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427B1 -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427B1
KR102484427B1 KR1020220135028A KR20220135028A KR102484427B1 KR 102484427 B1 KR102484427 B1 KR 102484427B1 KR 1020220135028 A KR1020220135028 A KR 1020220135028A KR 20220135028 A KR20220135028 A KR 20220135028A KR 102484427 B1 KR102484427 B1 KR 102484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ulley
connecting belt
bel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이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이상엽 filed Critical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 등이 설치되는 상부공간을 줄여 협소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는, 승강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카의 상부에서 고정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롤러와; 상기 풀리와 제1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는 평형추와; 일단이 상기 승강카의 상부 중심에 결합된 후 상기 풀리와 제2롤러와 제1롤러를 거쳐 타단이 상기 평형추에 결합되는 연결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벨트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보다 폭이 넓은 형상의 벨트본체와; 상기 벨트본체의 내부에 상기 벨트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내장되는 다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풀리의 상부와 접하고 상기 제2롤러의 하부와 접하며 상기 제1롤러의 상부와 접하여,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풀리와 제1롤러에 의해 정방향으로 굽혀지고 상기 제2롤러에 의해 역방향으로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 STRUCTURE OF TOP DRIVING ELEVATOR }
본 발명은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 등이 설치되는 상부공간을 줄여 협소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아파트 또는 사물실용 고층건물 등을 건축할 시에는 건물에 필연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승강작동할 수 있는 통로로서 승강로가 시공되는데,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의 각 층에는 상기 승강로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승강로에는 통상적으로 승강카와, 평형추 및 상기 승강카와 평형추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카를 움직이는 권상기에 권취되는 로프와, 승강카나 평형추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한편, 승강카와 제어반을 연결하는 제어케이블, 승강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류 등이 설치되고, 또한 승강로의 각층 개구부에는 도어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로 하부에는 승강카가 최하층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카 하부면과 상기 승강로 바닥면 사이에는 피트가 제공되는 바, 그 피트형상은 승강로의 유효면적이 그대로 규정되어 있는 깊이까지 내려가 있도록 설계되며, 이와 같은 피트내에는 상기 피트가 극단적으로 깊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보수·점검을 위한 사다리 또는 도어 스위치가 달린 점검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승강로 구조는 그 승강로 상부 또는 하부 일정위치에 승강카를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모터 등)가 설치되며, 이때 상부구동형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의 상부에 모터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상부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도이다.
승강카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승강로의 상부에는 모터에 연결된 풀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풀리의 아래쪽에는 제1롤러가 설치되고, 제2롤러의 하부에는 평형추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로프는 일단이 상기 승강카의 상부 중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풀리, 제1롤러를 거쳐 타단이 평형추에 결합되어 있다.
와이어로프와 풀리는 관련규정에 따라 일정한 접촉각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풀리와 제1롤러의 높이차가 너무 낮으면 와이어로프와 풀리의 접촉각도가 작아지게 되어 관련규정에 부적합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로프와 풀리의 접촉각도를 관련규정에 맞게 하여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와 제1롤러의 높이차가 커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모터, 풀리, 제1롤러 등을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크게 필요하게 되어, 협소공간에서는 상부 구동형 엘리베이터의 설치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건물의 리모델링 등을 하면서 엘리베이터를 새롭게 설치하여야 하는데 상부공간이 협소할 경우에는, 상부 구동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10-1999-0083487 공개특허 10-1999-008358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구동형 엘리베이터에서 모터, 롤러 등을 설치하기 위한 상부공간을 줄여 협소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는, 승강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카의 상부에서 고정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롤러와; 상기 풀리와 제1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는 평형추와; 일단이 상기 승강카의 상부 중심에 결합된 후 상기 풀리와 제2롤러와 제1롤러를 거쳐 타단이 상기 평형추에 결합되는 연결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벨트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보다 폭이 넓은 형상의 벨트본체와; 상기 벨트본체의 내부에 상기 벨트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내장되는 다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풀리의 상부와 접하고 상기 제2롤러의 하부와 접하며 상기 제1롤러의 상부와 접하여,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풀리와 제1롤러에 의해 정방향으로 굽혀지고 상기 제2롤러에 의해 역방향으로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리의 직경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40~60배 크고,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1지점에서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처음 접촉한 제2지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며,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3지점에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처음 접촉한 제4지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다.
상기 연결벨트가 상기 풀리와 접촉하는 각도는 140~170도이다.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연결벨트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2롤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벨트와 상기 풀리가 접촉하는 각도가 가변된다.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의 미끄럼 정도를 감지하는 미끄럼감지센서와; 상기 제1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미끄럼감지센서에 측정된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연결벨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의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내에 도달하도록 한다.
상기 제2롤러가 장착된 상기 제1이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2롤러와 상기 풀리의 이격거리 및 상기 제2롤러와 제1롤러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2이동부재와;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의 거리 및 상기 제3지점과 제4지점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2롤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지점 내지 제4지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미만이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이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측정되는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 구동형 엘리베이터에서 연결벨트를 역방향으로 누르는 제2롤러에 의해, 모터에 장착된 풀리와 제1롤러 사이의 높이차를 줄여, 모터 등이 장착되기 위한 상부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절감 및 협소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이동부재에 의해 제2롤러를 이동시켜 풀리와 연결벨트의 접촉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이동부재에 의해 제1이동부재 및 제2롤러를 이동시켜, 제1지점과 제2지점의 거리 및 제3지점과 제4지점의 거리를 관련규정에 맞도록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상부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벨트를 이용한 승강기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벨트를 이용한 승강기 구조도,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0)와, 모터(미도시)와, 풀리(20)와, 제1롤러(31)와, 제2롤러(32)와, 평형추(40)와, 연결벨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카(10)는 건물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승강카(10)의 상부에서 고정 장착되어, 상부 구동형을 엘리베이터를 이룬다.
상기 풀리(20)는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상기 제1롤러(31)는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서 상기 풀리(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롤러(32)는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서 상기 풀리(20)와 제1롤러(3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평형추(40)는 상기 제1롤러(31)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벨트(50)는 일단이 상기 승강카(10)에 결합된 후 상기 풀리(20)와 제2롤러(32)와 제1롤러(31)를 거쳐 타단이 상기 평형추(4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벨트(50)의 일단은 상기 승강카(10)의 상부 중심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에 의한 상기 풀리(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카(10)와 상기 평형추(4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벨트(50)는, 벨트본체(51)와 와이어(5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본체(51)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보다 폭이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와이어(52)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본체(51)의 내부에 상기 벨트본체(5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벨트(50)는 상기 풀리(20)의 상부와 접하고 상기 제2롤러(32)의 하부와 접하며 상기 제1롤러(31)의 상부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벨트(50)는 상기 풀리(20)에 의해 정방향으로 굽혀지고, 상기 제2롤러(32)에 의해 역방향으로 굽혀지며, 상기 제1롤러(31)에 의해 다시 정방향으로 굽혀지게 된다.
상기 풀리(20)의 직경은 상기 와이어(52)의 직경보다 40~60배 크다.
관련규정(행정안전부 고시 제2019-32호 「승강기안전부품 안전기준 및 승강기 안전기준」 전부개정 별표22 "엘리베이터 안전기준" 등)에 의하면 풀리의 직경은 와이어로프의 직경보다 40배 이상 크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강카(10)와 평형추(4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종래의 와이어로프가 아닌 연결벨트(50)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벨트(50)에 내장된 와이어(52)의 직경은 종래의 와이어로프의 직경보다 매우 작다.
위와 같이 상기 연결벨트(50)에 내장된 와이어(52)의 직경이 기존 와이어로프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와이어(52) 직경의 40배 이상이 되어야 하는 풀리(20)의 직경을 기존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로프(5)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12mm, 14mm, 16mm 등을 사용하였고, 이때 풀리(2)의 직경은 와이어로프(5) 직경의 40배인 480mm, 560mm, 640mm를 사용하여야 하였는바, 풀리(2)의 직경이 커서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벨트(50)를 이용하고, 연결벨트(50)에 내장된 와이어(52)는 1개의 직경이 약 3~4mm이기 때문에, 풀리(20)의 직경은 와이어(52) 직경의 40배인 120mm~160mm를 사용하면 충분한 바, 종래의 풀리보다 더 작은 직경의 풀리를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풀리(20)의 직경을 기존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리(20)와 상기 연결벨트(50)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1지점(a)에서 상기 제2롤러(32)와 상기 연결벨트(50)가 처음 접촉한 제2지점(b)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52)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롤러(32)와 상기 연결벨트(50)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3지점(c)에서 상기 제1롤러(31)와 상기 연결벨트(50)가 처음 접촉한 제4지점(d)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52)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도록 한다.
이는 관련규정에서 역방향 굽힘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롤러와 와이어로프가 접촉한 점 상호간의 거리가 와이어로프 직경의 200배 이상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연결벨트(50)가 상기 풀리(20)와 접촉하는 각도는 140~170도가 되도록 한다.
이 또한 관련규정에서 위와 같은 접촉각도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롤러(32)에 의해 상기 풀리(20)와 제1롤러(31) 사이에 배치된 상기 연결벨트(50)가 역방향으로 굽혀지게 되는데, 이때 위와 같은 관련규정을 모두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제2롤러(32)에 의해 상기 연결벨트(50)가 역방향으로 굽혀지면서 상기 연결벨트(50)와 풀리(20)의 접촉각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벨트(5)와 풀리(2)의 접촉각도를 관련규정에 맞게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풀리(2)와 제1롤러(3)의 높이차를 크게 하여야 했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롤러(32)가 상기 풀리(20)와 제1롤러(31) 사이에서 상기 연결벨트(50)를 역방향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벨트(50)와 풀리(20)의 접촉각도가 크게 증가되고, 이로 인해 상기 풀리(20)와 제1롤러(31)의 높이차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는바, 설치공간을 줄여 협소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제1이동부재(6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재(61)는 상기 제2롤러(32)를 상기 연결벨트(50)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이동부재(61)에 의한 상기 제2롤러(3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벨트(50)와 상기 풀리(20)가 접촉하는 접촉각도가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연결벨트(50)와 상기 풀리(20)의 접촉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이동부재(61)의 이동은 수동, 전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재(61)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미끄럼감지센서(71)와 제어부(7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미끄럼감지센서(71)는 상기 풀리(20)와 상기 연결벨트(50)의 미끄럼 정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72)는 상기 제1이동부재(61)를 제어하여, 상기 제2롤러(32)가 상기 연결벨트(5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미끄럼감지센서(71)에 측정된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72)는 상기 제1이동부재(61)에 의해 상기 제2롤러(32)를 상기 연결벨트(5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풀리(20)와 상기 연결벨트(50)의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내에 도달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롤러(32)의 자동 이동에 의한 상기 연결벨트(50)와 상기 풀리(20)의 접촉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서, 상기 연결벨트(50)가 상기 풀리(20)로부터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부재(62)와 거리측정센서(7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이동부재(62)는 상기 제2롤러(32)가 장착된 상기 제1이동부재(61)를 이동시켜 상기 제2롤러(32)와 상기 풀리(20)의 이격거리 및 상기 제2롤러(32)와 제1롤러(31)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제2이동부재(62)는 상기 제1이동부재(61)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리측정센서(73)는 상기 제1지점(a)과 제2지점(b)의 거리 및 상기 제3지점(c)과 제4지점(d)의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제1이동부재(61)에 의해 상기 제2롤러(32)가 상기 연결벨트(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풀리(20)와 상기 연결벨트(50)의 접촉각도 및 상기 제2롤러(32)와 상기 연결벨트(50)의 접촉각도를 변경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지점(a) 내지 제4지점(d)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이동부재(61)에 의한 상기 제2롤러(3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지점(a) 내지 제4지점(d)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거리측정센서(73)에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52)의 직경보다 200배 미만이 되면, 상기 제어부(72)는 상기 제2이동부재(62)를 이동시켜 상기 거리측정센서(73)에 측정되는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52)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롤러(32)가 상기 연결벨트(5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점(a) 내지 제4지점(d)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거리측정센서(73)에서 측정된 측정값 즉 상기 제1지점(a)과 제2지점(b)의 거리 및 상기 제3지점(c)과 제4지점(d)의 거리가 항상 상기 와이어(52)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승강카,
20 : 모터,
31 : 풀리, 32 : 제1롤러, 33 : 제2롤러,
40 : 평형추,
50 : 연결벨트, 51 : 벨트본체, 52 : 와이어,
61 : 제1이동부재, 62 : 제2이동부재,
71 : 미끄럼감지센서, 72 : 제어부, 73 : 거리측정센서.

Claims (6)

  1. 승강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카의 상부에서 고정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롤러와;
    상기 풀리와 제1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는 평형추와;
    일단이 상기 승강카의 상부 중심에 결합된 후 상기 풀리와 제2롤러와 제1롤러를 거쳐 타단이 상기 평형추에 결합되는 연결벨트와;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연결벨트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재와;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의 미끄럼 정도를 감지하는 미끄럼감지센서와;
    상기 제2롤러가 장착된 상기 제1이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2롤러와 상기 풀리의 이격거리 및 상기 제2롤러와 제1롤러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2이동부재와;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와;
    상기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벨트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보다 폭이 넓은 형상의 벨트본체와; 상기 벨트본체의 내부에 상기 벨트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내장되는 다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풀리의 상부와 접하고 상기 제2롤러의 하부와 접하며 상기 제1롤러의 상부와 접하여,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풀리와 제1롤러에 의해 정방향으로 굽혀지고 상기 제2롤러에 의해 역방향으로 굽혀지며,
    상기 풀리의 직경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40~60배 크고,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1지점에서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처음 접촉한 제2지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며,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3지점에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처음 접촉한 제4지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고,
    상기 연결벨트가 상기 풀리와 접촉하는 각도는 140~170도이며,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2롤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벨트와 상기 풀리가 접촉하는 각도가 가변되고,
    상기 미끄럼감지센서에 측정된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연결벨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의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내에 도달하도록 하며,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의 거리 및 상기 제3지점과 제4지점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2롤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지점 내지 제4지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미만이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이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측정되는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135028A 2022-10-19 2022-10-19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KR102484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28A KR102484427B1 (ko) 2022-10-19 2022-10-19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28A KR102484427B1 (ko) 2022-10-19 2022-10-19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427B1 true KR102484427B1 (ko) 2023-01-04

Family

ID=8492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028A KR102484427B1 (ko) 2022-10-19 2022-10-19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4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582A (ko) 1998-04-28 1999-11-25 니시무로 타이죠 견인형승강기장치
KR19990083487A (ko) 1998-04-28 1999-11-25 니시무로 타이죠 승강기의승강기통용하중검출기
JP2000118914A (ja) * 1998-10-08 2000-04-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用主ロープの張力補正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582A (ko) 1998-04-28 1999-11-25 니시무로 타이죠 견인형승강기장치
KR19990083487A (ko) 1998-04-28 1999-11-25 니시무로 타이죠 승강기의승강기통용하중검출기
JP2000118914A (ja) * 1998-10-08 2000-04-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用主ロープの張力補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947B1 (ko) 엘레베이터
EP2080725B1 (en) Elevator system
EP2660181B1 (en) Elevator apparatus with overspeed detection device and car position detection.
CN106414295B (zh) 设置有安全设施布置的电梯,和安全设施
KR101975775B1 (ko)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KR860002410Y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966072A1 (en) Elevator system
JP2007039240A (ja) エレベータのカウンタクリアランス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KR102484427B1 (ko)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KR20180130181A (ko) 엘리베이터의 슬립 검출 및 제어 방법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CN1485261A (zh) 双曳引设备驱动电梯***的位置检测装置
KR102649766B1 (ko)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
US20210163260A1 (en) Emergency stop system for elevator
JP6580275B2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6429742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JP4567347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の制御装置
CN118510714A (zh) 电梯
KR100351279B1 (ko) 엘리베이터
CN111348505B (zh) 电梯及电梯控制方法
CN111196535B (zh) 电梯装置及通过电梯控制***监视电梯装置的方法
KR100420027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용 링크구조
KR200199477Y1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CN110191854B (zh) 电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