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475B1 -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475B1
KR102486475B1 KR1020160047851A KR20160047851A KR102486475B1 KR 102486475 B1 KR102486475 B1 KR 102486475B1 KR 1020160047851 A KR1020160047851 A KR 1020160047851A KR 20160047851 A KR20160047851 A KR 20160047851A KR 102486475 B1 KR102486475 B1 KR 102486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ad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593A (ko
Inventor
하정래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7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4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유입을 감지하여 유입된 액체에 기인하는 전자기기의 기능저하 및 기능상실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제1패드와, 제2패드와, 전압 감지부를 포함한다. 제1패드는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패드는 기판의 일면에서 제1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압 감지부는 제1패드와 제2패드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전압 감지부는 제1패드와 제2패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제1패드와 제2패드가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한다.

Description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SENSING LIQUID INFLOW FOR ELECTRONIC CONTROL UNIT}
본 발명은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유입을 감지하여 유입된 액체에 기인하는 전자기기의 기능저하 및 기능상실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가진 액추에이터와, 오일을 저장하는 레저버와, 밸브와 연결되는 유압조정유닛(Hydraulic Control Unit, HCU)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제어유닛은 전자회로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과, 다수의 센서인터페이스와, 모터드라이브와, 통신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제어유닛은 밸브의 누수 또는 전자제어유닛 자체의 실링이 파손되면서 오일과 같은 액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면 전자제어유닛의 구성요소들이 오염됨과 동시에 부식되어 손상될 수 있는데, 특히 전자회로와 같은 구성요소는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전기 소자들이 유입된 오일와 같은 액체에 의해새 부식되면서 전자제어유닛이 손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전기 소자들이 부식되면서 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고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 될 수 있으며 차량화재와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9-02081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전자제어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를 감지하고 이를 경고함으로써,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를 감지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이며,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하는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부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가 모아지는 액체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제1패드와 제2패드는 바닥면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 접하는 액체가 잔류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일정길이의 요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는 상기 요홈의 양단에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유입 감지방법이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하는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상기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압과 상기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로부터 상기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비교부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에서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더 포함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경고부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은 전자제어유닛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함으로써, 액체유입감지시 전자제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과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는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의 비교부, 경고부, 차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의 비교부, 경고부, 차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100)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유입을 감지하여 유입된 액체에 기인하는 전자기기의 기능저하 및 기능상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써, 제1패드(110), 제2패드(120), 전압 감지부(130), 비교부(140), 경고부(150) 및 차단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패드(110)는 기판(10)의 일면에 형성되고, 그라운드(G)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10)은 경성 또는 연성의 인쇄회로기판(PCB)이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제1패드(110)는 기판(10)의 일면에 패턴인쇄 또는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운드(G)는 기판(10)에 형성되거나 또는 기판(10)의 외부에 형성되어 제1패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외부를 외부로 흘려보낼 수 있는 접지부이다.
상기 제2패드(120)는 기판(10)의 일면에서 제1패드(110)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재이다.
제2패드(120)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일정 세기의 전압을 인가받게 되며, 기판(10)상에 제1패드(1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제1패드(110)와 마찬가지로 패턴인쇄 되거나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판(10)은 전자제어유닛(100)에서 다양한 전기소자를 포함하는 전장품이 내장되는 하우징(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판(10)은 전자제어유닛(100)의 하우징(10) 바닥면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기판(10)은 하우징(2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기판(10)이 하우징(20)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 전자제어유닛(100)의 하우징(20)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는 하우징(20)의 바닥면에서부터 서서히 차오르기 때문에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하우징(20)의 최저면에 위치하는 기판(10)에 접하면서 전압 감지부(130)에 의한 감지를 액체의 유입 초기에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판(10)이 하우징(2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하우징(20)의 최저면에 대하여 일정높이에 이격배치됨에 따라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바닥면에서부터 서서히 차오르게 되면서 일정수위 이상일 때 전압 감지부(130)에 의한 감지를 액체의 유입 초기 이후에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0) 내부에 유입되는 액체의 수위에 따라 액체 유입을 감지할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은 하우징(20)의 최저면 바닥면에 함몰형성되어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가 모아지는 액체 수용부(미도시)에 배치됨으로써 기판(10)에 형성된 제1,2패드(110, 120)과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간의 접촉에 의한 감지작동을 보다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기판(10)에 접하여 잔류하도록 기판(10)의 일면에 일정길이 함몰형성되는 요홈(미도시)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가 요홈에 채워지게 되어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한 전압 감지부(130)의 감지를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기판(10)의 일면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압 감지부(130)는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전압 감지부(130)는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단락된 상태에서 제1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제어유닛(100)의 하우징(20)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전자제어유닛(100)은 정상 상태이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개방된 상태로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이들 사이에서 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대로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하우징(20)의 내부에 오일이나 물과 같은 액체가 유입된 경우, 전자제어유닛(100)은 비정상 상태이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내부유입된 액체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이들 사이에 일정 저항(R)이 발생하면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전자제어유닛(100)의 하우징(20) 내부로 액체가 유입됨으로써,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형성된 기판에 액체가 접해지거나 유입되는 액체에 침지하게 되면,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는 액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일정 저항(R)이 발생하게 되고,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에서 과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1,2패드(110, 120)사이를 흐르게 되는 전류는 그라운드(G)를 통하여 외부로 흘려보내게 된다.
상기 비교부(140)는 전압 감지부(130)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비교부(140)에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한 결과 제1전압은 제2전압보다 큰 전압값이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비교결과에 따라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조기에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고 전자제어유닛(100)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경고부(150)는 비교부(140)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간의 비교에 의해서 비교결과값을 기초하여 전자제어유닛(100)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경고부(150)에서 경고등으로 경고 신호를 출력하면 차량의 운전자가 경고등을 통해 전자제어유닛(100)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160)는 경고부(150)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근거로 하여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여기서, 차단부(160)는 경고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경과 후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부(140), 경고부(150), 차단부(160)는 전자제어유닛(100) 내부의 액체 유입을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경고하며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수단(A)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하여 하우징(20)의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의 도 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써,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은 제1전압과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S100)와,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단계(S200)와,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300)와,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400)와,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제1전압과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S100)는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단락된 상태에서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전압 감지부(130)를 통해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단락된 상태에서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한다.
전자제어유닛(100)의 하우징(20)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지 않는 정상 상태의 경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개방된 상태로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에서 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반대로, 하우징(2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비정상 상태의 경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에서 일정 저항(R)이 발생하면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됨으로써,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에서 액체에 의해 일정 저항(R)이 발생하게 되며, 전압 검출부(130)를 통해 제1전압과 제2전압을 검출한다.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단계(S200)는 제1전압과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S100) 이후, 전압 감지부(130)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140)로부터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한다.
비교부(140)에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며, 비교부(140)를 통해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한 결과 제1전압은 제2전압보다 큰 전압값이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300)는 전압 감지부(130)로부터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에 기초하여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한다.
즉, 전압 감지부(130)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부(140)를 통해 비교한 후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감지하고, 전자제어유닛(100)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한다.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400)는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비교부(140)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전자제어유닛(100)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150)에서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비교부(140)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경고부(150)는 전자제어유닛(100)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경고부(150)에서 경고등으로 경고 신호를 출력하면 차량의 운전자가 경고등을 통해 전자제어유닛(100)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500)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 경고부(150)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160)로부터 전원을 차단한다.
차단부(160)는 경고부(150)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차단부(160)는 경고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경과 후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결과적으로,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면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의 제1전압과 제2전압을 검출하고,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여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감지한다. 액체의 유입을 감지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정상 상태를 알리며,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과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는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수 것이다.
10 : 기판
20 : 하우징
110 : 제1패드
120 : 제2패드
130 : 전압 감지부
140 : 비교부
150 : 경고부
160 : 차단부

Claims (14)

  1.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를 감지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에 있어서,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하는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가 모아지는 액체수용부에 배치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제1패드와 제2패드는 바닥면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접하는 액체가 잔류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일정길이의 요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는 상기 요홈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11.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유입 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하는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상기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과 상기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로부터 상기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비교부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에서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경고부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
KR1020160047851A 2016-04-19 2016-04-19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 KR10248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851A KR102486475B1 (ko) 2016-04-19 2016-04-19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851A KR102486475B1 (ko) 2016-04-19 2016-04-19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593A KR20170119593A (ko) 2017-10-27
KR102486475B1 true KR102486475B1 (ko) 2023-01-09

Family

ID=6030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851A KR102486475B1 (ko) 2016-04-19 2016-04-19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542A1 (ko) 2017-03-09 2018-09-13 (주)엘지하우시스 폴리락트산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323345A (zh) * 2020-09-02 2023-06-23 汉拿万都株式会社 流入到电子控制装置的外壳内部的液体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033A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브레이크오일 잔류량 표시장치
KR19990020817A (ko) 1997-08-30 1999-03-25 박병재 브레이크 오일의 리킹 방지용 경고 장치
KR100405558B1 (ko) * 2001-09-17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오일부족 경고장치
KR100865940B1 (ko) * 2007-03-28 2008-10-30 키스트 유럽 에프게엠베하 브레이크 오일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브레이크오일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593A (ko)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071B2 (en) Corrosion detection circuit for circuit board and motor drive having the same
KR102486475B1 (ko)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
US20180017462A1 (en) Fluid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head device for moisture detection, in particular in containers for fluid-sensitive electrical and/or electronic components in road vehicles
US9502196B2 (en) Impact switch
EP1947451A2 (en) Urea sensor
US201901786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flow of water into battery system, and vehicle system
US11850539B2 (en) Fuel filter device
KR20130111344A (ko) 차량 연료 시스템의 임계 조건 지시기
US11435253B2 (en) Steer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ITBO20110670A1 (it) Dispositivo per la misurazione della concentrazione di un gas disciolto in un olio di isolamento elettrico
JP2016200597A (ja) センサ、センサを備えた駆動装置部品、駆動装置部品を備えた駆動装置並びに判定方法
BR112017016577B1 (pt) Método para medir a presença de água em filtros de óleo e gás e sensor de água para realizar o método
JP2010025624A (ja) 電気機器の漏電防止装置
JP2015159159A (ja) 半導体液冷モジュール
WO2016111866A1 (en) Steering system water sensor
KR102142653B1 (ko) 램프 고장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7030B1 (ko) 차량의 쿨링팬 제어 장치
US20230273086A1 (en) Device for sensing liquid flowing into housing of electronic control device
JP2006308422A (ja) 車載用半導体センサ
KR102152634B1 (ko) 이온마이그레이션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05189036A (ja) オイルレベル検出装置
KR102682055B1 (ko)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KR100868058B1 (ko) 터널 내벽의 균열위치 확인 감지용 안전진단장치
KR20230155819A (ko) 시동 전 차량 이상검출장치
JP3760792B2 (ja) 水没センサ付き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