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723B1 -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723B1
KR102485723B1 KR1020180061353A KR20180061353A KR102485723B1 KR 102485723 B1 KR102485723 B1 KR 102485723B1 KR 1020180061353 A KR1020180061353 A KR 1020180061353A KR 20180061353 A KR20180061353 A KR 20180061353A KR 102485723 B1 KR102485723 B1 KR 102485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suction unit
holder
separated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851A (ko
Inventor
고기훈
남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723B1/ko
Priority to CN201980036533.6A priority patent/CN112218566B/zh
Priority to EP19810123.0A priority patent/EP3773106B1/en
Priority to PCT/KR2019/006388 priority patent/WO2019231214A1/en
Priority to US16/425,265 priority patent/US11375862B2/en
Publication of KR20190135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 거치장치는 청소기본체의 이탈방향에 따라, 흡입유닛을 홀딩하여 청소기본체만 이탈되거나, 흡입유닛에 대한 홀딩을 해제하여 흡입유닛이 결합된 청소기본체가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구조를 개선한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 본체 내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가전제품이다.
자세하게는 진공청소기는 기본적으로 흡입압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로부터의 흡입압을 통해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사용하고자 하는 피청소면의 종류에 따라 청소툴을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청소기로부터의 청소툴 분리와 결합동작이 요구된다. 청소기의 사용이 끝난 뒤에 청소기를 거치 또는 보관할 때 재차 청소툴을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어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청소기의 장착구조를 개선한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흡입유닛의 분리와 결합구조를 개선한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는 흡입유닛과, 상기 흡입유닛과 분리가능하게 록킹되는 청소기본체를 갖는 청소기가 거치되는 청소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로부터 상기 청소기본체의 이탈방향에 따라, 상기 흡입유닛을 홀딩하여 상기 흡입유닛과 분리된 상기 청소기본체만 이탈되거나, 상기 흡입유닛에 대한 홀딩을 해제하여 상기 흡입유닛이 결합된 상기 청소기본체가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흡입유닛이 록킹된 결합상태, 상기 흡입유닛과 분리되어 이격되는 분리상태와, 상기 흡입유닛과 분리가능하도록 록킹이 해제된 분리가능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동작되고,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분리가능상태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된 상기 청소기에서 상기 청소기본체가 제 1 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분리가능상태로부터 상기 결합상태로 동작되고,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된 상기 청소기에서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분리가능상태로부터 상기 분리상태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의 상방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분리가능상태로 동작되도록, 상기 청소기의 분리버튼을 가압하는 록킹해제돌기로서, 상기 흡입유닛의 상기 제 2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해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해제돌기는, 상기 록킹해제돌기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분리버튼이 가압되면서 형성되는 홈으로 삽입되는 스토퍼면으로서,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탈될 때 상기 흡입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흡입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면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장치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해제돌기는 상기 장치바디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 대한 상기 흡입유닛의 장착 또는 이탈동작과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흡입유닛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에 거치될 때, 상기 흡입유닛홀더는 상기 청소기에서 상기 록킹해제돌기와 대응되는 부분과 이격된 부분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홀더는,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탈될 때 상기 록킹해제돌기와 함께, 상기 흡입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홀더는, 상기 흡입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그 하면에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홀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홀더는, 상기 장치바디에 수용되는 상기 청소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 2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거치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흡입유닛의 이동에 의해 탄성적으로 동작하는 흡입유닛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해제돌기는 상기 분리버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흡입유닛홀더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장치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청소기본체에 분리가능하게 록킹되는 흡입유닛을 갖는 청소기; 상기 청소기가 거치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흡입유닛이 록킹된 결합상태, 상기 흡입유닛이 분리된 분리상태, 상기 흡입유닛이 분리가능한 분리가능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동작되고,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거치장치에 안착될 때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분리가능상태로 동작되고, 상기 거치장치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분리가능상태에서 상기 결합상태로 동작되고, 상기 거치장치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분리가능상태에서 상기 분리상태로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흡입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청소기본체에 대한 록킹 또는 록킹해제를 위해 가압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청소기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장치바디;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장치바디에 형성되는 록킹해제돌기로서, 상기 분리버튼을 가압하여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분리가능상태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록킹해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분리버튼이 가압되어 형성되는 버튼홈으로서, 상기 록킹해제돌기가 삽입되는 버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해제돌기는, 상기 버튼홈의 하면을 형성하는 버튼홈 형성면과 마주하여 상기 흡입유닛의 상기 제 2 방향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흡입유닛의 외면에서 상기 버튼홈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장치바디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유닛을 홀딩하는 흡입유닛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홀더는, 상기 삽입홈의 하면을 형성하는 삽입홈 형성면과 마주하여, 상기 스토퍼면과 함께 상기 흡입유닛의 상기 제 2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홀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장치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청소기본체와 분리가능하게 록킹되는 흡입유닛과,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유닛의 분리동작을 위해 마련되는 분리버튼을 갖는 청소기; 상기 청소기가 거치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청소기가 수용되는 장치바디; 상기 흡입유닛을 홀딩하도록 상기 장치바디에 마련되는 흡입유닛홀더; 상기 청소기가 상기 거치장치에 거치될 때, 상기 분리버튼을 동작시켜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유닛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록킹해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본체가 제 1 방향으로 상기 거치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분리버튼에 대한 상기 록킹해제돌기의 가압이 해제되고, 상기 흡입유닛에 대한 상기 흡입유닛홀더의 홀딩이 해제됨으로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청소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청소기본체와 함께 이탈되며,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상기 거치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분리버튼에 대한 상기 록킹해제돌기의 가압이 유지되고, 상기 흡입유닛에 대한 상기 흡입유닛홀더의 홀딩이 유지됨으로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청소기본체와 분리되어 상기 청소기본체만 이탈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에 대한 청소기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청소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장치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기의 흡입유닛의 분리 및 결합을 쉽게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기거치장치로부터의 이탈방향을 달리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흡입유닛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있어서, 형상이 다른 청소기거치장치가 개시된 청소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본체와 흡입유닛의 분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록킹해제돌기와 분리버튼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를 확대한 사시도.
도 7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가 청소기에 삽입된 단면도.
도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를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하는 도면.
도 10, 11,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가 청소기거치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청소기와 청소기 거치장치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3,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를 청소기 거치장치로부터 이탈하는 도면.
도 15,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본체와 흡입유닛의 분리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를 확대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가 청소기에 삽입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를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하는 도면.
도 22, 23,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가 청소기거치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청소기와 청소기 거치장치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5,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본체와 흡입유닛의 분리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를 확대한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가 청소기에 삽입된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를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하는 도면.
도 32, 33,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가 청소기거치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청소기와 청소기 거치장치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있어서, 형상이 다른 청소기거치장치가 개시된 청소장치의 사시도이다.
청소장치(1)는 청소기(10)와, 청소기 거치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50)는 청소기(10)가 보관 또는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 거치장치(50)에서 충전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50)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되도록 레그(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기 거치장치(50)가 벽면에 기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50)는 한 쌍의 레그(52)를 통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청소기 거치장치(50)는 벽면에 기대도록 마련되나, 청소기 거치장치(50)가 벽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청소기 거치장치(5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도 3과 같이 청소기 거치장치(50)의 장치바디(6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54)와, 베이스(54)를 연결하는 레그(52)를 통해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거치장치(50)는 하나의 레그를 통해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20)는 피청소면 상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미도시)와,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집진장치(24)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장치(24)는 흡입모터(미도시)보다 공기유동의 상류에 배치되어 흡입유닛(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어 모아지도록 구성된다. 집진장치(24)는 청소기 본체(2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2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2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26)을 잡고, 청소기(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청소기 본체(20)는 컨트롤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부(28)에 마련된 전원버튼등을 조작하여 청소기(10)를 온/오프시키거나 흡입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흡입유닛(30)은 청소기 본체(20)에 장착되며, 피청소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유닛(30)은 흡입헤드(32)와 연장관(34)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헤드(32)는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된다.
연장관(34)은 흡입헤드(32)와 청소기 본체(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관(34)의 일단은 흡입헤드(32)와 피봇연결되어, 흡입헤드(32)가 연장관(34)에 대해 관절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유닛(30)은 흡입헤드(32)와 연장관(34)으로 구성된 흡입유닛(30a)을 예로 드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흡입유닛(30)은 브러시가 결합된 형상의 흡입유닛(30b)일 수도 있으며, 좁은 틈을 청소하기 위해 입구가 좁게 형성된 형상의 흡입유닛(30c)일 수도 있다. 흡입유닛(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청소기 거치장치(50)는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종류의 흡입유닛(30b, 30c)을 보관할 수 있도록 연결포트(8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포트(86)는 청소기 거치장치(50)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포트(86)는 청소기 거치장치(50)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종류의 흡입유닛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본체와 흡입유닛의 분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연장관(34)의 타단은 청소기 본체(20)가 분리가능하게 록킹될 수 있다. 청소기(10)에는 분리버튼(42)이 마련되며, 분리버튼(42)을 조작하여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이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버튼(42)은 연장관(34)의 타단에 배치되어, 분리버튼(42)의 조작을 통해 청소기 본체(20)가 연장관(34)과 분리 또는 록킹되도록 구성된다.
분리버튼(42)은 도 6과 같이 록킹해제돌기(66)에 의해 가압되면서, 홀딩홈(47, 도 4, 6 참고)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록킹해제돌기(166)는 분리버튼(142)을 가압하면서 동시에 홀딩홈(47)에 삽입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분리버튼(42)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버튼경계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버튼(42)이 록킹해제돌기(66)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버튼경계부(46)는 홀딩홈(47)을 형성하게 된다.
분리버튼(42)은 탄성을 가지고 흡입유닛(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도 6과 같이 그 일단에 형성되는 후크(42a)가 청소기 본체(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29)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분리버튼(42)의 타단의 가압면(44)을 가압하면, 분리버튼(42)은 회전하면서 그 일단이 청소기 본체(20)로부터 이격되며 청소기 본체(20)에 대한 록킹이 해제된다. 즉, 후크(42a)는 걸림홈(29)으로부터 이탈되어,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의 록킹이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유닛(30)에 분리버튼(42)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청소기 본체(20)에 분리버튼(42)이 위치하여 흡입유닛(30)의 일측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분리버튼(42)은 가압 또는 가압해제를 통해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분리버튼(42)과 록킹해제돌기(66)는 접촉 또는 비접촉식 센서로 구비되고,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로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고 분리버튼(42)이 록킹을 해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분리버튼(42)의 조작을 통해, 청소기 본체(20)는 흡입유닛(30)과 록킹된 결합상태(20a, 도 2, 8, 9, 13참고), 흡입유닛(30)과 분리되어 이격된 분리상태(20c, 도 4, 14참고), 흡입유닛(30)에 대한 록킹이 해제되어 분리가능한 분리가능상태(20b, 도 1, 10참고)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청소기 본체(20)의 분리가능상태(20b)는 분리버튼(42)이 동작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청소기 본체(20)가 흡입유닛(30)으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분리버튼(42)만 눌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흡입유닛(30)은 홀딩홈(36)을 포함할 수 있다. 홀딩홈(36)은 연장관(34)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홀딩홈(36)은 이후 설명하는 흡입유닛 홀더(70)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홀딩홈(36)은 흡입유닛 홀더(70)가 삽입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형성면(3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분리버튼(42)의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홀딩홈(47)을 제 1 홀딩홈(47), 흡입유닛(30)의 홀딩홈(36)을 제 2 홀딩홈(36) 이라 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록킹해제돌기와 분리버튼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를 확대한 사시도, 도 7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가 청소기에 삽입된 단면도이다.
청소기 거치장치(50)는 청소기(10)가 보관 또는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50)에는 청소기(10)가 거치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50)는 청소기(10)의 일부를 수용하는 장치바디(61)와, 흡입유닛이 거치되는 흡입유닛홀더(7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바디(61)는 청소기(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62)을 형성하는 안착면(64)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 거치장치(50)에 대해 전방, 상방 또는 전방과 상방 사이인 대각방향으로 안착 또는 이탈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수용공간(62)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대해 전방, 상방 또는 전방과 상방 사이인 대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바디(61)는 청소기 본체(20)가 수용되는 본체수용공간(62a)을 형성하는 본체안착면(64a)과, 흡입유닛(30)이 수용되는 관수용공간(62b)을 형성하는 관안착면(64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용공간(62)은 본체수용공간(62a)과 관수용공간(6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착면(64)은 본체안착면(64a)과 관안착면(64b)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바디(61)는 청소기(10)가 안착될 때, 관수용공간(62b)에 안착된 흡입유닛(30)의 몸체가 지나도록 개방홈(65)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30)은 그 일단이 관수용공간(62b)에 거치되므로, 나머지 부분은 청소기 거치장치(5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개방홈(65)은 흡입유닛(30)이 청소기 거치장치(50)에 간섭되지 않도록, 흡입유닛(30)의 몸체가 지나도록 구성된다.
청소기 거치장치(50)는 록킹해제돌기(66)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해제돌기(66)는 분리버튼(42)의 가압면(44)을 가압함으로서, 흡입유닛(30)의 청소기 본체(20)에 대한 록킹을 해제하게 된다.
록킹해제돌기(66)는 청소기(10)가 수용공간(62)에 안착시에, 청소기(10)에 마련된 분리버튼(42)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돌기는 분리버튼(42)을 가압함으로서, 분리버튼(42)에 의한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마련된다. 즉, 분리버튼(42)은 록킹해제돌기(66)와 접촉 또는 록킹해제돌기(66)에 의해 가압됨으로서, 청소기본체(20)는 결합상태(20a)에서 분리가능상태(20b)로 변환될 수 있다.
록킹해제돌기(66)는 수용공간(62)을 형성하는 안착면(64)에 형성될 수 있다. 록킹해제돌기(66)는 청소기(10)의 분리버튼(4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청소기(10)가 수용공간(62)에 안착시에,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을 록킹하는 분리버튼(42)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마련된다. 록킹해제돌기(66)는 이후 설명하는 흡입유닛 홀더(7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분리버튼(42)은 청소기(10)에서 록킹해제돌기(66)를 바라보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되면, 분리버튼(4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록킹해제돌기(66)는 스토퍼면(68)을 포함할 수 있다. 록킹해제돌기(66)는 분리버튼(42)을 가압하면서, 스토퍼면(68)을 통해 흡입유닛(30)의 상향이동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스토퍼면(68)은 록킹해제돌기(66)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면(68)은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록킹해제돌기(66)의 스토퍼면(68)은 하방을 향하며, 이와 대응되는 분리버튼(42)에 형성되는 홀딩홈(47)의 하부를 형성하는 이동제한면(48)은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록킹해제돌기(66)가 홀딩홈(47)에 삽입되면 스토퍼면(68)과 이동제한면(48)은 상호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흡입유닛(30)이 상방으로 이동시에, 스토퍼면(68)과 이동제한면(48)은 면접촉하게 되어 흡입유닛(30)이 상향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즉, 청소기 본체(20)는 흡입유닛(30)으로부터 분리되어 분리상태(20c)로 동작하게 된다.
청소기 거치장치(50)는 흡입유닛 홀더(7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70)는 장치바디(61)에 마련되어, 흡입유닛(30)을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흡입유닛 홀더(70)는 장치바디(61)의 일구성일 수 있다. 자세하게는 흡입유닛(30)의 일측에는 홀딩홈(36)이 형성되며, 흡입유닛 홀더(70)는 홀딩홈(36)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홀딩홈(36)은 흡입유닛 홀더(70)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한 쌍의 홀딩홈(36)이 연장관(34)의 일측에서 양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고, 한 쌍의 흡입유닛 홀더(70)가 한 쌍의 홀딩홈(36)에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홀딩홈(36)과 흡입유닛 홀더(70)의 배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딩홈(36)은 흡입유닛 홀더(7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딩홈(36)을 형성하는 홈형성면(38)은 흡입유닛 홀더(70)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70)는 관안착면(64b)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70)는 관안착면(64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 홀더(70)는 관안착면(64b)에 형성된 삽입홀(64c)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70)는 탄성을 가지고 동작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청소기 거치장치(50)는 탄성부재(78, 도 12 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78)는 일단이 청소기 거치장치(50)에 고정되고, 타단이 흡입유닛 홀더(70)에 고정되어, 흡입유닛 홀더(70)가 탄성이동 및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흡입유닛 홀더(70)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청소기 본체(20) 또는 흡입유닛(3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홀(64c)로 흡입유닛 홀더(7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되면 관안착면(64b)으로부터 돌출되어 흡입유닛(30)의 홀딩홈(36)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흡입유닛 홀더(70)는 거치가이드(72)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될 때, 흡입유닛 홀더(70)의 거치가이드(72)는 청소기(1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70)는 청소기(1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홀(64c)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흡입유닛 홀더(70)는 흡입유닛(3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거치가이드(72)는 안착면(64)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거치가이드(72)는 청소기(10)를 다양한 방향으로 청소기 거치장치(50)로 수용하기 위해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거치가이드(72)는 제 1 내지 3 가이드경사부(72a, 72b, 72c)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가이드(72)는 흡입유닛 홀더(70)에서 관안착면(64b)으로부터 가장 높이 돌출된 돌출부(71)로부터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 거치장치(50)에 대해 앞쪽, 위쪽 또는 앞쪽과 위쪽 사이의 대각위치로부터 안착될 수 있다. 거치가이드(72)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되는 방향에 대응되어, 제 1 가이드경사부(72a)는 흡입유닛 홀더(70)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관안착면(64b)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 2 가이드경사부(72b)는 흡입유닛 홀더(70)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관안착면(64b)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3 가이드경사부(72c)는 제 1, 2 가이드경사부(72a, 72b)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경사부(72b)는 위쪽으로 갈수록 관안착면(64b)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므로, 제 2 가이드경사부(72b)의 하부보다 제 2 가이드경사부(72b)의 상부가 관안착면(64b)가 가깝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2 가이드경사부(72a, 72b)는 거치가이드(72)의 엣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제 3 가이드경사부(72c)는 엣지형상의 제 1, 2 가이드경사부(72a, 72b)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3 가이드경사부(72c)는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2 가이드경사부(72a, 72b)는 챔퍼링(chamfering)되어 경사진 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내지 3 가이드경사부(72a, 72b, 72c)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각기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이를 만족한다. 또한 제 1 내지 3 가이드경사부(72a, 72b, 72c)는 경사진 직선엣지, 경사진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진 곡선엣지,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3 가이드경사부(72a, 72b, 72c)는 돌출부(71)로부터 각각 다른 방향으로 관안착면(64b)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의 수용공간(62)에 다양한 방향으로 삽입되더라도, 흡입유닛 홀더(70)가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용공간(62)에 청소기(10)가 삽입된 뒤에 흡입유닛 홀더(70)가 홀딩홈(36)에 삽입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70)는 이탈가이드(74)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된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이탈시킬 때, 흡입유닛 홀더(70)의 이탈가이드(74)은 청소기(10)에 의해 가압되어 흡입유닛 홀더(70)가 삽입홀(64c)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흡입유닛 홀더(70)는 홀딩홈(36)의 홈형성면(38)또는 흡입유닛(30)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홀(64c)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탈가이드(74)은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의 전방으로 이탈되는 방향에 대응되며, 흡입유닛 홀더(70)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관안착면(64b)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탈가이드(74)은 돌출부(71)로부터 후방으로 관안착면(64b)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탈가이드(74)는 흡입유닛 홀더(70)에서 후방으로 경사진 면과 경사진 면의 가장자리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탈가이드(74)는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사진 직선엣지 또는 곡선엣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의 수용공간(62)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이탈시에, 흡입유닛 홀더(70)는 이탈가이드(74)이 홈형성면(38)에 의해 가압되어 적어도 일부가 삽입홀(64c)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분리버튼(42)은 록킹해제돌기(66)로부터 이격되며, 청소기 본체(20)는 분리가능상태(20b)에서 결합상태(20a)로 동작하여, 흡입유닛(30)과 함께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홈형성면(38, 도 4 참고)은 거치가이드(72)과 이탈가이드(74)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2 경사형성면(39a, 39b, 도 4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홈형성면(38)은 이후 설명하는 스토퍼면(76)과 대응되는 이동제한면(40, 도 4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제한면(40)은 홀딩홈(36)의 하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록킹해제돌기(66)가 삽입되는 제 1 홀딩홈(47)의 하면의 이동제한면(48)을 제 1 이동제한면(48)이라 하고, 흡입유닛 홀더(70)가 삽입되는 제 2 홀딩홈(36)의 하면의 이동제한면(40)을 제 2 이동제한면(40)이라할 수 있다. 제 1 홀딩홈(47)은 버튼홈이라 칭할 수 있고, 제 1 이동제한면(48)은 버튼홈 형성면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 2 홀딩홈(36)은 삽입홈이라 칭할 수 있고, 제 2 이동제한면(40)은 삽입홈 형성면이라 칭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70)는 스토퍼면(76, 도 7B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면(76)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된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이탈시킬 때, 흡입유닛 홀더(70)가 흡입유닛(3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스토퍼면(76)은 흡입유닛 홀더(7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면(76)은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70)의 스토퍼면(76)은 하방을 향하며, 이와 대응되는 홀딩홈(36)의 하부를 형성하는 이동제한면(40)은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흡입유닛 홀더(70)가 홀딩홈(36)에 삽입되면 스토퍼면(76)과 이동제한면(40)은 상호 맞닿도록 구성되므로, 흡입유닛(30)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될 때, 청소기 본체(20)는 분리가능상태(20b)로 동작하게 된다. 이후 청소기 본체(20)를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상측으로 이탈시키는 경우, 흡입유닛(30)의 이동제한면(40)은 스토퍼면(76)과 접촉하게 되며 흡입유닛(30)은 이동이 제한된다. 즉, 청소기 본체(20)는 흡입유닛(30)으로부터 분리되어 분리상태(20c)로 동작하게 된다.
록킹해제돌기(66)의 스토퍼면(68)을 제 1 스토퍼면(68, 도 8 참고)이라하고, 흡입유닛 홀더(70)의 스토퍼면(76)을 제 2 스토퍼면(76)이라 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면(68)은 제 2 이동제한면(48)과 맞닿아 흡입유닛(30)의 분리버튼(42)측에서 흡입유닛(30)의 상향이동을 제한한다. 제 2 스토퍼면(76)은 제 2 이동제한면(40)과 맞닿아 흡입유닛(30)의 양측에서 흡입유닛(30)의 상향이동을 제한한다. 제 1, 2 스토퍼면, 제 1, 2 이동제한면은 흡입유닛(30)의 주위를 따라 배치되어, 흡입유닛(30)의 상향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으로 청소기본체(20)가 분리가능상태(20b)에서 분리상태(20c)로 동작할 수 있다. 제 2 스토퍼면(76)은 홀더면이라 칭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50)는 본체홀더(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홀더(80)는 탄성을 가지고 안착면(64)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안착면(64)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체홀더(80)는 청소기본체(20)에 의해 가압된 후, 청소기본체(20)가 안착되거나, 청소기본체(20)가 이탈되면 다시 원위치로 탄성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홀더(80)는 청소기 본체(2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시에 청소기 본체(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본체홀더(80)는 청소기 본체(20)가 수용공간(62)으로 삽입시에, 청소기 본체(20)에 의한 외력에 의해 본체홀더(80)가 안착면(64)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본체가이드면(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본체가이드면(81)은 전방으로 갈수록 안착면(64)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홀더(80)의 후방에는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된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이탈될 시에, 청소기 본체(20)에 의한 외력에 의해 본체홀더(80)가 안착면(64)의 내부로 삽입되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본체가이드면(82, 도 8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본체가이드면(82)은 후방으로 갈수록 안착면(64)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홀더(80)의 상부에는 청소기(10)가 위에서 또는 대각방향에서 수용공간(62)으로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3 본체가이드면(83)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50)는 완충부재(84)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84)는 안착면(64)에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84)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거치될 때, 청소기 본체(20)의 외면과 청소기 거치장치(50)의 안착면(64)이 충돌하는 것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완충부재(84)는 한쌍이 마련되며, 본체안착면(64a)에 상호 대칭되도록 위치한다. 그러나 완충부재(84)의 개수 및 배치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의 거치 또는 이탈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50)에 거치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를 거치장치에 장착하는 도면이다.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이 록킹된 상태로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즉, 청소기 본체(20)가 결합상태(20a) 또는 분리상태(20c)일 때 청소기 거치장치(50)의 수용공간(62)에 안착시킬 수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 거치장치(50)의 전방, 상방 또는 전방과 상방사이인 대각방향으로부터 안착시킬 수 있다. 도 8, 9에서는 각각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의 전방과 대각방향으로부터 수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소기가 상방으로부터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수용될 수도 있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거치되는 과정에서, 흡입유닛 홀더(70)의 거치가이드(72)은 청소기(1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안착면(64)으로 삽입된다. 제 1 내지 3 가이드경사부(72a, 72b, 72c)는 흡입유닛 홀더(70)에서 전방과, 상방과, 전방과 상방의 사이의 대각방향으로 각각 기울어지게 형성되므로, 청소기(10)의 안착방향을 달리하여도 흡입유닛 홀더(70)는 제 1 내지 3 가이드경사부(72a, 72b, 72c)에 의해 청소기(10)의 안착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되면, 흡입유닛 홀더(70)는 탄성을 가지고 원위치로 복귀하여 흡입유닛(30)의 홀딩홈(36)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거치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11,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가 청소기거치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청소기와 거치장치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안착되면,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은 분리가능하도록 분리버튼(42)이 동작하게 된다. 즉, 록킹해제돌기(66)는 분리버튼(42)을 가압하면서, 분리버튼(42)의 이동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홀딩홈(47)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청소기 본체(20)는 결합상태(20a)에서 분리가능상태(20b)로 변환된다. 청소기 거치장치(50)에 흡입유닛(30)만이 거치되어 있고, 청소기 본체(20)가 분리상태(20c)에서 청소기 거치장치(50)로 거치되는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20)는 분리상태(20c)에서 분리가능상태(20b)로 동작하게 된다. 청소기(10)의 분리버튼(42)은,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50)에 거치되면서 도 10과 같이 록킹해제돌기(66)에 접촉 또는 가압되어 동작하게 된다. 이로서,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의 록킹이 해제된다. 또한 흡입유닛 홀더(70)는 청소기(10)의 제 2 홀딩홈(36)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이탈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를 거치장치로부터 이탈하는 도면이다.
청소기 본체(20)를 도 13과 같이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전방으로 이탈시에, 분리버튼(42)은 록킹해제돌기(66)로부터 이격된다. 즉, 분리버튼(42)은 다시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을 록킹되게 된다. 즉, 청소기 본체(20)는 분리가능상태(20b)에서 결합상태(20a)로 변환된다.
청소기 본체(20)를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전방으로 이탈시에, 흡입유닛 홀더(70)는 이탈가이드(74)이 홀딩홈(36)의 경사진 홈형성면(38)에 슬라이딩되면서 가압된다. 흡입유닛 홀더(70)는 안착면(64)을 향해 삽입된다. 이후 청소기(10)가 수용공간(62)을 이탈하면서, 흡입유닛 홀더(70)는 탄성을 가지고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청소기 본체(20)는 결합상태(20a)가 되며, 사용자는 흡입유닛(30)이 장착된 청소기(1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청소기 본체(20)를 도 14와 같이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소기 본체(20)를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시에, 록킹해제돌기(66)는 제 1 이동제한면(68)이 제 1 홀딩홈(47)의 제 1 스토퍼면(48)에 걸리게 된다. 또한 흡입유닛 홀더(70)는 제 2 이동제한면(40)이 제 2 홀딩홈(36)의 제 2 스토퍼면(76)에 걸리게 된다. 즉, 제 1, 2 스토퍼면(48, 76)은 제 1, 2 이동제한면(68, 40)과 각각 마주하게 되며, 이를 통해 흡입유닛 홀더(70)는 흡입유닛(30)의 상방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2 스토퍼면(48, 76)이 제 1 ,2 이동제한면(68, 40)과 각각 마주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 중 어느 하나의 스토퍼면이 대응되는 이동제한면과 마주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청소기 본체(20)를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시에, 분리버튼(42)은 록킹해제돌기(66)와의 가압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흡입유닛 홀더(70)와 록킹해제돌기(66)에 의해 흡입유닛(30)은 상방이동이 제한되어, 흡입유닛(30)에 배치된 분리버튼(42)은 록킹해제돌기(66)에 의한 가압이 유지된다. 이를 통해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은 분리되게 된다. 즉, 청소기 본체(20)는 분리가능상태(20b)에서 분리상태(20c)로 변환된다.
청소기본체(20)가 이탈되는 방향에 있어서, 전방을 제 1 방향, 상방을 제 2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 1, 2 방향은 각각 전방과 상방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2 방향은 스토퍼면(76), 흡입유닛 홀더(70), 록킹해제돌기(66) 또는 분리버튼(42)의 배치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면(76)은 하방을 향하는 평면이며, 이동제한면(40)은 상방을 향하는 평면이어서, 흡입유닛 홀더(70)는 흡입유닛(30)의 위쪽을 향하는 이동을 제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토퍼면(76)은 대각방향 하방을 향하는 평면이고, 이동제한면(40)은 대각방향으로 상방을 향하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흡입유닛 홀더(70)는 흡입유닛(30)의 대각방향을 향하는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1, 2 방향은 각각 전방과 상방에 한정되지 않고, 상호 다른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방향은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의 전방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과 상방 사이의 대각방향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청소기 거치장치(50)로부터 청소기(10)의 이탈방향을 달리함으로서, 청소기 본체(20)만을 이탈시키거나, 흡입유닛(30)이 장착된 청소기 본체(20)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청소기(10)의 안착 또는 이탈방향의 제어를 통해, 청소기 본체(20)에 대해 다양한 청소툴을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청소기의 분리버튼 위치, 흡입유닛 홀더, 록킹해제돌기등의 구성을 달리한다.
도 15,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본체와 흡입유닛의 분리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청소기 거치장치(150)는 도 18과 같이 흡입유닛 홀더(17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170)는 장치바디(61)에 마련되어, 흡입유닛(30)을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흡입유닛 홀더(170)는 관안착면(64b)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170)는 관안착면(64b)으로부터 돌출되거나, 관안착면(64b)에 형성된 삽입홀(64c)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170)는 탄성부재(178, 도 24참고)를 통해 탄성을 가지고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흡입유닛 홀더(170)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청소기 본체(20) 또는 흡입유닛(3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홀(64c)로 흡입유닛 홀더(17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안착되면 관안착면(64b)으로부터 돌출되어 흡입유닛(30)의 홀딩홈(147)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청소기 거치장치(150)는 록킹해제돌기(166)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해제돌기(166)는 청소기(10)가 수용공간(62)에 안착시에, 청소기(10)에 마련된 분리버튼(142)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돌기는 분리버튼(142)의 가압부(144)를 가압함으로서, 분리버튼(142)에 의한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마련된다.
록킹해제돌기(166)는 흡입유닛 홀더(170)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록킹해제돌기(166)는 흡입유닛 홀더(170)의 단부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록킹해제돌기(166)는 흡입유닛 홀더(170)의 단부에서 수용공간(62)을 향해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분리버튼(142)은 도 16, 17과 같이 청소기(10)에서 수용공간(62)으로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삽입되면, 흡입유닛 홀더(170)는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흡입유닛 홀더(170)의 단부에 형성된 록킹해제돌기(166)는 청소기(10)에 배치된 분리버튼(142)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거치되면서, 청소기 본체(20)는 결합상태(20a)에서 분리가능상태(20b)로 변환된다.
분리버튼(142)은 록킹해제돌기(166)에 의해 가압되면서, 홀딩홈(147)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록킹해제돌기(166)는 분리버튼(142)을 가압하면서 동시에 홀딩홈(147)에 삽입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분리버튼(142)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버튼경계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버튼(142)이 록킹해제돌기(166)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버튼경계부(146)는 홀딩홈(147)을 형성하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를 확대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가 청소기에 삽입된 단면도이다.
흡입유닛 홀더(170)는 거치가이드(172)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안착될 때, 흡입유닛 홀더(170)의 거치가이드(172)은 청소기(1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170)는 청소기(1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홀(64c)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흡입유닛 홀더(170)는 흡입유닛(3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거치가이드(172)은 흡입유닛 홀더(170)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관안착면(64b)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거치가이드(172)은 관안착면(64b)으로부터 가장 높이 돌출된 돌출부로부터 전방으로 관안착면(64b)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170)는 이탈가이드(174)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안착된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150)로부터 이탈시킬 때, 흡입유닛 홀더(170)의 이탈가이드(174)은 청소기(10)에 의해 가압되어 흡입유닛 홀더(170)가 삽입홀(64c)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탈가이드(174)은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의 전방으로 이탈되는 방향에 대응되며, 흡입유닛 홀더(170)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관안착면(64b)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탈가이드(174)은 돌출부로부터 후방으로 관안착면(64b)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170)는 스토퍼면(176, 도 20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면(176)은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안착된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150)로부터 이탈시킬 때, 흡입유닛 홀더(170)가 흡입유닛(3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스토퍼면(176)은 흡입유닛 홀더(17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스토퍼면(176)은 록킹해제돌기(166)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면(176)은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170)의 스토퍼면(176)은 하방을 향하며, 이와 대응되는 홀딩홈(147)의 하부를 형성하는 이동제한면(148)은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흡입유닛 홀더(170)가 홀딩홈(147)에 삽입되면 스토퍼면(176)과 이동제한면(148)은 상호 맞닿도록 구성되므로, 흡입유닛(30)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의 거치 또는 이탈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거치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를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하는 도면이다.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이 록킹된 상태로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즉, 청소기 본체(20)가 결합상태(20a)일 때 청소기 거치장치(150)의 수용공간(62)에 안착시킬 수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 거치장치(150)의 전방, 상방 또는 전방과 상방사이인 대각방향으로부터 안착시킬 수 있다. 도 21에서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의 전방으로부터 수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소기가 상방 또는 대각방향으로부터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수용될 수도 있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거치되는 과정에서, 흡입유닛 홀더(170)의 거치가이드(172)은 청소기(1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되어 안착면(64)으로 삽입된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안착되면, 흡입유닛 홀더(170)는 탄성을 가지고 원위치로 복귀하며, 록킹해제돌기(166)는 분리버튼(142)을 가압하며 홀딩홈(147)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거치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 23,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가 청소기거치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청소기와 거치장치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안착되면,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은 분리가능하도록 분리버튼(142)이 동작하게 된다. 즉, 청소기 본체(20)는 결합상태(20a)에서 분리가능상태(20b)로 변환된다. 청소기(10)의 분리버튼(142)은,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50)에 거치되면서 도 22와 같이 록킹해제돌기(66)에 접촉 또는 가압되어 동작하게 된다. 이로서,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의 록킹이 해제된다. 또한 흡입유닛 홀더(170)의 단부에 형성되는 록킹해제돌기(66)는 분리버튼(142)의 가압에 의해 형성되는 홀딩홈(147)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150)로부터 이탈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탈하는 동작은 앞서 설명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150)로부터 전방으로 이탈시에, 청소기(10)는 흡입유닛 홀더(170)를 밀면서 이탈되며, 록킹해제돌기(166)은 분리버튼(142)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즉, 분리버튼(142)은 록킹해제돌기(166)로부터 이격된다. 분리버튼(142)은 다시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을 록킹되게 된다. 청소기 본체(20)는 분리가능상태(20b)에서 결합상태(20a)로 변환된다.
청소기 본체(20)를 청소기 거치장치(15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시키는 경우, 흡입유닛(30)의 이동제한면(148)은 스토퍼면(176)과 접촉하게 되며 흡입유닛(30)은 이동이 제한된다. 즉, 청소기 본체(20)는 흡입유닛(30)으로부터 분리되어 분리상태(20c)로 동작하게 된다.
청소기본체(20)가 이탈되는 방향에 있어서, 전방을 제 1 방향, 상방을 제 2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 1, 2 방향은 각각 전방과 상방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2 방향은 스토퍼면(176), 흡입유닛 홀더(170), 록킹해제돌기(166) 또는 분리버튼(142)의 배치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방향은 청소기 거치장치(150)로부터의 전방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과 상방 사이의 대각방향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청소기의 분리버튼 위치, 흡입유닛 홀더, 록킹해제돌기등의 구성을 달리한다.
도 25,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본체와 흡입유닛의 분리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청소기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를 확대한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흡입유닛 홀더가 청소기에 삽입된 단면도이다.
청소기 거치장치(250)는 흡입유닛 홀더(27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270)는 장치바디(61)에 마련되어, 흡입유닛(30)을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자세하게는 흡입유닛(30)의 일측에는 홀딩홈(247)이 형성되며, 흡입유닛 홀더(270)는 홀딩홈(247)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270)는 관안착면(64b)에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250)는 록킹해제돌기(266)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해제돌기(266)는 청소기(10)가 수용공간(62)에 안착시에, 청소기(10)에 마련된 분리버튼(242)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록킹해제돌기(266)는 분리버튼(242)의 가압부(244)를 가압함으로서, 분리버튼(242)에 의한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마련된다.
록킹해제돌기(266)는 흡입유닛 홀더(270)에 마련될 수 있다. 록킹해제돌기(266)는 흡입유닛 홀더(270)의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록킹해제돌기(266)는 흡입유닛 홀더(270)에 포함되어, 흡입유닛 홀더(27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록킹해제돌기(266)가 도 7A의 실시예에서의 돌출부(71)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유닛 홀더(270)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그 중 적어도 하나가 록킹해제돌기(266)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분리버튼(242)은 청소기(1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흡입유닛(3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버튼(242)이 흡입유닛(3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드나, 이중 어느 하나만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분리버튼(242)은 흡입유닛 홀더(270)에 있는 록킹해제돌기(266)에 의해 가압되면서, 홀딩홈(247)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록킹해제돌기(266)는 분리버튼(242)을 가압하면서 동시에 홀딩홈(247)에 삽입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분리버튼(242)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버튼경계부(246)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버튼(242)이 록킹해제돌기(266)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버튼경계부(246)는 홀딩홈(247)을 형성하게 된다.
흡입유닛 홀더(270)는 스토퍼면(276, 도 30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면(276)은 청소기 거치장치(250)에 거치된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250)로부터 이탈시킬 때, 흡입유닛 홀더(270)가 흡입유닛(3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스토퍼면(276)은 흡입유닛 홀더(27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면(276)은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닛 홀더(270)의 스토퍼면(276)은 하방을 향하며, 이와 대응되는 홀딩홈(247)의 하부를 형성하는 이동제한면(248)은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흡입유닛 홀더(270)가 홀딩홈(247)에 삽입되면 스토퍼면(248)과 이동제한면(248)은 상호 맞닿도록 구성되므로, 흡입유닛(30)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의 거치 또는 이탈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250)에 거치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를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하는 도면이다.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이 록킹된 상태로 청소기 거치장치(25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즉, 청소기 본체(20)가 결합상태(20a)일 때 청소기 거치장치(250)의 수용공간(62)에 안착시킬 수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 거치장치(250)의 전방, 상방 또는 전방과 상방사이인 대각방향으로부터 안착시킬 수 있다. 도 31에서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250)의 전방으로부터 수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소기가 상방 또는 대각방향으로부터 청소기 거치장치(250)에 수용될 수도 있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250)에 거치되는 과정에서, 흡입유닛 홀더(270)의 거치가이드(272)은 청소기(10)의 외면에 의해 가압되어 안착면(64)으로 삽입된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250)에 안착되면, 흡입유닛홀더(270)는 탄성을 가지고 원위치로 복귀하며, 록킹해제돌기(266)는 분리버튼(242)를 가압하여 홀딩홈(247)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250)에 거치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 33,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가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청소기와 청소기 거치장치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250)에 안착되면,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은 분리가능하도록 분리버튼(242)이 동작하게 된다. 즉, 청소기 본체(20)는 결합상태(20a)에서 분리가능상태(20b)로 변환된다. 청소기(10)의 분리버튼(242)은,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250)에 거치되면서 도 32, 33, 34와 같이 록킹해제돌기(266)에 접촉 또는 가압되어 동작하게 된다. 이로서,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의 록킹이 해제된다. 또한 록킹해제돌기(266)는 청소기(10)의 홀딩홈(247)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250)로부터 이탈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탈하는 동작은 앞서 설명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250)로부터 전방으로 이탈시에, 청소기(10)는 흡입유닛 홀더(270)를 밀면서 이탈되며, 록킹해제돌기(266)은 분리버튼(242)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즉, 분리버튼(242)은 록킹해제돌기(266)로부터 이격된다. 분리버튼(242)은 다시 청소기 본체(20)와 흡입유닛(30)을 록킹되게 된다. 청소기 본체(20)는 분리가능상태(20b)에서 결합상태(20a)로 변환된다.
청소기 본체(20)를 청소기 거치장치(25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시키는 경우, 흡입유닛(30)의 이동제한면(248)은 스토퍼면(276)과 접촉하게 되며 흡입유닛(30)은 이동이 제한된다. 즉, 청소기 본체(20)는 흡입유닛(30)으로부터 분리되어 분리상태(20c)로 동작하게 된다.
청소기본체(20)가 이탈되는 방향에 있어서, 전방을 제 1 방향, 상방을 제 2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 1, 2 방향은 각각 전방과 상방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2 방향은 스토퍼면(276), 흡입유닛 홀더(270), 록킹해제돌기(266) 또는 분리버튼(242)의 배치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방향은 청소기 거치장치(250)로부터의 전방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과 상방 사이의 대각방향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이다.
청소기 거치장치(450)는 청소기(10)가 보관 또는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450)는 청소기(10)가 거치되는 복수의 장치바디들(61a, 61b, 61c)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450)는 장치바디들(61a, 61b, 61c)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되도록 레그(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바디들(61a, 61b, 61c)이 벽면에 기대도록 마련되고, 장치바디들(61a, 61b, 61c)을 한 쌍의 레그(52)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바디들(61a, 61b, 61c)은 벽면에 기대도록 마련되나, 장치바디들(61a, 61b, 61c)이 벽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청소기 거치장치(45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흡입유닛(30)은 흡입헤드(32)와 연장관으로 구성되는 제 1 흡입유닛(30a)과, 브러시가 결합된 형상의 흡입유닛(30b)과, 좁은 틈을 청소하기 위해 입구가 좁게 형성된 형상의 흡입유닛(30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바디들(61a, 61b, 61c)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 장치바디들(61a, 61b, 61c)에는 각기 다른 흡입유닛(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장치바디들(61a, 61b, 61c)은 각각 제 1, 2, 3 장치바디들(61a, 61b, 61c)를 포함하고, 각 장치바디들(61a, 61b, 61c)에는 각기 다른 흡입유닛들(30a, 30b, 30c)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청소기본체(20)를 제 1, 2, 3 장치바디들(61a, 61b, 61c)중 어느 하나의 장치바디에 선택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기본체(20)를 흡입유닛들(30a, 30b, 30c)중 어느 하나의 흡입유닛이 장착된 결합상태(20a)로 이탈시키거나, 청소기본체(20)만을 분리상태(20c)로 이탈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바디들(61a, 61b, 61c)이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장치바디들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장치바디들(61a, 61b, 61c)은 원형으로 배치되어, 각기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청소장치 10 : 청소기
20 : 청소기본체 20a : 결합상태
20b : 분리가능상태 20c : 분리상태
30 : 흡입유닛 36 : 홀딩홈
40 : 이동제한면 42 : 분리버튼
50 : 청소기 거치장치
62 : 수용공간 64 : 안착면
66 : 록킹해제돌기 70 : 흡입유닛 홀더
76 : 스토퍼면 80 : 본체홀더
84 : 완충부재

Claims (20)

  1. 흡입유닛과, 상기 흡입유닛과 분리가능하게 록킹되는 청소기본체를 갖는 청소기가 거치되는 청소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유닛의 분리동작을 위해 마련되는 분리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로부터 상기 청소기본체의 이탈방향에 따라, 상기 흡입유닛을 홀딩하여 상기 흡입유닛과 분리된 상기 청소기본체만 이탈되거나, 상기 흡입유닛에 대한 홀딩을 해제하여 상기 흡입유닛이 결합된 상기 청소기본체가 이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에 거치될 때, 상기 분리버튼을 동작시켜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유닛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록킹해제돌기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흡입유닛이 록킹된 결합상태, 상기 흡입유닛과 분리되어 이격되는 분리상태와, 상기 흡입유닛과 분리가능하도록 록킹이 해제된 분리가능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동작되고,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분리가능상태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된 상기 청소기에서 상기 청소기본체가 제 1 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분리가능상태로부터 상기 결합상태로 동작되고,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에 장착된 상기 청소기에서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분리가능상태로부터 상기 분리상태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의 상방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돌기는 상기 흡입유닛의 상기 제 2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돌기는,
    상기 록킹해제돌기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분리버튼이 가압되면서 형성되는 홈으로 삽입되는 스토퍼면으로서,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탈될 때 상기 흡입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흡입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면;을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면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장치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해제돌기는 상기 장치바디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구성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대한 상기 흡입유닛의 장착 또는 이탈동작과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흡입유닛홀더;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에 거치될 때, 상기 흡입유닛홀더는 상기 청소기에서 상기 록킹해제돌기와 대응되는 부분과 이격된 부분과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홀더는,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탈될 때 상기 록킹해제돌기와 함께, 상기 흡입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홀더는,
    상기 흡입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그 하면에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홀딩면;을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홀더는,
    상기 장치바디에 수용되는 상기 청소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 2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거치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흡입유닛의 이동에 의해 탄성적으로 동작하는 흡입유닛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해제돌기는 상기 분리버튼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흡입유닛홀더의 단부에 배치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16. 청소기본체와, 상기 청소기본체에 분리가능하게 록킹되는 흡입유닛 및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유닛의 분리동작을 위해 마련되는 분리버튼을 갖는 청소기;
    상기 청소기가 거치되는 거치장치로서, 상기 청소기가 상기 거치장치에 거치될 때, 상기 분리버튼을 동작시켜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유닛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록킹해제돌기를 포함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흡입유닛이 록킹된 결합상태, 상기 흡입유닛이 분리된 분리상태, 상기 흡입유닛이 분리가능한 분리가능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동작되고,
    상기 청소기본체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거치장치에 안착될 때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분리가능상태로 동작되고,
    상기 거치장치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분리가능상태에서 상기 결합상태로 동작되고,
    상기 거치장치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분리가능상태에서 상기 분리상태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청소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버튼은 상기 흡입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청소기본체에 대한 록킹 또는 록킹해제를 위해 가압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청소기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장치바디; 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해제돌기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청소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상기 분리버튼이 가압되어 형성되는 버튼홈으로서, 상기 록킹해제돌기가 삽입되는 버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해제돌기는,
    상기 버튼홈의 하면을 형성하는 버튼홈 형성면과 마주하여 상기 흡입유닛의 상기 제 2 방향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면;을 포함하는 청소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상기 흡입유닛의 외면에서 상기 버튼홈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장치바디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유닛을 홀딩하는 흡입유닛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홀더는,
    상기 삽입홈의 하면을 형성하는 삽입홈 형성면과 마주하여, 상기 스토퍼면과 함께 상기 흡입유닛의 상기 제 2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홀더면;을 포함하는 청소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소기본체와, 상기 청소기본체와 분리가능하게 록킹되는 흡입유닛과,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유닛의 분리동작을 위해 마련되는 분리버튼을 갖는 청소기;
    상기 청소기가 거치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청소기가 수용되는 장치바디;
    상기 흡입유닛을 홀딩하도록 상기 장치바디에 마련되는 흡입유닛홀더;
    상기 청소기가 상기 거치장치에 거치될 때, 상기 분리버튼을 동작시켜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유닛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록킹해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본체가 제 1 방향으로 상기 거치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분리버튼에 대한 상기 록킹해제돌기의 가압이 해제되고, 상기 흡입유닛에 대한 상기 흡입유닛홀더의 홀딩이 해제됨으로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청소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청소기본체와 함께 이탈되며,
    상기 청소기본체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상기 거치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분리버튼에 대한 상기 록킹해제돌기의 가압이 유지되고, 상기 흡입유닛에 대한 상기 흡입유닛홀더의 홀딩이 유지됨으로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청소기본체와 분리되어 상기 청소기본체만 이탈되는 청소장치.
KR1020180061353A 2018-05-29 2018-05-29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KR102485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53A KR102485723B1 (ko) 2018-05-29 2018-05-29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CN201980036533.6A CN112218566B (zh) 2018-05-29 2019-05-28 清洁器支架及具有该清洁器支架的清洁设备
EP19810123.0A EP3773106B1 (en) 2018-05-29 2019-05-28 Cleaner stand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CT/KR2019/006388 WO2019231214A1 (en) 2018-05-29 2019-05-28 Cleaner stand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6/425,265 US11375862B2 (en) 2018-05-29 2019-05-29 Cleaner stand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53A KR102485723B1 (ko) 2018-05-29 2018-05-29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851A KR20190135851A (ko) 2019-12-09
KR102485723B1 true KR102485723B1 (ko) 2023-01-09

Family

ID=6869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353A KR102485723B1 (ko) 2018-05-29 2018-05-29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75862B2 (ko)
EP (1) EP3773106B1 (ko)
KR (1) KR102485723B1 (ko)
CN (1) CN112218566B (ko)
WO (1) WO20192312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2346S1 (en) * 2018-08-29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for cleaner
KR20210093006A (ko) * 2020-01-17 202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 장치
CN112336246A (zh) * 2020-11-05 2021-02-09 苏州微智新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吸尘器挂架
US20240115096A1 (en) * 2020-12-07 2024-04-11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stan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5421A (ja) * 2016-07-29 2018-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掃除機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6909A (en) * 1996-08-28 1999-07-27 Mcgee; Daniel Remote control vacuum cleaner and charging system
US6817059B2 (en) * 2000-05-17 2004-11-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acuum cleaner
US7332890B2 (en) * 2004-01-21 2008-02-19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robot auto-docking and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1178295B1 (ko) * 2005-04-27 2012-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100007692A (ko) * 2008-07-10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청소기
KR20100004536A (ko) * 2008-07-04 201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GB2478599B (en) 2010-03-12 2014-07-16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ing arrangement
JP4692858B1 (ja) * 2010-06-21 2011-06-01 有限会社ジェット総合研究所 真空掃除機用の収納方法および真空掃除機用の収納器具
JP5983062B2 (ja) * 2012-06-08 2016-08-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充電器、及び、充電用端子の配置構造
EP2848173B1 (en) * 2013-09-05 2020-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KR101653449B1 (ko) * 2014-08-21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N107787198B (zh) * 2015-06-24 2021-06-04 伊莱克斯公司 真空吸尘器***
WO2017195999A1 (ko) *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US10342404B2 (en) * 2016-05-09 2019-07-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KR102603584B1 (ko) * 2016-05-09 202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US10405719B2 (en) * 2016-05-09 2019-09-10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WO2017196000A1 (ko) *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CN109982623B (zh) * 2016-11-21 2022-03-08 三星电子株式会社 清扫机
KR102321633B1 (ko) * 2016-11-21 2021-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KR102519650B1 (ko) * 2017-03-03 202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지지기구, 청소기 유닛
JP6710186B2 (ja) * 2017-08-08 2020-06-1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充電台
WO2020027452A1 (ko) * 2018-07-3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USD912346S1 (en) * 2018-08-29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for cleaner
KR102141715B1 (ko) * 2018-09-07 2020-08-05 에이스전자(주) 청소기 거치대
GB2580309B (en) * 2018-12-24 2021-03-17 Dyson Technology Ltd Storage dock for a battery-powered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5421A (ja) * 2016-07-29 2018-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掃除機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75862B2 (en) 2022-07-05
US20190365171A1 (en) 2019-12-05
EP3773106A1 (en) 2021-02-17
CN112218566B (zh) 2022-06-28
EP3773106A4 (en) 2021-06-09
WO2019231214A1 (en) 2019-12-05
EP3773106B1 (en) 2023-08-30
CN112218566A (zh) 2021-01-12
KR20190135851A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723B1 (ko)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KR101491002B1 (ko) 청소기
US6530118B2 (en) Sub-suction pip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CA2413401C (en) Convertible vacuum cleaner
US7891050B2 (en)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US5392491A (en)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KR20060082900A (ko) 진공청소기용 핸들
US20040194249A1 (en) Bagless vacuum cleaner
US7836546B2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US20060225243A1 (en) Vacuum cleaner
US20040124630A1 (en) Locking device for extension pipe of vaccum cleaner
JP2020110509A (ja) 電気掃除機
CA2843333C (en) Vacuum cleaner with accessory tool assembly
KR101820832B1 (ko)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US20220322901A1 (en) Cleaner
TWI637714B (zh) Electric sweeper
KR101187078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640920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20130091409A (ko) 걸레를 갖는 진공청소기
CN212913080U (zh) 手柄组件与清洁设备
EP4079205B1 (en) Robot cleaner comprising a brush cover lock mechanism
WO2021253667A1 (zh) 清洁设备
EP1674010B1 (en) Vacuum cleaner with a suction assembly parking device
CN210697473U (zh) 除螨吸尘器
CN210902817U (zh) 一种便于尘袋释放安装的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