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260B1 -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 Google Patents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260B1
KR102479260B1 KR1020210066595A KR20210066595A KR102479260B1 KR 102479260 B1 KR102479260 B1 KR 102479260B1 KR 1020210066595 A KR1020210066595 A KR 1020210066595A KR 20210066595 A KR20210066595 A KR 20210066595A KR 102479260 B1 KR102479260 B1 KR 102479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frame
loading member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942A (ko
Inventor
이승일
Original Assignee
이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일 filed Critical 이승일
Priority to KR102021006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26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2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suspe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과,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프레임의 하부에도 하부적재물을 실을 수 있도록 하는 하부적재부;를 포함하되, 하부적재부는, 바닥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부로 하부적재물의 일측이 안착되는 전방적재유닛과, 바닥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부로 하부적재물의 타측이 안착되는 후방적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프레임부의 상부로 상부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적재부를 통하여 프레임부의 하부에도 하부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동시에 적재가 가능하고 작업자 혼자서도 용이하게 하부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Carts with upper and lower loads}
본 발명은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수레의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한 번에 보다 많은 적재물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 혼자서도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등 다양한 작업현장에서는 적재물을 보다 편리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적재물을 적재 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손수레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손수레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손잡이와 바퀴가 결합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적재물을 수용공간에 적재한 뒤 손잡이와 바퀴를 통해 적재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손수레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400호는 벽돌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링크식 벽돌운반용 손수레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손수레는 프레임의 상부 수용공간으로만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적재할 수 있는 양에 한계가 있었으며, 또한 무거운 적재물의 경우에는 작업자 혼자서 적재물을 손수레에 적재하기 힘들었을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긴 파이프의 경우에는 적재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400호
본 발명은, 손수레의 상부 수용공간으로 상부적재물을 적재함은 물론 손수레의 하부에도 동시에 하부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적재량을 크게 늘릴 수 있으며, 작업자 혼자서도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 및 운반할 수 있어 작업시간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길이가 긴 파이프 등을 포함하는 적재물의 효율적인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외측단부를 따라 세워져 결합되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로 상부적재물이 수용 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의 하부에도 하부적재물을 실을 수 있도록 하는 하부적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적재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며, 일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방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프레임 사이에 삽입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상기 하부적재물의 전방 일측이 삽입 안착되어 적재되는 전방적재유닛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며, 일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방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방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프레임 사이에 삽입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상기 하부적재물의 후방 타측이 삽입 안착되어 적재되는 후방적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적재유닛과 상기 후방적재유닛은, 각각 설정 길이를 갖고 있으며 일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적재부재와, 설정 길이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1적재부재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바닥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적재부재와, 상기 제1적재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제2적재부재의 타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착탈클램프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착탈클램프를 통하여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를 서로 연결하면,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의 상부와 상기 바닥프레임의 하면과의 삽입공간에 상기 하부적재물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하부적재물이 삽입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는, 각각 로프, 와이어, 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줄 형태의 플렉서블한 소재 또는 철재 막대 또는 체인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적재유닛과 상기 후방적재유닛은, 각각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적재물과의 마찰력을 높여 하부적재물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적재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 각각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삽입공간의 수직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 각각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의 타단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프레임에 구비되되, 복수개가 설정 간격에 따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적재유닛과 상기 후방적재유닛은, 각각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권취롤러와, 일단부가 상기 권취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러의 회전에 따라 감김 또는 풀림이 이루어지며, 타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부재와, 상기 권취롤러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권취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레버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권취롤러의 회전을 조절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권취롤러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권취롤러의 축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래칫휠과, 상기 래칫휠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되,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래칫휠을 향하여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동 시 일단부가 상기 래칫휠의 톱니에 끼워져 상기 래칫휠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부적재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에 대한 상기 와이어부재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삽입공간의 수직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와이어부재 타단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하면에 구비되고, 복수개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결합부와,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하부적재물을 클램핑하여 상기 하부적재물의 슬립 또는 낙하를 방지하는 클램핑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무게추와, 상기 바닥프레임에 결합되되 길이방향이 상기 프레임부의 기울어지는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무게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또는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방향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무게추가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간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과, 고리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공간에 배치되되, 양단부는 상기 무게추의 전방에 결합되고 고리형상의 절곡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방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하부적재물의 전방을 감싸면서 상기 하부적재물을 클램핑하며, 상기 무게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절곡부의 노출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하부적재물의 클램핑 정도가 조절되는 제1와이어와, 고리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공간에 배치되되, 양단부는 상기 무게추의 후방에 결합되고 고리형상의 절곡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후방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하부적재물의 후방을 감싸면서 상기 하부적재물을 클램핑하며, 상기 무게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절곡부의 노출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하부적재물의 클램핑 정도가 조절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한 쌍의 바퀴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닥프레임과 지면과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는 프레임부의 상부로 상부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적재부를 통하여 프레임부의 하부에도 하부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동시에 적재가 가능하여 한번에 보다 많은 적재물을 적재 및 운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는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혼자서도 하부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인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는 길이가 긴 파이프의 경우 기존의 손수레가 박스형의 적재공간 내에 적재할 시 그 길이로 인해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 것에 반해 하부적재부에 적재시킴으로써 프레임부의 상부로의 적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하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의 전방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하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에서 착탈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상하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에서 위치조절유닛이 구비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상하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에서 클램핑수단이 구비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하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에서 클램핑수단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상하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의 하부적재물의 적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상하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에서 와이어부재를 이용한 하부적재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하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에서 작동박스 내 하부적재부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상하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에서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이하 '손수레'라고 한다)는, 프레임부(100)와, 하부적재부(200)를 포함하여, 프레임부(100)를 통해서는 상부적재물(10)을 적재하고 하부적재부(200)를 통해서는 하부적재물(20)을 적재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프레임부(100)는, 바닥프레임(110)과 측면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먼저, 바닥프레임(110)은, 프레임부(100)에서 바닥면을 형성하며, 양측으로 한 쌍의 바퀴들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측면프레임(120)은, 바닥프레임(110)의 외측단부를 따라 사방에 세워져 결합되어 측면을 형성하며,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으며 바닥프레임(110)과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바닥프레임(110)의 상부로 상부적재물(10)이 수용 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바닥프레임(110)과 측면프레임(120)은, 각각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판상의 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레임과 판부재는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부적재부(2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하부적재부(200)는, 바닥프레임(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프레임(110)의 하부에도 하부적재물(20)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 이러한 하부적재부(200)는, 바닥프레임(110)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전방적재유닛(210)과, 후방적재유닛(22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방적재유닛(210)은, 바닥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일단부는 바닥프레임(110)의 전방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프레임(110)의 전방 타측에 결합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늘어진 끈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로 하부적재물(20)의 전방(일측)이 삽입 안착되어 적재될 수 있다.
후방적재유닛(220)은, 바닥프레임(1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일단부는 바닥프레임(110)의 후방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프레임(110)의 후방 타측에 결합되며, 전방적재유닛(210)과 같이 늘어진 끈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로 하부적재물(20)의 후방(타측)이 안착되어 적재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적재유닛(210)과 후방적재유닛(220)은, 바닥프레임(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바닥프레임(110)의 전후방 또는 중앙부에 걸쳐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방적재유닛(210)과 후방적재유닛(220)은,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래의 구성들을 포함한다. 전방적재유닛(210)과 후방적재유닛(220)은, 각각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와, 착탈클램프(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적재부재(230)는, 설정 길이를 갖고 있으며 일단부는 바닥프레임(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적재부재(240)는, 설정 길이를 갖고 있으며 제1적재부재(230)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일단부가 바닥프레임(11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는, 서로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 로프, 와이어, 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줄 형태의 플렉서블한 소재 또는 철재 봉 또는 체인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 등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전방적재유닛(210)과 후방적재유닛(220)은, 각각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하부적재물(20)과의 마찰력을 높여 하부적재물(20)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부재는, 마찰력이 큰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착탈클램프(250)는, 제1적재부재(230)의 타단부와 제2적재부재(240)의 타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작업자에 의하여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착탈클램프(250)는, 서로 착탈 가능한 구성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가령,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클램프(250)는 착탈클립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 외 걸림후크와, 걸림링 등 다양한 착탈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는, 착탈클램프(250)를 해제한 후 각각의 타단부를 바닥프레임(110)에 구비된 위치고정부(252)에 연결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면, 하부적재물(20)을 적재하지 않을 시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가 늘어지지 않도록 바닥프레임(100)에 밀착되게 그 위치를 고정시켜 이동 시 늘어진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에 의한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고정부(2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클립(253)이 착탈되는 고정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전방적재유닛(210)과 후방적재유닛(220)은, 작업자가 착탈클램프(250)를 통하여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를 서로 연결하면,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의 상부와 바닥프레임(110)의 하면과의 사이에 하부적재물(2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251)이 마련되어 하부적재물(20)이 삽입 안착되어 적재될 수 있다.
도 4는 하부적재부(200)에 위치조절유닛(300)을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적재부(200)는, 바닥프레임(110)에 대한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 각각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삽입공간(251)의 수직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유닛(300)을 포함한다.
세부적으로, 위치조절유닛(300)은,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 각각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310)와,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의 타단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바닥프레임(110)에 구비되되, 복수개가 설정 간격에 따라 이격되게 구비되어 제1연결부(310)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연결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착탈클립과, 링형상의 복수개의 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5는 클램핑수단(500)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적재부(200)는, 프레임부(100)에 결합하고 하부적재물(20)을 클램핑하여 하부적재물(20) 적재 및 운반 시 하부적재물(20)의 슬립, 이동, 낙하를 방지하고, 또한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클램핑수단(500)을 포함한다.
이러한 클램핑수단(500)은,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하부적재물(20)을 적재 할 시 프레임부(100)의 전후방향 기울어짐에 따라 하부적재물(20)을 조여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를 전후방향으로 기울이면서 하부적재물(20)을 적재하는 본 발명의 작동을 고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클램핑수단(5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면, 클램핑수단(500)은, 이동추(510)와, 가이드프레임(520)과, 제1와이어(530)와, 제2와이어(540)와, 스토퍼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이동추(510)는, 설정 중량을 가지고 있는 부재로 형성되며, 프레임부(100)의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중력에 의하여 이동한다.
가이드프레임(520)은, 길이방향이 프레임부(100)의 기울어지는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바닥프레임(110)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추(51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또는 안착되는 가이드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이동추(510)는 가이드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프레임부(100)의 전후방향 기울어짐에 따라 프레임부(10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프레임(520)은, 내측면에 걸림부(550)가 돌출 형성되어 이동추(5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동을 제한하여 제1와이어(530)와 제2와이어(540)의 절곡부가 항상 노출되게 하고 노출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제1와이어(530)는, 절곡되어 가이드공간에 배치되며, 양단부는 이동추(510)의 전방에 결합되고 고리형상의 절곡부는 가이드프레임(520)의 전방으로부터 노출된다. 여기서, 제1와이어(530)는, 노출되는 절곡부가 하부적재물(20)의 전방을 감싸고, 이동추(510)의 이동에 따라 절곡부의 노출길이가 조절되어 이동추(510)의 이동에 의하여 하부적재물(20)을 조여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와이어(540)는, 이동추(510)를 중심으로제1와이어(530)와 대칭되게 위치하며, 이동추(510)의 이동에 따라 절곡부의 노출길이가 조절되어 하부적재물(20)의 클램핑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540)는, 전술한 제1와이어(530)와 마찬가지로 절곡되어 가이드공간에 배치되며, 양단부는 이동추(510)의 후방에 결합되고 고리형상의 절곡부는 가이드프레임(520)의 후방으로부터 노출되어 하부적재물(20)의 후방을 감싸고 이동추(510)의 이동에 따라 하부적재물(20)을 조여 클램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손수레를 이용하여 하부적재물(20)을 적재하는 방법은, 작업자가 무거운 하부적재물(20)을 들어서 적재시킬 필요 없이 프레임부(100)를 전후방향으로 기울여 지면에서 하부적재물(20)을 그대로 적재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하부적재물(20)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하부적재물(20)도 쉽게 들어올려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작업자 혼자서 적재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상기한 손수레를 통한 하부적재물(20)의 적재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손수레를 이용한 하부적재물(20)의 적재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작업자는 하부적재부(200)에 하부적재물(20)을 적재할 수 있도록 손수레를 하부적재물(20)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고, 그런 다음 하부적재물(20)을 하부적재부(200)의 전방적재유닛(210)과 후방적재유닛(220)에 각각 순차적으로 연결시켜 적재시킨다.
세부적으로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하부적재물(20)의 전방 일측을 전방적재유닛(210)에 먼저 적재시키기 위하여, 바닥프레임(110)을 전방 하부로 기울이고, 그러면 전방적재유닛(210)은 하부적재물(20)이 위치하는 곳까지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바닥프레임(110)과 제1적재부재(230)와 제2적재부재(240) 사이의 삽입공간(251)으로 하부적재물(20)의 전방 일측을 끼워 삽입 안착시킨다.
여기에서, 추가적으로 작업자는 클램핑수단(500)의 제1와이어(530)의 절곡부에도 하부적재물(20)의 전방 일측을 감싸도록 하여, 이후의 바닥프레임(110)을 후방으로 기울일 시 제1와이어(530)가 하부적재물(20)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여 후방적재유닛(220)에 하부적재물(20)을 적재시킬 시 발생될 수 있는 슬립이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전방적재유닛(210)에 하부적재물(20)의 전방 일측을 안착시켜 적재시키고 나면, 다음으로 후방적재유닛(220)에 하부적재물(20)의 후방 타측을 안착시켜 적재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를 위해 작업자는 바닥프레임(110)의 후방이 하부로 이동하도록 기울여 후방적재유닛(220)이 하부적재물(20)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하부적재물(20)의 전방이 전방적재유닛(210)에 적재된 상태라 하더라도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바닥프레임(110)을 기울일 수 있다.
그리고 하부적재물(20)의 전방은 전방적재유닛(210)과 클램핑수단(500)에 의하여 낙하하지 않고 전방적재유닛(210)에 그대로 안착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바닥프레임(110)의 후방에서 후방적재유닛(220)에 하부적재물(20)을 안전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후방적재유닛(220)에도 하부적재물(20)을 적재시키면, 하부적재물(20)은 전방적재유닛(210)과 후방적재유닛(220)에 모두 적재되어 하부적재물(20)의 적재를 마치게 되며, 작업자는 이 상태로 운반하면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하부적재부(2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방적재유닛(210)과 후방적재유닛(220)은, 각각 권취롤러(410)와, 와이어부재(420)와, 작동레버(430)와, 스토퍼부(440)를 포함한다.
먼저, 권취롤러(410)는, 바닥프레임(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으로 와이어부재(420)가 권취될 수 있다.
와이어부재(420)는, 일단부가 권취롤러(410)에 연결되어 권취롤러(410)의 회전에 따라 감김 또는 풀림이 이루어지며, 타단부는 바닥프레임(1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부재(420)는, 착탈부(450)를 통하여 바닥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러한 착탈부(450)의 구성은 전술한 착탈클램프(250)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하부적재부(200)는, 위치조절수단에 의하여 와이어부재(420)의 바닥프레임(110)에 대한 결합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조절수단은, 하부적재물(20)의 종류 및 적재량에 따라 바닥프레임(110)에 대한 와이어부재(420)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삽입공간(251)의 수직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위치조절수단은, 와이어부재(420) 타단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바닥프레임(110)의 하면에 구비되고 복수개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결합부와, 와이어부재(42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착탈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와 착탈부(450)는 착탈클립(253) 또는 걸림후크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위치조절유닛(300)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작동레버(430)는, 권취롤러(410)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권취롤러(410)를 수동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레버(430)는,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하여 권취롤러(4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시키고, 이를 통해 와이어부재(420)가 감김 또는 풀림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작동레버(430)를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권취롤러(410)와 축결합하여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동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스토퍼부(440)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권취롤러(4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토퍼부(440)는, 래칫휠(441)과, 스토퍼(4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래칫휠(441)은, 권취롤러(410)의 회전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축결합되고 일면이 권취롤러(410)와 고정 결합되어 권취롤러(410)에 대응하여 회전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42)는, 래칫휠(44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래칫휠(441)을 향하여 왕복 이동하여 래칫휠(441)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스토퍼(442)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작업자가 일단부를 이동시키면 타단부가 래칫휠(441)의 톱니에 끼워져 걸림 또는 해제되어 래칫휠(441)과 권취롤러(41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에서 높이조절부(600)를 구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는, 바닥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바퀴(3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프레임(110)과 지면과의 이격거리(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부(600)는, 바닥프레임(110)과 지면과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하부적재부(200)의 적재공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도 2와는 달리 지면에 대하여 바퀴(30)의 회전축 높이보다 바닥프레임(110)의 높이를 높게 조절하여 바닥프레임(110)의 높이를 높게 함으로써 하부적재물(20)의 적재공간을 늘릴 수 있다.
이에, 높이조절부(600)는, 하부적재물(20)의 종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하부적재물(20)을 보다 용이하게 적재하거나 보다 많은 하부적재물(20)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며, 직경이 작은 바퀴(30)의 경우에도 하부적재물(20)의 적재공간을 늘릴 수 있다.
높이조절부(600)는, 상측은 바닥프레임(110)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측은 바퀴(30)의 회전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조절수단(6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조절수단(61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신장과 수축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링크부재들과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 또는 실린더와 유압에 따라 신축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구성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상부적재물 20 : 하부적재물
100 : 프레임부 110 : 바닥프레임
120 : 측면프레임 200 : 하부적재부
210 : 전방적재유닛 220 : 후방적재유닛
230 : 제1적재부재 240 : 제2적재부재
250 : 착탈클램프 251 : 삽입공간
252 : 위치고정부 253 : 착탈클립
300 : 위치조절유닛 310 : 제1연결부
320 : 제2연결부 410 : 권취롤러
420 : 와이어부재 430 : 작동레버
440 : 스토퍼부 441 : 래칫휠
442 : 스토퍼 450 : 착탈부
500 : 클램핑수단 510 : 이동추
520 : 가이드프레임 530 : 제1와이어
540 : 제2와이어 550 : 걸림부
600 : 높이조절부 610 : 조절수단

Claims (6)

  1.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외측단부를 따라 세워져 결합되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로 상부적재물이 수용 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의 하부에도 하부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적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적재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며, 일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방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프레임 사이에 삽입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상기 하부적재물의 전방 일측이 삽입 안착되어 적재되는 전방적재유닛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며, 일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방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방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프레임 사이에 삽입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상기 하부적재물의 후방 타측이 삽입 안착되어 적재되는 후방적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적재유닛과 상기 후방적재유닛은, 각각
    설정 길이를 갖고 있으며 일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적재부재와, 설정 길이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1적재부재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바닥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적재부재와, 상기 제1적재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제2적재부재의 타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착탈클램프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착탈클램프를 통하여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를 서로 연결하면, 상기 제1적재부재 및 상기 제2적재부재와 상기 바닥프레임의 하면 사이에 상기 삽입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하부적재물이 삽입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는, 각각
    로프, 와이어, 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줄 형태의 플렉서블한 소재 또는 철재 막대 또는 체인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적재유닛과 상기 후방적재유닛은, 각각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적재물과의 마찰력을 높여 하부적재물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적재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 각각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삽입공간의 수직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 각각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적재부재와 상기 제2적재부재의 타단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프레임에 구비되되, 복수개가 설정 간격에 따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KR1020210066595A 2021-05-25 2021-05-25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KR102479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95A KR102479260B1 (ko) 2021-05-25 2021-05-25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95A KR102479260B1 (ko) 2021-05-25 2021-05-25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42A KR20220158942A (ko) 2022-12-02
KR102479260B1 true KR102479260B1 (ko) 2022-12-19

Family

ID=8441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595A KR102479260B1 (ko) 2021-05-25 2021-05-25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2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627Y2 (ja) * 1988-09-13 1997-05-21 コンビ 株式会社 乳母車用買物かご
KR200373524Y1 (ko) 2004-10-16 2005-01-21 (주)인성캐스터 쇼핑카트
KR101771860B1 (ko) 2016-09-19 2017-08-25 이국환 평형보조장치를 구비한 운반 대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03A (ja) * 1997-06-27 1999-01-26 Shigematsu Kogyo Kk 手押し運搬車
KR200484400Y1 (ko) 2016-04-01 2017-09-01 손길영 링크식 벽돌운반용 손수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627Y2 (ja) * 1988-09-13 1997-05-21 コンビ 株式会社 乳母車用買物かご
KR200373524Y1 (ko) 2004-10-16 2005-01-21 (주)인성캐스터 쇼핑카트
KR101771860B1 (ko) 2016-09-19 2017-08-25 이국환 평형보조장치를 구비한 운반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42A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8588B2 (ja) 一対のバックステーストラップ部分間に取り付けられるバックステースプレッダ、巻き上げクレーン、及び巻き上げクレーンを組み立てる方法
CN106761855B (zh) 拱架台车
JP2012144373A (ja) クレーン吊り下げアセンブリの構成部分同士を連結する方法、及び該方法のために使用されるフレーム取り付けアセンブリ
WO2016209799A1 (en) Hand truck
US7051492B2 (en) Film wrapping apparatus with negator spring biasing members
KR102479260B1 (ko) 상하부 적재가 가능한 손수레
EP1428786A2 (en) Coil handling device
JP2017039401A (ja) 車両等で、荷物の積み降ろしが簡易になる台車
JP5627958B2 (ja) 柱上作業台
JP6902417B2 (ja) シート掛け補助装置
TW201932392A (zh) 荷重搬運機械
JP2014210666A (ja) 把持装置
JP2899146B2 (ja) 成形パネルの仕分装置
KR102135249B1 (ko)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JP2009292568A (ja) テストウェイト運搬装置
JP2956918B2 (ja) 成形パネルの仕分装置
CN114380019B (zh) 一种建筑材料捆扎辅助装置及工业搬运机器人
KR102358213B1 (ko) 수동 리프터
WO2021049058A1 (ja) ロール反転機構を備えた運搬車
JP2014125150A (ja) タイヤ運搬装置
US11794798B2 (en) Mechanical hand trucks with enhanced stair climbing and descending capability
FR3108598A1 (fr) Bras Manipulateur de Briques
EP2913294A1 (en) Lifting device
JP5974889B2 (ja) タイヤ取付け作業補助装置
JP3199217U (ja) スライド式ダンプ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