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282B1 -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282B1
KR102461282B1 KR1020210094203A KR20210094203A KR102461282B1 KR 102461282 B1 KR102461282 B1 KR 102461282B1 KR 1020210094203 A KR1020210094203 A KR 1020210094203A KR 20210094203 A KR20210094203 A KR 20210094203A KR 102461282 B1 KR102461282 B1 KR 102461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ck
collision
passenger car
groun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준
Original Assignee
대경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경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6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truck collisions, e.g. bumpers; Arrangements on high-riding vehicles, e.g. lorries, for preventing vehicles or objects from running thereu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화물차의 후미에 설치되며, 화물차에 대한 승용차의 추돌 시 충격을 감쇠함과 아울러 충격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댐퍼와; 센싱댐퍼와 접속되며 센싱댐퍼로부터의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접속되고 추돌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사실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싱댐퍼와 화물차의 후륜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화물차 차체와 지면에 동시 지지된 상태로, 승용차가 적재함 하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진입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는, 화물차에 대한 승용차의 추돌시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승용차의 언더라이드를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추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추돌 사고 발생 시, 소방서나 경찰서 등의 관제센터에 자동으로 사고 신고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Shock mitigation device for rear-end collision for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의 후미에 장착되는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에 대한 세단형 승용차의 추돌시 승용차의 언더라이드를 방지하여 인명 사고를 최소화 하는,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도로는 물론 고속도로에서의 차량 간의 충돌이나 추돌은, 차량 탑승자의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과 같은 참혹한 인명피해를 야기한다. 이러한 차량 간의 사고는, 운전미숙, 도로상황, 과속이나 급정거 등의 난폭운전, 시야불량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한다.
특히, 화물차에 대한 세단형 승용차(이하, 승용차라고 함)의 추돌은, 승용차의 언더라이드를 발생하여, 승용차의 운전자나 동승자를 거의 사망에 이르게 까지 한다. 언더라이드는, 추돌 시, 승용차가 차량 적재함의 하부로 밀고 들어가는 현상이다.
도 1은 세단형 승용차(16)가 화물차(10)를 추돌하기 직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차(10) 적재함(12)의 하단부 높이가 승용차(16)의 보닛 높이와 비슷하다. 승용차(16)의 언더라이드시, 승용차 운전자가 적재함(12)에 부딪힐 수밖에 없는 것이다. 언더라이드를 방지하기 위해 적재함의 하부의 차체(13)에 후방댐퍼(14)가 장착되기는 하지만, 후방댐퍼(14)는 승용차(16)의 언더라이드를 효과적으로 막지 못한다. 후방댐퍼(14)가 승용차의 힘에 의해 밀려 꺾이거나 절단되기 때문이다.
승용차의 추돌 시 언더라이드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충격 완화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62515호 (차량의 언더라이드 발생 방지구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화물차에 대한 승용차의 추돌시 자동 작동하여 승용차의 언더라이드를 차단하고, 외부의 관제센터에 자동으로 사고 신고를 수행할 수 있는,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는, 화물차의 후미에 설치되며, 화물차에 대한 승용차의 추돌 시 충격을 감쇠함과 아울러 충격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댐퍼와; 센싱댐퍼와 접속되며 센싱댐퍼로부터의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접속되고 추돌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사실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싱댐퍼와 화물차의 후륜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화물차 차체와 지면에 동시 지지된 상태로, 승용차가 적재함 하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진입차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댐퍼는; 수평으로 연장된 센터빔과, 센터빔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양단연장바와, 센터빔과 양단연장바 사이에 설치되며 추돌에 의해 양단연장바가 꺾이거나 부러질 때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충격센서와, 센터빔과 차체를 연결하는 차체연결빔과, 차체연결빔에 장착되고 추돌에 의해 차체연결빔이 꺾이거나 부러질 때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충격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진입차단부는; 적재함의 하부에 장착되고 하부로 개방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케이스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고, 외력에 의해 파열 가능한 상측파열판과, 케이스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하부공간을 밀폐하고, 외력에 의해 파열 가능한 하측파열판과, 상기 상부공간에 내장되고 컨트롤러에 의해 동작하여 상측파열판을 파열시키며 케이스 하부로 팽창하여 팽창력을 출력하는 에어백모듈과, 지지샤프트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에어백모듈의 팽창력을 받아 지지샤프트를 회전축으로 삼아 하향 회전하여 전개되며, 하단부가 지면에 박혀 고정된 상태로 승용차와 부딪혀 승용차를 정지시키는 전개형차단기를 갖는다.
그리고, 전개형차단기는;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인장스트립이 내장된 차단플레이트와,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자유단부에 지지핀을 통해 링크되는 것으로서,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차단플레이트의 하향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펼쳐지며 지면에 도달한 순간 지면에 박혀 고정된 상태로 차단플레이트가 승용차에 밀리는 것을 막는 다수의 크로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크로우는; 지지핀이 끼워지는 핀관통공을 가지고, 지면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용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지면에 박혀 버팀력을 제공하는 톱니판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는, 화물차에 대한 승용차의 추돌시 자동으로 작동하여, 승용차의 언더라이드를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추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추돌 사고 발생 시, 소방서나 경찰서 등의 관제센터에 자동으로 사고 신고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세단형 승용차가 화물차를 추돌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화물차의 뒷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1차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장치에 포함되는 전개형차단기를 따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에서의 컨트롤러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크로우의 변형 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화물차의 뒷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1차댐퍼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화장치에 포함되는 전개형차단기를 따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30)는, 센싱댐퍼(40), 컨트롤러(55), 통신부(57), 진입차단부(50)를 포함한다.
센싱댐퍼(40)는, 화물차(10)의 후미에 위치하며, 화물차에 대한 승용차의 추돌 시, 충격을 일차적으로 감쇠함과 아울러 충격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승용차는 센싱댐퍼(40)와 부딪혀 속도가 줄어들고, 줄어든 속도로 진입차단부(50)에 부딪힌다.
센싱댐퍼(40)는, 가로대(41), 제1충격센서(45), 차체연결빔(43), 제2충격센서(46)로 구성된다. 센싱댐퍼(40)는, 일반적인 후방댐퍼의 역할과, 추돌 시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의 역할을 겸한다.
가로대(41)는, 차체연결빔(43)을 통해 차체(13)에 고정되는 수평부재로서 센터빔(41a)과 양단연장바(41b)로 이루어진다. 양단연장바(41b)는 제1충격센서(45)를 사이에 두고 센터빔(41a)의 양단부에 고정된다.
제1충격센서(45)는 센터빔(41a)과 양단연장바(41b)의 사이에 설치되고, 추돌에 의해 양단연장바(41b)가 꺾이거나 부러질 때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가령, 승용차가 양단연장바(41b)와 부딪혀, 양단연장바(41b)가 센터빔(41a)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아니면 변형될 때,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발생된 신호는 컨트롤러(55)로 바로 전송된다.
차체연결빔(43)은 센터빔(41a)을 차체(13)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대략 중앙부에 제2충격센서(46)을 갖는다. 제2충격센서(46)는, 추돌에 의해 차체연결빔(43)이 꺾이거나 부러질 때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제2충격센서(46)가 출력한 신호도 컨트롤러(55)로 즉각 전달된다.
센싱댐퍼(40)에 대한 충격 부위에 따라, 제1충격센서(45)와 제2충격센서(46)가 모두 작동하거나, 둘 중 하나만 작동할 수 있다.
컨트롤러(55)는, 센싱댐퍼의 제1,2충격센서(45,46)와 접속되며, 제1,2충격센서(45,46)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진입차단부(50)와 통신부(57)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통신부(57)는, 추돌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사실을 외부로 전송한다. 가령, 화물차의 운전자나 관리자, 외부 관제센터(경찰서나 소방서) 또는 보험사로 연락을 하는 것이다. 가령, 새벽에, 인적이 없는 갓길에 주차된 화물차를, 승용차가 추돌하고, 승용차 운전자가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신고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통신부(57)의 동작에 의해 운전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고, 또한 화물차의 운전자도 본인 차량의 사고를 바로 알 수 있다.
진입차단부(50)는, 센싱댐퍼(40)와 화물차의 후륜(11) 사이에 설치되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하여, 승용차가 적재함(12) 하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다. 즉, 승용차의 언더라이드를 방지하는 것이다. 진입차단부(50)는 적재함(12) 하부의 좌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좌우측 진입차단부(50)의 구조는 동일한다.
진입차단부(50)는, 케이스(51), 상측파열판(51a), 하측파열판(51d), 에어백모듈(53), 전개형차단기(60)로 구성된다.
케이스(51)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사각 틀로서, 상측파열판(51a)과 하측파열판(51d)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상부공간(51b)과 하부공간(51e)을 갖는다.
상측파열판(51a)은 케이스(51)의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된 시트형 부재로서, 케이스 내부공간을 상부공간(51b)과 하부공간(51e)으로 구획한다. 상측파열판(51a)은 에어백모듈(53)의 팽창시 팽창력을 받아 찢어지거나 갈라져 터진다. 상측파열판(51a)으로서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하측파열판(51d)은 케이스(51)의 하단부에 고정된 시트형 부재이다. 하측파열판(51d)은 하부공간(51e)을 밀폐한다. 하측파열판(51d)은 상측파열판(51a)과 동일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지며, 전개형차단기(60)의 전개 시 찢어지거나 갈라져 터진다. 평상시 하측파열판(51d)은 하부공간(51e)을 밀폐하여 전개형차단기(60)를 보호한다.
에어백모듈(53)은 상부공간(51b)에 내장되고 컨트롤러에 의해 동작하여 팽창한다. 팽창하는 에어백모듈(53)은 상측파열판(51a)을 파열시킨 후, 전개형차단기(60)를 도 6의 화살표 e방향으로 강하게 회전시킨다.
전개형차단기(60)는 하부공간(51e)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공간(51e) 내에서 지지샤프트(63a)로 지지된다. 지지샤프트(63a)를 회전중심축으로 삼아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전개형차단기(60)는, 에어백모듈(53)의 팽창력을 전달 받아 화살표 e 방향으로 하향 회전하여 전개되고, 하단부(자유단부)가 지면에 박혀 고정된 상태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용차(16)와 부딪혀 승용차를 정지시키는 기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개형차단기(60)는 도 5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형차단기(60)는, 차단플레이트(61)와 세 개의 크로우(65)를 구비한다.
차단플레이트(61)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인장스트립(67)을 내장한다. 인장스트립(67)은 섬유로 만들어진 고인장용 띠로서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차단플레이트(61)는 인장스트립(67)의 작용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다. 차단플레이트(61)는 엔지니어링프라스틱으로 성형 제작하거나, 다수의 얇은 강철판을 겹쳐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플레이트(61)의 상단부에는 샤프트구멍(61a)이, 하단부에는 하부핀구멍(61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구멍(61a)과 하부핀구멍(61c)은 상호 평행하다. 또한 샤프트구멍(61a)에는 지지샤프트(63a)가 끼워지고, 하부핀구멍(61c)에는 지지핀(63b)이 삽입된다. 지지샤프트(63a)의 양단부는 차체(13)에 견고히 고정되며 차단플레이트(6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차단플레이트(61)의 하단부에는 세 개의 장착홈(61e)이 더 마련되어 있다. 장착홈(61e)은 지지핀(63b)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크로우(65)의 일부를 수용한다. 하부핀구멍(61c)에 삽입되는 지지핀(63b)은 각 장착홈(61e)을 가로지른다.
크로우(65)는 마치 발톱의 형상을 취하는 부재로서, 일측부에 핀관통공(65b)을 갖는다. 핀관통공(65b)은 지지핀(63b)을 수용하는 홈이다. 장착홈(61e)에 크로우(65)의 핀관통공(65b)을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핀구멍(61c)으로 지지핀(63b)을 삽입하면 차단플레이트(61)에 대한 크로우(65)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크로우(65)는 지지핀(63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크로우(65)에서 지면에 닿는 부분에는 톱니부(65c)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부(65c)는 지면에 박힌 상태로 크로우(65)가 화살표 f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크로우(65)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혀 차단플레이트(61)에 겹쳐져 있다. 하지만 차단플레이트(61)가 화살표 e방향으로 펼쳐지는 동안 가해진 원심력에 의해 펼쳐져 도 7과 같이 지면에 닿는다.
도 2의 도면부호 51f는 전개형차단기(60)를 받쳐 지지하는 걸림부재이다. 걸림부재(51f)는 전개형차단기(60)가 전개될 때 차단플레이트(61)에 밀려 부러진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30)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컨트롤러(55)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승용차(16)가 화물차(10)의 후미를 추돌하여 차체연결빔(43)이 절단된 순간의 모습이다. 제2충격센서(46)는 차체연결빔(43)이 절단될 때 충격신호를 발생하여 컨트롤러(55)로 전달한다. 컨트롤러(55)는 제2충격센서(46)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순간 에어백모듈(53)을 동작시킨다.
에어백모듈(53)이 폭발함에 따라 상측파열판(51a)이 찢어지고 이어서 차단플레이트(61)가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한다. 차단플레이트(61)가 하향 회전하는 동안, 원심력에 의해 크로우(65)는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침내 크로우(65)가 지면에 부딪히면 차단플레이트(61)와 크로우(65)의 회전이 멈춘다. 이 때 크로우(65)의 톱니부(65c)는 지면에 부딪히는 힘에 의해 지면에 박혀 미끄러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승용차(16)가 밀고 들어와 차단플레이트(61)와 충돌하면 차단플레이트(61)가 화살표 k방향으로 회전하고, 크로우(65)는, 지지핀(63b)에 의해, 말하자면 일으켜 세워진다. 지지샤프트(63a)가 화살표 m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샤프트(63a)는 차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승용차(16)의 충돌에너지는 화물차(10)를 들어 올리는 힘으로 거의 다 소모되므로, 승용차(16)의 언더라이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크로우(65)의 변형 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크로우(65)에 공간부(65e)가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간부(65e)는, 크로우(65)가 지면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 즉 화살표 p방향으로 올라오는 충격에너지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공간부(65e)를 적용함으로써 크로우(65)가 탄성 변형 가능해지고,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크로우(65)의 저면에는 다수의 톱니판(65d)이 고정볼트(65k)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틉니판(65d)은 지면에 대한 크로우(65)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교체 가능하다. 이를테면 톱니판(65d)이 마모되었을 경우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화물차 11:후륜 12:적재함
13:차체 14:후방댐퍼 16:승용차
30:충격완화장치 40:센싱댐퍼 41:가로대
41a:센터빔 41b:양단연장바 43:차체연결빔
45:제1충격센서 46:제2충격센서 50:진입차단부
51:케이스 51a:상측파열판 51b:상부공간
51d:하측파열판 51e:하부공간 51f:걸림부재
53:에어백모듈 55:컨트롤러 57:통신부
60:전개형차단기 61:차단플레이트 61a:샤프트구멍
61c:하부핀구멍 61e:장착홈 63a:지지샤프트
63b:지지핀 65:크로우 65b:핀관통공
65c:톱니부 65d:톱니판 65e:공간부
65k:고정볼트 67:인장스트립

Claims (4)

  1. 삭제
  2. 화물차의 후미에 설치되며, 화물차에 대한 승용차의 추돌 시 충격을 감쇠함과 아울러 충격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댐퍼와; 센싱댐퍼와 접속되며 센싱댐퍼로부터의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접속되고 추돌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사실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싱댐퍼와 화물차의 후륜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화물차 차체와 지면에 동시 지지된 상태로, 승용차가 적재함 하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진입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댐퍼는; 수평으로 연장된 센터빔과, 센터빔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양단연장바와, 센터빔과 양단연장바 사이에 설치되며 추돌에 의해 양단연장바가 꺾이거나 부러질 때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충격센서와, 센터빔과 차체를 연결하는 차체연결빔과, 차체연결빔에 장착되고 추돌에 의해 차체연결빔이 꺾이거나 부러질 때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충격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진입차단부는; 적재함의 하부에 장착되고 하부로 개방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케이스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고, 외력에 의해 파열 가능한 상측파열판과, 케이스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하부공간을 밀폐하고, 외력에 의해 파열 가능한 하측파열판과, 상기 상부공간에 내장되고 컨트롤러에 의해 동작하여 상측파열판을 파열시키며 케이스 하부로 팽창하여 팽창력을 출력하는 에어백모듈과, 지지샤프트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에어백모듈의 팽창력을 받아 지지샤프트를 회전축으로 삼아 하향 회전하여 전개되며, 하단부가 지면에 박혀 고정된 상태로 승용차와 부딪혀 승용차를 정지시키는 전개형차단기를 갖는,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개형차단기는;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인장스트립이 내장된 차단플레이트와,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자유단부에 지지핀을 통해 링크되는 것으로서,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차단플레이트의 하향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펼쳐지며 지면에 도달한 순간 지면에 박혀 고정된 상태로 차단플레이트가 승용차에 밀리는 것을 막는 다수의 크로우를 포함하는,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우는;
    지지핀이 끼워지는 핀관통공을 가지고, 지면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용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지면에 박혀 버팀력을 제공하는 톱니판을 구비하는,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
KR1020210094203A 2021-07-19 2021-07-19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 KR102461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203A KR102461282B1 (ko) 2021-07-19 2021-07-19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203A KR102461282B1 (ko) 2021-07-19 2021-07-19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282B1 true KR102461282B1 (ko) 2022-11-10

Family

ID=8410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203A KR102461282B1 (ko) 2021-07-19 2021-07-19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2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186B1 (ko) * 1995-11-27 2000-08-01 정몽규 후부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37246A (ja) * 2006-08-04 2008-02-21 Toyota Motor Corp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63291A (ko) * 2012-11-16 2014-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중대형 상용차량의 후방충돌 피해 저감장치 및 방법
KR101536872B1 (ko) * 2014-10-01 2015-07-14 김영수 사고 감지 자동차 범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62515B1 (ko) 2011-10-05 2016-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언더라이드 발생 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186B1 (ko) * 1995-11-27 2000-08-01 정몽규 후부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37246A (ja) * 2006-08-04 2008-02-21 Toyota Motor Corp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101662515B1 (ko) 2011-10-05 2016-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언더라이드 발생 방지구조
KR20140063291A (ko) * 2012-11-16 2014-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중대형 상용차량의 후방충돌 피해 저감장치 및 방법
KR101536872B1 (ko) * 2014-10-01 2015-07-14 김영수 사고 감지 자동차 범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124B2 (en) Frontal airbag systems for oblique crash protection
US8235432B2 (en) Supplemental side impact protect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7481453B2 (en) Inflator system
EP1874590B1 (en) Protection means for road vehicles
US7744122B2 (en) Driver side aspirated airbags
US7832762B2 (en) Vehicular bus including crash sensor or occupant protection system control module
US20190241141A1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20230158983A1 (en) System for the expansion of motor vehicle parts for impact absorption in the event of imminent collision
KR102461282B1 (ko) 화물차용 후방추돌 충격 완화장치
CN202429163U (zh) 一种汽车侧面碰撞乘员保护***
US7721837B1 (en) Tethered separable occupational safety cage for transportation vehicles
JP3127683B2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102565345B1 (ko) 차량용 전방에어백
KR20150145118A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CN105922963A (zh) 一种汽车侧面防撞缓冲装置
KR20000011552A (ko) 차량용안전섀시
Yaniv et al. Rollover ejection mitigation using an inflatable tubular structure (ITS)
CN205706576U (zh) 一种汽车安全气囊
CN202863350U (zh) 一种安全防护装置
RU2709202C2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пассажиров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Kiuchi et al. Air Bag System for Side Impact Occupant Protection 916020
TR2021021718A2 (tr) Kamyonlara arkadan çarpan otomobi̇llerdeki̇ can kaybinin azaltilmasini sağlayacak elektro-mekani̇k çözüm öneri̇si̇
KR100778420B1 (ko) 차체 에어백 시스템
KR20240077969A (ko) 트램용 보행자 보호장치, 트램용 보행자 보호시스템, 및 트램용 보행자 보호방법
KR100201548B1 (ko) 에어백 팽창시의 내부압력 감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