의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입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층 B 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광택도의 양태 (반사광의 확산성) 를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양태를 만족시키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나 함유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와 같은 양태를 바람직한 양태로서 들 수 있다.
표면층 B 에 사용하는 입자로는, 평균 입자경이 0.5 ㎛ 이상, 20.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양태로 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표면 광택도의 양태를 만족시키기 쉬워진다. 평균 입자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높이가 높은 돌기를 형성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보다 얕은 각도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광의 확산성이 작아지는 (입사각 85°의 광택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어, 여기에서 기인하는 상기 서술한 휘도 불균일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다. 한편, 사용하는 입자가 지나치게 크면 보다 상방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대한 확산성이 작아지는 (입사각 60°의 광택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어, 여기에서 기인하는 상기 서술한 휘도 불균일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표면층 B 로부터 입자가 탈락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탈락해 버리면 전체적으로 반사광의 확산성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3 ㎛ 이하이다.
또, 표면층 B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광택도의 양태를 보다 만족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입자의 함유량은, 표면층 B 의 체적을 기준으로 하여 3 ∼ 50 체적%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표면 확산성이 전체적으로 작아져 버리는 (입사각 60°의 광택도도 입사각 85°의 광택도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여기에서 기인하는 상기 서술한 휘도 불균일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체적%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체적%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체적%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체적%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층 B 에 사용되는 입자는, 그 종류를 불문하고 유기 입자여도 되고, 무기 입자여도 되고, 유기 무기 복합 입자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바람직한 유기 입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불소 함유 수지 입자, 고내열 나일론 입자, 고내열 아크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 바람직한 무기 입자로는, 산화티탄 입자, 황산바륨, 탄산칼슘, 산화아연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산화알루미늄 입자, 실리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응집 입자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응집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고, 특히 응집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입자의 채용에 의해, 본 발명이 규정하는 표면 광택도의 양태를 보다 달성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입자로서 응집 입자를 채용함으로써, 응집 입자 중에 있어서도 광의 확산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입사각이 얕은 광의 반사광의 확산성을 적절히 향상시키기 쉬워져, 즉 입사각 60°의 광택도 및 입사각 85°의 광택도를 보다 적절히 낮추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응집 입자의 채용에 의해, 제막 연신시의 파단 불량을 보다 억제하거나, 자기 회수 원료를 이용하여 필름을 생산할 때의 파단 불량이나 광학 특성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거나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상기 무기 입자 및 고내열 나일론 입자, 고내열 아크릴 입자는, 가열 가공해도 용융이나 가스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표면층 B 의 형성시에 입도 분포나 형상에 변화가 잘 생기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
표면층 B 는, 상기 구성 성분 이외의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유기 또는 무기의 형광체, 형광 증백제, 왁스, 상기 입자와는 상이한 입자나 상기 수지와는 상이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표면층 B 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반사층 A 에 있어서 예시한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러한 양태로 함으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 반면,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 형성제의 함유량을 적게 하거나, 보이드 형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 제막 연신성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 체적률 (표면층 B 의 체적에 대한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보이드의 체적 비율) 은, 0 체적% 이상, 15 체적%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체적% 이하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 특성과 제막 연신성의 향상 효과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서술한 반사층 A 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과, 이러한 표면층 B 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보이드 체적률을 동시에 채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층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사층 A 의 두께는, 8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반사율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지나치게 얇으면 반사율의 향상 효과가 낮고, 한편 지나치게 두꺼운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250 ㎛ 이다.
또, 표면층 B 의 두께 (복수 갖는 경우에는, 광원측이고 반사면이 되는 최외층을 형성하는 1 층의 두께) 는, 5 ∼ 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양태의 입자와 아울러, 표면층 B 의 표면 광택도의 양태를 보다 바람직하게 하기 쉬워지고, 그로 인해 휘도 불균일 억제의 향상 효과가 더욱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실제의 사용시에 열변형이나 수축 등에 의한 문제가 잘 생기지 않게 된다. 표면층 B 가 지나치게 얇으면, 표면층 B 의 표면에 형성한 돌기 중의 입자의 탈락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탈락해 버리면 반사광의 확산성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제막 연신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지나치게 두꺼우면 돌기가 잘 형성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고, 얕은 각도의 반사광의 확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상기 서술한 입사각 60°의 광택도 및 입사각 85°의 광택도를 달성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 반사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층 B 의 형성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공압출법 및 라미네이트법과 도포법 (후술하는 각종 코팅법) 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보다 바람직한 돌기의 양태를 얻을 수 있고, 본 발명의 광택도의 양태를 달성하기 쉬운 관점에 추가하여, 각각의 방법의 공정 적정을 고려하면, 공압출법에 있어서는, 표면층 B 의 보다 바람직한 두께 범위는 상기 서술과 동일하다. 또, 도포법에 있어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다.
백색 반사 필름의 적층 구성은, 반사층 A 를 A, 표면층 B 를 B 로 나타냈을 때에, B/A 의 2 층 구성, B/A/B 의 3 층 구성, B/A/B'/A 의 4 층 구성 (여기서 B'는 표면층 B 와 동일한 구성의 내층 B'를 나타낸다), 또 B 를 적어도 어느 편방의 최외층에 배치한 5 층 이상의 다층 구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B/A 의 2 층 구성, B/A/B 의 3 층 구성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B/A/B 의 3 층 구성으로, 제막 연신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 컬 등의 문제가 잘 생기지 않는다.
반사층 A 및 표면층 B 는, 특히 표면층 B 를 공압출법이나 라미네이트법으로 형성할 때에는, 백색 반사 필름 전체의 두께를 100 % 로 했을 때에, 반사층 A 의 두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50 ∼ 95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90 % 이고, 또 표면층 B 의 두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5 ∼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 % 이다. 이로써, 공정 적정을 양호하게 하면서 반사 특성이나 제막 연신성 등의 각 특성의 밸런스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도포법으로 형성할 때에는, 반사층 A 의 두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90 ∼ 99 %, 보다 바람직하게는 92 ∼ 98 %, 더욱 바람직하게는 93 ∼ 97 % 이며, 또 표면층 B 의 두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1 ∼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8 %,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7 % 이다. 이로써, 공정 적정을 양호하게 하면서 반사 특성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각 층의 두께 비율은, 각 층을 복수 갖는 경우에는, 그들의 적산 두께끼리의 비율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층 A 와 표면층 B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대전 방지성이나 도전성, 자외선 내구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 필름의 제막 연신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이드 체적률이 비교적 낮은 (바람직하게는 0 체적% 이상, 15 체적%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체적%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체적% 이하인) 지지층 C 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필름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용융 압출법 등에 의해 얻어진 반사층 A 에, 용융 수지 코팅법 (용융 압출 수지 코팅법을 포함한다), 도액 코팅법 (인 라인 코팅법 및 오프 라인 코팅법을 포함한다), 공압출법 및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 표면층 B 를 형성하고, 적층 구성을 형성하는 것이, 제막 연신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반사층 A 와 표면층 B 를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하여 제조된 것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반사층 A 와 표면층 B 는, 공압출법에 의해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압출법으로 적층함으로써, 반사층 A 와 표면층 B 의 계면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데다, 필름을 첩합 (貼合) 하거나, 필름의 제막 후에 다시 표면층 B 를 형성하거나 하기 위한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염가로, 용이하게 양산할 수 있다.
이하에,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및 표면층 B 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채용하고, 적층 방법으로서 공압출법을 채용했을 경우의 제법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제법에 한정되지는 않고, 또 하기를 참고로 하여 다른 양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 때, 압출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하의 「용융 압출 온도」는, 예를 들어 「용융 온도」라고 바꿔 읽으면 된다. 또한, 여기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을 Tm (단위 : ℃), 유리 전이 온도를 Tg (단위 : ℃) 로 한다.
우선, 반사층 A 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서, 폴리에스테르와 보이드 형성제와 다른 임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준비한다. 또, 표면층 B 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서, 폴리에스테르와 입자와 다른 임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준비한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건조시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건조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각각 다른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압출한다. 용융 압출 온도는, Tm 이상이 필요하고, Tm + 40 ℃ 정도로 하면 된다.
또 이 때,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특히 반사층 A 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선 직경 15 ㎛ 이하의 스테인리스강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평균 눈금간격 10 ∼ 100 ㎛ 의 부직포형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통상은 응집하여 조대 응집 입자가 되기 쉬운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여, 조대 이물질이 적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평균 눈금간격은, 바람직하게는 20 ∼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0 ㎛ 이다. 여과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용융한 상태로 피드 블록을 사용한 동시 다층 압출법 (공압출법) 에 의해 다이로부터 다층 상태로 압출하여, 미연신 적층 시트를 제조한다. 다이로부터 압출된 미연신 적층 시트를, 캐스팅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적층 필름으로 한다.
이어서, 이 미연신 적층 필름을 롤 가열, 적외선 가열 등으로 가열하여, 제막 기계축 방향 (이하, 세로 방향 또는 길이 방향 또는 MD 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으로 연신하여 세로 연신 필름을 얻는다. 이 연신은 2 개 이상의 롤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 연신 후의 필름은, 계속해서 텐터로 유도되어, 세로 방향과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 (이하, 가로 방향 또는 폭 방향 또는 TD 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으로 연신하여, 2 축 연신 필름으로 한다.
연신 온도로는,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의 Tg 이상, Tg + 30 ℃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막 연신성이 보다 우수하고, 또 보이드가 바람직하게 형성되기 쉽다. 또, 연신 배율로는, 세로 방향, 가로 방향 모두, 바람직하게는 2.5 ∼ 4.3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7 ∼ 4.2 배이다. 연신 배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또 보이드가 잘 형성되지 않는 경향이 있고, 한편 지나치게 높으면 제막 중에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세로 연신을 실시하고 그 후 가로 연신을 실시하는 축차 2 축 연신시에는, 2 단째 (이 경우에는, 가로 연신) 는 1 단째의 연신 온도보다 10 ∼ 50 ℃ 정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 단째의 연신으로 배향하는 것에 의해 1 축 필름으로서의 Tg 가 상승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
또, 각 연신 전에는 필름을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로 연신의 예열 처리는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의 Tg + 5 ℃ 보다 높은 온도로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승온시키면 된다. 가로 연신 과정에서의 승온은 연속적이어도 되고 단계적 (축차적) 이어도 되지만 통상 축차적으로 승온시킨다. 예를 들어, 텐터의 가로 연신 존을 필름 주행 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누어, 존마다 소정 온도의 가열 매체를 흐르게 함으로써 승온시킨다.
2 축 연신 후의 필름은, 계속해서 열고정, 열이완의 처리를 순차 실시하여 2 축 배향 필름으로 하지만, 용융 압출로부터 연신에 이어서, 이들의 처리도 필름을 주행시키면서 실시할 수 있다.
2 축 연신 후의 필름은, 클립으로 양단을 파지시킨 채로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반사층 A 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의 융점을 Tm 으로 하여 (Tm - 20 ℃) ∼ (Tm - 100 ℃) 에서, 정폭 또는 10 % 이하의 폭 감소하에서 열처리하여, 열고정시키고, 열 수축률을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처리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필름의 평면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어, 두께 불균일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지나치게 낮으면 열수축률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조건을 채용하는 것이, 본 발명이 규정하는 입사각 60°의 광택도 및 입사각 85°의 광택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 (Tm - 100 ℃) ∼ (Tm - 50 ℃) 에서 제 1 열처리를 실시하고, (Tm - 50 ℃) ∼ (Tm - 20 ℃) 에서 열고정을 실시하고, (Tm - 100 ℃) ∼ (Tm - 50 ℃) 에서 제 2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들을 연속적으로 실시함과 함께, 열고정 온도가 제 1 열처리 온도 및 제 2 열처리 온도보다 30 ℃ 이상 높은 조건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Tm 은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표면층 B 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의 융점이다.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입자의 양태와 아울러, 이와 같이 제 1 열처리로부터 열고정에 걸쳐 급속히 온도를 상승시키고, 또한 열고정으로부터 제 2 열처리에 걸쳐 급속히 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바람직한 표면 형태가 얻기 쉬워져, 상기 서술한 광택도를 달성하기 쉬워진다. 열고정 온도와 제 1 열처리 온도의 온도차는,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높은 조건으로, 그 때 제 1 열처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m - 100 ℃) ∼ (Tm -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Tm - 100 ℃) ∼ (Tm - 70 ℃) 의 범위이다. 또, 열고정 온도와 제 2 열처리 온도의 온도차는,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높은 조건으로, 그 때 제 2 열처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m - 100 ℃) ∼ (Tm -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Tm - 100 ℃) ∼ (Tm - 70 ℃) 의 범위이다. 제 1 열처리 시간, 열고정 시간, 제 2 열처리 시간은, 각각 독립적으로 1 ∼ 60 초간이 바람직하고, 2 ∼ 45 초간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30 초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서술한 광택도를 보다 달성하기 쉬워진다.
또, 열수축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파지하고 있는 필름의 양단을 잘라내어, 필름 세로 방향의 인취 속도를 조정하여, 세로 방향으로 이완시킬 수 있다. 이완시키는 수단으로는 텐터 출측의 롤군의 속도를 조정한다. 이완시키는 비율로서, 텐터의 필름 라인 속도에 대하여 롤군의 속도 다운을 실시하고, 바람직하게는 0.1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2.3 %,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2.0 % 의 속도 다운을 실시하여 필름을 이완 (이 값을 「이완율」이라고 한다) 시켜, 이완율을 컨트롤함으로써 세로 방향의 열수축률을 조정한다. 또, 필름 가로 방향은 양단을 잘라낼 때까지의 과정에서 폭 감소시켜, 원하는 열수축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 축 연신시에는, 상기와 같은 세로-가로의 축차 2 축 연신법 이외에도, 가로-세로의 축차 2 축 연신법이어도 된다. 또, 동시 2 축 연신법을 사용하여 제막할 수 있다. 동시 2 축 연신법의 경우, 연신 배율은, 세로 방향, 가로 방향 모두 예를 들어 2.7 ∼ 4.3 배, 바람직하게는 2.8 ∼ 4.2 배이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백색 반사 필름의 특성]
(반사율, 정면 휘도)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의, 표면층 B 측으로부터 측정한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96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7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7.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8.0 % 이상이다. 반사율이 96 % 이상임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등에 사용한 경우에는,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반사율은, 반사층 A 의 보이드 체적률을 높이는 등 바람직한 양태로 하거나, 반사층 A 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표면층 B 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하는 등 각 층의 양태를 바람직한 양태로 하거나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 표면층 B 측으로부터 측정한 정면 휘도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데, 5100 cd/㎡ 이상이 바람직하고, 5200 cd/㎡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300 cd/㎡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5400 cd/㎡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5500 cd/㎡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직하형 면광원]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직하형 면광원용 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직하형 면광원이란, 발광면을 위로 했을 때에, 그 발광면에 대하여 하방에 광원을 갖고, 다시 하방에 반사판을 갖는 면광원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발광면을 위로 했을 때에, 그 발광면의 하방에 도광판을 구비하고, 그 도광판의 하방에 반사판을 구비하고, 그 도광판의 측면에 광원을 갖는 면광원을 에지 라이트형 (또는 사이드 라이트형) 면광원으로 하여 구별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직하형 면광원은, 특히 광원과 반사판의 거리 (도 1, 2 에 있어서의 부호 6) 가 가까운 배치인 것이다. 이러한 거리란, 보다 엄밀하게는 광원의 발광면 (광원이 LED 광원인 경우는 LED 소자 (도 1, 2 에 있어서의 부호 2) 의 발광면) 의, 반사판 표면과 동일한 평면 (도 1, 2 에 있어서의 부호 5) 으로부터의 높이이다 (도 1, 도 2 참조). 이와 같은 직하형 면광원의 반사판 (도 1, 2 에 있어서의 부호 4) 으로서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된다. 이 광원과 반사판의 거리로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다. 광원으로서 CCFL 를 채용한 종래의 직하형 CCFL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반사판의 거리가 비교적 먼 배치로, 10 ㎜ 를 초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을 채용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반사판 상에 LED 광원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직하형 면광원용 반사판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면광원으로서 직하형 LED 백라이트 유닛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면광원은, 통상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광원과 반사판의 거리의 양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가 특히 발휘되기 쉬운 용도이다. 또한, 상기 「반사판 상에 LED 광원을 배치하여 이루어진다」는 기재는, 반사판과 LED 광원이 접하고 있는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사판 상에 모듈 (기판인 것. 도 1, 2 에 있어서의 부호 3) 을 배치하여 LED 광원을 배치해도 되고 (도 1), 모듈은 반사판의 배면에 배치하고, 반사판의 LED 광원 부분에 구멍을 뚫거나 하여, LED 광원은 반사판 표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양태로 해도 된다 (도 2).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렌즈 캡 (도 1, 2 에 있어서의 부호 1) 을 구비한 광원, 나아가서는 반사형 렌즈 캡을 구비한 광원, 특히 반사형 렌즈 캡을 구비한 LED 광원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휘도 불균일 억제의 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에, 그러한 광원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용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각 특성치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광선 반사율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 제조 UV-3101PC) 에 적분구를 장착하여, BaSO4 백판을 100 % 로 했을 때의 반사율을 파장 550 nm 로 측정하고, 이 값을 반사율로 하였다. 또한, 측정은, 표면층 B 측의 표면에 있어서 실시하였다. 표리에 상이한 표면층 B 를 갖는 경우에는, 반사면으로서 사용하는 측 (광원측) 이 되는 표면층 B 의 표면에 있어서 측정하였다.
(2) 입자의 평균 입자경
샘플 필름으로부터 표면층 B 를 박리하거나 하여 단리시키고,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성분을 용제를 사용하여 용해시켜, 거기에서 얻어진 입자를 레이저 산란형 입도 분포 측정기 (시마즈 제작소 제조 SALD-7000) 로, 입자의 입도 분포 (입경의 표준 편차) 를 구하여, d50 에서의 입자경 (체적 분포 기준으로 작은 측으로부터 50 % 의 분포가 되는 입자경) 을 평균 입자경으로 하였다.
(3) 입자의 함유량
샘플 필름으로부터 일정 체적의 표면층 B 를 박리하거나 하여 단리시키고,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성분을 용제를 사용하여 용해시켜, 거기에서 얻어진 입자의 질량 및 부피 밀도를 계량하여, 함유량 (질량%, 체적%) 을 구하였다. 또한, 표면층 B 의 체적은, 공압출의 경우에는 표면층 B 의 밀도 (점도 구배관법에 의한다) 와 질량으로부터 구하였다. 도포의 경우에는 단면 관찰에 의한 두께와 잘라냄 면적으로부터 구하였다.
(4) 필름 두께 및 층 구성
백색 반사 필름을 미크로톰으로 슬라이스하여 단면 형성을 실시하고, 이러한 단면에 대하여 히타치 제작소 제조 S-4700 형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율 500 배로 관측하여, 필름 전체, 반사층 A, 표면층 B 의 두께를 각각 구하였다. 또한, 필름 전체 및 표면층 B 의 두께는, 입자가 표면층 B 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두께로 하였다. 각 층의 두께 (㎛) 를 구한 다음 각 층의 두께비를 산출하였다.
(5) 보이드 체적률의 산출
보이드 체적률을 구하는 층의 폴리머, 첨가 입자, 그 외 각 성분의 밀도와 배합 비율로부터 계산 밀도를 구하였다. 동시에, 당해 층을 박리하거나 하여 단리시키고, 질량 및 체적을 계측하여, 이들로부터 실밀도를 산출하여, 계산 밀도와 실밀도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구하였다.
보이드 체적률 = 100 × (1 - (실밀도/계산 밀도))
또한,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축 연신 후) 의 밀도를 1.39 g/㎤, 황산바륨의 밀도를 4.5 g/㎤ 로 하였다.
또, 보이드 체적률을 측정하는 층만을 단리시키고, 단위 체적당 질량을 구하여 실밀도를 구하였다. 체적은, 샘플을 면적 3 c㎡ 로 잘라내고, 그 사이즈에서의 두께를 일렉트릭 마이크로미터 (안리츠 제조 K-402B) 로 10 점 측정한 평균치를 두께로 하여, 면적 × 두께로서 산출하였다. 질량은, 전자 천칭으로 칭량하였다.
또한, 입자 (응집 입자 포함한다) 의 비중으로는, 이하의 메스 실린더법으로 구한 부피 비중의 값을 이용하였다. 용적 1000 ㎖ 의 메스 실린더에 절건 (絶乾) 상태의 입자를 충전하여, 전체의 중량을 측정하고, 그 전체의 중량으로부터 메스 실린더의 중량을 차감하여 그 입자의 중량을 구하고, 그 메스 실린더의 용적을 측정하여, 그 입자의 중량 (g) 을 그 용적 (㎤) 으로 나눔으로써 구해진다.
(6) 융점, 유리 전이 온도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 (TA Instruments 2100 DSC) 를 이용하여, 승온 속도 20 ℃/분으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7) 정면 휘도
LG 사 제조의 직하형 LED 액정 텔레비전 (LG50LN5400) 으로부터 반사 필름을 취출하고, 그 대신에 실시예에서 얻어진 각종 반사 필름을, 표면층 B 측이 화면측이 되도록 설치하고, 원래 구비되어 있던 확산 필름 및 프리즘 시트를 배치하여, 백라이트 유닛 상태에서 휘도계 (오츠카 전자 제조 Model MC-940) 를 사용하여, 백라이트의 중심을 바로 정면으로부터 측정 거리 500 ㎜ 로 휘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LED 액정 텔레비젼은, 직하형 면광원을 구비하고, 광원으로서 반사형 렌즈 캡을 구비한 LED 광원을 구비하는 것으로, 그 LED 광원과 반사판의 거리는 8 ㎜ 이다.
(8) 휘도 불균일 평가 (광원간 휘도 불균일)
상기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에서 얻어진 각종 반사 필름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조하여, 휘도 불균일을 측정하였다.
휘도 불균일의 수치화는, 백라이트 유닛의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LED 광원의 집합인 LED 광원의 행으로서, 백라이트 유닛의 중앙부를 지나는 LED 광원의 행에 있어서, 이러한 행 내의 각 LED 광원의 바로 윗쪽을 지나는 이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LED 광원 바로 윗쪽의 가장 밝은 부분과, LED 광원간의 가장 어두워지는 부분의 휘도차 (광원간 휘도차, 단위 : cd) 를 산출하여 평가하였다. 이 휘도차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50 cd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40 cd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30 cd 이하이다.
(9) 휘도 불균일 평가 (백라이트 유닛 주변부 휘도 불균일)
상기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에서 얻어진 각종 반사 필름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조하여, 휘도 불균일을 측정하였다.
휘도 불균일의 수치화는, 백라이트 유닛의 사방부에 대하여, 화면 발광부의 최외부로부터 20 ㎜ 내측까지의 영역의 휘도 평균치와, 화면 전체의 휘도 평균치의 차이를 산출하여 평가하였다. 이 휘도차에 대하여, 1150 cd 이하이면 문제 없고, 바람직하게는 1130 cd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cd 이하이며, 한편 1150 cd 를 초과하면 불균일이 생겨 사용할 수 없다.
(10) 광택도 (입사각 60°, 입사각 85°)
니혼 덴쇼쿠 공업 (주) 제조의 광택도계 PG-II 를 사용하여, 각 입사 각도에 있어서의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11) 제막 연신성
실시예에 기재된 필름을, 텐터를 사용한 연속 제막법으로 제막했을 때의 제막 안정성을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8 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제막할 수 있다.
○ : 3 시간 이상 8 시간 미만 안정적으로 제막할 수 있다.
△ : 3 시간 미만에서 한번 절단이 생겼다.
× : 3 시간 미만에서 복수회 절단이 발생하여, 안정적인 제막을 할 수 없다.
<제조예 1 :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의 합성>
테레프탈산디메틸 136.5 질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13.5 질량부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산성분 100 몰% 에 대하여 9 몰% 가 된다), 에틸렌글리콜 98 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 1.0 질량부, 아세트산망간 0.05 질량부, 아세트산리튬 0.012 질량부를 정류탑, 유출 (留出)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주입하여, 교반하면서 150 ∼ 240 ℃ 로 가열하고 메탄올을 유출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메탄올이 유출된 후, 인산트리메틸 0.03 질량부, 이산화게르마늄 0.04 질량부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반응기 내를 서서히 0.3 ㎜Hg 까지 감압함과 함께 292 ℃ 까지 승온시키고,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여,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을 얻었다. 이 폴리머의 융점은 235 ℃ 였다.
<제조예 2 :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의 합성>
테레프탈산디메틸 129.0 질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21.0 질량부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산성분 100 몰% 에 대하여 14 몰% 가 된다)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를 얻었다. 이 폴리머의 융점은 215 ℃ 였다.
<제조예 3 : 입자 마스터 칩 1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의 일부, 및 보이드 형성제로서 평균 입자경 1.0 ㎛ 의 황산바륨 입자 (표 중, BaSO4 로 표기한다) 를 사용하여, 코베 제강사 제조 NEX-T60 텐덤식 압출기로, 얻어지는 마스터 칩의 질량에 대하여 황산바륨 입자의 함유량이 60 질량% 가 되도록 혼합하고, 수지 온도 260 ℃ 에서 압출하여, 황산바륨 입자 함유의 입자 마스터 칩 1 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 입자 마스터 칩 2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에, 입자 A 로서,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응집 실리카)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자경 6.5 ㎛ 로 한 입자를, 얻어지는 입자 마스터 칩에 있어서의 농도가 8 질량% 가 되도록 2 축 압출기로 혼합하고, 용융 온도 250 ℃ 에서 압출하여, 입자 마스터 칩 2 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백색 반사 필름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과 입자 마스터 칩 1 을 반사층 (A 층) 의 원료로 하고,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와 입자 마스터 칩 2 를 표면층 (B 층) 의 원료로 하여 각각 사용하여, 각각의 층이 표 1 에 기재한 구성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에 투입하여, A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55 ℃ 에서, B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30 ℃에서 용융시켜,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 층/A 층/B 층의 층 구성이 되도록 3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스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하였다. 이 때 B 층/A 층/B 층의 두께비가 2 축 연신 후에 10/80/10 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필름으로 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73 ℃ 의 예열 존, 계속해서 7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켜, 92 ℃ 로 유지된 세로 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세로 방향으로 3.0 배로 연신하고, 25 ℃ 의 롤군으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11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켜 130 ℃ 로 유지된 가로 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가로 방향으로 3.7 배로 연신하였다. 그 후 텐터 내에서 155 ℃ 에서 10 초간의 열처리, 200 ℃ 에서 10 초간의 열고정, 155 ℃ 에서 10 초간의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실시하고, 이어서 폭넣기 비율 1.8 %, 폭넣기 온도 130 ℃ 에서 가로 방향의 폭넣기를 실시하고, 이어서 필름 양단을 잘라내어, 세로 이완율 2.0 % 로 열이완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켜,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175 ㎛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 4, 비교예 1 ∼ 4]
필름의 구성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각각 사용한 입자의 종류는 하기와 같다.
입자 B :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응집 실리카)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자경 3.5 ㎛ 로 하였다.
입자 C :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조 AY-601 (응집 실리카) 을 풍력 분급하여 평균 입자경 10.5 ㎛ 로 하였다.
입자 D : 산쿄 정분 주식회사 제조 탄산칼슘 (평균 입자경 1.0 ㎛)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상기에서 얻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 과 입자 마스터 칩 1 을 반사층 (A 층) 의 원료로 하고,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와 입자 마스터 칩 2 를 지지층 (C 층) 의 원료로 하여 각각 사용하여, 각각의 층이 표 1 에 기재한 구성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에 투입하여, A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55 ℃ 에서, C 층은 용융 압출 온도 230 ℃ 에서,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 층/A 층/C 층의 층 구성이 되도록 3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스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하였다. 이 때 C 층/A 층/C 층의 두께비가 2 축 연신 후에 10/80/10 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킨 미연신 필름으로 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을 73 ℃ 의 예열 존, 계속해서 7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켜, 92 ℃ 로 유지된 세로 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세로 방향으로 3.0 배로 연신하고, 25 ℃ 의 롤군으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115 ℃ 의 예열 존을 통과시켜 130 ℃ 로 유지된 가로 연신 존으로 유도하여, 가로 방향으로 3.6 배로 연신하였다. 그 후 텐터 내에서 155 ℃ 에서 10 초간의 열처리, 200 ℃ 에서 10 초간의 열고정, 155 ℃ 에서 10 초간의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실시하고, 이어서 폭넣기 비율 2 %, 폭넣기 온도 130 ℃ 에서 가로 방향의 폭넣기를 실시하고, 이어서 필름 양단을 잘라내어, 세로 이완율 2.5 % 로 열이완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켜,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175 ㎛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의 지지층 (C 층) 상에,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팅 장치로, 표면층 (B 층) 을 형성하기 위한, 하기 도액 1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도액을, 두께가 표 1 과 같이 되도록 (wet 두께 15 g/㎡ 의 도포량으로) 도포한 후, 오븐 내에서 80 ℃ 에서 건조시켜 필름을 얻었다.
<도액 1, 고형분 농도 33 질량%>
·입자 : 토오레 주식회사 제조 나일론 66 수지 CM3006 분체 (평균 입자경 5 ㎛, Ny 입자 E) ···8.3 질량%
·아크릴 수지 (열가소성 수지) : DIC 사 제조 아크리딕 A-817BA (고형분 농도 50 질량%) ···30 질량%
·가교제 :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조 콜로네이트 HL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농도 75 질량%) ···10 질량%
·희석 용매 : 아세트산부틸···51.7 질량%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는 표 2 와 같았다. 또한, 도액 1 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고형분 비율은 이하와 같이 된다.
·입자 : 20 질량%
·아크릴 수지 (열가소성 수지) : 60 질량%
·가교제 : 20 질량%
[실시예 6]
도액 1 에 있어서, 사용하는 입자의 종류를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MBX-5 (진구상 아크릴 입자, 평균 입자경 5 ㎛, Ac 입자 F) 로 변경하고, 하기의 고형분 비율로 하고, 두께를 표 1 대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입자 : 25 질량%
·아크릴 수지 (열가소성 수지) : 55 질량%
·가교제 : 20 질량%
[실시예 7]
반사층 A 의 보이드 형성제의 양태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인 수지 (시클로올레핀,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 「TOPAS 6017S-04」)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제조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도액 1 에 있어서, 사용하는 입자의 종류를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MBX-5 (진구상 아크릴 입자, 평균 입자경 5 ㎛, Ac 입자 F) 로 변경하고, 하기의 고형분 비율로 하고, 두께를 표 1 대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백색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입자 : 42 질량%
·아크릴 수지 (열가소성 수지) : 38 질량%
·가교제 : 20 질량%
Figure 112017060033969-pct00001
Figure 112017060033969-pct00002
본 발명의 백색 반사 필름은, 반사광의 확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렌즈 캡을 구비하는 광원을 갖는 직하형 면광원용 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특히 광원과 반사판의 거리가 가까운 직하형 면광원용 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휘도 불균일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은 높다.

Claims (7)

  1. 반사층 A 와, 수지를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고 입자를 함유하는 표면층 B 를 갖는 반사 필름으로서, 표면층 B 의 표면에 있어서, 입사각 85 도의 광택도가 9 이상, 16 미만이며, 또한 입사각 60 도의 광택도가 17 이상, 25 미만인, 반사형 렌즈 캡을 구비하는 LED 광원을 갖는,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층 B 에 포함되는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인,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반사층 A 가 보이드를 함유하고, 그 보이드 체적률이 15 체적% 이상, 70 체적% 이하인,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직하형 면광원이, 그 LED 광원을 반사 필름 상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을 사용한, 반사형 렌즈 캡을 구비하는 LED 광원을 갖는, 직하형 면광원.
  6. 삭제
  7. 삭제
KR1020177017236A 2015-01-05 2015-12-22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 KR102488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0302 2015-01-05
JP2015000302 2015-01-05
PCT/JP2015/086587 WO2016111234A1 (ja) 2015-01-05 2015-12-22 直下型面光源用白色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直下型面光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455A KR20170104455A (ko) 2017-09-15
KR102488716B1 true KR102488716B1 (ko) 2023-01-13

Family

ID=5635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236A KR102488716B1 (ko) 2015-01-05 2015-12-22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60254B2 (ko)
KR (1) KR102488716B1 (ko)
CN (1) CN107111014B (ko)
TW (1) TWI684794B (ko)
WO (1) WO2016111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896B1 (ko) 2017-03-24 2019-01-2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엣지 백라이트 유니트용 반사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2347A (ja) * 2004-08-06 2006-03-16 Toray Ind Inc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KR101299528B1 (ko) * 2012-12-18 2013-08-23 (주)애니캐스팅 측면 방출형 발광다이오드용 렌즈,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0531B2 (en) * 2003-03-28 2008-01-22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Multi-colored LED array with improved brightness profile and color uniformity
DE10336129A1 (de) * 2003-08-04 2005-02-24 Röhm GmbH & Co. KG Kratzunempfindlicher Rückprojektionsschirm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TWI314937B (en) * 2004-11-19 2009-09-21 Mitsui Chemicals Inc Fine particle of ethylene-series polymer, fine particle of ethylene-series polymer with functional group and catalyst carrier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622664B2 (ja) 2005-05-12 2011-02-02 東レ株式会社 面状発光体
CN100340904C (zh) * 2005-09-07 2007-10-03 长兴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高光扩散性的反射片
CN101375185B (zh) * 2006-02-03 2011-07-06 东丽株式会社 面光源反射部件用膜
CN2916696Y (zh) * 2006-05-12 2007-06-27 长兴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块
JP2008226928A (ja) * 2007-03-08 2008-09-25 Sharp Corp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照明装置
JP5262715B2 (ja) * 2007-05-08 2013-08-14 東レ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KR100990421B1 (ko) * 2008-07-23 2010-10-29 심현섭 빛 반사수단을 갖는 직하광원 방식의 면광원이 적용된조명기구
CN102089572A (zh) * 2008-09-09 2011-06-08 东丽株式会社 直下型背光源装置
KR101640270B1 (ko) * 2008-12-22 2016-07-15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광 반사체 및 면광원 장치
JP2010210891A (ja) 2009-03-10 2010-09-24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5650382B2 (ja) 2009-05-18 2015-01-07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光反射フィルム
JP2012094266A (ja) 2010-10-25 2012-05-17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部材、および該光学部材を用いた面状光源装置
JP2012137618A (ja) * 2010-12-27 2012-07-19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204336A (ja) 2011-03-28 2012-10-22 Sharp Corp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2242764A (ja) 2011-05-24 2012-12-10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部材、および該光学部材を用いた面状光源装置
TWI596385B (zh) * 2012-02-13 2017-08-21 東麗股份有限公司 反射膜
CN203217105U (zh) * 2013-05-08 2013-09-25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反射片、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04110650B (zh) * 2014-06-19 2017-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导光板及其制备方法、背光模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2347A (ja) * 2004-08-06 2006-03-16 Toray Ind Inc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KR101299528B1 (ko) * 2012-12-18 2013-08-23 (주)애니캐스팅 측면 방출형 발광다이오드용 렌즈,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84794B (zh) 2020-02-11
JPWO2016111234A1 (ja) 2017-09-21
TW201634955A (zh) 2016-10-01
KR20170104455A (ko) 2017-09-15
CN107111014A (zh) 2017-08-29
CN107111014B (zh) 2020-05-19
WO2016111234A1 (ja) 2016-07-14
JP6560254B2 (ja)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651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40496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5123385A1 (ja) 反射板用積層フィルム
WO2017010471A1 (ja) 大型ディスプレイ用白色反射フィルム
KR102488716B1 (ko) 직하형 면광원용 백색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직하형 면광원
JP6259278B2 (ja) 直下型面光源用白色反射フィルム
JP6211923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490891B2 (ja) 直下型面光源用白色反射フィルム
JP5722937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110220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336308B2 (ja) 直下型面光源用白色反射フィルム
KR101587393B1 (ko) 백색 반사 필름
JP578520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235299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5069020A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70248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495345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495344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6352613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905915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8169456A (ja) 白色反射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