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393B1 - 고기구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기구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393B1
KR102442393B1 KR1020220060276A KR20220060276A KR102442393B1 KR 102442393 B1 KR102442393 B1 KR 102442393B1 KR 1020220060276 A KR1020220060276 A KR 1020220060276A KR 20220060276 A KR20220060276 A KR 20220060276A KR 102442393 B1 KR102442393 B1 KR 102442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meat
smoke
housing
pass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주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주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주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22006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구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의 초벌구이가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고기를 구울 때에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 및 기름에 의해 발생되는 시식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고기구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를 구울 때에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 및 기름에 의해 발생되는 시식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고기의 육즙이나 기름 등의 부산물이 열원에 접촉되지 않아 유해물질이 생성되지 않으며, 집속수단이 설치되어 그을음이 제거되고, 정화된 연기가 배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기구이 시스템 {meat roasting systems}
본 발명은 고기구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의 초벌구이가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고기를 구울 때에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 및 기름에 의해 발생되는 시식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고기구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 고기를 먹을 경우에 탁자에 형성된 화덕이나 휴대용 버너에 불판을 올려놓은 후 고기를 굽게 되는데, 화덕의 숯을 이용하여 판을 예열시키고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또한 예열된 상태에서 고기를 불판에 올려놓을 경우, 고기에서 발생되는 수분과 기름이 고온의 열에 의해 비산되어, 주위에 있는 사람에게 기름이 옷에 묻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주문시 초벌구이기를 이용한 초벌구이후 제공하도록 하여 연기 및 냄새발생의 최소화로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기름발생으로 인한 거부감을 없애주도록 하고 있다.
초벌구이기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566386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고기의 초벌구이가 가능하도록 전면의 작업틀과 후면은 유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의 송풍홈과 타측의 공기통풍홈을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그릴받침부와 원료받침부와 폐원료상자 받침부를 형성하며, 상측의 배기홈과 하측의 원료 저장부를 형성한 화덕본체와, 상기 화덕본체의 그릴받침부와 결합되는 화덕구이부로 이루어진 초벌구이용 화덕구이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화덕본체에 그릴이 가로방향으로 투입됨으로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기의 기름이 낙하하여 연료와 접촉되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라고 하는 발암물질을 함유한 그을음이 발생하고, 이러한 인체에 유해한 그을음은 상부로 피어올라 고기에 흡착되어 사람이 섭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566386호 (2006.03.24.)
본 발명은 고기의 초벌구이가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고기를 구울 때에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 및 기름에 의해 발생되는 시식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고기구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부 하측에 기름받이챔버(11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상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석쇠걸이(210)와 연결된 이송롤러(22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석쇠이송레일(200); 상기 하우징(100)의 전단에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커버(3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세로로 배치되되, 석쇠이송레일(20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어,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의 양면이 동시에 구워지도록 가열시키는 고기가열수단(400,400'); 고기(M)가 끼워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석쇠이송레일(200)의 석쇠걸이(210)에 세로로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고기가열수단(400,400') 사이에 배치되는 석쇠(500); 상기 기름받이챔버(110)에 장착되어,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에서 낙하되는 기름(F)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기름받이(6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커버(300)는 기름받이챔버(110)와 연통되는 기름받이투입구(310)와, 장작받이챔버(120)와 연통되는 장작받이투입구(320)와, 석쇠이송레일(200)이 관통되고, 고기가열수단(400,400')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며, 하우징(100) 내부로 석쇠(500)를 세워서 투입할 수 있도록 세로로 길게 형성되는 석쇠투입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를 구울 때에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 및 기름에 의해 발생되는 시식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고기의 육즙이나 기름 등의 부산물이 열원에 접촉되지 않아 유해물질이 생성되지 않으며, 집속수단이 설치되어 그을음이 제거되고, 정화된 연기가 배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기구이 시스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기구이 시스템에 대한 결합시시도로서, 석쇠가 하우징에 인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기구이 시스템에 대한 결합시시도로서, 석쇠가 하우징에 인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석쇠를 좌측으로 회동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석쇠를 우측으로 회동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부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부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제1석쇠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제2석쇠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제1,2석쇠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석쇠이송레일의 정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집속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방", "후방" 등의 방향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00)에서 석쇠(500)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 으로, 그 반대 방향을 "후방" 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고기구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나 생선 등의 익혀먹는 식재료(이하, 고기라 칭한다.)의 초벌구이가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고기를 구울 때에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 및 기름에 의해 발생되는 시식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고기구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기구이 시스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기구이 시스템에 대한 결합시시도로서, 석쇠가 하우징에 인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고기구이 시스템에 대한 결합시시도로서, 석쇠가 하우징에 인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석쇠를 좌측으로 회동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서 석쇠를 우측으로 회동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부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부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제1석쇠에 대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제2석쇠에 대한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제1,2석쇠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석쇠이송레일의 정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집속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시스템은 하우징(100)과, 석쇠이송레일(200)과, 하우징커버(300)와, 고기가열수단(400,400')과, 석쇠(500)와, 기름받이(600)와, 장작받이(700)와, 집속수단(800)과, 수직단열재(900)와, 수평단열재(1000)와, 제어패널(1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 등의 고기(M)이 가열되면서 조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내부 하측에 기름받이챔버(110) 및 장작받이챔버(120)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름받이챔버(110)의 상면에는 석쇠(500)가 거치되는 공간과 연통되는 제1관통공(1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장작받이챔버(120)의 상면에는 집속수단(800)이 수용되는 공간과 연통되는 제2,3관통공(170,180)이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공기유입관(130)과, 집속수단(800)에서 정화된 연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연기배출관(140)과, 상기 연기배출관(140)으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외부로 열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 자체는 내화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쇠이송레일(200)에 대해 설명한다. 석쇠이송레일(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상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석쇠걸이(210)와 연결된 이송롤러(22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
상기 석쇠걸이(210)는 도 16,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220)의 하측 양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되, 석쇠(500)가 통과되는 빈 공간인 석쇠통과공간(SP)을 두고 배치되는 제1,2석쇠걸이(211,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석쇠걸이(21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석쇠(500)가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제1요철부(211a)와, 상기 제1요철부(211a)에서 연장되되,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요철부(211b)와, 상기 제2요철부(211b)에서 연장되되,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석쇠(500)가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제3요철부(21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석쇠걸이(212)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석쇠(500)가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제1요철부(212a)와, 상기 제1요철부(212a)에서 연장되되,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요철부(212b)와, 상기 제2요철부(212b)에서 연장되되,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석쇠(500)가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제3요철부(21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석쇠통과공간(SP)으로 석쇠(500)를 통과시킨 후에 제1석쇠걸이(211)의 제1요철부(211a), 제3요철부(211c) 또는 제2석쇠걸이(212)의 제1요철부(212a), 제3요철부(212c)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석쇠(500)를 거치함으로써, 석쇠(500)와 고기가열수단(400,400')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쇠이송레일(20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쇠걸이(210)와 이송롤러(220) 사이에 연결되고, 석쇠(500)가 석쇠걸이(210)에 걸린 상태에서 석쇠(500)에 수직방향으로 흔들어 진동을 가함으로써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의 기름을 낙하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비되는 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230)은 통상의 스프링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석쇠걸이(210)에 거치된 석쇠(500)를 잡고 위아래로 흔들게 되면, 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의 기름의 튕겨져 나가서 기름받이(600)로 빨리 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230)은 이송롤러(220)와 제1석쇠걸이(211) 사이에 연결되는 제1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231)과, 이송롤러(220)와 제2석쇠걸이(212) 사이에 연결되는 제2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할 석쇠(500)는 석쇠이송레일(200)의 석쇠걸이(210)에 세로로 장착된 상태에서, 이송롤러(22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하우징커버(300)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커버(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단에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기름받이투입구(310)와, 장작받이투입구(320)와, 석쇠투입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름받이투입구(310)는 기름받이챔버(110)와 연통되는 부분으로서, 후술할 기름받이(600)가 기름받이챔버(110)로 인입되는 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작받이투입구(320)는 장작받이챔버(120)와 연통되는 부분으로서, 후술할 장작받이(700)가 장작받이챔버(120)로 인입되는 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상기 석쇠투입구(330)는 석쇠이송레일(200)이 관통되고, 후술할 고기가열수단(400,400')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며, 하우징(100) 내부로 석쇠(500)를 세워서 투입할 수 있도록 세로로 길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고기가열수단(400,400')에 대해 설명한다. 고기가열수단(400,4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세로로 배치되되, 석쇠이송레일(20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어,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의 양면이 동시에 구워지도록 가열시키는 부분이다.
여기서, 고기가열수단(400,400')은 고기(M)에 접촉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복사열에 의하여 고기(M)를 익히게 되는데, 이에 따라 고기(M)의 육즙이나 기름 등의 부산물이 열원에 접촉되지 않아 유해물질이 생성되지 않으며, 고기(M)를 양쪽에서 익힘으로서 고기(M)의 익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석쇠(500)에 대해 설명한다. 석쇠(500)는 고기(M)가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석쇠이송레일(200)의 석쇠걸이(210)에 세로로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고기가열수단(400,400')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석쇠(500)의 폭(D2)은 석쇠투입구(330)의 폭(D1)보다 작게 형성되어, 석쇠(500)가 석쇠걸이(210)에 세로로 장착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석쇠걸이(210)을 축으로 하여 석쇠투입구(330)의 폭(D2) 범위 내에서 좌방(L) 또는 우방(R)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4,5,6 참조).
이에 따른 효과로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를 고기가열수단(400,400') 중 어느 하나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고기(M)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을 보다 빠르게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석쇠(500)는 상호 겹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2석쇠(510,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석쇠(5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511)과, 상기 제1프레임(511) 내부에 다수 가닥의 금속 와이어가 엮여 망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석쇠살(512)과, 상기 제1프레임(511)의 제1측부(511a)에 형성되는 제1손잡이(513)와, 상기 제1측부(511a)의 반대측인 제1프레임(511)의 제2측부(511b)에 구비되고, 제2결합부(524)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결합부(5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석쇠(5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521)과, 상기 제2프레임(521) 내부에 다수 가닥의 금속 와이어가 엮여 망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석쇠살(522)과, 상기 제2프레임(521)의 제1측부(521a)에 형성되는 제2손잡이(523)와, 상기 제1측부(521a)의 반대측인 제2프레임(521)의 제2측부(521b)에 소정 높이 수직하게 세워져 구비되고, 제1결합부(514)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부(524)와, 상기 제1측부(521a)의 일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3측부(521c)에 구비되고, 석쇠걸이(210)에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걸이부 (525)와, 상기 제3측부(521c)의 반대측인 제2프레임(521)의 제4측부(521d)에 구비되고, 걸이부(525)가 석쇠걸이(210)에 거치된 상태에서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가 석쇠(500)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기낙하방지부(526)와, 상기 제2손잡이(52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손잡이고정수단(5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514)은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결합부(524)는 제1결합부(514)의 형상에 대응되는 결합공(524a)이 구비되어, 제1결합부(514)를 결합공(524a)에 삽입고정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고정수단(527)은 제1,2손잡이(513,523)가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제1,2손잡이(513,523)를 동시에 감싸도록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1,2손잡이(513,523)를 상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제1,2석쇠(510,520)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제1,2석쇠(510,520)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2석쇠(520) 위에 고기(M)를 올려둔 다음에, 제2석쇠(520)의 제2결합공(524a)에 제1석쇠(510)의 제1결합부(514)를 삽입한다 (도 12 내지 도 13 참조).
다음으로, 제1석쇠(510)를 아래로 내려서 제1,2석쇠(510,520)가 겹쳐지도록 한다 (도 14 참조). 이에 따라, 제1석쇠(510)의 제1손잡이(513)와 제2석쇠(520)의 제2손잡이(523)도 상호 겹쳐지게 된다.
다음으로, 제2석쇠(520)의 손잡이고정수단(527)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1,2손잡이(513,523)가 손잡이고정수단(526) 동시에 감싸지도록 하여, 제1,2손잡이(513,523)를 상호 고정시킨다(도 15). 이에 따라, 제1,2석쇠(510,520)도 더욱 밀착되기 때문에, 제1,2석쇠(510,520)를 세우더라도, 고기(M)가 쉽게 이동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2석쇠(510,520)를 겹친 상태에서, 제2석쇠(520)의 걸이부(525)를 석쇠이송레일(200)의 석쇠걸이(210)에 걸어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석쇠(510,520)가 세로로 세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고기(M)는 제1,2석쇠(510,520) 사이에 고정되어 쉽게 움직이지 않지만, 만에 하나 고기(M)가 아래로 이동되더라도 고기낙하방지부(526)에 막히기 때문에, 제1,2석쇠(510,520) 밑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기름받이(600)에 대해 설명한다. 기름받이(600)는 상기 기름받이챔버(11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에서 낙하되는 기름 및 육즙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부분이다.
장작받이(700)에 대해 설명한다. 장작받이(700)는 하우징(100)의 장작받이챔버(12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장작(W)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작(W)을 가열시켜서 훈연을 발생시키는 장작가열수단(710)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장작(W)으로는 연소시 향이 좋은 참나무장작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또 불완전 연소에 의한 연기발생으로 훈연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면 고기의 맛이 더해지게 된다.
집속수단(800)에 대해 설명한다. 집속수단(800)은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기(M) 및 장작(W)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정화하고, 그을음을 제거하는 부분으로서, 이오나이저와 전극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집속수단(80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연기유입부(800a)가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이와 대향되는 타단부에도 연기토출부(800b)가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어, 연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속수단(8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는 제1,2,3집속수단(810,820,830)이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집속수단(810)은 그 전단부가 하우징커버(3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1전측연기통과공간(SF1)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가 하우징(100)의 후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1후측연기통과공간(SR1)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전측연기통과공간(SF1)은 제1후측연기통과공간(SR1)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짐과 동시에, 제2전측연기통과공간(SF2)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효과로서, 제1전측연기통과공간(SF1)에 연기를 오랜 시간동안 체류시켜, 제1집속수단(810)에 보다 많은 연기가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작(W)이 가열되어 발생된 연기는 제2관통공(170)을 통과하여 제1전측연기통과공간(SF1)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고기(M)가 가열되어 발생된 연기 중 일부는 제3관통공(180)을 통과하여 장작받이(700)로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집속수단(820)은 그 전단부가 하우징커버(3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2전측연기통과공간(SF2)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가 하우징(100)의 후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2후측연기통과공간(SR2)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후측연기통과공간(SR2)은 제2전측연기통과공간(SF2)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짐과 동시에, 제1후측연기통과공간(SR1)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효과로서, 제2후측연기통과공간(SR2)에 연기를 오랜 시간동안 체류시켜, 제2집속수단(820)에 보다 많은 연기가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집속수단(830)은 그 전단부가 하우징커버(3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3전측연기통과공간(SF3)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가 하우징(100)의 후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3후측연기통과공간(SR3)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전측연기통과공간(SF3)은 제3후측연기통과공간(SR3)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짐과 동시에, 제2전측연기통과공간(SF2)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효과로서, 제3전측연기통과공간(SF3)에 연기를 오랜 시간동안 체류시켜, 제3집속수단(830)에 보다 많은 연기가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수직단열재(900)에 대해 설명한다. 수직단열재(900)는 고기가열수단(400,400')과 집속수단(800) 사이에 배치되어, 고기가열수단(400,4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집속수단(80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단열재(1000)에 대해 설명한다. 수평단열재(10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속수단(800)의 제1,2,3집속수단(810,820,830) 사이에 배치되어, 연기가 제1,2,3집속수단(810,820,830) 순서대로 통과되도록 하는 폐경로를 형성시키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단열재(1000)는 제2집속수단(820)의 하측 전단부와 하우징커버(300) 사이에 배치되는 제1수평단열재(1010)와, 제3집속수단(830)의 상측 전단부와 하우징커버(300) 사이에 배치되는 제2수평단열재(1020)와, 제3집속수단(830)의 하측 후단부와 하우징(100)의 후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3수평단열재(1030)와, 제3집속수단(830)의 상측 후단부와 하우징(100)의 후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4수평단열재(10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수평단열재(1010)에 대해 설명한다. 제1수평단열재(1010)는 제2집속수단(820)의 하측 전단부와 하우징커버(3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전측연기통과공간(SF1)과 제2전측연기통과공간(SF2)을 상호 차단시킴과 동시에, 제1집속수단(810)으로 연기의 유동을 유도하는 부분이다.
제2수평단열재(1020)에 대해 설명한다. 제2수평단열재(1020)는 제3집속수단(830)의 상측 전단부와 하우징커버(300) 사이에 배치되어, 제3전측연기통과공간(SF3)과 하우징내부공간(SH)을 상호 차단시킴과 동시에, 제3집속수단(810)으로 연기의 유동을 유도하는 부분이다.
제3수평단열재(1030)에 대해 설명한다. 제3수평단열재(1030)는 제3집속수단(830)의 하측 후단부와 하우징(100)의 후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3후측연기통과공간(SR3)과 제2후측연기통과공간(SR2)을 상호 차단시킴과 동시에, 제2집속수단(820)으로 연기의 유동을 유도하는 부분이다.
제4수평단열재(1040)에 대해 설명한다. 제4수평단열재(1040)는 제3집속수단(830)의 상측 후단부와 하우징(100)의 후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3후측연기통과공간(SR3)과 하우징내부공간(SH)을 상호 차단시킴과 동시에, 송풍팬(150)으로 연기의 유동을 유도하는 부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기가열수단(400,400') 및 장작가열수단(710)의 온/오프 및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패널(1100)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를 구울 때에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 및 기름에 의해 발생되는 시식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고기의 육즙이나 기름 등의 부산물이 열원에 접촉되지 않아 유해물질이 생성되지 않으며, 집속수단이 설치되어 그을음이 제거되고, 정화된 연기가 배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기름받이챔버
120 : 장작받이챔버
130 : 공기유입관
140 : 연기배출관
150 : 송풍팬
160 : 제1관통공
170 : 제2관통공
180 : 제3관통공
200 : 석쇠이송레일
210 : 석쇠걸이
211 : 제1석쇠걸이
211a : 제1요철부
211b : 제2요철부
211c : 제3요철부
212 : 제2석쇠걸이
221a : 제1요철부
221b : 제2요철부
221c : 제3요철부
220 : 이송롤러
230 : 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
231 : 제1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
232 : 제2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
300 : 하우징커버
310 : 기름받이투입구
320 : 장작받이투입구
330 : 석쇠투입구
400,400' : 고기가열수단
500 : 석쇠
510 : 제1석쇠
511 : 제1프레임
512 : 제1석쇠살
513 : 제1손잡이
514 : 제1결합부
520 : 제2석쇠
521 : 제2프레임
522 : 제2석쇠살
523 : 제2손잡이
524 : 제2결합부
524a : 결합공
525 : 걸이부
526 : 고기낙하방지부
527 : 손잡이고정수단
600 : 기름받이
700 : 장작받이
710 : 장작가열수단
800 : 집속수단
810 : 제1집속수단
820 : 제2집속수단
830 : 제3집속수단
900 : 수직단열재
1000 : 수평단열재
1010 : 제1수평단열재
1020 : 제2수평단열재
1030 : 제3수평단열재
1040 : 제4수평단열재
1100 : 제어패널
M : 조리물
W : 장작

Claims (6)

  1. 내부 하측에 기름받이챔버(11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내부 상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석쇠걸이(210)와 연결된 이송롤러(22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석쇠이송레일(200);
    하우징(100)의 전단에 탈착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커버(300);
    하우징(100) 내부에 세로로 배치되되, 석쇠이송레일(20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어,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의 양면이 동시에 구워지도록 가열시키는 고기가열수단(400,400');
    고기(M)가 끼워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석쇠이송레일(200)의 석쇠걸이(210)에 세로로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고기가열수단(400,400') 사이에 배치되는 석쇠(500);
    기름받이챔버(11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에서 낙하되는 기름(F)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기름받이(600);
    하우징(100)의 장작받이챔버(12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장작(W)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작(W)을 가열시켜서 훈연을 발생시키는 장작가열수단(710)을 포함하는 장작받이(700);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고, 고기(M) 및 장작(W)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정화하는 집속수단(80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장작받이챔버(120)와,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공기유입관(130)과,
    집속수단(800)에서 정화된 연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연기배출관(140)과,
    상기 연기배출관(140)으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커버(300)는
    기름받이챔버(110)와 연통되는 기름받이투입구(310)와,
    장작받이챔버(120)와 연통되는 장작받이투입구(320)와,
    석쇠이송레일(200)이 관통되고, 고기가열수단(400,400')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며, 하우징(100) 내부로 석쇠(500)를 세워서 투입할 수 있도록 세로로 길게 형성되는 석쇠투입구(330)를 포함하고,

    상기 석쇠(500)의 폭(D2)은 석쇠투입구(330)의 폭(D1)보다 작게 형성되어, 석쇠(500)가 석쇠걸이(210)에 세로로 장착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석쇠걸이(210)을 축으로 하여 석쇠투입구(330)의 폭(D2)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석쇠(500)는
    상호 겹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2석쇠(510,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석쇠(510)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511)과,
    상기 제1프레임(511) 내부에 다수 가닥의 금속 와이어가 엮여 망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석쇠살(512)과,
    상기 제1프레임(511)의 제1측부(511a)에 형성되는 제1손잡이(513)와,
    상기 제1측부(511a)의 반대측인 제1프레임(511)의 제2측부(511b)에 구비되고, 제2결합부(524)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결합부(5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석쇠(520)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521)과,
    상기 제2프레임(521) 내부에 다수 가닥의 금속 와이어가 엮여 망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석쇠살(522)과,
    상기 제2프레임(521)의 제1측부(521a)에 형성되는 제2손잡이(523)와,
    상기 제1측부(521a)의 반대측인 제2프레임(521)의 제2측부(521b)에 소정 높이 수직하게 세워져 구비되고, 제1결합부(514)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부(524)와,
    상기 제1측부(521a)의 일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3측부(521c)에 구비되고, 석쇠걸이(210)에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걸이부(525)와,
    상기 제3측부(521c)의 반대측인 제2프레임(521)의 제4측부(521d)에 구비되고, 걸이부(525)가 석쇠걸이(210)에 거치된 상태에서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가 석쇠(500)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기낙하방지부(526)와,
    상기 제2손잡이(52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손잡이고정수단(527)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고정수단(527)은
    제1,2손잡이(513,523)가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제1,2손잡이(513,523)를 동시에 감싸도록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1,2손잡이(513,523)를 상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이송레일(200)은
    석쇠걸이(210)와 이송롤러(220) 사이에 연결되고, 석쇠(500)가 석쇠걸이(210)에 걸린 상태에서 석쇠(500)에 수직방향으로 진동을 가함으로써 석쇠(500)에 끼워진 고기(M)의 기름을 낙하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비되는 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2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석쇠걸이(210)는
    이송롤러(220)의 하측 양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되, 석쇠(500)가 통과되는 빈 공간인 석쇠통과공간(SP)을 두고 배치되는 제1,2석쇠걸이(211,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석쇠걸이(211)는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석쇠(500)가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제1요철부(211a)와,
    상기 제1요철부(211a)에서 연장되되,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요철부(211b)와,
    상기 제2요철부(211b)에서 연장되되,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석쇠(500)가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제3요철부(21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석쇠걸이(212)는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석쇠(500)가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제1요철부(212a)와,
    상기 제1요철부(212a)에서 연장되되,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요철부(212b)와,
    상기 제2요철부(212b)에서 연장되되,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석쇠(500)가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제3요철부(212c)를 포함하고,

    상기 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230)은
    이송롤러(220)와 제1석쇠걸이(211) 사이에 연결되는 제1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231)과,
    이송롤러(220)와 제2석쇠걸이(212) 사이에 연결되는 제2기름낙하용석쇠진동수단(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속수단(800)은
    일단부에 연기유입부(800a)가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이와 대향되는 타단부에 연기토출부(800b)가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어, 연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가열수단(400,400')과 집속수단(800)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단열재(900);
    집속수단(800)의 제1,2,3집속수단(810,820,830) 사이에 배치되어, 연기가 제1,2,3집속수단(810,820,830) 순서대로 통과되도록 하는 폐경로를 형성시키는 수평단열재(1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속수단(800)은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는 제1,2,3집속수단(810,820,830)이 지그재그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집속수단(810)은
    그 전단부가 하우징커버(3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1전측연기통과공간(SF1)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가 하우징(100)의 후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1후측연기통과공간(SR1)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전측연기통과공간(SF1)은
    제1후측연기통과공간(SR1)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짐과 동시에, 제2전측연기통과공간(SF2)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집속수단(820)은
    그 전단부가 하우징커버(3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2전측연기통과공간(SF2)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가 하우징(100)의 후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2후측연기통과공간(SR2)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후측연기통과공간(SR2)은
    제2전측연기통과공간(SF2)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짐과 동시에, 제1후측연기통과공간(SR1)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집속수단(830)은
    그 전단부가 하우징커버(3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3전측연기통과공간(SF3)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가 하우징(100)의 후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제3후측연기통과공간(SR3)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전측연기통과공간(SF3)은
    제3후측연기통과공간(SR3)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짐과 동시에, 제2전측연기통과공간(SF2)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평단열재(1000)는
    제2집속수단(820)의 하측 전단부와 하우징커버(3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전측연기통과공간(SF1)과 제2전측연기통과공간(SF2)을 상호 차단시킴과 동시에, 제1집속수단(810)으로 연기의 유동을 유도하는 제1수평단열재(1010)와,
    제3집속수단(830)의 상측 전단부와 하우징커버(300) 사이에 배치되어, 제3전측연기통과공간(SF3)과 하우징내부공간(SH)을 상호 차단시킴과 동시에, 제3집속수단(810)으로 연기의 유동을 유도하는 제2수평단열재(1020)와,
    제3집속수단(830)의 하측 후단부와 하우징(100)의 후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3후측연기통과공간(SR3)과 제2후측연기통과공간(SR2)을 상호 차단시킴과 동시에, 제2집속수단(820)으로 연기의 유동을 유도하는 제3수평단열재(1030)와,
    제3집속수단(830)의 상측 후단부와 하우징(100)의 후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3후측연기통과공간(SR3)과 하우징내부공간(SH)을 상호 차단시킴과 동시에, 송풍팬(150)으로 연기의 유동을 유도하는 제4수평단열재(10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60276A 2022-05-17 2022-05-17 고기구이 시스템 KR102442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76A KR102442393B1 (ko) 2022-05-17 2022-05-17 고기구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76A KR102442393B1 (ko) 2022-05-17 2022-05-17 고기구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393B1 true KR102442393B1 (ko) 2022-09-13

Family

ID=83286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276A KR102442393B1 (ko) 2022-05-17 2022-05-17 고기구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856B1 (ko) 2023-06-21 2023-08-02 주식회사 에스티 소형 세로형 오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894A (ja) * 1999-09-06 2001-03-21 Inoac Corp 吸気ダクト
KR100566386B1 (ko) 2006-01-04 2006-03-31 유영주 초벌구이용 화덕구이기
KR100870582B1 (ko) * 2007-12-04 2008-11-27 박용호 참나무 장작 만능 구이기
KR20090011584A (ko) * 2007-07-26 2009-02-02 장순명 고기 구이기
WO2011009301A1 (en) * 2009-07-24 2011-01-27 Lin Li Internally electric heating barbecue
KR20130136143A (ko) * 2012-06-04 2013-12-12 이광희 그을음 방지가 가능한 구이장치
KR102335948B1 (ko) * 2021-05-10 2021-12-03 허민석 초벌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894A (ja) * 1999-09-06 2001-03-21 Inoac Corp 吸気ダクト
KR100566386B1 (ko) 2006-01-04 2006-03-31 유영주 초벌구이용 화덕구이기
KR20090011584A (ko) * 2007-07-26 2009-02-02 장순명 고기 구이기
KR100870582B1 (ko) * 2007-12-04 2008-11-27 박용호 참나무 장작 만능 구이기
WO2011009301A1 (en) * 2009-07-24 2011-01-27 Lin Li Internally electric heating barbecue
KR20130136143A (ko) * 2012-06-04 2013-12-12 이광희 그을음 방지가 가능한 구이장치
KR102335948B1 (ko) * 2021-05-10 2021-12-03 허민석 초벌구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856B1 (ko) 2023-06-21 2023-08-02 주식회사 에스티 소형 세로형 오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9258A (en) Gas fired barbecue unit
US4508024A (en) Indoor-outdoor convertible cooker
US5536518A (en) Convertible grill/rotisserie barbecue
US5603256A (en) Barbecue grill
US2985097A (en) Gas broiler with heat shutter device
US20070221191A1 (en) Outdoor oven
CN110753507A (zh) 直接和间接加热颗粒烧烤***
US5195425A (en) Rotisserie heat directing device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US5445066A (en) Cooking appliance having a cooking plate provided with openings
KR102442393B1 (ko) 고기구이 시스템
JPH01256916A (ja) 串焼きロースター
JPH053174Y2 (ko)
US3087414A (en) Stationary or portable cooking oven
KR100794233B1 (ko) 직화구이기
KR101425896B1 (ko) 조립체로 된 훈연 오븐
KR101638318B1 (ko) H빔형 스마트 구이장치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US9689575B2 (en) Indoor grill
KR101629604B1 (ko) 화기 조절 및 제연 기능을 구비한 구이용 테이블
JP3581335B2 (ja) 電気式焼物器
KR102208632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101741353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1363449B1 (ko) 초벌구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