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502B1 -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502B1
KR102452502B1 KR1020220001557A KR20220001557A KR102452502B1 KR 102452502 B1 KR102452502 B1 KR 102452502B1 KR 1020220001557 A KR1020220001557 A KR 1020220001557A KR 20220001557 A KR20220001557 A KR 20220001557A KR 102452502 B1 KR102452502 B1 KR 10245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xed
weight
part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장원
Original Assignee
(주)세명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명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세명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0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는 물론 탈부착이 용이한 화재검출기를 통해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Automatic alarm system in case of fire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는 물론 탈부착이 용이한 화재검출기를 통해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을 포함한 공동주택 등에서의 화재발생 위험에 대처하고 정확하고 신속한 화재경보 알림은 필수적이다.
화재경보 및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하고 있으며 종래의 홈기기나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경보 방법은 화재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재발생 신호에 대해 경종 또는 램프 점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화재를 알리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화재수신기 동작에 의해 관리자 또는 소방대로의 화재발생 통보는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좀 더 입주자에게 지능적이고 효과적인 화재발생 경고 알림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외부 소음의 각 세대 내 인입을 차단하고자 최근 건축 방음 기술의 발달로 그 차단 수준이 높아 주거 환경 질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으나, 이는 공간 형태상 각 세대는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특징과 함께 화재발생 시 피난 안전성 측면에서 화재발생 인지를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재발생 시 피난 안전성 측면에서 화재인지 지연 문제점을 해소해야하며 한편으로 소음차단 및 밀폐공간이 특징인 공동주택에서 정확한 화재발생 및 화재위치 정보를 입주자에게 전달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대피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화재위치 정보 제공으로, 화재발생 위치와 관련이 없거나 적은 곳의 입주자에게 불필요한 불안감을 야기하는 기존 대응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원 발명은 화재위치에 따른 차등적 경보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에는 화재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화재경보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화재경보시스템은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 연기, 화염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화재를 발견하거나 화재 발견자에 의해 소정의 경보기가 조작된 경우에, 중계시스템을 통해 경종, 사이렌 또는 표시등과 같은 경보장치로 건물 내의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시스템이다.
다만, 화재경보시스템은 중계시스템에 오작동이 생겼을 때, 건물 내의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데 있어 애로사항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292304호(2013.07.26.),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는 물론 탈부착이 용이한 화재검출기를 통해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동주택의 각 가로등에 설치된 화재감지경보유닛(100)과, 상기 화재감지경보유닛(100)과 무선통신하여 송신된 영상을 통해 화재여부를 판독하는 관리서버(200)와, 각 세대내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200)와 유선으로 연결된 화재감지기(300)와, 공동주택의 각 쉼터의 천정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20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비된 화재검출기(1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경보유닛(100)은 카메라하우징(110)과,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내장된 CCD카메라(12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내장된 경보스피커(13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탑재되고 메모리가 내장된 컨트롤러(14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탑재되고 상기 컨트롤러(140)에 의해 관리서버(200)와 통신하도록 제어되는 무선통신기(15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소화분사기(80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검출기(10)는 분리,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50)은 피착면에 고정되는 부착시트(51)와, 상기 부착시트(51)에 부착되는 커버(52)와, 상기 커버(52)가 덮여 있는 베이스하우징(53)과,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의 커버(52) 반대면에서 사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54)와, 상기 돌출부(54)의 표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시 돌출된 핀고정부(55)와, 상기 핀고정부(55)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핀(56)과, 상기 고정핀(56)에 끼워져 결속되는 'ㄷ'형상의 삽입편(57)과, 상기 삽입편(57)이 일체로 형성되고 감지기(10)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편베이스(58)와, 상기 베이스하우징(53)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끼워졌을 때 삽입편(57)의 일측 편면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걸림구(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는 물론 탈부착이 용이한 화재검출기를 통해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CCD카메라의 구조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화분사기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재검출기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재검출기의 장탈착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화재 발생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즉시 경보할 수 있도록 한 화재 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 및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교체형 배터리만으로 화재발생시에만 감지동작하므로 사용수명을 늘린 탈부착형 화재검출기를 이용하여 감지하기 때문에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도 쉽게 설치하여 감지불능 지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각 세대내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와 함께 세대 외부에서도 화재감시가 가능하므로 공동주택에 대한 전방위적인 화재감지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의 예시와 같이, 공동주택의 각 가로등에 설치된 화재감지경보유닛(100)과, 상기 화재감지경보유닛(100)과 무선통신하여 송신된 영상을 통해 화재여부를 판독하는 관리서버(200)와, 각 세대내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200)와 유선으로 연결된 화재감지기(300)와, 공동주택의 각 쉼터의 천정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20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비된 화재검출기(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재감지경보유닛(100)은 카메라하우징(110)과,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내장된 CCD카메라(12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내장된 경보스피커(13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탑재되고 메모리가 내장된 컨트롤러(14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탑재되고 상기 컨트롤러(140)에 의해 관리서버(200)와 통신하도록 제어되는 무선통신기(15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소화분사기(8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무선통신기(15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딥러닝기법으로 판독하여 화재여부를 확인하고 화재발생으로 판단시 상기 컨트롤러(140)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경보스피커(130)를 통해 경보할 수 있도록 동작된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200)는 영상판독부를 구비하고 있어 딥러닝기법에 따른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화염(크기, 색깔별 온도 등)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학습하고, 학습된 내용을 기반으로 비교판단하여 화재가 발생했는지 안했는지를 신속하게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관리서버(200)의 영상판독부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이 많은 학습을 할수록 해당 건축물의 화재 상황에 대한 인식의 정확도 및 신뢰도가 높아지므로 최종적으로는 별도의 관리자가 관리하지 않고 무인으로 조기 화재감지 및 경보가 가능해진다.
예컨대, 수행되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은 불꽃이나 연기 이미지를 학습하는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데이터베이스에 다량의 불꽃 이미지 및 연기 이미지를 저장하고, 영상판독부의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은 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불꽃 이미지 및 연기 이미지를 통하여 불꽃 및 연기를 인식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CD카메라(120)는 초소형으로서 사각형상의 카메라하우징(110)의 선단면 중심에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140)는 각각 고유식별코드가 할당되어 있어 관리서버(200)와 통신할 때 관리서버(200)가 통신하는 컨트롤러(140)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것은 컨트롤러(140)의 고유식별코드별로 어느 가로등주에 설치했는지 미리 위치정보를 관리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해 둠으로써 즉시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보스피커(13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40)가 구동 제어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CCD카메라(120) 및 컨트롤러(140)는 가로등주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등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어댑팅하여 전원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의 모든 가로등주에 CCD카메라(120)를 설치하게 되면 세대 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모든 화재에 대해 실시간 감지가 가능하고, 화재 발생이 확인되면 즉시 경고할 수 있어 초기 화재 진압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은 내수성 및 방수성, 방오성을 갖추어 내부식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장수명화를 이루고, 나아가 내열성, 내화성을 갖추어 화재에 취약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의 외표면은 액상 멜리민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수산화알루미늄 25중량부, 폴리테트라플로오르에틸렌 15중량부, 지르코늄 15중량부, 이소프로필에테르 15중량부, 뮬라이트 10중량부, 아연스테아르산염 30중량부가 혼합된 코팅액으로 코팅된다.
이 경우, 상기 액상 멜라민수지는 접착력을 극대화시켜 코팅층의 표면 박리를 강력하게 억제하고 방화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폴리머의 소수화를 막고 친수화를 유도하여 결합력을 높이면서 불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폴리테트라플로오르에틸렌(PTFE)은 내수성 및 방수성은 물론 오염방지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지르코늄은 화재발생시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물 또는 질소화물로 된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내화성, 내식성, 불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이소프로필에테르(Iso-PropylEther)는 가교기능을 통해 경화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내구성과 내오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뮬라이트는 1500℃ 부근까지 고융점화시켜 방염성, 즉 불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아연스테아르산염은 열적 안정제로서 내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는 소화분사기(800)가 설치된다. 이것은 화재경보와 함께 화재가 진행되면 자동적으로 터지면서 소화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휴대형 소화기이다.
상기 소화분사기(800)는 충분히 작게 만들 수 있지만 용량을 늘리기 위해 납작한 사각박스형태 등 다양한 형상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소화분사기(800)는 초기 진압용이기 때문에 볼륨을 크게 만들지 않는다. 또한, 충분히 납작하게 만들 수 있어 부착 설치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분사기(800)는 소화액이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충전되는 내압용기(810)를 포함한다. 이때, 내압용기(810)의 하단면에는 소화액을 비산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유닛(820)이 설치된다.
상기 분사유닛(820)은 내압용기(8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816)에 끼워지는 십자형 마개(821)와, 상기 십자형 마개(821)의 하단면 중심에서 돌출된 하부돌기(822)와,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진 팽창스프링(823)과,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져 팽창스프링(823)을 압축하는 고정막대(824)와, 상기 고정막대(824)가 고정된 작동로드(825)와, 상기 작동로드(825)의 후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26)과, 상기 장공(826)에 고정핀(828)으로 하단이 핀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베이스(827)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818)에 끼워지는 끼움편부(831)와, 상기 끼움편부(831)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맞대어진 후 볼트고정되는 받침편부(832)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일측면에 힌지고정된 보조편(829)과, 일단은 보조편(829)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로드(825)에 고정된 코일스프링(830)과, 상기 고정베이스(827)와 작동로드(825)의 대향되는 위치에 'ㄱ'형상으로 요입형성된 파열구끼움고정홈(834)와, 양단을 각각 상기 파열구끼움고정홈(834)에 끼운 후 90°꺾어 밀어넣어 고정하며 Cu-Ag계(1:0.08중량비) 합금을 사용하여 화재시 열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성된 파열구(833)와, 상기 배출구(81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부가 확경된 분사안내관(840)과, 상기 고정막대(824)가 끼워진 후 장공(826)의 상하폭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안내관(840)에 형성된 막대유동공(841)과, 상기 분사안내관(840)의 하단에 나사고정되는 밀봉구(842)와, 상기 밀봉구(842)에 형성된 배출구멍(843)과, 상기 밀봉구(842)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비산분사원판(844)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멍(843)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구멍(845)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끼움되는 하부부쉬(846) 및 상부부쉬(847)와, 상기 상부부쉬(847)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부쉬(847)에 볼트고정되고 헤드 하부에는 볼(849)이 배치되어 회전마찰을 줄인 고정볼트(848)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면 파열구(833)가 끊어지게 된다. 그러면, 소화액의 내압(분사압)이 고정막대(824)가 받쳐 누르는 힘보다 세져 십자형 마개(821)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십자형 마개(821)가 배출구(816)를 벗어나게 되면 쏟아지는 소화액이 분사안내관(840)을 타고 내려오다가 밀봉구(842)의 배출구멍(843)과 비산분사원판(844)의 분사구멍(845)을 통해 분사되면서 비산분사원판(844)은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최대한 멀리까지 분사할 수 있어 초기 화재진압에 매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화재검출기(10)는 공동주택에 마련된 다수의 쉼터 내부 천정에 설치된다.
이러한 화재검출기(10)는 열 또는 연기감지 기능을 갖는 검출기로서, 관리서버(200)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탑재하고 있어 화재검출과 동시에 내장된 제어기(미도시)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특정신호를 관리서버(200)로 송신함으로서 해당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했음을 관리서버(200)가 즉시 알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화재검출기(10)에 내장된 제어기(미도시)가 고유식별코드를 부여받아 설치되기 때문에 위치확인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이와 같은 화재검출기(10)는 도 5 및 도 6의 예시와 같이,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교체가능한 배터리 사용방식을 통해 상용전원을 끌어오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재검출기(10)를 쉽게 분리,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유닛(5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50)은 피착면에 고정되는 부착시트(51)와, 상기 부착시트(51)에 부착되는 커버(52)와, 상기 커버(52)가 덮여 있는 베이스하우징(53)과,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의 커버(52) 반대면에서 사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54)와, 상기 돌출부(54)의 표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시 돌출된 핀고정부(55)와, 상기 핀고정부(55)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핀(56)과, 상기 고정핀(56)에 끼워져 결속되는 'ㄷ'형상의 삽입편(57)과, 상기 삽입편(57)이 일체로 형성되고 감지기(10)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편베이스(58)와, 상기 베이스하우징(53)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끼워졌을 때 삽입편(57)의 일측 편면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걸림구(5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착시트(51)는 겔타입의 시트이다.
이러한 부착시트(51)는 일반 접착제와 달리 액상이 아니며, 고정력은 높이고, 방수성, 내열성, 방오성, 내침식성, 내후성, 내수성을 강하게 하여 외부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쉽게 열화되지 않아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쉽게 열화되어 부착면으로부터 쉽게 탈거되거나 크랙이 발생되어 떨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접착력이 너무 강하게 경화되면, 이를 테면 순간접착제와 같이 리지드(Rigid)하게 경화되면 고정력은 매우 높지만 부착면이 나무나 콘크리트 재질일 때는 콘크리트면은 손상시키고 쉽게 부서져 떨어져 내리는 한계와, 접착부가 파단되거나 파열되어 장수명화를 달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부착시트(51)는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5중량부, 하이드로콜로이드 25중량부, PEBAX(Polyether-block-amide) 10중량부, 트리페닐포스핀 5중량부,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5중량부, 키실렌설폰산나트륨 5중량부, 2-페닐이미다졸 5중량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중량부 및 실리콘수지 15중량부를 혼합한 후 카렌다링한 다음,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에틸아세테이트는 혼합물이 분산되는 과정에서 서로 엉기거나 미분산되는 것을 막아 표면과 이면 균일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겔상의 시트를 만들어 습윤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점착성을 장시간 동안 확정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유연성은 물론 방수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PEBAX(Polyether-block-amide)는 저온에서도 경도변화가 작고, 내피로성이 뛰어나 완충성을 유지하면서 변형억제력을 증대시키고, 비중이 작아 성형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흡습성이 낮고, 내굴곡 피로성, 내후성, 유연성, 내크립성, 접착성을 증대시킨다.
뿐만 아니라, 트리페닐포스핀은 내후성을 증대시켜 표면 균질화로 내수압특성, 방수성을 강화시키고 부착력을 증대시킨다.
아울러,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는 방오기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키실렌설폰산나트륨은 부착 안정성을 높이고 플러핑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2-페닐이미다졸은 건조수축률을 적게 하여 겔형 시트의 변형을 막고 표면이 평활한 상태로 매끄럽게 유지하여 이물부착억제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나아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은 구조식(-CF2-CF2-)n인 폴리프론 PTFE-D(Dispersion)로서, 내열성은 물론 윤활성을 증대시키므로 내구성과 부착력을 증대시킨다.
마지막으로 실리콘수지는 점착성, 고정력,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내오염성, 내수압특성을 강화시킨다.
한편,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은 내부가 비어 있고, 돌출부(54)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구(59)가 출몰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때, 걸림구(59)는 상기 베이스하우징(53)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걸림구블럭(59a)과,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편(57)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걸림홈(57a)에 걸림되는 걸림후크(59b)와, 상기 걸림후크(59b) 대향측에 돌출된 스프링바(59c)와, 상기 스프링바(59c)에 끼워지고 베이스하우징(53) 내벽에 걸림되어 상기 걸림구블럭(59a)을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59d)와,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53) 일측면을 관통하여 노출된 작동바(59e)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삽입될 때는 걸림후크(59b)가 걸림홈(57a)에 걸려 삽입편(57)이 분리되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작동바(59e)를 제끼면 코일스프링(59d)이 압축되면서 걸림후크(59b)가 걸림홈(57a)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삽입편(57)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간단 용이하게 조립 고정 분리 해체할 수 있어서 설치 사용하게 편리하고, 취약지구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화재를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화재검출기 100: 화재감지경보유닛
200: 관리서버 300: 화재감지기

Claims (1)

  1. 공동주택의 각 가로등에 설치된 화재감지경보유닛(100)과, 상기 화재감지경보유닛(100)과 무선통신하여 송신된 영상을 통해 화재여부를 판독하는 관리서버(200)와, 각 세대내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200)와 유선으로 연결된 화재감지기(300)와, 공동주택의 각 쉼터의 천정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20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비된 화재검출기(1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경보유닛(100)은 카메라하우징(110)과,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내장된 CCD카메라(12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내장된 경보스피커(13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탑재되고 메모리가 내장된 컨트롤러(14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 탑재되고 상기 컨트롤러(140)에 의해 관리서버(200)와 통신하도록 제어되는 무선통신기(150)와,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소화분사기(80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검출기(10)는 분리,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50)은 피착면에 고정되는 부착시트(51)와, 상기 부착시트(51)에 부착되는 커버(52)와, 상기 커버(52)가 덮여 있는 베이스하우징(53)과,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의 커버(52) 반대면에서 사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54)와, 상기 돌출부(54)의 표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시 돌출된 핀고정부(55)와, 상기 핀고정부(55)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핀(56)과, 상기 고정핀(56)에 끼워져 결속되는 'ㄷ'형상의 삽입편(57)과, 상기 삽입편(57)이 일체로 형성되고 감지기(10)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편베이스(58)와, 상기 베이스하우징(53)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끼워졌을 때 삽입편(57)의 일측 편면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걸림구(59)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에는 소화분사기(800)가 더 설치되되, 상기 소화분사기(800)는 소화액이 충전되는 내압용기(810)를 포함하며, 상기 내압용기(810)의 하단면에는 소화액을 비산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유닛(820)이 설치되고;
    상기 분사유닛(820)은 내압용기(8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816)에 끼워지는 십자형 마개(821)와, 상기 십자형 마개(821)의 하단면 중심에서 돌출된 하부돌기(822)와,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진 팽창스프링(823)과,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져 팽창스프링(823)을 압축하는 고정막대(824)와, 상기 고정막대(824)가 고정된 작동로드(825)와, 상기 작동로드(825)의 후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26)과, 상기 장공(826)에 고정핀(828)으로 하단이 핀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베이스(827)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818)에 끼워지는 끼움편부(831)와, 상기 끼움편부(831)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맞대어진 후 볼트고정되는 받침편부(832)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일측면에 힌지고정된 보조편(829)과, 일단은 보조편(829)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로드(825)에 고정된 코일스프링(830)과, 상기 고정베이스(827)와 작동로드(825)의 대향되는 위치에 'ㄱ'형상으로 요입형성된 파열구끼움고정홈(834)와, 양단을 각각 상기 파열구끼움고정홈(834)에 끼운 후 90°꺾어 밀어넣어 고정하며 Cu-Ag계(1:0.08중량비) 합금을 사용하여 화재시 열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성된 파열구(833)와, 상기 배출구(81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부가 확경된 분사안내관(840)과, 상기 고정막대(824)가 끼워진 후 장공(826)의 상하폭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안내관(840)에 형성된 막대유동공(841)과, 상기 분사안내관(840)의 하단에 나사고정되는 밀봉구(842)와, 상기 밀봉구(842)에 형성된 배출구멍(843)과, 상기 밀봉구(842)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비산분사원판(844)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멍(843)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구멍(845)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끼움되는 하부부쉬(846) 및 상부부쉬(847)와, 상기 상부부쉬(847)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부쉬(847)에 볼트고정되고 헤드 하부에는 볼(849)이 배치되어 회전마찰을 줄인 고정볼트(848)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의 외표면은 액상 멜리민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수산화알루미늄 25중량부, 폴리테트라플로오르에틸렌 15중량부, 지르코늄 15중량부, 이소프로필에테르 15중량부, 뮬라이트 10중량부, 아연스테아르산염 30중량부가 혼합된 코팅액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
KR1020220001557A 2022-01-05 2022-01-05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 KR10245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57A KR102452502B1 (ko) 2022-01-05 2022-01-05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57A KR102452502B1 (ko) 2022-01-05 2022-01-05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502B1 true KR102452502B1 (ko) 2022-10-11

Family

ID=8359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557A KR102452502B1 (ko) 2022-01-05 2022-01-05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5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304B1 (ko) 2012-01-12 2013-08-0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74195B1 (ko) * 2016-11-15 2017-09-04 삼삼기업주식회사 사물인터넷 기반의 화재감지시스템
KR20210073837A (ko) * 2019-12-11 2021-06-21 김진영 화재진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방법
KR102323983B1 (ko) * 2021-03-30 2021-11-1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자동 제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304B1 (ko) 2012-01-12 2013-08-0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74195B1 (ko) * 2016-11-15 2017-09-04 삼삼기업주식회사 사물인터넷 기반의 화재감지시스템
KR20210073837A (ko) * 2019-12-11 2021-06-21 김진영 화재진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방법
KR102323983B1 (ko) * 2021-03-30 2021-11-1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자동 제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655B1 (ko) 다기능 화재감지기
KR102397133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에 대비한 소방 안전 자동화시스템
WO2008150098A2 (en) Air conditioner having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44881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KR102426278B1 (ko)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KR102452502B1 (ko)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경보 시스템
KR102369691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499117B1 (ko) 건축물의 화재감시 소방 시스템
CN213751316U (zh) 一种消防用烟雾检测报警装置
KR102409057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 시스템
KR102409061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43560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자동 신고 시스템
WO2018051662A1 (ja) 自動消火装置
KR102435610B1 (ko) 공동주택의 화재 경보 자동화 시스템
KR10242038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KR102439692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진화장비 구축 시스템
KR102437305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화재발생 알림 안전교육 소방시스템
KR102500003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 대피시스템
KR10239597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470810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JP5230001B2 (ja) 火災警報器
CN111540155B (zh) 一种智能家居火灾探测器
CN210302138U (zh) 高层灭火自救***
KR102408020B1 (ko) 공동주택 소방용 전기 구동 시스템
KR102461616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