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021B1 -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021B1
KR102488021B1 KR1020220068976A KR20220068976A KR102488021B1 KR 102488021 B1 KR102488021 B1 KR 102488021B1 KR 1020220068976 A KR1020220068976 A KR 1020220068976A KR 20220068976 A KR20220068976 A KR 20220068976A KR 102488021 B1 KR102488021 B1 KR 10248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unit
conveyor
unit
waste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수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투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투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투비
Priority to KR102022006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15Electronic waste
    • B09B2101/16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50/00Materials of refuse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전지 등을 포함하는 폐기물이 버킷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로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폐기물에 대한 안정적인 이송과 함께 일정 위치로의 공급이나 포집이 가능하도록 하고, 페기물이 버킷으로 담겨진 상태의 운반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주변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통로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TRANSPORT SYSTEM OF WASTE USING BUCKET}
본 발명은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전지 등을 포함하는 폐기물이 버킷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로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폐기물에 대한 안정적인 이송과 함께 일정 위치로의 공급이나 포집이 가능하도록 하고, 페기물이 버킷으로 담겨진 상태의 운반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주변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통로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대용량의 배터리와, 탄소전극을 사용하는 일반 건전지, 망간, 아연 결합전극을 사용하는 적층 건전지, 알카리 전지 등과 같은 중형의 전지와, 리튬전지, 수은전지 등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소형 전지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지는 전자기기 및 전기 자동차 산업의 발전에 따라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폐전지의 양도 급증하고 있다.
종래에는 폐전지를 매립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였으나, 폐전지를 아무런 처리 없이 매립할 경우, 전지 내부의 금속 리튬이 대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폭발하거나 화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전해질 내에 포함된 유기 용매나 양극에 포함된 전이금속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이 토양으로 유출되어 심각한 환경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전지 내의 전해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폐전지 처리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4719호(2020.07.16.)에는 '폐리튬이온배터리의 재활용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재활용 장치는 폐배터리에 대한 이송시, 별도의 버킷 등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컨베어어 등으로부터의 이탈에 따른 안정적인 이송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폐배터리가 이송되는 과정에서의 작업자나 작업 차량 등의 통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4719호(2020.07.16.) '폐리튬이온배터리의 재활용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전지 등을 포함하는 폐기물이 버킷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로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폐기물에 대한 안정적인 이송과 함께 일정 위치로의 공급이나 포집이 가능하도록 하고, 페기물이 버킷으로 담겨진 상태의 운반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주변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통로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버킷(10)으로 폐기물이 담김 운반물을 공급받아 전방으로 이송하는 후단이송부(100); 운반물을 버킷(10)과 폐기물로 분리하는 분리부(200); 운반물을 분리부(200)로 이송하는 전단이송부(300); 및 후단이송부(100)에서 공급되는 운반물을 전단이송부(300)로 이송하되, 전,후단이송부(300,100)의 사이로 통로공간(A)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송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단이송부(100)는 컨베이어(110)와, 운반물이 다수 거치된 별도의 공급수단(20)으로부터 운반물을 인출하여 컨베이어(110)에 안착되도록 하는 운반수단(120)과, 컨베어어(110)와 운반수단(120)이 설치되는 몸체(130)를 포함하면서 컨베이어(110)의 구동에 따라 운반물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후단이송체(140); 후단이송체(14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150); 및 후단이송체(1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송수단(160)을 포함하며, 수평이송수단(150) 및 수직이송수단(160)은 구동에 따라 후단이송체(140)를 이동시켜 공급수단(20)으로부터 후단이송체(140)로의 운반물의 공급이나 후단이송체(140)로부터 이송장치(400)로의 운반물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수단(120)은 컨베이어(1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121a)가 형성되고 전단부에 걸림돌기(123)가 형성되는 한 쌍의 당김바(121); 한 쌍의 당김바(121)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판(122); 내측으로 당김바(12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126); 후단이송체(140)의 양측에 설치되고 회전링(126)으로 연결되면서 당김바(1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구동에 따라 회전링(126)을 회전시켜 당김바(121)와 함께 걸림돌기(123)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실린더(124); 및 이동판(12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125)를 포함하며, 걸림돌기(123)는 제1실린더(124)의 구동에 의해 가로로 회전되며 공급수단(20)으로 거치된 운반물의 후단부에 걸림되거나 세로로 회전되며 운반물로부터 걸림 해제되고, 제2실린더(125)는 걸림돌기(123)가 운반물에 걸림된 상태에서 역방향 구동에 따라 운반물을 당겨 컨베이어(110)로 안착되도록 하고, 걸림돌기(123)가 세로로 회전된 상태에서 정방향 구동에 따라 당김바(121)가 공급수단(20)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송수단(150)은 실린더로 이루어져 후단이송체(140)를 지지하면서 후단이송체(14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수직이송수단(160)은 수평이송수단(150)이 고정되는 지지틀(161); 지지틀(161)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스크류바(162); 및 스크류바(162)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지지틀(16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400)는 설치대상면과의 사이로 통로공간(A)을 형성하는 가로이송부(410);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후단부를 지지하면서 후단이송부(10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가로이송부(410)로 이송하는 제1세로이송부(420); 및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전단부를 지지하면서 가로이송부(41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전단이송부(300)로 이송하는 제2세로이송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세로이송부(420)는 설치대상면에 지지되며 후방부에 운반물이 인입되는 인입구(421a)와 전방부에 운반물이 인출되는 인출구(421b)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인입,인출구(421a,421b)와 연통되면서 운반물이 상하 이동되는 승강공간(421c)이 형성되는 제1승강프레임(421); 승강공간(421c)에 마련되는 승강판(423)과, 승강판(423)의 상부에 구비되며 구동에 따라 상부로 안착되는 운반물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컨베이어(424)를 포함하는 제1승강체(422); 및 제1승강체(422)를 승,하강시켜 인입구(421a)와 인출구(421b)를 오가도록 하는 제1승강수단(4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세로이송부(420)는 승강판(423)의 전방부에 구비되며 컨베이어(42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접하는 이탈방지바(427)와, 이탈방지바(427)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실린더(428)를 포함하면서 컨베이어(42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컨베이어(4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4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승강수단(425)은 제1승강프레임(421)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크류바(425a); 승강판(423)에 고정되며 스크류바(425a)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승강부재(425b); 및 스크류바(425a)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42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세로이송부(430)는 설치대상면에 지지되며 후방부에 운반물이 인입되는 인입구(431a)와 전방부에 운반물이 인출되는 인출구(431b)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인입,인출구(431a,431b)와 연통되면서 운반물이 상하 이동되는 승강공간(431c)이 형성되는 제2승강프레임(431); 승강공간(431c)에 마련되는 승강판(433)과, 승강판(433)의 상부에 구비되며 구동에 따라 상부로 안착되는 운반물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컨베이어(434)를 포함하는 제2승강체(432); 및 제2승강체(432)를 승,하강시켜 인입구(431a)와 인출구(431b)를 오가도록 하는 제2승강수단(4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세로이송부(430)는 승강판(433)의 전방부에 구비되며 컨베이어(43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접하는 이탈방지바(437)와 이탈방지바(437)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실린더(438)를 포함하면서 컨베이어(43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컨베이어(43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4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승강수단(435)은 제2승강프레임(431)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크류바(435a); 승강판(433)에 고정되며 스크류바(435a)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승강부재(435b); 및 스크류바(435a)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43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이송부(410)는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인출구(421b)와 인입구(431a)를 연결하는 연결로(411); 및 연결로(4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세로이송부(42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제2세로이송부(430)로 이송하는 컨베이어(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이송부(300)는 제2세로이송부(43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분리부(200)로 이송하는 컨베이어(310); 컨베이어(31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송틀(320); 이송틀(320)의 전방부에 마련되면서 컨베이어(310)로부터 운반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대(330); 컨베어어(310)의 구동에 따른 운반물의 진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340); 및 방지대(330)에 의해 이동이 정지된 운반물을 들어 올려 분리부(200)에서의 운반물에 대한 이동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올림수단(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틀(320)은 내부 양측에 지지판(321)이 형성되면서 컨베이어(310)의 구동에 따른 운반물의 진행을 가이드하며, 지지판(32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321a)이 형성되고, 조절수단(340)은 지지판(321)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절바(341); 및 조절바(341)가 통공(321a)을 통해 지지판(321)의 상부로 돌출되며 운반물의 전면부와 접하도록 하거나 지지판(321)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운반물과 접하지 않도록 하는 실린더(342)를 포함하며, 운반물은 컨베어어(310)의 구동에 따른 이동시, 조절바(341)와 접하면서 이동 정지되고, 조절바(341)와 접하지 않으면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킷(10)은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1)가 형성되고, 올림수단(350)은 상부가 지지판(321)을 통과하여 운반물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바(351a)와 한 쌍의 가압바(351a)를 연결하는 연결바(351b)를 포함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351); 및 각 가압부재(35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복수의 실린더(352)를 포함하며, 가압바(351a)는 실린더(352)의 구동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플랜지(11)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운반물을 들어 올리거나,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플랜지(11)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이송부(300)는 운반물이 올림수단(350)으로 이동되기 전에 운반물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여 플랜지(11a)를 펴는 교정수단(370)을 더 포함하며, 교정수단(370)은 이송틀(320)의 상부 양측에 상하 방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판(371); 및 한 쌍의 가압판(371)을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372)를 포함하고, 한 쌍의 가압판(371)은 컨베이어(310)의 구동에 따른 운반물의 이송시, 이격된 상태를 이루다 운반물이 통과하는 경우, 가압실린더(372)의 구동에 의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플랜지(11a)의 양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부(200)는 전단이송부(300)로부터 운반물을 운반하여 폐기물을 폐기물 포집장치(220)로 쏟는 한편, 버킷(10)을 버킷 포집장치(230)로 옮기는 로봇장치(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폐전지 등을 포함하는 폐기물이 버킷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로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폐기물에 대한 안정적인 이송과 함께 일정 위치로의 공급이나 포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페기물이 버킷으로 담겨진 상태의 운반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주변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나 작업 차량 등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버킷(10)으로 담겨지는 패기물의 양에 효율적으로 대처 가능한 것은 물론, 버킷(10)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후단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후단이송부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에서 공급수단으로부터 운반물이 후단이송체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운반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제1세로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제1승강체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서 제2세로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제2승강체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서 가로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플레이트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서 전단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3의 전단이송부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은 외부로부터 버킷(10)으로 폐기물이 담김 운반물을 공급받아 전방으로 이송하는 후단이송부(100), 운반물을 버킷(10)과 폐기물로 분리하는 분리부(200), 운반물을 분리부(200)로 이송하는 전단이송부(300) 및 후단이송부(100)에서 공급되는 운반물을 전단이송부(300)로 이송하되, 전,후단이송부(300,100)의 사이로 통로공간(A)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송장치(400)를 포함한다.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은 후단이송부(100), 전단이송부(300), 이송장치(400) 및 분리부(2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운반물이 후단이송부(100), 전단이송부(300), 이송장치(400) 및 분리부(200)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은 운반물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부에 후단이송부(100)가 배치되면서 운반물이 전단이송부(300) 방향으로 진행되고 분리부(200)가 전단이송부(300)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운반물을 버킷과 폐기물로 분리한다.
폐기물은 폐전지 등을 포함하며 별도의 파쇄장치 등을 통해 파쇄되어 조각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버킷(10)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통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1a)가 형성될 수 있다.
운반물은 버킷(10)으로 폐기물이 담긴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후단이송부(100)는 운반물이 안착되는 컨베이어(110)와 외부로부터 운반물을 컨베이어(110)로 운반하는 운반수단(120)과 컨베어어(110)와 운반수단(120)이 설치되는 몸체(130)를 포함하면서 컨베이어(110)의 구동에 따라 운반물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후단이송체(140), 후단이송체(14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150) 및 후단이송체(1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송수단(160)을 포함한다.
몸체(130)는 상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컨베어어(110)는 복수의 롤러가 몸체(13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면서 상부로 안착되는 운반물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운반수단(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물이 다수 거치된 선반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공급수단(20)으로부터 운반물을 인출함으로써 컨베이어(110)에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선반(21)은 운반물이 거치되는 거치공간(21a)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복수 형성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운반수단(120)은 후단이송체(140)가 선반(21)에 이웃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에 따라 거치공간(21a)으로부터 운반물이 인출되며 컨베이어(110)로 안착되도록 한다.
운반수단(12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컨베이어(1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121a)가 형성되고 전단부에 걸림돌기(123)가 형성되는 한 쌍의 당김바(121), 한 쌍의 당김바(121)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판(122), 내측으로 당김바(12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126), 후단이송체(140)의 양측에 설치되고 회전링(126)으로 연결되면서 당김바(1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구동에 따라 회전링(126)을 회전시켜 당김바(121)와 함께 걸림돌기(123)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실린더(124) 및 이동판(12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125)를 포함한다.
당김바(121)는 전단부가 베어링 등에 의해 이동판(12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부가 회전링(126)을 통과하면서 몸체(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당김바(121)는 상,하부에 돌기(121a)가 형성되며, 회전링(126)은 당김바(121)의 외측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회전에 따라 당김바(121)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제1실린더(124)는 일반적인 형태의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에 따라 회전링(126)을 회전시켜 당김바(121)와 함께 걸림돌기(12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실린더(124)은 회전링(126)과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락하기로 한다.
걸림돌기(123)는 상하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제1실린더(124)의 구동에 따라 당김바(121)와 함께 회전되며 버킷의 후면에 걸림된다.
걸림돌기(123)는 제1실린더(124)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가로로 회전되면서 운반물의 후면에 걸림되고, 제1실린더(124)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세로로 회전되면서 운반물로부터 걸림해제된다.
제2실린더(125)는 로드레스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체(130)의 내부 바닥면 등에 구비되면서 구동에 따라 이동판(122)과 함께 한 쌍의 당김바(1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제2실린더(125)는 정방향 구동에 의해 한 쌍의 당김바(121)가 공급수단(20)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운반물이 거치된 거치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하고, 제1실린더(124)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걸림돌기(123)가 운반물에 걸림되면, 역방향 구동에 의해 운반물을 당겨 컨베이어(110)로 안착되도록 한다.
제어부(500)는 제2실린더(125)의 정방향 구동시, 컨베이어(110)가 정지되도록 하고 제2실린더(125)의 역방향 구동시, 컨베어어(110)가 구동되도록 하는 한편, 제1실린더(124)가 정방향 구동되도록 한다.
제어부(500)는 운반물이 컨베이어(110)의 일정 위치로 이동되면, 컨베이어(110)가 정지되도록 하고, 후단이송체(140)가 수평이송수단(150) 및 수직이송수단(160)에 의해 이송장치(400)로 접근하면, 컨베이어(110)가 구동되도록 하여 운반물이 이송장치(400)로 이동되도록 한다.
컨베이어(110)는 후단이송체(140)가 이동에 의해 후술되는 제1승강체(422)의 후방에 위치되면,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서 운반물이 제1승강체(422)로 이동되도록 한다. 제1승강체(422)는 이송장치(400)를 이루는 구성으로 뒤에서 추가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500)는 감지센서를 통한 운반물의 위치 감지신호 등을 전달받아 후단이송부(100), 전단이송부(300), 이송장치(400) 및 분리부(200) 등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시센서 등을 이용한 제어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평이송수단(150)은 선반으로 거치된 운반물의 위치에 맞게 후단이송체(140)가 좌우 방향으로 이?壅풩돈? 하고, 수직이송수단(114)은 선반으로 거치된 운반물의 위치에 맞게 후단이송체(1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수평이송수단(150)은 로드레스 형태의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단이송체(140)를 지지하면서 구동에 따라 후단이송체(14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수직이송수단(160)은 수평이송수단(150)이 안착 고정되는 지지틀(161), 지지틀(161)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스크류바(162) 및 스크류바(162)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지지틀(16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163)를 포함한다.
지지틀(161)은 사각링 형태를 이루며 네 모서리 부근에 스크류바(162)로 나사결합되는 승강돌기(161a)가 형성된다.
스크류바(162)는 4개로 이루어지며 구동모터(163)의 구동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부가 이웃하는 스크류바(162) 간에 연결되고 상부가 대응되는 승강돌기(161a)를 통과한다.
예를 들면, 4개의 스크류바(162) 중 지지틀(161)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스크류바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연결되면서 지지틀(161)의 양측 후방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스크류바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의 스크류바(116) 간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됨은 물론이다.
구동모터(163)는 복수의 스크류바(162) 중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바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되면서 구동에 따라 지지틀(161)과 함께 후단이송체(1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제어부(500)는 수평이송수단(150) 및 구동모터(163)의 제어를 통해 후단이송체(14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컨베이어(110)로의 운반물의 안착이나 컨베이어(110)로부터 이송장치(400)로의 운반물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후단이송부(100)는 설치대상면으로부터 수직이송수단(16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대상면은 실외 지면이나 실내 바닥면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70)은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복수의 스크류바(162)를 지지하면서 수직이송수단(160)과 함께 후단이송체(140) 및 수평이송수단(150)을 지지한다.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면, 이송장치(400)는 설치대상면과의 사이로 통로공간(A)을 형성하는 가로이송부(410),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후단부를 지지하면서 후단이송부(10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가로이송부(410)로 이송하는 제1세로이송부(420) 및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전단부를 지지하면서 가로이송부(41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전단이송부(300)로 이송하는 제2세로이송부(430)를 포함한다.
제1세로이송부(4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에 운반물이 인입되는 인입구(421a)와 전방부에 운반물이 인출되는 인출구(421b)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인입,인출구(421a,421b)와 연통되면서 운반물이 상하 이동되는 승강공간(421c)이 형성되는 제1승강프레임(421), 승강공간(421c)에 마련되는 승강판(423)과 승강판(423)의 상부에 구비되며 구동에 따라 상부로 안착되는 운반물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컨베이어(424)를 포함하는 제1승강체(422), 제1승강체(422)를 승,하강시켜 인입구(421a)와 인출구(421b)를 오가도록 하는 제1승강수단(425)을 포함한다.
제1승강프레임(421)은 하부가 설치대상면에 지지되면서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승강프레임(421)은 가로,세로바에 의해 형태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승강공간(421c)이 형성되는 한편, 후방 중앙부에 인입구(421a)가 형성되고 전방 상부에 인출구(421b)가 형성된다.
승강판(423)은 다양한 형태를 이루어도 무방하나 사각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제1승강수단(425)에 의해 제1승강프레임(421)에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승강판(423)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면서 하중이 줄 수 있다.
컨베이어(424)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벨트 등를 포함하면서 상부로 안착되는 운반물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세로이송부(4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체(422)에 마련되면서 컨베이어(42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컨베이어(4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426)을 더 포함한다.
이탈방지수단(426)은 승강판(423)의 전방부에 구비되며 컨베이어(42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접하는 이탈방지바(427) 및 이탈방지바(427)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실린더(428)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바(427)는 단수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승간판(42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편, 하부가 연결바(427a)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실린더(428)는 연결바(427a)와 연결되면서 구동에 따라 연결바(427a)와 함께 이탈방지바(427)가 승,하강되도록 한다.
즉, 실린더(428)는 이탈방지바(427)와 연결되면서 정방향 구동에 따라 이탈방지바(427)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컨베이어(424)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역방향 구동에 따라 이탈방지바(427)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컨베이어(424)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실린더(428)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서 후단이송체(140)의 컨베이어(110)로부터 제1승강체(422)의 컨베이어(424)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컨베이어(42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컨베이어(424)로부터 운반물이 가로이송부(410)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500)는 컨베이어(110)로부터 컨베이어(424)로 운반물이 이동되는 경우, 두 컨베이어(110,424)가 구동되도록 하고, 운반물이 이탈방지바(427)와 접하면, 두 컨베이어(110,424)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컨베이어(110)는 운반물이 컨베이어(110)를 벗어남에 따라 컨베이어(424)보다 먼저 구동이 정지될 수도 있다.
이탈방지바(427)는 운반물이 컨베이어(110)로부터 컨베이어(424)로 이동되는 경우, 실린더(428)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승강체(422)가 이동에 의해 가로이송부(410)의 후방에 위치되면, 실린더(428)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돌출되지 않는다.
제어부(500)는 제1승강체(422)가 이동에 의해 가로이송부(410)의 후방에 위치되면, 실린더(428)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이탈방지바(427)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컨베이어(424)가 구동되도록 하여 운반물이 제1승강체(422)로부터 가로이송부(410)로 이동되도록 한다.
제1승강수단(425)은 제1승강프레임(421)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크류바(425a), 승강판(423)에 고정되며 스크류바(425a)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승강부재(425b) 및 스크류바(425a)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425c)를 포함한다.
모터(425c)는 구동에 따라 스크류바(425a)가 회전되도록 하여 제1승강체(422)가 승,하강되도록 한다.
즉, 모터(425c)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서 운반물이 후단이송체(140)의 컨베이어(110)로부터 제1승강체(422)의 컨베이어(424)로 이동되면, 정방향 구동에 의해 제1승강체(422)가 승강되도록 한다.
모터(425c)는 정방향 구동에 의해 제1승강체(422)가 승강되어 가로이송부(410)의 후방에 위치되면, 구동이 정지되고, 운반물이 컨베이어(424)를 벗어나 가로이송부(410)로 이동되면, 역방향 구동에 의해 제1승강체(422)가 하강되며 후단이송체(140)의 전방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제1승강체(422)는 모터(425c)의 구동에 따른 승,하강시, 가이드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제2세로이송부(4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에 운반물이 인입되는 인입구(431a)와 전방부에 운반물이 인출되는 인출구(431b)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인입,인출구(431a,431b)와 연통되면서 운반물이 상하 이동되는 승강공간(431c)이 형성되는 제2승강프레임(431), 승강공간(431c)에 마련되는 승강판(433)과 승강판(433)의 상부에 구비되며 구동에 따라 상부로 안착되는 운반물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컨베이어(434)를 포함하는 제2승강체(432), 제2승강체(432)를 승,하강시켜 인입구(431a)와 인출구(431b)를 오가도록 하는 제2승강수단(435)을 포함한다.
제2승강프레임(431)은 하부가 설치대상면에 지지되면서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2승강프레임(431)은 가로,세로바에 의해 형태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승강공간(431c)이 형성되는 한편, 후방 상부에 인입구(431a)가 형성되고 전방 중앙부에 인출구(431b)가 형성된다.
승강판(433)은 다양한 형태를 이루어도 무방하나 사각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제2승강수단(435)에 의해 제2승강프레임(431)에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승강판(433)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면서 하중이 줄 수 있다.
컨베이어(434)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벨트 등를 포함하면서 상부로 안착되는 운반물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세로이송부(4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체(432)에 마련되면서 컨베이어(43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컨베이어(43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436)을 더 포함한다.
이탈방지수단(436)은 승강판(433)의 전방부에 구비되며 컨베이어(43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접하는 이탈방지바(437) 및 이탈방지바(437)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실린더(438)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바(437)는 단수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승간판(43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편, 하부가 연결바(437a)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실린더(438)는 연결바(437a)와 연결되면서 구동에 따라 연결바(437a)와 함께 이탈방지바(437)가 승,하강되도록 한다.
즉, 실린더(438)는 이탈방지바(437)와 연결되면서 정방향 구동에 따라 이탈방지바(437)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컨베이어(434)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역방향 구동에 따라 이탈방지바(437)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컨베이어(434)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실린더(438)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서 가로이송부(410)로부터 제2승강체(432)의 컨베이어(434)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컨베이어(43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컨베이어(434)로부터 운반물이 전단이송부(300)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500)는 가로이송부(410)로부터 컨베이어(434)로 운반물이 이동되는 경우, 컨베이어(434)가 구동되도록 하고, 운반물이 이탈방지바(437)와 접하면, 컨베이어(434)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탈방지바(437)는 운반물이 가로이송부(410)로부터 컨베이어(434)로 이동되는 경우, 실린더(438)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승강체(432)가 이동에 의해 전단이송부(300)의 후방에 위치되면, 실린더(438)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돌출되지 않는다.
제어부(500)는 제2승강체(432)가 이동에 의해 전단이송부(300)의 후방에 위치되면, 실린더(438)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이탈방지바(437)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컨베이어(434)가 구동되도록 하여 운반물이 제2승강체(432)로부터 전단이송부(300)로 이동되도록 한다.
제2승강수단(435)은 제2승강프레임(431)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크류바(435a), 승강판(433)에 고정되며 스크류바(435a)로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승강부재(435b) 및 스크류바(435a)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435c)를 포함한다.
모터(435c)는 구동에 따라 스크류바(435a)가 회전되도록 하여 제2승강체(432)가 승,하강되도록 한다.
즉, 모터(435c)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서 운반물이 가로이송부(410)로부터 제2승강체(432)의 컨베이어(434)로 이동되면, 역방향 구동에 의해 제2승강체(422)가 하강되도록 한다.
모터(435c)는 정방향 구동에 의해 제2승강체(432)가 승강되며 가로이송부(410)의 전방에 위치되면, 구동이 정지되고, 운반물이 가로이송부(410)로부터 컨베이어(434)로 이동되면, 역방향 구동에 의해 제2승강체(432)가 하강되면서 전단이송부(30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모터(435c)는 운반물이 컨베이어(434)로부터 벗어나 전단이송부(300)로 이동되면, 정방향 구동에 의해 제2승강체(432)가 승강되며 가로이송부(41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제2승강체(432)는 모터(435c)의 구동에 따른 승,하강시, 가이드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가로이송부(410)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인출구(421b)와 인입구(431a)를 연결하는 연결로(411) 및 연결로(4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세로이송부(42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제2세로이송부(430)로 이송하는 컨베이어(412)를 포함한다.
연결로(411)는 후단부가 인출구(421b)와 연통되도록 제1승강프레임(421)에 고정되고 전단부가 인입구(431a)와 연통되도록 제2승강프레임(431)에 고정된다.
연결로(411)는 컨베이어(41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플레이트(413) 및 양단부 및 하부가 개방되면서 플레이트(413) 상부를 덮는 덮개(4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414)에는 내부를 볼 수 있는 가시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시공은 투명창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컨베이어(412)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벨트 등를 포함하면서 상부로 안착되는 운반물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컨베이어(412)는 연결로(41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412)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서 제1승강체(422)로부터 이동되는 운반물이 제2승강체(432)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전단이송부(300)는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세로이송부(43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분리부(200)로 이송하는 컨베이어(310), 컨베이어(31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송틀(320), 컨베이어(310)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이송틀(320)의 전방부에 마련되면서 컨베이어(310)로부터 운반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대(330), 컨베어어(310)의 구동에 따른 운반물의 진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340) 및 방지대(330)에 의해 이동이 정지된 운반물을 들어 올려 분리부(200)에서의 운반물에 대한 이동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올림수단(350)을 포함한다.
전단이송부(300)는 설치대상면으로부터 이송틀(32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31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벨트 등를 포함하면서 상부로 안착되는 운반물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송틀(32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시각링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내측으로 컨베이어(3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송틀(320)은 내부 양측에 지지판(321)이 형성되면서 컨베이어(310)의 구동에 따른 운반물의 진행을 가이드할 수 있다.
방지대(330)는 이송틀(32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컨베이어(310)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진행되는 운반물이 이송틀(3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판(32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321a)이 형성되며, 조절수단(340)은 지지판(321)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절바(341) 및 이송틀(320)에 고정되면서 조절바(341)가 통공(321a)을 통해 지지판(32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지지판(321)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실린더(342)를 포함한다.
실린더(342)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서 정방향 구동에 따라 조절바(341)가 통공(321a)을 통해 지지판(32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역방향 구동에 따라 조절바(341)가 통공(321a)으로 인입되면서 지지판(321)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운반물은 컨베이어(310)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지지판(321)의 상부로 돌출된 조절바(341)와 접하며 정지될 수 있다.
이는, 이웃하는 두 개의 운반물이 컨베이어(310)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후방의 운반물이 조절바(341)에 의해 정지되도록 하여 전방의 운반물이 올림수단(350)을 통해 컨베이어(310)로부터 들려지는 한편, 분리부(200)를 통해 운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전방의 운반물이 컨베이어(310)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되면, 실린더(342)에 대한 역방향 구동을 통해 후방의 운반물을 정지하고 있던 조절바(341)가 하강되도록 하여 후방의 운반물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후방의 운반물이 방지대(330)와 접하면 실린더(342)에 대한 정방향 구동을 통해 조절바(341)가 승강되도록 하여 또 다른 운반물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제어부(500)는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컨베이어(310)를 통과하는 다수의 운반물에 대한 순차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올림수단(350)은 상부가 지지판(321)을 통과하여 운반물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바(351a)와 한 쌍의 가압바(351a)를 연결하는 연결바(351b)를 포함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351) 및 각 가압부재(35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실린더(352)를 포함한다.
가압바(351a)는 플랜지(11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버킷(10)의 네 모시리 부근에 배치된다.
연결바(351b)는 이송틀(32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한 쌍의 가압바(351a)를 연결한다.
실린더(352)는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 가압부재(351)에 연결된다.
실린더(352)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정방향 구동에 따라 연결바(351b)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가압바(351a)가 버킷(10)보다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역방향 구동에 따라 연결바(351b)를 상방향으로 당겨 가압바(351a)가 버킷(10)을 밀어 올려 운반물이 컨베이어(310)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한다.
운반물은 올림수단(350)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서 컨베이어(310)와 이격되는 한편, 분리부(200)를 통한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단이송부(300)는 운반물이 올림수단(350)으로 이동되기 전에 운반물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여 플랜지(11a)를 펴는 교정수단(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교정수단(370)은 이송틀(320)의 상부 양측에 상하 방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판(371) 및 한 쌍의 가압판(371)을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372)를 포함한다.
가압판(371)은 가압실린더(372)에 의해 이송틀(320)의 상부 양측에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실린더(372)는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며 정방향 구동에 따라 한 쌍의 가압판(371)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역방향 구동에 따라 한 쌍의 가압판(371)이 배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한 쌍의 가압판(371)은 컨베이어(310)의 구동에 따른 운반물의 이송시, 이격된 상태를 이루다 운반물이 통과하는 경우, 가압실린더(372)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플랜지(11a)의 양측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운반물은 상부 양측이 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세가 교정되면서 올림수단(35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분리부(200)는 전단이송부(300)로부터 운반물을 운반하여 폐기물을 폐기물 포집장치(220)로 쏟는 한편, 버킷(10)을 버킷 포집장치(230)로 옮기는 로봇장치(210)를 포함한다.
로봇장치(210)는 올림수단(350)에 의해 컨베이어(310)로부터 들어 올려진 운반물을 운반하여 폐기물을 폐기물 포집장치(220)로 쏟고 버킷(10)을 버킷 포집장치(230)로 옮김으로써 운반물을 폐기물과 버킷으로 분리할 수 있다.
로봇장치(210)는 구비된 아암의 회전 및 파지 기능 등을 통해 운반물을 운반하는 한편, 버킷(10)으로 수용된 폐기물을 폐기물 포집수단(220)으로 쏟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비워진 버킷(10)을 버킷 포집수단(230)으로 옮길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봇장치(210)는 공지된 기능 등을 포함하면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폐기물 포집장치(220)는 폐기물을 포집하여 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부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버킷 포집장치(230)는 버킷(10)이 적층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이송 가능하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은 폐기물이 버킷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로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폐기물에 대한 안정적인 이송과 함께 일정 위치로의 공급이나 포집이 가능하도록 하고, 페기물이 버킷으로 담겨진 상태의 운반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주변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버킷(10)으로 담겨지는 패기물의 많고 적음 따른 양에 효율적으로 대처 가능한 것은 물론, 버킷(10)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후단이송부 110 : 컨베이어
120 : 운반수단 124 : 제1실린더
125 : 제2실린더 140 : 후단이송체
150 : 수평이송수단 160 : 수직이송수단
200 : 분리부 300 : 전단이송부
310 : 컨베이어 320 : 이송틀
330 : 방지대 340 : 조절수단
342 : 실린더 350 : 올림수단
352 : 실린더 360 : 지지프레임
370 : 교정수단 372 : 가압실린더
400 : 이송장치 410 : 가로이송부
412 : 컨베이어 420 : 제1세로이송부
421 : 제1승강프레임 422 : 제1승강체
424 : 컨베이어 425 : 제1승강수단
426 : 이탈방지수단 428 : 실린더
430 : 제2세로이송부 431 : 제2승강프레임
432 : 제2승강체 434 : 컨베이어
435 : 제1승강수단 436 : 이탈방지수단
437 : 이탈방지바 438 : 실린더
500 : 제어부

Claims (5)

  1. 외부로부터 버킷(10)으로 폐기물이 담김 운반물을 공급받아 전방으로 이송하는 후단이송부(100);
    운반물을 버킷(10)과 폐기물로 분리하는 분리부(200);
    운반물을 분리부(200)로 이송하는 전단이송부(300); 및
    설치대상면과의 사이로 통로공간(A)을 형성하는 가로이송부(410)와,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제1세로이송부(420)와,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전단부를 지지는 제2세로이송부(430)를 포함하면서 후단이송부(10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전단이송부(300)로 이송하는 이송장치(400)를 포함하고,
    후단이송부(100)는
    컨베이어(110)와, 운반물이 다수 거치된 별도의 공급수단(20)으로부터 운반물을 인출하여 컨베이어(110)에 안착되도록 하는 운반수단(120)과, 컨베어어(110)와 운반수단(120)이 설치되는 몸체(130)를 포함하면서 컨베이어(110)의 구동에 따라 운반물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후단이송체(140);
    후단이송체(14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150); 및
    후단이송체(1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송수단(160)을 포함하며,
    수평이송수단(150) 및 수직이송수단(160)은 구동에 따라 후단이송체(140)를 이동시켜 공급수단(20)으로부터 후단이송체(140)로의 운반물의 공급이나 후단이송체(140)로부터 이송장치(400)로의 운반물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운반수단(120)은
    컨베이어(1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121a)가 형성되고 전단부에 걸림돌기(123)가 형성되는 한 쌍의 당김바(121);
    한 쌍의 당김바(121)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판(122);
    내측으로 당김바(12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126);
    후단이송체(140)의 양측에 설치되고 회전링(126)으로 연결되면서 당김바(1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구동에 따라 회전링(126)을 회전시켜 당김바(121)와 함께 걸림돌기(123)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실린더(124); 및
    이동판(12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125)를 포함하며,
    걸림돌기(123)는 제1실린더(124)의 구동에 의해 가로로 회전되며 공급수단(20)으로 거치된 운반물의 후단부에 걸림되거나 세로로 회전되며 운반물로부터 걸림 해제되고,
    제2실린더(125)는 걸림돌기(123)가 운반물에 걸림된 상태에서 역방향 구동에 따라 운반물을 당겨 컨베이어(110)로 안착되도록 하고, 걸림돌기(123)가 세로로 회전된 상태에서 정방향 구동에 따라 당김바(121)가 공급수단(20)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2. 삭제
  3. 외부로부터 버킷(10)으로 폐기물이 담김 운반물을 공급받아 전방으로 이송하는 후단이송부(100);
    운반물을 버킷(10)과 폐기물로 분리하는 분리부(200);
    운반물을 분리부(200)로 이송하는 전단이송부(300); 및
    설치대상면과의 사이로 통로공간(A)을 형성하는 가로이송부(410)와,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제1세로이송부(420)와,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전단부를 지지는 제2세로이송부(430)를 포함하면서 후단이송부(10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전단이송부(300)로 이송하는 이송장치(400)를 포함하고,
    제1세로이송부(420)는
    설치대상면에 지지되며 후방부에 운반물이 인입되는 인입구(421a)와 전방부에 운반물이 인출되는 인출구(421b)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인입,인출구(421a,421b)와 연통되면서 운반물이 상하 이동되는 승강공간(421c)이 형성되는 제1승강프레임(421);
    승강공간(421c)에 마련되는 승강판(423)과, 승강판(423)의 상부에 구비되며 구동에 따라 상부로 안착되는 운반물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컨베이어(424)를 포함하는 제1승강체(422);
    제1승강체(422)를 승,하강시켜 인입구(421a)와 인출구(421b)를 오가도록 하는 제1승강수단(425); 및
    승강판(423)의 전방부에 구비되며 컨베이어(42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접하는 이탈방지바(427)와, 이탈방지바(427)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실린더(428)를 포함하면서 컨베이어(42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컨베이어(4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4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4. 외부로부터 버킷(10)으로 폐기물이 담김 운반물을 공급받아 전방으로 이송하는 후단이송부(100);
    운반물을 버킷(10)과 폐기물로 분리하는 분리부(200);
    운반물을 분리부(200)로 이송하는 전단이송부(300); 및
    설치대상면과의 사이로 통로공간(A)을 형성하는 가로이송부(410)와,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제1세로이송부(420)와,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전단부를 지지는 제2세로이송부(430)를 포함하면서 후단이송부(10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전단이송부(300)로 이송하는 이송장치(400)를 포함하고,
    제2세로이송부(430)는
    설치대상면에 지지되며 후방부에 운반물이 인입되는 인입구(431a)와 전방부에 운반물이 인출되는 인출구(431b)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인입,인출구(431a,431b)와 연통되면서 운반물이 상하 이동되는 승강공간(431c)이 형성되는 제2승강프레임(431);
    승강공간(431c)에 마련되는 승강판(433)과, 승강판(433)의 상부에 구비되며 구동에 따라 상부로 안착되는 운반물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컨베이어(434)를 포함하는 제2승강체(432);
    제2승강체(432)를 승,하강시켜 인입구(431a)와 인출구(431b)를 오가도록 하는 제2승강수단(435); 및
    승강판(433)의 전방부에 구비되며 컨베이어(43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접하는 이탈방지바(437)와 이탈방지바(437)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실린더(438)를 포함하면서 컨베이어(434)의 구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운반물이 컨베이어(43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4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5. 외부로부터 버킷(10)으로 폐기물이 담김 운반물을 공급받아 전방으로 이송하는 후단이송부(100);
    운반물을 버킷(10)과 폐기물로 분리하는 분리부(200);
    운반물을 분리부(200)로 이송하는 전단이송부(300); 및
    설치대상면과의 사이로 통로공간(A)을 형성하는 가로이송부(410)와,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제1세로이송부(420)와, 설치대상면으로부터 가로이송부(410)의 전단부를 지지는 제2세로이송부(430)를 포함하면서 후단이송부(10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전단이송부(300)로 이송하는 이송장치(400)를 포함하고,
    전단이송부(300)는
    제2세로이송부(430)를 통과하는 운반물을 분리부(200)로 이송하는 컨베이어(310);
    컨베이어(31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송틀(320);
    이송틀(320)의 전방부에 마련되면서 컨베이어(310)로부터 운반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대(330);
    컨베어어(310)의 구동에 따른 운반물의 진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340); 및
    방지대(330)에 의해 이동이 정지된 운반물을 들어 올려 분리부(200)에서의 운반물에 대한 이동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올림수단(350)을 포함하고,
    이송틀(320)은 내부 양측에 지지판(321)이 형성되면서 컨베이어(310)의 구동에 따른 운반물의 진행을 가이드하며,
    지지판(32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321a)이 형성되고,
    조절수단(340)은
    지지판(321)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절바(341); 및
    조절바(341)가 통공(321a)을 통해 지지판(321)의 상부로 돌출되며 운반물의 전면부와 접하도록 하거나 지지판(321)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운반물과 접하지 않도록 하는 실린더(342)를 포함하며,
    운반물은 컨베어어(310)의 구동에 따른 이동시, 조절바(341)와 접하면서 이동 정지되고, 조절바(341)와 접하지 않으면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KR1020220068976A 2022-06-07 2022-06-07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KR10248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76A KR102488021B1 (ko) 2022-06-07 2022-06-07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76A KR102488021B1 (ko) 2022-06-07 2022-06-07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021B1 true KR102488021B1 (ko) 2023-01-13

Family

ID=8490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976A KR102488021B1 (ko) 2022-06-07 2022-06-07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0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16B1 (ko) * 2013-03-22 2014-08-27 (주)에스티아이 기판과 기판 반송용 트레이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
KR102134337B1 (ko) * 2020-02-19 2020-07-15 씨제이제일제당(주) 포장 박스로부터 물품을 인출하는 인출 시스템
KR102134719B1 (ko) 2018-11-07 2020-07-16 주식회사 티에스케이프리텍 폐리튬이온배터리의 재활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16B1 (ko) * 2013-03-22 2014-08-27 (주)에스티아이 기판과 기판 반송용 트레이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
KR102134719B1 (ko) 2018-11-07 2020-07-16 주식회사 티에스케이프리텍 폐리튬이온배터리의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102134337B1 (ko) * 2020-02-19 2020-07-15 씨제이제일제당(주) 포장 박스로부터 물품을 인출하는 인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98217A (zh) 一种全自动高速卸垛拆包机
CN107364711A (zh) 一种分拣设备及其分拣方法
CN116281283A (zh) 一种智能化吨袋投料***
KR102488021B1 (ko) 버킷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
CN205953050U (zh) 一种全自动袋装货物码垛装置
CN110255148A (zh) 一种基于大数据的物流用输送机
CN211108411U (zh) 双工位激光切割吨包开袋站
CN108435950B (zh) 一种自动化收料设备
CN214732074U (zh) 一种自动卸料agv小车
CN213084526U (zh) 保温箱换冰***及仓储***
CN211110045U (zh) 一种双驱动物流笼车自动倾倒设备
CN210682510U (zh) 一种桶自动提升翻倒机
CN210635147U (zh) 一种多维度垃圾分类收集、运输、处理***
CN211109990U (zh) 一种智能物流***用自动笼车倾倒设备
KR20210117422A (ko) 물품 수거 운반차량의 바케트 승하강 장치
CN208086628U (zh) 废钢的履带式输送机
CN210102996U (zh) 一种电石卸车初破除尘***
JP2792794B2 (ja) ゴミの分別搬送装置
JP2667764B2 (ja) 建築廃棄物の処理装置とその処理方法
CN214117609U (zh) 一种建筑墙体一体化拆卸施工***
CN212093684U (zh) 智能识别的垃圾处理***
CN111003511B (zh) 一种视窗玻璃下料***
CN216402732U (zh) 一种环料提升机剔料机构
CN217322484U (zh) 集装箱定量装卸料仓
CN214298344U (zh) 一种卸料机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