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762B1 -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762B1
KR102441762B1 KR1020200076387A KR20200076387A KR102441762B1 KR 102441762 B1 KR102441762 B1 KR 102441762B1 KR 1020200076387 A KR1020200076387 A KR 1020200076387A KR 20200076387 A KR20200076387 A KR 20200076387A KR 102441762 B1 KR102441762 B1 KR 102441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ter
housing
unit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077A (ko
Inventor
김규형
Original Assignee
김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형 filed Critical 김규형
Priority to KR102020007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76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용수가 정체되는 구역과 혼합되는 구역으로 나누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서 상기 혼합 구역 측에 출구가 배치되는 용수공급라인;을 포함하는 제1단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상기 정체 구역과 혼합 구역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용수공급라인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를 가두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용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침전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와 상기 용수공급라인의 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유통공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공급된 용수 간의 혼합 구역과 이를 거쳐 머물게 되는 정체 구역을 통해 용수 간의 혼합 및 정화 효율을 향상시킨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LAST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급된 용수가 나선형의 라인을 타고 급수되면서 하우징의 내벽 및 가이더의 안내에 따라 와류 형태의 흐름을 가지고, 가이더에 의해 나누어진 정체 구역과 혼합 구역 중 혼합 구역에서 용수 간의 혼합이 서서히 이루어지면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침전되고 정화된 용수가 정체 구역 측으로 흘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 간의 혼합 및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샌드 등의 블라스팅 시 사용하거나 사용한 후의 용수를 여과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3231호 (2014.04.30.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워터 블라스팅 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1은 라이저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내벽면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내벽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분사 모듈; 상기 분사 모듈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내벽면을 따라 상기 분사 모듈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상기 분사 모듈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도록 형성된 이송 모듈; 및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 모듈의 작동 시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하부로 흘러내리는 폐수를 모아서 처리하는 폐수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모듈은,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내부 중심에 배치된 일단부에 상기 분사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분사 모듈을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제1 이송 기구; 상기 제1 이송 기구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송 기구와 함께 상기 분사 모듈을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제2 이송 기구; 및 상기 제2 이송 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송 기구와 상기 제2 이송 기구를 상기 라이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제3 이송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분사 노즐을 통해 고압의 물을 라이저 파이프의 내벽면에 분사하여 라이저 파이프의 내벽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폐수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화 처리할 수 있는 워터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52350호 (2019.05.16.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다중 복합 샌드 여과기』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2는 상,하부 경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가짐과 동시에 이 본체에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입수관 및 역세척수 배수구를 포함하여 정화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모래를 포함한 복합 여과재 및 필터유닛이 순차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는 모터가 장착됨과 동시에 이 모터의 가동에 따라 작동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축 및 이 회전축에 배열된 교반날개에 의해 모래를 뒤섞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교반수단을 구성하는 회전축 및 반구형 교반날개 들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채워진 모래를 전체적으로 뒤섞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고르게 역세척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역세척에 이용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있고, 하우징 내의 하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복합 여과재 및 필터유닛에 의해 여과능력을 향상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오염수를 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대용량 정수에 가장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다중 복합 샌드 여과기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3231호 (2014.04.30.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52350호 (2019.05.16.공개)
본 발명은 가이더에 의해 나누어진 정체 구역과 혼합 구역 중 혼합 구역에서 용수 간의 혼합 및 이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지고, 이를 거친 용수가 정체 구역에 머물게 되는 정화 과정을 수회 걸쳐 수행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수회 정화 과정을 거친 용수가 필터바스켓을 통해 최종 필터링 될 수 있도록 한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이더에 용수의 흐름을 분산시킬 수 있는 여러 실시예를 구현하여 용수 간의 혼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
내부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용수가 정체되는 구역과 혼합되는 구역으로 나누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서 상기 혼합 구역 측에 출구가 배치되는 용수공급라인;
을 포함하는 제1단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상기 정체 구역과 혼합 구역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용수공급라인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를 가두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용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침전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와 상기 용수공급라인의 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유통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
공급된 용수 간의 혼합 구역과 이를 거쳐 머물게 되는 정체 구역을 통해 용수 간의 혼합 및 정화 효율을 향상시킨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3은 두 제1단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4는 두 제1단위체에서 용수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5는 가이더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6은 최종선별저장유닛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최종선별저장유닛의 필터바스켓 및 서포트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및 결합 입체 구성도,
도 9는 도 3의 "A"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평면 구성도,
도 10은 가이더에서 스커트가 더 형성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에서 순환정화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 구성도,
도 12는 순환정화유닛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13은 다른 예의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14는 개폐구동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하우징의 공간부 측을 상부 또는 상방, 하우징의 연장공간부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
크게 하우징(10), 가이드수단(20) 및 용수공급라인(30)을 포함하는 제1단위체(U1)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부(11)를 갖는 함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간부(11)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원형을 이루고 상하로 동일한 단면 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공간부(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공간부(12)와 함께 하나의 공간을 이룬다.
결국 상기 공간부(11)에서는 공급된 용수와 정화된 용수와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공간부(12)로는 용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이물질(예 : 샌드 등의 블라스팅 원료, 피가공물에서 분리된 잔해물 등)이 침전되어 수집된다.
아울러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연장공간부(12)의 바닥 중심에 배치되는 배수홀(13)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배수홀(13)에는 별도의 관체가 연결되어 외부로 배수되거나 외부 정화 장치로 공급될 수 있고, 또 외부 정화 장치에서 정화된 용수가 다시 상기 용수공급라인(30) 측으로 공급되는 선택적 순환 사이클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순환 사이클 공정을 위해서는 상기 배수홀(13)에 연결되는 별도의 관체 상에 배치되면서 외부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개폐밸브 및 펌프(예 :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gm Pump))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은 다수의 횡 및 종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베이스(1)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수단(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를 용수가 정체되는 구역(A1)과 혼합되는 구역(A2)으로 나누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를 상기 정체 구역(A1)과 혼합 구역(A2)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를 가두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용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침전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이더(21), 그리고
상기 가이더(21)와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유통공간(2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정체 구역(A1)은 흐름이 거의 없는 상태의 용수가 머물게 되는 구역으로서, 용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이물질은 가라앉아 상기 하우징(10)의 연장공간부(12) 바닥 측으로 침전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 구역(A2)은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에 의해 잔잔한 흐름이 형성되고, 이러한 흐름에 의해 상기 혼합 구역(A2)에서는 급수된 용수 간의 혼합이 이루어지며, 특히 급수된 용수는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나선형 구조와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부 원형 구조, 아울러 상기 가이더(21)의 형상에 의해 와류(渦流)가 형성됨으로써, 용수 간의 혼합이 서서히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더(21)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중심을 향하게 세워지는 판형의 제1가이드플레이트(211)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11)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중심 방향으로 볼록하게 세워지는 호형(弧形)의 제2가이드플레이트(212)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가이더(21)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C자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는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에서 상기 혼합 구역(A2) 측으로 급수된 후, 상기 혼합 구역(A2)의 내벽을 따라 안내되어 흐르면서 상기 가이더(21)의 제1가이드플레이트(211)에 먼저 도착하여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12)를 따라 흐름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용수의 흐름을 분산시켜 용수 간의 혼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9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더(21)의 제1 및 제2 가이드플레이트(211, 212)의 내벽, 즉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를 향하는 벽면을 따라 다수의 요철(凹凸)부(213)가 형성될 수 있고,
또 도 9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더(21)의 제1 및 제2 가이드플레이트(211, 212)의 내벽을 따라 다수의 엠보싱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요철부(213)나 상기 엠보싱부(214)는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와 부딪혀 용수의 흐름을 분산시키는 데에 도움을 준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더(21)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12)의 단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12)의 굴곡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11) 측으로 꺾이는 형태를 이루는 호형의 스커트(215)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12)의 내벽을 따라 안내되어 흐르면 용수가 상기 스커트(215)를 만나 다시 한 번 흐름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용수 간의 혼합 시간을 늘릴 수 있는 데에 도움을 준다.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에서 상기 혼합 구역(A2) 측에 출구가 배치되는 관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은 입구가 상기 하우징(10) 측부에 삽입되고 입구에서 출구까지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벽을 따라 배치되게 나선형(螺旋形)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입구에서 출구까지 대략 270~360도 내의 나선형 구조를 이룬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
상기 제1단위체(U1)는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되어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면 전반에 걸쳐 상기 n이 2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n이 2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단위체(U1) 중 두 번째 제1단위체(U1)부터 일단이 이전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음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 입구에 연결되는 n-1개의 제1중계라인(40)을 더 포함한다.
결국 첫 번째 제1단위체(U1)와 두 번째 제1단위체(U1)는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두 제1단위체(U1)는 하나의 제1중계라인(40)에 의해 연결되는데, 특히 첫 번째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제1중계라인(40)의 일단이 연결되고 두 번째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 입구에 제1중계라인(40)의 타단이 연결된다.
첫 번째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머물러 있는 용수, 즉 이물질이 침전되어 정화된 용수는 관체 구조의 상기 제1중계라인(40)을 통해 두 번째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으로 전달되어 두 번째 제1단위체(U1)의 혼합 구역(A2) 측으로 최종 급수된다. 이렇게 최종 급수된 용수는 두 번째 제1단위체(U1)의 혼합 구역(A2)에서 상기 가이더(21)에 안내되면서 용수 간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정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첫 번째 제1단위체(U1)의 혼합 구역(A2)에서 용수의 1차 정화 과정이 이루어지고, 두 번째 제1단위체(U1)의 혼합 구역(A2)에서 용수의 2차 정화 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용수에 대한 총 2회의 정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 최종선별저장유닛(5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최종선별저장유닛(50)은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개구부(開口部)(511)를 갖는 함체형 필터바스켓(51),
상기 필터바스켓(51)을 지지하는 서포트(52),
상기 제1단위체(U1) 중 n번째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어 이 정체 구역(A1)에 담긴 용수를 상기 필터바스켓(51)의 개구부(511) 측으로 공급하는 최종급수관(53), 그리고
상기 필터바스켓(51)을 거쳐 필터링 된 용수가 저장되는 탱크(5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바스켓(51)은 내부에 사각 공간을 갖는 사각 기둥 구조의 함체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필터링 기능을 갖는 소재(예 : 부직포 등)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필터바스켓(51)에는 이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필터바스켓(51)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서포트(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바(bar) 형태의 사각링(512)이 더 구비된다. 상기 필터바스켓(51)의 상단 외벽을 따라 상기 사각링(512)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바스켓(51)의 상단을 하방으로 접어 상기 사각링(512)을 감싸도록 한 후 재봉질함으로써, 상기 필터바스켓(51)의 상단에 상기 사각링(512)을 고정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서포트(52)는 상기 필터바스켓(51)의 사각링(512) 부위가 안착되는 사각의 상부지지체(521)와, 상기 상부지지체(521) 하부 측에 이격 배치되는 사각의 하부지지체(522)와, 상기 하부지지체(522) 내부에 배치되는 십자(+) 형태의 받침부(5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체(521, 522)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상부지지체(521) 또는 상기 하부지지체(522)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후술할 탱크(54)의 수용부(541) 내벽에 연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최종급수관(53)은 용수의 흐름을 위한 내부 유로를 갖는 관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탱크(54)는 용수가 저장되는 내부 수용부(541)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 수용부(541)의 바닥이나 측벽 측에는 드레인 홀(542)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541)의 상부 측에 상기 서포트(52)가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52)에 상기 필터바스켓(51)이 지지됨에 따라 상기 탱크(54)의 수용부(541) 내에 상기 서포트(52)와 상기 필터바스켓(51)이 은닉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두 제1단위체(U1)을 통해 2회의 정화 과정을 거친 용수는 상기 최종급수관(53)을 지나 상기 필터바스켓(51)으로 급수되고, 이후 상기 필터바스켓(51)을 통과하면서 필터링 된 용수는 상기 탱크(54)의 수용부(541) 내에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 상기 제1단위체(U1)가 1개만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단위체(U1)의 일측에 제2단위체(U2)가 일렬 배치되게 구현할 수 있는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위체(U2)는
내부 공간부(11) 및 이의 공간부(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공간부(12)와 이의 바닥 중심에 배치되는 배수홀(13)을 갖는 선별하우징(71)과,
일단이 상기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 연결되는 제2중계라인(72)과,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서 상부 측 영역에 배치되는 중계급수관(73)과,
상기 중계급수관(73)의 입구를 개방 및 차단하는 개폐구동수단(74)과,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 내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수위감지센서(75, 76)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수위감지센서(75, 76)의 센싱값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구동수단(74)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에 상기 제2단위체(U2)를 위한 최종선별저장유닛(50)은 상방 개구부(開口部)(511)를 갖는 함체형 필터바스켓(51)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지지하는 서포트(52)와, 상기 제2단위체(U2)의 중계급수관(73) 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 담긴 용수를 상기 필터바스켓(51)의 개구부(511) 측으로 공급하는 최종급수관(53)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거쳐 필터링 된 용수가 저장되는 탱크(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구동수단(74)은 상기 선별하우징(71)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741)과, 상기 고정브래킷(741)에 장착되며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 내로 삽입되는 피스톤(742)을 갖는 실린더본체(743)와, 상기 피스톤(742)의 단부에 구비되어 하강 시 상기 중계급수관(73)의 입구를 차단하는 헤드(7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실린더본체(743)는 선택적 에어 공급에 의해 상기 피스톤(742)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2중계라인(72)을 따라 급수된 용수가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 내에 차오르게 되면, 상기 각 수위감지센서(75, 76) 중 상부수위감지센서(75)가 감지하여 이 센싱값을 상기 컨트롤러(77)에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러(77)가 상기 개폐구동수단(74)의 피스톤(742)을 동작케 함으로써, 상기 중계급수관(73)의 입구를 막고 있던 상기 헤드(744)가 상승하면서 상기 중계급수관(73)이 개방되고, 이 중계급수관(73)으로 용수가 유입되어 상기 최종급수관(53)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중계급수관(73)을 통해 용수가 빠져나가면서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 내에 담긴 용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고, 이때에 상기 하부수위감지센서(76)가 감지하여 이 센싱값을 상기 컨트롤러(77)에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러(77)에 의해 상기 피스톤(742)이 하강하면서 상기 중계급수관(73)의 입구를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은 순환정화유닛(6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순환정화유닛(6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아우터공간(611) 및 이의 바닥에 아우터배수홀(612)을 갖는 아우터챔버(61),
상기 아우터챔버(61) 내에 배치되되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 내벽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사이에 환형(環形)의 이격공간(621)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방 개구(開口)형 이너공간(622) 및 이의 바닥에 이너배수홀(623)을 갖는 이너챔버(62),
상기 제1단위체(U1) 중 첫 번째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 입구와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배수홀(623)을 상호 연결하는 급수라인(63), 그리고
상기 배수홀(13)과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을 상호 연결하는 순환라인(6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원형을 이루고 상하로 동일한 단면 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아우터공간(613)과 함께 하나의 공간을 이룬다.
결국 상기 아우터공간(611)에서는 공급된 용수와 정화된 용수와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이때 정화용 약품 등을 투입 시 약품과도 함께 혼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아우터공간(613)으로는 용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이물질이 침전되어 수집되고, 수집된 침전물은 상기 아우터배수홀(612)을 통해 외부로 배수하거나 또 다른 정화장치로 재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공간(622) 또한 상기 아우터공간(611)과 마찬가지로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을 이루고 상하로 동일한 단면 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이너공간(624)과 함께 하나의 공간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에서 상기 이너챔버(62)의 상단 보다 높은 위치에 오버플로우홀(6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에 연결되는 상기 순환라인(64)의 출구는 상기 이격공간(621)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급수된 용수가 상기 이격공간(621) 내에서 와류(渦流)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상부 측에는 상기 아우터공간(611)을 막는 형태로 장착되는 아우터커버(65)가 구비되며, 상기 아우터커버(65)에는 좌우로 분반(分半)된 두 개구부와 이에 결합되어 힌지 개폐되는 아우터도어(66)가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 내벽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공간(621) 내벽에 타단이 연결되는 브래킷(67)에 의해 상기 아우터챔버(61) 내에 상기 이너챔버(62)가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순환정화유닛(60)은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광하협의 단면 공간을 갖되 상기 이너챔버(62)의 외벽을 따라 이격되는 사이공간을 갖는 아우터가이드(68)와, 상기 이너챔버(62)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 경사지게 연장된 후 다시 하방 경사지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이너스커트(69)와, 상기 아우터챔버(61)의 하단 둘레를 따라 하방 경사지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아우터스커트(69A)를 더 포함한다.
결국 상기 이격공간(621) 내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용수가 상기 아우터가이드(68)의 사이공간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이너스커트(69)를 타고 넘어가 상기 이너챔버(62)의 이격공간(621) 내로 흘러들어가고, 상기 이격공간(621) 내에서 와류된 용수가 상기 아우터스커트(69A)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이격공간(621) 외벽 측으로 와류되게 최종적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라인(64)을 거쳐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으로 급수된 용수가 상기 이격공간(621) 내에서 와류되면서 1차 정화되며 정화된 용수가 오버플로우 되면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공간(622) 상부 측으로 흘러들어와 2차 정화된 후 상기 급수라인(63)을 따라 상기 제1단위체(U1) 중 첫 번째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으로 공급된다.
한편,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순환라인(64)의 내부에는 스크루(641)와, 상기 스크루(641)의 날개 단부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순환라인(64)의 내벽과 접하게 되는 고무패킹(642)과, 상기 스크루(64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스크루구동부(643)가 구비된다.
이때에 상기 스크루구동부(643)는 스크루(641)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와 연결되는 종동풀리를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일예이고 상기 스크루(641)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무패킹(642)은 상기 스크루(641) 회전 시 상기 순환라인(64)의 내벽과 접하면서 순환라인(64) 내벽에 침전물 등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침전물 등의 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홀(13)을 통해 빠져나온 침전물 등이 상기 스크루(641)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순환라인(64)을 따라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공간(622)으로 이동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베이스
10 : 하우징
11 : 공간부
12 : 연장공간부
13 : 배수홀
A1 : 정체 구역
A2 : 혼합 구역
20 : 가이드수단
21 : 가이더
211 : 제1가이드플레이트
212 : 제2가이드플레이트
213 : 요철부
214 : 엠보싱부
215 : 스커트
22 : 유통공간
30 : 용수공급라인
40 : 제1중계라인
50 : 최종선별저장유닛
51 : 필터바스켓
511 : 개구부
512 : 사각링
52 : 서포트
521 : 상부지지체
522 : 하부지지체
523 : 받침부
53 : 최종급수관
54 : 탱크
541 : 수용부
542 : 드레인 홀
60 : 순환정화유닛
61 : 아우터챔버
611 : 아우터공간
612 : 아우터배수홀
613 : 연장아우터공간
614 : 오버플로우홀
62 : 이너챔버
621 : 이격공간
622 : 이너공간
623 : 이너배수홀
624 : 연장이너공간
63 : 급수라인
64 : 순환라인
641 : 스크루
642 : 고무패킹
643 : 스크루구동부
65 : 아우터커버
66 : 아우터도어
67 : 브래킷
68 : 아우터가이드
69 : 이너스커트
69A : 아우터스커트
U1 : 제1단위체
U2 : 제2단위체
71 : 선별하우징
72 : 제2중계라인
73 : 중계급수관
74 : 개폐구동수단
741 : 고정브래킷
742 : 피스톤
743 : 실린더본체
744 : 헤드
75 : 상부수위감지센서
76 : 하부수위감지센서
77 : 컨트롤러

Claims (9)

  1. 내부 공간부(11)를 갖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를 용수가 정체되는 구역(A1)과 혼합되는 구역(A2)으로 나누기 위한 가이드수단(20); 및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에서 상기 혼합 구역(A2) 측에 출구가 배치되는 용수공급라인(30);
    을 포함하는 제1단위체(U1)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수단(20)은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를 상기 정체 구역(A1)과 혼합 구역(A2)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로부터 급수된 용수를 가두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용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침전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이더(21)와, 상기 가이더(21)와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유통공간(2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21)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중심을 향하게 세워지는 판형의 제1가이드플레이트(211)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11)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중심 방향으로 볼록하게 세워지는 호형(弧形)의 제2가이드플레이트(2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0)에는 이의 공간부(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공간부(12)와, 상기 연장공간부(12)의 바닥 중심에 배치되는 배수홀(13)이 더 구비되고,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은 입구가 상기 하우징(10) 측부에 삽입되고 입구에서 출구까지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벽을 따라 배치되게 나선형(螺旋形)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 공간부(11) 및 이의 공간부(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광하협의 단면 공간을 갖는 연장공간부(12)와 이의 바닥 중심에 배치되는 배수홀(13)을 갖는 선별하우징(71)과,
    일단이 상기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 연결되는 제2중계라인(72)과,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서 상부 측 영역에 배치되는 중계급수관(73)과,
    상기 중계급수관(73)의 입구를 개방 및 차단하는 개폐구동수단(74)과,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 내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수위감지센서(75, 76)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수위감지센서(75, 76)의 센싱값을 전달받아 상기 개폐구동수단(74)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7)로 이루어진 제2단위체(U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체(U1)는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되어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1단위체(U1) 중 두 번째 제1단위체(U1)부터 일단이 이전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음 제1단위체(U1)의 용수공급라인(30) 입구에 연결되는 n-1개의 제1중계라인(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開口部)(511)를 갖는 함체형 필터바스켓(51)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지지하는 서포트(52)와, 상기 제1단위체(U1) 중 n번째 제1단위체(U1)의 정체 구역(A1)에 연결되어 이 정체 구역(A1)에 담긴 용수를 상기 필터바스켓(51)의 개구부(511) 측으로 공급하는 최종급수관(53)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거쳐 필터링 된 용수가 저장되는 탱크(54)로 이루어진 최종선별저장유닛(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방 개구부(開口部)(511)를 갖는 함체형 필터바스켓(51)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지지하는 서포트(52)와, 상기 제2단위체(U2)의 중계급수관(73) 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선별하우징(71)의 공간부(11)에 담긴 용수를 상기 필터바스켓(51)의 개구부(511) 측으로 공급하는 최종급수관(53)과, 상기 필터바스켓(51)을 거쳐 필터링 된 용수가 저장되는 탱크(54)로 이루어진 최종선별저장유닛(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아우터공간(611) 및 이의 바닥에 아우터배수홀(612)을 갖는 아우터챔버(61)와,
    상기 아우터챔버(61) 내에 배치되되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 내벽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사이에 환형(環形)의 이격공간(621)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방 개구(開口)형 이너공간(622) 및 이의 바닥에 이너배수홀(623)을 갖는 이너챔버(62)와,
    상기 용수공급라인(30)의 입구와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배수홀(623)을 상호 연결하는 급수라인(63)과,
    상기 배수홀(13)과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을 상호 연결하는 순환라인(64)
    으로 이루어져, 상기 순환라인(64)을 거쳐 상기 아우터챔버(61)의 아우터공간(611)으로 급수된 용수가 상기 이격공간(621) 내에서 와류되면서 1차 정화되며 정화된 용수가 오버플로우 되면 상기 이너챔버(62)의 이너공간(622) 상부 측으로 흘러들어와 2차 정화된 후 상기 급수라인(63)을 따라 상기 용수공급라인(30)으로 공급되는 순환정화유닛(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64)의 내부에는 스크루(641)와, 상기 스크루(641)의 날개 단부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순환라인(64)의 내벽과 접하게 되는 고무패킹(642)과, 상기 스크루(64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스크루구동부(64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KR1020200076387A 2020-06-23 2020-06-23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KR102441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87A KR102441762B1 (ko) 2020-06-23 2020-06-23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87A KR102441762B1 (ko) 2020-06-23 2020-06-23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77A KR20210158077A (ko) 2021-12-30
KR102441762B1 true KR102441762B1 (ko) 2022-09-07

Family

ID=7917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387A KR102441762B1 (ko) 2020-06-23 2020-06-23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7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011Y1 (ko) * 2006-02-23 2006-05-23 주식회사 엔지텍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침전조
JP2010137139A (ja) * 2008-12-10 2010-06-24 Towa Anzen Sangyo Kk 汚水浄化装置
KR101015625B1 (ko) * 2010-09-17 2011-02-16 (주)상원기술개발 와류 및 2단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2127152B1 (ko) * 2019-12-05 2020-06-29 주식회사 에이이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231B1 (ko) 2012-08-17 2014-05-08 유한기술주식회사 워터 블라스팅 장치
KR102133206B1 (ko) 2017-11-08 2020-07-14 윤성구 다중 복합 샌드 여과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011Y1 (ko) * 2006-02-23 2006-05-23 주식회사 엔지텍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침전조
JP2010137139A (ja) * 2008-12-10 2010-06-24 Towa Anzen Sangyo Kk 汚水浄化装置
KR101015625B1 (ko) * 2010-09-17 2011-02-16 (주)상원기술개발 와류 및 2단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2127152B1 (ko) * 2019-12-05 2020-06-29 주식회사 에이이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77A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7286A (en) Water filtration process and apparatus having upflow filter with buoyant filter media and downflow filter with nonbuoyant filter media
KR101455180B1 (ko) 수류 분산형 가압부상조
KR102153224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JP2008542008A (ja) モジュラ型水処理ユニット
KR101434825B1 (ko) 상향류식 모래여과기
EP28890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ir scouring of a screen in a water treatment facility
KR20190030560A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혼합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KR101556669B1 (ko) 상향류식 다단 습지여상
CN108622997A (zh) 承压式净化装置
CN105461180B (zh) 一种富营养化水体水质净化一体化装置及其方法
KR101867931B1 (ko) 연속세척 부상·침전·여과 장치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0988316B1 (ko)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KR102441762B1 (ko)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CN103974912A (zh) 浸没式滤网和操作方法
KR101185811B1 (ko) 탈기겸용 다회류 고형물 여과장치
KR101847930B1 (ko)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17080B1 (ko) 하폐수처리장치
KR102354522B1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23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858690B1 (ko) 다단여과 처리수 재이용 시스템
CN114380411A (zh) 一种工业废水的精细化净化处理设备
KR101847927B1 (ko)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GB2080696A (en) Upflow water filtration with buoyant filter media
JP4625291B2 (ja) 汚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