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173B1 - 물류 설비 - Google Patents

물류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173B1
KR102470173B1 KR1020170117180A KR20170117180A KR102470173B1 KR 102470173 B1 KR102470173 B1 KR 102470173B1 KR 1020170117180 A KR1020170117180 A KR 1020170117180A KR 20170117180 A KR20170117180 A KR 20170117180A KR 102470173 B1 KR102470173 B1 KR 10247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support
vehicle
unit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0759A (ko
Inventor
요시노리 시바타
히사시 쓰지
미쓰구 가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8003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65G41/003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mounted for linear movemen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 horizontal transit otherwise than by bridge
    • B65G63/02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 horizontal transit otherwise than by bridge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물류 설비는, 출하용의 제1 반송부와 입하용의 제2 반송부가 설치되어 있는 플랫폼과, 반송 차량이 가로 방향으로 접차하도록 설치된 버스와, 중간 반송 영역과 짐받침대 인접 영역과의 사이를 왕복 이동하여 플랫폼과, 반송 차량과의 사이에서 물품의 받아건넴을 행하는 이송탑재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물류 설비{DISTRIBUTION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의 입하(入荷) 및 출하(出荷)를 행하는 물류 설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공장 등의 생산 설비로 사용되는 원료를 입하하거나, 생산된 제품을 출하하거나 하는 데, 생산 설비에 병설되는 물류 설비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물류 설비에서는, 플랫폼에서 물품의 하물 분류(article sorted out)가 행해지고, 그 플랫폼에 설치된 버스(berth) 즉 계류장에 반송 차량(transport vehicle)이 접차(接車)한 상태에서, 물품의 하역(unloaded)이 행해진다. 이 때, 경제성을 고려하면, 반송 차량의 가동(稼動) 효율을 최대한 높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과제에 대하여, 예를 들면,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62-19929호 공보(특허문헌 1)나 일본 공개특허 평4-159926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복수의 물품을 단일의 탑재 부재 상에 탑재한 상태에서 일괄적으로 물품의 하역을 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소62-259927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물품을 탑재한 복수의 팰릿(pallet)끼리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한 상태에서 일괄적으로 물품의 하역을 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물류 설비에서의 버스는, 특허문헌 1∼3에서 대표된 바와 같이, 플랫폼에 있어서, 반송 차량이 세로 방향 즉 길이 방향(lengthwise direction)으로 접차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것은, 많은 반송 차량에 있어서, 물품의 하역이 짐받침대(荷臺; load bed)에서의 후방측의 개구부를 통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하여, 최근, 이른바 윙식(wing-type)의 짐받침대를 구비하고, 물품의 하역이 짐받침대에서의 측방 측의 개구부를 통하여 행해지는 반송 차량도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윙식의 반송 차량에 대해서는, 버스는 플랫폼의 폼 끝을 따라 반송 차량이 가로 방향으로 접차(parked side-on)하도록 설치되게 된다.
이 경우, 물류 설비에 진입하여 온 반송 차량이 전진 주행에 의해 그대로 가로 방향으로 접차하고, 물품의 하역이 완료된 후에 그대로 발차할 수 있으면, 반송 차량의 가동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반송 차량을 가로 방향으로 위치 양호한 정밀도로 버스에 접차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특히, 예를 들면, 다른 대기 차량을 피하는 등을 위해 핸들 조작을 따라가면, 반송 차량을 플랫폼의 폼 끝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한 거의 간극없이 가로 방향으로 접차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이 반송 차량의 가로 방향으로 접차에 시간이 걸리면, 반송 차량의 가동 효율이 저하된다.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62-19929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평4-159926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소62-259927호 공보
가로 방향으로 접차되는 반송 차량을 사용하여 물품의 입하 및 출하를 행하는 물류 설비에 있어서, 반송 차량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에 관한 물류 설비는,
출하되는 물품을 반송(搬送; transport)하는 제1 반송부와, 입하된 물품을 반송하는 제2 반송부가 설치되어 있는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의 폼 끝을 따라 반송 차량이 가로 방향으로 접차하도록 설치된 버스와,
상기 제1 반송부(搬送部)의 하류측이면서 또한 상기 제2 반송부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중간 반송 영역과 상기 버스에 정차하고 있는 상기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에 인접하는 짐받침대 인접 영역과의 사이를 차량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상기 플랫폼과 상기 반송 차량과의 사이에서 상기 물품의 받아건넴을 행하는 이송탑재 장치(transfer device)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량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송탑재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버스에 정차하고 있는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에 대하여 이송탑재 장치를 근접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 차량의 운전자는, 플랫폼의 폼 끝에 대하여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으면 당초의 간극의 크기를 너무 의식하지 않고, 반송 차량을 폼 끝에 평행하게 접차시키는 것만으로 된다. 따라서, 반송 차량의 가로 방향으로 접차를 어렵지 않게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에 있어서 제1 반송부에 의해 물품을 중간 반송 영역으로 반송하고, 제2 반송부에 의해 물품을 중간 반송 영역으로부터 반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로부터 내려 이송탑재 장치에서 수취한 물품을 중간 반송 영역까지 운반한 후, 제2 반송부로 반출하는 동시에, 미리 준비되어 있었던 물품을 제1 반송부에 의해 중간 반송 영역에 있는 이송탑재 장치에 반입한 후, 짐받침대 인접 영역까지 운반하여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에 탑재할 수 있다. 이들 일련의 동작을, 제1 반송부와 제2 반송부와 이송탑재 장치와의 협동에 의해, 단시간에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송 차량의 가로 방향으로 접차 및 물품의 입출하(loading and unloading)의 양쪽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으므로, 반송 차량의 가동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의 새로운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記述)하는 이하의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따라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물류 설비의 평면 레이아웃 도면
도 2는 베이스 팰릿(base pallet)의 평면도(부분 확대도와 부분 측면도를 포함함)
도 3은 반송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반송 장치의 분해 단면도(斷面圖)
도 5는 반송 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제1 상태에서의 반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2 상태에서의 반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3 상태에서의 반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14는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16은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19는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20은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21은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22는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23은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24는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25는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26은 물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입출하의 일 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27은 다른 태양의 물류 설비의 평면 레이아웃 도면
물류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예를 들면, 공장 등의 생산 설비에 병설되는 물류 설비(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물류 설비(1)는, 예를 들면, 생산 설비에서 사용되는 원료를 입하하거나, 생산된 제품을 출하하거나 하는 데 이용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류 설비(1)는, 물품(A)의 하물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플랫폼(2)과, 상기 플랫폼(2)에 설치된 버스(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물류 설비(1)는, 플랫폼(2)과 버스(4)에 정차하고 있는 반송 차량(T)과의 사이를 차량 폭 방향 W로 왕복 이동하는 이송탑재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버스(4)에 반송 차량(T)이 정차한 상태에서, 이송탑재 장치(5)에 의해, 물품(A)의 하역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W)」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반송 차량(T)이 버스(4)에 정차한 상태에서의 반송 차량(T)의 폭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차량 전후 방향(L)」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반송 차량(T)이 버스(4)에 정차한 상태에서의 반송 차량(T)의 전후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반송 차량(T)은, 예를 들면, 트럭이다. 반송 차량(T)의 사이즈(또는, 최대 적재 중량)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중형 트럭(예를 들면, 4톤)이나 대형 트럭(예를 들면, 11톤) 등, 각종 사이즈의 반송 차량(T)을 이용할 수 있다. 반송 차량(T)은, 물품(A)을 적재하기 위한 짐받침대(C)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짐받침대(C)는, 상자형의 밴 보디(van body)의 양 측면이 개방되는, 이른바 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윙식의 반송 차량(T)에서는, 물품(A)의 하역이 짐받침대(C)에서의 측방 측의 개구부를 통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차량(T)은, 복수의 물품(A)을 단일의 베이스 팰릿(B)(도 2를 참조)에 탑재한 상태로 운반한다.
버스(4)은, 플랫폼(2)의 폼 끝(2e)을 따라 반송 차량(T)이 가로 방향으로 접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로 방향으로 접차한다」란, 반송 차량(T)의 차량 전후 방향 L이 플랫폼(2)의 폼 끝(2e)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평행 상태로 되도록 반송 차량(T)을 정차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태양(態樣)으로 버스(4)가 설치됨으로써, 주행로(R)를 통하여 진입하여 온 반송 차량(T)은, 전진 주행에 의해 그대로 가로 방향으로 버스(4)에 정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송 차량(T)이 세로 방향[반송 차량(T)의 차량 전후 방향 L이 플랫폼(2)의 폼 끝(2e)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 상태로 되는 상태]으로 접차하도록 버스가 설치되는 경우와는 달리, 반송 차량(T)을 후진 주행시킬 필요가 거의 없다.
플랫폼(2)은, 물류 설비(1)에 있어서, 바닥면의 높이 위치가 지반면보다 상부에 설정된 고바닥 영역이다. 지반면을 기준으로 하는 플랫폼(2)의 바닥면 높이는, 예를 들면, 0.8m∼1.5m 정도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랫폼(2)은, 평면에서 볼 때(상하 방향을 따라 위로부터 본 상태) 일부가 직사각형으로 절결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切缺部; cut-out portion)(2R)의 외측에는, 플랫폼(2)의 외측의 단부(端部)인 폼 끝(2e)으로부터 주행로(R) 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버스 형성 데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절결부(2R) 및 버스 형성 데크(20)를, 차량 폭 방향 W로 이송탑재 장치(5)가 왕복 이동한다.
버스 형성 데크(20)의 외측[플랫폼(2)과는 반대측]의 단부인 데크단(deck edge)(20e)은, 플랫폼(2)의 폼 끝(2e)보다도 주행로(R) 측에 있어서, 폼 끝(2e)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데크단(20e)의 외측에, 상기 데크단(20e)을 따라 버스(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버스(4)에 정차하는 반송 차량(T)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2)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접차된다. 이 때, 버스(4)가 설치되는 데크단(20e)은 폼 끝(2e)보다도 주행로(R)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반송 차량(T)의 가로 방향으로 접차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1개의 버스(4)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주행로(R)를 따르는 복수 개소에 버스(4)가 설치되어도 된다.
플랫폼(2)에는, 제1 반송부(21)와 제2 반송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반송부(21)는, 그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가 생산 설비에 접속되는 동시에, 하류측 단부가 절결부(2R)에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1 반송부(21)는, 예를 들면, 체인 컨베이어나 벨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등의 컨베이어(22)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제1 반송부(21)는, 선회(旋回) 테이블이나 적재 장치(stacking device) 등을 더 포함해도 된다. 제1 반송부(21)는, 출하되는 물품(A)을 반송한다. 여기서, 출하되는 물품(A)은, 예를 들면, 생산 설비에서 생산된 공업 제품이나 중간 제품 등이며, 본 예에서는 상자포장된 후 팰릿에 탑재된 상태로 공급된다. 제1 반송부(21)는, 생산 설비에서 생산되어 반송 차량(T)에 의해 출하되는 물품(A)을, 플랫폼(2)의 절결부(2R)에 설치된 이송탑재 장치(5)로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부(21)는, 서로 병렬로 또한 평행하게 설치된 2개의 출하로(shipping path)(23)[제1 출하로(23A), 제2 출하로(23B)]를 포함한다. 제1 출하로(23A) 및 제2 출하로(23B)는, 물류 설비(1)에 수용된 것 중에서 최대 사이즈의 반송 차량(T)[예를 들면, 최대 적재 중량이(11)톤의 대형 트럭]의 짐받침대(C)의 대략 N배(여기서, N은 자연수이며, 본 예에서는 N=1)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하로(23)에는, 최대로, 상기한 최대 사이즈의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의 (2×N)대분에 적입(積入; loading) 가능한 개수의 물품(A)이 탑재된다. 출하되는 예정의 물품(A)은, 운반처의 사업소마다 분별(分別)된 상태에서, 그 물품(A)을 운반하는 반송 차량(T)이 물류 설비(1)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출하로(23)에 탑재된다.
제2 반송부(26)는, 그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가 절결부(2R)에 노출되는 동시에, 하류측 단부가 생산 설비에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2 반송부(26)는, 예를 들면, 체인 컨베이어나 벨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등의 컨베이어(27)를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제2 반송부(26)는, 테이블 리프트나 단 해체 장치(unstacking device) 등을 더 포함해도 된다. 제2 반송부(26)는, 입하된 물품(A)을 반송한다. 입하된 물품(A)은, 예를 들면, 생산 설비에서의 각종 제품의 생산을 위해 제공되는 원료나 중간 제품 등이라도 되고, 이 경우, 상자포장된 후 팰릿에 탑재된 상태로 공급된다. 또는, 입하된 물품(A)은, 팰릿에 탑재된 빈 상자(empty box)라도 된다. 제2 반송부(26)는, 도착한 반송 차량(T)이 운반해 와서 이송탑재 장치(5)에서 수취한 물품(A)을, 생산 설비로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반송부(26)는, 상기한 최대 사이즈의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에 상당하는 크기의 입하로(receiving path)(28)를 포함한다. 입하로(28)는, 폼 끝(2e)을 따라 제1 반송부(21)의 2개의 출하로(23) 중 1개[제1 출하로(23A)]와 동일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반송부(26)의 입하로(28)에는, 입하된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의 1대분의 물품(A)이 반송되어 온다. 제2 반송부(26)는, 입하된 물품(A)을 1개씩 생산 설비에 반송한다.
또한, 플랫폼(2)에는, 조작 테이블(31)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는, 이 조작 테이블(31)에 설치된 컴퓨터를 조작하여, 제1 반송부(21)나 제2 반송부(26)에 대한 작동 지령을 입력하거나, 이송탑재 장치(5)에 대한 작동 지령을 입력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2)에는, 안전 펜스(safety fence)(33)가 설치되어 있다. 안전 펜스(33)는, 절결부(2R)의 끝에지를 포함하는 폼 끝(2e)의 전역(全域)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중, 제1 반송부(21)의 출하로(23)의 하류측 단부 및 제2 반송부(26)의 입하로(28)의 상류측 단부에 대향하는 안전 펜스(33)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폐 가능한 가동(可動) 펜스(33A)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이외의 안전 펜스(33)는, 개폐 불가능한 고정 펜스이다. 가동 펜스(33A)는, 제1 반송부(21)로부터 이송탑재 장치(5)로 물품(A)을 반송하거나, 또는 이송탑재 장치(5)로부터 제2 반송부(26)로 물품(A)을 반송할 때, 도어를 개방한다.
플랫폼(2)과 버스(4)에 정차하고 있는 반송 차량(T)과의 사이에서 물품(A)의 받아건넴을 행하기 위해, 이송탑재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탑재 장치(5)는, 플랫폼(2)의 절결부(2R)와 상기 절결부(2R)로부터 연속하는 버스 형성 데크(20)에 이르는 영역을, 차량 폭 방향 W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플랫폼(2)의 절결부(2R)는, 제1 반송부(21)의 하류측 단부와 제2 반송부(26)의 상류측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2R)의 배치 영역을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반송 영역 Ri」라고 한다. 또한, 버스 형성 데크(20)는, 버스(4)에 정차하고 있는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에 인접하고, 이 버스 형성 데크(20)의 배치 영역을 본 실시형태에서는 「짐받침대 인접 영역 Ra」라고 한다. 그리고, 짐받침대 인접 영역 Ra가 절결부(2R)에서의 버스 형성 데크(20) 측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중간 반송 영역 Ri와 짐받침대 인접 영역 Ra가 부분적으로 중복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송탑재 장치(5)는, 중간 반송 영역 Ri와 짐받침대 인접 영역 Ra와의 사이를 차량 폭 방향 W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송탑재 장치(5)는, 복수의 물품(A)을 단일의 베이스 팰릿(B)에 탑재한 상태에서, 반송 차량(T)과의 사이에서 물품(A)의 받아건넴을 일괄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팰릿(b)은, 평면에서 볼 때 편평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팰릿(b)은,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와 같은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대의 반송 차량(T)에 대하여 1개의 동일한 베이스 팰릿(B)이, 이송탑재 장치(5)에 의한 이송탑재(移載; transfer) 작업 중을 제외하고, 상시 대동(帶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반송 차량(T)과 짐받침대(C)의 사이즈가 서로 같으면, 각각에 대응하는 베이스 팰릿(B)의 크기도 서로 같게 되고, 짐받침대(C)의 사이즈가 서로 다르면, 각각에 대응하는 베이스 팰릿(B)의 크기도 서로 다른 것으로 된다. 그리고,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나 베이스 팰릿(B)의 크기는, 폭 방향[반송 차량(T)의 차량 폭 방향 W에 일치; 이하 마찬가지임]의 길이를 대략 동일하게 한채로 길이 방향[반송 차량(T)의 차량 전후 방향 L에 일치; 이하 마찬가지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규정된다.
베이스 팰릿(b)은, 물품(A)을 탑재 상태로 지지하는 본체부(91)와, 본체부(9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전동(轉動) 롤러(92)를 가진다. 본체부(91)는, 베이스 팰릿(B)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프레임재를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전동 롤러(92)는, 복수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그 축지지 축을 길이 방향을 따르게 하여 상태로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동 롤러(92)는, 그 하단부가 본체부(91)의 하면보다도 하방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팰릿(b)은,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본 예에서는 2개소)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의 피걸림부(93)를 가지고 있다. 피걸림부(93)는, 본체부(91)를 구성하는 폭 방향 양측의 프레임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91)의 길이 방향에서의 피걸림부(93)의 각 설치 위치에 인접하는 부위에는, 퇴피부(94)가 형성되어 있다. 퇴피부(94)는, 평면에서 볼 때, 본체부(91)를 구성하는 폭 방향 양측의 프레임재에 대하여, 폭 방향의 중앙부 측을 향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팰릿(B)의 피걸림부(93)에는, 이송탑재 장치(5)를 구성하는 슬라이딩부(53)에 형성되는 훅부(hook portion)(53E)의 걸림 클릭(claw)(53f)(걸림부의 일례)이 당겨걸려진다. 이 때, 훅부(53E)가 회동함으로써 걸림 클릭(53f)이 피걸림부(93)에 걸리지만, 이 때, 걸림 클릭(53f)이 피걸림부(93)의 근원(根元) 부분에 있는 퇴피부(94)를 통과함으로써, 걸림 클릭(53f)과 본체부(91)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또한, 베이스 팰릿(b)은, 폭 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길이 방향을 따른 한 쌍의 간극 개구(95)를 가지고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탑재 장치(5)는, 주행부(51)와, 지지부(52)와, 슬라이딩부(53)와, 승강부(54)와, 컨베이어 유닛(55)을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주행부(51)는, 차량 폭 방향 W을 따라 설치된 주행 레일(61) 상을 주행한다. 주행 레일(61)은, 플랫폼(2)의 절결부(2R)로부터 버스 형성 데크(20)에 걸쳐, 지반면에 설치되어 있다. 주행 레일(61)은, 이송탑재 장치(5)의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본 예에서는 4개소)에 있어서, 각각 차량 폭 방향 W을 따르도록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주행부(51)는, 주행부 본체(51A)와, 이 주행부 본체(51A)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구동륜(51B) 및 전륜(51C)을 가진다. 구동륜(51B) 및 전륜(51C)은, 각각 주행 레일(61) 상을 전동한다. 구동륜(51B)은, 주행부 본체(51A)에 설치된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정회전 구동/역회전 구동)되어, 주행부(51)에 추진력을 부여한다. 전륜(51C)은, 주행부(51)가 주행할 때 아이들링 회전한다. 주행부(51)를 구성하는 각 부는,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있다.
지지부(52)는, 다른 물품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부(52)는, 물품(A)을 탑재하는 베이스 팰릿(B)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부(52)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면(52b)을 가지는 복수의 지지 데크(52A)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 데크(52A)는, 이송탑재 장치(5)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크기의 간극(52c)을 가로막는 상태로 동일 평면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지지 데크(52A)끼리의 사이의 간극(52c)은, 슬라이딩부(53)를 구성하는 훅(hook) 지지체(53D)의 가동역(可動域)이나, 컨베이어 유닛(55)을 구성하는 체인 컨베이어(55B)의 체인(55c)의 설치 영역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 데크(52A)는, 각각 슬라이딩부(53)에 설치된 데크 지지체(53B)에 위쪽으로부터 탑재되어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딩부(53)는, 지지부(52)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W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부(53)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형성된 프레임체(53A)와, 이 프레임체(53A)에 고정된 데크 지지체(53B) 및 훅 가이드(53C)와, 훅 지지체(53D)에 지지된 훅부(53E)와, 훅 가이드(53C)를 따라 훅 지지체(53D)를 슬라이딩 구동하는 체인 구동 기구(53G)를 가진다. 데크 지지체(53B)에는, 지지 데크(52A)가 위쪽으로부터 탑재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훅 가이드(53C)는, 이송탑재 장치(5)의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본 예에서는 2개소)에 있어서, 각각 차량 폭 방향 W을 따르도록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훅 가이드(53C)에 안내되어, 훅 지지체(53D) 및 그에 지지된 훅부(53E)가 차량 폭 방향 W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훅부(53E)는, 봉형(棒形) 부재의 양 단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클릭(53f)을 가진다(도 3을 참조). 또한, 훅부(53E)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회동은,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훅부(53E)는, 상기한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걸림 클릭(53f)과 베이스 팰릿(B)의 피걸림부(93)가 걸린 상태로 되거나, 또는 그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훅부(53E)[걸림 클릭(53f)]는, 그 헤드부가 단지 베이스 팰릿(B)에 맞닿을뿐인 상태로도 될 수 있다.
체인 구동 기구(53G)는, 훅 지지체(53D)에 걸리는 동시에 복수의 스프로켓(sprocket)에 무단상(無端狀)으로 걸쳐놓은 체인과, 복수의 스프로켓 중 1개를 회전 구동(정회전 구동/역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훅 지지체(53D)의 기준 위치는 이송탑재 장치(5)의 후단부[플랫폼(2) 측의 단부]이며, 구동 모터가 정회전 구동시키면 훅부(53E)가 전단부(前端部)[반송 차량(T) 측의 단부]로 전진 이동하고, 구동 모터가 역회전 구동시키면 훅부(53E)가 후단부 측을 향해 후진 이동한다. 이 때, 예를 들면, 걸림 클릭(53f)이 베이스 팰릿(B)의 피걸림부(93)에 걸린 상태에서 구동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베이스 팰릿(B)을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걸림 클릭(53f)의 헤드부가 베이스 팰릿(B)에 맞닿은(걸림의 일례)한 상태로 구동 모터를 정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베이스 팰릿(B)을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에 압입(押入)할 수 있다.
승강부(54)는, 주행부(51)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부(53) 및 거기에 고정된 지지부(52)를 승강 이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부(54)는, 팬터그래프 암식(pantograph arm type)의 시저 리프트(scissor lift)(54A)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부(54)로서의 시저 리프트(54A)는, 주행부 본체(51A)에 설치되어 있다. 시저 리프트(54A)는, 팬터그래프 암 사이에 설치된 실린더의 추진력에 의해, 팬터그래프 암을 개폐하여 승강대(54B)를 승강시킨다. 승강대(54B)에는, 슬라이딩부(53) 및 이에 고정된 지지부(52)가 탑재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시저 리프트(54A)는, 슬라이딩부(53) 및 지지부(52)를, 하한 위치 PL(도 6 및 도 8을 참조)와 상한 위치 PU(도 7을 참조)와의 사이에서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탑재 장치(5)는, 주행부(51)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유닛(55)을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油壓) 리프트(56)를 더 구비하고 있다. 유압 리프트(56)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유압 실린더에 의해,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고정된 컨베이어 유닛(55)을 승강시킨다. 시저 리프트(54A)와 유압 리프트(56)는, 협동하여, 지지부(52)와 슬라이딩부(53)와 컨베이어 유닛(55)을 승강시킨다.
시저 리프트(54A)와 유압 리프트(56)는, 2개의 유압 리프트(56)가 1개의 시저 리프트(54A)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W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도 5를 참조). 또한, 그와 같은 1개의 시저 리프트(54A)와 2개의 유압 리프트(56)로 이루어지는 조를 1세트의 승강부(54)로 하여, 3세트의 승강부(54)가, 이송탑재 장치(5)의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본 예에서는 3개소)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다(도 4를 참조).
컨베이어 유닛(55)은, 차량 폭 방향 W에 직교하는 방향(차량 전후 방향 L)을 따라 물품(A)을 반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 유닛(55)은, 프레임체(55A)와, 이 프레임체(55A)에 고정된 체인 컨베이어(55B)와, 프레임체(55A) 및 체인 컨베이어(55B)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지지 기둥체(55D)를 가진다. 체인 컨베이어(55B)는, 좌우 한 쌍의 무단(無端) 형상의 체인(55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체인(55c)은 구동 모터에 의해 동기(同期) 구동된다. 좌우 한 쌍의 체인(55c)은, 차량 전후 방향 L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체인 컨베이어(55B)가, 이송탑재 장치(5)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체인 컨베이어(55B)에서의 좌우 한 쌍의 체인(55c)끼리의 사이나, 폭 방향에 인접하는 체인 컨베이어(55B)끼리의 사이에는, 지지부(52)를 구성하는 지지 데크(52A)가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다른 관점에 의하면, 각 체인 컨베이어(55B)의 체인(55c)은,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지지 데크(52A)끼리의 사이의 간극(52c)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베이어 유닛(55)은,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보조 컨베이어(55E)를 가지고 있다. 보조 컨베이어(55E)는,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구동식의 롤러 컨베이어라도 된다.
컨베이어 유닛(55)은, 유압 리프트(56)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승강부(54)를 구성하는 시저 리프트(54A)와 유압 리프트(56)는, 기본적으로는 동기하여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저 리프트(54A)와 유압 리프트(56)가 동기하여 작동함으로써, 지지부(52)와 슬라이딩부(53)와 컨베이어 유닛(55)이 일괄적으로 승강한다. 시저 리프트(54A)와 유압 리프트(56)가 비동기로 작동함으로써, 컨베이어 유닛(55)은, 지지부(52) 및 슬라이딩부(53)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相對)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반송 영역 Ri와 짐받침대 인접 영역 Ra와의 사이를 차량 폭 방향 W로 왕복 이동하는 이송탑재 장치(5)가, 중간 반송 영역 Ri 중 제1 반송부(21)의 제1 출하로(23A) 및 제2 반송부(26)의 입하로(28)와 일직선 상에 정렬되는 위치를, 「제1 위치(P1)」라고 정의한다(도 1을 참조). 또한, 이송탑재 장치(5)가, 중간 반송 영역 Ri 중 제1 반송부(21)의 제2 출하로(23B)와 일직선 상에 정렬되는 위치를, 「제2 위치(P2)」라고 정의한다. 또한, 이송탑재 장치(5)가, 짐받침대 인접 영역 Ra에 있어서 전진 한계까지 전진하고 있는 위치를, 「제3 위치(P3)」라고 정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반송 영역 Ri의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에 위치하고 있는 이송탑재 장치(5)에서의 컨베이어 유닛(55)의 각 지지 기둥체(55D)의 설치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의 지반면에, 소정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형의 가대(mount)(62)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리프트(56)가 컨베이어 유닛(55)을 하강시켰을 때, 각 지지 기둥체(55D)가 대응하는 가대(62) 상에 탑재된다. 이 때, 유압 리프트(56)의 하강이 정지한 상태에서 승강부(54)인 시저 리프트(54A)가 하한 위치 PL까지 저하됨으로써, 컨베이어 유닛(55)을 구성하는 각 체인 컨베이어(55B)의 체인(55c)이, 지지부(52)의 지지면(52b)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도 8을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컨베이어 유닛(55)은, 이송탑재 장치(5)가 중간 반송 영역 Ri에서의 제1 위치 P1 또는 제2 위치 P2에 위치하고 또한 승강부(54)가 하한 위치 PL까지 저하되어 있는 상태로, 지지부(52)의 지지면(52b)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가 각각 「특정 위치」에 상당한다.
컨베이어 유닛(55)은, 이송탑재 장치(5)가 제1 위치 P1 또는 제2 위치 P2에 위치하고 또한 승강부(54)가 하한 위치 PL까지 저하되어 있는 상태로, 지지부(52)의 지지면(52b)으로부터, 베이스 팰릿(B)의 두께에 따른 높이만큼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유닛(55)은, 지지부(52)의 지지면(52b)으로부터, 베이스 팰릿(B)의 두께에 소정의 여유대(마진; clearance)를 부가한 높이만큼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컨베이어 유닛(55)은, 지지부(52)에 베이스 팰릿(B)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라도, 이송탑재 장치(5)가 제1 위치 P1 또는 제2 위치 P2에 위치하고 또한 승강부(54)가 하한 위치 PL까지 저하되어 있는 상태로, 지지부(52) 상의 베이스 팰릿(B)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이 때, 체인 컨베이어(55B)의 체인(55c)은, 베이스 팰릿(B)의 간극 개구(95)를 통과하여 베이스 팰릿(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다.
한편, 승강부(54)가 상한 위치 PU까지 상승하고 있는 상태, 또는 승강부(54)가 하한 위치 PL까지 저하되어 있어도 이송탑재 장치(5)가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컨베이어 유닛(55)을 구성하는 각 체인 컨베이어(55B)의 체인(55c)은, 서로 인접하는 지지 데크(52A)끼리의 사이의 간극(52c)에 수용된다(도 6 및 도 7을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컨베이어 유닛(55)은, 이송탑재 장치(5)가 중간 반송 영역 Ri에서의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지지부(52)의 지지면(52b)보다도 아래쪽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승강부(54)가 하한 위치 PL에 있고 컨베이어 유닛(55)의 지지 기둥체(55D)가 가대(62) 상에 실려 있지 않은 상태(도 6 상태)를 「제1 상태」라고 한다. 또한, 승강부(54)가 상한 위치 PU에 있는 상태(도 7 상태)를 「제2 상태」라고 한다. 또한, 승강부(54)가 하한 위치 PL에 있어 컨베이어 유닛(55)의 지지 기둥체(55D)가 가대(62) 상에 실려 있는 상태(도 8 상태)를 「제3 상태」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의 이송탑재 장치(5)에서는, 승강부(54)의 승강 이동에 의해, 지지부(52)의 지지면(52b)의 높이가, 제1 반송부(21) 및 제2 반송부(26)의 지지면의 높이에 따른 제1 높이(H1)와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의 지지면의 높이에 따른 제2 높이(H2)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반송부(21) 및 제2 반송부(26)의 지지면의 높이는, 컨베이어(22, 27)의 반송면(搬送面)의 높이이다. 또한, 짐받침대(C)의 지지면의 높이는, 버스(4)에 정차하고 있는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에서의 바닥면의 높이이다.
제1 높이(H1)는, 제1 반송부(21) 및 제2 반송부(26)의 지지면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 팰릿(B)의 두께 상당분만큼 낮은 위치로부터 ±10㎜ 정도의 범위 내의 높이로 설정된다. 본 예에서는, 제1 반송부(21) 및 제2 반송부(26)의 지지면의 높이보다 베이스 팰릿(B)의 두께 상당분만큼 낮은 위치보다 5㎜ 정도 낮은 높이가 제1 높이(H1)로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상태(도 8의 상태)와, 제1 반송부(21) 및 제2 반송부(26)의 지지면의 높이[컨베이어(22, 27)의 반송면의 높이]와, 컨베이어 유닛(55)의 지지면의 높이[체인 컨베이어(55B)의 반송면의 높이]가 같아지는 동시에, 지지부(52)의 지지면(52b)의 높이가 제1 높이(H1)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제3 상태에 있어서 이송탑재 장치(5)에 베이스 팰릿(B)이 탑재되어 있는 상태라도, 컨베이어 유닛(55)의 체인(55c)가, 베이스 팰릿(B)보다도 5㎜ 정도 위쪽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송탑재 장치(5)가 중간 반송 영역 Ri에서의 제1 위치 P1 또는 제2 위치 P2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컨베이어 유닛(55)[체인 컨베이어(55B)]는, 제1 반송부(21)로부터 반입되어 오는 물품(A)을 이송탑재 장치(5) 상에 반송한다. 또한, 컨베이어 유닛(55)[체인 컨베이어(55B)]는, 이송탑재 장치(5)가 제1 위치 P1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송탑재 장치(5) 상에 있는 물품(A)을 제2 반송부(26)로 반출(搬出)한다.
제2 높이(H2)는, 짐받침대(C)의 지지면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15㎜ 정도의 범위 내의 높이로 설정된다. 이 경우, 제2 높이(H2)는, 베이스 팰릿(B)을 짐받침대(C)로부터 인출할 때와 베이스 팰릿(B)을 짐받침대(C)에 압입할 때 상이한 높이로 설정되어도 된다. 본 예에서는, 베이스 팰릿(B)의 인출시에는 짐받침대(C)의 지지면의 높이보다 10㎜ 정도 낮은 높이가 제2 높이(H2)로서 설정되고, 베이스 팰릿(B)의 압입 시에는 짐받침대(C)의 지지면의 높이보다 10㎜ 정도 높은 높이가 제2 높이(H2)로서 설정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물류 설비(1)에서의 물품(A)의 입출하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이송탑재 장치(5)가 중간 반송 영역 Ri에서의 제1 위치 P1에 위치하고 또한 승강부(54)가 하한 위치 PL까지 저하되어 있는 상태(도 9를 참조)를 초기 상태로서 설명한다. 이 초기 상태에서는, 제1 위치 P1에 있어서, 이송탑재 장치(5)가 제3 상태(도 8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상태로, 지지부(52)의 지지면(52b)의 높이가 제1 높이(H1)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초기 상태에서는, 훅부(53E)는, 그 축부(軸部)가 이송탑재 장치(5)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자세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물품(A)(팰릿 상에 탑재된, 빈 상자나 상자포장된 원료 등)을 적재한 반송 차량(T)이 도착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부(54)는, 지지부(52)를 상승시켜 그 지지면(52b)의 높이를 제2 높이(H2)보다도 높은 제3 높이(H3)로 한다. 여기서, 제3 높이(H3)는, 예를 들면,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의 지지면의 높이보다 50㎜±15㎜ 정도 높은 높이로 설정된다. 이하에서는, 이 상태를 「제4 상태」라고 한다. 이 높이 조정은, 어느 정도 염려없이 행해도 된다.
다음에, 제4 상태의 이송탑재 장치(5)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 W을 따라 배치된 주행 레일(61)을 따라 반송 차량(T)을 향해 근접 이동한다. 이송탑재 장치(5)는, 전진 한계까지 전진하여 짐받침대 인접 영역 Ra에 있는 제3 위치 P3에 도달한 후,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부(54)가 지지부(52)를 저하시켜 그 지지면(52b)의 높이를 제2 높이(H2)로 한다. 여기서는, 베이스 팰릿(B)을 짐받침대(C)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준비 단계이므로, 지지부(52)의 지지면(52b)의 높이는, 짐받침대(C)의 지지면의 높이보다 10㎜ 정도 낮은 높이로 된다. 그리고, 이 높이 조정은, 이송탑재 장치(5)를 구성하는 주행부(51)의 케이싱의 외면에 센서(예를 들면, 레이저 스캐너)를 장착하여 두고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의 일부에 장착된 피검지부[예를 들면, 게이트의 내면에 장착된 반사판]를 검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훅부(53E)가 90°선회하여, 그 축부가 이송탑재 장치(5)의 폭 방향(차량 폭 방향 W)을 따르는 자세로 된다.
다음에, 체인 구동 기구(53G)(도 5 등을 참조)를 정회전 구동하여,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53E)를 전진시켜 베이스 팰릿(B)에 근접시킨다. 이 상태에서, 자동 제어 또는 조작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훅부(53E)의 걸림 클릭(53f)(도 3를 참조)을 베이스 팰릿(B)의 피걸림부(93)(도 2를 참조)에 당겨 건다. 그 후, 걸림 클릭(53f)이 피걸림부(93)에 당겨걸려 있는 상태에서 체인 구동 기구(53G)를 역회전 구동하여,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53E)를 후진시켜 베이스 팰릿(B)을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로부터 인출한다. 이 때, 베이스 팰릿(B) 상에 탑재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A)은 짐받침대(C)로부터 모아져 인출된다. 베이스 팰릿(B)은 그 하면 측에 전동 롤러(92)를 가지고 있으므로(도 2를 참조), 작은 저항으로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부(54)는, 지지부(52)를 상승시켜 그 지지면(52b)의 높이를 제3 높이(H3)로 한다. 그 후, 제4 상태의 이송탑재 장치(5)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레일(61)을 따라 반송 차량(T)으로부터 이격 이동한다. 이송탑재 장치(5)는, 중간 반송 영역 Ri에서의 제1 위치 P1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한다. 그 후,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부(54)가 하한 위치 PL까지 저하되어, 지지부(52)의 지지면(52b)의 높이를 제1 높이(H1)로 한다. 이 때, 제1 위치 P1에서는 컨베이어 유닛(55)의 지지 기둥체(55D)가 가대(62) 상에 실리므로, 이송탑재 장치(5)가 제3 상태로 되어, 컨베이어 유닛(55)을 구성하는 체인 컨베이어(55B)의 체인(55c)이 베이스 팰릿(B)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한다. 또한, 훅부(53E)가 90°선회하여, 그 축부가 이송탑재 장치(5)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자세로 된다.
다음에, 이송탑재 장치(5)에서 볼 때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는 안전 펜스(33)를 개방하는 동시에 체인 컨베이어(55B) 및 제2 반송부(26)의 컨베이어(28)를 작동하여, 체인 컨베이어(55B) 상에 직접 탑재된 복수의 물품(A)을 제2 반송부(26)로 반출한다. 복수의 물품(A)은, 지지부(52) 상에 머무는 베이스 팰릿(B)으로부터 떠나가(moved away), 제2 반송부(26)로 반출되어 간다(도 18을 참조).
출하(unloading)가 완료되면, 다음에, 이송탑재 장치(5)에서 볼 때 반송 방향 상류측에 있는 안전 펜스(33)를 개방하는 동시에 제1 반송부(21)의 컨베이어(23) 및 체인 컨베이어(55B)를 작동하여, 제1 반송부(21)의 제1 출하로(23A)에서 대기하고 있었던 복수의 물품(A)(팰릿 상에 탑재된, 상자포장된 공업 제품 등)을 이송탑재 장치(5)에 반입(搬入)한다. 그리고, 제1 반송부(21)로부터 반입되는 복수의 물품(A)은, 그 물품(A)을 운반할 예정인 반송 차량(T)이 물류 설비(1)에 도착하기 전에, 작업자에 의해 분류되어(sorted out) 제1 출하로(23A)에서 대기되고 있다. 복수의 물품(A)은, 전회의 공정에서 이송탑재 장치(5)의 지지부(52) 상에 체류하고 있었던 베이스 팰릿(B)의 바로 위쪽의 위치로 반입되어 온다(도 19를 참조).
복수의 물품(A)의 반입이 완료되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부(54)는, 지지부(52)를 상승시켜 그 지지면(52b)의 높이를 제3 높이(H3)로 한다. 다음에, 제4 상태의 이송탑재 장치(5)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레일(61)을 따라 반송 차량(T)을 향해 근접 이동한다. 이송탑재 장치(5)는, 전진 한계까지 전진하여 짐받침대 인접 영역 Ra에 있는 제3 위치 P3에 도달한 후,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부(54)가 지지부(52)를 저하시켜 그 지지면(52b)의 높이를 제2 높이(H2)로 한다. 여기서는, 베이스 팰릿(B)을 짐받침대(C)에 압출(押出)하기 위한 준비 단계이므로, 지지부(52)의 지지면(52b)의 높이는, 짐받침대(C)의 지지면의 높이보다 10㎜ 정도 높은 높이로 된다. 또한, 훅부(53E)가 90°선회하여, 그 축부가 이송탑재 장치(5)의 폭 방향(차량 폭 방향 W)을 따르는 자세로 된다. 그리고, 훅부(53E)의 헤드부가 베이스 팰릿(B)에 맞닿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체인 구동 기구(53G)(도 5 등을 참조)를 정회전 구동하여,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53E)를 전진시켜 베이스 팰릿(B)을 반송 차량(T)의 짐받침대(C)에 압출한다. 이 때, 베이스 팰릿(B) 상에 탑재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A)은 모아져 짐받침대(C)에 압출된다. 베이스 팰릿(b)은 그 하면 측에 전동 롤러(92)를 가지고 있으므로(도 2를 참조), 작은 저항으로 원활하게 압출할 수 있다. 복수의 물품(A)을 탑재한 베이스 팰릿(B)이 완전히 짐받침대(C)에 이송탑재되면 체인 구동 기구(53G)를 역회전 구동하여,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53E)를 후진 한계까지 후퇴시킨다. 또한, 승강부(54)는, 지지부(52)를 상승시켜 그 지지면(52b)의 높이를 제3 높이(H3)로 한다. 적재된 반송 차량(T)은, 준비가 갖추어지는 대로, 운반처의 사업소를 향해 출발한다.
다음에, 제4 상태의 이송탑재 장치(5)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레일(61)을 따라 반송 차량(T)으로부터 이격 이동한다. 이송탑재 장치(5)는, 중간 반송 영역 Ri에서의 제1 위치 P1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한다. 그 후,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부(54)가 하한 위치 PL까지 저하되어, 지지부(52)의 지지면(52b)의 높이를 제1 높이(H1)로 한다. 이 경우에도, 컨베이어 유닛(55)의 지지 기둥체(55D)가 가대(62) 상에 실리고, 이송탑재 장치(5)가 제3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컨베이어 유닛(55)을 구성하는 체인 컨베이어(55B)의 체인(55c)은, 베이스 팰릿(B)의 두께만큼 이상, 지지부(52)의 지지면(52b)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초기 상태로 돌아와, 다음 편의 반송 차량(T)의 도착을 기다린다.
본 실시형태의 물류 설비(1)는, 차량 폭 방향 W로 왕복 이동하는 이송탑재 장치(5)를 구비함으로써, 윙식의 반송 차량(T)을 가로 방향으로 접차하는 경우라도, 이송탑재 장치(5)가 짐받침대(C)에 대하여 근접 이동하여 짐받침대(C)와의 간극을 좁힐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차량(T)의 운전자는, 반송 차량(T)을 플랫폼(2)의 폼 끝(2e)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한 대부분 간극없이 가로 방향으로 할 필요가 없어, 가로 방향으로 접차를 어렵지 않게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이송탑재 장치(5)가, 입하된 물품(A)을 반송하는 제2 반송부(26)와 출하되는 물품(A)을 반송하는 제1 반송부(21)와의 사이에 설치되므로, 반송 차량(T)의 1회의 정차 중에 출하와 하적(loading)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이들 작업은 자동화되어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1대의 반송 차량(T)이 정차하고 나서, 출하 및 하적을 행한 후에 재출발할 때까지를, 예를 들면, 10분 이내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랫폼(2)에서는, 포크리프트(forklift)를 사용하지 않고 하물 분류(article sorting)이 가능하므로, 상기 플랫폼(2)에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게 있어서 안전성이 높다
[그 외의 실시형태]
(1)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52)의 지지면(52b)의 높이에 대해서의 제2 높이(H2)가, 베이스 팰릿(B)을 짐받침대(C)로부터 인출할 때와 베이스 팰릿(B)을 짐받침대(C)에 압입할 때 상이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베이스 팰릿(B)을 짐받침대(C)로부터 인출할 때와 베이스 팰릿(B)을 짐받침대(C)에 압입할 때, 제2 높이(H2)가 서로 같은 높이[구체적으로는, 짐받침대(C)의 지지면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설정되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팰릿(B)이 그 하면 측에 전동 롤러(92)를 가지고 있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베이스 팰릿(B)이 전동 롤러(92)를 가지지 않고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이송탑재 장치(5)와 짐받침대(C) 사이에서의 베이스 팰릿(B)의 이송탑재(transfer) 시에는, 베이스 팰릿(b)은, 지지부(52)의 지지면(52b)이나 짐받침대(C)에서의 바닥면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한다.
(3)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플랫폼(2)의 폼 끝(2e) 부근에 설치된 버스 형성 데크(20)를 따라 버스(4)가 형성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버스(4)의 형성 태양은 임의라도 된다.
(4)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이송탑재 장치(5)가 주행부(51)와 지지부(52)와 슬라이딩부(53)와 승강부(54)와 컨베이어 유닛(5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이들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구체적 구조를 나타내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탑재 장치(5)의 구체적 구조는 임의라도 된다.
(5)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부(21)의 제1 출하로(23A)와 제2 반송부(26)의 입하로(28)를 이용하여, 이송탑재 장치(5)가 제1 위치 P1와 제3 위치 P3와의 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물품(A)의 입출하를 행하는 것을 주로 상정하여 그 수순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송부(21)의 제2 출하로(23B)와 제2 반송부(26)의 입하로(28)를 이용하여 물품(A)의 입출하를 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짐받침대(C)로부터 베이스 팰릿(B)[물품(A)]을 수취하고, 제1 위치 P1에서 물품(A)을 제2 반송부(26)로 반출한 이송탑재 장치(5)는, 제2 위치 P2로 이동하여 제1 반송부(21)의 제2 출하로(23B)로부터 물품(A)을 수취하고, 그 후, 제3 위치 P3와 베이스 팰릿(B)[물품(A)]을 짐받침대(C)에 받아건넨다.
(6)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부(21)에 2개의 출하로(23)가 설치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송부(21)에 1개의 출하로(23)만이 설치되거나, 또는 제1 반송부(21)에 3개 이상의 출하로(23)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반송부(26)에 관해서도, 1개의 입하로(28)만을 가지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반송부(26)에 2개 이상의 입하로(28)가 설치되어도 된다.
(7)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플랫폼(2)이 주행로(R)의 한쪽에만 면하도록 설치된 구성의 물류 설비(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로(R)의 양측에, 상기 주행로(R)를 협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플랫폼(2)이 설치된 물류 설비(1)에도,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물류 설비(1)에서는, 이송탑재 장치(5)는, 한 쌍의 플랫폼(2)의 각각의 중간 반송 영역 Ri끼리의 사이를 차량 폭 방향 W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한 쌍의 플랫폼(2)과 이송탑재 장치(5)가 공용된다. 그리고, 이송탑재 장치(5)는, 한쪽의 플랫폼(2)과 그에 대응하는 버스(4)에 정차하고 있는 반송 차량(T)과의 사이에서 물품(A)을 받아건넴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플랫폼(2)과 그에 대응하는 버스(4)에 정차하고 있는 반송 차량(T)과의 사이에서 물품(A)을 받아건넴 가능하게 구성된다.
(8)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상기한 실시형태 및 그 외의 실시형태를 포함하는이하 마찬가지임)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改變; modification)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개요]
이상을 정리하면, 본 개시에 관한 물류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각각의 구성을 구비한다.
물류 설비로서,
출하되는 물품을 반송하는 제1 반송부와, 입하된 물품을 반송하는 제2 반송부가 설치되어 있는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의 폼 끝을 따라 반송 차량이 가로 방향으로 접차하도록 설치된 버스와,
상기 제1 반송부의 하류측이면서 또한 상기 제2 반송부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중간 반송 영역과 상기 버스에 정차하고 있는 상기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에 인접하는 짐받침대 인접 영역과의 사이를 차량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상기 플랫폼과 상기 반송 차량과의 사이에서 상기 물품의 받아건넴을 행하는 이송탑재 장치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량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송탑재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버스에 정차하고 있는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에 대하여 이송탑재 장치를 근접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 차량의 운전자는, 플랫폼의 폼 끝에 대하여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으면 당초의 간극의 크기를 너무 의식하지 않고, 반송 차량을 폼 끝에 평행하게 접차시키는 것만으로 된다. 따라서, 반송 차량의 가로 방향으로 접차를 어렵지 않게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에 있어서 제1 반송부에 의해 물품을 중간 반송 영역으로 반송하고, 제2 반송부에 의해 물품을 중간 반송 영역으로부터 반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로부터 내려 이송탑재 장치에서 수취한 물품을 중간 반송 영역까지 운반한 후, 제2 반송부로 반출하는 동시에, 미리 준비되어 있었던 물품을 제1 반송부에 의해 중간 반송 영역에 있는 이송탑재 장치에 반입한 후, 짐받침대 인접 영역까지 운반하여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에 탑재할 수 있다. 이들 일련의 동작을, 제1 반송부와 제2 반송부와 이송탑재 장치와의 협동에 의해, 단시간에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송 차량의 가로 방향으로 접차 및 물품의 입출하의 양쪽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으므로, 반송 차량의 가동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복수의 상기 물품을 단일의 베이스 팰릿에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물품의 받아건넴을 일괄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로부터 물품을 내려놓는 공정 및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에 물품을 적입하는 공정을, 각각 단일의 동작으로 모아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차량과 이송탑재 장치 간에서의 물품의 하역을 단시간에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반송 차량의 가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된 주행 레일 상을 주행하는 주행부와, 상기 물품을 탑재하는 베이스 팰릿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 팰릿에 건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주행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지지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의 승강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지지면의 높이가, 상기 제1 반송부 및 상기 제2 반송부의 지지면의 높이에 따른 제1 높이와, 상기 반송 차량의 상기 짐받침대의 지지면의 높이에 따른 제2 높이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행부와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송탑재 장치를, 주행 레일을 따라 적절히 차량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를 물품이 탑재된 베이스 팰릿에 건 상태에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로부터 베이스 팰릿을 인출하여 상기 베이스 팰릿을 통하여 물품을 내려놓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베이스 팰릿을 압입하여 상기 베이스 팰릿을 통하여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에 물품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측의 제1 반송부 및 제2 반송부의 지지면의 높이와 반송 차량 측의 짐받침대의 지지면의 높이와의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승강부를 적어도 제1 높이와 제2 높이와의 사이에서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그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탑재 장치와 제1 반송부 및 제2 반송부 및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 사이에서의 물품의 하역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 폭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물품을 반송 가능하게 설치된 컨베이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유닛이,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이송탑재 장치가 상기 중간 반송 영역에서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승강부가 하한 위치까지 저하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지지부의 지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이송탑재 장치가 상기 특정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지지면보다도 아래쪽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송탑재 장치가 중간 반송 영역에서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지지부의 지지면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위쪽으로 돌출하는 컨베이어 유닛을 사용하여, 제1 반송부나 제2 반송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받아건넴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송탑재 장치가 특정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컨베이어 유닛은 지지부의 지지면보다도 아래쪽으로 들어가므로,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에 따른 지지부 상에서의 베이스 팰릿의 차량 폭 방향을 따른 이동이 방해받지 않는다. 따라서,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와의 사이에 있어서도, 베이스 팰릿 상에 탑재된 물품의 받아건넴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반송 차량이 통행하는 주행로를 협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상기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탑재 장치가, 한 쌍의 상기 플랫폼의 각각의 상기 중간 반송 영역끼리의 사이를 상기 차량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플랫폼의 각각과 대응하는 상기 버스에 정차하고 있는 상기 반송 차량과의 사이에서 상기 물품을 받아건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행로를 협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랫폼에서 이송탑재 장치가 공용된다. 따라서, 한 쌍의 플랫폼의 각각에 이송탑재 장치가 별개로 설치되는 구성에 비하여, 각각의 이송탑재 장치의 가동율(稼動率)이 그만큼 높아지지 않도록 한 상황에서, 반송 차량의 가동 효율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설비의 설치 면적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물류 설비는, 전술한 각 효과 중, 하나 이상이 얻어질 수 있으면 된다.
1: 물류 설비
2: 플랫폼
2e: 폼 끝
4: 버스
5: 이송탑재 장치
21: 제1 반송부
26: 제2 반송부
51: 주행부
52: 지지부
52b: 지지면
53: 슬라이딩부
54: 승강부
55: 컨베이어 유닛
61: 주행 레일
A: 물품
B: 베이스 팰릿
T: 반송 차량
C: 짐받침대
W: 차량 폭 방향
R: 주행로
Ri: 중간 반송 영역
Ra: 짐받침대 인접 영역
P1: 제1 위치(특정 위치)
P2: 제2 위치(특정 위치)
H1: 제1 높이
H2: 제2 높이

Claims (5)

  1. 출하(出荷)되는 물품을 반송(transport)하는 제1 반송부와, 입하(入荷)된 물품을 반송하는 제2 반송부가 설치되어 있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의 폼 끝을 따라 반송 차량(transport vehicle)이 가로 방향으로 접차(接車)하도록 설치된 버스(berth); 및
    상기 제1 반송부의 하류측이면서 또한 상기 제2 반송부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중간 반송 영역과 상기 버스에 정차하고 있는 상기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loading bed)에 인접하는 짐받침대 인접 영역 사이를 차량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상기 플랫폼과 상기 반송 차량 사이에서 상기 물품의 받아건넴을 행하는 이송탑재 장치(transfer device);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된 주행 레일 상을 주행하는 주행부와, 상기 물품을 탑재하는 베이스 팰릿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 팰릿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주행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지지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의 승강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지지면의 높이가, 상기 제1 반송부 및 상기 제2 반송부의 지지면의 높이에 따른 제1 높이와, 상기 반송 차량의 상기 짐받침대의 지지면의 높이에 따른 제2 높이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류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물품을 반송 가능하게 설치된 컨베이어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 유닛이,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이송탑재 장치가 상기 중간 반송 영역에서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승강부가 하한 위치까지 저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지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이송탑재 장치가 상기 특정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지지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류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차량이 통행하는 주행로를 협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상기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탑재 장치가, 한 쌍의 상기 플랫폼의 각각의 상기 중간 반송 영역끼리의 사이를 상기 차량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플랫폼의 각각과 대응하는 상기 버스에 정차하고 있는 상기 반송 차량과의 사이에서 상기 물품을 받아건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물류 설비.
  4. 출하(出荷)되는 물품을 반송(transport)하는 제1 반송부와, 입하(入荷)된 물품을 반송하는 제2 반송부가 설치되어 있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의 폼 끝을 따라 반송 차량(transport vehicle)이 가로 방향으로 접차(接車)하도록 설치된 버스(berth); 및
    상기 제1 반송부의 하류측이면서 또한 상기 제2 반송부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중간 반송 영역과 상기 버스에 정차하고 있는 상기 반송 차량의 짐받침대(loading bed)에 인접하는 짐받침대 인접 영역 사이를 차량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상기 플랫폼과 상기 반송 차량 사이에서 상기 물품의 받아건넴을 행하는 이송탑재 장치(transfer device);
    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 차량이 통행하는 주행로를 협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상기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탑재 장치가, 한 쌍의 상기 플랫폼의 각각의 상기 중간 반송 영역끼리의 사이를 상기 차량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상기 플랫폼의 각각과 대응하는 상기 버스에 정차하고 있는 상기 반송 차량과의 사이에서 상기 물품을 받아건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물류 설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탑재 장치는, 복수의 상기 물품을 단일의 베이스 팰릿(base pallet)에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물품의 받아건넴을 일괄적으로 행하는, 물류 설비.
KR1020170117180A 2016-09-16 2017-09-13 물류 설비 KR102470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2201 2016-09-16
JP2016182201A JP6620710B2 (ja) 2016-09-16 2016-09-16 物流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759A KR20180030759A (ko) 2018-03-26
KR102470173B1 true KR102470173B1 (ko) 2022-11-22

Family

ID=6161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180A KR102470173B1 (ko) 2016-09-16 2017-09-13 물류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84002B2 (ko)
JP (1) JP6620710B2 (ko)
KR (1) KR102470173B1 (ko)
CN (1) CN107826786B (ko)
PH (1) PH12017000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9576A (ja) * 2018-10-09 2020-04-16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荷役設備
JP6725161B2 (ja) * 2018-10-16 2020-07-15 中洲電機株式会社 搬送ユニット、移載機構及び処理システム
CN109567863B (zh) * 2018-12-10 2023-04-25 新乡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b超床
CN110217745A (zh) * 2019-07-04 2019-09-10 东莞三江港口储罐有限公司 灌装输送***
CN110589524B (zh) * 2019-10-21 2024-06-14 中国国家铁路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高铁快运动车组的站台装卸搬运***及方法
DE202019106718U1 (de) * 2019-10-25 2019-12-16 Trapo Ag Verladesystem zum Beladen und Entladen von Lkw
DE102019128916A1 (de) * 2019-10-25 2021-04-29 Trapo Ag Verladesystem zum Beladen und Entladen von Lkw
CN113260587A (zh) * 2019-11-28 2021-08-13 乐天集团股份有限公司 配送***、配送方法、及配送装置
WO2023233533A1 (ja) * 2022-05-31 2023-12-07 新明和工業株式会社 荷物ステーション、および、運搬車両
CN116275630A (zh) * 2023-03-28 2023-06-23 中建科工集团有限公司 激光切割机总成
CN117446432B (zh) * 2023-12-12 2024-07-19 广州五所环境仪器有限公司 物料传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2621A1 (en) * 2002-05-16 2004-03-18 Christoph Beerhalter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and method for load carrier of vehicle bodies, vehicles and the lik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6645A (en) * 1966-08-16 System for handling bagged mail
JPS5638494B2 (ko) * 1974-11-18 1981-09-07
JPH0611618B2 (ja) * 1984-12-01 1994-02-16 村田機械株式会社 物品のパレタイジング装置
JPS6219929A (ja) 1985-07-18 1987-01-28 Ricoh Co Ltd Dma制御装置
JPS6219929U (ko) 1985-07-23 1987-02-06
JPS62259927A (ja) 1986-05-02 1987-11-12 Teruo Kashiwara 貨物用プラツトホ−ムの荷役装置
JPH07121768B2 (ja) * 1986-09-25 1995-12-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一括移載方法および装置
JPH04159926A (ja) 1990-10-19 1992-06-03 Nippon Furuhaafu Kk 車両への荷物の積降し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H0654643U (ja) * 1992-12-28 1994-07-2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袋体のトラック移載装置
IT1289530B1 (it) * 1995-10-13 1998-10-15 Fata Automation Magazzino integrato ad alta capacita' per container
US6695561B2 (en) * 2000-02-09 2004-02-24 Leonard D. Barry Container drive-by-transfer and system
ITMI20020337A1 (it) * 2002-02-20 2003-08-20 Guido Porta Metodo di trasporto ferroviario ed apparecchiatura per il carico e loscarico dei convogli
US7014410B2 (en) * 2002-04-01 2006-03-21 Barry Leonard D Container drive-by transfer and system
DE10227263B4 (de) * 2002-06-19 2010-07-0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ladesystem und Ladewagen für ein Verladesystem
US8348585B2 (en) * 2010-02-02 2013-01-08 Salmoiraghi S.P.A. System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load-containing units from and onto railway trucks
JP2010259927A (ja) 2010-08-27 2010-11-18 Daiichi Shokai Co Ltd 遊技機
CN105645130B (zh) * 2015-12-31 2018-04-27 江苏新美星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垛快速装车的方法
CN205575133U (zh) * 2016-05-03 2016-09-14 宋守彩 一种自举升装卸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2621A1 (en) * 2002-05-16 2004-03-18 Christoph Beerhalter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and method for load carrier of vehicle bodies, vehicles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759A (ko) 2018-03-26
PH12017000269B1 (en) 2019-01-28
CN107826786B (zh) 2021-06-11
PH12017000269A1 (en) 2019-01-28
US10584002B2 (en) 2020-03-10
JP6620710B2 (ja) 2019-12-18
US20180079607A1 (en) 2018-03-22
JP2018043879A (ja) 2018-03-22
CN107826786A (zh) 2018-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173B1 (ko) 물류 설비
US6923612B2 (en) Load-handling system and telescopic arm therefor
KR101987163B1 (ko) 승강 반송 장치
JP5078563B2 (ja) 自動倉庫
CN109368296A (zh) 一种物料上车***
KR20120108962A (ko) 물품 이송탑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
JP4301214B2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JP2018030680A (ja) 移載装置
JP3935481B2 (ja) 垂直搬送機
JPH08155761A (ja) 生産設備
CN115535649A (zh) 适用于配有托盘的箱货集装箱快速卸货装置
JP7217139B2 (ja) 荷物の搬送装置
JPH03249022A (ja) 荷積み方法
CN113291689A (zh) 提升机及仓储***
US20110095134A1 (en) Baggage Handling at Air Terminals
JPH0761811B2 (ja) 搬送装置
JP7443936B2 (ja) 自動倉庫
JP2008044729A (ja) 自動倉庫及び入出庫管理方法
CN220282905U (zh) 一种箱式物料自动装车装置
CN114715652B (zh) 一种辊筒线搬运托盘的方法
JPH03293207A (ja) 簡易搬送方法及び搬送用ロッド
EP2138425A1 (en) Container for baggages and method of loading thereof
JP3591617B2 (ja) コンベヤ装置
JPS6234656B2 (ko)
CN116853850A (zh) 一种箱式物料自动装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