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584B1 -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584B1
KR102447584B1 KR1020220068996A KR20220068996A KR102447584B1 KR 102447584 B1 KR102447584 B1 KR 102447584B1 KR 1020220068996 A KR1020220068996 A KR 1020220068996A KR 20220068996 A KR20220068996 A KR 20220068996A KR 102447584 B1 KR102447584 B1 KR 10244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unit
tumbler
washing
clea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김태준
Original Assignee
김태훈
김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김태준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220068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47L15/3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rota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텀블러용 뚜껑을 수용하며, 축 회전되는 뚜껑세척부; 상기 뚜껑세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뚜껑세척부에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상기 뚜껑세척부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외력이 상기 모터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력단속부재; 및 상기 뚜껑세척부가 어느 특정 방향으로만 개폐되도록 상기 뚜껑세척부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잠금롤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TUMBLER LID WASHER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은 텀블러용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텀블러용 뚜껑 세척 장치의 구조와 개폐 방식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사에 따르면, 스타벅스(커피 전문점)는 1회용 종이컵에 의한 환경 문제를 줄이기 위해 이를 단계적으로 퇴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험 중에 있다. 이런 친환경 캠페인에 따라 개인용 컵, 즉 텀블러의 사용 또한 급증하는 추세이다. 텀블러(Tumbler)는 컵과, 컵의 개방 부분을 덮어서 음료수를 보호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텀블러는 대부분 스테인리스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보온, 보냉 성능을 제공한다.
한편, 요즘 텀블러에 대한 제조 업체가 많아지면서, 텀블러용 빨대를 구비한 컵과 뚜껑이 하나의 세트(set)로 유통되기도 한다. 다만, 텀블러는 휴대하면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한 바, 깨끗한 세척과 아울러 위생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텀블러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좁고 깊은 컵 형태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식기나 용기에 비해 세척이 어렵다. 또한, 텀블러는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컵과 뚜껑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거꾸로 세워두고 완전하게 건조시켜야 한다.
텀블러의 세척은 기존 식기 세척기를 이용하거나 인력에 의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현재 공공장소 또는 커피 전문점 등 업소에는 텀블러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장치가 전무하다. 따라서, 텀블러 사용자는 스스로 컵 등을 세척한 후, 재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상당한 번거로움으로 인해 텀블러의 보편적 사용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03315호 텀블러 세척기 및 텀블러를 이용한 연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Tumbler cleaner,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tion service using tumble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09819호 텀블러 및 빨대 동시 세척 가능한 일체형 세척 솔{Integral wash brush for simultaneous washing of tumblers and straw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0520호 텀블러 세척 장치{TUMBLER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어느 개방 영역 내에서 뚜껑세척부가 자동 개방되며, 개방되지 않을 시에는 모터부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뚜껑세척부의 개폐 속도, 강도 등을 조절하여,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피세척물에 균일하게 분사되면서도, 동시에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텀블러용 뚜껑에 대한 세척 과정이 종료된 이후 뚜껑을 인출할 때,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텀블러용 뚜껑을 수용하며, 축 회전되는 뚜껑세척부; 상기 뚜껑세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뚜껑세척부에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상기 뚜껑세척부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외력이 상기 모터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력단속부재; 및 상기 뚜껑세척부가 어느 특정 방향으로만 개폐되도록 상기 뚜껑세척부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잠금롤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뚜껑세척부는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원판; 상기 지지원판 사이에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며,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원판 중 어느 하나에는 호 형상의 가이드홀이 환형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판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뚜껑세척부가 자동 개방되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세척부는상기 잠금롤러부에 의해 상기 개폐판이 가압되어 폐쇄되며, 상기 개폐판은 상기 잠금롤러부가 배치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자동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원판에는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일 단부가 결합되는 방사형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단속부재는 휠(wheel)부; 상기 휠부의 일 측면에 환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구동력의 전달 매개가 되는 매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부의 중앙에는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이 끼움 결합되어 직결되도록 하는 직결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개돌기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는 어느 개방 영역 내에서 뚜껑세척부가 자동 개방되며, 개방되지 않을 시에는 모터부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뚜껑세척부의 개폐 속도, 강도 등을 조절하여,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피세척물에 균일하게 분사되면서도, 동시에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또한, 텀블러용 뚜껑에 대한 세척 과정이 종료된 이후 뚜껑을 인출할 때,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용 뚜껑 세척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뚜껑세척부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세척부의 힌지축과 지지원판의 결합 방식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동력단속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와 동력단속부재 사이의 결합 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부재와 지지원판의 결합 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부재의 매개돌기부와 뚜껑세척부의 가이드홀의 결합 방식 및 작동 방식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롤러부의 배치 구조와 그에 따라 개방되는 뚜껑세척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용 뚜껑 세척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용 뚜껑 세척 장치는 뚜껑세척부(100), 모터부(200), 동력단속부재(300) 및 잠금롤러부(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뚜껑세척부(100)는 특히 텀블러용 뚜껑을 세척하는 구성요소이다. 뚜껑세척부(100)는 텀블러용 뚜껑을 수용하며, 축 회전된다. 도 1을 살펴보면, 뚜껑세척부(100)는 챔버(chamber) 형상으로 텀블러용 뚜껑이 챔버 내측으로 인입되면 회전 과정에서 세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세척은 세척(washing)뿐만 아니라, 헹굼(rinsing)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뚜껑세척부(100)는 미리 설정되는 속도로 회전되어,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텀블러용 뚜껑에 균등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을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서, 뚜껑세척부(100)의 둘레에는 잠금롤러부(400)가 배치된다. 잠금롤러부(400)는 뚜껑세척부(100)의 외측면 즉, 개폐판(130)을 가압하여 뚜껑세척부(100)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뚜껑세척부(100)는 잠금롤러부(400)가 배치되지 않은 일 방향으로만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뚜껑세척부(100)는 상측 방향으로 열리면서 개방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뚜껑 세척 장치는 뚜껑에 대한 세척 완료 시, 뚜껑세척부(100)가 자동 개방되도록 회전수 및 정지 상태에서의 회전 각도 등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뚜껑세척부(100)가 미리 설정된 회전 각도만큼 회전되지 않고 정지되는 경우, 뚜껑세척부(100)의 개폐판(130)은 전부 잠금롤러부(400)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여러 사정으로 세척 과정에서 중간에 세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뚜껑세척부(100)를 개방시키기 위해 뚜껑세척부(100)를 임의로 조작하는 경우, 모터부(200) 등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뚜껑세척부(100)가 모터부(200)에 직결될 경우, 사용자가 뚜껑세척부(100)에 외력을 가하여 강제로 개방하거나 회전시키면, 모터부(200)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동력단속부재(300)를 사용하여 모터부(200)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뚜껑세척부(100)를 회전시켜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동력단속부재(300)는 뚜껑 세척 장치가 작동하는 중에 뚜껑세척부(100)에 구동력을 전달하지만, 작동이 정지되어 사용자에 의해 뚜껑세척부(1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경우, 그 회전력이 모터부(20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세척부(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뚜껑세척부(100)는 세척을 위해 텀블러용 뚜껑을 수용하며, 동력단속부재(300)에 의해 전달받은 구동력으로 회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뚜껑세척부(100)는 지지원판(110), 힌지축(120), 개폐판(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원판(1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원판(11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114)이 환형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14)은 호 형상의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홀(114)은 모터부(200)의 구동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즉, 뚜껑세척부(1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이드홀(114)에 해당되는 호 형상의 각도 범위 이내에서 뚜껑세척부(1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힌지축(120)은 지지원판(110) 사이에 환형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원판(110)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뚜껑세척부(100)의 양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개폐판(130)은 힌지축(120)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개폐판(130)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개폐판(130)에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개구는 뚜껑세척부(100) 내부에서 세척 또는 헹굼 과정이 진행된 이후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지지원판(110) 사이에 복수 개의 개폐판(130)이 결합되면, 뚜껑세척부(100)는 챔버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개폐판(130)은 적어도 2개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판(130)은 4개가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뚜껑세척부(100)는 비틀림스프링(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힌지축(120)의 일 단부에 결합된 비틀림스프링(122)과 지지원판(110)에 형성되는 걸림홀(112)의 결합 관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비틀림스프링(122)이 힌지축(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틀림스프링(122)은 탄성력으로 힌지축(120)에 결합된 개폐판(130)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뚜껑세척부(10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지지원판(110)에는 힌지축(120)과 지지원판(110)이 결합되는 위치에 걸림홀(112)이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틀림스프링(122)의 일 단부는 걸림홀(1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비틀림스프링(122)이 장시간 사용되어 탄성력이 저하되는 경우, 뚜껑세척부(10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걸림홈의 위치를 변경하여 비틀림스프링(122)을 결합하면 사용자가 기대하는 수준의 탄성력을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개폐판(130)의 자동 개방 과정에서 개폐 속도 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모터부(200)는 뚜껑세척부(1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모터부(200)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210)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축(210)의 회전 속도, 회전 주기 등은 세척 또는 헹굼 과정에서 미리 설정되는 알고리즘 등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터부(200)는 뚜껑세척부(10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모터부(200)는 침수 방지를 위해서 뚜껑세척부(100)가 배치된 공간과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부재(3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동력단속부재(300)는 뚜껑세척부(100)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뚜껑세척부(100)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외력이 모터부(2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동력단속부재(300)는 휠(wheel)부(310), 매개돌기부(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휠부(310)는 복수 개의 스포크(바퀴살)를 포함하는 바퀴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런 휠부(310)의 일 측면에는 매개돌기부(320)가 환형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매개돌기부(320)는 뚜껑세척부(100)의 가이드홀(114)에 결합되어, 동력단속부재(300)와 뚜껑세척부(100) 사이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매개돌기부(320)의 개수는 가이드홀(114)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개돌기부(320)는 중공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매개돌기부(320)의 외경 지름은 가이드홀(114)의 내부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휠부(310)의 중앙에는 직결공(3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휠부(310)는 직결공(312)을 통해 모터부(200)의 구동축(210)과 끼움 결합되어 모터부(200)와 직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직결공(312)의 모양은 이에 연결되는 모터부(200)의 구동축(210)의 단면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동력단속부재(300)와 지지원판(110)이 결합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뚜껑세척부(100)는 동력단속부재(300)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개돌기부(320)는 지지원판(110)의 가이드홀(114)과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동력단속부재(300)가 모터부(200)의 구동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홀(114)과 결합된 매개돌기부(320)는 가이드홀(114) 내부에서 가이드홀(114)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매개돌기부(320)는 가이드홀(114)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원판(110)은 매개돌기부(320)가 접촉되는 어느 일단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뚜껑세척부(100)는 매개돌기부(320)에 의해 모터부(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7은 매개돌기부(320)와 결합된 지지원판(110)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매개돌기부(320)가 고정된 상태일 때, 지지원판(110)은 매개돌기부(320)가 가이드홀(114)의 양단에 접촉되기 전까지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모터부(200)의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 모터부(200)와 직결된 동력단속부재(300)의 회전도 중단된다. 그러나, 이 때, 뚜껑세척부(100)는 개폐판(130)이 자동 개방될 수 있는 회전 각도만큼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뚜껑세척부(100)의 개폐판(130)은 전부 잠금롤러부(400)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일 실시예에서, 뚜껑세척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어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정지 상태의 뚜껑세척부(1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이드홀(114)이 형성된 지지원판(110) 역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된다. 여기서, 뚜껑세척부(100)가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는 최대 각도는 가이드홀(114)의 양단이 이루는 각도 또는 가이드홀(114)의 곡선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매개돌기부(320)는 회전이 중단된 그 위치에 고정되며 뚜껑세척부(100)의 수동 회전에 의해 그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뚜껑세척부(100)는 모터부(200)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일정 각도 범위 이내에서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롤러부(400)의 배치 구조에 대한 정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롤러부(400)는 본 발명이 설치되는 텀블러 세척기의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살펴보면, 개폐판(130)은 잠금롤러부(400)가 배치되지 않은 방향으로 개방되되, 잠금롤러(410)와 접촉되는 각도 이내에서 최대한 개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롤러부(400)는 복수 개의 잠금롤러(410)를 포함한다. 잠금롤러(410)는 뚜껑세척부(100)가 어느 특정 방향으로만 개폐되도록 뚜껑세척부(100)의 둘레(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배치되는 잠금롤러(410)의 개수 및 그 위치 등은 뚜껑세척부(100)가 폐쇄될 수 있도록 설정되며,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뚜껑세척부(1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개폐판(130)은 잠금롤러(410)와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잠금롤러(410)는 개폐판(130)과 구름 접촉되어 마찰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동시에, 개폐판(130)은 접촉된 잠금롤러(410)에 의해 가압되어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비틀림스프링(122)의 탄성력은 잠금롤러(410)가 가하는 압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세척부(100)가 개방되지 않는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잠금롤러(410) 간의 배치 간격은 개폐판(130)의 곡선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롤러(410)는 뚜껑세척부(100)가 개방되는 방향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개방되는 개폐판에 개방되기 직전까지 접촉되는 잠금롤러(R1)와 개방된 개폐판에 접촉되는 잠금롤러(R2) 사이의 제1간격은 개폐판(130)의 곡선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간격 사이에 개폐판(130)이 위치하면, 개폐판(130)은 비틀림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 개방될 수 있다.
한편, 개폐판(130)은 개방되는 방향에서 가장 가깝게 위치한 잠금롤러, 즉, 개방된 개폐판이 접촉되는 잠금롤러(R2)와 접촉될 때까지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개방된 개폐판(130)은 뚜껑세척부(100)가 다시 회전되면 잠금롤러(410)에 의해 다시 폐쇄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뚜껑세척부(100)는 개폐판(130)이 개방된 개폐판이 접촉되는 잠금롤러(R2)에 걸리는 등의 이유로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개폐판(130)이 개방된 개폐판이 접촉되는 잠금롤러(R2)는 뚜껑세척부(100)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뚜껑세척부 200: 모터부
300: 동력단속부재 400: 잠금롤러부

110: 지지원판 112: 걸림홀
114: 가이드홀 120: 힌지축
122: 비틀림스프링 130: 개폐판
210: 구동축

310: 휠부 320: 매개돌기부
312: 직결공
410: 잠금롤러
R1: 개방되는 개폐판에 개방되기 직전까지 접촉되는 잠금롤러
R2: 개방된 개폐판이 접촉되는 잠금롤러

Claims (7)

  1. 텀블러용 뚜껑을 수용하며, 축 회전되는 뚜껑세척부;
    상기 뚜껑세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뚜껑세척부에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상기 뚜껑세척부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외력이 상기 모터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력단속부재; 및
    상기 뚜껑세척부가 어느 일 방향으로만 개폐되도록 상기 뚜껑세척부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잠금롤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세척부는
    한 쌍의 지지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원판 중 어느 하나에는 호 형상의 가이드홀이 환형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 세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세척부는
    상기 지지원판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한 개폐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판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뚜껑세척부가 자동 개방되도록 하는 비틀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세척부는
    상기 잠금롤러부에 의해 가압되어 폐쇄되며,
    상기 잠금롤러부가 배치되지 않은 방향으로 자동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단속부재는
    휠(wheel)부; 및
    상기 휠부의 일 측면에 환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구동력의 전달 매개가 되는 매개돌기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의 중앙에는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이 끼움 결합되어 직결되도록 하는 직결공이 형성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단속부재는
    휠(Wheel)부; 및 상기 휠부의 일 측면에 환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구동력의 전달 매개가 되는 매개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개돌기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각각 결합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KR1020220068996A 2022-06-07 2022-06-07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KR10244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96A KR102447584B1 (ko) 2022-06-07 2022-06-07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96A KR102447584B1 (ko) 2022-06-07 2022-06-07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584B1 true KR102447584B1 (ko) 2022-09-27

Family

ID=8345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996A KR102447584B1 (ko) 2022-06-07 2022-06-07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511B1 (ko) 2023-03-17 2023-09-11 김승섭 다기능 용기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재사용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4915A (ja) * 2010-06-21 2012-02-09 Taiyu Kk 回転ドラム装置
KR101166436B1 (ko) * 2012-03-27 2012-07-19 (주)금성주방 초음파 수저 세척기
KR101803315B1 (ko) 2016-06-21 2017-11-30 주식회사 바럽 텀블러 세척기 및 텀블러를 이용한 연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70520B1 (ko) 2018-12-10 2019-04-19 김훈 텀블러 세척 장치
KR20220009819A (ko) 2020-07-16 2022-01-25 오재승 텀블러 및 빨대 동시 세척 가능한 일체형 세척 솔
JP7025022B2 (ja) * 2016-01-11 2022-02-24 ザ ロックフェラー ユニバーシティー 骨髄系由来抑制細胞関連障害の治療のための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4915A (ja) * 2010-06-21 2012-02-09 Taiyu Kk 回転ドラム装置
KR101166436B1 (ko) * 2012-03-27 2012-07-19 (주)금성주방 초음파 수저 세척기
JP7025022B2 (ja) * 2016-01-11 2022-02-24 ザ ロックフェラー ユニバーシティー 骨髄系由来抑制細胞関連障害の治療のための方法
KR101803315B1 (ko) 2016-06-21 2017-11-30 주식회사 바럽 텀블러 세척기 및 텀블러를 이용한 연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70520B1 (ko) 2018-12-10 2019-04-19 김훈 텀블러 세척 장치
KR20220009819A (ko) 2020-07-16 2022-01-25 오재승 텀블러 및 빨대 동시 세척 가능한 일체형 세척 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511B1 (ko) 2023-03-17 2023-09-11 김승섭 다기능 용기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재사용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7584B1 (ko)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텀블러용 뚜껑의 세척 장치
KR20100031385A (ko) 드럼 세척 장치를 갖는 세탁기
JP3445076B2 (ja) 揺動カンの駆動ヘッド
US7293437B2 (en) Gasket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KR20060040891A (ko) 세탁기의 드럼 도어 자동 개폐장치
US1124833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44170B1 (ko) 텀블러 세척기용 세척 유닛
AU2017393107B2 (en) Device for drying and polishing items such as glasses and cutlery
JPS62222479A (ja) デイスククリ−ナ
AU202020053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H10118382A (ja) 電気洗濯機
KR101913266B1 (ko) 세척수 및 세제를 구비한 회전식 과일 세척기구
CN108451373B (zh) 一种盖体开合阻尼限位装置及烹饪器具
JP2542168Y2 (ja) バレル研磨機の蓋体
KR102432884B1 (ko) 텀블러 세척기의 뚜껑세척챔버 개폐장치
KR930005853Y1 (ko) 그릇 세척기
CN218345754U (zh) 一种布料表面毛屑清理加工机械
KR20150005311A (ko) 세탁기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N111118835B (zh) 一种阻尼结构及衣物处理设备
CN114737368B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控制方法
JPH06225951A (ja) ゴルフクラブのグリップ洗浄装置
CN210541466U (zh) 一种带有毛刷的洗鞋机内桶
KR100292268B1 (ko) 드럼세탁기용도어
KR100777277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힌지장치
WO2020135984A1 (en) A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comprising a door with changeable opening di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