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283B1 -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283B1
KR102454283B1 KR1020177006590A KR20177006590A KR102454283B1 KR 102454283 B1 KR102454283 B1 KR 102454283B1 KR 1020177006590 A KR1020177006590 A KR 1020177006590A KR 20177006590 A KR20177006590 A KR 20177006590A KR 102454283 B1 KR102454283 B1 KR 102454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aper
household thin
frame member
cas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447A (ko
Inventor
아키테루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9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e articles being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or to the container in a special way, e.g. for facilitating dispensing, without addition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프레임 부재의 하방으로 빠진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을 저해하지 않고, 가정용 박엽지의 돌출량을 억제한다. 취출구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프레임 부재 (14) 를 구비한다. 또, 프레임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또, 프레임 부재의 케이스체 (10)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폭 방향의 각 단부에는, 취출구 (11) 를 막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름부 (14b) 가 형성된다. 또, 누름부 (14b, 14b) 의 각각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그 선단의 케이스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프레임 부재에 Z 자 형상의 절입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HOUSEHOLD TISSUE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옥의 바닥이나 화장실, 혹은 인체 등을 닦기 위한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는,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체의 상면에, 그 개방단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 (回動) 시킴으로써 개폐를 실시하는 덮개체를 형성한 구성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구성의 경우, 덮개체를 열면 당해 덮개체가 기립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덮개체를 열 때에 높이가 필요해져, 좁은 스페이스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 구성의 경우, 덮개체를 열면 당해 덮개체가 기립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덮개체가 방해가 되어 덮개체의 후측으로부터는 가정용 박엽지가 취출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개폐를 실시하는 덮개체를 형성한 구성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으로 하면, 덮개체가 열려도 덮개체가 기립한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좁은 스페이스에서도 사용하기 쉽고, 덮개체가 방해가 되지 않아 가정용 박엽지를 전체 방향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상기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는,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프레임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이 프레임 부재에 가정용 박엽지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과시킴으로써 가정용 박엽지를 취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5632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구성의 경우, 프레임 부재가 취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덮는 것이기 때문에, 프레임 부재의 개구 부분의 면적이 넓어, 가정용 박엽지를 취출했을 때에, 다음의 가정용 박엽지가 지나치게 돌출되어, 상부 덮개 (20) 를 닫을 때에 당해 가정용 박엽지를 물어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프레임 부재의 개구 부분의 면적을 좁게 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 경우, 프레임 부재의 하방으로 빠진 가정용 박엽지를 잡아 취출하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프레임 부재의 하방으로 빠진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을 저해하지 않고, 가정용 박엽지의 돌출량을 억제 가능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면에 취출구를 가지고, 내측에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하는 케이스체와,
상기 취출구를 개폐시키는 덮개체를 구비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케이스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폭 방향의 각 단부 (端部) 에는, 상기 취출구를 막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각각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그 선단의 상기 케이스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에 Z 자 형상의 절입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시에 있어서의 당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자체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무게 중심측에는, 상기 누름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취출구를 막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박엽지는, 절첩되어 상기 케이스체에 수납되고,
상기 가정용 박엽지의 접는 방향은, 상기 케이스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엘라스토머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케이스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취출구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부재의 하방으로 빠진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을 저해하지 않고, 가정용 박엽지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부 덮개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부 덮개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부 덮개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부 덮개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IV-IV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V-V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A 는, 케이스측 패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B 는, 케이스측 패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용기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섀시 및 탄성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상부 덮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는, 비교예 2 의 케이스측 패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B 는, 비교예 2 의 케이스측 패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 는, 변형예 1 의 케이스측 패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 는, 변형예 1 의 케이스측 패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폭 방향을 전후 방향, 높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는, 예를 들어,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 (20) 를 닫은 상태에서 전후 방향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측의 모서리가 둥그스름한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웨트 시트나 웨트 티슈 등의 웨트 타입의 가정용 박엽지 (P) 를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는, 티슈 페이퍼나 키친 페이퍼나 페이퍼 타올 등의 드라이 타입의 가정용 박엽지 (P) 를 수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는, 예를 들어, 도 1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에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 (11) 를 가짐과 함께 하면에 가정용 박엽지 (P) 가 적층된 박엽지 적층체 (Q) 를 다시 채워 넣기 위한 바닥면 개구 (12) 를 가지고, 내측의 수납 공간부 (S) 에 박엽지 적층체 (Q) 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 (10) 와, 용기 본체 (10) 의 상면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취출구 (11) 를 개폐시키는 덮개체로서의 상부 덮개 (20) 와, 상부 덮개 (20) 를 용기 본체 (10) 에 장착하기 위한 섀시 (30) 와, 용기 본체 (10) 의 바닥면 개구 (12) 를 막는 바닥 덮개 (40) 와, 상부 덮개 (20) 를 개방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 (5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용기 본체 (10) 및 섀시 (30) 가, 상면에 취출구 (11) 를 가지고, 내측에 가정용 박엽지 (P) 를 수납하는 케이스체로서 기능한다. 즉, 케이스체는, 용기 본체 (10) 와, 당해 용기 본체 (10) 의 상면에 고정되는 섀시 (30) 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 덮개 (20) 는, 케이스체 중 섀시 (30) 에 장착되어 있다.
또, 용기 본체 (10), 상부 덮개 (20), 섀시 (30) 및 바닥 덮개 (40) 는, 예를 들어, PP (폴리프로필렌), PE (폴리에틸렌), PVC (폴리염화비닐),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탄성 지지 부재 (50) 로서, 인장 코일 스프링(인장 스프링) 을 사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 지지 부재 (50) 는, 신축 부재이면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고,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이나 압축 코일 스프링 (가압 스프링) 등이어도 된다.
또, 탄성 지지 부재 (50) 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신축 부재여도 되고,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신축 부재여도 된다.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신축 부재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의 신축 부재,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스티렌계, 올레핀계, 염화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나일론계의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체 (연질 재료) 제의 신축 부재 등을 들 수 있고, 또, 그 형상은, 스프링상이어도 되고, 판상이나 튜브상이나 끈상이어도 되며,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탄성 지지 부재 (50) 가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금속제의 탄성 지지 부재와 달리 녹스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수납되는 가정용 박엽지 (P) 가, 웨트 타입의 가정용 박엽지 (P) 인 경우에는 특히, 금속제의 탄성 지지 부재 (50) 를 사용하면, 가정용 박엽지 (P) 로부터 증발된 약액에 의해 탄성 지지 부재가 녹슬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탄성 지지 부재 (50)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 덮개 (20) 는, 좌우 방향 (용기 본체 (10)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길이 방향) 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개폐를 실시한다. 즉, 상부 덮개 (20) 는, 폐색 상태시의 위치에서 좌우 방향의 일방 (본 실시형태의 경우, 좌방향) 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개방 상태가 되고, 개방 상태시의 위치에서 좌우 방향의 타방 (본 실시형태의 경우, 우방향) 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폐색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부 덮개 (20) 가 개방 상태가 되는 방향 (좌방향) 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좌우 일측 (본 실시형태의 경우, 좌측) 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좌우 타측 (본 실시형태의 경우, 우측) 보다 무거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취출구 (11)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시에 있어서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자체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 (본 실시형태의 경우, 우측으로 어긋난 위치) 에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시에 있어서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자체의 무게 중심을, 「개방 무게 중심」이라고 한다.
또, 박엽지 적층체 (Q) 는, 예를 들어, 복수 장의 가정용 박엽지 (P) 가 적층된 다시 채워 넣기용의 박엽지 적층체로서, 케이스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용기 본체 (10)) 에 형성된 취출구 (11) 로부터 가정용 박엽지 (P) 를 계속해서 취출할 수 있도록 교대로 접어 겹쳐진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 즉,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구 (11) 로부터 케이스체의 외측으로 인출했을 때에, 다음의 가정용 박엽지 (P) 의 상단이 취출구 (11) 보다 돌출되는 위치까지 수납 공간부 (S) 로부터 인출되는, 이른바 팝업 방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박엽지 적층체 (Q) 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하기 위한 개구 (T1) 가 형성된 포장체 (T) 에 의해 내포되어 있어도 되고, 포장체 (T) 에 의해 내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특히,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수납되는 가정용 박엽지 (P) 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웨트 타입의 가정용 박엽지 (P) 인 경우에는, 박엽지 적층체 (Q) 를 방습성의 포장체 (T) 에 의해 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 (10) 는,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용기 본체 (10) 의 상면을 구성하는 상면부 (10a) 와, 당해 용기 본체 (10) 의 전후 좌우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둘레면부 (10b) 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 (10) 의 하면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모서리가 잘라진 대략 장방형상을 나타내는 바닥면 개구 (12) 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닥면 개구 (12) 를 막도록 장착된 바닥 덮개 (40) 와, 용기 본체 (10) 의 상면부 (10a) 및 둘레면부 (10b)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박엽지 적층체 (Q) 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부 (S) 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면이 개구된 용기 본체 (10) 를 사용하여 박엽지 적층체 (Q) 를 용기 본체 (10) 의 하면측으로부터 다시 채워 넣도록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면은 폐구 (閉口) 되어 전후 좌우의 어느 면이 개구된 용기 본체 (10) 를 사용하고, 박엽지 적층체 (Q) 를 용기 본체 (10) 의 전후 좌우의 어느 면측으로부터 다시 채워 넣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기 본체 (10) 의 상면부 (10a) 에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오목부 (13)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 (13) 의 바닥면부 (13a) 에 취출구 (11) 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 (11) 는, 용기 본체 (10) 의 내부의 수납 공간부 (S) 에 수납된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하기 위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모서리가 잘라진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개구이다.
취출구 (11) 는, 상부 덮개 (20) 가 개방 상태 (도 1B, 도 3, 도 5 참조) 가 된 경우에 개방되고, 이 때 가정용 박엽지 (P) 는, 취출구 (11) 를 통해서 한 장마다 수납 공간부 (S) 로부터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취출구 (11) 는, 상부 덮개 (20) 가 폐색 상태 (도 1A, 도 2, 도 4 참조) 가 된 경우에 폐색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11) 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케이스측 패킹 (14) 이 장착되어 있다. 즉, 케이스측 패킹 (14) 이, 취출구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프레임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 상부 덮개 (20) 의 하면에도, 덮개측 패킹 (21) 이 장착되어 있다.
덮개측 패킹 (21) 은, 상부 덮개 (20) 의 하면 중 상부 덮개 (20) 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측 패킹 (14)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측 패킹 (14) 과 덮개측 패킹 (21) 은, 상부 덮개 (20) 가 폐색 상태가 된 경우에 서로 밀착되어 (도 4 참조), 수납 공간부 (S) 내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측 패킹 (14) 및 덮개측 패킹 (21) 이, 취출구 (11) 의 둘레 가장자리와 상부 덮개 (20) 의 간극을 봉지하는 기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로 인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수납되는 가정용 박엽지 (P) 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웨트 타입의 가정용 박엽지 (P) 인 경우에는, 가정용 박엽지 (P) 에 함침된 약액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측 패킹 (14) 및 덮개측 패킹 (21) 을,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스티렌계, 올레핀계, 염화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나일론계의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재료 (탄성 부재) 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덮개측 패킹 (21) 을 형성하는 재료에 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덮개측 패킹 (21) 은, 예를 들어,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로 형성해도 되고, PE (Polyethylene) 나 PP (Polypropylene) 등의 경질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또, 덮개측 패킹 (21) 을, 케이스측 패킹 (14) 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해도 되고, 상이한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또, 케이스측 패킹 (14) 및 덮개측 패킹 (21) 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수납되는 가정용 박엽지 (P) 가 웨트 타입인 경우에는 특히, 약액 내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 (10) 에 케이스측 패킹 (14) 을 형성하여 상부 덮개 (20) 에 덮개측 패킹 (21) 을 형성한, 즉, 용기 본체 (10) 와 상부 덮개 (20) 의 쌍방에 기밀 수단을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밀 수단에 의해 취출구 (11) 의 둘레 가장자리와 상부 덮개 (20) 의 간극을 봉지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용기 본체 (10) 에만 기밀 수단을 형성해도 된다. 또, 섀시 (30) 에 취출구 (11) 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섀시 (30) 에 기밀 수단을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수납 공간부 (S) 에 수납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P) 의 접는 방향, 즉 절첩선이 연장되는 방향은, 좌우 방향 (용기 본체 (10)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길이 방향) 에 대해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취출구 (11) 의 길이 방향은, 좌우 방향 (용기 본체 (10)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길이 방향) 에 대해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용 박엽지 (P) 는, 취출구 (11) 로부터 인출될 때에, 취출구 (11) 에 장착된 케이스측 패킹 (14) 의 폭 부분 (케이스측 패킹 (14) 중 수납 공간부 (S) 에 수납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P) 의 접는 방향과 평행한 부분) 보다, 케이스측 패킹 (14) 의 길이 부분 (케이스측 패킹 (14) 중 수납 공간부 (S) 에 수납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P) 의 접는 방향과 직교하는 부분) 에 접촉한다.
케이스측 패킹 (14) 의 하단부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11) 보다 하측 (수납 공간부 (S) 에 수납되어 있는 박엽지 적층체 (Q) 측) 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최상층의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할 때에, 케이스측 패킹 (14) 의 하단부가 최상층의 가정용 박엽지 (P) 나 다음 층의 가정용 박엽지 (P) 와 접촉하여, 최상층의 가정용 박엽지 (P) 나 다음 층의 가정용 박엽지 (P) 에 저항을 부여하므로, 다음 층의 가정용 박엽지 (P) 의 돌출 길이 (취출구 (11) 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길이) 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거나, 복수 장의 가정용 박엽지 (P) 가 이어져서 인출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가정용 박엽지 (P) 가 불필요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케이스측 패킹 (14) 으로 가정용 박엽지 (P) 를 누를 수 있다.
또한, 케이스측 패킹 (14) 의 하단부 중 좌측 부분 (개방 무게 중심측의 부분) 에는,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여 (즉, 취출구 (11) 를 막는 방향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14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측 패킹 (14) 의 하단부 중 전후 방향의 각 단부에는,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11) 를 막는 방향 (전후 방향) 으로 연장되는 누름부 (14b)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측 패킹 (14) 의 하단부에는, 절입 (C1 ∼ C4) 이 형성되어, 1 쌍의 누름부 (14b, 14b) 가 각각 좌우 방향의 각 단부로부터 대체로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누름부 (14b, 14b) 의 각각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그 선단의 좌우 방향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1 쌍의 누름부 (14b, 14b) 를 구비함으로써, 케이스측 패킹 (14) 에 Z 자 형상의 절입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Z 자 형상에는, 「Z」의 글자를 좌우로 반전시킨 역 Z 자 형상인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연장부 (14a) 와 1 쌍의 누름부 (14b, 14b) 에 의해 형성된 파지부 (P1 ∼ P3) 에서, 가정용 박엽지 (P) 가 파지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할 때, 가정용 박엽지 (P) 가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케이스측 패킹 (14) 및 덮개측 패킹 (21) 의 적어도 일방에는, 슬립제가 첨가되어 있다. 케이스측 패킹 (14) 및 덮개측 패킹 (21) 의 적어도 일방에 슬립제를 첨가함으로 인해, 상부 덮개 (20) 를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11)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포장체 (T) 의 개구 (T1) 와 어긋나 있음과 함께, 취출구 (11) 의 중심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포장체 (T) 의 개구 (T1) 의 중심보다 우측 (개방 무게 중심과는 반대측) 으로 어긋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T1) 의 좌단부 (개구 (T1) 의 최장축 상에 있는 좌단부) 로부터 취출구 (11) 의 좌단부까지의 거리 (L1) 는, 개구 (T1) 의 우단부 (개구 (T1) 의 최장축 상에 있는 우단부) 로부터 취출구 (11) 의 우단부까지의 거리 (L2) 보다 길다.
섀시 (30) 는, 용기 본체 (10) 의 오목부 (13)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 (10) 의 상면부 (10a) 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 덮개 (20) 는, 섀시 (30) 를 개재하여 용기 본체 (10) 에 장착되어 있다.
섀시 (30) 는,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13) 의 바닥면부 (13a) 상에 재치 (載置) 되어, 취출구 (11) 를 둘러싸는 프레임부 (31) 와, 폐색 상태의 상부 덮개 (20) 와 거의 면일해지도록 프레임부 (31) 에 지지되는 상벽부 (32)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덮개 (20) 와 상벽부 (32) 를 맞대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타원 형상의 판상 부재를 구성하게 되어 있다. 또, 상부 덮개 (20) 및 상벽부 (32) 는, 전후 방향 (단경 방향) 에 하방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섀시 (30) 의 프레임부 (31) (구체적으로는, 프레임부 (31) 의 연결부 (31c) (후술)) 의 상면에는, 예를 들어, 도 2, 도 3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지지 부재 (50) 의 일단과 걸어 맞추는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덮개 (20) 의 하면 중 전후 방향 거의 중앙의 위치에는, 예를 들어, 도 2, 도 3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지지 부재 (50) 의 타단과 걸어 맞추는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는, 탄성 지지 부재 (50) 인 인장 코일 스프링을 2 개 구비하고 있다. 또, 섀시 (30) 의 프레임부 (31) 는,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를 2 개 구비하고 있다. 이 2 개의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는, 상부 덮개 (20) 와 섀시 (30) 가 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직선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 (장경 방향) 과 평행하게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를 통과하는 직선) 에 대해 서로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부 덮개 (20) 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와의 간격이,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와의 간격보다 길어지도록, 프레임부 (31) 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 개의 탄성 지지 부재 (50) 중 일방의 일단이, 2 개의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중 일방에 걸림과 함께, 2 개의 탄성 지지 부재 (50) 중 타방의 일단이, 2 개의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중 타방에 걸리고, 2 개의 탄성 지지 부재 (50) 의 쌍방의 타단이, 상부 덮개 (20) 에 형성된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에 걸려 있다.
상부 덮개 (20) 가 우측 (즉, 상벽부 (32) 측) 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방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이행하면, 탄성 지지 부재 (50) 의 일단에 걸어 맞추어지는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와, 탄성 지지 부재 (50) 의 타단에 걸어 맞추어지는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의 간격이 길어지므로, 탄성 지지 부재 (50) 는 좌측 (즉, 상벽부 (32) 와는 반대측) 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가 된다. 즉, 탄성 지지 부재 (50) 는, 상부 덮개 (20) 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 당해 상부 덮개 (20) 를 개방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탄성 지지 부재 (50)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 지지 부재 (50)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부 덮개 (20) 가 좌측 (즉, 상벽부 (32) 와는 반대측) 으로 인장되어, 취출구 (11) 가 개방된다.
또,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는,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탄성 지지 부재 (50) 는, 케이스체 (용기 본체 (10) 나 섀시 (30)) 의 높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설치, 구체적으로는,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와 걸어 맞추어지는 타단이,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와 걸어 맞추어지는 일단보다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지지 부재 (50) 는, 상부 덮개 (20) 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 당해 상부 덮개 (20) 를 개방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뿐만 아니라, 당해 상부 덮개 (20) 를 하방향 (즉, 당해 상부 덮개 (20) 를 케이스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용기 본체 (10)) 로 누르는 방향) 에도 탄성 지지되므로, 기밀 수단 (본 실시형태의 경우, 케이스측 패킹 (14) 및 덮개측 패킹 (21)) 에 의해 취출구 (11) 의 둘레 가장자리와 상부 덮개 (20) 의 간극이 확실하게 봉지되게 되어, 수납 공간부 (S) 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종래,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체의 상면에, 그 개방단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개폐를 실시하는 덮개체를 형성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로서, 덮개체의 개방 동작을 실시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덮개체를 여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 (엘라스토머 등에 의해 형성된 힌지,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 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탄성 지지 부재는, 덮개체를 개방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 즉, 덮개체를 폐색 상태와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으므로, 기밀성을 갖게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개폐를 실시하는 덮개체 (상부 덮개 (20)) 를 설치하고,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를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보다 상측에 배치하여 탄성 지지 부재 (50) 를 케이스체의 높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설치함으로써, 덮개체 (상부 덮개 (20)) 를 개방 상태가 되는 방향뿐만 아니라, 케이스체로 누르는 방향으로도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수납 공간부 (S) 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수납되는 가정용 박엽지 (P) 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웨트 타입의 가정용 박엽지 (P) 인 경우에는, 가정용 박엽지 (P) 에 함침된 약액의 증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탄성 지지 부재 (50) 는, 신축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섀시 (30) 의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가, 케이스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섀시 (30)) 에 형성되어 탄성 지지 부재 (50) 의 일단과 걸어 맞추어지는 고정점으로서 기능하고, 상부 덮개 (20) 의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가, 상부 덮개 (20) 에 형성되어 탄성 지지 부재 (50) 의 타단과 걸어 맞추어지는 가동점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탄성 지지 부재 (50), 섀시 (30) 의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및 상부 덮개 (20) 의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가, 상부 덮개 (20) 를 개방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가동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고정점) 를 섀시 (30) 에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고정점) 는, 용기 본체 (10) 에 형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지지 부재 (50), 섀시 (30) 의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및 상부 덮개 (20) 의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는, 상부 덮개 (20) 가, 개방 상태인 경우도, 폐색 상태인 경우도, 개방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상태인 경우도,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상태인 경우도, 오목부 (13)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덮개 (20) 에 상방으로부터 덮여 있으므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다.
즉, 상부 덮개 (20) 는, 당해 상부 덮개 (20) 상태에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시인 불가능하게 탄성 지지 부재 (50), 섀시 (30) 의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및 상부 덮개 (20) 의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를 차폐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미관이 향상됨과 함께, 탄성 지지 부재 (50), 섀시 (30) 의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및 상부 덮개 (20) 의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가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 (13) 의 바닥면부 (13a) 가, 용기 본체 (10) 의 내측 (수납 공간부 (S) 측) 으로부터 시인 불가능하게 탄성 지지 부재 (50), 섀시 (30) 의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및 상부 덮개 (20) 의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를 차폐하고 있으므로, 탄성 지지 부재 (50), 섀시 (30) 의 고정측 걸어 맞춤부 (33) 및 상부 덮개 (20) 의 가동측 걸어 맞춤부 (22) 가, 용기 본체 (10) 의 내측으로부터 닿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 (20) 의 우단부 (즉, 상벽부 (32) 측의 단부) 에는,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후크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섀시 (30) 에는, 상벽부 (32) 의 일부를 조작면 (34a) 으로 한 스위치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부 (34) 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축부 (34b) 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좌단측 (즉, 상부 덮개 (20) 측) 에 후크부 (23) 가 상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걸어 맞추어지는 후크 받이부 (34c) 를 가지고 있다. 또, 스위치부 (34) 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상부 덮개 (20) 가 개방 상태일 때에, 탄성 지지 부재 (50)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는 힘을 작용시켜 상부 덮개 (20) 를 우측 (즉, 상벽부 (32) 측) 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먼저, 상부 덮개 (20) 의 후크부 (23) 가 스위치부 (34) 의 후크 받이부 (34c) 에 맞닿는다. 또한 상부 덮개 (20) 를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후크 받이부 (34c) 가 후크부 (23) 로 눌려 스위치부 (34) 의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는 힘이 작용하여, 후크 받이부 (34c) 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스위치부 (34) 가 회동된다. 그리고, 상부 덮개 (20) 가 폐색 상태가 되어 스위치부 (34) 의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는 힘이 해제되면, 스위치부 (34) 의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후크 받이부 (34c) 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즉, 조작면 (34a) 이 상벽부 (32) 의 표면과 거의 면일 상태가 되도록) 스위치부 (34) 가 회동되고, 후크부 (23) 와 후크 받이부 (34c) 가 걸어 맞추어진다. 이로 인해, 상부 덮개 (20) 의 폐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후크부 (23) 와 후크 받이부 (34c) 가 걸어 맞추어져 있을 때에, 스위치부 (34) 의 조작면 (34a) 이 가압되어 스위치부 (34) 의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는 힘이 작용하면, 후크 받이부 (34c) 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스위치부 (34) 가 회동된다. 그리고, 스위치부 (34) 의 회동에 수반하여 후크부 (23) 와 후크 받이부 (34c) 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면, 탄성 지지 부재 (50)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부 덮개 (20) 가 좌측 (즉, 상벽부 (32) 와는 반대측) 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방 상태가 된다.
즉, 후크부 (23) 및 후크 받이부 (34c) 가, 탄성 지지 부재 (50)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상부 덮개 (20) 가 폐색 상태가 되도록 걸림과 함께, 당해 걸림을 해제 가능한 걸림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 수단에 의한 걸림을 해제할 때에 가압되는 스위치부 (34) 를 섀시 (30) 에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치부 (34) 는, 용기 본체 (10) 에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섀시 (30) 의 프레임부 (31) 의 일부가, 상부 덮개 (20) 를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부 (31a) 가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 (30) 의 프레임부 (31) 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는 레일부 (31a, 31a) 와, 레일부 (31a, 31a) 의 우단부 (즉, 상부 덮개 (20) 의 폐색 상태가 되는 방향측의 단부) 끼리를 연결함과 함께 상벽부 (32) 를 지지하는 지지부 (31b) 와, 레일부 (31a, 31a) 의 좌단부 (즉,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가 되는 방향측의 단부)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 (31c) 로 이루어진다.
또,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 (20) 에는, 레일부 (31a) 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는 슬라이드부 (24) 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 (24) 는, 예를 들어, 상부 덮개 (20) 와 섀시 (30) 가 조합된 상태에서, 당해 슬라이드부 (24) 의 하면이, 대응하는 레일부 (31a) 의 상면에 맞닿도록, 상부 덮개 (20) 의 하면으로부터 수하 (垂下) 하는 수벽부 (도시 생략) 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부 덮개 (20) 를 순조롭고 확실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덮개 (20) 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부 (31a) 를 섀시 (30) 에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레일부 (31a) 는, 용기 본체 (10) 에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 (24) 의 좌단부 (즉,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가 되는 방향측의 단부) 에는, 상부 덮개 (20) 가 개방 상태가 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 (24a) 가 설치되어 있다.
또,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10) 의 오목부 (13) 의 둘레 가장자리 중, 상부 덮개 (20) 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드부 (24) 의 좌단측 (댐퍼 (24a) 를 포함한다)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부 덮개 (20) 가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할 때에 슬라이드부 (24) 가 비집고 들어가는 가로 구멍부 (15) 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가로 구멍부 (15) 내에서 슬라이드부 (24) 의 댐퍼 (24a) 가 용기 본체 (10) 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부 (24) 가 용기 본체 (10) 에 충돌함으로써, 탄성 지지 부재 (50)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한 상부 덮개 (20) 의 슬라이드 이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당해 충돌시의 충격을, 댐퍼 (24a) 에 의해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댐퍼 (24a) 를 좌방으로 볼록해지도록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만곡된 활 형상으로 설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댐퍼 (24a) 의 형상은, 상부 덮개 (20) 가 개방 상태가 될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면,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 (20) 에는, 상부 덮개 (20) 를 닫을 때 등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가동측 손가락 걸기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덮개 (20) 에는, 가동측 손가락 걸기부 (25) 로서, 당해 상부 덮개 (20) 의 우단부 (즉, 상부 덮개 (20) 의 폐색 상태가 되는 방향측의 단부) 를 상측을 향하여 기립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 돌편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덮개 (20) 에는, 가동측 손가락 걸기부 (25) 에 건 손가락을 재치하기 위한 손가락 재치부 (26) 로서, 당해 상부 덮개 (20) 의 상면을 하측을 향하여 패이게 함으로써 형성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섀시 (30)) 중 걸림 수단 (본 실시형태의 경우, 후크 받이부 (34c)) 보다 우측 (즉, 상부 덮개 (20) 의 폐색 상태가 되는 방향측) 에는, 상부 덮개 (20) 를 닫을 때 등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부동측 손가락 걸기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섀시 (30) 에는, 부동측 손가락 걸기부 (35) 로서, 섀시 (30) 의 단부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벽부 (32) 의 우단부) 를 상측을 향하여 기립시킴으로써 형성된 돌편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가동측 손가락 걸기부 (25) 의 좌측 (즉, 부동측 손가락 걸기부 (35) 와는 반대측) 에 손가락을 걸어 상부 덮개 (20) 를 닫을 때에, 부동측 손가락 걸기부 (35) 의 우측 (즉, 가동측 손가락 걸기부 (25) 와는 반대측) 에 손가락을 걸어 용기 본체 (10) 에 좌방향의 힘 (상부 덮개 (20) 에 작용시키는 힘과는 역방향의 힘) 을 작용시켜 용기 본체 (10) 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용기 본체 (10) 를 고정시켜 둘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한 손으로 상부 덮개 (20) 를 닫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동측 손가락 걸기부 (35) 는, 스위치부 (34) 로 이간되어 케이스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섀시 (30)) 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부동측 손가락 걸기부 (35) 에 건 손가락으로 스위치부 (34) 를 오조작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동측 손가락 걸기부 (35) 를 섀시 (30) 에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부동측 손가락 걸기부 (35) 는, 용기 본체 (10) 에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 (20) 의 하면에는, 선단이 좌측 (즉,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가 되는 방향측) 을 향하도록 전후 방향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대략 역 L 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편부 (27)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10) 의 오목부 (13) 의 둘레 가장자리 중, 상부 덮개 (20) 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 돌편부 (27) 의 선단측 (댐퍼 (27a) (후술) 를 포함한다)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부 덮개 (20) 가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할 때에 돌편부 (27) 가 비집고 들어가는 가로 구멍부 (16) 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덮개 (20) 가 개방 상태가 되면, 상부 덮개 (20) 의 돌편부 (27) 의 선단측이 용기 본체 (10) 의 가로 구멍부 (16) 로 비집고 들어가, 돌편부 (27) 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상부 덮개 (20) 의 좌단측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덮개 (20) 가 일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편부 (27) 의 선단부에는, 상부 덮개 (20) 가 개방 상태가 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 (27a) 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가로 구멍부 (16) 내에서 돌편부 (27) 의 댐퍼 (27a) 가 용기 본체 (10) 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돌편부 (27) 가 용기 본체 (10) 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서도, 탄성 지지 부재 (50)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한 상부 덮개 (20) 의 슬라이드 이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당해 충돌시의 충격을, 댐퍼 (27a) 에 의해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댐퍼 (27a) 를 좌방으로 볼록해지도록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만곡된 활 형상으로 설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댐퍼 (27a) 의 형상은, 상부 덮개 (20) 가 개방 상태가 될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면,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편부 (27) 에 댐퍼 (27a) 를 설치하고 슬라이드부 (24) 에 댐퍼 (24a) 를 설치한, 즉, 돌편부 (27) 와 슬라이드부 (24) 의 쌍방에 댐퍼를 설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댐퍼에 의해 상부 덮개 (20) 가 개방 상태가 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 (충격을 완만하게하는 것) 이 가능하다면, 예를 들어, 돌편부 (27) 에만 댐퍼를 설치해도 되고, 슬라이드부 (24) 에만 댐퍼를 설치해도 되며, 돌편부 (27) 및 슬라이드부 (24) 이외의 부분에 댐퍼를 설치해도 된다. 또, 댐퍼는, 상부 덮개 (20) 측이 아니고, 케이스체 (용기 본체 (10) 나 섀시 (30)) 측에 설치해도 되고, 상부 덮개 (20) 측과 케이스체측의 쌍방에 설치해도 된다. 돌편부 (27) 에 댐퍼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돌편부 (27) 가 가로 구멍부 (16) 내에서 용기 본체 (10) 에 맞닿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슬라이드부 (24) 에 댐퍼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드부 (24) 가 가로 구멍부 (15) 내에서 용기 본체 (10) 에 맞닿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부 (24) 의 좌단측이 비집고 들어가는 가로 구멍부 (15) 의 상방이 상면부 (10a) 에 의해 막히도록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로 구멍부 (15) 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돌편부 (27) 는, 상부 덮개 (20) 가 일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슬라이드부 (24) 의 좌단측이 비집고 들어가는 가로 구멍부 (15) 의 상방이 상면부 (10a) 에 의해 막혀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드부 (24) 에 의해, 상부 덮개 (20) 가 일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에는, 상부 덮개 (20) 가 개방 상태가 되면, 상부 덮개 (20) 의 슬라이드부 (24) 의 좌단측이 용기 본체 (10) 의 가로 구멍부 (15) 로 비집고 들어가, 슬라이드부 (24) 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상부 덮개 (20) 가 일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돌편부 (27) 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블로 성형, 또는 인젝션, 블로 인젝션 등의 제법에 의해, 각 파츠를 제작한다.
이어서, 섀시 (30) 에, 탄성 지지 부재 (50) 와 상부 덮개 (20) 를 장착하여 어셈블리체 (A) 를 형성한다.
이어서, 어셈블리체 (A) 를 용기 본체 (10) 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섀시 (30) 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 (본 실시형태의 경우, 5 개) 의 끼워 맞춤 볼록부 (36) 와, 용기 본체 (10) 의 오목부 (13) 의 바닥면부 (13a) 에 끼워 맞춤 볼록부 (36) 에 대응시켜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부 (17) 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어셈블리체 (A) 를, 용기 본체 (10) 의 오목부 (13) 내에 당해 오목부 (13) 의 상방으로부터 끼워넣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 (10) 에 장착한다. 즉, 탄성 지지 부재 (50) 와 상부 덮개 (20) 는, 섀시 (30) 에 장착되어 일체로 구성된 어셈블리체 (A) 상태에서, 용기 본체 (10) 에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부 덮개 (20) 와 탄성 지지 부재 (50) 와 섀시 (30) 를 각각 용기 본체 (10) 에 장착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섀시 (30) 에 형성된 끼워 맞춤 볼록부 (36) 와, 용기 본체 (10) 에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부 (17) 를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어셈블리체 (A) 를 용기 본체 (10) 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나사 등에 의해 어셈블리체 (A) 를 용기 본체 (10) 에 고정시켜도 된다.
실시예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 시험 결과>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물론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의 조건에서 가정용 박엽지 (P) 의 취출 시험을 실시하고, 다음의 가정용 박엽지 (P) 의 프레임 부재로부터의 돌출량을 측정하였다. 또, 아울러, 프레임 부재에 대한 손가락의 출입의 용이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크기가 175 ㎜ × 150 ㎜ (접는 폭 80 ㎜), 평량이 34 g/㎡ 인 가정용 박엽지 (P) 를 사용하였다. 또, 가정용 박엽지 (P) 에는, 알코올 함유 약액을 함유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또, 취출구 (11) 의 치수가, 39 ㎜ × 20 ㎜ 인 조건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취출구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프레임 부재로서, 케이스측 패킹 (14) (도 6 등 참조)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의 케이스측 패킹 (14) 의 재료에는, 경도가 70 °인 엘라스토머 수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표 1 에 있어서, 케이스측 패킹 (14) 의 마우스 형상을 「A」라고 칭하고 있다.
[실시예 2]
프레임 부재로서, 케이스측 패킹 (14) (도 6 등 참조)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의 케이스측 패킹 (14) 의 재료에는, 경도가 80 °인 엘라스토머 수지를 사용하였다.
그 밖의 조건 및 시험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3]
프레임 부재로서, 케이스측 패킹 (14) (도 6 등 참조)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의 케이스측 패킹 (14) 의 재료에는, 경도가 90 °인 엘라스토머 수지를 사용하였다.
그 밖의 조건 및 시험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비교예 1]
프레임 부재로서, 케이스측 패킹 (14) (도 6 등 참조) 과 동일 형상의 케이스측 패킹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의 케이스측 패킹의 재료에는, 경질 재료인 PE 를 사용하였다.
그 밖의 조건 및 시험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비교예 2]
프레임 부재로서, 케이스측 패킹 (14) (도 6 등 참조) 과 상이한 마우스 형상의 케이스측 패킹 (140) (도 11 참조) 을 사용하였다. 케이스측 패킹 (140) 은, 하단부 중 좌측 부분 (개방 무게 중심측의 부분) 에, 예를 들어, 도 11A 및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140a) 가 형성되어 있다. 비교예 2 의 케이스측 패킹 (140) 의 재료에는, 경질 재료인 PE 를 사용하였다. 또한, 표 1 에 있어서, 케이스측 패킹 (140) 의 마우스 형상을 「C」라고 칭하고 있다.
그 밖의 조건 및 시험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시험 결과]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2 의 시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23505153-pct00001
[가정용 박엽지 (P) (시트) 의 돌출량에 대한 평가]
◎;돌출량이 매우 작아서 (예를 들어, 상부 덮개 (20) 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 상부 덮개 (20) 를 닫을 때의 맞물림을 충분히 억제 가능
○;돌출량이 작아서 (예를 들어, 상부 덮개 (20) 의 하단의 위치), 상부 덮개 (20) 를 닫을 때의 맞물림을 억제 가능
×;돌출량이 커서 (예를 들어, 상부 덮개 (20) 의 하단을 넘는 위치), 상부 덮개 (20) 를 닫을 때의 맞물림을 억제 곤란
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 (취출 부분의 간극이 큰 케이스측 패킹 (140) 을 사용) 에서는, 취출 부분의 간극이 크기 때문에, 돌출량이 크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실시예 1 (경도가 80 °인 케이스측 패킹 (14) 을 사용) 및 실시예 2 (경도가 70 °인 케이스측 패킹 (14) 을 사용) 에서는, 취출 부분의 간극이 작기 때문에, 돌출량이 작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 실시예 3 (경도가 90 °인 케이스측 패킹 (14) 을 사용) 및 비교예 1 (경질 재료인 PE 로 형성된 케이스측 패킹을 사용) 에서는, 취출 부분의 간극이 작고 또한 프레임 부재가 단단하기 때문에, 돌출량이 매우 작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손가락의 출입의 용이성에 대한 평가]
◎;용이하게 손가락을 출입할 수 있음
×;손가락을 출입하는 것이 곤란
의 2 단계로 평가하였다.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모두 경질 재료인 PE 로 형성된 케이스측 패킹을 사용) 에서는, 프레임 부재가 단단해서 잘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손가락을 출입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한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모두 연질 재료인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된 케이스측 패킹 (14) 을 사용) 에서는, 프레임 부재가 유연해서 잘 구부러지기 때문에, 문제없이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손가락을 출입할 수 있었다.
[종합 평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에서는, 모든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에서는, 「가정용 박엽지 (P) 의 돌출량」의 항목에 있어서, 실시예 3 에 열등하지만,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 1 에서는, 「손가락의 출입의 용이성」의 항목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 비교예 2 에서는, 「가정용 박엽지 (P) 의 돌출량」및 「손가락의 출입의 용이성」의 어느 항목에 있어서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프레임 부재에는, 연질 재료인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된 케이스측 패킹 (14)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경도가 90 °인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된 케이스측 패킹 (14) 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는, 취출구 (11)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프레임 부재 (케이스측 패킹 (14)) 를 구비하고, 프레임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의 케이스체 (용기 본체 (10))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폭 방향의 각 단부에는, 취출구 (11) 를 막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름부 (14b) 가 형성되고, 누름부 (14b, 14b) 의 각각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그 선단의 케이스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프레임 부재에 Z 자 형상의 절입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의하면,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 부재에 누름부 (14b, 14b)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 부재의 하방으로 빠진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을 저해하지 않고, 가정용 박엽지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의하면, 취출구 (11)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덮개체 (상부 덮개 (20)) 의 개방 상태시에 있어서의 당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자체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의 무게 중심측에는, 누름부 (14b, 14b) 와 중첩되지 않도록 취출구 (11) 를 막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14a)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의하면, 취출구 (11) 로부터 취출하는 가정용 박엽지 (P) 의 개방 무게 중심측에 부여하는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개방 무게 중심측의 중량에 의해,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할 때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의하면, 가정용 박엽지 (P) 는, 절첩되어 케이스체에 수납되고, 가정용 박엽지 (P) 의 접는 방향은, 케이스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므로,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할 때에 연장부 (14a) 나 누름부 (14b) 와 걸리기 쉬워져, 가정용 박엽지 (P) 의 돌출량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의하면, 프레임 부재는, 엘라스토머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름부 (14b, 14b) 가 유연해서 잘 구부러져, 문제없이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손가락을 출입할 수 있다.
또, 프레임 부재는, 경도가 90 °인 엘라스토머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름부 (14b, 14b) 에 적당한 경도를 부여할 수 있어, 손가락의 출입을 저해하지 않고, 가정용 박엽지 (P) 의 돌출량을 대폭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변형예 1)
예를 들어, 도 1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실시형태의 케이스측 패킹 (14) 과 비교하여,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14a)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변형예 1 에 관련된 케이스측 패킹 (141) 은,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연질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측 패킹 (141) 의 하단부 중 전후 방향의 각 단부에는, 예를 들어, 도 12A 및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11) 를 막는 방향 (전후 방향) 으로 연장되는 누름부 (141a)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누름부 (141a, 141a) 의 각각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그 선단의 좌우 방향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1 쌍의 누름부 (141a, 141a) 를 구비함으로써, 케이스측 패킹 (141) 에 Z 자 형상의 절입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변형예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의하면, 실시형태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와 마찬가지로, 프레임 부재의 하방으로 빠진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을 저해하지 않고, 가정용 박엽지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예를 들어, 바닥 덮개 (40) 등에, 수납 공간부 (S) 내의 박엽지 적층체 (Q) 를 하측으로부터 밀어 올리는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수납 공간부 (S) 내에서 박엽지 적층체 (Q) 가 움직이지 않도록, 당해 부재와 케이스측 패킹 (14) 이나 돌편부 (Y) 에서, 박엽지 적층체 (Q) 를 사이에 둘 수 있으므로,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구 (11) 로부터 보다 순조롭게 취출할 수 있음과 함께, 가정용 박엽지 (P) 의 취출구 (11) 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수납 공간부 (S) 내로 빠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는, 상면에 가까운 쪽은 팝업되는 높이가 낮고, 하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팝업되는 높이가 높아지는 접는 방법으로 적층된 가정용 박엽지 (P) 를 수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팝업되는 높이」란, 최상층의 가정용 박엽지 (P) 중 기립된 부분의 상하 방향의 길이, 즉 박엽지 적층체 (Q) 의 상면으로부터 최상층의 가정용 박엽지 (P) 중 취출구 (11) 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상단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박엽지 적층체에 있어서의 접는 방법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경우, 가정용 박엽지 (P) 의 돌출 길이 (취출구 (11) 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길이) 는, 사용 초기에는 길고, 사용 종료가 가까워짐에 따라 짧아진다.
팝업되는 높이는, 접는 폭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 초기에는 팝업되는 높이가 짧고, 사용 종료가 가까워짐에 따라 길어지는 것과 같은 접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접는 방법을 한 박엽지 적층체 (Q) 를 사용하면, 가정용 박엽지 (P) 의 돌출 길이를 사용 초기부터 사용 종료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취출구 (11) 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수납 공간부 (S) 내로 빠지는, 취출구 (11) 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상부 덮개 (20) 의 개폐시에 상부 덮개 (20) 에 맞물리게 되는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체의 상면에, 그 개방단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개폐를 실시하는 덮개체를 형성한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 밖에,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세부 구성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이용할 수 있다.
1 :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 : 용기 본체 (케이스체)
11 : 취출구
14 : 케이스측 패킹 (프레임 부재)
14a : 연장부
14b : 누름부
20 : 상부 덮개 (덮개체)
30 : 섀시 (케이스체)
P : 가정용 박엽지
T : 포장체

Claims (5)

  1. 상면에 취출구를 가지고, 내측에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하는 케이스체와,
    상기 취출구를 개폐시키는 덮개체를 구비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케이스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폭 방향의 각 단부에는, 상기 취출구를 막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각각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그 선단의 상기 케이스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에 Z 자 형상의 절입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경도가 90 °인 엘라스토머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자체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무게 중심측에는, 상기 누름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취출구를 막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박엽지는, 절첩되어 상기 케이스체에 수납되고,
    상기 가정용 박엽지의 접는 방향은, 상기 케이스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케이스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취출구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5. 삭제
KR1020177006590A 2014-09-30 2015-09-29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102454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1106 2014-09-30
JP2014201106A JP6210960B2 (ja) 2014-09-30 2014-09-30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PCT/JP2015/077579 WO2016052539A1 (ja) 2014-09-30 2015-09-29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447A KR20170062447A (ko) 2017-06-07
KR102454283B1 true KR102454283B1 (ko) 2022-10-12

Family

ID=5563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590A KR102454283B1 (ko) 2014-09-30 2015-09-29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23667B2 (ko)
EP (1) EP3202688B1 (ko)
JP (1) JP6210960B2 (ko)
KR (1) KR102454283B1 (ko)
CN (1) CN106687391B (ko)
WO (1) WO2016052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0586B2 (ja) * 2016-03-30 2018-02-14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用薄葉紙収納容器
JP6510696B1 (ja) * 2018-03-05 2019-05-08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975670B2 (ja) * 2018-03-29 2021-12-01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CN108652503A (zh) * 2018-05-24 2018-10-16 合肥智慧龙图腾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错位结构的自锁纸巾盒
CN108852119A (zh) * 2018-06-20 2018-11-23 南宁学院 一种可防污染的自锁抽纸盒
JP7157705B2 (ja) * 2019-06-03 2022-10-20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2021054494A (ja) * 2019-09-30 2021-04-08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用薄葉紙収納容器、衛生用薄葉紙収納容器の取出部材及び衛生用薄葉紙収納容器における取出部材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76A (ja) 1999-10-29 2001-07-17 Pigeon Corp 容 器
JP2003040361A (ja) 2001-08-03 2003-02-13 Daio Paper Corp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容容器の取出口構造
US20070215632A1 (en) 2006-03-16 2007-09-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erture for dispensing wipes
JP2013241190A (ja) * 2012-05-18 2013-12-05 Daio Paper Corp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2013256322A (ja) 2012-06-13 2013-12-26 Daio Paper Corp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8575A (en) * 1988-03-02 1989-07-18 Eluci Company Inc. Resealable dispenser-container for wet tissues
JP3410021B2 (ja) * 1998-04-29 2003-05-26 株式会社タイキ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92004B2 (en) * 2001-05-31 2003-07-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orifice for wet wipes dispenser
JP4522114B2 (ja) * 2004-03-12 2010-08-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JP5486355B2 (ja) * 2010-03-08 2014-05-0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ウエットティシュ収納容器
US8944279B2 (en) * 2010-12-22 2015-0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dispenser with improved arc-shaped dispensing partition
CN203211681U (zh) * 2013-03-14 2013-09-25 花之町(厦门)日用品有限公司 一种湿巾包装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76A (ja) 1999-10-29 2001-07-17 Pigeon Corp 容 器
JP2003040361A (ja) 2001-08-03 2003-02-13 Daio Paper Corp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容容器の取出口構造
US20070215632A1 (en) 2006-03-16 2007-09-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erture for dispensing wipes
JP2013241190A (ja) * 2012-05-18 2013-12-05 Daio Paper Corp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2013256322A (ja) 2012-06-13 2013-12-26 Daio Paper Corp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2539A1 (ja) 2016-04-07
JP6210960B2 (ja) 2017-10-11
US20170303749A1 (en) 2017-10-26
US10123667B2 (en) 2018-11-13
JP2016069028A (ja) 2016-05-09
EP3202688B1 (en) 2021-07-28
CN106687391A (zh) 2017-05-17
EP3202688A1 (en) 2017-08-09
EP3202688A4 (en) 2017-08-09
CN106687391B (zh) 2019-08-27
KR20170062447A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283B1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JP5464881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KR101088435B1 (ko) 포장용 상자
JP5275870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5990413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001918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174441B2 (ja) 薄葉紙収納容器
JP6124647B2 (ja) 薄葉紙収納容器
JP6090969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298510B2 (ja) 薄葉紙収納容器
JP6072485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220139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066726B2 (ja) 薄葉紙収納容器
JP6147635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078281B2 (ja) 薄葉紙収納容器
JP6128930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090968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066576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及び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の製造方法
KR200451301Y1 (ko) 수납물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서랍 구조물
JP5965604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5689754B2 (ja) ガイドプレート取付具
JP2012091835A (ja) スライド式開閉蓋を有する収納容器
JP2013158374A (ja) 引出し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