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053B1 -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 - Google Patents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053B1
KR102440053B1 KR1020200137888A KR20200137888A KR102440053B1 KR 102440053 B1 KR102440053 B1 KR 102440053B1 KR 1020200137888 A KR1020200137888 A KR 1020200137888A KR 20200137888 A KR20200137888 A KR 20200137888A KR 102440053 B1 KR102440053 B1 KR 102440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residential space
bearing wall
mai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431A (ko
Inventor
차민준
Original Assignee
차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민준 filed Critical 차민준
Priority to KR102020013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0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층형과 일반형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는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층형의 1층과 2층에는 제1세대와 제2세대가 위치하고, 제1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1현관문(10)은 1층에, 제2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2현관문(20)은 2층에 위치하며, 상기 제1세대의 거실, 주방, 메인침실을 포함하는 제1메인주거공간(100)이 2층에, 욕실, 다수개의 침실 및 알파룸을 포함하는 제1서브주거공간(200)이 1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세대의 거실, 주방, 메인침실을 포함하는 제2메인주거공간(300)이 1층에, 욕실, 다수개의 침실 및 알파룸을 포함하는 제2서브주거공간(400)이 2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일반형은 1층과 2층 내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내력벽의 위치와 동일하여, 복층형과 일반형이 동시에 적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THE STRUCTURE OF DUPLEX APARTMENT HOUSE WITH POSSIBLE BEHIND VIEW AND SAME POSITION OF LOAD BEARING WALL}
본 발명은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층부의 전망을 방해하는 둔덕 때문에 1층세대의 전망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공동주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층에서의 조망권 침해는 단층보다는 복층형으로 설계함으로써 해결 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복층형 단위세대들은 단층형 단위세대와 함께 적층될시 평면 설계구조가 많이 바뀌어 구조적으로도 많은 부담을 안고 있다.
이로 인해 내부 설계 구조를 더 신경써야 할 저층부가 구조적으로 불합리되는 모순이 발생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저층부에 있는 복층형 단위세대가 상부 단위세대들의 내력벽과 일치하여 안정적인 효과가 구현된다.
더 나아가 내력벽을 포함한 화장실,PD벽들도 똑같기 때문에 구조적, 설비적으로 보았을 때 어느 층에서나 복층형으로 설계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는 현재 문제가 되는 아파트 평면,입면의 단일화(성냥갑 아파트)를 해결할 수 있으며 분양에서도 소비자가 원하면 어느 층에서든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부모가 생활하는 main zone과 자녀들이 생활하는 sub zone이 분리되기 때문에 가족내에 있는 프라이버시도 서로 존중 받을 수 있으며, 어느 단위세대 타입에서던지 적용가능 하기 때문에 모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저층부에 있는 복층형 단위세대가 상부 단위세대들의 내력벽과 일치하여 안정적인 효과가 구현되는 새로운 방식의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공동주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KR 20-0203230 (2000.09.04 등록)
본 발명은 복층형과 일반형 구조가 동시에 적층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공동주택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저층부의 조망권이 확보되고 적층된 단층형 단위세대의 내력벽과 저층에 위치한 복층형 단위세대의 내력벽이 일치하여 구조적 부담이 덜한 새로운 방식의 공동주택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층형과 일반형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는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층형의 1층과 2층에는 제1세대와 제2세대가 위치하고, 제1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1현관문(10)은 1층에, 제2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2현관문(20)은 2층에 위치하며, 상기 제1세대의 거실, 주방, 메인침실을 포함하는 제1메인주거공간(100)이 2층에, 욕실, 다수개의 침실 및 알파룸을 포함하는 제1서브주거공간(200)이 1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세대의 거실, 주방, 메인침실을 포함하는 제2메인주거공간(300)이 1층에, 욕실, 다수개의 침실 및 알파룸을 포함하는 제2서브주거공간(400)이 2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일반형은 1층과 2층 내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내력벽의 위치와 동일하여, 복층형과 일반형이 동시에 적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저층부의 조망권이 확보되고, 적층된 단층형 단위세대의 내력벽과 저층에 위치한 복층형 단위세대의 내력벽이 일치하여 구조적 부담이 줄어드는 등 다양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층형의 1층 평면도,
도 2는 복층형의 2층 평면도,
도 3은 1층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입체방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4는 2층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입체방식으로 표현한 도면,
도 5는 복층형 2층 구조 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 일반형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내부구조를 재 편성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층형의 1층 평면도이고, 도 2는 복층형의 2층 평면도이다. 도 1 및 에 도시된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1층에 있는 도면 부호 설명 1: 알파룸, 2 : 욕실, 3 : 침실, 4 : 창, 5 : 침실, 6 : 침실, 7 : 주방, 8 : 거실, 9 : 발코니, 23 : 메인침실, 24 : 비상탈출룸)
(2층에 있는 도면 부호 설명 11 : 침실, 12 : 침실, 13: 창, 14 : 침실, 15 : 알파룸, 16 : 욕실, 17 : 메인침실, 18 : 비상탈출룸, 19 : 발코니, 21 : 거실)
한편, 도 2의 우측은 측면에서 바라본 A세대(제2세대)와 B세대(제1세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1층 평면도를 입체방식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4는 2층 평면도를 입체방식으로 표현한 도면이며, 도 5는 복층형 2층 구조 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 일반형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복층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형의 1층과 2층에는 제1세대와 제2세대가 위치하고, 제1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1현관문(10)은 1층에, 제2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2현관문(20)은 2층에 위치한다.
물론, 표현상의 차이일 뿐 제1세대와 제2세대는 서로 바뀌어서 설명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제1세대의 거실, 주방, 메인침실을 포함하는 제1메인주거공간(100)이 2층에, 욕실, 다수개의 침실 및 알파룸을 포함하는 제1서브주거공간(200)이 1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2세대의 거실, 주방, 메인침실을 포함하는 제2메인주거공간(300)이 1층에, 욕실, 다수개의 침실 및 알파룸을 포함하는 제2서브주거공간(400)이 2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메인주거공간은 거실이 위치한 곳을 기점으로 구별하였으며, 거실이 위치하는 않는 곳을 메인주거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층에 2개의 세대가 동일한 공간의 메인주거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세대가 서로 다른 층에 메인주거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층간소음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예를 들면, 제1세대의 제1메인주거공간(100)은 2층에 위치하고, 제2세대의 제2메인주거공간(300)이 1층에 위치함으로써 동일한 층간에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 역시 구현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인 경우 메인주거공간과 서브주거공간이 독립되어 공간별 프라이버시가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당연한 결과이겠지만, 부부와 자녀가 있는 가정인 경우 부부와 자녀가 독립된 생활이 가능하다.
설계도면상으로는 열린 거실과 오픈형 주방임이 특징이고, 서브주거공간에 있는 다수개의 침실을 합쳐서 보다 넓은 방으로 또는 거실로의 설계변경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이른바 알파룸과 팬트리 공간 역시 이 공간을 합쳐 작은 거실로의 설계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복층형 이외에 복층형 위로 일반형 즉, 일반 아파트 구조가 동시에 설계될 수 있음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2층 상측에 위치할 수 있는 일반형 구조는 1층과 2층 내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내력벽의 위치와 파이프덕트, 파이프 샤프트가 내부에 있는 P.D벽, P.S벽 위치와 동일함에 그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1층에 위치한 제1서브주거공간(200)의 일측 중심에는 제1내력벽(500)이 위치하고, 타측 일지점에는 제2내력벽(600)이 위치하며, 1층에 위치한 제1메인주거공간(100)과 상기 제1서브주거공간(200) 사이에 제4내력벽(700)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메인주거공간(100) 중심에도 제3내력벽(800)이 절곡지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2층에도 상기 제1내력벽(500), 상기 제2내력벽(600), 상기 제3내력벽(800), 상기 제4내력벽(70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내력벽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3층 이상의 일반형에서도 동일한 위치에 내력벽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력벽이란 주지하다시피, 건축물에서 지붕의 무게나 위층 구조물의 무게(하중, 荷重)를 견디어 내거나 힘을 전달하기 위해 만든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 중 하나로 공간을 수직으로 구획하는 벽을 말한다. 단순히 칸을 막기 위해 블록이나 벽돌로 쌓은 벽(장막벽)과 구분되는 벽이다.
참고로, 내력벽은 철거나 변경이 불가하며 이를 행하면 불법행위가 되어 벌금이나 처벌이 가해진다. 또 건축업자는 이것을 주요 구조물로 다루고 건축해야 하며 하자가 있으면 보수해야 하고, 무너져 사람을 다치게 하면 처벌받는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과 2층으로 이루어진 복층형 구조 이외에 더 적층된 일반형의 경우 1층과 2층 내부에 위치한 내력벽의 위치와 동일하여 동일한 동에 복층형과 일반형이 동시에 적층이 가능함에 그 특징이 있다.
내력벽의 위치가 복층 구조와 일반형 구조에 동일한 위치에 있다는 것은, 시공시 동일한 거푸집을 이용하여 건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다양한 평면 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또한, 내력벽 이외에 파이프 덕프, 파이프 샤프트 등의 골조 위치 역시 1층과 2층의 복층 구조와 일반형 구조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이 역시 한 동에 일반형과 복층형이 동시에 적층이 가능함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대의 제1현관문(10)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1서브주거공간(200)에서 제1메인주거공간(100)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향식 제1계단(30)이 설치되고, 제2세대의 제2현관문(20)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2서브주거공간(400)에서 제2메인주거공간(300)으로 이동이 가능한 하향식 제2계단(40)이 설치된다.
즉, 각각의 세대는 2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세대마다 엇갈린 방식으로 상향식 혹은 하향식 계단을 두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하였다.
예를 들면, 제1세대는 1층에 제1현관문(10)이 위치하여, 이 현관문을 통해 제1세대로 들어가면 바로 제1서브주거공간(200)이 위치하고, 2층에 위치한 제1메인주거공간(100)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향식 제1계단(3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세대는 2층에 제2현관문(20)이 위치하여, 이 현관문을 통해 제2세대로 들어가면 바로 제2서브주거공간(400)이 위치하고, 1층에 위치한 제2메인주거공간(300)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향식 제2계단(4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세대는 옆에 위치하고 있는 세대의 생활 활동 영역의 동선과 겹치지 않게 되며, 각각의 세대의 메인주거공간으로의 출입시 각각이 독립적으로 전용하고 있는 현관문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물론, 상기 상향식, 하향식의 표현은 거주하고 있는 사람이 서브주거공간에서 메인주거공간으로 가고자 하는 경우 그 이동 방향에 대한 표현이지만, 같은 공간에 위치하는 계단이지만 메인주거공간과 서브주거공간의 차지하는 공간의 효율적인 비율에 의해 층간 소음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1세대의 1층에 위치하는 창을 매개로 1층에 위치하는 옥외공간과 연결되고, 제2세대의 2층에 위치하는 창을 매개로 옥외공간이 연결되어 각각의 전용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2메인주거공간(300)이 형성된 발코니와 비상탈출구와 제1메인주거공간(100)에 형성된 발코니와 비상탈출구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파트에서의 피난은 보통 발코니에 방화성능이 있는 대피공간을 두어 소방관이 진입하여 구조될 때까지 2시간동안 피난을 할 수 있게 된다.
혹은 하향식 피난사다리라고 하는 상부층에서 내려오고 하부층으로 내려와 지상 혹은 피난안전구역까지 피난할 수 있는 사다리를 설치하게 된다.
이는 수직적으로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모든층의 피난에 영향을 주게 되고, 단층형 단위세대와 평면 수정이 많이 되는 기존의 복층형 세대에서는 피난을 고려하면 모든 세대가 피난사다리를 두 개씩 설치 해야하는 이유에서 평면의 설계에 많은 손해가 있고 불합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교차하는 방식의 복층형 단위세대는 기존 단층형 평면과 그 위치가 똑같기 때문에 단층형 세대와 똑같이 피난 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100 : 제1메인주거공간 200 : 제1서브주거공간
300 : 제2메인주거공간 400 : 제2서브주거공간
500 : 제1내력벽 600 : 제2내력벽
700 : 제4내력벽 800 : 제3내력벽

Claims (4)

  1. 복층형과 일반형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는 공동주택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층형의 1층과 2층에는 제1세대와 제2세대가 위치하고, 제1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1현관문(10)은 1층에, 제2세대 내부로 출입하는 제2현관문(20)은 2층에 위치하며,
    상기 제1세대와 상기 제2세대간의 층간소음분쟁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상기 제1세대의 거실, 주방, 메인침실을 포함하는 제1메인주거공간(100)이 2층에, 욕실, 다수개의 침실 및 알파룸을 포함하는 제1서브주거공간(200)이 1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세대의 거실, 주방, 메인침실을 포함하는 제2메인주거공간(300)이 1층에, 욕실, 다수개의 침실 및 알파룸을 포함하는 제2서브주거공간(400)이 2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일반형은 1층과 2층 내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내력벽의 위치와 동일하여, 복층형과 일반형이 동시에 적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세대의 제1현관문(10)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1서브주거공간(200)에서 제1메인주거공간(100)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향식 제1계단(30)이 설치되고,
    상기 제2세대의 제2현관문(20)을 통해 내부로 출입시 제2서브주거공간(400)에서 제2메인주거공간(300)으로 이동이 가능한 하향식 제2계단(40)이 설치되며,
    상기 제1세대의 1층에 위치하는 창을 매개로 1층에 위치하는 옥외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2세대의 2층에 위치하는 창을 매개로 옥외공간이 연결되어 각각의 전용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메인주거공간(300)이 형성된 발코니와 비상탈출구와 상기 제1메인주거공간(100)에 형성된 발코니와 비상탈출구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층형과 일반형 구조의 시공시 동일한 거푸집을 이용하여 건축이 가능하도록 1층과 2층에 있는 내력벽의 위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되,
    1층에 위치한 제1서브주거공간(200)의 일측 중심에는 제1내력벽(500)이 위치하고, 타측 일지점에는 제2내력벽(600)이 위치하며,
    1층에 위치한 제1메인주거공간(100)과 상기 제1서브주거공간(200) 사이에 제4내력벽(700)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메인주거공간(100) 중심에도 제3내력벽(800)이 절곡지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2층에도 상기 제1내력벽(500), 상기 제2내력벽(600), 상기 제3내력벽(800), 상기 제4내력벽(70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내력벽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3층 이상의 일반형에서도 동일한 위치에 내력벽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37888A 2020-10-22 2020-10-22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 KR102440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88A KR102440053B1 (ko) 2020-10-22 2020-10-22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88A KR102440053B1 (ko) 2020-10-22 2020-10-22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31A KR20220053431A (ko) 2022-04-29
KR102440053B1 true KR102440053B1 (ko) 2022-09-02

Family

ID=8142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888A KR102440053B1 (ko) 2020-10-22 2020-10-22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0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1613A (zh) * 2020-03-31 2020-07-24 周金桥 上下层错层复式楼户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230Y1 (ko) 2000-06-17 2000-11-15 김진구 공동주택 단지 설계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1613A (zh) * 2020-03-31 2020-07-24 周金桥 上下层错层复式楼户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31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79655A1 (fr) Residence avec jardin
KR101679672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2440053B1 (ko) 조망권이 보장되고 내력벽 위치가 동일한 복층형 공동주택 구조
KR20210100000A (ko)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
CN210655743U (zh) 一种叠拼户型的独立入户电梯结构
JP6842278B2 (ja) 集合住宅
KR20160122557A (ko) 복층구조 공동주택
JP5280955B2 (ja) 中高層建築物用エレベータ
JP2005097849A (ja) 集合住宅
CN107366441A (zh) 一种节省公摊面积的跃层住宅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CN215717546U (zh) 一种具有双旋楼梯的叠墅装置
CN218479603U (zh) 一种具有独立电梯厅的核心筒
KR20190017321A (ko) 조망권 확장과 독립공간 설계가 자유로운 공동주택
JP4966369B2 (ja) 集合住宅
JP7076858B1 (ja) 専用エレベータ増設リノベーション工法
JP2017106230A (ja) 多層長屋
KR200427840Y1 (ko) 넓은 공용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KR100746765B1 (ko) 넓은 공용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JP2004250876A (ja) 集合住宅
JP2555526B2 (ja) スキップ通路型中高層集合住宅の構造
CN114837464A (zh) 一种多层叠落户建筑
CN114991532A (zh) 在每单元至少两面每面都设置梯间和出入口的居住建筑
RU22797U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JP3199662U (ja) 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