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339B1 -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339B1
KR102475339B1 KR1020210061939A KR20210061939A KR102475339B1 KR 102475339 B1 KR102475339 B1 KR 102475339B1 KR 1020210061939 A KR1020210061939 A KR 1020210061939A KR 20210061939 A KR20210061939 A KR 20210061939A KR 102475339 B1 KR102475339 B1 KR 10247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atch guide
transfer unit
door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415A (ko
Inventor
박현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1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339B1/ko
Priority to KR1020210094321A priority patent/KR102475340B1/ko
Priority to KR1020220038578A priority patent/KR20220154608A/ko
Priority to PCT/KR2022/006610 priority patent/WO2022240113A1/ko
Priority to EP22807761.6A priority patent/EP4338652A1/en
Publication of KR2022015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6Loading door status, e.g. door latch opened or close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dish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식기 세척기의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에 대한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로서, 본체에 고정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케이싱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의 내부 좌측의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좌측 래치 및 상기 이송 유닛의 내부 우측의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우측 래치를 포함하는 래치부; 및 상기 이송 유닛 상에서 이송 유닛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래치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좌측 래치 및 우측 래치가 서로 대칭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부를 가이드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DOOR OPEN CLOSE APPARATUS IN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자동 문 열림 기능 및 자동 문 닫힘 기능을 구비한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을 보다 용이하고 위생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기의 하부 세척조에 담긴 세척수에 전용 세제를 용해시켜 물 분사나 브러쉬 세척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음식찌꺼기나 이물질이 묻어 있는 식기나 수저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일면에 개구부를 가진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를 구비하고, 일반적으로, 본체에는 래치부를 구비한 도어 개폐 장치가 설치되어 도어 개폐 장치의 래치부가 도어에 구비된 결합 보스(BOSS)를 구속하여 도어를 폐쇄하고 구속을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개폐된다.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경우, 세척, 건조 등의 코스가 종료한 후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로 작동이 중지되도록 설계되어 있었기 때문에 식기세척기 내부에 물 맺힘과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일부 식기 세척기는 행정 종료 후에 식기 세척기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설계된 자동 문열림 장치를 채용하여 식기를 건조하고 내부의 잔여 습기 및 냄새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 문열림 장치는 위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건조 행정 종료 후에는 문을 다시 닫을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식기세척기 도어 개방 상태에서는 주변의 먼지나 이물질에 의해 세척기 내의 식기가 재오염이 될 수 있으며, 또 개방된 문은 주변 물품에 비해 돌출되어 있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통행에 방해가 되어 자칫 사람이 문에 부딪혀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문 열림과 자동 문 닫힘을 구현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식기 세척기의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에 대한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로서, 본체에 고정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의 내부 좌측의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좌측 래치 및 상기 이송 유닛의 내부 우측의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우측 래치를 포함하는 래치부; 및 상기 이송 유닛 상에서 상기 이송 유닛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래치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좌측 래치 및 우측 래치가 서로 대칭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부를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좌측 래치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구비된 체결홈이 상기 좌측의 고정축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래치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구비된 체결홈이 상기 우측의 고정축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 래치 및 상기 우측 래치가 각각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송 유닛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에는, 상기 좌측의 고정축 및 우측의 고정축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고정축 수용홈 및 우측 고정축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고정축 수용홈에 각각 좌측 및 우측의 고정축이 삽입되며,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의 좌우측 고정축이 상기 좌우측 고정축 수용홈의 후단에 각각 접하는 최전방 위치와, 상기 이송 유닛의 좌우측 고정축이 상기 좌우측 고정축 수용홈의 선단에 각각 접하는 최후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이송 유닛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에는, 상기 각각의 고정축 수용홈의 후방에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래치 가이드홈 및 우측 래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래치 가이드홈에는 상기 좌측 래치의 체결홈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우측 래치 가이드홈에는 상기 우측 래치의 체결홈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좌측 래치 가이드홈 및 우측 래치 가이드홈은 그 전방측 단부로부터 후방측 단부로 갈수록 래치 가이드 유닛의 내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좌우측 래치의 결합 돌기가 상기 좌우측 래치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의 중앙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좌우측 래치는 후단이 서로 근접하고 선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좌우측 래치의 결합 돌기가 상기 좌우측 래치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의 좌우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좌우측 래치는 후단이 서로 멀어지고 선단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래치의 후단은 상기 이송 유닛의 좌측 암부에 배치된 제1 탄성체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래치의 후단은 상기 이송 유닛의 우측 암부에 배치된 제2 탄성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체가 복원력에 의해 상기 좌측 및 우측 래치의 후단을 끌어당김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래치의 선단은 근접 배치 상태를 유지하고, 양 선단 사이의 틈은 도어의 결합 보스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보스를 인식하는 결합 보스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 상의 프로파일 형상을 따라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바는 푸시바와 래치 가이드 유닛 사이의 스프링 부재를 통해 푸시바가 후방 이동시 전방을 향하는 반발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바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푸시바 전방 이동 신호 또는 푸시바 후방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푸시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보스가 상기 좌측 래치 및 우측 래치의 선단 사이로 들어와 배치되면, 상기 결합 보스 감지 센서가 도어 근접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 트레인을 제어하며,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우측 래치의 선단이 서로 근접하여 그 내측에 결합 보스를 감싸고, 좌측 및 우측 래치의 후단이 각각 제1 및 제2 탄성체에 의해 외측으로 힘을 받아 래치부의 선단을 조임으로써 상기 결합 보스를 구속하며, 이 상태에서 이송 유닛 전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따라 개폐 장치가 결합 보스를 구속한 채로 도어를 반개방 또는 반폐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보스가 상기 푸시바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푸시바 센서가 푸시바 후방 이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랙 기어를 후방으로 견인하도록 하는 모터 구동 신호를 구동 트레인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결합 보스가 상기 좌우측 래치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근접 이동하여 도어가 본체에 잠기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결합 보스가 상기 푸시바 선단을 가압하면 상기 스프링 부재가 수축함으로써 상기 결합 보스와 상기 푸시바 선단 사이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의 모든 행정이 종료된 후에 자동 문 열림 기능뿐 아니라, 자동 문닫힘 기능을 선택하여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행정 종료 후 자동 문 열림 기능을 사용하여 세척기 내부의 잔여 습기와 냄새를 제거하고, 자동 문 닫힘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주변의 먼지나 이물질이 세척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식기 재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가 설치된 식기 세척기의 단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도어 개폐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e는 도어 개폐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도어의 결합 보스가 구속 해제된 상태의 도어 개폐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a는 도어의 결합 보스가 구속되는 과정의 도어 개폐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b는 도어의 결합 보스가 구속되는 과정의 도어 개폐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어의 결합 보스가 구속된 상태의 도어 개폐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어 완전 폐쇄 상태일 때 도어 개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가 설치된 식기 세척기의 단면을 나타낸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내부 투시도, 도 2c는 도 2a의 분해 사시도, 도 2d는 본 발명의 도어 개폐 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2e는 도어 개폐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어의 결합 보스가 구속 해제된 상태의 도어 개폐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4a는 도어의 결합 보스가 구속되는 과정의 도어 개폐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4b는 도어의 결합 보스가 구속되는 과정의 도어 개폐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도어의 결합 보스가 구속된 상태의 도어 개폐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도어 완전 폐쇄 상태일 때 도어 개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의 본체(10) 일측, 구체적으로 본체(10)의 개구측 상단에 구비되어 도어(11)의 상단에 구비된 결합 보스(12)(BOSS)를 본체(10)쪽으로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함으로써 본체(10)에 대하여 도어 개폐를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100)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장치(100)는, 케이싱(110), 이송 유닛(120), 래치부, 래치 가이드 유닛(140) 및 푸시바(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폐 장치(100)는 케이싱(110) 내부에 구성 부품이 조립된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케이싱(110)을 본체(1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켜 모듈식 도어 개폐 장치(100)를 식기 세척기에 설치할 수 있다.
케이싱(110)의 내측에는 이송 유닛(120)이 구비된다. 이송 유닛(120)은 케이싱(1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케이싱(110)의 프로파일 형상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구비되어 있어 이송 유닛(120)의 배치 위치를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이송 유닛(120)은 좌우 격벽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어 있고, 전후 방향으로 격벽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격벽 사이의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송 유닛(120)은 케이싱(110)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의 최후방에 배치될 때 이송 유닛(120)의 선단이 케이싱(110)의 선단 내측으로 리세스되고(도 2b 참조),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이송 유닛(120)의 선단이 케이싱(110)의 선단에서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송 유닛(120)은 구동원(모터)에 의해 전진 및 후진 작동한다. 보다 명확히 설명하면, 모터에 의해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전진 및 후진 이동하고,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전진 이동력이 이송 유닛(120)을 전방으로 견인하고, 반대로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후진 이동력이 이송 유닛(120)을 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이송 유닛(120)이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110)의 내측에 구동 트레인이 설치되어 있고, 구동 트레인은 모터와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포함한다. 한편, 이송 유닛(12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후단에는 랙 기어가 설치된다.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이 적어도 하나의 기어들을 회전시키며 기어의 회전력은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일측(예컨대,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후단)에 형성된 랙 기어에 전달된다. 랙 기어가 전방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랙 기어에 연결된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전진 이동하고,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전진 이동력이 이송 유닛(120)을 전방으로 견인한다. 반대로, 랙 기어가 후방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랙 기어에 연결된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후진 이동하고,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후진 이동력이 이송 유닛(120)을 후방으로 견인한다.
이때 이송 유닛(120)은 케이싱(110)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케이싱(110) 내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이송 유닛(120)의 전후방 이송을 제한한다. 먼저,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의 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모터를 구동시키면 기어의 회전에 의해 랙 기어가 전방 이동하면서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최전방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는 이송 유닛(1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이송 유닛(120)은 스토퍼에 의해 전방 이동이 억제된다. 반대로,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모터를 구동시키면 기어의 반대 회전에 의해 랙 기어가 후방 이동하면서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의 후방으로 이동하며, 최후방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는 이송 유닛(1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케이싱(110) 내에는 이송 유닛(120)의 후방 이송을 제한하기 위한 또 다른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고, 이송 유닛(120)은 이러한 스토퍼에 의해 후방 이동이 억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송 유닛(120) 위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이송 유닛(120) 위치 확인 센서(S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유닛(120)의 좌측 암부(122L) 외측에 위치 확인 센서(S1)가 배치될 수 있다. 위치 확인 센서로는 예컨대, 좌측 암부(122L) 외측면의 형상을 도 2e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변형시키고, 이송 유닛(120)이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센서에 수신되는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송 유닛(120)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래치부는 좌측 래치(131)와 우측 래치(133)를 포함한다. 이송 유닛(120)에는 좌우 중앙선을 기준으로 내부 좌측과 내부 우측에 각각 고정축(1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좌측 래치(131)는 좌측의 고정축(1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우측 래치(133)는 우측의 고정축(1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래치(131)와 우측 래치(133)는 각각 그 전단과 후단 사이의 지점에 체결홈(135)을 구비한다. 이때 체결홈(135)은 좌측 래치(131)와 우측 래치(13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래치(131)는 체결홈(135)을 통해 좌측의 고정축(121)에 결합되고, 우측 래치(133)는 체결홈(135)을 통해 우측의 고정축(121)에 결합된다. 고정축(121)은 체결홈(135) 내에 헐겁게 삽입되어 있어, 좌측 래치(131)와 우측 래치(133)가 각각의 고정축(121)을 중심으로 이송 유닛(12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이들 래치는 이송 유닛(120)과 일체가 되어 이송 유닛(120) 상에 대하여 이송 유닛(120)과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한편, 좌측 래치(131)와 우측 래치(133)는 그 후단에서 이송 유닛(12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유닛(120)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좌측 암부(122L)와 우측 암부(122R)가 형성되고, 좌측 암부(122L)에는 제1 탄성체(123a)가 배치되고 우측 암부(122R)에는 제2 탄성체(123b)가 배치된다. 좌측 래치(131)의 후단은 좌측 암부(122L)에 배치된 제1 탄성체(123a)에 결합되고, 우측 래치(133)의 후단은 우측 암부(122R)에 배치된 제2 탄성체(123b)에 결합된다. 제1 탄성체(123a)와 제2 탄성체(123b)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탄성체(123a)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좌측 래치(131)의 후단을 좌측으로 끌어당기고, 마찬가지로 제2 탄성체(123b)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우측 래치(133)의 후단을 우측으로 끌어당긴다. 좌측 및 우측 래치는 각각 고정축(121)에 결합되는 체결홈(13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래치의 선단은 체결홈(135)을 기준으로 래치의 후단의 반대편에 위치하는바, 제1 및 제2 탄성체가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래치의 후단을 끌어당김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래치의 후단은 서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며, 자연스럽게 좌측 및 우측 래치의 선단은 서로 가까워진 상태, 즉 일정한 틈만큼만 이격된 근접 배치 상태를 유지하려 한다. 그리고, 래치의 양 선단 사이의 틈은 도어(11)의 결합 보스(12)의 크기보다 작다.
한편, 래치 가이드 유닛(140)은 좌측 래치(131) 및 우측 래치(133)가 서로 대칭적으로 회전하도록 래치부를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이송 유닛(120) 상에 배치되고 이송 유닛(12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송 유닛(120)의 프로파일 형상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가이드 유닛(140)은 이송 유닛(120)의 좌측 및 우측 벽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고 전후 방향으로만 평행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송 유닛(12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좌우로 구비되어 있어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 상에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면, 래치 가이드 유닛(140)은 이송 유닛(120) 상에 배치되었을 때, 이송 유닛(120)의 좌측의 고정축(121) 및 우측의 고정축(121)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좌측 고정축 수용홈(141L) 및 우측 고정축 수용홈(141R)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측의 고정축 수용홈에 각각 좌측 고정축(121) 및 우측 고정축(121)이 삽입됨으로써,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 상에 결합된다. 이때, 이들 고정축 수용홈(141R, 141L)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길쭉한 고정축 수용홈 내부에서 고정축(121)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고정축 수용홈의 길이만큼 이송 유닛(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래치 가이드 유닛(140)은 이송 유닛(120)의 좌우측 고정축(121)이 좌우측 고정축 수용홈의 후단에 각각 접하는 최전방 위치와, 이송 유닛(120)의 좌우측 고정축(121)이 좌우측 고정축 수용홈의 선단에 각각 접하는 최후방 위치 사이에서 이송 유닛(120)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 가이드 유닛(140)은 좌측 래치(131) 및 우측 래치(133)가 서로 대칭적으로 회전하도록 래치부를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좌우측 래치와 래치 가이드 유닛(140)은 서로 결합 관계를 이룬다. 결합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래치 가이드 유닛(140)은 각각의 고정축 수용홈의 후방에 좌측 래치 가이드홈(143L) 및 우측 래치 가이드홈(143R)을 구비한다. 그리고, 래치부가 이송 유닛(120)에 배치되었을 때, 좌측 래치(131)의 체결홈(135)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 돌기(137)가 좌측 래치 가이드홈(143L)에 삽입되고, 우측 래치(133)의 체결홈(135)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 돌기(137)가 우측 래치 가이드홈(143R)에 삽입된다. 이때, 좌측 래치 가이드홈(143L)과 우측 래치 가이드홈(143R)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좌측 래치 가이드홈(143L) 및 우측 래치 가이드홈(143R)은 그 전방측 단부로부터 후방측 단부로 갈수록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내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래치 가이드홈을 전후 방향을 따라 경사를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래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가이드홈의 배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좌측 래치(131) 및 우측 래치(133)가 각각 고정축(121)에 결합되는 체결홈(135)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먼저,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 상의 후방에 위치할 때(도 4b 참조), 좌우측 래치의 결합 돌기(137)는 각각 좌우측 래치 가이드홈(143L, 143R)의 선단에 존재한다. 좌우측 래치 가이드홈(143L, 143R)의 선단은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좌우측 중심으로부터 좌우 외측으로 먼 곳에 위치하는바, 이 상태에서는 좌우측 래치의 후단이 서로 최대 이격된 상태가 된다. 즉,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좌우측 래치의 결합 돌기(137)가 좌우측 래치 가이드홈(143L, 143R)에 의해 가이드되어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좌우를 향해 각각 이동함에 따라, 좌우측 래치는 후단이 서로 멀어지고 선단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래치의 양 선단 사이의 틈은 도어(11)의 결합 보스(12)의 크기보다 좁게 되므로, 도어(11)의 결합 보스(12)를 구속하는 위치이다.
이후,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 상의 전방으로 이동할 때, 좌우측 래치의 결합 돌기(137)가 좌우측 래치 가이드홈(143L, 143R)에 의해 가이드되어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중앙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좌우측 래치는 후단이 서로 근접하고 선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 상의 전방에 위치할 때(도 4a 참조), 좌우측 래치의 결합 돌기(137)는 각각 좌우측 래치 가이드홈(143L, 143R)의 후단에 존재한다. 좌우측 래치 가이드홈(143L, 143R)의 후단은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좌우측 중심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바, 이 상태에서는 좌우측 래치의 후단이 서로 최대로 근접한 상태가 되고, 좌우측 래치의 선단이 서로 최대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래치의 양 선단 사이의 틈은 도어(11)의 결합 보스(12)의 크기보다 넓게 개방되므로, 도어(11)의 결합 보스(12)를 결합 해제하는 위치이다.
한편, 푸시바(150)는 래치 가이드 유닛(140) 상에 배치되어 래치 가이드 유닛(140)과 함께 이송 유닛(120)에 대하여 전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푸시바(1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11)가 닫힐 때 도어(11)의 결합 보스(12)가 도어 개폐 장치(100)의 래치부의 틈을 통해 래치부 선단 내측으로 들어오는데, 이때, 결합 보스(12)와 접촉하여 내측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도어(11)가 열릴 때 도어(11)의 결합 보스(12)가 도어 개폐 장치(100)의 래치부의 틈을 통해 래치부 선단 밖으로 나가는데, 이때, 결합 보스(12)를 도어 개폐 장치(100) 외부로 탄발적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푸시바(150)는 구체적으로, 래치 가이드 유닛(140) 상의 프로파일 형상을 따라 래치 가이드 유닛(14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좌우측 중앙을 따라 레일 부재를 설치하여 푸시바(150)가 좌측 래치(131) 및 우측 래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b 또는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푸시바(150)와 래치 가이드 유닛(140)은 스프링 부재(151)를 통해 결합된다. 푸시바(150)의 후단에서 스프링 부재(151)가 푸시바(150)를 전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푸시바(150)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전방을 향하는 반발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도어(11)가 닫히면서 결합 보스(12)가 푸시바(150) 선단을 가압할 때 스프링 부재(151)가 수축함으로써 결합 보스(12)와 푸시바(150) 선단 사이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반대로, 래치가 열리면서 결합 보스(12)가 래치의 선단에서 빠져나갈 때 스프링 부재(151)가 팽창함으로써 결합 보스(12)를 도어 개폐 장치(100) 외부로 탄발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푸시바의 위치 이동과 이동량을 확인하기 위한 푸시바 센서(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시바 센서(S2)로는 대표적으로 포토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푸시바의 하부면의 형상을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시키고, 푸시바의 건너편에서 발광 신호를 인가하며, 푸시바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푸시바의 건너편의 발광 신호가 푸시바 센서(S2)에 수신되는지 여부를 통해 광 수신 신호의 감지 패턴을 통해 푸시바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 상태와 이동량을 감지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 매커니즘
1. 대기 매커니즘
도어(11)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 장치(1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 2d와 같이 이송 유닛(120)이 도어 개폐 장치(100)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가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랙 기어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송 유닛(120) 전체가 케이싱(110)에 설치된 스토퍼에 접할 때까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상태는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 상의 전방에 근접하게 위치 이동한 상태, 또는 이송 유닛(120) 내에서 최전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좌우 래치의 후단이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중앙으로 가이드됨에 따라 래치부의 선단의 사이의 틈이 벌어져 있고, 특히 도어(11)의 결합 보스(12)의 크기보다 크게 벌어진다. 도어 개폐 장치(100)는 이송 유닛(120)과 래치 가이드 유닛(140)의 위치를 위와 같이 셋팅함으로써 도어(11)의 결합 보스(12)를 래치 선단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2. 도어 구속 매커니즘
도어(11)가 본체(10)에 더 근접하여 도어(11)의 결합 보스(12)가 도어 개폐 장치(100)의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들어오게 되면, 도어 개폐 장치(100)에 설치된 결합 보스(12) 감지 센서가 결합 보스(12)를 인식하여 도어 근접 신호를 생성한다. 도어 근접 신호는 제어부(미도시)에 인가되고, 제어부는 래치 가이드 유닛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 트레인을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는 모터를 역구동하고 랙 기어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송 유닛(120)은 잠시 정지한 상태이고 이송 유닛(120) 상의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 내측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우측 래치가 회전하여 래치부의 선단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내측으로 결합 보스(12)를 감싼다.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의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최후방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래치부의 선단의 틈이 결합 보스(12)의 크기보다 작아져 결합 보스(12)를 구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좌측 및 우측 래치의 후단이 각각 제1 및 제2 탄성체에 의해 외측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래치부의 선단을 조임으로써 결합 보스의 구속을 보조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이송 유닛(120)의 어느 위치에 고정된 상태이고, 더 나아가 좌측 및 우측 래치의 후단이 각각 제1 및 제2 탄성체에 의해 외측으로 힘을 받아 래치부의 선단을 조이고 있기 때문에, 모터를 구동하여 래치 가이드 유닛(140)을 전방 이동시키거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도어(11)를 강제 개방하지 않는 이상, 래치부의 선단에서 결합 보스(12)가 빠져나가지 않게 되고, 이 결합 보스(12) 구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4b 참조).
3. 도어 반 개방/반 폐쇄 매커니즘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부의 선단이 결합 보스(12) 구속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모터 구동으로 이송 유닛(120) 전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따라, 개폐 장치가 도어(11)를 구속한 채로 도어(11)를 반 개방하거나 반 폐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가볍게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어도 도어가 완전 개방하거나 완전 폐쇄되지 않고 반 개방 및 반 폐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4-1. 도어 폐쇄 매커니즘
위 2번과 같이 결합 보스(12)를 구속한 상태에서, 모터를 계속하여 역구동함으로써 랙 기어를 후방으로 더 이동시키면, 이송 유닛(120)과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후방으로 더욱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송 유닛(120)이 후방 이동함에 따라 이송 유닛(120)과 함께 결합 보스(12)를 구속하고 있는 래치부도 후방으로 위치 이동하고, 결국, 도어(11)가 본체(10)의 개방면에 밀착되어 완전히 폐쇄 상태가 된다.
4-2. 도어 개방 매커니즘
위 2번과 같이 결합 보스(12)를 구속한 상태에서,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랙 기어를 다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이송 유닛(120)은 정지한 상태에서 이송 유닛(120) 상의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래치 가이드 유닛(140)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우측 래치가 반대로 회전하여 래치부의 선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선단 사이의 틈이 벌어지고 어느 순간에 선단 사이의 틈이 결합 보스(12)의 크기보다 크게 벌어져 결합 보스(12)의 구속을 해제한다. 구속 상태에서 결합 보스(12)가 푸시바(150)를 가압한 상태였으므로, 구속이 해제된 순간에는 푸시바(150)의 반발력으로 결합 보스(12)가 전방으로 탄발 이동함으로써 래치부를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도어 개방이 끝나면, 다시 도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5. 도어 자동 폐쇄 매커니즘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완전 개방 또는 반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본체 방향으로 강제 푸시할 경우, 이를 도어 폐쇄 명령으로 인지하고 제어부가 모터를 구동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폐쇄시키는 작동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어를 푸시하면 도어의 결합 보스(12)가 푸시바(150)를 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푸시바(150)가 후방으로 강제 슬라이드 이동하면 푸시바 센서(S2)가 푸시바(15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푸시바 후방 이동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며, 제어부는 랙 기어를 후방으로 견인하도록 하는 모터 구동 신호를 구동 트레인에 전달함으로써 래치 가이드 유닛(140) 및 그에 따라 이송 유닛(1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결합 보스(12)가 좌우측 래치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 유닛(120)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도어가 본체에 근접 이동한 후 도어가 본체에 잠기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 개폐 장치는 사용자가 도어를 푸시하는 동작을 도어 폐쇄 신호로 인식하고 자동적으로 구동 트레인의 모터를 구동시켜 도어를 본체에 잠글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의 모든 행정이 종료된 후에 자동 문 열림 기능뿐 아니라, 자동 문닫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행정 종료 후 자동 문 열림 기능을 사용하여 세척기 내부의 잔여 습기와 냄새를 제거하고, 자동 문 닫힘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주변의 먼지나 이물질이 세척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식기 재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자동 문 열림/닫힘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식기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문 닫힘 상태 또는 대기 상태에서 문을 개방할 때,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문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자동 문 열림 및 닫힘 기능 외에, 사용자가 외력으로 문을 여는 것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도어 조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푸시바 센서와 이송 유닛 위치 확인 센서 등의 2중 센싱을 통해 부품의 이동량을 명확하게 감지하여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종국적으로 도어의 열림량 및 닫힘량을 명확히 제어할 수 있어, 세척기의 건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도어 개폐 장치 110: 케이싱
120: 이송 유닛 131: 좌측 래치
133: 우측 래치 137: 결합 돌기
140: 래치 가이드 유닛 141L: 좌측 고정축 수용홈
141R: 우측 고정축 수용홈 143L: 좌측 래치 가이드홈
143R: 우측 래치 가이드홈 150: 푸시바

Claims (10)

  1. 식기 세척기의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에 대한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로서,
    본체에 고정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의 내부 좌측의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좌측 래치 및 상기 이송 유닛의 내부 우측의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우측 래치를 포함하는 래치부; 및
    상기 이송 유닛 상에서 상기 이송 유닛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래치 가이드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좌측 래치 및 우측 래치가 서로 대칭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부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래치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구비된 체결홈이 상기 좌측의 고정축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래치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구비된 체결홈이 상기 우측의 고정축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 래치 및 상기 우측 래치가 각각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송 유닛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인,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에는, 상기 좌측의 고정축 및 우측의 고정축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고정축 수용홈 및 우측 고정축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고정축 수용홈에 각각 좌측 및 우측의 고정축이 삽입되며,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의 좌우측 고정축이 상기 좌우측 고정축 수용홈의 후단에 각각 접하는 최전방 위치와, 상기 이송 유닛의 좌우측 고정축이 상기 좌우측 고정축 수용홈의 선단에 각각 접하는 최후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이송 유닛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인,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에는, 상기 각각의 고정축 수용홈의 후방에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래치 가이드홈 및 우측 래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래치 가이드홈에는 상기 좌측 래치의 체결홈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우측 래치 가이드홈에는 상기 우측 래치의 체결홈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좌측 래치 가이드홈 및 우측 래치 가이드홈은 그 전방측 단부로부터 후방측 단부로 갈수록 래치 가이드 유닛의 내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좌우측 래치의 결합 돌기가 상기 좌우측 래치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의 중앙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좌우측 래치는 후단이 서로 근접하고 선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좌우측 래치의 결합 돌기가 상기 좌우측 래치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의 좌우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좌우측 래치는 후단이 서로 멀어지고 선단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래치의 후단은 상기 이송 유닛의 좌측 암부에 배치된 제1 탄성체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래치의 후단은 상기 이송 유닛의 우측 암부에 배치된 제2 탄성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체가 복원력에 의해 상기 좌측 및 우측 래치의 후단을 끌어당김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래치의 선단은 근접 배치 상태를 유지하고, 양 선단 사이의 틈은 도어의 결합 보스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보스를 인식하는 결합 보스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 상의 프로파일 형상을 따라 상기 래치 가이드 유닛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바는 푸시바와 래치 가이드 유닛 사이의 스프링 부재를 통해 푸시바가 후방 이동시 전방을 향하는 반발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되는 것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푸시바 전방 이동 신호 또는 푸시바 후방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푸시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결합 보스가 상기 푸시바 선단을 가압하면 상기 스프링 부재가 수축함으로써 상기 결합 보스와 상기 푸시바 선단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0210061939A 2021-05-13 2021-05-13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47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939A KR102475339B1 (ko) 2021-05-13 2021-05-13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0210094321A KR102475340B1 (ko) 2021-05-13 2021-07-19 식기 세척기의 도어 닫힘 매커니즘
KR1020220038578A KR20220154608A (ko) 2021-05-13 2022-03-29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매커니즘
PCT/KR2022/006610 WO2022240113A1 (ko) 2021-05-13 2022-05-10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EP22807761.6A EP4338652A1 (en) 2021-05-13 2022-05-10 Dishwasher and dishwasher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939A KR102475339B1 (ko) 2021-05-13 2021-05-13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321A Division KR102475340B1 (ko) 2021-05-13 2021-07-19 식기 세척기의 도어 닫힘 매커니즘
KR1020220038578A Division KR20220154608A (ko) 2021-05-13 2022-03-29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매커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415A KR20220154415A (ko) 2022-11-22
KR102475339B1 true KR102475339B1 (ko) 2022-12-07

Family

ID=8423605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939A KR102475339B1 (ko) 2021-05-13 2021-05-13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0210094321A KR102475340B1 (ko) 2021-05-13 2021-07-19 식기 세척기의 도어 닫힘 매커니즘
KR1020220038578A KR20220154608A (ko) 2021-05-13 2022-03-29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매커니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321A KR102475340B1 (ko) 2021-05-13 2021-07-19 식기 세척기의 도어 닫힘 매커니즘
KR1020220038578A KR20220154608A (ko) 2021-05-13 2022-03-29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매커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753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0860A (ko) * 2022-11-30 2024-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방유닛 및 개방유닛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9530A (en) 1992-09-02 1993-05-11 A. L. Hansen Mfg. Co. Latch
KR101687648B1 (ko) 2015-12-24 2016-12-20 (주)청호시스템 식기 세척기용 도어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6541B4 (de) * 2012-08-17 2017-12-21 Emz-Hanauer Gmbh & Co. Kgaa Geschirrspüler
KR101968311B1 (ko) * 2014-08-04 2019-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170137523A (ko) * 2016-06-03 201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170137521A (ko) * 2016-06-03 201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9530A (en) 1992-09-02 1993-05-11 A. L. Hansen Mfg. Co. Latch
KR101687648B1 (ko) 2015-12-24 2016-12-20 (주)청호시스템 식기 세척기용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415A (ko) 2022-11-22
KR102475340B1 (ko) 2022-12-07
KR20220154608A (ko) 2022-11-22
KR20220154577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1259B2 (en) Door lock for a dishwashing machine
KR101762933B1 (ko) 세탁기, 특히 식기 세척기 내에 세척제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
KR102475339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101606725B1 (ko) 세탁기의 리드 로커
KR102328247B1 (ko) 식기 세척기
CN113279222A (zh) 具有开门器的家用器具
JP2002165744A (ja) 引出し式食器洗浄機
JP4693699B2 (ja) 食器洗浄機
CN115316906A (zh) 一种洗碗机、开门机构及其控制方法
JP4761572B2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KR101842603B1 (ko) 세탁기용 도어 잠금 장치
JP6226602B2 (ja) 食器洗浄機
JP4349419B2 (ja) 食器洗い機
JP5032291B2 (ja) 食器洗浄機
JP5872845B2 (ja) 食器洗浄機
JP4444550B2 (ja) 食器洗浄機
CN218304847U (zh) 一种洗碗机及其开门机构
JP5263950B2 (ja) 食器洗浄機
JP5048473B2 (ja) 食器洗浄機
JP2007301065A (ja) 食器洗い機
KR20240054529A (ko) 도어 개폐 장치 및 방법
JP4349420B2 (ja) 食器洗い機
KR20240023801A (ko)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JP2005177044A (ja) 洗濯機
KR100861062B1 (ko) 세탁기용 도어 록 및 도어 록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