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311B1 -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311B1
KR102444311B1 KR1020150148891A KR20150148891A KR102444311B1 KR 102444311 B1 KR102444311 B1 KR 102444311B1 KR 1020150148891 A KR1020150148891 A KR 1020150148891A KR 20150148891 A KR20150148891 A KR 20150148891A KR 102444311 B1 KR102444311 B1 KR 102444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point
adjacent
view
luminanc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033A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3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placed behind the display panel, e.g. between backlight and spatial light modulator [S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트 크로스토크(point crosstalk)를 방지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심 시점과 인접한 시점간 영상 데이터의 중첩으로 인지되는 포인트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해,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간의 가중 계수를 룩업 테이블로 구비하여 갖고, 상기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휘도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Glassless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인트 크로스토크(point crosstalk)를 방지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현하는 방식을 2차원의 평면이 아닌 3차원의 입체로 표시하고자 하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이를 위한 입체 표시 장치는 안경의 유무에 따라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안경 방식은 공간적으로 좌우 영상을 분리해서 표시하거나, 시분할 방식으로 좌우 영상을 분할해서 표시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이 안경 방식에서는 3D(3-dimension) 영상을 시청시, 시청자가 안경을 착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어,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 장치가 대안으로 여겨진다.
무안경 방식은 일반적으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시차를 유발할 수 있는 광학 소자를 표시 화면의 앞에 설치하여 3D 영상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의 광학 소자로 렌티큘러 렌즈와 패럴랙스 배리어가 있다.
패럴랙스 배리어는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수직 슬릿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시켜 슬릿을 통해 좌우 영상이 분리되어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는 굴곡을 갖는 렌티큘러 어레이 형태의 렌즈를 표시 패널 상에 부착하여, 좌안과 우안이 서로 다른 픽셀을 보게 하여, 좌우 영상이 분리되어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와 렌티큘러 렌즈는 양안에 들어오는 영상을 분리하는 시차 분리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들 광학 소자가 갖는 시차 분리 기능에 주목하여 패럴랙스(parallax)부라고도 한다.
종래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패널과, 그 상부에 패럴랙스부를 배치하여 시차 분리에 따른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한편, 상기 패럴랙스부에서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시청자의 양안에 대응되어야 시청자가 입체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안 간격은 65mm로, 패럴랙스부에서 좌우안 영상이 양안 간격에 상당하여 분리되는 지점에 시청 영역(viewing zone)이 형성되고, 이러한 시청 영역이 입체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광학 시청 거리(OVD: Optical Viewing Distance)라 한다.
또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단일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된 2 시점(2 view) 표시 외에, 시청자가 이동하거나 복수의 시청자에 대응하여 3 시점(3 view) 이상의 표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은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양안에 대응된 다시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좌안에 대응된 시점 영상들의 휘도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경우, 복수개의 시점(view)이 설정되면, 첫번째 시점부터 n번째 시점(장치에서 표현되는 가장 큰 시점)까지 순서대로 배치되며, 이러한 연속 시점 배치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시점에 양안이 대응되어, 시차를 느끼고, 이에 입체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도시된 예는, 일예로 5개의 시점을 나타낸 것으로, 인접 시점의 중심간 간격이 양안 간격의 1/2이 되도록 하여, 시점들을 배치하였다. 또한, 이 중 2번째 시점에 좌안이 4번째 시점에 우안에 대응되어 있다.
그런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각 시점에 대해 영상이 공급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좌안 단안에 대해서는 정시점인 2번째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뿐만 아니라 인접한 첫번째 시점과 3번째 시점에 대한 영상이 일부 중첩되어 들어와, 시청자는 첫번째 시점과 3번째 시점에 대한 크로스토크를 인지하게 되며, 이는 3D 시인을 저해하게 된다.
여기서, 단안 기준으로, 정시점 외에 인접한 다른 시점이 중첩되어 보이는 현상을 포인트 크로스토크(point crosstalk)라 정의한다.
이러한 포인트 크로스토크는 설명한 좌안 단안뿐만 아니라 시점이 연속 배치되어 인접하여 있기 때문에, 우안 단안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표시가 기구적이나 시간적 구분없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한계로 지적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포인트 크로스토크(point crosstalk)를 방지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중심 시점과 인접한 시점간 영상 데이터의 중첩으로 인지되는 포인트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해,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간의 가중 계수를 룩업 테이블로 구비하여 갖고, 상기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휘도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에 접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서 나오는 영상을 3개 이상의 시점으로 분리하는 시차 분리 수단과,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타이밍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어부 및 3D 모드의 각 시점(view)별로 자신과 인접 시점에 대한 가중 계수 값을 룩업 테이블로 갖고, 3개 이상의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각 시점별 상기 가중 계수 값을 적용하여 변조된 시점별 3D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로 공급하는 시점 설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점 설정부는, 상기 제어부의 영상 데이터를 받아 상기 3D 모드의 시점별 정렬하는 소스 시점 정보부와, 상기 각 시점별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 값을 저장한 룩업테이블과, 상기 소스 시점 정보부에서 정렬된 각 시점의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추출하여, 각 시점별로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에 대한 가중 계수 값을 적용하여 중심 시점에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산출하는 크로스토크 보상부와,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에서 산출되는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는, 각 시점별로 상기 중심 시점에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의 산출은 상기 중심 시점에서 측정된 휘도와, 상기 중심 시점의 휘도에 인접한 시점의 가중 계수를 곱한 값을 각각 가산하고, 상기 인접 시점들의 휘도에 각각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 곱한 값을 감산하여 얻어진다.
상기 시차 분리 수단은 렌티큘러 렌즈 또는 배리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룩업 테이블은,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초기 구동시 상기 표시 패널에 제 1 그레이의 영상을 각 시점에 동시에 공급하여, 관찰자의 단안에 대응하여, 레퍼런스 휘도 총 합을 측정하고, 상기 관찰자의 단안에 대응된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에만 각각 상기 제 1 그레이의 영상을 공급하여, 상기 중심 시점의 가중 계수와, 상기 인접 시점들의 가중 계수를 각각 산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복수개의 시청 거리에 따라 나누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시점을 나타낸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시점별로 3D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시점별 3D모드의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시점별로, 룩업 테이블에 구비된 중심 시점과 이와 인접한 인접 시점간의 가중 계수를 적용하여, 각 시점별 변조된 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휘도를 갖는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각 시점별로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룩업 테이블에 구비된 중심 시점과 이와 인접한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는, 표시 패널에 제 1 그레이의 영상을 각 시점에 동시에 공급하여, 관찰자의 단안에 대응하여, 레퍼런스 휘도 총 합을 측정하고, 상기 관찰자의 단안에 대응된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에만 각각 상기 제 1 그레이의 영상을 공급하여, 상기 중심 시점의 제 1 가중 계수와, 상기 인접 시점들의 제 2, 제 3 가중 계수를 산출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점별로, 룩업 테이블에 구비된 중심 시점과 이와 인접한 인접 시점간의 가중 계수를 적용하여, 각 시점별 변조된 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 시점에서 측정된 휘도와, 상기 중심 시점의 휘도에 제 2, 제 3 가중 계수를 곱한 값을 각각 가산하고, 상기 인접 시점들의 휘도에 각각 제 2 가중 계수와 제 3 가중 계수를 곱한 값을 감산하여 산출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를 적용하여,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적용시 3D 표시의 시인을 저해하는 요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3D 모드의 시청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와 같이, 표현되는 다시점에 영상이 동시적으로 들어올 때, 인접 시점들의 휘도의 영향을 실제 시청을 수행하는 양안에 대응된 시점에서 줄이는 연산을 하여, 별도의 장치에 구애받지 않고, 3D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시청자의 양안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표시 패널 측에 두어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에서의 연산량을 양안에 대응된 시점들에 대해서만 처리하여 줄일 수도 있다.
셋째, 휘도를 보상하는 크로스토크 보상부를 구비하여 수행한 것으로, 기타 다른 3D 회로 알고리즘과 결합하기에 용이하다.
도 1은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양안에 대응된 다시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좌안에 대응된 시점 영상들의 휘도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표시 패널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3의 시점 설정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해, 초기 구동시 단안에 대응된 다시점 및 각 시점들의 휘도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단안에 대응된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들의 휘도 계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중심 시점에 대응하여 포인트 크로스토크를 제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 적용 여부에 따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 상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의 표시 패널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3의 시점 설정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0)과,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전면(前面) 혹은 후면(後面) 혹은 전후면에 모두 구비되는 시차 분리부(200)와, 상기 표시 패널(100)로 3D 표시시 다시점(3개 이상)에 대응되어 각각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3D 모드의 각 시점(view)별로 자신과 인접 시점에 대한 가중 계수 값을 상기 제어부(300) 내에 룩업 테이블(303)로 갖고, 3개 이상의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각 시점별 상기 가중 계수 값을 적용하여 변조된 시점별 3D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100)로 공급하는 시점 설정부(3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3개 이상의 다시점(multiple view)을 표시하는 것으로, 여기서, 인접한 시점간은 시차(disparity)을 갖는다. 여기서, 3개 이상의 다시점을 갖는 이유는, 2개의 시점으로는 고정된 위치의 단일 시청자에 대해 입체 영상 표시가 가능하나, 3개 이상의 시점을 구비하면, 복수명의 시청자에 대해 자연스러운 입체 영상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3개 이상 시점을 구비시, 예를 들어, 한 시청자에 첫번째, 2번째 시점이 대응된다면, 다른 시청자는 2번째, 3번째 시점이 대응되어, 각각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한 시청자들이 함께 입체 영상을 시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접한 시점간 간격은 사람의 평균적 양안 간격(E)을 최대 값으로 하여, 양안 간격으로 하거나 혹은 이보다 작게 상기 평균적 양안 간격 1/2이나 1/4 등의 값으로 나누어 설정할 수 있다. 시점간 간격을 양안 간격보다 작게 하는 이유는 시청자가 이동시 자연스럽고 연속적인 입체 영상을 시인할 수 있게 함이나, 예를 들어, 시청자의 동적 움직임이 제한적인 경우에는 양안 간격으로 하여도 무방하므로, 양안 간격 사이에 내부 시점(inter view)을 설정할지는 선택적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수광형 또는 자발광형 표시 패널 모두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300)에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이 수광형 표시 패널일 경우, 별도로 광원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이 수광형 표시 패널일 경우,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예를 들어, 액정 패널일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이 자발광 표시 패널일 경우,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양자점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시차 분리부(200)는 예를 들어, 배리어(Barrier) 또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렌티큘러 렌즈가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배리어가 구비되는 형태로, 표시 패널(100)의 전후면에 각각 다른 형태의 시차 분리부(200)를 함께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시차 분리부(200)가 배리어일 때, 오픈 영역은 다른 시점에 대응하여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표현되는 시점이 n개일 때, n개의 서로 다른 오픈 영역을 갖는 블록을 세트로 하여, 블록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블록 내의 n개의 오픈 영역은 수평 열 상으로 반복되거나 혹은 2개 이상의 수평 열에 나누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시차 분리부(200)가 렌티큘러 렌즈일 경우에,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표현되는 시점이 n개일 때, n개의 시점 영역에 대응하여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는 식으로 하여, 이러한 렌즈가 어레이의 형태로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시차 분리부(200)가 스위칭 기능을 갖는다면, 스위칭 오프 상태에서, 2D 표시가 가능하며, 스위칭 온 상태에서 3D (입체) 표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2D/3D 스위칭 온/오프 제어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스위칭이 가능한 시차 분리부(200)는 예를 들어,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한 블록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제 1 전극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기판 상에 하나의 제 2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액정을 채워, 상기 제 1 전극들 및 제 2 전극에 전압 인가 여부로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영상을 표시하고 이의 구동 제어를 위한 것으로, 외부의 호스트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도트 클럭 신호(CLK) 등의 타이밍 신호를 인가받으며, 표시 패널(100)에 구비된 게이트 라인들(GL) 및 데이터 라인들(DL)의 구동 제어 신호(GCS, DCS)와 타이밍 신호 생성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구동 제어 신호(GCS, DCS)에 의해 순차 또는 동시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 신호 또는 데이터 전압 신호를 제어하는 게이트 구동부(110) 및 데이터 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110) 및 데이터 구동부(120)는 둘 중 하나 혹은 둘 모두 상기 표시 패널(100)에 내장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혹은 이와 다르게, 표시 패널(100) 외부에 독립적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외부의 호스트로부터 아날로그 R, G, B 영상 데이터를 받고, 이를 디지털 R, G, B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0)에서, 구동 제어를 위한 타이밍 신호 생성은 영상의 데이터의 공급은 2D 모드와 3D 모드에서 공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중 영상 데이터는 2D 모드와 3D 모드에서 구분될 수 있으며, 외부의 호스트로부터 인가받는 2D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가 3D 모드에서 도 5와 같이, 3D 영상 데이터 변환부(301)를 별도로 구비하여 변환할 수도 있고, 혹은 다른 예로, 외부의 호스트로부터 직접 2D 모드의 영상 데이터와 3D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나누어 인가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3D(입체) 표시를 위하여, 별도로 시점 설정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3D 모드 구동을 위해 3D 구동부를 상기 제어부(300)와 독립적으로 원 칩 형태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시점 설정부(310)가 상기 3D 구동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차 시점 설정부(310)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3D 영상 데이터 변환부(301)와, 상기 제어부(300)로 들어온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3D 영상 데이터 변환부(301)에서 처리된 3D 영상 데이터를 받아 상기 3D 모드의 시점별 정렬하는 소스 시점 정보부(302)와, 상기 각 시점별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 값을 저장한 룩업테이블(303)과, 상기 소스 시점 정보부에서 정렬된 각 시점의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추출하여, 각 시점별로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에 대한 가중 계수 값을 적용하여 중심 시점에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산출하는 크로스토크 보상부(304)와,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304)에서 산출되는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출력부(305)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시점 정보부(302)는 제 1 내지 제 n(n은 3 이상)의 시점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영상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일반적인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각 시점에서 나오는 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시점 매핑(view mapping)을 수행한다. 여기서, 시점(view)이란 하나의 객체에 대하여 다른 위치에서 바라보는 영상인 것으로, 예를 들어, 4개의 시점이 있을 때, 4개의 카메라가 다른 위치에서 객체의 영상을 찍어 각 시점에 대응시키는 것이다. 한편, 복수개의 시점에 대한 복수개의 영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지만, 호스트 혹은 컴퓨터에서 객체의 복수 부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 및 시차 분리부(200)에 의해 복수개의 시점을 나타내는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를 바라보는 관찰자가 정시(正視) 영역(제 1 내지 제 n의 시점 중 제 1, 제 2 시점 또는 제 2, 제 3 시점 또는 인터뷰(inter-view)를 가질 경우에는 제 1 시점, 제 3 시점과 같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영역)에 위치할 때, 관찰자는 양안으로 들어온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을 뇌에서 합성하여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관찰자가 최적 시청거리(OVD: Optimum Viewing Distance)에 위치하는 경우가 아닌 최적 시청 거리를 벗어났을 때, 단안에 대응된 중심 시점 외에 인접 시점의 영상들이 간섭되어 들어와 이를 관찰자의 입장에서는 포인트 크로스토크로 인지하여 3D 시청의 품위의 손상이 있는데,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를 해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시점 설정부(310) 내에 상기 각 시점별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 값을 저장한 룩업테이블(303)과, 상기 소스 시점 정보부에서 정렬된 각 시점의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추출하여, 각 시점별로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에 대한 가중 계수 값을 적용하여 중심 시점에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산출하는 크로스토크 보상부(304)를 구비한다.
이러한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룩업 테이블(303)에 저장된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들의 가중 계수가 중요하며, 이러한 룩업 테이블(303)은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초기 구동시에 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해, 초기 구동시 단안에 대응된 다시점 및 각 시점들의 휘도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단안에 대응된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들의 휘도 계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초기 구동시 상기 표시 패널(100)에 제 1 그레이의 영상을 각 시점에 동시에 공급하여, 관찰자의 단안에 대응하여, 레퍼런스 휘도 총 합(α+β+γ)을 측정하고, 상기 관찰자의 단안에 대응된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에 하나씩만 각각 상기 제 1 그레이의 영상을 공급하여, 각각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좌우에서 각각 하나씩, 총 2개의 인접 시점이 있다고 가정)에서 측정되는 휘도 값(α, β, γ)을 측정하여, 각각 해당 시점에 대한 가중 계수를 레퍼런스 휘도 총합 대비 자신의 시점에서 측정된 휘도 값의 비에 관계하여 구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심 시점(nview)의 가중 계수는, (1-α/(α+β+γ)= (β+γ)/(α+β+γ))이며, 인접 시점(n-1view, n+1view)의 각각의 가중 계수는 (β/(α+β+γ), γ/(α+β+γ))에 해당한다. 여기서, 상기 레퍼런스 휘도 총합에 대해 중심 시점이 갖는 휘도 비율인 'α/(α+β+γ)' 은 직접적으로 크로스토크 보상부(304)에서 이용되지 않고, '1-α/(α+β+γ)'의 값인 (β+γ)/(α+β+γ)가 중심 시점에 대한 가중 계수로 이용된다. 이는 중심 시점에서 고유 휘도 값 Curn(i,j)은 기본 값으로 이용되고 있고, 인접 시점에 기인한 휘도 상승분을 고유 휘도 값에서 빼주어야 하므로, 이러한 감산분을 고려하여, 중심 시점의 고유 휘도 값 Curn(i,j)과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를 곱하여, 감산분을 상쇄할 가산 분을 중심 시점의 가중 계수((β+γ)/(α+β+γ))로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정된 가중 계수 값들은 상기 룩업 테이블(303)에 저장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청거리에 따라 가중 계수 값의 변동이 있을 수 있어, 이 경우, 룩업 테이블(303)은 각 시청 거리에 대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중심 시점이 제 1 내지 제 n 시점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중심 시점의 가중 계수 값은 달라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그레이는 블랙이나 화이트 혹은 그 사이의 계조로 하여 정하며, 레퍼런스 휘도 총 합과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를 구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으로, 각 시점들의 가중 계수는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제 1 그레이의 계조 값을 동일하게 하여 측정된 휘도 값을 근거로 계산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룩업 테이블(303)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해 갖는 시청 거리가 다르면, 인지되는 시점간의 휘도 프로파일의 중첩 효과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시청 거리별로 다른 값의 가중 계수를 갖는 복수개의 룩업 테이블(303)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룩업 테이블(303)은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출시 전 초기 구동에서 설정할 수도 있고, 혹은 관찰자가 작업자가 매 구동시에 저장된 가중 계수 값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304)는, 3D 모드에서 각 시점별로 상기 중심 시점에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의 산출을 수행하는데, 이용하는 데이터는, 상기 소스 시점 정보부(302)에서 시점별로 일차적으로 시점 매핑하여 정렬된 영상 데이터들(1data, 2data, 3data, …)의 휘도 정보이다. 여기서, 시점 매핑시 하나의 시점을 중심 시점으로 할 때, 중심 시점의 휘도 정보는 (CurView(i, j))로, 이보다 하나 작은 시점의 휘도 정보는 Ad(n-1)(i,j)이며, 중심 시점보다 하나 큰 시점의 휘도 정보는 Ad(n+1)(i,j)이라 한다. 참고로, (i, j)는 표시 패널의 특정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로스토크 보상부(304)에서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1data', 2data', 3data')의 산출은 모든 좌표에 대응하여 각각의 시점별로 수행하며, 따라서,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의 산출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표시 패널의 가로 해상도와 세로 해상도에 포함된 좌표들의 휘도 연산을 합산하여 이루어진다.
[수학식 1]
Figure 112015103856407-pat00001
=
Figure 112015103856407-pat00002
여기서, H는 세로 해상도이며, W 는 가로 해상도를 의미하고, (i, j)는 표시 패널(100)의 특정 좌표를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을 살펴보면, CV(i, j)는 최종 출력부에서 나오는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로, 소스 시점 정보부(302)에서 생성된 중심 시점의 자신의 휘도에, 자신의 휘도와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를 더하고, 인접 시점의 각각의 휘도에 인접 시점 각각의 가중 계수를 곱하여, 이 값을 감산한 것이다.
또한, 크로스토크 보상부(304)의 연산이 없는 상태에서, 실제 3D 모드에서, 소스 시점 정보부(302)의 시점에 따른 데이터 정렬에 의해 표시가 이루어진다면, 도 6과 같이, 중심 시점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단안은 중심 시점 자신의 휘도(α) 외에 인접 시점에 의해 영향을 받은 휘도 (β, γ)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상승한 포인트 크로스토크를 느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의 영향을 방지하고자 상기 수학식 1을 적용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중심 시점에 대응하여 포인트 크로스토크를 제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수학식 1은 도 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는데, 여기서, 포인트 크로스토크 성분없이, 일차적 시점 매핑에 의해 얻어지는 시점별 3D 영상 데이터의 값(1data, 2data, 3data, …)과 유사하게 3D 영상 데이터를 시인하게 위해, 소스 시점 정보부(302)에서 나오는 중심 시점의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의 휘도 값에, 상기 중심 시점의 영상 데이터의 휘도 값과 인접 시점들의 가중 계수 비의 합을 곱한 후 가산한 후, 다시 소스 시점 정보부(302)에서 나오는 인접 시점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의 휘도 값에 가중 계수를 곱한 값을 감산하는 것이다. 이 경우, 크로스토크 보상부(304)에서 처리하는 영상 정보들은 상기 시점 설정부(310) 내의 소스 시점 정보부(302)에서 일차적으로 시점 매핑되어 있는 정보들이며, 실제 표시된 상태는 아니다. 즉, 소스 시점 정보부(302)에서 시점별 갖는 영상 데이터는 크로스토크 보상부(304)에서의 변조를 위해 참조 값으로 이용될 뿐이다.
일예로 설명하면, 제 2 시점에 단안이 대응되고, 상기 제 2 시점을 중심 시점이라 하고, 제 1, 제 3 시점을 인접 시점이라 할 때, 상기 포인트 크로스토크의 제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소스 시점 정보부(302)는 제 1 내지 제 3 시점의 3D 영상 데이터(1data, 2data, 3data)의 정보를 가지며, 특히 이의 휘도 정보는, 제 2 시점의 휘도 정보는 상기 제 2 시점이 중심 시점이므로 Cur2(i, j)이고, 제 1 시점과 제 3 시점의 휘도 정보는 각각 Ad1(i,j)이고, Ad3(i,j)에 해당한다.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들의 가중 계수(
Figure 112015103856407-pat00003
,
Figure 112015103856407-pat00004
,
Figure 112015103856407-pat00005
)는 룩업 테이블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크로스토크 보상부(304)에서 현재의 제 2 시점에 대해 변조하여 산출하는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5103856407-pat00006
여기서,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의 휘도 정보 Cur2(i, j), Ad1(i,j), Ad3(i,j)은 상기 소스 시점 정보부(302)에 정렬된 정보를 이용하며, 가중 계수 값들은 룩업 테이블에서 저장된 값을 이용한다.
한편, 상기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의 산출은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각 시점에 대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5개의 시점이 표현된다면, 각각 제 1 내지 제 5 시점을 중심 시점으로 하여, 각각의 인접 시점과 중심 시점의 가중 계수를 고려하여, 각 시점에 대한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산출하며, 이는 출력부(305)를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부(120)를 통해 표시 패널(100)에 실질적으로 전달되는 3D 영상 데이터에 해당한다. 각 시점에 대응되는 상기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는 표시 패널(100)에 구비된 복수개의 픽셀들에, 공급되며, 그 공급 방식은 시차 분리부(200)의 배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의 배치에 따라 다르게 될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n 시점을 한 세트로 블록이 반복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블록 내에서, 서로 다른 시점은 다른 픽셀에 대응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이용한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3개 이상의 시점을 나타낸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은, 제어부(300) 내부 혹은 제어부(300)와 별도의 3D 구동부에 구비된 도 5의 구성의 시점 설정부(310)에서 처리한다.
먼저, 소스 시점 정보부(302)는 제 1 내지 제 n 시점에 대해 3D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정렬한다(100S).
이어, 각 시점별로 자신을 중심 시점으로 하여, 상기 소스 시점 정보부(302)에서 정렬된 시점별 3D모드의 영상 데이터(1data, 2data, 3data, …)를 이용하여, 중심 시점의 휘도 Curn(i, j)와, 인접 시점의 휘도 Ad(n-1)(i,j), Ad(n-1)(i,j)를 추출한다(110S).
이어, 상기 시점별로, 룩업 테이블(303)에 구비된 중심 시점과 이와 인접한 인접 시점간의 가중 계수(
Figure 112015103856407-pat00007
,
Figure 112015103856407-pat00008
,
Figure 112015103856407-pat00009
)를 적용하여(120S),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304)에서, 수학식 1을 통해 크로스토크 값이 보상된 각 시점별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1data', 2data', 3data', …)를 산출한다(130S).
즉, 상기 중심 시점의 휘도에 인접한 시점의 가중 계수를 곱한 값을 각각 가산(Curn(i,j)x
Figure 112015103856407-pat00010
), 하고, 상기 인접 시점들의 휘도에 각각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를 곱한 값(Ad(n-1)(i,j)x
Figure 112015103856407-pat00011
) 및 Ad(n+1)(i,j)x
Figure 112015103856407-pat00012
)을 감산하여 얻는다.
이어, 출력부(305)에서 상기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1data', 2data', 3data')를 각 시점별로 데이터 구동부(120)를 통해 표시 패널(100)에 제공한다(140S).
상술한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중심 시점에 대해 인접 시점이 좌우로 각각 하나씩 2개 있는 경우를 상정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시점간 중첩을 크게 하면, 2개보다 더 많은 인접시점들이 중심 시점과 중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중심 시점의 휘도와, 상기 중심 시점의 휘도에 인접한 시점의 가중 계수를 곱한 값을 각각 가산하고, 상기 인접 시점들의 휘도에 각각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를 곱한 값들을 감산하여 얻는다.
한편 표 1은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적용한 경우와, 도 1, 2의 방식의 적용한 경우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에서 계조를 0 내지 255의 범위로 표현시 휘도 측정 값에 의해 중심 시점의 크로스토크 값을 산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 적용시, 평균적으로 크로스토크 값이 50% 이상 줄어듦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조 (그레이) 휘도 측정 값 크로스토크 값
중심시점(k) 인접시점(m)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 미적용시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 적용시 휘도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 미적용시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 적용시 휘도
255 255 93.40 94.60 - -
255 191 86.30 86.10 32.54% 28.91%
255 127 78.53 77.80 29.56% 28.43%
255 63 73.60 72.90 30.00% 30.22%
255 0 71.00 71.40 31.11% 31.78%
191 255 71.58 65.20 49.59 27.18%
191 191 57.10 57.40 - -
191 127 47.20 52.30 38.67% 17.65%
191 63 40.50 51.20 41.40% 14.68%
191 0 34.80 52.90 48.69% 10.20%
127 255 43.10 35.50 35.73% 22.24%
127 191 31.50 28.50 34.03% 17.65%
127 127 23.40 23.40 - -
127 63 18.30 22.00 38.06% 9.59%
127 0 14.90 22.70 46.55% 4.07%
63 255 27.40 22.80 32.06% 25.61%
63 191 17.00 15.16 32.66% 21.05%
63 127 10.00 8.80 34.65% 19.76%
63 63 5.60 5.55 - -
63 0 3.47 5.12 50.12% 10.86%
0 255 21.40 21.60 30.07% 30.18%
0 191 11.30 13.30 32.34% 25.04%
0 127 5.14 6.20 34.19% 27.09%
0 63 1.35 1.59 37.65% 30.10%
0 0 0.07 0.07 - -
평균값 36.98% 21.61%
여기서, 크로스토크를 구하는 식은 수학식 2에 따른다.
[수학식 2]
Figure 112015103856407-pat00013
상기 G 값은 계조 값으로, Gkm은 중심 시점의 계조가 k이며, 인접 시점의 계조가 m을 의미하며, Gmk은 중심 시점의 계조가 m이며, 인접 시점의 계조가 k을 의미하며, Gmm은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의 계조가 같은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T255, 127은 변조된 3D 데이터 미적용시에는,
Figure 112015103856407-pat00014
=29.56%에 상당하며, 변조된 3D 데이터 적용시에는,
Figure 112015103856407-pat00015
=28.43%에 상당하다. 위 표 1은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과의 계조 차가 있을 때, 각각 변조된 3D 데이터 미적용시와 적용시의 크로스토크 값을 구한 것으로,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간의 휘도 차가 없다면, 인접 시점과의 중첩이 있어도 크로스토크는 거의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의 값들은 무시한다.
표 1에서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적용하여도 포인트 크로스토크 값이 일부 발생함을 알 수 있으나, 관찰자가 시인하기에, 포인트 크로스토크 값 20% 이하는 무시할 수준이며, 또한, 대략 포인트토크 값이 20% 이상을 나타내는 중심 시점의 계조 255나 0의 경우는 아주 고계조나 저계조인 상태로, 실제 표시에 이용하는 경우가 적고, 주로 계조 0과 255 사이의 중간 계조를 이용할 것으로,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적용시 인접 시점의 크로스토크에 의한 입체 영상 시인 저하가 크게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 적용 여부에 따른 사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고정된 자연 환경의 배경에, 달팽이의 움직임을 입체 영상으로 나타낸 사진들이다. 그리고, 도 10a은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수학식 1에 따른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를 적용하여,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실제 표시에 이용한 것이며, 도 10b는 이러한 처리없이, 시점 설정부의 소스 시점 정보부에서 시점 매핑한 3D 영상 데이터를 표시에 이용한 것이다.
도 10a와 같이, 움직임이 큰 달팽이의 뿔을 살펴보면, 인접 시점의 영향이 거의 없어, 명확한 하나의 뿔을 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미적용시에는 도 10b와 같이, 인접 시점에 의한 영향으로 이중으로 뿔이 관찰됨을 살펴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수학식 1에 따른 중심 시점과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를 적용하여,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적용시 3D 표시의 시인을 저해하는 요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3D 모드의 시청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와 같이, 표현되는 다시점에 영상이 동시적으로 들어올 때, 인접 시점들의 휘도의 영향을 실제 시청을 수행하는 양안에 대응된 시점에서 줄이는 연산을 하여, 별도의 장치에 구애받지 않고, 3D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종래 인접 시점에 의한 포인트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점들간의 시차를 1 미만으로 조정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나, 이는 시차 감소로 3D 표현이 깊이감이 감소되어 채택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인트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해 블랙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은, 패널의 휘도를 크게 떨어뜨리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가중계수와 수학식 1에 따른 연산에 의해 휘도 보상되어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 생성이 용이하여, 복잡한 알고리즘 이용에 따라 메모리가 요구되는 방식 대비 적용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시청자의 양안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표시 패널(100) 측에 두어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에서의 연산량을 양안에 대응된 시점들에 대해서만 처리하여 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수학식 1에 따른 연산 처리를 별도로 크로스토크 보상부를 구비하여 수행한 것으로, 기타 다른 3D 회로 알고리즘과 결합하기에 용이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110: 게이트 구동부
120: 데이터 구동부 200: 시차 분리부
300: 제어부 301: 영상데이터 3D 변환부
302: 소스 시점 정보부 303: 룩업테이블
304: 크로스토크 보상부 305: 출력부
310: 시점 설정부

Claims (9)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접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서 나오는 영상을 3개 이상의 시점으로 분리하는 시차 분리 수단;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타이밍 제어하여, 양안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시점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시점에 대응된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제어부; 및
    3D 모드의 각 시점(view)별로 중심 시점과 상기 중심 시점의 좌우 양측의 인접 시점들에 대한 서로 다른 가중 계수 값들을 룩업 테이블로 갖고, 상기 3개 이상의 시점에 대응된 영상 데이터를 각 시점별 상기 가중 계수 값들을 적용하여 변조된 시점별 3D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로 공급하는 시점 설정부를 포함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설정부는,
    상기 제어부의 영상 데이터를 받아 상기 3D 모드의 시점별 정렬하는 소스 시점 정보부와, 상기 각 시점별 중심 시점과 좌우 양측의 인접 시점들의 가중 계수 값들을 저장한 룩업테이블과, 상기 소스 시점 정보부에서 정렬된 각 시점의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추출하여, 각 시점별로 중심 시점과 좌우 양측의 인접 시점들에 대한 가중 계수 값들을 적용하여 중심 시점에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산출하는 크로스토크 보상부와,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에서 산출되는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는, 각 시점별로 상기 중심 시점에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의 산출을,
    상기 중심 시점에서 측정된 휘도와, 상기 중심 시점의 휘도에 상기 좌우 양측의 인접한 시점들의 가중 계수를 곱한 값을 각각 가산하고,
    상기 인접 시점들의 휘도에 각각 상기 좌우 양측의 인접 시점들의 가중 계수 곱한 값을 감산하여 수행하는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분리 수단은 렌티큘러 렌즈 또는 배리어인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초기 구동시
    상기 표시 패널에 제 1 그레이의 영상을 각 시점에 동시에 공급하여, 관찰자의 단안에 대응하여, 레퍼런스 휘도 총 합을 측정하고,
    상기 관찰자의 단안에 대응된 중심 시점과 상기 중심 시점의 좌우 양측의 인접 시점들에 각각 하나씩 상기 제 1 그레이의 영상을 공급하여, 상기 중심 시점의 제 1 가중 계수와, 상기 중심 시점의 좌측 인접 시점의 제 2 가중 계수와 상기 중심 시점의 우측 인접 시점의 제 3 가중 계수를 각각 산출하여 얻는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복수개의 시청 거리에 따라 나누어 구비되는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7. 3개 이상의 시점을 나타낸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양안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시점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시점에 대응된 영상 데이터를 구비하는 단계;
    시점별로 3D 모드의 영상 데이터를 정렬하는 단계;
    상기 시점별 상기 3D모드의 영상 데이터의 휘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시점별로, 룩업 테이블에 구비된 중심 시점과 상기 중심 시점의 좌우 양측에 인접한 인접 시점들에 서로 다른 가중 계수를 적용하여, 각 시점별 변조된 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휘도를 갖는 변조된 3D 영상 데이터를 각 시점별로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에 구비된 중심 시점과 이와 인접한 좌우 양측의 인접 시점의 가중 계수는,
    표시 패널에 제 1 그레이의 영상을 각 시점에 동시에 공급하여, 관찰자의 단안에 대응하여, 레퍼런스 휘도 총 합을 측정하고,
    상기 관찰자의 단안에 대응된 중심 시점과 좌측 인접 시점 및 우측 인접 시점에 각각 하나씩 상기 제 1 그레이의 영상을 공급하여, 상기 중심 시점의 제 1 가중 계수와, 상기 좌측 인접 시점의 제 2 가중 계수 및 상기 우측 인접 시점의 제 3 가중 계수를 산출하여 얻는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별로, 룩업 테이블에 구비된 중심 시점과 이와 인접한 인접 시점간의 가중 계수를 적용하여, 각 시점별 변조된 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 시점에서 측정된 휘도와, 상기 중심 시점의 휘도에 상기 제 2 가중 계수 및, 상기 제 3 가중 계수를 곱한 값을 각각 가산하고,
    상기 좌측 인접 시점의 휘도에 상기 제 2 가중 계수를 곱한 값 및 상기 우측 인접 시점의 휘도에 상기 제 3 가중 계수를 곱한 값을 각각 감산하여 이루어지는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50148891A 2015-10-26 2015-10-26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44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891A KR102444311B1 (ko) 2015-10-26 2015-10-26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891A KR102444311B1 (ko) 2015-10-26 2015-10-26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033A KR20170048033A (ko) 2017-05-08
KR102444311B1 true KR102444311B1 (ko) 2022-09-16

Family

ID=6016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891A KR102444311B1 (ko) 2015-10-26 2015-10-26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3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165B1 (ko) * 2011-08-30 2018-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크로스토크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KR101322910B1 (ko) * 2011-12-23 2013-10-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수의 관찰자에 적용가능한 동적 시역 확장을 이용한 다시점 3차원 영상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1990334B1 (ko) * 2012-08-22 2019-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56568B1 (ko) * 2013-09-16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033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251B1 (ko) 멀티 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최적 시청 거리 제어 방법
US9224366B1 (en) Bendable 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US8743111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313662B2 (en) Glasses-free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US9995942B2 (e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US2014024732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1931085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20180217391A1 (en) 3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40015864A1 (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using the same
KR10214225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454391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79555A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US9756321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KR102444311B1 (ko)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80097804A (ko) 표시 장치
KR101735396B1 (ko)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137520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KR102293837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232462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130017890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크로스토크 보상 방법
KR20110082228A (ko)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2191979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080611B1 (ko) 이미지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60087463A (ko) 다시점 영상 표시 장치
KR20150038954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