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427B1 - Structure of top driving elevator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top driving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427B1
KR102484427B1 KR1020220135028A KR20220135028A KR102484427B1 KR 102484427 B1 KR102484427 B1 KR 102484427B1 KR 1020220135028 A KR1020220135028 A KR 1020220135028A KR 20220135028 A KR20220135028 A KR 20220135028A KR 102484427 B1 KR102484427 B1 KR 102484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ulley
connecting belt
bel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이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이상엽 filed Critical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4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4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top drive elevator using a connecting belt, and in particular, to a structure of a top-driven elevator using a connecting belt which can be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by reducing an upper space where a motor, etc. are installed. The structure of a top drive elevator using a connecting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vator car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shaft; a motor fixedly mounted on an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a pulley coupled to the motor to rotate; a first roller spaced apart from the pulley; a second roller disposed between the pulley and the first roller; a counterweight disposed at a lower part of the first roller; and a connecting belt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unterweight through the pulley, the second roller, and the first roller after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elt is coupled to the center of an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The connecting belt includes: a belt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ving a shape with a wid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wires embedded long inside the belt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lt body. The connecting belt is in contact with an upper part of the pulley, a lower part of the second pulley, and an upper part of the first roller such that the connecting belt is bent in a forward direction by the pulley and the first roller, and in a reverse direction by the second roller.

Description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 STRUCTURE OF TOP DRIVING ELEVATOR }Structure of top driven elevator using connecting belt { STRUCTURE OF TOP DRIVING ELEVATOR }

본 발명은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 등이 설치되는 상부공간을 줄여 협소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n upper driven elevator using a connecting bel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n upper driven elevator using a connecting belt tha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by reducing an upper space in which a motor or the like is installed.

일반적으로, 고층아파트 또는 사물실용 고층건물 등을 건축할 시에는 건물에 필연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승강작동할 수 있는 통로로서 승강로가 시공되는데,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의 각 층에는 상기 승강로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a high-rise apartment building or a high-rise building for office space, an elevator is inevitably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a hoistway is construct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an elevator can be operated. This elevator hoistway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hoistway is form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승강로에는 통상적으로 승강카와, 평형추 및 상기 승강카와 평형추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카를 움직이는 권상기에 권취되는 로프와, 승강카나 평형추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한편, 승강카와 제어반을 연결하는 제어케이블, 승강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류 등이 설치되고, 또한 승강로의 각층 개구부에는 도어장치가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hoistway as described above, a hoist car, a counterweight, a rope connected to the hoist car and the counterweight and wound around a traction machine moving the hoist car, and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ist car or the counterweight are installed. , a control cable connecting the elevator car and the control panel, switches for detecting the elevator car position, etc. are installed, and door devices are installed at the openings of each floor of the hoistway.

또한, 상기 승강로 하부에는 승강카가 최하층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카 하부면과 상기 승강로 바닥면 사이에는 피트가 제공되는 바, 그 피트형상은 승강로의 유효면적이 그대로 규정되어 있는 깊이까지 내려가 있도록 설계되며, 이와 같은 피트내에는 상기 피트가 극단적으로 깊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보수·점검을 위한 사다리 또는 도어 스위치가 달린 점검구 등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it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istwa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istway in a state where the hoistway car is located on the lowest floor at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and the pit shape is designed so that the effective area of the hoistway goes down to a defined depth In such a pit, when the pit is extremely deep, a ladder for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the elevator or an inspection door with a door switch may be installed.

한편,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승강로 구조는 그 승강로 상부 또는 하부 일정위치에 승강카를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모터 등)가 설치되며, 이때 상부구동형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의 상부에 모터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hoistway structure in which such an elevator is installed, a traction machine (motor, etc.) for driving the hoistway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or below the hoistway.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상부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top driven elevator using a conventional wire rope.

승강카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승강로의 상부에는 모터에 연결된 풀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풀리의 아래쪽에는 제1롤러가 설치되고, 제2롤러의 하부에는 평형추가 배치되어 있다.The hoist ca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hoistway, and a pulley connected to a motor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 first roller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pulley, and a counterweight is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oller.

그리고, 와이어로프는 일단이 상기 승강카의 상부 중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풀리, 제1롤러를 거쳐 타단이 평형추에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wire rope has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elevator ca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unterweight through the pulley and the first roller.

와이어로프와 풀리는 관련규정에 따라 일정한 접촉각도를 유지하여야 한다.The wire rope and pulley must maintain a constant contact angle according to the relevant regulations.

풀리와 제1롤러의 높이차가 너무 낮으면 와이어로프와 풀리의 접촉각도가 작아지게 되어 관련규정에 부적합하게 된다.If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ulley and the first roller is too low,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wire rope and the pulley becomes small, making it inappropriate to the relevant regulations.

따라서 와이어로프와 풀리의 접촉각도를 관련규정에 맞게 하여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와 제1롤러의 높이차가 커지게 된다.Therefore,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wire rope and the pulley must be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regulation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ulley and the first roller increases.

이렇게 되면 상기 모터, 풀리, 제1롤러 등을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크게 필요하게 되어, 협소공간에서는 상부 구동형 엘리베이터의 설치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In this case, a large space is required to install the motor, the pulley, the first roller, etc.,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upper drive type elevator in a narrow space.

특히, 건물의 리모델링 등을 하면서 엘리베이터를 새롭게 설치하여야 하는데 상부공간이 협소할 경우에는, 상부 구동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particular, when a new elevator needs to be installed while remodeling a building, etc., but the upper space is narrow,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 upper drive type elevator.

공개특허 10-1999-0083487Patent Publication 10-1999-0083487 공개특허 10-1999-0083582Patent Publication 10-1999-008358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구동형 엘리베이터에서 모터, 롤러 등을 설치하기 위한 상부공간을 줄여 협소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structure of an upper driven elevator using a connecting belt tha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by reducing the upper space for installing a motor, roller, etc. in an upper driven elevator. ther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는, 승강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카의 상부에서 고정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롤러와; 상기 풀리와 제1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는 평형추와; 일단이 상기 승강카의 상부 중심에 결합된 후 상기 풀리와 제2롤러와 제1롤러를 거쳐 타단이 상기 평형추에 결합되는 연결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벨트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보다 폭이 넓은 형상의 벨트본체와; 상기 벨트본체의 내부에 상기 벨트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내장되는 다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풀리의 상부와 접하고 상기 제2롤러의 하부와 접하며 상기 제1롤러의 상부와 접하여,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풀리와 제1롤러에 의해 정방향으로 굽혀지고 상기 제2롤러에 의해 역방향으로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ructure of an upper driven elevator using a connecting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or car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hoistway; a motor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a pulley that is coupled to the motor and rotates; a first roller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pulley; a second roller disposed between the pulley and the first roller; a counterweight disposed below the first roller; A connecting bel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elevato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unterweight through the pulley, the second roller and the first roller, wherein the connecting bel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belt body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thickness; A plurality of wires embedded inside the belt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lt body; the connection bel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pulley and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oller,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oller In contact, the connecting bel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pulley and the first roller and bent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second roller.

상기 풀리의 직경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40~60배 크고,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1지점에서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처음 접촉한 제2지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며,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3지점에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처음 접촉한 제4지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다.The diameter of the pulley is 40 to 60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and the distance from the first point where the pulley and the connecting belt finally contacted to the second point where the second roller and the connecting belt first contacted is the above. It is 200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and the distance from the third point where the second roller and the connecting belt finally contacted to the fourth point where the first roller and the connecting belt first contacted is 200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more than twice as large

상기 연결벨트가 상기 풀리와 접촉하는 각도는 140~170도이다.An angle at which the connecting belt contacts the pulley is 140 to 170 degrees.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연결벨트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2롤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벨트와 상기 풀리가 접촉하는 각도가 가변된다.A first movable member for moving the second roller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belt; wherein the connecting belt and the pulle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roller by the first movable member. angle is variable.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의 미끄럼 정도를 감지하는 미끄럼감지센서와; 상기 제1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미끄럼감지센서에 측정된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연결벨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의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내에 도달하도록 한다.a slip sensor for detecting a degree of slip between the pulley and the connecting belt;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first movable membe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second roller by the first movable member when the slip value measured by the slip sensor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I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belt so that the sliding value of the pulley and the connecting belt reaches within a preset reference value.

상기 제2롤러가 장착된 상기 제1이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2롤러와 상기 풀리의 이격거리 및 상기 제2롤러와 제1롤러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2이동부재와;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의 거리 및 상기 제3지점과 제4지점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2롤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지점 내지 제4지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미만이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이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측정되는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a second movable member for adjus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ller and the pulley and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ller and the first roller by moving the first movable member to which the second roller is mounted; A distanc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int and the fourth point; When the position of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points is changed, when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is less than 200 times the diameter of the wire, the control unit moves the second moving member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is 200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upper driven elevator using the connecting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본 발명은 상부 구동형 엘리베이터에서 연결벨트를 역방향으로 누르는 제2롤러에 의해, 모터에 장착된 풀리와 제1롤러 사이의 높이차를 줄여, 모터 등이 장착되기 위한 상부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절감 및 협소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ulley mounted on the motor and the first roller by using the second roller that presses the connecting belt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upper driven elevator, thereby reducing the upper installation space for mounting the motor, etc.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and cost reduction.

그리고, 제1이동부재에 의해 제2롤러를 이동시켜 풀리와 연결벨트의 접촉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pulley and the connecting belt may be adjusted by moving the second roller by the first moving member.

또한, 제2이동부재에 의해 제1이동부재 및 제2롤러를 이동시켜, 제1지점과 제2지점의 거리 및 제3지점과 제4지점의 거리를 관련규정에 맞도록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oving the first movable member and the second roller by the second movable membe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int and the fourth point may be maintained to meet the relevant regulations.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상부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벨트를 이용한 승강기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벨트를 이용한 승강기 구조도,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top driven elevator using a conventional wire rope;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levator using a connecting bel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ructure diagram of an elevator using a connecting bel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Example 1

본 발명의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0)와, 모터(미도시)와, 풀리(20)와, 제1롤러(31)와, 제2롤러(32)와, 평형추(40)와, 연결벨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structure of the upper driven elevator using the connecting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or car 10, a motor (not shown), a pulley 20, a first roller 31 and , The second roller 32, the counterweight 40, and the connecting belt 50 is made up of.

상기 승강카(10)는 건물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elevator car 1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hoistway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building.

상기 모터는 상기 승강카(10)의 상부에서 고정 장착되어, 상부 구동형을 엘리베이터를 이룬다.The motor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10 to form an upper drive type elevator.

상기 풀리(20)는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한다.The pulley 20 is coupled to the motor and rotates.

상기 제1롤러(31)는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서 상기 풀리(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first roller 31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pulley 20 at the top of the hoistway.

상기 제2롤러(32)는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서 상기 풀리(20)와 제1롤러(31) 사이에 배치된다.The second roller 32 is disposed between the pulley 20 and the first roller 31 at the top of the hoistway.

상기 평형추(40)는 상기 제1롤러(31)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counterweight 4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roller 31 .

상기 연결벨트(50)는 일단이 상기 승강카(10)에 결합된 후 상기 풀리(20)와 제2롤러(32)와 제1롤러(31)를 거쳐 타단이 상기 평형추(40)에 결합된다.The connecting belt 50 has one end coupled to the elevator car 1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pulley 20, the second roller 32, and the first roller 31 to have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unterweight 40. do.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벨트(50)의 일단은 상기 승강카(10)의 상부 중심에 결합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connecting belt 50 is coupl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elevator car 10 .

따라서 상기 모터에 의한 상기 풀리(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카(10)와 상기 평형추(4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elevator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40 move in opposite directions by rotation of the pulley 20 by the motor.

상기 연결벨트(50)는, 벨트본체(51)와 와이어(52)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belt 50 is composed of a belt body 51 and a wire 52.

상기 벨트본체(51)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보다 폭이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belt body 5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 shape wider than its thickness.

상기 와이어(52)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본체(51)의 내부에 상기 벨트본체(5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내장되어 있다.The wire 52 is made of a plurality, and is long embedded inside the belt body 51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elt body 51 .

이러한 상기 연결벨트(50)는 상기 풀리(20)의 상부와 접하고 상기 제2롤러(32)의 하부와 접하며 상기 제1롤러(31)의 상부와 접하도록 배치된다.The connecting belt 50 is disposed to contact the upper portion of the pulley 20 ,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oller 32 ,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oller 31 .

따라서 상기 연결벨트(50)는 상기 풀리(20)에 의해 정방향으로 굽혀지고, 상기 제2롤러(32)에 의해 역방향으로 굽혀지며, 상기 제1롤러(31)에 의해 다시 정방향으로 굽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connecting belt 50 is bent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pulley 20,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second roller 32, and again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first roller 31.

상기 풀리(20)의 직경은 상기 와이어(52)의 직경보다 40~60배 크다.The diameter of the pulley 20 is 40 to 60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52 .

관련규정(행정안전부 고시 제2019-32호 「승강기안전부품 안전기준 및 승강기 안전기준」 전부개정 별표22 "엘리베이터 안전기준" 등)에 의하면 풀리의 직경은 와이어로프의 직경보다 40배 이상 크도록 되어 있다.According to related regulations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Notice No. 2019-32 「Elevator Safety Parts Safety Standards and Elevator Safety Standards」 Fully Revised Attached Table 22 “Elevator Safety Standards”, etc.), the diameter of the pulley must be 40 time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rope there is.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강카(10)와 평형추(4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종래의 와이어로프가 아닌 연결벨트(50)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벨트(50)에 내장된 와이어(52)의 직경은 종래의 와이어로프의 직경보다 매우 작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belt 50 is used as a means for connecting the elevator car 10 and the counterweight 40,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wire rope, the wire 52 embedded in the connection belt 50 The diameter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wire rope.

위와 같이 상기 연결벨트(50)에 내장된 와이어(52)의 직경이 기존 와이어로프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와이어(52) 직경의 40배 이상이 되어야 하는 풀리(20)의 직경을 기존보다 작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ameter of the wire 52 embedded in the connecting belt 5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xisting wire rope, the diameter of the pulley 20, which should be 40 times or more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52, can be smaller than before. can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로프(5)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12mm, 14mm, 16mm 등을 사용하였고, 이때 풀리(2)의 직경은 와이어로프(5) 직경의 40배인 480mm, 560mm, 640mm를 사용하여야 하였는바, 풀리(2)의 직경이 커서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wire rope 5 generally has a diameter of 12 mm, 14 mm, 16 mm, etc., and the diameter of the pulley 2 is 40 times that of the wire rope 5. 480mm, 560mm, and 640mm had to be used, and the diameter of the pulley 2 is large, so a lot of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그러나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벨트(50)를 이용하고, 연결벨트(50)에 내장된 와이어(52)는 1개의 직경이 약 3~4mm이기 때문에, 풀리(20)의 직경은 와이어(52) 직경의 40배인 120mm~160mm를 사용하면 충분한 바, 종래의 풀리보다 더 작은 직경의 풀리를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onnection belt 50 as shown in FIG. 2, and since the wire 52 embedded in the connection belt 50 has a diameter of about 3 to 4 mm, the pulley 20 If the diameter is 120 mm to 160 mm, which is 40 times the diameter of the wire 52, it is sufficient to use a pulley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conventional pulley.

위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풀리(20)의 직경을 기존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pulley 20 can be made smaller than before, and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reduced.

그리고, 상기 풀리(20)와 상기 연결벨트(50)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1지점(a)에서 상기 제2롤러(32)와 상기 연결벨트(50)가 처음 접촉한 제2지점(b)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52)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도록 한다.And, at the first point (a) where the pulley 20 and the connecting belt 50 finally contacted, the second point (b) where the second roller 32 and the connecting belt 50 first contacted each other. The distance to the wire 52 is greater than 200 times the diameter of the wire 52.

또한, 상기 제2롤러(32)와 상기 연결벨트(50)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3지점(c)에서 상기 제1롤러(31)와 상기 연결벨트(50)가 처음 접촉한 제4지점(d)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52)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도록 한다.In addition, at the third point (c) where the second roller 32 and the connecting belt 50 finally contacted, the fourth point where the first roller 31 and the connecting belt 50 first contacted ( The distance to d) is 200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52.

이는 관련규정에서 역방향 굽힘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롤러와 와이어로프가 접촉한 점 상호간의 거리가 와이어로프 직경의 200배 이상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reverse bending in the relevant regulation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ints between the two rollers and the wire rope must satisfy more than 200 times the diameter of the wire rope.

또한, 상기 연결벨트(50)가 상기 풀리(20)와 접촉하는 각도는 140~170도가 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connection belt 50 and the pulley 20 is set to 140 to 170 degrees.

이 또한 관련규정에서 위와 같은 접촉각도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This is also because the related regulations require the same contact angle as abov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롤러(32)에 의해 상기 풀리(20)와 제1롤러(31) 사이에 배치된 상기 연결벨트(50)가 역방향으로 굽혀지게 되는데, 이때 위와 같은 관련규정을 모두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belt 50 disposed between the pulley 20 and the first roller 31 is bent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second roller 32, so that all of the above related regulations are satisfied. has been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제2롤러(32)에 의해 상기 연결벨트(50)가 역방향으로 굽혀지면서 상기 연결벨트(50)와 풀리(20)의 접촉각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connection belt 50 and the pulley 20 can be greatly increased while the connection belt 50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second roller 32 .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벨트(5)와 풀리(2)의 접촉각도를 관련규정에 맞게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풀리(2)와 제1롤러(3)의 높이차를 크게 하여야 했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했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satisfy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connection belt 5 and the pulley 2 according to the relevant regulations,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ulley 2 and the first roller 3 must be increased. Because of this, it required a lot of installation spac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롤러(32)가 상기 풀리(20)와 제1롤러(31) 사이에서 상기 연결벨트(50)를 역방향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벨트(50)와 풀리(20)의 접촉각도가 크게 증가되고, 이로 인해 상기 풀리(20)와 제1롤러(31)의 높이차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는바, 설치공간을 줄여 협소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since the second roller 32 presses the connecting belt 50 in the reverse direction between the pulley 20 and the first roller 31, the connecting belt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50 and the pulley 20 is greatly increased, and 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ulley 20 and the first roller 31,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a narrow space b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Do.

한편, 본 실시예는 제1이동부재(6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ovable member 61 .

상기 제1이동부재(61)는 상기 제2롤러(32)를 상기 연결벨트(50)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first moving member 61 moves the second roller 32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belt 50 .

상기 제1이동부재(61)에 의한 상기 제2롤러(3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벨트(50)와 상기 풀리(20)가 접촉하는 접촉각도가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연결벨트(50)와 상기 풀리(20)의 접촉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act angle at which the connecting belt 50 and the pulley 20 come into contact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roller 32 by the first moving member 61, and as a result, the connecting belt 50 And the contact angle of the pulley 20 can be adjusted as needed.

이때 상기 제1이동부재(61)의 이동은 수동, 전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able member 61 may be performed manually, electrically or automatically.

상기 제1이동부재(61)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미끄럼감지센서(71)와 제어부(7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order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first movable member 61, a slip sensor 71 and a control unit 72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미끄럼감지센서(71)는 상기 풀리(20)와 상기 연결벨트(50)의 미끄럼 정도를 감지한다.The slip sensor 71 detects the degree of slip between the pulley 20 and the connection belt 50 .

상기 제어부(72)는 상기 제1이동부재(61)를 제어하여, 상기 제2롤러(32)가 상기 연결벨트(5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조절하게 된다.The controller 72 controls the first moving member 61 to adjust the movement of the second roller 32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elt 50 .

상기 미끄럼감지센서(71)에 측정된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72)는 상기 제1이동부재(61)에 의해 상기 제2롤러(32)를 상기 연결벨트(5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풀리(20)와 상기 연결벨트(50)의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내에 도달하도록 한다.When the slip value measured by the slip sensor 71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72 moves the second roller 32 by the first moving member 61 to the connecting belt 50. direction so that the sliding value of the pulley 20 and the connecting belt 50 reaches within a preset reference value.

위와 같이 상기 제2롤러(32)의 자동 이동에 의한 상기 연결벨트(50)와 상기 풀리(20)의 접촉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서, 상기 연결벨트(50)가 상기 풀리(20)로부터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connecting belt 50 and the pulley 20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automatic movement of the second roller 32, so that the connecting belt 50 does not slide from the pulley 20. occurrenc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제2실시예Example 2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부재(62)와 거리측정센서(7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movable member 62 and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73 as shown in FIG. Explain.

상기 제2이동부재(62)는 상기 제2롤러(32)가 장착된 상기 제1이동부재(61)를 이동시켜 상기 제2롤러(32)와 상기 풀리(20)의 이격거리 및 상기 제2롤러(32)와 제1롤러(31)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The second movable member 62 moves the first movable member 61 to which the second roller 32 is mounted,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ller 32 and the pulley 20 and the second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 32 and the first roller 31 is adjusted.

상기 제2이동부재(62)는 상기 제1이동부재(61)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movable member 62 is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movable member 61 .

상기 거리측정센서(73)는 상기 제1지점(a)과 제2지점(b)의 거리 및 상기 제3지점(c)과 제4지점(d)의 거리를 측정한다.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73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 and the second point (b)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int (c) and the fourth point (d).

상기 제1이동부재(61)에 의해 상기 제2롤러(32)가 상기 연결벨트(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풀리(20)와 상기 연결벨트(50)의 접촉각도 및 상기 제2롤러(32)와 상기 연결벨트(50)의 접촉각도를 변경되게 된다.When the second roller 32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elt 50 by the first moving member 61,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pulley 20 and the connecting belt 50 and the second roller The contact angle between (32) and the connecting belt (50) is changed.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지점(a) 내지 제4지점(d)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position of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point (a) to the fourth point (d) is changed.

위와 같이 상기 제1이동부재(61)에 의한 상기 제2롤러(3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지점(a) 내지 제4지점(d)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거리측정센서(73)에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52)의 직경보다 200배 미만이 되면, 상기 제어부(72)는 상기 제2이동부재(62)를 이동시켜 상기 거리측정센서(73)에 측정되는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52)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on of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point (a) to the fourth point (d)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roller 32 by the first moving member 61, the distance measurement When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73 is less than 200 times the diameter of the wire 52, the control unit 72 moves the second movable member 62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73. The measured value becomes 200 times or more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52.

따라서 상기 제2롤러(32)가 상기 연결벨트(5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점(a) 내지 제4지점(d)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거리측정센서(73)에서 측정된 측정값 즉 상기 제1지점(a)과 제2지점(b)의 거리 및 상기 제3지점(c)과 제4지점(d)의 거리가 항상 상기 와이어(52)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a) to the fourth point (d) is changed as the second roller 32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elt 50, the measurement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73 value,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 and the second point (b)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int (c) and the fourth point (d) are always greater than 200 times the diameter of the wire 52. can keep it.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인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upper driven elevator using the connecting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permitt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승강카,
20 : 모터,
31 : 풀리, 32 : 제1롤러, 33 : 제2롤러,
40 : 평형추,
50 : 연결벨트, 51 : 벨트본체, 52 : 와이어,
61 : 제1이동부재, 62 : 제2이동부재,
71 : 미끄럼감지센서, 72 : 제어부, 73 : 거리측정센서.
10: lift car,
20: motor,
31: pulley, 32: first roller, 33: second roller,
40: counterweight,
50: connection belt, 51: belt body, 52: wire,
61: first movable member, 62: second movable member,
71: slip detection sensor, 72: control unit, 73: distance measurement sensor.

Claims (6)

승강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카의 상부에서 고정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롤러와;
상기 풀리와 제1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는 평형추와;
일단이 상기 승강카의 상부 중심에 결합된 후 상기 풀리와 제2롤러와 제1롤러를 거쳐 타단이 상기 평형추에 결합되는 연결벨트와;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연결벨트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재와;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의 미끄럼 정도를 감지하는 미끄럼감지센서와;
상기 제2롤러가 장착된 상기 제1이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2롤러와 상기 풀리의 이격거리 및 상기 제2롤러와 제1롤러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2이동부재와;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와;
상기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벨트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보다 폭이 넓은 형상의 벨트본체와; 상기 벨트본체의 내부에 상기 벨트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내장되는 다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풀리의 상부와 접하고 상기 제2롤러의 하부와 접하며 상기 제1롤러의 상부와 접하여,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풀리와 제1롤러에 의해 정방향으로 굽혀지고 상기 제2롤러에 의해 역방향으로 굽혀지며,
상기 풀리의 직경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40~60배 크고,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1지점에서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처음 접촉한 제2지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며,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마지막으로 접촉한 제3지점에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연결벨트가 처음 접촉한 제4지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 크고,
상기 연결벨트가 상기 풀리와 접촉하는 각도는 140~170도이며,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2롤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벨트와 상기 풀리가 접촉하는 각도가 가변되고,
상기 미끄럼감지센서에 측정된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연결벨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풀리와 상기 연결벨트의 미끄럼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내에 도달하도록 하며,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의 거리 및 상기 제3지점과 제4지점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2롤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지점 내지 제4지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미만이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이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측정되는 측정값이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200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an elevator car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hoistway;
a motor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a pulley that is coupled to the motor and rotates;
a first roller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pulley;
a second roller disposed between the pulley and the first roller;
a counterweight disposed below the first roller;
a connection bel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elevator ca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unterweight through the pulley, the second roller, and the first roller;
a first moving member for moving the second roller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belt;
a slip sensor for detecting a degree of slip between the pulley and the connecting belt;
a second movable member for adjus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ller and the pulley and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ller and the first roller by moving the first movable member to which the second roller is mounted;
a distanc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distanc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movable member and the second movable member;
The connecting belt,
a belt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ving a shape wider than its thickness; A plurality of wires embedded inside the belt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lt body;
The connecting bel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pulley,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oller,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oller, so that the connecting belt is bent in a forward direction by the pulley and the first roller and in a reverse direction by the second roller. bent into
The diameter of the pulley is 40 to 60 time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The distance from the first point where the pulley and the connecting belt finally contacted to the second point where the second roller and the connecting belt first contacted is 200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The distance from the third point where the second roller and the connecting belt finally contacted to the fourth point where the first roller and the connecting belt first contacted is 200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The angle at which the connecting belt contacts the pulley is 140 to 170 degrees,
A contact angle between the connecting belt and the pulley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roller by the first moving member,
When the slip value measured by the slip detection sensor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moves the second roller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elt by the first moving member so that the slip value between the pulley and the connecting belt is set in advance. to reach within the standard value,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int and the fourth point,
When the position of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points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roller by the first moving member,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is 200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When it is less than, the controller moves the second moving member so that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is 200 times or more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35028A 2022-10-19 2022-10-19 Structure of top driving elevator KR1024844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28A KR102484427B1 (en) 2022-10-19 2022-10-19 Structure of top driving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28A KR102484427B1 (en) 2022-10-19 2022-10-19 Structure of top driving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427B1 true KR102484427B1 (en) 2023-01-04

Family

ID=8492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028A KR102484427B1 (en) 2022-10-19 2022-10-19 Structure of top driving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42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582A (en) 1998-04-28 1999-11-25 니시무로 타이죠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KR19990083487A (en) 1998-04-28 1999-11-25 니시무로 타이죠 Load Detector for Elevator Cage
JP2000118914A (en) * 1998-10-08 2000-04-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Tensile force compensation device of main rope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582A (en) 1998-04-28 1999-11-25 니시무로 타이죠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KR19990083487A (en) 1998-04-28 1999-11-25 니시무로 타이죠 Load Detector for Elevator Cage
JP2000118914A (en) * 1998-10-08 2000-04-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Tensile force compensation device of main rope for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947B1 (en) Elevator
EP2080725B1 (en) Elevator system
EP2660181B1 (en) Elevator apparatus with overspeed detection device and car position detection.
CN106414295B (en) Elevator provided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safety arrangement
KR101975775B1 (en) An safety elevator equipped with anti-skid device
KR860002410Y1 (en) A elevator
WO2007074203A1 (en) Elevator system
JP2007039240A (en) Counter clearance measuring device of elevator and its measuring method
KR102484427B1 (en) Structure of top driving elevator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KR20180130181A (en) Slip detection and control method for elevator
CN114599598B (en) Elevator device and door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device
CN1485261A (en) Detecting apparatus for position of double-tractive drive elevator system
KR102649766B1 (en) Car lower driving elevator
US20210163260A1 (en) Emergency stop system for elevator
JP6580275B2 (en) Elevator interlock device
JP6429742B2 (en) Elevator car equipment
JP4567347B2 (en)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KR100351279B1 (en) Elevator
CN111348505B (en) Elevator and elevator control method
KR100420027B1 (en) Link structure for elevator governor
KR200199477Y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winch of machine-roomless elevator
CN110191854B (en) Elevator device
JP6599017B2 (en) Elevator equipment
KR20210020389A (en) Forced decel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variable speed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