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544B1 -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544B1
KR102445544B1 KR1020180038067A KR20180038067A KR102445544B1 KR 102445544 B1 KR102445544 B1 KR 102445544B1 KR 1020180038067 A KR1020180038067 A KR 1020180038067A KR 20180038067 A KR20180038067 A KR 20180038067A KR 102445544 B1 KR102445544 B1 KR 10244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t
content
external device
image sig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256A (ko
Inventor
오승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544B1/ko
Priority to CN201980022714.3A priority patent/CN111937405B/zh
Priority to PCT/KR2019/003554 priority patent/WO2019194457A1/en
Priority to US16/369,208 priority patent/US11284147B2/en
Priority to EP19166298.0A priority patent/EP3550846A1/en
Publication of KR2019011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 G06F9/300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to perform operations on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lor Prin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유선 연결되는 접속부;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부; 및 접속부를 통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중 통신부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를 제1 형식과는 다른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HDR 컨텐츠를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하여 표시하는 외부장치에서 영상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A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명암비가 향상된 영상이 처리 가능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의 눈과 유사하게 자연스러운 영상을 보여주는 컨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컨텐츠를 생성하는 카메라 등의 촬영기기의 성능이 고도화되고 있으며, 일례로서, HDR(High Dynamic Range) 컨텐츠와 같이 명암, 선명도, 휘도 등의 표현 범위를 보다 세밀하게 분석한 고휘도 영상 컨텐츠가 있다.
광학디스크 재생장치와 같은 전자장치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와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HDR 컨텐츠를 텔레비전(TV)과 같은 외부장치로 제공한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자장치는 무선통신에 의해 외부장치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무선통신에 의해 영상데이터를 제공받는 외부장치의 경우, 그 사양에 따라 HDR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장치에서 전송받은 HDR 컨텐츠를 정상적으로 표현하지 못하여 영상 왜곡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HDR 컨텐츠를 무선통신에 의해 수신하여 표시하는 외부장치에서 영상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외부장치의 HDR 컨텐츠 지원 여부에 따라,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는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유선 및 무선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외부장치에서 영상의 표시가 동기화될 수 있는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유선 연결되는 접속부;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부; 및 접속부를 통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중 통신부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1 형식과는 다른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외부장치에서 영상 왜곡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며,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뿐 아니라 유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도 해당 영상 컨텐츠를 문제없이 시청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는, 접속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 영상처리부 및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제2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중인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계속 처리하도록 제1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처리된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컨텐츠 자체가 가지는 향상된 품질로 영상이 표시된다.
프로세서는, 외부장치에서의 컨텐츠의 표시지연시간을 식별하고, 식별된 표시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지연시켜, 외부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컨텐츠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외부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동기화되어 표시된다.
프로세서는,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 설정, 외부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설정, 또는 외부장치에서 무선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통신부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유선 연결되는 접속부;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부; 및 접속부를 통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중 통신부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외부장치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1 형식과는 다른 제 2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외부장치에서 영상 왜곡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며,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뿐 아니라 유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도 해당 영상 컨텐츠를 문제없이 시청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는, 접속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 영상처리부 및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식별 결과에 대응하여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제2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가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접속부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더 식별하고,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중인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계속 처리하도록 제1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처리된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컨텐츠 자체가 가지는 향상된 품질로 영상이 표시된다.
프로세서는, 외부장치에서의 영상 컨텐츠의 표시지연시간을 식별하고, 식별된 표시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지연시켜, 외부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컨텐츠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외부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동기화되어 표시된다.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의 식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장치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과정을 통해 무선 연결된 장치의 지원 가능한 컨텐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 설정, 외부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설정, 또는 외부장치에서 무선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통신부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유선 연결된 접속부를 통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중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1 형식과는 다른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외부장치에서 영상 왜곡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며,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뿐 아니라 유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도 해당 영상 컨텐츠를 문제없이 시청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접속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 영상처리부 및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단계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 영상처리부에 의해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중인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1 영상처리부에 의해 계속 처리하는 단계; 및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컨텐츠 자체가 가지는 향상된 품질로 영상이 표시된다.
외부장치에서의 컨텐츠의 표시지연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표시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지연시켜 외부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컨텐츠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외부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동기화되어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유선 연결된 접속부를 통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중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외부장치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1 형식과는 다른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외부장치에서 영상 왜곡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며,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뿐 아니라 유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도 해당 영상 컨텐츠를 문제없이 시청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접속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 영상처리부 및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단계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계속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컨텐츠 자체가 가지는 향상된 품질로 영상이 표시된다.
외부장치에서의 컨텐츠의 표시지연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표시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컨텐츠를 지연시켜, 외부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컨텐츠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외부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동기화되어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서, 방법은, 유선 연결된 접속부를 통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중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1 형식과는 다른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외부장치에서 영상 왜곡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며,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뿐 아니라 유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도 해당 영상 컨텐츠를 문제없이 시청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따르면, 전자장치에서 무선통신의 활성화가 감지되면, 고화질의 HDR 컨텐츠가 SDR 또는 LDR 컨텐츠로 변환하여 외부장치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HDR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무선 연결된 외부기기에서 영상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들에 대해 HDR 컨텐츠의 지원 여부를 판별하여, 선택적으로 HDR 컨텐츠를 변환하여 각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장치 사양에 최적화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면서도, 표현 범위의 차이로 인한 영상 왜곡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유선 및 무선 연결된 복수의 외부장치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 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장치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영상을 시청하더라도 끊김 없이 연속적인 감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와 외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에 마련된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외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가 외부장치와 무선 연결되어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전자장치로부터 외부장치에 무선으로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외부장치로 영상 컨텐츠가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마련된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서 복수의 외부장치로 영상 컨텐츠가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서 복수의 외부장치로 영상 컨텐츠가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마련된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외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마련된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와 외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로 영상 컨테츠(이하, 컨텐츠 라고도 한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장치 즉,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로 동작한다. 전자장치(100)는 외부장치(200)에서의 컨텐츠 재생을 위한 재생장치(player)로서 마련될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싱크 디바이스(sync device)로 동작한다. 외부장치(200)는 전자장치(100)에 유선 또는 무선 접속됨으로써, 전자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에 기반한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외부장치(200)는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장치(200)는, 텔레비전(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과 같은 스마트패드(smart pad),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를 포함하는 모바일장치, 랩탑(laptop) 또는 데스크탑(desktop)을 포함하는 컴퓨터(PC) 장치(또는 컴퓨터 본체와 연결된 모니터)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전자장치(100)와 외부장치(200)의 접속 방식은 다양한 유무선 규격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블루레이(Blu-ray)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학디스크 재생장치, AV 리시버(audio/video receiver), 셋탑박스, 스트리밍 장치 등,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중계하기 위한 제반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처리하는 텔레비전(TV)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20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수신하는 방송신호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서도 수신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의 신호공급원은 전자장치(100) 또는 방송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 또는 스테이션이라면 본 발명의 신호공급원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은 장치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HDMI,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규격 등에 의하여 유선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1)는 전자장치(100)로부터만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201)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즉, 방송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기 위한 튜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200)로서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201)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동작 가능하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텔레비전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장치(202)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202)는 이동 가능한 다양한 디지털 기기로 구현되는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패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뿐 아니라, HMD 장치나 스마트워치(smart watch)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도 포함한다. HMD 장치는 그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현실 세계에 가상 객체가 융합된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또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모바일장치(202)는 전자장치(100),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들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202)는 AP(access point)를 통한 무선 통신 또는 AP 없이 타 기기와 다이렉트 연결되는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장치(10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외부장치(200)로서, 디스플레이장치(201)와 모바일장치(202)가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201)는 HDMI와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장치(10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며, 모바일장치(202)는 와이파이(Wi-Fi)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장치(10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외부장치(200)의 종류 또는 개수는 도 1에 한정되지 않는 바, 다른 실시예로서 외부장치(200)로서 디스플레이장치(201)와 모바일장치(202) 중 어느 하나만 마련되거나,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둘 이상의 모바일장치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201)가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장치(10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모바일장치(202)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장치(100)와 연결되어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영상 컨텐츠의 화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는 화면에서의 명암대비(contrast)이며, 한 화면에서 가장 밝은 부분(예를 들면, 화이트(white))로부터 가장 어두운 부분(예를 들면, 블랙(black))까지 분포된 명암 단계가 세분화될수록 영상은 선명해진다.
HDR(High Dynamic Range) 컨텐츠는 최대 밝기 1,000 니트(nit)까지 명암 단계를 구분하여 표현하며, SDR(Standard Dynamic Range) 컨텐츠는 최대 밝기 100 니트까지 명암 단계를 구분하여 표현한다. 상기와 같은 HDR 또는 SDR에 따른 컨텐츠는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데이터 외에, 컨텐츠데이터의 영상 속성 즉, 휘도와 관련된 부가데이터인 메타데이터(metadat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외부장치(200)로 전송 가능한 장치로서 마련된다. 여기서, 제1 형식의 컨텐츠는 HDR 컨텐츠인 것을 일례로 한다.
외부장치(200)는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지원 즉, 처리(디코딩 포함)하여 정상적으로 표현 가능한 경우, 사용자에게 향상된 화질의 영상 컨텐츠가 제공된다. 반면,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지원하지 않는 경우, 영상의 색감 등이 왜곡되어 보여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1 형식과는 다른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형식의 컨텐츠는 SDR 컨텐츠인 것을 일례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형식의 컨텐츠는 LDR(Low Dynamic Range) 컨텐츠일 수도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소정 조건에 따라 특정 컨텐츠의 영상신호를 하위 버전으로 다운 스케일링(down scaling)되게 처리하는 방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신호를 외부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된다.
영상신호의 변환 과정은, 영상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변경 대상이 되는 영상신호의 속성값은, 감마(gamma) 특성(예를 들어, ST. 2084 감마를 ST.1886 감마로 변경), 컬러 가뭇(color gamut) 특성(예를 들어, BT.2020 컬러 가뭇을 BT.709 컬러 가뭇으로 변경)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후술하는 통신부(도 2의 12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건에 따라 소정 형식에 따른 컨텐츠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컨텐츠', '영상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신호' 라는 용어는 그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며, 컨텐츠의 제공, 송신, 수신, 처리 또는 변환은 그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공, 송신, 수신, 처리 또는 변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그와 유선 또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110), 통신부(120), 영상처리부(130), 사용자입력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접속부(110)는 전자장치(100)와 외부장치(200)가 유선 연결되도록 한다. 전자장치(100)는 유선 연결된 접속부(11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컨텐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접속부(110)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과 포트(port) 등이 조합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접속부(110)는 기본적으로는 외부장치(200)에 컨텐츠 신호를 송신하지만,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속부(110)는 HDMI 케이블을 통해 외부장치(200)에 접속되지만, 접속되는 방식이 HDM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접속부(110)를 통해 전자장치(100)와 유선 연결되는 외부장치(200)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201)가 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00)는 접속부(110)를 통해 모바일장치(202)와 유선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무선으로 외부장치(200)에 컨텐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무선랜유닛을 포함한다. 무선랜유닛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AP(access point)를 통해 무선으로 외부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유닛은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20) 는 AP 없이 무선으로 전자장치(100)와 외부장치(200) 사이에 다이렉트로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가 외부장치(200)와 다이렉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150)에는 통신 대상 기기인 외부장치(200)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 또는 IP address)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에서, 통신부(120)는 성능에 따라 무선랜유닛과 근거리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외부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에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통신모듈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LTE와 같은 이동통신, 자기장을 포함하는 EM 통신, 가시광통신, 음파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30)는 접속부(110)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 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음성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130)는 HDR 컨텐츠의 영상신호를 처리 가능하게 마련되지만, 본 발명에서 영상처리부(130)가 처리하는 영상 컨텐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에 마련된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131), 스케일러(135), 인코더(137)를 포함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영상처리부(13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영상처리부(13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외에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일부가 제외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영상처리부(13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바, 예를 들면 해상도변환, 색변환, 색공간변환, 밝기변환, 노이즈저감, 디테일강화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하며, 영상처리부(130)에는 그와 관련된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디코더(131)는 영상 컨텐츠를 복호화 즉, 압축해제하여 영상신호 즉,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획득한다. 영상 컨텐츠가 HDR 컨텐츠인 경우, 복호화 과정에서 HDR 컨텐츠의 메타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 디코더(131)는 HDR 컨텐츠의 복호화가 가능한 HVE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디코더인 것을 일례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131)는 복호화된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1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컨버터(132)는 HDR 컨텐츠의 영상신호를 SDR 컨텐츠의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컨버터(132)가 디코더(131)에 포함되게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컨버터(132)는 디코더(131)로부터 압축 해제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코더(131)는 복호화된 영상신호가 접속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20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201)에서 재생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디코더(131)는 컨버터(132)에 의해 변환된 SDR 컨텐츠의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201)에서 재생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디코더(131)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는 접속부(110)를 통해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200)로 제공된다.
스케일러(135)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출력규격에 맞도록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케일러(135)는 제2 형식으로 변환된 영상 컨텐츠 즉, SDR 컨텐츠의 영상신호를 출력 대상인 외부장치(200) 예를 들면, 모바일장치(202)의 디스플레이 출력규격에 맞도록 스케일링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일러(135)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외부장치(200)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측과 호환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인코더(137)는 스케일링된 영상신호를 외부장치(200)로 전송을 위해 압축한다. 인코더(137)는 네트워크 전송 시 오류 발생이 낮고 압축 효율이 높은 H.264 인코더인 것을 일례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인코더(137)에 의해 압축된 영상신호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송신된다. 외부장치(200)에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70)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230)로서 압축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디코더, 예를 들면 H.264 디코더가 마련된다.
영상처리부(13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메인 SoC(System-on-Chip)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메인 SoC는 후술하는 제어부(160)를 구현하는 일례인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13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 메모리,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영상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00)에는 영상처리부(130) 및 제어부(160)가 단일의 영상보드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기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전자장치(100) 본체에 마련된 전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패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40)는 전자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설정된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전자장치(100)로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리모컨(remote control)과 같이 전자장치(100) 본체와 이격 분리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 가능하게 마련된다. 리모컨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감지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장치는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이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장치는 전자장치(100)와 외부장치(200)를 모두 제어 가능한 통합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장치는 전자장치(100)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가 되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사운드를 수신하는 음성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입력부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microphone)로 구현되며, 전자장치(100) 본체 또는 리모컨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전자장치(100)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150)는 전자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저장부(15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PROM 또는 EEPROM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전자장치(100)의 읽기 또는 쓰기 속도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비해 빠른 DRAM 또는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50)는 영상 컨텐츠가 저장된 블루레이, DVD 등의 광 디스크(optical disc)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 저장매체에 기록되는 컨텐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서 HDR 컨텐츠가 저장된 UHD(Ultra High Definition) 블루레이 디스크(BD, Blu-ray disc)가 있다. 전자장치(100)에는 컨텐츠 재생 시 광 디스크를 회전시켜 저장된 데이터를 독취하는 디스크 로더(disc loader)가 마련되어, 회전되는 디스크, 즉 UHD BD, BD, DVD 등으로부터 레이저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판독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전자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고 컨텐츠 제공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코어(core)와 GPU가 결합된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60)를 구현하는 일례인 프로세서는 전자장치(100)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되는 메인 SoC(Main SoC)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인 SoC는 영상처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전자장치(100)의 제조 시에 전자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는, 본 발명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160)의 동작은 전자장치(100)와 별도로 마련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미도시)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은 컴퓨터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100)는 별도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실행하여, 제어부(16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1 형식과는 다른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게 변환하도록 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영상처리부(130)를 통해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접속부(110)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외부장치(200)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이 접속부(110)와 통신부(12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따라, 접속부(110)와 통신부(120)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외부장치로 각각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거나, 경우에 따라 어느 하나(예를 들어, 접속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예를 들어, 통신부(12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장치(100)가 복수의 외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경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20)가 활성화되는 것이 감지되면,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모든 장치에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장치(100)가 복수의 외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경우, 무선 연결된 장치가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처리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모든 장치에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외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외부장치(200)는 전자장치(100)로부터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외부장치(2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201)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장치(202)가 마련되어, 전자장치(10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한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장치(202)는 HMD 장치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201)와 모바일장치(202)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다만 장치 자체의 특성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 또는 배제되거나, 특정 구성의 구현 형태가 상이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27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구동부)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7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다. 터치입력은 싱글터치 및 멀티터치를 포함하며, 탭(tap), 클릭(click), 방향성을 가지는 드래그(drag) 또는 플릭(flick) 등의 다양한 제스처 또는 모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의 상부에 위치되는 터치패드를 포함하며, 터치스크린에는 사용자 선택이 가능한 UI(user interface, 이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라고도 한다)가 표시된다. 터치패드와 UI는 사용자입력부(240)에 포함된다.
UI는 외부장치(200)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다양한 오브젝트(object, 예를 들어, 메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도형, 아이콘 및 단축아이콘)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표시된 오브젝트를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별도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터치하여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지 않은 디스플레이부(270)에도 UI가 표시 가능하며, 사용자는 리모컨, 입력패널 등의 사용자입력부(240)을 이용하여 UI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되는 UI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전자장치(100)와 관련된 메뉴항목을 포함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입력부(140)로서 마련된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외부장치(200)에 대한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하다.
외부장치(200)가 HMD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70)는 투명 또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자 즉, 뷰어(viewer)의 안구 전방에 위치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서 HMD 장치는 사용자의 눈과 근거리에 위치한 접안식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접안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양안에 대응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디스플레이는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거나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몸 전체를 움직이거나, 머리만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HMD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200)에는, 디스플레이부(270) 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부(210), 통신부(220), 영상처리부(230), 사용자입력부(240), 저장부(250), 제어부(260)가 마련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므로, 외부장치(200)는 상기한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가 제외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200)에는 접속부(210)와 통신부(220) 중 어느 하나만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00)는 상기한 구성 외에 추가적인 구성 요소 예를 들면, 방송신호를 채널에 대응되게 튜닝하는 튜너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200)에서 저장부(250)는 외부장치(200)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250)에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가 저장되는 EDID 영역이 마련된다. EDID 영역은 외부장치(200)의 접속부(210), 예를 들어, HDMI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현되며, EEPROM에는 외부장치(200)의 제조 공정에서 또는 외부장치(200)에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또는 실행되는 과정에서 EDID가 기록(writing)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외부장치(200)로부터 지원하는 해상도, 수평주파수, 수직주파수, 색역, 표현 가능한 휘도 범위 등의 정보 패키지를 EDID로서 수신하여, 외부장치(200)에서 표현 가능한 영상 컨텐츠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EDID의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protocol)로는 VESA에서 제정한 DDC(display data channel) 전송방식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200)는 접속부(210)로서 복수의 포트를 가질 수 있으며, 각 포트 별로 대응하는 EDID가 저장된 EEPROM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와 외부장치(200)가 각각의 접속부(110, 210)를 통해 연결된 후, 전자장치(100)로부터 EDID 요청신호가 전달되면, 대응되는 포트의 EPROM으로부터 EDID가 로드되어 양 접속부(210, 110)를 통해 전자장치(1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전자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접속부(110), 즉 HDMI 인터페이스에 핫 플러그 디텍트(hot plug detect)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EDID 요청신호가 외부장치(200)로 전달되도록 하여 필요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200)(예컨대, 도 1의 모바일장치(202))로부터 표현 가능한 영상의 범위에 대한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저장부(250)에 이 표현 가능한 영상의 범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은 접속부(210)에 대응되는 EDID와 같은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외부장치(200)에 마련되는 각 구성요소는 전자장치(100)의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요소의 구현 형태에 대응된다. 그러므로, 외부장치(200)에서 전자장치(1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블루레이와 같은 광 디스크 재생장치로 구현된 전자장치(100)는, 영상 컨텐츠를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일례인 모바일장치(202)로 전송하는, 이른 바 BD to mobile 기능을 지원하도록 마련된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가 외부장치와 무선 연결되어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전자장치로부터 외부장치에 무선으로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장치(100)의 설정메뉴에 진입하여 전자장치(100)의 명칭을 설정한다(501).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의 설정메뉴는 그 접속부(110)를 통해 유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01)의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리모컨, 입력패널 등의 사용자입력부(140)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00)의 명칭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되는 명칭은 전자장치(100)의 제품명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선택/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단계 501의 명칭 설정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장치(202)에서 무선 연결을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한다(502). 여기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조 단계 또는 이전에 설치된 상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과정은 생략되고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무선 연결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모바일장치(202)의 디스플레이부(270)에는 모바일장치(202)의 연결기기 목록이 표시된다(503). 여기서, 표시되는 목록에는 이전에 모바일장치(200)와 한번 이상 무선연결 되었던 장치가 포함된다.
그리고, 단계 503에서 표시된 목록에 전자장치(100)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다음 동작이 결정된다(504).
단계 504에서, 표시된 목록에 전자장치(100)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무선 연결 가능한 새로운 장치를 검색하도록 선택한다(505).
그리고, 검색된 전자장치(100)가 무선 연결 대상으로 선택된다(506). 여기서, 사용자는 단계 501에서 설정한 명칭을 통해 전자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 선택에 의해 전자장치(100)가 신규 연결기기로서 등록된다.
단계 504에서, 표시된 목록에 전자장치(100)가 포함되어 잇는 경우, 사용자는 목록에서 전자장치(100)를 무선 연결 대상으로 선택한다(507).
단계 506 또는 507의 선택에 따라 전자장치(100)와 모바일장치(202) 간의 무선 연결이 완료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장치(202)는 전자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508).
이하, 상기와 같이 전자장치(100)와 무선 연결된 모바일장치(202) 즉, 외부장치(200)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외부장치로 영상 컨텐츠가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에서 소정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이 수신된다(601). 여기서, 전자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사용자입력부(140)로서 마련되는 리모컨을 통해 컨텐츠 재생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수신되는 컨텐츠 재생명령은 재생된 컨텐츠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부(110)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01)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재생 대상인 영상 컨텐츠는 저장부(150)로서 마련되는 블루레이와 같은 광 디스크에 저장된 것을 일례로 한다.
단계 601의 영상 컨텐츠 재생과 관련하여, 제어부(16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20)의 활성화 여부를 감지한다(602). 여기서, 제어부(160)는 특정 외부장치(200)와 무선통신 연결 또는 연결을 위한 설정이 이루어지거나, 무선통신에 의해 특정 외부장치(200)로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등의 소정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통신부(120)의 활성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소정 외부장치(200) 즉, 도 8의 모바일장치(202)에서,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무선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BD to mobile app)이 실행되어 전자장치(100)와 해당 외부장치(200)(도 8의 모바일장치(202)) 간의 무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무선 통신이 활성화된 것으로 감지한다. 통신부(110)가 활성화되는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의 제어부(160)는 단계 601의 재생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01)로 영상신호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1)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동안, 통신부(120)가 활성화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통신부(120)가 활성화되는 것이 감지되면, 영상 컨텐츠를 유선 연결된 접속부(110)와 무선 연결된 통신부(120)로 동시 출력할 것인지 또는 접속부(110)와 통신부(1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는 외부장치(200) 즉, 디스플레이장치(201)와 모바일장치(202)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어, 그에 응답한 사용자 선택이 수신 가능하다. 전자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출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단계 706 또는 708에서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 또는 제2 형식의 영상 컨텐츠를 대응되는 외부장치(200)로 제공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의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201)에서 영상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통신부(120)가 활성화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 전자장치(100)에서 단계 602에서의 통신부(120)의 활성화가 먼저 수행되고, 그 다음 단계 601에서의 영상 컨텐츠의 재생명령이 수신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계 602에서 무선통신의 활성화가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재생 대상인 영상 컨텐츠가 제1 형식의 컨텐츠인지 여부를 결정한다(603). 여기서,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는 HDR 컨텐츠인 것을 일례로 하며, 제어부(160)는 디코더(131)를 통해 분리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의 형식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603에서, 재생 대상이 제1 형식의 컨텐츠인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1 형식과는 다른 제2 형식의 컨텐츠(예를 들면, SDR 또는 LDR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한다(604).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컨버터(132)를 통해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게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는 스케일러(135)와 인코더(137)를 거쳐 부호화된 형태로 통신부(120)로 출력된다.
단계 604에서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는 외부장치(200)로 송신된다(605).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무선통신에 의해 대응되는 외부장치(200) 즉, 도 8의 모바일장치(202)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접속부(110)를 통해 대응되는 외부장치(200) 즉, 도 8의 디스플레이장치(201)로 더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201)로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전송 중 단계 602에서 무선통신의 활성화 예를 들어, 통신부(120)를 통한 모바일장치(202)의 연결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60)는 감지 시점 이후로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영상신호를 접속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01)로 전송하게 된다.
외부장치(200) 즉, 모바일장치(202) 또는 디스플레이장치(201)는 단계 605에서 송신된 제2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한다(606). 그에 따라, 전자장치(100)와 무선 연결되며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외부장치(200)(예컨대, 도 8의 모바일장치(202))에서, 제1 형식이 아닌 제2 형식의 컨텐츠 즉, SDR 컨텐츠가 수신 및 표시되므로, 영상 왜곡이 발생되지 않는다.
단계 603에서, 재생 대상 컨텐츠가 제1 형식의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재생 대상 컨텐츠의 영상신호를 변환없이 그대로 외부장치(200)로 송신한다(607). 즉, 제어부(160)는 영상신호가 무선통신에 의해 대응되는 외부장치(200) 즉, 도 8의 모바일장치(202)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재생 대상 컨텐츠를 접속부(110)를 통해 대응되는 외부장치(200) 즉, 도 8의 디스플레이장치(201)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 즉, 모바일장치(202) 또는 디스플레이장치(201)는 단계 607에서 송신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한다(606).
상기와 같은 제1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20)에 의해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200)(예컨대, 도 8의 모바일장치(202))뿐 아니라, 접속부(110)에 의해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200)(예컨대, 도 8의 디스플레이장치(201))로 동시에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처리부(130) 내의 컨버터(132)에 의해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영상신호는 접속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01)로 전송되며, 디스플레이장치(201)는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 연결을 위한 접속부(110) 및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120)가 구비된 전자장치(100)에서, 제어부(160)는 통신부(120)를 통한 무선통신의 활성화가 감지되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즉, 전자장치(100)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영상신호를 무선 연결된 모바일장치(202)로 전송하거나, 또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영상신호를 유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01)와 무선 연결된 모바일장치(202) 모두에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일 영상처리부(130)가 구비된 전자장치(100)로부터 복수의 외부장치(200)로 동시에 영상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면서도,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어느 장치에서도 영상 왜곡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마련된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300)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100)와 비교하여, 복수의 영상처리부 즉, 제1 영상처리부(330a)와 제2 영상처리부(330b)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영상처리부(330a, 330b)와, 그와 각각 연결된 접속부(310) 및 통신부(32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번호을 사용하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200)와의 유선 연결을 위한 접속부(310)에 대응하는 제1 영상처리부(330a) 및 외부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320)에 대응하는 제2 영상처리부(330b)를 포함한다.
제1 영상처리부(330a)는 영상 컨텐츠를 복호화 즉, 압축해제하는 디코더(331)를 포함한다. 디코더(331)는 HDR 컨텐츠의 복호화가 가능한 HVE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디코더인 것을 일례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331)는 복호화된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3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컨버터(332)는 HDR 컨텐츠의 영상신호를 SDR 컨텐츠의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컨버터(332)가 디코더(331)에 포함되게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컨버터(332)는 디코더(331)로부터 압축 해제된 비디오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구성으로 제1 영상처리부(330a) 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접속부(31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외부장치(200)에서 처리되어 영상으로 표시될 때, 그 컨텐츠 자체의 형식에 따른 표현 범위를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정 결과,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제1 영상처리부(330a)의 컨버터(332)를 통해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변환된 영상신호가 접속부(310)를 통해 출력된다. 반면, 결정 결과,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는 경우,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접속부(310)를 통해 출력된다. 제1 형식의 컨텐츠의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접속부(31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저장부(250) 내 EDID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접속부(310)를 통해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200) 예를 들면, 도 8의 디스플레이장치(201)의 저장부(250)의 EDID 영역으로부터 EDID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1)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 결정 과정은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입력단자를 통해 신호입력 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된다. 여기서, EDID를 로드하여 획득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201)의 사양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EDID가 로드되는 시점은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장치(300)와 외부장치(200)의 최초 연결 시점, 영상 컨텐츠의 재생명령 수신 시점, 접속부(310)에 소정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 등을 포함한다. 접속부(310)에 인가되는 신호의 일례는 HDMI 연결 시 인가되는 핫 플러그(hot plug) 신호로서, 예를 들어 HDMI 19번 핀(pin)의 신호가 Low (0V)에서 High (+5V)로 변경되는 시점이 EDID가 로드되는 시점일 수 있다.
제2 영상처리부(330b)는 디코더(331)로부터 압축해제된 신호를 수신하는 컨버터(333)를 포함한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제1 영상처리부(330a)의 디코더로부터 제2 영상처리부(330b)의 컨버터(333)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영상처리부(330b) 내에 압축된 영상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디코더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컨버터(333)는 복호화된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를 제2 형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며, 예를 들어, 컨버터(333)는 HDR 컨텐츠를 SDR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스케일러(335)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출력규격에 맞도록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케일러(335)는 제2 형식으로 변환된 영상 컨텐츠 즉, SDR 컨텐츠를 출력 대상인 외부장치(200) 예를 들면, 모바일장치(202)의 디스플레이 출력규격에 맞도록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인코더(337)는 스케일링된 영상신호를 외부장치(200)로 전송을 위해 압축한다. 인코더(337)는 네트워크 전송 시 오류 발생이 낮고 압축 효율이 높은 H.264 인코더인 것을 일례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코더(337)에는 H.264보다 한 단계 진보한 규격인 H.265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예와 같은 복수의 코덱에 관련된 포맷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300)에서, 제어부(160)는 통신부(120)가 활성화되는 것을 감지하면, 통신부(320)에 대응하는 제2 영상처리부(330b)에 대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게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통신부(32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200)로 제공한다. 즉, 제2 영상처리부(330b)의 컨버터(333)를 통해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영상신호가 스케일러(335) 및 인코더(337)를 거쳐 통신부(320)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 독립적으로, 제어부(160)는 접속부(310)를 통해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경우, 접속부(310)에 대응하는 제1 영상처리부(330a)에 대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된 영상신호에 대한 변환과정 없이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1 영상처리부(330a)로부터 출력된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접속부(310)를 통해 출력된다.
반면, 접속부(310)를 통해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접속부(310)에 대응하는 제1 영상처리부(330a)에 대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게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1 영상처리부(330a)에 의해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접속부(310)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와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200)는 제1 형식의 컨텐츠의 지원 여부에 따라 제1 형식 또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출력되며,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200)에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게 변환된 영상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200)에서는 표현 범위의 차이로 인한 영상 왜곡이 발생되지 않으며,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200)에서는 그 사양에 따라 컨텐츠 자체가 갖는 높은 품질로 영상을 표현하거나 또는 컨텐츠와 장치의 표현 범위가 상이한 경우에는 영상 왜곡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의 전자장치(300)에서 제어부(160)는 통신부(32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더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는,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200)에서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되는 영상이 그 컨텐츠 자체의 표현 범위를 정상적으로 표시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된다.
결정 결과,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제2 영상처리부(330b)의 컨버터(333)를 통해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게 변환된 영상신호가 스케일러(335) 및 인코더(337)를 거쳐 통신부(320)를 통해 출력된다.
반면, 결정 결과,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경우,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스케일러(335) 및 인코더(337)를 거쳐 통신부(320)를 통해 출력된다. 제어부(160)가 제1 형식의 컨텐츠의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도 10의 단계 70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300)에는, 영상 출력수단인 접속부(310)와 통신부(320)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처리부(330a, 330b)에 의해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복수의 경로(path)가 마련됨으로써, 각 영상 출력수단을 통해 독립적으로 처리된 영상신호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서 복수의 외부장치로 영상 컨텐츠가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예는 도 9에서 설명한 전자장치(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300)에서 소정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이 수신된다(701). 여기서, 전자장치(300)의 제어부(160)는 사용자입력부(140)로서 마련되는 리모컨을 통해 컨텐츠 재생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수신되는 컨텐츠 재생명령은 재생된 영상 컨텐츠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부(310)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01)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재생 대상인 영상 컨텐츠는 저장부(150)로서 마련되는 블루레이와 같은 광 디스크에 저장된 것을 일례로 한다.
단계 701의 영상 컨텐츠 재생과 관련하여, 제어부(16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20)의 활성화 여부를 감지한다(702). 여기서, 제어부(160)는 특정 외부장치(200)와 무선통신 연결 또는 연결을 위한 설정이 이루어지거나, 무선통신에 의해 특정 외부장치(200)로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통신부(320)의 활성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소정 외부장치(200) 즉, 도 11의 모바일장치(202)에서,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BD to mobile app)이 실행되어 전자장치(300)와 해당 외부장치(200)(도 11의 모바일장치(202)) 간의 무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무선 통신이 활성화된 것으로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의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201)로영상신호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1)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동안, 통신부(120)가 활성화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702에서 무선통신의 활성화가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재생 대상인 영상 컨텐츠가 제1 형식의 컨텐츠인지 여부를 결정한다(703). 여기서, 제1 형식의 컨텐츠는 HDR 컨텐츠인 것을 일례로 하며, 제어부(160)는 디코더(331)를 통해 분리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의 형식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703에서 재생 대상이 제1 형식의 컨텐츠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160)는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704). 여기서,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외부장치(200)에서 처리되어 영상으로 표시될 때, 그 컨텐츠 자체의 형식에 따른 표현 범위를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통신부(32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장치(200) 즉, 도 11의 모바일장치(202)의 저장부(250)로부터 모바일장치(202)의 표현 범위와 관련된 식별 데이터를 로드하여 모바일장치(202)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장치(202)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장치(202)의 표현 범위와 관련된 식별 데이터는, EDID와 같이 모바일장치(202)의 제조 시에 또는 모바일장치(202)에 소정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또는 실행되는 시점에 저장부(250)의 소정 영역에 기록/저장될 수 있다. 식별 데이터가 기록 또는 저장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도 5에서 설명한 BD to mobile app을 포함한다. 또한, 식별 데이터가 로드되는 시점은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장치(300)와 외부장치(200) 간의 무선통신 설정 시점, 설정 완료 후 최초 데이터 송수신 시점, 영상 컨텐츠 전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또는 실행되는 시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300)의 제어부(160)는 모바일장치(202)가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전송에 대한 어플리케이션(BD to mobile app)의 실행에 따라 모바일장치(202)의 디스플레이부(270)에 HDR 컨텐츠에 대한 지원 여부에 관한 UI가 표시되고, 그에 응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신호가 전자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외부장치(200)가 접속부(210)와 통신부(220)를 모두 포함하고, 저장부(250)에 접속부(210)의 소정 포트(예컨대, HDMI)에 할당된 EDID 영역이 마련된 경우, 외부장치(200)의 제어부(260)는 EDID 영역에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전자장치(300)에 식별 데이터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접속부(310) 또는 통신부(320)를 통해 전자장치(300)와 연결된 외부장치(200)가 복수인 경우, 그 복수의 외부장치(200) 각각에 대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접속부(31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200)에서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는, 외부장치(200)의 저장부(250)로부터 EDID를 로드하여 판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동작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은 접속부(310)를 통해 연결된 장치에 대한 영상 컨텐츠 지원 여부의 판단은 단계 701의 재생명령 수신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장치(300)의 제어부(160)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장치(200)로부터 식별 데이터를 로드하고, 로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또는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200) 별로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지원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외부장치(20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310)를 통해 유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01)와 통신부(320)를 통해 무선 연결된 모바일장치(202)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201)는 제1 형식의 컨텐츠(HDR 컨텐츠)를 지원하고, 모바일장치(202)는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704에서 소정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제1 형식과는 다른 제2 형식의 컨텐츠(예를 들면, SDR 또는 LDR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영상처리부(330a, 330b)를 제어한다(705).
구체적으로, 도 11과 같이, 모바일장치(202)가 제1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컨버터(333)를 통해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게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는 스케일러(335)와 인코더(337)를 거쳐 부호화된 형태로 통신부(320)로 출력된다.
단계 705에서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는 외부장치(200)로 송신된다(706).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무선통신에 의해 대응되는 외부장치(200) 즉, 도 11의 모바일장치(202)로 전송되도록 통신부(320)를 제어한다.
외부장치(200) 즉, 모바일장치(202)는 단계 706에서 송신된 제2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 즉, 디코딩하여 제2 형식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707). 그에 따라, 전자장치(300)와 무선 연결되며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외부장치(200)(예컨대, 도 11의 모바일장치(202))에서, 제1 형식이 아닌 제2 형식의 컨텐츠 즉, SDR 컨텐츠가 표시되므로, 영상 왜곡이 발생되지 않는다.
단계 704에서, 소정 외부장치(200)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변환없이 그대로 외부장치(200)로 송신한다(708). 구체적으로,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경우, 제1 영상처리부(330a)의 디코더(331)를 통해 압축해제된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그대로 접속부(310)로 출력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201)에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동안, 단계 701에서 통신부(120)가 활성화 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201)에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계속해서 출력한다.
단계 703에서, 재생 대상 컨텐츠가 제1 형식의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재생 대상 영상 컨텐츠의 영상신호를 변환없이 그대로 외부장치(200)로 송신한다(709).
외부장치(200) 즉, 모바일장치(202) 또는 디스플레이장치(201)는 단계 708 또는 709에서 송신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한다(707).
상기와 같은 제2 실시예에서, 전자장치(300)는 통신부(320)에 의해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200) 즉, 도 11의 모바일장치(202) 및 접속부(310)에 의해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200) 즉, 도 11의 디스플레이장치(201) 각각에 대해 제1 형식의 컨텐츠의 지원 여부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 또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영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201)에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전송되고, 모바일장치(202)에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전송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각 장치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여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디스플레이장치(201)에는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전송되고,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모바일장치(202)에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전송되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각 장치에 대한 판별 결과로서, 디스플레이장치(201)와 모바일장치(202) 모두에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전송되거나,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외부장치(200)에서는 컨텐츠 자체가 갖는 높은 품질로 영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며,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외부장치(200)에서는 표현 범위의 차이로 인한 영상 왜곡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서 복수의 외부장치로 영상 컨텐츠가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300)는, 도 9에서 설명한 전자장치(300)의 제1 영상처리부(331a)가 버퍼(339), 즉 비디오 버퍼(video buffer)를 더 포함하는 형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 전자장치(300)는 접속부(310)를 통해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201)에서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가, 통신부(130)를 통해 무선 연결된 외부장치(200)에서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와 동기화되도록 버퍼(339)를 통해 지연된 영상신호가 접속부(310)로 출력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300)에서 소정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이 수신된다(801). 여기서, 전자장치(300)의 제어부(160)는 사용자입력부(140)로서 마련되는 리모컨을 통해 컨텐츠 재생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수신되는 컨텐츠 재생명령은 재생된 컨텐츠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부(310)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01)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대상인 영상 컨텐츠는 저장부(150)로서 마련되는 블루레이와 같은 광 디스크에 저장된 제1 형식의 영상컨텐츠(예컨대, HDR 컨텐츠)인 것을 일례로 한다.
단계 801의 영상 컨텐츠 재생과 관련하여, 제어부(16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20)의 활성화 여부를 감지한다(802). 여기서, 제어부(160)는 특정 외부장치(200)와 무선통신 연결 또는 연결을 위한 설정이 이루어지거나, 무선통신에 의해 특정 외부장치(200)로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통신부(320)의 활성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소정 외부장치(200) 즉, 도 13의 모바일장치(202)에서,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BD to mobile app)이 실행되어 전자장치(300)와 해당 외부장치(200)(도 13의 모바일장치(202)) 간의 무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무선 통신이 활성화된 것으로 감지한다.
단계 802에서 무선통신의 활성화가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활성화된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된 모바일장치(202)의 표시 지연시간을 식별한다(803). 여기서, 표시 지연시간은 제2 영상처리부(330b)에 의한 영상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통신부(120)를 통한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합하여 결정된다. 결정되는 표시 지연시간은 모바일장치(202)가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 가능하도록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처리 가능하도록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서도 상이할 수 있다. 모바일장치(202)와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300)의 제어부(160)는 모바일장치(202)와의 무선통신 설정 시 테스트 신호를 송수신하여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표시 지연시간 결정에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300)의 제어부(160)는 통상적으로 무선통신에 소요되는 지연시간 정보를 표시 지연시간 결정에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300)의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표시 지연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201)의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 지연시간을 선택 가능한 UI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표시된 UI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803에서 표시 지연시간이 식별되면, 제어부(160)는 식별된 지연시간에 대응하도록 영상신호를 지연하여 접속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01)로 출력한다(804). 여기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이거나,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영상신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1)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게 변환하는 과정은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160)는 영상신호를 통신부(220)를 통해 모바일장치(202)로 출력한다(805). 여기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이거나,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영상신호일 수 있다. 모바일장치(202)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게 변환하는 과정은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외부장치(200) 즉, 디스플레이장치(201)와 모바일장치(202)는 각각 단계 804 및 805에서 출력된 동기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한다(806).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01)와 모바일장치(202)에서 영상이 동기화되어 출력됨으로써, 두 장치를 동시에 사용하는 사용자의 영상 컨텐츠 감상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201)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감상하고 있는 도중에, 다른 위치로 이동하면서 모바일장치(202)를 통해 계속해서 동일 영상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영상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므로 시청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3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201)와 모바일장치(202)에는 서로 다른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거나, 서로 같은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모두 적용된다. 즉, 각 장치의 표현 가능 범위에 대한 판별 결과에 대응하여,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1)에는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고,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모바일장치(202)에는 제2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표시 되거나,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디스플레이장치(201)에는 제2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고 제1 형식의 형상 컨텐츠를 지원하는 모바일장치(202)에는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표시 가능하다. 또한, 각 장치의 표현 가능 범위에 대한 판별 결과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1)와 모바일장치(202) 모두에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거나, 제2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마련된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400)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100) 및 도 9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300)와 비교하여, 복수의 영상처리부로서 제1 영상처리부(430a), 제2 영상처리부(430b) 및 제3 영상처리부(430c)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영상처리부(430a, 430b, 430c)와, 그와 연결된 접속부(410) 및 통신부(42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번호을 사용하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의 전자장치(400)는 통신부(420)를 통해 복수의 장치와 동시에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된 장치 각각에 대해 제1 형식의 영상 컨텐츠 지원 여부를 판별하여,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 또는 제2 형식의 컨테츠에 대응하도록 변환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400)의 통신부(420)가 스마트폰 및 HMD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스마트폰과 HMD 장치 각각에 대해 제1 형식의 컨텐츠의 지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폰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고, HMD 장치는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제3 영상처리부(430c)는 그 컨버터(434)를 통해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게 영상신호를 변환 후 스케일러(436) 및 인코더(438)를 거쳐 통신부(420)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제2 영상처리부(430b)는 컨버터(433)를 통한 변환 과정없이 스케일러(435) 및 인코더(437)를 거쳐 통신부(420)로 제1 형식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영상처리부의 개수는, 도 14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부(420)를 통해 무선 연결 가능한 다수의 외부장치(200) 각각에 대해 최적화된 영상 컨텐츠가 제공하도록 추가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외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고,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마련된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201)가 무선으로 전자장치(9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900)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100)와 비교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920)를 통해 외부장치(200), 예를 들면 도 15의 디스플레이장치(201)와 연결되며, 영상처리부(930)를 통해 처리된 영상신호가 통신부(920)로 출력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도 15 및 도 16의 전자장치(900)는 경우에 따라 유선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영상처리부(930) 및 통신부(92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번호을 사용하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자장치(900)의 제어부(160)는 무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01)에서 소정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로서 마련되는 리모컨 등을 통해 컨텐츠 재생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재생명령에 따른 재생대상 컨텐츠가 제1 형식의 컨텐츠인 경우, 무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 가능하도록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201)의 저장부(25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201)의 표현 범위와 식별 데이터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1)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식별 데이터가 로드되는 시점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장치(201)에 미리 저장된 EDID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장치(201)의 제어부(260)가 저장부(250)의 EDID 영역에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를 획득하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자장치(9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900)의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무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무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영상처리부(930)의 컨버터(931)을 통해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되게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변환된 제2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는 스케일러(935) 및 인코더(937)를 통해 조절 및 부호화되어 통신부(920)로 출력된다. 디스플레이장치(201)는 그 영상신호를 수신 및 처리 즉, 복호화하여 제2 형식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하므로, 영상 왜곡이 발생되지 않는다.
무선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201)가 제1 형식의 컨텐츠를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영상처리부(930)의 디코더(931)를 통해 복호화된 제1 형식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변환없이 스케일러(935) 및 인코더(937)를 통해 조절 및 부호화되어 통신부(920)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장치(201)는 그 영상신호를 수신 및 처리 즉, 복호화하여 제1 형식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하므로, 향상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무선통신의 활성화가 감지되면, 고화질의 HDR 컨텐츠가 SDR 또는 LDR 컨텐츠로 변환하여 외부장치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HDR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무선 연결된 외부기기에서 영상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된 외부장치들에 대해 HDR 컨텐츠의 지원 여부를 판별하여, 선택적으로 HDR 컨텐츠를 변환하여 각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장치 사양에 최적화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면서도, 표현 범위의 차이로 인한 영상 왜곡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유선 및 무선 연결된 복수의 외부장치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동기화 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장치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영상을 시청하더라도 끊김 없이 연속적인 감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전자장치 200 : 외부장치
201 : 디스플레이장치 202 : 모바일장치
110 : 접속부 120 : 통신부
130 : 영상처리부 131 : 디코더
132 : 컨버터 135 : 스케일러
137 :인코더 140 : 사용자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와 유선 연결되는 접속부;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접속부를 통해 소정 형식의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동안, 상기 무선통신을 위한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소정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상기 외부장치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HDR(High Dynamic Range) 포맷 또는 SDR(Standard Dynamic Range) 포맷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전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HDR 포맷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속성값을 가지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변환된 SDR 포맷에 대응하는 속성값을 가지는 영상신호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속성값은 감마 특성 및 컬러 가뭇 특성을 포함하고,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속성값은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속성값 보다 좁은 표현 범위를 나타내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 영상처리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제2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변환된 S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중인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계속 처리하도록 상기 제1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처리된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장치에서의 영상 컨텐츠의 표시지연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표시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 설정, 상기 외부장치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설정, 또는 상기 외부장치에서 무선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전자장치.
  6. 전자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와 유선 연결되는 접속부;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접속부를 통해 소정 형식의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동안, 상기 무선통신을 위한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소정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상기 외부장치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HDR(High Dynamic Range) 포맷 또는 SDR(Standard Dynamic Range) 포맷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전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HDR 포맷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HDR 포맷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HDR 포맷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속성값을 가지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변환된 SDR 포맷에 대응하는 속성값을 가지는 영상신호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속성값은 감마 특성 및 컬러 가뭇 특성을 포함하고,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속성값은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속성값 보다 좁은 표현 범위를 나타내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 영상처리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HDR 포맷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제2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영상처리부에 의해 변환된 S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HDR 포맷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더 식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HDR 포맷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중인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계속 처리하도록 상기 제1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처리된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장치에서의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지연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표시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의 식별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HDR 포맷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 설정, 상기 외부장치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설정, 또는 상기 외부장치에서 무선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전자장치.
  12.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 형식의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유선 연결된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동안,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소정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HDR(High Dynamic Range) 포맷 또는 SDR(Standard Dynamic Range) 포맷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HDR 포맷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속성값을 가지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SDR 포맷에 대응하는 속성값을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속성값은 감마 특성 및 컬러 가뭇 특성을 포함하고,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속성값은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속성값 보다 좁은 표현 범위를 나타내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 영상처리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2 영상처리부에 의해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중인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1 영상처리부에 의해 계속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에서의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지연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표시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 형식의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유선 연결된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동안,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소정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HDR(High Dynamic Range) 포맷 또는 SDR(Standard Dynamic Range) 포맷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HDR 포맷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가 상기 HDR 포맷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HDR 포맷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속성값을 가지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SDR 포맷에 대응하는 속성값을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속성값은 감마 특성 및 컬러 가뭇 특성을 포함하고,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속성값은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속성값 보다 좁은 표현 범위를 나타내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 영상처리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HDR 포맷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HDR 포맷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HDR 포맷의 영상 컨텐츠를 지원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계속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에서의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지연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표시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가 동기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0.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소정 형식의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유선 연결된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동안,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소정 형식의 영상 컨텐츠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 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HDR(High Dynamic Range) 포맷 또는 SDR(Standard Dynamic Range) 포맷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송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HDR 포맷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속성값을 가지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SDR 포맷에 대응하는 속성값을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속성값은 감마 특성 및 컬러 가뭇 특성을 포함하고, 상기 S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속성값은 상기 HDR 포맷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속성값 보다 좁은 표현 범위를 나타내는 기록매체.
KR1020180038067A 2018-04-02 2018-04-02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2445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67A KR102445544B1 (ko) 2018-04-02 2018-04-02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N201980022714.3A CN111937405B (zh) 2018-04-02 2019-03-27 电子装置、控制其的方法及其记录介质
PCT/KR2019/003554 WO2019194457A1 (en) 2018-04-02 2019-03-27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16/369,208 US11284147B2 (en) 2018-04-02 2019-03-29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EP19166298.0A EP3550846A1 (en) 2018-04-02 2019-03-29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67A KR102445544B1 (ko) 2018-04-02 2018-04-02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256A KR20190115256A (ko) 2019-10-11
KR102445544B1 true KR102445544B1 (ko) 2022-09-21

Family

ID=6604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067A KR102445544B1 (ko) 2018-04-02 2018-04-02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84147B2 (ko)
EP (1) EP3550846A1 (ko)
KR (1) KR102445544B1 (ko)
CN (1) CN111937405B (ko)
WO (1) WO2019194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0825A4 (en) * 2016-12-01 2020-05-13 LG Electronics Inc. -1- IMAGE DISPLAY DEVICE AND THIS IMAGE DISPLAY SYSTEM
US10936216B2 (en) * 2018-09-26 2021-03-02 EMC IP Holding Company LLC Method and system for storage exhaustion estimation
KR20210121777A (ko) * 2020-03-31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4229A1 (en) * 2007-08-09 2009-02-12 Echostar Technologi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synchronize communication of content to a presentation device and a mobile device
US20090320080A1 (en) * 2005-01-04 2009-12-24 Avocent California Corporation Wireless Streaming Media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130279693A1 (en) * 2012-04-24 2013-10-24 Ariel Inventions, Llc Transmitting a signal based on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ignal
US20170374390A1 (en) * 2015-01-30 2017-12-28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high dynamic range (hdr) video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992B2 (en) * 2002-09-18 2010-11-0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television channel video image snapshots to an auxiliary display device
KR100584217B1 (ko) * 2004-05-29 2006-05-26 전자부품연구원 하드웨어 트랜스코더를 이용한 이동형 디바이스의멀티미디어 서비스
KR100643614B1 (ko) 2004-09-08 2006-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댁내 방송분배 기능을 갖는 유무선 방송분배 장치 및 이를이용한 방송채널 생성/해지 방법
KR100911146B1 (ko) 2006-11-15 200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RU2502214C2 (ru) * 2008-09-30 2013-12-20 Панасоник Корпорэйшн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системная бис,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оч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для трехмер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KR20100135145A (ko) * 2009-06-16 201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US8988495B2 (en) 2009-11-03 2015-03-24 Lg Ele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1611531B1 (ko) * 2009-11-13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장치 및 촬영영상 제공방법
US9288534B2 (en) 2010-05-12 2016-03-15 Smsc Holdings S.A.R.L.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media devices
JP2012029070A (ja) 2010-07-23 2012-02-09 Sony Corp リピータ機器及び制御方法
KR101917174B1 (ko) * 2012-02-24 2018-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사이의 스트림 전송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40270696A1 (en) 2013-03-14 2014-09-18 Aliphcom Media device with integrated storage and charging for an accessory device and a universal remote with bi-directional rf and uni-directional ir
US20140313414A1 (en) 2013-04-22 2014-10-23 Jane-Yuan Li Smartphone
CA2924784C (en) * 2013-09-27 2022-08-30 Sony Corporation 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512458B2 (ja) * 2014-06-30 2019-05-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データ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JP2016058848A (ja) * 2014-09-08 2016-04-2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60041243A (ko) 2014-10-07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16063475A1 (ja) * 2014-10-24 2016-04-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信方法および再生装置
KR102337159B1 (ko) 2015-05-21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과, 디스플레이 장치
TWI619387B (zh) * 2015-08-14 2018-03-21 凱銳光電股份有限公司 符合hdmi-cec規格的遙控方法與系統
CN113395548A (zh) * 2016-02-08 2021-09-14 麦克赛尔株式会社 内容发送装置
US9681183B1 (en) * 2016-05-19 2017-06-13 Bby Solutions, Inc. Over-the-air digital television video stream tuning and casting
CN106101679B (zh) * 2016-08-23 2018-01-1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高动态范围信号的处理方法及处理***
TWI650998B (zh) * 2017-12-15 2019-02-1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應用在機上盒的格式轉換電路及相關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0080A1 (en) * 2005-01-04 2009-12-24 Avocent California Corporation Wireless Streaming Media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090044229A1 (en) * 2007-08-09 2009-02-12 Echostar Technologi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synchronize communication of content to a presentation device and a mobile device
US20130279693A1 (en) * 2012-04-24 2013-10-24 Ariel Inventions, Llc Transmitting a signal based on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ignal
US20170374390A1 (en) * 2015-01-30 2017-12-28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high dynamic range (hdr) vide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37405B (zh) 2022-10-18
US20190306555A1 (en) 2019-10-03
WO2019194457A1 (en) 2019-10-10
US11284147B2 (en) 2022-03-22
EP3550846A1 (en) 2019-10-09
KR20190115256A (ko) 2019-10-11
CN111937405A (zh) 202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078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4834187B1 (ja) 再生装置、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システム、認識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21042655A1 (zh) 一种音画同步处理方法及显示设备
US20230042014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US11064150B2 (en) High resolution user interface
CN112004122B (zh) 电子装置以及其控制方法
KR102445544B1 (ko)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20150293740A1 (en) Method of displaying image by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an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US202301798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014970B (zh) 显示设备和显示控制方法
KR1023081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7328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32072A (ko)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11314663B2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multiple external apparatuses having different protocols through a connection por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132769A (zh) 显示设备及音画同步方法
CN109788340B (zh) 内容提供设备、内容提供设备的控制方法及其记录介质
US1165066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23026219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12733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69793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760211A (zh) 一种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202100748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