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727B1 - Untact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 Google Patents

Untact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727B1
KR102464727B1 KR1020220034560A KR20220034560A KR102464727B1 KR 102464727 B1 KR102464727 B1 KR 102464727B1 KR 1020220034560 A KR1020220034560 A KR 1020220034560A KR 20220034560 A KR20220034560 A KR 20220034560A KR 102464727 B1 KR102464727 B1 KR 102464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care
data
servi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5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향신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아이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아이엘(주) filed Critical 에이치아이엘(주)
Priority to KR102022003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7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eur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Proposed are a non-face-to-face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The non-face-to-face care support system for dementia patients comprises: an analysis module collecting care data through indoor and outdoor life-log sensors, biometric signal collection devices, and care data collection modules, and analyzing the care data;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providing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s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 customized non-face-to-face status provision service management module providing a customized non-face-to-face status provision service based on care life-log data by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a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monitoring and sharing information on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nd the customized non-face-to-face status provision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indoor and outdoor life-log sensors, the collected care data,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to construct a remote service provision platform.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visit care services in a non-face-to-face manner.

Description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시스템 및 방법{Untact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mentia Patients}{Untact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본 발명은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face-to-face dementia patient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우리나라 총 노인의 비율은 19년 15.0%에서 30년 25%로 급격히 증가할 전망이며 노인성 질환인 치매 환자도 19년 79만명에서 50년 302만명(전체 노인의 15.9%)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The proportion of the total elderly in Korea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from 15.0% in 2019 to 25% in 30 years, and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mentia, a geriatric disease,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from 790,000 in 2019 to 3.02 million in 50 (15.9% of the total elderly).

치매로 인해 18년 건강보험 장기요양비용이 14년 대비 1.6배 증가하였으며, 연간 치매환자 총 관리비용은 19년 16조 5천억원에서 50년 103조 1천억원으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Due to dementia, the long-term care cost of health insurance in 2018 increased by 1.6 times compared to 2014, and the total annual management cost of dementia patients is estimated to increase rapidly from 16.5 trillion won in 2019 to 103.1 trillion won in 50 years.

종래기술에 따르면, TV, 에이콘, 세탁기 등의 소비전력을 통해 고령자의 생활을 주시하는 서비스를 실용화하여, 고령자의 TV사용 상황에 대한 이메일을 가족에게 보내 이상이 있을 경우 TV화면에 리모콘을 눌러 답 할 수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면 액정 화면을 부착해 멀리 있는 가족과 대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이 개시되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ervice that monitors the lives of the elderly through the power consumption of TVs, air conditioners, washing machines, etc. is put into practice, and an email about the elderly's TV usage status is sent to family members and, if there is an abnormality, press the remote control on the TV screen to respond.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have been launched that have the ability to send messages that can be sent or to communicate with distant family members by attaching a front LCD screen.

2017년 4월 11일 도쿄에 오픈한 '브레인 피트니스'는 뇌 건강에 특화한 피트니스 클럽으로 과학적인 데이터에 근거한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러한 피트니스는 의학연구소와 공동 연구를 수행하여 뇌의 인지 기능 유지 및 개선과 관련된 생활습관에 대해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한다. 그 결과 도출된 치매 예방에 효과적인 운동과 식사, 수면, 스트레스 해소, 뇌에 대한 자극 등을 아우르는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의사, 영양사, 전문 트레이너 등이 한 조가 돼 고객에게 맞춤형으로 지도할 수 있다. 'Brain Fitness', which opened in Tokyo on April 11, 2017, is a fitness club specializing in brain health and provides a dementia prevention program based on scientific data. Such fitness conducts joint research with medical research institutes to collect and analyze lifestyle related to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brain. As a result, we have developed a program that includes effective exercise, diet, sleep, stress relief, and stimulation of the brain for dementia prevention.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르면, 치매 예방 안경은 시선의 방향, 깜빡임의 빈도 및 속도, 안구의 회전, 몸 전체의 무게중심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돼 있어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착용한 사람의 몸 상태를 알 수 있다. 치매에 걸리는 전조 현상으로 알려지고 있는 눈 깜빡임 속도의 저하, 무의식 중에 일어나는 안구 움직임 변화, 신체 무게중심의 이동 등을 감지할 수 있어 치매 예방 효과가 기대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dementia prevention glasses are equipped with sensors that can measure the direction of the gaze, the frequency and speed of blinking, the rotation of the eyeball,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hole body, etc. know the state of the body. Dementia prevention effect is expected because it can detect a decrease in eye blinking speed, which is known as a precursor to dementia, changes in eye movements that occur unconsciously, and movement of the body's center of gravity.

치매환자에 대한 적절한 돌봄을 위해서는 치료를 받을 때만 생성되는 의료 데이터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부족하며 최신 ICT 기술을 통해 생체 데이터와 실생활 습관 정보를 취득 및 융합으로 사용자(예를 들어, 환자, 보호자, 요양기관, 의료기관 등)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For proper care for dementia patients, it is insufficient to judge only with medical data generated only when receiving treatment, and users (e.g., patients, guardians, and nursing institutions , medical institutions, etc.)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d manage customized feedback.

또한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도 공백이 없도록 비대면으로 치료와 돌봄 지원이 가능한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on-face-to-face care support platform for dementia patients that can provide non-face-to-face treatment and care support so that there is no gap even in a pandemic situation such as COVID-19.

한국 등록특허 제102062544호(2019.12.30)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62544 (2019.12.3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도 공백이 없도록 비대면으로 돌봄 지원이 가능한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플랫폼을 구축하여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환자 통합 돌봄이 가능하도록 최신 ICT 기술과 비대면 기술을 융합한 사회 서비스인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대면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라이프로그, 바이탈, 신체유지활동 및 상태를 관찰하고, 실내외 라이프로그센서 개발을 통해 신체기능, 식사기능, 인지기능, 배변변화의 변화상태 등을 포함하는 방문요양서비스를 비대면요양으로 감지하고자 한다. 또한, 수급자 건강 및 간호관리를 비대면요양으로 감지하기 위해 휴대형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technical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 non-face-to-face care support platform that can support non-face-to-face care so that there is no gap even in a pandemic situation such as COVID-19, and the latest ICT to enable integrated care for dementia patients centered on the community It aims to provide a non-face-to-face care service platform for dementia patients, a social service that combines technology and non-face-to-face technology. In more detail, to provide non-face-to-face care services, life log, vital, body maintenance activities and status are observed, and changes in body function, eating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bowel change are includ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s. We want to detect the visiting care service as non-face-to-face care.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bio-signal measuring device to detect the health and nursing management of recipients as non-face-to-face care.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시스템은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여 요양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 및 비대면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와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및 상기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공유하는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In one aspect, the non-face-to-face dementia patient care support syste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care data through an indoor and outdoor lifelog sensor, a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nd a care data collection module to analyze the care data, the collecting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that provides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s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ding service based on care life log data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build a 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non-face-to-face service provision platform,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s,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nd the non-face-to-face service provision platform It includes a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for monitoring and sharing information on 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상기 분석 모듈은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를 통해 신체기능, 식사기능, 인지기능, 배변기능을 포함하는 환자 기능의 변화 상태를 비대면으로 감지하고, 환자의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라이프로그를 학습하며, 상기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를 통해 고혈압 수치, 당뇨 수치, 체온 수치, 맥박 수치, 분당호흡 수치, 체중 수치 및 치매검사수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비대면으로 수집하여 수집된 생체신호를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한 후에 환자의 건강 기저선을 파악하며, 상기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낙상 위험도, 욕구 평가, 욕창 위험도, 치매진단 검사를 포함하는 요양서비스 항목에 관한 요양 데이터를 비대면으로 수집하고, 상기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블루투스 비콘 프로토콜에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에 관한 추가 데이터를 패킷으로 추가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 및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에 전송한다. The analysis module includes an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a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nd a medical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nd the state of change in patient function including a body function, a meal function, a cognitive function, and a defecation function through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is detected non-face-to-face, learns lifelogs that occur in the patient's daily life, and records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body temperature, pulse, minute respiration, weight, and dementia test values through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fter analyzing the collected bio-signals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by collecting bio-signals including Collecting care data related to care service items including is added as a packet and transmitted to the smart media application,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through Bluetooth.

상기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의 주간상태관찰, 신체청결, 신체기능, 인지상태, 상처발생, 욕창발생, 관찰의견을 포함하는 요양 데이터에 따라 환자의 기능회복, 인지활동, 신체활동을 위한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며,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관리 기능, 진도율, 참여횟수, 프로그램 제공일을 포함하는 요양프로그램 정보 제공 기능, 영상 레이아웃 설정 기능, 모임기능, 교육기능, 알림기능을 포함하는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uses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to observe the patient's weekly status, body cleanliness, body functions, cognitive status, wounds, pressure sores, and observation opinions according to care data including observation opinions. Provides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for functional recovery, cognitive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of It provides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including a setting function, a meeting function, an education function, and a notification function.

상기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 별 프로파일에 기초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피드백 기능은 환자의 건강 기저선 또는 생활의 변화를 피드백하여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관리하며, 의료전문인과의 접촉이 필요한 대상자를 선별하여 의료서비스 기관과 연계하도록 관리한다.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performs a feedback function based on a patient-specific profile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the feedback function feeds back a change in the patient's health baseline or life to provide non-face-to-face customized It manages the status providing service, selects those who need contact with a medical professional and manages to link it with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방법은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을 통해 비대면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와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및 상기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non-face-to-face dementia patient care support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care data through an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a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nd a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nd analyzes the care data through the analysis module. providing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through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build a non-face-to-face service providing platform through the step of providing a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and a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s,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nd monitoring and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smart media service and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도 공백이 없도록 비대면으로 돌봄 지원이 가능한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플랫폼을 구축하여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환자 통합 돌봄이 가능하도록 최신 ICT 기술과 비대면 기술을 융합한 사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대면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라이프로그, 바이탈, 신체유지활동 및 상태를 관찰하고, 수급자 건강 및 간호관리를 비대면요양으로 감지하기 위해 휴대형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실내외 라이프로그센서 개발을 통해 신체기능, 식사기능, 인지기능, 배변변화의 변화상태 등을 포함하는 방문요양서비스를 비대면요양으로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face-to-face care support platform capable of non-face-to-face care support is established so that there is no gap even in a pandemic situation such as COVID-19, and the latest ICT to enable community-centered integrated care for dementia patients It can provide social services that combine technology and non-face-to-face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provide non-face-to-face care services, we provide a portable bio-signal measuring device to observe life logs, vitals, physical maintenance activities and conditions, and to detect recipient health and nursing management as non-face-to-face care to provid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Through sensor development, it is possible to detect visiting care services including changes in physical function, eating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bowel changes as non-face-to-face c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non-face-to-face dementia patient care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upporting care for a non-face-to-face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signa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환자 통합 돌봄이 가능하도록 최신 ICT 기술과 비대면 기술을 융합한 사회 서비스인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non-face-to-face care service platform for dementia patients, which is a social service that combines the latest ICT technology and non-face-to-face technology to enable community-centered integrated care for dementia patien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라이프로그 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 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요양 데이터는 분석 모듈을 통해 분석된다. Care data may be collected through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nd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ed care data i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module.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기능회복, 인지활동, 신체활동 등을 위한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간상태관찰, 신체청결, 신체기능, 인지상태, 상처발생, 욕창발생, 관찰의견 등 비대면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By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e program service through a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ursing program service for functional recovery, cognitive activity, physical activity, and the like of a patient.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to provide non-face-to-face care services such as weekly status observation, body cleanliness, body function, cognitive status, wound occurrence, pressure ulcer occurrence, observation opinion, etc.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맞춤형 상태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은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기요양급여 제공 기록, 요양프로그램 제공 목표 및 제공 기록, 요양프로그램 운영기록, 주간상태관찰 기록, 낙상위험도 평가, 욕창위험도 평가 및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관찰지를 제공할 수 있고, 비상상황 등 알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based on care lifelog data by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For example, based on long-term care benefit provision record, care program provision goal and provision record, care program operation record, weekly status observation record, fall risk assessment, pressure sore risk assessment, and care life log data including Korean-style simplified mental status test results An observation site may be provided, and an alarm service such as an emergency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와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및 상기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공유하여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을 통해 비대면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nd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By monitoring and sharing, it is possible to build a non-face-to-face service provision platform through the non-face-to-face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이와 같이 제안하는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해 노인요양 실내외 라이프로그 측정 기능, 노인요양 생체신호 디바이스 기능, 비대면 요양서비스 전용 스마트미디어 어플리케이션 기능, 비대면 상태관찰 서비스 기능 및 비대면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 노인 재가 및 시설 요양 서비스를 실시하는 장기요양기관 및 취약계층 관리 지원 지역 지자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rough the proposed non-face-to-face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indoor and outdoor life log measurement function for elderly care, bio-signal device function for elderly care, smart media application function for non-face-to-face care service, non-face-to-face condition observation service function, and non-face-to-face monitoring By providing services, it is possible to help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long-term care institutions that provide home and institutional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local municipalities that support the management of the vulnerable.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non-face-to-face dementia patient care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안하는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시스템은 분석 모듈(110),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0),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130) 및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140)을 포함한다. The proposed non-face-to-face dementia patient care support system includes an analysis module 110 , a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120 ,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130 and a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140 .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모듈(110)은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111),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112)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113)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여 요양 데이터를 분석한다. The analysis modul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care data through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111 ,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112 and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113 to analyze the care dat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모듈(110)은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111),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112)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113)을 포함한다. The analysis modul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and outdoor lifelog sensor 111 , a biosignal collection device 112 , and a care data collection module 113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111)를 통해 신체기능, 식사기능, 인지기능, 배변기능을 포함하는 환자 기능의 변화 상태를 비대면으로 감지하고, 환자의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라이프로그를 학습할 수 있다. Through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of change in patient function, including physical function, eating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bowel function, is detected non-face-to-face, and the You can learn lifelo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112)를 통해 고혈압 수치, 당뇨 수치, 체온 수치, 맥박 수치, 분당호흡 수치, 체중 수치 및 치매검사수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비대면으로 수집하여 수집된 생체신호를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한 후에 환자의 건강 기저선을 파악할 수 있다. Through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iosignals including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body temperature, pulse, respiration, body weight, and dementia test values are collected and collected non-face-to-face. After analyzing the biosignals obtained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he patient's health baseline can be identif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113)은 낙상 위험도, 욕구 평가, 욕창 위험도, 치매진단 검사를 포함하는 요양서비스 항목에 관한 요양 데이터를 비대면으로 수집할 수 있다.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1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llect care data related to a care service item including a fall risk, a desire evaluation, a pressure sore risk, and a dementia diagnosis test non-face-to-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111),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112)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113)은 블루투스 비콘 프로토콜에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에 관한 추가 데이터를 패킷으로 추가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미디어 어플리케이션(120),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130) 및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14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111,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112, and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1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cket the additional data regard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to the Bluetooth beacon protocol. In additi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 media application 120 ,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130 , and the non-face-to-face medical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140 through Bluetoo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by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의 주간상태관찰, 신체청결, 신체기능, 인지상태, 상처발생, 욕창발생, 관찰의견을 포함하는 요양 데이터에 따라 환자의 기능회복, 인지활동, 신체활동을 위한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0)은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관리 기능, 진도율, 참여횟수, 프로그램 제공일을 포함하는 요양프로그램 정보 제공 기능, 영상 레이아웃 설정 기능, 모임기능, 교육기능, 알림기능을 포함하는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to observe the patient's weekly status, body cleanliness, body functions, cognitive status, wounds, pressure sores, and observation Provides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s for functional recovery, cognitive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of patients according to care data including opinions.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management function for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a progress rate, the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on, a service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including the program provision date, an image layout sett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including a meeting function, an educational function, and a not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130)은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based on care life log data by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130)은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 별 프로파일에 기초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피드백 기능은 환자의 건강 기저선 또는 생활의 변화를 피드백하여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관리한다. 또한, 의료전문인과의 접촉이 필요한 대상자를 선별하여 의료서비스 기관과 연계하도록 관리한다.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eedback function based on a patient-specific profile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the feedback function is a patient's health baseline or Manag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s by feeding back changes in life. In addition, subjects who need contact with medical professionals are selected and managed in connection with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140)은 비대면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와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및 상기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공유한다. The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s,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to build a non-face-to-face service providing platform. It monitors and shares information about the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and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upporting care for a non-face-to-face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안하는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방법은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210),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220),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230) 및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을 통해 비대면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와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및 상기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공유하는 단계(240)를 포함한다. The proposed non-face-to-face care support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care data through an indoor and outdoor lifelog sensor, a biosignal collecting device and a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nd analyzing the care data through an analysis module (210), the collected care Step 220 of providing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through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using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ding service based on care life log data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establish a non-face-to-face service provision platform through the step 230 of providing a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s,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nd monitoring and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provided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nd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240).

단계(210)에서,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분석한다. In step 210, the care data is collected through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nd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nd the care data i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모듈은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포함한다. The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and outdoor lifelog sensor, a biosignal collecting device, and a medical treatment data collecting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를 통해 신체기능, 식사기능, 인지기능, 배변기능을 포함하는 환자 기능의 변화 상태를 비대면으로 감지하고, 환자의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라이프로그를 학습할 수 있다. Through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in patient functions including body functions, eating functions, cognitive functions, and bowel functions are detected non-face-to-face, and lifelogs occurring in the patient's daily life are detected. can lear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를 통해 고혈압 수치, 당뇨 수치, 체온 수치, 맥박 수치, 분당호흡 수치, 체중 수치 및 치매검사수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비대면으로 수집하여 수집된 생체신호를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한 후에 환자의 건강 기저선을 파악할 수 있다. Bio-signals collected by non-face-to-face collection of bio-signals including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body temperature, pulse, minute respiration, weight, and dementia through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nalyzing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he patient's health baseline can be identif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낙상 위험도, 욕구 평가, 욕창 위험도, 치매진단 검사를 포함하는 요양서비스 항목에 관한 요양 데이터를 비대면으로 수집할 수 있다.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llect care data related to a care service item including a fall risk, a desire evaluation, a pressure sore risk, and a dementia diagnosis test non-face-to-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블루투스 비콘 프로토콜에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에 관한 추가 데이터를 패킷으로 추가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 및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nd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 to the Bluetooth beacon protocol as a packet, and the smart media through Bluetooth It can be transmitted to an application,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a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단계(220)에서,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한다. In step 220,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is provided through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의 주간상태관찰, 신체청결, 신체기능, 인지상태, 상처발생, 욕창발생, 관찰의견을 포함하는 요양 데이터에 따라 환자의 기능회복, 인지활동, 신체활동을 위한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0)은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관리 기능, 진도율, 참여횟수, 프로그램 제공일을 포함하는 요양프로그램 정보 제공 기능, 영상 레이아웃 설정 기능, 모임기능, 교육기능, 알림기능을 포함하는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atient's weekly status observation, body cleanliness, body function, cognitive status, wound occurrence, pressure ulcer occurrence, observation opinion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It provides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s for functional recovery, cognitive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treatment data.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management function for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a progress rate, the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on, a service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including the program provision date, an image layout sett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including a meeting function, an educational function, and a notification function.

단계(230)에서,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을 통해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한다. In step 230,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ding service based on care lifelog data is provided through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 별 프로파일에 기초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피드백 기능은 환자의 건강 기저선 또는 생활의 변화를 피드백하여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관리한다. 또한, 의료전문인과의 접촉이 필요한 대상자를 선별하여 의료서비스 기관과 연계하도록 관리한다.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eedback function based on a patient-specific profile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the feedback function is a change in a patient's health baseline or life feedback to manag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s. In addition, subjects who need contact with medical professionals are selected and managed in connection with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단계(240)에서,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을 통해 비대면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와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및 상기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공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치매환자 돌봄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step 240, to build a non-face-to-face service providing platform through the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s,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the care program provided through the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Monitoring and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nd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Hereinafter, a non-face-to-face dementia patient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모듈의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를 통해 환자의 신체기능, 식사기능, 인지기능, 배변기능을 포함하는 환자 기능의 변화 상태를 비대면으로 감지하여, 분석 모듈을 통해 환자의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라이프로그를 학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의 예시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First, through the indoor and outdoor lifelog sensor of the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state of the patient's function including the patient's physical function, eating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bowel function is detected non-face-to-face, and the analysis modul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learn the lifelog that occurs in the patient's daily life. An example of an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거실 모션 센서 및 방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거실에서의 움직임 및 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움직임 및 운동량에 따라 재실상태 낮시간 활동량, 2시간이상 움직임 없으면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and exercise amount in the living room are measured in real time using the living room motion sensor and the room motion sensor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atient, and the amount of activity during the daytime in the occupancy state according to the measured movement and exercise amount; If there is no movement for more than 2 hours,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s can be provided to home and facility ca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식사 기능을 감지하기 위해 식탁의자 가속센서 및 냉장고 문 가속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식탁의자와 냉장고센서의 활동 및 일정 값이 동일시간대 측정되면 식사 중으로 인지하고, 인지된 환자의 식사기능에 따라 식사를 3회 안 했을 경우 등에 대하여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ctivity of the dining table chair and the refrigerator sensor and a predetermined value are measured in the same time period in real time using the dining chair acceleration sensor and the refrigerator door acceleration sensor to detect the patient's eating function, the meal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recognized meal function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such as a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for cases where the patient has not eaten three tim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배변기능을 감지하기 위해 변기 무게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무게의 변화가 있는지 측정하여 화장실 사용 여부를 측정하고, 측정된 화장실사용정보에 따라 하루에 1회 이상 사용, 재실상태에서 하루에 1회이상 발생하지 않을 경우 건강에 대한 문제점 의심 등에 대하여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weight in real time using a toilet weight sensor to detect a patient's defecation function is measured to measure whether or not to use the toilet, and at least once a day according to the measured toilet use information If it does not occur more than once a day during use or occupancy,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for suspected health problems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TV시청을 감지하기 위해 리모컨 가속 센서 및 거실 모션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거실 모션센서가 작동하고 리모컨센서가 때때로 작동하면 TV시청 중으로 인지하고, TV시청정보에 따라 TV시청을 1회/하루 안 했을 경우에 대하여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iving room motion sensor operates in real time using the remote control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iving room motion sensor to detect the patient's TV viewing, and the remote control sensor operates occasionally, it is recognized as TV watching, and th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such as a notification for home or facility care in case of not watching TV once/a da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약 복용을 감지하기 위해 약통가속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전용약통센서의 움직임을 인지하고 인지된 투약정보에 따라 투약예정 시간에 복용하지 않을 시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of the dedicated medicine box sensor is recognized in real time by using the medicine cylinder acceleration sensor to detect the patient's medication intake, and when not taken at the scheduled dosing time according to the recognized dosing information, home and facility car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외출을 감지하기 위해 현관문 개폐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현관문 개폐 이후 실내라이프로그 센싱이 없을 때 외출로 인지하고, 인지된 외출정보에 따라 외출시간이 4시간 이상일 경우에 대하여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no indoor life log sensing afte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door in real time using the front door opening/closing sensor to detect the patient's going out, it is recognized as going out, and the outing time is 4 according to the recognized outing information. In case of over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외부환경을 감지하기 위해 시계형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배회감지, 외부소음, 조도량, 움직임, 미세먼지 등의 외부환경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및 환경정보에 따라 기저선을 넘어설 경우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ch-type device is used to sense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patient in real tim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roaming detection, external noise, illuminance, movement, fine dust, etc. is sensed, and the detected movement and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when the baseline is excee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들의 집에서 발생하는 일반 생활 패턴인 약먹기, 냉장고 문열기, 식사를 위한 의자 당기기, 화장실 문출입, 방문 출입, 출입문 출입 등 일상적인 생활에서 발생하는 라이프로그를 학습하여,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e log that occurs in daily life such as taking medicine,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pulling a chair for a meal, entering and exiting the toilet, entering and exiting the bathroom, which is a general life pattern that occurs at home of patients, By learn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는 배터리로 동작하는 저전력 블루투스 4.0 비콘 신호 기반의 저비용 복합 로그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수명은 2년까지 디자인하고, 부착만 해도 동작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가능한 레디 투 워크(Ready to Work)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기능을 탑재하여 라이프로그센서에서 움직임 감지 시, 블루투스를 통해 게이트웨이 또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움직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일상 생활을 일정 기간 동안 수집 및 학습하여 모니터링 진행 후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생활패턴 변화를 지능형으로 인지하고 피드백할 수 있다.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for collecting car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ow-cost complex log sensor based on a low-power Bluetooth 4.0 beacon signal operated by a battery. For example, the battery life can be designed up to two years, and it can be operated by simply attaching it, so that it can be a Ready to Work method that anyone can use easily. In addition, it is equipped with a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and when motion is detected by the lifelog sensor, mo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a gateway or a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through Bluetooth. In this way, the daily life of the patient can be collected and lear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fter monitoring, changes in life pattern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y can be intelligently recognized and fed ba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는 센서부, 통신부, 필터부, ADC 인터페이스 포트, 전원 회로부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for collecting car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unit, a communication unit, a filter unit, an ADC interface port, a power circuit unit, and a microprocessor processing unit.

상기 센서부의 센서출력은 ADC 인터페이스 포트로 입력되어 MCU에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한다. The sensor output of the sensor unit is input to the ADC interface port to process the signal input from the MCU.

상기 필터부는 신호를 입력 받아 증폭시키고 주요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한다. 필터링된 신호는 MCU ADC 인터페이스 포트로 입력된다. The filter unit receives a signal, amplifies it, and filters it in a main frequency band. The filtered signal is input to the MCU ADC interface port.

상기 ADC 인터페이스 포트는 센서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The ADC interface port converts the sensor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for processing.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처리부는 센서에서 받은 정보를 펌웨어에 의해 디지털 필터링 처리하고, 데이터를 송신 패킷처리한다. 그리고, RF 트랜시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을 수행하며, 센서 기능을 제어한다. The microprocessor processing unit digitally filter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by firmware, and transmits packet data. Then, a protoco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RF transceiver is performed, and a sensor function is controlled.

상기 전원 회로부는 저전력 달성을 위한 센서 운용 절차를 마련하여, 낮은 구동 전압 및 배터리 소모 점등의 기능 수행한다. The power circuit unit provides a sensor operation procedure for achieving low power, and performs a function of lighting a low driving voltage and consuming a batter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모듈의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는 환자의 일상상태 파악을 위해 투약여부, 방문출입, 식탁의자 앉기, 화장실문 출입, 냉장고문열기, 출입문열기 등 일상적인 생활에서 발생하는 라이프로그를 수집하고, 비 정상적 동선에 대한 움직임 등을 분석하여 상태관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of the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daily life, such as whether medication is administered, entering and exiting a door, sitting on a table chair, entering and exiting a bathroom, opening a refrigerator door, or opening a door in order to identify the patient's daily status. This is to provide a condition observation service by collecting lifelogs and analyzing movements for abnormal movement.

기존 실버 대상 홈케어 서비스에서는 고가의 센서 및 게이트웨이를 활용하여 구축비용에 따른 확산에 문제점이 있었다. 상당한 설치 비용과 고가의 센서 장비로 인하여 유지 보수 비용에 따른 문제점도 있었다. Existing home care services for silver use expensive sensors and gateways, and there was a problem in spreading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cost. There was also a problem with the maintenance cost due to the considerable installation cost and expensive sensor equipment.

본 발명에서는 움직임 정도만 인식할 수 있는 저가의 IoT 센서 기기를 활용하여 보급 확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고,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활용하여 배터리로만 동작하며, 부착만 해도 동작하여 누구나 쉽게 설치 및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advantageous for diffusion by utilizing a low-cost IoT sensor device that can recognize only the degree of movement, and it operates only with a battery using low-power Bluetooth technology, and operates only by attaching it, so that anyone can easily install and use it. There is th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일상상태 파악을 위한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에 관한 추가 데이터를 패킷으로 추가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 및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media application and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through Bluetooth by adding additional data about the analysis result and the treatment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ensors for identifying the patient's daily status as a packe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dule and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모듈의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는 환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시계형의 라이프로그센서일 수 있다.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of the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atch-type lifelog sensor that can be easily worn by a patient.

실외에서는 실종예방을 위한 정보, 미세먼지, 날씨 및 외부활동 등의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실내에서는 출입 시 본인확인, 투약여부, 방문출입, 식탁의자 앉기, 화장실문 출입 등의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다양한 요양데이터들을 스마트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 및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에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진료정보 등과 비교분석이 가능하며 이상 예측 시 보호자에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Lifelog data such as information for disappearance prevention, fine dust, weather, and outside activities can be collected outdoors. data can be collected. By transmitting the collected various care data to a smart media application,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a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etc.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signa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310)를 통해 고혈압 수치, 당뇨 수치, 체온 수치, 맥박 수치, 분당호흡 수치, 체중 수치 및 치매검사수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비대면으로 수집하여 수집된 생체신호를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한 후에 환자의 건강 기저선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기저선을 벗어날 경우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바이탈기록지, 상태관찰서비스를 위한 분석데이터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Through the biosignal collecting device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iosignals including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body temperature, pulse, respiration, body weight, and dementia test values are collected and collected non-face-to-face. After analyzing the biosignals obtained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he patient's health baseline can be identified. In addition, when out of the baseline,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s to home and facility care, or to provide analysis data for vital records and condition observation servic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수집된 요양 데이터는 분석 모듈(320)로 전송되어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에 관한 추가 데이터를 패킷으로 추가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 미디어 어플리케이션(330),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340)에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r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the biosignal collecting device, and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may be transmitted to the analysis module 320 and analyzed. In addition, additional data regarding the collected medical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 may be added as a packet and transmitted to the smart media application 330 and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340 through Bluetoo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포함하는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단말의 인터페이스는 저전력 무선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BLE기반 비콘 기능, peripheral role (advertisement) 기능, GATT Server(Generic Attribute Profile) 또는 패킷 형식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interface of the terminal for collecting medical care data including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nd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as a BLE-based beacon function, a peripheral role (advertisement) function, a GATT Server (Generic Attribute Profile), or a packet forma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단말과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 스마트 단말이 주고 받는 데이터는 모두 아래와 같은 패킷형식을 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for collecting care data and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re installed, and all data exchanged by the smart terminal may take the following packet format:

SOP: 0xFASOP: 0xFA

Length: D[1] ~ D[N]의 개수 (N bytes)Length: Number of D[1] ~ D[N] (N bytes)

D[1] ~ D[N]: 실제 전송될 데이터 (4. 데이터 형식 참조)D[1] ~ D[N]: Data to be actually transmitted (refer to 4. Data Format)

SUM: Length ~ D[N]을 모두 더한 값의 하위 1 byteSUM: Lower 1 byte of the sum of Length ~ D[N]

EOP: 0xFC EOP: 0xFC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한 후,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단말로부터 0.5초 이상 응답이 없을 경우는 해당 단말의 전원이 OFF 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실제 작업 시간이 0.5초 이상 소요되는 경우는 종료 시까지 0.5초 미만의 주기로 BUSY([13][01])가 반복 전송됨)For example, after the smartphone transmits data to the terminal,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terminal for collecting medical care data for more than 0.5 second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power of the terminal is turned off (actual working time is 0.5 seconds) If it takes longer, BUSY ([13][01]) is repeatedly transmitted in a cycle of less than 0.5 seconds until the 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지정 블루투스 비콘을 통한 신호(Signal over Bluetooth Beacon Custom)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 비콘을 통한 센서 값(다시 말해, 수집된 요양 데이터) 프로토콜 규격을 설계하여, 일반적인 블루투스 비콘 프로토콜에서 센서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서 값을 추가 데이터 패킷으로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over Bluetooth Beacon Custom transmission protocol may be used. By designing a protocol specification of a sensor value (that is, collected care data) through a Bluetooth beacon, a sensor type can be distinguished from a general Bluetooth beacon protocol. In other words, the sensor value can be added and transmitted as an additional data packet.

이후,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프로토콜을 파싱하여 데이터 저장 및 이후 처리 프로세스 진행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data storage and subsequent process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parsing the protocol in the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이때, 커넥터블 모드(Connectable Mode)와 논-커넥터블 모드(Non-Connectable Mode)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단말에서 논-커넥터블 모드만 지원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a switch between a connectable mode and a non-connectable mode may be performed. In the terminal for collecting care data, only the non-connectable mode is supported.

커넥터블 모드(Connectable Mode)와 논-커넥터블 모드(Non-Connectable Mode)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able Mode and Non-Connectable Mode are as follows:

Figure 112022030007851-pat00001
Figure 112022030007851-pat000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는 건강 및 간호관리를 비대면요양으로 감지할 수 있다. The biosigna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health and nursing management as non-face-to-face ca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는 환자의 진료와 직접 관련된 맥박, 혈당, 혈압, 체온 등을 수집하기 위해 센서를 적용한 u-헬스케어 단말기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체신호 정합 및 건강정보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The biosignal collecting device for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through a u-health care terminal to which a sensor is applied to collect pulse, blood sugar,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etc. directly related to a patient's treatment. . Through this, bio-signal matching and health information monitoring can be performed.

생체신호에 관한 모니터링은 측정된 생체정보를 1차적으로 가공하는 것이므로 의미 있는 신호성분 만을 추출하는 필터링(Filtering) 기술과 의미 있는(Meangingful) 정보로 만들기 위한 가공 기술로 나눌 수 있다. Since monitoring of bio-signals primarily processes measured bio-information, it can be divided into filtering technology that extracts only meaningful signal components and processing technology to make meaningful information.

예를 들어, 심전도 1채널, 체온 1채널, 혈압 1채널, 혈당 1채널의 4채널 신호는 연속된 신호 측정에 이어 10bit ADC 샘플링 이후, S/W 필터를 통한 노이즈 제거, 이동 평균 처리 과정을 거쳐서 프로그램으로 처리하기에 간편한 16bit 데이터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4-channel signals of ECG 1 channel, body temperature 1 channel, blood pressure 1 channel, and blood sugar 1 channel are subjected to continuous signal measurement, 10-bit ADC sampling, noise removal through S/W filter, and moving average processing. Each can be converted into 16-bit data that is easy to process with a program.

생체신호에 관한 건강정보 자동분석은 장시간에 걸쳐 측정된 데이터를 필요로 하며, 건강상태, 생활패턴 등을 나타내는 건강 자료(Wellness Index)를 발굴 및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utomatic analysis of health information on biosignals requires data measur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performs a function of discovering and analyzing health data (Wellness Index) indicating health status and life patter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석 방법은 일정 기간에 축적된 생체신호를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한 후에 개인의 건강 기저선(base line)을 파악한다. The automatic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n individual's health baseline after analyzing the biosignals accumulated over a certain period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본 발명에서는 개인의 건강 기저선을 기존의 방식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적은 분량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자동 파악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lgorithm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ndividual's health baseline based on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bio-signal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는 휴대가 간편하며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고, 교정장비(다시 말해, 전문측정장비) 대비 5% 오차범위 내에서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정보 자동분석의 건강기저선 분석성능을 향상시키고, 환자 별 프로파일에 근거한 피드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ortable biosigna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rtable and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or gateway, and the signal is within a 5% error range compared to calibration equipment (that is, professional measurement equipment). can be obtain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lth baseline analysis performance of automatic health information analysis and provide a feedback function based on the patient profi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은 장시간에 걸쳐 파악된 건강 기저선이나 생활의 변화를 사용자의 행동변화(Behaviour Modification), 경고(Alert) 등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위해 대상 신호처리, 자동진단 및 분석 알고리즘의 최적화를 수행하고, 측정대상 및 측정상황과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기간 축적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할 수 있다. 측정되는 생체신호들을 수집하고, 지능형 분석 모듈에 의하여 우선적으로 의료전문인과의 접촉이 필요한 대상자를 선별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응급한 환자의 경우 응급의료체계와 연계하여 의료서비스 기관으로 후송하거나 의료전문의와의 면담을 주선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process of feeding back a health baseline or a change in life identifi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the user as a behavior modification, an Alert, etc. of the user.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perform optimization of target signal processing, automatic diagnosis and analysis algorithms, and to manage and process long-term accumulated biosignal data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target, measurement situation, and tim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of collecting measured bio-signals and screening subjects who preferentially need contact with a medical professional by means of an intelligent analysis modu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mergency patient, in connection with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it can provide a function of transporting the patient to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or arranging an interview with a medical specialis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4 (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를 통한 라이프로그센싱(410),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요양 데이터(420) 및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되는 생체정보(430)를 이용하여 요양 데이터를 분석(440)하고,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50)을 통해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에 따른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e log sensing 410 through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 the care data 420 collected through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430 collected through the biosignal collecting device It analyzes (440) the care data using the care program, and provides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450 and the analysis resul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시설요양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는 기능회복훈련을 비대면 요양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능회복훈련 제공 기능 및 환자의 상태관찰 기능을 포함하는 비대면 요양프로그램을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원할 수 있다. A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functional recovery training provided through a facility care service through a non-face-to-face care service.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including a function of providing functional recovery training and a function of observing a patient's condition can be supported through a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요양프로그램은 기능회복 프로그램, 인지활동 프로그램, 신체활동 프로그램 및 현재상태 파악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비대면 요양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참여도, 만족도, 수행도, 특이사항을 포함하는 프로그램결과에 따라 비대면 장기요양급여제공 프로그램, 상태관찰기록 프로그램, 식단정보제공 프로그램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non-face-to-face care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 recovery program, a cognitive activity program, a physical activity program, and a program fo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e. Non-face-to-face long-term care benefit provision program, condition observation record program, diet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etc.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program results including participation, satisfaction, performance, and specific matters by performing non-face-to-face care program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어르신 들의 실생활에서 가장 가깝고 익숙하면서 자주 활용하는 전자기기, 예를 들어 TV 등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본기능으로는 회복프로그램 제공 및 상태관찰 등이 있다. 환자의 현황 및 이력 정보, 콘텐츠 관리 기능, 프로그램 진도율, 참여횟수, 프로그램제공일 등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레이아웃을 필요에 따라 설정 가능하며, 마이크 자동볼륨 조절, 마이크 증폭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부가기능으로는 모임기능, 교육기능, 알림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지역행사, 바자회, 경로잔치, 걷기대회, 문화활동 등 지역 내 행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스마트 단말 또는 대형화면 TV를 이용한 비대면 만남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공되는 기능(예를 들어, 회의, 강의, 교육 등)의 활용방식에 맞게 화면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으며, 모임기능 개설 시 목적에 맞게 개설 템플릿을 제공할 수도 있다. 회의 환경에 따른 전체 참석자의 영상 레이아웃 설정, 프레임 수 및 화질(고/중/저)을 설정 할 수도 있다. The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through the closest, familiar, and frequently used electronic device in the real life of the elderly, for example, a TV. Basic functions include recovery program provision and condition observation. It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patient status and history information, content management function, program progress rate, number of participation times, and program delivery date, and can set the image layout as needed, and supports automatic microphone volume control and microphone amplification functions. . Additional functions include a meeting function, an education function, and a notification func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tification service for local events, such as local events, bazaars, senior citizens' feasts, walking contests, and cultural activities. Such a function may provide a non-face-to-face meeting service using a smart terminal or a large-screen TV. A screen layout can be freely created according to the usage method of the provided functions (eg, meeting, lecture, education, etc.), and an opening template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purpose when opening a meeting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video layout setting of all attendees according to the meeting environment, the number of frames and the quality (high/medium/low).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관찰을 위한 관찰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bservation sheet for state obser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상태관찰을 위해 관찰지를 제공하여 환자의 주간 신체청결 관찰상태, 주간 신체기능 유지 및 증진, 체위변경, 욕창발생 및 상처발생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상태관찰을 수행할 수 있다. 상태관찰에 관한 분석 결과에 따라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observation sheet for observation of the patient's condition, the patient's weekly body cleanliness observation state, weekly body function maintenance and enhancement, position change, pressure sores, and wounds are received and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wounds is input to observe the condition. can be don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condition observ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s to home and facility car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를 통한 라이프로그센싱(510),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요양 데이터(520) 및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되는 생체정보(530)를 이용하여 요양 데이터를 분석(540)하고,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550)을 통해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에 따른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e log sensing 510 through the indoor/outdoor life log sensor, the care data 520 collected through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530 collected through the bio-signal collecting device are collected. The treatment data is analyzed (540) using the treatment data, and the treatment data collected through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sion service management module 550 and the care lifelog data-based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sion serv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r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은 비대면 요양서비스를 통하여 수집 및 분석된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수집 및 분석된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관찰지를 제공하여, 비상상황 등에 따른 알람 서비스, 맞춤형 식단정보, 인공지능 종합 분석 후 위험요소 알림, 맞춤형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ized program based on care life log data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non-face-to-face care service, and provides an observation paper based on collected and analyzed care life log data,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alarm service according to emergency situations, etc., customized diet information, risk factor notification after artificial intelligence comprehensive analysis, and customized program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을 통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와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및 상기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공유하여 비대면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provided through a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an indoor/outdoor life log sensor,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nd the rain It is possible to build a non-face-to-face service provision platform by monitoring and sharing information on face-to-face customized status service.

비대면 서비스 제공을 통해 코로나-19와 같은 펜데믹 상황에서도 치매환자의 비대면 돌봄이 가능하도록 요양기관 및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구축한다. By providing non-face-to-face services, we will build a cloud server to manage patients in connection with nursing institutions and specialized institutions to enable non-face-to-face care of dementia patients even in a pandemic situation such as COVID-1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라이프로그를 센서를 통해 노인의 라이프로그를 24시간 실시간 취득하여 현재 방문요양의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또한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확하고 객관성 있는 사용자 맞춤형 정보제공 및 상태관찰 자료를 도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lifelog is acquired 24 hours a day in real time through the sensor to overcome the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of the current visit care, and accurate and objective user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alysis. Customized information provision and condition observation data can be derived.

실버 세대와 같이 장애인 등의 경우에도 공공 서비스로서의 지속적인 관찰과 보호자의 관찰이 요구되므로 라이프 로그 측정 및 상황 인지형태로 적용하여 확장될 수 있다. As in the case of the disabled, such as the silver generation, continuous observation as a public service and observation of guardians are required, so it can be extended by applying life log measurement and situational awareness.

또한, 산업현장에서 수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센서들은 그 자체로 산업 재해 예방이나 안전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산업현장의 안전에 관련된 여러 데이터를 기반하여 안전 예측 및 예방 모델에도 적용하여 확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sensors that can be collected at industrial sites are often important factors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or safety by themselves. can be

또한, 패턴을 수집하는 것은 오프라인에서는 여러 센서를 통해서 가능하지만, 온라인의 경우에는 이전의 구매이력이나 현재의 마우스 트래킹 정보 등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이러한 정보만 입력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기술에서 개발될 학습 및 예측 모델을 쇼핑몰 구매 패턴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a pattern through various sensors offline, but it is also possible through a previous purchase history or current mouse tracking information in the case of online. If only such information can be used as input data, the learning and prediction model to be developed in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shopping mall purchase patter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요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작업으로 입력하고 있는 방문요양서비스의 낙상위험도, 욕구평가, 욕창위험도, 치매진단검사 항목을 비대면요양서비스를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관찰지를 제공할 수 있고, 비상상황 등 알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llect care data for providing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ding service based on care lifelog data.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items of the fall risk, desire evaluation, pressure ulcer risk, and dementia diagnosis test items of the visiting care service that are manually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for the non-face-to-face care service.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ursing life log data-based observation site, and an alarm service such as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provid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valuation input interface for evaluating a fall ri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도 6과 같은 낙상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evaluation input interface for evaluating the risk of falling as shown in FIG. 6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낙상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관찰지를 제공하여 환자의 연령, 정신상태, 배변기능, 낙상경험, 활동기능, 걸음걸이 및 균형, 지난 7일간 약복용이나 계획된 약물 등에 관한 정보를 수치로 입력 받아 낙상위험도 척도를 분석할 수 있다. 낙상위험도에 관한 분석 결과에 따라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observation sheet to evaluate a patient's fall risk, the patient's age, mental state, defecation function, fall experience, activity function, gait and balance, medication or planned medication for the past 7 days, etc. You can analyze the fall risk scale by inputting information about it as a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n the risk of fall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구평가에 관한 평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valuation input interface related to a need eval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도 7과 같은 욕구평가를 위한 평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evaluation input interface for need evaluation as shown in FIG. 7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욕구평가를 위해 관찰지를 제공하여 환자의 생체상태, 질병상태, 인지상태, 의사소통, 영양상태, 가족 및 환경 상태, 자원이용 욕구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observation sheet for the evaluation of the patient's needs, information on the patient's biological status, disease status, cognitive status, communication, nutritional status, family and environmental status, resource use desire, etc. can be input have.

도 7(a)는 환자의 생체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관찰지의 예시이다. Figure 7 (a) is an example of an observation sheet for evaluating the patient's biological state.

환자의 생체상태(다시 말해, 일상 생활 동작 수행능력)를 평가하기 위해 옷벗고 입기, 식사하기, 일어나앉기, 화장실 사용하기, 세수하기, 목욕하기, 옮겨앉기, 대변 조절하기, 양치질 하기, 체위변경하기, 방밖으로 나오기 및 소변조절하기 등의 항목에 대한 관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판단근거를 제시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Taking off clothes, eating, sitting up, using the toilet, washing face, bathing, moving sitting, controlling stool, brushing teeth, changing position to assess the patient's biological status (i.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observation sheets for items such as the following, getting out of the room, and controlling urine.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basis for judgment, and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도 7(b)는 환자의 질병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관찰지의 예시이다. 7 (b) is an example of an observation sheet for evaluating the disease state of a patient.

환자의 질병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내분비, 대사성, 소화기계, 순환기계, 근골격계, 신경계, 정신, 행동장애, 호흡기계, 눈,귀질환, 비뇨,생식기계 및 만성신장질환 등의 항목에 대한 관찰지를 제공할 수 있고, 과거병력 및 현진단명에 기초하여 판단근거를 제시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To evaluate the patient's disease state, we provide observation sheets for items such as endocrine, metabolic, digestive, circulatory, musculoskeletal, nervous, mental, behavioral disorders, respiratory, eye, ear diseases, urinary, reproductive system and chronic kidney disease.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basis for judgment based on the past medical history and current diagnosis, and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도 7(c)는 환자의 인지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관찰지의 예시이다. 7( c ) is an example of an observation sheet for evaluating a patient's cognitive state.

환자의 인지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지남력, 기억력, 주의집중 및 계산, 언어적기능, 판단력, 편집증과 망상, 환각, 배회, 반복적인 활동, 부적절한 활동, 언어폭발, 신체적 공격 또는 폭력행위, 우울, 일반적인 불안 및 혼자 남겨짐에 대한 공포 등의 항목에 대한 관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판단근거를 제시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Orientation, memory, attention and calculation, verbal function, judgment, paranoia and delusions, hallucinations, wandering, repetitive activity, inappropriate activity, verbal outbursts, physical aggression or violence, depression, general Observations can be provided for items such as anxiety and fear of being left alone.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basis for judgment, and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도 7(d)는 환자의 의사소통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관찰지의 예시이다. 7( d ) is an example of an observation sheet for evaluating a patient's communication status.

환자의 질병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청취능력, 의사소통 및 발음능력 등의 항목에 대한 관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판단근거를 제시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patient's disease st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observation sheets for items such as listening ability, communication and pronunciation ability.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basis for judgment, and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도 7(e)는 환자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관찰지의 예시이다. 7(e) is an example of an observation sheet for evaluat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a patient.

환자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치아상태, 식사시 문제점, 식사형태, 도구사용, 배설양상 등의 항목에 대한 관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판단근거를 제시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observation sheets for items such as dental status, problems with eating, meal type, use of tools, and excretion patterns.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basis for judgment, and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도 7(f)는 환자의 가족 및 환경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관찰지의 예시이다.7(f) is an example of an observation sheet for evaluating a patient's family and environmental status.

환자의 가족 및 환경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결혼여부, 자녀수, 주수발자, 주수발자관계 및 주수발자 경제상태 등의 항목에 대한 관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판단근거를 제시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patient's family and environmental status, it is possible to provide observation papers on items such as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principal and principal, principal and principal relationship, and principal and principal economic status.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basis for judgment, and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도 7(g)는 환자의 자원이용 욕구를 평가하기 위한 관찰지의 예시이다.7( g ) is an example of an observation sheet for evaluating a patient's resource use desire.

환자의 자원이용 욕구를 평가하기 위해 종교, 주이용 의료기관 및 지역사회지원 등의 항목에 대한 관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판단근거를 제시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evaluate a patient's resource use needs, observation sheets for items such as religion, main medical institution and community support can be provide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basis for judgment, and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위험도평가를 위한 평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valuation input interface for pressure ulcer risk eval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도 8과 같은 욕창위험도평가를 위한 평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evaluation input interface for pressure ulcer risk evaluation as shown in FIG. 8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욕창위험도평가를 위해 관찰지를 제공하여 환자의 감각인지정도, 습기여부, 활동상태, 움직임, 영양상태 및 마찰력과 응전력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욕창위험도 척도를 분석할 수 있다. 욕창위험도에 관한 분석 결과에 따라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servation sheet is provided to evaluate a patient's pressure ulcer risk, and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sensory perception, moisture, activity state, movement, nutritional state, frictional force and response force, etc. can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n the risk of bedsores,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s to home and facility car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진단검사를 위한 평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valuation input interface for a dementia diagnosis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도 9와 같은 치매진단검사를 위한 평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evaluation input interface for a dementia diagnosis test as shown in FIG. 9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치매진단검사를 위해 관찰지를 제공하여 환자의 지남력, 기억등록, 주의집중 및 계산 기억회상, 언어 및 시공간구성 및 교육정도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간이정신상태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간이정신상태검사에 관한 분석 결과에 따라 재가 및 시설요양으로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mental state test is provided by providing an observation sheet for a patient's dementia diagnostic test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orientation, memory registration, attention and computational memory recall, language, spatiotemporal composition, and education level, etc.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simplified mental state test,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notification to home and facility care.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embodied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5)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여 요양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 및
비대면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와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및 상기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공유하는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모듈은,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를 통해 신체기능, 식사기능, 인지기능, 배변기능을 포함하는 환자 기능의 변화 상태를 비대면으로 감지하고, 환자의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라이프로그를 학습하며,
상기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를 통해 고혈압 수치, 당뇨 수치, 체온 수치, 맥박 수치, 분당호흡 수치, 체중 수치 및 치매검사수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비대면으로 수집하여 수집된 생체신호를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한 후에 환자의 건강 기저선을 파악하며,
상기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낙상 위험도, 욕구 평가, 욕창 위험도, 치매진단 검사를 포함하는 요양서비스 항목에 관한 요양 데이터를 비대면으로 수집하고,
상기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블루투스 비콘 프로토콜에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에 관한 추가 데이터를 패킷으로 추가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 및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는 센서부, 통신부, 필터부, ADC 인터페이스 포트, 전원 회로부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의 센서출력은 ADC 인터페이스 포트로 입력되어 MCU에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필터부는 신호를 입력 받아 증폭시키고 주요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신호는 MCU ADC 인터페이스 포트로 입력되고, 상기 ADC 인터페이스 포트는 센서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처리부는 센서에서 받은 정보를 펌웨어에 의해 디지털 필터링 처리하고, 데이터를 송신 패킷처리하고, RF 트랜시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을 수행하며, 센서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전원 회로부는 저전력 달성을 위한 센서 운용 절차를 마련하여,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활용하여 배터리로만 동작하도록 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비대면 환자 돌봄지원 시스템.
an analysis module that collects care data through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s, bio-signal collection devices, and care data collection modules and analyzes care data;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that provides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that provides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based on care life log data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In order to build a non-face-to-face service provision platform, information on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th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and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sion service Non-face-to-face nursing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that monitors and shares
including,
The analysis module,
Including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s, bio-signal collection devices and medical care data collection modules,
Through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 it detects the change state of patient function including physical function, eating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bowel function non-face-to-face, and learns the life log that occurs in the patient's daily life,
Through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is applied to the collected biosignals by collecting biosignals including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body temperature, pulse, respiration, weight, and dementia test values non-face-to-face. After analysis, the patient's health baseline is identified,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collects care data related to care service items including fall risk, desire evaluation, pressure sore risk, and dementia diagnosis test non-face-to-face,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nd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dd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 to the Bluetooth beacon protocol as a packet to provide the smart media application,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through Bluetooth Transmitted to the provided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 includes a sensor unit, a communication unit, a filter unit, an ADC interface port, a power circuit unit, and a microprocessor processing unit,
The sensor output of the sensor unit is input to the ADC interface port to process the signal input from the MCU, the filter unit receives the signal, amplifies the signal, and filters the main frequency band, and the filtered signal is input to the MCU ADC interface port, and the The ADC interface port converts the sensor unit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for processing, and the microprocessor processing unit digitally filter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by firmware, transmits the data packet,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the RF transceiver. , controls the sensor function, and the power circuit unit prepares a sensor operation procedure for achieving low power, and uses low power Bluetooth technology to operate only with a battery to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patient.
Non-face-to-face patient care support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의 주간상태관찰, 신체청결, 신체기능, 인지상태, 상처발생, 욕창발생, 관찰의견을 포함하는 요양 데이터에 따라 환자의 기능회복, 인지활동, 신체활동을 위한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며,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관리 기능, 진도율, 참여횟수, 프로그램 제공일을 포함하는 요양프로그램 정보 제공 기능, 영상 레이아웃 설정 기능, 모임기능, 교육기능, 알림기능을 포함하는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대면 환자 돌봄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nursing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is,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the patient's functional recovery, cognitive activity, body Provides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s for activities,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including content management function for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treatment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including progress rate,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on, and program delivery date, video layout setting function, meeting function, education function, and notification function provided
Non-face-to-face patient care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 별 프로파일에 기초한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피드백 기능은 환자의 건강 기저선 또는 생활의 변화를 피드백하여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관리하며, 의료전문인과의 접촉이 필요한 대상자를 선별하여 의료서비스 기관과 연계하도록 관리하는
비대면 환자 돌봄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management module,
A feedback function based on a patient-specific profile is performed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the feedback function feeds back a patient's health baseline or changes in life to manage a non-face-to-face customized condition providing service, and It is a management system that selects those who need contact and manages them in connection with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Non-face-to-face patient care support system.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대면 요양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요양라이프로그 데이터 기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을 통해 비대면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와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요양프로그램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및 상기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모듈을 통해 요양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모듈은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을 포함함-,
상기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를 통해 신체기능, 식사기능, 인지기능, 배변기능을 포함하는 환자 기능의 변화 상태를 비대면으로 감지하고, 환자의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라이프로그를 학습하며,
상기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를 통해 고혈압 수치, 당뇨 수치, 체온 수치, 맥박 수치, 분당호흡 수치, 체중 수치 및 치매검사수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비대면으로 수집하여 수집된 생체신호를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한 후에 환자의 건강 기저선을 파악하며,
상기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낙상 위험도, 욕구 평가, 욕창 위험도, 치매진단 검사를 포함하는 요양서비스 항목에 관한 요양 데이터를 비대면으로 수집하고,
상기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 생체신호 수집 디바이스 및 요양 데이터 수집모듈은 블루투스 비콘 프로토콜에 상기 수집된 요양 데이터 및 분석 결과에 관한 추가 데이터를 패킷으로 추가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비대면 맞춤형 상태 제공 서비스 관리 모듈 및 비대면 요양기관 전송 및 관리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실내외의 라이프로그센서는 센서부, 통신부, 필터부, ADC 인터페이스 포트, 전원 회로부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의 센서출력은 ADC 인터페이스 포트로 입력되어 MCU에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필터부는 신호를 입력 받아 증폭시키고 주요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신호는 MCU ADC 인터페이스 포트로 입력되고, 상기 ADC 인터페이스 포트는 센서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처리부는 센서에서 받은 정보를 펌웨어에 의해 디지털 필터링 처리하고, 데이터를 송신 패킷처리하고, RF 트랜시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을 수행하며, 센서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전원 회로부는 저전력 달성을 위한 센서 운용 절차를 마련하여,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활용하여 배터리로만 동작하도록 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비대면 환자 돌봄지원 방법.
Analyzing the care data through the analysis module by collecting the care data through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 a bio-signal collecting device, and a treatment data collection module;
providing a non-face-to-face care program service through a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providing a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providing service based on care life log data using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In order to build a non-face-to-face service provision platform through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provided through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s,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s, and care program smart media service application; Monitoring and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us providing service
including,
The step of collecting care data through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nd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nd analyzing the care data through the analysis module includes: -The analysis module includes an indoor and outdoor lifelog sensor, a biosignal collecting device and Includes a nursing data collection module-,
Through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 it detects the change state of patient function including physical function, eating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bowel function non-face-to-face, and learns the life log that occurs in the patient's daily life,
Through the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is applied to the collected biosignals by collecting biosignals including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body temperature, pulse, respiration, weight, and dementia test values non-face-to-face. After analysis, the patient's health baseline is identified,
The care data collection module collects care data related to care service items including fall risk, desire evaluation, pressure sore risk, and dementia diagnosis test non-face-to-face,
The indoor/outdoor lifelog sensor, biosignal collection device, and care data collection module add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collected care data and analysis result to the Bluetooth beacon protocol as a packet to provide the smart media application, non-face-to-face customized state through Bluetooth Transmitted to the provided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non-face-to-face care institution transmission and management module,
The indoor and outdoor life log sensor includes a sensor unit, a communication unit, a filter unit, an ADC interface port, a power circuit unit, and a microprocessor processing unit,
The sensor output of the sensor unit is input to the ADC interface port to process the signal input from the MCU, the filter unit receives the signal, amplifies the signal, and filters the main frequency band, and the filtered signal is input to the MCU ADC interface port, and the The ADC interface port converts the sensor unit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for processing, and the microprocessor processing unit digitally filter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by firmware, transmits the data packet,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the RF transceiver. , controls the sensor function, and the power circuit unit prepares a sensor operation procedure for achieving low power, and uses low power Bluetooth technology to operate only with a battery to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patient.
Non-face-to-face patient care support method.
KR1020220034560A 2022-03-21 2022-03-21 Untact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KR102464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560A KR102464727B1 (en) 2022-03-21 2022-03-21 Untact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560A KR102464727B1 (en) 2022-03-21 2022-03-21 Untact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727B1 true KR102464727B1 (en) 2022-11-09

Family

ID=8404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560A KR102464727B1 (en) 2022-03-21 2022-03-21 Untact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72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519A (en) * 2007-12-27 2009-07-0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serving health managemen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101952705B1 (en) * 2018-09-05 2019-02-27 에이치아이엘(주) Dementia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lleviation of dementia care
KR102062544B1 (en) 2019-04-26 2020-01-06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Bio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KR20200056864A (en) * 2018-11-15 2020-05-25 웰니스인텔리전스(주) Method for providing home care service for people with dementia using home care platform
KR20210086066A (en) * 2019-12-31 2021-07-08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24hrs lifelog caring system for monitoring, detecting, big data analysing and alerting for person to be cared and a method for the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519A (en) * 2007-12-27 2009-07-0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serving health managemen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101952705B1 (en) * 2018-09-05 2019-02-27 에이치아이엘(주) Dementia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lleviation of dementia care
KR20200056864A (en) * 2018-11-15 2020-05-25 웰니스인텔리전스(주) Method for providing home care service for people with dementia using home care platform
KR102062544B1 (en) 2019-04-26 2020-01-06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Bio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KR20210086066A (en) * 2019-12-31 2021-07-08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24hrs lifelog caring system for monitoring, detecting, big data analysing and alerting for person to be cared and a method for th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63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ly determining levels of healthcare interventions
AU2021203511A1 (en) Activity capability monitoring
Lv et al. iCare: a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KR1024398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dementia patient
KR100813166B1 (en)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
CN109843173B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a person
CN108348163A (en) System and method designed for the mobile platform that digital health management and remote patient monitoring are supported
US20060183980A1 (en) Mental and physical health status monitoring, analyze and automatic follow up methods and its application on clothing
EP2574953A1 (en) Method for providing remote health monitoring data and associated system
CN101954143A (en) Improve the dormancy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of human or animal's sleep of care-giver's treatment
CN103300819A (en) Learning patient monitoring and intervention system
US1046327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ng patients in a facility
Bal et al. Collaborative smart home technologies for senior independent living: a review
KR20060084916A (en) Telehealthcare system and service using an intelligent mobile robot
CN112386224A (en) Sleep health management system
CN108852305A (en) A kind of old solitary people is lying when sleeping health status method of real-time
KR102464727B1 (en) Untact 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CN205451067U (en) Health detection of family and system of diagnosing
EP2581847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individuals in a health care system
US202400087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Health Conditions
TWI776284B (en) Home long-term intelligent care system and method
Ariani et al. The development of cyber-physical system in health care industry
Biswas et al. Design and trial deployment of a practical sleep activity pattern monitoring system
Krupinski Telemedicine for home health and the new patient: when do we really need to go to the hospital?
WO20191566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ng patients in a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