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655B1 - 다기능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655B1
KR101563655B1 KR1020150037513A KR20150037513A KR101563655B1 KR 101563655 B1 KR101563655 B1 KR 101563655B1 KR 1020150037513 A KR1020150037513 A KR 1020150037513A KR 20150037513 A KR20150037513 A KR 20150037513A KR 101563655 B1 KR101563655 B1 KR 101563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housing
control unit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비젼씨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비젼씨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비젼씨스템즈
Priority to KR102015003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화재감지기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훈소(smoldering) 화재나 발화(ignition) 화재와 같은 여러가지 화재 상황을 포함하는 화재 발생의 초기상태를 선제적으로 감지하는 다기능성 화재감지기를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평상시에는 설치장소에 대한 감시(영상감시)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화재 발생시에는 그 화재의 초기상태를 신속하게 감지한 후 이를 관제센터로 통보하여 화재 진압의 신속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관제센터로 화재 발생 현장에서의 각종 음성정보인 거주자들의 대화내용이나 주변 소음 등을 실시간 전송하면서 화재 발생 현장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현장에서의 화재 진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화재감지기{Multi function fire detector}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설치장소에 대한 감시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화재 발생시에는 그 화재의 초기상태를 신속하게 감지한 후 이를 관제센터로 통보하여 화재 진압의 신속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관제센터로 화재 발생 현장에서의 각종 음성정보인 거주자들의 대화내용이나 주변 소음 등을 실시간 전송하여, 화재 발생 현장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화재 진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를 검출하여 발보(發報) 신호를 수신기에 출력하여 화재 경보를 행하는 감지기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111191 호(공개일 2009.10.26),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125075 호(공개일 2014.10.28)에서와 같이, 화재에 의한 연기를 검지하는 연기 감지기, 화재에 의한 열(온도)을 검지하는 열 감지기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상기와 같은 감지기에 CO 등의 가스 농도를 검지하는 가스센서를 적용하는 복합형 감지기도 개시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종래 화재감지기는 온도 또는 연기 농도와 같은 검지 정보만으로는 훈소(smoldering) 화재나 발화(ignition) 화재와 같은 여러가지 화재 상황에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종래 화재 감지기는 이미 크게 확산된 화염과 이로인한 연기가 심하게 발생할 때 경보를 울리는 방식으로, 이러한 경보 방식은 이미 화재가 어느 정도 확산되면서 연기 흡입으로 인한 인명피해, 그리고 화염에 의한 건물의 붕괴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 훈소(smoldering) 화재나 발화(ignition) 화재와 같은 여러가지 화재 상황을 포함하는 화재 발생의 초기상태를 선제적으로 감지하는 다기능성 화재감지기를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설치장소에 대한 감시(영상감시)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화재 발생시에는 그 화재의 초기상태를 신속하게 감지한 후 이를 관제센터로 통보하여 화재 진압의 신속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관제센터로 화재 발생 현장에서의 각종 음성정보인 거주자들의 대화내용이나 주변 소음 등을 실시간 전송하면서 화재 발생 현장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현장에서의 화재 진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키는 다기능 화재감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화재감지기는, 제 1 결합부와 유입구를 가지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화재 발생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제 1 요소들과 제 2 요소들을 검지하는 센서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결합부에 대응되는 제 2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화재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제 1 요소들을 검지하도록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를 감시하는 영상부;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영상부를 통해 제 1,2 요소들에 의한 화재 감지가 이루어질 때, 사전 설정된 관제센터로 통신 연결하여 화재 발생의 메세지를 실시간 자동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에 화재 발생 현장의 각종 음성정보와 상기 영상부의 감시 영상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화재 발생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 및,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영상부의 검지 정보에 따라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경보음 출력부의 경보음 출력과, 상기 통신부의 통신 연결 및 정보 전송과, 상기 영상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검지한 후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 1 센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 유입시 그 공기중에 포함되는 냄새를 검지한 후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 2 센서; 및, 화재감지기 설치장소에서의 진동을 검지한 후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 3 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결합부에 제 2 결합부를 통해 결합되고 일면에 돔부를 형성한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제어부;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면서 상기 돔부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회전판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부터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를 감시하고 그 감시영상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카메라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위치를 통신부를 통해 통신연결되는 관제센터에 통보하는 GPS모듈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은 통신부와 관제센터의 통신 연결시 그 위치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관제센터에는 설치할 화재감지기의 등록 절차에 따라 상기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화재 발생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전 설정된 관제센터와의 통신연결을 시도하는 통신연결부; 상기 통신연결부의 통신연결에 따라 화재 발생의 메세지를 송출하는 메세지송출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 모드에서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화재 발생에 따른 비상모드에서는 상기 통신연결부의 통신연결에 따라 화재현장과 관제센터의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도록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성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평상시의 모드에서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전달하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에서 화재에 관련한 특정단어를 추출하여 화재 발생의 초기상황을 인지한 후 이를 통신부를 통해 관제센터에 자동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탐지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내장형 메모리 또는 외장형 메모리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메모리에는 위치 구분을 위해 부여되는 식별코드와, 단어추출을 위한 단어정보 및, 카메라모듈에 의해 감시되는 영상과 비교되는 설치장소의 기준 배경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제 1 요소들을 포함하는 감시영상과 상기 배경영상을 비교하여 화재 발생의 초기 상황 또는 훈소(smoldering) 화재나 발화(ignition) 화재 여부를 판단한 후 이를 통신부를 통해 관제센터에 자동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탐지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화재감지기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는 제 4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와 관제센터의 주기적인 통신 연결시 배터리의 교체 또는 충전을 위해 상기 제 4 센서에 의해 체크된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상기 관제센터에 통보하는 제 1 관리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 대한 공기 정화를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시간마다 향을 분사하는 향 발생부를 결합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향 발생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고, 토출구를 형성한 제 3 하우징; 상기 제 3 하우징내에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고, 일정량의 향액을 저장하는 용기부; 상기 제 3 하우징내에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용기부로부터 발산되는 향액을 상기 제 3 하우징의 토출구로 토출시키도록 회전 구동하는 블로워 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센서부에 의해 제 2 요소들이 검지될 때, 그 검지정보가 화재 요소인지 공기 오염 요소인지를 판단하고, 오염원 존재시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를 정화시키도록 상기 향 발생부의 향 분사를 제어하게 되는 제 2 관리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 2 관리프로그램은 제 2 요소들의 분석시 화재 요소가 아니면 모두 공기 오염 요소로 판단하고, 상기 공기 오염 요소는 발생시점에서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제 3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3 하우징에는 상기 제 3 결합부에 대응하는 제 4 결합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훈소(smoldering) 화재나 발화(ignition) 화재와 같은 여러가지 화재 상황을 포함하는 화재 발생의 초기상태를 선제적으로 감지하는 다기능성 화재감지기를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평상시에는 설치장소에 대한 감시(영상감시)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화재 발생시에는 그 화재의 초기상태를 신속하게 감지한 후 이를 관제센터로 통보하여 화재 진압의 신속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관제센터로 화재 발생 현장에서의 각종 음성정보인 거주자들의 대화내용이나 주변 소음 등을 실시간 전송하면서 화재 발생 현장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현장에서의 화재 진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기능 화재감지기와 관제센터의 연결상태를 보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기능 화재감지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재감지기와 영상부에 대한 분해상태의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재감지기와 영상부에 대한 결합상태의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재감지기와 향 분사부에 대한 분해상태의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재감지기와 향 분사부에 대한 결합상태의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기능 화재감지기와 관제센터의 연결상태를 보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기능 화재감지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재감지기와 영상부에 대한 분해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재감지기와 영상부에 대한 결합상태의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재감지기는, 제 1 하우징(10), 센서부(20), 영상부(30), 통신부(40), 경보음 출력부(50),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하우징(10)은 제 1 결합부(11)와 유입구(12)를 형성하여둔 것으로, 건물내의 벽면이나 천정면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와 같은 하우징을 통해 벽면이나 천정면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제 1 하우징(10)내에 구성되는 것으로, 화재 발생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제 1 요소들인 연기와 화염, 그리고 제 2 요소들인 냄새와 진동을 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위해 제 1 내지 제 3 센서(21)(22)(2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 1 센서(21)는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검지한 후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제어부(60)에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하우징(10)내에서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에 따라 발광부의 광원에 대한 수광부의 수광량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광원측정기로 구성하여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연기의 농도 측정을 통해 화재를 감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센서(22)는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공기 유입시 그 공기중에 포함되는 냄새를 검지한 후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제어부(60)에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하우징(10)내에서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냄새(예; 연기 냄새, 각종 악취 등)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측정기로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2 센서(22)는 화재 요소인 연기의 냄새를 검지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서 공기중에 포함되어 각종 악취를 검지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는 후술하는 향 발생부를 통해 설치장소의 공기 정화를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 3 센서(23)는 화재감지기 설치장소에서의 진동, 즉 화재감지기가 설치되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진동량을 검지한 후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제어부(60)에 전달하는 것으로, 화재를 유발하는 위험요소(예; 가스 폭발음 등)에 의한 건물내 진동 변화량을 측정하는 진동측정기로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3 센서(23)는 화재 발생으로 인한 화염이 크게 번지기 이전 단계로서, 화재 발생의 최초 발화시점으로서 폭발에 의해 화재가 발생시 그 초기상태를 진동량 검지를 통해 화재 상황을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영상부(30)는 상기 제 1 하우징(10)의 제 1 결합부(11)에 대응되는 제 2 결합부(31a)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하우징(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를 감시하여 화재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제 1 요소들(예; 연기, 화염 등)을 검지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영상부(30)는 상기 제 1 하우징(10)의 제 1 결합부(11)에 제 2 결합부(31a)를 통해 결합되고 일면에 돔부(31b)를 형성한 제 2 하우징(31)과, 상기 제 2 하우징(31)내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제어부(32)와, 상기 구동제어부(32)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는 모터(33)와, 상기 모터(33)의 구동축(33a)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33)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하는 회전판(34), 그리고 상기 회전판(34)에 설치되면서 상기 돔부(31b)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회전판(34)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부터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를 감시하고 그 감시영상을 상기 제어부(60)에 전달하는 카메라모듈(35)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영상부(30)는 평상시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를 감지하는 영상은 물론, 화재 발생시점에서의 영상을 상기 제어부(60)에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으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상기 카메라모듈(35)의 설치각도는 화재감지기를 벽면이나 천정면에 설치시 그 높이에 따라 설치장소를 음역지역없이 모두 감시할 수 있는 일정범위내의 경사각도(예; 30°∼75°)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각도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설치장소에 따라 그 경사각도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2 결합부(11)(31a)는 각각 암,수의 나사부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압방식으로서 가압돌기와 가압홈을 구성하여 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통신부(40)는 상기 제 1 하우징(10)내에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20)와 상기 영상부(30)를 통해 제 1,2 요소들에 의한 화재 감지가 이루어질 때, 사전 설정된 관제센터(100)로 통신 연결하여 화재 발생의 메세지를 실시간 자동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100)에 화재 발생 현장의 각종 음성정보와 상기 영상부(30)의 감시 영상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에, 상기 통신부(40)는, 화재 발생시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사전 설정된 관제센터(100)와의 통신연결을 시도하는 통신연결부(41)와, 상기 통신연결부(41)의 통신연결에 따라 화재 발생의 메세지를 송출하는 메세지송출부(42)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 모드에서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60)에 전달하지만, 화재 발생에 따른 비상모드에서는 상기 통신연결부(41)의 통신연결에 따라 화재현장과 관제센터(100)의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아지만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성처리부(43)를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경보음 출력부(50)는 상기 제 1 하우징(10)내에 구성되는 것으로, 화재 발생시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 하우징(10)내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부(20)와 상기 영상부(30)의 검지 정보에 따라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경보음 출력부(50)의 경보음 출력과, 상기 통신부(30)의 통신 연결 및 정보 전송과, 상기 영상부(3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내장형 메모리 또는 외장형 메모리(61)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메모리(61)에는 위치 구분을 위해 부여되는 식별코드와, 단어추출을 위한 단어정보 및, 카메라모듈(35)에 의해 감시되는 영상과 비교되는 설치장소의 기준 배경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60)에는 평상시의 모드에서 상기 음성처리부(43)에서 전달하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에서 특정단어(예; 불, 화재, 연기, 화염 등)를 추출하여 화재 발생의 초기상황을 인지한 후 이를 통신부(40)를 통해 관제센터(100)에 자동 통보하는 제 1 탐지프로그램이 탑재됨은 물론, 제 1 요소들(예; 연기, 화염 등)을 포함하는 감시영상과 상기 배경영상을 비교하여 화재 발생의 초기 상황 또는 훈소(smoldering) 화재나 발화(ignition) 화재 여부를 판단한 후 이를 통신부(40)를 통해 관제센터(100)에 자동 통보하는 제 2 탐지프로그램이 탑재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재감지기의 제 1 하우징(10)에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위치를 통신부(40)를 통해 통신연결되는 관제센터(100)에 통보하는 GPS모듈(70)이 구성되거나, 또는 통신부(40)와 관제센터(100)의 통신 연결시 그 위치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부여될 수 있는 것이며, 식별코드가 부여시 상기 관제센터(100)에는 설치할 화재감지기의 등록 절차에 따라 상기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구축한 데이터베이스(101)를 구성하여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 1 하우징(10)에는 화재감지기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서 배터리(80)와, 상기 배터리(80)의 잔량을 체크하는 제 4 센서(81)가 구성되도록 하였고, 상기 제어부(60)는 통신부(40)와 관제센터(100)의 주기적인 통신 연결시 배터리(80)의 교체 또는 충전을 위해 상기 제 4 센서(81)에 의해 체크된 배터리(80)의 잔량 정보를 상기 관제센터(100)에 통보하는 제 1 관리프로그램을 탑재하여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 1 하우징(10)내에는 기판(미도시)이 실장되고, 상기 기판에는 센서부(20)와 제어부(60)가 구성됨은 물론, 상기 기판에는 영상부(30)와 통신부(40) 및 경보음 출력부(50)를 회로적으로 연결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재감지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다기능 화재감지기를 건물내의 벽면이나 천정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평상시 모드에서는 제어부(60)가 화재감지기의 제 1 하우징(10)에 제 2 하우징(31)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영상부(30)의 구동제어부(32)를 제어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구동제어부(32)에 의해 모터(33)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모터(33)와 구동축(33a)을 통해 결합되는 회전판(34)이 연동 회전하고, 상기 회전판(34)의 회전에 따라 카메라모듈(35)은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를 음영지역없이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카메라모듈(35)에 의해 설치장소에 대한 영상 감시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화재 징후의 제 1 요소들인 연기 또는 화염이 촬영된 경우, 제어부(60)는 상기 카메라모듈(35)로부터 화재 징후가 포함되는 감시영상을 메모리(61)에 저장된 기준 배경영상 즉, 화재 징후가 없는 상태의 평상시모드에 해당하는 배경영상과 비교하게 되고, 그 비교결과 감시영상에 새로운 데이터 즉, 화재징후의 제 1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60)에 포함되는 제 2 탐지프로그램은 제 1 요소들(예; 연기, 화염 등)을 포함하는 감시영상과 상기 메모리(61)에 사전 저장하여둔 배경영상을 비교하여 화재 발생의 초기 상황 또는 훈소(smoldering) 화재나 발화(ignition) 화재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화재감지기의 제 1 하우징(10)내에 구성되는 센서부(20)의 제 3 센서(23)는 화재 징후의 제 2 요소들인 진동을 감지한 후 이를 제어부(60)에 전달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제 3 센서(23)는 화재감지기 설치장소에서의 진동, 즉 화재감지기가 설치되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진동량을 검지한 후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제어부(60)에 전달하게 되는데, 그 진동이라 함은 화재를 유발하는 위험요소(예; 가스 폭발음 등)에 의한 건물내 진동 변화량을 측정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60)에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영상부(30)에 대한 비교결과값과 상기 제 3 센서(23)에 의한 측정값을 통해 화재 발생을 초기 판단할 수 있게 되면서 통신부(40)를 활성화시키게 되고, 이에 상기 통신부(40)는 사전에 등록된 관제센터(100)로 통신을 연결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제어부(60)는 통신부(40)를 통해 관제센터(100)에 화재 감지상황을 자동 통보하게 되면서, 관제센터(100)내의 관리자들에 의한 화재 진압의 초기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하우징(10)에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위치를 통신부(40)를 통해 통신연결되는 관제센터(100)에 통보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70)이 구성되거나, 또는 메모리(61)에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있는 바, 상기 제어부(60)에서 통신부(40)를 통해 화재 감지상황을 자동 통보시 그 위치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화재 현장 파악에 따른 출동 지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화재 신고 접수시 신고자에 의한 화재 현장 위치를 제공받지 않더라도, 화재 감지상황의 자동 통보시 그 위치를 동시에 제공하므로, 관제센터(100)에서는 화재 진압 출동요원의 출동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제센터(100)는 건물내의 거주자가 사전 등록하는 것으로, 소방소와 경찰서와 같은 유관기관을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적으로 건물 관리자에게도 화재 발생 상황을 통보할 수 있도록 건물 관리자를 복수로 사전 등록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영상부(30)를 통한 화재 발생의 초기상황을 탐지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어부(60)에 탑재된 제 1 탐지프로그램은 평상시의 모드에서 통신부(40)에 포함되는 음성처리부(43)에서 전달하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에서 특정단어(예; 불, 화재, 연기, 화염 등)를 추출하여 화재 발생의 초기상황을 인지할 수도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제어부(60)는 통신부(40)를 통해 관제센터(100)에 화재 발생의 초기 상황을 자동 통보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40)의 음성처리부(43)는 평상시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특정단어의 음성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제어부(60)에 추출된 특정단어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재감지기는 영상 또는 음성정보 또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진동량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의 초기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를 통신부(40)를 통해 관제센터(100)에 신속하게 자동 통보함으로써, 관제센터(100)에서의 화재 진압을 위한 후속조치가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영상 및 음성정보 또는 진동량을 활용한 화재 발생의 초기상황이 관제센터(100)에 자동 통보된 상태에서, 화재로 인한 연기와 화염은 계속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바,
상기 제 1 하우징(10)에 구성되는 센서부(20)의 제 1,2 센서(21)(22)는 연기 및 그 연기에 포함되는 냄새를 측정한 후 이를 제어부(60)에 전달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어부(60)는 화재의 진행상황 즉, 초기 화재 발생으로부터 연기 및 그 연기에 포함되는 냄새의 확산시간을 계산하여 화재의 진행상황을 통신부(40)를 통해 관제센터(100)에 자동 통보하고, 이에따라 관제센터(100)는 초기 화재의 자동 통보로부터 출동이 이루어진 진압요원에게 화재의 진행상황을 알려줄 수 있게 되면서, 화재 장소로의 도착이 이루어질 때까지 화재 진압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것이며, 그 수립된 계획으로부터 화재 현장에서의 화재 진압이 보다 정교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화재 현장에서의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면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의 제 1 하우징(10)에는 화재감지기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서 배터리(80)와, 상기 배터리(80)의 잔량을 체크하는 제 4 센서(81)가 구성되는데, 제어부(60)는 평상시모드에서 통신부(40)와 관제센터(100)를 주기적으로 통신 연결하도록 하였으며, 이는 상기 제어부(60)에 탑재된 제 1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제 4 센서(81)에 의해 체크된 배터리(80)의 잔량 정보를 상기 관제센터(100)에 통보함으로써, 상기 배터리(80)의 교체 또는 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재감지기가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재감지기는, 화재의 초기 상황과 진행상황을 영상부(30)와 센서부(2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감지상황을 통신부(40)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제센터(100)에 메세지로서 자동 통보함은 물론, 화재현장과 관제센터(100)가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제센터(100)에서 초기 화재 발생 상황은 물론 그 화재의 확산 진행상황을 모두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으로부터 화재진압 요원의 출동은 물론, 출동된 화재 진압요원에게 실시간으로 화재 상황을 알려주면서, 화재 현장에 화재진압 요원이 도착시, 화재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압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하여, 화재현장에서의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키는 기술적 특징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재감지기에는 평상시모드에서 공기중 악취에 의한 설치장소를 정화시키는 향 분사부(90)를 상기 화재감지기의 제 1 하우징(10)에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향 분사부(90)는 상기 제 1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 향을 분사할 수 있는 것으로, 제 3 하우징(91), 용기부(92), 블로워 모터(94)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3 하우징(91)은 상기 제 1 하우징(1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향의 분사를 위한 토출구(9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하우징(10)에는 제 3 결합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제 3 하우징(91)에는 상기 제 3 결합부(13)에 대응하는 제 4 결합부(91b)를 형성하여, 상기 제 3,4 결합부(13)(91b)의 결합력으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10)과 제 3 하우징(91)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상기 제 3,4 결합부(13)(91b)는 각각 암,수의 나사부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압방식으로서 가압돌기와 가압홈을 구성하여 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용기부(92)는 상기 제 3 하우징(91)내에서 교체가 가능한 것으로, 일정량의 향액을 저장하여둔 것이다.
상기 블로워 모터(94)는 상기 제 3 하우징(91)내에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부(92)로부터 발산되는 향액을 상기 제 3 하우징(91)의 토출구(91a)로 토출시키도록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92)에는 향액을 흡수한 후 이를 상기 블로워 모터(94)로 가이드하는 흡수재(9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블로워 모터(94)는 상기 용기부(92)로부터 발산되는 향액은 물론, 상기 흡수재(93)에 흡수된 향액을 상기 제 3 하우징(91)의 토출구(91a)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향 분사부(90)는 평상시모드에서 센서부(20)에 포함되는 제 2 센서(22)로부터 악취가 검지되고 그 검지된 신호가 제어부(60)에 전달될 때, 상기 제어부(60)가 블로워 모터(94)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향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에는 센서부(20)에 의해 제 2 요소들(예; 냄새, 진동 등)이 검지될 때, 그 검지정보가 화재 요소인지 공기 오염 요소인지를 판단하고, 오염원 존재시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를 정화시키도록 상기 향 발생부(90)의 향 분사를 제어하게 되는 제 2 관리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여둔 것이며, 상기 제 2 관리프로그램은 제 2 요소들의 분석시 화재 요소가 아니면 모두 공기 오염 요소로 판단하고, 상기 공기 오염 요소는 발생시점에서 메모리(61)에 저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향 분사부(90)를 통해 분사된 향이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같은 냄새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화재감지기에 향 분사부를 적용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였지만, 상기 화재감지기에 상기 향분사부는 물론 영상부를 함께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기능 화재감지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제 1 하우징 11; 제 1 결합부
12; 유입구 13; 제 3 결합부
20; 센서부 21; 제 1 센서
22; 제 2 센서 23; 제 3 센서
30; 영상부 31; 제 2 하우징
31a; 제 2 결합부 31b; 돔부
32; 구동제어부 33; 모터
33a; 구동축 34; 회전판
35; 카메라모듈 40; 통신부
41; 통신연결부 42; 메세지송출부
43; 음성처리부 50; 경보음출력부
60; 제어부 61; 메모리
70; GPS모듈 80; 배터리
81; 제 4 센서 90; 향 분사부
91; 제 3 하우징 91a; 토출구
91b; 제 4 결합부 92; 용기부
93; 흡수재 94; 블로워 모터
100; 관제센터 101;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1. 제 1 결합부와 유입구를 가지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화재 발생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제 1 요소들과 제 2 요소들을 검지하는 센서부;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결합부에 대응되는 제 2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화재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제 1 요소들을 검지하도록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를 감시하는 영상부;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영상부를 통해 제 1,2 요소들에 의한 화재 감지가 이루어질 때, 사전 설정된 관제센터로 통신 연결하여 화재 발생의 메세지를 실시간 자동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에 화재 발생 현장의 각종 음성정보와 상기 영상부의 감시 영상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화재 발생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 및,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영상부의 검지 정보에 따라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경보음 출력부의 경보음 출력과, 상기 통신부의 통신 연결 및 정보 전송과, 상기 영상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위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관제센터에 통보하는 GPS모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2. 제 1 결합부와 유입구를 가지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화재 발생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제 1 요소들과 제 2 요소들을 검지하는 센서부;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제 1,2 요소들에 의한 화재 감지가 이루어질 때, 사전 설정된 관제센터로 통신 연결하여 화재 발생의 메세지를 실시간 자동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에 화재 발생 현장의 각종 음성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화재 발생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 및,
    상기 제 1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의 검지 정보에 따라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경보음 출력부의 경보음 출력과, 상기 통신부의 통신 연결 및 정보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 대한 공기 정화를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시간마다 향을 분사하는 향 발생부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검지한 후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 1 센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 유입시 그 공기중에 포함되는 냄새를 검지한 후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 2 센서; 및,
    화재감지기 설치장소에서의 진동을 검지한 후 그 검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 3 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결합부에 제 2 결합부를 통해 결합되고 일면에 돔부를 형성한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내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제어부;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면서 상기 돔부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회전판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부터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를 감시하고 그 감시영상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카메라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위치를 통신부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관제센터에 통보하는 GPS모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통신부와 관제센터의 통신 연결시 그 위치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관제센터에는 설치할 화재감지기의 등록 절차에 따라 상기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화재 발생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사전 설정된 관제센터와의 통신연결을 시도하는 통신연결부;
    상기 통신연결부의 통신연결에 따라 화재 발생의 메세지를 송출하는 메세지송출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 모드에서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화재 발생에 따른 비상모드에서는 상기 통신연결부의 통신연결에 따라 화재현장과 관제센터의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도록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성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평상시의 모드에서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전달하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에서 화재에 관련한 특정단어를 추출하여 화재 발생의 초기상황을 인지한 후 이를 통신부를 통해 관제센터에 자동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탐지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내장형 메모리 또는 외장형 메모리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메모리에는 위치 구분을 위해 부여되는 식별코드와, 단어추출을 위한 단어정보 및, 카메라모듈에 의해 감시되는 영상과 비교되는 설치장소의 기준 배경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제 1 요소들을 포함하는 감시영상과 상기 배경영상을 비교하여 화재 발생의 초기 상황 또는 훈소(smoldering) 화재나 발화(ignition) 화재 여부를 판단한 후 이를 통신부를 통해 관제센터에 자동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탐지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화재감지기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는 제 4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와 관제센터의 주기적인 통신 연결시 배터리의 교체 또는 충전을 위해 상기 제 4 센서에 의해 체크된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상기 관제센터에 통보하는 제 1 관리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에 대한 공기 정화를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시간마다 향을 분사하는 향 발생부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11. 제 2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향 발생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고, 토출구를 형성한 제 3 하우징;
    상기 제 3 하우징내에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고, 일정량의 향액을 저장하는 용기부;
    상기 제 3 하우징내에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용기부로부터 발산되는 향액을 상기 제 3 하우징의 토출구로 토출시키도록 회전 구동하는 블로워 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센서부에 의해 제 2 요소들이 검지될 때, 그 검지정보가 화재 요소인지 공기 오염 요소인지를 판단하고, 오염원 존재시 화재감지기의 설치장소를 정화시키도록 상기 향 발생부의 향 분사를 제어하게 되는 제 2 관리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 2 관리프로그램은 제 2 요소들의 분석시 화재 요소가 아니면 모두 공기 오염 요소로 판단하고, 상기 공기 오염 요소는 발생시점에서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제 3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3 하우징에는 상기 제 3 결합부에 대응하는 제 4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감지기.
KR1020150037513A 2015-03-18 2015-03-18 다기능 화재감지기 KR10156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513A KR101563655B1 (ko) 2015-03-18 2015-03-18 다기능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513A KR101563655B1 (ko) 2015-03-18 2015-03-18 다기능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655B1 true KR101563655B1 (ko) 2015-10-27

Family

ID=5442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513A KR101563655B1 (ko) 2015-03-18 2015-03-18 다기능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65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689B1 (ko) 2017-03-24 2017-09-08 (주)중앙유비쿼터스 비상문 제어장치
WO2017172123A1 (en) * 2016-04-01 2017-10-05 Intel Corporation Sensing technologies in alarm devices
CN109272701A (zh) * 2018-10-27 2019-01-25 上海国际机场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监控的火灾探测器
KR101989044B1 (ko) 2019-02-21 2019-06-13 한국토지주택공사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KR101996753B1 (ko) * 2018-02-27 2019-10-01 선린대학 산학협력단 Ict 기반 화재경보기
KR102190600B1 (ko) * 2019-09-27 2020-12-14 윤상헌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
KR102209213B1 (ko) * 2020-07-27 2021-01-29 (주)지여이앤씨 스프링클러 관리를 위한 소방관제용 정보통신 시스템
CN113205659A (zh) * 2021-03-19 2021-08-03 武汉特斯联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火灾识别方法和***
EP4036885A1 (en) * 2021-02-02 2022-08-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buried person in a building after a collapse of the build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5857A (ja) 2007-03-13 2008-09-25 Yamaguchi Univ 火災発生時間を予測可能な火災警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5857A (ja) 2007-03-13 2008-09-25 Yamaguchi Univ 火災発生時間を予測可能な火災警報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5763B2 (en) 2016-04-01 2021-01-05 Intel Corporation Sensing technologies in alarm devices
WO2017172123A1 (en) * 2016-04-01 2017-10-05 Intel Corporation Sensing technologies in alarm devices
KR101776689B1 (ko) 2017-03-24 2017-09-08 (주)중앙유비쿼터스 비상문 제어장치
KR101996753B1 (ko) * 2018-02-27 2019-10-01 선린대학 산학협력단 Ict 기반 화재경보기
CN109272701A (zh) * 2018-10-27 2019-01-25 上海国际机场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监控的火灾探测器
CN109272701B (zh) * 2018-10-27 2024-04-16 上海国际机场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监控的火灾探测器
KR101989044B1 (ko) 2019-02-21 2019-06-13 한국토지주택공사 조명등과 연동한 리셋 기능이 구비된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US11189146B2 (en) 2019-02-21 2021-11-30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Fire detector having reset function linked with lamp and fire warning method using same
KR102190600B1 (ko) * 2019-09-27 2020-12-14 윤상헌 화재감지기와 결합된 소음 측정기
KR102209213B1 (ko) * 2020-07-27 2021-01-29 (주)지여이앤씨 스프링클러 관리를 위한 소방관제용 정보통신 시스템
EP4036885A1 (en) * 2021-02-02 2022-08-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buried person in a building after a collapse of the building
US11545020B2 (en) 2021-02-02 2023-01-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buried person in a building after a collapse of the building
CN113205659A (zh) * 2021-03-19 2021-08-03 武汉特斯联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火灾识别方法和***
CN113205659B (zh) * 2021-03-19 2022-09-20 武汉特斯联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火灾识别方法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655B1 (ko) 다기능 화재감지기
US10726700B2 (en) Modular carbon monoxide poisoning prevention system
KR101204008B1 (ko)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7592923B2 (en) Smoke detection and laser escape indication system utilizing a control master with base and satellite stations
EP1012801B1 (en) Remot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KR101175202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EP2008256B1 (en) Wireless linking of smoke/co detection units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RU2357776C2 (ru) Система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 поезде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CN100470597C (zh) 安防监控***
CN101918084B (zh) 用于具有吊扇的建筑物的防火***
KR101796054B1 (ko)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화재 감지 시스템
JP2007280167A (ja) 空気調和機
KR101252570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화재 속보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통합 속보기
JP7249260B2 (ja) 緊急事態通知システム
CN114555192A (zh) 可安装在墙壁的喷头单元
JP5026932B2 (ja) 放火火災予防装置
KR20210107947A (ko) 공동주택용 무선 화재 감시로봇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US6229449B1 (en) Detector apparatus
US20110074590A1 (en) Smoke detector with wireless muting system
KR10239597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JP5497306B2 (ja) 火災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