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434B1 -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434B1
KR102459434B1 KR1020200093966A KR20200093966A KR102459434B1 KR 102459434 B1 KR102459434 B1 KR 102459434B1 KR 1020200093966 A KR1020200093966 A KR 1020200093966A KR 20200093966 A KR20200093966 A KR 20200093966A KR 102459434 B1 KR102459434 B1 KR 10245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ireungchae
muscle atrophy
muscle
indigo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187A (ko
Inventor
석영미
소재현
김효정
강윤환
김진수
유재명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약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to KR1020200093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434B1/ko
Priority to CN202110711194.6A priority patent/CN113995133A/zh
Publication of KR2022001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유비퀴틴 리가아제인 Atrogin1 및 MuRF1의 과발현을 억제하고, 근위축조절인자 Forkhead box(FOX) 0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근위축 개선에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근육조직 생성 억제에 관여하는 마이오스타틴(myostatin)을 억제하고 마이오스타틴의 억제제인 폴리스타틴(follistatin)의 증가를 통해 근육 강화를 시키고 근관(myotube)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히스톤탈아세틸화 효소(Histone deacetylases, HDACs)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기존에 근위축 개선과 근육 강화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사믹산(suberoylanilide hydroxamic acid, SAHA, HDAC 억제제), 우르솔산(ursolic acid), 모노 크레아틴(creatine monohydrate)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ment, prevention or treatment in muscular atrophy comprising extracts of Potentilla chinensis or Indigo}
본 발명은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위축(muscle atrophy)은 근세포의 크기가 저하되어, 근육의 근원섬유 숫자가 감소하여 골격근 질량이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골격근은 체중의 40%를 차지하며, 골격근의 단백분해가 증가되고 단백합성이 감소하여 근위축이 초래된다. 또한, 근위축에 의한 근육량과 근력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현상을 근감소증이라고 한다. 근위축은 활동저하(inactivity), 탈신경(denervation), 노화 및 스테로이드 남용으로 인해 유발된다.
스테로이드호르몬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며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는 면역반응의 조절, 포도당, 지방, 항염증 반응의 조절 등에 관여하지만, 장기간 투여하면 근질량이 감소되는 근위축과 당뇨병 등의 부작용이 유발된다. 스테로이드 투여 후 속근섬유(fast-twitch muscle fiber)로 이루어진 type Ⅱ 근육은 선택적으로 영향을 받아서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근지구력의 변화보다도 최대 근력을 발생시키는 능력을 소실하게 된다.
노화나 스테로이드호르몬에 의한 근위축과 근감소증을 계속 방치할 경우 근육량이 최대 60%까지 줄고 근육의 기능도 현저히 잃을 수 있으며, 근육량이 줄어들면 기초대사량 자체가 줄어들기 때문에 혈중 포도당이 상승하게 되면서 당뇨 발병률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골절과 낙상, 우울증, 비만, 장애, 나아가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근위축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연구와,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1713호 (등록일자:2016.10.27)에는, 닥나무 유래 플라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위축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내복조성물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이용하여 근위축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 의약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 의약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유비퀴틴 리가아제인 Atrogin1 및 MuRF1의 과발현을 억제하고, 근위축조절인자 Forkhead box(FOX) 0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근위축 개선에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근육조직 생성 억제에 관여하는 마이오스타틴(myostatin)을 억제하고 마이오스타틴의 억제제인 폴리스타틴(follistatin)의 증가를 통해 근육 강화를 시키고 근관(myotube)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히스톤탈아세틸화 효소(Histone deacetylases, HDACs)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기존에 근위축 개선과 근육 강화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사믹산(suberoylanilide hydroxamic acid, SAHA, HDAC 억제제), 우르솔산(ursolic acid), 모노 크레아틴(creatine monohydrate)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e)의 근위축 전사인자 FOX0 및 유비퀴틴 리가아제(MuRF1, Atrogin1)와의 작용에 따른 근위축 발생 기전에 대해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이 분화시킨 근육세포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후 근위축 인자(FOXO3A, FOXO1,MuRF1, atrogin-1)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이 분화시킨 근육세포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후 근육 생성 관련 인자(마이오스타틴(myostatin), 폴리스타틴(follistatin))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이 분화시킨 근육세포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후 근위축 인자(FOXO3A, FOXO1, MuRF1, atrogin-1)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이 분화시킨 근육세포에서 근위축 인자(FOXO3A, FOXO1, MuRF1, atrogin-1)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이 분화시킨 근육세포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후 근관의 직경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현미경 관찰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이 분화시킨 근육세포에서 FOXO3a, MuRF1과 Atrogin1의 프로모터에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 GR), FOXO3a와 RNA polymerase Ⅱ(Pol Ⅱ)의 결합력을 조사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히스톤탈아세틸화효소(Histone deacetylases, HDACs)의 활성기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이 분화시킨 근육세포에서 HDAC(Histone deacetylases, 히스톤탈아세틸화효소) 6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그래프이다.
근위축(muscle atrophy)은 근세포의 크기가 저하되어, 근육의 근원섬유 숫자가 감소하여 골격근 질량이 줄어드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유발하는 원인은 금식, 활동저하(inactivity), 탈신경(denervation), 노화 및 스테로이드 남용이 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며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는 면역반응 조절, 포도당, 지방, 함염증 반응 조절 등에 관여하지만, 장기간 투여하면 근위축, 당뇨병 등의 부작용이 유발된다.
글루티코르티코이드 수용체(GR)가 활성화되면 FOX0(Forknead box 0)가 근위축 전사인자로 작용하며, MuRF1과 Atrogin1은 근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비퀴틴 리가아제(ubiquitin ligase)로 작용하게 된다. 이들의 발현이 증가되면 근육 단백질들이 유비퀴틴화(ubiquitination)되고 프로테아좀(proteasome)이 의존적으로 분해되어 근손실이 유발된다. 관련 기작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냈다.
노화나 스테로이드호르몬에 의한 근위축과 근감소증을 계속 방치할 경우 근육량이 최대 60%까지 줄고 근육의 기능도 현저히 잃을 수 있으며, 골절과 낙상, 우울증, 비만, 장애, 나아가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에 근위축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연구와,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근위축 개선과 근육 강화를 위해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사믹산(suberoylanilide hydroxamic acid, SAHA, HDAC 억제제), 우르솔산(ursolic acid), 모노 크레아틴(creatine monohydrate)을 사용해왔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시판되는 물질들보다 근위축 개선 효능에 훨씬 뛰어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 의약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 의약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위릉채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의 뿌리나 뿌리가 달린 전초를 말한다. 이는 해독작용을 하고, 출혈성 질환, 이질, 각혈, 염증, 종기 등에 효과가 있고 근육이나 관절의 통증을 줄여 줄 수 있어 약재로 주로 사용한다. 봄에서 가을철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렸다가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쪽(Indigo)은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과거에는 염료 자원으로 재배하였다. 쪽의 잎은 인디고라는 색소를 지니고 있어 남색의 염료로 사용한다. 이는 해열, 해독, 소종의 효능이 있어 감모, 황달, 이질, 토혈 등의 증상과 각종 염증에 약재로 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용매추출법; 또는 초고압(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하여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용매는, 일 예로,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위릉채 추출물은 위릉채 전초 중량을 기준으로 10배(부피)의 70%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하는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쪽 추출물은 쪽의 전초 중량을 기준으로 10배(부피)의 70%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하는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더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각각 50∼70℃에서 22~26시간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고, 3시간 정도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였다. 이때, 상기 추출 시간 및 추출 온도의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만하는 경우, 추출물의 수율과 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하기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은 유비퀴틴 리가아제인 atrogin1 및 MuRF1의 과발현을 억제하고, 근위축조절인자 FOX0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은 근육조직 생성 억제에 관여하는 마이오스타틴(myostatin)을 억제하고 마이오스타틴의 억제제인 폴리스타틴(follistatin)의 증가시켰고, 근관(myotube)의 크기를 증가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은 FOXO3a의 프로모터에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와 RNA polymerase Ⅱ의 결합력을 감소시키고, MuRF1과 Atrogin1의 프로모터에 FOXO3a와 RNA polymerase Ⅱ의 결합력을 감소시켰으며, 히스톤탈아세틸화효소(Histone deacetylase)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은 근위축 개선 또는 근육 생성 억제 개선에 효능이 있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 예로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렛, 빵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치료 및 예방제가 약제인 경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동물 의약품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 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 및 동물 의약품 조성물에 있어서,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유효성분인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000001 내지 100 mg/kg (체중)으로 1회 이상 경구 투여 가능하다. 다만,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복용자의 상태와 의사의 처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의 의미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본 발명의 성분인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로부터 발생함을 의미하고, 그 외에 다른 성분으로 보조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옥수수, 대두박, 팜박, 소맥(밀가루) 등과 비타민, 미네랄 등을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 기능성 물질로 동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성장 촉진 물질 또는 동물의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증강 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위릉채 추출물 제조]
위릉채 추출물은 위릉채 전초 중량을 기준으로 10배(부피)의 추출용매(70% 에탄올)를 가하고 50∼70℃에서 22~26시간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고, 3시간 정도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였다. 이 과정은 2~3회 반복할 수 있다. 이후,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 및 건조시켜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쪽 추출물 제조]
쪽 추출물은 쪽의 전초 중량을 기준으로 10배(부피)의 추출용매(70% 에탄올)를 가하고 50∼70℃에서 22~26시간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고, 3시간 정도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였다. 이 과정은 2~3회 반복할 수 있다. 이후,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 및 건조시켜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의 근위축(muscle atrophy) 개선 효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위릉채 추출물(실시예 1) 또는 쪽 추출물(실시예 2)을 처리하였을 때, 근위축이 개선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세포 배양 및 근관 세포로의 분화유도
L6 쥐 근아세포(myoblast)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 VA, USA)에서 분양 받았으며,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0% FBS 및 0.5% 항생제-항진균제(antibiotic-antimycotic)가 첨가된 배지로 37℃, 5% CO2 항온반응기에서 배양하였다. 근아세포를 근관세포(myotube)로 분화시키기 위하여, 100% 세포 배양(confluent) 상태의 세포를 대상으로 2% 말 혈청이 포함된 DMEM 분화배지를 매 2일마다 교체하였다. 5-7일 후 근관(myotube)이 형성된 것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근위축 유도를 위하여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A, 20 nmol/L)을 처리하여 분화억제를 유도하였다.
2) 분화시킨 근육세포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후, 근위축 인자 및 근육생성 관련 인자의 mRNA 발현량 평가
분화시킨 근육세포(L6)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여 근위축이 유발된 상기 세포에 위릉채 추출물(실시예 1) 또는 쪽 추출물(실시예 2)을 처리하여 근위축 인자인 FOX03A, FOX01, MuRF-1, atrogin-1 및 근육생성 관련 인자 마이오스타틴(myostatin)과 폴리스타틴(follistatin)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비교를 위해 근위축과 근육강화에 개선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시판되는 약물인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사믹산(suberoylanilide hydroxamic acid, SAHA, HDAC 억제제), 우르솔산(ursolic acid), 모노 크레아틴(creatine monohydrate)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LG 6 쥐 근아세포를 6-well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2% 말 혈청 첨가 DMEM 배지로 분화시킨 후,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A, 20 nmol/L)과 각 추출물을 8시간 처리하였다. 세포를 회수하여 TRIzol reagent(Invitrogen, Carlsbad, CA)로 추출한 RNA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정량하고, 3 ㎍ RNA를 RevertAidTM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Fermentas)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qRT-PCR은 ABI Prism 7500 sequence etection system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을 이용하여, 4 μL의 cDNA, 특이적인 프라이머와 Sybergreen master mix(Takar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반응결과는 2-ΔΔCt 값을 계산하여 발현양을 상대비교하였다.
사용된 유전자는 atrogin-1/MAFbx, MuRF1, FOXO3A, FOXO1, 마이오스타틴(myostatin)과 폴리스타틴(follistatin)이다. FOX(Forkhead box)0은 글루티코이드 수용체(GR)가 활성화되면 근위축 전사인자로 작용하며, atrogin-1과 MuRF(muscle RING-finger protein)1은 근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비퀴틴 리가아제(ubiquitin ligase)로 작용한다. 이들의 발현이 증가되면 근육 단백질들이 유비퀴틴화(ubiquitination)되고 프로테아좀(proteosome)이 의존적으로 분해되어 근손실이 유발되는 것이다. 상기 타겟 mRNA의 발현량은 GAPDH로 보정(normalization) 한 후 비(ratio)로 나타내었다.
위릉채 추출물(실시예 1) 또는 쪽 추출물(실시예 2)의 근위축 인자(FOXO3A, FOXO1,MuRF1, atrogin-1)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도 2와 같이 위릉채 추출물과 쪽 추출물은 FOXO3A, FOXO1,MuRF1, atrogin-1의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는 수베로일아닐리드 하이드록사믹산(suberoylanilide hydroxamic acid, SAHA), 우르솔산(ursolic acid), 모노 크레아틴(creatine monohydrate)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릉채 추출물이 근육 생성을 억제하는 마이오스타틴(myostatin,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8)과, 마이오스타틴을 억제하고 근육세포를 증가시키는 폴리스타틴(follistatin)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위릉채 추출물은 미오스타틴의 발현을 감소시켰고, 폴리스타틴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은 근위축 개선과 근육생성 억제 개선에 효능이 있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분화시킨 근육세포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후, 근위축 인자의 단백질 발현량 평가
분화시킨 근육세포(L6)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여 근위축이 유발된 상기 세포에 위릉채 추출물(실시예 1) 또는 쪽 추출물(실시예 2)을 처리하여 근위축 인자인 FOX03A, FOX01, MuRF-1, atrogin-1의 단백질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분화시킨 L6 세포에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A, 20 nmol/L)과 각 추출물을 2시간 처리하고, 세포를 용해완충액으로 균질화하였다. 그 후, 얼음 위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12,000rpm에서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상층액 속의 단백질량은 BCA 방법으로 정량하고 SDS-PAGE로 전기영동을 한 후에 니트로셀룰로오스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옮겨 목적 단백질 항체로 면역 블롯(immunoblot)을 시행하였다. 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이차항체를 두 시간 반응시키고 ECL로 필름에 인화하였다. 사용된 항체는 atrogin-1/MAFbx, MuRF1, FOXO3A, FOXO1과 β-actin이며 타겟 단백질의 발현량은 β-actin으로 보정(normalization) 한 후 비(ratio)로 나타내었다.
위릉채 추출물(실시예 1) 또는 쪽 추출물(실시예 2)의 근위축인자(FOXO3A, FOXO1,MuRF1, atrogin-1)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도 4와 같이 위릉채 추출물과 쪽 추출물은 FOXO3A, FOXO1, atrogin-1, MuRF1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상기 근위축 인자의 mRNA 발현 실험결과와 같이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은 근위축 개선에 효능이 있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분화시킨 근육세포에서 근위축 인자의 mRNA 발현량 및 단백질 발현량 평가
분화시킨 근육세포(L6)에 위릉채 추출물(실시예 1) 또는 쪽 추출물(실시예 2)을 처리하여 근위축 인자인 FOX03A, FOX01, MuRF-1, atrogin-1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실험방법은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의 mRNA 발현 실험과 단백질 발현 실험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위릉채 추출물(실시예 1) 또는 쪽 추출물(실시예 2)의 근위축인자(FOXO3A, FOXO1,MuRF1, atrogin-1)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도 5의 A) 내지 C)와 같이 위릉채 추출물과 쪽 추출물은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시킨 근육세포 자체에서 FOXO3A, MuRF1, atrogin-1의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5의 D) 내지 F)와 같이 위릉채 추출물과 쪽 추출물은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시킨 근육세포 자체에서 FOXO3A, FOXO1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은 분화시킨 근육세포 자체에서도 근위축 개선에 효능이 있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근관의 직경 관찰
분화시킨 근육세포(L6)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여 근위축이 유발된 상기 세포에 위릉채 추출물(실시예 1)을 처리하여 200배 현미경으로 근관의 직경을 관찰하였다. 각 그룹당 무작위로 직경을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비교를 위해 시판되는 약물인 크레아틴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분화시킨 근육세포에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경우, 근위축이 유발되어 근관(Myotube)의 크기가 감소되었다. 하지만, 위릉채 추출물은 처리함에 따라 근관의 크기 감소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위릉채 추출물은 근위축 개선에 효능이 있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염색질면역침강(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에 의한 근위축인자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 GR), FOXO3a와 RNA polymerase Ⅱ의 결합력 조사
분화시킨 근육세포(L6)에 염색질 면역침강 분석(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assay, ChIP assay)에 의한 근위축 인자들의 결합력을 조사하였다. 분화시킨 근육세포(L6)에 위릉채 추출물(실시예 1) 또는 쪽 추출물(실시예 2)을 처리한 세포를 1% 포르말린에 넣고 4℃에서 1시간 동안 충분히 고정시킨 후 단백분해 효소 길항제가 포함된 lysis buffer를 넣고 nucleosome이 200~1,000 bp 크기로 잘리도록 소니케이션(sonication)하였다. 결합력을 보는 항체를 1.0 ㎍을 첨가하여 16시간 반응시켰다. Protein G agarose를 첨가하여 반응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씻어주었다. Elution buffer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14,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에 proteinase K 1 ㎕를 첨가하여 45℃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DNA 정제 콜럼(column)을 이용해 DNA를 분리 후 qRT-PCR로 근위축 인자의 결합력을 분석하였다.
분화시킨 근육세포(L6)에 위릉채 추출물(실시예 1) 또는 쪽 추출물(실시예 2)을 처리하여 농도 누적적으로 처리하였을 때, FOXO3a, MuRF1과 Atrogin1의 프로모터에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 GR), FOXO3a와 RNA polymerase Ⅱ(Pol Ⅱ)의 결합력을 염색질 면역침강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7의 a)와 같이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은 FOXO3a의 프로모터에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 GR)와 RNA polymerase Ⅱ(Pol Ⅱ)의 결합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7의 b) 및 c)와 같이 MuRF1와 Atrogin1의 프로모터에 FOXO3a와 RNA polymerase Ⅱ(Pol Ⅱ)의 결합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히스톤탈아세틸화 효소(Histone deacetylases, HDACs) 6의 효소활성 조사.
후성유전학의 조절자인 HDAC(Histone deacetylases, 히스톤탈아세틸화 효소)은 히스톤의 아세틸화를 억제하여 세포증식 억제인자의 발현을 저해하여, 세포증식을 촉진시키고, 세포의 종양화 및 분화를 조절한다. 그리하여, HDACs 병리학적 활성 및 조절감소가 근위축(muscular dystrophy) 등 여러 질병에 관여한다. 즉, HDACs는 탈신경, 근육영양장애, 불사용으로 인한 근육 위축 및 근기능 장애에 영향을 미치고, 골격근에서의 부작용을 조절하고 있다. 특히, 근위축 모델에서 HDACs의 과발현을 보여주고, HDACs 억제제는 근위축 인자를 감소하였다. Class I HDACs는 골격근 대사에 관여하여, HDAC1/2가 결핍 된 쥐에서 근육 변성,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autophagy의 억제, 산화 환원대사를 특징으로 하는 근육 병증을 나타낸다.
HDAC6는 HDACs 클래스 IIb 패밀리 멤버이고, 세포질 내에 위치한 유일한 탈아틸세틸화효소(cytoplasmic deacetylase)이다. 히스톤을 직접 촉매하지 않고, 알파-튜뷸린(α-tubulin) 및 열쇼크 단백질(HSP90)을 기질로 하여 세포의 수송, 부착과 운동을 조절한다, 따라서, 유전적으로 관련된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적어 부작용이 줄어들고, 탈아세틸화시킨다. HDAC6의 효소 활성 억제는 근위축인자를 억제하고 근보호기능을 가진다. 도 8에 HDAC의 활성기작을 나타내었다.
위릉채 추출물(실시예 1) 또는 쪽 추출물(실시예 2)을 처리하여 농도 누적적으로 처리하여 히스톤아세틸화효소(Histone deacetylases, HDACs) 6의 효소활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실험 방법은 HDACs가 아세틸 리신(K) 아미노산으로부터 아세틸기(O=C-CH3)를 제거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즉, 아세틸레이트 라이신(Lys-Ac) 사이드 체인을 포함하는 HDAC 형광 기질을 정제된 HDAC 효소와 함께 배양하였다. 즉, HDAC에 의해 아세틸 그룹이 라이신(K)에서 제거된 경우, 이 용액은 형광성을 허용하는 염료를 방출한다. 그 형광 수치를 측정하여 HDAC 활성을 분석하였다. 비교를 위해 HDAC억제제인 트리코스타틴(Tricostatin) 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9와 같이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히스톤아세틸화효소(Histone deacetylases, HDACs) 6의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8)

  1.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유비퀴틴 리가아제인 Atrogin1 및 MuRF1의 과발현을 억제하고, 근위축조절인자 Forkhead box(FOX) O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유비퀴틴 리가아제인 Atrogin1 및 MuRF1의 과발현을 억제하고, 근위축조절인자 Forkhead box(FOX) O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유비퀴틴 리가아제인 Atrogin1 및 MuRF1의 과발현을 억제하고, 근위축조절인자 Forkhead box(FOX) O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 의약품 조성물.
  6. 삭제
  7. 위릉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유비퀴틴 리가아제인 Atrogin1 및 MuRF1의 과발현을 억제하고, 근위축조절인자 Forkhead box(FOX) O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축 개선용 사료 조성물.
  8. 삭제
KR1020200093966A 2020-07-28 2020-07-28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66A KR102459434B1 (ko) 2020-07-28 2020-07-28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202110711194.6A CN113995133A (zh) 2020-07-28 2021-06-25 包含委陵菜提取物或蓼蓝提取物的用于改善、预防或治疗肌肉萎缩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66A KR102459434B1 (ko) 2020-07-28 2020-07-28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187A KR20220014187A (ko) 2022-02-04
KR102459434B1 true KR102459434B1 (ko) 2022-10-25

Family

ID=7992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966A KR102459434B1 (ko) 2020-07-28 2020-07-28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9434B1 (ko)
CN (1) CN1139951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0948A (ko) 2022-11-15 2024-05-22 한국한의약진흥원 지용성 활성성분의 수용해도 증진을 위한 쌍화탕의 가공방법, 이렇게 얻어진 미세 콜로이드 분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40074961A (ko) 2022-11-15 2024-05-29 한국한의약진흥원 저분자 성분의 함량 증진을 위한 경옥고의 가공방법, 이렇게 얻어진 미세 콜로이드 분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595A (ko) 2022-03-24 2023-10-05 주식회사 케이에스비튜젠 레보드로프로피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149171A (ko) 2022-04-19 2023-10-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레우덴레키 mj2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652A (ko) * 2013-02-21 2014-08-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딱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CN103356767B (zh) * 2013-08-08 2015-07-22 成都乾坤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治疗细菌性腹泻的兽用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671713B1 (ko) 2015-05-19 2016-11-02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닥나무 유래 플라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위축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8348565A (zh) * 2015-05-26 2018-07-31 新树有限公司 一种含有桔梗提取物的用于预防和治疗肌肉疾病或改善肌肉功能的组合物
CN107137591A (zh) * 2017-05-20 2017-09-08 朱黎明 一种治疗痿病的中药组合物
KR102093990B1 (ko) * 2017-10-31 2020-03-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unkel et al., Ursolic Acid Increases Skeletal Muscle and Brown Fat and Decreases Diet-Induced Obesity, Glucose Intolerance and Fatty Liver Disease. PLoS ONE. June 2012, Vol. 7, Issue 6, e39332 1부.*
방면호 외 7인.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의 지상부로부터 Triterpenoid 화합물의 분리. 한국작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6년, pp. 600-601 1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0948A (ko) 2022-11-15 2024-05-22 한국한의약진흥원 지용성 활성성분의 수용해도 증진을 위한 쌍화탕의 가공방법, 이렇게 얻어진 미세 콜로이드 분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40074961A (ko) 2022-11-15 2024-05-29 한국한의약진흥원 저분자 성분의 함량 증진을 위한 경옥고의 가공방법, 이렇게 얻어진 미세 콜로이드 분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95133A (zh) 2022-02-01
KR20220014187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434B1 (ko) 위릉채 추출물 또는 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anzillotta et al. Targeted acetylation of NF-kappaB/RelA and histones by epigenetic drugs reduces post-ischemic brain injury in mice with an extended therapeutic window
Li et al. Salacia root, a unique Ayurvedic medicine, meets multiple targets in diabetes and obesity
Kang et al. Sasa quelpaertensis Nakai extract and its constituent p-coumaric acid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cells through activation of the AMPK pathway
EP2391374B1 (en) Composition from sphaeranthus indicus and garcinia mangostana for the control of metabolic syndrome
CN107921015B (zh) 具有脂肪组织甘油三酯水解作用的壬二酸组合物
Xie et al. Inhibition of autophagy reverses alcohol-induced hepatic stellate cells activation through activation of Nrf2-Keap1-ARE signaling pathway
Mo et al. Ginsenoside Rg1 ameliorates palmitic acid-induced insulin resistance in HepG2 cells in association with modulating Akt and JNK activity
Zhu et al. The effects of Acorus tatarinowii Schott on 5-HT concentrations, TPH2 and 5-HT1B expression in the dorsal raphe of exercised rats
KR20100065913A (ko) 감태 추출물을 이용하여 신경퇴행성 질병을 치료하거나 그 증상을 완화 또는 방지하기 위한 조성물
KR101924054B1 (ko) 피뿌리풀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화합물 스테차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2072136A (ja) 細胞内代謝促進用組成物、その組成物を含有する糖代謝又は脂質代謝疾患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医薬製剤、機能性食品及び健康食品
Liao et al. Cinnamon extracts exert intrapancreatic cytoprotection against streptozotocin in vivo
US20220257532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pterosin compound and derivatives thereof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KR20220113912A (ko) 피마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0236B1 (ko)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113272A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23953B1 (ko)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2200A (ko) 주글라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2249535B1 (ko) 알카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용 조성물
KR101669717B1 (ko) 캡시코시드 g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30089598A (ko) 근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7438B1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24399B1 (ko) 복분자 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히스톤 아세틸트랜스퍼라아제 저해제
KR102606763B1 (ko) 네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