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657B1 -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657B1
KR102486657B1 KR1020220104583A KR20220104583A KR102486657B1 KR 102486657 B1 KR102486657 B1 KR 102486657B1 KR 1020220104583 A KR1020220104583 A KR 1020220104583A KR 20220104583 A KR20220104583 A KR 20220104583A KR 102486657 B1 KR102486657 B1 KR 102486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ier
product
amount
supply
inven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핑고래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핑고래, 김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핑고래
Priority to KR102022010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가맹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맹점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가맹점의 매장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1 재고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용품에 대한 재고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용품에 대한 발주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용품의 발주 요청을 통해 상기 제1 용품의 발주량인 제1 발주량을 확인하는 단계; 복수의 공급처들 중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제1 공급처가 선정되면, 상기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2 재고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재고량이 상기 제1 발주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용품을 상기 제1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것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ORDER AND SUPPLY THROUGH INVENTORY OF CAMPING EQUIPMENT SALES STORE AND SUPPLIER}
아래 실시예들은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용품을 공급하는 공급처와, 공급처로부터 공급받은 캠핑용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맹점 사이에서의 발주 및 공급은, 엑셀과 같은 스프레드 시트 프로그램으로 파일을 만들어 발주 및 공급 현황을 취합하여 집계하는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공급처는 가맹점으로부터 받은 발주 주문을 실제 용품의 재고와 비교 및 확인하는 작업을 거쳐 용품을 출고하고, 출고하는 용품에 대해 손으로 영수증을 기입하여 발송하게 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단가 작성시 착오, 용품명 기입시 오류 등으로 인해 정산시 다수의 오류가 발생하며, 실제 출고된 용품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맹점과 공급처 간에 쉽고 편리하게 용품을 발주하고 공급할 수 있는 플랫폼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이와 관련된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14064호 한국등록특허 제10-2211437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7172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21358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가맹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맹점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가맹점의 매장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1 재고량을 확인하고, 제1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용품에 대한 재고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제1 가맹점 단말로부터 제1 용품에 대한 발주 요청이 수신되면, 제1 용품의 발주 요청을 통해 제1 용품의 발주량인 제1 발주량을 확인하고, 복수의 공급처들 중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하고,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제1 공급처가 선정되면,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2 재고량을 확인하고, 제2 재고량이 제1 발주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용품을 제1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것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로 전송하는,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가맹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맹점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가맹점의 매장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1 재고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용품에 대한 재고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용품에 대한 발주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용품의 발주 요청을 통해 상기 제1 용품의 발주량인 제1 발주량을 확인하는 단계; 복수의 공급처들 중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제1 공급처가 선정되면, 상기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2 재고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재고량이 상기 제1 발주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용품을 상기 제1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것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가맹점들 각각의 발주 내역을 취합하여, 전체 발주 내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체 발주 내역에서 상기 제1 용품의 발주 내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용품의 발주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용품의 발주 패턴을 기간 별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용품의 발주 패턴에 기초하여, 제1 기간 이후인 제2 시간 동안에 발주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기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2 재고량과 상기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재고량이 상기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에서 상기 제2 재고량을 차감한 값으로, 상기 제1 용품의 입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용품의 입고량에 대한 추가 입고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공급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1 공급처의 공급 내역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용품의 공급량인 제1 공급량과 전체 용품의 공급량인 전체 공급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급량을 상기 전체 공급량으로 나눈 값으로,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급처의 창고 공간의 부피가 제1 부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부피와 상기 제1 비율을 곱한 값으로, 제2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용품의 부피가 제3 부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부피와 상기 제2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4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부피가 상기 제4 부피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부피에서 상기 제4 부피를 차감한 값으로, 제5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5 부피를 상기 제3 부피로 나눈 값으로, 상기 제1 용품의 입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용품의 입고량에 대한 추가 입고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공급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가맹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맹점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가맹점의 매장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1 재고량을 확인하고, 제1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용품에 대한 재고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제1 가맹점 단말로부터 제1 용품에 대한 발주 요청이 수신되면, 제1 용품의 발주 요청을 통해 제1 용품의 발주량인 제1 발주량을 확인하고, 복수의 공급처들 중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하고,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제1 공급처가 선정되면,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2 재고량을 확인하고, 제2 재고량이 제1 발주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용품을 제1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것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가맹점과 공급처 간에 쉽고 편리하게 용품을 발주하고 공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주 패턴 예측을 통해 공급처의 재고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량 및 용품 부피에 따라 공급처의 재고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 공급처를 확인하여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경력 공급처를 확인하여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처들의 각각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을 분석하여 공급 소요 기간이 빠른 공급처를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가맹점 단말(100), 복수의 공급처 단말(200) 및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가맹점 단말(100) 각각과 복수의 공급처 단말(200) 각각은 통신 기능을 갖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POS 단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가맹점 단말(100)은 캠핑용품을 판매하는 가맹점들이 사용하는 단말로, 제1 가맹점이 사용하는 제1 가맹점 단말(110), 제2 가맹점이 사용하는 제2 가맹점 단말(12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공급처 단말(200)은 캠핑용품을 공급하는 공급처들이 사용하는 단말로, 제1 공급처가 사용하는 제1 공급처 단말(210), 제2 공급처가 사용하는 제2 공급처 단말(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가맹점 단말(110) 및 제1 공급처 단말(21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2 가맹점 단말(120) 등의 다른 가맹점 단말에서 제1 가맹점 단말(1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하고, 제2 공급처 단말(220) 등의 다른 공급처 단말에서 제1 공급처 단말(2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복수의 가맹점 단말(100) 각각과 복수의 공급처 단말(200) 각각은 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장치(300)로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가맹점 단말(100) 각각과 복수의 공급처 단말(200) 각각에는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장치(3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장치(300)는 장치(3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3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0)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100) 및 복수의 공급처 단말(2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0)는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되어,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100) 중 제1 가맹점 단말(110) 및 제2 가맹점 단말(120)만을 도시하고, 복수의 공급처 단말(200) 중 제1 공급처 단말(210) 및 제2 공급처 단말(220)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3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가맹점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가맹점의 매장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1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맹점은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으로 제휴되어 있는 복수의 가맹점들 중 어느 하나이고, 제1 가맹점의 재고 정보는 제1 가맹점의 매장에 보관되어 있는 용품들 각각의 재고 현황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0)는 제1 가맹점의 매장에 용품들이 새로 입고되거나, 제1 가맹점의 매장에서 용품들이 판매되는 것을 추적하여, 제1 가맹점의 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가맹점의 매장에서 취급하는 용품에는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어, 바코드의 인식을 통해 입고부터 판매까지 추적 관리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복수의 가맹점들 각각에서 바코드의 인식을 통해 용품들의 입고부터 판매까지 추적 관리되면, 바코드의 인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용품들의 재고 현황을 가맹점 별로 파악할 수 있으며, 가맹점 별로 구분된 재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장치(300)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제1 가맹점의 매장에 보관되어 있는 용품들의 재고량을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제1 가맹점의 재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제1 가맹점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가맹점의 매장에 보관되어 있는 용품들 각각의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제1 가맹점의 매장에 보관되어 있는 용품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용품의 재고량을 제1 재고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재고량이 제1 기준량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량은 제1 용품의 카테고리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품이 캠핑용품의 카테고리 중 텐트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용품인 경우, 제1 기준량은 5개로 설정될 수 있고, 제1 용품이 캠핑용품의 카테고리 중 주방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용품인 경우, 제1 기준량은 10개로 설정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제1 재고량이 제1 기준량 보다 적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기간이 지난 이후,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제1 가맹점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재고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제1 재고량이 제1 기준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2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에 대한 재고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가맹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300)는 제1 재고량이 제1 기준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기준량에서 제1 재고량을 차감한 값으로, 제1 용품의 필요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제1 용품의 필요량에 대한 재고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가맹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가맹점의 매장에 제1 용품이 제1 기준량 이상으로 보관되는 것이 유지되도록, 제1 용품의 재고량을 모니터링하고, 제1 용품의 재고량이 제1 기준량 보다 적은 경우, 제1 용품에 대한 재고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가맹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가맹점 단말(110)로부터 제1 용품에 대한 발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품에 대한 발주 요청 시 제1 용품의 발주량이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용품의 발주량은 제1 가맹점을 관리하는 가맹점주에 의해 수동 설정될 수 있고, 제1 용품의 필요량으로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의 발주 요청을 통해 제1 용품의 발주량인 제1 발주량을 확인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중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제1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다. 공급처를 선정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207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중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한 결과,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제1 공급처가 선정되면,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2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급처는 캠핑용품을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처들 중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선정된 공급처이고,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는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용품들 각각의 재고 현황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300)는 제1 공급처의 창고에 용품들이 새로 입고되거나, 제1 공급처의 창고에서 용품들이 출고되는 것을 추적하여,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공급처의 창고에서 취급하는 용품에는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어, 바코드의 인식을 통해 입고부터 출고까지 추적 관리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각각에서 바코드의 인식을 통해 용품들의 입고부터 출고까지 추적 관리되면, 바코드의 인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용품들의 재고 현황을 공급처 별로 파악할 수 있으며, 공급처 별로 구분된 재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장치(300)는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제1 공급처가 선정되면,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용품들의 재고량을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용품들 각각의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용품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용품의 재고량을 제2 재고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재고량이 제1 발주량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제2 재고량이 제1 발주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2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을 제1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것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2 재고량이 제1 발주량 보다 많은 경우, 제1 용품의 즉시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용품을 제1 발주량 만큼 제1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것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제2 재고량이 제1 발주량 보다 많지 않은 경우, S210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에 대한 추가 입고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2 재고량이 제1 발주량 보다 적은 경우, 제1 용품의 즉시 공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용품에 대한 추가 입고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S210 단계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난 이후, S207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재고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발주 패턴 예측을 통해 공급처의 재고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가맹점들 각각의 발주 내역을 취합하여, 전체 발주 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복수의 가맹점들 각각의 발주 내역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발주 내역을 취합하여, 전체 발주 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0)는 데이터베이스에 가맹점 별로 구분된 발주 내역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발주 내역은 가맹점이 용품을 주문하여 발주한 발주 내역이 누적된 정보로, 어느 시점에 어느 용품을 얼마나 많이 주문하였는지 나타내는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전체 발주 내역은 각 가맹점의 발주 내역을 취합한 것으로, 어느 가맹점이 어느 시점에 어느 용품을 얼마나 많이 주문하였는지 나타내는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고, 가맹점명, 용품명, 발주일, 발주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전체 발주 내역에서 제1 용품의 발주 내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전체 발주 내역에서 용품명을 기준으로 제1 용품의 발주 내역을 추출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의 발주 내역에 기초하여, 제1 용품의 발주 패턴을 기간 별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제1 용품의 발주 패턴을 주, 월, 분기, 년 등의 기간 별로 분석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의 발주 패턴에 기초하여, 제1 기간 이후인 제2 기간 동안에 발주할 것으로 예측되는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간 및 제2 기간은 동일한 길이의 기간으로, 주, 월, 분기, 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간이 1월로 설정되면 제2 기간은 2월로 설정될 수 있고 제1 기간이 1분기로 설정되면 제2 기간은 2분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최근 10년 동안 제1 용품의 발주 내역을 통해, 1월에 평균적으로 30개, 2월에 평균적으로 40개, 3월에 평균적으로 50개 발주된 것이 확인되면, 월별 평균 발주량을 기반으로, 제1 용품의 월별 발주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제1 기간이 1월로 설정되고 제2 기간이 2월로 설정되면, 제2 기간 동안에 발주할 것으로 예측되는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을 40개로 산정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기간이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제1 기간이 시작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복수의 가맹점들 각각의 발주 내역을 다시 취합하여, 전체 발주 내역을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기간이 시작할 때까지, S301 단계부터 S304 단계까지 반복 수행하여, 최근 발주 내역을 추가로 반영하여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을 다시 산정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제1 기간이 시작된 것으로 확인되면, S3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기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제1 기간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2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재고량이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기간 동안 제2 재고량과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을 비교하여, 제2 재고량이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제2 재고량이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 보다 적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기간이 지난 이후, S306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제1 기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제2 재고량과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을 비교하여, 제2 재고량이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 보다 많은지 여부를 계속 확인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제2 재고량이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에서 제2 재고량을 차감한 값으로, 제1 용품의 입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의 입고량이 산출되면, 제1 용품의 입고량에 대한 추가 입고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S310 단계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난 이후, S306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300)는 제1 기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제2 재고량과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을 비교하여, 제1 공급처의 창고에 제1 용품이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 이상으로 보관되는 것이 유지되도록, 제1 용품의 재고량을 모니터링하고, 제1 용품의 재고량이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 보다 적은 경우, 제1 용품의 입고량에 대한 추가 입고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량 및 용품 부피에 따라 공급처의 재고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공급처의 공급 내역을 기반으로, 제1 용품의 공급량인 제1 공급량과 전체 용품의 공급량인 전체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공급처의 공급 내역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제1 공급처의 공급 내역을 기반으로, 제1 공급량과 전체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0)는 데이터베이스에 공급처 별로 구분된 공급 내역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 내역은 공급처가 용품을 공급하여 가맹점으로 배송한 공급 내역이 누적된 정보로, 어느 시점에 어느 용품을 얼마나 많이 공급하였는지 나타내는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고, 용품명, 공급일, 공급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1 공급처의 공급 내역을 기반으로, 최근 1년 동안 각 용품의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고, 각 용품의 공급량 중 제1 용품의 공급량을 제1 공급량으로 확인하고, 각 용품의 공급량을 모두 합산한 전체 용품의 공급량을 전체 공급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공급량을 전체 공급량으로 나눈 값으로, 제1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1 공급량이 10개이고, 전체 공급량이 100개인 경우, 제1 비율을 10%로 산출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공급처의 창고 공간의 부피를 제1 부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공급처의 창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제1 공급처의 공급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공급처의 창고 공간의 부피를 제1 부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0)는 데이터베이스에 공급처 별로 구분된 창고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장치(300)는 S402 단계를 통해 제1 비율이 산출되고 S403 단계를 통해 제1 부피가 확인되면, 제1 부피와 제1 비율을 곱한 값으로, 제2 부피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1 부피가 1000㎤이고 제1 비율이 10%인 경우, 제2 부피를 100㎤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S4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의 부피를 제3 부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용품의 제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제1 용품의 제품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용품의 부피를 제3 부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300)는 데이터베이스에 용품 별로 구분된 제품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2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장치(300)는 S404 단계를 통해 제3 부피가 확인되고 S405 단계를 통해 제2 재고량이 확인되면, 제3 부피와 제2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4 부피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3 부피가 2㎤이고 제2 재고량이 100개인 경우, 제4 부피를 200㎤으로 산출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부피가 제4 부피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제2 부피가 제4 부피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4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2 부피에서 제4 부피를 차감한 값으로, 제5 부피를 산출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5 부피를 제3 부피로 나눈 값으로, 제1 용품의 입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장치(300)는 제5 부피를 제3 부피로 나눈 값에 몫과 나머지가 있는 경우, 몫을 제1 용품의 입고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2 부피가 110㎤이고 제3 부피가 2㎤이고 제4 부피가 100㎤이고, 제5 부피가 10㎤인 경우, 장치(300)는 제5 부피를 제3 부피로 나눈 값으로 5가 산출되면, 제1 용품의 입고량을 5개로 산출할 수 있다.
S411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의 입고량에 대한 추가 입고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용품의 공급량 및 제1 용품의 부피에 따라, 제1 용품이 제1 공급처의 창고에서 어느 정도 이상 자리를 차지하여 보관되는 것이 유지되도록, 제1 용품의 재고량을 모니터링하고, 제1 공급처의 창고 공간에 제1 용품이 입고될 자리가 있는 경우, 제1 용품의 입고량에 대한 추가 입고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 공급처를 확인하여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각각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공급처들 각각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중 제1 용품을 창고에 보관하고 있는 공급처를 보관 공급처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각각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을 확인한 결과, 제1 용품의 재고량이 하나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 공급처를 보관 공급처로 분류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중 보관 공급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복수의 공급처들 중 보관 공급처가 하나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1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503 단계에서 복수의 공급처들 중 보관 공급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4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중 보관 공급처가 하나만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복수의 공급처들 중 보관 공급처가 하나만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5 단계에서, 장치(300)는 보관 공급처가 제1 공급처 하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복수의 공급처들 중 보관 공급처가 둘 이상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506 단계에서, 장치(300)는 보관 공급처들 각각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을 비교하여,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1 공급처 및 제2 공급처가 보관 공급처로 분류되고,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이 10개, 제2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이 5개인 경우,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제1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보관 공급처가 제1 공급처 하나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제1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0)는 보관 공급처가 둘 이상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보관 공급처들 각각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을 비교하여,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제1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경력 공급처를 확인하여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중 제1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공급처를 경력 공급처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각각의 공급 내역을 확인한 결과, 제1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공급처를 경력 공급처로 분류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중 경력 공급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복수의 공급처들 중 경력 공급처가 하나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의 브랜드인 제1 브랜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브랜드 정보를 기초로,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공급처를 분석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공급처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제1 공급처가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S602 단계에서 복수의 공급처들 중 경력 공급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3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중 경력 공급처가 하나만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복수의 공급처들 중 경력 공급처가 하나만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장치(300)는 경력 공급처가 제1 공급처 하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복수의 공급처들 중 경력 공급처가 둘 이상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가맹점의 매장 위치와 경력 공급처들 각각의 창고 위치를 비교하여, 제1 가맹점의 매장 위치와 제1 공급처의 창고 위치가 가장 가까운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300)는 제1 공급처 및 제2 공급처가 경력 공급처로 분류되고, 제1 가맹점의 매장 위치와 제1 공급처의 창고 위치 간의 거리가 1km, 제1 가맹점의 매장 위치와 제2 공급처의 창고 위치 간의 거리가 2km인 경우, 제1 가맹점의 매장 위치와 제1 공급처의 창고 위치가 가장 가까운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609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제1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경력 공급처가 제1 공급처 하나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제1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0)는 경력 공급처가 둘 이상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1 가맹점의 매장 위치와 경력 공급처들 각각의 창고 위치를 비교하여, 제1 가맹점의 매장 위치와 제1 공급처의 창고 위치가 가장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제1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장치(300)는 경력 공급처가 하나도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1 공급처가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제1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0)는 제1 브랜드 정보를 기초로,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공급처 중 어느 공급처가 제1 브랜드와 친밀한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공급처 중 공급 소요 기간일 짧은 공급처를 제1 브랜드와 친밀하다고 판단하여 해당 공급처를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고,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많이 공급한 공급처를 제1 브랜드와 친밀하다고 판단하여 해당 공급처를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처들의 각각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을 분석하여 공급 소요 기간이 빠른 공급처를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중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공급처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용품의 브랜드인 제1 브랜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브랜드 정보를 통해 제1 브랜드로 판매되는 용품의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장치(300)는 복수의 공급처들 각각의 공급 내역에서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지 확인하여,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공급처를 추출하여 제1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공급처들의 제1 브랜드에 대응하는 공급 경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공급처들의 공급 경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제1 브랜드에 대응하는 공급 경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브랜드에 대응하는 공급 경험 데이터는 제1 브랜드의 용품을 얼마나 많이 공급하였는지, 제1 브랜드 용품의 발주 주문을 획득한 시점부터 공급 완료 시점까지 얼마나 소요되었는지, 제1 브랜드 용품을 공급받은 가맹점의 만족도 등의 제1 브랜드 용품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1 브랜드에 대응하는 공급 경험 데이터들에서 주문 시작 시점부터 공급 완료 시점 까지의 공급 소요 기간들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브랜드에 대응하는 공급 경험 데이터들에서 가맹점으로부터 제1 브랜드의 용품 발주를 요청받은 주문 시작 시점부터 가맹점이 제1 브랜드의 용품을 수령한 공급 완료 시점까지의 공급 소요 기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공급처인 제1 공급처의 공급 경험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제1 가맹점으로부터 제1 브랜드의 용품에 대한 발주가 4월 1일에 요청되고 제1 가맹점이 해당 용품을 수령한 날짜가 4월 15일인 경우, 장치(300)는 공급 소요 기간을 14일로 생성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300)는 공급 소요 기간들을 기초로,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공급처들 각각에 대응하는 평균 공급 소요 기간들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공급처들의 제1 브랜드로 판매되는 용품의 공급 소요 기간들을 추출할 수 있고, 각 공급처마다 공급 소요 기간들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공급처인 제1 공급처의 공급 소요 기간들을 확인한 결과 각각 14일, 6일, 10일인 경우, 장치(300)는 제1 공급처의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을 10일로 생성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300)는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이 미리 정의된 임계 기간보다 짧은 경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 내 가중치들 중에서 소요 기간에 대한 가중치를 평균 공급 소요 기간에 반비례하여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공급처들의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이 미리 정의된 임계 기간보다 짧은 공급처들을 추출하고, 해당 공급처들의 공급처를 매칭하기 위한 기준 내 가중치들 중에서 소요 기간에 대한 가중치를 평균 공급 소요 기간에 반비례하여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공급처인 제1 공급처의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이 10일이고, 제2 공급처의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이 6일이고, 제3 공급처의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이 12일이고, 제4 공급처의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이 17일이고, 미리 정의된 임계 기간이 14일인 경우, 장치(300)는 제4 공급처의 경우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인 17일이 임계 기간인 14일 보다 길기 때문에 소요 기간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고, 제2 공급처에게 소요 기간에 대한 가중치를 10점 부여하고, 제1 공급처에게 소요 기간에 대한 가중치를 6점 부여하고, 제3 공급처에게 소요 기간에 대한 가중치를 5점 부여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장치(300)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제1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장치(3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공급처 중 제1 공급처의 평균 공급 소요 기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제1 공급처로 선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0)는 프로세서(310) 및 메모리(3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3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가맹점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가맹점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가맹점의 매장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1 재고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용품에 대한 재고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용품에 대한 발주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용품의 발주 요청을 통해 상기 제1 용품의 발주량인 제1 발주량을 확인하는 단계;
    복수의 공급처들 중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로 제1 공급처가 선정되면, 상기 제1 공급처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용품의 재고량인 제2 재고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재고량이 상기 제1 발주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용품을 상기 제1 가맹점으로 배송하는 것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공급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공급처들 각각의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공급처들 각각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용품의 재고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공급처들 중 상기 제1 용품을 창고에 보관하고 있는 공급처를 보관 공급처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보관 공급처가 상기 제1 공급처 하나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상기 제1 공급처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보관 공급처가 둘 이상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보관 공급처들 각각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용품의 재고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공급처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용품의 재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상기 제1 공급처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보관 공급처가 하나도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급처들 중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공급처를 경력 공급처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경력 공급처가 상기 제1 공급처 하나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상기 제1 공급처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경력 공급처가 둘 이상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가맹점의 매장 위치와 상기 경력 공급처들 각각의 창고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가맹점의 매장 위치와 상기 제1 공급처의 창고 위치가 가장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상기 제1 공급처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경력 공급처가 하나도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용품의 브랜드인 제1 브랜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브랜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공급처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공급처가 상기 제1 브랜드에 포함된 용품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용품을 공급할 공급처를 상기 제1 공급처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맹점들 각각의 발주 내역을 취합하여, 전체 발주 내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체 발주 내역에서 상기 제1 용품의 발주 내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용품의 발주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용품의 발주 패턴을 기간 별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용품의 발주 패턴에 기초하여, 제1 기간 이후인 제2 시간 동안에 발주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기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2 재고량과 상기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재고량이 상기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용품의 예상 주문량에서 상기 제2 재고량을 차감한 값으로, 상기 제1 용품의 입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용품의 입고량에 대한 추가 입고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공급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처의 공급 내역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용품의 공급량인 제1 공급량과 전체 용품의 공급량인 전체 공급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급량을 상기 전체 공급량으로 나눈 값으로,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급처의 창고 공간의 부피가 제1 부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부피와 상기 제1 비율을 곱한 값으로, 제2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용품의 부피가 제3 부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부피와 상기 제2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4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부피가 상기 제4 부피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부피에서 상기 제4 부피를 차감한 값으로, 제5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5 부피를 상기 제3 부피로 나눈 값으로, 상기 제1 용품의 입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용품의 입고량에 대한 추가 입고가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공급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
KR1020220104583A 2022-08-22 2022-08-22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86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583A KR102486657B1 (ko) 2022-08-22 2022-08-22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583A KR102486657B1 (ko) 2022-08-22 2022-08-22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657B1 true KR102486657B1 (ko) 2023-01-10

Family

ID=8489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583A KR102486657B1 (ko) 2022-08-22 2022-08-22 캠핑용품 판매 가맹점 및 공급처의 재고량을 통해 발주 및 공급을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6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280B1 (ko) * 2009-01-05 2011-07-13 한국화스너(주) 납품관리 네트웍연계형 재고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1358B1 (ko) 2010-10-26 2013-01-17 한국화스너(주) 웹기반 산업부품류 조달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171722B1 (ko) 2019-10-22 2020-10-29 주식회사 동화인포텍 수주예측정보를 이용한 생산, 재고관리 계획통합시스템
KR102211437B1 (ko) 2019-10-22 2021-02-03 윤종열 Mrp를 기반으로 수주예측정보를 산출하여 재고를 관리하는 통합 재고관리 운영방법
KR102314064B1 (ko) 2021-04-28 2021-10-15 김종우 매장의 물품 발주 및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340179B1 (ko) * 2021-11-12 2021-12-17 주식회사 파스토 머신러닝 기반 수요예측을 이용한 피킹 로케이션 보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22702A (ko) * 2020-08-19 2022-02-28 여석현 과거 입출고 빅데이터 분석 기반 ssd 재고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280B1 (ko) * 2009-01-05 2011-07-13 한국화스너(주) 납품관리 네트웍연계형 재고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1358B1 (ko) 2010-10-26 2013-01-17 한국화스너(주) 웹기반 산업부품류 조달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171722B1 (ko) 2019-10-22 2020-10-29 주식회사 동화인포텍 수주예측정보를 이용한 생산, 재고관리 계획통합시스템
KR102211437B1 (ko) 2019-10-22 2021-02-03 윤종열 Mrp를 기반으로 수주예측정보를 산출하여 재고를 관리하는 통합 재고관리 운영방법
KR20220022702A (ko) * 2020-08-19 2022-02-28 여석현 과거 입출고 빅데이터 분석 기반 ssd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314064B1 (ko) 2021-04-28 2021-10-15 김종우 매장의 물품 발주 및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340179B1 (ko) * 2021-11-12 2021-12-17 주식회사 파스토 머신러닝 기반 수요예측을 이용한 피킹 로케이션 보충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568B1 (ko) 수요 공급 예측을 통한 물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lbermayr et al. A multiple sourcing inventory model under disruption risk
Ramasesh et al. Sole versus dual sourcing in stochastic lead-time (s, Q) inventory models
Veinott Jr Optimal policy in a dynamic, single product, nonstationary inventory model with several demand classes
Wong et al. Simple, efficient heuristics for multi-item multi-location spare parts systems with lateral transshipments and waiting time constraints
KR102352329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물품 주문, 물류 및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0880084A (zh) 一种仓库补货的方法和装置
Benjaafar et al. Production‐inventory systems with imperfect advance demand information and updating
Archibald Modelling replenishment and transshipment decisions in periodic review multilocation inventory systems
Bozer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mall-batch container delivery systems used in lean manufacturing–Part 1: system stability and distribution of container starts
KR20170059248A (ko) 창고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60110735A1 (en) Big data sourcing simulator
Mamani et al. Lead time management through expediting in a continuous review inventory system
KR102392212B1 (ko) 마트 운영을 위한 매출 분석 및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79322B1 (ko) 온라인 기반 건축 자재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26583B1 (ko) 매입매출 기반의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4254845A (zh) 仓库选址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6594801B2 (ja) 需給調整装置、需給調整システム、及び需給調整方法
KR20210144299A (ko) 구매 및 물류 관리 대행 시스템
CN107808265B (zh) 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09978421B (zh) 信息输出方法和装置
US9797731B2 (en) Consolidating and transforming object-descriptive input data to distributed rendered location data
CN114140252A (zh) 一种目标对象的资源分配方法及相关装置
Lau et al. A case-based roadmap for lateral transshipment in supply chain inventory management
KR101632121B1 (ko) 비로그인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립금을 제공하는 적립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